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77440B1 -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유전자,이에 의해 형질전환된 이노신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속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이노신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유전자,이에 의해 형질전환된 이노신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속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이노신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440B1
KR100977440B1 KR1020080002661A KR20080002661A KR100977440B1 KR 100977440 B1 KR100977440 B1 KR 100977440B1 KR 1020080002661 A KR1020080002661 A KR 1020080002661A KR 20080002661 A KR20080002661 A KR 20080002661A KR 100977440 B1 KR100977440 B1 KR 100977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ynebacterium
inosine
gene
seq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615A (ko
Inventor
김철하
최종수
김정환
김형석
최혜진
권중근
권나라
백민지
안태민
황수연
심재익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080002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440B1/ko
Publication of KR20090076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1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C07K14/3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Corynebacterium (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67General methods for enhancing the expres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4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 C12N15/77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for Corynebacterium; for Brevibacte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26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carbohydrates
    • C12P19/28N-glycosides
    • C12P19/38Nucleosides
    • C12P19/40Nucleosides having a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purine nucleos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리네박테리움속(Corynebacterium) 미생물로부터 분리된 서열번호 1의 신규한 유전자, 상기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상기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이노신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 및 상기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을 이용한 이노신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이노신

Description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유전자, 이에 의해 형질전환된 이노신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이노신의 생산방법{Novel gene isolated from Corynebaterium, inosine-producing Corynebacterium transformed by the same gene and method of producing inosi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리네박테리움속(Corynebacterium) 미생물로부터 분리된 서열번호 1의 신규한 유전자, 상기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이노신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 및 상기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을 이용한 이노신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이노신은 정미성 조미료로 각광받고 있는 이노신산(5'-inosinic acid)의 화학적 합성 및 효소전이 반응에 의한 합성에 있어서 중요한 기질이다. 또한 이노신은 핵산 생합성 대사계의 중간물질로 동식물의 체내에서 생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질 뿐 아니라 식품 및 의약품 등 여러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노신은 종래에는 주로 바실러스(Agric. Biol. Chem., 46, 2347 (198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7280호) 또는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Agric. Biol. Chem., 42, 399 (1978)) 등의 미생물을 이용한 직접 발효법이나 5′-이노신산의 열 분해법(일특공소 제43-3320호) 등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그러나, 열분해법의 경우 5′-이노신산을 분해하기 위해 대량의 열 소비가 요구되어 실용성이 낮으며, 직접 발효법의 경우 대장균을 이용한 다양한 유전자형의 균주들이 개발되고 연구되었으나(Biosci Biotechnol Biochem. 2001 Mar; 65(3):570-8) 이노신 생산균주의 역가가 낮아 생산원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이노신 연구는 대장균과 바실러스에 집중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노신을 보다 고수율로 생산하여 고농도로 축적시킬 수 있는 균주 및 상기 균주를 이용한 이노신 생산방법의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미생물을 이용한 직접 발효법에 의해 이노신을 고농도/고수율로 생산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던 중,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에서 Lac-I 패밀리 전사 인자(Lac-I family transcription factor)로 추정되는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신규한 유전자를 발견하고, 이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경우 이노신이 고농도로 축적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로부터 분리된 서열번호 1의 신규한 유전자(이하, 'Ncam2271'로 지칭함), 상기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상기 벡터에 의해 형질전환된 이노신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여 고농도 및 고수율로 이노신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로부터 분리된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서열을 갖는 신규한 유전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이노신을 생산하는 미생물로 알려져 있는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 예를 들어,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ATCC 6872의 염색체 서열분석을 수행하고,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의 전사 조절 단백질을 조사하던 중 약 1,119bp의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갖는 신규한 유전자를 발견하였다. 상기 유전자는 NCBI에 등재되어 있지 않으며 기능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NCBI Blast search를 통해 Lac-I 패밀리 전사 인자(Lac-I family transcription factor)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전자는 Lac-I 패밀리 전사 인자로 작용할 것으로 추정되는 신규한 유전자이다.
