[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38722B1 -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방전기술 및클리닝기술의 개량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방전기술 및클리닝기술의 개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722B1
KR100338722B1 KR1019990052381A KR19990052381A KR100338722B1 KR 100338722 B1 KR100338722 B1 KR 100338722B1 KR 1019990052381 A KR1019990052381 A KR 1019990052381A KR 19990052381 A KR19990052381 A KR 19990052381A KR 100338722 B1 KR100338722 B1 KR 100338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transfer
discharge
transfer member
cleaning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5645A (ko
Inventor
신가야하라
히데오유
미추루다카하시
다케시신타니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20000035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72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details of the the intermediate support, e.g.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03G2215/0177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47Cleaning of transfer member
    • G03G2215/1661Cleaning of transfer member of transfer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0005Cleaning of residual to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담지체를 2 차전사후 효율 높게 방전 및 클리닝함으로써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상담지체(10)와 중간전사체(21)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22)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이 중간전사체위에 전사하며 이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전사재(100)위에 전사하고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전사재위에 전사한 후 이 중간전사체위에 접촉하여 그것을 방전시키는 접촉식 방전수단(50)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식방전수단에 직류전압제어수단(159)에 의해 직류전압을 가하여 상기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킴에 있어 상기 중간전사체(21)의 체적저항율에 응하여 상기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는 가변제어수단(60)을 구비했다.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방전기술 및 클리닝기술의 개량{AN IMPROVEMENT OF DISCHARGING AND CLEANING TECHNIQUE OF IMAGE FORMING APPARATUS IN THE TYPE OF ELECTRO PHOTOGRAPHY}
본 발명은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등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화상담지(擔持)체, 중간전사체, 전사재담지체에 대한 방전기술의 개량 및 클리닝기술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화상형성장치, 특히 풀 컬러 화상형성장치로서는 화상담지체와 중간전사체를 접촉시켜 전하부여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전사전계를 따라 상기 화상담지체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사하는 1차전사공정과, 이 토너상을 전사재위에 전사하는 2차전사공정을 거쳐 화상형성을 행하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중간전사체로서는 중간전사벨트거나 중간전사드럼 등이 사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중간전사체, 예컨대 중간전사벨트에 있어서는 체적저항율이 108∼1011Ωcm 의 중저항의 것이 많이 사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중저항의 중간전사벨트는 통상 이 중간전사벨트 표면을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코스트 삭감을 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저항의 중간전사체를 사용한 경우, 이 중간전사체 표면은 1차 전사시에 가해진 전사바이어스에 의해 대전되며 그 대전전위를 보유한다. 그러나한동안 지나면 그 전위를 형성하는 전하는 상기 중간전사체의 뒷면으로부터 접촉하는 부재 등에 유출하여 이 중간전사체의 대전전위는 거의 0V로 된다. 그 결과 중간전사체의 대전전위와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1차전사된 토너상의 대전전위의 전위차가 큰 것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일부의 토너, 특히 복수색의 토너상을 중첩시켰을 때 상부의 토너가 상기 중간전사체표면위로 끌어 당겨지게 된다. 즉 중간전사체위에 토너가 사방으로 튀기는 전사티끌로 되어 화상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것은 특히 풀 컬러 화상형성시에 현저하며 본바탕 오점이나 문자 등이 번지는 등 문제를 발생하여 화상품질의 저하를 초래한다.
종래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체적저항율이 1013Ωcm 정도의 고저항의 중간전사체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고저항의 중간전사체에 있어서는 1차전사종료후, 상기 화상담지체와 박리(剝離)시에 발생하는 박리방전에 의해 그 표면의 대전전위가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중간전사체가 고저항이므로 그 표면의 전하가 뒷면으로부터 접촉하는 부재에 유출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중간전사체 표면과 그 위에 흡착하여 있는 토너의 대전전위 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술한 전사티끌을 억제하여 화상품질의 저하를 방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저항의 중간전사체를 사용한 경우 또는 적어도 체적저항율이 1011Ωcm이상의 중간전사체를 사용한 경우, 상술한 중저항의 것과 달리 1차 전사시에 대전된 표면에 잔류한 잔류전하는 다음의 1 차전사시까지 보유된다.
이 때문에 다음의 1차전사공정에 있어서 소망의 전사전계, 즉 적어도 전회와 같은전사전계를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고저항의 중간전사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잔류전하를 방전시키기 위해 방전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 중간전사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은 잼(Jam)이 발생한 경우, 전사재에 전사되지 않은 채 2차전사영역을 통과한다. 이와 같은 토너상은 다음에 중간전사체로 토너상을 형성하기 전에 제거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클리닝블레이드 등의 클리닝부재에 의해 제거된다. 그러나 중간전사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는 통상 풀 컬러 화상형성장치로서 사용되어 중간전사체에 복수색의 토너를 중첩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풀 컬러 화상형성장치는 흑백(단색)화상형성장치에 비하여 1회의 화상형성에 사용하는 토너량이 아주 많아 종래의 클리닝부재로서는 완전히 제거할 수 없었다.
종래, 상기 방전수단으로서는 코로나대전기 등 비접촉방식의 방전기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비접촉식 방전기는 그 방전시에 오존이 발생하여 환경보호의 관점으로부터 보면 바람직하지 않다. 또 종래, 방전기에 방전바이어스를 가하기 위해 고압의 AC전원이 필요했다. 그러나 이 고압의 AC전원은 매우 비싸 코스트가 증대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또 상술한 고저항의 중간전사체는 이 중간전사체를 사용하는 온도나 습도등의 환경조건에 따라 그 체적저항율을 변화시킨다. 또 풀 컬러 화상형성을 행할 경우, 각 색 토너의 중첩 횟수에 따라 상기 중간전사체의 대전전위가 변화한다. 이와 같은 경우, 방전시에 가해지는 방전바이어스를 고정한 채로면, 방전수단으로 상기 중간전사체를 방전한다 해도 그 표면 대전전위가 소정 전위로 되지 않았거나 전위가 고르지 않은 것이 남았거나 하여 방전부족 또는 방전 과다(過多)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방전부족 및 방전과다는 1차전사시의 전사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된다.
또 풀 컬러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흑백(단색) 화상형성장치에 비해 높은 클리닝특성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종래, 중간전사체로의 클리닝부재의 압력을 높여 클리닝특성을 향상시키려고 하였다. 그러나 이 압력을 너무 크게 하면 상기 클리닝부재와 중간전사체로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중간전사체의 구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결과로 된다. 이와 같이 중간전사체의 구동부하와의 관계상 그 압력에는 한도가 있으므로 소망의 클리닝특성을 얻을 수 없었다.
또 화상형성장치에 있어 방전은 중간전사체뿐만 아니라 이 중간전사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이 2차전사되는 전사재를 담지하여 이송하는 전사재담지체에도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2차전사를 행할 때에는 상기 전사재담지체에 2차전사바이어스가 가해지므로 이 2차전사바이어스에 의해 상기 전사재담지체에 잔류전위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잔류전위는 다음의 2차전사공정시에 적절한 2차전사전계의 형성을 방해하여 화상형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또 이와 같은 잔류전위를 방전하기 위한 방전수단으로서 종래는 비접촉식 방전수단이 이용되어 있어 오존 발생 등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에 감안한 것으로, 그 제1의 목적은 고품질의 화상형성이 가능한 화상형성방법 및 그 장치와, 전사방법 및 중간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제2의 목적은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클리닝장치, 화상형성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3의 목적은 잼이 발생했을 때에도 충분히 클리닝 효과를 볼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클리닝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더 나아가 제4의 목적은 기존의 구조 그대로 방전을 행할 수 있는 방전방법, 윤활제도포장치, 화상형성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제5의 목적은 기존의 구조 그대로 효율적으로 방전을 행할 수 있는 윤활제도포장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마지막으로 제6의 목적은 중간전사체를 2차전사후에 효율 높게 방전시킴으로써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1의 발명은 화상담지체와 중간전사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하고, 이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전사재위에 전사하며,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전사재위에 전사한 후 이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이것을 방전시키는 접촉식 방전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식 방전수단에 직류전압제어수단에 의해 직류전압을 가하고, 상기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킴에 있어 상기 중간전사체의 체적저항율에 응하여 상기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는 가변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 중간전사체의 체적저항율이 1011Ω㎝이상으로 되면 1차전사시에 대전된 표면에 잔류한 잔류전위가 다음의 1차전사시까지 보유되어 다음의 화상형성공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이 체적저항율이 커짐에 따라 그 잔류전위가 높아진다. 따라서 다음의 화상형성공정에 있어서 호적하게 1차전사를 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중간전사체가 방전부족 및 방전과다가 되지 않도록 방전바이어스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청구항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중간전사체의 체적저항율에 응하여 상기 접촉식 방전부재에 가하는 직류전압을 전환하여 이 중간전사체를 최적한 방전바이어스로 방전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중간전사체의 체적저항율이 높을 때에는 상기 직류전압을 크게 하고, 이 중간전사체의 표면전위가 낮을 때에는 이 직류전압을 작게 한다. 이와 같이 접촉식 방전부재에 가하는 방전바이어스를 제어함으로써 방전부족이나 방전과다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1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체의 체적저항율이 1011∼1014Ω㎝인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전사체로서 체적저항율이 1011∼1014Ω㎝인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체적저항율의 중간전사체를 사용한 경우, 1차전사후의 전사티끌을 저감시킬 수 있어 화상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2차전사후에 있어서의 중간전사체에는 그 표면에 잔류전위가 존재하고 이것에기인하여 다음의 화상형성시에 본바탕 오점이나 문자 등이 번지는 등 문제가 발생해 버리지만 상기 접촉식 방전부재에 의해 해소된다. 따라서 본 청구항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1차전사후의 전사티끌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중간전사체위에 잔류한 잔류전위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청구항3의 발명과 같이 중간전사체의 체적저항율을 1012∼1013Ω㎝으로 하면 1차전사후의 전사티끌을 안정하게 억제할 수 있어 더욱 유익하다.
또 청구항4의 발명은 화상담지체와 중간전사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전사영역에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하고, 이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전사재위에 전사하며,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전사재위에 전사한 후 이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이것을 방전시키는 접촉식 방전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전을 위해 직류전압을 제어하면서 가함에 있어 중간전사체의 체적저항율에 응하여 상기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간전사체의 체적저항율에 응하여 상기 접촉식 방전부재에 가하는 직류전압을 전환하여 이 중간전사체를 최적한 방전바이어스로 방전하는 즉, 상기 중간전사체의 체적저항율이 클 때에는 상기 직류전압을 크게 하고, 이 중간전사체의 표면전위가 작을 때에는 이 직류전압을 작게 함으로써 접촉식 방전부재에 가하는 방전바이어스를 제어함에 의해 방전부족이나 방전과다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의 발명은 화상담지체와 중간전사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하고,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전사재위에 전사하고, 이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전사재위에 전사한 후 이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이것을 방전시키는 접촉식 방전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로,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전위를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구비하며 이 전위검지수단의 검지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직류전압을 제어가능하게 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전위 Va에 대한 상기 직류전압V이
― 1.3Va ― 650 ≤ V ≤ ― 1.3Va + 550
을 충족시키도록 상기 제어수단이 이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전위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된 상기 중간전사체 표면전위Va에 대해 상기 직류전압V을 상기 수학식 1의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가변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방전전에 있어서의 중간전사체의 표면전위에 대한 적절한 직류전압을 상기 접촉식 방전부재에 가할 수 있어 안정하고도 확실한 방전을 행할 수 있다.
또 청구항6의 발명은 화상담지체와 중간전사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전사영역에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하고,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전사재위에 전사하고, 이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전사재위에 전사한 후 이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이것을 방전시키는 접촉식 방전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방법으로,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전위를 검지하고 그 검지결과에 응하여 직류전압을 제어하면서 가하여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전위를 방전시키는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전위Va에 대한 상기 직류전압V이
(수학식 1)
― 1.3Va ― 650 ≤ V ≤ ― 1.3Va + 550
의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이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방전전에 있어서의 중간전사체의 표면전위에 대한 적절한 직류전압을 가할 수 있어 안정하고도 확실한 방전을 행할 수 있다.
또 청구항7의 발명은 화상담지체와 중간전사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하고, 이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전사재위에 전사하고, 상기 중간전사체 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전사재위에 전사한 후 이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이것을 방전시키는 접촉식 방전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로,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되는 단일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한 후에 상기 전사재에 전사하는 단일색 모드와는 별도로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토너상을 순차적으로 상기중간전사체에 중첩시켜 전사한 후에 상기 전사재에 전사하는 복수색 모드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식 방전수단에 직류전압 제어수단에 의해 직류전압을 가함에 있어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단일색 모드인가 상기 복수색 모드인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구비하고 이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응하여 상기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화상담지체에 형성된 토너상을 순차적으로 중간전사체의 동일 화상면에 중첩시켜 화상을 형성할 경우, 전사공정을 행하고 있는 사이는 그 화상면의 방전을 행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토너상을 중첩시킬 때마다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전위가 증가하므로 이 표면전위의 증가에 따라서 그 전사바이어스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토너상을 중첩시키지 않고 화상을 형성하는 단일색 모드와,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토너상을 중첩시켜 화상을 형성하는 복수색 모드에서는 2차전사후에 이 중간전사체위에 잔류하는 잔류전위가 크게 다르다.
그래서 본 청구항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단일색 모드인가 상기 복수색 모드인가에 응하여 상기 접촉식 방전부재에 가하는 직류전압을 전환하여 이 중간전사체를 최적한 방전바이어스로 방전시킨다. 즉 단일색 모드로 화상형성했을 때에는 상기 직류전압을 크게 하고, 복수색 모드로 화상형성했을 때에는 이 직류전압을 작게 한다. 이와 같이 방전부재에 가하는 방전바이어스를 제어함으로써 복사모드가 다른 경우라도 중간전사체를 안정하고도 확실하게 방전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8의 발명은 화상담지체와 중간전사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하고, 이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전사재위에 전사하며,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전사재위에 전사한 후 이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이것을 방전시키는 화상형성방법으로,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되는 단일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한 후에 상기 전사재에 전사하는 공정과는 별도로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복수의 토너상을 순차적으로 상기 중간전사체로 중첩시켜 전사한 후에 상기 전사재에 전사하는 공정을 구비한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전을 위해 직류전압을 가함에 있어 상기 단일색의 공정인가 상기 복수색의 공정인가에 응해 상기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순차적으로 중간전사체의 동일 화상면으로 중첩시켜 화상을 형성할 경우, 전사공정을 행하고 있는 사이는 그 화상면의 방전을 행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토너상을 중첩시킬 때마다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전위가 증가하므로 이 표면전위의 증가에 따라서 그 전사바이어스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토너상을 중첩시키지 않고 화상을 형성하는 단일색 공정과,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토너상을 중첩시켜 화상을 형성하는 복수색 공정에서는 2차전사후에 이 중간전사체위에 잔류하는 잔류전위가 크게 다르다.
그래서 본 청구항의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단일색 공정인가 상기 복수색 공정인가에 응하여 상기 방전을 위하여 가하는 직류전압을 전환하여 이 중간전사체를 최적한 방전바이어스로 방전시킨다. 즉 단일색 공정으로 화상형성했을 때에는 상기 직류전압을 크게 하고, 복수색 공정으로 화상형성했을 때에는 이 직류전압을 작게 한다. 이와 같이 가하는 방전바이어스를 제어함으로써 복사공정이 다른 경우라도 중간전사체를 안정하고도 확실하게 방전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9 및 10의 발명은 중간전사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윤활제 도포수단을 구비하는 윤활제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도포수단이 상기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윤활제도포장치에 있어서는 윤활제도포수단을 이용하여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킬 수 있으므로 별개로 방전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이용하여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킬 수 있다. 또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생산설비를 응용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10 기재의 윤활제도포수단은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인 것으로 방전특성, 내구성 등에 뛰어나 실익이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11,12의 발명은 청구항9 또는 청구항10의 윤활제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에 직류 혹은 교류의 바이어스, 또는 직류 및 교류의 바이어스를 가하여 상기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윤활제도포장치에 있어서는 방전바이어스를 가함으로써 효과적인 방전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화상형성속도의 제고를 꾀하기 위해 중간전사체의 표면이동속도를 고속화한 경우라도 이 중간전사체를 안정하게 방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13의 발명은 토너상을 담지하는 화상담지체와 중간전사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1차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1차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1차전사하고, 상기 1차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와 전사재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2차전사영역에서 상기 전사재위에 2차전사시키는 화상형성장치로,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방전기능을 완수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방전기능을 완수하는 수단은 제9,10,11또는12항 기재의 윤활제도포장치에 있어서의 윤활제도포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통상 중간전사체로의 윤활제 도포는 2차전사종료후 다음의 1차전사개시전에 행해지며 또 중간전사체의 방전도 2차전사종료후 다음의 1차전사개시전에 행해진다. 즉 양자는 동 시기에 행해지므로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윤활제 도포수단을 방전수단으로서 기능시킴으로써 2차전사종료후 다음의 1차전사개시전에 행해지는 2개의 공정을 한꺼번에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화상형성속도를 제고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되며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기능하는 수단중에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을 방전수단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장 합당하다.
또 청구항14의 발명은 청구항13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전사체와의 접촉부로부터 이 윤활제도포수단의 접지부까지 사이의 저항치가 108Ω이하로 되도록 이 윤활제도포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에 있어 중간전사체와 접촉하는 접촉부로부터 이 윤활제도포수단의 접지부까지 사이의 저항치가 108Ω이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전사체에 보유된 2차전사전하가 이 윤활제도포수단내를 통과하여 접지부까지 이동가능하게 되어 효율 높게 방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방전의 확실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저항치를 107Ω이하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청구항15,16의 발명은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인 청구항13, 또는 14 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도포브러시롤러는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상대속도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윤활제 도포브러시롤러가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상대속도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대속도가 0인 경우에 비하여 상기 중간전사체표면에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의 브러시부가 많이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이 브러시부의 접촉대수가 중간전사체표면의 단위면적당에 대해 증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방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17, 청구항18의 발명은 청구항15,16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가 회전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를 회전구동시킴과 동시에 청구항19,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상대속도를 가지도록 했다.
이 결과, 상기 중간전사체표면에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의 브러시부가 교체하면서 접촉하여 이물부착에 의한 방전특성의 저하나 브러시부의 털이 쓰러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가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종동방향으로 회전구동할 때에 이 중간전사체와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가 접촉하는 방전영역에 있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의 선속도가 상기 중간전사체의 선속도보다 빨라지도록 구성하면 방전특성의 저하나 브러시부의 털이 쓰러지는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청구항21의 발명은 토너상을 담지하는 화상담지체를 방전시키는 방전수단과 이 화상담지체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로, 상기 방전수단으로서 윤활제도포수단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이 상기 클리닝수단에 의해 클리닝된 중간전사체의 표면부위에 접촉하여 그것을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클리닝수단에 의해 클리닝된 중간전사체의 표면부위에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을 접촉시켜 이 중간전사체에 윤활제를 도포함과 동시에 그것을 방전시키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에 2차전사토너 등 이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윤활제에 의한 윤활특성 및 방전특성의 저하를 억제하고, 또 시간경과적으로 본 경우, 이 윤활제도포수단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 청구항22의 발명은 상기 중간전사체위의 2차전사잔류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청구항21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리시키는 윤활제도포수단접리기구와, 상기 클리닝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에접리시키는 클리닝수단접리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리시키는 윤활제도포수단접리기구와, 상기 클리닝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리시키는 클리닝수단접리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이므로 이 윤활제도포수단과 클리닝수단을 각각 별개로 접리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이 상기 클리닝수단에 의해 클리닝된 중간전사체의 표면부위에 접촉하여 이 중간전사체에 윤활제를 도포하며 또한 이것을 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청구항23의 발명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윤활제도포수단 접리기구가 클리닝수단접리기구로서도 기능하도록 구성하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장치내부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청구항24,25의 발명은 청구항22,23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이 상기 중간전사체의 끝 클리닝부위에 접촉하는 영역이 이 윤활제도포수단과 상기 클리닝수단을 이 중간전사체에 동시에 접촉시킬 때보다도 적어지도록, 혹은 상기 영역이 없어지도록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접리기구 및 클리닝수단접리기구를 제어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예컨대 윤활제도포수단과 클리닝수단을 동시에 중간전사체에 접촉시켰을 경우, 이들 수단사이의 중간전사체표면에는 클리닝되지 않은 끝 클리닝부위가 존재하므로 이 끝 클리닝부위에 윤활제도포수단이 접촉하여 윤활제를 도포하고 또한 방전시키게 된다. 그래서 본 청구항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이 상기 중간전사체의 끝 클리닝부위에 접촉하는 영역이 이 윤활제도포수단과 상기클리닝수단을 이 중간전사체에 동시에 접촉시킬 때보다도 적어지도록, 혹은 상기 영역이 없어지도록 상기 윤활제도포수단 접리기구 및 클리닝수단 접리기구를 제어함으로써 적어도 이 윤활제도포수단과 클리닝수단이 동시에 접촉하기 보다도 이 윤활제도포수단이 끝 클리닝부위와 접촉하는 영역을 적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이들 수단을 동시에 접촉시킬 경우보다도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에 부착하는 이물의 부착량을 저감시킬 수 있어 윤활제의 윤활특성 및 방전특성의 저하를 억제하고 또 이 윤활제도포수단의 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또 청구항26,27의 발명은 청구항13 내지 청구항20기재의 어느 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1차 전사영역의 상류 또한 상기 2차전사영역의 하류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이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1차 전사영역의 상류 또한 상기 2차전사영역의 하류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 중간전사체에 있어서의 2차전사가 완료한 부위에 윤활제를 도포하고 동시에 방전을 행한 후 그 부위를 신속히 다음의 1차전사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을 1차전사영역의 하류 또한 2차전사영역의 상류에 설치한 경우, 상기 중간전사체에 있어 2차전사가 완료한 부위는 한번 1차전사영역을 통과한 후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에 의해 윤활제도포 및 방전이 행해지며 재차 1차전사영역으로 이동하여 1차전사가 행해진다. 이 경우, 상기 중간전사체는 2차전사후 1 주기 이상 이동하게 된다. 이것에 대해 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2차전사후 윤활제를 도포하면서 동시에 방전을 행하여 신속히 다음의 1차전사공정을 행할 수 있으므로 화상형성속도의 제고를 꾀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28 내지 청구항31의 발명은 청구항13 내지 청구항27기재의 어느 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1차 전사영역의 상류 또한 상기 클리닝부재의 하류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중간전사체의 표면이동방향에 있어서의 1차전사영역의 상류 또한 상기 클리닝부재의 하류에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중간전사체를 클리닝한 표면에 이 윤활제도포수단을 접촉시켜 윤활제의 도포 및 방전을 행할 수 있고, 게다가 이들 중간전사체로의 윤활제 도포 및 방전을 클리닝한 후부터 다음의 1차전사영역으로 이르기 전에 행할 수 있다. 따라서 2차전사후에 상기 중간전사체를 1주기도 이동시키지 않고서 다음의 1차전사공정에 제공할 수 있어 화상형성속도의 제고를 꾀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32의 발명은 중간전사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전사재위에 전사한 후 이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키는 방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윤활제도포수단을 이용하여 이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것은 윤활제도포수단을 이용하여 중간전사체를 방전할 수 있기 때문에 별개로 방전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기존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실시할 수 있는 방전방법이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33의 발명은 중간전사체와 화상담지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1차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1차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1차전사하고, 이 1차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와 전사재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2차전사영역에서 상기 전사재위에 2차전사시키며, 방전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그것을 방전시키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수단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는 부분과, 이 부분으로부터 가장 가깝게 이 중간전사체에 접촉한 부재의 접지부와의 사이의 저항치를 108Ω이하로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는 체적저항율이 1012Ωcm 이하인 중간전사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방전수단을 구성하는 방전부재가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는 부분과, 이 부분으로부터 가장 가깝게 이 중간전사체에 접촉하며 또한 전위가 0V인 접지부와의 사이의 저항치를 107Ω이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전사체에 보유된 잔류전하가 상기 수단으로 유출할 수 있어 확실하고도 효율 높게 방전을 행할 수 있다. 이 접지부는 통상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한 수단을 본체 케이싱에 접속함으로써 형성된다.
또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방전수단에 방전바이어스를 가하지 않고도 상기 중간전사체를 안정하게 방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화상형성장치는 방전바이어스를 가하기 위한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코스트 절감을 꾀할 수 있다.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34의 발명은 중간전사체와 화상담지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1차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1차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1차전사하고, 이 1차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와 전사재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2차전사영역에서 상기 전사재위에 2차전사하며, 방전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그것을 방전시키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수단에 직류 혹은 교류의 바이어스, 또는 직류 및 교류의 바이어스를 가하고 이 방전수단과 상기 중간전사체가 접촉하는 부분의 뒷면에 접촉하도록 접지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중간전사체로서 체적저항율이 1011∼1014Ωcm, 특히 1013∼1014Ωcm의 것을 사용한 경우, 1차전사후의 전사티끌을 억제할 수 있어 화상품질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2차전사후에 있어서의 중간전사체에 잔류전위가 존재하므로 방전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중간전사체 자체가 고저항이기 때문에 이 방전수단이 접촉식, 비접촉식을 불문하고 높은 방전바이어스를 필요로 한다. 또 상기 방전부재에 방전바이어스를 가하여 전계를 형성한 경우, 이 전계는 중간전사체내로 발산하기 때문에 방전후에 있어서의 중간전사체 전위가 불안정하게 된다.
