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04242A - 클러치의 단접 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치의 단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242A
KR20200004242A KR1020190069178A KR20190069178A KR20200004242A KR 20200004242 A KR20200004242 A KR 20200004242A KR 1020190069178 A KR1020190069178 A KR 1020190069178A KR 20190069178 A KR20190069178 A KR 20190069178A KR 20200004242 A KR20200004242 A KR 20200004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oil chamber
piston
output piston
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야 기타이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00004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24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7/00Systems in which the movement produced is definitely related to the output of a volumetric pump; Telemotors
    • F15B7/001With multiple inputs, e.g. for dual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16D48/064Control of electrically or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9/00Clutches and systems of clutches involving both fluid and magnetic actuation
    • F16D29/005Clutches and systems of clutches involving both fluid and magnetic actuation with a fluid pressure piston driven by an 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6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7/00Systems in which the movement produced is definitely related to the output of a volumetric pump; Telemotors
    • F15B7/06Details
    • F15B7/08Input units; Maste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2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 F16D25/085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the clutch actuation being of the pull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2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 F16D25/087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the clutch being actuated by the fluid-actuated member via a diaphragm spring or an equivalent array of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being distinctly separate from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12Details not specific to one of the before-mentioned types
    • F16D25/14Fluid pressur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16D48/066Control of fluid pressure, e.g. using an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025/081Hydraulic devices that initiate movement of pistons in slave cylinders for actuating clutches, i.e. master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09Control by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fluid valves having control pistons, e.g. sp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27Source of pressure producing the clutch engagement or disengagement action within a circuit; Means for initiating command action in power assisted devices
    • F16D2048/023Source of pressure producing the clutch engagement or disengagement action within a circuit; Means for initiating command action in power assisted devices by pedal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27Source of pressure producing the clutch engagement or disengagement action within a circuit; Means for initiating command action in power assisted devices
    • F16D2048/0254Double actuation, i.e. two actuation means can produce independently an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the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57Hydraulic circuit layouts, i.e. details of hydraulic circuit elements or the arrange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57Hydraulic circuit layouts, i.e. details of hydraulic circuit elements or the arrangement thereof
    • F16D2048/0266Actively controlled valves between pressure source and actuation cyl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클러치의 단접 장치 (10) 는, 클러치 페달 (50) 과, 클러치 실린더 (54) 와, 밟기력 전달 기구 (60) 와, 액추에이터 (48 ; 202) 를 구비한다. 밟기력 전달 기구 (60) 는, 밟기력 전달 기구 (60) 의 밟기력의 전달 경로를 단접하는 분리 기구 (56 ; 200) 를 포함하고, 분리 기구 (56 ; 200) 는, 클러치 페달 (50) 로부터의 밟기력이 입력되는 입력 피스톤 (66) 과, 클러치 실린더 (54) 에 클러치 조작 유압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 피스톤 (68) 과,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유실 (104) 과, 상기 제 1 유실 (104) 과 제 1 유실 (104) 에 접속되어 있는 리저버 탱크 (116) 사이를 단접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전자 밸브 (118) 를 포함하고, 액추에이터 (48 ; 202) 는, 분리 기구 (56 ; 200) 의 출력 피스톤 (68) 에 동력 전달하도록 접속된다.

Description

클러치의 단접 장치{CONNECTING AND DISCONNECTING DEVICE OF CLUTCH}
본 발명은, 운전자에 의한 클러치 페달의 밟기 조작, 및,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단접 가능한 클러치의 단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클러치 페달의 조작량에 기초하여 클러치가 단접되는 클러치의 단접 기구에 있어서,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지 않고 액추에이터에 의해 클러치를 단접 가능한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일례로서,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7-509848호에 기재된 클러치 조작 장치가 있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7-509848호에 있어서는, 마스터 실린더와 슬레이브 실린더 사이를 접속하는 압력 관로의 사이에 밸브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압력 관로와 병렬로 액추에이터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의 개폐에 의해 클러치의 조작 모드가 전환된다. 예를 들어, 밸브가 폐쇄된 경우에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클러치가 단접 가능해진다.