본 발명은 또한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로부터 분리된 서열번호 1의 신규한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사용가능한 벡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발현 벡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HC131T-gfp 벡터(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5832호)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벡터는 상기 pHC131T-gfp 벡터에 서열번호 1의 유전자를 삽입시켜 제조한 pHC131T-Ncam2271 벡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서열번호 1의 신규한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는 서열번호 1의 유전자를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통하여 수득하고 DNA 제한효소, 예를 들어 SmaI 및 XbaI 등으로 절단하고, 제한효소 EcoRV 및 XbaI로 처리한 벡터에 DNA T4 리가아제 등을 사용하여 삽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로부터 분리된 서열번호 1의 신규한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된 이노신 생산능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미생물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조절 인자의 변형에 의해 또는 유전자 카피 수의 증가에 의해 그 발현이 증가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로부터 분리된 서열번호 1의 신규한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이노신 생산능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코리네박 테리움 이피시언스,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 및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노신 분해 경로가 차단되고, 아데닌 누출형 요구성(adenine leaky auxotroph) 및 구아닌 누출형 요구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N04-0027(KCCM-10905)를 모 균주로 하여 서열번호 1의 신규한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에 의한 형질전환에 의해 생성된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N04-0094(KCCM-10906)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이노신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서열번호 1의 신규한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예를 들면 pHC131T-Ncam2271 벡터로 통상적인 전기천공(electroporation) 방법을 이용하여 형질전환되고, 선별마커인 항생제 카나마이신(kanamycine)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여 선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서열번호 1의 신규한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된 이노신 생산능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 및 배양액으로부터 이노신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노신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노신 생산방법에서, 이노신 생산능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로부터 분리된 서열번호 1의 신규한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되어 이노신 생산능이 증가된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이고, 바람직하게는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N04-0094(KCCM-10906)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노신 생산방법은 서열번호 1의 신규한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된 이노신 생산능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미생물은 적당한 탄소원, 질소원, 아미노산, 비타민 등을 함유한 통상의 배지에서 호기성 조건하에서 온도, pH 등을 조절하면서 배양된다. 탄소원으로서는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살균된 전처리 당밀, 즉, 환원당으로 전환된 당밀 등과 같은 탄수화물이 사용될 수 있고, 질소원으로서는 암모니아, 염화암모늄, 황산암모늄과 같은 각종 무기질소원 및  펩톤, NZ-아민, 육류 추출물, 효모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카세인 가수분해물, 어류 또는 그의 분해생성물, 탈지 대두 케이크, 또는 그의 분해생성물등 유기질소원이 사용될 수 있다. 무기화합물로는 인산1수소칼륨, 인산2수소칼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철, 황산망간, 탄산칼슘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 필요에 따라 비타민 및 영양요구성 염기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배양은 호기적 조건하에서 예를 들면, 진탕배양 또는 통기교반배양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20~4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배지의 pH는 배양하는 동안 pH 6 내지8에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양은 5~6일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직접발효법에 의해서 축적된 이노신을 통상의 방법으로 회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서열번호 1의 신규한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벡터로 형질 전환된 이노신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이노신을 고농도로 배양액 중에 직접 축적시키는 미생물로서, 이를 이용하면 이노신을 고농도 및 고수율로 생산할 수 있다.
실시예 1. Ncam2271 유전자 확보 및 동정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ATCC6872의 전체 유전체를 대상으로, 전사 인자(transcription factor) 관련 유전자들을 탐색하였다.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ATCC6872의 개방해독 프레임(ORF) 서열을 이용하여 NCBI의 Blast 검색을 수행한 결과 전사 인자로 동정되는 많은 후보 유전자들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 중 하나인 Ncam2271의 경우 서열번호 1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확보된 Ncam2271은 추정적인 Lac-I 패밀리 전사 인자(putative Lac-I family transcriptional factor)로 확인되었다.
표 1. Ncam2271 Blast 검색 결과
NCBI GI Product Organism Matched range Identity
%
e-value
Query % Subject%
1 38234533 Putative LacI-family transcriptional regulator Corynebacterium diphtheriae NCTC 13129 94.4 97.6 56 1e-106
2 68535394 Putative transcriptional regulator(LacI family) Corynebacterium jeikeium K411 94.1 100.0 55 1e-104
3 25029067 Putative regulatory protein Corynebacterium efficiens YS-314 91.1 96.7 58 1e-101
4 19553826 Transcriptional regulator Corynebacterium glutamicum R 91.3 96.7 54 1e-95
5 62391466 Transcriptional regulator, LacI family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 13032 91.3 97.2 54 2e-95
실시예 2. Ncam2271 유전자의 클로닝 및 형질전환 이노신 생산 균주 제작
도 1은 서열번호 1의 신규한 유전자를 클로닝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1) 재조합 벡터 pHC131T의 제조
서열번호 1의 신규한 유전자를 클로닝하기 위해, 유전자의 과발현을 유도하기 위한 CJ1 프로모터와 rrnB1B2 터미네이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pHC131T를 제조하였다.