이상의 문제에 감안하여 본 청구항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방전바이어스가 가해진 방전수단과 중간전사체가 접촉하는 부분의 뒷면에 접촉하도록 접지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방전수단에 의한 전계가 중간전사체내로 발산하지 않고 이 방전수단과 접지부재 사이로 집중하므로 체적저항율이 1011∼1014Ωcm의 중간전사체를 사용한 경우라도 종래보다 낮은 방전바이어스로 효율 높게 방전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전계방향이 거의 일정하게 되므로 방전후의 중간전사체 전위가 안정하다.
특히 청구항35의 발명은 청구항34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재가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는 부분과 상기 방전수단의 접지부 사이의 저항치를 108Ω이하로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접지부재가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는 부분과 상기 방전수단 사이의 저항치를 108Ω이하, 바람직하기는 107Ω이하로 되도록 구성했으므로 중간전사체에 보유된 잔류전하가 이 중간전사체내를 이동가능하게 되어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의 전하도 상기 방전수단으로 흘러 들어 효율 높게 방전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36,37의 발명은 상기 중간전사체가 복수개의 지지수단에 팽팽하게 씌워지는 엔드레스벨트로 되는 중간전사벨트인 청구항34,35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재를 중간전사벨트를 지지하는 지지롤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중간전사체로서 중간전사벨트를 사용하고 상기 접지부재로서 이 중간전사벨트가 팽팽하게 씌워지는 지지롤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부재를 이용하여 효율 높게 방전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장치내부의 공간절약을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별개로 접지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코스트 절감을 꾀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38,39의 발명과 같이 상기 중간전사벨트가 팽팽하게 씌워지는 지지롤러로서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수단과 대응하는 클리닝대응롤러를 이용하면 장치설계상 유익하다. 또 청구항40의 발명과 같이 청구항36내지 청구항39의 어느 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가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로서도 기능하도록 구성하면 장치설계상 유익하다.
청구항41,42의 발명은 청구항36내지 청구항40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전사벨트와의 접촉부로부터 이 지지롤러의 접지부까지 사이의 저항치가 108Ω이하로 되도록 이 지지롤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롤러와 상기 중간전사벨트가 접촉하는 부분과 이 지지롤러의 접지부 사이의 저항치를 108Ω이하, 바람직하기는 107Ω이하로 되도록 구성했으므로 중간전사체에 보유된 2차전사전하가 이 지지롤러내에 이동가능하게 되어 효율높게 방전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43의 발명은 중간전사체와 화상담지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1차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1차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1차전사하고, 이 1차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와 전사재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2차전사영역에서 상기 전사재위에 2차전사하며, 방전수단을 이용하여 이 중간전사체에접촉하여 그것을 방전시키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수단이 도전성섬유를 롤(Roll)모양으로 형성하여 된 방전브러시롤러이며, 이 방전브러시롤러를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그것을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키는 방전수단을 도전성섬유를 롤 모양으로 형성하여 된 방전브러시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접촉식 방전수단으로서 방전특성, 내구성 등에 뛰어난 방전브러시롤러를 사용하는 것은 아주 유익하다. 특히 청구항44의 발명과 같이, 상기 방전브러시롤러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전사벨트와의 접촉부로부터 이 방전브러시롤러의 접지부까지 사이의 저항치가 108Ω이하, 바람직하기는 107Ω이하로 되도록 이 방전브러시롤러를 구성하면 중간전사체에 보유된 2차전사전하가 이 방전브러시롤러내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효율높게 방전을 행할 수 있다.
또 청구항45,46의 발명은 청구항43,44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브러시롤러가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상대속도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방전브러시롤러가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상대속도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대속도가 0인 경우에 비하여 상기 중간전사체 표면에 방전브러시롤러의 브러시부가 많이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이 브러시롤러부의 중간전사체 표면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접촉대수가 증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방전을 행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47,48의 발명과 같이 상기 방전브러시롤러가 회전구동하도록 구성하여 이 방전브러시롤러를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상대속도를 가지도록 구성하면 상기 중간전사체표면에 방전브러시롤러의 브러시부가 교체하면서 접촉하므로 시간경과적으로 보았을 때 이물부착에 의한 방전특성의 저하나 브러시부의 털이 쓰러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청구항49,50의 발명과 같이 상기 방전브러시롤러가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종동방향으로 회전구동할 때에 이 중간전사체와 방전브러시롤러가 접촉하는 방전영역에 있어서의 방전브러시롤러의 선속도가 상기 중간전사체의 선속도보다도 빨라지도록 구성하면 방전특성의 저하나 브러시부의 털이 쓰러지는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51의 발명은 청구항43 내지 청구항50기재의 어느 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브러시롤러의 식모밀도를 2만대/inch2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방전브러시롤러의 식모밀도를 2만대/inch2이상으로 함으로써 중간전사체 표면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브러시부의 접촉대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방전후의 중간전사체에 있어 방전이 고르게 되지 못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청구항52,53의 발명은 청구항43 내지 청구항51기재의 어느 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브러시롤러를 롤 모양으로 형성할 때 도전성섬유 사이의 틈을 2mm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방전브러시롤러를 롤 모양으로 형성할 때 도전성섬유 사이의 틈을 2mm이하로 함으로써 방전브러시롤러의 축방향에 있어 브러시밀도를 거의 균일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방전후의 중간전사체에 있어서의 방전이 고르게 되지 못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54의 발명은 중간전사체와 화상담지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1차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1차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1차전사하고, 이 1차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와 전사재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2차전사영역에서 상기 전사재위에 2차전사하며, 방전수단을 이용하여 이 중간전사재에 접촉하여 그것을 방전시키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수단이 상기 클리닝수단에 의해 클리닝된 중간전사체의 표면부위에 접촉하여 그것을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중간전사체위의 2차전사잔류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고 방전수단이 이 클리닝수단에 의해 클리닝된 중간전사체표면에 접촉하여 이것을 방전시키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방전수단에 2차전사토너 등 이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방전수단의 방전특성의 저하를 억제하고, 또 이 방전수단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 청구항55의 발명은 중간전사체와 화상담지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1차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1차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1차전사하고, 이 1차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와 전사재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2차전사영역에서 상기 전사재위에 2차전사하는 화상형성장치로,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그것을 방전시키는 방전수단과 이 중간전사체위의 2차전사잔류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리시키는 방전부재접리기구와 상기 클리닝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리시키는 클리닝부재접리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방전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리시키는 방전수단 접리기구와, 상기 클리닝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리시키는 클리닝수단 접리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이므로 이 방전수단과 클리닝수단을 각각 별개로 접리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상기 방전수단이 상기 클리닝수단에 의해 클리닝된 중간전사체의 표면부위에 접촉하여 이것을 방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56의 발명과 같이 상기 방전수단접리기구가 클리닝수단접리기구로서도 기능하도록 구성하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장치내부의 공간절약을 꾀할 수 있다.
또 청구항57,58의 발명은 청구항55또는 청구항56에 있어서, 상기 방전수단이 상기 중간전사체의 끝 클리닝부위에 접촉하는 영역이 이 방전수단과 상기 클리닝수단을 이 중간전사체에 동시에 접촉시킬 때보다도 적어지도록, 혹은 상기 영역이 없어지도록 상기 방전수단접리기구 및 클리닝수단접리기구를 제어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방전수단과 클리닝수단을 동시에 중간전사체에 접촉시킬 때 중간전사체의 표면에 있어서는 이들 수단간에 클리닝되지 않은 끝 클리닝부위가 존재하고 이 클리닝부위가 방전수단에 의해 방전되게 된다. 그래서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방전수단이 상기 중간전사체의 끝 클리닝부위에 접촉하는 영역이 이 방전수단과 상기 클리닝수단을 이 중간전사체에 동시에 접촉시킬 때보다도 적어지도록, 혹은 상기 영역이 없어지도록 상기 방전수단접리기구 및 클리닝수단접리기구를 제어함으로써 적어도 이 방전수단과 클리닝수단이 동시에 접촉하기 보다도 이 방전수단이 끝 클리닝부위와 접촉하는 영역을 적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이들 수단을 동시에 접촉시키는 경우보다도 방전수단에 부착하는 이물의 부착량을 저감시킬 수 있어 상기 방전수단의 방전특성의 저하를 억제하고, 또 이 방전수단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 청구항59의 발명은 청구항54 내지 청구항58기재의 어느 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수단에 직류 혹은 교류의 바이어스, 또는 직류 및 교류의 바이어스를 가하여 상기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방전수단에 직류 혹은 교류의 바이어스, 또는 직류 및 교류의 바이어스를 가하여 중간전사체의 방전을 행하는 구성이므로 화상형성속도의 제고를 꾀하기 위해 중간전사체의 표면이동속도를 고속화한 경우라도 이 중간전사체를 안정하게 방전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60의 발명은 토너상을 담지하는 화상담지체를 방전시키는 방전수단과, 이 화상담지체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로, 상기 클리닝수단이 상기 방전수단으로서도 기능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화상담지체와의 접촉부로부터 이 클리닝수단의 접지부까지 사이의 저항치가 108Ω 이하로 되도록 이 클리닝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클리닝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화상담지체와의 접촉부로부터 이 클리닝수단의 접지부까지 사이의 저항치가 108Ω이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중간전사체에 보유된 2차전사전하가 이 클리닝수단내를 통하여 접지부까지 이동가능하게 되어 효율 높게 방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방전의 확실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저항치를 107Ω이하로 하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61내지 청구항66의 발명은 토너상을 담지하는 화상담지체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수단에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와 반발하는 극성의 바이어스를 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통상의 전사공정을 거친 화상담지체에 담지되어 이송되어 온 전사잔류토너는 그 양이 적기 때문에 종래의 클리닝부재로서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전사재의 잼이 발생하여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토너상이 그대로 잔존한 경우, 다량의 전사잔류토너를 클리닝부재로 제거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은 특히 풀 컬러 화상형성장치에 있어 현저하다. 이 경우 상기 클리닝부재와 화상담지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클리닝영역에는 이 클리닝부재의 클리닝능력을 초월한 양의 전사잔류토너가 들어 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화상담지체위의 전사잔류토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어 다음의 화상형성공정으로 이행하여 악영향을 미치는 우려가 있다.
그래서 청구항61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화상담지체위의 전사잔류토너가 상기 클리닝수단에 접촉하기 전의 영역에서 이 전사잔류토너를 전기적 또는 자기적으로 제거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클리닝영역으로 새어 드는 전사잔류토너의 양을 감소시켜 클리닝성능의 유지를 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클리닝수단에 접촉하기 전에 전사잔류토너가 상기 클리닝영역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전계나 자계를 형성하여 전사잔류토너의 일부를 상기 클리닝영역으로부터 제거한다. 그리고 남은 전사잔류토너는 종래대로 상기 클리닝수단에 의해 제거한다. 이와 같이 클리닝수단에 의해 제거된 전사잔류토너의 양을 사전에 감소시킨 후 클리닝을 행함으로써 다량의 전사잔류토너를 클리닝하는 경우라도 이 전사잔류토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62의 발명은 청구항61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수단에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와 반발하는 극성의 바이어스를 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클리닝수단에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와 반발하는 극성의 바이어스를 가함으로써 상기 클리닝영역으로 새어드는 전사잔류토너의 양을 감소시켜 클리닝성능의 유지를 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클리닝수단에 접촉하기 전에 이 클리닝수단에 가해진 전사잔류토너와 반발하는 극성의 바이어스에 의해 전사잔류토너의 일부를 상기 클리닝영역으로부터 튀어 나게 한다. 이런 구성이면 별개로 전계형성수단 또는 자계형성수단을 설치할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코스트의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또 청구항63,64의 발명은 청구항61 또는 청구항62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수단이 접촉하는 상기 화상담지체의 뒷면에 이 뒷면에 접촉하도록 클리닝대응수단을 설치하며 이 클리닝대응수단에 바이어스를 가하여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를 그 화상담지체로부터 이탈시키는 전계를 이 화상담지체위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클리닝대응수단에 바이어스를 가하여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를 그 화상담지체로부터 이탈시키는 전계를 이 화상담지체위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클리닝수단에 접촉하는 전사잔류토너의 양을 감소시켜 클리닝성능의 유지를 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클리닝수단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클리닝대응수단에 의해 형성된 전계에 의해 전사잔류토너의 일부를 클리닝영역으로부터 튀어 나게 한다. 그리고 남은 일부는 종래대로 상기 클리닝수단에 의해 제거한다. 이와 같이 클리닝수단에 의해 제거되는 전사잔류토너의 양을 사전에 감소시킨 후 클리닝을 행함으로써 다량의 전사잔류토너를 클리닝하는 경우라도 이 전사잔류토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클리닝수단으로서 청구항62에 기재한 것을 사용하면 클리닝수단에 접촉하기 전의 전사잔류토너의 양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더욱 클리닝특성도 향상한다.
청구항65의 발명은 토너상을 담지하는 화상담지체에 접촉하여 그것을 클리닝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수단에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와 반발하는 극성의 바이어스를 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클리닝장치에 있어서는 클리닝수단에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와 반발하는 극성의 바이어스를 가함으로써 이 클리닝수단에 접촉하는 전사잔류토너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다량의 전사잔류토너를 클리닝하는 경우라도 클리닝성능을 유지할 수 있어 이 전사잔류토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66의 발명은 상기 클리닝수단이 클리닝블레이드인 클리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블레이드에 있어서의 화상담지체표면이동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면에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와 반발하는 극성의 바이어스를 가한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클리닝장치에 있어서는 방전기능을 구비하는 클리닝블레이드에 있어 화상담지체표면이동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면에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와 반발하는 극성의 바이어스를 가하는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방전기능을 구비하는 클리닝블레이드의 클리닝성능의 유지를 꾀할 수 있다.
또 청구항67의 발명은 클리닝 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청구항 65 또는 청구항 66 의 클리닝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방전기능을 구비하는 클리닝 블레이드에 있어서의 화상담지체 표면이동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면에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와 반발하는 극성의 바이어스를 가한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클리닝블레이드에 있어서는 상기 화상담지체블레이드에 접촉하는 전사잔류토너의 양을감소시킨 후 클리닝을 행할 수 있으므로 다량의 전사잔류토너를 클리닝하는 경우라도 클리닝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이 전사잔류토너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방전기능을 구비하는 클리닝블레이드와, 전사잔류토너와 반발하는 극성의 바이어스를 가한 부재에는 통상 역극성의 바이어스가 가해지므로 이들 부재사이를 절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68의 발명은 토너상을 담지하는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전사재위에 전사한 후 클리닝수단을 이용하여 이 화상담지체를 적당히 클리닝하는 클리닝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담지체위의 전사잔류토너가 상기 클리닝수단에 접촉하는 전방의 영역에 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전사잔류토너를 제거하도록 전계 또는 자계를 형성하여 이 클리닝수단에 접촉하기 전에 이 전사잔류토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클리닝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화상담지체위의 전사잔류토너가 상기 클리닝수단에 접촉하는 전방의 영역에 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전사잔류토너를 제거하도록 전계 또는 자계를 형성함으로써 이 클리닝부재에 접촉하기 전에 이 전사잔류토너를 제거하고 남은 전사잔류토너를 상기 클리닝블레이드로 제거한다. 이 방법에 의해 다량의 전사잔류토너를 클리닝하는 경우라도 클리닝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이 전사잔류토너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실시형태1에 따른 복사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실시형태1에 따른 복사기에 있어 감광체드럼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실시형태2에 따른 복사기에 있어 감광체드럼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실시형태 2의 구성예 1에 있어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실시형태 2에 따른 복사기에 있어 중간전사벨트의 체적저항율과 이
중간전사벨트의 2차전사후의 표면전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실시형태 2의 구성예 2에 있어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실시형태 2의 구성예 3에 있어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실시형태 2의 구성예 4에 있어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실시형태 3에 따른 복사기의 프린터부에 있어 주요부의 개략구성도.
도 10은 실시형태 3에 있어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1은 실시형태 4에 따른 복사기의 프린터부에 있어 주요부의 개략구성도.
도 12는 실시형태 5에 따른 복사기 전사유닛의 개략구성도.
도 13은 (a),(b),및 (C)는 실시예1에 있어서 각각 환경을 바꾸어 실험을 행했을 때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4는 실시예 1에 있어 방전바이어스의 방전타이밍을 나타낸 방전타이밍차트.
도 15는 실시형태 6에 따른 복사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실시형태 6에 따른 복사기에 있어 감광체드럼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도 17은 실시형태 6의 변형예에 따른 복사기에 있어 감광체드럼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도 18은 실시형태 7에 따른 복사기에 있어 감광체드럼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도 19는 실시형태 8에 따른 복사기의 프린터부에 있어 주요부의 개략구성도.
도 20은 실시형태 9에 따른 복사기의 프린터부에 있어 주요부의 개략구성도.
도 21은 실시형태 9에 있어 벨트클리닝장치의 클리닝블레이드와 중간전사유닛의 클리닝대응롤러가 대응하는 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22는 실시형태 10에 따른 복사기의 전사유닛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도 23은 실시예에 있어 벨트클리닝장치의 클리닝블레이드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도 24는 실시형태 11에 따른 복사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5는 실시형태 11에 따른 복사기에 있어 감광체 드럼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도 26은 실시형태 11에 따른 복사기에 있어 윤활제 도포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7은 실시형태 11에 따른 복사기에 있어 윤활제 도포브러시롤러의 정면도.
도28은 실시형태 11의 변형예에 따른 복사기에 있어 감광체 드럼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도 29는 실시형태 12에 따른 복사기의 프린터부에 있어 주요부의 개략구성도.
도 30은 실시형태 12에 따른 복사기에 있어 윤활제 도포브러시롤러 및 클리닝블레이드의 접리기구의 개략구성도.
도 31은 (a) 및 (b)는 실시형태12에 따른 복사기에 있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 및 클리닝블레이드의 접리기구의 부분확대도.
도 32는 실시형태 13에 따른 복사기의 프린터부에 있어 주요부의 개략구성도.
도 33은 실시형태 14에 따른 복사기의 전사유닛의 개략구성도.
도 34는 실시형태 15에 따른 복사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5는 실시형태 15에 따른 복사기에 있어 감광체드럼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도 36은 변형예 1의 복사기에 있어 감광체드럼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도 37은 변형예 2의 복사기에 있어 감광체드럼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도 38은 변형예 2의 복사기에 있어 방전브러시에 대응하여 판금을 설치한 경우와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 이 방전브러시에 가하는 방전바이어스와 방전후에 있어 중간전사벨트의 표면전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39는 변형예3의 복사기에 있어 감광체드럼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도 40은 변형예 3의 복사기에 있어서의 방전브러시롤러의 정면도.
도 41은 변형예 3의 복사기에 있어 방전브러시롤러의 식모밀도와 방전후 중간전사벨트표면의 방전이 고르지 못한 것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42는 변형예 3의 복사기에 있어 방전브러시롤러의 도전성섬유시이트 사이의 틈과 방전후 중간전사벨트표면의 방전이 고르지 못한 것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43은 실시형태 16에 따른 복사기의 프린터부에 있어 주요부의 개략구성도.
도 44는 실시형태 17에 따른 복사기의 프린터부에 있어 주요부의 개략구성도.
도 45는 실시형태 18에 따른 복사기의 프린터부에 있어 주요부의 개략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감광체드럼 20,120,220 ..... 중간전사유닛
21,121,221 ..... 중간전사벨트 24,124,224 ..... 구동롤러
24a,124a ..... 구동모터 30,130,330 ..... 전사유닛
134,334 ..... 용지전사벨트 50 ..... 접촉식방전기
51 ..... 방전브러시 151 ..... 방전브러시롤러
251 ..... 방전롤러 59 ..... 방전용 전원
159,259 ..... 가변방전용 전원 60,160 ..... 제어장치
61,61a,61b,61c,161 ..... 제어부 66 ..... 계산부
67 ..... 전위검지센서 68 ..... 온습도검지기
100 ..... 전사지 450 ..... 감광체클리닝장치
460 ..... 벨트클리닝장치 560 ..... 벨트클리닝장치
660 ..... 벨트클리닝장치 760 ..... 벨트클리닝장치
850 ..... 윤활제도포장치 960 ..... 코로나대전기
1065 ..... 윤활제도포 겸 방전브러시롤러
[실시형태1]
이하, 본 발명을 화상형성장치인 풀 컬러 전자사진복사기(이하 복사기라고한다.)에 적용한 일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를 [실시형태1]이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실시형태1에 따른 복사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2는 동 복사기에 있어 화상담지체로서의 감광체드럼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 복사기는 컬러 화상판독장치(1)(이하 주사기부(1)이라고 한다.)와 컬러 화상기록장치(2)(이하 프린터부(2)라고 한다.)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상기 복사기에 있어서의 주사기부(1)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주사기부(1)에 있어서는 콘택트 유리위에 놓인 원고(3)의 화상을 조명램프(4),미러 군(5a, 5b, 5c), 및 렌즈(6)를 개재하여 컬러 센서(7)에 결상(結像)하고 이 원고의 컬러 화상정보를 예컨대 Blue(이하 B로 기록한다), Green(이하 G로 기록한다), Red(이하 R로 기록한다)의 색 분해광별로 판독하여 전기적인 화상신호로 변환시킨다. 상기 컬러 센서는 B,G,R의 색 분해수단과 C C D 와 같은 광전변환소자로 구성되며 3색 동시 판독을 행할 수 있다. 이 주사기부(1)에서 얻은 B, G, R의 각 화상신호는 그 강도레벨에 의거하여 미도시한 화상처리부에서 색 변환 처리가 행해진다. 이 색 변환처리에 의해 Black(이하 Bk로 기록한다), Cyan(이하 C로 기록한다), Magenta(이하 M로 기록한다), Yellow(이하 Y로 기록한다)의 컬러화상 데이터가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주사기부(1)의 조명·미러광학계가 프린터부(2)에 연동(連動)하는 스타트 신호를 받아서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A 방향으로 원고를 주사하여 컬러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조명·미러광학계의 1 회의 원고주사에 대해 1 색의 화상데이터를 얻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Bk, C, M, Y인 4색의 컬러화상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원고주사를 합계 4 회 반복하게 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기 프린터부(2)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프린터부(2)에는 노광수단으로서의 기록광학유닛(8)과, 화상담지체로서의 감광체드럼(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기록광학유닛(8)은 상기한 주사부(1)로부터의 컬러화상 데이터를 빛 신호로 변환시켜 균일하게 음극성으로 대전된 감광체드럼(10)에 원고화상에 대응한 음의 잠상을 형성한다. 이 기록광학유닛(8)으로서는 예컨대 반도체레이저(8a)와, 이것의 발광 및 구동을 제어하는 미도시한 발광구동제어부와, 폴리건 미러(8b)와, 이것을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모터(8c)와, f/θ렌즈(8d)와, 반사미러(8e)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감광체드럼(10)은 도1에 있어서 화살표B 방향 즉 역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한다.
상기 감광체드럼(10)의 주위에는 클리닝수단으로서의 감광체클리닝유닛(11)과, 방전수단으로서의 방전램프(12)와, 대전수단으로서의 대전기(13)와, 전위검지수단으로서의 전위센서(14)와, 현상수단으로서의 Bk현상기(15), C현상기(16), M현상기(17) 및 Y현상기(18)와, 현상농도검지수단으로서의 현상농도패턴 검지기(19)와, 중간전사장치로서의 중간전사유닛(2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광체클리닝유닛(11)은 방전수단으로서의 클리닝전 방전기(11a)와, 클리닝부재로서의 모피브러시(11b) 및 감광체클리닝블레이드(11c)를 구비하여 1 차전사 후의 감광체드럼(10)의 표면을 클리닝한다.
상기 각 현상기는 현상제를 퍼 내고 또한 교반을 행하는 교반수단으로서의 현상패들(Paddle) (15b,16b,17b,18b)과, 이 현상제의 토너농도를 검지하는 토너농도검지수단으로서의 토너농도검지센서(15c,16c,17c,18c)와, 이 현상제로 구성되는 이삭(현상제가 자계를 따라서 이삭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가리킴)을 상기 감광체드럼(10)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현상제담지체로서의 현상슬리부(15a,16a,17a,18a)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또 이들 4 개의 현상기에 수용되어 있는 현상제는 2성분계 현상제를 사용하고 이 현상제중의 토너는 음극성에 대전되어 있다. 이들 4개의 현상기는 복사기가 대기상태에 있을 때 각자의 현상슬리브위 현상제를 이삭 절단하여 불동작상태로 된다.
또 상기 중간전사유닛(20)은 중간전사체로서의 중간전사벨트(21)를 전하부여수단으로서의 1 차 전사바이어스롤러(22)와, 이것에 접속한 전원으로서의 1 차 전사용 전원(28)과, 1 차전사전 방전수단으로서의 접지롤러(23)와, 벨트구동수단으로서의 구동롤러(24)와, 종동롤러(25)에 팽팽하게 씌운 구성을 취한다. 상기 구동롤러(24)는 구동모터(24a)에 접속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구동이 제어되어 있다.
