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9119B1 -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119B1
KR100989119B1 KR1020080098767A KR20080098767A KR100989119B1 KR 100989119 B1 KR100989119 B1 KR 100989119B1 KR 1020080098767 A KR1020080098767 A KR 1020080098767A KR 20080098767 A KR20080098767 A KR 20080098767A KR 100989119 B1 KR100989119 B1 KR 100989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case
rib
curved portion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9696A (ko
Inventor
윤지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8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119B1/ko
Priority to US12/575,383 priority patent/US8835034B2/en
Priority to JP2009234170A priority patent/JP5241673B2/ja
Priority to EP20090172576 priority patent/EP2178135B1/en
Priority to CN200910151287.7A priority patent/CN101714645B/zh
Publication of KR20100039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11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3Cylindrica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2Gases with free flow by convection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3Portable devices, e.g. mobile telephones, camera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효율적인 냉각을 위하여 이온의 이동에 따라 충전과 방전을 되풀이하는 전극군과,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감싸며 외면에 복수개의 리브(rib)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과, 상기 이차 전지들이 끼워지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차 전지들은 케이스의 외면에 밀착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이차 전지를 감싸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전지 모듈, 프레임, 지지부재, 곡면부, 리브

Description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RECHARGEALBE BATTERY AND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 전지의 케이스를 끼움하여 냉각 매체의 유통로를 형성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하나의 셀로 이루어진 저용량의 이차 전지의 경우,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주로 사용된다. 복수개의 셀이 팩 형태로 연결된 대용량 이차 전지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차 전지는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상기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직렬로 연결되어 대용량의 전지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
전지 모듈은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이차 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과,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고 상기 전극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단자가 구비된 캡 조립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이차 전지는 통상 하우징 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각 이차 전지의 단자를 연결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전지 모듈은 안정성을 위해서 복수의 이차 전지들을 하나의 모듈로 체결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런데, 전지 모듈은 수 개에서 많게는 수십 개의 이차 전지를 연결시켜 하나의 전지 모듈을 구성함에 따라 각 이차 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어야 한다. 전지 모듈의 열 방출 특성은 이차 전지는 물론, 전지 모듈을 채용한 기기 자체의 성능을 좌우할 정도로 매우 중요하다.
열 방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각 이차 전지 사이에 온도 편차가 발생하여 전지 모듈이 모터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원하는 정도로 출력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이차 전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전지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내부에 이상 반응이 일어나 이차 전지의 충, 방전 성능 등이 성능이 저하된다.
특히, 상기한 전지 모듈이 장치에 대용량 이차 전지로서 적용되는 경우, 이차 전지가 대전류로 충, 방전되므로 사용 상태에 따라서 이차 전지 내부의 온도가 상당한 수준까지 올라가게 되므로, 이 이차 전지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원활하게 방출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 전지들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이온의 이동에 따라 충전과 방전을 되풀이하는 전극군과,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감싸며 외면에 복수개의 리브(rib)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는 열 전도성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밀착되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리브는 길이 방향에 따라 돌출된 높이가 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지지 리브와 상기 지지 리브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고정 리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곡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표면에는 양극산화피막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과, 상기 이차 전지들이 끼워지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차 전지들은 케이스의 외면에 밀착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 는 상기 이차 전지를 감싸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곡면부 사이에는 열전도성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지지 리브와 상기 지지 리브 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고정 홈에 끼워지는 고정 리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리브에는 상기 고정 리브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틈새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의 표면에는 양극 산화 피막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는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된 높이가 변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에는 이차 전지가 끼워지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은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 내에서 상기 리브 사이의 공간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냉각 매체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이차 전지들을 안정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와 이차 전지의 케이스가 열전도성 접착제로 부착되어 케이스에서 지지부재로 열을 신속하게 전달함으로써 이차 전지들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의 표면에 양극산화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이차 전지들이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충전과 방전을 위한 전극군(154)과 전극군(154)이 내장되는 케이스(150), 및 케이스(150)를 감싸는 지지부재(120)를 포함한다.
전극군(154)은 내부에 원통형 코어(156)를 설치한 상태에서 양극과 음극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하고 권취하여 형성된다.
