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60070B1 -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070B1
KR101360070B1 KR1020120155373A KR20120155373A KR101360070B1 KR 101360070 B1 KR101360070 B1 KR 101360070B1 KR 1020120155373 A KR1020120155373 A KR 1020120155373A KR 20120155373 A KR20120155373 A KR 20120155373A KR 101360070 B1 KR101360070 B1 KR 101360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silicon carbide
region
pillar region
carbide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석
홍경국
천대환
정영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5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070B1/ko
Priority to US14/104,974 priority patent/US890157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0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02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 H10D62/103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biased devices
    • H10D62/105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biased devices by having particular doping profiles, shapes or arrangements of PN junctions; by having supplementary regions, e.g. junction termination extension [JTE] 
    • H10D62/109Reduced surface field [RESURF] PN junction structures
    • H10D62/111Multiple RESURF structures, e.g. double RESURF or 3D-RESURF struc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2/00Bipolar devices controlled by the field effect, e.g. insulated-gate bipolar transistors [IGBT]
    • H10D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12/031Manufacture or treatment of IGB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30/021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 H10D30/025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of vertical IGF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3Vertical IGF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4Double-diffused metal-oxide semiconductor [DMOS] FETs
    • H10D30/66Vertical DMOS [VDMOS] FETs
    • H10D30/668Vertical DMOS [VDMOS] FETs having trench gate electrodes, e.g. UM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3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electrodes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source or drain regions
    • H10D62/149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10D62/151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IGFETs 
    • H10D62/156Drain regions of DMOS transistors
    • H10D62/157Impurity concentrations or distribu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7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electrodes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channel regions
    • H10D62/213Channel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10D62/221Channel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ETs
    • H10D62/235Channel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ETs of IGFETs
    • H10D62/292Non-planar channels of IGF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8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10D62/83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being Group IV materials, e.g. B-doped Si or undoped Ge
    • H10D62/832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being Group IV materials, e.g. B-doped Si or undoped Ge being Group IV materials comprising two or more elements, e.g. SiGe
    • H10D62/8325Silicon carbi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2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10D64/23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sources, drains, anodes or cathodes
    • H10D64/251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 H10D64/256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for lateral devices wherein the source or drain electrodes are recessed in semiconductor bodies

Landscapes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n+형 탄화 규소 기판,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n형 필라 영역, 복수 개의 p형 필라 영역 및 n-형 에피층, n-형 에피층 위에 차례로 배치되어 있는 p형 에피층 및 n+ 영역, n+ 영역 및 p형 에피층을 관통하고, n-형 에피층에 배치되어 있는 트렌치, 트렌치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 절연막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전극 위에 배치되어 있는 산화막, p형 에피층, n+ 영역 및 산화막 위에 배치되어 있는 소스 전극, 그리고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2면에 위치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n형 필라 영역과 p형 필라 영역은 n-형 에피층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n형 필라 영역과 p형 필라 영역은 트렌치와 떨어져 있으며, 트렌치의 하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화 규소(SiC, 실리콘 카바이드)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응용 기기의 대형화 대용량화 추세에 따라 높은 항복전압과 높은 전류 및 고속 스위칭 특성을 갖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실리콘(Silicon)을 이용한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 