상기 중간전사벨트(21)는 표면층, 중간층 및 바닥층으로 되는 다층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감광체드럼(10)에 접촉하는 외주면측에 표면층이 위치하며 내주면측에 바닥층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 상기 중간층과 바닥층과의 사이에는 양 층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이 개재되어 있다. 이 중간전사벨트(21)는 JIS(일본 공업 규격) K 6911에 기재되어 있는 측정방법에 의해 체적저항율 ρv이107∼1014Ωcm, 바람직하기는 1012∼1014Ωcm, 더욱 바람직하기는 1013Ωcm로 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체적저항율ρv이 1014Ωcm이상의 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내구성(耐久性) 등 면으로부터 볼 때 중간전사벨트로서는 적합하지 않다.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주위에는 방전수단으로서의 접촉식 방전기(50)와, 클리닝수단으로서의 벨트클리닝유닛(29)과, 전사수단으로서의 전사유닛(3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벨트클리닝유닛(29)에는 클리닝부재로서의 브러시롤러(29a) 및 고무블레이드(29b)와, 벨트클리닝용 접리기구(29c)를 구비한다. 이 벨트클리닝용 접리기구(29c)에 의해 상기 벨트클리닝유닛(29)과 상기 중간전사벨트(21)와의 접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전사유닛(30)은 상기 중간전사유닛(20)의 구동롤러(24)에 대응하는 2차전사바이어스롤러(31)와, 전사클리닝블레이드(32)와, 전사용 접리기구(33)를 구비한다. 이 전사용 접리기구(33)에 의해 상기 전사유닛(30)과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접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중간전사벨트(21)가 팽팽하게 씌워지는 1 차 전사바이어스롤러(22)는 이 중간전사벨트와 상기 감광체드럼(10)이 접촉하여 형성되는 닙부로 되는 1 차 전사영역에 대해 이 중간전사벨트의 표면이동방향, 즉 벨트 회전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1차 전사바이어스롤러에는 상기 1 차 전사전원(28)에 의해 소정의 1차 전사바이어스가 가해진다. 또 상기 닙부에 대해 벨트회전방향 상류측에는 접지된 접지롤러(23)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1 차 전사바이어스롤러(22) 및 접지롤러(23)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21)는 상기 감광체드럼(10)에 눌려져 상기 닙부가 형성되어 진다.
또 상기 프린터부(2)에는 더 나아가, 상기 전사유닛(30)의 2 차 전사바이어스롤러(31)와 상기 중간전사유닛(20)의 구동롤러(24)의 사이에 형성되는 2 차 전사영역에 전사재로서의 전사지(100)를 공급하는 급지롤러(41)와,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 롤러(42)와, 각 종 사이즈의 전사지(100)를 수납하는 전사지카세트(43a,43b,43c)와, OHP용지나 두꺼운 종이 등을 사용하기 위한 수동급지트레이(40)와, 용지이송유닛(44)과, 정착수단으로서의 정착기(45)와 카피트레이(46)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현상 순서를 Bk, C, M, Y의 순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복사기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 화상형성의 순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사 동작이 개시되면, 우선 Bk공정이 개시하여 상기 주사기부(1)에 있어서 원고의 컬러화상 정보가 판독되며 이 화상정보로부터 얻은 Bk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프린터부(2)에 있어서의 기록광학유닛(8)의 레이저광에 의해 감광체드럼(10)위에 Bk잠상이 형성된다. 이 Bk잠상은 상기 Bk현상기(15)에 의해 Bk토너가 부착되어 Bk토너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현상된다. 이때 Bk잠상의 현상을 확실히 행하기 위해 상기 Bk현상기(15)의 현상슬리브(15a)를 이 Bk잠상의 선단부분이 상기 Bk현상기의 현상위치로 도달하기전에 미리 회전시켜 둔다. 이것에 의해 Bk잠상의 선단부분이 상기 현상위치로 도달했을 때는 현상제가 이삭 일어선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Bk잠상의 전체를 확실히 현상할 수 있다. 또 상기 Bk현상기(15)에서는Bk잠상의 후단부분이 상기 현상위치를 통과한 시점에서 신속히 현상슬리브(15a)상에 형성된 현상제의 이삭절단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이 Bk현상기(15)는 불동작상태로 된다. 이 때 적어도 다음에 현상되는 C잠상의 선단부분이 Bk현상기(15)의 현상위치로 도달하기 전에 완전히 불동작상태로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현상제의 이삭절단은 상기 현상슬리브(15a)를 현상동작중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전환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Bk현상기(15)에 의해 감광체드럼(10)위에 형성된 Bk토너상은 이 감광체드럼과 등속 구동하는 중간전사벨트(21)의 표면에 1 차 전사되며 이것으로 Bk공정이 끝난다.
상기 Bk토너상의 1 차 전사와 병행(竝行)하여 상기 감광체드럼(10)측에서는 다음의 C공정이 개시된다. 즉 소정의 타이밍으로 재차 원고의 컬러화상 정보를 판독하며 이 화상정보로부터 얻은 C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레이저광에 의해 감광체드럼(10)위에 C잠상을 형성하며 C현상기(16)에 의해 C토너상을 형성한다. 이 C현상기(16)에 있어 현상슬리브(16a)의 회전은 이 C현상기의 현상위치에 상기 Bk 잠상 후단부분이 통과한 후 또한 C잠상의 선단부분이 도달하기 전에 개시된다. 그리고 C 잠상 후단부분이 통과한 시점에서 상기한 Bk현상기(15) 경우와 같이, 현상슬리브(16a)에 형성된 현상제의 이삭절단이 행해져 상기 C현상기(16)는 불동작상태로 된다. 이 때 역시 다음의 M잠상의 선단부분이 도달하기 전에 완전히 불동작상태로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현상되어 감광체드럼(10)위에 형성된 C토너상은 상기 중간전사벨트(21)에 있어 Bk토너상이 전사된 화상면에 위치를 맞추어 1 차 전사된다.
이후, M공정 및 Y공정에 있어서도 상기한 C공정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잠상형성, 현상, 1 차전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간전사벨트(21)위에 있어서의 동일 화상면에 상기 감광체드럼(10)위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Bk, C, M, Y의 각 토너상을 1 차전사하는 것으로 이 중간전사벨트위에는 이들 4색이 겹쳐진 토너상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Bk, C, M, Y의 각 토너상이 각각 1 차전사되는 사이, 예컨대 제1색인 Bk토너상의 1 차전사가 끝난 후 제2색인 C토너상의 1 차전사가 개시될 때까지 사이의 중간전사벨트(21)의 구동방식에는 일정속도 운동방식, 스킵 운동방식, 왕복운동(Quick return)방식 등이 이용된다. 또한 이 예시한 3개의 구동방식중에서 한개를 선택해도 좋지만 복사 속도를 제고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구동방식을 복사 사이즈에 응해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복수개의 구동방식을 효율적으로 조합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시한 구동방식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일정속도 운동방식은 중간전사벨트(21)를 일방향으로 저속으로 운동시키면서 1 차 전사를 행하는 구동방식이다. 또 상기 스킵운동방식은 상기 일정속도 운동방식과 마찬가지로 일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이지만 중간전사벨트위에 1 차 전사한 후에 이 중간전사벨트를 감광체드럼으로부터 이탈시켜 그 운동방향으로 고속 스킵(Skip)하고, 다음의 1 차 전사 스타트위치에 복귀하여 다음의 1 차 전사를 행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구동방식이다.또 상기 왕복운동(Quick return)방식은 상기 스킵운동방식과 달리 중간전사벨트위에 1 차 전사하고 이 중간전사벨트를 감광체드럼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역방향으로 고속 리턴하여 다음의 1 차 전사 스타트위치에 복귀해 다음의 1 차 전사를 행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구동방식이다.
또 상기 중간전사벨트(21)위에 토너상이 형성될 때까지의 사이, 구체적으로 제1색의 BK토너상을 1 차전사한 후부터 제4색의 Y토너상의 1 차전사가 끝날 때까지의 사이는 상기 방전브러시(51), 벨트클리닝유닛(29) 및 전사유닛(30)을 각각의 접리기구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21)로부터 이탈시켜 둔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중간전사벨트(21)위에 1 차 전사된 토너상은 전사지(100)위에 2 차 전사하기 위해 상기 2 차 전사 영역으로 이송된다. 이 때 상기 전사유닛(30)의 2 차 전사바이어스롤러(31)는 통상 상기 토너상이 전사지(100)에 전사되는 타이밍으로 상기 전사용 접리기구(33)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21)에 눌려 진다. 그 후, 이 2 차 전사바이어스롤러(31)에는 미도시한 2 차 전사전원에 의해 소정의 2 차전사바이어스가 가해져 상기 2 차 전사 영역에 2 차 전사전계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21)위의 토너상은 상기 전사지(100)위에 전사된다. 또한 이 전사지(100)는 미도시한 조작패널로 지정된 사이즈의 전사지카세트(43a,43b,43c)로부터 레지스트레이션롤러방향(42)으로 이송되어 상기 2 차 전사영역으로 급지된다. 상기 전사지(100)의 급지시, 이 전사지는 상기 레지스트레이션롤러(42)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21)위 토너상의 선단부가 2 차 전사영역으로 도달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이 2차 전사영역으로 급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상기 중간전사벨트(21)위에 4색이 중첩되어 형성된 토너상이 일괄적으로 전사되어진 전사지(100)는 그 후 용지이송유닛(44)에 의해 정착기(45)로 이송된다. 이 정착기(45)에서는 상기 전사지(100)위의 미정착토너상을 소정 온도로 제어된 정착롤러(45a)와 가압롤러(45b)로 되는 정착롤러쌍의 사이에서 융해하여 이 미정착 토너상의 정착을 행한다. 그리고 이 전사지(100)는 카피 트레이(46)에 송출되어 적재된다.
또한 1 차 전사 후의 감광체드럼(10)은 그 표면이 상기 감광체클리닝유닛(11)에 의해 클리닝되며 상기 방전램프(12)에 의해 균일하게 방전된다. 또 2차전사후의 중간전사벨트(21)는 벨트클리닝유닛(29)이 벨트클리닝용 접리기구(29c)에 의해 이 중간전사벨트에 눌려짐으로써 그 표면이 클리닝된다.
또 반복 복사를 행할 경우, 상기 주사기부(1)에 있어서는 첫 번째 장에 있어 제4색의 Y공정에 잇따라 소정의 타이밍으로 두 번째 장에 있어 제1색의 Bk공정에 들어가며 프린터부(2)에 있어서 감광체드럼(10)으로의 잠상형성을 행한다. 한편 중간전사벨트(21)에 있어서는 첫 번째 장 토너상의 2 차 전사에 잇따라 상기벨트클리닝유닛(29)에 의해 클리닝된 영역으로 두 번째 장에 있어 제1색의 Bk토너상이 1 차 전사된다.
이상은 4색 풀 컬러를 얻는 복사 모드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 이외의 3색 복사 모드나 2색 복사 모드의 경우에는 사용하는 색 등이 다를 뿐 상술한 4색 복사 모드와 마찬가지 동작을 행하게 된다. 또 단색 복사 모드의 경우에는 소정 장수가 끝날 때까지 그 색의 현상기만 현상제를 이삭 일어선 작동상태로 하여 두고, 상기방전브러시(51), 벨트클리닝유닛(29) 및 전사유닛(30)을 중간전사벨트(21)에 접촉시켜둔 상태로, 또한 이 중간전사벨트(21)를 감광체드럼(10)에 접촉시켜둔 상태로 이 중간전사벨트를 일방향 운동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구동시켜 복사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특징부분인 상기 접촉식 방전기(5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접촉식 방전기(50)는 접촉식 방전부재로서의 방전브러시(51)와, 이 방전브러시에 방전바이어스를 가하는 방전용 전원(59)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접촉식 방전기(50)는 상기 벨트클리닝유닛(29)에 대해 벨트회전방향 하류측이며 상기 접지롤러(23)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촉식 방전부재로서는 상기 방전브러시 이외에 예컨대 방전블레이드, 방전롤러, 방전브러시롤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방전브러시(51)는 상기 방전용 전원(59)을 개재하여 접지되어 있다. 이 방전용 전원(59)에 의해 상기 방전브러시(51)에는 직류 혹은 교류의 방전바이어스, 또는 직류 및 교류의 방전바이어스가 가해진다. 이 때 상기 방전용 전원(59)으로서 직류전압을 가하는 직류전원을 이용하면 코스트 저감을 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전압제어된 직류전원을 방전용 전원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잔류전위가 음극성이기 때문에 상기 방전용 전원(59)은 양극성의 방전바이어스를 가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방전브러시(51)에 방전바이어스를 가함으로써 상기 중간전사벨트(21)위에 존재하는 잔류전위를 형성하는 잔류전하가 이 방전브러시로 효율 높게 유입하므로 효과적인 방전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화상형성속도를 제고시키기 위해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표면이동속도를 고속화한 경우에도 이 중간전사벨트를 안정하게 방전할 수 있다.
[실시형태2]
다음에 도3 내지 도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화상형성장치인 풀 컬러전자사진복사기에 적용한 다른 실시형태 (이하, 본 실시형태를 [실시형태2]로 한다) 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3은 실시형태2에 따른 복사기의 프린터부에 있어서의 주요부 개략구성도이다. 이 복사기는 상기 실시형태1과 동일한 구성의 미도시한 주사기부를 구비하고 있고, 프린터부에 있어서의 방전용 전원이 가변식으로, 이것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1과 상이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 복사기의 화상형성동작은 기본적으로는 상기 실시형태1과 같으므로 상기 실시형태1과 같게 구성되어 동작하는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 접촉식 방전기(150)는 상기 실시형태1과 동일한 방전브러시(51)와, 이 방전브러시에 가하는 직류전압을 가변방전용 전원(159)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변방전용 전원(159)은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장치에 접속하여 있고 이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방전브러시(51)에 가하는 직류전압이 제어되어 있다.
[구성예1]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일 구성예(이하 본 구성예를 [구성예1]이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도4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체적저항율ρv에 응하여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을 제어하는 제어장치(60)의 제어부(61)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제어부(61)는 CPU(62)와, ROM(63)와, RAM(64)와, I/O인터페이스(65)를 구비한다. 이 I/O인터페이스(65)에는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과, 상기 중간전사벨트(21)를 구동하는 구동롤러(24)에 연결된 구동모터(24a)와, 이 중간전사벨트의 내주면에 설치된 회전위치검출용 마크를 검출하는 마크센서(24b)와, 당해 복사기의 총 복사 장수를 계산하는 계산부(66)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방전브러시(51)에 직류전압을 가하는 가변방전용 전원(159)의 ON/OFF타이밍은 상기 마크센서(24b)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체적저항율ρv과, 2 차전사후의 표면전위와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5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체적저항율ρv과 상기 중간전사벨트의 2 차전사후 표면전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 표 1은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2 차전사후의 표면전위와 다음의 화상을 형성했을 때의 화상평가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 표 1에 있어서의 화상평가는 그 다음의 화상형성을 행하였을 때에 형성된 화상이 전회와 동등한 화상품질이 형성되었을 경우, 평가를 ○로 하고 전회의 화상품질보다도 악화된 경우, 평가를 △ 또는 ×로 하고 있다.
표면전위(V) 0 -100 -200 -300 -400 -500
화상 X X X
도 5에 의하면 체적저항율 ρv이 1011Ωcm이상일 경우, 2 차전사후에 중간전사벨트표면에 잔류하는 잔류전하에 의한 잔류전위가 -100V이하로 되어 있다. 그리고 표1에 의하면 잔류전위가 -100V이하일 경우에 다음의 화상형성시 화상평가가 ○로 되지 못한다. 그 결과 체적저항율 ρv이 1011Ωcm이상일 경우에는 중간전사벨트표면의 잔류전위가 다음의 1 차전사시에 영향을 주어 당해 복사기에 의해 형성된 화상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화상형성한 후에 다음의 화상형성시 화상품질이 전회보다도 악화되는 것은 다음의 화상형성시 1 차전사바이어스가 상기 잔류전위에 의해 부족되는 것에 원인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중간전사벨트(21)에 대해 방전수단을 설치하면 효과적이다. 또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체적저항율 ρv을 1013∼1014Ωcm 또는 그 이상의 값으로 설정하면 1 차전사후의 전사티끌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다.
또 도5에 의하면 체적저항율 ρv이 커짐에 따라 중간전사벨트(21)위의 잔류전위가 높아진다. 또 다음의 화상형성공정에 있어 호적하게 1차전사를 행하기 위해서는 중간전사체가 방전부족 및 방전과다로 되지 않도록, 즉 표면전위가 -100V이하로 되지 않도록 방전바이어스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하는 중간전사벨트(21)의 체적저항율 ρv에 응하여 최적한 방전바이어스를 얻기 위해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의 직류전압을 설정한다.
또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체적저항율 ρv은 복사기의 설계단계에서 결정되지만 이 중간전사벨트는 통상 반복하여 사용됨에 따라 열화(劣化)된다. 이것에의해 그 체적저항율 ρv은 저하하여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에 의해 가해진 직류전압을 초기설정시 그대로 일정하게 하여 두면 방전바이어스의 최적치와 차이가 생기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장치(60)는 이 시간경과적인 체적저항율 ρv의 저하에 따라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의 직류전압을 전환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계산부(66)에서 계산된 총 복사 장수가 소정값으로 도달했을 때에 상기 제어장치(60)의 제어부(61)에 의해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의 직류전압을 크게 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이 결과, 중간전사벨트(21)의 열화에 따르는 체적저항율 ρv의 저하에 의해 초래되는 방전바이어스의 최적치와의 차이를 수정할 수 있어 장기간에 걸쳐 안정하고도 정확한 방전을 행할 수 있다.
[구성예2]
다음에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다른 구성예(이하, 본 구성예를 [구성예2]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도6은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표면전위에 응하여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의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는 제어장치(60a)의 제어부(61b)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구성예의 제어장치(60a)의 구성은 상기 구성예1과 같지만 제어부(61a)의 I/O인터페이스(65a)에는 상기 구성예1에 있어서의 계산부(66) 대신에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표면전위를 검지하는 전위검지수단으로서의 전위검지센서(67)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전위검지센서(67)는 상기 방전브러시(51)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해 벨트회전방향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에 의해 가하는 직류전압의 최적치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표면전위, 즉 2 차전사후에 있어 이 중간전사벨트의 표면전위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방전을 행하는 데는 그 표면전위에 응하여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예에 있어서는 상기 전위검지센서(67)에 의해 방전전의 중간전사벨트(21)의 표면전위를 검지하고 검지한 표면전위데이터를 상기 제어부(61a)의 CPU(62a)에 보냄으로써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을 제어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전위검지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표면전위에 응한 방전바이어스제어를 행할 경우, 정확한 방전바이어스를 가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장치의 구성이 복잡화되고 코스트도 증대한다. 그래서, 상기 감광체드럼(10)위에 형성되는 단일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벨트(21)위에 전사한 후에 상기 전사지(100)에 전사하는 단일색 모드와, 상기 감광체드럼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토너상을 순차적으로 상기 중간전사벨트에 중첩하여 전사한 후에 이 전사지에 전사하는 복수색모드를 구비한 복사기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일색모드인가 상기 복수색모드인가에 응하여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의 직류전압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복사기의 복사모드로서 예컨대 1색만의 현상제를 이용하여 복사를 행하는 단일색모드(이하 1C모드라고 한다)와, 4색의 현상제를 이용하여 복사를 행하는 복수색모드(이하 4C모드라고 한다)가 있을 때 상기 제어부(61a)에 의해 이들 복사모드에 대응한 방전바이어스를 가하도록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을제어한다.
또 상기 감광체드럼(10)위에 형성된 복수의 토너상을 순차적으로 상기 중간전사벨트(21)에 중첩하여 전사한 후에 상기 전사지(100)에 전사하는 복수색 모드를 상기 토너상의 중첩 횟수에 응하여 복수 구비한 복사기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이 토너상의 중첩 횟수 및 그 중간전사벨트(21)로의 토너상의 중첩 횟수에 응하여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의 직류전압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복사기의 복사모드로서 예컨대 상기 1C모드 및 4C모드에 가하여, 2색의 현상제를 이용하여 복사를 행하는 복수색모드( 이하, 2C모드라고 한다)가 있을 경우, 상기 제어부(61a)에 의해 이들 복사모드에 대응한 방전바이어스를 가하도록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을 제어한다.
[구성예3]
다음에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또 다른 구성예(이하 본 구성예를 [구성예3])이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도7은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환경조건에 응하여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의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는 제어장치(60b)의 제어부(61b)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구성예의 제어장치(60b)의 구성은 상기 구성예1과 같지만 제어부(61b)의 I/O인터페이스(65b)에는 상기 구성예1에 있어서의 계산부(66) 대신에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환경조건을 검지하는 환경조건검지수단으로서의 온도습도검지수단인 온습도검지기(68)가 접속되어 있다. 본 구성예에서는 환경조건검지수단으로서의 온습도검지기(68)를 이용하고 있지만 온도와 습도를 따로따로 검지하는 검지기를 별개로 구비해도 좋다. 또 환경조건검지수단으로서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체적저항율ρv이나 이 중간전사벨트와 상기 방전브러시(51)와의 접촉저항 등에 영향 주는 온도나 습도 이외의 환경조건을 검지하는 환경조건검지수단을 설치해도 좋다.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에 의해 가하는 직류전압의 최적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전사벨트(21)의 체적저항율 ρv에 의해 변화한다. 그리고 체적저항율 ρv은 환경조건 특히 온도 및 습도에 따라 변화한다. 또 본 구성예에서는 접촉식 방전부재인 방전브러시(51)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방전브러시와 상기 중간전사벨트(21)표면과의 접촉저항도 상기 직류전압의 최적치를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된다. 이 접촉저항도 또 환경조건, 특히 온도 및 습도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방전을 행하는 데는 이와 같은 상기 직류전압의 최적치를 변화시키는 환경조건에 응하여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구성예에 있어서는 상기 온습도검지기(68)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21) 주변의 온도 및 습도를 검지하고 검지한 온도 및 습도데이터를 상기 제어부(61b)의 CPU(62b)에 보냄으로써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을 제어하고 있다.
[구성예4]
다음에 상기 가변용 전원(159)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또 다른 구성예(이하, 본 구성예를 [구성예4]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도8은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표면이동속도에 응하여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의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는 제어장치(60c)의 제어부(61c) 구성을 나타낸블록도이다. 본 구성예의 제어장치(60c)의 구성은 상기 구성예1과 같지만 제어부(61c)의 CPU(62c)에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구동롤러(24)를 구동하는 구동모터(24a)의 회전속도를 보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에 의해 가하는 직류전압의 최적치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표면이동속도에 따라 변화한다. 이것은 이 표면이동속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중간전사벨트(21)에 대한 상기 방전브러시(51)의 접촉시간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직류전압이 일정한 경우,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표면이동속도가 증가한 경우에는 방전부족이 발생하고 또 이 표면이동속도가 감소한 경우에는 방전과다가 발생한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방전을 행하는 데는 이와 같은 상기 직류전압의 최적치를 변화시키는 중간전사벨트(21)의 표면이동속도에 응하여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을 제어하는 것이 유익하다.
그래서 본 구성예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모터(24a)의 회전속도데이터를 상기 제어부(61c)의 CPU(62c)에 보냄으로써 이 구동모터의 회전속도에 대응한 중간전사벨트(21)의 표면이동속도를 계산하여 이 표면이동속도에 대해 최적한 방전바이어스를 상기 방전브러시(51)에 가하도록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장치는 상기한 각 구성예를 적당히 조합하여 이용하면 보다 정확히 중간전사벨트(21)를 방전할 수 있으므로 유익하다.
[실시형태3]
다음 본 발명을 화상형성장치인 풀 컬러 전자사진복사기에 적용한 또 다른 실시형태 (이하 본 실시형태를 [실시형태3]이라고 한다) 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9는 실시형태3에 따른 복사기의 프린터부에 있어서의 주요부 개략구성도이다. 이 복사기는 상기 실시형태2와 같은 구성의 미도시한 주사기부를 구비하며 화상형성동작은 기본적으로 도1의 복사기와 같다. 주로 상이한 점은 프린터부의 구조 및 동작에 있다.
이 프린터부에는 화상담지체로서의 감광체드럼(10)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감광체드럼의 주위에 미도시한 노광수단으로서의 기록광학유닛과, 클리닝수단으로서의 감광체클리닝장치(111)와, 대전수단으로서의 대전기(13)와, 현상수단으로서의 회전형 현상유닛(110)과, 중간전사장치로서의 중간전사유닛(12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이 프린터부에는 전사수단으로서의 전사유닛(130)과, 정착수단으로서의 정착유닛(145)과, 상기 실시형태1과 동일한 구성의 미도시한 급지부 및 제어부 등도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광체클리닝장치(111)는 모피브러시(111b)와 감광체클리닝블레이드(111c)를 구비하여 1차전사후의 감광체드럼(10)의 표면을 클리닝한다. 또 상기 정착유닛(145)은 정착롤러쌍(145a)과 미도시한 배출롤러쌍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형 현상유닛(110)은 BK현상기(115)와, C현상기(116)와, M현상기(117)와, Y현상기(118)를 구비하며 이 회전형 현상유닛이 회전함으로써 각 색 현상기에 있어서의 감광체드럼(10)과 대응하는 현상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중간전사유닛(120)은 중간전사체로서의 중간전사벨트(121)를 전하부여수단으로서의 1 차전사바이어스롤러(122)와, 이것에 접속한 전원으로서의 1 차전사용 전원(128)과, 1 차전사전 방전수단으로서의 접지롤러(123)와, 벨트구동수단으로서의 구동롤러(124)와, 텐션롤러(125)와, 2 차전사대응롤러(126)와, 클리닝대응롤러(127)에 팽팽하게 씌우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상기 중간전사벨트(121)가 팽팽하게 씌워지는 전부의 롤러는 도전성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1 차전사바이어스롤러(122) 이외의 각 롤러는 각각 접지되어 있다. 이 1 차 전사바이어스롤러(122)에는 1차전사전원(128)에 의해 정전류 또는 정전압제어된 소정의 1 차전사바이어스가 공급된다.
