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9272B1 -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272B1
KR100789272B1 KR1020050117269A KR20050117269A KR100789272B1 KR 100789272 B1 KR100789272 B1 KR 100789272B1 KR 1020050117269 A KR1020050117269 A KR 1020050117269A KR 20050117269 A KR20050117269 A KR 20050117269A KR 100789272 B1 KR100789272 B1 KR 100789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
lysine
ncgl2567
ncbi
corynebacteri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8259A (ko
Inventor
박영훈
임상조
나소연
Original Assignee
씨제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7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272B1/ko
Publication of KR20070058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2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4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 C12N15/77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for Corynebacterium; for Brevibacte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12P13/08Lysine; Diaminopimelic acid; Threonine; Val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 C12N2510/02Cells for prod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재적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가 불활성화되어 있고, 라이신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코리네박테리움, 라이신

Description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A microorganism of corynebacterium genus having enhanced L-lysine productivity and a method of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도 1은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 단편이 클로닝된 pCR-△2567 벡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CJP5113의 염색체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7 및 8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PCR 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 (Corynebacterium), 특히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Corynebacterium glutamicum)은 L-아미노산 생산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그람 양성의 미생물이다. L-아미노산, 특히 L-라이신은 동물사료, 사람의 의약품 및 약 제산업에 사용되고 있으며 코리네박테리움 균주의 발효에 의해 생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코리네박테리움 균주를 이용한 L-아미노산의 제법은 중요하기 때문에 그 제조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그 중에서 재조합 DNA 기술을 이용하여 특정유전자를 파괴시키거나 감쇠발현시킴으로써 L-아미노산 생산 코리네박테리움 균주를 개량하려는 연구가 있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6,872,553호에는 a) 포스포에놀피루베이트 (PEP) 카르복시키나제 (pck)를 코딩하는 DNA가 하나 이상의 염기쌍의 삽입에 의한 삽입 돌연변이, 하나 이상의 염기쌍의 결실을 갖는 결실 돌연변이, 및 넌센스 돌연변이의 삽입을 갖는 전이 (transition) 또는 전환 (transversion) 돌연변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돌연변이 방법 중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감쇄되어 있거나, 감쇄되지 않은 코리네박테리움에 비하여 상기 폴리펩티드의 활성이 감소된 코리네박테리움을 성장시키는 단계; b) 배지 또는 상기 박테리아의 세포 중에 원하는 L-아미노산 산물을 농축하는 단계; 및 c) 상기 L-아미노산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리네박테리움의 L-라이신을 발효에 의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L-아미노산 생합성에 관련된 유전자를 증폭시켜 L-아미노산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고 L-아미노산 생산 코리네박테리움 균주를 개량하려는 연구가 많이 있어 왔다 (Eggeling, Amino Acids 6, 261-272 (1994)). 또한, 다른 박테리아 유래의 외래 유전자를 도입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제7-121228호에는 미생물의 시트르산 신타제의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 정보를 갖는 DNA 단편과 벡터 DNA의 재조합체 DNA를 보유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또는 브레비박 테리움 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하고, 배양물 중에 L-글루타민산 및 L-프롤린산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방법에 의하더라도 여전히 L-라이신의 생산능이 향상된 균주는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L-라이신의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을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재적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가 불활성화되어 있고, 라이신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재적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에 내재적으로 존재하는 유전자로서, 전사조절인자로 알려져 있다. 