트랜지스터) 대신에 탄화 규소(SiC, 실리콘 카바이드)를 이용한 MOSFET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수직형 트렌치(trench) MOSFET에 대한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직형 트렌치 MOSFET 의 경우, 게이트 하단에 전계가 집중되는 전계 밀집 효과로 인해 산화막이 파괴되는 항복 현상이 발생하여 원자재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임계 전압에 의한 항복 전압보다 매우 낮은 항복 전압을 나타내는 조기 항복 현상(premature breakdown)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트렌치 게이트가 적용된 탄화 규소 MOSFET 에서 항복 전압을 향상시키고, 온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n+형 탄화 규소 기판,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n형 필라 영역, 복수 개의 p형 필라 영역 및 n-형 에피층, n-형 에피층 위에 차례로 배치되어 있는 p형 에피층 및 n+ 영역, n+ 영역 및 p형 에피층을 관통하고, n-형 에피층에 배치되어 있는 트렌치, 트렌치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 절연막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전극 위에 배치되어 있는 산화막, p형 에피층, n+ 영역 및 산화막 위에 배치되어 있는 소스 전극, 그리고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2면에 위치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n형 필라 영역과 p형 필라 영역은 n-형 에피층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n형 필라 영역과 p형 필라 영역은 트렌치와 떨어져 있으며, 트렌치의 하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n형 필라 영역과 p형 필라 영역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n형 필라 영역과 p형 필라 영역은 서로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n형 필라 영역과 p형 필라 영역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에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제1 부분을 노출하는 제1 버퍼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제1 부분에 제1 에피택셜 성장으로 n형 필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제1 버퍼층 패턴을 제거한 후,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제1 부분에 인접한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제2 부분을 노출하는 제2 버퍼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제2 부분에 제2 에피택셜 성장으로 p형 필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제2 버퍼층 패턴을 제거하여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제2 부분 사이에 위치한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제3 부분을 노출하는 단계,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상기 제3 부분, n형 필라 영역 및 p형 필라 영역 위에 제3 에피택셜 성장으로 n-형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n-형 에피층 위에 제4 에피택셜 성장으로 p형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p형 에피층 위에 제5에피택셜 성장으로 n+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n+ 영역 및 상기 p형 에피층을 관통하고, 상기 n-형 에피층의 일부를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트렌치는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제3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n형 필라 영역과 p형 필라 영역은 상기 트렌치와 떨어져 있으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제3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제2 버퍼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n형 필라 영역 위 및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제3 부분에 제2 버퍼층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n+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트렌치 내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게이트 절연막 위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게이트 전극 위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p형 에피층, n+ 영역 및 산화막 위에 소스 전극을 형성하고,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2면에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n-형 에피층 내부에 트렌치와 떨어져 있고, 서로 접촉하고 있는 n형 필라 영역 및 p형 필라 영역을 배치함으로써, 트렌치 바닥의 게이트 절연막에 집중되는 전계를 n형 필라 영역과 p형 필라 영역 사이의 PN 접합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반도체 소자의 항복 전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트렌치의 하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n형 필라 영역 및 p형 필라 영역을 배치시키지 않아, 전자 및 전류가 드레인 전극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가 확보되므로, 반도체 소자의 온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단면도 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와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온 저항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단면도 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1면에 복수 개의 n형 필라(pillar) 영역(200), 복수 개의 p형 필라 영역(300) 및 n-형 에피층(400)이 배치되어 있다.
n-형 에피층(400) 위에 p형 에피층(500) 및 n+ 영역(600)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n-형 에피층(400), p형 에피층(500) 및 n+ 영역(600)에는 트렌치(650)가 배치되어 있다. 트렌치(650)는 n+ 영역(600) 및 p형 에피층(500)을 관통한다.
n형 필라 영역(200) 및 p형 필라 영역(300)은 서로 접촉하며,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n형 필라 영역(200) 및 p형 필라 영역(300)은 n-형 에피층(400)의 내부에 위치하며, p형 에피층(500) 및 트렌치(650)와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또한, 트렌치(650)의 하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n형 필라 영역(200) 및 p형 필라 영역(300)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
트렌치(650) 내에는 게이트 절연막(700)이 배치되어 있고, 게이트 절연막(700) 위에는 게이트 전극(800)이 배치되어 있고, 게이트 절연막(700) 및 게이트 전극(800) 위에는 산화막(710)이 배치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800)은 트렌치(650)를 채우고 있다.
