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36310B1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310B1
KR101136310B1 KR1020100053426A KR20100053426A KR101136310B1 KR 101136310 B1 KR101136310 B1 KR 101136310B1 KR 1020100053426 A KR1020100053426 A KR 1020100053426A KR 20100053426 A KR20100053426 A KR 20100053426A KR 101136310 B1 KR101136310 B1 KR 101136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nector
battery module
sensing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807A (ko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3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310B1/ko
Priority to US12/968,208 priority patent/US9444080B2/en
Priority to CN201010610100.8A priority patent/CN102270754B/zh
Priority to JP2010287639A priority patent/JP5214720B2/ja
Priority to EP10197227.1A priority patent/EP2393140B1/en
Publication of KR20110133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3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01M50/273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78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슬림화 및 컴팩트화된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스택된 다수의 배터리 셀과, 다수의 배터리 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버스 바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배터리 모듈에 결합된 절연 몸체와, 절연 몸체에 형성되고, 다수의 버스 바중 선택된 몇 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단자로 이루어진 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과 모터의 상호 동작에 의해 주행 가능한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에는, 전원 장치로서 배터리 팩이 탑재된다. 배터리 팩은 다수의 충전 가능한 배터리 셀과,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셀은 다수개가 수평 방향으로 스택(stack)되고, 또한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 셀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세워진 상태로 위치된다. 더욱이, 상기 배터리 셀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다수의 행과 열을 가지며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의 사이즈는 모든 배터리 셀을 수용하기 위해 비교적 크게 제조되며,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강성이 확보되도록 다수의 보강 부재가 부착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팩의 슬림화 및 콤팩트화가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배터리 셀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세워진 상태로 위치되므로, 배터리 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 바(bus bar) 및 센싱 와이어(sensing wire) 등의 배선이 상당히 복잡해진다.
또한, 배터리 팩의 제조 공정이 하우징에 다수의 배터리 셀을 안착하는 단계, 배터리 셀에 배선을 연결하는 단계, 배선을 회로기판에 연결하는 단계 및 하우징 조립 단계 등으로 이루어져, 배터리 팩의 생산 공정 효율도 저하된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슬림(slim)화 및 컴팩트(compact)화된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하려는 과제는 생산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스택된 다수의 배터리 셀과,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버스 바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및 상기 배터리 모듈에 결합된 절연 몸체와, 상기 절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버스 바중 선택된 몇 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단자로 이루어진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이 다수개 구비되어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스택되어 결합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에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및 상기 다수의 버스 바를 함께 덮는 보호 커버가 더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버스 바중 선택된 몇 개의 버스 바는 상기 보호 커버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원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다수의 버스 바 각각에는 센싱 와이어가 더 연결되고, 상기 센싱 와이어는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센싱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싱 단자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에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상기 다수의 버스 바 및 상기 다수의 센싱 와이어를 함께 덮는 보호 커버가 더 형성된다. 상기 센싱 와이어중 일부의 센싱 와이어가 상기 보호 커버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센싱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스택된 다수의 배터리 셀 사이에는 전기적으로 절연성 및 열적으로 도전성인 격벽이 더 개재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중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측부에는 결합용 트렌치 또는 결합용 돌기가 더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중 상기 배터리 모듈과 결합되는 측부에는 결합용 돌기 또는 결합용 트렌치가 더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의 하부에 밀착된 하부 커버;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의 상부에 밀착된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를 관통하여 결합된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는 스틸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절연 몸체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 바 및 상기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전원 패턴을 더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절연 몸체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 와이어 및 상기 센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센싱 패턴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부 커버와 상부 커버 사이에 다수의 배터리 셀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스택된 다수의 배터리 모듈이 구비되고, 이러한 다수의 배터리 모듈이 커넥터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슬림화 및 컴팩트화된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배터리 모듈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커넥터에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배터리 팩이 완성됨으로써 생산 공정 효율이 향상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중 배터리 모듈이 커넥터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중 배터리 모듈과 커넥터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중 커넥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b는 배터리 모듈과 커넥터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중 배터리 모듈과 커넥터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중 배터리 모듈의 조립 방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110)과, 상기 배터리 모듈(110)의 일측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120)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모듈(110)은 하부 커버(111a)와 상부 커버(111b)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커버(111a)와 상기 상부 커버(111b)의 사이에는 다수의 배터리 셀(미도시)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스택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114)은 버스 바(미도시)로 연결되어 있다. 더불어, 보호 커버(112)가 상기 하부 커버(111a)와 상기 상부 커버(111b)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버스 바를 덮는다. 더불어, 결합 부재(113)가 상기 하부 커버(111a) 및 상부 커버(111b)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부 커버(111a) 및 상기 상부 커버(111b)가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을 구속하도록 한다.
