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1601B1 -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601B1
KR100741601B1 KR1020050071919A KR20050071919A KR100741601B1 KR 100741601 B1 KR100741601 B1 KR 100741601B1 KR 1020050071919 A KR1020050071919 A KR 1020050071919A KR 20050071919 A KR20050071919 A KR 20050071919A KR 100741601 B1 KR100741601 B1 KR 100741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put
information
ke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0284A (ko
Inventor
시로 구노리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04N1/00419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 H04N1/00432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using tab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04N1/00435Multi-level menu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sequence, e.g. using next and previous butt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37Intelligent menus, e.g. anticipating user sel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72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a pop-up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4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options, e.g. scan, copy or 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7Indicating status, e.g. of a jo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2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job set-up options, e.g. number of copies, paper size or resol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기록된 과거의 유저 조작을 호출하여 재생할 경우에 그 조작의 변경이 가능하고, 원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유저 조작 설정의 수고를 적절히 줄일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 화상처리장치는 유저에 의한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조작부에 입력된 입력 정보를 기록하고, 이 입력 정보를 기록하는중에 정지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입력 정보 및 정지 정보를 조작 흐름으로서 등록한다.
설정치 호출기술, 커스트마이즈, 스크립트 파일, 축소 레이아웃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복사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복사기)의 제어부(10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의 도 2에 나타낸 조작부 A3의 외관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의 터치패널 A9 상에 표시된 커스터마이즈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록 모드중에 표시된 화면상의 셋업 영역 및 상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록 모드중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지 모드중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의 재생 모드중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 내는 도면.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의 확인 모드중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a 내지 10f는 "4 in 1" 설정에 대한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들.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의 흐름을 등록하는 수순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스크립트 파일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디스플레이 B4 상에 문자들을 입력하기 위한 터치패널에 의한 소프트 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디스플레이 B4상에 표시된 메시지 창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등록된 스크립트의 상세 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CPU(A1)에 의해 커스터마이즈 화면의 리스트 표시부(308)에 설정된 기능명, 설정 아이템명 및 중지가 존재하는지 여부(존재하는 경우에만 체크가 표시된다)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모드중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7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등록되는 스크립트 파일을 호출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립트의 처리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의 일례 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실행된 중지 스크립트에 후속하는 스크립트가 실행될 수 없음을 음영 영역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2:메모리 A3:조작부
A4:출력부 A5:외부 인터페이스
A6:화상처리부 A7:에러 검지부
A8:시간 측정부 A9:터치패널
A10:프린터 A11:입력부
A12:스크립트 생성부
100:제어부
본 발명은 유저의 조작상의 어려움을 경감시키는 화상처리장치로서, 특히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유저가 행하는 설정 조작을 간략화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처리장치의 고기능화에 수반하여, 유저가 행하는 조작 수순도 증가하여 보다 복잡한 조작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는, 크게 나눠 2개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하나는, 유저가 행한 조작에 의해 설정된 설정치를 기록하고, 이 설정치만을 재현(재생)하는 기술(이하,"설정치 호출 기술"이라 한다)이다. 다른 하나는, 유저가 행한 모든 조작을 기록하고, 이를 재현(재생)하는 기술(이하,"설정조작 호출기술"이라 한다)이다.
예를 들면, 설정조작 호출기술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유저의 조작을 기록하고 그 기록을 호출하여, 기록된 과거의 조작을 완전히 동일한 방식(즉, 동일한 조작 내용 및 수순)으로 재현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2-323946 참조).
그러나, 전자의 설정치 호출기술로는 그 설정치만을 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설정치의 입력 전에 유저가 행한 일련의 조작 수순을 설정 내용으로의 임의의 숏컷(short cut)으로서 작성할 수 없다. 따라서, 임의의 숏컷을 작성하기 위해, 후자의 설정조작 호출기술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설정조작 호출기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과거에 유저가 행한 조작과 동일한 조작을 재현할 수 있을지라도, 단순히 기록된 조작을 호출할 수 있을 뿐이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일련의 조작 수순 중 중간의 일부의 조작만을 변경하는 것은 실현될 수 없다. 따라서, 재현될 설정 내용이 기록된 조작과 유사한 조작일지라도, 완전히 상이한 조작의 경우와 같이, 재현될 설정 내용과 동일한 수의 유저 조작 수순을 재차 기록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기록된 과거의 유저 조작을 호출하여 재현할 때, 그 조작의 변경이 가능하고, 원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유저 조작의 설정상의 어려움을 적절히 경감시킬 수 있는 화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는:
유저에 의한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입력 정보를 기록하는 입력 정보 기록부;
상기 입력 정보의 기록중에 정지 정보를 기록하는 정지 정보 기록부; 및
상기 입력 정보 기록부에 의해 기록된 입력 정보 및 상기 정지 정보 기록부에 의해 기록된 정지 정보를 조작 흐름 정보로서 등록하는 등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은:
유저에 의한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입력 정보를 기록하는 입력 정보 기록 단계;
상기 입력 정보 기록 단계에서의 입력 정보를 기록하는중에, 정지 정보를 기록하는 정지 정보 기록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 기록 단계에서 기록된 입력 정보 및 상기 정지 정보 기록 단계에서 기록된 정지 정보를 조작 흐름 정보로서 등록하는 등록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기술로부터 명백할 것이며,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도면 전체를 통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에서의 유저 조작의 제어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화상처리장치에서의 유저 조작의 기록, 확인 및 재생 처리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복사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스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판독부(200) 및 프린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린터부(300)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복사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지만, 다른 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판독부(200)는 원고 급지부(250)를 탑재하고 있다. 원고 급지부(250)는 원고를 첫 장부터 순차적으로 1매씩 플래튼 글래스(211)상으로 공급한다. 원고의 판독 동작이 종료될 때마다, 공급된 원고는 플래튼 글래스(211)로부터 캐치 트레이로 배출된다.
원고가 플래튼 글래스(211)상에 공급되면, 판독부(200)는 램프(212)를 점등하여, 이동 유닛(213)의 이동을 개시한다. 이 이동 유닛(213)의 이동에 의해 플래튼 글래스(211) 상의 원고에 대한 판독 스캔이 행해진다. 이 판독 스캔중에,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은 각 미러 214, 215, 216 및 렌즈(217)를 경유하여 CCD 이미지 센서(이하,"CCD" 라고 한다)(218)로 유도되어, 원고 상의 화상이 CCD(218)의 촬상면 상으로 포커싱된다. CCD(218)는 촬상면에 포커싱된 화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이 전기 신호는 소정의 처리가 행해진 후, 복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100) 에 입력된다.
프린터부(300)는 레이저 드라이버(321)를 갖는다. 레이저 드라이버(321)는 제어부(10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레이저 발광부(322)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화상 데이터에 따른 레이저빔이 레이저 발광부(322)로부터 방출된다. 이 레이저빔은 주사되는 동안 감광 드럼(323)상에 조사된다.
감광 드럼(323)은 조사된 레이저빔에 의해 그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갖는다. 이 정전 잠상은 현상장치(324)로부터 공급된 토너에 의해 토너상으로서 가시화된다. 레이저빔의 조사 타이밍과 동기하여, 용지 경로를 통해 카세트(311,312)로부터 감광 드럼(323)과 전사부(325) 사이에 기록 용지가 공급된다. 그리고, 감광 드럼(323)상의 토너상이 전사부(325)에 의해 공급된 기록 용지 상에 전사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 용지는 운송 벨트를 통해 정착 롤러쌍(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326)에 보내진다. 정착 롤러쌍(326)은 기록 용지상의 토너상을 그 위에 정착시키도록 기록 용지를 열적으로 가압한다. 정착 롤러쌍(326)을 통과한 기록 용지는 배출 롤러쌍(327)에 의해 배출부(330)에 배출된다. 배출부(330)는 소트나 스테이플 등의 후처리를 행할 수 있는 시트 프로세서(sheet processor)로 구성된다.