p형 에피층(500), n+ 영역(600) 및 산화막(710) 위에는 소스 전극(900)이 형성되어 있다.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2면에는 드레인 전극(95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n-형 에피층(400) 내부에 트렌치(650)와 떨어져 있고, 서로 접촉하고 있는 n형 필라 영역(200) 및 p형 필라 영역(300)을 배치함으로써, 트렌치(650) 바닥의 게이트 절연막(700)에 집중되는 전계를 n형 필라 영역(200)과 p형 필라 영역(300) 사이의 접합 즉, PN 접합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반도체 소자의 항복 전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트렌치(650)의 하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n형 필라 영역(200) 및 p형 필라 영역(300)을 배치시키지 않아, 전자 및 전류가 드레인 전극(950)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가 확보되므로, 반도체 소자의 온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면 도 2 내지 도 9 및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을 준비하고,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1면에 제1 버퍼층 패턴(50)을 형성한다. 제1 버퍼층 패턴(50)은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1면의 제1 부분(A)을 노출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1면의 제1 부분(A)에 제1 에피택셜 성장으로 복수 개의 n형 필라 영역(200)을 형성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버퍼층 패턴(50)을 제거한 후,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1면의 제2 부분(B)을 노출하는 제2 버퍼층 패턴(60)을 형성한다. 이 때, 제2 버퍼층 패턴(60)은 n형 필라 영역(200) 위 및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1면의 제3 부분(C)에 형성된다.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1면의 제2 부분(B)은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1면의 제1 부분(A)과 인접하고,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1면의 제3 부분(C)은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1면의 제2 부분(B) 사이에 위치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1면의 제2 부분(B)에 제2 에피택셜 성장으로 p형 필라 영역(300)을 형성한다. 이 때, n형 필라 영역(200) 및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1면의 제3 부분(C)은 제2 버퍼층 패턴(60)에 의해 제2 에피택셜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p형 필라 영역(300)과 n형 필라 영역(200)의 두께는 동일하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버퍼층 패턴(60)을 제거한 후,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1면의 제3 부분(C), n형 필라 영역(200) 및 p형 필라 영역(300) 위에 제3 에피택셜 성장으로 n-형 에피층(40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n형 필라 영역(200) 및 p형 필라 영역(300)은 n-형 에피층(400)의 내부에 위치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n-형 에피층(400) 위에 제4 에피택셜 성장으로 p형 에피층(500)을 형성하고, p형 에피층(500) 위에 제5 에피택셜 성장으로 n+ 영역(600)을 형성한다. p형 에피층(500)은 n형 필라 영역(200) 및 p형 필라 영역(300)과 떨어져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n+ 영역(600)을 제5 에피택셜 성장으로 형성하였지만, 에피택셜 성장을 진행하지 않고 p형 에피층(500)의 일부 표면에 n+ 이온을 주입하여 n+ 영역(6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n+ 영역(600) 및 p형 에피층(500)을 관통하고, n-형 에피층(400)의 일부 식각하여 트렌치(650)를 형성한다. n형 필라 영역(200) 및 p형 필라 영역(300)은 트렌치(650)와 떨어져 있고, 트렌치(650)의 하부에는 n형 필라 영역(200) 및 p형 필라 영역(300)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트렌치(650)는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1면의 제3 부분(C)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렌치(650) 내에 게이트 절연막(700)을 형성하고, 게이트 절연막(700) 위에 게이트 전극(800)을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막(700) 및 게이트 전극(800) 위에 산화막(710)을 형성하고, n+ 영역(600)의 일부를 식각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p형 에피층(500), n+ 영역(600) 및 산화막(710) 위에 소스 전극(900)을 형성하고,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2면에 드레인 전극(950)을 형성한다.