상기 하부 커버(111a) 및 상부 커버(111b)는 대략 직사각 형태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111a) 및 상기 상부 커버(111b)는, 예를 들면, 스틸(steel),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틸에는 상기 배터리 셀과의 원하지 않는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다.즉, 상기 스틸은 표면에 절연 수지가 코팅되거나, 또는 두꺼운 산화막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유리 섬유 또는 카본 섬유 등이 혼합되어 강도가 강화된 플라스틱일 수 있다.
상기 보호 커버(112)는 상기 하부 커버(111a)와 상기 상부 커버(111b)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셀 및 버스 바를 덮는다. 이러한 보호 커버(112)는 절연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보호 커버(112)는 상기 버스 바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 부재(113)는 일정 길이를 갖는 볼트 및 넛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부재(113)는 상기 하부 커버(111a)와 상기 상부 커버(111b)가 배터리 셀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배터리 셀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7a는 격벽이다. 이러한 격벽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커넥터(120)는 상기 배터리 모듈(110)의 일측에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120)는 전원 단자(124) 및 센싱 단자(125)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단자(124)는 상기 커넥터(1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원 단자(124)에는 충전 장치(미도시) 또는 외부 부하(미도시)가 연결된다. 더불어, 상기 센싱 단자(125)는 상기 커넥터(1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센싱 단자(125)에는 배터리 팩(10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1a 및 도 1b는 하나의 커넥터(120)에 6개의 배터리 모듈(11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결합 상태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하나의 커넥터(120)에 6개 미만 또는 6개를 초과하는 배터리 모듈(110)이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도 1a 및 도 1b에서 배터리 팩(100)은 눕혀져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상태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팩(100)은 세워져 있는 상태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하부 커버(111a)와 상부 커버(111b)의 사이에 다수의 배터리 셀이 스택된 다수의 배터리 모듈(110)이 구비되고, 이러한 다수의 배터리 모듈(110)이 커넥터(120)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슬림화 및 컴팩트화된 배터리 팩(100)을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다수의 배터리 모듈(110)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커넥터(120)에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배터리 팩(100)이 완성됨으로써 생산 공정 효율이 향상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중 배터리 모듈이 커넥터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다수의 배터리 모듈(110)이 순차적으로 커넥터(120)에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배터리 모듈(110)이 커넥터(120)에 순차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결국 다수의 배터리 모듈(110)이 수평 방향으로 스택된 형태를 한다. 물론, 상기 커넥터(120)를 세워 놓으면, 다수의 배터리 모듈(110)이 수직 방향으로 스택된 형태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슬림화 및 컴팩트화된다. 더불어, 배터리 모듈(110)과 커넥터(120)의 결합 구조가 간단함으로써, 배터리 팩(100)의 생산 공정 효율도 향상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중 배터리 모듈과 커넥터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보호 커버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110)은 하부 커버(111a)와 상부 커버(111b) 사이에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다수의 배터리 셀(114)이 스택되어 있다. 일례로, 수직 방향으로 2개의 배터리 셀(114)이 스택되고, 수평 방향으로 6개의 배터리 셀(114)이 스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배터리 셀(114)의 개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터리 셀(114)은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러한 종류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터리 셀(114)의 각각은 양극 단자(114a) 및 음극 단자(114b)를 포함한다. 