먼저, CJ1 프로모터는 pECCG117-CJ1(국내특허공개 제2006-0068505호)을 주형으로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5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94℃에서 30초의 변성, 55℃에서 30초의 어닐링, 및 68℃에서 30초의 연장으로 구성된 사이클을 24회 반복 수행하는 PCR로 증폭시키고, 그 결과물을 1.0% 아가로오스 겔에서 전기영동한 후, 300 bp 크기의 밴드를 용출하여 수득하였다.
rrnB1B2 터미네이터는 대장균 K-12 W3110의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6 및 서열번호 7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상기 CJ1 프로모터의 경우와 동일한 조건으로 PCR 및 전기영동을 수행하여 411 bp의 단편으로 수득하였다.
플라스미드 pECCG117(국내특허공고 제92-7401호)를 제한효소 EcoRV 및 KpnI으로 처리한 후, 0.8% 아가로오스 겔에서 전기영동하여 약 5.9 kb 크기의 밴드를 용출하고, CJ1 프로모터를 동일한 제한효소 EcoRV 및 KpnI으로 처리한 후, Quiaquick PCR Purification Kit(Quiagen)를 이용하여 분리한 후, 상기 두 DNA 절편을 Quick Ligation Kit(NEB)를 이용하여 연결시켜 재조합 플라스미드 pECCG117-CJ1을 수득하였다. 그 후, 수득된 pECCG117-CJ1을 XbaI 및 NotI로 처리한 후, 1% 아가로오스 겔에서 전기영동하여 약 6.2 kb 크기의 밴드를 용출하였다. 상기에서 PCR에 의해 수득된 rrnB1B2 터미네이터를 XbaI 및 NotI으로 처리한 후, 1.0% 아가로오스 겔에서 전기영동하여 약 0.4 kb 크기의 밴드를 용출하였다.
상기 pECCG117-CJ1과 rrnB1B2 터미네이터 절편을 연결시켜 재조합 플라스미드 pECCG117-CJ1-rrnB1B2(약 6.6 kb)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pHC131T라 명명하였다.
(2) Ncam2271 유전자의 클로닝
서열번호 1의 유전자 단편을 수득하기 위해, 서열번호 2 및 서열번호 3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ATCC6872의 유전체 DNA를 주형으로 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하였다. 이에 의해 수득된 서열번호 1의 유전자 단편을 제한효소 SmaI(New England Biolabs, Beverly, MA)과 XbaI(New England Biolabs, Beverly, MA)으로 절단하였다. T4 리가아제(New England Biolabs, Beverly, MA)를 이용하여 상기 유전자 단편을 EcoRV와 XbaI 제한효소로 처리하여 선형화된(linearized) pHC131T 벡터에 접합하여 pHC131T-Ncam2271를 제조하였다.
도 2는 서열번호 1의 유전자, Ncam2271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pHC131T-Ncam2271을 도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재조합 벡터 pHC131T-Ncam2271을 이노신 생산 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N04-0027(KCCM-10905)에 전기천공법으로 형질전환한 후(Appl. Microbiol.Biotechnol. (1999) 52:541-545에 의한 형질전환법 이용), 카나마이신 (kanamycin) 25mg/L를 함유한 선별 배지에서 상기 제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N04-0094를 선별하였다.
실시예 3. 삼각 플라스크 발효역가 시험
하기의 표 2에 표시된 조성을 갖는 종 배지 3ml를 직경 18mm의 시험관에 분주하고 가압살균한 후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N04-0027 및 CN04-0094(KCCM-10906)를 접종하고 30℃의 온도에서 24시간 진탕배양하여 종배양액으로 사용하였다. 하기 표 2에 표시된 조성을 갖는 발효배지 27ml를 250ml 진탕용 삼각플라스크에 분주하고 120℃의 온도에서 10분간 가압살균하고, 상기 종배양액 3ml을 접종한 다음 5~6일간 배양하였다. 진탕 배양기의 배양 조건은 회전수 분당 220회(rpm), 온도 32℃ 및 pH 7.2로 조절하였다. 배지 내 이노신의 축적량을 모 균주와 비교한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으며, 본 발명에 따른 서열번호 1의 유전자를 포 함하는 재조합 벡터에 의해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N04-0094의 경우 이노신 축적량이 약 15%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N04-0094를 2007년 12월 20일자로 한국미생물보존센터(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에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CM 10906).
