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12515B1 -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515B1
KR101012515B1 KR1020080081459A KR20080081459A KR101012515B1 KR 101012515 B1 KR101012515 B1 KR 101012515B1 KR 1020080081459 A KR1020080081459 A KR 1020080081459A KR 20080081459 A KR20080081459 A KR 20080081459A KR 101012515 B1 KR101012515 B1 KR 101012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ide semiconductor
layer
electron blocking
blocking laye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733A (ko
Inventor
김민호
마틴 에프. 슈베르트
김종규
이. 프레드 슈베르트
박용조
손철수
윤석호
Original Assignee
렌슬러 폴리테크닉 인스티튜트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렌슬러 폴리테크닉 인스티튜트,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렌슬러 폴리테크닉 인스티튜트
Publication of KR20090019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5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1Bodies having quantum effect structures or superlattices, e.g. tunnel junc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22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 H10H20/824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e.g. GaP
    • H10H20/825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e.g. GaP containing nitrogen, e.g. GaN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n형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n형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되며 복수의 양자장벽층과 하나 이상의 양자우물층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 활성층 및 상기 활성층과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된 전자차단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차단층은 상기 복수의 양자장벽층 중 인접하는 양자장벽층과 비교하여 밴드갭 에너지는 크고, 알짜분극전하량은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자장벽층과 전자차단층의 알짜분극전하량 차이를 최소화함으로써 모든 전류영역에서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얻을 수 있다.
발광소자, LED, 분극전하, 밴드갭 에너지, 전자차단층

Description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전류 인가 시의 발광효율 감소를 최소화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는 전류가 가해지면 p,n형 반도체의 접합 부분에서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기하여,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이다. 이러한 LED는 필라멘트에 기초한 발광소자에 비해 긴 수명, 낮은 전원, 우수한 초기 구동 특성, 높은 진동 저항 및 반복적인 전원 단속에 대한 높은 공차 등의 여러 장점을 갖기 때문에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청색 계열의 단파장 영역의 빛을 발광할 수 있는 III족 질화물 반도체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III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서는 정공에 비해 이동도가 높은 전자가 정공과 결합하지 않고 p형 반도체층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되는 전류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누설되는 전류의 양이 늘어나는 이른바, 전자의 오버플로잉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 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주입 전류에 따른 누설 전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누설 전류의 발생은 양자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며, 최근 조명 장치와 같이 고 전류에서 LED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증가하는 추세에서 더욱 문제가 되고 있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한 완전한 방안은 아직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당 기술 분야에서는 모든 전류 영역, 특히, 고 전류에서도 양자효율이 높아 조명 장치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고 효율의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양자장벽층과 전자차단층의 알짜분극전하량 차이를 최소화함으로써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n형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n형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되며 복수의 양자장벽층과 하나 이상의 양자우물층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 활성층 및 상기 활성층과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된 전자차단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차단층은 상기 복수의 양자장벽층 중 인접하는 양자장벽층과 비교하여 밴드갭 에너지는 크고, 알짜분극전하량은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전자차단층의 알짜분극전하량은 GaN보다 작거나 같고, AlxGa(1-x)N(0.1≤x≤0.2)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자차단층은 AlxGa(1-x)N(0.1≤x≤0.2)과 동일한 크기의 밴드갭 에너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차단층은 상기 복수의 양자장벽층 중 인접하는 양자 장벽층과 알짜분극전하량이 같은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차단층과 상기 전자차단층에 인접한 상기 양자장벽층과의 계면에서 알짜분극전하량 차이는 GaN과 AlxGa(1-x)N(0.1≤x≤0.2)의 알짜분극전하량 차이보다 작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전자차단층과 상기 전자차단층에 인접한 상기 양자장벽층과의 계면에서 알짜분극전하량 차이는 GaN과 AlxGa(1-x)N(0.1≤x≤0.2)의 알짜분극전하량 차이의 절반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에 접하여 형성된 성장용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은 상기 기판의 극성 면 상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은 사파이어 기판의 C(0001)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경우, n형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n형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되며 복수의 양자장벽층과 하나 이상의 양자우물층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 활성층 및 상기 활성층과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된 전자차단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차단층은 전도 대역의 에너지 준위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자장벽층과 전자차단층의 알짜분극전하량 차이를 최소화함으로써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자차단층의 에너지 준위가 벤딩되는 정도를 저감 시킴으로써 고 효율의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얻을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에서 활성층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200)는 기판(201)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202), 활성층(203), 전자차단층(204)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205) 갖추어 구성되며, 상기 n형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202, 203)의 소정 영역에는 각각 n형 및 p형 전극(206a, 206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판(201)은 질화물 반도체층의 성장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사파이어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사파이어 기판은 육각-롬보형(Hexa-Rhombo R3c) 대칭성을 갖는 결정체로서 c축 및 a축 방향의 격자상수가 각각 13.001Å 및 4.758Å이며, C(0001)면, A(1120)면, R(1102)면 등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C면은 비교적 질화물 박막의 성장이 용이하며, 고온에서 안정하기 때문에 질화물 성장용 기판으로 주로 사용된다.