어느 하나의 배터리 셀(114)에 구비된 양극 단자(114a)는 인접한 다른 배터리 셀(114)에 구비된 음극 단자(114b)에 버스 바(115)로 연결된다. 일례로, 상기 버스 바(115)는 용접 방식에 의해 어느 하나의 양극 단자(114a)와 인접한 음극 단자(114b)에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일례로, 12개의 배터리 셀(114)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120)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된 버스 바(115)는 배터리 모듈(110)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고, 이러한 버스 바(115)는 커넥터(120)에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배터리 모듈(110)의 외측으로 연장된 버스 바(115)는 용접 방식에 의해 상기 커넥터(120)에 구비된 전원 패턴(122)에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 버스 바(115)에는 센싱 와이어(11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센싱 와이어(116)는, 예를 들면, 용접 방식에 의해 버스 바(1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센싱 와이어(116)는 배터리 모듈(110)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고, 이러한 센싱 와이어(116)는 커넥터(120)에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배터리 모듈(110)의 외측으로 연장된 센싱 와이어(116)는 용접 방식에 의해 커넥터(120)에 구비된 센싱 패턴(123)에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셀(114)과 배터리 셀(114)의 사이에는 전기적으로는 절연성이고, 열적으로는 도전성인 격벽(117a,117b)이 위치될 수 있다. 즉, 수평 방향으로 스택된 배터리 셀(110)의 사이에 격벽(117a)이 위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스택된 배터리 셀(110)의 사이에 격벽(117b)이 위치된다. 이러한 격벽(117a,117b)은 배터리 셀(114) 사이의 원하지 않는 전기적 쇼트를 방지하고, 또한 배터리 셀(114)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하부 커버(111a)와 상부 커버(111b) 사이에는 결합 부재(113)가 결합됨으로써, 다수의 배터리 셀(114) 및 격벽(117a,117b)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 부재(113)는 일례로 일정 길이를 갖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결합되는 넛트일 수 있으나, 이러한 종류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중 커넥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b는 배터리 모듈과 커넥터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커넥터(120)는 절연 몸체(121)와, 상기 절연 몸체(121)에 형성된 전원 패턴(122)과, 상기 절연 몸체(121)에 형성된 센싱 패턴(123)과, 상기 절연 몸체(121)에 형성된 전원 단자(124)와, 상기 절연 몸체(121)에 형성된 센싱 단자(125)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 몸체(121)는, 예를 들면, 수직 몸체(121a)와, 상기 수직 몸체(121a)의 하단 및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수평 몸체(121b)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 몸체(121)는 통상의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원 패턴(122)은 상기 수직 몸체(121a)에, 예를 들면, 2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패턴(122)은, 예를 들면, 구리 또는 그 등가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원 패턴(122)에는 배터리 모듈(110)의 외측으로 연장된 버스 바(115)가 전기적 및 기구적으로 연결된다. 일례로, 도면중 가장 좌측의 하부와 상부에 형성된 전원 패턴(122)에 첫 번째 배터리 모듈(110)중 양극 버스 바(115) 및 음극 버스 바(115)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인접한 하부의 전원 패턴(122)에 두 번째 배터리 모듈(110)중 양극 버스 바(115) 및 음극 버스 바(115)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든 배터리 모듈(110)이 전원 패턴(122)에 연결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전원 패턴(122)은 상기 전원 단자(1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 단자(124)를 통해서는 직렬로 연결된 모든 배터리 모듈(110)의 전체 전압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센싱 패턴(123) 역시 상기 수직 몸체(121a)에, 예를 들면, 1열로 형성될 있다. 이러한 센싱 패턴(123)에는 배터리 모듈(110)의 외측으로 연장된 센싱 와이어(116)가 전기적 및 기구적으로 연결된다. 더불어, 상기 센싱 패턴(123)은 상기 센싱 단자(1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모든 배터리 모듈(110), 배터리 모듈(110)내의 모든 배터리 셀(114)의 전압 정보가 센싱 단자(125)로 출력된다.
