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71157A - 파일링장치 - Google Patents

파일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1157A
KR19980071157A KR1019980003541A KR19980003541A KR19980071157A KR 19980071157 A KR19980071157 A KR 19980071157A KR 1019980003541 A KR1019980003541 A KR 1019980003541A KR 19980003541 A KR19980003541 A KR 19980003541A KR 19980071157 A KR19980071157 A KR 19980071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filing
image data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와노히데유키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요이치
마쓰시타덴키산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요이치, 마쓰시타덴키산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요이치
Publication of KR19980071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15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04N1/32133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on the same paper sheet, e.g. a facsimile page h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66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mass storage, e.g. in document fi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65Initiating a communication
    • H04N1/32771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 H04N1/32778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using a mark-sheet or machine-readable code requ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 H04N2201/320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name or ID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2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1Printing or stam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 Y10S707/99933Query processing, i.e. searching
    • Y10S707/99936Pattern matching ac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41Database schema or data structure
    • Y10S707/99944Object-oriented database structure
    • Y10S707/99945Object-oriented database structur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51File or database maintenance
    • Y10S707/99956File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파일링장치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등록정보로의 액세스가 용이한 파일링장치를 제공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파일링장치에 장치식별용 장치ID를 미리 할당해 놓고, 정보를 등록할 경우에 등록정보에 등록정보식별용 화상ID를 주어 등록정보를 관리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등록정보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등록시트등에 장치ID와 화상ID로 이루어지는 데이터ID를 화상패턴화한 ID화상패턴을 합성하고, 등록정보를 꺼낼 경우에 등록시트등을 읽어들이는 ID화상패턴을 데이터ID로 변환하며, 데이터ID에 포함되는 장치ID에 의해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파일링장치를 특정하고, 데이터ID의 화상ID에 의해 꺼내는 등록정보를 특정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디지털화된 화상데이터를 취급하는 파일링시스템에 사용됨.

Description

파일링장치
본 발명은, 디지털화된 화상데이터를 취급하는 파일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기억 및 취출기능을 가지면서도 복잡한 보상기능으로 출력하는 파일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의해, 화상데이터는 종이로 카피하여 기록하는 것뿐 아니라, 광디스크나 광자기디스크 등으로 파일로서 화상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게 되었다. 화상데이터를 파일로서 광디스크나 광자기디스크 등으로 기억하는 파일링기능에 관한 선행기술이, 일본국 특개소 62-21976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화상데이터를 광디스크나 광자기디스크 등으로 기억할 때, 화상데이터의 파일에 소정의 식별자(identifier: 이하 ID라 함)를 할당하고 그 ID를 기계로 판별할 수 있도록 바코드 등으로 코드화한다. 그리고, 그 코드를 기억하는 화상데이터의 첫 번째 페이지의 소정위치에 합성하여 사용자가 그 화상데이터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등록시트를 작성한다.
또, 기억된 화상데이터를 취출할 경우에는, 그 등록시트를 스캐너등으로 읽어내고, 등록시트의 코드를 ID로 변환한다. 그 ID를 토대로 파일을 특정함으로써, 소망하는 화상데이터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하고 있다.
한편, 디지털화된 화상데이터는 정보량이 크기 때문에,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매체로서, 광디스크나 광자기디스크 등 대용량의 리무버블(removable) 기억매체를 사용하는 것이 많다. 그러나, 대용량인 리무버블기억매체로는 액세스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하드디스크는 큰 액세스속도를 가진다. 따라서, 하드디스크의 대용량화·저가격화가 진행되고 있으므로, 기억매체로서 하드디스크를 사용할 경우가 늘고 있다.
종래, 파일링기능은, 전용 파일링장치로서 취급되어 왔다. 근래에는, 디지털 복사기, 팩시밀리장치 및 프린터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복합기의 급성장에 따라, 디지털 복합기에 있어서 하나의 기능으로서 조합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최근에는, 하나의 오피스에 각각 파일링기능을 가지는 복수대의 디지털 복합기의 설치와 함께, 하드디스크등의 기억매체에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경우, 사용자가 등록시트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어느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지 알 수 없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화상데이터로의 액세스의 용이성에 관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등록시트만 있으면 누구라도 용이하게 화상데이터를 꺼낼 수 있기 때문에, 화상데이터의 기밀성에도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복수의 기억매체가 있을 경우에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로의 액세스가 용이한 파일링장치, 또한, 기밀성이 높은 파일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파일링장치내의 데이터ID의 포맷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파일링장치내의 등록시트의 포맷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파일링장치내의 장치관리테이블의 포맷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내의 화상데이터를 꺼내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7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파일링장치내의 사용자ID의 포맷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내의 화상데이터의 등록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10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내의 화상데이터를 꺼내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2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내의 화상데이터를 꺼내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4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에서의 화상데이터의 등록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15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의 파일링장치내의 화상데이터관리테이블의 포맷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에서의 화상데이터를 꺼내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캐너 2 : 디스크장치
3 : 프린터 4 : 엔코더
5 : 디코더 6 : 문서관리유니트
7 : LAN인터페이스 8 : 자기카드리더
9 : 액세스관리유니트 10 : 디스크관리유니트
11 : LAN 21 : 데이터 ID
22, 25 : 장치 ID 23 : 화상 ID
24 : 사용자 ID 26 : 사용자 정보
31 : 화상 32 : ID 화상패턴
33 : 등록시트 40 : 데이터 제어버스
42 : 장치관리 테이블 101, 102 : 파일링장치
본 발명의 파일링장치는: 원고화상을 광학적 수단으로 판독하고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판독수단과; 상기 화상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화상데이터를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하는 화상축적수단과; 상기 화상데이터에 할당되는 식별자로서의 화상ID와 다수개의 파일링장치마다 미리 할당되는 식별자로서의 장치ID를 포함하는 데이터식별자인 데이터ID를 화상패턴화하여 ID화상 패턴을 생성하는 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파일링장치는: 상기 화상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화상정보의 패턴에 상기 ID화상패턴을 합성하는 화상합성수단과, 상기 화상합성수단에 의해 합성된 상기 ID화상패턴을 원래의 데이터ID를 얻기 위한 변환을 수행하는 디코더와; 상기 화상데이터와 상기 데이터ID를 관련지어 상기 화상축적수단에 기억하고 있는 문서를 관리하는 문서관리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파일링장치는: 상기 화상판독수단으로 상기 ID 화상패턴을 포함하는 화상데이터를 읽어내고, 상기 디코더에 의해 읽어낸 화상데이터의 데이터ID를 취득하며, 상기 데이터ID에 근거하여 상기 문서관리수단으로 문서를 특정하고, 상기 화상축적수단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ID에 대응하는 문서의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출력수단을 구비한다.
