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90049B1 -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앤드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앤드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0049B1
KR100590049B1 KR1020040099321A KR20040099321A KR100590049B1 KR 100590049 B1 KR100590049 B1 KR 100590049B1 KR 1020040099321 A KR1020040099321 A KR 1020040099321A KR 20040099321 A KR20040099321 A KR 20040099321A KR 100590049 B1 KR100590049 B1 KR 100590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end plate
secondary battery
unit cells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0818A (ko
Inventor
전윤철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9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0049B1/ko
Priority to US11/273,930 priority patent/US7625665B2/en
Priority to JP2005342443A priority patent/JP4961136B2/ja
Priority to CNB2005101270776A priority patent/CN100369295C/zh
Publication of KR20060060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04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단위 전지와, 상기 적층된 단위 전지의 최 외측에 놓여지고 상기 단위 전지에 접하는 한 쌍의 앤드플레이트, 상기 앤드플레이트에 돌출 형성된 체결부재 사이에 관통되어 한 쌍의 앤드플레이트를 체결 고정시키는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앤드플레이트는 그 두께가 상기 체결부재의 두께보다 얇은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앤드플레이트, 체결부재, 평판부재, 두께

Description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 앤드플레이트{SECONDARY BATTERY MODULE AND END-PLA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개략적인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앤드 플레이트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단위 전지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써, 저용량 전지의 경우 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전지의 경우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 데, 대표적인 형상으로 는 원통형, 각형을 들 수 있으며,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한 고출력 이차 전지를 복수개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대용량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전지모듈이라 칭한다)는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단위전지라 칭한다)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단위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 상기 캡 조립체로 돌출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에 구비된 양,음극판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음극 단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위전지는 통상 각형 전지의 경우 캡 조립체 상부로 돌출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엇갈리도록 각 단위전지를 교차 배열하고, 나사가공된 음극단자와 양극단자간에 너트를 매개로 도전체를 연결설치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전지모듈은 수 개에서 많게는 수십 개의 단위전지를 연결시켜 하나의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따라 적층되는 단위 전지들을 고정시키기 위해 앤드플레이트가 사용된다.
이에 상기 앤드플레이트를 적층된 단위 전지의 최 외측에 위치시키고 각 앤드플레이트를 연결로드와 너트로 체결하여 조여줌으로서 앤드플레이트 사이에 단위 전지를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앤드플레이트는 무게가 무거운 단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전지 모듈의 무게 당 출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더욱이 HEV(Hybrid Electric Vehicle) 등과 같은 차량의 경우 차체의 무게는 곧 연비 등에 직결되므로 상기와 같이 중량이 나가는 종래의 전지모듈이 HEV에 적용되는 경우 출력 감소와 연비 저하 등의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 앤드플레이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개의 단위 전지와, 상기 적층된 단위 전지의 최 외측에 놓여지고 상기 단위 전지에 접하는 한 쌍의 앤드플레이트, 상기 앤드플레이트에 돌출 형성된 체결부재 사이에 관통되어 한 쌍의 앤드플레이트를 체결 고정시키는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앤드플레이트는 그 두께가 상기 체결부재의 두께보다 얇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앤드플레이트의 두께를 얇게 하여 전지 모듈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앤드플레이트의 두께는 단위 전지들을 가압 밀착시킴에 있어서 허용 응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최소한의 두께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 전지는 각형의 이차 전지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 전지 사이에는 단위 전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냉각매체가 유통되는 전지격벽이 더욱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앤드플레이트는 서로 대향되는 양측단에 체결부재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의 형성위치는 앤드플레이트의 측단 중앙부 또는 양 선단부일 수 있으며 앤드플레이트의 전면이 단위 전지에 균일하게 가압될 수 있으면 그 형성위치나 형성 개수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전면에 상기 연결로드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로드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선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너트를 매개로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앤드플레이트와 상기 체결부재 사이의 연결부가 원호형태의 단면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에 걸리는 응력을 고르게 분산시켜 응력 집중에 따라 체결부재가 앤드플레이트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앤드플레이트는 각형의 단위 전지 측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단위 전지의 측면에 접하는 평판부재와, 이 평판부재 상단과 하단에 돌출 형성되고 전면에는 홀이 관통형성된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평판부재는 상기 체결부재보다 그 두께가 얇은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앤드플레이트는 평판부재와 상기 체결부재 사이의 연결부가 원호형태의 단면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차 전지 모듈은 HEV(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EV(전기 자동 차), 무선 청소기, 전동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과 같이 모터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기기에 있어, 해당 기기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은 대용량의 전지 모듈로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연속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 전지(11)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위 전지(11)로 각형의 단위 전지가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각각의 단위 전지(11)는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에 양극판과 음극판이 배치되는 전극 조립체를 구비하여, 기설정된 양의 전력을 충,방전시키는 통상적인 구조의 이차전지로 구성되며, 상기 단위 전지(11) 사이에는 단위 전지(1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냉각매체를 단위 전지(11) 사이로 유통시키기 위한 전지격벽(12)이 구비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은 다수의 단위 전지(11)들이 적층되고 단위 전지 사이에 배치되는 전지 격벽(15)에 의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게 연속 배열되어 전지열을 이루게 된다.
