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6872B1 -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872B1
KR100896872B1 KR1020077009210A KR20077009210A KR100896872B1 KR 100896872 B1 KR100896872 B1 KR 100896872B1 KR 1020077009210 A KR1020077009210 A KR 1020077009210A KR 20077009210 A KR20077009210 A KR 20077009210A KR 100896872 B1 KR100896872 B1 KR 100896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floor
fire
evacu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7166A (ko
Inventor
쿠니카즈 코우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7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3Other aspects of the evaluation method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운행 제어 수단은 건물내에서의 화재시에, 엘리베이터 칸내 상황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내의 이용자의 승차 상황에 따라서, 비화재 발생층으로부터의 호출 등록에 응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배차하거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층으로 직행시키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법{ELEVATOR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ELEVATOR}
본 발명은 건물내에서의 화재시에 운행 제어를 전환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장치에서는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운행 제어 모드가 통상 모드에서 화재 관제 운행 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화재 관제 운행 모드에 의한 운행 제어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자동적으로 피난층에 귀착되는 동시에, 이용자의 조작에 의한 호출 등록이 무효로 되어서 엘리베이터 칸의 운행이 정지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10-182029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 장치에서는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운행이 피난층에서 정지되어 버리므로, 예를 들면 휠체어 이용자나 고령자 등의 이동이 곤란해져서, 구급대가 건물에 도착해도 이들 이용자를 즉시 건물밖으로 피난시키지 못하여 구출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이용자의 구출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내의 이용자의 승차 상황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내 상황 검출 수단, 및 건물내에서의 화재시에 엘리베이터 칸내 상황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내의 이용자의 승차 상황에 따라서, 비화재 발생층으로부터의 호출 등록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배차하거나,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층으로 직행시키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운행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법은 건물내에서의 화재시에 엘리베이터 칸내의 이용자의 승차 상황을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의 이용자의 승차 상황에 따라서, 비화재 발생층으로부터의 호출 등록에 응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배차하거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층으로 직행시키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2의 R0M에 등록되어 있는 피난층 우선순위 정보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도 2의 제어 장치 본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운행 제어 수단이 실시하는 운행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의 상부에는 구동 시브(sheave)(1) 및 모터(2)를 가지는 구동 장치(3)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 시브(1)에는 복수 라인의 메인 로프(5)가 감겨져 있다. 승강로내에는 엘리베이터 칸(8) 및 균형추(9)가 메인 로프(5)에 의하여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8) 및 균형추(9)는 모터(2)의 구동력에 의하여 승강된다.
모터(2)에는 모터(2)의 회전축의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한 인코더(12)가 장착되어 있다. 인코더(12)의 신호는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15)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6)에 입력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6)는 게이트 신호 발생 회로(18) 및 파워 회로(19)를 통하여 모터(2)에 접속되어 있다. 게이트 신호 발생 회로(18)에는 전원(20)이 접속되어 있다. 구동 장치(3)의 동작은 게이트 신호 발생 회로(18) 및 파워 회로(19)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6)에 의하여 제어된다.
각 승강장(landing)층에는 승강장 알림 장치인 승강장 아나운스 장치(25) 및 승강장 표시 장치(27)와, 복수의 화재 감지기(29)와, 승강장 버튼 장치(28)와, 승강장 제어 장치(30)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승강장 아나운스 장치(25)와, 승강장 표시 장치(27)와, 승강장 버튼 장치(28)와, 화재 감지기(29)는 승강장 제어 장치(30)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장 제어 장치(30)는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15)의 전송 인터페이스(31)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6)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장 아나운스 장치(25)는 승강장에 있는 이용자에 대하여 메세지를 알리기 위한 것이다. 승강장 표시 장치(27)는 이용자에 대한 메세지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승강장 제어 장치(30)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6)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승강장 아나운스 장치(25) 및 승강장 표시 장치(27)의 동작을 제어한다.
화재 감지기(29)는 승강장층에서의 화재를 검출한다. 화재 감지기(29)가 발하는 신호는 승강장 제어 장치(30) 및 전송 인터페이스(31)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6)에 입력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6)는 화재 감지기(29)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승강장층에서의 화재 발생과 그 발생 장소를 검출한다.