화상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장치의 장치ID와 그 화상데이터에 할당된 화상ID로 이루어지는 데이터ID를 화상패턴화한 ID화상패턴을, 디스크장치에 기억된 화상데이터를 파악하기 위한 화상에 합성함으로써, 어느 파일링장치에 기억되어 있는지 알 수 없는 경우라도, 화상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파일링장치를 특정할 수 있으며, 화상데이터로의 액세스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파일링장치는 또한: 그 파일링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파일링장치와의 접속에 관한 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관리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다른 파일링장치와 통신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소정의 파일링장치의 장치ID와 상기 데이터ID에 포함되는 장치ID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ID에 포함되는 장치ID에 대응하는 다른 파일링장치가 상기 데이터ID에 포함된 장치ID 및 관리정보에서 특정되고, 통신이 행해진다. 상기 데이터ID에 포함되는 화상ID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다른 파일링장치로부터 꺼내진다. 화상데이터는 소정의 파일링장치로 전송되고, 소정의 파일링장치의 화상출력수단에서 출력된다.
다수개의 파일링장치를 네트워크등으로 접속하고, 접속된 다른 파일링장치상의 정보를 관리정보로 제공함으로써, 다른 파일링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된 파일링장치에서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파일링장치는: 원고화상을 광학적 수단으로 판독하고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판독수단과; 상기 화상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화상데이터를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하는 화상축적수단과; 상기 화상데이터에 할당되는 화상ID와 다수개의 파일링장치마다 미리 할당되는 장치ID를 포함하는 데이터ID를 화상패턴화하여 ID화상 패턴을 생성하는 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일링장치는 또한: 상기 화상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화상정보에 상기 ID화상패턴을 합성하는 화상합성수단과; 상기 화상합성수단에 의해 합성된 ID화상패턴을 데이터ID로 변환하기 위한 디코더와; 상기 화상데이터와 상기 데이터ID를 관련지어 상기 화상축적수단에 기억하고 있는 문서를 관리하는 문서관리수단을 포함한다. 파일링장치는 또한: 상기 화상판독수단으로 상기 ID 화상패턴을 포함하는 화상데이터를 읽어내고, 상기 디코더에 의해 읽어낸 화상데이터의 데이터ID를 취득하며, 상기 데이터ID 및 문서관리수단에 의하여 문서를 특정하고, 상기 화상축적수단에 기억된 데이터ID에 대응하는 문서의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출력수단과; 각 사용자마다 특정한 사용자정보 및 그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파일링장치의 장치ID로 이루어지는 사용자ID를 토대로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식별수단과; 상기 사용자ID에 포함되는 사용자정보를 토대로 상기 화상축적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화상데이터로의 액세스를 제한하는 액세스관리수단을 구비한다.
사용자ID의 사용자정보를 토대로 화상축적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로의 액세스범위를 제한함으로써, 기억되어 있는 화상데이터의 기밀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에 관한 파일링장치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파일링장치와의 접속에 관한 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관리정보 기억수단과; 상기 다른 파일링장치와 통신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소정의 파일링장치의 장치ID와 상기 데이터ID에 포함되는 장치ID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ID에 포함되는 장치ID에 대응하는 다른 파일링장치가 상기 데이터ID에 포함된 장치ID 및 관리정보에서 식별되고, 통신이 행해진다. 상기 데이터ID에 포함되는 화상ID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다른 파일링장치로부터 꺼내진다. 화상데이터는 소정의 파일링장치로 전송되고, 소정의 파일링장치의 화상출력수단에서 출력된다.
파일링장치와 네트워크등의 사이의 접속에 관한 관리정보를 가짐으로써, 소망하는 화상데이터가 어느 파일링장치에 기억되어 있는지 알 수 없는 경우라도, 관리데이터에 근거하여 원하는 화상데이터가 기억된 파일링장치가 식별될 수 있다. 소망하는 화상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파일링장치가 사용자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있을 경우라도 원하는 화상테이타를 사용자근방에 있는 파일링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원하는 화상데이터를 파일링장치로부터 용이하게 꺼낼수 있다. 사용자근방에 있는 파일링장치가 그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다른 장소에 있는 파일링장치로 원하는 화상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소망하는 화상데이터를 파일링장치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파일링장치는: 원고화상을 광학적 수단으로 판독하고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판독수단과; 상기 화상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화상데이터를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하는 화상축적수단과; 상기 화상데이터에 할당되는 화상ID와 다수개의 파일링장치마다 미리 할당되는 장치ID를 포함하는 데이터ID를 화상패턴화하여 ID화상 패턴을 생성하는 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일링장치는 또한: 상기 화상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화상정보에 상기 ID화상패턴을 합성하는 화상합성수단과; 상기 화상합성수단에 의해 합성된 ID화상패턴을 데이터ID로 변환하기 위한 디코더와; 상기 화상데이터와 상기 데이터ID를 관련지어 상기 화상축적수단에 기억하고 있는 문서를 관리하는 문서관리수단을 포함한다. 파일링장치는 또한: 상기 화상판독수단으로 상기 ID 화상패턴을 포함하는 화상데이터를 읽어내고, 상기 디코더에 의해 읽어낸 화상데이터의 데이터ID를 취득하며, 상기 데이터ID 및 문서관리수단에 의하여 문서를 특정하고, 상기 화상축적수단에 기억된 데이터ID에 대응하는 문서의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출력수단과; 각 사용자마다 특정한 사용자정보 및 그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파일링장치의 장치ID로 이루어지는 사용자ID를 토대로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식별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파일링장치와의 접속에 관한 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관리정보기억수단과; 상기 다른 파일링장치와 통신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사용자ID에 포함되는 상기 장치ID가 소정의 파일링장치의 장치ID와 다른 경우, 다른 파일링장치와의 접속에 관한 관리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ID에 포함되는 장치ID를 구비한 다른 파일링장치와 통신을 행하고, 소정의 파일링장치의 상기 화상판독수단에서 읽어낸 화상데이터를, 상기 다른 파일링장치의 상기 화상축적수단에 기억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파일링장치의 장치ID와, 각 파일링장치의 네트워크등과의 접속에 관한 관리정보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등록되어 있지 않은 파일링장치에서라도, 사용자등록되어 있는 파일링장치에 화상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파일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축적수단은: 고정디스크장치와 리무버블 기억매체를 이용한 기억장치와; 상기 화상데이터의 상기 화상ID와, 기억장치의 종류 및 상기 리무버블기억매체를 특정하기 위해 할당되는 매체ID를 대응시켜 화상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매체를 관리하는 디스크관리수단을 구비한다.
화상데이터의 화상ID와 화상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장치의 종류 또는 리무버블기억매체의 매체ID를 대응시켜 관리함으로써, 화상데이터가 고정디스크장치 또는 복수의 리무버블기억매체중, 어느것에 기억되어 있는지를 특정할 수 있고, 대용량인 데이터의 취급도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파일링장치는, 상기 사용자식별수단은, 자기카드판독장치, 또는 키보드 혹은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자식별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1 내지 도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에 대하여 주로 도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에 있어서, 이 파일링장치는, 스캐너(1), 디스크장치(2), 프린터(3), 엔코더(4), 디코더(5) 및 후에 상술하는 문서관리유니트(6)를 구비한다. 파일링장치에는, 그 파일링장치를 특정하기 위해 고유의 장치ID(22)가 할당되어 있다.