그런데,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7-509848호의 클러치 조작 장치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가 압력 관로와 병렬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주행 중에 액추에이터를 구동시켜 클러치를 차단할 수 있기는 하지만, 클러치 페달의 조작시에는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킬 수 없다. 이에 반하여, 클러치 페달의 조작 중에 액추에이터의 구동이 가능해지면, 클러치 페달의 조작 중에 액추에이터에 의한 어시스트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한 클러치의 단접 과도기에 클러치 페달이 밟힌 경우에는, 클러치 페달에 가해지는 페달 반력이, 클러치 페달 및 액추에이터의 구동 상태에 따라 변화됨으로써, 운전자가 위화감을 느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클러치를 단접 가능하게 구성됨과 함께, 클러치 페달의 조작 중에 액추에이터에 의한 어시스트가 가능한 클러치의 단접 장치에 있어서, 액추에이터에 의한 클러치의 단접 과도기에 클러치 페달이 밟힌 경우여도, 페달 반력의 변화가 억제되는 클러치의 단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클러치의 단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클러치의 단접 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클러치 페달과, 클러치 실린더와, 상기 클러치 페달의 밟기력을 상기 클러치 실린더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밟기력 전달 기구와, 상기 밟기력 전달 기구를 통하여 상기 클러치를 단접하는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밟기력 전달 기구는, 상기 밟기력 전달 기구의 밟기력의 전달 경로를 단접하는 분리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기구는, 상기 클러치 페달로부터의 밟기력이 입력되는 입력 피스톤과, 상기 클러치 실린더에 클러치 조작 유압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 피스톤과, 상기 입력 피스톤과 상기 출력 피스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유실 (油室) 과, 상기 제 1 유실과 상기 제 1 유실에 접속되어 있는 리저버 탱크 사이를 단접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전자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분리 기구의 상기 출력 피스톤에 동력 전달하도록 접속된다.
본 발명의 양태는, 추가로, 상기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전자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제어 유닛을 구비해도 된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과도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실과 상기 리저버 탱크가 접속되도록 상기 전자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동식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해도 되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 피스톤이 상기 클러치의 차단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 상기 제 1 유실과 상기 리저버 탱크의 접속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자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는, 노멀 클로즈식이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실은, 릴리프 밸브를 통하여 리저버 탱크에 접속되어도 되고, 상기 릴리프 밸브는, 상기 제 1 유실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페달의 최대 반력이 발생할 때의 유압치보다 큰 유압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 1 유실과 상기 리저버 탱크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동 모터와, 나사 전동 장치와, 유압 실린더와, 제 2 유실을 포함해도 되고, 상기 나사 전동 장치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나사 전동 장치는, 상기 유압 실린더를 구동하도록 접속되어도 되고, 상기 제 2 유실은, 작동유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출력 피스톤을 상기 클러치의 차단 방향으로 누르도록 상기 출력 피스톤과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도 되고, 상기 제 2 유실은, 상기 유압 실린더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유입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동 모터와 나사 전동 장치를 포함해도 되고, 상기 나사 전동 장치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나사 전동 장치는, 상기 출력 피스톤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접속되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실 내에는, 상기 입력 피스톤을 상기 클러치 페달의 밟기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전자 밸브에 의해 제 1 유실과 리저버 탱크 사이의 단접이 전환됨으로써, 입력 피스톤과 출력 피스톤 사이에서 밟기력의 전달의 전환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클러치 페달의 밟기 과도기에 있어서, 전자 밸브에 의해 제 1 유실과 리저버 탱크 사이가 차단됨으로써, 제 1 유실은 밀폐되고, 입력 피스톤과 출력 피스톤 사이에서, 제 1 유실의 작동유를 통하여 밟기력의 전달이 가능해진다. 이것으로부터, 클러치 페달의 밟기력이 입력 피스톤 및 제 1 유실을 통하여 출력 피스톤에 전달된다. 또, 클러치 페달의 밟기 과도기에 있어서, 액추에이터의 동력이 출력 피스톤에 전달됨으로써, 액추에이터에 의해 클러치의 단접을 어시스트할 수 있다.