표 2
배지종류 배지 조성
영양배지 펩톤 1%, 육즙 1%, 염화나트륨 0.25%, 효모 추출물 1%, 아데닌 100mg/L, 구아닌 100mg/L, 한천 2%, pH 7.2
최소배지 포도당 2%, 황산나트륨 0.3%, 인산제1칼륨 0.1%, 인산제2칼륨 0.3%, 황산마그네슘 0.3%, 염화칼슘 10mg/L, 황산철 10mg/L, 황산아연 1mg/L, 염화망간 3.6mg/L, L-시스테인 20mg/L, 칼슘판토테네이트 10mg/L, 티아민염산염 5mg/L, 바이오틴 30㎍/L, 아데닌 20mg/L, 구아닌 20mg/L, 한천 2%, pH 7.2
종배지 포도당 5%, 펩톤 0.5%, 육즙 0.5%, 염화나트륨 0.25%, 효모 추출물 1%, 아데닌 100mg/L, 구아닌 100mg/L, pH 7.2
플라스크
발효배지
글루타민산나트륨 0.1%, 암모늄클로라이드 1%, 황산마그네슘 1.2%, 염화칼슘 0.01%, 황산철 20mg/L, 황산망간 20mg/L, 황산아연 20mg/L, 황산구리 5mg/L, L-시스테인 23mg/L, 알라닌 24mg/L, 니코틴산 8mg/L, 바이오틴 45ug/L, 티아민염산염 5mg/L, 아데닌 30mg/L, 인산(85%) 1.9%, 과당, 포도당 및 당밀을 혼합하여 환원당으로 6%가 되도록 첨가하여 사용, pH 7.2
표 3
이노신 농도(g/l) 대조군 대비 증가율(%)
대조군(CN04-0027) 5.1 -
CN04-0094(CN04-0027-pHC131T) 5.9 15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되는 특허청구범 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1은 Ncam2271 유전자의 클로닝 과정을 나타낸다.
도2는 재조합벡터 pHC131-Ncam2271를 도시한다.
<110> CJ Corporation <120> Novel gene isolated from Corynebacterium, inosine-producing Corynebacterium transformed by the same gene and method of producing inosine using the sameh <160> 7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119 <212> DNA <213> Corynebacterium ammoniagenes <220> <221> gene <222> (1)..(1119) <223> putative Lac-I transcription factor <400> 1 atggttaaac gcagtccggt tcgtaaaact cttgcttccc tcgcggcaga attaggggtc 60 tcgcgaacga ctgtttctaa tgcttataac cgtcccgatc agctctctcc tgagctgcgc 120 gagcgcatct tgacggctgc tcgcgcgcat ggctattcgg ggccggatcc gatggccagg 180 agtctacgta cgcgtcgtgt gggctccatt ggtgtagtgc tgacggagga tttgtcctat 240 gccttcgaag atgctgcgtc ggtggatttc ttagcaggta tggcgcaagg gctagcgggt 300 aaaaatagca cgttgacgtt gattccggca ggcccagata ccgctgaagg caccggcgcg 360 gaggaacttt tgggccgcgc ggttgtggat ggttttgtgg tctattccgt cggcggcgat 420 gacccgtatc tagcggccgc tagtaaccgc ggcctgccgg tggtggtctg tgaccagccg 480 cgcgataccg ggcagccttt tgttggcatt gatgatttca cagcgattgc tccggcggcg 540 caagcgctcg tcgatgccgg gcacaccaaa gtcggcatcc tagccattcg tctgcgtcat 600 gaacgcctcg atggcgtggt ggaccgaggg aacctcgccg cagcagagtt tgatacccag 660 cgactgcgcg tgcagggagc gttaaaagtc ttcgccgatg ccggtatcga tgcggataag 720 attcccgtgg tcactcgcca catcaacact cgcgacacgg cgcgggaagc agccgaggaa 780 ctgctgagca ataacccgga attaaccgca gtgctgtgca caacggactc catggcgctg 840 ggtgtcttgg acttcgcgga gcgccaagga attcccattc ctggggatct ttccgtgacc 900 ggcttcgacg gtatcgaatc cgctcgcctg cgtggattga ccacagtgat tcaacccaac 960 ttcaataaag gcgctgaagc gggccggatg ctcgccgagc ttatcgatgc ctccgtcgcc 1020 aaccttgcct atcccactag cgaagacgga aagccactgc gcgtgctgtt gaagacccaa 1080 ctcgcgccgg gcaagacgat tgcccgccca cgccactag 1119 <210> 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Ncam2271 <400> 2 gggatggtta aacgcagtcc gg 22 <210> 3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Ncam2271 <400> 3 gctctagact agtggcgtgg gcgggcaa 28 <210> 4 <211> 3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CJ1 promoter <400> 4 cgggtaccac cgcgggctta ttccattaca t 31 <210> 5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CJ1 promoter <400> 5 acgcgatatc ttaatctcct agattgggtt tc 32 <210> 6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rrnB1B2 terminator <400> 6 gctctagagc tgttttggcg gatgaga 27 <210> 7 <211> 3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rrnB1B2 promoter <400> 7 ataagaatgc ggccgccgca aaaaggccat ccgtcag 37

Claims (8)

  1. 서열번호 1로 표시된 서열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에서 유래된 유전자.