스캐너(1)는 그의 버스출력단자에 의하여 데이터 제어버스(40)에 접속되며, 스캐너(1)의 출력단자는 디코더(5)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디코더(5)의 출력단자는 데이터 제어버스(40)에 접속된다. 스캐너(1)는, 원고의 화상(이하 원고화상이라 함)을 광학적 수단으로 판독하고, 화상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화상판독수단이다. 디스크장치(2)는, 판독화상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화상축적수단으로, 데이터 제어버스(40) 및 문서관리유니트(6)에 접속되어 있다. 디스크장치(2)는 외부기억장치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문서관리 유니트(6)는 데이터 제어버스(40)에 접속되어 있다. 엔코더(4)의 입력단자는 데이터 제어버스(40)에 접속되며, 그의 출력단자는 프린터(3)에 접속된다. 엔코더(4)는 후술하는 데이터ID(21)를 화상패턴화하고 도3에 나타낸 ID화상패턴(32)을 작성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ID(21)는 데이터의 식별자이다. 제 2 도는 데이터ID 의 포맷의 일예를 나타낸다. 데이터ID(21)는 공지의 기계로 읽어낼 수 있는 바코드에 화상패턴화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데이터ID(21)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파일을 특정하기 위한 화상ID(23)와, 화상ID(23)에 의하여 특정된 화상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파일링장치의 장치ID(22)로 구성된다. 디코더(5)는 ID화상패턴(32)을 데이터ID(21)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문서관리유니트(6)는, 화상데이터를 파일로서 취급하기 위해 화상ID(23)를 생성하고 화상데이터에 화상ID(23)를 할당하며, 화상ID(23)를 토대로 디스크장치(2)에 기억된 화상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문서관리수단이다.
프린터(3)는 디스크장치(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데이터 및 스캐너(1)로 읽어들인 원고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종이로 출력하기 위한 화상출력수단이다. 또한, 프린터(3)는, ID화상패턴을, 사용자가 디스크장치(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데이터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화상에 합성하는 화상합성수단으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다. 실시예에서는 바코드를 합성한 등록시트(33)를 작성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원고화상에는, 사람의 눈 또는 OCR등의 인공적인 눈에 대하여 검지될 수 있는 화상정보이며, 종이, 플라스틱시트, 플라스틱필름에 인쇄된 문자, 수자, 그림, 사진 등에 인쇄된 모든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1의 파일링장치에서의 화상데이터의 등록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종이에 인쇄된 원고화상을 스캐너(1)로 읽어들인다. 읽어들인 원고화상의 화상데이터는, 디지털화되고 디스크장치(2)에 기억된다. 이 때, 그 화상데이터를 파일로서 취급하기 위해서는, 파일을 특정하기 위한 화상ID(23)가 필요하고, 문서관리유니트(6)는 화상ID(23)를 생성한다. 그것과 동시에, 파일링장치에 미리 할당된 장치ID(22)와 생성된 화상ID(23)로 데이터ID(21)를 작성한다. 그리고, 엔코더(4)는 데이터ID(21)를 기계로 판독할 수 있는 바코드에 화상패턴화하고 ID화상패턴(32)을 생성한다. 그리고, 이 ID화상패턴(32)을 기억한 화상데이터의 첫 번째 페이지의 소정위치에 합성한 화상을 프린터(3)로 출력함으로써 도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등록시트(33)가 작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ID(21)를 바코드상의 화상패턴으로 변환한 경우이지만, 데이터ID(21)를 문자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는 영문자, 수자등의 특정글자체로 화상패턴화하도록 해도 좋다. 또, 등록시트(33)에 사용하는 화상(31)은, 첫 번째 페이지의 화상뿐만 아니라; 그 축소화상이나 최종페이지의 화상 또는 복수페이지의 화상을 축소한 것, 혹은 디스크장치(2)에 기억되었을 때의 파일명, 일시, 파일사이즈, 페이지수, 원고의 크기 등을 표기한 것 등, 사용자가 그 등록시트(33)를 보고 어떠한 화상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도1의 파일링장치에서의 화상데이터를 꺼내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캐너(1)에 의해 등록시트(33)상의 화상데이터를 읽어낸다. 디코더(5)는 등록시트(33)의 ID화상패턴(32)을 데이터ID(21)로 변환한다. 문서관리유니트(6)는 데이터ID(21)로부터 장치ID(22)를 꺼내고, 그 장치ID(22)와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파일링장치의 장치ID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할 수 있다. 일치하는 경우, 문서관리유니트(6)는 데이터ID(21)에서 화상ID(23)를 꺼낸다. 그리고, 꺼내진 화상ID(23)를 토대로 파일을 디스크장치(2)에서 특정하고, 화상데이터가 꺼내진다. 그리고, 프린터(3)에 의해 그 화상데이터의 화상이 인쇄된다.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읽어진 장치ID(22)를 토대로 기억되어 있는 파일링장치를 특정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상과 같이, 도1에 나타낸 파일링장치에서는, 주변에 있는 등록시트(33)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어느 파일링장치에 기억되어 있는지 알 수 없는 경우라도, 화상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파일링장치를 특정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파일링장치에 대하여 주로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4 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서, 파일링장치는, 스캐너(1), 디스크장치(2), 프린터(3), 엔코더(4), 디코더(5) 및 제 1 실시예에서와 유사한 문서관리유니트(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실시예에 마련된 LAN(근거리 통신망)에 인터페이스(7)가 접속되어, 다수개의 파일링장치는 LAN(1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파일링장치에는, 그 파일링장치를 특정하기 위해 고유의 장치ID(22)가 할당되어 있다.
LAN(11)은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가능한 근방에 놓인 파일링장치와 다른 파일링장치를 접속하는 통신회선이다. LAN인터페이스(7)는 LAN(11)과 접속하여 파일링장치와 외부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수단이다. 또, 파일링장치에는 도5에 나타낸 장치ID와 네트워크어드레스와의 대응을 나타내는 장치관리테이블(42)이 준비되어 있고, 이 장치관리테이블(42)에는 미리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파일링장치의 장치ID와 네트워크어드레스로 이루어지는 관리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어드레스는,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한다. 그리고,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1의 실시예1에서의 설명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중복된 기술은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에서의 화상데이터 등록작용은 제 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4의 파일링장치의 화상데이터를 꺼내는 동작에 대하여 도6의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의 형편상, 파일링장치에 부호 (101)과 (102)를 부여하지만, 파일링장치(101)와 파일링장치(102)는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먼저, 스캐너(1)에 의해 등록시트(33)를 읽어낸다(도6의 플로우챠트의 스텝A1). 디코더(5)는 등록시트(33)의 ID화상패턴(32)을 데이터ID(21)로 변환한다(스텝A2). 문서관리유니트(6)는 데이터ID(21)에서 장치ID(22)와 화상ID(23)를 꺼낸다(스텝A3). 그 장치ID(22)와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파일링장치(101)의 장치ID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스텝A4). 일치할 경우, 꺼내진 화상ID(23)를 토대로 파일을 디스크장치(2)에서 특정하여, 화상데이터가 꺼내진다(스텝A5). 일치하지 않을 경우, 장치관리테이블을 참조하여, 꺼내진 장치ID(22)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어드레스를 검색하고, 장치ID(22)에 대응하는 파일링장치(102)와 통신을 행하며, 화상ID(23)를 송신함과 동시에 화상ID(23)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꺼낼 것을 요구한다(스텝A6). 요구된 파일링장치(102)에서는 수신한 화상ID(23)를 토대로 디스크장치(2)에서 파일을 특정하여 화상데이터를 꺼내고, 그 화상데이터를 요구한 파일링장치(101)에 송신하고, 요구한 파일링장치(101)는 화상데이터를 수신한다(스텝A7). 프린터(3)에 의해 그 화상데이터의 화상이 인쇄된다(스텝A8).