또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의 주위에는 접촉식 방전부재로서의 방전브러시롤러(151)와, 벨트클리닝블레이드(129)와, 전사유닛(130)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들은 미도시한 접리기구에 의해 각각 상기 중간전사벨트(121)로부터 접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중간전사벨트(121)는 상기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표면층, 중간층 및 바닥층으로 되는 다층구조로 구성되며 이 중간층과 바닥층 사이에는 양 층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이 개재되어 있다. 이 중간전사벨트(121)는 상기 실시형태1과 같은 구성이지만 그 체적저항율ρv이 1012∼1014Ωcm, 바람직하기는1013Ωcm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체적저항율ρv이 1012Ωcm이상의 중간전사벨트를 사용한 경우 1 차전사 후의 전사티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의 표면층 및 중간층을 고저항층으로 하고 바닥층을 체적저항율이 108∼1011Ωcm의 중저항층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의 표면층측에 있어서의 표면저항율은107∼1014Ω cm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전브러시롤러(151)에는 이 방전브러시롤러에 가하는 직류전압을 가하는 가변방전용 전원(159)이 접속되어 있다. 또 이 가변방전용 전원(159)은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장치(160)에 접속되어 있고 이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방전브러시(151)에 가하는 직류전압이 제어되어 있다.
상기 전사유닛(130)은 전사재담지체로서의 용지전사벨트(134)와, 이 용지전사벨트표면을 클리닝하는 전사클리닝블레이드(132)와, 상기 중간전사유닛(120)의 2 차전사대응롤러(126)에 대응하는 2 차전사바이어스롤러(131)와, 이것에 접속된 2 차전사전원(139)과, 급지부측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제1지지롤러(135a)와, 정착유닛(145)측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제2지지롤러(135b)와, 상기 전사클리닝블레이드(132)에 대응하는 제3지지롤러(135c)와, 전사지방전기(136)와, 전사벨트방전기(137)를 구비한다. 상기 용지전사벨트(134)는 P V D F로 되는 체적저항율이 1013Ωcm이상의 고저항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사유닛(130)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기 용지전사벨트(134) 대신에 드럼 등 다른 모양의 부재를 적용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현상의 순서를 BK, C, M, Y의 순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복사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형성사이클을 개시하기 전에 상기 감광체드럼(10)이 도9에 있어서의 화살표C의 방향, 즉 역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하고 상기대전기(113)가 코로나방전(Corona discharge)을 개시한다. 이 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음전하로 상기 감광체드럼(10)을 소정 전위로 똑같이 대전한다. 또 상기 중간전사유닛(120)의 중간전사벨트(121)는 상기 감광체드럼(10)과 등속으로 구동하고, 도9에 있어서의 화살표D의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주사기부에서는 상기 실시형태1과 같이 소정의 타이밍으로 원고의 컬러 화상정보를 판독하고 이 화상정보로부터 얻은 BK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광학유닛에 의한 레이저광으로의 빛기록(예컨대 래스터(Raster)노광)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감광체드럼(10)위에는 BK화상데이터에 대응한 BK잠상이 형성된다. 그 후 감광체드럼(10)위에 형성된 BK잠상은 상기 회전형현상유닛(110)의 BK현상기(115)에 의해 음대전토너로 반전 현상된다. 이것에 의해 감광체드럼(10)위에는 BK토너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감광체드럼(10)위에 형성된 BK토너상은 1 차전사영역에 있어서의 전사전계에 의해 중간전사벨트(121)표면에 1 차 전사된다. 이 전사전계는 상기 1 차전사바이어스롤러(122)에 의해 중간전사벨트(121)에 부여된 전하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상기 1 차전사바이어스롤러(122)에는 상기 1 차전사전원(128)에 의해 예컨대 제1색의 BK토너상에 대해 1.5KV, 제2색의 C토너상에 대해 1.6∼1.8KV, 제3색의 M토너상에 대해 1.8∼2.0KV, 제4색의 Y토너상에 대해 2.0∼2.2KV 의 적절한 크기의 1 차전사바이어스가 가해진다. 또한 현상후에 감광체드럼(10)위에 잔류하는 1 차전사잔류토너는 상기 감광체클리닝장치(111)에 의해 이 감광체드럼위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BK토너상이 1 차전사된 중간전사벨트(121)위의 화상면은 상기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다시 1 차전사영역으로 복귀된다. 이 때 상기 토너상이 흩뜨러지지 않도록 상기 방전브러시롤러(151) 및 벨트클리닝블레이드(129)를 각각 접리기구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121)로부터 이탈시킨다. 더 나아가 상기 전사유닛(130)에 있어서의 제1지지롤러(135a) 및 2 차전사바이어스롤러(131)를 미도시한 전사용접리기구에 따라 이동시키고 이 2 차전사바이어스롤러를 상기 중간전사벨트(121)로부터 이탈시킨다. 이 때 상기 2 차전사바이어스롤러(131) 에 접속한 2 차전사용 전원(139)에 의한 바이어스전압 가함을 정지시킨다.
상기 상태는 중간전사벨트(121)위에 1 차전사된 토너상을 전사지에 2 차전사할 때까지 유지된다.
한편,상기한 BK공정이 끝난 후 상기 감광체드럼(10)측에서는 C공정이 개시되어 소정의 타이밍으로 재차 원고의 컬러 화상정보를 판독하고, 이 화상정보로부터 얻은 C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레이저광에 의해 감광체드럼(10)위에 C잠상을 형성하고, C현상기(116)에 의해 C토너상을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BK잠상 후단부분이 통과한 후 신속히 상기 회전형 현상유닛(110)의 회전동작이 개시된다. 그리고 이 회전동작은 감광체드럼(10)위에 형성된 C잠상의 선단부분이 C현상기(116)의 현상위치로 도달하기 전에 완료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C현상기(116)는 현상위치에 위치가 결정되어 이 현상위치로 이동하여 오는 C잠상을 C토너로 현상한다.
이 후 M공정 및 Y공정에 있어서도 상기한 C공정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잠상형성, 현상, 1 차전사를 행한다. 이와 같이 중간전사벨트(121)위에 있어 동일 화상면에 상기 감광체드럼(10)위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BK, C, M, Y의 각 토너상을 1 차전사함으로써 이 중간전사벨트위에는 이들 4색이 겹쳐진 토너상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중간전사벨트(121)위에 전사된 토너상은 전사지(100)위에 2 차전사하기 위해서 상기 2 차전사영역으로 이송된다. 이 때 상기 전사유닛(130)의 2차 전사바이어스롤러(131)는 미도시한 전사용 접리기구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에 눌려 진다. 그 후 이 2 차전사바이어스롤러(131)에는 소정의 2 차전사바이어스가 가해져 상기 2 차전사영역에 2 차전사전계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위의 토너상은 상기 전사지(100)위에 전사된다. 또 상기 2 차전사영역으로 이송되는 전사지(100)는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위 토너상의 선단부분이 상기 2 차전사영역으로 도달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급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위에 4색이 중첩하여 형성된 토너상이 일괄적으로 전사된 전사지(100)는 그 후 상기 전사유닛(130)에 있어서의 전사지방전기(136)의 대응부로 이송된다. 이 대응부를 통과할 때 상기 전사지(100)는 작동상태에 있는 상기 전사지방전기(136)에 의해 방전되어 용지전사벨트(134)로부터 박리된다. 그리고 박리한 전사지는 정착유닛(145)의 정착롤러쌍(145a)의 롤러 사이를 향해 이송된다. 이 정착롤러쌍(145a)에서는 이들 롤러사이에 형성되는 닙부로 되는 정착영역에서 상기 전사지(100)위의 미정착 토너상을 융해하여 이 미정착토너상의 정착을 행한다. 그리고 이 전사지는 미도시한 카피 트레이에 송출되어 적재된다.
한편, 2차전사후의 중간전사벨트(121)는 벨트클리닝블레이드(129)가 미도시한 접리기구에 의해 이 중간전사벨트(121)에 눌려짐으로써 그 표면에 잔류한 2차전사잔류토너를 제거한다. 또 전사지를 박리한 후의 용지전사벨트(134) 표면에 잔류한 전하는 상기 전사벨트 방전기(137)에 의해 방전된다. 또한 이 용지전사벨트(134) 표면은 나아가 상기 전사클리닝블레이드(132)에 의해 클리닝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특징부분인 제어장치(16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10은 상기 제어장치(160)의 제어부(16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제어부(161)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2와 같다. 이 제어부(161)의 I/O인터페이스(165)에는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과, 상기 중간전사벨트(121)를 구동하는 구동롤러(124)에 연결된 구동모터(124a)와, 이 중간전사벨트의 내주면에 설치된 회전위치검출용 마크를 검출하는 마크센서(124b)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방전브러시롤러(151)에 직류전압을 가하는 가변방전용 전원(159)의 ON/OFF타이밍은 상기 마크센서(124b)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60)는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에 있어서의 표면전위와 표면이동속도, 및 이 중간전사벨트 주변의 온도 및 습도의 조건에 응하여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의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고 있다.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의 표면전위에 대해서는 상기 제어장치(160)의 제어부(161)에 있어서의 CPU(162)에 당해 복사기 복사모드의 데이터를 보냄으로써 상기가변방전용 전원(159)을 제어한다. 또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의 표면이동속도에 대해서는 상기 CPU(162)에 상기 구동롤러(124)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24a)의회전속도 데이터를 보냄으로써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59)을 제어한다. 더 나아가 상기 중간전사벨트(121) 주변의 온도 및 습도의 조건에 대해서는 이 중간전사벨트와 상기 방전브러시롤러(151)의 접촉부 부근에 설치된 온도습도검지수단으로서의 온습도검지기(68)를 상기 제어부(161)의 I/O인터페이스(165)에 접속하고, 이 I/O인터페이스(165)를 개재하여 상기 CPU(162)에 온도데이터 및 습도데이터를 보냄으로써 상기 방전용 전원(159)을 제어한다.
그리고 이들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부(161)의 CPU(162)에 있어서 최적한 방전바이어스를 계산하고 이 계산결과에 따라 상기 방전브러시롤러(151)에 가하는 최적한 직류전압을 가변방전용 전원(159)에 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기도 상기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상기한 4색 풀 컬러 복사 모드뿐만 아니라 다른 복사 모드라도 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4]
다음에 본 발명을 화상형성장치인 풀 컬러 전자사진복사기에 적용한 또 다른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를 [실시형태4]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도11은 실시형태4에 따른 복사기의 프린터부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개략구성도이다. 이 복사기는 주로 저코스트화를 꾀한 것이며 다음에는 상기 실시형태2의 복사기의 구성과 다른 점만 서술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간전사유닛(220)에 있어서의 중간전사벨트(221)의 중간층을 체적저항율이 108∼1011Ω㎝인 중저항층으로 하고 있다. 또 이 중간전사벨트(221)는 전체로 1010∼ 1012Ω㎝의 체적저항율 ρv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중간전사벨트(221)의 표면층측에 있어서의 표면저항율은 107∼ 1014Ωcm 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중저항의 중간전사벨트(221)를 이용함으로써 1차전사 후의 중간전사벨트(221)표면에 발생하는 대전이 고르게 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중간전사유닛(220)에 있어 구동롤러(224)는 2차전사영역의 벨트회전방향 하류측 또한 1차전사영역의 벨트회전방향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동롤러(224)에 대응하도록 벨트클리닝블레이드(129)를 배설함으로써 이 구동롤러를 상기 실시형태3에 있어서의 클리닝대응롤러(127)로서도 겸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사수단으로서 상기 실시형태3에 있어서의 전사유닛 대신에 중간전사유닛(220)의 2차전사대응롤러(126)에 대응하도록 설치된 2차전사바이어스롤러(231)를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급지되는 전사지(100)는 2차전사바이어스롤러(234)와 중간전사벨트(221)의 사이에서 끼워져 정착유닛(145)의 정착롤러쌍(145a) 롤러 사이를 향하여 이송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2차전사공정에 필요한 구성부재수가 감소되어 상기 실시형태3에 비하여 저코스트화를 꾀할 수 있다.
[실시형태5]
다음에 본 발명을 종이나 OHP시이트 등의 전사재를 담지 이송하는 벨트 등의 전사재담지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 적용한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를 [실시형태5]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도12는 실시형태5에 따른 복사기의 전사수단으로서의 전사유닛의 개략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중간전사체가 아니고 전사재담지체에 이용한다.
상기 전사유닛(330)은 종이나 OHP시이트 등의 전사재를 담지하여 이송하는 전사재담지체로서의 용지전사벨트(332)와, 이 용지전사벨트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재로서의 클리닝블레이드(331)와, 미도시한 급지부측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전사전 방전수단으로서의 접지롤러(335a)와, 전하부여수단으로서의 전사바이어스롤러(334)와, 이것에 접속된 전사전원(338)과, 미도시한 정착유닛측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텐션롤러(335b)와, 상기 클리닝블레이드(331)에 대응하는 클리닝대응부재로서의 클리닝대응롤러(335c)와, 전사지방전기(336)와, 접촉식 방전부재로서의 방전롤러(251) 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하는 용지전사벨트(332)는 체적저항율이 108∼ 1011Ω㎝ 의 중저항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사유닛(330)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기 용지전사벨트(332) 대신에 드럼 등의 다른 형상의 부재를 적용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사기는 화상담지체로서의 감광체드럼(10)위에 주지의 전자사진프로세스로 토너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상을 감광체드럼(10)과 상기 용지전사벨트(332)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사닙으로 되는 전사영역에 있어서 이 전사영역으로 급지된 전사재로서의 전사지(100)에 전사한다. 이 경우, 화상담지체로서는 상기 감광체드럼(10)이외에도 중간전사체로서의 중간전사벨트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접지롤러(335a)는 상기 전사영역에 대해 상기 용지전사벨트(332)의 회전방향(이하, 용지전사벨트 회전방향이라고 한다.)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사영역에 대해 용지전사벨트 회전방향 상류측에는 전사바이어스롤러(33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사바이어스롤러(334)에는 전사전원(338)으로부터 소정의 전사바이어스가 가해져 이것에 의해 상기 전사영역에는 전사전계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광체드럼(10)위의 토너상은 상기 용지전사벨트(332)위에 담지되어 이송되는 전사지(100)에 전사된다. 이와 같이 하여 토너상이 전사된 전사지(100)는 그 후 이 전사지를 상기 전사지 방전기(336)에 의해 방전시켜 박리하는 박리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용지전사벨트(332)로부터 박리된다. 그리고 박리한 전사지(100)는 미도시한 정착유닛으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용지전사벨트(332)에 있어서의 전사지(100)가 박리한 부위는 상기 클리닝블레이드(331)에 의해 클리닝된다. 또 이 클리닝블레이드(331)의 용지전사벨트 회전방향 하류측에는 상기 방전롤러(25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용지전사벨트(332)는 이 방전롤러에 의해 방전된다. 이 방전롤러(251)는 상기 방전용 전원(259)을 개재하여 접지되어 있다. 이 방전용 전원(259)에 의해 상기방전롤러(251)에는 직류 혹은 교류의 방전바이어스, 또는 직류 및 교류의 방전바이어스가 가해진다. 이 때 상기 방전용 전원(259)으로서 직류전압을 가하는 직류전압을 이용하면 코스트 저감을 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전압제어된 직류전압을 방전용 전원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방전용 전원을 가변방전용 전원으로 하고,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중간전사벨트의 방전과 마찬가지로 방전바이어스의 최적치를 변화시키는 요인에 응하여 상기 방전롤러에 가하는 직류전압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화상담지체로서 감광체드럼을 예시적으로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이외의 구성을 구비하는 화상담지체, 예컨대 두 개의 롤러사이에 팽팽하게 씌워진 엔드레스(Endless)로 이동하는 감광체벨트 등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에서는 1차전사 또는 2차전사시에 이용하는 전하부여수단으로서 바이어스롤러를 예시적으로 이용했지만 이것 대신에 블레이드, 브러시 등 다른 형상의 부재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마찬가지로, 1차전사전 방전수단, 2차전사전방전수단으로서 접지롤러를 예시적으로 이용했지만 이것 대신에 블레이드, 브러시 등 다른 형상의 부재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 상술한 제1 내지 제4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간전사체로서 중간전사벨트를 예시적으로 이용했지만 본 발명은 이 이외의 구성을 구비하는 중간전사체, 예컨대 중간전사드럼이나 중간전사롤러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중간전사벨트에 있어서의 체적저항율 등의 전기적 특성, 구조, 두께 등은 작상조건 등에따라 적당히 선택하여 채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화상담지체로서의 감광체드럼을 음극성으로 대전시켜 2성분계 현상제를 이용한 반전현상방식을 채용하는 현상수단을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화상담지체의 대전전위가 음극성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1 성분계현상제를 이용한 것이나 정규현상방식을 채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1]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3에 따른 복사기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형태2에 있어 구성예2, 구성예3 및 구성예4를 조합하여 방전바이어스를 제어한 일 실시예(이하, 본 실시예를 [실시예1]이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중간전사체에 잔류한 잔류전위와, 이것을 방전시키는 접촉식 방전부재에 가하는 직류전압의 방전바이어스와의 관계에 대해 행한 실험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실험시에 당해 복사기의 제어장치(160)는 사용하지 않았다.
상기 실험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의 잔류전위에 대한, 이 잔류전위를 유지한 채로 화상형성을 행한 경우의 이상화상에 대해 측정했다. 중간전사벨트를 방전하는 경우, 방전후에 있어서의 이 중간전사벨트의 표면전위가 0V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제로 방전에 의해 그 표면전위를 정확히 0V로 하는 것은 아주 곤난하다.
또 중간전사벨트를 방전하는 경우, 방전부족일 때는 토너와 동극의 전위가이 중간전사벨트에 유지된 채로 다음 1차공정에 들어가므로 전사바이어스부족으로 되어 전사부족 등을 일으켜 이상화상을 형성해 버린다. 한편, 방전과다일 때는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의 표면전위가 토너와 역극성으로 되어 다음 1차전사공정에 들어가므로 1차전사영역전에서 1차 전사해 버리는 프리전사가 발생하며 도트 재현성 등이 악화하여 이상화상을 형성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방전후에 있어서의 중간전사벨트(121)의 표면전위Vb(이하, 방전후전위Vb라고 한다.)와 이상화상과의 관계를 측정하여 표2와 같은 결론을 냈다.
방전후 전위(Vb)
Vb< -300 -300 ≤ Vb≤ 300 Vb300
프리전사에 의한 이상화상의 발생 X
전사부족에 의한 이상화성의 발생 X
즉 이 측정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의 방전후 전위Vb의 절대치가 적어도 300V이하이면 프리전사나 전사부족이 적은 화상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2 차전사공정을 완료하여 방전을 행하기 전의 중간전사벨트(121)의 표면전위Va(이하, 방전전 전위Va라고 한다)와 방전후 전위Vb와의 관계에 대해 상기 방전브러시롤러에 가하는 직류전압을 변화시켜 실험을 행하였다. 도13(a)는 온도23℃, 습도65%의 환경(실험실환경)에서 실험을 행했을 때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13(b)는 온도10℃, 습도15%의 환경(L.L.환경)에서 실험을 행했을 때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도13(c)는 온도27℃, 습도80%의 환경(H.H.환경)에서 실험을 행했을 때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13(a), (b) 및 (c)의 각 도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의 방전전 전위Va가 -100V이하일 경우, 각 플롯(Plot)은 거의 선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실험결과로부터 방전전 전위Va와, 방전후 전위Vb와, 방전브러시롤러(151)에 가하는 직류전압V과의 관계는 거의 하기 [수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Vb = 0.65 Va + (25 + V/2)
여기서 프리전사나 전사부족이 적은 화상을 얻을 수 있는 방전후전위 Vb의 범위조건은 최초에 행한 측정결과에 따라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므로 프리전사나 전사부족이 적은 화상을 얻기 위해 필요한 방전브러시롤러(151)에 가하는 직류전압V은 상기[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00 ≤ Vb ≤ 300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전사벨트(121)를 두께 0.15mm, 폭 368mm, 내주길이 565mm로 형성하고 이 중간전사벨트(121)의 표면이동속도를 200mm/s로 설정했다. 또 이 중간전사벨트(121)의 표면층은 두께 1μm정도의 절연층으로 형성했다. 또 중간층은 폴리 불화 비닐리덴 (Polyvinylidene fluoride)(이하 P V D F라고 한다)으로 두께 75μm정도로 형성하고 그 체적저항율은 온도 25℃, 습도 45%의 환경에서 유화전자제의 저항측정기[하이레스터IP]를 이용하여 전압100V을 10초간 가하여 측정한 결과 9×1012Ω㎝, 마찬가지로 전압 500V를 10초간 가하여 측정한 결과6×1012Ω㎝였다. 또 바닥층은P V D F와 산화티탄으로 형성하고 두께를75μm정도로 하며 그 체적저항율은 동일 환경에서 동일 측정기를 이용하여 전압100V을 10초간 가하여 측정한 결과 7×107Ω㎝였다.
또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의 표면층측의 표면에 있어서의 표면저항율을 유화전자제의 저항측정기[하이레스터IP]로 측정한 결과1013Ωcm였다. 이 표면저항율은 상기 저항측정기를 이용하는 외, JIS K 6911에 기재되어 있는 표면저항측정법으로 측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 차전사바이어스롤러(122)에는 니켈 도금의 금속롤러를 이용하고 상기 접지롤러(123)에는 금속롤러를 이용하였다. 또 이들 이외의 롤러에는 금속롤러 또는 도전성수지롤러를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1 차전사바이어스롤러(122)에 제1색의 BK토너상에 대해 1.5KV, 제2색의 C토너상에 대해 1.7KV, 제3색의 M토너상에 대해 1.9KV, 제4색의 Y토너상에 대해 2.1KV의 직류 1차 전사바이어스를 가했다. 또한 상기 1 차전사영역의 닙 폭은 10mm로 설정했다.
또 상기 전사유닛(130)에 있어서 상기 2차전사바이어스롤러(131)에는 도전성 스폰지 또는 도전성 고무로 되는 표면층과, 금속 또는 도전성수지로 되는 코어층을 구비하는 롤러를 사용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 2 차전사바이어스롤러(131)에10∼50 μΑ에 정전류제어된 전사바이어스를 가했다. 이 정전류값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의 복사모드 및 전사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범위내의 값을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이 정전류의 값을 표3에 예시한다.
2차 전사전류(μA)
보통용지(1C 모드) 25
보통용지(4C 모드) 35
두꺼운 용지(1C 모드) 14
두꺼운 용지(4C 모드) 18
아주 두꺼운 용지(1C 모드) 16
아주 두꺼운 용지(4C 모드) 20
또 상기 용지전사벨트(134)는 P V D F로 되는 체적저항율이 1013Ωcm의 벨트재를 사용하여 두께 100μm로 형성하였다. 상기 전사지 방전기(136) 및 상기 용지전사벨트 방전기(137)에는 미도시한 전원에 의해 AC전압만 가해진 방전기 또는AC+DC전압이 가해진 방전기를 사용하였다. 또 상기 전사클리닝블레이드(132)는 상기 제3지지롤러(135c)에 맞붙는 부분에 있어 용지전사벨트(134)의 표면에 대해 카운터방식으로 맞붙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161)의 I/O인터페이스(165)에 상기 실시형태2의 구성예3에서 설명한 온습도검지기(68)가 접속되어 있다. 이 온습도검지기(68)에 의해 검지된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주변의 온도 및 습도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161)의 CPU(162)에 보내진다. 또 이 CPU(162)에는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의 표면전위, 상세히는 이 중간전사벨트로의 토너상의 중첩 횟수에 응하여 방전바이어스를 제어하기 위해, 당해 복사기가 다음에 복사 동작할 시의 복사모드 정보가 전달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복사모드는 1 C모드, 2 C모드 및4 C모드의 3종류로 했다. 더 나아가 상기 CPU(162)에는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의 표면이동속도에 응하여 방전바이어스를 제어하기 위해, 당해 복사기가 다음에 복사동작할 시의 전사지정보, 구체적으로는 보통용지를 사용할지 또는 두꺼운 종이, 아주 두꺼운 종이, OHP시이트를 사용할지를 판별하는 정보가 전달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통용지를 사용할 때의 속도를 보통속도로 했을 경우, 두꺼운 종이, 아주 두꺼운 종이, OHP시이트를 사용할 때의 속도는 이 보통속도의 절반 속도인 반속도로 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방전용 전원(59)으로서 가변식을 사용하고 상기 실험결과에 따라 상기 방전브러시롤러(151)에 가하는 방전바이어스를 하기의 표4, 표5 및 표6과 같이 설정했다.