또, 액추에이터에 의한 클러치의 단접 과도기는, 전자 밸브에 의해 제 1 유실과 리저버 탱크가 접속됨으로써, 제 1 유실의 유압이 해방되고, 입력 피스톤과 출력 피스톤 사이에서 밟기력의 전달이 차단된다. 따라서, 입력 피스톤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액추에이터에 의해 출력 피스톤을 이동시켜 클러치를 단접할 수 있다. 또, 액추에이터에 의한 클러치의 단접 과도기에, 클러치 페달이 밟힌 경우여도, 입력 피스톤과 출력 피스톤 사이에서 밟기력의 전달이 차단됨으로써, 클러치 페달의 밟기 과도기에 있어서의, 클러치 페달의 페달 반력의 변화가 억제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액추에이터에 의해 출력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과도기에 있어서, 전자 밸브에 의해 제 1 유실과 리저버 탱크가 접속되기 때문에, 입력 피스톤과 출력 피스톤 사이에서 밟기력의 전달이 차단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에 의해 출력 피스톤이 이동되고 있는 과도기에 클러치 페달이 밟힌 경우여도, 클러치 페달의 페달 반력이 변화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추가로, 액추에이터에 의해 출력 피스톤이 클러치의 차단 위치까지 이동하면, 전자 밸브에 의해 제 1 유실과 리저버 탱크의 접속이 차단되기 때문에, 입력 피스톤과 출력 피스톤 사이의 제 1 유실이 밀폐되고, 액추에이터로의 통전을 차단한 상태여도, 출력 피스톤을 클러치의 차단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출력 피스톤을 유지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전력 소비량이 저감된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추가로, 전자 밸브가 노멀 클로즈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클러치 페달의 밟기 과도기에 액추에이터 및 전자 밸브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되는 전원계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전자 밸브가 폐쇄되어 제 1 유실과 리저버 탱크가 차단된다. 따라서, 클러치 페달의 밟기 과도기에 상기 전원계가 고장난 경우에 있어서, 액추에이터에 의한 어시스트가 정지되기는 하지만, 클러치 페달의 조작에 의한 주행이 가능해진다. 또, 액추에이터에 의한 출력 피스톤의 이동 중에 전원계가 고장난 경우에도 전자 밸브가 폐쇄됨으로써, 제 1 유실의 작동유에 의해 출력 피스톤이 로크된다. 따라서, 상기 고장에 의한 클러치의 급걸어맞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추가로, 액추에이터에 의해 출력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과도기에 전원계가 고장났을 때에, 전자 밸브에 의해 제 1 유실과 리저버 탱크 사이가 차단된 경우에는, 클러치 페달의 최대 반력이 발생할 때의 유압치보다 큰 유압이 발생하도록 클러치 페달을 강하게 밟음으로써, 제 1 유실의 작동유가 릴리프 밸브를 통하여 리저버 탱크로 유입되기 때문에, 출력 피스톤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추가로, 제 2 유실에 유압 실린더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공급됨으로써, 제 2 유실의 작동유의 유압에 의해, 클러치 페달의 밟기 과도기에 있어서 출력 피스톤에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부여하거나, 출력 피스톤을 자동으로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추가로, 전동 모터의 회전 운동이 나사 전동 장치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전동 모터에 의해 출력 피스톤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동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클러치 페달의 밟기 과도기에 있어서 출력 피스톤에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부여하거나, 출력 피스톤을 자동으로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추가로, 제 1 유실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았을 때의 페달 반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특징들, 장점들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되고,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클러치의 단접 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의 분리 기구의 확대도이다.
도 3 은 통상 주행시에 있어서의 분리 기구 및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자동 제어 중에 있어서의 분리 기구 및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자동 제어에 의해 출력 피스톤이 클러치가 차단되는 클러치 차단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의 분리 기구 및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자동 제어에 의해 출력 피스톤이 클러치 차단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 있어서, 타행 (惰行) 주행의 성립 조건이 성립되지 않게 되었을 때의 분리 기구 및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자동 제어에 의한 출력 피스톤의 이동 과도기에 있어서, 클러치 페달이 밟혔을 때의 분리 기구 및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도 7 의 클러치 페달이 밟힌 상태로부터 클러치 페달이 되돌려지는 과도기의 분리 기구 및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클러치 페달의 조작에 의해 클러치를 단접하는 통상 주행시에 있어서, 전동 모터 및 전자 전환 밸브로의 전력 공급이 곤란해지는 시스템 고장이 발생했을 때의 분리 기구 및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출력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자동 제어 중에, 전자 전환 밸브 및 전동 모터로의 전력 공급이 곤란해지는 시스템 고장이 발생한 경우의 분리 기구 및 마스터 실린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분리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면은 적절히 간략화 혹은 변형되어 있고, 각 부의 치수 비 및 형상 등은 반드시 정확하게 그려져 있지 않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클러치 (16) 의 단접 장치 (10) 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단접 장치 (10) 는, 엔진 (12) 과 수동 변속기 (14)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 상에 형성되어 있는 클러치 (16) 를 단접하는 장치이다.
엔진 (12) 은, 차량 주행용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력원으로, 예를 들어, 기통 내에 분사되는 연료의 연소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가솔린 엔진 혹은 디젤 엔진 등의 내연 기관이다. 수동 변속기 (14) 는, 엔진 (12) 과 구동륜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에 형성되고, 예를 들어 잘 알려진 평행 2 축식 트랜스 미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16) 는, 클러치 페달 (50) 이 밟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접속 상태가 되고, 이 때, 엔진 (12) 과 수동 변속기 (14) 사이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접속되는 동력 전달 상태가 된다. 한편, 클러치 페달 (50) 이 밟히면, 클러치 (16) 가 슬립 상태 또는 차단 상태로 전환된다. 또, 클러치 (16) 는, 후술하는 액추에이터 (48) 에 의해 자동으로 차단할 수도 있다.