이상과 같이, 도4에 나타낸 파일링장치에서는, 주변에 있는 등록시트(33)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어느 파일링장치에 기억되어 있는지 알 수 없을 경우, 혹은 주변에 있는 등록시트(33)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파일링장치가 떨어진 장소에 있을 경우라도, 등록시트(33)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사용자의 파일링장치로부터 용이하게 꺼내질 수 있다. 사용자의 근방의 파일링장치가 다른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고 있을 경우라도, 다른 곳의 파일링장치로 원하는 화상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파일링장치로부터 원하는 데이터가 용이하게 꺼내질 수 있다.
도4에 있어서는, LAN(11)을 통하여 다수개의 파일링장치가 접속된 경우를 예로 들고 있지만, 공중회선과 데이터모뎀을 이용하고, 미리 전화번호를 등록함으로써,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병렬통신법인 RS232C 의 공지된 프로토콜과 같이 일대 일로 접속되는 통신형태나 구내전화와 같은 전용회선을 이용해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에 대하여 주로 도7 내지 도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7 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7 에 있어서, 파일링장치는, 스캐너(1), 디스크장치(2), 프린터(3), 엔코더(4), 디코더(5), 문서관리유니트(6)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자기카드리더(8) 및 액세스관리유니트(9)를 더욱 구비하고 있다. 파일링장치에는, 그 파일링장치를 특정하기 위해 고유의 장치ID가 할당되어 있다.
자기카드리더(8)는, 자기카드에서 사용자ID(24)를 꺼내고,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사용자식별수단이다. 여기서, 사용자ID(24)는,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사용자등록되어 있는 파일링장치를 나타내는 장치ID(25)와 각 사용자마다 고유의 사용자정보(26)로 구성된다. 그리고, 데이터ID(21)중의 장치ID(22)와 사용자ID(24)중의 장치ID(25)는 동일한 것이지만 설명을 위해 별도의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액세스관리유니트(9)는 자기카드리더(8)의 사용자정보(26)에 의해 디스크장치(2)로의 액세스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액세스관리수단이다.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1의 실시예1에서의 설명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중복된 기술은 생략한다.
도7의 파일링장치에서의 화상데이터의 등록동작에 대하여 도9의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종이에 인쇄된 원고화상을 스캐너(1)로 읽어내고(도 9에서의 스텝B1), 읽어들인 원고화상의 화상데이터는, 디지털화되어 디스크장치(2)에 기억된다. 이 때, 그 화상데이터를 파일로서 취급하기 위하여는, 파일을 특정하기 위한 화상ID(23)가 필요하고, 문서관리유니트(6)는 화상ID(23)를 생성한다(스텝B2). 한편, 자기카드리더(8)는 자기카드에서 사용자ID(24)에서 장치ID(25)를 꺼낸다 (스텝B3).
액세스관리 유니트(9)는 사용자ID(24)로부터 장치ID(25)를 꺼내고(스텝B4), 꺼내진 장치ID(25)와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파일링장치의 장치ID가 일치하는지를 조사한다(스텝B5). 일치할 경우, 액세스관리유니트(9)는, 꺼내진 사용자ID(24)에서 사용자정보(26)를 꺼내고(스텝B6), 꺼내진 사용자정보(26)는 액세스관리유니트(9)에 등록된다(스텝B7). 그리고, 액세스관리유니트(9)는 사용자정보(26)와 화상ID(23)를 대응시켜 관리한다(스텝B8). 일치하지 않을 경우, 액세스관리유니트(9)에 게스트로 취급하여 소정의 정보를 등록한다(스텝B9). 여기서 소정의 정보라는 것은 사용자등록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의 화상데이터로 모든 사용자에게 액세스허용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그리고, 액세스관리유니트(9)는 소정의 정보와 화상ID(23)를 대응시켜 관리한다(스텝B10). 다음에, 문서관리유니트(6)는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파일링장치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장치ID(22)와 생성된 화상ID(23)로 데이터ID(21)를 작성하고, 실시예1에서 설명한 순서를 따라 등록시트(33)가 작성된다(스텝B11). 그리고, 액세스관리유니트(9) 대신에 문서관리유니트(6)에 사용자정보(26) 혹은 소정의 정보를 등록하고, 문서관리유니트(6)에서 관리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도7의 파일링장치에서의 화상데이터를 꺼내는 동작에 대하여 도10의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8에서 나타낸 사용자ID(24)는 미리 자기카드리더(8)에 의하여 자기카드로부터 읽어낸다. 한편, 스캐너(1)로 등록시트(33)상의 ID화상패턴(32)을 읽어낸다(도10의 플로우챠트의 스텝C1). 디코더(5)는 등록시트(33)의 ID화상패턴(32)을 데이터ID(21)로 변환한다(스텝C2). 문서관리유니트(6)는 그 데이터ID(21)에서 장치ID(22)와 화상ID(23)를 꺼낸다(스텝C3).
그리고, 꺼낸 장치ID(22)와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파일링장치의 장치ID가 일치하는지를 조사한다(스텝C4). 일치하지 않을 경우, 꺼낸 장치ID(22)를 토대로 화상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파일링장치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스텝C5). 일치할 경우, 액세스관리유니트(9)에서, 사용자ID(24)가 화상ID(23)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액세스할 권리가 있는지 없는지를 조사한다(스텝C6). 액세스할 권리가 없을 경우에는, 액세스권이 없다는 뜻을 사용자가에 통지한다(스텝C7). 액세스할 권리가 있을 경우에는, 화상ID(23)를 토대로 파일을 디스크장치(2)에서 특정하여, 화상데이터를 꺼낸다(스텝C8). 그리고, 프린터(3)에 의해 그 화상데이터의 화상이 인쇄된다(스텝C9).
이상과 같이, 도7에 나타낸 파일링장치에서는, 주변에 있는 등록시트(33)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어느 파일링장치에 기억되어 있는지 알 수 없을 경우, 화상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파일링장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 파일링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로의 액세스범위가 자기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정보(26)에 의해 제한되므로, 등록정보의 기밀성이 높아진다.
