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49333B1 -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333B1
KR100949333B1 KR1020070114935A KR20070114935A KR100949333B1 KR 100949333 B1 KR100949333 B1 KR 100949333B1 KR 1020070114935 A KR1020070114935 A KR 1020070114935A KR 20070114935 A KR20070114935 A KR 20070114935A KR 100949333 B1 KR100949333 B1 KR 100949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mounting portion
pressing member
gap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860A (ko
Inventor
한대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4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333B1/ko
Priority to US12/177,789 priority patent/US8329331B2/en
Publication of KR20090048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33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외측으로 돌출된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단위 전지와 상기 전극단자를 삽입하며 일측에 틈새가 형성된 장착부들과 상기 장착부들을 연결하며 상기 틈새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열된 이음부들을 포함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이음부들을 가압하여 상기 이음부들 사이의 간극을 좁히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차 전지, 캡 플레이트, 밀봉 강화부, 탄성 변형 돌기

Description

전지 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위전지를 체결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저항을 감소시킨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을 들 수 있다. 이차 전지는 통상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이를 와류 형상으로 감은 전극군을 케이스에 내장 설치하고, 케이스에 외부 단자가 형성된 캡 조립체를 결합하여 구성된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한 고출력 이차 전지는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이차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전지 모듈을 구성한다.
또한, 하나의 전지 모듈은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이하 "전지 모듈"이라 한다.)로 이루어지며, 이차 전지는 원통형과 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단위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전지모듈을 구성하기 위해서 각 단위전지의 캡 조립체 외측으로 돌출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엇갈리도록 각 단위전지를 교차 배열한다, 그리고 나사가공된 양극단자와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음극단자에 너트를 매개로 이음부를 연결 설치하여 연결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즉, 각 전극단자는 수나사로 이루어지고, 각 전극단자에 일차적으로 너트가 체결되어 단자를 캡 조립체 상에 고정하며, 너트 위에 일측 단위전지의 양극단자와 다음 단위전지의 음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이음부가 끼워지고 상기 이음부 위에 다시 너트가 체결되어 이음부를 고정하는 구조로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이음부를 설치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음부가 전극단자와 직접 연결되기 보다는 이음부가 너트를 매개로 단자와 연결되므로 연결 부위에서 접촉 저항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단자들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에서 발생하는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외측으로 돌출된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단위 전지와 상기 전극단자를 삽입하며 일측에 틈새가 형성된 장착부들과 상기 장착부들을 연결하며 상기 틈새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열된 이음부들을 포함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이음부들을 가압하여 상기 이음부들 사이의 간극을 좁히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음부들에는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관통 홀에 끼워지는 볼트와 상기 볼트와 나사결합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음부에는 상기 너트가 끼워지는 너트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의 내주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는 상기 장착부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복수 개가 상기 장착부의 내주를 따라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외형을 이루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밀착 설치된 도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전기적인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전체는 장착부에 밀착된 장착부 도전판과 상기 이음부에 밀착된 이음 부 도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 도전판에는 탄성 변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변형 돌기는 연결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변형 돌기는 복수 개가 상기 장착부 내주면을 따라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의 바깥 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클립 형상의 상기 가압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홈에 끼워져 상기 이음부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홈과 맞닿는 면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을 따라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직각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은 충전과 방전을 되풀이하는 단위 전지들과, 상기 단위 전지들을 전기적을 연결하며, 상기 단위 전지에 형성된 단자들을 삽입하는 관통 홀들과 상기 관통 홀들을 연결하는 간극이 형성된 연결부재, 및 상기 관통 홀의 내면이 상기 전극 단자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에 전극단자를 끼우고 가압부재를 설치하는 것 만으로 단위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조립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가압부재가 설치되어 이음부 사이의 간극을 좁히므로 장착부의 내주면이 전극단자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의 내주에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돌기들이 장착부에 밀착되므로 연결부재와 전극단자 사이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재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몸체와 몸체 내에 밀착된 도전체를 포함하여 조립 작업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전체에는 탄성 변형돌기가 형성되고, 가압부재로 인하여 돌기가 탄성 변형되어 전극단자에 밀착 될 수 있는 바, 이에 따라 전극단자와 연결부재 사이의 접촉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 형상의 가압부재가 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연결부재를 더욱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은 복수 개의 단위전지들(10)과 단위전지들(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20)를 포함한다.