온도 23℃ 습도 65%
방전바이어스 V(V)
1C 모드 (보통속도) 0
2C 모드 (보통속도) 0
4C 모드 (보통속도) 50
1C 모드 (반속도) 0
2C 모드 (반속도) 0
4C 모드 (반속도) 50
온도 10℃ 습도 15%
방전바이어스 V(V)
1C 모드 (보통속도) 0
2C 모드 (보통속도) 50
4C 모드 (보통속도) 350
1C 모드 (반속도) 0
2C 모드 (반속도) 50
4C 모드 (반속도) 350
온도 27 습도 80%
방전바이어스 V(V)
1C 모드 (보통속도) 0
2C 모드 (보통속도) 0
4C 모드 (보통속도) 50
1C 모드 (반속도) 0
2C 모드 (반속도) 0
4C 모드 (반속도) 50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A4사이즈의 보통용지를 이용하여 1개의 원고로부터 4장의 복사를 행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위에 2화상분의 화상면을 형성함으로써 화상형성의 고속화를 꾀할 수 있다. 이 화상형성시, 상기 방전브러시롤러(151)에 가해지는 방전바이어스의 방전타이밍은 도14에 나타낸 방전타이밍차트와 같이 제어했다. 이 방전브러시롤러(151)는 상기 벨트클리닝블레이드(129)에 있어 상기 중간전사벨트(121)로의 접리타이밍에 연동하여 이 중간전사벨트에 접리한다.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방전 브러시롤러(151)가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에 맞붙어 이 중간전사벨트의 표면이 24mm 이동한 후에 방전바이어스를 가하고, 그리고 이 방전브러시롤러가 이 중간전사벨트로부터 떨어지기 조금 전에 상기 방전바이어스 가함을 끝내도록 제어했다.
[실시예2]
다음 상기 실시형태4에 따른 복사기를 이용한 일 실시예(이하 본 실시예를 [실시예2]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이하 설명하는 부분외는 상기 실시예1과 같은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중간전사벨트(221)의 중간층은 P V D F와 산화티탄으로 형성하고 그 체적저항율은 온도 25℃, 습도45% 의 환경에서 유화(油化)전자제의 저항측정기「하이레스터IP」를 사용하여 전압 100 V를 10초간 가하여 측정한 결과 5 × 1012Ω cm, 마찬가지로 전압 500 V를 10초간 가하여 측정한 결과 2 × 1011Ω cm였다. 또한 표면층 및 바닥층은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21)의 이동속도를 156mm/s로 설정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1차 전사바이어스롤러(122)에 제1색의 Bk토너상에 대해 1.7kV, 제2색의 C토너상에 대해1.8kV, 제3색의 M토너상에 대해 1.9kV, 제4색의 Y토너상에 대해 2.0kV의 직류 1 차전사바이어스를 가했다.
또 상기 2 차전사바이어스롤러(231)에는 도전성 고무롤러를 사용하여 표4와 같이 정전류제어된 전사바이어스를 가했다.
2차 전사전류(μA)
보통용지(1C 모드) 10
보통용지(4C 모드) 18
두꺼운 용지(1C 모드) 8
두꺼운 용지(4C 모드) 10
아주 두꺼운 용지(1C 모드) 없음
아주 두꺼운 용지(4C 모드) 없음
[실시형태6]
이하, 도15내지 도1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화상형성장치인 풀 컬러 전자사진복사기(이하, 복사기라고 한다)에 적용한 다른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를 [실시형태6]이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도15는 실시형태6에 따른 복사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16은 동 복사기에 있어 화상담지체로서의 감광체드럼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도1, 도2에 도시한 실시형태1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감광체클리닝장치(450)는 케이싱(452)의 내부에 클리닝부재로서의 모피브러시(451)와, 이 모피브러시에 의해 긁혀 떨어진 전사잔류토너를 수용하는 전사잔류토너 수용부(455)와, 이 모피브러시에 부착한 전사잔류토너를 제거하는 플리커(456)를 구비하여 1차전사 후의 감광체드럼(10)의 표면을 클리닝한다.
중간전사벨트(21)의 주위에는 클리닝수단으로서의 벨트클리닝장치(460)와, 전사수단으로서의 전사유닛(30)이 배설되어 있다. 이 벨트클리닝장치(460)에는 케이싱(462)의 내부에 설치된 클리닝부재로서의 클리닝블레이드(461)와 이 클리닝블레이드를 상기 중간전사벨트(21)에 적당히 접리시키는 클리닝부재접리기구로서의 클리닝용 접리기구(46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전사유닛(30)은 상기 중간전사유닛(20)의 구동롤러(24)에 대응하는 2차전사바이어스롤러(34)와, 케이싱(32)의 내부에 설치된 클리닝부재로서의 클리닝블레이드(31)와, 전사용 접리기구(33)를 구비한다. 이 전사용 접리기구(33)에 의해 상기 2차전사바이어스롤러(34)와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접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중간전사벨트(21)위에 토너상이 형성될 때까지의 사이, 구체적으로는 제1색의 BK토너상을1차전사한 후부터 제4색의 Y토너상의 1차전사가 끝날 때까지의 사이는 상기 벨트클리닝장치(460)의 클리닝블레이드(461) 및 전사유닛(30)의 2 차전사바이어스롤러(34)를 각각의 접리기구(463,33)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21)로부터 이탈시켜 둔다.
이상은 4색 풀 컬러를 얻는 복사모드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 이외의3색 복사모드나 2색 복사모드의 경우에는 사용하는 색 등이 다를 뿐 상술한 4색 복사모드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하게 된다. 또 단색 복사모드의 경우에는, 소정 장수가 끝날 때까지 그 색의 현상기만 현상제를 이삭 세워서 작동상태로 하여 두고, 벨트클리닝장치(460) 및 전사유닛(30)을 중간전사벨트(21)에 접촉시킨 상태로, 또한 이 중간전사벨트를 감광체드럼(10)에 접촉시킨 상태로 이 중간전사벨트를 일방향운동방향으로 일정속도로 구동시켜 복사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특징부분인 상기 감광체드럼(10)을 클리닝하는 감광체클리닝장치(450), 상기 중간전사벨트(21)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장치(460) 및 상기 전사유닛(30)의 2 차 전사바이어스롤러(34)를 클리닝하는 클리닝블레이드(31)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감광체클리닝장치(4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본 실시형태의 감광체클리닝장치(450)는 감광체드럼(10)의 클리닝 및 방전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감광체클리닝장치(450)의 클리닝부재로서 시이트 모양의 도전성브러시시이트를 도전성의 롤러에 롤(Roll)모양으로 감아서 형성된 모피브러시(451)를 사용하고 있다. 이 도전성 브러시시이트는 도전성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모피브러시(451)의 금속축을 구성하는 롤러에 접지부(454)를 접속하여 접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 모피브러시(451)는 방전효율의 향상을 꾀하기 위해 상기 감광체드럼(10)에 접촉하는 부분, 즉 브러시 선단부와 상기 접지부(454)와의 사이의 저항치가 108Ω이하, 바람직하기는107Ω 이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리닝부재로서 모피브러시를 사용했지만 이것 이외에도 클리닝블레이드거나 상기 클리닝블레이드와 모피브러시를 병용한 것, 그 외 공지의 클리닝부재를 사용해도 좋다. 또 상기 모피브러시(451)를 형성시에, 상기 도전성브러시시이트 사이의 틈을 될 수 있는 한 작게 하면 상기 모피브러시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브러시 밀도가 균일하게 되므로 클리닝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방전이 고르게 되지 않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감광체클리닝장치(45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감광체드럼(10)위에 형성된 토너상이 상기 중간전사벨트(21)위에 1 차 전사된 후, 이 감광체드럼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는 상기 감광체드럼(10)과 상기 모피브러시(451)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클리닝 영역으로 새어 든다. 그리고 그 전사잔류토너는 상기 모피브러시가 회전구동함에 의해 상기 감광체드럼(10)으로부터 긁혀 떨어진다. 또한 상기 모피브러시(451)는 방전특성의 저하나 브러시부의 모(毛)가 쓰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중간전사벨트(21)에 대해 상대 속도를 가지도록 회전구동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중간전사벨트의 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모피브러시(451)에 의해 긁혀 떨어진 전사잔류토너는상기 케이싱(452)내의 전사잔류토너회수부(455)에 수납된다. 더 나아가 상기 모피브러시(451)에 부착한 전사잔류토너는 이 모피브러시에 맞붙어 있는 플리커(455)에 의해 그 모피브러시로부터 제거된다. 이 제거된 전사잔류토너도 상기 전사잔류토너회수부(455)에 수납된다. 또 이 전사잔류토너회수부(455)의 내부에는 회수롤러(45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수롤러(453)에는 미도시한 전원에 의해 상기 전사잔류토너를 흡착하는 바이어스가 가해져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전사잔류토너회수부(455)에 수납된 전사잔류토너는 회수롤러(453)에 의해 수집되므로 기내 오염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상기 모피브러시(451)는 상기 감광체드럼(10)과 접촉함으로써 클리닝과 동시에 방전도 행한다. 즉 이 모피브러시(451)가 접촉하면 상기 모피브러시가 도전성이며 또한 접지되어 있으므로 음에 대전된 감광체드럼(10)의 표면에 잔류한 잔류전하가 상기 모피브러시에 유입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감광체드럼(10)위의 잔류전하가 제거되어 상기 감광체드럼을 방전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벨트클리닝장치(46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벨트클리닝장치(460)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클리닝 및 방전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벨트클리닝장치(460)에서는 상기 감광체클리닝장치(450)와 달리 클리닝부재로서 도전성 클리닝블레이드(461)를 사용하고 있다. 이 클리닝블레이드(461)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폭 방향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접촉하는 판 모양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클리닝블레이드(461)는 접지부(464)에 접속되어 있고 또 상기 중간전사벨트(21)에 접촉하는 부분 즉 블레이드의 선단부와, 상기 접지부(464)와의 사이의 저항치가108Ω이하, 바람직하기는107Ω 이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리닝부재로서 클리닝블레이드를 사용했지만 상기한 감광체클리닝장치(450)와 마찬가지로 이것 이외의 것을 사용해도 관계없다.
다음 상기 벨트클리닝장치(46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상기 감광체드럼(10)으로부터 1 차 전사된 중간전사벨트(21)위의 토너상이 전사지(100)위에 2 차 전사된 후 이 중간전사벨트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는 이 중간전사벨트와 상기 클리닝블레이드(461)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클리닝영역으로 새어 든다.그리고 이 전사잔류토너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1)에 대해 눌려지는 클리닝블레이드(461)에 의해 이 중간전사벨트위로부터 긁혀 떨어지고 상기 케이싱(62)의 내부에 낙하하여 수용된다.
또 상기 클리닝블레이드(461)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1)와 접촉함으로써 클리닝과 동시에 방전도 행한다. 즉 상기 클리닝블레이드(461)가 접촉하면 박리(剝離)방전에 의해 음으로 대전된 2차 전사 후의 중간전사벨트(21)위의 잔류전하가 이 클리닝블레이드에 유출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21)위의 잔류전하가 제거되어 이 중간전사벨트를 방전시킬 수 있다.
[변형예]
다음 상기 실시형태6의 변형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7은 본 변형예의 복사기에 있어 감광체드럼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변형예는 상기실시형태6과 거의 다름 없지만 상기 감광체클리닝장치(450)의 모피브러시(451), 및 상기 벨트클리닝장치(460)의 클리닝블레이드에 방전바이어스를 가하기 위한 방전용 전원(458, 468 )이 접속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 6과 다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감광체클리닝장치(450)의 모피브러시(451)에 가해지는 바이어스에는 직류 혹은 교류의 바이어스, 또는 직류 및 교류의 바이어스를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전바이어스에 의하여 상기 감광체드럼(10)위에 존재하는 잔류전하의 상기 모피브러시(451)로의 유입이 촉진되어 효율 높게 방전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화상형성속도를 제고시키기 위해 감광체드럼(10)의 표면이동속도를 고속화한 경우라도 상기 감광체드럼을 안정하게 방전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벨트클리닝장치(460)의 클리닝블레이드(461)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방전바이어스를 가할 수 있어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벨트클리닝장치(460)의 클리닝블레이드(461)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사유닛(30)에 있어서의 클리닝블레이드에도 방전바이어스를 가하여 상기 2 차전사바이어스롤러(34)를 방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7]
다음에 본 발명을 풀 컬러전자사진복사기에 적용한 다른 실시형태 (이하, 본 실시형태를 [실시형태7]로 한다) 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8은 실시형태 7에 따른 복사기의 프린터부에 있어서의 주요부 개략구성도이다. 이 복사기는 상기 실시형태6과 동일한 구성의 미도시한 주사기부를 구비하고 있고 프린터부에 있어서의 중간전사벨트를 클리닝하는 벨트클리닝장치가 다른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6과 상이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 복사기의 화상형성동작은 기본적으로는 상기 실시형태6과 같으므로 상기 실시형태6과 같게 구성되어 동작하는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벨트클리닝장치(560)는 케이싱(562)의 내부에 배치된 클리닝부재로서의 모피브러시(561) 및 클리닝블레이드(567)와, 이들 모피브러시 및 클리닝블레이드를 상기 중간전사벨트(21)로 적당하게 접리시키는 클리닝부재 접리기구로서의 클리닝용 접리기구(56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피브러시(561)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클리닝 및 방전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며 상기한 실시형태6에 있어 감광체클리닝장치(450)의 모피브러시(451)와 같은 것이다. 또 상기 클리닝블레이드(567)는 상기 모피브러시(561)의 벨트회전방향 하류측에 설치되며 상기 모피브러시와는 달리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방전을 행하지 않고 클리닝만 행한다.
상기 클리닝블레이드(567)에는 클리닝바이어스를 가하는 클리닝용 전원(569)이 접속되어 있다. 이 클리닝바이어스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1)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와 반발하는 극성이다. 즉 전사잔류토너가 음극성이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클리닝블레이드(567)에는 음극성의 바이어스가 가해진다. 이것에 의해 2 차전사후의 중간전사벨트(21)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의 일부는 상기 클리닝블레이드(567)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클리닝바이어스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클리닝영역으로부터 튀겨나 클리닝 전에 제거된다. 한편, 튀겨나지 못한 나머지 전사잔류토너는 그채로 클리닝영역으로 들어가 상기 클리닝블레이드(567)에 의해 긁혀 떨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클리닝블레이드(567)에 의해 제거되는 전사잔류토너의 양을 사전에 감소시킨 후 클리닝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전사지(100)의 잼이 발생하여 다량의 전사잔류토너를 클리닝하지 않으면 안될 경우라도 전사잔류토너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리닝바이어스의 반발력에 의해 튀겨난 전사잔류토너는 케이싱(562)의 내벽에 받아들여져 상기 케이싱(562)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 상기 클리닝블레이드(567)에 의해 긁혀 떨어진 전사잔류토너도 중력에 의해 상기 케이싱(562)의 내부에 낙하하여 수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리닝부재로서 방전기능을 구비한 모피브러시(561)와 상기 클리닝블레이드(567)를 병용했지만 이 모피브러시 대신에 별개로 방전수단을 설치하거나 방전을 필요로 하지 않을 정도의 체적저항율인 중간전사벨트를 이용하거나 하여 상기 클리닝블레이드(567)만으로 클리닝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기도 상기 실시형태6과 마찬가지로 상기한 4색 풀 컬러 복사모드뿐만 아니라 다른 복사모드라도 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8]
다음에 또 본 발명을 화상형성장치인 풀 컬러 전자사진복사기에 적용한 또다른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를 [실시형태8]이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도19는 실시형태8에 따른 복사기의 프린터부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개략구성도이다. 이 복사기는 상기 실시형태6과 같은 구성의 미도시한 주사기부를 구비하며 화상형성동작은 기본적으로는 도15의 복사기와 같다. 주로 상이한 점은 프린터부의구조 및 동작에 있다. 또한 도19는 도9와 대응하며 도9와 다른 곳만 설명한다.
상기 감광체클리닝장치(550)는 모피브러시(551)와 클리닝블레이드(557)를 구비하며 1 차전사후의 감광체드럼(10)의 표면을 클리닝한다. 또한 이 감광체클리닝장치(550)에 있어 모피브러시(551) 및 클리닝블레이드(557)는 상기한 실시형태7에 있어 벨트클리닝장치(560)의 모피브러시(561) 및 클리닝블레이드(567)와 같은 구성이다.
또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의 주위에는 벨트클리닝장치(660)와, 전사수단으로서의 전사유닛(130)이 배설되어 있고, 이들은 미도시한 접리기구에 의해 각각 상기 중간전사벨트(121)로부터 접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의 프로세스로 형성된 BK토너상이 1 차전사된 중간전사벨트(121)위의 화상면은 상기 실시형태6과 마찬가지로 재차 1차전사영역으로 복귀한다. 이 때 상기 토너상이 흩뜨러지지 않도록 상기 벨트클리닝장치(660)의 클리닝블레이드(661)를 미도시한 접리기구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121)로부터 이탈시킨다. 더 나아가 상기 전사유닛(130)에 있어서의 제1지지롤러(135a) 및 2 차전사바이어스롤러(131)를 미도시한 접리기구에 의해 이동시켜 이 2 차전사바이어스롤러도 상기 중간전사벨트(121)로부터 이탈시킨다. 이 때 상기 2 차전사바이어스롤러(131)에 접속한 2 차전사전원(139)에 의한 바이어스를 가함을 정지한다.
상기 상태는 중간전사벨트(121)위에 1 차전사된 토너상을 전사지(100)에 2 차전사할 때까지 유지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특징부분인 상기 클리닝블레이드(661)에 상기 중간전사벨트(121)를 개재하여 대응하는 클리닝대응부재로서의 클리닝대응롤러(127)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클리닝블레이드(661)는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의 클리닝 및 방전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며 상기한 실시형태6에 있어서의 벨트클리닝장치(460)의 클리닝블레이드(461)와 같은 구성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클리닝대응롤러(127)에는 클리닝바이어스를 가하는 클리닝용 전원(140)이 접속되어 있다. 이 클리닝바이어스는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를 이 중간전사벨트로부터 이탈시키는 전계를 발생시키는 극성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사잔류토너가 음극성이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클리닝대응롤러(127)에는 음극성의 바이어스가 가해진다. 이와 같은 클리닝바이어스를 상기 클리닝대응롤러(127)에 가함으로써 상기 클리닝블레이드(661)의 전방의 영역, 즉 이 클리닝블레이드에 대해 벨트회전방향 상류측 영역에 상기한 전계를 형성한다. 그 결과 2 차전사 후의 중간전사벨트(121)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의 일부는 클리닝영역으로 새어 들기 전에 상기 전계에 의해 제거된다. 그리고 제거되지 않은 나머지 전사잔류토너는 그대로 클리닝영역으로 새어 들고 상기 클리닝블레이드(261)에 의해 긁혀 떨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클리닝블레이드(661)에 의해 제거되는 전사잔류토너의 양을 사전에 감소시킨 후 클리닝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전사지(100)의 잼이 발생하여 다량의 전사잔류토너를 클리닝하지 않으면 안될 경우라도 전사잔류토너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리닝바이어스의 반발력에 의해 튀겨난 전사잔류토너는 케이싱(662)의 내벽에 받아들여져 상기 케이싱(662)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 상기 클리닝블레이드(661)에 의해 긁혀 떨어진 전사잔류토너도 중력에 의해 상기 케이싱(662)의 내부에 낙하하여 그곳에 수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리닝부재로서 방전기능을 구비하는 클리닝블레이드를 사용했지만 이것 이외의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더 나아가 방전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종래의 클리닝블레이드를 사용하여 별개로 방전수단을 구성하거나 방전을 필요로 하지 않을 정도의 체적저항율인 중간전사벨트를 이용하거나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기도 상기 실시형태6과 마찬가지로 상기한 4색 풀 컬러 복사 모드뿐만 아니라 다른 복사 모드라도 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9]
다음에 본 발명을 화상형성장치인 풀 컬러 전자사진복사기에 적용한 또 다른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를 [실시형태9]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도20은 실시형태9에 따른 복사기의 프린터부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개략구성도이다. 이 복사기는 주로 저코스트화를 꾀하는 것이며, 다음에는 상기 실시형태8의 복사기 구성과 다른 점만 서술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20은 도11에 대응하며 도11과 다른 곳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클리닝대응부재로서의 클리닝대응롤러(227)는 벨트구동수단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그리고 이 클리닝대응롤러(227)에 중간전사벨트(221)를 개재하여 대응하도록 클리닝부재로서의 클리닝블레이드(761)가 배설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특징부분인 벨트클리닝장치(760)에 대해 설명한다.
도21은 상기 벨트클리닝장치(760)의 클리닝블레이드(761)와, 상기 중간전사유닛(220)의 클리닝대응롤러(227)가 대응하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 클리닝대응롤러(227)는 접지되어 있다.
상기 클리닝블레이드(761)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21)의 클리닝 및 방전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다. 이 클리닝블레이드(761)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21)의 벨트회전방향E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클리닝부(761a)와, 이 벨트회전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방전부(761b)와, 이들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층(761c)을 구비한다.
상기 클리닝부(761a)에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21)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200)와 반발하는 극성의 바이어스를 가하는 클리닝용 전원(769)이 접지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방전부(761b)에는 방전용 전원(768)이 접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사잔류토너(200)가 음극성으로 대전되어 있으므로 상기 클리닝용 전원(769)에는 이 전사잔류토너와 동극성의 바이어스를 가한다. 한편, 상기 방전용 전원(768)에는 이 전사잔류토너와 이극성의 바이어스를 가한다.
이와 같이 상기 클리닝블레이드(761)의 각 부에 각각 바이어스를 가함으로써 전사잔류토너의 일부를 클리닝하기 전에 제거하여 클리닝성능의 유지를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중간전사벨트(221)의 방전도 행할 수 있다. 즉 다량의 전사잔류토너를 클리닝하는 경우라도 한개의 부재로 전사잔류토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중간전사벨트(221)의 방전도 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클리닝부(761a)의 작용에 의해 전사잔류토너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상기 방전부(761b)에 있어서의 방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안정하고 효과적인 방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9의 변형예로서 상기 클리닝대응롤러(227)를 상기 실시형태8에 있어서의 클리닝대응롤러(127)와 마찬가지 구성으로 하면 클리닝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방전부(761b)에 있어서의 방전특성도 더욱 향상하여 안정하고 효과적인 방전을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10]
다음에 본 발명을 종이나OHP시이트 등의 전사재를 담지이송하는 벨트등의 전사재담지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 적용한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를 [실시형태10]이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도22는 실시형태10에 따른 복사기의 전사수단으로서의 전사유닛의 개략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이 중간전사체가 아니고 전사재담지체에 이용한다. 또한 도22는 도12와 대응하며, 다음에 도12와 다른 곳만 설명한다.
상기 용지전사벨트(332)에 있어서의 전사지(100)가 박리한 부위는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331)와 클리닝대응롤러(335c)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클리닝영역으로 이동한다. 통상의 전사공정을 거친 경우, 상기 용지전사벨트(332)위에는 토너가 아닌 종이 분말 등 이물이 약간 부착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종래의 클리닝부재로도 충분히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상기 전사지(100)의 잼이 발생하여 상기 감광체드럼(10)위의 토너상이 전사지가 아닌 상기 용지전사벨트(332)에 전사되었을 경우, 다량의 토너를 클리닝부재로 제거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은 특히 풀 컬러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현저하다. 이 때 상기 클리닝영역에는 상기 클리닝블레이드(331)의 클리닝능력을 초월한 양의 토너가 새어 들게 되어 종래의 클리닝부재로는 이와 같이 다량의 토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었다. 이 결과, 완전히 제거되지 못한 토너가 다음의 전사공정에 있어 전사바이어스부족 등 문제를 발생시켰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클리닝블레이드(331)는 상기 실시형태9 와 마찬가지로 전기적 작용을 이용하여 토너의 일부를 클리닝하기 전에 제거하여 상기 클리닝영역으로 새어 드는 토너양을 감소시키며 남은 토너는 이 클리닝블레이드로 긁어 떨어뜨린다. 이와 같이 상기 용지전사벨트(332)위의 토너양을 사전에 감소시킨 후 클리닝을 행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다량의 토너를 클리닝하는 경우라도 토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전사잔류토너의 일부를 클리닝부재에 접촉하기 전의 영역에서 제거하는 수단으로서 전계를 이용했지만 사용하는 토너가 자성토너인 경우에는 자계발생수단을 이용하여 자계를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전사잔류토너를 제거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시형태5의 실시예1과 같다. 본 실시예에 사용한 복사기는 상기 실시형태8에 따른 복사기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클리닝장치(550)의 모피브러시(551)는 카아본(Carbon)을 분산한 굵기 6.5D의 아크릴섬유로 되는 도전성브러시시이트를 금속롤러에 롤 모양으로 감아서 형성되어 있고 이 도전성 브러시시이트 사이의 틈새는 1mm이하로 되도록 구성했다. 또 이 모피브러시(551)의 식모밀도는 10만대/inch2로 되어 있다. 또 상기 브러시 선단부로부터 상기 모피브러시(551)의 접지부까지의 저항치는 106Ω으로 했다. 또한 상기 감광체클리닝장치(550)의 클리닝블레이드(557)는 공지의 것을 사용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벨트클리닝장치(660)의 클리닝부재에는 방전기능을 구비하는 클리닝블레이드(661)를 사용했다. 이 클리닝블레이드(661)는 도전성재료로 형성했다. 또 상기 벨트클리닝장치(660)의 케이싱(662)에는 그 내벽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블레이드 고정부(662a)를 구비하여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블레이드고정부에 전극부재(662b)를 고착했다. 또 이 전극부재(662b)에는 방전용 전원(668)을 접속하고 접지부(664)로 접지했다. 그리고, 상기 클리닝블레이드(661)를 도전성접착제(662c)로 상기 전극부재(662b)위에 고착했다.