다만, 상기 C면은 극성 면으로서 상기 C면에서 성장된 질화물 반도체층은 질화물반도체 고유의 이온결합 (ionicity) 특성과 구조적 비대칭성 (격자상수 a≠c)으로 인해 자발분극 (spontaneous polarization)을 갖게 되고, 격자상수가 다른 질화물 반도체가 연속적으로 적층될 경우, 반도체층에 형성된 변형 (strain)에 의해 압전 분극(piezoelectric polarization)이 발생한다. 이 경우, 두 종류의 분극의 합을 알짜분극 (net polarization)이라 한다. 이러한 알짜분극에 의해 각 계면에 알짜분극전하 (net polarization charge)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에너지 준위가 벤딩(bending)되게 된다. 이러한 분극전하에 의한 영향을 줄여 발광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질화물 반도체 성장용 기판(200)으로 사파이어 기판 대신 SiC, Si, GaN, AlN 등으로 이루어진 기판도 사용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질화물 반도체 성장용 기판(201)이 포함된 수평 구조의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기 판(201)이 제거되어 전극이 질화물 반도체층의 적층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202)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205)은 AlxInyGa(1-x-y)N 조성식(여기서, 0≤x≤1, 0≤y≤1, 0≤x+y≤1임)을 갖고, 각각 n형 불순물 및 p형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GaN, AlGaN, InGaN이 있다. 또한, 상기 n형 불순물로 Si, Ge, Se, Te 또는 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p형 불순물로는 Mg, Zn 또는 Be 등이 대표적이다. 상기 n형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202, 205)은 질화물 반도체층 성장에 관하여 공지된 공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기금속 기상증착법(MOCVD), 분자빔성장법(MBE) 및 하이브리드 기상증착법(HVPE) 등이 이에 해당한다.
상기 활성층(203)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여 발광하도록 양자장벽층(203a)과 양자우물층(203b)이 교대로 반복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양자장벽층(203a)는 GaN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자우물층(203b)는 In0 .2Ga0 .8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자차단층(204)은 상기 활성층(203)과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205) 사이에 형성되며, 양자장벽층(203a)에 비해 높은 밴드갭 에너지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차단층(204)은 전자가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205)으로 오버플로잉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기 전자차단층(204)은 인접한 상기 양자장벽층(203a)과의 알짜분극전하량 차이가 일반적인 양자장벽층/전자차단층 구조에 비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 구조, 예컨대, GaN 양자장벽층과 Al0.13Ga0.87N 전자차단층의 구조보다 계면에서의 알짜분극전하량 차이를 작도록 한다면 전자누설전류가 감소 되고 이로 인해 전자차단층의 에너지 준위 경사가 감소되어 후술할 바와 같이, 구동 전압 및 전자누설전류는 저하되는 반면 발광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따라 양자장벽층과 전자차단층의 알짜분극전하량 차이를 줄이는 방법과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도 3은 AlInGaN 4원소 반도체에서 Al(x)과 In(y)의 조성에 따른 밴드갭 에너지 및 알짜분극전하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밴드갭 에너지가 동일한 조성은 점선으로, 알짜분극전하량이 동일한 조성은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5의 그래프는 300K 온도에서 GaN층 상에 성장된 AlN, InN, GaN의 밴드갭 에너지 및 알짜분극전하량을 결정한 후 각 원소의 격자상수 및 보우잉 파라미터(bowing parameter)를 고려한 계산에 의해 도출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lInGaN 반도체는 Al함량이 많아질수록 밴드갭 에너지는 커지고 알짜분극전하량은 작아지며, In함량이 많아질수록 밴드갭 에너지는 작아지 고 알짜분극전하량은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Al, In 함량 변화에 따라 밴드갭 에너지 및 알짜분극전하량이 변하는 정도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Al, In 함량을 적절히 조절하면 밴드갭 에너지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알짜분극전하량을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GaN 양자장벽층의 경우, 밴드갭 에너지는 3.4200eV이며 알짜분극전하량은 -0.0339C/m2이다. 이 경우, 알짜분극전하량이 음수인 것은 하부에 위치한 GaN층을 향하여 (+) 전하를 띄고, 그 맞은 편 면에서 (-) 전하를 띄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구조인 Al0 .13Ga0 .87N 전자차단층의 경우, 밴드갭 에너지는 3.6588eV이며 알짜분극전하량은 -0.0423C/m2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밴드갭 에너지는 Al0 .13Ga0 .87N과 유사하도록 하여 전자차단 기능은 유지하되, 인접한 양자장벽층과의 알짜분극전하량 차이는 감소 되도록 2개의 조성을 결정하여 전자차단층(실시예 1, 2)을 형성하였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 채용될 수 있는 전차차단층의 조건으로 인접한 양자장벽층과 비교하여 밴드갭 에너지는 크고, 알짜분극전하량은 작거나 같은 범위를 기준으로 하였다.
