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60483B1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483B1
KR100560483B1 KR1020040031308A KR20040031308A KR100560483B1 KR 100560483 B1 KR100560483 B1 KR 100560483B1 KR 1020040031308 A KR1020040031308 A KR 1020040031308A KR 20040031308 A KR20040031308 A KR 20040031308A KR 100560483 B1 KR100560483 B1 KR 100560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ell
spacer
terminal
secondary battery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6540A (ko
Inventor
김용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1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483B1/ko
Priority to US11/116,450 priority patent/US7935438B2/en
Priority to JP2005135148A priority patent/JP2005322647A/ja
Priority to CNB2005100683659A priority patent/CN100382374C/zh
Publication of KR20050106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483B1/ko
Priority to US13/070,212 priority patent/US846586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01M50/529Intercell connections through partitions, e.g. in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단위전지를 연결하여 대용량의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 하나의 구조물을 통해 캡과 도전체 사이의 절연과 더불어 단위전지와 단위전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단위전지와 각 단위전지를 전기적으로 직렬연결하는 도전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의 단자에 끼워져 단위전지와 도전체 사이를 절연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단위전지, 전지모듈, 스페이서, 홀, 삽입홈

Description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출력 대용량 전지에 있어서 단위 전지간 연결구조를 개선시킨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한 고출력 이차 전지를 복수개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나의 대용량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전지모듈이라 칭한다)는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고출력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단위전지라 칭한다)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단위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 상기 캡 조립체로 돌출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에 구비된 양,음극판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음극 단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위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전지모듈(100)을 구성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전지(111)의 캡 조립체(113) 상부로 돌출된 양극단자(114) 및 음극단자(115)가 이웃하는 단위전지(111)의 양극단자(114) 및 음극단자(115)와 엇갈리도록 각 단위전지(111)를 교차 배열하고, 나사가공된 음극단자(115)와 양극단자(114)간에 너트(117,118)를 매개로 도전체(116)를 연결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각 단자(114,115)는 수나사로 이루어지고, 각 단자에 일차적으로 너트(117)가 체결되며, 상기 너트(117) 위에 일측 단위전지(111)의 양극단자(114)와 다음 단위전지(111)의 음극단자(11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체(116)가 끼워지며 상기 도전체(116) 위에 다시 너트(118)가 체결되어 도전체(116)를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전지 모듈(100)은 단위전지들(111)이 도전체(116)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도전체(111)가 단자(114, 115)를 축으로 회전할 경우, 단위전지(111)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단위전지(111) 사이에는 단위전지(111)의 냉각을 위한 열전달 매체가 유통되는데, 단위전지(111) 사이의 간격이 좁혀 지면 단위전지들(111)을 지나는 열전달 매체의 양이 감소하여 단위전지들(111)을 안정적으로 냉각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단위전지(111) 사이에 별도의 부재인 격벽(미도시)을 각각 설치하여 단위전지(111)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각각의 단위전지(111) 사이에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여야하므로 부품수가 증가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상기한 전지모듈은 수 개에서 많게는 수십 개의 단위전지를 연결시켜 하나의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따라 각 단위 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어야 하며, 더욱이 HEV(Hybrid Electric Vehicle)에 적용되는 이차 전지의 경우 열 방출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열 방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예컨대, 각 단위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은 전지모듈의 온도 상승을 초래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전지모듈이 적용된 기기의 오작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다수개의 단위전지가 연결된 전지모듈에 있어서는 열방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각 단위전지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 개 이상의 단위전지를 연결함에 있어 금속재질의 캡 조립체와 도전체 사이를 절연시킬 필요가 있다. 두 부재 사이에 절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캡 조립체와 도전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키며 고장을 일으키게 된다.