[제 4 실시예]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에 대하여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1 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파일링장치는, 스캐너(1), 디스크장치(2), 프린터(3), 엔코더(4), 디코더(5), 문서관리유니트(6), 자기카드리더(8), 액세스관리유니트(9)로 구성되며, 이들은 제 3 실시예에서와 유사하다. 제 4 실시예에서는, LAN인터페이스(7) 및 LAN(11)을 더욱 구비한다. 파일링장치에는, 그 파일링장치를 특정하기 위해 고유의 장치ID가 할당되어 있다. 파일링장치에는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5에 나타낸 장치관리테이블(42)이 준비되어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1의 제 1 실시예, 도4의 제 2 실시예및, 도7의 제 3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도11의 파일링장치에서의 화상데이터를 꺼내는 동작에 대하여 도12의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의 형편상, 파일링장치에 부호 (101)과 (102)를 부여하지만, 파일링장치(101)와 파일링장치(102)는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이용하고 있는 파일링장치(101)에서는, 미리 자기카드리더(8)로 자기카드에서 도8에 나타낸 사용자ID(24)를 읽어낸다. 한편, 스캐너(1)로 등록시트(33)상의 ID화상패턴을 읽어낸다(도 12 의 플로우챠트의 스텝D1). 디코더(5)는 등록시트(33)의 ID화상패턴(32)을 데이터ID(21)로 변환한다(스텝D2). 문서관리유니트(6)는 데이터ID(21)에서 장치ID(22)와 화상ID(23)를 꺼낸다(스텝D3). 그 장치ID(22)와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파일링장치(101)의 장치ID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스텝D4). 일치할 경우에는, 실시예3과 같은 순서로, 화상데이터를 취한다(스텝D5).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장치관리테이블을 참조하여, 꺼낸 장치ID(22)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어드레스를 검색하고, 장치ID(22)에 대응하는 파일링장치(102)와 통신을 행하고, 화상ID(23) 및 사용자ID(24)를 송신함과 동시에 화상ID(23)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꺼낼 것을 요구한다(스텝D6). 요구된 파일링장치(102)에서는, 실시예3과 같은 방법으로 수신한 사용자ID(24)에서 화상ID(23)로의 액세스할 권리를 확인한다. 사용자ID(24)에 액세스할 권리가 있으면, 요구한 파일링장치(101)에 화상ID(23)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전송한다. 사용자ID(24)에 액세스할 권리가 없을 경우에는, 액세스할 권리가 없다는 뜻을 요구한 파일링장치(101)에 통지한다. 이용되고 있는 파일링장치(101)에서는, 장치ID(22)에 대응하는 파일링장치(102)에서의 응답에 따르고(스텝D7), 프린터(3)에 의해 그 화상데이터의 화상이 인쇄되며(스텝D8), 또는 액세스할 권리가 없다는 뜻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스텝D9).
그리고, 본 실시예는 사용자ID(24)와 화상ID(23)를 동시에 화상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파일링장치(102)에 송신하고 있는 경우이다. 그러나, 화상ID(23)만 송신하고, 화상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파일링장치(102)에서 화상ID(23)에 대응하는 파일이 액세스를 허용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고, 이용하고 있는 파일링장치(101)측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권리의 체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도11에 나타낸 파일링장치에서는, 주변에 있는 등록시트(33)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어느 파일링장치에 기억되어 있는지 알 수 없을 경우, 혹은 주변에 있는 등록시트(33)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파일링장치가 떨어진 장소에 있을 경우 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고 있을 경우에 있어서도, 화상데이터로의 액세스할 권리가 있으면 등록시트(33)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꺼낼 수 있다.
또, 사용자의 화상데이터로의 액세스할 권리를 관리함으로써, 다른 파일링장치에서 누구라도 용이하게 꺼내지 못하도록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5에서의 파일링장치에 대하여 도13 및 도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3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다.
도 13에 있어서 파일링장치는, 스캐너(1), 디스크장치(2), 프린터(3), 엔코더(4), 디코더(5), 문서관리유니트(6), LAN인터페이스(7), 자기카드리더(8), 및 LAN(11)을 구비하며, 이들은 제 4 실시예에서와 유사하다. 다수개의 파일링장치는 LAN(1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파일링장치에는, 그 파일링장치를 특정하기 위해 고유의 장치ID가 할당되어 있다.
자기카드리더(8)는, 사용자가 가지는 장치ID를 토대로 사용자등록되어 있는 파일링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사용자식별수단이다. 파일링장치에는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5에 나타낸 장치관리테이블이 준비되어 있다.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1의 제 1 실시예및 도4의 제 2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도13의 파일링장치에서의 화상데이터의 등록동작에 대하여 도14의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의 형편상, 파일링장치에 부호(101)과 (102)를 부여하지만, 파일링장치(101)와 파일링장치(102)는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자기카드리더(8)는 자기카드에서 사용자등록되어 있는 파일링장치의 장치ID를 꺼낸다(스텝E1). 꺼내진 장치ID와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파일링장치(101)의 장치ID가 일치하는지 아닌지 조사한다(스텝E2). 일치할 경우, 실시예1에서 설명한 순서에 따라종이에 인쇄된 원고화상의 화상데이터는 디스크장치(2)에 기억되고, 그와 동시에 등록시트(33)가 작성된다(스텝E3). 일치하지 않을 경우, 장치관리테이블을 참조하여 꺼내진 장치ID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어드레스를 검색한다(스텝E4). 그리고, 꺼내진 장치ID에 대응하는 파일링장치(102)와 통신을 행하고, 그 파일링장치(102)에 대하여 화상ID(23)의 생성을 요구한다(스텝E5). 그 파일링장치(102)는 화상ID(23)를 생성하면,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파일링장치(101)의 스캐너(1)는 종이에 인쇄된 원고화상을 읽어들인다(스텝E6). 읽어들인 원고화상의 화상데이터가, 꺼내진 장치ID에 대응하는 파일링장치(102)에 전송된다(스텝E7). 그 파일링장치(102)에서는, 수신한 화상데이터를 디스크장치(2)에 기억하고, 화상ID(23)와 기억한 화상데이터와 관련짓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중인 파일링장치(101)의 문서관리유니트(6)는 자기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장치ID와 수신한 화상ID(23)로 데이터ID(21)를 생성한다. 그리고, 실시예1에서 설명한 순서를 따라 등록시트(33)가 작성된다(스텝E8).