승강장 버튼 장치(28)는 호출 등록하기 위한 것이다. 승강장 버튼 장치(28)로부터의 호출 등록은 승강장 제어 장치(30) 및 전송 인터페이스(31)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6)에 입력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6)는 승강장 버튼 장치(28)로부터의 호출 등록이 입력되면, 그 호출 등록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8)을 배차한다.
엘리베이터 칸(8)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34)와, 엘리베이터 칸내 아나운스 장치(35)와,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36)와, 엘리베이터 칸내 카메라(37)와, 저울 장치(38)가 탑재되어 있다. 이들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34)와, 엘리베이터 칸내 아나운스 장치(35)와,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36) 와, 엘리베이터 칸내 카메라(37)와, 저울 장치(38)는 전송 인터페이스(31)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6)에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34)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6)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 도어(도시하지 않음)의 개폐 동작을 제어한다. 엘리베이터 칸내 아나운스 장치(35)는 엘리베이터 칸(8)에 올라타 있는 이용자에 대하여 메세지를 알리기 위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36)는 엘리베이터 칸(8)내의 이용자에 대한 메세지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칸내 아나운스 장치(35) 및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36)의 동작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6)에 의하여 제어된다.
엘리베이터 칸내 카메라(37)는 엘리베이터 칸(8)내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화상(image)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저울 장치(38)는 엘리베이터 칸(8)내의 부하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6)는 엘리베이터 칸내 카메라(37) 및 저울 장치(38)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8)의 이용자의 승차 상황을 검출한다.
다음에,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6)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6)는 제어 장치 본체(39)와, 펄스 카운트 유닛(49)과, PWM 유닛(50)을 가지고 있는 컴퓨터이다. 제어 장치 본체(39)는 중앙 처리 장치인 CPU(41)와, 기억 장치인 ROM(40)과, RAM(43)과, 2 포트 RAM(46)을 가지고 있다. ROM(40)에는 프로그램 등의 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CPU(41)는 ROM(40)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각종 연산 처리를 실시한다. RAM(43)에는 CPU(41)의 연산 데이터 등의 정보가 격납된다.
2 포트 RAM(46)에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6)와 전송 인터페이스(31)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된 데이터가 격납된다. 즉, 2 포트 RAM(46)에는 승강장 버튼 장치(28)로부터의 호출 등록 데이터와, 화재 감지기(29)로부터의 화재 발생 데이터와, 엘리베이터 칸내 카메라(37)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와, 저울 장치(38)로부터의 부하 검출 데이터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34), 아나운스 장치(25, 35), 및 표시 장치(27, 36)에 대한 지령 데이터가 격납된다.
펄스 카운트 유닛(49)은 인코더(12)로부터의 펄스 출력을 카운트한다. 제어 장치 본체(39)는 펄스 카운트 유닛(49)에 의하여 카운트된 계수값에 근거하여 모터(2)의 회전축의 회전 속도(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 속도) 및 엘리베이터 칸(8)의 위치를 구한다. 승강장 버튼 장치(28)로부터의 호출 등록 데이터가 2 포트 RAM(46)에 입력되면, 제어 장치 본체(39)는 그 호출 등록에 따라서, ROM(40)에 격납된 소정의 속도 패턴(속도 지령)을 읽어들인다. 또, 제어 장치 본체(39)는 각 엘리베이터 칸(8)의 위치에서의 속도 패턴에 따르도록, 속도 패턴 지령값을 PWM 유닛(50)에 입력한다. PWM 유닛(50)은 그 속도 패턴 지령값에 근거하여 게이트 신호 발생 회로(18)에 펄스폭 변조 신호를 입력한다. 게이트 신호 발생 회로(18)는 입력된 펄스폭 변조 신호에 근거하여 게이트 신호를 파워 회로(19)에 입력한다. 파워 회로(19)는 입력된 게이트 신호에 따른 스위칭 동작을 실시하고, 전원(20)으로부터 모터(2)에 공급되는 전력을 변조한다. 모터(2)의 회전축의 회전 속도, 즉 엘리베이터 칸(8)의 이동 속도는 모터(2)에 공급된 전력에 따라서 변화된다.