그러면,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와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특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와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전류-전압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0에서 A1은 종래의 일반적인 수직형 트렌치 MOSFET이고, B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동일한 전압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전류의 양이 종래의 일반적인 수직형 트렌치 MOSFET의 전류의 양보다 많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온 저항이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온 저항에 비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50: 제1 버퍼층 패턴 60: 제2 버퍼층 패턴
100: n+형 탄화 규소 기판 200: n형 필라 영역
300: p형 필라 영역 400: n-형 에피층
500: p형 에피층 600: n+ 영역
650: 트렌치 700: 게이트 절연막
710: 산화막 800: 게이트 전극
900: 소스 전극 950: 드레인 전극

Claims (10)

  1. n+형 탄화 규소 기판,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n형 필라 영역, 복수 개의 p형 필라 영역 및 n-형 에피층,
    상기 n-형 에피층 위에 차례로 배치되어 있는 p형 에피층 및 n+ 영역,
    상기 n+ 영역 및 상기 p형 에피층을 관통하고, 상기 n-형 에피층에 배치되어 있는 트렌치,
    상기 트렌치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위에 배치되어 있는 산화막,
    상기 p형 에피층, 상기 n+ 영역 및 상기 산화막 위에 배치되어 있는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2면에 위치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n형 필라 영역과 상기 p형 필라 영역은 상기 n-형 에피층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n형 필라 영역과 상기 p형 필라 영역은 상기 트렌치와 떨어져 있으며, 상기 트렌치의 하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는 반도체 소자.
  2. 제1항에서,
    상기 n형 필라 영역과 상기 p형 필라 영역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반도체 소자.
  3. 제2항에서,
    상기 n형 필라 영역과 상기 p형 필라 영역은 서로 접촉되어 있는 반도체 소자.
  4. 제3항에서,
    상기 n형 필라 영역과 상기 p형 필라 영역의 두께는 동일한 반도체 소자.
  5.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에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제1 부분을 노출하는 제1 버퍼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상기 제1 부분에 제1 에피택셜 성장으로 n형 필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버퍼층 패턴을 제거한 후,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한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제2 부분을 노출하는 제2 버퍼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상기 제2 부분에 제2 에피택셜 성장으로 p형 필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버퍼층 패턴을 제거하여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위치한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제3 부분을 노출하는 단계,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상기 제3 부분, 상기 n형 필라 영역 및 상기 p형 필라 영역 위에 제3 에피택셜 성장으로 n-형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형 에피층 위에 제4 에피택셜 성장으로 p형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p형 에피층 위에 제5에피택셜 성장으로 n+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n+ 영역 및 상기 p형 에피층을 관통하고, 상기 n-형 에피층의 일부를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는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상기 제3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n형 필라 영역과 상기 p형 필라 영역은 상기 트렌치와 떨어져 있으며,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상기 제3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n형 필라 영역과 상기 p형 필라 영역은 교대로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n형 필라 영역과 상기 p형 필라 영역은 서로 접촉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n형 필라 영역과 상기 p형 필라 영역의 두께는 동일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9. 제5항에서,
    상기 제2 버퍼층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n형 필라 영역 위 및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의 상기 제3 부분에 상기 제2 버퍼층 패턴을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0. 제5항에서,
    상기 n+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트렌치 내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게이트 전극 위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p형 에피층, 상기 n+ 영역 및 상기 산화막 위에 소스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2면에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120155373A 2012-12-27 2012-12-27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ctive KR101360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373A KR101360070B1 (ko) 2012-12-27 2012-12-27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4/104,974 US8901572B2 (en) 2012-12-27 2013-12-12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373A KR101360070B1 (ko) 2012-12-27 2012-12-27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0070B1 true KR101360070B1 (ko) 2014-02-12

Family

ID=50270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373A Active KR101360070B1 (ko) 2012-12-27 2012-12-27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01572B2 (ko)
KR (1) KR1013600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5141A (ko) * 2012-12-27 2014-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0070B1 (ko) * 2012-12-27 2014-02-1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6514519B2 (ja) 2015-02-16 2019-05-1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6981890B2 (ja) * 2018-01-29 2021-12-1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CN111129109A (zh) * 2019-12-04 2020-05-08 深圳第三代半导体研究院 一种碳化硅高压mos器件及其制造方法