그리고 도전체와 캡 조립체 사이의 절연을 위하여 종래에는 절연부재인 개스킷(미도시) 등을 설치하여 너트와 캡 조립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경우 각 전지에 별도의 절연부재를 설치해야 하므로 공정수가 늘어나고 부품수가 증가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단위전지간의 간격유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또한 단위전지간의 간격유지와 더불어 캡 조립체와 도전체 사이의 절연이 각각 별개의 구조로 따로따로 이루어져 장치가 복잡해지고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HEV(Hybrid Electric Vehicle)용의 대용량 이차 전지의 경우 단위전지의 개수가 수십 개에 이르므로 상기한 문제가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단위전지를 연결하여 대용량의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 하나의 구조물을 통해 캡 조립체와 단위전지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전체 사이의 절연과 더불어 단위전지와 단위전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이 차 전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다수개의 단위전지와 단위전지의 단자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의 단자에 끼워져 단위전지와 도전체 사이를 절연시키기 위한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차 전지는 HEV 용 이차 전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 상기 양,음극판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조립체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자체적으로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표면에 절연 물질이 피복되어 전기적으로 부도체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는 캡 조립체와 도전체 사이에 간단히 끼워져 금속재질의 캡 조립체와 도전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페이서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된 각 단위전지 사이로 연장되어 각 단위전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페이서는 전지모듈과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 바형태로 전면에는 각 단위전지의 단자가 끼워지는 홀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하부에 상기 각 단위전지의 케이스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더욱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페이서를 설치하면 각 단위전지의 캡 조립체 위에 놓여져 단자에 설치되는 도전체와 캡 조립체 사이를 절연시킴과 더불어 하단에 형성된 삽입홈에 각 단위전지의 케이스가 끼워져 케이스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지모듈은 각 단위전지의 배열에 따라 단자들이 일렬로 늘어서는 단자열이 만들어지는 데 상기 스페이서는 각 단자열에 각각 설치되거나, 상기 단자열에 설치되는 각 스페이서가 일체로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의 고정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스페이서는 홀을 통해 돌출되는 양,음극단자에 끼워져 스페이서 위에 놓여지는 도전체와, 상기 양,음극단자에 체결되는 너트를 매개로 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먼저 대용량의 전지모듈(10)을 이루는 각 단위전지(11)의 구조를 살펴보면 양극판과 음극판이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12), 상기 케이스(12)와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13), 상기 양,음극판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 결되고 상기 캡 조립체(13)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음극단자(14,15)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2)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제작되고, 그 형상은 전극 조립체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부를 가진 육면체 또는 그 이외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단위전지(11)는 캡 조립체(13) 위로 두 개의 단자(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돌출되어 있고, 각 단자(14,15)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각 단위전지(11)는 대용량의 전지모듈(10)을 구성하기 위하여, 단자(14,15)가 상부를 향하는 상태로 놓여지고 일측 단위전지(11)의 캡 조립체(13) 상부로 돌출된 양극단자(14) 및 음극단자(15)가 이웃하는 단위전지(11)의 양극단자(14) 및 음극단자(15)와 엇갈리도록 교차 배열된다.
이에 따라 단위전지(11)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반복되면서 일정간격으로 늘어서는 단자열이 형성된다.(즉, 상기 단자열은 극성이 교차되는 단자들이 일렬로 늘어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라인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한 전지모듈(10)은 각 단위전지(11)를 직렬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이웃하는 단위전지(11)간의 양극단자(14)와 음극단자(15)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체(16)가 장착되며, 상기 도전체(16)는 양단에 홀(17)이 형성된 판구조로 상기 홀(17)을 통해 각 단자(14,15)에 끼워지고, 홀(17)을 통해 도전체(16) 위로 돌출된 단자에 너트(18)가 체결되어 도전체(16)를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일측 단위전지(11)의 양극단자(14)는 다음에 놓여져 있는 단위전지(11)의 음극단자(15)와 도전체(16)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다음 단위전지(11)의 다른쪽 단자열에 위치한 양극단자는 그 다음에 놓여져 있는 단위전지(11)의 음극단자와 도전체(16)를 매개로 연결되어 전체 단위전지(11)가 직렬로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이차 전지는 상기한 구조의 전지모듈(10)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11)의 캡 조립체(13)와 단자(14,15)에 설치되는 도전체(16) 사이에 스페이서(20)가 더욱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20)는 배열된 상기 단위전지(11)의 일측 단자열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바형태로 이루어지고 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각 단위전지(11)의 단자가 끼워지는 홀(21)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각 단위전지(11)의 케이스(12)가 삽입되는 삽입홈(22)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22)은 그 폭이 단위전지(11)의 케이스(12) 폭과 대략 동일한 구조로 하여 삽입홈(22) 내에 끼워진 케이스(12)가 삽입홈(22)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페이서(20)는 각 단위전지(11)의 단자가 이루는 두 개의 단자열에 맞춰 두 개가 구비되어 각 단자열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전지모듈(10)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도전체(16)를 체결하기 전에 스페이서(20)에 형성된 각 홀(21)을 각 단위전지(11)의 단자에 맞추고 스페이서(20)를 단자에 끼워주게 되면 캡 조립체(13) 위에 스페이서(20)가 놓이게 되고, 절연 재질로 부도체인 스페이서(20)가 단위전지(11)의 캡 조립체(13)와 도전체(16) 사이에 위치하므로 금속재질의 캡 조립체(13)와 도전체(16)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단위전지(11)에 스페이서(20) 체결시 상기 스페이서(2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홈(22)에 각 단위전지(11)의 케이스(12)가 끼워지게 되며, 따라서 스페이서(20)에 형성된 삽입홈(22)의 간격에 맞춰 각 단위전지(11)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22)은 스페이서(20)에 형성되는 각 홀(2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단지 스페이서(20)의 홀(21)을 각 단위전지(11)의 단자에 맞춰 끼우는 것으로 단자가 설치된 단위전지(11)의 케이스(12)를 삽입홈(22)에 맞춰 끼울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단위전지(11)에 스페이서(20)가 체결되면 스페이서(20)의 홀(21)을 통해 위로 돌출된 각 단자의 극성에 맞춰 도전체(16)를 설치한다.