케이스(150)는 전극군(154)을 내장하는 공간을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50)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스(150)는 원통형 또는 각형 및 그 이외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케이스(150)의 외측에는 지지부재(120)가 설치되는데, 지지부재(120)는 케이스(150)에 밀착되어 케이스(150)를 감싸는 곡면부(121)와 곡면부(121)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이차 전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져 형성된 리브(rib)(123, 1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곡면부(121)는 케이스(150)를 삽입하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지 는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스(150)에 밀착되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곡면부(121)와 케이스(150) 사이에는 열전도성 접착제층(152)이 형성되는데, 열전도성 접착제층(152)은 케이스(150)의 내측에서 발생된 열을 곡면부(121)로 신속하게 전달하여 방열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곡면부(121)로 전달된 열은 곡면부(121)와 리브(123, 124)를 통해서 외부로 방출되는데, 곡면부(121)와 리브(123, 124)가 냉각매체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열을 용이하게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리브(123, 124)는 지지 리브(123)와 지지 리브(123)보다 더 큰 높이를 갖는 고정 리브(124)를 포함하는데, 고정 리브(1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30)에 끼워져 이차 전지(10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지지부재(12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데, 지지부재(120)의 표면에는 양극산화피막이 형성된다. 양극산화피막은 알루미늄의 표면을 산화시킨 후, 봉공처리하여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지지부재(120)의 표면에 양극산화피막을 형성하면 지지부재(120)에 전기적인 절연성이 생겨서 이차 전지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열을 방출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모듈(200)은 복수 개의 이차 전지(100, 100')들과 이차 전지들(100, 100')이 끼워지는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프레임(130)에는 이차 전지들(100, 100')이 끼워지는 복수 개의 홀(131)이 형성되는데, 홀(131)은 양단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홀(131)에 이차 전지(100)가 끼워지면 홀(131)의 내면에 지지 리브(123)가 밀착된다.
한편, 고정 리브(124)는 프레임(130)에 끼워져 설치되는데, 고정 리브(124)는 홀(131)에 형성된 고정 홈(132)에 끼워져 이차 전지(100)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이차 전지(100)가 프레임(130) 내에 고정되면, 홀(131)과 지지부재(120) 사이로 냉각 매체가 공급되어 이차 전지들(100, 100')을 안정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냉각매체는 공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밖에 물 등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웃하는 이차 전지(100, 100')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버스 바(bus bar)(135)를 이용하여 이차 전지들(100, 100')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케이스(150)가 음극 단자가 되고, 상부의 캡 플레이트가 양극 단자가 되는데, 하나의 이차 전지(100)는 캡 플레이트가 위로 오도록 설치되고, 이와 이웃하는 이차 전지(100')는 케이스의 바닥이 위로 오도록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버스 바(135)를 설치하고, 버스 바(135)를 볼트(137) 등을 이용하여 이차 전지들(100, 100')에 고정함으로써 이차 전지들(100, 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120)로 인하여 이차 전지들(100, 100')이 프레임(130)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브(123, 124)와 곡면부(121)로 인하여 표면적이 증가하므로, 방열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지지부재(120)의 리브(123, 124)가 외부의 충격에 대한 완충 역할을 하므로 외부의 충격으로 이차 전지(1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지부재(400)는 케이스에 밀착되는 곡면부(410)와 곡면부(410)에서 돌출 형성된 리브(420, 430)를 포함한다. 곡면부(410)는 한 쪽에 틈새(450)가 형성되어 대략 "C"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리브(420, 430)는 지지 리브(420)와 지지 리브(420) 보다 더 큰 높이로 돌출된 고정 리브(4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곡면부(410)에 틈새(450)가 형성되면 지지부재(400)가 케이스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곡면부(410)가 변형되어 케이스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400)는 다양한 크기의 케이스에 적용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500)는 곡면부(510)와 곡면부(510)에서 돌출 형성된 리브(5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곡면부(510)는 이차 전지의 케이스를 감싸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리브(520)는 횡단면 형상이 호(arc)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라 설정된 공간에서 리브(520)의 돌출된 길이를 최대한으로 형성하여 냉각 매체와 리브(520)의 접촉 면적으로 확대함으로써 냉각효율이 향상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가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 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620)는 제1 지지부(625)와 제2 지지부(626)로 이루어지는데, 제1 지지부(625)와 제2 지지부(626)는 분리 배치되며 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부재(620)는 프레임(610)에 형성된 홀(615)에 끼워져 설치되는데, 제1 지지부(625) 및 제2 지지부(625)는 대략 횡단면이 반원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외면에 돌출된 리브(621, 623)가 형성된다. 리브(621, 623)는 프레임(610)에 형성된 홀(615)에 밀착된 지지 리브(621)와 지지 리브(621)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홀(615)에 형성된 고정홈(615a)에 끼워진 고정 리브(623)를 포함한다.