양면 인쇄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록 용지를 배출 롤러쌍(327)에 공급한 후, 배출 롤러쌍(327)의 회전 방향을 반전시키고 플래퍼(328)에 의해 재급지 경로(329)로 유도한다. 재급지 경로(329)로 유도된 기록 용지는 전술한 타이밍에서 감광 드럼(323)과 전사부(325) 사이에 재공급되어, 이 기록 용지의 이면상에 토너상이 전사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복사기)의 제어부(1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화상처리장치의 제어부(100)는 터치패널 A9를 갖는 조작부 A3, 프린터 A10 등에 의해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A4, 유저 조작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A11, 네트워크 케이블 등을 사용하여 외부 장치와 정보를 교환하는 외부 인터페이스 A5, 판독된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 처리부 A6, 유저 조작을 나타내는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스크립트 생성부 A12, 정보를 저장(기억)하는 메모리 A2, 각종 입력을 판정하고 소정의 제어를 행하는 CPU(A1), 에러를 검지하는 에러 검지부 A7 및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로서 기능하는 시간 측정부 A8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의 도 2에 나타낸 조작부 A3의 외관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의 조작부 A3은 터치패널로서의 디스플레이 B4 및 하드 키 영역 B1∼B3, B5∼B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B4는 화면상에 표시된 각종 키를 누름으로써 각 키에 대응하는 내용을 입력하는 터치패널 A9를 포함한다. 이하, 표시된 정보를 갖는 터치패널 A9를 "화면" 이라 하고, 정보가 상이한 화면에는 다른 화면 명칭을 부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 에는 전술한 각 키가 그 위에 표시되어, 설정 내용의 선택, 화면 천이(switch), 문자의 입력, 수치의 입력 및 입력의 클리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하드 키 영역 B1∼B3, B5∼B7로서, 복사 설정(복사를 행할 때의 설정) 을 행하기 위한 복사 화면으로 천이하기 위한 "복사" 키 B1, 정보의 송신 설정을 행하기 위한 송신 화면으로 천이하기 위한 "송신" 키 B2, 유저가 행하는 키 누름의 흐름(일련의 단계들)을 등록하여 이용하는 커스터마이즈 화면으로 천이하기 위한 "커스터마이즈" 키 B3, 설정을 클리어하기 위한 "리세트" 키 B5, 설정 내용을 실행하기 위한 "스타트" 키 B6, 수치 및 +/- 의 입력과 수치의 클리어를 행하기 위한 "텐" 키 B7 등의 각종 키를 포함한다.
전술한 화상처리장치(복사기)에 있어서 유저 조작을 용이하게 설정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방식을 이용한다.
(1) 유저가 행한 조작(예를 들어, 터치패널 상의 키 입력)을 스크립트 생성부 A12에 의해 스크립트 언어로 변환하고, 메모리 A2에 일시적으로 기록한다. 유저 조작의 종료시에, 메모리 A2에 있어서의 일련의 조작들(유저 조작 흐름)을 모두 파일(스크립트 파일)에 등록한다.
(2) 재생시에, 원하는 유저 조작을 실행하기 위해, (1)에서 등록된 파일을 호출하여 그 내용을 그대로 실행하거나, 수정하여 실행한다.
또한, (1)의 처리와 같이 실제로 키 입력을 행하지 않더라도, 다른 화상처리장치나 또는 PC 등의 외부 장치에 의해 생성된 스크립트 언어나 스크립트 언어가 기술된 스크립트 파일을 이용할 수도 있다.
(1)에서 등록된 유저 조작은 조작부 A3에 제공된 터치패널 A9 상에서 행해진 다. 더 구체적으로, 유저에 의한 이 터치 조작은 CPU(A1)에 의해 검지되고, 검지된 내용은 CPU(A1)에 의해 판정되고, 그 내용에 따른 처리는 CPU(A1)에 의해 화상 처리장치(복사기)에 반영된다.
다음,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복사기)에 사용된 4개의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의 터치패널 A9 상에 표시된 커스터마이즈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커스터마이즈 화면은 조작부 A3의 "커스터마이즈" 키 B3를 선택(누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B4 상에 표시된다. 키를 누름으로써 최초로 천이되는 커스터마이즈 화면을 커스터마이즈 기능의 디폴트 화면이라고 한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스터마이즈 화면상에는 커스터마이즈 탭(301)이 항상 하이라이트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현재의 화면이 커스터마이즈 기능의 화면인 것을 나타낸다. 복사나 송신의 경우에 있어서의 각 탭도 각 화면상에서 동일하게 하이라이트로 표시된다. 또한, 이 커스터마이즈 기능 이외의 화면(예컨대, 복사 기능이나 송신 기능의 화면)상의 커스터마이즈 탭(301)을 누름으로써도, 조작부 A3의 "커스터마이즈" 키 B3를 누르는 경우와 같이, 커스터마이즈 화면의 디폴트 화면으로 천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스터마이즈 탭(301)을 "커스터마이즈" 키(301)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도면에는, 전술한 탭 이외에 하이라이트 키(예컨대, 301 및 302)가 있다. 이들은 특별히 명기되지 않는 한, 누름 키를 나타낸다.
4개의 모드 중의 제1 모드는 "기록 모드" 이다. 이는 유저 조작을 기록하기 위한 모드이다. 더 구체적으로, 유저 조작을 스크립트 언어로 나타내고(즉, 스크립트화하고), 메모리 A2에 반복적으로 기록한다. 기록의 종료시에, 메모리 A2에 있어서의 스크립트 언어의 기술(간단히 "스크립트" 라고 한다)을 하나의 파일에 통합적으로 등록하고, 이 파일을 다시 메모리 A2에 저장한다. 이 모드로 이동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B4의 " 커스터마이즈" 키 B3를 눌러 커스터마이즈 화면으로 천이하고, 디스플레이 B4 상에 커스터마이즈 화면을 표시한 후, "기록 개시" 키(303)를 누른다.
여기서, 기록 모드 중에 표시된 화면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록 모드 중에 표시된 화면상에서의 설정 영역과 상태(status)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록 모드중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복사 기능을 설정하거나 송신 기능을 설정할 때 통상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 영역(401)과 상태 영역(402)으로 나누어진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태 영역(402)에는 화상처리장치(복사기)의 장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시스템 상태" 키(403)만이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스템 상태" 키(403) 외에, 상태 영역(402)에 기록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기록중" 키(501), 기록의 종료를 나타내는 "기록 종료" 키(502), 중지의 삽입을 나타내는 "중지" 키(503)가 기록 모드 중에 표시되는 3개의 키가 존재한다. "기록중" 키(501)만 항상 하이라이트로 표시되고, 유저가 그 키를 누르더라도 화면상에는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기록 종료" 키(502)를 누름으로써 기록 모드를 빠져 나올 수 있다.
4개의 모드 중 제2 모드는 "재생 모드" 이다. 이는 등록된 조작을 재생하는 모드이다. 더 구체적으로, 스크립트 언어의 형식으로 기록된 유저 조작을 메모리 A2로부터 호출하고, 이 조작을 CPU(A1)로 해석하여 화상처리장치(복사기)에 설정한다.
이 재생 모드로 이동하기 위해, 커스터마이즈 화면상에서, 호출되는 스크립트 파일에 대응하는 "흐름" 키(예를 들어, 도 4에 있어서의 키 명칭이 디폴트인 "흐름 1" 키(302))를 누르고, "기록/재생" 키(304)를 누른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의 재생 모드중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의 화면의 상태 영역(402)은 그 위에 표시된 "시스템 상태" 키(403)만을 갖는다. 그러나, 재생 모드 동안, 상태 영역(402)은 재생중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재생중" 키(801) 및 재생 모드를 종료하고 빠져 나오기 위한 "재생 종료" 키(802)가 항상 상태 영역(402)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재생중" 키(801)만 항상 하이라이트로 표시되어 있어, 눌러도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재생 종료" 키(802)를 누름으로써 재생 모드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다. 이 재생 모드에 있어서의 재생에 의한 화면 천이는 디스플레이 B4에 표시된다.
4개의 모드 중의 제3 모드는 "중지 모드"이다. 이는 일련의 유저 조작 흐름 있어서의 유저 조작들 간에 기록되지 않은 조작을 삽입하기 위한 모드이다. 더 구체적으로, 재생 모드에 있어서 일련의 유저 조작 흐름에 의해 실행된 스크립트가 중지 스크립트임을 CPU(A1)가 검지하면, 중지가 해제될 때까지 다음의 유저 조작 흐름의 스크립트를 실행하지 않고, 유저의 키누름 조작을 검지하여 판정을 행한다.