또, 제어 장치 본체(39)는 화재 발생 데이터, 화상 데이터, 및 부하 검출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재 발생시 운행 제어를 실시한다. 즉, 제어 장치 본체(39)는 건물내에서의 화재시에,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8)을 이용하여 소정의 피난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칸(8)의 운행을 제어한다. ROM(40)에는 피난층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피난층 우선순위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다음에, 도 3은 도 2의 ROM(40)에 등록되어 있는 피난층 우선순위 정보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여기서, 이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빌딩의 구조는 8 층 건물로 한다. 빌딩의 각 층은 제 1 ~ 3의 피난층과 비피난층으로 나누어져 있다. 제 1의 피난층은 이용자가 건물밖으로 가장 용이하게 피난하기 쉽다고 간주되는 1 층(로비층)이다. 제 2의 피난층은 옥상 및 옥상층으로 탈출 가능하고, 예를 들면 헬리콥터 등으로의 구출이 가능하다고 간주되는 8 층이다. 제 3의 피난층은 소방차 등의 사다리차로 구출 가능하다고 간주되는 2 ~ 4 층이다. 비피난층은 제 1 ~ 3의 피난층 이외의 층이다. 이용자의 피난처로서 설정되는 우선순위는 제 1의 피난층, 제 2의 피난층, 제 3의 피난층, 및 비피난층의 순서로 설정되어 있다. 즉, 피난층의 우선순위는 건물밖으로의 이동(이용자 구출)이 보다 용이하다고 간주되는 순서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도 4는 도 2의 제어 장치 본체(39)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어 장치 본체(39)에는 도어 개폐 제어 수단(60), 운행 제어 수단(61), 승강장 제어 검출 수단(64), 알림 수단(65), 엘리베이터 칸내 상황 검출 수단(66), 화재 발생층 기억 수단(69), 및 피난층 우선순위 기억 수단(70)이 설치되어 있다.
도어 개폐 제어 수단(60)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34) 및 운행 제어 수단(61)으로부터의 개폐 요구 신호에 따라서, 도어 열림 지령 및 도어 닫힘 지령을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34)에 대하여 출력한다. 승강장 제어 검출 수단(64)은 승강장 제어 장치(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승강장 버튼 장치(28)의 조작에 의한 호출 등록을 검출한다. 운행 제어 수단(61)은 승강장 제어 검출 수단(64)이 검출한 호출 등록에 따라서 구동 장치(3)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운행 제어 수단(61)은 엘리베이터 칸(8)의 운행을 제어한다.
알림 수단(65)에는 아나운스 발보(發報) 수단(65a)과 표시기 표시 수단(65b)이 포함되어 있다. 아나운스 발보 수단(65a)은 운행 제어 수단(61)으로부터의 아나운스 사운딩(sounding) 지령에 따라서, 승강장 제어 장치(30)를 통하여 승강장 아나운스 장치(25) 및 엘리베이터 칸내 아나운스 장치(35)에 대하여 아나운스 정보를 출력한다. 표시기 표시 수단(65b)은 운행 제어 수단(61)으로부터의 표시 출력 지령에 따라서 승강장 표시 장치(27) 및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36)에 대하여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엘리베이터 칸내 상황 검출 수단(66)에는 엘리베이터 칸내 부하 검출 수단(66a)과, 엘리베이터 칸내 화상 검출 수단(66b)이 포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내 부하 검출 수단(66a)은 저울 장치(38)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8)내의 부하를 검출한다. 또, 엘리베이터 칸내 부하 검출 수단(66a)은 엘리베이터 칸(8)내의 부하가 소정값(예를 들면 30kg)에 이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 엘리베이터 칸내 부하 검출 수단(66a)은 엘리베이터 칸(8)내의 부하가 소정값 에 이르고 있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8)내에 이용자가 있다고 판정한다. 엘리베이터 칸내 화상 검출 수단(66b)은 엘리베이터 칸내 카메라(37)로부터의 화상을 해석하여 엘리베이터 칸(8)내에 이용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엘리베이터 칸내 상황 검출 수단(66)은 엘리베이터 칸내 카메라(37) 및 저울 장치(38)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8)내의 이용자의 승차 상황을 검출한다.