아래 제시한 표에서, 상기 실시예 1, 2의 밴드갭 에너지 및 알짜분극전하량의 계산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종래의 Al0 .13Ga0 .87N 전자차단층 및 GaN 양자장 벽층과 같이 나타내었다. 이 경우, 실시예 1의 전자차단층(Al0.3In0.13Ga0.57N)은 Al0 .13Ga0 .87N과 동일한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면서 GaN 양자장벽층과 알짜분극전하량이 동일하다. 또한, 실시예 2의 전자차단층(Al0 .25In0 .08Ga0 .67N)은 Al0 .13Ga0 .87N과 동일한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면서 GaN 양자장벽층과의 알짜분극전하량 차이가 Al0.13Ga0.87N에 비해 절반이 되도록 설정된 것이다.
조성 밴드갭 에너지(eV) 알짜분극전하량(C/m2)
실시예 1 Al0 .3In0 .13Ga0 .57N 3.6588 -0.0339
실시예 2 Al0 .25In0 .08Ga0 .67N 3.6588 -0.0381
비교예 1 Al0 .13Ga0 .87N 3.6588 -0.0423
양자장벽층 GaN 3.4200 -0.0339
도 4는 표 1과 같이 선택된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Al0.13Ga0.87N 전자차단층)에 대하여 구동 전압의 변화에 따른 전류 변화를 시뮬레이션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발광 파장은 450㎚이며 온도 조건은 300K로 설정하였다. 다만, 반도체층의 결정성 등에 의한 영향은 고려되지 않았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2가 비교예에 비하여 구동 전압이 감소 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양자장벽층과 알짜분극전하량이 동일하도록 형성한 실시예 1의 경우가 가장 우수한 것을 볼 수 있다. 비교예의 경우, 전자차단층의 알짜분극전하량 절대값이 인접한 양자장벽층에 비해 더 크며, 이에 따라, 전자차단층과 양자장벽층의 계면에서 전자차단층의 (+) 전하의 크기가 더 크다. 따라서, 상기 계면은 (+) 전하를 띄게 되고, 이는 전자를 전자차단층 방향으로 유도하게 되어 전자차단 효과를 저감 시키게 된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전자차단층과 양자장벽층의 계면에서 알짜분극전하량의 차이가 없도록 하거나 그 차이를 비교예에 비하여 줄임으로써 전자의 오버플로잉가 줄어들도록 하였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실시예 1(실선)과 비교예(점선)에서 각각 전류 변화에 따른 전자누설전류 및 내부양자효율의 변화를 시뮬레이션하여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이 비교예에 비하여 전자누설전류의 양이 현저히 작은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전자차단층에서 알짜분극전하량에 의한 에너지 준위의 형태가 전자차단 기능에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즉,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전자차단층의 에너지 준위의 벤딩이 최소화될 경우 전자차단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고 전류에서 내부양자효율의 경우, 비교예에서는 최대 양자효율에 비해 350mA에서의 양자효율이 약 25% 정도 감소하며, 실시예 1에서는 약 22% 감소함을 볼 수 있다. 특히, 비교예에 비하여 실시예 1의 내부양자효율이 현저히 높으며, 350mA에서 약 49.5%의 효율 향상을 가져온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Al, In의 조성을 조절하는 방법을 예로 들기는 하였으나, 이는 양자장벽층과 전자차단층 간의 알짜분극전하량 차이를 줄이거나 전자차단층의 에너지 준위가 벤딩된 정도를 줄일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또한, 알짜분극전하량 차이를 줄이는 방안은 양자장벽층과 전자차단층 간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차단층과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사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활성층과 전자차단층 사이에 개재된 질화물 스페이서층과 전자차단층 사이에도 적용될 수 있는 등, 전자차단층과 인접한 모든 층과의 계면에서 알짜분극전하량 차이를 줄이는 방안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실시 형태에서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300)는 기판(301), n형 질화물 반도체층(302), 활성층(303), 전자차단층(304)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305)을 구비하며, 상기 n형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302, 305)에는 n형 및 p형 전극(306a, 306b)이 형성된다. 이전 실시 형태와 다른 구조로서, 상기 전자차단층(304)은 제1 및 제2 층(305a, 305b)이 교대로 반복 적층된 초격자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제1 층(305a)은 실시예 1의 Al0 .3In0 .13Ga0 .57N이 사용되며, 상기 제2 층(305b)은 비교예의 GaN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주입 전류에 따른 누설 전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에서 활성층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AlInGaN 4원소 반도체에서 Al(x)과 In(y)의 조성에 따른 밴드갭 에너지 및 알짜분극전하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표 1과 같이 선택된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Al0.13Ga0.87N 전자차단층)에 대하여 구동 전압의 변화에 따른 전류 변화를 시뮬레이션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실시예 1(실선)과 비교예(점선)에서 각각 전류 변화에 따른 전자누설전류 및 내부양자효율의 변화를 시뮬레이션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2의 실시 형태에서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기판 202: n형 질화물 반도체층
203: 활성층 204: 전자차단층
205: p형 질화물 반도체층 206a, 206b: n형 및 p형 전극

Claims (9)

