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74329B1 -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및 칼라 필터 - Google Patents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및 칼라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329B1
KR100874329B1 KR1020060091555A KR20060091555A KR100874329B1 KR 100874329 B1 KR100874329 B1 KR 100874329B1 KR 1020060091555 A KR1020060091555 A KR 1020060091555A KR 20060091555 A KR20060091555 A KR 20060091555A KR 100874329 B1 KR100874329 B1 KR 100874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eth
colored layer
acrylate
solv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1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3904A (ko
Inventor
히로끼 오하라
고지 히라노
다쯔야 하또리
Original Assignee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3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3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D201/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9D201/0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oxygen atoms
    • C09D201/08Carboxyl grou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A) 착색제, (B) 알칼리 가용성 수지, (C) 다관능성 단량체, (D) 광중합 개시제 및 (E)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3 내지 8.5 중량%를 함유하는 혼합 용매를 함유하여 착색층 형성용인 감방사선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슬릿 노즐 부분에 발생하는 건조물의 용해성이 높고, 나아가 건조 도막에 크레이터상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감방사선성 조성물, 착색제, 알칼리 가용성 수지, 다관능성 단량체, 광중합 개시제,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Description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및 칼라 필터 {RADIATION SENSITIVE COMPOSITION FOR FORMING A COLORED LAYER, AND COLOR FILTER}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2-144502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3-53201호 공보
본 발명은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칼라 필터의 형성 방법, 칼라 필터 및 칼라 액정 표시 패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투과형 또는 반사형 칼라 액정 표시 장치, 칼라 촬상관 소자 등에 사용되는 칼라 필터의 제조에 유용한 착색층인 화소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의 형성에 사용되는 감방사선성 조성물, 해당 감방사선성 조성물을 사용하는 칼라 필터의 형성 방법, 해당 감방사선성 조성물로 형성된 착색층을 구비하는 칼라 필터, 및 해당 칼라 필터를 구비하는 칼라 액정 표시 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칼라 필터를 제조할 때에는, 통상적으로 기판 상 또는 미리 원하는 패턴의 차광층을 형성한 기판 상에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의 도막을 형성하고, 원하는 패턴 형상을 갖는 포토 마스크를 통하여 방사선을 노광한 후, 현상하여 미노광부를 용해 제거하고, 그 후 클린 오븐이나 핫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열 처리함으로써, 각 색의 화소를 얻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평)2-144502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3-53201호 공보 참조)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칼라 필터를 제조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스핀 방식에 의해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을 기판 상에 도포하고 있지만, 기판의 대형화에 따라 도포 방식은 슬릿ㆍ앤드ㆍ스핀 방식이나 스핀리스 방식 등의 슬릿 노즐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이행하고 있다.
그러나, 슬릿ㆍ앤드ㆍ스핀 방식이나 스핀리스 방식에서는 슬릿 노즐을 사용하여 도포를 행하기 때문에, 이에 기인하는 도포성이나 수율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에 의한 슬릿 노즐의 오염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슬릿 노즐의 세정 공정이 필요해지고 있다. 상기 세정 공정에서는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의 주용매로 슬릿 노즐을 세정하는 것이 통상적이지만, 주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낮으면, 노즐 부분에 잔류한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이 돌기로서 남고, 기판에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을 도포했을 때 노즐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줄무늬가 발생한다는 문제나,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의 건조물이 낙하하여 기판에 부착되고, 결함이 되어 수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의 건조물의 용매에 대한 재용해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한편,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에 고비점 용매를 병용함으로써 건조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용매를 충분히 증발시키는 것이 곤란 해져 스티킹의 발생이나, 가열 시간이 길어짐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고비점 용매종의 선택이나 첨가량에 따라서는,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을 도포 후의 가열 공정에서, 용매의 증발시에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미소한 기포가 도막 표면에 나타나고, 건조 후에도 그대로 크레이터상의 결함(이하, 「돌비(突沸) 구멍」이라고 함)으로서 남는다는 문제도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고, 슬릿 노즐 부분에 발생한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의 건조물의 용매 재용해성이 높고, 돌비 구멍을 발생하지 않는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로부터 칼라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 해당 칼라 필터 및 그 칼라 필터를 구비한 액정 표시 소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에 사용하는 용매로서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의 건조물의 용매 재용해성이 현저하게 개선되고, 돌비 구멍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첫째로
(A) 착색제, (B) 알칼리 가용성 수지, (C) 다관능성 단량체, (D) 광중합 개시제 및 (E)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3 내지 8.5 중량% 함유하는 용매를 함유하여 착색층 형성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방사선성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착색층」이란, 칼라 필터에 사용되는 화소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층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둘째로
하기 (1) 내지 (4)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필터의 형성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1) 상기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의 도막을 기판 상에 형성하는 공정.
(2) 상기 도막 중 적어도 일부에 노광하는 공정.
(3) 노광 후의 도막을 현상하는 공정.
(4) 현상 후의 도막을 열 처리하는 공정.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세째로
상기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로 형성된 착색층을 구비하는 칼라 필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네째로
상기 칼라 필터를 구비하는 칼라 액정 표시 패널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A) 착색제-
본 발명에서의 착색제는 색조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얻어지는 칼라 필터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되며, 안료, 염료 또는 천연 색소일 수 있다.
칼라 필터에는 고순도, 고투과성의 발색과 내열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의 착색제로서는 발색성이 높고, 내열분해성이 높은 착색제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유기 안료 및 무기 안료,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기 안료 및 카본 블랙이 사용된다.
상기 유기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칼라 인덱스(C.I.; The Society of Dyers and Colourists사 발행)에서 피그먼트(Pigment)로 분류되어 있는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은 칼라 인덱스(C.I.)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C.I. 피그먼트 옐로우 83, C.I. 피그먼트 옐로우 128, C.I. 피그먼트 옐로우 138, C.I. 피그먼트 옐로우 139, C.I. 피그먼트 옐로우 150, C.I. 피그먼트 옐로우 151, C.I. 피그먼트 옐로우 152, C.I. 피그먼트 옐로우 153, C.I. 피그먼트 옐로우 154, C.I. 피그먼트 옐로우 155, C.I. 피그먼트 옐로우 156, C.I. 피그먼트 옐로우 166, C.I. 피그먼트 옐로우 168, C.I. 피그먼트 옐로우 175, C.I. 피그먼트 옐로우 185;
C.I. 피그먼트 바이올렛 19, C.I. 피그먼트 바이올렛 23, C.I. 피그먼트 바이올렛 29, C.I. 피그먼트 바이올렛 32, C.I. 피그먼트 바이올렛 36, C.I. 피그먼트 바이올렛 38;
C.I. 피그먼트 레드 177, C.I. 피그먼트 레드 202, C.I. 피그먼트 레드 206, C.I. 피그먼트 레드 207, C.I. 피그먼트 레드 208, C.I. 피그먼트 레드 209, C.I. 피그먼트 레드 215, C.I. 피그먼트 레드 216, C.I. 피그먼트 레드 220, C.I. 피그먼트 레드 224, C.I. 피그먼트 레드 226, C.I. 피그먼트 레드 242, C.I. 피그먼트 레드 243, C.I. 피그먼트 레드 245, C.I. 피그먼트 레드 254, C.I. 피그먼트 레드 255, C.I. 피그먼트 레드 264, C.I. 피그먼트 레드 265;
C.I. 피그먼트 블루 15, C.I. 피그먼트 블루 15:3, C.I. 피그먼트 블루 15:4, C.I. 피그먼트 블루 15:6, C.I. 피그먼트 블루 60;
C.I. 피그먼트 그린 7, C.I. 피그먼트 그린 36;
C.I. 피그먼트 블랙 1, C.I. 피그먼트 블랙 7.