상기 유전자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 13032의 게놈의 완전한 서열 분석으로부터 그 활성이 예측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 13032 균주 유래의 서열 번호 1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것뿐만 아니라, 코리네박테리움 속에 속하는 미생물에 존재하는 유전자로서 상기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 산물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산물을 발현하는 유전자를 말한 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이란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 산물과 동일한 종류의 활성 및 조절 기작을 갖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유전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재적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가 불활성화된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 13032, 코리네박테리움 써모아미노게네스 FERM BP-1539,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 10881, 및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 11001이 될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화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불활성화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불활성화란 상기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의 발현이 야생 균주에 비하여 낮은 수준으로 감소하거나 전혀 발현이 되지 않는 유전자 및 발현이 되더라도 그 활성이 없거나 감소되어 있는 유전자가 생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본 발명의 미생물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화는 상기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 내로 하나 이상의 염기쌍의 삽입에 의한 삽입 돌연변이, 상기 유전자 내의 하나 이상의 염기쌍의 결실을 갖는 결실 돌연변이, 및 상기 유전자 내의 넌센스 코돈을 도입시키는 염기쌍의 전이 (transition) 또는 전환 (transversion) 돌연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에 의하여 불활성화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본 발명의 미생물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화는 상기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의 일부분과 항생제 마커를 포함하는 벡터를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에 형질전환시키고, 상기 항생제의 존재하에서 배양하여 선발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벡터는 서열번호 2의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 단편을 포함하는 pCR-△2567 벡터이다. 상기 유전자의 일부 서열을 포함하는 벡터를 상기 미생물에 형질전환하고, 선발 마커 산물의 존재 하에서 배양하는 경우 상기 유전자의 일부 서열과 상기 미생물 내의 내재적 유전자와 상동 재조합을 일으킨다. 상기 상동 재조합에 의하여 상기 미생물 내의 상기 내재적 유전자는 재조합되고, 재조합된 유전자 중에서 상기 마커를 포함하는 재조합체만이 선발 마커에 의하여 선발되게 된다. 그 결과, 내재적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가 불활성화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본원의 균주를 얻는 방법은 이러한 상동 재조합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CJP5113 (KCCM-10704P)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미생물을 배양하여 배양물 또는 세포 중에 L-라이신을 생산하는 단계; 및
배양물로부터 L-라이신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배양은 당업계에 알 려진 임의의 배양 조건 및 배양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코리네박테리아 균주 배양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배지로는 예를 들면, Manual of Methods for General Bacteriology by the American Society for Bacteriology (Washington D.C., USA, 1981)에 개시된 배지가 사용될 수 있다. 배지 중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당원으로는 포도당, 사카로즈, 유당, 과당, 말토즈, 전분, 셀룰로즈와 같은 당 및 탄수화물, 대두유, 해바라기유, 피마자유, 코코넛유 등과 같은 오일 및 지방,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리놀레산과 같은 지방산, 글리세롤,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이 포함된다. 이들 물질은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질소원으로는 펩톤, 효모 추출물, 육즙, 맥아 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대두밀 및 요소 또는 무기 화합물, 예를 들면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질산암모늄이 포함된다. 질소원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인원으로는 인산이수소칼륨 또는 인산수소이칼륨 또는 상응하는 나트륨을 함유하는 염이 포함된다. 또한, 배양 배지는 성장에 필요한 황산마그네슘 또는 황산철과 같은 금속염을 함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물질에 더하여 아미노산 및 비타민과 같은 필수 성장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배양 배지에 적절한 전구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된 원료들은 배양과정에서 배양물에 적절한 방식에 의해 회분식으로 또는 연속식으로 첨가될 수 있다.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와 같은 기초 화합물 또는 인산 또는 황산과 같은 산 화합물을 적절한 방식으로 사용하여 배양물의 pH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와 같은 소포제를 사용하여 기포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호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배양물 내로 산소 또는 산소-함유 기체 (예, 공기)를 주입한다. 배양물의 온도는 보통 20 ℃ 내지 45 ℃, 바람직하게는 25 ℃ 내지 40 ℃이다. 