  1. n형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상기 n형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되며 복수의 양자장벽층과 하나 이상의 양자우물층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 활성층; 및
    상기 활성층과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되며, Al, Ga, In, N의 4성분계 물질로 이루어진 전자차단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차단층은 상기 복수의 양자장벽층 중 인접하는 양자장벽층과 비교하여 밴드갭 에너지는 크고, 알짜분극전하량은 작거나 같으며,
    상기 전자차단층의 알짜분극전하량은 GaN보다 작거나 같고, AlxGa(1-x)N(0.1≤x≤0.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차단층은 AlxGa(1-x)N(0.1≤x≤0.2)과 동일한 크기의 밴드갭 에너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차단층은 상기 복수의 양자장벽층 중 인접하는 양자장벽층과 알짜분극전하량이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차단층과 상기 전자차단층에 인접한 상기 양자장벽층과의 계면에서 알짜분극전하량 차이는 GaN과 AlxGa(1-x)N(0.1≤x≤0.2)의 알짜분극전하량 차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차단층과 상기 전자차단층에 인접한 상기 양자장벽층과의 계면에서 알짜분극전하량 차이는 GaN과 AlxGa(1-x)N(0.1≤x≤0.2)의 알짜분극전하량 차이의 절반에 해당하는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에 접하여 형성된 성장용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은 상기 기판의 극성 면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은 사파이어 기판의 C(0001)면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9. 삭제
KR1020080081459A 2007-08-20 2008-08-20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Active KR101012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5672307P 2007-08-20 2007-08-20
US60/956,723 2007-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733A KR20090019733A (ko) 2009-02-25
KR101012515B1 true KR101012515B1 (ko) 2011-02-08

Family

ID=4038131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459A Active KR101012515B1 (ko) 2007-08-20 2008-08-20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1020080081458A Active KR101012514B1 (ko) 2007-08-20 2008-08-20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1020100078767A Active KR101314261B1 (ko) 2007-08-20 2010-08-16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458A Active KR101012514B1 (ko) 2007-08-20 2008-08-20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1020100078767A Active KR101314261B1 (ko) 2007-08-20 2010-08-16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20090050874A1 (ko)
JP (2) JP2009055023A (ko)
KR (3) KR1010125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0816A1 (en) * 2012-07-13 2014-01-16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752B1 (ko) 2007-06-22 2014-1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438806B1 (ko) * 2007-08-28 2014-09-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77774B1 (ko) * 2007-09-10 2009-01-16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개선된 구조의 발광다이오드
KR100957724B1 (ko) 2008-06-05 2010-05-12 우리엘에스티 주식회사 화합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를 위한 발광소자의화합물 반도체 조성비 결정방법
US8704252B2 (en) * 2008-10-23 2014-04-22 Epistar Corporation Light emitting device
JP5641173B2 (ja) * 2009-02-27 2014-12-17 独立行政法人理化学研究所 光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9040438A1 (de) * 2009-07-24 2011-01-27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r Halbleiterkörper mit einer Quantentopfstruktur
WO2011014822A2 (en) * 2009-07-31 2011-02-03 Applied Materials, Inc. Light emitting diode with enhanced quantum efficiency and method of fabrication
WO2011035265A1 (en) * 2009-09-18 2011-03-24 Soraa, Inc. Power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with current density operation
US8933644B2 (en) 2009-09-18 2015-01-13 Soraa, Inc. LED lamps with improved quality of light
JP4769905B2 (ja) * 2009-12-10 2011-09-07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p型AlGaN層の製造方法およびIII族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US8907321B2 (en) 2009-12-16 2014-12-09 Lehigh Univeristy Nitride based quantum well light-emitting devices having improved current injection efficiency