상기 유기 안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안료는, 예를 들면 황산 재결정법, 용제 세정법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의해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기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티탄, 황산바륨, 탄산칼슘, 아연화, 황산납, 황색납, 아연황, 철단(적색 산화철(III)), 카드뮴적, 군청, 감청, 산화크롬녹, 코발트녹, 인바아, 티탄 블랙, 합성 철흑, 카본 블랙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무기 안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을 화소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착색제로서 1종 이상의 유기 안료가 사용되고,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착색제로서 2종 이 상의 유기 안료, 카본 블랙 또는 그들의 조합이 사용된다.
블랙 매트릭스의 형성에 사용되는 카본 블랙으로서는, 예를 들면 SAF, SAF-HS, ISAF, ISAF-LS, ISAF-HS, HAF, HAF-LS, HAF-HS, NAF, FEF, FEF-HS, SRF, SRF-LM, SRF-LS, GPF, ECF, N-339, N-351 등의 퍼니스 블랙; FT, MT 등의 서멀 블랙: 아세틸렌 블랙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카본 블랙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안료는 목적에 따라 그 입자 표면을 중합체로 개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안료의 입자 표면을 개질하는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8-259876호 공보 등에 기재된 중합체나, 시판 중인 각종 안료 분산용 중합체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착색제는 목적에 따라 분산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면 양이온계, 음이온계, 비이온계, 양쪽성, 실리콘계, 불소계 등의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n-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n-노닐페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변성 폴리에스테르; 3급 아민 변성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이민류 등 외에, 이하 상품명으로 KP(신에쯔 가가꾸 고교(주) 제조), 폴리플로우(교에이샤 가가꾸 (주) 제조), 에프톱(토켐 프로덕츠사 제조), 메가팩(다이닛본 잉크 가가꾸 고교(주)제조), 플로라이드(스미또모 쓰리엠(주) 제조), 아사히 가드, 서프론(이상, 아사히 글래스(주) 제조), Disperbyk-101, 103, 107, 110, 111, 115, 130,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70, 180, 182, 2000, 2001(이상, 빅케미ㆍ재팬(주) 제조), 솔슈퍼스 S5000, S12000, S13240, S13940, S17000, S20000, S22000, S24000, S24000GR, S26000, S27000, S28000(이상, 아비시아(주) 제조), EFKA46, 47, 48, 745, 4540, 4550, 6750, EFKA LP4008, 4009, 4010, 4015, 4050, 4055, 4560, 4800, EFKA Polymer 400, 401, 402, 403, 450, 451, 453(이상, 에프카 케미컬즈(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착색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 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수지 조성물은 적당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착색제로서 안료를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안료를 용매 중, 분산제의 존재하에서, 경우에 따라 알칼리 가용성 수지와 함께, 예를 들면 비즈 밀, 롤 밀 등을 사용하여 분쇄하면서 혼합ㆍ분산하여 안료 분산액으로 하고, 이것을 후술하는 (B) 내지 (E) 성분과 혼합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 분산액을 제조할 때의 분산제의 사용량은, 안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부이다. 분산제 의 사용량이 100 중량부를 초과하면, 현상성 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안료 분산액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E) 성분에 대하여 예시하는 용매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으며, 안료 분산액의 제조에 사용되는 용매는, 상기 안료 분산액에 첨가되는 용매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안료 분산액을 제조할 때의 용매의 사용량은, 안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900 중량부이다.
또한, 안료 분산액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알칼리 가용성 수지도 (B) 성분과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안료 분산액의 제조시, 비즈 밀을 사용하여 제조할 때에는, 예를 들면 직경 0.5 내지 10 mm 정도의 유리 비즈나 티타니아 비즈 등을 사용하고, 안료, 용매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안료 혼합액을, 바람직하게는 냉각수 등으로 냉각하면서 처리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즈의 충전율은, 바람직하게는 밀 용량의 50 내지 80 vol%이다. 안료 혼합액의 주입량은, 바람직하게는 밀 용량의 20 내지 50 vol% 정도이다. 또한, 처리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5 시간이다.
또한, 롤 밀을 사용하여 제조할 때에는, 예를 들면 3축 롤 밀이나 2축 롤 밀 등을 사용하고, 안료 혼합액을 바람직하게는 냉각수 등으로 냉각하면서 처리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롤 간격은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전단력은 바람직하게는 108 dyn/초 정도이다. 또한, 처리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5 시간이다.
