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9268B1 -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268B1
KR100989268B1 KR1020087010197A KR20087010197A KR100989268B1 KR 100989268 B1 KR100989268 B1 KR 100989268B1 KR 1020087010197 A KR1020087010197 A KR 1020087010197A KR 20087010197 A KR20087010197 A KR 20087010197A KR 100989268 B1 KR100989268 B1 KR 100989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floor
elevator
rescue
ar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0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6251A (ko
Inventor
키요지 카와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6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26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건물에는 엘리베이터와 피난 계단이 마련되어 있다. 각 층은 엘리베이터가 마련된 엘리베이터 영역과, 피난 계단이 마련된 계단 영역오로 구분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소정의 서비스층을 구출층으로 하고, 재관자를 구출층으로부터 피난층으로 운반하도록 엘리베이터 운전을 관리한다. 구출층에서는 엘리베이터 영역의 혼잡 유무가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다. 건물내에는 계단 영역으로부터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으로 재관자의 진입 가부를 나타내는 진입 가부 정보를 재관자에게 알리는 피난 유도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는 피난시 관리 장치에 전송된다. 피난시 관리 장치는 구출층으로부터 피난층으로의 운반 가부를 판정하는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와,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 및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피난 유도 장치를 제어하는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EVACUATION ASSISTANCE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건물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건물내에 남겨진 재관자(在館者)를 피난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이 마련된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을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는 관제(管制) 운전을 각 엘리베이터 그룹에서 개별적으로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각 엘리베이터 그룹에는 화재 발생층에 기초하여 관제 운전을 개시하기 위한 우선 순위가 설정된다. 관제 운전은 설정된 우선 순위가 높은 엘리베이터 그룹의 순으로 개시된다. 이것에 의해, 화재의 영향이 적은 엘리베이터 그룹의 통상 운전의 계속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l : 일본 특개평 5-8954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나타난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식에서는 일부의 엘리베이터 그룹의 통상 운전의 계속 시간을 연장할 수 있을 뿐, 관제 운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하고 난 후에는 재관자를 피난층에 운반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재관자의 운반 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화재 발생시에 건물내에 남겨진 재관자의 피난층으로의 피난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는,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서비스 존내의 각 층을 서비스층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와, 각 층 사이를 오르내리기 위한 피난 계단이 마련되어 있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소정의 서비스층을 구출층으로 하고, 건물내에 남겨진 재관자를 구출층으로부터 피난층으로 운반하도록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관리하는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로서, 각 층은 엘리베이터가 마련된 엘리베이터 영역과 피난 계단이 마련된 계단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구출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영역의 혼잡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 건물내에 설치되어, 계단 영역으로부터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으로 재관자의 진입 가부(可否)를 나타내는 진입 가부 정보를 재관자에게 알리는 피난 유도 장치; 및 구출층으로부터 피난층으로의 운반 가부를 판정하는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와,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 및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피난 유도 장치를 제어하는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를 갖는 피난시의 관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에 의해 관리 제어되는 엘리베이 터가 마련된 건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출층 설정부에 의해 각 구출층이 설정되기 전의 건물(1)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의 건물이 복수의 피난 존으로 분할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4의 건물에 구출층 설정부에 의해 구출층이 설정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2의 진입시 유도 장치, 계단 유도 장치 및 탈출시 유도 장치 각각의 표시기에 표시되는 피난 정보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2의 진입시 유도 장치, 계단 유도 장치 및 탈출시 유도 장치 각각의 표시기에 표시되는 피난 정보의 내용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의 피난시 관리 장치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도 1의 진입시 유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때의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도 1의 계단 유도 장치 및 탈출시 유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때의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도 1의 방재 관리 장치에 마련된 피난 유도 표시 장치에 피난 정보를 표시시킬 때의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도 1의 진입시 유도 장치, 계단 유도 장치 및 탈출시 유도 장치의 각각에 대한 제어 방식을 선택할 때의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에 의해 관리 제어되는 엘리베이터가 마련된 건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층이 마련된 건물(이 예에서는 지상 9층 건물)(1)에는 2층 ~ 6층의 각 층을 포함하는 저층 서비스 존(2)과, 6층 ~ 9층의 각 층을 포함하는 고층 서비스 존(3)이 마련되어 있다. 즉, 건물(1)에는 복수의 층을 각각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의 층이 서로 다른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서비스 존(2, 3)이 마련되어 있다. 또, 건물(1)에는 각 서비스 존(2, 3)의 어느 쪽에도 포함되지 않는 공통의 피난층도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건물(1)의 최하층인 1층이 피난층으로 되어 있다.
또한, 건물(1)에는 저층 서비스 존(2)에 포함되는 각 층(2층 ~ 6층)을 서비스층으로 하는 저층 뱅크의 엘리베이터(4)와, 고층 서비스 존(3)에 포함되는 각 층(6층 ~ 9층)를 서비스층으로 하는 고층 뱅크의 엘리베이터(5)가 마련되어 있다. 즉, 건물(1)에는 각 서비스 존(2, 3)에 포함되는 각 층을 서비스층으로 하는 엘리베이터(4, 5)가 개별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각 서비스 존(2, 3) 의 양쪽에 포함되는 6층이 각 엘리베이터(4, 5)간의 환승층으로 되어 있다.
각 뱅크의 엘리베이터(4, 5)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호기(號機)(도시하지 않음)를 각각 갖고 있다. 저층 뱅크의 엘리베이터(4)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호기는 저층 서비스 존(2)내의 각 서비스층과 피난층에 정지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을 각각 갖고 있다. 고층 뱅크의 엘리베이터(5)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호기는 고층 서비스 존(3)내의 각 서비스층과 피난층에 정지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을 각각 갖고 있다.
또, 각 뱅크의 엘리베이터(4, 5)에는 각 엘리베이터 호기의 운전을 관리 제어하기 위한 그룹 관리 장치(6)(도 1)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즉, 각 엘리베이터(4, 5)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6)의 관리하에 각 엘리베이터 칸이 개별적으로 이동된다.
건물(1)에는 또, 건물(1)에 남겨진 재관자가 각 층 사이를 이동하기(오르내리는) 위한 피난 계단(7)이 마련되어 있다. 또, 각 층은 각 엘리베이터(4, 5)의 적도 어느 하나가 마련된 엘리베이터 영역(8)과, 피난 계단(7)이 마련된 계단 영역(9)으로 구분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영역(8)과 계단 영역(9) 사이에는 각 영역(8, 9)을 서로 연통하는 피난 출입구(10)와, 피난 출입구(10)를 개폐 가능한 방화 문(11)이 마련되어 있다.
각 층에는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기(12)와, 화재의 발생에 관한 방송을 건물(1) 전체에 행하기 위한 비상방송 장치(1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각 화재 감지기(12)로부터의 정보는 건물(1) 전체의 방재 기기를 총괄 관리하는 방재 관리 장치(14)에 전송된다. 방재 관리 장치(14)는 각 화재 감지기(12)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의 발생 유무의 검출과 화재 발생층의 특정을 행한다.