배양 시간은 원하는 L-아미노산의 생성량이 얻어질 때까지 계속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60 시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배양은 배치 공정, 주입 배치 및 반복 주입 배치 공정과 같은 연속식 또는 회분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양은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임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L-아미노산은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및 후속으로 닌히드린 유도체화에 의하여 분리되고 분석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가 라이신 생산 균주가 라이신을 생합성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중의 내재적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를 불활성화시켜 라이신 생산량을 측정하였으며, 실제로 라이신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균주가 증가된 라이신 생합성 능력을 갖는 것은 다음과 같은 기작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특정한 기작에 의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장균의 아미노산, 단백질, 펩티드 등의 구성 물질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아미노산은 루신이다. 이 루신에 의해 세포 내의 아미노산 생합성에 관련된 신호를 인지하고, 그에 따라 대장균 유전자의 10%에 달하는 유전자들의 전사를 조절하는 루신 반응성 조절 단백질 (leucine responsive regulatory protein: lrp)이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lrp는 대사과정의 상위 조절인자로서, 아미노산 생합성과 분해, 필리 (pili) 합성, 대산 산물의 수송, 및 탄소 대사 과정 등에 관련하는 유전자와 오페론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olecular Microbiology, 48(2003), 287-294). 본 발명에서 불활성화된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는 상기 대장균의 lrp 단백질과 약 33%의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을 갖는 것으로,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는 라이신의 생합성에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과정의 상위 조절인자로서 기능할 것이라는 추정하였다. 따라서, 라이신의 생합성에 관련되는 상위 조절인자인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를 불활성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균주는 라이신 생합성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라이신의 존재하에서 발현이 유도되는 것으로 밝혀진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가 라이신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 13032의 내재적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를 불활성화시키고, 배양하여 라이신의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내재적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한 벡터 제작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의 일부 서열 및 항생제 마커를 포함하는 벡터를 제조하고, 이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 13032에 형질전환하고, 항생제의 존재하에서 배양하여 상동 재조합에 의하여 내재적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를 불활성화시켰다.
(1)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의 증폭
먼저, 서열번호 3과 4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로 하고,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 13032의 염색체 DNA를 주형으로 하여 PCR을 수행하여, 서열번호 1의 501bp의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를 증폭하였다. PCR은 변성 96℃에서 30초, 어닐링 48℃에서 30초, 중합 72℃에서 30초를 30회 반복하였다. 증폭된 산물을 TOPO 클로닝 키트 (Invitrogen 사, 미국)를 이용하여 대장균 플라스미드 pCR2.1 (Invitrogen 사, 미국)에 라이게이션하여 pCR-2567 벡터를 제작하였다.
(2)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의 단편 및 그를 포함하는 벡터의 제작
다음으로,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의 양끝 부위가 제거된 유전자 단편, 즉 14번 뉴클레오티드 내지 493 뉴클레오티드 영역인 △NCgl2567 단편을 제작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5와 6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를 설계하였다. 다음으로, 서열번호 5와 6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로 하고, 위에서 제작된 pCR-2567 벡터를 주형으로 한 PCR을 통하여 △NCgl2567 단편을 증폭하였다. PCR은 변성 96℃에서 30초, 어닐링 48℃에서 30초, 중합 72℃에서 30초를 30회 반복하였다. 증폭된 △NCgl2567 단편을 TOPO 클로닝 키트 (Invitrogen 사, 미국)를 이용하여 대장균 플라스미드 pCR2.1 (Invitrogen 사, 미국)에 라이게이션하여 pCR-△2567 벡터를 제작하였다.
도 1은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 단편이 클로닝된 pCR-△2567 벡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2: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 의 내재적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가 불활성된 L-라이신 생산균주 제작
Appl. Microbiol. Biotechnol.(1999) 52:541-545에 개시된 형질전환법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작한 pCR-△2567 플라스미드를 L-라이신 생산 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에 전기펄스법으로 형질전환하였다.
다음으로, 형질전환된 균주를 카나마이신 25mg/L를 함유한 선별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그 결과, 상동 재조합에 의한 교차 (cross-over)에 의하여 pCR-△2567 플라스미드가 게놈상으로 삽입되어 내재적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의 기능이 상실된 형질전환 균주를 획득하고, 이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CJP5113으로 명명하였다.