[실시형태11]
이하 도24내지 도2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화상형성장치인 풀 컬러 전자사진복사기(이하, 복사기라고 한다)에 적용한 일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를 [실시형태11]이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도24는 실시형태11에 따른 복사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25는동 복사기에 있어 화상담지체로서의 감광체드럼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도1, 도2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중간전사벨트의 주위에는 윤활제부여수단으로서의 윤활제도포장치(850)와, 클리닝수단으로서의 클리닝유닛(벨트클리닝장치)(460)과, 전사수단으로서의 전사유닛(30)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 윤활제도포장치(850)에는 윤활제도포부재로서의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와, 윤활제수용케이스(852)와, 윤활제 도포부재 접리기구(85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는 상기 윤활제도포부재접리기구(853)와 연동하며 이 윤활제도포부재접리기구가 구동함에 따라 상기 중간전사벨트에 접리할 수 있다.
또 상기 클리닝유닛(460)에는 클리닝부재로서의 브러시롤러(465) 및 클리닝블레이드(461)와, 클리닝부재접리기구(46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클리닝부재접리기구(463)에 따라 상기 클리닝유닛(460)과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접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리닝부재로서, 클리닝블레이드와 모피브러시를 병용한 것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 이외에도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한 것이나 다른 공지의 클리닝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중간전사벨트(21)위에 토너상이 형성될 때까지의 사이, 구체적으로는 제1색의 BK토너상을 1차전사한 후부터 제4색의 Y토너상의 1차전사가 끝날 때까지의 사이는 상기 윤활제도포장치(850), 클리닝유닛(460) 및 전사유닛(30)을 각각의 접리기구(853, 463, 33)에 의해 사이 중간전사벨트(21)로부터 이탈시켜 둔다.
이상은4색 풀 컬러를 얻는 복사모드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 이외의 3색 복사모드나 2색 복사모드의 경우에는 사용하는 색 등이 다를 뿐 상기한 4색 복사모드와 같은 동작을 행하게 된다. 또 단색 복사모드의 경우에는 소정 장수가 끝날 때까지 그 색의 현상기만 현상제를 이삭 세워서 작동상태로 하여 두고, 상기 윤활제도포장치(850), 클리닝유닛(460) 및 전사유닛(30)을 중간전사벨트(21)에 접촉시킨 상태로, 또한 이 중간전사벨트를 감광체드럼(10)에 접촉시킨 상태로 이 중간전사벨트를 일방향운동방향으로 일정속도로 구동시켜 복사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부분인 윤활제도포장치(85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2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윤활제도포장치(850)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27은 상기 윤활제도포장치(850)에 있어서의 윤활제 도포 브러시롤러(851)의 정면도이다. 이 윤활제도포장치(850)는 상기2 차전사영역의 벨트회전방향 하류 또한 상기 1 차전사영역의 상류이며 클리닝블레이드의 벨트회전방향 하류 또한 상기1 차전사영역의 상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윤활제도포장치(850)는 상기 윤활제도포부재접리기구(853)로부터 연장한 아암(853a)에 설치되어 있다. 이 윤활제도포장치(850)에 있어서의 윤활제수용케이스(852)내에는 고체형윤활제(855) 및 스프링(856)이 수용되어 있다. 이 고체형윤활제(855)로서는 예컨대 판 모양으로 성형된 미립자로 되는 스테아린산아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체형윤활제(855)는 상기 스프링(856)에 따라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측으로 부세되어 있고 이 윤활제도포 브러시롤러에 맞붙어 있다. 또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는 미도시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2 차전사후 상기 중간전사벨트(21)에 윤활제를 도포할 경우,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가 회전하여 상기 고체형윤활제(855)를 깎아 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취한 윤활제는 분말 형상으로 되어 상기 중간전사벨트에 도포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전브러시롤러(851)는 방전수단을 구성하는 방전부재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즉 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1)에 접촉하여 윤활제를 도포함과 동시에 이 중간전사벨트를 방전한다. 이 때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는 방전특성의 저하거나 브러시부의 털이 쓰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중간전사벨트의 종동방향으로 회전구동하고 있다. 또 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와 상기 중간전사벨트(21)가 접촉한 부분 즉 방전영역에 있어서 그 선속(線速)이 상기 중간전사벨트(21)보다도 빨라지도록 이 윤활제브러시롤러는 회전제어되어 있다.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는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브러시부(851a)를 구비하는 도전성섬유시이트(851b)를 도전성 롤러에 롤 모양으로 감아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도전성 섬유시이트 사이의 틈새 G를 될수 있는 한 작게 하면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브러시밀도가 균일하게 되어 방전이 고르게 되지 못함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도전성 섬유시이트(851b)를 형성하는 도전성섬유로서는 예컨대 카아본을 분산한 아크릴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의 금속축을 구성하는 롤러에 접지부를 접속하여 접지하고 있다. 또 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는 방전효율의 향상을 꾀하기 위해 상기 중간전사벨트(21)에 접촉하는 부분, 즉 브러시부(851a)의 선단과 상기 접지부(854)와의 사이의 저항치가 108Ω이하, 바람직하기는 107Ω이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저항치는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의 금속축을 구성하는 롤러가 도전성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상기 도전성섬유 부분의 저항치를 의미한다.
[변형예]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11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28은 본 변형예의 복사기에 있어서의 감광체드럼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11와 거의 같고, 다른 점이라면 실시형태11에서는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를 단지 접지만 한것에 대해 본 변형예에서는 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에 방전바이어스를 가하기 위한 방전용 전원(859)을 접속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이 방전바이어스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21)위에 존재하는 잔류전하가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에 유입하는 것으로 되므로 효율 높게 방전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화상형성의 속도를 제고시키기 위해 중간전사벨트의 표면이동속도를 고속화시킨 경우에도 이 중간전사벨트를 안정하게 방전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12]
다음에 도29내지 도3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화상형성장치인 풀 컬러 전자사진복사기에 적용한 다른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를 [실시형태]12라고 한다.)에대해 설명한다.
도29는 실시형태12에 따른 복사기의 프린터부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개략구성도이다. 이 복사기는 상기 실시형태11과 같은 구성의 주사기부를 구비하며 화상형성동작은 기본적으로는 도24의 복사기와 같다. 주로 상이한 점은 프린터부의 구조 및 동작에 있다. 또한 도29는 도9와 대응하며 이하 도9와 다른 곳만 설명한다.
중간전사벨트(121)의 주위에는 상기 실시형태11에서 사용한 윤활제 도포장치(850) 및 클리닝블레이드(170)와, 전사수단으로서의 전사유닛(130)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은 미도시한 접리기구에 의해 각각 상기 중간전사벨트(121)로부터 접리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 BK토너상이 1 차전사된 중간전사벨트위의 화상면은 상기 실시형태11과 마찬가지로 재차 1차전사영역으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토너상이 흩뜨러지지 않도록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 및 클리닝 블레이드(170)를 각각 접리기구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121)로부터 이탈시킨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특징부분인 윤활제도포부재접리기구 및 클리닝부재접리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11과 마찬가지로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가 방전수단을 구성하는 방전부재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는 이것에 방전바이어스를 가하는 방전용 전원(859)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는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에 접촉하여 윤활제를 도포함과 동시에 이 중간전사벨트를 방전시킬 수 있다.
우선 윤활제도포부재접리기구 및 클리닝부재접리기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30은 클리닝부재접리기구로서도 기능하는 윤활제도포부재접리기구로서의 접리장치(173)의 개략구성도이다. 이 접리장치(173)는 상기 윤활제도포장치(850)와, 상기 클리닝블레이드(170)와, 윤활제도포부재접리기구로서의 제1접리캠(850c)과, 클리닝부재접리기구로서의 제2접리캠(170c)과, 이들 캠에 접속한 미도시한 구동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윤활제도포장치(850)는 제1브래킷(850a)에 지지되어 있다. 이 제1브래킷(850a)은 제1브래킷요동축(850b)을 중심으로 요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윤활제도포장치(850)가 설치된 끝부분의 타측 끝부분이 상기 제1접리캠(850c)의 캠면에 맞붙어 있다. 이 때 상기 타측 끝부분은 상기 캠면을 향하여 미도시한 스프링에 의해 부세(付勢)되어 있다. 한편 상기 클리닝블레이드(170)는 제2브래킷요동축(170b)을 중심으로 요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클리닝블레이드(170)가 고착된 끝부분의 타측 끝부분이 상기 제2접리캠(170c)의 캠면에 맞붙어 있다.
이 때 상기 타측 끝부분은 상기 캠면을 향하여 미도시한 스프링에 의해 부세(付勢)되어 있다.
상기 제1접리캠(850c)은 상기 구동부에 접속한 제1캠축(850d)에 고착되어 있다. 또 이 제1캠축(850d)에는 도면중 가까운 측의 끝부분에 제1기어(850e)가 고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접리캠(170c)은 제2캠축(170d)에 고착되어 있다.
또 이 제2캠축(170d)에는 도면중 가까운 측의 끝부분에 제2기어(170e)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 제1기어(850e) 및 제2기어(170e)는 동일한 잇(齒)수를 가지며 동일 평면상에서 치합하여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접리장치(173)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31(a)은 상기 중간전사벨트(121)로부터 떨어진 상태의 접리장치(173) 요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31(b)은 이 중간전사벨트에 맞붙은 상태의 접리기구(173) 요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31(a)에 있어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 및 클리닝블레이드(170)는 상기 중간전사벨트(121)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미도시한 모터에 의해 상기 제1캠축(850d)을 180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1접리캠(850c)이 180도 회전하고 그 캠면이 상기 제1브래킷(850a)의 타측 끝부분을 밀어 올려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를 상기 중간 전사벨트(121)에 맞붙인다. 한편, 상기 제1캠축(850d)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기어(850e) 및 제2기어(170e)를 개재하여 상기 제2캠축(170d)도180도 회전한다. 이
것에 의해 상기 제2접리캠(170c)이 상기 제2브래킷(170a)의 타측 끝부분을 밀어 올려 상기 클리닝블레이드(170)를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에 맞붙인다. 이와 같이 하여 도31(a)상태로부터 도31(b)의 상태로 이행한다.
또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제1캠축(850d)을 다시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제1브래킷(850a)의 타측 끝부분 및 제2브래킷(170a)의 타측 끝부분이 상기 제1접리캠(850c) 및 제2접리캠(170c)의 캠면을 향하여 각각 부세되어 있으므로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 및 클리닝블레이드(170)는 상기 중간전사벨트(121)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31(b)의 상태로부터 도31(a)의 상태로 이행한다.
또 상기 제1접리캠(850c)과 제2접리캠(170c)의 설치각을 조절하면 상기 클리닝블레이드(170)에 대한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의 접리타이밍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에 클리닝블레이드(170)가 접촉한 후 그 접촉면이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의 접촉예정부를 통과하는 타이밍으로 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를 접촉시키도록 상기 설치각을 설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가 접촉하여 방전하는 면은 클리닝된 상태이므로 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에 대한 이물 등의 부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를 반드시 완전히 클리닝된 상태의 면에 접촉시킬 필요는 없고 화상형성에 영향을 주지않을 정도의 이물의 부착은 허용범위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사기 사용형태에 따라서는 적어도 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가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의 최후 클리닝부위에 접촉하는 영역이 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와 상기 클리닝블레이드(170)를 이 중간전사벨트에 동시에 접촉시킬 때보다도 적어지도록 혹은 상기 영역이 없어지도록 제어하면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의 접촉타이밍이 충분할 경우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 및 클리닝블레이드(170)를 1개의 접리장치로 제어하고 있지만 각각 별개의 접리장치를 설치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기도 상기 실시형태11과 마찬가지로 상기한 4색 풀 컬러 복사모드뿐만 아니라 다른 복사모드여도 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13]
다음에 본 발명을 화상형성장치인 풀 컬러 전자사진복사기에 적용한 또 다른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를 [실시형태13]이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도 32는 실시형태13에 따른 복사기의 프린터부에 있어서의 주요부 개략구성도이다. 이 복사기는 주로 저코스트화를 꾀한 것이며, 다음에는 상기 실시형태12의 복사기의 구성과 다른 점만 설명한다. 따라서 같은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이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32는 도11과 대응하며, 이하 도11과 다른 곳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 급지의 경우는, 급지된 전사지(100)가 상기 2차전사바이어스롤러(231)와 중간전사벨트(221)와의 사이에 직접 끼워져 정착유닛의 정착롤러쌍(145a)의 롤러 사이를 향하여 이송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특징부분인 윤활제 도포장치(850) 및 클리닝 블레이드(17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윤활제도포장치(850) 및 클리닝블레이드(170)의 기본적구성은 상기 실시형태12와 거의 같으며 다른 점이라면 이들 윤활제도포장치(850) 및 클리닝블레이드(170)의 배치에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윤활제도포장치(850)의 윤활제 도포 브러시롤러(851)도 상기 클리닝블레이드(170)에 대응하는 클리닝대응롤러를 겸용하는 구동롤러(224)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롤러(224)는 본체케이싱에 접지된 접지부(22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에 대응하는 접지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 결과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와 구동롤러(224)와의 사이로 집중적으로 전계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의 표면전하뿐만 아니라 내부의 전하도 안정하게 방전할 수 있고 이 중간전사벨트 전체를 균일하게 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및 클리닝블레이드(170)를 구동롤러(224)가 아니고 다른 지지롤러에 대응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실시형태14]
다음에 종이나 OHP시이트 등의 전사재를 담지이송하는 벨트 등의 전사재담지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 적용한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를 [실시형태 14]이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도33은 실시형태14에 따른 복사기의 전사수단으로서의 전사유닛의 개략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중간전사체가 아니고 전사재를 담지하여 이송하는 전사재담지체에 이용한다. 또한 도33는 도12와 대응하며 이하 도12와 다른 곳만 설명한다.
상기 전사유닛(330)은 전사재담지체로서의 용지전사벨트(332)와, 이 용지전사벨트표면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재로서의 전사클리닝블레이드(331)와, 미도시한 급지부측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전사전 방전수단으로서의 접지롤러(335a)와, 전하부여수단으로서의 전사바이어스롤러(334)와, 이것에 접속된 전사용 전원(338)과, 미도시한 정착유닛측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텐션롤러(335b)와, 상기 전사클리닝블레이드(331)에 대응하는 클리닝대응롤러(335c)와, 전사지방전기(336)와, 상기 용지전사벨트표면에 윤활제를 부여하는 윤활제부여수단으로서의 윤활제도포장치(350)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토너상이 전사된 전사지(100)는 그 후 이 전사지를 상기 전사지방전기(336)에 의해 방전하여 박리하는 박리영역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용지전사벨트(332)로부터 박리하여 미도시한 정착유닛으로 이송된다. 한편, 용지전사벨트(332)는 상기 전사지(100)가 박리한 후 상기 전사클리닝블레이드(331)에 의해 종이분말 등 이물을 제거한다. 이 때 이 클리닝블레이드(331)와 상기 용지전사벨트(332)와의 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클리닝된 용지전사벨트(332)표면에 상기 윤활제 도포장치(350)에 설치된 윤활제도포부재로서의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351)에 의해 윤활제를 도포한다. 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351)는 상기 전사영역의 용지전사벨트이송방향 상류측 또한 상류박리영역의 하류측, 바람직하기는 상기 전사영역의 용지전사벨트이송방향 상류측 또한 상기 전사클리닝블레이드(331)의 하류측으로 배치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에 가하는 방전바이어스로서 직류의 바이어스를 이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교류의 바이어스 또는 직류 및 교류의 바이어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실시형태5의 실시예1과 같다. 본 실시예에 사용한 복사기는 상기 실시형태12에 따른 복사기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는 카아본을 분산한 굵기 6.5D의 아크릴섬유로 되는 도전성 섬유시이트를 금속롤러에 롤 형상으로 감아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도전성 섬유시이트 사이의 틈새G는 1mm이하로 되도록 구성했다. 또 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의 식모밀도는 10만대/inch2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브러시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의 접지부(854)까지의 저항치는106Ω로 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실시형태5의 실시예2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복사기는 상기 실시형태13에 따른 복사기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또 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851)에 대항하는 구동롤러(224)는 금속롤러에 도전성고무를 코팅하여 형성된 것이며 이 구동롤러표면으로부터 접지부(222)까지의 저항치를 107Ω로 설정했다.
[실시형태15]
이하 도34내지 도4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화상형성장치인 풀 컬러 전자사진복사기(이하 복사기라고 한다.)에 적용한 일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를 [실시형태15]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도34는 실시형태15에 따른 복사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35는 동 복사기에 있어 화상담지체로서의 감광체드럼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도1, 도2, 도15, 도16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형태의 특징부분인 코로나 대전기(Corona Charger)(96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코로나대전기(960)는 상기 2차전사영역의 벨트회전방향 하류 또한 상기 1차전사영역의 상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코로나대전기(960)에는 이것에 직류전압을 가하기 위한 방전용 전원(969)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중간전사벨트(21)를 방전시키고 있다. (여기서 코로나대전기는 방전기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코로나대전기(960)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1)에 접촉하지 않고 이 중간전사벨트를 방전시킬 수 있으므로 접촉식 방전기에 비하여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것은 접촉식 방전기로 2색이상의 컬러화상을 형성할 경우, 각 색의 토너상을 중간전사벨트(21)에 중첩하고 있는 사이는 이 접촉식 방전기의 방전부재를 이 중간전사벨트로부터 격리시키고, 한편으로 이 중간전사벨트가 2차전사를 끝낸 후는 이 방전부재를 이것에 접촉시키는 방전부재격리기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코로나대전기(960)는 오존의 발생을 동반하기 때문에 환경보호의 관점으로 보면 그다지 바람직하지는 않다. 이 관점으로부터 방전수단으로서 접촉식 방전기를 사용한 경우, 이 접촉식 방전기의 방전부재로서는 방전브러시거나 방전블레이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변형예1]
다음에 실시형태15의 변형예1에 대해 설명한다. 도36은 변형예1의 복사기에 있어서의 감광체드럼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변형예는 상기 코로나대전기(960) 대신에 접촉식 방전수단으로서의 접촉식 방전기를 이용하고 그 방전부재로서 방전브러시(961)를 사용하고 있다. 또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중간전사벨트(21a)에는 체적저항율 ρⅤ이 1012Ω㎝인 것을 사용한다. 또 이 방전브러시(961)가 상기 중간전사벨트(21a)와 접촉하는 부분으로부터 이 중간전사벨트가 팽팽하게 걸쳐지는 접지롤러(23)의 접지부(962)까지의 저항치가 108Ω이하, 바람직하기는 107Ω 이하로 되도록 이 접지롤러의 위치를 설정하고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방전브러시(961)에 방전바이어스를 가하는 방전용 전원을 접속하지 않는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1a)내를 전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 중간전사벨트의 체적저항율 ρⅤ이 1012Ω㎝이하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방전브러시(961)에 의해 완전히 방전되지 않고 2차전사후의 중간전사벨트의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잔류전하도 상기 접지롤러의 접지부까지 이동할 수 있어 잔류전위가 다음의 화상형성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어진다. 이 경우, 방전바이어스를 가하지 않아도 상기 중간전사벨트(21a)의 표면전위를 ­100V이하까지 방전할 수 있다.
[변형예2]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15의 변형예2에 대해 설명한다. 도37은 변형예2의 복사기에 있어서의 감광체드럼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변형예는 상기 변형예1과 거의 같지만 상기 방전브러시(961)에 방전바이어스를 가하기 위한 방전용 전원이 접속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또 중간전사벨트(21b)로서 체적저항율 ρⅤ이1011∼1014Ω㎝인 것을 사용하고 있다. 또 상기 방전브러시(961)에 대응하도록 상기 중간전사벨트(21b)를 개재하여 접지부재로서의 도전성 판금(96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접지부재로서는 이 판금이외에도 예컨대 도전성롤러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판금(963)은 상기 방전브러시(961)가 접촉하는 상기 중간전사벨트(21b)의 뒷면에 접촉하여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방전브러시(961)와 판금(963)과의 사이에서 집중적으로 방전전계가 형성된다. 본 변형예의 경우, 상기 중간전사벨트(21b)의 표면전하뿐만 아니라 내부의 전하도 안정하게 방전시킬 수 있어 이 중간전사벨트 전체를 균일하게 방전시킬 수 있다.
또 도38은 상기 판금(963)을 상기 방전브러시(961)에 대응하여 설치한 경우와 전혀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의 이 방전브러시에 가하는 방전바이어스와, 방전후에 있어서의 중간전사벨트(21b)의 표면전위(이하, 방전후 전위라고 한다)와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있어 각 점을 실선으로 연결한 부분은 그 방전바이어스를 가했을 때의 중간전사벨트(21b)에 있어서의 표면전위의 흐트러진 폭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다음의 화상형성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표면전위, 즉 ­100V ∼ +100V의 범위내 전위로 되도록 방전시킬 경우, 그 방전에 필요한 방전바이어스는 상기 판금(963)을 상기 방전브러시(961)에 대응하여 설치한 편이 훨씬 작게 된다. 또 상기 중간전사벨트(21b)의 방전후 전위의 흐트러진 폭을 보면 상기 판금(963)을 설치한 편이 흐트러진 폭이 작다.
또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기 판금(963)이 중간전사벨트(21b)에 접촉하는 부분과 이 판금의 접지부(964)와의 사이의 저항치가 108Ω이하, 바람직하기는 107Ω이하로 되도록 설정하면 방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적합하다.
[변형예3]
더 나아가, 상기 실시형태15의 변형예3에 대해 설명한다. 도39는 변형예3의 복사기에 있어서의 감광체드럼 주변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40은 이 복사기에 있어서의 방전부재로서의 방전브러시롤러의 정면도이다. 본 변형예는 상기 변형예1및 변형예2에 있어서의 방전브러시(961) 대신에 방전부재로서의 방전브러시롤러(965)를 사용하고 있다. 이 방전브러시롤러(965)는 그 브러시부(965a)를 구비하는 도전성 섬유시이트(965b)를 도전성 롤러에 롤 모양으로 감아서 형성되어 있다. 이 도전성 섬유시이트(965b)를 형성하는 도전성섬유로서는 예컨대 카아본을 분산한 아크릴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방전브러시롤러(965)를 구비하는 본 변형예의 접촉식 방전기에 있어서, 이 방전브러시롤러에 있어 중간전사벨트(21)에 접촉하는 부분, 즉 브러시부(965a)의 선단과 이 방전브러시롤러에 접속된 접지부(966)와의 사이의 저항치를108Ω이하, 바람직하기는 107Ω이하로 되도록 설정하면 방전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이 저항치는 상기 방전브러시롤러(965)의 금속축을 구성하는 부재가 도전성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상기 도전성섬유 부분의 저항치를 의미한다.
또 도41은 상기 방전브러시롤러(965)의 식모밀도와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방전후 전위의 방전이 고르지 못함에 대한 평가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방전이 고르지 못함에 대한 평가는 5단계 평가로서 평가가 5일 때 방전이 고르지 못함이 가장 적다. 통상 평가가 3이상일 경우에는 그 후의 화상형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이 도면으로부터 상기 방전브러시롤러(965)를 형성할 때, 그 식모밀도를 2만대/inch2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방전브러시롤러(965)를 형성하면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표면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브러시부 접촉대수가 증가하여 방전후의 중간전사벨트(21)에 있어서의 방전이 고르지 못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방전브러시롤러(965)를 형성할 때, 상기와 같이 도전성 섬유시이트(965b)를 도전성롤러에 롤 형상으로 감아서 형성하지만 상기 방전이 고르지 못함은 이 도전성섬유시이트(965b)를 감을 때의 틈G의 크기에 의해서도 크게 변화한다. 도42에는 상기 도전성섬유시이트(965b)사이의 틈G과 방전후의 중간전사벨트표면의 방전이 고르지 못함에 대한 평가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방전이 고르지 못함에 대한 평가가 3이상으로 될 때에는 상기 틈G을 적어도2mm이하로 되도록 상기 방전브러시롤러(965)를 형성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상기 방전브러시롤러(965)의 브러시부(965a)를 구성하는 상기 도전성섬유(965b)의 틈G을 2mm이하로 하면 방전후의 중간전사벨트(21)에 있어서의 방전이 고르지 못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방전브러시롤러(965)는 방전특성의 저하거나 브러시부의 털이 쓰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중간전사벨트(21)의 종동방향으로 회전구동하고 있다. 이 때 상기 방전브러시롤러(965)는 이 방전브러시롤러와 상기 중간전사벨트(21)가 접촉한 부분 즉 방전영역에 있어서, 그 선(線)속도가 상기 중간전사벨트보다도 빨라지도록 회전제어되어 있다.
[실시형태16]
다음에 도4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화상형성장치인 풀 컬러 전자사진복사기에 적용한 다른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를 [실시형태16]이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도43은 실시형태16에 따른 복사기의 프린터부에 있어 주요부의 개략구성도이다. 이 복사기는 상기 실시형태15와 같은 구성인 미도시한 주사기부를 구비하고 화상형성동작은 기본적으로 도34의 복사기와 같다. 주로 상이한 점은 프린터부의 구조 및 동작에 있다. 또한 도43은 도9에 대응하며, 이하 도9와 다른 곳만 설명한다.
또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의 주위에는 윤활제부여수단을 구성하는 윤활제부여부재와 방전부재를 겸용하는 윤활제도포 겸 방전브러시롤러(1065)와, 클리닝부재로서의 벨트클리닝블레이드(170)와, 전사수단으로서의 전사유닛(130)이 배설되어 있으며, 이들은 미도시한 접리기구에 의해 각각 상기 중간전사벨트(121)로부터 접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형성된 BK토너상이 1차전사된 중간전사벨트(121)위의 화상면은 상기 실시형태15와 마찬가지로 재차 1차전사영역으로 복귀된다. 이 때 상기 토너상이 흩트러지지 않도록 상기 윤활제도포 겸 방전브러시롤러(1065) 및 벨트클리닝블레이드(170)를 각각 접리기구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벨트(121)로부터 이탈시킨다.