화재 발생층 기억 수단(69)은 화재 감지기(29)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층계 및 장소를 검출한다. 또, 화재 발생층 기억 수단(69)은 화재가 발생하고, 엘리베이터 칸(8)의 이용이 곤란하게 되어 있는 층계를 나타내는 화재 발생층 정보를 기억한다. 피난층 우선순위 기억 수단(70)은 도 3에 나타내는 피난층 우선순위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운행 제어 수단(61)은 화재 감지기(29)에 의하여 빌딩내의 화재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내 부하 검출 수단(66a), 엘리베이터 칸내 화상 검출 수단(66b), 및 승강장 제어 검출 수단(64)이 검출한 정보와, 화재 발생층 기억 수단(69) 및 피난층 우선순위 기억 수단(70)이 기억하고 있는 정보에 근거하여 화재 발생시 운행 제어(구출 운전 제어)를 실시한다. 이하, 운행 제어 수단(61)의 화재 발생시 운행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운행 제어 수단(61)은 화재 발생층의 승강장을 사용 금지 상태로 한다. 구체적으로, 운행 제어 수단(61)은 화재가 발생하고 있다는 취지와, 승강장이 사용 금지 상태로 되어 있다는 취지를 화재 발생층의 승강장 아나운스 장치(25) 및 승강장 표시 장치(27)에 알리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8)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 터(indicator)(도시하지 않음)를 소등시키고, 화재 발생층으로부터의 호출 등록을 무효로 한다. 또, 운행 제어 수단(61)은 비화재 발생층의 승강장 아나운스 장치(25) 및 승강장 표시 장치(27)에 구출 운전중임을 알린다. 또한, 구출 운전중임을 엘리베이터 칸내 아나운스 장치(35) 및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36)에 알린다.
또, 운행 제어 수단(61)은 화재의 발생 장소와 피난층 우선순위 정보에 근거하여 이용자의 피난처를 제 1 ~ 제 3의 피난층 및 비피난층으로부터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운행 제어 수단(61)은 제 1 ~ 제 3의 피난층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차례로 판정하고, 제 1 ~ 제 3의 피난층 중 적어도 하나가 화재 미발생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보다 우선순위가 높으면서 화재 미발생인 제 1 ~ 제 3의 피난층을 피난처로 한다.
또, 운행 제어 수단(61)은 엘리베이터 칸내 상황 검출 수단(66)에 의하여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8)내의 이용자의 승차 상황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8)을 피난층으로 직행시키거나, 비화재 발생층으로부터의 호출 등록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 칸(8)을 배차시키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운행 제어 수단(61)은 엘리베이터 칸내 상황 검출 수단(66)에 의하여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8)내의 이용자의 승차 상황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8)내의 이용자의 유무를 판정한다. 또, 운행 제어 수단(61)은 엘리베이터 칸(8) 내가 무인(無人)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결정된 피난층으로부터 보다 먼 비화재 발생층으로부터의 호출 등록에 우선적으로 응답하여 엘리베이터 칸(8)을 배차한다. 또, 운행 제어 수단(61)은 엘리베이터 칸내 부하 검출 수단(66a)과 엘리베이터 칸내 화상 검출 수단(66b)의 양쪽이 이용자를 검출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8)내에 이용자가 없다고 판정한다.
또, 운행 제어 수단(61)은 엘리베이터 칸(8)내에 이용자가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엘리베이터 칸내 상황 검출 수단(66)에 의하여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8)내의 이용자의 승차 상황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8)내에 이용자가 추가로 올라탈 여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 운행 제어 수단(61)은 엘리베이터 칸(8)내에 이용자가 추가로 올라탈 여지가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피난층으로 향하는 도중의 비화재 발생층으로부터의 호출 등록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 칸(8)을 차례로 배차한다. 즉, 운행 제어 수단(61)은 피난층으로 향하는 도중의 비화재 발생층에 차례로 착상시키면서, 엘리베이터 칸(8)을 피난층으로 향하게 한다. 또한, 운행 제어 수단(61)은 엘리베이터 칸(8)내가 만원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엘리베이터 칸(8)을 피난층으로 직행시킨다. 또, 운행 제어 수단(61)은 엘리베이터 칸내 부하 검출 수단(66a)과 엘리베이터 칸내 화상 검출 수단(66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용자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8)내에 이용자가 있다고 판정한다.