그리고, 자기카드리더(8)에 의해 꺼내진 장치ID에 대응하는 파일링장치(102)에 의해 화상ID(23)가 생성되고나서 원고화상을 읽어들이기를 행하고 있는 경우이다. 그러나, 먼저 원고화상을 읽어들이고, 그 원고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파일링장치(101)의 디스크장치에 기억하고나서, 자기카드리더(8)에 의해 꺼내진 장치ID에 대응하는 파일링장치(102)에 화상ID(23)를 생성하는 요구를 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도13에 나타낸 파일링장치에서는, 사용자는, 사용자등록되어 있지 않은 파일링장치에서도, 사용자등록되어 있는 파일링장치에 화상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제 4 실시예및 제 5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용자식별수단으로서 자기카드리더(9)를 이용한 경우이지만, 터치스크린이나 키보드 등에서 패스워드나 암호번호를 입력하는 방법, 또는, IC카드나 펀치카드등을 이용한 경우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6]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파일링장치에 대하여 도15 내지 도17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5는 제 6 실시예의 파일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5에 있어서, 파일링장치는, 스캐너(1), 디스크장치(2), 프린터(3), 엔코더(4), 디코더(5), 문서관리유니트(6)로 구성되며, 이들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이다. 디스크관리유니트(10)는 문서관리유니트(6)에 접속된다. 파일링장치에는, 그 파일링장치를 특정하기 위해 고유의 장치ID(22)가 할당되어 있다.
디스크장치(2)는, 고정디스크장치와, 광디스크나 광자기디스크등의 리무버블기록매체를 이용한 기억장치로 이루어지고, 리무버블기억매체에는 리무버블기억매체를 특정하기 위한 고유의 매체ID가 격납되어 있다. 디스크관리유니트(10)는, 화상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장치를 도16에 나타낸 화상데이터 관리테이블을 이용하여 관리하기 위한 화상관리수단이다. 여기서, 화상데이터 관리테이블에는, 사용자ID(24), 매체ID, 화상ID(23), 파일사이즈 등과 관련지어 등록되어 있다. 단, 화상데이터가 고정디스크장치에 기억되어 있을 경우, 매체ID로서 고정디스크장치를 나타낸 ID가 이용된다.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1의 실시예1에서의 설명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고정디스크장치에 기억한 화상데이터를 리무버블기억매체로 이동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디스크관리유니트(10)는 화상데이터 관리테이블의 매체ID를 화상데이터를 이용한 리무버블기억매체의 매체ID에 바꿔 써서 화상데이터를 관리한다.
도15의 제 6 실시예의 파일링장치에서의 화상데이터를 꺼내는 동작에 대하여 도17의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스캐너(1)에 의해 등록시트(33)를 읽어들인다(스텝F1). 디코더(5)는 등록시트(33)의 ID화상패턴(32)을 데이터ID(21)로 변환한다(스텝F2). 문서관리유니트(6)는 그 데이터ID(21)에서 장치ID(22)와 화상ID(23)를 꺼낸다(스텝F3). 꺼내진 장치ID(22)와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파일링장치의 장치ID가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조사한다(스텝F4). 일치하지 않을 경우, 꺼내진 장치ID(22)를 토대로 기억되어 있는 파일링장치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스텝F5). 일치할 경우, 디스크관리유니트(10)는 꺼내진 화상ID(23)에 대응하는 매체ID를, 화상데이터 관리테이블을 참조하여 특정한다(스텝F6). 특정된 매체ID가 고정디스크장치를 나타낼 경우에는, 화상ID(23)를 토대로 파일을 고정디스크장치에서 특정하여, 화상데이터가 꺼내진다(스텝F10). 특정된 매체ID가 리무버블기억매체의 매체ID일 경우에는, 리무버블기억매체를 디스크장치(2)에 세트할 것을 요구한다(스텝F7). 디스크관리유니트(10)에 의해 특정된 매체ID와 디스크장치(2)에 세트된 리무버블기억매체의 매체ID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조사한다(스텝F8). 일치하지 않을 경우, 다른 리무버블기억매체를 디스크장치(2)에 세트할 것을 요구한다(스텝F9). 이 조작은 특정된 매체ID와 디스크장치에 세트된 리무버블기억매체의 매체ID가 일치하기까지 반복된다. 일치할 경우, 화상ID(23)를 토대로 파일을 리무버블기억매체에서 특정하고, 화상데이터가 꺼내진다(스텝F10). 그리고, 프린터(3)에 의해 그 화상데이터의 화상이 인쇄된다(스텝F11).
이상과 같이, 도15에 나타낸 파일링장치에서는, 고정디스크장치에서 리무버블기억매체로 이동한 화상데이터라도, 등록시트(33)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 고정디스크장치의 용량에 제약되지 않고, 화상데이터 관리테이블의 데이터사이즈가 허락되는 한 파일을 취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식별유니트를 추가함으로써, 사용자단위로 화상데이터의 액세스제한을 할 수 있다. 또, 네트워크등의 통신기능을 이용하면, 다른 파일링장치에서 관리하고 있는 화상데이터라도, 주변에 등록시트(33)와 해당하는 리무버블기억매체만 있다면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파일링장치에 장치ID를 할당하고, 장치ID와 화상ID를 포함하는 데이터ID가 화상패턴화된 ID화상패턴을 화상데이터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에 합성함으로써, 복수대의 파일링장치가 있을 경우라도, 등록정보로의 액세스가 용이하게 된다. 또, 사용자정보에 의해 등록정보로의 액세스를 제한함으로써, 등록정보의 기밀성이 높아진다. 네트워크등의 통신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다른 파일링장치에서도 등록정보로의 액세스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관점에서 기술되었으나, 그러한 개시내용이 한정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않됨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을 일독한 후에는, 발명에 관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요지 및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형 및 변경사항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Claims (7)

  1. 원고화상을 광학적수단으로 판독하고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판독수단과;
    상기 화상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화상데이터를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하는 화상축적수단과;
    상기 화상데이터에 할당되는 식별자로서의 화상ID와 다수개의 파일링장치마다 미리 할당되는 식별자로서의 장치ID로 이루어지는 데이터ID를 화상패턴화하여 ID화상패턴을 생성하는 엔코더와;
    상기 화상의 특징을 나타내는 화상정보에 상기 ID화상패턴을 합성하는 화상합성수단과;
    상기 화상합성수단에 의해 형성된 합성화상내의 상기 ID화상패턴으로부터 원래의 데이터ID를 얻기 위한 변환을 행하는 디코더와;
    상기 화상데이터와 상기 데이터ID를 관련지어 상기 화상축적수단에 기억하고 있는 문서를 관리하는 문서관리수단과;
    상기 데이터ID에 근거하여 상기 문서관리수단에 의하여 문서를 특정함으로써 상기 화상축적수단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ID에 대응하는 문서의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출력수단을 구비하는 파일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파일링장치 및 다른 파일링장치사이의 접속에 관한 관리정보를 기억 하는 관리정보기억수단 및;
    상기 소정의 파일링장치와 상기 다른 파일링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수단을 더욱 구비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파일링장치의 장치ID가 상기 데이터ID에 포함되는 장치ID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ID에 포함되는 장치ID에 대응하는 다른 파일링징치가 상기 관리정보 및 상기 데이터ID에 포함되는 장치ID로부터 특정되고, 통신이 행해지며,
    상기 다른 파일링장치에서 꺼내어진 상기 데이터ID에 포함되는 화상ID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파일링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소정의 파일링장치의 화상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링장치.