상기 전원 단자(1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패턴(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전원 단자(124)에는 충전 장치 또는 외부 부하(미도시)가 연결된다.
상기 센싱 단자(12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싱 패턴(1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센싱 단자(125)에는 배터리 팩(10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111a)와 상부 커버(111b) 사이의 배터리 셀(114), 버스 바(115) 및 센싱 와이어(116)는 보호 커버(112)로 덮일 수 있다. 물론, 상기 보호 커버(112)의 외측으로 버스 바(115) 및 센싱 와이어(116)가 노출 및 연장될 수 있다. 즉, 배터리 모듈(110)의 외측으로 버스 바(115) 및 센싱 와이어(116)가 노출 및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출 및 연장된 버스 바(115)는 커넥터(120)의 전원 패턴(122)에 연결되고, 센싱 와이어(116)는 센싱 패턴(123)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모듈(110)은 일측에 상기 커넥터(120)와 기구적으로 결합되는 결합용 트렌치(118a)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결합용 트렌치(118a)는 배터리 모듈(110)의 보호 커버(112) 및 일측의 격벽(117a)에 라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배터리 모듈(110)의 결합용 트렌치(118a)와 대응되는 커넥터(120) 즉, 수평 몸체(121b)에도 결합용 돌기(126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모듈(110)의 결합용 트렌치(118a)와 상기 커넥터(120)의 결합용 돌기(126a)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모듈(110)과 상기 커넥터(120)가 상호 기구적으로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중 배터리 모듈과 커넥터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110')은 일측에 상기 커넥터(120)와 기구적으로 결합되는 결합용 돌기(118b)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결합용 돌기(118b)는 배터리 모듈(110')의 보호 커버(112) 및 일측의 격벽(117a)에 라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배터리 모듈(110')의 결합용 돌기(118b)와 대응되는 커넥터(120) 즉, 수평 몸체(121b)에도 결합용 트렌치(126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모듈(110')의 결합용 돌기(118b)와 상기 커넥터(120)의 결합용 트렌치(126b)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모듈(110)과 상기 커넥터(120)는 상호 기구적으로 결합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중 배터리 모듈의 조립 방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배터리 셀(114)이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스택된다. 이때, 상기 수직 방향으로 스택된 배터리 셀(114)의 사이와, 수평 방향으로 스택된 배터리 셀(114)의 사이에 각각 격벽(117a,117b)이 설치된다. 상기 격벽(117a,117b)은 전기적으로는 절연성이고, 열적으로는 도전성이다. 따라서, 다수의 배터리 셀(114) 사이의 원하지 않는 전기적 쇼트가 방지되고, 배터리 셀(114)의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된다. 물론, 최외곽의 배터리 셀(114)의 측부에도 격벽(117a)이 설치된다.
상기 스택된 배터리 셀(114)의 하부와 상부에는 각각 하부 커버(111a) 및 상부 커버(111b)가 밀착된다. 더불어, 상기 하부 커버(111a)와 상부 커버(111b)는 볼트(113a) 및 넛트(113b)로 이루어진 결합 부재(113)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하부 커버(111a) 및 상부 커버(111b)에 의해,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114)과 격벽(117a,117b)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한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스택된 다수의 배터리 셀(114), 상기 배터리 셀(114)의 사이에 위치된 다수의 격벽(117a,117b), 상기 하부 커버(111a) 및 상부 커버(111b)를 상기 배터리 셀(114)에 밀착시키는 다수의 결합 부재(113)로 이루어진 배터리 모듈(110)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배터리 셀(114)의 각각은 양극 단자(114a) 및 음극 단자(114b)를 포함한다.
