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16361B1 -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361B1
KR101416361B1 KR1020120101967A KR20120101967A KR101416361B1 KR 101416361 B1 KR101416361 B1 KR 101416361B1 KR 1020120101967 A KR1020120101967 A KR 1020120101967A KR 20120101967 A KR20120101967 A KR 20120101967A KR 101416361 B1 KR101416361 B1 KR 101416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type
epi layer
epi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5594A (ko
Inventor
이종석
홍경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1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361B1/ko
Priority to JP2012262830A priority patent/JP2014060376A/ja
Priority to US13/710,119 priority patent/US9099378B2/en
Priority to DE102012113027.2A priority patent/DE102012113027A1/de
Priority to CN201210570518.XA priority patent/CN103681883A/zh
Publication of KR20140035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2/00Bipolar devices controlled by the field effect, e.g. insulated-gate bipolar transistors [IGBT]
    • H10D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12/031Manufacture or treatment of IGB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02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 H10D62/103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biased devices
    • H10D62/105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biased devices by having particular doping profiles, shapes or arrangements of PN junctions; by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e.g. junction termination extension [JTE] 
    • H10D62/106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biased devices by having particular doping profiles, shapes or arrangements of PN junctions; by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e.g. junction termination extension [JTE]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doped oppositely to or in rectifying contact with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e.g. guard rings with PN or Schottky junctions
    • H10D62/107Buried supplementary regions, e.g. buried guard ring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8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10D62/83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being Group IV materials, e.g. B-doped Si or undoped Ge
    • H10D62/832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being Group IV materials, e.g. B-doped Si or undoped Ge being Group IV materials comprising two or more elements, e.g. SiGe
    • H10D62/8325Silicon carbi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00Diodes
    • H10D8/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051Manufacture or treatment of Schottky 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00Diodes
    • H10D8/60Schottky-barrier 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에 위치하는 n-형 에피층, n-형 에피층 내에 위치하는 제1 p+ 영역, n-형 에피층 및 제1 p+ 영역 위에 위치하는 n형 에피층, n형 에피층 내에 위치하는 제2 p+ 영역, n형 에피층 및 제2 p+ 영역 위에 위치하는 쇼트키 금속, 그리고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2면에 위치하는 오믹 금속을 포함하고, 제1 p+ 영역과 제2 p+ 영역은 서로 접촉되어 있다.