단위전지들(10)은 각형(prismatic)으로 이루어진 케이스(18)와 케이스(18)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에 결합된 캡 플레이트(1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형으로 이루어진 단위전지(10)를 예로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위전지는 원통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캡 플레이트(17)에는 단위전지(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할 경우 개방되는 벤트부(15)가 형성되며, 단위전지(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극군(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단자(12)와 음극단자(13)를 포함하는 전극단자(12, 13)가 캡 플레이트(17)의 상면으로 돌출된다.
단위 전지들(10)은 전극단자(12, 13)가 전극단자(12,13)가 상부를 향하는 상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일측 단위전지(10)의 캡 플레이트(17) 상부로 돌출된 양극단자(12) 및 음극단자(13)가 이웃하는 단위전지(10)의 양극단자(12) 및 음극단자(13)와 엇갈리도록 교차 배열된다.
또한, 상기 단위전지들(10) 사이에는 전지 모듈(100)의 냉각을 위하여 냉매의 유동 통로가 되는 격벽(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의 전지 모듈(100)에 있어서, 각 단위전지(10)를 직렬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이웃하는 단위전지(10)간의 양극단자(12)와 음극단자(13)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20)가 설치된다. 연결부재(20)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며, 이웃하는 전극단자(12, 13)를 끼움하여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와 가압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결부재(20)는 전극단자(12, 13)가 끼워지는 관통 홀(21)이 형성된 장착부들(25)와 장착부들(25)을 연결하는 이음부(connecting part)(22)을 포함한다.
장착부(25)는 연결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며, 장착부들(25)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틈새(2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음부(22)는 틈새의 양쪽 단부에서 장착부들(25)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데, 두 개의 이음부(22)가 이격되어서 이음부들(22) 사이에는 간극(23)이 형성된다. 이러한 간극(23)은 이웃하는 장착부(25)의 틈새(21a)가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간극(23)과 관통 홀(21)이 형성하는 공간의 횡단면은 대략 아령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음부(22)에는 이음부들(22)을 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24, 도 3에 도시)가 설치되는데, 가압부재(24)는 볼트(26)와 너트(27)로 이루어진다.
이음부(22)에는 나사 가공된 홀(28)이 형성되고, 이 홀(28)에는 볼트(26)가 나사 결합된다. 볼트(26)의 머리가 설치되는 위치하는 이음부(22)와 마주하는 이음부(22)에는 너트 홈(28a)이 형성되는데, 이 너트 홈(28a)에는 너트(27)가 끼워진다. 너트(27)는 볼트(26)와 나사 결합되어 볼트(26)를 타측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볼트(26)를 조일수록 볼트(26)와 너트(27)가 이음부(22)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간극(23) 및 틈새(21a)가 좁아지게 된다.
틈새(21a)가 좁아지면 장착부(25)가 휘어지면서 전극단자(12, 13)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이에 따라 장착부(25)와 전극단자들(12, 13)이 대면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단자들(12, 13)을 연결부재(20)에 끼우고, 연결부재(20)에 가압부재(24)를 설치하는 것 만으로 단위전지들(10)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20)를 설치하는 작업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 및 가압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30)는 관통 홀(21)에 형성된 돌기(35)를 포함한다. 돌기(35)의 형성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의 연결부재(2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관통 홀(21)에 형성된 돌기들(35)은 관통 홀(2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어져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관통 홀(21)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이어져 형성된다. 또한 돌기들(35)은 관통 홀(21)의 내주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열된다.