-(B) 알칼리 가용성 수지-
본 발명에서의 알칼리 가용성 수지로서는, (A) 착색제에 대하여 결합제로서 작용하고, 칼라 필터를 제조할 때, 그 현상 처리 공정에서 사용되는 현상액,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현상액에 대하여 가용성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그 예로서는 카르복실기, 페놀성 수산기, 술폰산 등의 산성 관능기를 갖는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와 다른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단량체(이하, 「공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라고 함)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이하,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라고 함)로서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크로톤산, α-클로로아크릴산, 신남산 등의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무수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무수 시트라콘산, 메사콘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
3가 이상의 불포화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
숙신산 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프탈산 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등의 2가 이상의 다가 카르복실산의 모노[(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에 스테르;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양쪽 말단에 카르복실기와 수산기를 갖는 중합체의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 중, 특히 (메트)아크릴산, 숙신산 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o-히드록시스티렌, m-히드록시스티렌, p-히드록시스티렌, o-히드록시-α-메틸스티렌, m-히드록시-α-메틸스티렌, p-히드록시-α-메틸스티렌, N-o-히드록시페닐말레이미드, N-m-히드록시페닐말레이미드, N-p-히드록시페닐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술폰산기를 갖는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프렌술폰산, p-스티렌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술폰산기를 갖는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공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실록산 등의 중합체 분자쇄의 말단에 모노(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거대 단량체(이하, 간단히 「거대 단량체」라고 함):
N-페닐말레이미드, N-o-히드록시페닐말레이미드, N-m-히드록시페닐말레이미드, N-p-히드록시페닐말레이미드, N-o-메틸페닐말레이미드, N-m-메틸페닐말레이미드, N-p-메틸페닐말레이미드, N-o-메톡시페닐말레이미드, N-m-메톡시페닐말레이미드, N-p-메톡시페닐말레이미드 등의 N-(치환) 아릴말레이미드나,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등의 N-위치 치환 말레이미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비닐톨루엔, m-비닐톨루엔, p-비닐톨루엔, p-클로로스티렌, o-메톡시스티렌, m-메톡시스티렌, p-메톡시스티렌, o-비닐벤질메틸에테르, m-비닐벤질메틸에테르, p-비닐벤질메틸에테르, o-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m-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p-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인덴, 1-메틸인덴 등의 인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i-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i-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디에닐(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2-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레이트, 3-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아미노알킬에스테르;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글리시딜에스테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부티르산 비닐, 벤조산 비닐 등의 카르복실산 비닐에스테르;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불포화 에테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시안화 비닐리덴 등의 시안화 비닐 화합물;
(메트)아크릴아미드, α-클로로아크릴아미드, N-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불포화 아미드;
1,3-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등의 지방족 공액 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공중합성 불포화 단량체 중, 거대 단량체, N-위치 치환 말레이미드, 2-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대 단량체 중에서는 폴리스티렌 거대 단량체,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거대 단량체가 특히 바람직하며, N-위치 치환 말레이미드 중에서는 N-페닐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알칼리 가용성 수지로서는,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와 공중합성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이하, 간단히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체」라고 함)를 들 수 있다.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체로서는, (a)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와, (b) 폴리스티렌 거대 단량체,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거대 단량체, N-페닐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세롤(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고, (c) 경우에 따라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이하,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체 (I)」이라고 함)가 바람직하며, 특히 (a) (메트)아크릴산을 필수 성분으로 하고, 경우에 따라 숙신산 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및/또는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를 더 함유하는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와, (b) 폴리스티렌 거대 단량체,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거대 단량체, N-페 닐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세롤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고, (c) 경우에 따라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이하,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체 (II)」라고 함)가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체 (II)의 구체예로서는,
(메트)아크릴산/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폴리스티렌 거대 단량체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거대 단량체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N-페닐말레이미드/α-메틸스티렌/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스티렌/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α-메틸스티렌/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숙신산 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숙신산 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숙신산 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스티렌/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숙신산 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스티렌/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세롤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숙신산 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세롤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스티렌/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폴리스티렌 거대 단량체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거대 단량체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폴리스티렌 거대 단량체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거대 단량체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세롤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세롤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체에서의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이다.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 비율이 5 중량% 미만에서는, 얻어지는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의 알칼리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한편 50 중량%를 초과하면, 알칼리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이 과대해지고, 알칼리 현상액에 의해 현상할 때, 착색층의 기판으로부터의 탈락이나 착색층 표면의 막 거칠음을 초래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알칼리 가용성 수지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용출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 평균 분자량(이하, 「Mw」라고 함)은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3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100,000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알칼리 가용성 수지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용출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 수 평균 분자량(이하, 「Mn 」이라고 함)은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6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25,000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알칼리 가용성 수지의 Mw와 Mn의 비(Mw/Mn)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이다.
이러한 특정한 Mw 또는 Mn을 갖는 알칼리 가용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현상성이 우수한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이 얻어지고, 그에 따라 샤프한 패턴 단부를 갖는 착색층을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현상시에 미노광부의 기판 상 및 차광층 상에 잔사, 바탕 오염, 막 잔여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알칼리 가용성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알칼리 가용성 수지의 사용량은, (A) 착색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0 중량부이다. 알칼리 가용성 수지의 사용량이 10 중량부 미만에서는, 예를 들면 알칼리 현상성이 저하하거나, 미노광부의 기판 상 또는 차광층 상에 바탕 오염이나 막 잔여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한편 1,0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착색제 농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박막으로서 목적으로 하는 색 농도를 달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C) 다관능성 단량체-
본 발명에서의 다관능성 단량체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단량체이다.
다관능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킬렌글리콜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등의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나 그들의 디카르복실산 변성물;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실리콘 수지, 스피란 수지 등의 올리고(메트)아크릴레이트;
양쪽 말단 히드록시폴리-1,3-부타디엔, 양쪽 말단 히드록시폴리이소프렌, 양쪽 말단 히드록시폴리카프로락톤 등의 양쪽 말단 히드록실화 중합체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나,
트리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다관능성 단량체 중,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나 이들의 디카르복실산 변성물, 구체적으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가 착색층 강도가 높고, 착색층 표면의 평활성이 우수하며, 미노광부의 기판 상 및 차광층 상에 바탕 오염, 막 잔여 등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다관능성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다관능성 단량체의 사용량은, (B) 알칼리 가용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 중량부이다. 다관능성 단량체의 사용량이 5 중량부 미만에서는 착색층의 강도나 표면 평활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한편 5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알칼리 현상성이 저하하거나, 미노광부의 기판 상 또는 차광층 상에 바탕 오염, 막 잔여 등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관능성 단량체와 함께 분자 내에 1개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단관능성 단량체를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단관능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B) 알칼리 가용성 수지에 대하여 예시한 카르복실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 공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나, N-비닐숙신이미드, N-비닐피롤리돈, N-비닐프탈이미드, N-비닐-2-피페리돈, N-비닐-ε-카프로락탐, N-비닐피롤, N-비닐피롤리딘, N-비닐이미다졸, N-비닐이미다졸리딘, N-비닐인돌, N-비닐인돌린, N-비닐벤즈이미다졸, N-비닐카르바졸, N-비닐피페리딘, N-비닐피페라진, N-비닐모르폴린, N-비닐페녹사딘 등의 N-비닐 유도체류; N-(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외에 시판품으로서, 상품명으로 M-5300, M-5400, M-5600(이상, 도아 고세이(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관능성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관능성 단량체의 사용 비율은, 다관능성 단량체와 단관능성 단량체의 합계 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하이다. 단관능성 단량체의 사용 비율이 90 중량%를 초과하면, 착색층의 강도나 표면 평활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D) 광중합 개시제-