도전체(16)의 양단에 형성된 홀(17)이 이웃하는 단위전지(11)간의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에 끼워지면 도전체(16)는 스페이서(20) 위에 놓여진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도전체(16)의 홀(17)을 통해 돌출된 양 단자에 너트(18)를 체결하여 조여줌으로써 단위전지(11)를 직렬로 연결시킴과 더불어 스페이서(2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간단히 스페이서(20)를 각 단자에 맞춰 끼우는 것으로 도전체(16)와 단위전지(11)의 캡 조립체(13) 간의 절연과 전지모듈(10)을 이루는 단위전지(11)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각 단위전지(11) 사이에는 냉각을 위한 열전달 매체가 유통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전지(11)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각 단위전지(11) 사이로 균일한 양의 열전달 매체가 유통되어 단위전지(11)의 냉각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도 4는 본 이차 전지의 또다른 실시예로, 스페이서(30)가 전체 단위전지(11)를 덮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차 전지는 단위전지(11)의 캡 조립체(13)와 단자에 설치되는 도전체(16)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30)가 단위전지(11)의 배열에 의해 나타나는 두 개의 단자열 전체를 덮는 판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전면에는 각 단자열을 이루는 단자(14,15)가 끼워지는 홀(21)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각 단위전지(11)의 케이스(12)가 삽입되는 삽입홈(22)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페이서는 배열되어 있는 단위전지(11) 전체를 덮게 되어, 하나의 스페이서(30)를 통해 전지모듈(10) 전체의 캡 조립체(13)와 도전체(16) 사이를 절연시킬 수 있고 더불어 삽입홈(22)으로 단위전지(11)의 케이스(12)가 삽입되어 단위전지(11)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판 상의 스페이서(30)의 고정은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홀(21)을 통해 스페이서(30) 위쪽으로 돌출되는 단자에 도전체(16)를 끼우고 너트(18)로 조여줌으로써 체결 고정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체와 전지의 캡 조립체 사이를 간단히 절연시킴과 더불어 각 전지 사이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전지의 열방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부품을 통해 절연기능과 간격유지기능을 한번에 얻을 수 있게 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량을 줄일 수 있으며, 부품 감소를 통한 원가 절감의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0)

  1. 다수개의 단위전지와 각 단위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의 케이스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위전지가 갖는 단자를 끼움하면서 상기 단위전지와 상기 도전체 사이에 설치되는 절연성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HEV(Hybrid Electric Vehicle)의 주행 모터 구동용인 이차 전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단위전지는 임의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각 스페이서는 각 단위전지의 단자가 형성된 부위 뿐만 아니라 각 단위전지 사이로 연장 형성되는 이차 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전지모듈과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고 전면에는 각 단위전지의 단자가 끼워지는 홀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이차 전지.
  5. 삭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각 단위전지의 배열에 따라 일렬로 늘어서는 단자열에 각각 설치되는 이차 전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열에 설치되는 각 스페이서가 일체로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는 이차 전지.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홀을 통해 돌출되는 양,음극단자에 끼워져 스페이서 위에 놓여지는 도전체와, 상기 양,음극단자에 체결되는 너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이차 전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외측면에 절연 물질이 피복된 이차 전지.