KFCC10881-CJP5113 균주를 확인하기 위해 균주 내 염색체를 주형으로 한 PCR을 통해서 변성 96 ℃에서 30초, 어닐링 48 ℃에서 30초, 중합 72 ℃에서 30초를 30 회 반복하였다. pCR2.1 (Invitrogen 사, 미국) 플라스미드 영역에 대한 서열번호 7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와 NCgl2567 유전자 영역에 대한 서열번호 8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를 프라이머로 사용하였으며, 상동 재조합에 의해 pCR-△2567 플라스미드가 게놈상으로 삽입된 균주만이 500 bp의 크기를 갖는 PCR 산물이 증폭되었다. 도 2는 코 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CJP5113의 염색체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7 및 8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PCR 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M은 크기 마커이며, 1, 5, 6, 7 및 8 레인은 KFCC10881-CJP5113에 대한 결과이며, 2, 3 및 4 레인은 pCR-△2567 플라스미드가 게놈상으로 삽입되지 않은 위 양성 KFCC10881-CJP5113에 대한 결과이며, 9 레인은 KFCC10881에 대한 결과이다.
실시예 3: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 - CJP5113 을 이용한 라이신 생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코리네박테리아 글루타니쿰 KFCC10881-CJP5113 균주를 배양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였다.
먼저, 하기의 종 배지 25 ml을 함유하는 250 ml 코너-바플 플라스크에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모균주 KFCC10881과 KFCC10881-CJP5113을 접종하고, 30 ℃에서 20 시간 동안 200 rpm으로 교반하면서 배양하였다. 얻어진 종 배양액 1 mL를 하기의 생산 배지 24 ml을 함유하는 250 ml 코너-바플 플라스크에 접종하고 30 ℃에서 120 시간 동안 200 rpm으로 교반하면서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HPLC (Waters 2478)에 의해 L-라이신의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 및 KFCC10881-CJP5113 균주의 상대적 L-라이신의 염산염의 생산량은 다음 표 1과 같았다.
표 1.
균주 상대적 라이신 생산량*
KFCC10881 100
KFCC10881-CJP5113 104.4
* 모균주인 KFCC10881의 생산량을 100으로 하였을 때의 상대적 생산량임.
종 배지 ( pH 7.0):
원당 20 g, 펩톤 10 g, 효모추출물 5 g, 요소 1.5 g, KH2PO4 4 g, K2HPO4 8 g, MgSO47H2O 0.5 g, 바이오틴 100㎍, 티아민 HCl 1000 ㎍, 칼슘-판토텐산 2000 ㎍, 니코틴아미드 2000 ㎍ (공정수 1 리터 기준)
생산 배지 ( pH 7.0):
원당 100 g, (NH4)2SO4 40 g, 대두 단백질 2.5g, 콘스팁 고체 (Corn Steep Solids) 5 g, 요소 3 g, KH2PO4 1 g, MgSO47 H2O 0.5 g, 바이오틴 100 ㎍, 티아민 염산염 1000 ㎍, 칼슘-판토텐산 2000 ㎍, 니코틴아미드 3000 ㎍, CaCO3 30 g (공정수 1리터 기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KFCC10881-CJP5113 균주는 모균주인 KFCC10881에 비하여 라이신 생산성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실시예에서 제작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CJP5113 균주를 부다페스트 조약에 따른 국제기탁기관인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05년 11월 16일자로 기탁하였다 (수탁번호 KCCM-10704P).