또, 운행 제어 수단(61)은 엘리베이터 칸(8)을 피난층에 귀착하도록 했을 때에 모든 제 1 ~ 3의 피난층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 소화 활동 종료후의 구출 활동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동작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운행 제어 수단(61)은 화재가 발생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보다 아래쪽의 비피난층에 엘리베이터 칸(8)을 귀착시키는 동시에, 도어 닫힘 상태인 채로 그 비피난층에서 엘리베이 터 칸(8)을 대기시킨다. 즉, 운행 제어 수단(61)은 화재가 발생하고 있지 않는 층에 엘리베이터 칸(8)을 귀착시키는 동시에, 도어 개폐 제어 수단(60)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도어 제어 장치(34)로의 도어 열림 지령의 출력을 규제한다. 또, 승강장에는 차연(遮煙)ㆍ차염(遮炎) 성능이 높은 승강장 도어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ㆍ운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운행 제어 수단(61)이 실시하는 운행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면에 있어서, 우선 화재 감지기(29)로부터의 화재 발생 신호가 검출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단계 S1), 화재 발생 신호가 검출되어 있지 않으면, 통상의 운전 동작(서비스)이 계속된다(단계 S2).
이것에 대해서, 화재 발생 신호가 검출되고 있는 경우, 화재 발생층의 승강장이 사용 금지 상태로 된다(단계 S3). 구체적으로, 그 층으로부터의 호출 등록이 무효로 되는 동시에, 그 층에 배치된 인디케이터가 소등되고, 화재 발생층의 승강장 아나운스 장치(25) 및 승강장 표시 장치(27)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하고 있다는 취지와 승강장이 사용 금지 상태로 되어 있다는 취지가 알려진다. 이것과 함께, 비화재 발생층의 승강장 아나운스 장치(25) 및 승강장 표시 장치(27)에 대하여 아나운스 정보 및 표시 정보가 출력되고, 이들 승강장 아나운스 장치(25) 및 승강장 표시 장치(27)에 의해 구출 운전중이라는 것이 알려진다(단계 S4).
그 다음에, 화재의 발생 상황과 피난층 우선순위 정보에 근거하여 피난처가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우선 제 1의 피난층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단계 S5), 발생하고 있지 않으면 피난처가 제 1의 피난층으로 결정된다(단계 S6). 이것에 대해서, 제 1의 피난층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에 제 2의 피난층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단계 S7), 제 2의 피난층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있지 않으면 피난처가 제 2의 피난층으로 결정되고(단계 S8), 제 2의 피난층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에 제 3의 피난층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단계 S9), 제 3의 피난층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있지 않으면, 피난처가 제 3의 피난층으로 결정된다(단계 S10).
피난처가 결정되면, 엘리베이터 칸(8)내에 이용자가 있는지의 여부가 엘리베이터 칸내 상황 검출 수단(66)에 의하여 검출된 승차 상황에 근거하여 판정되고(단계 S11), 엘리베이터 칸(8)내가 무인이라고 판정되면, 피난처로부터 보다 먼 층으로부터의 호출 등록에 우선적으로 응답하여 엘리베이터 칸(8)이 배차된다(단계 S12).
한편, 피난처가 결정된 후에 엘리베이터 칸(8)내에 이용자가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및 비화재 발생층에 엘리베이터 칸(8)이 배차된 후에 엘리베이터 칸(8)내에 이용자가 있으면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내 아나운스 장치(35) 및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36)에 대하여 아나운스 정보 및 표시 정보가 출력되고, 이들 엘리베이터 칸내 아나운스 장치(35) 및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36)에 의하여 구출 운전중이라는 것이 엘리베이터 칸(8)내에서 알려진다(단계 S13).