방재 관리 장치(14)로부터의 정보는 각 그룹 관리 장치(6)를 화재 발생시에 총괄 관리하기 위한 피난시 관리 장치(15)에 전송된다. 피난시 관리 장치(15)는 방재 관리 장치(14)에 의해 화재발생이 검출된 후, 재관자를 피난층으로 운반하기 위한 피난 운전을 각 엘리베이터(4, 5)에 대해 행한다. 피난 운전은 각 서비스 존(2, 3)의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서비스층(이 예에서는 4층 및 7층)을 구출층으로 하고, 각 구출층과 피난층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칸을 왕복 이동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각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에는 엘리베이터 영역(8)의 혼잡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1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에서의 혼잡이 수습되고 있을 때는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16)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 영역(8)에 있어서 스페이스의 여유도(엘리베이터 영역(8)에서의 스페이스 여유도)도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16)는 엘리베이터(4, 5)와 피난 출입구(10)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어 배치된 복수(이 예에서는 3개)의 재관자 검출기(17 ~ 19)를 갖고 있다. 이 예에서는 각 재관자 검출기(17 ~ 19)는 엘리베이터 영역(8)내의 서로 다른 검출 범위내(구출층 검출 범위내)를 촬영 가능한 촬영 장치(카메라)로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영역(8)의 혼잡 유무는 각 구출층 검출 범위에서 재관자의 점유율과, 미리 설정된 문턱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검출된다. 즉, 각 구출층 검출 범위에서 재관자의 점유율의 모두가 문턱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 엘리베이터 영역(8)이 혼잡하고 있다는 것이 검출되고, 각 구출층 검출 범위에서 재관자의 점유율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문턱값 이하일 때에, 엘리베이터 영역(8)이 혼잡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 검출된다. 각 구출층 검출 범위에서 재관자의 점유율은 각 재관자 검출기(17 ~ 19)로부터의 정보를 화상 처리하는 것에 의해 구해진다.
엘리베이터 영역(8)에서의 스페이스 여유도는 재관자의 점유율이 문턱값 이하인 구출층 검출 범위의 수를 구하는 것에 의해 검출된다. 즉, 엘리베이터 영역(8)에서의 스페이스 여유도는 재관자의 점유율이 문턱값 이하인 구출층 검출 범위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커진다.
각 구출층, 및 각 구출층보다 윗쪽에 위치하는 층(이 예에서는 4층 ~ 8층)에는 계단 영역(9)에서의 혼잡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계단 혼잡 검출 장치(20)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계단 혼잡 검출 장치(20)는 피난 계단(7)의 소정의 검출 범위내(계단 검출 범위내)를 촬영 가능한 촬영 장치(카메라)로 되어 있다. 계단 영역(9)에서의 혼잡 유무는 계단 검출 범위에서 재관자의 점유율과 미리 설정된 문턱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검출된다. 즉, 계단 검출 범위에서 재관자의 점유율이 문턱값을 초과하고 있을 때에, 계단 영역(9)이 혼잡하고 있다는 것이 검출되고, 계단 검출 범위에서 재관자의 점유율이 문턱값 이하일 때, 계단 영역(9)이 혼잡하고 있 지 않다는 것이 검출된다. 또한, 계단 검출 범위에서 재관자의 점유율은 계단 혼잡 검출 장치(20)로부터의 정보를 화상 처리하는 것에 의해 구해진다.
또, 건물(1)내에는 화재 발생시에 재관자를 유도하기 위한 피난 유도 장치(21)가 마련되어 있다. 피난 유도 장치(21)는 피난층에 피난하기 위한 피난 정보를 재관자에게 알림으로써 재관자를 유도한다.
피난 유도 장치(21)는 계단 영역(9)으로부터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으로의 진입 가부를 나타내는 진입 가부 정보를 재관자에게 알리는 진입시 유도 장치(22)와, 피난 계단(7)으로의 이동 가부를 나타내는 계단 이동 가부 정보를 재관자에게 알리는 계단 유도 장치(23)와,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으로부터 계단 영역(9)으로의 탈출 가부를 나타내는 탈출 가부 정보를 재관자에게 알리는 탈출시 유도 장치(24)를 갖고 있다. 또한, 진입 가부 정보, 계단 이동 가부 정보 및 탈출 가부 정보는 피난 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진입시 유도 장치(22)는 각 구출층(이 예에서는 4층 및 7층)에 있어서 계단 영역(9)내의 피난 출입구(10)에 마련되어 있다. 또, 계단 유도 장치(23)는 각 구출층보다 윗쪽에 위치하는 층(이 예에서는 5층, 6층 및 8층)의 계단 영역(9)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탈출시 유도 장치(24)는 각 구출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영역(8)내의 피난 출입구(10)에 마련되어 있다.
피난시 관리 장치(15)에는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16) 및 계단 혼잡 검출 장치(20) 각각으로부터의 정보가 방재 관리 장치(14)를 통하여 전송된다. 피난시 관리 장치(15)는 방재 관리 장치(14),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16) 및 계단 혼잡 검출 장치(20)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엘리베이터(4, 5) 및 피난 유도 장치(21)를 제어한다.
피난시 관리 장치(15)는 통신부(25), 구출층 설정부(26), 피난 운전 지령부(27) 및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28) 및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를 갖고 있다.
통신부(25)는 각 그룹 관리 장치(6) 및 방재 관리 장치(14)의 각각과 피난시 관리 장치(15)와의 정보 통신을 행한다.
구출층 설정부(26)는 각 서비스 존(2, 3)의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서비스층을 구출층으로서 설정한다. 이 예에서는 구출층 설정부(26)는 각 서비스 존(2, 3)의 각각에 포함되는 각 서비스층 중에서, 서비스 존(2, 3)마다 구출층을 하나씩 설정한다.
각 구출층(소정의 서비스층)의 특정은 피난층과 다른 복수의 층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피난 존으로 건물(1)을 분할하고, 각 피난 존 중에서, 최하층의 피난 존을 제외한 다른 각 피난 존의 최하층의 각각을 각 구출층(소정의 서비스층)으로 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피난 존의 수는 각 서비스 존(2, 3)의 수보다 하나 많은 수로 된다. 즉, N 뱅크의 엘리베이터가 마련된 건물 (1)에 있어서는 각 구출층(소정의 서비스층)의 특정은 (N+1)개의 피난 존으로 건물(1)을 분할한 후, 각 피난 존 가운데, 최하층의 피난 존을 제외한 N개의 피난 존의 최하층의 각각을 소정의 서비스층으로 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피난시 관리 장치(15)에는 상기의 방법에 의해 특정된 소정의 서비스층이 구출층으로서 서비스 존(2, 3)마다 미리 기억되어 있다. 구출층 설정부(26)가 구출층 을 설정할 때에는 피난시 관리 장치(15)에 기억된 각 구출층이 구출층 설정부(26)에 의해 독취된다.