2차전사후의 중간전사벨트(121)는 상기 벨트클리닝블레이드(170)가 미도시한 클리닝부재접리기구에 의해 이 중간전사벨트(121)에 눌려짐으로써 그 표면에 잔류한 2차전사잔류토너를 제거한다. 나아가 클리닝성능의 향상 및 2차전사성의 향상을 꾀하기 위해 미도시한 방전부재접리기구로 중간전사벨트에 눌려지는 윤활제도포 겸 방전브러시롤러(1065)에 의해 윤활제 수납부(1066)에 수납된 윤활제가 도포된다. 이 윤활제로서는 예컨대 판모양으로 성형된 미립자로 되는 스테아린산 아연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특징부분인 윤활제도포 겸 방전브러시롤러(1065) 및 벨트클리닝블레이드(17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윤활제도포 겸 방전브러시롤러(1065)는 윤활제를 도포함과 동시에 방전도 행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이 윤활제도포 겸 방전브러시롤러(1065)는 상기 실시형태15에 있어서의 변형예3으로 설명한 방전브러시롤러(965)와 거의 같은 것이지만 브러시부를 구성하는 도전성섬유의 저항치가106Ω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윤활제도포 겸 방전브러시롤러(1065)에는 방전바이어스를 가하기 위한 가변방전용 전원(1069)이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윤활제도포 겸 방전브러시롤러(1065)는 상기 중간전사벨트(121)의 벨트회전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1차전사영역의 상류 또한 상기 벨트클리닝블레이드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윤활제도포 겸 방전브러시롤러(1065) 및 벨트클리닝블레이드(170)의 접리장치의 기구 및 그 동작은 도30, 도31(a),(b)에 도시한 것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17]
다음에 본 발명을 화상형성장치인 풀 컬러 전자사진복사기에 적용한 또 다른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를 [실시형태17]이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도44는 실시형태17에 따른 복사기의 프린터부에 있어 주요부의 개략구성도이다. 이 복사기는 주로 저코스트화를 꾀한 것이며, 다음에는 상기 실시형태16의 복사기의 구성과 다른 점만 설명한다. 따라서 같은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44는 도11에 대응하고 이하 도11과 다른 곳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부분인 윤활제도포 겸 방전브러시롤러(1065) 및 벨트클리닝블레이드(17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16과 마찬가지로 윤활제도포 겸 방전브러시롤러(1065)를 방전부재로서 사용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16과 다른 점은 상기 윤활제도포 겸 방전브러시롤러(1065) 및 벨트클리닝블레이드(170)의 배치에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윤활제도포 겸 방전브러시롤러(1065)는 상기 벨트클리닝블레이드(170)에 대응하는 클리닝 대응롤러를 겸용하는 구동롤러(224)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실시형태18]
다음에 본 발명을 종이나 OHP시이트 등의 전사재를 담지이송하는 벨트등 전사재담지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 적용한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를 [실시형태18]이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도45는 실시형태18에 따른 복사기의 전사수단으로서의 전사유닛의 개략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이 중간전사체가 아닌 전사재담지체에 이용한다. 또한 도45는 도12에 대응하며 이하 도12와 다른 곳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용지전사벨트(332)는 미도시한 급지부측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전사전 방전수단으로서의 접지롤러(335a)와, 미도시한 정착유닛측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텐션롤러(335b)에 팽팽하게 씌워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토너상이 전사된 전사지(100)는 그 후 상기 용지전사벨트(332)로부터 박리하여 미도시한 정착유닛에 이송된다. 상기 전사지(100)가 박리한 후, 그 용지전사벨트(332)는 상기 텐션롤러(335b)에 대응하여 설치된 방전수단을 구성하는 방전부재로서의 방전브러시(361)와의 접촉영역을 통과하여 방전되어진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방전기에 가하는 방전바이어스로서 직류의 바이어스를 이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교류의 바이어스 또는 직류 및 교류의 바이어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실시형태5의 실시예1과 같다. 본 실시예에 사용한 복사기는 상기 실시형태16에 따른 복사기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 겸 방전브러시롤러(1065)는 카아본을분산한 굵기6.5D의 아크릴섬유로 되는 도전성 섬유시이트를 금속롤러에 롤 형상으로 감아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도전성 섬유시이트 사이의 틈G는 1mm이하로 되도록 구성했다. 또 이 윤활제도포 겸 방전브러시롤러(1065)의 식모밀도는 10만대/inch2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브러시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윤활제도포 겸 방전 브러시롤러(1065)의 접지부까지의 저항치는 106Ω으로 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온도 및 습도와, 상기 복사모드 정보에 의거하여 중간전사벨트(121)의 표면전위와, 전사지정보에 의거한 이 중간전사벨트의 표면이동속도에 응하여 상기 윤활제도포 겸 방전브러시롤러(1065)에 가하는 직류전압을 계산하여 상기 가변방전용 전원(1069)을 제어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4, 표5 및 표6과 같이 방전바이어스를 설정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실시형태5의 실시예2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복사기는 상기 실시형태17에 따른 복사기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윤활제도포 겸 방전브러시롤러(1065)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또 이 윤활제도포 겸 방전브러시롤러에 대항하는 구동롤러(224)는 금속롤러에 도전성고무를 코팅하여 형성된 것이며 이 구동롤러표면으로부터 접지부(222)까지의 저항치를 107Ω로 설정했다.
청구항1의 발명은 상기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킴에 있어 상기 중간전사체의 체적저항율에 응하여 상기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는 가변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했으므로 방전부족이나 방전과다를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체의 체적저항율이 1011∼1014Ω㎝인 것으로 했으므로 1차전사후의 전사티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특히 청구항3의 발명과 같이 중간전사체의 체적저항율을 1012∼1013Ω㎝으로 하면 더욱 1차전사후의 전사티끌을 안정하게 억제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4의 발명은 중간전사체의 체적저항율에 응하여 상기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방전부족이나 방전과다를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방법을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 5의 발명은 중간전사체의 표면전위Va에 대한 상기 직류전압V이
(수학식 1)
― 1.3Va ― 650 ≤ V ≤ ― 1.3Va + 550
을 충족시키도록 상기 제어수단이 이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므로 방전전에 있어서의 중간전사체의 표면전위에 대한 적절한 직류전압을 상기 방전수단에 가할 수 있어 안정하고도 확실한 방전을 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6의 발명은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전위Va에 대한 상기 직류전압V이
(수학식 1)
― 1.3Va ― 650 ≤ V ≤ ― 1.3Va + 550
의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이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방전전에 있어서의 중간전사체의 표면전위에 대한 적절한 직류전압을 가할 수 있어 안정하고도 확실한 방전을 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방법을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7의 발명은 단일색 모드인가 상기 복수색 모드인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구비하며 이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응하여 상기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방전부재에 가하는 방전바이어스를 제어함으로써 복사모드가 다른 경우라도 중간전사체를 안정하고도 확실하게 방전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8의 발명은 방전을 위해 직류전압을 가함에 있어 상기 단일색의 공정인가 상기 복수색의 공정인가에 응해 상기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가하는 방전바이어스를 제어함으로써 복사공정이 다른 경우라도 중간전사체를 안정하고도 확실하게 방전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방법을 제공할 수 있었다.
청구항9 및 10의 발명은 중간전사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윤활제 도포수단을 구비하는 윤활제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도포수단이 상기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했으므로 윤활제도포수단을 이용하여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개로 방전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이용하여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킬 수 있다. 또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생산설비를 응용할 수 있는 윤활제도포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특히 청구항10 기재의 윤활제도포수단은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인 것으로 방전특성, 내구성 등에 뛰어나 실익이 있는 윤활제도포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11,12의 발명은 청구항9 또는 청구항10의 윤활제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에 직류 혹은 교류의 바이어스, 또는 직류 및 교류의 바이어스를 가하여 상기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했으므로 예컨대 화상형성속도의 제고를 꾀하기 위해 중간전사체의 표면이동속도를 고속화한 경우라도 이 중간전사체를 안정하게 방전시킬 수 있는 윤활제도포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청구항13의 발명은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방전기능을 완수하는 수단은 윤활제도포장치에 있어서의 윤활제도포수단인 것으로 했으므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을 방전수단으로서 기능시킴으로써 2차전사종료후 다음의 1차전사개시전에 행해지는 2개의 공정을 한꺼번에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화상형성속도를 제고시키는 것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14의 발명은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전사체와의 접촉부로부터 이 윤활제도포수단의 접지부까지 사이의 저항치가 108Ω이하로 되도록 이 윤활제도포수단을 구성했으므로 중간전사체에 보유된 2차전사전하가 이 윤활제도포수단내를 통과하여 접지부까지 이동가능하게 되어 효율 높게 방전을 행할 수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15,16의 발명은 윤활제 도포브러시롤러는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상대속도를 가지도록 구성했으므로 상대속도가 0인 경우에 비하여 상기 중간전사체표면에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의 브러시부가 많이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이 브러시부의 접촉대수가 중간전사체표면의 단위면적당에 대해 증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방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청구항17, 18의 발명은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를 회전구동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청구항19,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상대속도를 가지도록 했으므로 상기 중간전사체표면에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의 브러시부가 교체하면서 접촉하여 이물부착에 의한 방전특성의 저하거나 브러시부의 털이 쓰러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가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종동방향으로 회전구동할 때에 이 중간전사체와 윤활제도포 브러시롤러가 접촉하는 방전영역에 있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의 선속도가 상기 중간전사체의 선속도보다 빨라지도록 구성하면 방전특성의 저하거나 브러시부의 털이 쓰러지는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21의 발명은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이 상기 클리닝수단에 의해 클리닝된 중간전사체의 표면부위에 접촉하여 그것을 방전시키는 것으로 했으므로 윤활제도포수단에 2차전사토너 등의 이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윤활제에 의한 윤활특성 및 방전특성의 저하를 억제하고, 또 시간경과적으로 본 경우, 이 윤활제도포수단의 수명을 길게 할 수도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22의 발명은 윤활제도포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리시키는 윤활제도포수단접리기구와, 상기 클리닝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리시키는 클리닝수단접리기구를 구비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이 윤활제도포수단과 클리닝수단을 각각 별개로 접리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이 상기 클리닝수단에 의해 클리닝된 중간전사체의 표면부위에 접촉하여 이 중간전사체에 윤활제를 도포하며 동시에 이것을 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청구항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윤활제도포수단 접리기구가 클리닝수단접리기구로서도 기능하도록 구성하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장치내부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청구항24,25의 발명은 윤활제도포수단이 상기 중간전사체의 끝 클리닝부위에 접촉하는 영역이 이 윤활제도포수단과 상기 클리닝수단을 이 중간전사체에 동시에 접촉시킬 때보다도 적어지도록, 혹은 상기 영역이 없어지도록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접리기구 및 클리닝수단접리기구를 제어했으므로 이들 수단을 동시에 접촉시킬 경우보다도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에 부착하는 이물의 부착량을 저감시킬 수 있어 윤활제의 윤활특성 및 방전특성의 저하를 억제하고 또 이 윤활제도포수단의 수명도 길게 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26,27의 발명은 윤활제도포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1차 전사영역의 상류 또한 상기 2차전사영역의 하류에 구비했으므로 이 중간전사체에 있어서의 2차전사가 완료한 부위에 윤활제를 도포하고 동시에 방전을 행한 후 그 부위를 신속히 다음의 1차전사에 제공할 수 있고 화상형성속도의 제고를 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특히 청구항28 내지 청구항31의 발명은 윤활제도포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상기1차 전사영역의 상류 또한 상기 클리닝수단의 하류에 구비했으므로 중간전사체를 클리닝한 표면에 이 윤활제도포수단을 접촉시켜 윤활제의 도포 및 방전을 행할 수 있고 화상형성속도의 제고를 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청구항32의 발명은 중간전사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윤활제도포수단을 이용하여 이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키는 것으로 했으므로 윤활제도포수단을 이용하여 중간전사체를 방전할 수 있기 때문에 별개로 방전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방전방법을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33의 발명은 방전수단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는 부분과, 이 부분으로부터 가장 가깝게 이 중간전사체에 접촉한 부재의 접지부와의 사이의 저항치를 108Ω이하로 되도록 구성했으므로 중간전사체에 보유된 잔류전하가 상기 수단에 유출할 수 있어 확실하고도 효율 높게 방전을 행할 수 있다. 이 접지부는 통상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한 수단을 본체 케이싱에 접속함으로써 형성된다.
또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방전수단에 방전바이어스를 가하지 않고도 상기 중간전사체를 안정하게 방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화상형성장치는 방전바이어스를 가하기 위한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코스트 절감을 꾀할 수 있는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34의 발명은 방전수단에 직류 혹은 교류의 바이어스, 또는 직류 및 교류의 바이어스를 가하고 이 방전수단과 상기 중간전사체가 접촉하는 부분의 뒷면에 접촉하도록 접지부재를 구비했으므로 종래보다 낮은 방전바이어스로 효율 높게 방전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전계방향이 거의 일정하게 되기 때문에 방전후의 중간전사체 전위도 안정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특히 청구항35의 발명은 접지부재가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는 부분과 상기 방전수단의 접지부 사이의 저항치를 108Ω이하로 되도록 구성했으므로 중간전사체에 보유된 잔류전하가 이 중간전사체내를 이동가능하게 되어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의 전하도 상기 방전수단에 흘러 들어 효율 높게 방전을 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청구항36,37의 발명은 접지부재를 중간전사벨트를 지지하는 지지롤러로 구성했으므로 기존의 부재를 이용하여 효율 높게 방전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장치내부의 공간절약을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별개로 접지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코스트 절감을 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특히 청구항38,39의 발명과 같이 상기 중간전사벨트가 팽팽하게 씌워지는 지지롤러로서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수단과 대응하는 클리닝대응롤러를 이용하면 장치설계상 유익하다. 또 청구항40의 발명과 같이 상기 지지롤러가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로서도 기능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장치설계상 유익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청구항41,42의 발명은 이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와 상기 중간전사벨트가 접촉하는 부분과 이 지지롤러의 접지부 사이의 저항치를 108Ω이하, 바람직하기는 107Ω이하로 되도록 구성했으므로 중간전사체에 보유된 2차전사 전하가 이 지지롤러내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효율높게 방전을 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청구항43의 발명은 방전수단이 도전성섬유를 롤(Roll)모양으로 형성하여 된 방전브러시롤러이며, 이 방전브러시롤러를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그것을 방전시키므로 효율높게 방전을 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특히 청구항44의 발명과 같이 상기 방전브러시롤러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벨트의 접촉부로부터 이 방전브러시롤러의 접지부까지 사이의 저항치를 108Ω 이하, 바람직하기는 107Ω이하로 되도록 이 방전브러시롤러를 구성했으므로 중간전사체에 보유된 2차전사전하가 이 방전브러시롤러내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효율높게 방전을 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45,46의 발명은 청구항43,44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브러시롤러가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상대속도를 가지도록 구성했으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방전을 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특히 청구항47,48의 발명과 같이 상기 방전브러시롤러가 회전구동하도록 구성하여 이 방전브러시롤러를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상대속도를 가지도록 구성하면 상기 중간전사체표면에 방전브러시롤러의 브러시부가 교체하면서 접촉하므로 시간경과적으로 본 경우, 이물부착에 의한 방전특성의 저하거나 브러시부의 털이 쓰러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49,50의 발명과 같이 상기 방전브러시롤러가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종동방향으로 회전구동할 때에 이 중간전사체와 방전브러시롤러가 접촉하는 방전영역에 있어서의 방전브러시롤러의 선속도가 상기 중간전사체의 선속도보다도 빨라지도록 구성하면 방전특성의 저하나 브러시부의 털이 쓰러지는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청구항51의 발명은 청구항43 내지 청구항50기재의 어느 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브러시롤러의 식모밀도를 2만대/inch2이상으로 했으므로 중간전사체 표면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브러시부의 접촉대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방전후의 중간전사체에 있어 방전이 고르게 되지 못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52,53의 발명은 청구항43 내지 청구항51 기재의 어느 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브러시롤러를 롤 모양으로 형성할 때 도전성섬유 사이의 틈을 2mm이하로 했으므로 방전브러시롤러의 축방향에 있어 브러시밀도를 거의 균일화할 수 있어 방전후의 중간전사체에 있어서의 방전이 고르게 되지 못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청구항54의 발명은 방전수단이 상기 클리닝수단에 의해 클리닝된 중간전사체의 표면부위에 접촉하여 그것을 방전시키는 것으로 했으므로 상기 방전수단에 2차전사토너 등의 이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방전수단의 방전특성의 저하를 억제하고, 또 이 방전수단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55의 발명은 방전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리시키는 방전부재접리기구와 상기 클리닝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리시키는 클리닝부재접리기구를 구비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상기 방전수단이 상기 클리닝수단에 의해 클리닝된 중간전사체의 표면부위에 접촉하여 이것을 방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56의 발명과 같이 상기 방전수단접리기구가 클리닝수단접리기구로서도 기능하도록 구성하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장치내부의 공간절약을 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57,58의 발명은 청구항55또는 청구항56에 있어서, 상기 방전수단이 상기 중간전사체의 끝 클리닝부위에 접촉하는 영역이 이 방전수단과 상기 클리닝수단을 이 중간전사체에 동시에 접촉시킬 때보다도 적어지도록, 혹은 상기 영역이 없어지도록 상기 방전수단접리기구 및 클리닝수단접리기구를 제어했으므로 이들 수단을 동시에 접촉시키는 경우보다도 방전수단에 부착하는 이물의 부착량을 저감시킬 수 있어 상기 방전수단의 방전특성의 저하를 억제하고, 또 이 방전수단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59의 발명은 방전수단에 직류 혹은 교류의 바이어스, 또는 직류 및교류의 바이어스를 가하여 상기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키는 것으로 했으므로 화상형성속도의 제고를 꾀하기 위해 중간전사체의 표면이동속도를 고속화한 경우라도 이 중간전사체를 안정하게 방전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60의 발명은 클리닝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화상담지체와의 접촉부로부터 이 클리닝수단의 접지부까지 사이의 저항치가 108Ω이하로 되도록 이 클리닝수단을 구성했으므로 중간전사체에 보유된 2차전사전하가 이 클리닝수단내를 통하여 접지부까지 이동가능하게 되어 효율 높게 방전을 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61내지 청구항66의 발명은 토너상을 담지하는 화상담지체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수단에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와 반발하는 극성의 바이어스를 가했으므로 전사잔류토너의 양을 사전에 감소시킨 후 클리닝을 행함으로써 다량의 전사잔류토너를 클리닝하는 경우라도 이 전사잔류토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특히 청구항62의 발명은 상기 클리닝수단에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와 반발하는 극성의 바이어스를 가했으므로 전계형성수단 또는 자계형성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코스트의 절감을 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63,64의 발명은 클리닝수단이 접촉하는 상기 화상담지체의 뒷면에이 뒷면에 접촉하도록 클리닝대응수단을 설치하며 이 클리닝대응수단에 바이어스를 가하여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를 그 화상담지체로부터 이탈시키는 전계를 이 화상담지체위에 형성했으므로 다량의 전사잔류토너를 클리닝하는 경우라도 이 전사잔류토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청구항65의 발명은 클리닝수단에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와 반발하는 극성의 바이어스를 가했으므로 다량의 전사잔류토너를 클리닝하는 경우라도 클리닝성능을 유지할 수 있어 이 전사잔류토너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청구항66의 발명은 상기 클리닝수단이 클리닝블레이드인 클리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블레이드에 있어서의 화상담지체 표면이동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면에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와 반발하는 극성의 바이어스를 가한 부재를 구비했으므로 방전기능을 구비하는 클리닝블레이드의 클리닝성능의 유지를 꾀할 수 있는 클리닝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청구항67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65 또는 청구항 66의 클리닝장치를 구비했으므로 다량의 전사잔류토너를 클리닝하는 경우라도 클리닝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이 전사잔류토너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었다.
청구항68의 발명은 클리닝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담지체위의 전사잔류토너가 상기 클리닝수단에 접촉하는 전방의 영역에 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전사잔류토너를 제거하도록 전계 또는 자계를 형성하여 이 클리닝수단에 접촉하기 전에 이 전사잔류토너를 제거하도록 했으므로 다량의 전사잔류토너를 클리닝하는 경우라도 클리닝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이 전사잔류토너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클리닝방법을 제공할 수 있었다.

Claims (68)

  1. 화상담지체(10)와 중간전사체(21)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22)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21)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10)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21)에 전사하고, 이 중간전사체(21)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전사재(100)위에 전사하며, 상기 중간전사체(21)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전사재위(100)에 전사한 후 이 중간전사체(21)에 접촉하여 이것을 방전시키는 접촉식 방전수단(50)을구비하고, 상기 중간전사체(21)를 방전시킴에 있어 상기 중간전사체(21)의 체적저항율에 응하여 전압을 가변제어하는 가변제어수단(60)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식 방전수단(50)에 직류전압을 가하는 직류전압제어수단(159)을 구비하고, 상기 가변제어수단(60)은 상기 직류전압제어수단(159)으로부터의 직류전압을 상기 중간전사체(21)의 체적저항율이 높을 때는 크게 하고 상기 중간전사체(21)의 표면전위가 낮을 때에는 작게 제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체의 체적저항율이 1011∼1014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체의 체적저항율이 1012∼1013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화상담지체와 중간전사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전사영역에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하고, 이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전사재위에 전사하며,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전사재위에 전사한 후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이것을 방전시키는 접촉식 방전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전을 위해 직류전압을 제어하면서 가함에 있어 중간전사체의 체적저항율에 응하여 상기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5. 화상담지체와 중간전사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하고,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전사재위에 전사하고, 이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전사재위에 전사한 후 이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이것을 방전시키는 접촉식 방전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로,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전위를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구비하며 이 전위검지수단의 검지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직류전압을 제어가능하게 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전위Va에 대한 상기 직류전압V이
    (수학식 1)
    ― 1.3Va ― 650 ≤ V ≤ ― 1.3Va + 550
    을 충족시키도록 상기 제어수단이 이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화상담지체와 중간전사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전사영역에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하고,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전사재위에 전사하고, 이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전사재위에 전사한 후 이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이것을 방전시키는 접촉식 방전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방법으로,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전위를 검지하고 그 검지결과에 응하여 직류전압을 제어하면서 가하여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전위를 방전시키는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전위Va에 대한 상기 직류전압V이
    (수학식 1)
    ― 1.3Va ― 650 ≤ V ≤ ― 1.3Va + 550
    의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이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7. 화상담지체와 중간전사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하고, 이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전사재위에 전사하고,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전사재위에 전사한 후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그것을 방전시키는 접촉식 방전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로,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되는 단일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한 후에 상기 전사재에 전사하는 단일색 모드와는 별도로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토너상을 순차적으로 상기 중간전사체에 중첩시켜 전사한 후에 상기 전사재에 전사하는 복수색 모드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식 방전수단에 직류전압 제어수단에 의해 직류전압을 가함에 있어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단일색 모드인가 상기 복수색 모드인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구비하며 이 판별수단의 판별결과에 응하여 상기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화상담지체와 중간전사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하고, 이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전사재위에 전사하며,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전사재위에 전사한 후 이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이것을 방전시키는 화상형성방법으로,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되는 단일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전사한 후에 상기 전사재에 전사하는 공정과는 별도로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복수의 토너상을 순차적으로 상기 중간전사체에 중첩시켜 전사한 후에 상기 전사재에 전사하는 공정을 구비한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전을 위해 직류전압을 가함에 있어 상기 단일색의 공정인가 상기 복수색의 공정인가에 응해 상기 직류전압을 가변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9. 중간전사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윤활제 도포수단을 구비하는 윤활제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도포수단이 상기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도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도포수단은 윤활제 도포브러시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도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도포수단에 직류 혹은 교류의 바이어스, 또는 직류 및 교류의 바이어스를 가하여 상기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도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도포수단에 직류 혹은 교류의 바이어스, 또는 직류 및 교류의 바이어스를 가하여 상기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도포장치.