  3. 원고화상을 광학적수단으로 판독하고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판독수단과;
    상기 화상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화상데이터를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하는 화상축적수단과;
    상기 화상데이터에 할당되는 식별자로서의 화상ID와 다수개의 파일링장치마다 미리 할당되는 식별자로서의 장치ID로 이루어지는 데이터ID를 화상패턴화하여 ID화상패턴을 생성하는 엔코더와;
    상기 화상의 특징을 나타내는 화상정보에 상기 ID화상패턴을 합성하는 화상합성수단과;
    상기 화상합성수단에 의해 형성된 합성화상내의 상기 ID화상패턴으로부터 원래의 데이터ID를 얻기 위한 변환을 행하는 디코더와;
    상기 화상데이터와 상기 데이터ID를 관련지어 상기 화상축적수단에 기억하고 있는 문서를 관리하는 문서관리수단과;
    상기 데이터ID에 근거하여 상기 문서관리수단에 의하여 문서를 특정함으로써 상기 화상축적수단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ID에 대응하는 문서의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출력수단과;
    사용자마다 고유 사용자정보와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파일링장치의 장치ID로 이루어지는 사용자ID를 토대로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식별수단 및;
    상기 사용자ID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정보를 토대로 상기 화상축적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화상데이터로의 액세스를 제한하는 액세스관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일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소정의 파일링장치 및 다른 파일링장치사이의 접속에 관한 관리정보를 기억 하는 관리정보기억수단 및;
    상기 소정의 파일링장치와 상기 다른 파일링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수단을 더욱 구비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파일링장치의 장치ID가 상기 데이터ID에 포함되는 장치ID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ID에 포함되는 장치ID에 대응하는 다른 파일링징치가 상기 관리정보 및 상기 데이터ID에 포함되는 장치ID로부터 특정되고, 통신이 행해지며,
    상기 다른 파일링장치에서 꺼내어진 상기 데이터ID에 포함되는 화상ID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파일링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소정의 파일링장치의 화상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링장치.
  5. 원고화상을 광학적수단으로 판독하고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판독수단과;
    상기 화상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상기 화상데이터를 외부 기억장치에 기억하는 화상축적수단과;
    상기 화상데이터에 할당되는 식별자로서의 화상ID와 다수개의 파일링장치마다 미리 할당되는 식별자로서의 장치ID로 이루어지는 데이터ID를 화상패턴화하여 ID화상패턴을 생성하는 엔코더와;
    상기 화상의 특징을 나타내는 화상정보에 상기 ID화상패턴을 합성하는 화상합성수단과;
    상기 화상합성수단에 의해 형성된 합성화상내의 상기 ID화상패턴으로부터 원래의 데이터ID를 얻기 위한 변환을 행하는 디코더와;
    상기 화상데이터와 상기 데이터ID를 관련지어 상기 화상축적수단에 기억하고 있는 문서를 관리하는 문서관리수단과;
    상기 데이터ID에 근거하여 상기 문서관리수단에 의하여 문서를 특정함으로써 상기 화상축적수단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ID에 대응하는 문서의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출력수단과;
    각 사용자에 대하여 결정된 고유한 사용자정보와 사용자등록되어 있는 파일링장치의 장치ID로 이루어지는 사용자ID를 토대로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식별수단과,
    소정의 파일링장치와 다른 파일링장치사이의 접속에 관한 관리정보를 기억하는 관리정보기억수단과,
    상기 소정의 파일링자장치와 다른 파일링장치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파일링장치의 장치ID가 상기 사용자ID 내에 포함된 장치ID와 다른 경우, 다른 파일링장치와의 접속에 관한 관리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ID에 포함되는 장치ID를 구비한 상기 다른 파일링장치와 통신을 행하고, 상기 소정의 파일링장치의 상기 화상판독수단에서 읽어낸 화상데이터를, 상기 다른 파일링장치의 상기 화상축적수단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링장치.
  6. 제 1, 3 또는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축적수단은, 고정디스크장치와 리무버블기억매체를 이용한 기억장치; 및,
    상기 화상데이터의 상기 화상ID와, 기억장치의 종류 및 상기 리무버블기억매체를 특정하기 위해 할당되는 매체ID를 대응시켜 화상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매체를 관리하는 디스크관리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링장치.
  7. 제 3, 4 또는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식별수단은, 자기카드판독장치, 또는 키보드 혹은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링장치.
KR1019980003541A 1997-02-07 1998-02-06 파일링장치 KR199800711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512797A JP3182362B2 (ja) 1997-02-07 1997-02-07 簡易ファイリング装置
JP25127 1997-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157A true KR19980071157A (ko) 1998-10-26

Family

ID=12157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541A KR19980071157A (ko) 1997-02-07 1998-02-06 파일링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19132A (ko)
EP (1) EP0858042A3 (ko)
JP (1) JP3182362B2 (ko)
KR (1) KR19980071157A (ko)
CN (1) CN1158847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697B1 (ko) * 2002-01-31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기 회로도의 이미지 파일 생성방법
KR100447247B1 (ko) * 2000-10-10 2004-09-07 주식회사 소리샘넷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한 문서작성 및 보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7548B2 (ja) * 1997-12-29 2007-06-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データアクセス制御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3640518B2 (ja) * 1998-02-09 2005-04-2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フォト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931435B2 (ja) * 1998-06-26 2007-06-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3774574B2 (ja) * 1998-08-31 2006-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通信システム及び画像通信方法
JP2000175023A (ja) 1998-12-09 2000-06-23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0339298A (ja) * 1999-05-25 2000-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文書蓄積装置
US7191153B1 (en) * 1999-09-10 2007-03-13 Dphi Acquisitions, Inc.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apparatus
FR2810430B1 (fr) * 2000-06-14 2002-12-20 Philippe Paget Systeme et procede pour la gestion electronique d'informations
US6957888B1 (en) * 2000-08-17 2005-10-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rialized original print
US6873435B1 (en) * 2000-08-17 2005-03-29 Eastman Kodak Company Print having encoded metadata coupled thereto
KR20020016055A (ko) * 2000-08-24 2002-03-04 이영환 암호화된 소프트웨어의 전송방법 및 전송시스템
JP2002154243A (ja) 2000-09-11 2002-05-28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タ及びコンピュータの周辺機器
US20020143814A1 (en) * 2001-03-27 2002-10-03 The Cod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insertion of machine-readable graphical codes into printable documents
JP2002288196A (ja) * 2001-03-27 2002-10-04 Mitsubishi Heavy Ind Ltd ドキュメント登録システム
JP4261783B2 (ja) * 2001-09-11 2009-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文書登録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7032988B2 (en) * 2002-04-08 2006-04-25 Kodak Graphic Communications Canada Company Certified proofing
US20040044958A1 (en) * 2002-08-27 2004-03-04 Wolf John P. Systems and methods for inserting a metadata tag in a document
JP2004240549A (ja) * 2003-02-04 2004-08-26 Ricoh Co Ltd イメージファイル作成方法、記録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並びに情報記録システム
FR2858077B1 (fr) * 2003-07-25 2006-01-20 Eastman Kodak Co Procede de distribution selective d'images
JP4428266B2 (ja) 2005-03-22 2010-03-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翻訳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319603A (ja) * 2005-05-12 2006-11-24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読取り装置、画像形成装置、印刷媒体、媒体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196971B2 (ja) * 2005-07-06 2008-12-1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データ処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JP4942142B2 (ja) * 2005-12-06 2012-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4640219B2 (ja) * 2006-03-03 2011-03-0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59546A (ja) * 2006-08-03 2008-03-13 Sharp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855965B2 (ja) * 2007-02-14 2012-01-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4850746B2 (ja) 2007-02-15 2012-01-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US8219898B2 (en) * 2007-06-11 2012-07-1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ocument registr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 usable medium therefor