여기서, 도 3은 도 1의 구출층 설정부(26)에 의해 각 구출층이 설정되기 전의 건물(1)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 도 4는 도 3의 건물(1)이 복수의 피난 존으로 분할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건물(1)에 구출층 설정부(26)에 의해 구출층이 설정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서비스 존(2, 3)이 마련된 건물(1)은 3개의 피난 존으로 분할된다(도 3 및 도 4). 또, 최하층의 피난 존을 제외한 2개의 피난 존의 최하층의 각각이 각 구출층(소정의 서비스층)으로 된다(도 5). 따라서, 피난층 및 각 구출층은 서로 다른 층로 된다. 각 피난 존내의 재관자는 아랫쪽의 구출층 또는 피난층에 계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예에서는 2층 및 3층을 포함하는 제 1 피난 존(30), 4층 ~ 6층을 포함하는 제 2 피난 존(31) 및 7층 ~ 9층을 포함하는 제 3 피난 존(32)이 각 피난 존으로 된다. 따라서, 구출층(소정의 서비스층)은 4층 및 7층으로 된다.
피난 운전 지령부(27)는 구출층 설정부(26)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그룹 관리 장치(6)에 피난 운전의 지령을 출력한다. 각 그룹 관리 장치(6)는 피난 운전 지령부(27)로부터의 피난 운전의 지령을 받으면, 피난 운전을 행하도록 각 엘리베이터 호기를 관리 제어한다. 피난 운전시에는 각 엘리베이터 칸이 구출층과 피난층 사이에 직통 운전된다. 즉, 피난 운전시의 각 엘리베이터 칸은 구출층 및 피난층에만 정지되고, 구출층과 피난층 사이에 위치하는 각 층은 모두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28)는 방재 관리 장치(14) 및 구출층 설정부(26)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엘리베이터(4, 5)에 대한 피난 운전의 가부를 판정한다. 즉,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28)는 각 구출층과 화재 발생층과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각 구출층과 피난층 사이에서의 피난 운전 각각의 가부(각 구출층으로부터 피난층으로 재관자의 운반 가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28)는 화재 발생층 또는 화재 발생층의 바로 윗쪽에 위치하는 층 등, 건물(1)내에서의 연소가 예측되는 층(이하,「연소 예측층」이라 함)와 구출층이 일치할 경우에, 당해 구출층과 피난층 사이에서의 피난 운전이 불가능하다는 판정(운전 불가 판정)을 행하고, 일치하지 않을 때에, 당해 구출층과 피난층 사이에서의 피난 운전이 가능하다는 판정(운전 가능 판정)을 행한다. 피난 운전 가부의 판정은 각 구출층에 도착하여 개별적으로 행한다.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는 피난 정보를 재관자에게 알리기 위한 제어를 피난 유도 장치(21)에 대하여 행한다.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는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28) 및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16)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재관자의 수용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는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으로 재관자의 새로운 진입을 피하기 위한 제어를 진입시 유도 장치(22)에 대해 행한다. 즉,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는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이 가능하다는 판정이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28)에 의해 행해지고, 또한 당해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의 혼잡이 수습되고 있다는 검출 이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16)에 의해 행해졌을 때에, 계단 영역(9)으로부터 당해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으로의 진입이 가능한 취지의 진입 가부 정보를 진입시 유도 장치(22)에 알리게 하고,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이 불가능하다는 판정 및 당해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이 혼잡하고 있다는 검출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행해졌을 때에, 계단 영역(9)으로부터 당해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으로의 진입이 불가능한 취지의 진입 가부 정보를 진입시 유도 장치(22)에 알리게 한다.
또,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는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28),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16) 및 계단 혼잡 검출 장치(20)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출층을 향하여 피난 계단(7)을 내려가는 재관자와, 당해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으로부터 계단 영역(9)으로 탈출하는 재관자가 충돌하여 체류(滯留)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제어(체류회피 제어)를 계단 유도 장치(23)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에 대해 행한다.
여기서, 재관자의 체류는 구출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영역(8) 및 계단 영역(9)의 모두가 혼잡하고, 또한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28)의 판정에 의해,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구출층으로부터 피난층으로 재관자의 운반)이 가능한 상태로부터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 당해 구출층에 있어서 피난 출입구(10) 부근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 구출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영역(8) 및 계단 영역(9)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혼잡이 수습되고 있을 때나,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이 가능한 상태가 계속되고 있을 때와 같은 통상의 피난시에는 구출층을 향하여 피난 계단(7)을 내려가는 재관자와, 당해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으로부터 계단 영역(9)으로 탈출하는 재관자가 합류해도, 재관자의 체류가 발생할 가능성은 작다.
또,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내에 존재하는 재관자 수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피난 계단(7)을 내려가는 재관자보다도 우선시켜서 엘리베이터 영역(8)내의 재관자를 계단 영역(9)으로 탈출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것으로부터, 이 예에서는 재관자의 체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을 때는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으로부터 계단 영역(9)으로 탈출하는 재관자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 채, 구출층을 향하여 피난 계단(7)을 내려가는 재관자의 이동만을 정지시키도록, 계단 유도 장치(23)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재관자의 체류를 회피하도록 되어 있다.
즉, 계단 유도 장치(23)는 구출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영역(8) 및 계단 영역(9)의 모두가 혼잡하고, 또한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28)의 판정에 의해,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구출층으로부터 피난층으로 재관자의 운반)이 가능한 상태로부터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 피난 계단(7)에서 재관자의 이동이 불가능한 취지의 계단 이동 가부 정보를 재관자에게 알리고, 엘리베이터 영역(8) 및 계단 영역(9)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혼잡이 수습되고 있을 때, 및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 가부의 판정이 그대로 계속되고 있을 때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때에, 피난 계단(7)에서 재관자의 이동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계단 이동 가부 정보를 재관자에게 알린다.
또, 탈출시 유도 장치(24)는 엘리베이터 영역(8) 및 계단 영역(9) 각각의 혼잡 유무에 불구하고,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28)에 의한 운전 가능 판정이 행해지고 있을 때, 탈출 가부 정보의 재관자에게의 알림을 정지하고,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28)에 의한 운전 불가 판정이 행해지고 있을 때,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으로부터 계단 영역(9)으로 재관자의 탈출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탈출 가부 정보를 재관자에게 알린다. 즉, 이 예에서는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으로부터 계단 영역(9)으로 재관자의 탈출은 항상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방재 관리 장치(14) 및 피난시 관리 장치(15)는 건물(1)에 마련된 감시 센터(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어 있다. 또,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로부터의 제어 지령은 방재 관리 장치(14)를 통하여 피난 유도 장치(21)에 전송된다. 또한, 진입시 유도 장치(22), 계단 유도 장치(23)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는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방재 관리 장치(14)에는 진입시 유도 장치(22), 계단 유도 장치(23)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 각각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표시하는 원격 표시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원격 표시 장치는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진입시 유도 장치(22), 계단 유도 장치(23)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의 각각이 재관자에게 알리는 피난 정보를 표시한다. 감시 센터에서는 원격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피난 정보가 감시원에 의해 감시되도록 되어 있다.