고정 리브(623)의 단부에는 고정 리브(623)의 측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돌기(623a)를 더 포함하는데, 고정 돌기(623a)는 홀(615)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진다. 고정 돌기(623a)는 지지부들(625, 626)이 정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케이스(630)에 대하여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재(620)가 분리 형성된 제1 지지부(625)와 제2 지지부(626)로 이루어지면, 다양한 크기를 갖는 이차 전지의 케이스(630)에 지지부재(62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630)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곡면으로 이루어진 제1 지지부(625) 및 제2 지지부(626)가 탄성 변형되면서 케이스(630)에 밀착되어 케이스(630)에서 지지부재(620)로 열을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지지부재가 프레임 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710)는 이차 전지의 케이스에 밀착되는 곡면부(712)와 곡면부(71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리브(71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브(715)는 냉각 매체의 유동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돌출된 높이가 커진다. 즉, 리브(715)는 냉각 매체의 입구 측에 형성된 제1 단부(715a)가 냉각 매체의 출구 측에 형성된 제2 단부(715b) 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지지부재(710)는 균일한 횡단면을 갖는 프레임(720)의 홀(725)에 끼워져 설치된다. 입구 측의 제1 단부(715a)가 작게 형성되면, 냉각 매체가 유입할 때, 홀(725) 내에서 리브(715) 사이의 공간이 서로 연통된다. 이에 따라 일부분의 리브(715) 사이로 많은 양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차 전지들을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가 프레임 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지부재(730)는 이차 전지의 케이스에 밀착되는 곡면부(732)와 곡면부(732)에서 돌출 형성된 리브(735)를 포함한다.
리브(735)는 곡면부(732)의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며, 프레임(740)에 형성된 홀(745)은 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홀(745)은 냉각매체가 유입되는 입구(745a)가 출구(745b)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입구(745a)는 리브(735)의 높이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를 보다 자세 히 설명하면, 홀(745)의 내측 벽면은 입구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경사면(742)과 경사면(742)과 이어지며, 단면적이 변하지 않는 수직면(743)을 포함한다. 수직면(743)은 리브(735)와 맞닿아 지지부재(730)가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홀(745)의 내측 벽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면 냉각매체의 입구(745a) 쪽에서 리브(735) 사이의 공간이 서로 연통되어 일부분의 리브(735) 사이로 많은 양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차 전지들을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종래의 전지 모듈의 방열 특성을 나타낸 그래이프이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방열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종래의 원통형 이차전지를 프레임에 삽입한 후, 충전과 방전으로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프레임과 이차 전지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하여 냉각 시킨 경우, 이차 전지 주변의 온도, 압력, 냉각매체 속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프레임에 삽입한 후, 충전과 방전으로 발생한 열을 지지부재와 프레임 사이의 공급하여 냉각 시킨 경우, 이차 전지 주변의 온도, 압력, 냉각매체 속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a와 도 11a는 각각의 경우에 온도분포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들을 비교하면 종래의 전지 모듈 주변 온도는 열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하늘색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 주변 온도는 열전달이 활발히 이루어져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인 노락색과 초록색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에서 열전달이 더 활발히 이루어져서 방열효율이 향상되었다.