상기한 전지열은 전지열을 이루는 단위 전지(11)들 중 전지열의 최 외측에 위치한 단위 전지(1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한 쌍의 앤드플레이트(20)에 의해 밀착되고, 앤드플레이트(20)를 연결하는 연결로드(30)에 의해 고정되어 하나의 모듈(10)을 이루게 된다.
상기 앤드플레이트(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전지(11)의 전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단위 전지 전면에 밀착되는 평판부재(22)와, 이 평판부재(2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부재(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21)와 연결로드(30)의 설치구조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체결부재(21)의 전면에는 연결로드(30)가 끼워지는 홀(24)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드(30)는 볼트형태로 이루어져 선단에는 나사산이 가공된 구조로 상기 체결부재(21)의 홀(24)로 관통되어 너트(31)를 매개로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21)에 형성된 홀(24)을 통해 연결로드(30)를 끼우고 너트(31)를 체결하게 되면 전지열의 양 측에 놓여진 앤드플레이트(20)를 조여 단위 전지들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앤드플레이트(20)의 평판부재(22)와 상기 체결부재(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판부재(22)의 두께(d)와 비교하여 상기 체결부재(21)의 두께(D)가 상대적으로 큰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연결로드(30)가 장착되어 응력이 발생되는 체결부재(21)의 두께(D)를 크게 함으로써 응력에 대한 강성을 확보함과 더불어 평판부재(22)의 두께(d)를 최 소화하여 앤드플레이트(20)의 무게를 줄이고 이에 따라 전지 모듈(10)의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단위 전지(11)의 체결력을 높이고 전지 모듈(10)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앤드플레이트(20)의 평판부재(22)와 상기 체결부재(21) 사이의 연결부(23)는 두께방향을 따라 안쪽을 향해 원호형 단면형태로 가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앤드플레이트(20)와 체결부재(21)의 두께 차이에 관계없이 앤드플레이트(20)와 체결부재(21)가 부드럽게 연결됨과 더불어 호형태의 연결부(23) 전체에 걸쳐 응력이 분산되어 응력 집중에 따른 앤드플레이트(20)와 체결부재(21) 사이의 절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수개의 단위 전지(11) 사이와 단위 전지(11) 사이에 놓여지는 전지격벽(12)을 일렬로 적층한 상태에서 배열된 단위 전지(11) 중 최 외측의 단위 전지(11)에 각각 본 실시예에 따른 앤드플레이트(20)를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앤드플레이트(20)에 돌출형성된 체결부재(21)의 홀(24)을 통해 연결로드(30)를 관통하고 홀(24)을 통해 일측 앤드플레이트(20)의 체결부재(21)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로드(30)의 선단에 너트(31)를 체결하여 조여주게 되면 다수개의 단위 전지(11)와 전지격벽을 하나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체결부재(21)는 연결로드(30)에 의해 안쪽으로 조여짐에 따라 앤드플레이트(20)와 체결부재(21) 사이의 연결부(23)에는 응력이 발생되는 데, 이러한 응력은 원호형태의 형성된 연결부(23) 전체에 걸쳐 분산됨으로써 어느 한 곳에서 응력이 집중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전지 모듈은, 고출력/대용량을 요구받는 HEV용 전지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 용도가 HEV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지 모듈의 중량을 줄여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단위 전지 체결시 발생되는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응력 집중에 의한 모듈 파손을 방지하고 전지 모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다수개의 단위 전지와,
    상기 적층된 단위 전지의 최 외측에 놓여지고 상기 단위 전지에 접하는 한 쌍의 앤드플레이트,
    상기 앤드플레이트에 돌출 형성된 체결부재 사이에 관통되어 한 쌍의 앤드플레이트를 체결 고정시키는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앤드플레이트는 그 두께가 상기 체결부재의 두께보다 얇은 이차 전지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 사이에 전지격벽이 설치되는 이차 전지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앤드플레이트는 단위 전지 측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단위 전지에 접하는 평판부재와, 이 평판부재 상단과 하단에 돌출 형성되고 전면에는 홀이 관통형성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앤드플레이트는 서로 대향되는 양측단에 체결부재가 돌출 형성된 이차 전지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선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너트를 매개로 체결되는 이차 전지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앤드플레이트와 상기 체결부재 사이의 연결부는 원호형태의 단면구조를 이루는 이차 전지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모듈은 모터 구동용인 이차 전지 모듈.