유저의 키누름 동작이 중지 해제 이외인 것으로 CPU(A1)가 판정할 경우, 실행을 반복한다. 이에 의해, 기록된 설정을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중지 모드로 이동하기 위해, 재생 모드중에 중지를 의미하는 중지 스크립트를 실행한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중지 모드중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의 화면의 상태 영역(402)은 그 위에 표시된 "시스템 상태" 키(403)만을 갖는다. 그러나, 중지 모드에 있어서의 상태 영역(402)은 그 위에 항상 표시된 중지중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중지중" 키(601) 및 중지를 해제하고 중지 모드로부터 빠져 나가기 위한 "중지 해제" 키(602)를 갖는다. "중지중" 키(601)만이 항상 하이라이트로 표시되어 있어, 눌러도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중지 해제" 키(602)를 누름으로써 중지 모드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다.
4개의 모드 중 제4 모드는 "확인 모드" 이다. 이는 등록된 유저 조작 흐름의 유저 조작을 순서대로 실행하여 조작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모드이다. 더 구체적으로, 메모리 A2에 등록된 유저 조작 흐름의 유저 조작을 실행하는지의 여부를 CPU(A1)가 판정하여, 실제로 실행 또는 작업을 발행하지 않는 실행을 행한다. 여기서, 작업을 발행하지 않는 실행이란, 예를 들어 복사 조작인 경우에 있어서 실제로 복사된 용지를 배출하지 않고, 시스템 설정상에서의 복사 조작만을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의해 인쇄 이력으로서 복사가 행해진 것이 표시된다.
이 모드로 이동하기 위해, 커스터마이즈 화면상에서, 호출될 스크립트 파일 에 대응하는 키(예컨대, "흐름 1" 키 등)를 누르고, "기록확인" 키(305)를 누른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의 확인 모드중에 있어서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의 화면의 상태 영역(402)에는 "시스템 상태" 키(403)만이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확인 모드중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인 모드중에 있음을 나타내는 "확인중" 키(701), 다음 의 조작에 의한 화면 표시로 이동시키기 위한 "진행" 키(703), 이전의 조작에 의한 화면 표시로 복귀하기 위한 "복귀" 키(702), 확인을 종료하기 위한 "확인 종료" 키(704) 및 중지를 나타내는 "중지" 키(705)가 항상 표시되어 있다.
"중지" 키(705)는 중지 스크립트의 실행중에 하이라이트로 표시되고, 하이라이트 표시중에는 키가 재차 눌러져도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하이라이트표시가 아닐 때 누르면, 하이라이트로 표시되어 확인된 원래의 파일에 중지 스크립트를 삽입한다. "복귀" 키(702)는 등록된 제1 조작을 설정하는 화면상에서, 예를 들어 음영의 비선택 상태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등록된 최후의 조작을 설정하는 화면상에서의 "진행" 키(703)는 누를 수 없도록 음영으로 되어 있다. 확인 모드 동안, "확인중" 키(701)가 항상 하이라이트로 표시되어 있어, 누름을 행해도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도 9에 나타낸 화면상에서 "진행" 키(703)를 누르는 경우, CPU(A1)는 메모리 A2로부터 확인 모드로 들어가기 전에 누른 키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파일을 호출하고 실행을 개시한다. 그러나, 호출된 스크립트가 중지 스크립트인 경우에는, 재생 모드와 같이 중지 모드로 이동하는 대신, 단순히 중지 키를 눌러 하이라이트 상태 로 된다.
확인 모드중에 CPU(A1)에 의해 호출된 유저 조작 및 새롭게 삽입된 중지 스크립트 모두 메모리 A2에 기록된다. 메모리 A2의 정보는 확인 모드로부터 빠져 나올 때, 확인 모드로 들어간 직후에 메모리 A2로부터 호출된 파일로서 오버라이트(overwrite)된다. 이에 따라, 확인 모드중에 스크립트가 부가된 경우에도, 다음 재생시에 재현될 수 있다. 확인 모드중에 중지 스크립트를 삽입하는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확인 종료" 키(704)를 누름으로써 이 모드로부터 빠져 나갈 수 있다.
다음, 도 2에 나타낸 구성을 갖는 화상처리장치(복사기)를 이용하여 원고를 복사할 때, "x in 1"의 축소 레이아웃(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x매의 A4 원고의 사이즈를 1매의 A4 용지로 들어가도록 축소하여 인쇄하는 기능)을 설정하는 예를 이용하여, 유저 조작을 기록하고, 기록된 내용을 확인하고, 기록된 내용을 호출하여 그대로 재생하거나 기록된 내용의 일부를 수정하는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x in 1" 의 축소 레이아웃 기능을 등록하기 위해, x가 4인 "4 in 1"의 설정으로 기록되고 재생된 후, 중지가 주어지고 x의 값이 선택된다. 도 10a 내지 10f는 "4 in 1"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기록 모드로 들어가기 전까지의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의 화면상에서, 먼저, "커스터마이즈" 키(301)를 누름으로써 도 5에 나타낸 커스터마이즈 화면으로 천이한다. 그리고, 유저 조작 흐름을 등록하는 키를 눌러 하이라이트로 표시된다. 여기서는, 키 명칭 "흐름 1"의 키(302)를 누른다. 다음, "기록 개시" 키(303)를 누른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리세트" 키 B5를 누른 경우와 동일한 상태(즉, 모든 설정을 리세트하여 디폴트 화면으로 천이하는 상태)로 놓여지고, 기록 모드로 들어간다. 여기서, 디폴트 화면은 복사 초기 화면이다. 복사 초기 화면은 "복사" 키 B1를 누르면 최초로 천이하는 화면이며, 이하 동일하다.
다음, 기록 모드 동안에 있어서 조작 흐름의 등록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작 흐름을 등록하는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유저는 화면 상의 키를 눌러 화면을 천이시킨다. 이 조작은 CPU(A1)가 유저의 키 누름을 검지함으로써 판정된다(단계 S111). 더 구체적으로, CPU(A1)가 키 누름을 검지한 경우(예), 다음에는, 키 누름이 "기록 종료" 키의 누름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12).
그 결과, 검지된 키 누름이 "기록 종료" 키 누름이 아닌 경우(아니오), 이 키 누름은 키 누름을 행한 것과 동등한 의미를 갖는 스크립트 언어로 변환(스크립트화)하고, 이 스크립트 언어(스크립트)를 메모리 A2에 기록한다(단계 S113). 그리고, 이 조작은 "기록 종료" 키가 눌러질 때까지 반복된다.
검지된 키 누름이 "기록 종료" 키 누름인 경우(예), 현재까지의 키 누름(최후의 "기록 종료" 키는 제외한다)을 파일에 등록하고(단계 S114), 기록 모드를 종료한다. 이 파일과 기록 모드로 들어가기 전에 선택된 흐름 명칭 키(예컨대, 전술한 "흐름 1" 등)는 CPU(A1)에 의해 연관되어, 메모리 A2에 저장된다.
단계 S113에서 키 누름을 스크립트화하는 처리에 있어서, 도 11에 나타낸 바 와 같이 유저가 키 누름을 행할 때마다 스크립트하는 방법 이외에, 기록 종료까지 유저의 키 누름 정보를 저장하고 기록 종료 후에 일괄적으로 스크립트할 수도 있다.
도 10a에 나타낸 축소 레이아웃의 예에서는, 복사 초기 화면(101)상에 존재하는 "응용 모드" 키(101a)가 눌러지고, "축소 레이아웃" 키(102a)가 눌러지고, "A4" (103a)가 복사 크기로서 눌러지고, "다음" 키(103b)가 눌러져 "종류 선택" 화면(104)으로 천이한다. 다음, "x in 1" 을 설정하기 위해, 여기서는 "4 in 1" 키(104a)가 눌러진다.
여기서, 재생 모드에 있어서의 경우 "2 in 1" 이나 "8 in 1" 로 수정하기 위해, 상태 영역(402)의 "중지" 키(503)를 누른다. 이 "중지" 키(503)의 누름은 통상의 키 누름과 동일하게 스크립트화되어 기록된다. 그러나, 재생시에는 키 입력으로서 재생되는 것은 아니라, 스크립트 파일의 실행을 정지하고, "중지 해제" 키(602)가 눌러질 때까지, 유저에 의한 키 누름을 접수하는 동작이 실현된다. 이 키 누름은 재현되지 않는다.