도 10b와 도 11b는 각각의 경우에 압력 분포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들을 비교하면, 종래의 전지 모듈은 입구쪽에서 압력이 급격하게 낮아져 전체적으로 하늘색을 띠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압력 강하가 천천히 이루어져 초록색 범위가 넓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압력의 분포가 완만하여 냉각매체가 용이하게 유입되고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도 10c와 도 11c는 각각의 경우에 냉각매체의 속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들을 비교하면 종래의 전지 모듈은 이차 전지에서 먼쪽에서 상대적으로 속도가 높은 붉은 색을 띠고 있다. 이차 전지에서 먼 쪽에서 냉각매체의 속도가 높으면 냉각매체와 이차전지가 제대로 접하지 못하여 냉각효율이 저하된다.
그러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리브가 위치하는 중앙쪽에서 상대적으로 속도가 높은 붉은 색을 띠고 있다. 이에 의하면 리브와 냉각매체가 넓은 면적으로 접하여 냉각효율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같이 지지부재를 설치하면 냉각효율이 종래에 비하여 현저히 향상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가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지지부재가 프레임 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가 프레임 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차 전지 120: 지지부재
121: 곡면부 123: 지지 리브
124: 고정 리브 130: 프레임
131: 홀 150: 케이스
152: 열전도성 접착제층 200: 전지 모듈

Claims (18)

  1. 이온의 이동에 따라 충전과 방전을 되풀이하는 전극군;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감싸며 외면에 복수개의 리브(rib)가 형성된 지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는 열전도성 접착층이 형성된 이차 전지.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밀착되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 리브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진 이차 전지.
  5. 이온의 이동에 따라 충전과 방전을 되풀이하는 전극군;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감싸며 외면에 복수개의 리브(rib)가 형성된 지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길이 방향에 따라 돌출된 높이가 변하는 이차 전지.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지지 리브와 상기 지지 리브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고정 리브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틈새가 형성된 이차 전지.
  8. 이온의 이동에 따라 충전과 방전을 되풀이하는 전극군;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감싸며 외면에 복수개의 리브(rib)가 형성된 지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표면에는 양극산화피막이 형성된 이차 전지.
  9.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
    상기 이차 전지들이 끼워지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차 전지들은 케이스의 외면에 밀착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이차 전지를 감싸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리브(rib)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곡면부 사이에는 열전도성 접착층이 형성된 전지 모듈.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진 전지 모듈.
  11. 삭제
  12.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
    상기 이차 전지들이 끼워지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차 전지들은 케이스의 외면에 밀착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이차 전지를 감싸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리브(rib)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지지 리브와 상기 지지 리브 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 홈에 끼워지는 고정 리브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리브에는 상기 고정 리브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된 전지 모듈.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틈새가 형성된 전지 모듈.
  15.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
    상기 이차 전지들이 끼워지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차 전지들은 케이스의 외면에 밀착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이차 전지를 감싸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리브(rib)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표면에는 양극 산화 피막이 형성된 전지 모듈.
  16.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
    상기 이차 전지들이 끼워지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차 전지들은 케이스의 외면에 밀착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이차 전지를 감싸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리브(rib)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냉각매체의 진행 방향으로 갈수록 돌출된 높이가 변하는 전지 모듈.
  17.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이차 전지가 끼워지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은 냉각 매체의 진행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변하는 전지 모듈.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내에서 상기 리브 사이의 공간은 서로 연통된 전지 모듈.