이와 같이 관통 홀(21)에 돌기(35)가 형성되면, 가압부재(24)가 이음부(22)를 가압하여 간극(23)이 축소될 때, 돌기들(35)이 전극단자(12, 13)의 외주면에 밀 착되어 전극단자(12, 13)와 장착부(25)의 접촉이 더욱 안정화된다.
가압부재(24)가 이음부(22)를 가압하면 틈새(21a)가 축소되면서 관통 홀(21)의 횡단면 형상이 변하게 되는데, 이 때, 관통 홀(21)의 형상이 불규칙하게 변화하면 장착부(25)와 전극단자(12, 13)가 제대로 접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관통 홀(21)의 내면에 복수개의 돌기(35)를 형성하면, 돌기들(35)이 전극단자(12, 13)에 밀착되어 안정적인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29)는 전기적인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바, 이에 따라 연결부재(4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감전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 및 가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40)는 관통 홀(21)과 관통 홀(21)을 연결하는 간극(23)이 형성된 몸체(29)와 몸체(29)의 내면에 밀착된 도전체(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40)는 도전체(50)가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전체(50)는 관통 홀(2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장착부 도전판(53)과 이음부(22)에 밀착되는 이음부 도전판(52)을 포함한다. 장착부 도전판(53)과 이음부 도전판(52)은 이어져 형성되며, 따라서 도전체(50)는 대략 띠 형상을 이룬다.
장착부 도전판(53)에는 복수 개의 탄성 변형 돌기(53a)가 관통 홀(21)의 내주를 따라 이격 배열되는데, 탄성 변형 돌기(53a)는 관통 홀(2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어져 리브(rib) 형상을 이룬다.
상기한 탄성 변형 돌기(53a)는 얇은 판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용이하게 탄성 변형할 수 있다. 가압부재(24)에 의하여 간극(23)이 축소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 돌기(53a)는 변형되어 전극 단자(12, 13)에 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부재(40)와 전극단자(12, 13) 사이의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접촉저항으로 인하여 전지 모듈의 출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 및 가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60)는 외주면에 형성된 홈(65)을 포함한다.
외주면에 홈(65)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상략한다.
홈(65)은 이음부(22)의 외면에 형성되는데, 연결부재(60)의 높이 방향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까지 이어져 형성된다.
홈(65)에는 가압부재(70)가 설치되는데, 가압부재(70)는 연결부재(60)의 상단에 밀착되는 베이스(72)와 베이스(72)의 양단에서 절곡 형성되어 홈(65)에 끼워지는 지지부들(74)을 포함한다. 지지부들(74)과 베이스(72)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지지부(74)는 베이스(72)에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70)는 대략 클립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부재(60)를 양쪽에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74)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76)가 형성되는데, 돌기들(76)은 지지부(74)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열되며, 지지부(74)의 폭방향을 따라 이어져 형성되어 리브(rib)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돌기들(76)은 이음부(22)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관통 홀(21)의 내면이 전극단자(12, 13)에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의 클립과 같이 돌기(76)가 없으면, 베이스(72)에 인접한 부분에만 큰 가압력이 미치고, 베이스(72)에서 멀리 이격된 부분에는 가압력이 거의 미치지 아니하는 문제가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돌기(76)를 형성하면, 베이스(72)에서 멀리 이격된 부분에도 적정한 가압력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돌기(76)는 베이스(72)에서 먼 쪽에 형성되는 바, 베이스(72)의 반대측도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전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와 가압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와 가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와 가압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와 가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와 가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지 모듈 10: 단위전지
12, 13: 전극 단자 20: 연결부재
21: 관통 홀 21a: 틈새
22: 이음부 23: 간극
28a: 너트 홈 25: 장착부

Claims (17)

  1. 외측으로 돌출된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단위 전지;
    상기 전극단자를 삽입하며 일측에 틈새가 형성된 장착부들과 상기 장착부들을 연결하며 상기 틈새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열된 이음부들을 포함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이음부들을 가압하여 상기 이음부들 사이의 간극을 좁히는 가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클립 형상으로 이루어진 전지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내주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전지 모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장착부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복수 개가 상기 장착부의 내주를 따라 이격 배열된 전지 모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외형을 이루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밀착 설치된 도전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전기적인 절연체로 이루어진 전지 모듈.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장착부에 밀착된 장착부 도전판과 상기 이음부에 밀착된 이음부 도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 도전판에는 탄성 변형 돌기가 형성된 전지 모듈.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 돌기는 연결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 전지 모듈.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 돌기는 복수 개가 상기 장착부 내주면을 따라 이격 배열된 전지 모듈.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의 바깥 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홈에 설치된 전지 모듈.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홈에 끼워져 상기 이음부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홈과 맞닿는 면에는 돌기가 형성된 전지 모듈.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을 따라 이어져 형성된 전지 모듈.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전지 모듈.