Description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SHOTTKY BARRIER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화 규소(SiC, 실리콘 카바이드)를 포함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shottky barrier diode, SBD)는 일반적인 PN 다이오드와 달리 PN 접합을 이용하지 않고, 금속과 반도체가 접합된 쇼트키 접합을 이용하는 것으로, 빠른 스위칭 특성을 나타내며, PN 다이오드 보다 낮은 턴 온 전압 특성을 갖는다.
일반적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누설 전류의 저감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쇼트키 접합부의 하단에 p+ 영역이 형성된 접합 장벽 쇼트키(junction barrier shottky, JBS)의 구조를 적용하여 역전압 인가 시 확산된 PN 다이오드 공핍층의 중첩에 의해 누설 전류가 차단되고 항복 전압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고 있다.
하지만, 쇼트키 접합부에 p+ 영역이 존재함으로써, 순방향의 전류 경로가 되는 쇼트키 전극과 n- 드리프트 층과의 접촉 면적이 좁아져 저항치가 증가하고,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온(on) 저항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p+ 영역이 플로팅 되어 있어 누설 전류를 차단시키는 공핍층의 너비가 넓지 않아 p+ 영역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하는 공정 상의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에서, 쇼트키 접합 면적을 극대화하여 순방향 전압 인가 시 온 저항을 낮추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에 위치하는 n-형 에피층, n-형 에피층 내에 위치하는 제1 p+ 영역, n-형 에피층 및 제1 p+ 영역 위에 위치하는 n형 에피층, n형 에피층 내에 위치하는 제2 p+ 영역, n형 에피층 및 제2 p+ 영역 위에 위치하는 쇼트키 금속, 그리고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2면에 위치하는 오믹 금속을 포함하고, 제1 p+ 영역과 제2 p+ 영역은 서로 접촉되어 있다.
제1 p+ 영역은 n-형 에피층의 표면에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p+ 영역은 n형 에피층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은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에 n-형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n-형 에피층의 표면에 p+ 이온을 주입하여 제1 p+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n-형 에피층 및 제1 p+ 영역 위에 n형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n형 에피층의 표면에 n+ 이온을 주입하여 제2 p+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n형 에피층 및 제2 p+ 영역 위에 쇼트키 금속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2면에 오믹 금속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p+ 영역과 제2 p+ 영역은 서로 접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쇼트키 접합 면적이 극대화되어 순방향 전압 인가 시 온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단면도 이다.
도 2은 도 1의 n-형 에피층의 평면도 이다.
도 3은 도 1의 n형 에피층의 평면도 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단면도 이고, 도 2는 도 1의 n-형 에피층의 평면도 이고, 도 3은 도 1의 n형 에피층의 평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1면에 n-형 에피층(200), n형 에피층(300), 및 쇼트키 금속(4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고,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2면에 오믹 금속(500)이 적층되어 있다.
n-형 에피층(200)에는 p+ 이온이 주입된 제1 p+ 영역(210)이 형성되어 있고, n형 에피층(300)에는 p+ 이온이 주입된 제2 p+ 영역(31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p+ 영역(210)은 n-형 에피층(200)의 표면에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p+ 영역(310)은 n형 에피층(30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p+ 영역(210)과 접촉한다.
이와 같이, 제1 p+ 영역(210)과 제2 p+ 영역(310)이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역 바이어스 인가 시 제1 p+ 영역(210)과 n-형 에피층(200)의 접합 영역에 역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종래보다 더 넓은 공핍층이 형성되어 누설 전류가 크게 감소된다.
또한, 제1 p+ 영역(210)을 n-형 에피층(200)의 표면에 형성하고, 제1 p+ 영역(210)과 접촉하는 제2 p+ 영역(310)을 n형 에피층(300)의 가장자리에 형성함으로써, 쇼트키 접합 면적이 증가하여 순방향 전압 인가 시 온-저항을 낮출 수 있다.
그러면, 도 4 내지 도 7 및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을 준비하고,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1면에 에피택셜 성장으로 n-형 에피층(200)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n-형 에피층(200)의 일부 표면에 p+ 이온을 주입하여 제1 p+ 영역(210)을 형성한다. 제1 p+ 영역(210)은 n-형 에피층(200)의 표면 위에 격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n-형 에피층(200) 및 제1 p+ 영역(210) 위에 에피택셜 성장으로 n형 에피층(300)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n형 에피층(300)의 일부 표면에 p+ 이온을 주입하여 제2 p+ 영역(310)을 형성한다. 제2 p+ 영역(310)은 n형 에피층(30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p+ 영역(310)은 제1 p+ 영역(210)에 접촉한다.
이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n형 에피층(300) 및 제2 p+ 영역(310) 위에 쇼트키 금속(500)을 형성하고,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2면에 오믹 금속(500)을 형성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n+형 탄화 규소 기판 200: n-형 에피층
210: 제1 p+ 영역 300: n형 에피층
310: 제2 p+ 영역 400: 쇼트키 금속
500: 오믹 금속

Claims (6)

  1.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에 위치하는 n-형 에피층,
    상기 n-형 에피층 내에 위치하는 제1 p+ 영역,
    상기 n-형 에피층 및 상기 제1 p+ 영역 위에 위치하는 n형 에피층,
    상기 n형 에피층 내에 위치하는 제2 p+ 영역,
    상기 n형 에피층 및 상기 제2 p+ 영역 위에 위치하는 쇼트키 금속, 그리고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2면에 위치하는 오믹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 영역과 상기 제2 p+ 영역은 서로 접촉되어 있고,
    상기 제2 p+ 영역은 상기 n형 에피층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쇼트키 금속은 상기 n형 에피층 및 상기 제2 p+ 영역과 접촉되어 있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2. 제1항에서,
    상기 제1 p+ 영역은 상기 n-형 에피층의 표면에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3. 삭제
  4.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에 n-형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형 에피층의 표면에 p+ 이온을 주입하여 제1 p+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형 에피층 및 상기 제1 p+ 영역 위에 n형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형 에피층의 표면에 n+ 이온을 주입하여 제2 p+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형 에피층 및 상기 제2 p+ 영역 위에 쇼트키 금속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2면에 오믹 금속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p+ 영역과 상기 제2 p+ 영역은 서로 접촉하고,
    상기 제2 p+ 영역은 상기 n형 에피층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쇼트키 금속은 상기 n형 에피층 및 상기 제2 p+ 영역과 접촉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제1 p+ 영역은 상기 n-형 에피층의 표면에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6. 삭제
KR1020120101967A 2012-09-14 2012-09-14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6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967A KR101416361B1 (ko) 2012-09-14 2012-09-14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JP2012262830A JP2014060376A (ja) 2012-09-14 2012-11-30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3/710,119 US9099378B2 (en) 2012-09-14 2012-12-10 Schottky barrier di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12113027.2A DE102012113027A1 (de) 2012-09-14 2012-12-21 Schottky-Diod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CN201210570518.XA CN103681883A (zh) 2012-09-14 2012-12-25 肖特基垫垒二极管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967A KR101416361B1 (ko) 2012-09-14 2012-09-14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594A KR20140035594A (ko) 2014-03-24
KR101416361B1 true KR101416361B1 (ko) 2014-08-06