감시 센터에는 진입시 유도 장치(22), 계단 유도 장치(23)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 각각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피 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에 의한 제어(통상 피난 유도 제어) 및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한 제어(원격 피난 유도 제어)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즉, 진입시 유도 장치(22), 계단 유도 장치(23)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 각각의 제어 방식은 선택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통상 피난 유도 제어와 원격 피난 유도 제어 사이에서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선택 스위치에 의한 제어 방식의 선택은 진입시 유도 장치(22), 계단 유도 장치(23)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의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행해진다.
진입시 유도 장치(22), 계단 유도 장치(23)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는 피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33)와, 음성에 의해 피난 정보를 재관자에게 알리기 위한 스피커(음성 발생 장치)(34)를 각각 갖고 있다(도 2). 진입시 유도 장치(22), 계단 유도 장치(23)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의 각각이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에 제어됨으로써, 피난 정보가 표시기(33)에 표시되고, 피난 정보에 대한 음성이 스피커(34)로부터 발생한다.
도 6은 도 2의 진입시 유도 장치(22), 계단 유도 장치(23)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 각각의 표시기(33)에 표시되는 피난 정보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2의 진입시 유도 장치(22), 계단 유도 장치(23)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 각각의 표시기(33)에 표시되는 피난 정보의 내용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6에는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의 혼잡이 수습되고 있고, 또한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28)의 판정에 의해, 당해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이 가능할 때의 피난 정보의 내용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에는 구출층 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영역(8) 및 계단 영역(9)의 모두가 혼잡하고, 또한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28)의 판정에 의해, 당해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이 가능한 상태로부터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의 피난 정보의 내용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의 혼잡이 수습되고 있고, 또한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28)의 판정에 의해, 당해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이 가능할 때에는「이 층은 구출층입니다. 엘리베이터에 의한 피난이 가능합니다.」라는 표시가 진입 가부 정보의 표시로서 진입시 유도 장치(22)의 표시기(33)에 의해 행해지고, 「계단을 내려가서 피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침착하게 피난해 주세요.」라는 표시가 계단 이동 가부 정보의 표시로서 구출층의 윗쪽에 위치하는 계단 유도 장치(23)의 표시기(33)에 의해 행해진다. 또, 이 때, 표시기(33)에 표시된 내용에 대한 음성이 진입시 유도 장치(22), 및 계단 유도 장치(23) 각각의 스피커(34)로부터 개별적으로 발생한다. 그리고, 이 때의 탈출시 유도 장치(24)의 표시기(33) 및 스피커(34)의 동작은 정지된다(도 6).
또, 구출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영역(8) 및 계단 영역(9)의 모두가 혼잡하고, 또한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28)의 판정에 의해, 당해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이 가능한 상태로부터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이 층은 구출층입니다. 엘리베이터에 의한 피난은 불가능합니다.」라는 표시가 진입 가부 정보의 표시로서 진입시 유도 장치(22)의 표시기(33)에 의해 행해지고,「아랫쪽의 층이 혼잡하고 있기 때문에, 계단으로의 이동을 일시 정지해 주세요.」라는 표시가 계단 이 동 가부 정보의 표시로서 구출층의 윗쪽에 위치하는 계단 유도 장치(23)의 표시기(33)에 의해 행해진다.
또, 이 때에는 「계단을 내려가서 피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침착하게 피난해 주세요.」라는 표시가 탈출 가부 정보로서 탈출시 유도 장치(24)의 표시기(33)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이 때, 표시기(33)에 표시된 내용에 대한 음성이 진입시 유도 장치(22), 계단 유도 장치(23)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 각각의 스피커(34)로부터 개별적으로 발생한다(도 7).
각 비상 방송 장치(13)는 피난 계단(7)에서 피난하는 취지와 각 피난 유도 장치(21)에 의한 피난 정보에 따라서 이동하는 취지를 건물(1) 전체의 재관자에 대하여 음성으로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피난시 관리 장치(15)는 연산 처리부(CPU), 기억부(ROM 및 RAM 등), 및 신호 입출력부를 가진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통신부(25), 구출층 설정부(26), 피난 운전 지령부(27),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28) 및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의 기능은 피난시 관리 장치(15)의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즉, 컴퓨터의 기억부에는 통신부(25), 구출층 설정부(26), 피난 운전 지령부(27),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28) 및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또, 각 구출층 등의 정보도, 기억부에 격납된다. 연산 처리부는 기억부에 격납된 후.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피난시 관리 장치(15)의 기능에 관한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피난시 관리 장치(15)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재 관리 장치(14)에 의해 화재의 발생이 검출되면(S1), 방재 관리 장치(14)로부터는 재관자를 피난시키는 피난 방송을 행하기 위한 지령이 각 비상 방송 장치(13)에 출력된다(S2). 이것에 의해, 각 비상 방송 장치(13)에 의한 관내(館內) 방송이 개시된다. 관내 방송에 의해, 재관자는 아랫쪽의 층에 피난 계단(7)에서 이동하도록 유도되게 된다. 또, 방재 관리 장치(14)에서는 화재 검출정보가 피난시 관리 장치(15)에 출력된다.
이 후, 방재 관리 장치(14)로부터의 화재 검출정보를 피난시 관리 장치(15)가 받으면, 피난시 관리 장치(15)의 제어에 의해 모든 엘리베이터 칸을 피난층에서 정지시키는 화재시 관제 운전이 각 엘리베이터(4, 5)에 대해 행해진다(S3). 이 후, 서비스 존(2, 3)마다 구출층(4층 및 7층)의 설정이 구출층 설정부(26)에 의해 행해진다(S4). 이 후, 방재 관리 장치(14) 및 구출층 설정부(26)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 가부의 판정이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28)에 의해 행해진다(S5).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의 실시가 불가능하다는 판정이 행해진 경우에는, 당해 구출층에 마련된 피난 유도 장치(21)의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에 의한 제어가 개시된다(S6). 또, 이 경우 피난시 관리 장치(15)의 제어에 의해, 당해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은 실시되지 않고, 화재시 관제 운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이 피난층에 정지된 상태가 계속된다(S7).
한편,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의 실시가 가능하다는 판정이 행해진 경우 에도, 당해 구출층에 마련된 피난 유도 장치(21)의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에 의한 제어가 개시된다(S8).
이 후, 당해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이 피난 운전 지령부(27)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실시된다(S9). 피난 운전시에는 각 엘리베이터 칸이 구출층과 피난층 사이에 왕복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당해 구출층의 재관자는 당해 구출층으로부터 피난층으로 운반되게 된다.