  17. 충전과 방전을 되풀이하는 단위 전지들;
    상기 단위 전지들을 전기적을 연결하며, 상기 단위 전지에 형성된 단자들을 삽입하는 관통 홀들과 상기 관통 홀들을 연결하는 간극이 형성된 연결부재; 및
    상기 관통 홀의 내면이 상기 단자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클립 형상으로 이루어진 전지 모듈.
KR1020070114935A 2007-11-12 2007-11-12 전지 모듈 Expired - Fee Related KR100949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935A KR100949333B1 (ko) 2007-11-12 2007-11-12 전지 모듈
US12/177,789 US8329331B2 (en) 2007-11-12 2008-07-22 Terminal connector assembly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935A KR100949333B1 (ko) 2007-11-12 2007-11-12 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860A KR20090048860A (ko) 2009-05-15
KR100949333B1 true KR100949333B1 (ko) 2010-03-26

Family

ID=4062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935A Expired - Fee Related KR100949333B1 (ko) 2007-11-12 2007-11-12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29331B2 (ko)
KR (1) KR1009493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055B1 (ko) * 2007-01-25 2008-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단위 전지간 인터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직렬 전지
KR100949334B1 (ko) * 2007-11-12 2010-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0949335B1 (ko) * 2007-11-12 2010-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WO2009120294A1 (en) * 2008-03-24 2009-10-01 Lightening Energy A modular battery, an interconnector for such batteries and methods related to modular batteries
KR100989119B1 (ko) * 2008-10-08 2010-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US9184425B2 (en) * 2009-01-13 2015-11-10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DE102009043526A1 (de) * 2009-09-30 2011-04-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elektrischen Energiespeicherung
KR101084213B1 (ko) * 2009-11-30 2011-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DE102010022312A1 (de) * 2010-06-01 2011-12-0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Verbindungsstruktur elektrischer Anschlüsse zur Reihenschaltung von Einzelzellen eines Batteriemoduls
KR101223519B1 (ko) 2010-11-05 2013-01-1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전지 모듈
KR101244739B1 (ko) 2011-05-09 2013-03-18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전지 모듈
KR200465409Y1 (ko) * 2011-08-09 2013-02-18 세방전지(주) 성형 가공되는 전지탭 연결장치
KR200467875Y1 (ko) * 2011-08-09 2013-07-08 세방전지(주) 전지탭 연결장치
KR101882007B1 (ko) * 2012-07-18 2018-07-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팩
KR102076971B1 (ko) * 2012-11-27 2020-04-07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원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
WO2015103548A1 (en) 2014-01-03 2015-07-09 Quantumscape Corporation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s with an electric powertrain
TWM459529U (zh) * 2013-04-12 2013-08-11 Hong-Wen Huang 二次電池端蓋組
KR102074776B1 (ko) * 2013-06-12 2020-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US11011783B2 (en) 2013-10-25 2021-05-18 Quantumscape Battery, Inc. Thermal and electrical management of battery packs
FR3018394A1 (fr) * 2014-03-04 2015-09-1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iece d'assemblage et de connexion electrique d'au moins deux cellules de stockage d'energie electrique
US9834114B2 (en) 2014-08-27 2017-12-05 Quantumscape Corporation Battery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of use
US20160146900A1 (en) * 2014-11-24 2016-05-26 Hyundai Mobis Co., Ltd. Battery sensor assembly for vehicle
FR3029361B1 (fr) * 2014-11-28 2018-03-23 Aptiv Technologies Limited Dispositif de connexion electrique
CN105428582B (zh) * 2015-12-30 2017-11-28 苏州科纽普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组内部电池快速连接结构
FR3070549B1 (fr) * 2017-08-29 2020-12-04 Delphi Int Operations Luxembourg Sarl Dispositif de connexion electrique et refroidissement de celui ci