  10. 양극판과 음극판이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 상기 양,음극판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조립체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음극단자를 포함하고, 단자의 극성이 엇갈리도록 교차 배열되는 다수개의 단위전지와;
    전면에 상기 각 단위전지의 단자가 관통되는 홀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각 단위전지의 케이스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각 단위전지 위에 놓여지는 절연체인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홀을 통해 돌출되는 이웃하는 양,음극단자에 끼워져 스페이서 위에 놓여지는 도전체와, 상기 양,음극단자에 체결되어 상기 도전체를 고정하는 너트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20040031308A 2004-05-04 2004-05-04 이차 전지 KR100560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308A KR100560483B1 (ko) 2004-05-04 2004-05-04 이차 전지
US11/116,450 US7935438B2 (en) 2004-05-04 2005-04-28 Secondary battery module
JP2005135148A JP2005322647A (ja) 2004-05-04 2005-05-06 二次電池モジュール
CNB2005100683659A CN100382374C (zh) 2004-05-04 2005-05-08 蓄电池组件
US13/070,212 US8465867B2 (en) 2004-05-04 2011-03-23 Secondary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308A KR100560483B1 (ko) 2004-05-04 2004-05-04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540A KR20050106540A (ko) 2005-11-10
KR100560483B1 true KR100560483B1 (ko) 2006-03-13

Family

ID=3523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308A KR100560483B1 (ko) 2004-05-04 2004-05-04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935438B2 (ko)
JP (1) JP2005322647A (ko)
KR (1) KR100560483B1 (ko)
CN (1) CN10038237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807B1 (ko) 2005-12-16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2518A1 (en) * 2001-10-04 2007-01-04 Ise Corporation High-Power Ultracapacitor Energy Storage Pack and Method of Use
US20080068801A1 (en) * 2001-10-04 2008-03-20 Ise Corporation High-Power Ultracapacitor Energy Storage Cell Pack and Coupling Method
US20070020513A1 (en) * 2001-10-04 2007-01-25 Ise Corporation Energy Storage Cell Support Separator and Cooling System for a Multiple Cell Module
US20060257725A1 (en) * 2001-10-04 2006-11-16 Ise Corporation Energy Storage Cell Support Separator System for a Multiple Cell Module and Method of Use
US20090021871A1 (en) * 2001-10-04 2009-01-22 Ise Corporation Energy Storage Pack Having Overvoltage Protection and Method of Protection
US7085112B2 (en) * 2001-10-04 2006-08-01 Ise Corporation High-power ultracapacitor energy storage pack and method of use
US20090190273A1 (en) * 2001-10-04 2009-07-30 Ise Corporation Ultracapacitor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With Self Verification
KR100560483B1 (ko) * 2004-05-04 2006-03-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860454B1 (ko) * 2004-10-08 2008-09-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
KR100684743B1 (ko) * 2004-10-28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100696669B1 (ko) * 2005-08-10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JP2007048750A (ja) 2005-08-10 2007-02-22 Samsung Sdi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KR100669468B1 (ko) * 2005-11-30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격벽
KR100821859B1 (ko) * 2006-02-09 2008-04-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단자 연결부의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US7960943B2 (en) * 2006-11-17 2011-06-14 Cobasys, Llc Modular battery system having battery monitoring and data collection capability
JP5326209B2 (ja) * 2006-12-27 2013-10-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JP5326208B2 (ja) * 2006-12-27 2013-10-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US9196889B2 (en) 2007-01-12 2015-11-2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lectrode structure and batter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100869803B1 (ko) * 2007-01-31 2008-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EP3689274A1 (en) 2007-02-05 2020-08-05 Boston Scientific Limited Thrombectomy system
WO2008099602A1 (ja) * 2007-02-16 2008-08-21 Panasonic Corporation 蓄電ユニット
US8889282B2 (en) * 2007-10-27 2014-11-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a motor vehicle
JP4539763B2 (ja) * 2008-06-13 2010-09-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極
JP5288973B2 (ja) * 2008-09-29 2013-09-11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US9510854B2 (en) 2008-10-13 2016-12-0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hrombectomy catheter with control box having pressure/vacuum valve for synchronous aspiration and fluid irrigation
JP4858726B2 (ja) 2009-01-07 2012-01-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の保持構造
KR101041154B1 (ko) 2009-03-03 2011-06-1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모듈