본 발명에서의 광중합 개시제는 가시광선, 자외선, 원자외선, 전자선, X선 등의 노광에 의해, 상기 (C) 다관능성 단량체 및 경우에 따라 사용되는 단관능성 단량체의 중합을 개시할 수 있는 활성종을 발생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비이미다졸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벤조인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α-디케톤계 화합물, 다핵 퀴논계 화합물, 크산톤계 화합물, 디아조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비이미다졸계 화합물 및 트리아진계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의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C) 다관능성 단량체 또는 이것과 단관능성 단량체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8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0 중량부이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0.01 중량부 미만에서는 노광에 의한 경화가 불충분해지고, 착색층 패턴이 소정의 배열을 따라 배치된 칼라 필터를 얻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고, 한편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형성된 착색층이 현상시에 기판으로부터 탈락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광중합 개시제 중, 아세토페논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ㆍ페닐케톤,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1,2-옥탄디온-1-[4-(페닐티오)페닐]-2-(O-벤조일옥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중,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1,2-옥탄디온-1-[4-(페닐티오)페닐]-2-(O-벤조일옥심)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세토페논계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로서 아세토페논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량은, (C) 다관능성 단량체 또는 이것과 단관능성 단량체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8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부이다. 아세토페논계 화합물의 사용량이 0.01 중량부 미만에서는 노광에 의한 경화가 불충분해지고, 착색층 패턴이 소정의 배열을 따라 배치된 칼라 필터를 얻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으며, 한편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형성된 착색층이 현상시에 기판으로부터 탈락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비이미다졸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키스(4-에톡시카르보닐페닐)-1,2'-비이미다졸, 2,2'-비스(2-브로 모페닐)-4,4',5,5'-테트라키스(4-에톡시카르보닐페닐)-1,2'-비이미다졸,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2,2'-비스(2,4-디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2,2'-비스(2,4,6-트리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2,2'-비스(2-브로모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2,2'-비스(2,4-디브로모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2,2'-비스(2,4,6-트리브로모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비이미다졸계 화합물 중,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2,2'-비스(2,4-디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2,2'-비스(2,4,6-트리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2,2'-비스(2,4-디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미다졸계 화합물은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고, 미용해물, 석출물 등의 이물질을 생성하지 않으며, 감도가 높고, 적은 에너지량의 노광에 의해 경화 반응을 충분히 진행시킴과 동시에 콘트라스트가 높고, 미노광부에서 경화 반응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노광 후의 도막은 현상액에 대하여 불용성 경화 부분과, 현상액에 대하여 높은 용해성을 갖는 미경화 부분으로 명확하게 구분되고, 그에 따라 언더 컷이 없는 착색층 패턴이 소정의 배열을 따라 배치된 고정밀한 칼라 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이미다졸계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로서 비이미다졸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량은, (C) 다관능성 단량체 또는 이것과 단관능성 단량체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4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부이다. 비이미다졸계 화합물의 사용량이 0.01 중량부 미만에서는 노광에 의한 경화가 불충분해지고, 착색층 패턴이 소정의 배열을 따라 배치된 칼라 필터를 얻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으며, 한편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현상시에 형성된 착색층의 기판으로부터의 탈락이나 착색층 표면의 막거칠음을 초래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중합 개시제로서 비이미다졸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하기의 수소 공여체를 병용하는 것이 감도를 더 개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수소 공여체」란, 노광에 의해 비이미다졸계 화합물로부터 발생한 라디칼에 대하여 수소 원자를 공여할 수 있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수소 공여체로서는, 하기에서 정의하는 머캅탄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머캅탄계 화합물은 벤젠환 또는 복소환을 모핵으로 하고, 상기 모핵에 직접 결합한 머캅토기를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개 갖는 화합물(이하, 「머캅탄계 수소 공여체」라고 함)이다.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벤젠환 또는 복소환을 모핵으로 하고, 상기 모핵에 직접 결합한 아미노기를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개 갖는 화합물(이하, 「아민계 수소 공여체」라고 함)이다.
또한, 이들 수소 공여체는 머캅토기와 아미노기를 동시에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이들 수소 공여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머캅탄계 수소 공여체는 벤젠환 또는 복소환을 각각 1개 이상 가질 수 있고, 또한 벤젠환과 복소환의 양쪽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 환을 2개 이상 갖는 경우, 축합환을 형성할 수도 있고,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머캅탄계 수소 공여체는 머캅토기를 2개 이상 갖는 경우, 1개 이상의 유리 머캅토기가 잔존하는 한, 나머지 머캅토기 중 1개 이상이 알킬기, 아랄킬기 또는 아릴기로 치환될 수도 있고, 1개 이상의 유리 머캅토기가 잔존하는 한, 2개의 황 원자가 알킬렌기 등의 2가 유기기를 개재하여 결합한 구조 단위, 또는 2개의 황 원자가 디술피드의 형태로 결합한 구조 단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머캅탄계 수소 공여체는 머캅토기 이외의 부분에서 카르복실기, (치환) 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 페녹시카르보닐기, 니트릴기 등에 의해 치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머캅탄계 수소 공여체의 구체예로서는 2-머캅토벤조티아졸, 2-머캅토벤조옥사졸, 2-머캅토벤조이미다졸, 2,5-디머캅토-1,3,4-티아디아졸, 2-머캅토-2,5-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머캅탄계 수소 공여체 중 2-머캅토벤조티아졸, 2-머캅토벤조옥사졸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2-머캅토벤조티아졸이 바람직하다.
아민계 수소 공여체는 분자 내에 벤젠환 또는 복소환을 각각 1개 이상 가질 수 있고, 벤젠환과 복소환의 양쪽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 환을 2개 이상 갖는 경우, 축합환을 형성할 수도 있고,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아민계 수소 공여체는 아미노기 중 1개 이상이 알킬기 또는 치환 알킬기로 치환될 수도 있고, 아미노기 이외의 부분에서 카르복실기, (치환) 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 페녹시카르보닐기, 니트릴기 등에 의해 치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아민계 수소 공여체의 구체예로서는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4-디에틸아미노아세토페논, 4-디메틸아미노프로피오페논, 에틸-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 4-디메틸아미노벤조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아민계 수소 공여체 중,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민계 수소 공여체는 비이미다졸계 화합물 이외의 광중합 개시제의 경우에 있어서도 증감제로서의 작용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소 공여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1종 이상의 머캅탄계 수소 공여체와 1종 이상의 아민계 수소 공여체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감도가 높고, 형성된 착색층이 현상시에 기판으로부터 탈락하기 어려우며, 착색층의 강도도 높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머캅탄계 수소 공여체와 아민계 수소 공여체의 바람직한 조합의 구체예로서는 2-머캅토벤조티아졸/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2-머캅토벤조티아졸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2-머캅토벤조옥사졸/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2-머캅토벤조옥사졸/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조합은 2-머캅토벤조티아졸/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2-머캅토벤조옥사졸/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이며, 특히 바람직한 조합은 2-머캅토벤조티아졸/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이다.
머캅탄계 수소 공여체와 아민계 수소 공여체의 조합에서의 머캅탄계 수소 공여체와 아민계 수소 공여체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4,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3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소 공여체를 비이미다졸계 화합물과 병용하는 경우의 사용량은, (C) 다관능성 단량체 또는 이것과 단관능성 단량체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4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부이다. 수소 공여체의 사용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감도의 개량 효과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한편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형성된 착색층이 현상시에 기판으로부터 탈락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트리아진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2,4,6-트리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메틸-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2-(5-메틸푸란-2-일)에테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2-(푸란-2-일)에테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2-(4-디에틸아미노-2-메틸페닐)에테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2-(3,4-디메톡시페닐)에테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메톡시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 아진, 2-(4-에톡시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n-부톡시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등의 할로메틸기를 갖는 트리아진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트리아진계 화합물 중, 특히 2-[2-(3,4-디메톡시페닐)에테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리아진계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로서 트리아진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량은, (C) 다관능성 단량체 또는 이것과 단관능성 단량체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4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부이다. 트리아진계 화합물의 사용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노광에 의한 경화가 불충분해지고, 착색층 패턴이 소정의 배열을 따라 배치된 칼라 필터를 얻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으며, 한편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형성된 착색층이 현상시에 기판으로부터 탈락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E) 용매-
본 발명에서의 용매는 혼합 용매이며,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용매 중의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의 함유 비율은 3 내지 8.5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중량%이다.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의 함유 비율이 3 중량% 미만 이면,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의 건조물이나 돌비 구멍 등의 억제 효과가 저하할 우려가 있고, 한편 8.5 중량%를 초과하면 용매로서의 용해력이 저하하여 불용물이 석출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매는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이외의 용매(이하, 「다른 용매」라고 함)를 91.5 내지 97 중량%, 바람직하게는 92.5 내지 97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93 내지 97 중량% 함유하고 있다.