본 발명의 미생물에 의하면, 내재적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가 불활 성화되어 있어 L-라이신 생산 능력이 향상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L-라이신을 높은 생산성으로 생산할 수 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7)

  1. 서열 번호 1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내재적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가 불활성화되어 있고, 라이신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미생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화는 상기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 내로 하나 이상의 염기쌍의 삽입에 의한 삽입 돌연변이, 상기 유전자 내의 하나 이상의 염기쌍의 결실을 갖는 결실 돌연변이, 및 상기 유전자 내의 넌센스 코돈을 도입시키는 염기쌍의 전이 (transition) 또는 전환 (transversion) 돌연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에 의하여 불활성화된 미생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화는 상기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의 일부분과 항생제 마커를 포함하는 벡터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미생물에 형질전환시키고, 상기 항생제의 존재하에서 배양하여 선발되는 것인 미생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CBI 허가번호 NCgl2567 유전자의 일부분은 서열번호 2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것인 미생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0881-CJP5113 (KCCM-10704P).
  7.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미생물을 배양하여 배양물 또는 세포 중에 L-라이신을 생산하는 단계; 및
    배양물로부터 L-라이신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
KR1020050117269A 2005-12-03 2005-12-03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 Active KR100789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269A KR100789272B1 (ko) 2005-12-03 2005-12-03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269A KR100789272B1 (ko) 2005-12-03 2005-12-03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259A KR20070058259A (ko) 2007-06-08
KR100789272B1 true KR100789272B1 (ko) 2008-01-02

Family

ID=38355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269A Active KR100789272B1 (ko) 2005-12-03 2005-12-03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2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008B1 (ko) * 2013-10-15 2015-12-31 씨제이제일제당 (주) 생물막 형성 억제 활성을 가지는 유전자 및 이 유전자가 불활성화된 균주를 이용한 l-라이신 생산 방법
CN112877269B (zh) * 2020-01-15 2021-12-24 中国科学院天津工业生物技术研究所 生产赖氨酸的微生物以及赖氨酸的生产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2006B2 (en) 2000-08-10 2004-11-02 Degussa Ag Nucleotide sequences which code for the lysR3 gene
KR20050026032A (ko) * 2002-07-31 2005-03-14 데구사 아게 코리네포름 박테리아를 사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
US20050221454A1 (en) 2004-03-09 2005-10-06 Brigitte Bathe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amino acids using coryneform bacteri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2006B2 (en) 2000-08-10 2004-11-02 Degussa Ag Nucleotide sequences which code for the lysR3 gene
KR20050026032A (ko) * 2002-07-31 2005-03-14 데구사 아게 코리네포름 박테리아를 사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
US20050221454A1 (en) 2004-03-09 2005-10-06 Brigitte Bathe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amino acids using coryneform bacteria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ppl. Microbil. Biotechnol., vol.62(2-3), pp.99-109 (2003. 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259A (ko) 200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038B1 (ko)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그를 이용한 l-라이신 생산 방법
KR100838035B1 (ko)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그를 이용한 l-라이신 생산 방법
US7794990B2 (en) Microorganism of corynebacterium genus having enhanced L-lysine production 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KR100837844B1 (ko) L-글루탐산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 방법
US7575899B2 (en) Microorganism of the genus Corynebacterium having enhanced L-lysine productivity and method of producing L-lysine using the microorganism of the genus Corynebacterium
KR100924065B1 (ko)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아 및 그를 이용한 l-라이신 생산 방법
KR101835935B1 (ko) L-아르기닌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아르기닌의 제조 방법
KR20130082124A (ko) 자일로즈 이용능이 부여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방법
WO2017034165A1 (ko) L-라이신 생산능을 가지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 생산방법
KR101565770B1 (ko)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
WO2017034164A1 (ko) L-라이신 생산능을 가지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 생산방법
EP3119875B1 (en) Microorganisms producing l-amino acids and process for producing l-amino acids using the same
KR100564805B1 (ko) 프락토키나제 유전자에 의하여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움종 및 그를 이용한 l-라이신의 제조방법
KR100789272B1 (ko)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
KR100628394B1 (ko) 코리네박테리움의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레이즈 유전자의결실을 통한 알라닌 요구주의 제작 및 이를 이용한엘-라이신의 생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