다음에, 엘리베이터 칸(8)내에 이용자가 추가로 올라탈 여지가 있는지의 여부가 엘리베이터 칸내 상황 검출 수단(66)에 의하여 검출된 승차 상황에 근거하여 판정되고(단계 S14), 엘리베이터 칸(8)내에 이용자가 추가로 올라탈 여지가 있다고 판정되면, 결정된 피난처로 향하는 도중의 비화재 발생층으로부터의 호출 등록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 칸(8)이 배차되고(단계 S15), 엘리베이터 칸(8)내가 만원 상태이라고 판정되면, 엘리베이터 칸(8)이 피난처로 직행된다(단계 S16).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8)이 제 1 ~ 제 3의 피난층에 귀착되면(단계 S17), 화재 발생 신호가 검출되는지의 여부가 재차 판정된다.
이것에 대해서, 피난처가 결정되게 했을 때에, 제 1 ~ 제 3의 피난층의 모든 피난층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소화 활동 종료후의 구출 활동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동작을 한다. 즉, 엘리베이터 칸내 아나운스 장치(35) 및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36)에 대하여 아나운스 정보 및 표시 정보가 출력되고, 그것들 엘리베이터 칸내 아나운스 장치(35) 및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36)에 의하여, 구출 운전중이라는 것이 알려지는 동시에(단계 S18), 예를 들면 「잠시 기다려 주세요」 등의 대기 지시 정보가 엘리베이터 칸(8)내에 알려진다(단계 S19). 이것과 함께, 화재가 발생하고 있지 않는 비피난층 중에서 가장 아래쪽의 비피난층에 엘리베이터 칸(8)을 귀착시키고(단계 S20), 그 비피난층에서 엘리베이터 칸(8)은 도어를 닫고 대기시킨다(단계 S21).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6)에서 운행 제어 수단(61)은 건물내에서의 화재시에, 엘리베이터 칸내 상황 검출 수단(66)에 의하여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8)내의 이용자의 승차 상황에 따라서, 비화재 발생층으로부터의 호출 등록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 칸(8)을 배차하거나, 엘리베이터 칸(8)을 피난층으로 직행시키 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하므로, 보다 많은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8)을 이용하여 피난층에 이동할 수 있고, 이용자의 구출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운행 제어 수단(61)은 건물내에서의 화재시에, 엘리베이터 칸내 상황 검출 수단(66)에 의하여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8)내의 이용자의 승차 상황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8)내에 이용자가 추가로 올라탈 여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엘리베이터 칸(8)내에 이용자가 추가로 올라탈 여지가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피난층으로 향하는 도중의 비화재 발생층으로부터의 호출 등록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 칸(8)을 배차하고, 엘리에이터 칸(8)내가 만원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엘리베이터 칸(8)을 피난층으로 직행시키므로, 구출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8)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용자의 구출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운행 제어 수단(61)은 건물내에서의 화재시에, 엘리베이터 칸내 상황 검출 수단(66)에 의하여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8)내의 이용자의 승차 상황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8)내의 이용자의 유무를 판단하고, 엘리베이터 칸(8)내가 무인이면, 피난층으로부터 보다 먼 비화재 발생층으로부터의 호출 등록에 우선적으로 응답하여 엘리베이터 칸(8)을 배차하므로, 건물밖으로의 이동이 보다 곤란하다고 간주되는 층의 이용자를 우선적으로 구출할 수 있고, 이용자의 구출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운행 제어 수단(61)은 엘리베이터 칸(8)을 피난층에 귀착시키도록 했을 때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피난층 우선순위 정보와, 화재의 발생 장소에 근거하여 피난층을 결정하므로, 화재의 진전 상태로 따라서 피난처를 변경할 수 있는 동시 에, 이용자를 비화재 발생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용자의 구출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운행 제어 수단(61)은 엘리베이터 칸(8)을 피난층에 귀착시키도록 했을 때에 모든 피난층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 보다 아래쪽이면서 화재 미발생인 비피난층에 엘리베이터 칸(8)을 귀착시키는 동시에, 도어 닫힘 상태인 채로 엘리베이터 칸(8)을 대기시키므로, 이용자를 화염 및 연기로부터 보다 멀리할 수 있는 동시에, 소화 활동 후에 이용자를 즉시 피난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용자의 구출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피난층 우선순위 정보는 층마다의 구출 난이도에 근거하여 설정되어 있으므로, 만일 제 1의 피난층(로비층)에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해도, 다음에 구출이 용이하다고 간주되는 제 2의 피난층으로 이용자를 이동시킬 수 있고, 예를 들면 소방원 등의 구출자의 구출 활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용자의 구출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운행 제어 수단(61)은 건물내에서의 화재시에,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층으로부터의 호출 등록을 무효로 하는 동시에, 호출 등록이 무효로 되어 있음을, 그 층의 승강장에 배치된 승강장 아나운스 장치(25)와 승강장 표시 장치(27)에 알리므로, 화재 발생층에 있는 이용자에게 엘리베이터 장치 이용 이외 방법으로의 피난을 재촉할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8)이 화재 발생층에 귀착될 가능성을 감소킬 수 있고, 이용자의 구출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은 8 층 건물 로 설명하였으나 건물의 구조는 임의이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헬리콥터로의 구출이 가능한 8 층을 제 2의 피난층으로 한다고 설명하였으나, 피난층 우선순위 정보는 층마다의 구출 난이도에 근거하여 설정되면 된다. 