다른 용매로서는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A) 내지 (D) 성분이나 후술하는 첨가제 성분을 분산 또는 용해하고, 이들 성분과 반응하지 않으며, 적당한 휘발성을 갖는 것인 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비점 150 ℃ 미만, 바람직하게는 130 ℃ 이상 150 ℃ 미만의 용매(이하, 「저비점 용매」라고 함)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비점」이란, 1 기압에서의 값을 의미한다.
저비점 용매의 구체예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헵타논, 아세트산 n-부틸, 아세트산 i-부틸, 아세트산 i-펜틸, 부티르산 에틸, 부티르산 n-프로필, 부티르산 i-프로필, 피루브산 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저비점 용매 중,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헵타논, 아세트산 i-펜틸, 피루브산 에틸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저비점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혼합 용매 (E) 중의 저비점 용매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 중량%이다. 저비점 용매의 함유 비율이 30 중량% 미만이면 스티킹의 발생이나, 가열 시간이 길어짐에 따른 생산성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고, 한편 70 중량%를 초과하면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의 건조물 억제 효과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혼합 용매 (E)는 다른 용매로서 저비점 용매와 함께, 비점 150 ℃ 이상 180 ℃ 미만, 바람직하게는 155 ℃ 이상 180 ℃ 미만의 용매(이하, 「중비점 용매」라고 함)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비점 용매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모노-n-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시클로헥사논,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부티르산 n-부틸, 아세토아세트산 메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비점 용매 중 에틸렌글리콜 모노-n-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시클로헥사논,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프로필렌글리콜 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틸에테르, 시클로헥사논,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비점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매 중의 중비점 용매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 중량%이다. 중비점 용매의 함유 비율이 20 중량% 미만이면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의 건조물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60 중량%를 초과하면 스티킹의 발생이나 가열 시간이 길어짐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혼합 용매 (E)는 상기 각 용매와 함께 비점 180 ℃ 이상의 용매(단,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제외함)(이하,「고비점 용매」라고 함)를 더 함유할 수도 있다.
고비점 용매의 구체예로서는 벤질에틸에테르, 디헥실에테르, 아세토닐아세톤, 이소포론, 카프로산, 카프릴산, 1-옥탄올, 1-노난올, 벤질알코올, 아세트산 벤질, 벤조산염 에틸, 옥살산 디에틸, 말레산 디에틸, γ-부티로락톤, 탄산에틸렌, 탄산프로필렌, 에틸렌글리콜 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비점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매 중의 각 용매의 함유 비율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바람직하게는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가 3 내지 8.5 중량%, 저비점 용매가 40 내지 70 중량%, 중비점 용매가 20 내지 60 중량%, 고비점 용매가 20 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가 3 내지 7.5 중량%, 저비점 용매가 50 내지 70 중량%, 중비점 용매가 20 내지 50 중량%, 고비점 용매가 20 중량%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가 3 내지 7 중량%, 저비점 용매가 50 내지 65 중량%, 중비점 용매가 25 내지 45 중량%, 고비점 용매가 20 중량% 이하이다. 이러한 혼합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의 건조물이나 돌비 구멍 등의 발생이 현저하게 억제되고, 스티킹의 발생이나 가열 시간이 길어짐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으며, 불용물이 석출되지도 않는, 양호한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에서의 용매의 합계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얻어지는 조성물의 도포성, 안정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해당 조성물의 용매를 제외한 고형분 농도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가 되는 양이 바람직하다.
-다른 첨가제-
본 발명의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은, 상기 (A) 내지 (E) 성분을 필수 성분으로 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 알루미나 등의 충전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플루오로알킬아크릴레이트)류 등의 고분자 화합물;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등의 계면활성제;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비닐 트리에톡시실란, 비닐 트리(2-메톡시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글리 시독시프로필 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 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메틸 디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밀착 촉진제; 2,2-티오비스(4-메틸-6-t-부틸페놀), 2,6-디-t-부틸페놀 등의 산화 방지제; 2-(3-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알콕시벤조페논류 등의 자외선 흡수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의 응집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칼라 필터의 형성 방법
이어서, 본 발명의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이하, 간단히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이라고도 함)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칼라 필터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칼라 필터의 형성 방법은, 적어도 하기 (1) 내지 (4)의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1)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막을 기판 상에 형성하는 공정.
(2) 상기 도막 중 적어도 일부에 노광하는 공정.
(3) 노광 후의 도막을 현상하는 공정.
(4) 현상 후의 도막을 열 처리(이하, 「포스트베이킹」이라고 함)하는 공정.
이하, 이들의 공정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1) 공정-
우선, 기판의 표면 상에 필요에 따라, 화소를 형성하는 부분을 구획하도록 차광층을 형성하고, 이 기판 상에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감압하에서 프리베이킹(이하, 「진공 베이킹」이라고 함)을 행하여 용매를 증발 제거하여 도막을 형성한다.
이 공정에서 사용되는 기판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 실리콘,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외에 환상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나 그의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기판에는, 목적에 따라 실란 커플링제 등에 의한 약품 처리, 플라즈마 처리, 이온 플레이팅, 스퍼터링, 기상 반응법, 진공 증착 등의 적절한 전처리를 실시해 둘 수도 있다.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을 기판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슬릿ㆍ앤드ㆍ스핀 도포법, 스핀리스 도포법 등의 슬릿 노즐을 사용하는 방법(이하, 「슬릿 노즐 도포법」이라고 함)이 바람직하다.
슬릿 노즐 도포법에 사용되는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8 중량%이다.
슬릿 노즐 도포법에서의 도포 조건은 슬릿ㆍ앤드ㆍ스핀 도포법과 스핀리스 도포법, 도포 기판의 크기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예를 들면 스핀리스 도포법에 의해 제5 세대 유리 기판(1,100 mm×1,250 mm)에 도포하는 경우, 슬릿 노즐로부터의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의 토출량은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000 마이크로리터/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1,500 마이크로리터/초이다. 또한, 도공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500 mm/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1,200 mm/초이다.