CN111584350B (zh) * 2020-05-25 2022-08-30 安徽长飞先进半导体有限公司 一种SiC外延沟槽的填充方法及该方法制备得到的沟槽填充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4292A (ja) 1999-11-17 2001-05-25 Denso Corp 炭化珪素半導体装置
JP2009094203A (ja) 2007-10-05 2009-04-30 Denso Corp 炭化珪素半導体装置
JP2012134376A (ja) 2010-12-22 2012-07-12 Denso Corp 炭化珪素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91229A (ja) 1997-11-13 2012-10-04 Cree Inc 半導体デバイスおよびSiCトランジスタ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9764C2 (de) 1993-03-25 1997-01-30 Siemens Ag Leistungs-MOSFET
JP4088033B2 (ja) 2000-11-27 2008-05-2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WO2003028108A1 (en) * 2001-09-19 2003-04-03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3993458B2 (ja) * 2002-04-17 2007-10-1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JP2006186145A (ja) * 2004-12-28 2006-07-13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69720A (ja) * 2005-03-24 2006-10-05 Toshiba Corp 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744958B2 (ja) * 2005-07-13 2011-08-10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5002148B2 (ja) * 2005-11-24 2012-08-1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US20080017897A1 (en) * 2006-01-30 2008-01-24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5462020B2 (ja) * 2009-06-09 2014-04-02 株式会社東芝 電力用半導体素子
US8390060B2 (en) * 2010-07-06 2013-03-05 Maxpower Semiconductor, Inc. Power semiconductor devices, structures, and related methods
JP5740108B2 (ja) * 2010-07-16 2015-06-2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KR101416361B1 (ko) * 2012-09-14 2014-08-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44075A (ko) * 2012-10-04 2014-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82328B1 (ko) * 2012-11-01 2014-04-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82323B1 (ko) * 2012-11-01 2014-04-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339271B1 (ko) * 2012-12-18 2013-12-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427948B1 (ko) * 2012-12-18 2014-08-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9277B1 (ko) * 2012-12-18 2013-12-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0070B1 (ko) * 2012-12-27 2014-02-1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85141A (ko) * 2012-12-27 2014-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38620B1 (ko) * 2012-12-27 2014-09-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371495B1 (ko) * 2012-12-28 2014-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9265B1 (ko) * 2012-12-31 2013-12-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9012984B2 (en) * 2013-03-13 2015-04-21 Cree, Inc. Field effect transistor devices with regrown p-layers
US9306061B2 (en) * 2013-03-13 2016-04-05 Cree, Inc. Field effect transistor devices with protective reg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1229A (ja) 1997-11-13 2012-10-04 Cree Inc 半導体デバイスおよびSiCトランジスタ
JP2001144292A (ja) 1999-11-17 2001-05-25 Denso Corp 炭化珪素半導体装置
JP2009094203A (ja) 2007-10-05 2009-04-30 Denso Corp 炭化珪素半導体装置
JP2012134376A (ja) 2010-12-22 2012-07-12 Denso Corp 炭化珪素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01572B2 (en) 2014-12-02
US20140183560A1 (en)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3599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6367760B2 (ja) 絶縁ゲート型スイッチング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5900698B2 (ja) 半導体装置
US9825164B2 (en) Silicon carbide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CN107546268A (zh) 半导体器件及制造其的方法
US20140306239A1 (en) Semiconductor device
JP5136578B2 (ja) 半導体装置
JP2012074441A (ja) 電力用半導体装置
WO2014038110A1 (ja) 半導体装置
US11139376B2 (en) Silicon carbid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ilicon carbide semiconductor device
JP2015118966A (ja) 半導体装置
KR20100064263A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60070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03904117B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KR101371495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01964343A (zh) 半导体装置
JP6338134B2 (ja) 炭化ケイ素縦型mosfet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958936A (zh) 半导体器件以及用于制造半导体器件的方法
KR20140044075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78621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9277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52390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TWI385802B (zh) 高壓金氧半導體元件及其製作方法
JP7405230B2 (ja) スイッチング素子
KR101326852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