"중지" 키(503)를 누른 후에는, "다음" 키(104b)를 누르고, "A4" 키(105a)를 누르고, "OK" 키(105b)를 누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태 영역(402)의 "기록 종료" 키(502)를 누르고, 메모리 A2에 기록된 스크립트를 기록 모드로 들어가기 전에 누른 "흐름 1" 키(302)에 관련된 파일에 등록하고(이 파일도 메모리 A2에 저장하고 ), 기록 모드로부터 빠져 나간다. 이 기록 조작은 이상과 같이 행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제로 키들을 누름으로써, 설정할 수 없는 키 누름을 스 크립트화하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스크립트화에 대해 상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눌러진 키들은 스크립트 언어로 변환된다. 그러나, 변환시에는 누른 키를 일의적으로 특정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스크립트 파일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립트 언어로서 Pnuts를 이용하고, 인수로서 기능명, 클래스명, 인스턴스명을 키 누름을 의미하는 함수 push(jmmf.macro.* )에 전달함으로써, 누른 키를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스크립트 파일을 이용한다. 인수에 있어서, 기능명은 복사나 커스터마이즈 등의 기능명을 나타내고, 클래스명은 표준 화면이나 선택 화면 등의 화면명을 나타내고, 인스턴스명은 "OK" 나 수치 "1" 등의 키들을 나타낸다. 스크립트 파일 내의 중지 스크립트를 나타내는 함수 pause도 jmmf.macro.* 를 인수로서 갖는다.
키 누름을 스크립트화하는 방식의 내부 제어에 있어서, 각각의 키에 대응하는 전술한 구성(기능명, 클래스명, 인스턴스명)의 정보를 메모리 A2로 저장하고, CPU(A1)로 키 누름을 검지한 때에 키 누름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를 메모리 A2로부터 호출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키 누름을 스크립트 언어로 나타낸다. 중지 스크립트의 경우에는, 메모리 A2가 호출할 때마다 구성 정보가 체크된다. 중지 스크립트임을 CPU(A1)가 판정하면, 중지 스크립트는 특수한 스크립트 언어로 나타난다. 도 12에서는, 기능명, 클래스명, 인스턴스명을 생략하여, 중지()와 같이 나타낸다.
이 스크립트 파일에 있어서의 헤더는 기록 모드의 개시 직후에 CPU(A1)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고, 푸터(footer)는 기록 모드의 종료시에 자동으로 즉시 생성된다. 현재 기록된 유저 조작을 등록하는 파일에서, 푸터는 파일의 선단에, 헤더는 파일의 후단에 자동으로 기술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 조작이 기록된다.
다음, 커스터마이즈 화면상에 표시된 등록된 조작 흐름의 명칭을 변경하는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커스터마이즈 화면으로 천이하여, 명칭이 변경될 조작 흐름에 대응하는 키를 누른다. 여기서는, 키 명칭 "흐름 1" 키인 키(302)를 누른다. 다음, " 명칭 변경" 키(307)를 누름으로써, 소프트 키보드 화면으로 천이한다. 도 13은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B4상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소프트 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화면을 이용하여, 변경될 명칭을 입력하고 "OK" 키(131)를 누름으로써, 명칭이 변경된 커스터마이즈 화면으로 천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x in 1" 로 명칭이 변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등록된 조작 흐름이 삭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삭제하는 경우에는 이하의 수순을 이용하여 삭제할 수 있다.
우선, 커스터마이즈 화면으로 천이하고, 삭제될 조작 흐름에 대응하는 키를 선택하고, 삭제 키(306)를 누른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 삭제할까요?"라는 문장과 "취소" 키 및 "OK" 키를 갖는 메시지 창(1401)이 표시된다. 도 14는 디스플레이 B4 상에 표시된 메시지 창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OK" 키(1402)를 누름으로써 삭제가 행해져, 커스터마이즈 화면으로 천이한다. 그러나, 커스터마이즈 화면의 키 자체는 삭제되지 않고, 그 내용과 명칭이 초기화된다. 이들을 삭제하지 않는 경우에는, 취소 키(1403)를 눌러 커스터마이즈 화면으로 천이한다. 이 경우, 키의 내용과 명칭은 변경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하여, 등록된 유저 조작에 대응하는 키 명칭이 초기화되고, 등록된 유저 조작에 대한 내용의 삭제가 행해진다.
다음, 등록된 내용을 확인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4의 커스터마이즈 화면으로 천이하여, 확인할 조작 흐름이 기록된 "흐름 1" 키(302)(본 실시예에서는, "x in 1" 의 조작에 대응하는 키)를 누른다. 이에 따라, CPU(A1)는 "흐름 1" 키(302)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파일을 호출하고, 유저 조작을 나타내는 스크립트의 기능명 및 클래스명으로부터 메모리 A2에 저장된, 대응하는 기능명 및 설정 아이템명을 검색한다. 대응하는 기능명 및 설정 아이템명을 검출한 경우, 이들은 디스플레이 B4의 설정 내용 리스트(308)에 표시된다.
동일한 기능명 및 설정 아이템명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최초의 1개만을 표시한다. 여기서, "x in 1" 의 설정은 복사 기능의 축소 레이아웃 아이템으로서 메모리 A2에 전체적으로 저장되어 있다. 이 흐름을 나타내는 파일의 어떤 기능을 설정하는 흐름 중에 중지 스크립트가 있는 경우에는, 표시된 리스트의 중지란에 체크가 표시된다. 어떤 설정 아이템에 하나라도 존재하면 이 중지 스크립트의 체크가 표시된다. 상이한 설정 아이템명에 중지 스크립트가 있는 경우에는, 이전의 설정 아이템명의 중지란에 체크된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등록된 스크립트의 상세 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CPU(A1)에 의해 커스터마이즈 화면의 리스트 표시부(308)에 설정된 기능명, 설정 아이템명 및 중지의 유무(있는 경우만 체크 표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 등록된 조작을 한 스텝씩 실행하여 확인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확인할 "흐름 1" 키(302)(본 실시예에서는, "x in 1" 의 조작에 대응하는 키)를 선택한 상태에서 "기록 확인" 키(305)를 누른다. 이에 의해, 확인 모드로 들어간다.
확인 모드로 들어가면, CPU(A1)는 자동으로 "흐름 1" 키(302)에 대응하는 유저 조작 흐름을 메모리 A2로부터 호출하여, 유저 조작 흐름에 있어서의 최초의 키 누름에 대응하는 스크립트만을 실행한다. 이 실행 결과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동시에 메모리 A2에 저장된다. 그러나, CPU(A1)에 의해 호출된 조작이 실제로 작업을 발행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실제로 작업을 발행하는 조작은 실행하지 않고, CPU(A1)에 의해 실행한 경우의 결과만을 반영한다.
예를 들면, 복사 조작을 실제로 행하는 작업이나 스캔한 데이터를 실제로 송신하는 작업인 경우에는 실제로 실행하지 않고, 송신 결과만을 반영한다. 이러한 판정은 실제로 작업을 발행하는 유저 조작을 미리 메모리 A2에 저장하고, CPU(A1)에 의해 호출된 조작이 메모리 A2에 저장된 작업을 발행하는 유저 조작인지 여부를 매회 판정함으로써 실현된다.
이와 같이 실행된 유저 조작에 후속하는 키 누름에 대응하는 스크립트는 "진행" 키의 누름이나 "복귀" 키의 누름 등이 입력될 때까지 실행하지 않고 대기한다. "진행" 키의 경우에는, 대기 상태에 후속하는 유저 조작이 실행된다. 그러나, "복귀" 키의 경우에는, 최후에 실행된 조작을 나타내는 스크립트를 실행하기 전의 상태로 화면 표시가 복귀된다. 더 구체적으로, CPU(A1)는 메모리 A2로부터 최후에 실행된 조작의 결과를 호출한다. 등록된 유저 조작은 이상과 같이 확인된다.