진공 베이킹의 조건은 진공도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torr, 보다 바람 직하게는 0.2 내지 0.5 torr 정도이고,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10 ℃ 정도이며, 베이킹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분 정도이다.
이 공정에서 형성되는 도막의 두께는 용매 제거 후의 막 두께로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8.0 ㎛,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6.0 ㎛이다.
-(2) 공정-
그 후, 형성된 도막 중 적어도 일부에 노광한다. 도막의 일부에 노광할 때에는, 통상적으로 적당한 패턴을 갖는 포토마스크를 통하여 노광한다.
노광에 사용되는 방사선으로서는, 예를 들면 가시광선, 자외선, 원자외선, 전자선, X선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파장이 190 내지 450 nm의 범위에 있는 방사선이 바람직하다.
방사선의 노광량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0 J/m2 정도이다.
-(3) 공정-
그 후, 현상액을 사용하여 현상하고, 도막의 미노광부를 용해 제거한다.
상기 현상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콜린,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 1,5-디아자비시클로-[4.3.0]-5-노넨 등의 수용액을 포함하는 알칼리 현상액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 현상액에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등의 수용성 유기 용제 나 계면활성제 등을 적량 첨가할 수도 있다. 알칼리 현상 후에는 바람직하게는 수세한다.
현상 처리법으로서는 샤워 현상법, 분무 현상법, 딥(침지) 현상법, 패들(액담굼) 현상법 등의 적당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현상 조건은 상온에서 5 내지 300 초 정도가 바람직하다.
-(4) 공정-
그 후, 포스트베이킹함으로써 기판 상에 착색층을 형성할 수 있다.
포스트베이킹의 조건은 180 내지 230 ℃에서 20 내지 40 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칼라 필터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1) 내지 (4) 공정을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안료가 분산된 각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반복하고, 적색의 화소 패턴, 녹색의 화소 패턴 및 청색의 화소 패턴을 동일 기판 상에 형성함으로써,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 원색의 화소 패턴이 소정의 배열로 배치된 착색층을 기판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색의 화소 패턴의 형성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화소의 막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은, (A) 착색제, (B) 알칼리 가용성 수지, (C) 다관능성 단량체, (D) 광중합 개시제 및 (E) 혼합 용매를 함유하 고, (E) 혼합 용매가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3 내지 8.5 중량% 함유하지만, 특히 바람직한 조성물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하기 (가) 내지 (차)와 같다.
(가) (B) 성분이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체 (II)를 포함하고, (D) 성분이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비이미다졸계 화합물 및 트리아진계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나) 상기 (가)에 있어서, (B) 성분이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체 (II)를 포함하고, (D) 성분 중의 아세토페논계 화합물이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파논-1,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 및 1,2-옥탄디온-1-[4-(페닐티오)페닐]-2-(O-벤조일옥심)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D) 성분 중의 비이미다졸계 화합물이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2,2'-비스(2,4-디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및 2,2'-비스(2,4,6-트리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D) 성분 중의 트리아진계 화합물이 2-[2-(3,4-디메톡시페닐)에테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을 포함하는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다) 상기 (가) 또는 (나)에 있어서, (B) 성분 중의 카르복실기 함유 공중합체 (II)가 (메트)아크릴산/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폴리스티렌 거대 단량체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거대 단량체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스티렌/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숙신산 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숙신산 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숙신산 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스티렌/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숙신산 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스티렌/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세롤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숙신산 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세롤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스티렌/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폴리스티렌 거대 단량체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거대 단량체 공중합체 및 (메트)아크릴산/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세롤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라) 상기 (가) 내지 (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C) 성분이 트리메틸올프 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마) 상기 (가) 내지 (라)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A) 성분이 유기 안료 및/또는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바) 상기 (가) 내지 (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E) 성분이 저비점 용매를 40 내지 70 중량% 함유하는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사) 상기 (바)에 있어서, 저비점 용매가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및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아) 상기 (바) 또는 (사)에 있어서, (E) 성분이 중비점 용매를 20 내지 60 중량% 더 함유하는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차) 상기 (아)에 있어서, 중비점 용매가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시클로헥사논 및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칼라 필터는,
(카) 상기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또는 (차)의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로 형성된 화소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칼라 액정 표시 패널은,
(타) 상기 (카)의 칼라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은, 건조물의 용매 재용해성이 높고, 돌비 구멍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슬릿 노즐 도포법을 사용하는 칼라 필터의 형성에 매우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A) 착색제로서 C.I. 피그먼트 레드 254/C.I. 피그먼트 레드 177=80/20(중량비) 혼합물 15 중량부, 분산제로서 Disperbyk-2001을 4 중량부(고형분 환산), (B) 알칼리 가용성 수지로서 메타크릴산/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벤질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공중합 중량비=20/30/20/30, Mw=9,500, Mn=5,000) 6 중량부 및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75 중량부를 비즈 밀에 의해 처리하여 안료 분산액 (R1)(합계 100 중량부)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안료 분산액 (R1) 100 중량부, (B) 알칼리 가용성 수지로서 메타크릴산/숙신산 모노(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벤질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공중합 중량비=25/10/30/20/15, Mw=12,000, Mn=6,500) 5 중량부, (C) 다관능성 단량체로서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D) 광중합 개시제로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파논-1을 5 중량부, 및 (E) 혼합 용매로서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2.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75 중량부((R1) 중의 양과 합쳐 전체 혼합 용매의 60 중량%),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30 중량%) 및 시클로헥사논 12.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5 중량%)를 혼합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R1-1)을 제조하였다.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R1-1) 중의 용매는 안료 분산액 (R1) 중의 용매를 포함하고 있고, 이하의 각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에서도 동일하다.
얻어진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R1-1)에 대하여, 하기의 순서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건조물의 용매 재용해성의 평가
유리 기판에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R1-1)을 도포하고, 23 ℃, 습도 50 %의 조건하에서 30 분간 풍건시켰다. 그 후, 건조 도막이 부착된 유리 기판을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중에 10 분간 침지하고, 건조 도막의 재용해 상태에 따라 하기의 3 단계로 평가하였다.
○: 침지 중에 건조 도막이 전부 용해됨
△: 10 분간 침지한 후에도 건조 도막의 일부가 남음
×: 10 분간 침지한 후에도 건조 도막이 대부분 또는 전혀 용해하지 않음
돌비 구멍의 평가
표면에 나트륨 이온의 용출을 방지하는 SiO2막이 형성된 소다 유리 기판(300 mm×400 mm)에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R1-1)을 스핀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한 후, 23 ℃에서 진공도가 0.3 torr에 도달할 때까지 진공 베이킹을 행하여 막 두께 2.5 ㎛의 도막을 형성하였다.
그 후, 얻어진 기판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도막의 5 mm×400 mm 사방의 임의의 영역 내에 발생하는 돌비 구멍의 수를 세고, 하기의 3 단계로 평가하였다.