이어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바(115)가 어느 한 배터리 셀(114)의 음극 단자(114b)와 인접한 다른 배터리 셀(114)의 양극 단자(114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례로, 상기 버스 바(115)는 어느 하나의 배터리 셀(114)의 음극 단자(114b)와 인접한 다른 배터리 셀(114)의 양극 단자(114a)에 용접된다. 이와 같은 버스 바(115)에 의해, 다수의 배터리 셀(114)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어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와이어(116)가 상기 버스 바(115)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도시하지 않았지만, 온도 센서 및 이에 연결된 센싱 와이어도 각 배터리 셀(114)마다 또는 배터리 모듈(110)마다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커버(112)가 하부 커버(111a)와 상부 커버(111b) 사이의 배터리 셀(114), 버스 바(115) 및 센싱 와이어(116)를 덮는다. 이러한 보호 커버(112)는 일례로 절연 수지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보호 커버(112)는 미리 만들어져 상기 상부 커버(111b)와 하부 커버(111a) 사이에 간단히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커버(112)는 사출 성형 공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도 7c에 도시된 중간 제품이 금형 내에 안착된 후, 액상의 수지가 상기 하부 커버(111a)와 상부 커버(111b) 사이의 배터리 셀(114), 버스 바(115) 및 센싱 와이어(116)에 전달(transfer)된 후 냉각됨으로써, 하부 커버(111a)와 상부 커버(111b) 사이에 배터리 셀(114), 버스 바(115) 및 센싱 와이어(116)를 덮는 보호 커버(1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버스 바(115)중 일부의 버스 바(115)는 상기 보호 커버(112)의 외측으로 노출 및 연장된다. 더불어, 센싱 와이어(116)중 일부의 영역도 상기 보호 커버(112)의 외측으로 노출 및 연장된다. 즉, 버스 바(115) 및 센싱 와이어(116)가 배터리 모듈(110)의 외측으로 노출 및 연장된다. 더욱이, 상기 배터리 모듈(110)의 일측에는 결합용 트렌치(118a)(또는 결합용 돌기)가 형성된다. 실제로, 이러한 배터리 모듈(110)의 결합용 트렌치(118a)(또는 결합용 돌기)는 도 7d에 도시된 보호 커버(112)의 형성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커넥터(120)와 마주보는 격벽(117a)에도 결합용 트렌치(118a)(또는 결합용 돌기(118b))가 형성됨은 당연하다.
마지막으로,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110)의 외측으로 노출 및 연장된 버스 바(115)는 커넥터(120)에 구비된 전원 패턴(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버스 바(115)는 전원 패턴(122)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또한, 배터리 모듈(110)의 외측으로 노출 및 연장된 센싱 와이어(116) 역시 커넥터(120)에 구비된 센싱 패턴(1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센싱 와이어(116)는 센싱 패턴(123)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더불어, 상기 배터리 모듈(11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용 트렌치(118a)(또는 결합용 돌기)는 상기 커넥터(120)에 구비된 결합용 돌기(126a)(또는 결합용 트렌치)에 결합된다. 따라서, 배터리 모듈(110)은 상기 커넥터(120)에 전기적 및 기구적으로 결합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배터리 모듈(110)이 상기 커넥터(120)에 전기적 및 기구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다수의 배터리 모듈(110)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다수의 배터리 모듈(110)이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스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다수의 배터리 모듈(110)이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밀착되어 스택됨으로써, 슬림화 및 컴팩트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다수의 배터리 모듈(110)이 커넥터(120)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기구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배터리 팩(100)의 생산 공정 효율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배터리 팩 110; 배터리 모듈
111a; 하부 커버 111b; 상부 커버
112; 보호 커버 113; 결합 부재
114; 배터리 셀 114a; 양극 단자
114b; 음극 단자 115; 버스 바
116; 센싱 와이어 117a, 117b; 격벽
118a; 결합용 트렌치 118b; 결합용 돌기
120; 커넥터 121; 절연 몸체
121a; 수직 몸체 121b; 수평 몸체
122; 전원 패턴 123; 센싱 패턴
124; 전원 단자 125; 센싱 단자
126a; 결합용 돌기 126b; 결합용 트렌치

Claims (15)

  1.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스택된 다수의 배터리 셀과,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버스 바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 및
    상기 배터리 모듈에 결합된 절연 몸체와, 상기 절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버스 바중 선택된 몇 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단자로 이루어진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모듈에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및 상기 다수의 버스 바를 함께 덮는 보호 커버가 더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버스 바중 선택된 몇 개의 버스 바는 상기 보호 커버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원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이 다수개 구비되어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스택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버스 바 각각에는 센싱 와이어가 더 연결되고,