KR1020080098767A 2008-10-08 2008-10-08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Expired - Fee Related KR100989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767A KR100989119B1 (ko) 2008-10-08 2008-10-08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US12/575,383 US8835034B2 (en) 2008-10-08 2009-10-07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JP2009234170A JP5241673B2 (ja) 2008-10-08 2009-10-08 2次電池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EP20090172576 EP2178135B1 (en) 2008-10-08 2009-10-08 Rechargeable battery, assembly comprising such a battery and battery module
CN200910151287.7A CN101714645B (zh) 2008-10-08 2009-10-09 可再充电电池、电池模块和可再充电电池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767A KR100989119B1 (ko) 2008-10-08 2008-10-08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696A KR20100039696A (ko) 2010-04-16
KR100989119B1 true KR100989119B1 (ko) 2010-10-20

Family

ID=4171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7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9119B1 (ko) 2008-10-08 2008-10-08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35034B2 (ko)
EP (1) EP2178135B1 (ko)
JP (1) JP5241673B2 (ko)
KR (1) KR100989119B1 (ko)
CN (1) CN1017146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055B1 (ko) * 2007-01-25 2008-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단위 전지간 인터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직렬 전지
KR100949335B1 (ko) * 2007-11-12 2010-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0949333B1 (ko) * 2007-11-12 2010-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US9184425B2 (en) * 2009-01-13 2015-11-10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JP5450115B2 (ja) * 2010-01-12 2014-03-2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5978214B2 (ja) * 2010-09-02 2016-08-24 アカソル・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冷却モジュールおよび冷却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233514B1 (ko) 2011-04-19 2013-02-1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JP5221820B1 (ja) * 2011-05-30 2013-06-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420725B (zh) 2011-07-18 2013-12-21 Delta Electronics Inc 電池裝置及電池裝置模組
KR101875939B1 (ko) * 2011-08-30 2018-07-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용 공기 블로워
WO2013122766A1 (en) * 2012-02-16 2013-08-22 Lightening Energy Energy banking system and method using rapidly rechargeable batteries
JP5486623B2 (ja) * 2012-03-09 2014-05-07 豊田合成株式会社 電池ホルダ
JP6044186B2 (ja) * 2012-08-30 2016-12-14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および電動車両
JP5751634B2 (ja) * 2012-09-28 2015-07-22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JP5796785B2 (ja) * 2012-09-28 2015-10-2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USD731411S1 (en) * 2012-10-01 2015-06-09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Redox flow battery cell stack
US11495840B2 (en) 2012-11-23 2022-11-08 Husqvarna Ab Apparatus for providing battery pack cooling
WO2015079840A1 (ja) * 2013-11-26 2015-06-04 日立工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及び電動工具及び充電器
KR102270514B1 (ko) * 2014-02-24 2021-06-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팩
US10199695B2 (en) 2014-08-18 2019-02-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with restrained battery cells utilizing a heat exchanger
CN105280983A (zh) * 2015-09-25 2016-01-27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电动汽车动力电池组的散热系统
CN105244462B (zh) * 2015-09-25 2017-10-17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电动汽车动力电池组的热管理系统
DE102016121173A1 (de) * 2016-11-07 2018-05-09 Erbslöh Aluminium Gmbh Batteriemodul
FR3067860B1 (fr) * 2017-06-15 2021-04-16 Airbus Group Sas Systeme de charge d'au moins une batterie d'accumulateurs d'un vehicule et procede de gestion de recharge de ladite au moins une batterie
CN109755988B (zh) * 2017-11-08 2025-02-18 惠州志顺电子实业有限公司 充电装置及其充电方法
CN109524747B (zh) * 2018-11-26 2021-12-14 湖南衡盈电子科技有限公司 便携式电池
US11329329B2 (en) * 2019-01-09 2022-05-10 Chongqing Jinkang Powertrain New Energy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cooling battery cells
WO2023099149A1 (de) * 2021-12-01 2023-06-08 Hilti Aktiengesellschaft Werkzeugmaschine mit einer kommunikationsverbindung zur seriellen digitalen kommunikation zwischen zwei transceivern, sowie system