CN102024921B (zh) * 2009-09-14 2013-04-10 北京理工大学 一种全封闭叠层电池箱
TWI382577B (zh) * 2009-10-01 2013-01-11 Apogee Power Inc The battery module setting structure of the generator starting power supply unit
WO2011047049A1 (en) * 2009-10-14 2011-04-21 Micro Power Electronics, Inc. Temporary insulator for battery pack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2064351A (zh) * 2009-11-13 2011-05-18 艾普兹动力有限公司 发电机起动电源机组的电池模块设置结构
JP5341739B2 (ja) * 2009-12-16 2013-11-13 豊田合成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1097224B1 (ko) 2009-12-22 2011-12-21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팩
EP2529428A1 (de) * 2010-01-28 2012-12-05 Magna E-Car Systems GmbH & Co OG Akkumulator mit vorrichtung zur temperierung der akkumulatorzellen
US8361646B2 (en) * 2010-03-15 2013-01-29 Electronvault, Inc. Modular interconnection system
US20110223468A1 (en) * 2010-03-15 2011-09-15 Electronvault, Inc. Variable Energy System
US20110223458A1 (en) * 2010-03-15 2011-09-15 Electronvault, Inc. Power Cell Array Receiver
US20110221398A1 (en) * 2010-03-15 2011-09-15 Electronvault, Inc. Impedence Balancer
US20110236742A1 (en) * 2010-03-23 2011-09-29 Deng Ping-Hua Fault protection bateery cover assembly
KR101136310B1 (ko) * 2010-06-07 2012-04-1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199179B1 (ko) * 2010-06-09 2012-1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스택의 전원단 연결구조
US8480426B2 (en) * 2010-06-09 2013-07-09 Delta Electronics, Inc. Battery connecting tabs
JP2012113944A (ja) * 2010-11-24 2012-06-14 Mitsubishi Heavy Ind Ltd 電池モジュール
JP5229511B2 (ja) * 2010-12-24 2013-07-0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の保持構造
US9196880B2 (en) 2011-01-26 2015-11-24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with offset battery cells
RU2461917C1 (ru) * 2011-07-07 2012-09-20 Энерджи Контрол Лимитед Конструкция батарейной сборки
US20130034771A1 (en) * 2011-08-02 2013-02-07 Onepoint Solutions, Llc Multi-cell battery
US10468644B2 (en) 2011-10-17 2019-11-05 Samsung Sdi Co., Ltd Battery cell with integrated mounting foot
KR101292276B1 (ko) * 2011-12-07 2013-08-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용 단자 연결 장치
JP5758502B2 (ja) * 2011-12-09 2015-08-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モジュール
US8703312B2 (en) * 2011-12-23 2014-04-22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JP2012124177A (ja) * 2012-02-22 2012-06-28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
KR101897829B1 (ko) * 2012-03-15 2018-09-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절연부재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JP6124121B2 (ja) * 2012-05-21 2017-05-10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の製造方法、スペーサ、及び蓄電装置
JP6036095B2 (ja) * 2012-09-26 2016-11-30 株式会社Gsユアサ 組電池
KR101678533B1 (ko) 2012-10-10 2016-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
JP6264720B2 (ja) * 2012-12-04 2018-01-24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JP6065605B2 (ja) * 2013-01-22 2017-01-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及び蓄電モジュール
JP5648714B2 (ja) * 2013-05-31 2015-01-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JP5626407B2 (ja) * 2013-05-31 2014-11-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KR101591691B1 (ko) * 2013-06-11 2016-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진동 특성이 향상된 전기화학소자 및 전지 모듈
JP6127836B2 (ja) * 2013-08-29 2017-05-17 株式会社Gsユアサ 電源モジュール及び絶縁板
JP2015049950A (ja) * 2013-08-29 2015-03-16 株式会社Gsユアサ 電源モジュール及び絶縁板
JP6064878B2 (ja) * 2013-11-29 2017-01-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モジュール
JP5854061B2 (ja) * 2014-01-31 2016-02-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US9972815B2 (en) 2014-02-05 2018-05-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ction battery spacer with retention element
CN103872403B (zh) * 2014-03-07 2016-10-05 中航锂电(洛阳)有限公司 防过热电池模块
US9248221B2 (en) 2014-04-08 2016-02-02 Incuvate, Llc Aspir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9433427B2 (en) 2014-04-08 2016-09-06 Incuvat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thrombosis
US9883877B2 (en) 2014-05-19 2018-02-06 Walk Vascula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al of blood and thrombotic material
US9666844B2 (en) * 2014-08-26 2017-05-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pport structure for angled battery cell configuration for a traction battery assembly
KR102072080B1 (ko) * 2015-01-21 2020-01-3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장치
US10702292B2 (en) 2015-08-28 2020-07-07 Incuvate, Llc Aspir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10561440B2 (en) 2015-09-03 2020-02-18 Vesatek,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ipulating medical devices