    상기 센싱 와이어는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센싱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싱 단자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에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상기 다수의 버스 바 및 상기 다수의 센싱 와이어를 함께 덮는 보호 커버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와이어중 일부의 센싱 와이어가 상기 보호 커버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센싱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스택된 다수의 배터리 셀 사이에는 전기적으로 절연성 및 열적으로 도전성인 격벽이 더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중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측부에는 결합용 트렌치 또는 결합용 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중 상기 배터리 모듈과 결합되는 측부에는 결합용 돌기 또는 결합용 트렌치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의 하부에 밀착된 하부 커버;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의 상부에 밀착된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를 관통하여 결합된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는 스틸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절연 몸체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 바 및 상기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전원 패턴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절연 몸체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 와이어 및 상기 센싱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센싱 패턴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KR1020100053426A 2010-06-07 2010-06-07 배터리 팩 Active KR101136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426A KR101136310B1 (ko) 2010-06-07 2010-06-07 배터리 팩
US12/968,208 US9444080B2 (en) 2010-06-07 2010-12-14 Battery pack
CN201010610100.8A CN102270754B (zh) 2010-06-07 2010-12-22 电池组
JP2010287639A JP5214720B2 (ja) 2010-06-07 2010-12-24 バッテリパック
EP10197227.1A EP2393140B1 (en) 2010-06-07 2010-12-29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426A KR101136310B1 (ko) 2010-06-07 2010-06-07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807A KR20110133807A (ko) 2011-12-14
KR101136310B1 true KR101136310B1 (ko) 2012-04-19

Family

ID=43736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426A Active KR101136310B1 (ko) 2010-06-07 2010-06-07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44080B2 (ko)
EP (1) EP2393140B1 (ko)
JP (1) JP5214720B2 (ko)
KR (1) KR101136310B1 (ko)
CN (1) CN10227075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216A1 (ko) * 2017-03-15 2018-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9085A1 (en) * 2011-11-28 2013-06-06 Zhejiang Narada Power Source Co. Ltd. Case system, battery and battery rack with improved stacking
US9494652B2 (en) * 2012-01-31 2016-11-1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oltage and temperature sensing of battery cell groups
US20130236758A1 (en) * 2012-03-12 2013-09-12 Ray Deel Battery tray cover for underground mining equipment
KR101443833B1 (ko) * 2012-03-26 2014-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외부 입출력 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CN103367666A (zh) * 2012-04-10 2013-10-23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电池模块
US9111662B2 (en) * 2012-04-18 2015-08-18 Lg Chem, Ltd. Cathode active material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9246189B2 (en) * 2012-04-19 2016-01-26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electrolyte additive
US9166260B2 (en) * 2012-04-25 2015-10-20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KR20130142449A (ko) * 2012-06-19 2013-12-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TWI488352B (zh) * 2012-11-30 2015-06-11 原瑞電池科技股份有限公司 鋰電池模組
TWI492441B (zh) * 2012-11-30 2015-07-11 Uer Technology Corp 電流匯流構造
US9774023B2 (en) * 2013-05-21 2017-09-26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9960396B2 (en) 2013-09-24 2018-05-01 Artisan Vehicle Systems Inc. Module backbone system
US10063069B1 (en) 2014-05-23 2018-08-28 Artisan Vehicle Systems Inc. Module maintenance system
KR101586668B1 (ko) * 2013-12-27 2016-0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서브 모듈들이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KR101520391B1 (ko) * 2014-02-11 2015-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KR101688558B1 (ko) * 2014-03-05 2016-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용 파워 단자 어셈블리