예를 들면, 건물의 구조상 헬리콥터로의 구출이 곤란한 경우에는 사다리차로의 구출이 가능하다라고 생각되는 층을 제 2의 피난층으로 해도 된다. 또, 근처 건물과의 연락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층의 우선순위를 보다 높여도 된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6)는 엘리베이터 칸(8)내에 이용자가 타고 있는지의 여부를, 저울 장치(38) 및 엘리베이터 칸내 카메라(37) 양쪽의 신호에 근거하여 판정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저울 장치 및 엘리베이터 칸내 카메라 중 어느 하나만으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8)내에 이용자가 타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6)는 건물내에서의 화재시에, 엘리베이터 칸(8)내에 이용자가 추가로 올라탈 여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엘리베이터 칸(8)내가 만차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8)을 피난층으로 직행시킨다고 설명하였으나, 엘리베이터 칸(8)내에 이용자가 혼자라도 타고 있으면,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층으로 직행시켜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내에서의 화재시에 운행 제어를 전환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엘리베이터 칸내의 이용자의 승차 상황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내 상황 검출 수단, 및
    건물내에서의 화재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 상황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의 이용자의 승차 상황에 따라서, 비화재 발생층으로부터의 호출 등록에 응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배차하거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층으로 직행시키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운행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건물의 층에는 적어도 하나의 비피난층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운행 제어 수단은 건물내에서의 화재시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피난층 우선순위 정보와 화재의 발생 장소에 근거하여 피난층을 결정하는 동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층에 귀착시키게 했을 때에 모든 피난층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 보다 아래쪽이면서 화재 미발생인 비피난층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귀착시키고, 도어 닫힘 상태인 채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대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제어 수단은 건물내에서의 화재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 상황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의 이용자의 승차 상황에 근거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에 이용자가 추가로 올라탈 여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에 이용자가 추가로 올라탈 여지가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 피난층으로 향하는 도중의 비화재 발생층으로부터의 호출 등록에 응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배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가 만원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층으로 직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제어 수단은 건물내에서의 화재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 상황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의 이용자의 승차 상황에 근거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의 이용자의 유무를 판정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가 무인(無人)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피난층으로부터 보다 먼 비화재 발생층으로부터의 호출 등록에 우선적으로 응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배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층 우선순위 정보는 층마다의 구출 난이도에 근거하여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제어 수단은 건물내에서의 화재시에,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층으로부터의 호출 등록을 무효로 하는 동시에, 호출 등록이 무효로 되어 있음을, 그 층의 승강장(landing)에 배치된 승강장 알림 장치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8. 건물내에서의 화재시에, 엘리베이터 칸내의 이용자의 승차 상황을 판정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의 이용자의 승차 상황에 따라서, 비화재 발생층으로부터의 호출 등록에 응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배차하거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층으로 직행시키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단계,
    건물내에서의 화재시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피난층 우선순위 정보와 화재의 발생 장소에 근거하여 피난층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층에 귀착시키게 했을 때에 모든 피난층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 보다 아래쪽이면서 화재 미발생인 비피난층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귀착시키고, 도어 닫힘 상태인 채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대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법.