JP4340714B2 (ja) * 2007-07-24 2009-10-07 シャープ株式会社 原稿抽出方法、原稿抽出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09026803A1 (en) 2007-08-27 2009-03-05 Yuvad Technologies Co., Ltd. A method for identifying motion video content
US8488835B2 (en) 2008-05-21 2013-07-16 Yuvad Technologies Co., Ltd. System for extracting a fingerprint data from video/audio signals
US20100215210A1 (en) * 2008-05-21 2010-08-26 Ji Zhang Method for Facilitating the Archiving of Video Content
WO2009140819A1 (en) 2008-05-21 2009-11-26 Yuvad Technologies Co., Ltd. A system for facilitating the search of video content
US8370382B2 (en) 2008-05-21 2013-02-05 Ji Zhang Method for facilitating the search of video content
WO2009140824A1 (en) 2008-05-22 2009-11-26 Yuvad Technologies Co., Ltd. A system for identifying motion video/audio content
WO2009140822A1 (en) 2008-05-22 2009-11-26 Yuvad Technologies Co., Ltd. A method for extracting a fingerprint data from video/audio signals
US8531690B2 (en) * 2010-01-12 2013-09-10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Linkage system of plural multi function peripherals
JP5604461B2 (ja) * 2012-02-07 2014-10-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情報管理方法、装置、システム及び評価用チャート
US9418266B1 (en) * 2013-09-26 2016-08-16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Tracking oilfield assets with a universal identification protocol
JP6458351B2 (ja) * 2014-04-15 2019-01-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電子文書生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TWI536798B (zh) * 2014-08-11 2016-06-01 虹光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影像分檔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9769A (ja) * 1984-04-16 1985-11-0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S6161495A (ja) * 1984-09-03 1986-03-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線ストツカ−
JPH0777450B2 (ja) * 1986-08-20 1995-08-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画像情報提供サ−ビス制御方式
WO1988005622A1 (fr) * 1987-01-27 1988-07-28 Konica Corporation Processeur d'images en couleurs
JPS6446874A (en) * 1987-08-18 1989-02-21 Fuji Photo Film Co Ltd Recording/retrieving method for image information
JPH01144165A (ja) * 1987-11-30 1989-06-06 Toshiba Corp 電子ファイリング装置
JPH01197878A (ja) * 1988-02-03 1989-08-09 Hitachi Ltd 文書管理装置
JPH01309464A (ja) * 1988-06-07 1989-12-13 Canon Inc 画像伝送装置
US5146351A (en) * 1988-08-22 1992-09-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reader
JP2940827B2 (ja) * 1988-09-07 1999-08-25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医療用画像ファイリング装置
JPH02282842A (ja) * 1989-04-25 1990-11-20 Nec Corp ファイルの機密保護方式
DE69030178T2 (de) * 1989-12-15 1997-08-14 Hitachi Lt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bewahren von bildern
JPH03196266A (ja) * 1989-12-25 1991-08-27 Toshiba Corp 画像形成記憶装置
US5191525A (en) * 1990-01-16 1993-03-02 Digital Image System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on of data from documents for subsequent processing
JP2612358B2 (ja) * 1990-02-27 1997-05-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処理装置
JPH03266573A (ja) * 1990-03-16 1991-11-27 Hitachi Medical Corp X線画像入力装置
US5327254A (en) * 1992-02-19 1994-07-05 Daher Mohammad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and decompressing image data
JPH05274369A (ja) * 1992-03-25 1993-10-22 Toshiba Corp 画像情報処理システム
CA2109266C (en) * 1992-11-05 2002-05-07 Edward Schmid Method of and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reating, identifying, routing and storing digitally scanned documents
JP3252024B2 (ja) * 1993-03-25 2002-01-28 株式会社リコー 複写システム
JPH07200631A (ja) * 1993-12-27 1995-08-04 Ricoh Co Ltd 電子ファイリング装置
US6181837B1 (en) * 1994-11-18 2001-01-30 The Chase Manhattan Bank, N.A. Electronic check image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5608874A (en) * 1994-12-02 1997-03-04 Autoentry Online,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ata file format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having advanced features
JPH09244830A (ja) * 1996-03-13 1997-09-19 Canon Inc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
US6342954B1 (en) * 1996-06-25 2002-01-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information processor and image information transmit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247B1 (ko) * 2000-10-10 2004-09-07 주식회사 소리샘넷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한 문서작성 및 보존 방법
KR100435697B1 (ko) * 2002-01-31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기 회로도의 이미지 파일 생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82362B2 (ja) 2001-07-03
CN1158847C (zh) 2004-07-21
EP0858042A2 (en) 1998-08-12
US6119132A (en) 2000-09-12
CN1190218A (zh) 1998-08-12
JPH10222526A (ja) 1998-08-21
EP0858042A3 (en) 2000-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71157A (ko) 파일링장치
US5682549A (en) Image data management system for accessing image data from communication network by reading file name information stored in an IC card
JP4969301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
US20120105901A1 (en) Document management support system,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apparatus, and information medium controller
CN1885327A (zh) 具有图像日志记录功能的图像输出系统及其日志记录方法
JP2002197101A (ja) 文書管理システム
US757359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ocument reproduction management
CN101652763A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设备的功能限制方法
JPH11144033A (ja) ディジタル複合機
US8675216B2 (en) Selective duplicating system an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device
JP2007004431A (ja) 文書管理システム、文書廃棄装置および文書管理方法
JP4272204B2 (ja) ファクシミリ機能を備えた装置及び方法
US20070215704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JP4407436B2 (ja) 画像出力装置および画像出力方法
JP2003067249A (ja) 電子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51850A (ja) 画像形成装置、文書作成装置、シュレッダ、文書管理装置及び文書管理システム
US200502257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ondarily outputting original data
JP2005100187A (ja) 画像処理装置
JPH11259484A (ja) 簡易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JP2006186656A (ja) 画像処理装置、転送ジョブの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4291426B2 (ja) 画像処理装置
JP200421686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8299432A (ja) 画像形成機器のデータ管理装置
JP4090208B2 (ja) ファイル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JP4299404B2 (ja) 画像管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1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008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