EP4191723A1 (de) * 2021-12-01 2023-06-07 Hilti Aktiengesellschaft Energieversorgungsvorrichtung und werkzeugmaschine mit einer solchen energieversorgungsvorrichtung
DE102022205751A1 (de) * 2022-06-07 2023-12-07 Siemens Mobility GmbH Anordnung zur Ableitung von Wär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759U (ko) * 1996-11-13 1998-08-05 박병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트레이
KR20060086122A (ko) * 2005-01-26 2006-07-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20060104070A (ko) * 2005-03-29 2006-10-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85127A (en) * 1944-10-21 1945-09-18 Carlile & Doughty Inc Battery jar
US4158802A (en) * 1977-12-27 1979-06-19 Rose Ii William R Rechargeable battery powered electric car and recharging station therefor
US4470652A (en) * 1982-06-04 1984-09-11 B/K Patent Development, Inc. Modular electrical shunts for integrated circuit applications
US4736921A (en) * 1985-05-24 1988-04-12 Kbl Corporation Clamp for holding bicycle lock
US4724189A (en) * 1985-05-31 1988-02-09 Frank Chase Conversion module system
JP2809120B2 (ja) 1994-10-28 1998-10-08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の電池取付装置
JP3112240B2 (ja) 1995-04-24 2000-11-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端子
US5667079A (en) * 1995-07-24 1997-09-16 Jongebloed; Kenneth W. Automated multi-grade wastepaper recycle center sorting system
JPH09190811A (ja) 1996-01-09 1997-07-22 Furukawa Battery Co Ltd:The 蓄電池の極柱端子間接続器具
JP3432079B2 (ja) 1996-06-12 2003-07-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その放熱方法
US5677079A (en) 1996-09-20 1997-10-14 Trw Inc. Battery terminal system
JP3312853B2 (ja) * 1996-09-26 2002-08-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間接続構造
US5733674A (en) * 1997-02-12 1998-03-31 Law; Steven Power supply system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3829396B2 (ja) 1997-03-24 2006-10-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電源の冷却装置
JPH1154157A (ja) 1997-08-04 1999-02-26 Toyota Motor Corp 熱交換装置及びバッテリケース
JPH11144766A (ja) 1997-11-12 1999-05-28 Toray Ind Inc 二次電池
JP3636603B2 (ja) 1998-09-29 2005-04-06 三桜工業株式会社 接続板及び接続板の接続方法
KR20010036651A (ko) 1999-10-11 2001-05-07 이계안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냉각구조
JP3851038B2 (ja) 1999-10-29 2006-11-29 三洋電機株式会社 モジュール電池
JP3675261B2 (ja) 1999-11-24 2005-07-27 新神戸電機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電池
JP3723433B2 (ja) 2000-03-30 2005-12-07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25734B2 (ja) 2000-04-20 2005-03-02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2001345089A (ja) 2000-05-31 2001-12-14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
JP3838872B2 (ja) 2000-12-13 2006-10-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間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JP4996792B2 (ja) 2001-03-29 2012-08-08 株式会社東芝 電池間の接続部材とそれを用いた電池モジュール
JP3623462B2 (ja) 2001-05-17 2005-02-23 梁 世宗 自動車バッテリーチャックの構造
JP2002359014A (ja) 2001-05-31 2002-12-13 Sanyo Electric Co Ltd 電源モジュールとこの電源モジュールを内蔵する電源装置
JP3702211B2 (ja) 2001-09-27 2005-10-05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4086491B2 (ja) * 2001-09-28 2008-05-1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モジュールとこの電源モジュールを内蔵する電源装置
JP3805664B2 (ja) 2001-11-01 2006-08-02 株式会社マキタ 電池パック
JP2003257389A (ja) 2002-03-06 2003-09-12 Sony Corp 電池装置
DE10214367B4 (de) 2002-03-30 2006-08-24 Robert Bosch Gmbh Energiespeichermodul und Handwerkzeugmaschine
DE10223782B4 (de) * 2002-05-29 2005-08-25 Daimlerchrysler Ag Batterie mit wenigstens einer elektrochemischen Speicherzelle und einer Kühleinrichtung und Verwendung einer Batterie
JP2004087218A (ja) 2002-08-26 2004-03-18 Honda Motor Co Ltd バッテリ式電源装置
JP4170714B2 (ja) * 2002-09-20 2008-10-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組電池
JP4380163B2 (ja) 2003-01-23 2009-12-09 ソニー株式会社 リード端子及び電源装置
JP2004286172A (ja) 2003-03-24 2004-10-14 Toyota Motor Corp 高圧ガス貯蔵タンク
US7189473B2 (en) 2003-06-03 2007-03-13 Eastway Fair Company Limited Battery venting system
JP4913333B2 (ja) 2003-06-13 2012-04-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ヒートシンクおよび均一な冷却方法
US6932651B2 (en) 2003-09-16 2005-08-23 Honda Motor Co., Ltd. Connecting structure for electric cells
JP4062273B2 (ja) 2004-03-31 2008-03-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JP2005349955A (ja) 2004-06-10 2005-12-22 Toyota Motor Corp 蓄電機構の冷却構造