마지막으로, 등록된 조작 흐름을 재생하는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4의 커스터마이즈 화면으로 천이하여, 재생될 유저 조작 흐름에 대응하는 키(본 실시예에서는, "x in 1" 에 대응하는 "흐름 1" 키(302))를 누른다. 그 후, "기록 재생" 키(304)를 누른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리세트" 키 B5가 눌러진 경우와 동일한 상태(즉, 설정이 리세트되어, 화면이 디폴트 화면으로 천이된 상태)가 되어, 재생 모드로 들어간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모드 동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CPU(A1)는 커스터마이즈 화면상에서 선택된 조작 흐름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파일을 메모리 A2로부터 자동으로 호출하여, 아직 실행되지 않은 스크립트가 있는지 여부를 파일의 선단에서 순차적으로 판정한다(단계 S161). 그 결과, 모든 스크립트가 실행된 경우(아니오), 본 흐름도에서 설명된 재생 모드로부터 빠져 나와 종료된다.
아직 실행되지 않은 스크립트가 있는 경우(예), 다음 스크립트가 호출된다(단계 S162). 본 실시예에 따르면 "x in 1" 의 설정이 기록된 파일이 호출되기 때문에, 아직 실행되지 않은 스크립트(예를 들면, "응용 모드" 키의 누름을 나타내는 스크립트)가 호출된다.
다음, CPU(A1)는 호출된 스크립트가 중지 스크립트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63). 그 결과, 호출된 스크립트가 중지 스크립트인 경우(예)에는, CPU(A1)는 이 스크립트를 해석하여 실행한다. 이에 의해, 중지 모드로 들어가고, 도 7에 나타낸 "중지 해제" 키(602)가 눌러질 때까지 유저는 이 설정을 행한다(즉, 수정 및/또는 변경을 개시한다)(단계 S164).
수정 및/또는 변경이 끝나면, "중지 해제" 키(602)를 누름으로써 중지 모드를 빠져 나온다(단계 S165). 이 경우의 내부 제어는 중지 모드중에 행한 조작을 CPU(A1)에 의해 메모리 A2에 기록함으로써 실현되며, "중지 해제" 키(602)가 눌러진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즉, 현재에 가까운 시간에) 메모리 A2에 기록된 조작을 메모리 A2로부터 취출하여 이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단계 S163에서 호출된 스크립트가 중지 스크립트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아니오) 및 단계 S165에서의 변경이 종료된 후에는, 이 스크립트가 실행가능한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166). 본 실시예에서는 중지 스크립트가 아니기 때문에, 단계 S163의 처리 후에 단계 S166의 스크립트가 실행가능한지 여부가 판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166에서는, 호출된 스크립트 또는 수정된 스크립트의 실행가능 여부가 CPU(A1)에 의해 판정된다. 그 결과, 호출된 스크립트가 실행불가능한 경우에는, "실행할 수 없습니다. 지금까지의 조작을 반영하여 종료합니다" 라는 내용의 문장 및 "OK" 키를 포함하는 메시지 창을 표시한다(단계 S168). 이 메시지 창의 OK 키를 누름으로써, 재생 모드로부터 빠져 나와 종료할 수 있다.
단계 S166에서 호출된 스크립트가 실행가능할 경우에는(예), CPU(A1)에 의해 실제로 호출된 조작을 행하고, 조작 결과를 화면상에 표시한다(단계 S167). 그리고, 복귀하여 파일에 아직 호출되지 않은 스크립트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61).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응용 모드" 키의 누름이 실행 가능하기 때문에, 실행이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수순을 이용함으로써, "축소 레이아웃" 키, "A4" 키, "다음" 키 및 "4 in 1" 키 누름의 스크립트가 마찬가지로 실행된다. 이 후에 파일로부터 호출되면, 중지 스크립트가 호출된다. 이에 따라, 여기서는 "2 in 1" 키를 눌러, "4 in 1"의 설정을 수정한다. 또한, 여기서 "중지 해제" 키(602)를 누름으로써, 중지 모드로부터 빠져 나가고, 이 수정된 스크립트가 실행 가능한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166). 여기서, "2 in 1" 의 설정이기 때문에 실행 가능하고, 전술한 수순과 동일한 수순을 이용함으로써, 이 이후의 "다음" 키 스크립트, "A4" 키 스크립트 및 최후의 "OK" 키 스크립트가 호출되고 실행된다.
중지 후의 수정에 있어서 "2 in 1" 키 대신에, "복귀" 키를 누르면, 도 10d에 나타낸 종류 선택 화면(104)상에서, 이후의 조작으로서는 "다음" 키를 누를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메시지 창을 표시하고, 여기서 "OK" 키를 누름으로써 재생 모드로부터 빠져 나갈 수 있다. 재생의 수순은 이상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는 유저가 설정을 행하는 데 필요한 수고(절차)를 적절히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유저 조작 흐름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경우를 설명했다. 그러나, 유저 조작 흐름의 유저 조작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수동으로 실행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커스터마이즈를 행함으로써, 종래의 설정치 호출 기술이나, 설정조작 호출기술에 의해서는 실현불가능하던 플렉시블 설정(예를 들면, 적은 조작 수순을 이용하여 1개의 등록 내용으로부터 유사성을 갖는 다른 내용의 설정)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설정 화면으로의 단순한 화면 이동의 숏컷이 아닌 그 화면으로 천이할 때까지 이루어진 설정을 유지하는 숏컷을 작성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임의의 유저 조작 후에 또 다른 조작을 삽입하여 이전 조작을 변경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복사기)를 이용하여 제1 실시예와 상이한 확인 처리 및 재생 처리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확인 모드에 있어서의 확인중에, 유저 조작 흐름의 유저 조작을 나타내는 스크립트 간에 중지 스크립트를 새롭게 추가할 수 있다. (2) 재생 중의 화면에는 중지 스크립트의 실행 이외의 조작 결과는 표시되지 않는다. (3)중지 모드에 있어서 수정된 조작에 의해 이후의 조작이 실행될 수 없는 경우에는 다시 수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unit)들만을 설명한다. 그 외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우선, 제1 실시예와 같이, 도 4에 나타낸 커스터마이즈 화면 상의 키 명칭 "흐름 1" 의 키(302)로 "x in 1" 의 설정을 행하는 유저 조작 흐름을 등록한다. 이 후에, 등록된 유저 조작 흐름에 대응하는 흐름 키(이 경우에는 키(302))와 "기록 확인" 키(305)를 눌러, 확인 모드로 들어간다. 이에 따라, 흐름 키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파일로부터 제1 유저 조작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복귀" 키(702) 또는 "진행" 키(703)의 입력을 대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진행" 키(703)를 3회 누름으로써, "응용 모드" 키, "축소 레이아웃" 키 및 "A4" 키 누름을 행한 결과의 화면(즉, "A4" 키가 하이라이트로 표시되어 있는 도 10c의 화면(103))으로 천이된다. 여기까지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완전 동일하다.
여기서, 실행시에 원고 사이즈를 A4로부터 변경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확인 모드에 있어서 중지 스크립트가 삽입된다. 즉, 확인 모드에 있어서 상태 영역에 표시된 "중지" 키(503)를 누른다. 이에 따라, 메모리 A2에 중지 스크립트가 기록된다. 그리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확인 모드로부터 빠져 나간다.
이 경우, 메모리 A2에 기록된 모든 조작은 최초로 커스터마이즈 화면에서 선택된 흐름을 나타내는 키로 오버라이트된다. 이에 따라, 중지 스크립트가 부가된 새로운 스크립트 파일이 최초로 커스터마이즈 화면상에서 선택된 흐름을 나타내는 키와 연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확인 모드중에 중지 스크립트를 추가할 수 있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다음, 중지 스크립트를 새롭게 추가한 "x in 1" 의 유저 조작 흐름을 실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설명한다. 여기서, 재생 모드에 있어서 등록된 파일의 스크립트가 자동으로 실행될 때에, 조작부 A3의 표시부 B4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 화상처리장치가 이용된다. 이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커 스터마이즈 화면상의 흐름 키(이 경우에는, 키(302)) 및 "기록 재생" 키(304)를 눌러, 재생 모드로 들어간다. 이에 따라, "응용 모드" 키의 누름, "축소 레이아웃" 키의 누름, 및 "A4" 키의 누름이 자동으로 실행된 후, 확인 모드중에 삽입된 중지 스크립트가 실행된다.