  13. 토너상을 담지하는 화상담지체와 중간전사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1차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1차전계를 형성하고 ,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1차전사하고, 상기 1차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와 전사재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2차전사영역에서 상기 전사재위에2차전사시키는 화상형성장치로,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방전기능을 완수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방전기능을 완수하는 수단은 제9,10, 11 또는 12항 기재의 윤활제도포장치에 있어서의 윤활제도포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전사체와의 접촉부로부터 이 윤활제도포수단의 접지부까지 사이의 저항치가 108Ω 이하로 되도록 이 윤활제도포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이고, 상기 윤활제 도포브러시롤러는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상대속도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이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이고, 상기 윤활제 도포브러시롤러는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상대속도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가 회전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가 회전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도포브러시롤러가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종동방향으로 회전구동할 때에 상기 중간전사체와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가 접촉하는 방전영역에 있어서의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의 선속도(線速)가 상기 중간전사체의 선속도보다도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도포브러시롤러가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종동방향으로 회전구동할 때에 상기 중간전사체와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가 접촉하는 방전영역에 있어서의 윤활제도포브러시롤러의 선속도(線速)가 상기 중간전사체의 선속도보다도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토너상을 담지하는 화상담지체를 방전시키는 방전수단과 이 화상담지체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로, 상기 방전수단으로서 윤활제도포수단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이 상기 클리닝수단에 의해 클리닝된 중간전사체의 표면부위에 접촉하여 그것을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체위의 2차전사잔류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리시키는 윤활제도포수단접리기구와, 상기 클리닝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리시키는 클리닝수단접리기구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접리기구가 클리닝수단접리기구로서도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이 상기 중간전사체의 끝 클리닝부위에 접촉하는 영역이 이 윤활제도포수단과 상기 클리닝수단을 이 중간전사체에 동시에 접촉시킬 때보다도 적어지도록, 혹은 상기 영역이 없어지도록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접리기구 및 클리닝수단접리기구를 제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이 상기 중간전사체의 끝 클리닝부위에 접촉하는 영역이 이 윤활제도포수단과 상기 클리닝수단을 이 중간전사체에 동시에 접촉시킬 때보다도 적어지도록, 혹은 상기 영역이 없어지도록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접리기구 및 클리닝수단접리기구를 제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1차 전사영역의 상류 또한 상기 2차전사영역의 하류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7. 제14항 내지 제25항 기재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1차 전사영역의 상류 또한 상기 2차전사영역의 하류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1차 전사영역의 상류 또한 상기 클리닝부재의 하류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9. 제14항 내지 제2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1차 전사영역의 상류 또한 상기 클리닝부재의 하류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1차 전사영역의 상류 또한 상기 클리닝부재의 하류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도포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의 표면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1차 전사영역의 상류 또한 상기 클리닝부재의 하류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2. 중간전사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전사재위에 전사한 후 이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키는 방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윤활제도포수단을 이용하여 이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방법.
  33. 중간전사체와 화상담지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1차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1차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1차전사하고, 이 1차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와 전사재가 대응하여 접촉하는2차전사영역에서 상기 전사재위에 2차전사시키며, 방전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그것을 방전시키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수단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는 부분과, 이 부분으로부터 가장 가깝게 이 중간전사체에 접촉한 부재의 접지부와의 사이의 저항치를 108Ω이하로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4. 중간전사체와 화상담지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1차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1차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1차전사하고, 이 1차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와 전사재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2차전사영역에서 상기 전사재위에 2차전사시키며, 방전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그것을 방전시키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수단에 직류 혹은 교류의 바이어스, 또는 직류 및 교류의 바이어스를 가하고 이 방전수단과 상기 중간전사체가 접촉하는 부분의 뒷면에 접촉하도록 접지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재가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는 부분과, 상기 방전수단의 접지부와의 사이의 저항치를 108Ω이하로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체가 복수개의 지지수단에 팽팽하게 씌워지는 엔드레스벨트로 되는 중간전사벨트이고,
    상기 접지부재를 중간전사벨트를 지지하는 지지롤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체가 복수개의 지지수단에 팽팽하게 씌워지는 엔드레스벨트로 되는 중간전사벨트이고,
    상기 접지부재를 중간전사벨트를 지지하는 지지롤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가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수단과 대응하는 클리닝대응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가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수단과 대응하는 클리닝대응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0. 제36,37,38,3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가 상기 중간전사벨트를 구동하는 구동롤러로서도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1. 제36,37,38,3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전사벨트와의 접촉부로부터 이 지지롤러의 접지부까지 사이의 저항치가 108Ω 이하로 되도록 이 지지롤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전사벨트와의 접촉부로부터 이 지지롤러의 접지부까지 사이의 저항치가 108Ω 이하로 되도록 이 지지롤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3. 중간전사체와 화상담지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1차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1차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1차전사하고, 이 1차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와 전사재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2차전사영역에서 상기 전사재위에 2차전사시키며, 방전수단을 이용하여 이 중간전사재에 접촉하여 그것을 방전시키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수단이 도전성섬유를 롤(Roll)모양으로 형성하여 된 방전브러시롤러이며, 이 방전브러시롤러를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이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브러시롤러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전사벨트와의 접촉부로부터 이 방전브러시롤러의 접지부까지 사이의 저항치가 108Ω 이하로 되도록 이 방전브러시롤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브러시롤러가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상대속도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브러시롤러가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상대속도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브러시롤러가 회전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브러시롤러가 회전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브러시롤러가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종동방향으로 회전구동할때에 이 중간전사체와 방전브러시롤러가 접촉하는 방전영역에 있어서의 방전브러시롤러의 선속도가 상기 중간전사체의 선속도보다도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0.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브러시롤러가 상기 중간전사체에 대해 종동방향으로 회전구동할때에 이 중간전사체와 방전브러시롤러가 접촉하는 방전영역에 있어서의 방전브러시롤러의 선속도가 상기 중간전사체의 선속도보다도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1. 제43항 내지 제5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브러시롤러의 식모밀도를 2만대/inch2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2. 제43항 내지 제5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브러시롤러를 롤 모양으로 형성할 때의 도전성섬유 사이의 틈을 2mm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브러시롤러를 롤 모양으로 형성할 때의 도전성섬유 사이의 틈을 2mm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4. 중간전사체와 화상담지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1차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1차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1차 전사하고, 이 1차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와 전사재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2차전사영역에서 상기 전사재위에 2차전사하는 화상장치로,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그것을 방전시키는 방전수단과 이 중간전사체위의 2차 전사잔류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수단이 상기 클리닝수단에 의해 클리닝된 중간전사체의 표면부위에 접촉하여 그것을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5. 중간전사체와 화상담지체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1차 전사영역에 전하부여수단에 의해 상기 중간전사체에 전하를 부여함으로써 1차전사전계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위에 1차전사하고, 이 1차전사된 토너상을 상기 중간전사체와 전사재가 대응하여 접촉하는 2차전사영역에서 상기 전사재위에 2차전사시키는 화상형성장치로,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촉하여 그것을 방전시키는 방전수단과 이 중간전사체위의 2차전사잔류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리시키는 방전부재접리기구와 상기 클리닝수단을 상기 중간전사체에 접리시키는 클리닝부재접리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수단접리기구가 클리닝수단접리기구로서도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수단이 상기 중간전사체의 끝 클리닝부위에 접촉하는 영역이 이 방전수단과 상기 클리닝수단을 이 중간전사체에 동시에 접촉시킬 때보다도 적어지도록, 혹은 상기 영역이 없어지도록 상기 방전수단접리기구 및 클리닝수단접리기구를 제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수단이 상기 중간전사체의 끝 클리닝부위에 접촉하는 영역이 이 방전수단과 상기 클리닝수단을 이 중간전사체에 동시에 접촉시킬 때보다도 적어지도록, 혹은 상기 영역이 없어지도록 상기 방전수단접리기구 및 클리닝수단접리기구를 제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9. 제54항 내지 제5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수단에 직류 혹은 교류의 바이어스, 또는 직류 및 교류의 바이어스를 가하여 상기 중간전사체를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0. 토너상을 담지하는 화상담지체를 방전시키는 방전수단과, 이 화상담지체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로, 상기 클리닝수단이 상기 방전수단으로서도 기능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수단에 있어서의 상기 화상담지체와의 접촉부로부터 이 클리닝수단의 접지부까지 사이의 저항치가 108Ω 이하로 되도록 이 클리닝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1. 토너상을 담지하는 화상담지체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수단이 접촉하는 상기 화상담지체의 뒷면에 이 뒷면에 접촉하도록 클리닝대응수단을 설치하며 이 클리닝대응수단에 바이어스를 가하여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를 그 화상담지체로부터 이탈시키는 전계를 이 화상담지체위에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지체위의 전사잔류토너가 상기 클리닝수단에 접촉하기 전의 상기 전계영역에서 이 전사잔류토너를 전기적 또는 자기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수단에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와 반발하는 극성의 바이어스를 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3. 삭제
  64.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수단이 접촉하는 상기 화상담지체의 뒷면에 이 뒷면에 접촉하도록 클리닝대응수단을 설치하며 이 클리닝대응수단에 바이어스를 가하여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를 그 화상담지체로부터 이탈시키는 전계를 이 화상담지체위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5. 토너상을 담지하는 화상담지체에 접촉하여 그것을 클리닝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클리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수단에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와 반발하는 극성의 바이어스를 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장치.
  66. 제 6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수단이 클리닝블레이드이고, 상기 클리닝블레이드에 있어서의 화상담지체표면이동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면에 상기 화상담지체위에 잔류한 전사잔류토너와 반발하는 극성의 바이어스를 가한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장치.
  67. 클리닝장치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65항 또는 제66항의 클리닝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8. 토너상을 담지하는 화상담지체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전사재위에 전사한 후 클리닝수단을 이용하여 이 화상담지체를 적당히 클리닝하는 클리닝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담지체위의 전사잔류토너가 상기 클리닝수단에 접촉하는 전방의 영역에 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전사잔류토너를 제거하도록 전계 또는 자계를 형성하여 이 클리닝수단에 접촉하기 전에 이 전사잔류토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방법.
KR1019990052381A 1998-11-24 1999-11-24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방전기술 및클리닝기술의 개량 Expired - Fee Related KR100338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33074 1998-11-24
JP33307498 1998-11-24
JP34643598 1998-12-07
JP10-346435 1998-12-07
JP10-346365 1998-12-07
JP34636598 1998-12-07
JP34633498 1998-12-07
JP10-346334 1998-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645A KR20000035645A (ko) 2000-06-26
KR100338722B1 true KR100338722B1 (ko) 2002-05-30

Family

ID=2748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381A Expired - Fee Related KR100338722B1 (ko) 1998-11-24 1999-11-24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방전기술 및클리닝기술의 개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5) US6269228B1 (ko)
EP (1) EP1014218B1 (ko)
KR (1) KR100338722B1 (ko)
CN (1) CN1123805C (ko)
DE (1) DE69933272T8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049A (ja) 1992-08-28 1994-05-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CN1123805C (zh) 1998-11-24 2003-10-08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中的消电技术及清洁技术的改良
JP2001343843A (ja) * 2000-03-30 2001-12-14 Ricoh Co Ltd 画像形成用ベルト装置
JP3904375B2 (ja) 2000-05-29 2007-04-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963638B2 (ja) 2000-09-07 2007-08-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6611672B2 (en) 2000-09-26 2003-08-26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mono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toner recycling apparatus and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US6733939B2 (en) 2000-09-28 2004-05-11 Ricoh Company, Ltd. Toner, developer and container for the developer,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image
US6653037B2 (en) 2000-11-20 2003-11-25 Ricoh Company, Ltd. Toner for developing latent electrostatic images,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device
JP3933385B2 (ja) 2000-11-28 2007-06-20 株式会社リコー 静電潜像現像用トナー及び画像形成方法
US6701100B2 (en) 2001-01-23 2004-03-0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n image carrier and a polarization uniforming structure
JP2002251033A (ja) 2001-02-22 2002-09-06 Ricoh Co Ltd カラートナー、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方法
JP4360762B2 (ja) * 2001-03-23 2009-11-11 株式会社リコー 光学式エンコーダ装置
US6858365B2 (en) 2001-03-23 2005-02-22 Ricoh Company, Ltd.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ing method and developing apparatus
US6777149B2 (en) 2001-03-23 2004-08-17 Ricoh Company Limite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therefor
EP1248158B1 (en) 2001-04-03 2006-06-07 Ricoh Company, Ltd. Toner, developer,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6816691B2 (en) 2001-05-21 2004-11-09 Ricoh Company Apparatus having endless belt with roughened guide
JP3888862B2 (ja) 2001-05-28 2007-03-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3029550A (ja) 2001-07-13 2003-01-3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3029541A (ja) 2001-07-13 2003-01-3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3057914A (ja) * 2001-08-09 2003-02-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559778B2 (ja) * 2001-08-10 2004-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3057964A (ja) * 2001-08-13 2003-02-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685123B2 (ja) * 2001-11-09 2005-08-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891554B2 (en) * 2002-03-06 2005-05-10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device for writing control and image forming device
US6901234B2 (en) * 2002-03-18 2005-05-3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n intermediate image transfer belt and high resistance contact member
JP2004004574A (ja) * 2002-03-29 2004-01-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868248B2 (en) * 2002-07-19 2005-03-15 Ricoh Company, Ltd.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image formation apparatus
JP2004061792A (ja) * 2002-07-29 2004-02-26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2004109706A (ja) * 2002-09-19 2004-04-08 Ricoh Co Ltd ベルト駆動装置・転写駆動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
EP1424608B1 (en) * 2002-11-05 2015-07-22 Ricoh Company, Ltd. Colour image forming apparatus
US6785486B2 (en) * 2002-11-07 2004-08-31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US7103301B2 (en) * 2003-02-18 2006-09-05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contact or a proximity type of charging system including a protection substance on a moveable body to be charged
US7127191B2 (en) * 2003-03-26 2006-10-2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Cleaning device for collecting toner on a surfac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4165817B2 (ja) 2003-04-10 2008-10-1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4334092A (ja) * 2003-05-12 2004-11-25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らに用いるトナー
JP4647232B2 (ja) * 2003-06-24 2011-03-09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17463A (ja) * 2003-06-24 2005-01-2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トナー
US7203433B2 (en) * 2003-06-25 2007-04-10 Ricoh Company, Ltd. Apparatus for detecting amount of toner deposit and controlling density of image, method of forming misalignment correction pattern,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correcting misalignment of image
JP4778671B2 (ja) * 2003-07-02 2011-09-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に用いる転写用部材の抵抗変化判定方法
JP3954999B2 (ja) 2003-08-18 2007-08-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418192B2 (ja) * 2003-08-20 2010-02-17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70274A (ja) * 2003-08-22 2005-03-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トナー
US7576509B2 (en) * 2003-09-10 2009-08-18 Ricoh Company, Limited Drive control method, drive control device, belt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reading apparatus, computer product
JP2005121919A (ja) * 2003-10-17 2005-05-1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交換ユニット及びクリーナ
KR100555734B1 (ko) * 2004-02-17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05300626A (ja) * 2004-04-07 2005-10-27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画像形成装置
JP4298606B2 (ja) * 2004-08-06 2009-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6072008A (ja) * 2004-09-02 2006-03-16 Ricoh Co Ltd ベル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US7502583B2 (en) * 2004-09-10 2009-03-10 Ricoh Company, Limited Transf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enhancement of an image stored on a recording medium
KR100645959B1 (ko) * 2004-12-03 2006-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롤러 클리닝장치 및 클리닝방법
JP2006163245A (ja) * 2004-12-10 2006-06-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7286785B2 (en) * 2004-12-27 2007-10-2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15340B2 (ja) 2005-03-17 2011-01-19 株式会社リコー ベルトユニット及びこれが挿脱される画像形成装置
JP2006259430A (ja) * 2005-03-18 2006-09-28 Ricoh Co Ltd 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330457A (ja) * 2005-05-27 2006-12-0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7010722A (ja) * 2005-06-28 2007-01-1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4523884B2 (ja) * 2005-06-30 2010-08-11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管理方法
JP5124110B2 (ja) 2005-09-22 2013-01-23 株式会社リコー 潤滑剤供給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押圧装置
JP5081428B2 (ja) 2005-12-08 2012-11-2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7567765B2 (en) * 2006-04-14 2009-07-28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US7395020B1 (en) 2006-04-28 2008-07-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ing methods, imaging devices, transfer assemblies, and transfer member lubrication assemblies
JP4772590B2 (ja) * 2006-05-30 2011-09-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914122B2 (ja) * 2006-06-08 2012-04-11 株式会社リコー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333829A (ja) * 2006-06-13 2007-12-2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トナー供給ローラ、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752671B2 (ja) * 2006-08-17 2011-08-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8268714A (ja) * 2007-04-24 2008-11-06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US7869752B2 (en) * 2007-06-23 2011-01-11 Ricoh Company Limited Cleaning device,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036566B2 (en) * 2007-07-12 2011-10-11 Seiko Epson Corporation Control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953344B2 (en) * 2007-08-22 2011-05-31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quality maintaining method
JP5078570B2 (ja) * 2007-11-22 2012-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9139657A (ja) * 2007-12-06 2009-06-25 Ricoh Co Ltd ベルト部材、転写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ベルト部材仕様決定評価方法
JP5321965B2 (ja) * 2008-09-11 2013-10-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10096798A (ja) * 2008-10-14 2010-04-30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DE102008061638B4 (de) * 2008-12-11 2017-02-23 Océ Printing Systems GmbH & Co. KG Reinigungsanordnung für ein bewegtes zu reinigendes Element bei einem elektrografischen Druckgerät
JP2010217627A (ja) * 2009-03-18 2010-09-3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作像ユニット、および除電光制御方法
JP4793464B2 (ja) * 2009-03-19 2011-10-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653188B2 (ja) * 2009-12-21 2015-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237566A (ja) * 2010-05-10 2011-11-24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5495950B2 (ja) * 2010-05-28 2014-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120141178A1 (en) * 2010-12-03 2012-06-0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Lubricant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194467A (ja) * 2011-03-17 2012-10-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773729B2 (ja) * 2011-04-28 2015-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34964B2 (ja) * 2011-06-02 2014-03-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849776B2 (en) 2012-05-07 2017-12-26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Zero-turn radius lawnmower with suspension system
EP2765460A1 (en) * 2013-02-07 2014-08-13 Xeikon IP BV Image application unit for use with liquid toner and digital printing unit comprising same
JP6501466B2 (ja) * 2014-08-28 2019-04-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005437B2 (en) * 2015-03-11 2018-06-26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Machine suspension system
JP6447552B2 (ja) * 2016-03-18 2019-01-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放電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除電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6821425B2 (ja) * 2016-12-26 2021-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48707B2 (ja) * 2017-01-27 2020-02-1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
US20190146390A1 (en) * 2017-11-10 2019-05-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9091002A (ja) * 2017-11-10 2019-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20091727A1 (en) * 2018-10-29 2020-05-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charging image formation transfer members
KR102784065B1 (ko) * 2021-07-12 2025-03-24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소재 프린트 설비 및 이를 이용한 프린트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337A (ja) * 1992-07-20 1994-02-10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6295132A (ja) * 1992-01-16 1994-10-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713401A (ja) * 1993-06-28 1995-01-17 Ricoh Co Ltd 中間転写方式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103235A (ja) * 1996-04-19 1998-01-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26865A (ja) * 1996-07-10 1998-01-27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1026890A (ja) * 1996-07-12 1998-01-2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中間転写体の除電方法
JPH10240028A (ja) * 1997-02-28 1998-09-11 Seiko Epson Corp 中間転写ユニット
KR19980057481A (ko) * 1996-12-30 1998-09-25 김광호 화상형성장치의 대전전압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1105A (en) * 1972-11-24 1973-12-25 Xerox Corp Constant current biasing transfer system
US4252433A (en) * 1973-05-22 1981-02-24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residual image in an electrostatic copying system
US4555171A (en) * 1982-03-15 1985-11-26 Schlegel Corporation Conductive charge/discharge device
GB2180947B (en) 1985-08-31 1989-08-09 Ricoh Kk Image recording device
US4741942A (en) * 1985-12-04 1988-05-03 Xerox Corporation Electrostatic charging and cleaning brushes
US4760427A (en) 1986-08-04 1988-07-26 Ricoh Company, Ltd. Exposing apparatus for color copier
GB2212419B (en) 1987-12-25 1991-12-04 Ricoh Kk Image density control method and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5099286A (en) * 1988-04-25 1992-03-24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nd method using an intermediate toner image retaining member
US5189478A (en) * 1990-09-29 1993-02-23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charge on a transfer medium
JPH04178680A (ja) * 1990-11-13 1992-06-25 Minolta Camera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US5305061A (en) * 1990-12-21 1994-04-19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ontact charging device that exhibits uniform charging through reduced residual toner adhesion
JPH0594118A (ja) 1991-10-03 1993-04-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557384A (en) * 1992-01-22 1996-09-17 Ricoh Company, Ltd. Image transferring device for image forming equipment
JPH05224565A (ja) 1992-02-14 1993-09-03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キャリヤ除去装置
JPH05265362A (ja) 1992-03-18 1993-10-15 Sharp Corp 電子写真装置
JPH05289530A (ja) * 1992-04-10 1993-11-0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185897B2 (ja) * 1992-04-29 2001-07-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06124049A (ja) 1992-08-28 1994-05-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402727B2 (ja) * 1993-03-01 2003-05-06 キヤノン株式会社 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087500B2 (ja) 1993-03-18 2000-09-11 日立工機株式会社 電子写真記録装置
US5510886A (en) * 1993-04-03 1996-04-2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intermediate image carrier
JP3233509B2 (ja) * 1993-08-31 2001-11-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除電ブラシ
JPH07210011A (ja) * 1994-01-25 1995-08-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469247A (en) * 1994-07-05 1995-11-2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d member cleaning by electrified roller
JP3155915B2 (ja) * 1994-11-18 2001-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0715230B1 (en) * 1994-11-28 2001-10-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method
US5752130A (en) * 1995-07-07 1998-05-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leaning residual toner from a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JPH09114261A (ja) * 1995-10-13 1997-05-02 Canon Inc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5899610A (en) * 1995-12-21 1999-05-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bearing bel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DE69733505T2 (de) * 1996-01-10 2006-05-11 Canon K.K. Zwischen Übertragungselement und elektrophotographisches Gerät mit diesem Element
JP3441587B2 (ja) * 1996-01-29 2003-09-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09305003A (ja) * 1996-05-10 1997-11-28 Fuji Xerox Co Ltd 電荷移動装置、帯電装置、除電装置、および転写装置
US5887218A (en) 1996-06-10 1999-03-23 Ricoh Co., Ltd.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and transfer sheet bearing members and image forming method thereof
JPH1078689A (ja) * 1996-07-08 1998-03-2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161442A (ja) * 1996-10-04 1998-06-19 Ricoh Co Ltd 転写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DE19743786C2 (de) 1996-10-04 2000-11-16 Ricoh Kk Bildübertragungsverfahren, das einen Zwischenübertragungskörper verwendet und Bilderzeugungsapparat zur Durchführung desselben
JP3507305B2 (ja) * 1996-11-01 2004-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445122B2 (ja) * 1996-11-06 2003-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533486B2 (ja) 1997-01-06 2004-05-3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10221974A (ja) 1997-02-07 1998-08-2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078773A (en) * 1997-02-14 2000-06-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US5995794A (en) * 1997-02-28 1999-11-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ntermediate transfer belt
JP3869929B2 (ja) * 1997-03-04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983060A (en) 1997-03-31 1999-11-09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removes a surface potential of a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DE19813697C2 (de) * 1997-03-31 2001-05-31 Ricoh Kk Bilderzeugungsvorrichtung mit Zwischenübertragungselement
JP3594279B2 (ja) 1997-03-31 2004-11-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10333397A (ja) * 1997-04-04 1998-12-18 Canon Inc カラー画像形成装置
DE69825213T2 (de) * 1997-05-20 2005-08-11 Canon K.K. Bilderzeugungsgerät, Bilderzeugungsverfahren und Zwischenübertragungselement
JPH1124368A (ja) * 1997-07-07 1999-01-29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KR100314952B1 (ko) 1998-06-29 2001-11-23 이토가 미찌야 소성변형에 기인한 화상열화를 방지하는 화상형성장치
JP3676932B2 (ja) 1998-11-24 2005-07-27 株式会社リコー 転写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CN1123805C (zh) 1998-11-24 2003-10-08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中的消电技术及清洁技术的改良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5132A (ja) * 1992-01-16 1994-10-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635337A (ja) * 1992-07-20 1994-02-10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713401A (ja) * 1993-06-28 1995-01-17 Ricoh Co Ltd 中間転写方式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103235A (ja) * 1996-04-19 1998-01-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26865A (ja) * 1996-07-10 1998-01-27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1026890A (ja) * 1996-07-12 1998-01-2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中間転写体の除電方法
KR19980057481A (ko) * 1996-12-30 1998-09-25 김광호 화상형성장치의 대전전압 제어장치
JPH10240028A (ja) * 1997-02-28 1998-09-11 Seiko Epson Corp 中間転写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645A (ko) 2000-06-26
US6990309B2 (en) 2006-01-24
DE69933272T2 (de) 2007-05-03
US20020034405A1 (en) 2002-03-21
CN1123805C (zh) 2003-10-08
US6505024B2 (en) 2003-01-07
US20030215269A1 (en) 2003-11-20
DE69933272D1 (de) 2006-11-02
DE69933272T8 (de) 2007-08-30
CN1255657A (zh) 2000-06-07
US6701118B2 (en) 2004-03-02
US6269228B1 (en) 2001-07-31
EP1014218B1 (en) 2006-09-20
EP1014218A3 (en) 2001-12-19
EP1014218A2 (en) 2000-06-28
US20030118378A1 (en) 2003-06-26
US6654574B2 (en) 2003-11-25
US20030123911A1 (en) 200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722B1 (ko)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방전기술 및클리닝기술의 개량
JP3676932B2 (ja) 転写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3516551B2 (ja) 静電画像形成装置
KR100288970B1 (ko) 화상형성장치
JP3733249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305164B1 (ko) 중간전사부재를갖춘화상형성장치
JP2000162881A (ja) 転写装置、画像形成装置、転写方法、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0231286A (ja) 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除電技術及びクリーニング技術の改良
JP5006493B2 (ja) 画像形成装置
JP510607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7095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27830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除電手段のバイアス制御方法
JP2003114579A (ja) 転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117509A (ja) 画像形成装置
JPH11125977A (ja) ベルト転写装置
JP3912846B2 (ja) 画像形成装置
JP384820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618096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36592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除電バイアス制御方法
JPH11316532A (ja) 画像形成装置
JP4261822B2 (ja) 画像形成装置
JPH08202172A (ja) 中間転写体を用いた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053974B2 (ja) 画像形成装置
JP469486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35035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