KR100570779B1 (ko) 2004-09-24 2006-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결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이차 전지 및 이로 구성된이차 전지 모듈
FR2876223B1 (fr) * 2004-10-01 2006-11-10 Valeo Climatisation Sa Dispositif pour le refroidissement de batteries d'un vehicule a motorisation electrique et/ou hybride
JP2006127921A (ja) 2004-10-29 2006-05-18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
JP2006139987A (ja) 2004-11-11 2006-06-01 Hitachi Cable Ltd 電池パック用板状配線材及び電池パック
JP2006179190A (ja) 2004-12-20 2006-07-06 Toyota Motor Corp 車載用電池パック
JP2008533682A (ja) 2005-03-14 2008-08-21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チウム電池システム
KR100696694B1 (ko) 2005-07-29 2007-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US8734977B2 (en) 2005-03-25 2014-05-27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20070218353A1 (en) * 2005-05-12 2007-09-20 Straubel Jeffrey B System and method for inhibiting the propagation of an exothermic event
US20070009787A1 (en) 2005-05-12 2007-01-11 Straubel Jeffrey B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cooling, connecting and protecting batteries
US7294020B2 (en) * 2005-05-25 2007-11-13 Alcoa Fujikura Ltd. Canted coil spring power terminal and sequence connection system
WO2006133585A1 (en) * 2005-06-14 2006-12-21 Oc Oerlikon Balzers Ag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storage medium
KR100669436B1 (ko) 2005-07-07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100717801B1 (ko) * 2005-12-19 2007-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4827558B2 (ja) 2006-02-28 2011-11-30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
KR100837972B1 (ko) * 2006-11-28 2008-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모듈의 냉각 또는 가열장치의 구조
KR100874055B1 (ko) * 2007-01-25 2008-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단위 전지간 인터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직렬 전지
JP4636031B2 (ja) 2007-02-01 2011-02-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装置
KR100917750B1 (ko) * 2007-09-17 2009-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0949335B1 (ko) * 2007-11-12 2010-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0949333B1 (ko) * 2007-11-12 2010-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0949334B1 (ko) * 2007-11-12 2010-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US9184425B2 (en) * 2009-01-13 2015-11-10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8268472B2 (en) * 2009-09-30 2012-09-18 Bright Automotive, Inc. Battery cool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759U (ko) * 1996-11-13 1998-08-05 박병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트레이
KR20060086122A (ko) * 2005-01-26 2006-07-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20060104070A (ko) * 2005-03-29 2006-10-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19928A1 (en) 2010-05-13
EP2178135A1 (en) 2010-04-21
CN101714645B (zh) 2014-01-15
JP2010092860A (ja) 2010-04-22
CN101714645A (zh) 2010-05-26
JP5241673B2 (ja) 2013-07-17
US8835034B2 (en) 2014-09-16
EP2178135B1 (en) 2012-07-04
KR20100039696A (ko) 201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119B1 (ko)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102172846B1 (ko) 배터리 팩
KR100839374B1 (ko) 전지 모듈
KR100648697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1201742B1 (ko) 전지 모듈
CN109845024B (zh) 电池系统和包括其的电动车辆
CN102299363A (zh) 带冷却的电池组件、电动车辆和电池外壳
JP2006093144A (ja)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100953614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1806733B1 (ko) 배터리 셀 냉각 구조
KR100667943B1 (ko) 이차 전지 모듈
KR20160134066A (ko) 전지 모듈
KR100717751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2825222B1 (ko)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0696694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2028330B1 (ko) 이차전지 모듈
KR100578889B1 (ko) 전지 모듈
KR200464432Y1 (ko) 단위 전지의 온도 제어에 효율적인 방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KR100709180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37469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709252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590017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69332B1 (ko) 이차 전지 모듈 및 이에 적용되는 이차 전지
KR100590015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48694B1 (ko) 이차 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