이 후, 피난시 관리 장치(15)가 종료지령을 받았는지의 여부가 피난시 관리 장치(15)에 의해 판정된다(S10). 피난시 관리 장치(15)가 종료지령을 받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어 각 엘리베이터(4, 5)에 설치된 종료 버튼이 조작된 경우나, 각 엘리베이터(4, 5)에 설치된 이상 검지센서가 화재의 연소나 소화 활동에 의한 침수 등에 의해 작동한 경우, 또는 각 구출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칸으로의 승차가 없어진 것이 승하차(乘降車) 센서 등에 의해 검출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즉, 피난시 관리 장치(15)는 피난 운전의 계속이 곤란하게 된 경우나 피난 운전의 완료 조건이 채워진 경우에, 종료 지령을 받도록 되어 있다.
종료 지령을 받고 있지 않다는 판정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에 의한 피난 유도 장치(21)의 제어와, 당해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의 실시가 계속하여 행해진다. 또, 종료 지령을 받았다는 판정이 행해진 경우에, 각 엘리베이터(4, 5)의 피난 운전은 종료한다(S11).
다음에,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가 진입시 유도 장치(22)를 동작시킬 때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도 1의 진입시 유도 장치(22)의 동작을 제어할 때의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는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28)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의 실시 가부를 판정한다(S21).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의 실시가 가능하다는 판정이 행해진 경우에는,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16)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이 혼잡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에 의해 판정된다(S22).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의 실시가 불가능하다는 판정이 행해진 경우, 또는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이 혼잡하고 있다는 판정이 행해진 경우에는,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의 제어에 의해 당해 층이 구출층인 취지와, 당해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의 실시가 불가능하다는 취지가 진입시 유도 장치(22)의 표시기(33)에 표시된다(S23). 또, 이 때, 표시기(33)에 표시된 내용에 대한 음성이 진입시 유도 장치(22)의 스피커(34)로부터 발생한다(S24).
또,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의 실시가 가능하다는 판정이 행해진 후,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의 혼잡이 수습되고 있다는 판정이 행해진 경우에는,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의 실시가 가능한 당해 층이 구출층인 취지와, 당해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의 실시가 가능하다는 취지가 진입시 유도 장치(22)의 표시기(33)에 표시된다(S25). 또, 이 때, 표시기(33)에 표시된 내용에 대한 음성이 진입시 유도 장치(22)의 스피커(34)로부터 발생한다(S26). 이와 같이 하여, 진입시 유도 장치(22)의 동작이 제어된다.
다음에,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가 계단 유도 장치(23)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를 동작시킬 때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도 1의 계단 유도 장치(23)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의 동작을 제어할 때의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는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28)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이 가능한 상태로부터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1).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이 가능한 상태가 계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의 제어에 의해, 피난 계단(7)으로 아랫쪽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취지와, 피난 계단(7)을 내려가서 피난하는 것을 지시하는 취지가 계단 유도 장치(23)의 표시기(33)에 표시된다(S32). 또, 이 때, 표시기(33)에 표시된 내용에 대한 음성이 계단 유도 장치(23)의 스피커(34)로부터 발생한다(S33). 또, 이 경우에는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의 제어에 의해, 탈출시 유도 장치(24)의 동작은 정지되고 탈출 가부 정보의 재관자에게의 알림은 행해지지 않는다.
한편,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이 가능한 상태로부터 불가능한 상태에 전환되었다는 판정이 행해진 경우에는,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16)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이 혼잡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에 의해 판정된다(S34).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이 혼잡하고 있다는 판정이 행해진 경우에는, 구출층의 계단 영역(9)이 혼잡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에 의해 판정된다(S35).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의 혼잡이 수습되고 있는 경우, 또는 구출층의 계단 영역(9)의 혼잡이 수습되고 있는 경우에는,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의 제어에 의해, 피난 계단(7)에서 아랫쪽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는 취지와, 피난 계단(7)에 의한 피난을 지시하는 취지가 계단 유도 장치(23)의 표시기(33)에 표시된다(S36). 또, 이 때, 표시기(33)에 표시된 내용에 대한 음성이 계단 유도 장치(23)의 스피커(34)로부터 발생한다(S37).
구출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영역(8) 및 계단 영역(9)의 모두가 혼잡하고 있다는 판정이 행해진 경우에는,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의 제어에 의해, 피난 계단(7)에서 아랫쪽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한 취지와, 피난 계단(7)으로 이동의 일시 정지를 지시하는 취지가 계단 유도 장치(23)의 표시기(33)에 표시된다(S38). 또, 이 때, 표시기(33)에 표시된 내용에 대한 음성이 계단 유도 장치(23)의 스피커(34)로부터 발생한다(S39).
이 후,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의 제어에 의해, 피난 계단(7)에서 아랫쪽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는 취지와, 피난 계단(7)에 의한 피난을 지시하는 취지가 탈출시 유도 장치(24)의 표시기(33)에 표시된다(S40). 또, 이 때, 표시기(33)에 표시된 내용에 대한 음성이 탈출시 유도 장치(24)의 스피커(34)로부터 발생한다(S41). 이와 같이 하여, 계단 유도 장치(23)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의 동작이 제어된다.
다음에,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가 피난 유도 표시 장치에 피난 정보를 표시시킬 때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도 1의 방재 관리 장치(14)에 마련된 피난 유도 표시 장치에 피난 정보를 표시시킬 때의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 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는 방재 관리 장치(14)에 의해 화재의 발생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항상 판정하고 있다(S51). 화재의 발생 검출이 없다는 판정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피난 유도 표시 장치에 의한 피난 정보의 표시는 행해지지 않는다.
또, 화재의 발생이 검출되었다는 판정이 행해진 경우에는,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의 제어에 의해 계단 유도 장치(23)의 동작 상태(예를 들어, 계단 이동 가부 정보의 표시의 유무나 계단 이동 가부 정보의 내용 등), 탈출시 유도 장치(24)의 동작 상태(예를 들어, 탈출 가부 정보의 표시의 유무나 탈출 가부 정보의 내용 등), 및 진입시 유도 장치(22)의 동작 상태(예를 들어, 진입 가부 정보의 표시의 유무나 진입 가부 정보의 내용 등)가 피난 유도 표시 장치에 차례로 표시된다(S52 ~ S54).
다음에, 선택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피난 유도 장치(21)에 대한 제어 방식을 선택할 때의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의 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도 12는 도 1의 진입시 유도 장치(22), 계단 유도 장치(23)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의 각각에 대한 제어 방식을 선택할 때의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는 계단 유도 장치(23)에 대하여, 통상 피난 유도 제어로부터 원격 피난 유도 제어로의 변경 요구를 선택 스위치로부터 받고 있는지의 여무를 판정한다(S61). 계단 유도 장치(23)의 제어 방식에 대한 변경 요구를 받고 있는 경우에는,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 는 선택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계단 유도 장치(23)에 대한 제어 방식을 통상 피난 유도 제어로부터 원격 피난 유도 제어에 강제적으로 변경한다(S62). 계단 유도 장치(23)의 제어 방식에 대한 변경 요구를 받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계단 유도 장치(23)의 통상 피난 유도 제어가 계속된다.