KR101646255B1 (ko) * 2009-12-22 2016-08-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발광 소자 패키지 및 발광 소자 제조방법
US8993996B2 (en) 2010-01-08 2015-03-31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Superlattice structure
US8895959B2 (en) 2010-01-08 2014-11-25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Superlattice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8698127B2 (en) * 2010-01-08 2014-04-15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Superlattice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9412901B2 (en) 2010-01-08 2016-08-09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Superlattice structure
US9768349B2 (en) 2010-01-08 2017-09-19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Superlattice structure
EP2408028B1 (en) * 2010-07-16 2015-04-08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JP5259660B2 (ja) 2010-09-06 2013-08-0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素子
KR20120129029A (ko) * 2011-05-18 2012-11-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CN102820394B (zh) * 2011-06-07 2015-04-01 山东华光光电子有限公司 一种采用铝组分渐变电子阻挡层的led结构
JP5868650B2 (ja) 2011-10-11 2016-02-2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素子
FR2985609B1 (fr) * 2012-01-05 2014-02-07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ubstrat structure pour leds a forte extraction de lumiere
CN102544281A (zh) * 2012-01-20 2012-07-04 厦门市三安光电科技有限公司 具有多层势垒结构的氮化镓基发光二极管
WO2013138571A1 (en) * 2012-03-14 2013-09-19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Superlattice structure
DE202013012940U1 (de) * 2012-05-04 2023-01-19 Soraa, Inc. LED-Lampen mit verbesserter Lichtqualität
KR101955309B1 (ko) * 2012-05-25 2019-03-0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 차단층을 갖는 반도체 발광 소자
KR101376976B1 (ko) 2012-06-29 2014-03-21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디바이스
KR101973765B1 (ko) * 2012-09-14 2019-04-3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 효율이 개선된 반도체 발광 소자
US10923623B2 (en) * 2013-05-23 2021-02-16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layer including compositional inhomogeneities
KR101513947B1 (ko) * 2013-11-01 2015-04-2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6367590B2 (ja) * 2014-03-31 2018-08-01 日本碍子株式会社 発光素子および発光素子構造の製造方法
KR102227772B1 (ko) 2014-08-19 2021-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TWI568016B (zh) * 2014-12-23 2017-01-21 錼創科技股份有限公司 半導體發光元件
US10685835B2 (en) * 2015-11-04 2020-06-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II-nitride tunnel junction with modified P-N interface
CN108463930B (zh) * 2016-01-08 2020-05-12 索尼公司 半导体发光器件、显示单元和电子设备
CN105702829B (zh) * 2016-04-22 2019-05-31 河北工业大学 具有p-型欧姆接触层的发光二极管外延结构
US11056434B2 (en) 2017-01-26 2021-07-06 Epistar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pecified p-type dopant concentration profile
US10971652B2 (en) 2017-01-26 2021-04-06 Epistar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electron blocking layers
KR102500059B1 (ko) 2017-11-07 2023-02-14 갈리움 엔터프라이지즈 피티와이 엘티디 매립된 활성화된 p-(Al,In)GaN 층
CN110491975A (zh) * 2019-09-04 2019-11-22 厦门乾照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led外延片及其制作方法和半导体器件
KR102257194B1 (ko) 2020-12-17 2021-05-28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친환경 스마트 실내 실탄사격장 설비 시스템
KR102293658B1 (ko) 2020-03-12 2021-08-26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 실탄사격장 벤틸레이션 시스템
KR102378149B1 (ko) 2021-06-28 2022-03-24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실내 실탄사격장 설비용 친환경 벤틸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 실탄사격 설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7421A (ja) * 2004-01-30 2005-08-11 Lumileds Lighting Us Llc 改善された高電流効率を有するiii族窒化物発光デバイス