중지 스크립트가 실행될 때까지는 디스플레이 B4 상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다. 그러나, 중지 스크립트가 실행되면, "A4" 키를 누른 결과로서의 화면(즉, "A4" 키가 하이라이트로 표시된 도 10c의 화면(103))이 표시된다. 여기서는, 통상의 중지 스크립트의 실행과 동일하게, "중지 해제" 키(602)가 눌러질 때까지 자유롭게 설정을 추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표시부 B4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으면, 유저가 통상의 설정 모드 및 재생 모드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에 의해, 재생 모드중에 터치패널을 잘못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오류 및 스크립트 파일로부터 호출된 유저 조작 흐름을 실행하는 동안에 터치 패널로부터 잘못 입력된 조작을 실행함으로써 발생하는 에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 중지 모드 동안 행해진 조작으로부터, 재생 모드에 있어서 후속 조작이 실행가능한지 여부를 고려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현재는, 전술한 조작의 결과로 인해, "A4" 키를 누른 결과로서의 화면("A4" 키가 하이라이트로 표시되어 있는 도 10c의 화면(103))이 표시되고, 중지 모드에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는, "A3" 키나 "B4" 키 대신에 "복귀" 키를 누른 후, 상태 영역의 "중지 해제" 키(602)를 누른다. 이 경우, "복귀" 키의 누름으로 인해, 파일에 등록된 다음 조작으로서 용지 선택 화면(도 10c의 화면(103))의 "다음" 키(103b)를 누를 수 없다. 이 때문에, "중지 해제" 키(602)를 누르는 경우에 있어서, 파일의 다음 조작을 실행하기 전에, "이 조작에 의해 나머지를 실행할 수 없습니다. 이 조작을 실행할까요?" 라는 문장과 "취소" 키 및 "OK" 키를 포함하는 메시지 창이 표시된다.
여기서 "취소" 키를 누르면, 중지 스크립트의 실행 직후("A4" 키가 하이라이트로 표시되는 도 10c의 화면(103))의 상태로 복귀하여, 조작의 재시도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CPU(A1)는 "중지 해제" 키(602)의 누름을 검지하고, 파일에 의해 재생된 조작을 기입한 현재의 위치로부터 최후에 실행된 중지 스크립트까지 행한 조작을 무효화한다.
"취소" 키 대신에 "OK" 키를 누른 경우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조작이 실행된다. 그리고, CPU(A1)는 다음 조작(즉, "다음" 키의 누름)이 실행될 수 없음을 검지한다. "실행할 수 없습니다. 여기까지의 조작을 반영하여 종료합니다" 라는 문장 및 "OK" 키를 포함하는 메시지 창을 표시하고, 재생 모드로부터 빠져 나간다. 이상은 제1 실시예와는 상이한 확인 방식과 재생 방식의 실시예이다.
<제3 실시예>
다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복사기)를 이용하여 제1 실시예와 상이한 기록 처리 및 재생 처리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실제로 행해진 유저 조작의 기록을 파일에 통합하여 등록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행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1)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된 유저 조작이 기록된 파일을 등록한다. (2)커스터마이즈 초기 화면으로 천이한 경우, 흐름 키(302)에 등록된 스크립트를 체크하여, 실행불가능한 스크립트를 갖는 키를 선택불가능(음영)하게 한다. (3)유효한 키 누름은 중지 모드로부터 빠져 나온 직후에 행해지는 조작을 중지 모드로 들어간 직후에 실행가능하게 한다(이것을 실행할 수 없는 키는 음영으로 된다). (4)정지 모드 이외의 재생 모드중의 화면 표시는 유저 조작 흐름의 실행 상태만을 표시하여, 유저 조작에 의한 화면 천이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부(unit)들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그 외 부들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우선, 유저 조작의 등록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x in 1" 을 설정하는 조작 흐름이 기술된 파일, 예컨대 파일명 "custom_x_in_1.pnuts" 등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상처리장치의 메모리 A2에 전송되어 저장된다. 이 파일 "custom_x_in_1.pnuts" 는 제1 실시예와 같이 "4 in 1" 의 스크립트 후에 중지 스크립트가 존재하는 파일이다.
이것을 메모리 A2에 전송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CD-ROM 이나 USB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를 통해 행하는 방법, PC의 텍스트 에디터로 파일을 작성하여 이것을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상처리장치의 IP 어드레스를 지정함으로써 ftp 전송을 행하는 방법, 또는 화상처리장치상에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브라우저를 탑재하여 인터넷을 통해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방법 등이 있다.
다음, 도 4의 커스터마이즈 화면상의 "흐름 1" 키(302)를 눌러 하이라이트로 표시하고, "파일 등록" 키(309)를 누른다. 이에 따라, 메모리 A2에 등록된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창 화면이 팝업된다. 도 17은 제3 실시예에 따라 등록되는 스크립트 파일을 호출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흐름 키(이 경우에는, "흐름 1" 키(302)라 한다)에 대응하는 파일을 선택함으로써 흐름 키에 유저 조작을 등록한다.
다음, 재생 모드 및 정지 모드의 실행시에 행해지는 제1 실시예와는 상이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나타낸 화면상의 커스터마이즈 키(301)를 눌러 커스터마이즈 화면으로 천이한다. 이에 따라, 커스터마이즈 화면이 표시된다. 그러나, 제1 실시예와는 달리, 그 직후에 화면상에 존재하는 모든 흐름 키에 등록된 스크립트 파일의 스크립트가 실행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CPU(A1)가 커스터마이즈 화면이 표시된 것을 검지하면, 이 판정을 행하기 위한 제어는 메모리 A2에 미리 저장되어 있고 화상처리장치(현재 사용 중인 화상처리장치)상에 이용가능한 모든 스크립트 리스트를 호출한다. 그리고, 흐름 키에 등록된 모든 스크립트가 이용가능한 스크립트 리스트상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 결과, 흐름 키의 모든 스크립트가 실행가능한 경우에는, 제1 실시예와 같이 흐름 키가 표시된다. 스크립트 리스트상에 존재하지 않는 스크립트가 흐름 키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흐름 키는 하이라이트(음영)로 표시되고, 선택불가능으로 된다. 예를 들면, 송신 기능을 갖는 화상처리장치상에 송신 기능의 설정을 나타내는 스크립트가 생성되면, 송신 기능이 없는 화상처리장치상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 흐름 키가 하이라이트로 표시되어 선택불가능으 로 된다.
흐름 키에 등록된 스크립트가 실행가능한지 여부가 CPU(A1)에 의해 판정되고 있는 동안, 팝업에 의해 "잠시 대기" 라는 문장을 갖는 메시지 창을 표시하여, 판정이 끝날 때까지 유저의 입력을 접수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판정 종료 후에, 실행되는 흐름 키(이 경우에는 "흐름 1" 키(302)라 한다)를 눌러 하이라이트로 표시되고, "기록 재생" 키(304)를 눌러 재생 모드로 들어간다. 재생 모드로 들어가면, 제1 실시예에서는 유저 조작을 나타내는 최초의 스크립트를 즉시 실행한다. 그러나, 본 조작에 있어서는, CPU(A1)는 스크립트의 실행 전에 메모리 A2에 등록된 명칭 "흐름 1"에 대응하는 스크립트 파일의 스크립트 수를 카운트한다. 그 후, 제1 실시예와 같이 중지 스크립트 이외의 스크립트를 자동으로 실행한다.
그러나, 표시부 B4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스크립트의 실행에 의한 화면 천이가 아닌, 아무것도 표시하지 않은 (예를 들면, 흑색 배경만을 표시하는 표시부 B4의) 화면상에 팝업으로 현재까지 실행된 스크립트의 개수나 진행 바 등을 이용하여 스크립트의 실행 경과를 나타내는 메시지 창을 표시한다. 도 1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크립트의 경과 상태을 나타내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메시지 창은 고정된 시간에 또는 소정의 스크립트 수가 실행될 때마다 갱신된다. 메시지 창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유저의 조작은 접수되지 않는다.
중지 스크립트가 실행되는 경우에는, 실행한 스크립트의 총수를 메모리 A2에 저장하고, 메시지 창을 소거하여, 표시부 B4에 중지 모드의 화면을 표시한다. 중지 모드의 종료 후에는, 표시부 B4의 표시가 제거되고, 메모리 A2로부터 판독된 진행 상태의 결과가 팝업에 의해 표시된다.