KR102259969B1 (ko) * 2017-09-29 2021-06-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JP7028105B2 (ja) * 2018-08-29 2022-03-02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池配線モジュール
CN113991258A (zh) * 2021-10-29 2022-01-28 陕西奥林波斯电力能源有限责任公司 一种大容量单体电池串联的连接结构
USD1061442S1 (en) * 2022-12-27 2025-02-11 William Greenberg Battery terminal
CN116435717B (zh) * 2023-06-15 2023-09-01 深圳海辰储能控制技术有限公司 连接结构、电池模组、储能装置及用电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3300A (ja) * 1995-04-24 1996-11-05 Yazaki Corp バッテリー端子
JPH09190811A (ja) * 1996-01-09 1997-07-22 Furukawa Battery Co Ltd:The 蓄電池の極柱端子間接続器具
KR20060028057A (ko) * 2004-09-24 2006-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결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이차 전지 및 이로 구성된이차 전지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8962A (en) * 1952-06-05 1954-05-18 C & D Batteries Inc Terminal post mounting for plastic battery covers
US4158802A (en) * 1977-12-27 1979-06-19 Rose Ii William R Rechargeable battery powered electric car and recharging station therefor
FR2519804A1 (fr) 1982-01-14 1983-07-18 Accumulateurs Fixes Boitier pour batterie de generateurs electrochimiques
US4470652A (en) * 1982-06-04 1984-09-11 B/K Patent Development, Inc. Modular electrical shunts for integrated circuit applications
US4736921A (en) * 1985-05-24 1988-04-12 Kbl Corporation Clamp for holding bicycle lock
US4724189A (en) 1985-05-31 1988-02-09 Frank Chase Conversion module system
JP2809120B2 (ja) 1994-10-28 1998-10-08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の電池取付装置
KR0176553B1 (ko) 1995-12-27 1999-04-15 김광호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안착장치
JP3432079B2 (ja) 1996-06-12 2003-07-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その放熱方法
US5677079A (en) 1996-09-20 1997-10-14 Trw Inc. Battery terminal system
JP3312853B2 (ja) 1996-09-26 2002-08-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間接続構造
US5733674A (en) 1997-02-12 1998-03-31 Law; Steven Power supply system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3829396B2 (ja) 1997-03-24 2006-10-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電源の冷却装置
JPH1154157A (ja) 1997-08-04 1999-02-26 Toyota Motor Corp 熱交換装置及びバッテリケース
JPH11144766A (ja) 1997-11-12 1999-05-28 Toray Ind Inc 二次電池
KR20010036651A (ko) 1999-10-11 2001-05-07 이계안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냉각구조
JP3851038B2 (ja) 1999-10-29 2006-11-29 三洋電機株式会社 モジュール電池
JP3675261B2 (ja) 1999-11-24 2005-07-27 新神戸電機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電池
JP3723433B2 (ja) 2000-03-30 2005-12-07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25734B2 (ja) 2000-04-20 2005-03-02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2001345089A (ja) 2000-05-31 2001-12-14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
JP3838872B2 (ja) 2000-12-13 2006-10-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間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JP4996792B2 (ja) 2001-03-29 2012-08-08 株式会社東芝 電池間の接続部材とそれを用いた電池モジュール
JP3623462B2 (ja) 2001-05-17 2005-02-23 梁 世宗 自動車バッテリーチャックの構造
JP2002359014A (ja) 2001-05-31 2002-12-13 Sanyo Electric Co Ltd 電源モジュールとこの電源モジュールを内蔵する電源装置
JP3702211B2 (ja) 2001-09-27 2005-10-05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4086491B2 (ja) 2001-09-28 2008-05-1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モジュールとこの電源モジュールを内蔵する電源装置
JP3805664B2 (ja) 2001-11-01 2006-08-02 株式会社マキタ 電池パック
JP2003257389A (ja) 2002-03-06 2003-09-12 Sony Corp 電池装置
DE10223782B4 (de) 2002-05-29 2005-08-25 Daimlerchrysler Ag Batterie mit wenigstens einer elektrochemischen Speicherzelle und einer Kühleinrichtung und Verwendung einer Batterie
JP2004087218A (ja) 2002-08-26 2004-03-18 Honda Motor Co Ltd バッテリ式電源装置