○: 500개 미만
△: 500개 이상 1,000개 미만
×: 1,000개 이상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안료 분산액 (R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하는 (E) 혼합 용매를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1.2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8.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60 중량%) 및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78.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31.5 중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R1-2)를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안료 분산액 (R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하는 (E) 혼합 용매를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1.2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8.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40 중량%) 및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128.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51.5 중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R1-3)를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안료 분산액 (R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하는 (E) 혼합 용매를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3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50.0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50 중량%) 및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11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47 중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R1-4)를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안료 분산액 (R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하는 혼합 용매를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40 중량%),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30 중량%) 및 시클로헥사논 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30 중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R1-5)를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안료 분산액 (R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하는 혼합 용매를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50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50 중량 %),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30 중량%) 및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50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20 중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R1-6)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안료 분산액 (R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하는 혼합 용매를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3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1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40 중량%) 및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112.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45 중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R1-7)를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A) 착색제로서 C.I. 피그먼트 그린 36/C.I. 피그먼트 옐로우 138/C.I. 피그먼트 옐로우 150=50/40/10(중량비) 혼합물 15 중량부, 분산제로서 Disperbyk-2001을 4 중량부(고형분 환산), (B) 알칼리 가용성 수지로서 메타크릴산/ω-카르복시디카프로락톤 모노아크릴레이트/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벤질메타크릴레이트/글리세롤 모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공중합 중량비=15/10/20/10/35/10, Mw=6,000, Mn=3,000) 5 중량부, 및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76 중량부를 비즈 밀에 의해 처리하여 안료 분산액 (G1)(합계 100 중량부)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안료 분산액 (G1) 100 중량부, (B) 알칼리 가용성 수지로서 메타크 릴산/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벤질메타크릴레이트/글리세롤 모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공중합 중량비=15/25/15/35/10, Mw=13,500, Mn=6,000) 5 중량부, (C) 다관능성 단량체로서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D) 광중합 개시제로서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을 5 중량부, 및 (E) 혼합 용매로서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2.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5.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50 중량부((G1) 중의 양과 합쳐 전체 혼합 용매의 50.0 중량%),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8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35.0 중량%) 및 시클로헥사논 2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10.0 중량%)를 혼합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G1-1)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G1-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평가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 있어서, 안료 분산액 (G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하는 (E) 혼합 용매를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1.2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8.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60.0 중량%) 및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78.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31.5 중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G1-2)를 제조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5에 있어서, 안료 분산액 (G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하는 (E) 혼합 용매를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1.2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8.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40.2 중량%) 및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128.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51.3 중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G1-3)를 제조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5에 있어서, 안료 분산액 (G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하는 (E) 혼합 용매를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50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50.2 중량%) 및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11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46.8 중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G1-4)를 제조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실시예 5에 있어서, 안료 분산액 (G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하는 혼합 용매를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60 중량%),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50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20 중량%) 및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50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20 중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 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G1-5)를 제조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실시예 5에 있어서, 안료 분산액 (G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하는 혼합 용매를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30 중량%),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12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50 중량%) 및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50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20 중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G1-6)을 제조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실시예 5에 있어서, 안료 분산액 (G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하는 혼합 용매를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3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1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4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40 중량%) 및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112.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45 중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G1-7)를 제조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A) 착색제로서 C.I. 피그먼트 블루 15/C.I. 피그먼트 바이올렛 23=90/10(중량비) 혼합물 15 중량부, 분산제로서 Disperbyk-2001을 5 중량부(고형분 환산), (B) 알칼리 가용성 수지로서 아크릴산/N-페닐말레이미드/스티렌/페닐메타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거대 단량체 공중합체(공중합 중량비=15/20/10/35/10/10, Mw=23,000, Mn=11,000) 4 중량부, 및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76 중량부를 비즈 밀에 의해 처리하여 안료 분산액 (B1)(합계 100 중량부)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안료 분산액 (B1) 100 중량부, (B) 알칼리 가용성 수지로서 메타크릴산/N-페닐말레이미드/α-메틸스티렌/벤질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 중량비=20/25/25/30, Mw=43,000, Mn=21,000) 10 중량부, (C) 다관능성 단량체로서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 (D) 광중합 개시제로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파논-1을 5 중량부, 및 (E) 혼합 용매로서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틸아세테이트 16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4.9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4 중량부((B1) 중의 양과 합쳐 전체 혼합 용매의 약 55.2 중량%),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32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9.8 중량%) 및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98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30.1 중량%)를 혼합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B1-1)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B1-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9에 있어서, 안료 분산액 (B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하는 (E) 혼합 용매를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7.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8.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4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55.2 중량%) 및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118.2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36.3 중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B1-2)를 제조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9에 있어서, 안료 분산액 (B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하는 (E) 혼합 용매를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7.7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8.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56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40.5 중량%),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81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24.8 중량%) 및 시클로헥사논 85.2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26.2 중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B1-3)를 제조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9에 있어서, 안료 분산액 (B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하는 (E) 혼합 용매를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9.8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54.4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40.0 중량%),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163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50.0 중량%) 및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22.8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7.0 중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 물 (B1-4)를 제조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7>
실시예 9에 있어서, 안료 분산액 (B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하는 혼합 용매를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56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40.5 중량%) 및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194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59.5 중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B1-5)를 제조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8>
실시예 9에 있어서, 안료 분산액 (B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하는 혼합 용매를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88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50.3 중량%),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97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29.8 중량%) 및 시클로헥사논 6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19.9 중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B1-6)을 제조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9>
실시예 9에 있어서, 안료 분산액 (B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하는 혼합 용매를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49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15.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5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40.2 중량%),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81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24.8 중량%) 및 시클로헥사논 65 중량부(전체 혼합 용매의 약 20.0 중량%)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착색층 형성용 조성물 (B1-7)를 제조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68163093-pat00001
Figure 112006068163093-pat00002
Figure 112006068163093-pat00003
본 발명에 따르면, (A) 착색제, (B) 알칼리 가용성 수지, (C) 다관능성 단량체, (D) 광중합 개시제 및 (E)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3 내지 8.5 중량%를 함유하는 혼합 용매를 함유하여 착색층 형성용인 감방사선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A) 착색제,
    (B) (b1) 산성 관능기를 갖는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와, (b2) 중합체 분자쇄의 말단에 모노(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거대 단량체, N-위치 치환 말레이미드, 방향족 비닐 화합물, 인덴,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불포화 카르복실산 아미노알킬 에스테르, 불포화 카르복실산 글리시딜 에스테르, 카르복실산 비닐 에스테르, 불포화 에테르, 시안화비닐 화합물, 불포화 아미드 및 지방족 공액 디엔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불포화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인 알칼리 가용성 수지,
    (C)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단량체,
    (D) 광 중합 개시제, 및
    (E) (e1)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3 내지 8.5 중량%와, (e2) 비점 150℃ 미만의 용매, 비점 150℃ 이상 180℃ 미만의 용매 및 비점 180℃ 이상의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상기 (e1) 이외의 용매 91.5 내지 97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용매
    를 함유하고, 착색층 형성용이며, 또한 (E) 혼합 용제를 제외한 고형분 농도가 5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방사선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E) 혼합 용매가 비점 150℃ 미만의 용매를 30 내지 70 중량% 함유하는 감방사선성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E) 혼합 용매가 비점 150℃ 이상 180℃ 미만의 용매를 20 내지 60 중량% 함유하는 감방사선성 조성물.