  8. 단위 전지의 측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단위 전지에 접하는 평판부재와, 이 평판부재 상단과 하단에 돌출 형성되고 전면에는 홀이 관통된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평판부재의 두께는 상기 체결부재의 두께보다 얇은 이차 전지 모듈의 앤드플레이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재와 상기 체결부재 사이의 연결부는 원호형태의 단면구조를 이루는 이차 전지 모듈의 앤드플레이트.
KR1020040099321A 2004-11-30 2004-11-30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앤드플레이트 Expired - Fee Related KR100590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321A KR100590049B1 (ko) 2004-11-30 2004-11-30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앤드플레이트
US11/273,930 US7625665B2 (en) 2004-11-30 2005-11-14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end-plate used in the same
JP2005342443A JP4961136B2 (ja) 2004-11-30 2005-11-28 二次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に適用される単位電池固定用エンドプレート
CNB2005101270776A CN100369295C (zh) 2004-11-30 2005-11-30 二次电池组件和在该组件中使用的端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321A KR100590049B1 (ko) 2004-11-30 2004-11-30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앤드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818A KR20060060818A (ko) 2006-06-05
KR100590049B1 true KR100590049B1 (ko) 2006-06-14

Family

ID=3677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32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90049B1 (ko) 2004-11-30 2004-11-30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앤드플레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90049B1 (ko)
CN (1) CN10036929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631B1 (ko) 2005-08-11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CN101290980B (zh) * 2007-08-24 2013-09-04 北京理工大学 电池成组连接方法
KR101084223B1 (ko) * 2009-12-18 2011-11-1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리스트레이너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KR101126889B1 (ko) * 2010-05-31 2012-03-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9196883B2 (en) * 2010-11-04 2015-11-24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DE102011120511A1 (de) * 2011-12-07 2013-06-13 Daimler Ag Batterie und Zellblock für eine Batterie
JP5754432B2 (ja) * 2012-10-15 2015-07-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み付けパレット
JPWO2018012349A1 (ja) * 2016-07-12 2019-05-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6637951B2 (ja) * 2017-12-12 2020-01-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ユニット
CN113632305B (zh) * 2019-03-29 2023-11-28 三洋电机株式会社 电源装置和使用该电源装置的电动车辆以及蓄电装置、电源装置用紧固构件、电源装置的制造方法、电源装置用紧固构件的制造方法
CN210136909U (zh) * 2019-06-18 2020-03-1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温控组件及电池包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898A (ja) * 1999-08-31 2001-03-21 Fuji Heavy Ind Ltd 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CN2450785Y (zh) * 2000-11-17 2001-09-26 天津和平海湾电源集团有限公司 方型密封电池紧固组装结构
JP3988563B2 (ja) * 2001-08-01 2007-10-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構成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69295C (zh) 2008-02-13
KR20060060818A (ko) 2006-06-05
CN1783539A (zh)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333B1 (ko) 전지 모듈
JP4515961B2 (ja) 二次電池を利用した電池モジュール
EP3002803B1 (en) Battery module array
KR100684743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27394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590049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앤드플레이트
KR100684764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연결로드
KR100669333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1201813B1 (ko) 전지 모듈
KR100696631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27343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1084064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 앤드플레이트
KR20070006956A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590107B1 (ko) 이차 전지
KR100696670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2201333B1 (ko) 내부 텐션-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0684762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앤드플레이트
KR100669331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5868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599617B1 (ko)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모듈
KR100684731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앤드플레이트
KR100649239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84744B1 (ko)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모듈
KR20240055304A (ko) 방열구조를 갖는 배터리모듈
KR100717752B1 (ko) 이차 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