이 후,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는 탈출시 유도 장치(24)에 대하여 통상 피난 유도 제어로부터 원격 피난 유도 제어로의 변경 요구를 선택 스위치로부터 받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63). 탈출시 유도 장치(24)의 제어 방식에 대한 변경 요구를 받고 있는 경우에,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는 선택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탈출시 유도 장치(24)에 대한 제어 방식을 통상 피난 유도 제어로부터 원격 피난 유도 제어에 강제적으로 변경한다(S64). 탈출시 유도 장치(24)의 제어 방식에 대한 변경 요구를 받지 않은 경우에는, 탈출시 유도 장치(24)의 통상 피난 유도 제어가 계속된다.
이 후,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는 진입시 유도 장치(22)에 대하여, 통상 피난 유도 제어로부터 원격 피난 유도 제어로의 변경 요구를 선택 스위치로부터 받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65). 진입시 유도 장치(22)의 제어 방식에 대한 변경 요구를 받고 있는 경우에,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는 선택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진입시 유도 장치(22)에 대한 제어 방식을 통상 피난 유도 제어로부터 원격 피난 유도 제어에 강제적으로 변경한다(S66). 진입시 유도 장치(22)의 제어 방식에 대한 변경 요구를 받지 않은 경우에는, 진입시 유도 장치(22)의 통상 피난 유도 제어가 계속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에서는 계단 영역(9)으로부터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으로 재관자의 진입 가부를 나타내는 진입 가부 정보를 재관자에게 알리는 진입시 유도 장치(22)가 건물(1)내에 설치되고, 구출층으로부터 피난층으로 재관자의 운반 가부의 판정 결과와,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의 혼잡 유무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진입시 유도 장치(22)가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에 의해 제어되므로, 구출층으로부터의 피난 운전이 불가능한 경우나,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이 혼잡하고 있는 경우에, 당해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으로 재관자의 진입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재관자의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피난 시간의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재관자의 피난층으로의 피난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진입시 유도 장치(22)는 구출층의 계단 영역(9)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피난 계단(7)을 내려온 재관자가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에 들어가려고 하는 시점에서, 엘리베이터 영역(8)으로의 진입 가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재관자의 유도를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 피난 계단(7)에서 재관자의 이동 가부를 나타내는 계단 이동 가부 정보를 재관자에게 알리는 계단 유도 장치(23)와,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으로부터 계단 영역(9)으로 재관자의 탈출 가부를 나타내는 탈출 가부 정보를 재관자에게 알리는 탈출시 유도 장치(24)가 건물(1)내에 설치되고, 구출층으로부터 피난층으로 재관자의 운반 가부의 판정 결과와, 구출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영역(8) 및 계단 영역(9) 각각의 혼잡 유무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구출층을 향하여 피난 계단(7) 을 내려가는 재관자와,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으로부터 계단 영역(9)으로 탈출하는 재관자가 충돌하여 체류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제어가 계단 유도 장치(23),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에 대하여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에 의해 행해지므로, 건물(1)내에 있어서, 재관자의 체류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재관자의 유도를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재관자의 피난층으로의 피난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재관자가 체류할 우려가 있을 때에,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으로부터 재관자의 탈출을 가능하게 한 채, 피난 계단(7)을 내려가는 재관자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계단 유도 장치(23)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의 각각이 제어되므로,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에서 재관자가 장시간 기다리게 되는 일이 없어진다. 이것에 의해, 재관자의 유도를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재관자의 피난층으로의 피난 효율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 계단 유도 장치(23)가 계단 영역(9)에 마련되고, 탈출시 유도 장치(24)가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구출층에 있어서 재관자의 체류를 더욱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 감시 센터에는 피난 유도 장치(21)의 동작을 원격으로 감시하기 위한 원격 표시 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건물(1)내에서 재관자의 유도 상황을 원격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피난 유도 장치(21)에 대한 제어 방식이 통상 피난 유도 제어와 원격 피난 유도 제어 사이에서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건물(1)내에서 의 연소 상황이 변화한 경우 등이어도, 피난 유도 장치(21)를 원격으로의 제어로 전환할 수 있고, 건물(1)내의 상황의 변화에 재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카메라로부터의 정보를 화상 처리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영역(8), 및 계단 영역(9) 각각에서의 혼잡 유무가 검출되도록 되어 있으나, 예를 들어 적외선 등의 전자파를 이용한 검출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영역(8) 및 계단 영역(9) 각각에서의 혼잡 유무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영역(8)에 마련된 재관자 검출기(17 ~ 19)의 수가 3개로 되어 있으나, 1개, 2개 또는 4개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하나의 층에 대해 1개의 계단 혼잡 검출 장치(20)가 마련되어 있으나, 하나의 층에 대해 2개 이상의 계단 혼잡 검출 장치(20)를 설치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출층 및 구출층보다 윗쪽의 층의 각각에 계단 혼잡 검출 장치(20)가 마련되어 있으나, 계단 혼잡 검출 장치(20)는 적어도 구출층에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출층 검출 범위에서 재관자의 점유율과 비교하기 위한 문턱값이 고정값으로 되어 있으나, 이 문턱값이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즉,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영역(8)에서의 혼잡을 검출할 때의 검출레벨을 변경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계단 검출 범위에서 재관자의 점유율과 비교하기 위한 문턱값이 고정값으로 되어 있으나, 이 문턱값이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즉,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에 있어서, 계단 영역(9)에서의 혼잡을 검출할 때의 검출 레벨을 변경 가능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출층에 각각 마련된 진입시 유도 장치(22)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의 수가 1개씩만으로 되어 있으나, 2개 이상의 진입시 유도 장치(22) 및 탈출시 유도 장치(24)를 구출층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계단 유도 장치(23)의 수도, 하나의 층에 2개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로부터의 제어 지령이 방재 관리 장치(14)를 통하여 피난 유도 장치(21)에 전송되도록 되어 있으나,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로부터의 제어 지령을 피난 유도 장치(21)에 직접 전송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계단 유도 장치(23)로부터 재관자에게 알려지는 정보가 계단 이동 가부 정보만으로 되어 있으나, 계단 이동 가부 정보의 알림에 의해 재관자의 피난 계단(7)으로의 이동이 정지되어 있을 때는 계단 이동 가부 정보 외에, 정지가 해제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의 정보를 계단 유도 장치(23)으로부터 재관자에게 알리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는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16)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영역(8)에서의 스페이스 여유도를 구하고, 구한 스페이스 여유도에 기초하여, 재관자가 엘리베이터 영역(8)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대기 시간의 정보로서 구한다. 또, 계단 유도 장치(23)는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29)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계단 이동 가부 정보와 대기 시간의 정보를 재관자에게 알린다. 대기 시간은 엘리베이터 영역(8)에서 의 스페이스 여유도가 커질수록 짧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피난 계단(7)에서 대기하고 있는 재관자의 초조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구출층을 향하여 피난 계단(7)을 내려가는 재관자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가 계단 유도 장치(23)에 대해 개시되고 나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때에는 구출층의 엘리베이터 영역(8)으로부터 계단 영역(9)으로 재관자의 탈출이 완료했는지의 여부에 불구하고, 재관자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계단 유도 장치(23)의 제어를 강제적으로 해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피난 계단(7)에서 대기하고 있는 재관자의 초조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출층의 설정이 서비스 존(2, 3)마다 하나씩으로 되어 있으나, 각 서비스 존(2, 3)에 대하여 복수의 구출층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각 서비스 존(2, 3)에 설정된 구출층의 수가 서로 차이가 나도 된다. 이 경우, 각 엘리베이터(4, 5)는 각 구출층에 대한 피난 운전을 각 엘리베이터 호기로 분담하여 행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비스 존에 2개의 구출층이 설정된 경우에는 반수의 엘리베이터 호기가 한 쪽의 구출층에 대한 피난 운전을 행하고, 나머지 반수의 엘리베이터 호기가 다른 쪽의 구출층에 대한 피난 운전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면, 각 구출층에서의 재관자에 의한 혼잡을 완화할 수 있고, 더구나 재관자의 피난층으로의 운반 효율의 향상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 발생시에 건물내에 남겨진 재관자의 피난층으로의 피난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서비스 존내의 각 상기 층을 서비스층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와, 각 상기 층 사이를 오르내리기 위한 피난 계단이 마련되어 있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소정의 상기 서비스층을 구출층으로 하여 상기 건물내에 남겨진 재관자를 상기 구출층으로부터 피난층으로 운반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관리하는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로서,