JP2006324280A (ja) * 2005-05-17 2006-11-30 Rohm Co Ltd 半導体発光素子
JP2007088270A (ja) * 2005-09-22 2007-04-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る照明装置ならびに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20080075212A (ko) * 2005-11-30 2008-08-14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질화 갈륨 반도체 발광 소자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350A (en) * 1897-02-16 Match-receptacle
US5289486A (en) * 1991-02-28 1994-02-22 Omron Corporation Semiconductor luminous element and superlattice structure
US5583878A (en) * 1993-06-23 1996-12-10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Semiconductor optical device
US5777350A (en) * 1994-12-02 1998-07-07 Nichia Chemical Industries, Ltd. Nitrid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US6515313B1 (en) * 1999-12-02 2003-02-04 Cree Lighting Company High efficiency light emitters with reduced polarization-induced charges
KR100425341B1 (ko) * 2000-02-08 2004-03-31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US6955933B2 (en) 2001-07-24 2005-10-18 Lumileds Lighting U.S., Llc Light emitting diodes with graded composition active regions
US6515308B1 (en) * 2001-12-21 2003-02-04 Xerox Corporation Nitride-based VCSEL or light emitting diode with p-n tunnel junction current injection
JP4307113B2 (ja) * 2002-03-19 2009-08-05 宣彦 澤木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115908B2 (en) * 2004-01-30 2006-10-03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III-nitride light emitting device with reduced polarization fiel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7421A (ja) * 2004-01-30 2005-08-11 Lumileds Lighting Us Llc 改善された高電流効率を有するiii族窒化物発光デバイス
JP2006324280A (ja) * 2005-05-17 2006-11-30 Rohm Co Ltd 半導体発光素子
JP2007088270A (ja) * 2005-09-22 2007-04-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る照明装置ならびに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20080075212A (ko) * 2005-11-30 2008-08-14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질화 갈륨 반도체 발광 소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0816A1 (en) * 2012-07-13 2014-01-16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9281437B2 (en) 2012-07-13 2016-03-08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514B1 (ko) 2011-02-08
US8502266B2 (en) 2013-08-06
KR101314261B1 (ko) 2013-10-02
KR20090019733A (ko) 2009-02-25
US20090050875A1 (en) 2009-02-26
KR20090019732A (ko) 2009-02-25
JP2009049416A (ja) 2009-03-05
KR20100097643A (ko) 2010-09-03
JP2009055023A (ja) 2009-03-12
US20110001123A1 (en) 2011-01-06
US20090050874A1 (en)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515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US10418514B2 (en)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11063775B (zh) 氮化物半导体元件
US9257599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hole injection layer
JP4971377B2 (ja) 窒化物半導体素子
KR101001527B1 (ko) 화합물 반도체 발광 소자용 에피택셜 기판, 이의 제조방법및 발광 소자
US8546846B2 (en)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20090035934A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8575593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110048240A (ko) 질화물 반도체 소자
CN120018652A (zh) 发光二极管外延结构及发光二极管
KR101025971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CN110416374B (zh) 发光二极管外延片及其生长方法、发光二极管、显示装置
KR20120095652A (ko) 반도체 발광소자
KR102600002B1 (ko) 반도체 발광 소자
KR20140104755A (ko) 반도체 발광소자
KR20120055356A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95653A (ko)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99693A (ko) 무분극 질화물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