US6900672B2 (en) * 2003-03-28 2005-05-31 Stmicroelectronics, Inc. Driver circuit having a slew rate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linear ramp generator including ground
US7189473B2 (en) 2003-06-03 2007-03-13 Eastway Fair Company Limited Battery venting system
JP4913333B2 (ja) 2003-06-13 2012-04-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ヒートシンクおよび均一な冷却方法
JP4062273B2 (ja) 2004-03-31 2008-03-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JP2005349955A (ja) 2004-06-10 2005-12-22 Toyota Motor Corp 蓄電機構の冷却構造
JP2006127921A (ja) 2004-10-29 2006-05-18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
JP2006179190A (ja) 2004-12-20 2006-07-06 Toyota Motor Corp 車載用電池パック
JP2008533682A (ja) 2005-03-14 2008-08-21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チウム電池システム
KR100696694B1 (ko) 2005-07-29 2007-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US8734977B2 (en) 2005-03-25 2014-05-27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KR100684795B1 (ko) 2005-03-29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모듈
US7294020B2 (en) * 2005-05-25 2007-11-13 Alcoa Fujikura Ltd. Canted coil spring power terminal and sequence connection system
KR100669436B1 (ko) 2005-07-07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100717801B1 (ko) 2005-12-19 2007-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4827558B2 (ja) 2006-02-28 2011-11-30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
KR100874055B1 (ko) 2007-01-25 2008-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단위 전지간 인터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직렬 전지
JP4636031B2 (ja) 2007-02-01 2011-02-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装置
KR100917750B1 (ko) 2007-09-17 2009-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0949334B1 (ko) 2007-11-12 2010-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0949335B1 (ko) 2007-11-12 2010-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0989119B1 (ko) 2008-10-08 2010-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US9184425B2 (en) 2009-01-13 2015-11-10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3300A (ja) * 1995-04-24 1996-11-05 Yazaki Corp バッテリー端子
JPH09190811A (ja) * 1996-01-09 1997-07-22 Furukawa Battery Co Ltd:The 蓄電池の極柱端子間接続器具
KR20060028057A (ko) * 2004-09-24 2006-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결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이차 전지 및 이로 구성된이차 전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23820A1 (en) 2009-05-14
KR20090048860A (ko) 2009-05-15
US8329331B2 (en) 201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333B1 (ko) 전지 모듈
US9203065B2 (en) Battery module
KR101219237B1 (ko) 배터리 모듈
KR101191659B1 (ko) 전지 모듈
KR100560498B1 (ko) 이차 전지와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KR101106997B1 (ko) 전지 모듈
US8999557B2 (en) Battery pack with elastic frame
KR101683208B1 (ko)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20100068080A (ko) 이차 전지
KR20130049025A (ko) 이차 전지
KR101181803B1 (ko) 이차 전지
KR100669468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격벽
KR100717751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84764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연결로드
KR101201813B1 (ko) 전지 모듈
KR100590049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앤드플레이트
KR100684802B1 (ko) 이차 전지
KR100684847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96670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5868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778439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599617B1 (ko)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모듈
KR100717757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84807B1 (ko) 이차 전지 모듈
KR20090116450A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3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3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