  4. (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방사선성 조성물의 도막을 기판 상에 형성하는 공정,
    (2) 상기 도막 중 적어도 일부에 노광하는 공정,
    (3) 노광 후의 도막을 현상하는 공정,
    (4) 현상 후의 도막을 열 처리하는 공정
    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필터의 형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1)의 공정에서 감방사선성 조성물의 도막 형성을 슬릿 노 즐을 사용하여 행하는 칼라 필터의 형성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방사선성 조성물로 형성된 착색층을 구비하는 칼라 필터.
  7. 제6항에 기재된 칼라 필터를 구비하는 칼라 액정 표시 패널.
KR1020060091555A 2005-09-22 2006-09-21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및 칼라 필터 Active KR1008743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75992 2005-09-22
JPJP-P-2005-00275992 2005-09-22
JPJP-P-2006-00075062 2006-03-17
JP2006075062A JP4752556B2 (ja) 2005-09-22 2006-03-17 着色層形成用感放射線性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904A KR20070033904A (ko) 2007-03-27
KR100874329B1 true KR100874329B1 (ko) 2008-12-18

Family

ID=3809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555A Active KR100874329B1 (ko) 2005-09-22 2006-09-21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및 칼라 필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52556B2 (ko)
KR (1) KR100874329B1 (ko)
CN (1) CN1936704B (ko)
TW (1) TWI4005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3911A (ja) * 2005-12-15 2007-06-28 Toyo Ink Mfg Co Ltd 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5122168B2 (ja) * 2007-03-29 2013-01-16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液晶表示ディスプレイ
JP5546734B2 (ja) * 2007-03-29 2014-07-09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液晶表示ディスプレイ
JP4959411B2 (ja) * 2007-04-27 2012-06-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着色光重合性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及び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5224762B2 (ja) * 2007-09-27 2013-07-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顔料分散組成物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カラーフィルタ用光硬化性組成物
JP5156442B2 (ja) * 2008-03-13 2013-03-06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液晶表示ディスプレイ
JP5291405B2 (ja) 2008-07-31 2013-09-18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液晶表示ディスプレイ
CN104536263B (zh) * 2008-09-26 2019-06-21 株式会社Lg化学 用于黑矩阵的光敏树脂组合物
EP2551303B1 (en) 2010-03-24 2016-12-14 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 Resin-treated pigment, method for producing the pigment, and pigment dispersion
JP5919830B2 (ja) * 2011-02-08 2016-05-18 住友化学株式会社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
JP2013195973A (ja) * 2012-03-22 2013-09-30 Mitsubishi Chemicals Corp 着色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液晶表示装置及び有機el表示装置
JP5485433B2 (ja) * 2013-02-08 2014-05-07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液晶表示ディスプレイ
JP6216133B2 (ja) * 2013-03-25 2017-10-18 互応化学工業株式会社 2液混合型の主剤及び硬化剤、並びに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TWI674477B (zh) * 2014-12-25 2019-10-11 日商富士軟片股份有限公司 著色硬化性組成物、彩色濾光片、圖案形成方法、彩色濾光片的製造方法、固體攝像元件及圖像顯示裝置
KR20170039560A (ko) * 2015-10-01 2017-04-11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절연막
JP7131089B2 (ja) * 2018-06-01 2022-09-06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US20230185190A1 (en) * 2021-12-10 2023-06-15 Samsung Sdi Co., Lt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photosensitive resin layer using the same and color filt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6638A (ja) * 1996-12-26 1998-07-14 Clariant Internatl Ltd ロールコート用放射線感応性組成物
US6379865B1 (en) * 2000-04-11 2002-04-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hotoimageable, aqueous acid soluble polyimide polymers
KR20030011480A (ko) * 2001-08-03 2003-02-11 주식회사 덕성 포토레지스트용 박리액 조성물
JP4108303B2 (ja) * 2001-08-23 2008-06-25 三菱化学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261826C (zh) * 2002-01-11 2006-06-28 Az电子材料(日本)株式会社 一种用于正性或负性光刻胶的清洗剂组合物
JP2004110019A (ja) * 2002-08-30 2004-04-08 Toray Ind Inc ポジ型感光性ペースト、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の形成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JP4627617B2 (ja) * 2003-05-23 2011-02-09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および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基板の製造方法
JP4322609B2 (ja) * 2003-09-19 2009-09-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染料含有ネガ型硬化性組成物、並びに、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34045A (ja) * 2004-02-17 2005-09-02 Fujifilm Electronic Materials Co Ltd 着色樹脂組成物
JP4558443B2 (ja) * 2004-03-15 2010-10-06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904A (ko) 2007-03-27
CN1936704A (zh) 2007-03-28
JP2007114723A (ja) 2007-05-10
CN1936704B (zh) 2011-04-13
TW200731006A (en) 2007-08-16
TWI400561B (zh) 2013-07-01
JP4752556B2 (ja)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329B1 (ko)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및 칼라 필터
KR100900389B1 (ko)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및 컬러 필터
KR101345427B1 (ko)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및 컬러 필터
JP5298653B2 (ja) 着色層形成用感放射線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カラー液晶表示素子
JP5176468B2 (ja) 着色層形成用感放射線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カラー液晶表示素子
KR100887096B1 (ko) 컬러 필터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컬러 액정표시 장치
KR20040079322A (ko) 컬러 필터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KR20060047458A (ko)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칼라 필터 및 액정 표시패널
JP4656025B2 (ja) 着色層形成用感放射線性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KR101134278B1 (ko) 감방사선성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5663823B2 (ja) 着色層形成用感放射線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カラー液晶表示素子
JP3807108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感放射線性組成物
CN101266407B (zh) 用于形成着色层的放射线敏感性组合物
KR20020093587A (ko) 컬러 액정 표시 장치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JP4656035B2 (ja) 着色層形成用感放射線性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2009300835A (ja) 感放射線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カラー液晶表示素子
JP3661399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感放射線性組成物
JP2003248115A (ja) カラーフィルタ用感放射線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カラー液晶表示装置
KR20090093823A (ko) 착색층 형성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컬러 액정표시 소자
JP2003302515A (ja) 放射線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ブラックマトリクスおよび液晶表示素子
JP4656036B2 (ja) 着色層形成用感放射線性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TWI400564B (zh) 用於形成彩色層的輻射敏感性樹脂組成物以及彩色濾光片
KR20050076759A (ko) 컬러 필터용 감방사선성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컬러필터 및 컬러 액정 표시 장치
JP5196048B2 (ja) 着色層形成用感放射線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カラー液晶表示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2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9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