다음, 제1 실시예와는 상이한 중지 모드에 있어서의 초기 화면 표시에 대해 설명한다. 재생 모드에 있어서 중지 스크립트가 실행되면, 제1 실시예에서는 상태 영역의 표시만이 추가될 뿐이고 설정 영역의 표시에 변화가 없다. 이에 반해,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상의 모든 키에 대해 키를 눌러 중지 모드를 빠져 나오는 경우에 재생 모드의 후속 실행이 실행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여, 후속 실행이 불가능한 키를 음영으로 표시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 내부 제어는 중지 모드로 들어간 것을 CPU(A1)가 검지할 경우 현재의 화면을 판정한다. 그리고, 메모리 A2로부터 화면상에 존재하는 모든 키를 1개씩 순서대로 호출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원고 사이즈의 선택 화면의 경우에 있어서, 원고 사이즈의 선택 키는 순서대로 호출된다. 그리고, 이 키들이 실행되는 경우에, 재생 모드에서 호출된 정지 스크립트에 후속하는 스크립트(이 경우에는 원고 사이즈의 선택 화면상의 "다음" 키 누름 스크립트)가 실행가능한지 여부를 호출된 키들에 대해 판정한다.
이 판정이 행해지는 동안, 유저의 조작이 접수되지 않도록 팝업으로 "잠시 대기" 라는 메시지를 갖는 메시지 창을 표시한다. 모든 키에 대해 판정이 끝나면, 메시지 창을 소거하고, 실행불가능한 키들은 음영의 화면을 표시한다. 도 1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실행된 중지 스크립트에 후속하는 스크립트가 실행될 수 없는 것을 음영의 영역으로서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음영의 키에 대해 키 누름이 접수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다음,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복사기)를 이용하여 제1 실시예와 상이한 기록 처리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4 실시예는, 기록 모드중의 소정 시간 동안 유저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지금까지 기록된 유저 조작을 자동으로 무효화하여 기록 모드를 종료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하, 제1 실시예와 다른 부(unit)들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는 CPU(A1)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현재의 시각을 체크하는 기능을 갖는다.
우선, 커스터마이즈 화면상에서, 유저 조작 흐름을 등록하는 흐름 키(이 경우에는 "흐름 1" 키(302)라 한다)를 눌러 하이라이트 표시를 하고, "기록 개시" 키(303)를 눌러 기록 모드로 들어간다. 여기까지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 모드로의 진입 시각이 메모리 A2의 측정 시각 영역에 저장되어 있다. 그 후, 제1 실시예와 같이 유저 조작을 대기한다. CPU(A1)에 의해 유저 조작이 검지되면, 이 유저 조작을 스크립트화하여 메모리 A2에 기록하고, 또한 현재의 시각도 메모리 A2의 측정 시각 영역에 오버라이트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다음의 유저 조작을 대기하는 동안, CPU(A1)는 일정한 시간 간격(예를 들면, 기록 모드로 들어간 후 2분 간격)마다 현재의 시각과 메모리 A2의 측정 시각 영역에 저장된 시각을 비교하여, 소정의 시간(예컨대, 5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5분 이상 경과한 경우에는, 메모리 A2에 기록된 기록 모드로의 진입으로부터 모든 유저 조작을 나타내는 스크립트를 무효화하여 기록 모드를 종료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와 같이 "x in 1"의 유저 조작 흐름을 키 명칭 흐름 1" 키(302)에 등록하기 위해, 10:00 AM에 기록 모드로 들어간 경우를 가정한다. 이에 따라, 메모리 A2의 측정 시간 영역에는 10:00 AM이 저장된다. 그리고, 다음의 "응용 모드" 키는 10:01 AM에서 눌러진다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메모리 A2의 측정 시간 영역에는 10:01 AM이 저장된다.
여기서, 후속하는 "축소 레이아웃" 키는 눌러지지 않는다. 이 경우, CPU(A1)가 10:02 AM인 것을 감지하면, 현재의 시각(10:02 AM)과 메모리 A2의 측정 시간 영역의 시각(10:01 AM)을 비교하여, 5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예에서는, 1분밖에 경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무것도 행하지 않고 다음의 유저 조작("축소 레이아웃" 키 누름)을 대기한다. 이것이 10:06 AM 까지 반복되면 상기 비교 결과가 5분을 초과하기 때문에, 메모리 A2에 기록된 유저 조작 흐름인 "응용 모드" 키 누름을 나타내는 스크립트가 무효화되어 기록 모드는 종료된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은 하나의 기기를 포함하는 장치 또는 복수의 기기들로 구성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을 시스템 또는 장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공급하고, 공급된 프로그램 코드를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로 판독한 후, 그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도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스템 또는 장치가 그 프로그램의 기능을 갖는 동안에는, 실행 모드는 프로그램에 의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기 때문에, 컴퓨터에 인스톨된 프로그램 코드도 본 발명을 실현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클레임은 본 발명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도 포함한다.
이 경우, 시스템 또는 장치가 프로그램의 기능을 가지면, 그 프로그램은 오브젝트 코드,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공급되는 스크립트 데이터 등의 어떠한 형태로도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억 매체의 예로는,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CD-R, CD-RW, 자기 테이프, 비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ROM, DVD(DVD-ROM 및 DVD-R) 등이 있다.
프로그램의 공급 방법으로서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상의 웹사이트에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접속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의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자동 인스톨가능한 그 프로그램의 압축 파일을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복수의 파일로 분할하고 다른 웹사이트로부터 그 파일들을 다운로드함으로써 공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능 등을 컴퓨터로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파일을 복수의 유저에게 다운로드시키는 WWW(World Wide Web) 서버도 본 발명의 클레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CD-ROM 등의 기억 매체에 암호화하고 저장하여 유저에게 배포하고, 소정의 조건에 맞는 유저에 대해 인터넷을 통해 웹사이트로부터 암호화 키 정보를 다운로드하도록 허용하고, 이들 유저에 대해 그 키 정보를 사용하게 하여 암호화된 프로그램을 해독함으로써 유저 컴퓨터에 인스톨시킬 수 있다.
또한, 판독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실행함으로써,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기능들이 실현되는 경우 외에, 컴퓨터상에서 가동되고 있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함으로써, 이 처리에 의해서도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들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제공된 메모리에 기입된 후, 그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탑재된 CPU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함으로써, 이 처리에 의해서도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들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되어 있는 과거의 유저 조작을 호출하여 재생할 때에 그 조작의 변경이 가능하며, 원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유저 조작의 설정의 수고를 적절히 줄일 수 있다.

Claims (14)

  1. 화상처리장치로서,
    유저에 의한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입력 정보를 기록하는 입력 정보 기록부; 및
    상기 입력 정보 기록부에 의해 기록된 입력 정보를 조작 흐름 정보로서 등록하는 등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가 접수한 유저에 의한 입력이 조작 흐름의 일시 정지를 지시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입력 정보 기록부는 상기 조작 흐름을 일시 정지하기 위한 일시 정지 정보를 기록하는 화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조작 흐름 정보를 호출하는 호출부;
    상기 호출부에 의해 호출된 조작 흐름 정보에 따라,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재생하는 재생부; 및
    상기 재생부에 의한 조작의 재생중에 일시 정지 정보를 검지하는 검지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생부는 상기 검지부에 의한 일시 정지 정보의 검지에 기초하여 조작의 실행을 정지하고;
    상기 조작부는 조작의 실행 정지중에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화상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가 조작의 실행을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조작부를 통해 유저가 입력한 조작을 접수한 후의 조작 흐름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의 재생이 재개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및
    상기 판정부가 상기 조작을 재개 불가능으로 판정한 경우, 유저에게 경고를 알리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가 조작의 실행을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조작부를 통해 유저가 입력한 조작을 접수한 후의 조작 흐름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의 재생이 재개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정부가 상기 조작을 재개 불가능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재생부는 상기 조작의 실행이 정지되어 있는 동안에 유저가 입력한 조작을 재개 가능한 조작 상태로 복귀시키는 화상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상기 입력 정보 및 일시 정지 정보가 조작 흐름 정보로서 스크립트 언어로 기술된 정보로 변환되는 정보를 등록하는 화상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에 의해 등록된 조작 흐름 정보를 호출하는 호출부; 및
    호출부에 의해 호출된 조작 흐름 정보에 포함된 각 입력 정보의 내용을 조작 화면상에 표시하여 그 조작 흐름의 내용을 확인시키는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조작 화면상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을 조작 흐름 정보에 따라 한 단계씩 순서대로 변화시켜 표시하는 화상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 기록부는, 확인부가 조작 화면상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을 조작 흐름 정보에 따라 한 단계씩 순서대로 변화시켜 표시하는 동안에 일시 정지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상기 일시 정지 정보를 기록할 때 표시되는 조작 화면의 표시 상태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와 결합시켜 조작 흐름 정보로서 일시 정지 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처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조작 흐름 정보에 따라 조작부의 조작을 재생하여, 화상처리장치의 조작 설정을 완료하는 화상처리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입력 정보 기록부가 입력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동안, 소정의 시간 경과시까지 아무런 입력이 없는 경우에 입력 정보의 기록이 정지되는 화상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조작 화면을 유저에게 제공하고 입력된 조작을 접수하기 위한 조작 화면을 갖고;
    상기 조작 화면은 입력 정보 기록부가 입력 정보를 기록하는 동안에 정지 정보 기록부가 정지 정보를 기록하도록 지시하는 정지 지시 버튼을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화상처리장치.