EP3167299A4 (en) * 2014-07-09 2019-02-20 Roost Inc. CONNECTED COMMUNICATION BATTERY WITH EXPANSION CAPACITY
US9858784B2 (en) 2014-09-29 2018-01-02 Roost, Inc. Battery-powered device having a battery and loud sound detector using passive sensing
DE102015210631A1 (de) * 2015-06-10 2016-12-15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und Verfahren zum Verbinden von Batteriezellen sowie Batteriepack, Batteriemodul, Batterie und Fahrzeug
US20170062793A1 (en) * 2015-08-24 2017-03-02 Elitise Llc Contactor assembly for battery module
WO2017034543A1 (en) * 2015-08-24 2017-03-02 Elitise Llc Battery module housing assembly
WO2017173221A1 (en) * 2016-03-31 2017-10-05 Elitise Llc Battery module with orientation detection for alternate operative states
KR102280995B1 (ko) 2017-11-16 2021-07-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커넥터가 설치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11522225B2 (en) * 2018-08-08 2022-12-06 Prologium Technology Co., Ltd. Horizontal composite electricity supply element group
EP3608997A1 (en) * 2018-08-08 2020-02-12 Prologium Technology Co., Ltd. Horizontal composite electricity supply structure
JP7058197B2 (ja) * 2018-08-20 2022-04-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装置
KR102646854B1 (ko) * 2018-10-19 2024-03-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640327B1 (ko) * 2018-10-19 2024-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의 대형 모듈
KR102646853B1 (ko) 2018-10-19 2024-03-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640328B1 (ko) 2018-10-19 2024-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의 대형 모듈
KR102717207B1 (ko) 2018-10-19 2024-10-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640329B1 (ko) 2018-10-19 2024-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CN209249578U (zh) 2018-12-30 2019-08-1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模块及电池包
USD922352S1 (en) 2019-01-04 2021-06-15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Speaker
CN209169564U (zh) * 2019-01-23 2019-07-2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汇流条组件及电池模组
CN111668527B (zh) * 2019-03-07 2024-10-2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模块及电池包
CN112072008B (zh) * 2019-06-10 2021-07-1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包和车辆
CN112952244B (zh) * 2019-11-22 2022-10-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电池模组、电池包和电动车
JP7350419B2 (ja) * 2020-08-05 2023-09-26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電池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の運搬方法
KR102662647B1 (ko) * 2021-09-09 2024-05-03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485A (ko) * 2006-09-06 2008-03-11 히다치 비클 에너지 가부시키가이샤 이차전지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7911A (en) * 1980-10-01 1983-10-04 General Electric Company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 pack having resistance to impact and vibration
US4347294A (en) * 1981-02-12 1982-08-31 Santiago Mejia Novel electric storage battery assembly
JP3343889B2 (ja) * 1997-10-13 2002-1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ホルダ用接続プレート
EP1271672A4 (en) * 2000-03-14 2007-09-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ECONDARY CELL AND CORRESPONDING WIRE FASTENING METHOD, AND BATTERY TYPE ELECTRICAL POWER SUPPLY
JP3759872B2 (ja) * 2000-05-12 2006-03-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セルモジュール
JP3643782B2 (ja) 2001-03-30 2005-04-27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US6746797B2 (en) * 2001-07-31 2004-06-08 Delphi Technologies, Inc. Battery pack having flexible circuit connector
DE60238637D1 (de) * 2001-12-26 2011-01-27 Sony Corp Batteriepack
DE60307750T2 (de) 2002-05-08 2006-12-14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Sekundärzellenmodu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7108940B2 (en) * 2003-05-16 2006-09-1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Battery mechanism
JP4036805B2 (ja) * 2003-08-05 2008-01-23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3972884B2 (ja) 2003-10-10 2007-09-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US6972544B2 (en) * 2003-10-14 2005-12-06 Black & Decker Inc.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battery cells in a battery pack and method thereof