    각 상기 층은 상기 엘리베이터가 마련된 엘리베이터 영역과, 상기 피난 계단이 마련된 계단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구출층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영역의 혼잡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
    상기 건물내에 설치되어, 상기 계단 영역으로부터 상기 구출층의 상기 엘리베이터 영역으로의 상기 재관자의 진입 가부(可否)를 나타내는 진입 가부 정보를 상기 재관자에게 알리는 피난 유도 장치, 및
    상기 구출층으로부터 상기 피난층으로의 운반 가부를 판정하는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와, 상기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 및 상기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난 유도 장치를 제어하는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를 갖는 피난시 관리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난 유도 장치는 상기 구출층의 상기 계단 영역에 마련된 진입시 유도 장치를 갖고,
    상기 진입 가부 정보는 상기 진입시 유도 장치에 의해 상기 재관자에게 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3.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서비스 존내의 각 상기 층을 서비스층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와, 각 상기 층 사이를 오르내리기 위한 피난 계단이 마련되어 있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소정의 상기 서비스층을 구출층으로 하고, 상기 건물내에 남겨진 재관자를 상기 구출층으로부터 피난층으로 운반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관리하는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로서,
    각 상기 층은 상기 엘리베이터가 마련된 엘리베이터 영역과, 상기 피난 계단이 마련된 계단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구출층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영역의 혼잡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
    상기 계단 영역의 혼잡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계단 혼잡 검출 장치,
    상기 건물내에 설치되고, 상기 피난 계단에서의 상기 재관자의 이동 가부를 나타내는 계단 이동 가부 정보와, 상기 구출층의 상기 엘리베이터 영역으로부터 상기 계단 영역으로의 상기 재관자의 탈출 가부를 나타내는 탈출 가부 정보를 상기 재관자에게 알리는 피난 유도 장치, 및
    상기 구출층으로부터 상기 피난층으로의 운반 가부를 판정하는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와, 상기 피난 운전 가부 판정부, 상기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 및 상기 계단 혼잡 검출 장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출층으로 향하여 상기 피난 계단을 내려가는 상기 재관자와, 상기 구출층의 상기 엘리베이터 영역으로부터 상기 계단 영역으로 탈출하는 상기 재관자가 충돌하여 체류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제어를 상기 피난 유도 장치에 대해 행하는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를 갖는 피난시 관리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는 상기 구출층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영역 및 상기 계단 영역의 모두가 혼잡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구출층으로부터 상기 피난층으로의 상기 재관자의 운반이 가능한 상태로부터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 상기 피난 계단을 내려가는 상기 재관자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구출층의 상기 엘리베이터 영역으로부터 상기 계단 영역으로 탈출하는 상기 재관자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어를 상기 피난 유도 장치에 대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난 유도 장치는 상기 계단 영역에 마련된 계단 유도 장치와, 상기 구 출층의 상기 엘리베이터 영역에 마련된 탈출시 유도 장치를 갖고,
    상기 계단 이동 가부 정보는 상기 구출층을 향하여 상기 피난 계단을 내려가는 상기 재관자에게 상기 계단 유도 장치에 의해 알려지고, 상기 탈출 가부 정보는 상기 구출층의 상기 엘리베이터 영역으로부터 상기 계단 영역으로 탈출하는 상기 재관자에게 상기 탈출시 유도 장치에 의해 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는 상기 계단 이동 가부 정보의 알림에 의해 상기 재관자의 상기 피난 계단으로의 이동이 정지되어 있을 때, 상기 구출층 혼잡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관자가 상기 엘리베이터 영역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대기 시간의 정보로서 구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피난 유도 장치는 상기 대기 시간의 정보를 상기 재관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난 유도 장치의 동작을 감시하기 위한 원격 표시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난 유도 장치에 대한 제어 방식은 상기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에 의한 통상 피난 유도 제어와, 감시 센터에 마련된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한 원격 피난 유도 제어와의 사이에서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난 유도 장치의 동작을 감시하기 위한 원격 표시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난 유도 장치에 대한 제어 방식은 상기 피난 유도 장치 제어부에 의한 통상 피난 유도 제어와, 감시 센터에 마련된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한 원격 피난 유도 제어와의 사이에서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KR1020087010197A 2006-02-23 2006-02-23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89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03289 WO2007096969A1 (ja) 2006-02-23 2006-02-23 エレベータの避難支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251A KR20080056251A (ko) 2008-06-20
KR100989268B1 true KR100989268B1 (ko) 2010-10-20

Family

ID=3843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019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9268B1 (ko) 2006-02-23 2006-02-23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77363B2 (ko)
EP (1) EP1988048B1 (ko)
JP (1) JP4926940B2 (ko)
KR (1) KR100989268B1 (ko)
CN (1) CN101300186B (ko)
WO (1) WO2007096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1686A (ja) * 2005-07-18 2009-01-2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群エレベ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運行中断情報の連絡
KR100968311B1 (ko) * 2006-01-12 2010-07-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피난시 관리 장치
CN101300187B (zh) * 2006-01-18 2010-05-1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避难支援装置
US7963372B2 (en) * 2006-07-06 2011-06-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vacuation assistance device for elevator
US20080073157A1 (en) * 2006-09-08 2008-03-27 Ashur Kanon Auxiliary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US8281901B2 (en) * 2007-01-25 2012-10-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door emergency opening control system
EP2192073B1 (en) * 2007-10-10 2015-06-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fuge supporting device of elevator
KR20100051112A (ko) * 2007-10-26 2010-05-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더블 덱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시스템
WO2010023735A1 (ja) * 2008-08-27 2010-03-04 三菱電機株式会社 避難支援システム
WO2010082650A1 (ja) * 2009-01-19 2010-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550302B2 (ja) * 2009-10-19 2014-07-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システム
JP2011084388A (ja) * 2009-10-19 2011-04-2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システム
US8230980B2 (en) * 2009-12-31 2012-07-31 Inventio Ag Method of operating elevators during emergency situations