  13.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유저에 의한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입력 정보를 기록하는 입력 정보 기록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 기록 단계에서 기록된 입력 정보를 조작 흐름 정보로서 등록하는 등록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가 접수한 유저에 의한 입력이 조작 흐름의 일시 정지를 지시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입력 정보 기록 단계는 상기 조작 흐름을 일시 정지하기 위한 일시 정지 정보를 기록하는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4. 컴퓨터로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현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제어 방법은,
    유저에 의한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부에 의해 입력된 입력 정보를 기록하는 입력 정보 기록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 기록 단계에서 기록된 입력 정보를 조작 흐름 정보로서 등록하는 등록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가 접수한 유저에 의한 입력이 조작 흐름의 일시 정지를 지시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입력 정보 기록 단계는 상기 조작 흐름을 일시 정지하기 위한 일시 정지 정보를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50071919A 2004-08-06 2005-08-05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41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31429A JP4006424B2 (ja) 2004-08-06 2004-08-06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JP-P-2004-00231429 2004-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284A KR20060050284A (ko) 2006-05-19
KR100741601B1 true KR100741601B1 (ko) 2007-07-20

Family

ID=3527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1919A KR100741601B1 (ko) 2004-08-06 2005-08-05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28690A1 (ko)
EP (1) EP1624666A1 (ko)
JP (1) JP4006424B2 (ko)
KR (1) KR100741601B1 (ko)
CN (2) CN100433778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105B1 (ko) 2009-05-13 2012-06-01 이두한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방법 및 멀티미디어 재생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0652B2 (ja) * 2005-01-28 2010-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7001237A (ja) * 2005-06-27 2007-01-1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機器、機器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機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88522A (ja) * 2005-09-16 2007-04-05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
JP4600329B2 (ja) * 2006-03-28 2010-12-1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332812B2 (ja) 2007-01-30 2009-09-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39414B2 (ja) * 2007-04-02 2012-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プログラム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009803A1 (en) * 2007-07-06 2009-01-08 Kyocera Mit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5046856B2 (ja) * 2007-10-25 2012-10-1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制御方法
JP5247207B2 (ja) * 2007-12-26 2013-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処理フロー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009866B2 (ja) * 2008-06-18 2012-08-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100064064A1 (en) * 2008-09-09 2010-03-11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1753749A (zh) * 2008-12-10 2010-06-23 冉伊虹 单张输纸的打印、复印类设备印张统计显示方法
JP5062226B2 (ja) * 2009-06-25 2012-10-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5444998B2 (ja) 2009-09-28 2014-03-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制御方法
JP5516085B2 (ja) * 2010-05-31 2014-06-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インタフェース画面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325846B2 (ja) 2010-08-05 2013-10-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入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459260B2 (ja) * 2011-04-28 2014-04-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設定方法および設定プログラム
JP5784052B2 (ja) * 2013-01-29 2015-09-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CN104102657B (zh) * 2013-04-09 2017-08-25 富士通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方法
JP5914442B2 (ja) * 2013-09-30 2016-05-11 株式会社沖データ データ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画像処理装置
JP5938384B2 (ja) * 2013-10-31 2016-06-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TWI510918B (zh) * 2014-02-20 2015-12-01 Wistron Corp 快速測試及偵測行動裝置的方法及其系統
WO2015156159A1 (ja) * 2014-04-09 2015-10-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入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6015007A (ja) * 2014-07-02 2016-01-28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58778B2 (ja) * 2014-11-28 2017-07-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操作補助プログラム
JP6222188B2 (ja) * 2015-08-31 2017-11-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7021588B2 (ja) 2018-03-30 2022-02-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リンタ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396835B2 (ja) * 2019-08-27 2023-12-1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1829A (en) * 1987-12-23 1990-07-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a dynamic tutorial display
JPH06348481A (ja) * 1993-04-16 1994-12-22 Hewlett Packard Co <Hp> マクロ作成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10035972A1 (en) * 1998-05-04 2001-11-01 I-Data International, Inc. Adaptive interface for digital printing systems
GB2343658B (en) * 1998-11-13 2002-07-31 Esselte Nv A printer with variable friction between printer and a medium
US6336149B1 (en) * 1999-01-26 2002-01-01 Glenn W. Preston Macro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independent of operating system or application software and method of using same
US6690392B1 (en) * 1999-07-15 2004-02-10 Gateway, Inc. Method system software and signal for automatic generation of macro commands
US6404441B1 (en) * 1999-07-16 2002-06-11 Jet Software, Inc. System for creating media presentations of computer software application programs
US6567627B2 (en) * 2000-07-31 2003-05-20 Kyocera Mita Corporation Operating device having a shortcut key for setting functions
US20030023952A1 (en) * 2001-02-14 2003-01-30 Harmon Charles Reid Multi-task recorder
JP2002323946A (ja) 2001-04-26 2002-11-08 Oki Data Corp 画像処理装置
US6710769B2 (en) * 2001-06-04 2004-03-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computing device that records operator inputs
JP4708015B2 (ja) * 2002-06-04 2011-06-2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ゲル網状組織を含有するシャンプー
US6795663B2 (en) * 2002-09-12 2004-09-21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function peripher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software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40080546A1 (en) * 2002-10-25 2004-04-29 Fritz Terry M. Print menu macros for printing devices
US20040184043A1 (en) * 2003-01-31 2004-09-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7627821B2 (en) * 2004-06-15 2009-12-01 Microsoft Corporation Recording/playback tools for UI-based applications
JP4413124B2 (ja) * 2004-10-25 2010-02-1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印刷指示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510652B2 (ja) * 2005-01-28 2010-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105B1 (ko) 2009-05-13 2012-06-01 이두한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방법 및 멀티미디어 재생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33778C (zh) 2008-11-12
US20060028690A1 (en) 2006-02-09
KR20060050284A (ko) 2006-05-19
CN1731814A (zh) 2006-02-08
JP4006424B2 (ja) 2007-11-14
EP1624666A1 (en) 2006-02-08
CN101373350A (zh) 2009-02-25
CN101373350B (zh) 2013-08-14
JP2006044167A (ja)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601B1 (ko) 화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669401B2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158618B (zh) 图像形成装置
JP2007001237A (ja) 機器、機器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機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278986A (ja) 操作案内機能付き装置、操作案内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626440A (zh) 图像处理设备、处理流程控制方法以及图像处理系统
JP462314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09152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10652B2 (ja)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6808499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22608B2 (ja) 画像形成装置
JP6740828B2 (ja) ガイダンス再生装置、ガイダンス再生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094382A (ja) 表示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6711223B2 (ja) ガイダンス再生装置、再生時刻指定支援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07879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1180521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storing setting history
JP6825322B2 (ja) ガイダンス再生装置、ガイダンス再生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223240A (ja) 画像形成装置
JPS5977770A (ja) 記録装置
JP358955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1069128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008054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077394A (ja) 印刷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
JP2018054684A (ja) ガイダンス再生装置、再生関連情報提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26835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