KR1020077009210A 2005-09-27 2006-05-01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법 KR100896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80037 2005-09-27
JP2005280037A JP5025933B2 (ja) 2005-09-27 2005-09-27 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運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166A KR20070067166A (ko) 2007-06-27
KR100896872B1 true KR100896872B1 (ko) 2009-05-12

Family

ID=3789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210A KR100896872B1 (ko) 2005-09-27 2006-05-01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30279B1 (ko)
JP (1) JP5025933B2 (ko)
KR (1) KR100896872B1 (ko)
CN (1) CN101061052B (ko)
WO (1) WO2007037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1684B2 (ja) * 2008-04-25 2010-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避難経路取得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避難経路取得方法、避難経路取得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2282089B (zh) * 2009-01-19 2013-08-2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系统
JP2011046494A (ja) * 2009-08-27 2011-03-1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550334B2 (ja) * 2009-12-29 2014-07-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1140381A (ja) * 2010-01-07 2011-07-21 Toshiba Elevator Co Ltd 火災時避難運転用機能を備える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01366955B1 (ko) * 2010-03-12 2014-02-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안전 제어 장치
EP2557062A1 (en) * 2010-04-05 2013-02-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2012046319A (ja) * 2010-08-26 2012-03-0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5704685B2 (ja) * 2010-09-08 2015-04-2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避難運転システム
JP5615104B2 (ja) * 2010-09-08 2014-10-2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5743321B2 (ja) * 2011-03-23 2015-07-0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2218820A (ja) * 2011-04-04 2012-11-1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JP5586785B2 (ja) * 2011-06-30 2014-09-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6117358B2 (ja) 2013-09-17 2017-04-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4891281A (zh) * 2015-06-05 2015-09-09 苏州德朗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型电梯门禁系统
EP3190077A1 (en) * 2016-01-11 2017-07-12 Inventio AG Elevator control in case of fire
CN106276448B (zh) * 2016-08-16 2019-08-23 日立电梯(上海)有限公司 消防电梯外召系统及外召反应方法
US10294075B2 (en) 2016-09-30 2019-05-21 Otis Elevator Company Re-dispatching unoccupied elevator car for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CN110418759B (zh) * 2017-03-23 2020-10-02 三菱电机株式会社 位置检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5759U (ko) * 1986-09-09 1988-03-28
JPH10182029A (ja) * 1996-12-25 1998-07-07 Toshiba Elevator Kk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3276964A (ja) * 2002-03-25 2003-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火災時救出運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9607A (en) * 1998-03-31 1999-11-09 Allen; Thomas H. Multiple level building with an elevator system operable as a means of emergency egress and evacuation during a fire incid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5759U (ko) * 1986-09-09 1988-03-28
JPH10182029A (ja) * 1996-12-25 1998-07-07 Toshiba Elevator Kk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3276964A (ja) * 2002-03-25 2003-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火災時救出運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25933B2 (ja) 2012-09-12
CN101061052A (zh) 2007-10-24
EP1930279B1 (en) 2015-10-28
KR20070067166A (ko) 2007-06-27
CN101061052B (zh) 2010-05-19
WO2007037031A1 (ja) 2007-04-05
EP1930279A1 (en) 2008-06-11
EP1930279A4 (en) 2013-01-23
JP2007091379A (ja) 200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872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법
KR100989268B1 (ko)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JP7360569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WO2012026015A1 (ja) エレベーターのモニター制御装置
JP6912427B2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及び乗りかご移動制御方法
JP2013154978A (ja) 災害発生時に乗場情報を乗りかご内に伝達する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3276964A (ja) エレベータの火災時救出運転装置
KR20140018344A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3648951B (zh) 电梯装置
JP459318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3103774A (ja) エレベータ
KR101935639B1 (ko) 엘리베이터의 자동 구출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114859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6304446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CN110785366B (zh) 电梯控制装置、电梯以及电梯控制方法
JP2004359405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遠隔救出方法
JP200333546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7308220A (ja) エレベータ
JP2008074508A (ja)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装置
JP4799024B2 (ja) エレベータ
JP2012046339A (ja) エレベータの避難運転システム
JP2019142698A (ja) エレベータ
JP2005335826A (ja) エレベータの防犯装置
JP2019142700A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