US20170100142A1 (en) 2015-10-09 2017-04-13 Incuvat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thrombosis
US10226263B2 (en) 2015-12-23 2019-03-12 Incuvate, Llc Aspir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10492805B2 (en) 2016-04-06 2019-12-03 Walk Vascula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hrombolysis and delivery of an agent
KR20180072221A (ko) 2016-12-21 2018-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2657580B1 (ko) 2017-02-09 2024-04-15 에이치그린파워 주식회사 변형 가능 직병렬 연결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598260B1 (ko) * 2018-06-12 2023-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모듈
US11678905B2 (en) 2018-07-19 2023-06-20 Walk Vascula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al of blood and thrombotic material
CN111668407B (zh) * 2019-03-08 2022-04-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和具有其的车辆
JP7457872B2 (ja) 2020-10-19 2024-03-28 ジアンス・コンテンポラリー・アンプレックス・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 電池、電気装置、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102646202B1 (ko) 2020-10-19 2024-03-12 지앙수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배터리, 전기 장치, 배터리를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KR102724404B1 (ko) * 2020-10-19 2024-10-30 지앙수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배터리, 전기 장치 및 배터리 제조 방법, 기기
CN112531251A (zh) * 2020-12-04 2021-03-19 惠州市伟江实业有限公司 镍氢电池模组
JP2024506374A (ja) 2021-02-15 2024-02-13 ウォーク バスキュラー, エルエルシー 血液および血栓性物質を除去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7969A (en) * 1975-10-22 1978-10-03 Japan Storage Battery Company Limited Method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electric storage batteries
US4291106A (en) * 1980-05-27 1981-09-22 General Electric Company Battery linkage system
US4957829A (en) * 1989-06-26 1990-09-18 At&T Bell Laboratories Modular battery plant system assembly comprising multiple unit cell modules
US5154646A (en) * 1991-11-12 1992-10-13 Shoup Kenneth E Battery clamp
US5472802A (en) * 1993-10-25 1995-12-05 Ovonic Battery Company, Inc. Sealed hydride batteries, including a new lid-terminal seal and electrode tab collecting comb
JPH0841640A (ja) 1994-08-03 1996-02-13 Nissin Electric Co Ltd 被処理基体のホルダー
JP3998736B2 (ja) * 1996-02-13 2007-10-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平角型電池モジュール
JP3344231B2 (ja) * 1996-08-21 2002-11-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の接続構造
JPH10199497A (ja) 1997-01-14 1998-07-31 Yuasa Corp 集合電池装置
JP4524839B2 (ja) 2000-02-15 2010-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JP2002246074A (ja) * 2001-02-13 2002-08-30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組電池
JP2002260745A (ja) 2001-02-27 2002-09-13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 池
KR100560483B1 (ko) * 2004-05-04 2006-03-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627294B1 (ko) * 2004-10-28 2006-09-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0601577B1 (ko) * 2005-03-24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807B1 (ko) 2005-12-16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65867B2 (en) 2013-06-18
US20110177382A1 (en) 2011-07-21
JP2005322647A (ja) 2005-11-17
US20050250006A1 (en) 2005-11-10
KR20050106540A (ko) 2005-11-10
CN1694294A (zh) 2005-11-09
US7935438B2 (en) 2011-05-03
CN100382374C (zh)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0483B1 (ko) 이차 전지
KR100949333B1 (ko) 전지 모듈
KR100684743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560498B1 (ko) 이차 전지와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US4719157A (en) Fuel cell stack assembly
KR100627306B1 (ko) 이차 전지
KR20060104070A (ko)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모듈
KR100627394B1 (ko) 이차 전지 모듈
EP3496179B1 (en) Connector for a battery pack
KR100590049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앤드플레이트
KR102085742B1 (ko) 가스배기 및 방열 기능을 가진 전지셀 어셈블리
KR102085750B1 (ko) 전지셀 어셈블리
KR100570779B1 (ko) 연결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이차 전지 및 이로 구성된이차 전지 모듈
KR20070006956A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96631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590107B1 (ko) 이차 전지
KR101084064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 앤드플레이트
KR102028156B1 (ko) 조립형 배터리팩
KR100627343B1 (ko) 이차 전지 모듈
KR20100072828A (ko) 이차 전지 모듈
KR20060061486A (ko) 이차 전지의 케이스와,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및 이차전지 모듈
KR20060118798A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69331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84744B1 (ko)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모듈
KR100627341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