KR100560483B1 (ko) 2004-05-04 2006-03-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905393B1 (ko) * 2005-01-21 2009-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
TWM276379U (en) 2005-03-23 2005-09-21 Yu-Huei Huang Portable battery charge box
JP4992244B2 (ja) * 2005-04-07 2012-08-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組電池
KR100881640B1 (ko) 2005-06-15 2009-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팩용 전지모듈
JP4915061B2 (ja) * 2005-08-08 2012-04-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パック構造
US7367847B2 (en) * 2005-09-02 2008-05-06 Alcoa Fujikura Ltd Integrated module connection for HEV battery
CN101268569A (zh) * 2005-09-20 2008-09-17 麦太保有限公司 蓄电池组以及手持电动工具
EP2022110B1 (en) * 2006-05-11 2011-10-12 Johnson Controls 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Modular battery system
US7808131B2 (en) * 2006-10-12 2010-10-05 Xtreme Power Inc. Precision battery pack circuits
US7960943B2 (en) * 2006-11-17 2011-06-14 Cobasys, Llc Modular battery system having battery monitoring and data collection capability
JP5254568B2 (ja) 2007-05-16 2013-08-07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セルコントローラ、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源システム
JP2009087720A (ja) * 2007-09-28 2009-04-23 Toshiba Corp 電池パック
BRPI0911250A2 (pt) * 2008-04-14 2015-10-06 A123 Systems Inc design de módulo de bateria alojado de voltagem flexível
JP5285961B2 (ja) 2008-05-27 2013-09-11 株式会社ケーヒン 組電池の電源制御装置
JP5331450B2 (ja) 2008-11-07 2013-10-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蓄電モジュール、蓄電装置、電動機駆動システムおよび車両
JP5223607B2 (ja) * 2008-11-10 2013-06-2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パックの高電圧検出モジュール装置
JP5227994B2 (ja) 2010-04-01 2013-07-03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485A (ko) * 2006-09-06 2008-03-11 히다치 비클 에너지 가부시키가이샤 이차전지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216A1 (ko) * 2017-03-15 2018-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57232B1 (ko) * 2017-03-15 2019-1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11024896B2 (en) 2017-03-15 2021-06-01 Lg Chem, Ltd. Battery module with cooling unit to cover exposed parts of adjacent battery cell assemblies.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14720B2 (ja) 2013-06-19
JP2011258542A (ja) 2011-12-22
KR20110133807A (ko) 2011-12-14
EP2393140A1 (en) 2011-12-07
CN102270754A (zh) 2011-12-07
US20110300433A1 (en) 2011-12-08
CN102270754B (zh) 2014-09-03
EP2393140B1 (en) 2014-09-03
US9444080B2 (en)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310B1 (ko) 배터리 팩
US11223093B2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bus bar assembly
US9876212B2 (en) Battery assembly with linear bus bar configuration
EP2645454B1 (en) Bus bar assembly having a novel structure
KR101137365B1 (ko) 배터리 팩
US9136513B2 (en) Battery pack
KR100700277B1 (ko) 카트리지 타입의 전지팩
EP2282363B1 (en) Battery pack comprising unit batteries disposed in a spacer
US9053867B2 (en) Energy storage cell and energy storage module
KR102792413B1 (ko) 버스바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317639B1 (ko) 인서트 사출된 버스바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CN102804447A (zh) 包括结构新颖的感测构件的电池模块
US11336039B2 (en)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and battery system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or
EP2763205B1 (en) Cap cove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772770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한 전지 팩
CN113767513B (zh) 包括连接板的电池组、电子装置以及车辆
KR20140002112A (ko) 배터리 모듈
KR20180045837A (ko) 인쇄 회로 기판용 커넥터 및 인쇄 회로 기판과 커넥터를 포함한 전지 시스템
KR20210030090A (ko) 배터리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KR20200049587A (ko) 전지 모듈용 버스바 및 전지 모듈
CN114424395B (zh) 电池组、电子装置和车辆
AU2023367150A1 (en)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EP4416796A1 (en) Battery module
CN118355552A (zh) 逻辑电芯、包括逻辑电芯的二次电池模块和二次电池组
KR20220169289A (ko) 침지 냉각 방식을 사용한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