Family

ID=5018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967A KR101416361B1 (ko) 2012-09-14 2012-09-14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99378B2 (ko)
JP (1) JP2014060376A (ko)
KR (1) KR101416361B1 (ko)
CN (1) CN103681883A (ko)
DE (1) DE102012113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070B1 (ko) * 2012-12-27 2014-02-1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85141A (ko) * 2012-12-27 2014-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18905B1 (ko) 2013-12-30 2015-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CN104576762B (zh) * 2014-12-25 2018-08-28 株洲南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肖特基势垒二极管及其制造方法
JP7098906B2 (ja) * 2017-10-11 2022-07-12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を備えた炭化珪素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2701150A (zh) * 2019-10-23 2021-04-23 世界先进积体电路股份有限公司 半导体结构
US20210343837A1 (en) * 2020-05-01 2021-11-04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emiconductor structures
CN113937168A (zh) * 2020-07-13 2022-01-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碳化硅结势垒肖特基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CN112687750B (zh) * 2020-12-10 2022-03-18 复旦大学 一种半浮空结构的SiC SBD器件及其制备方法
CN113130625B (zh) * 2021-03-26 2021-11-12 先之科半导体科技(东莞)有限公司 一种高压快速的碳化硅二极管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6521A (ja) * 1994-02-10 1995-08-22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整流用半導体装置
JP2002314099A (ja) * 2001-04-09 2002-10-25 Denso Corp ショットキーダイオ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29071A (ja) * 2004-02-16 2005-08-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58506A (en) * 1976-08-09 1980-01-03 Mullard Ltd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a rectifying metalto-semicondductor junction
JP3297087B2 (ja) 1992-09-25 2002-07-02 株式会社東芝 高耐圧半導体装置
JPH11330498A (ja) * 1998-05-07 1999-11-30 Fuji Electric Co Ltd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901699B2 (en) * 2005-05-11 2014-12-02 Cree, Inc. Silicon carbide junction barrier Schottky diodes with suppressed minority carrier injection
JP4396724B2 (ja) 2007-04-18 2010-01-13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を備えた炭化珪素半導体装置
JP4375439B2 (ja) 2007-05-30 2009-12-02 株式会社デンソー ジャンクションバリアショットキーダイオードを備えた炭化珪素半導体装置
JP2009158519A (ja) * 2007-12-25 2009-07-16 Toyota Motor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74312B1 (ko) 2011-10-21 2014-03-14 주식회사 지2터치 전압변동을 이용한 정전식 터치 검출수단, 검출방법 및 터치스크린패널과, 그러한 정전식 터치스크린패널을 내장한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6521A (ja) * 1994-02-10 1995-08-22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整流用半導体装置
JP2002314099A (ja) * 2001-04-09 2002-10-25 Denso Corp ショットキーダイオ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29071A (ja) * 2004-02-16 2005-08-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594A (ko) 2014-03-24
US20140077225A1 (en) 2014-03-20
JP2014060376A (ja) 2014-04-03
DE102012113027A1 (de) 2014-03-20
US9099378B2 (en) 2015-08-04
CN103681883A (zh)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6361B1 (ko)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JP6425659B2 (ja) ショットキーダイオード及びショットキーダイオードの製造方法
US7781786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heterojunction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74124B1 (ko) 반도체 장치들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US9466674B2 (en) Semiconductor devices with non-implanted barrier regions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US8890169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1461886B1 (ko)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JP2019071313A (ja) 半導体装置
US20230017518A1 (en) Semiconductor device
KR20140074930A (ko) 쇼트키 다이오드
KR20140060352A (ko) 에지 종단 요소들을 위한 오목부를 채용하는 에지 종단 구조
EP1905089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101427948B1 (ko)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438620B1 (ko)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49919A (ko) 실리콘카바이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46879B1 (ko)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490937B1 (ko)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79027A (ko)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86688A (ko)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518905B1 (ko)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CN112909098B (zh) 一种肖特基二极管及其制备方法
KR20160116294A (ko) 쇼트키 다이오드
CN112216746A (zh) 碳化硅半导体器件
KR20150078454A (ko)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WO2015120432A1 (en) Trenched and implanted bipolar junction transis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4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0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4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2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5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4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12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