  2. 제1항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벡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벡터는 pHC131T를 기반으로 제조된 것인 재조합 벡터.
  4. 서열번호 1로 표시된 서열을 갖는 유전자의 카피 수의 증가나 서열번호 1로 표시된 서열을 갖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조절 인자의 변형에 의해 서열번호 1로 표시된 서열을 갖는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된, 이노신 생산능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된 서열을 갖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것인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인 것인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 게네스 CN04-0094(KCCM-10906)인 것인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물로부터 이노신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노신의 생산방법.
KR1020080002661A 2008-01-09 2008-01-09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유전자,이에 의해 형질전환된 이노신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속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이노신의 생산방법 KR100977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661A KR100977440B1 (ko) 2008-01-09 2008-01-09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유전자,이에 의해 형질전환된 이노신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속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이노신의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661A KR100977440B1 (ko) 2008-01-09 2008-01-09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유전자,이에 의해 형질전환된 이노신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속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이노신의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615A KR20090076615A (ko) 2009-07-13
KR100977440B1 true KR100977440B1 (ko) 2010-08-24

Family

ID=4133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661A KR100977440B1 (ko) 2008-01-09 2008-01-09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유전자,이에 의해 형질전환된 이노신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속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이노신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4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207A (ko) * 2000-03-16 2001-11-14 손 경 식 이노신을 생산하는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한 이노신의제조방법
KR20050059641A (ko) * 2003-12-15 2005-06-21 씨제이 주식회사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의제조방법
KR100671081B1 (ko) 2005-11-30 2007-01-17 씨제이 주식회사 이노신을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이노신의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207A (ko) * 2000-03-16 2001-11-14 손 경 식 이노신을 생산하는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한 이노신의제조방법
KR20050059641A (ko) * 2003-12-15 2005-06-21 씨제이 주식회사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의제조방법
KR100671081B1 (ko) 2005-11-30 2007-01-17 씨제이 주식회사 이노신을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이노신의 생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615A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5861B1 (en) Microorganisms of corynebacterium with improved 5&#39;-inosinic acid productivity, and method for producing nucleic acids using same
KR100838038B1 (ko)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그를 이용한 l-라이신 생산 방법
US8058036B2 (en) Microorganism of Corynebacterium genus having enhanced L-lysine productivity and a method of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US7794990B2 (en) Microorganism of corynebacterium genus having enhanced L-lysine production 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KR102035844B1 (ko) L-트립토판을 생산하는 재조합 코리네형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트립토판을 생산하는 방법
KR100830289B1 (ko) L-아르기닌 생산 변이주 및 이의 제조방법
EP2115120B1 (en) Microorganism producing inosine and method of producing inosine using the same
WO2011115439A2 (ko) 5&#39;-크산틸산 및 5&#39;-구아닐산 생산능이 향상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5&#39;-크산틸산 또는 5&#39;-구아닐산의 생산방법
WO2017034164A1 (ko) L-라이신 생산능을 가지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 생산방법
CN105980544B (zh) 生产l-氨基酸的微生物及使用所述微生物生产l-氨基酸的方法
KR100959662B1 (ko) 이노신 생산능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 및 이를이용한 이노신의 생산 방법
KR100977440B1 (ko) 코리네박테리움속 미생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유전자,이에 의해 형질전환된 이노신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속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이노신의 생산방법
KR100785248B1 (ko) purC 유전자가 과발현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5&#39;-이노신산의 생산방법
KR100547585B1 (ko)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5&#39;-이노신산의 제조방법
KR100964078B1 (ko) 5&#39;-이노신산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암모니아게네스 및 그를 이용한 5&#39;-이노신산 생산 방법
EP2837688A1 (en) Method for producing amino acid
KR100694427B1 (ko)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5&#39;-이노신산의제조 방법
KR100547586B1 (ko) ushA 유전자가 불활성화된 재조합 에스케리키아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5&#39;-구아닐산 합성효소를 배지 중에 축적시키는 방법
KR100789272B1 (ko)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
KR101049023B1 (ko) 5&#39;-이노신산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암모니아게네스 및 그를 이용한 5&#39;-이노신산의 생산방법
KR20100038639A (ko) 변형된 purC 유전자를 가진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이노신의 생산방법
KR20100088906A (ko) 향상된 이노신 생산성을 갖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이노신의 생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8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