JP5500253B2 (ja) * 2010-06-29 2014-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CN102688566B (zh) * 2011-03-24 2014-06-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火灾指引逃生系统及其逃生指引方法
JP5673425B2 (ja) * 2011-08-04 2015-02-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US9355552B2 (en) * 2013-05-14 2016-05-31 John J. Murphy, Jr. Electronic building information (EBIC) system
WO2015040669A1 (ja) * 2013-09-17 2015-03-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P3154889B1 (en) * 2014-06-12 2024-03-13 KONE Corporation Method for using a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system
DE112014006982T5 (de) * 2014-09-24 2017-06-2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vorrichtung
ES2878452T3 (es) * 2015-01-16 2021-11-18 Kone Corp Un aparato de rescate y un ascensor
JP6558051B2 (ja) * 2015-04-28 2019-08-14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無線装置、管理装置、プログラム
US10227209B2 (en) * 2016-04-06 2019-03-12 Otis Elevator Company Orchestration of an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using destination entry fixtures
US10011460B2 (en) * 2016-09-27 2018-07-0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ynamic displays for messaging and communication
US10294075B2 (en) 2016-09-30 2019-05-21 Otis Elevator Company Re-dispatching unoccupied elevator car for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US20180093854A1 (en) * 2016-09-30 2018-04-05 Otis Elevator Company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display
KR101828005B1 (ko) * 2017-11-22 2018-03-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피난용 승강기를 이용한 피난전략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90168997A1 (en) * 2017-12-04 2019-06-0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group management for occupant evacuation
CN110116946B (zh) * 2018-02-07 2022-10-14 奥的斯电梯公司 用于疏散的电梯控制装置和电梯控制方法
JP7086750B2 (ja) * 2018-06-26 2022-06-20 能美防災株式会社 防災システム
CN109992901B (zh) * 2019-04-08 2023-07-11 同济大学建筑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建筑物的楼梯数据处理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JP7035237B2 (ja) * 2021-02-24 2022-03-14 能美防災株式会社 防災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3935A (en) 1974-08-19 1976-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Erebeetano kasaijiuntensochi
JPH09220293A (ja) * 1995-12-13 1997-08-26 Kyoritsu Sash Kogyo Kk 避難設備
JP2004269154A (ja) 2003-03-07 2004-09-3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104631A (ja) 2003-09-29 2005-04-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3146A (en) * 1976-02-03 1977-05-10 Carroll Wayne E Method for computing and evaluating emergency priority and evacuation routes for high rise buildings, mines and the like
JPS63269297A (ja) * 1987-04-27 1988-11-07 Toyo Commun Equip Co Ltd 避難誘導システム
JPS6413387A (en) * 1987-07-08 1989-01-18 Toshiba Corp Driving device at time of fire of group control elevator
JPH056500A (ja) * 1990-09-19 1993-01-14 Hitachi Ltd 移動体・施設制御システム
JPH058954A (ja) 1991-07-09 1993-01-1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運転方式
JPH08268656A (ja) 1995-03-31 1996-10-15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乗客に対する音声案内装置
AU745755B2 (en) 1998-03-31 2002-03-28 Thomas H. Allen Multiple level building with an elevator system operable as a means of emergency egress and evacuation during a fire incident
US5979607A (en) * 1998-03-31 1999-11-09 Allen; Thomas H. Multiple level building with an elevator system operable as a means of emergency egress and evacuation during a fire incident
JP2000030172A (ja) * 1998-07-10 2000-01-2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表示装置
JP2002187551A (ja) * 2000-12-19 2002-07-02 Omron Corp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CN1236986C (zh) * 2001-06-25 2006-01-1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系统
JP3708497B2 (ja) * 2002-03-29 2005-10-19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混雑状況監視システム
JP2004203623A (ja) * 2002-12-23 2004-07-22 Inventio Ag 建物の人の緊急避難方法およびシステム、および前記システムを用いた既存の建物の近代化方法
CN100364872C (zh) * 2003-05-14 2008-01-3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火灾控制系统
US7461723B2 (en) * 2004-06-10 2008-12-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ire control system of elev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3935A (en) 1974-08-19 1976-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Erebeetano kasaijiuntensochi
JPH09220293A (ja) * 1995-12-13 1997-08-26 Kyoritsu Sash Kogyo Kk 避難設備
JP2004269154A (ja) 2003-03-07 2004-09-3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104631A (ja) 2003-09-29 2005-04-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8048A8 (en) 2009-02-11
US20090038891A1 (en) 2009-02-12
EP1988048A1 (en) 2008-11-05
US7677363B2 (en) 2010-03-16
JP4926940B2 (ja) 2012-05-09
EP1988048B1 (en) 2014-07-02
WO2007096969A1 (ja) 2007-08-30
CN101300186B (zh) 2011-05-18
KR20080056251A (ko) 2008-06-20
CN101300186A (zh) 2008-11-05
EP1988048A4 (en) 2013-06-12
JPWO2007096969A1 (ja) 200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268B1 (ko)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KR100973883B1 (ko)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US7849973B2 (en) Refuge support system of double deck elevator
US7621378B2 (en) System for controlled operation of elevator in case of fire and method of controlled operation of elevator in case of fire
KR100896872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법
JP5523105B2 (ja) エレベータの避難支援装置
EP2610202B1 (en) Monitor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2004203623A (ja) 建物の人の緊急避難方法およびシステム、および前記システムを用いた既存の建物の近代化方法
JP7360569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JP2005104630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5263725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10775742A (zh) 多轿厢电梯以及轿厢移动控制方法
JP2019038683A (ja) エレベーター
JP201114859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1935639B1 (ko) 엘리베이터의 자동 구출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766974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案内装置
JP201111653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2046310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WO2010029616A1 (ja) エレベータの避難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6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2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6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00830

Appeal identifier: 2010101005311

Request date: 20100709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70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0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5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0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81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