클러치 (16) 는, 엔진 (12) 의 출력축 (22) 에 장착된 플라이 휠 (24) 과, 수동 변속기 (14) 의 변속기 입력축 (26) 에 장착된 클러치 디스크 (28) 와, 플라이 휠 (24) 에 접속되어 있는 클러치 커버 (30) 와, 클러치 커버 (30) 내에 수용되어 있는 프레셔 플레이트 (32) 와, 클러치 디스크 (28) 를 플라이 휠 (24) 에 가압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다이어프램 스프링 (34) 과, 변속기 입력축 (26) 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상기 변속기 입력축 (26) 에 대해 축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 가능한 릴리즈 베어링 (36)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16) 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다이어프램 스프링 (34) 에 의해 프레셔 플레이트 (32) 및 클러치 디스크 (28) 가 플라이 휠 (24) 에 가압된다. 이 때, 플라이 휠 (24) 과 클러치 디스크 (28) 가 밀착된 상태가 된다. 또, 클러치 (16) 가 접속된 상태로부터, 릴리즈 베어링 (36) 이 축 방향에서 엔진 (12) 측으로 이동되고, 다이어프램 스프링 (34) 의 내주부가 릴리즈 베어링 (36) 에 의해 눌리면, 다이어프램 스프링 (34) 이 변형되어, 클러치 디스크 (28) 를 플라이 휠 (24) 에 가압하는 탄성력이 감소한다. 이 때, 클러치 (16) 가 슬립 상태가 된다. 또한, 릴리즈 베어링 (36) 이 소정의 클러치 차단 위치까지 이동하면, 다이어프램 스프링 (34) 이 클러치 디스크 (28) 를 플라이 휠 (24)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이 제로가 되어, 클러치 디스크 (28) 가 플라이 휠 (24) 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된다. 이 때, 클러치 (16) 가 차단된다.
단접 장치 (10) 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클러치 페달 (50) 과,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력을 유압으로 변환하는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 (52) (이하, 마스터 실린더 (52)) 와,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력이 전달되는 클러치 릴리즈 실린더 (54) (이하, 클러치 실린더 (54)) 와, 마스터 실린더 (52) 와 클러치 실린더 (54) 사이에 형성되어, 마스터 실린더 (52) 와 클러치 실린더 (54) 사이에서 밟기력의 전달 경로를 단접 가능한 분리 기구 (56) 와, 클러치 실린더 (54) 의 작동량에 따라 릴리즈 베어링 (36) 을 이동시키기 위한 릴리즈 포크 (58) 와, 분리 기구 (56)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분리 기구 (56) 를 통하여 클러치 실린더 (54) 를 조작 가능, 즉 클러치 (16) 를 단접 가능한 액추에이터 (48)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마스터 실린더 (52) 및 분리 기구 (56) 에 의해,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력을 클러치 실린더 (54) 에 전달하는 밟기력 전달 기구 (60) 가 구성된다.
클러치 페달 (50) 은, 운전자에 의해 밟힘으로써, 지지부 (50a) 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클러치 페달 (50) 과 마스터 실린더 (52) 는, 연결 로드 (62) 를 통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마스터 실린더 (52) 는, 원통상의 실린더 보디 (52a) 와, 실린더 보디 (52a) 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는 원판상의 피스톤 (52b) 과, 실린더 보디 (52a) 및 피스톤 (52b) 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작동유가 충전되어 있는 유압실 (52c) 과, 작동유의 저류용 리저버 탱크 (52d)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 (52b) 과 클러치 페달 (50) 은, 연결 로드 (62) 를 통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클러치 페달 (50) 이 밟히면, 클러치 페달 (50) 의 조작량 (스트로크량) 에 따라 피스톤 (52b) 이 실린더 보디 (52a) 내를 이동한다. 이 때, 유압실 (52c) 내에 있어서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력에 따른 유압이 발생한다.
클러치 실린더 (54) 는, 원통상의 실린더 보디 (54a) 와, 실린더 보디 (54a) 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는 원판상의 피스톤 (54b) 과, 실린더 보디 (54a) 및 피스톤 (54b) 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작동유가 충전되어 있는 유압실 (54c) 과, 피스톤 (54b) 에 연결되어 있는 로드 (54d) 로 구성되어 있다. 로드 (54d) 의 선단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릴리즈 포크 (58) 의 일단에 맞닿아 있다.
릴리즈 포크 (58) 는, 지지부 (58a) 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길이 방향의 일단이 로드 (54d) 의 선단에 맞닿음과 함께, 타단이 릴리즈 베어링 (36) 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 (36a) 에 맞닿아 있다. 이것으로부터, 클러치 실린더 (54) 의 피스톤 (54b) 이, 유압실 (54c) 내의 작동유의 유압에 의해 실린더 보디 (54a) 내를 이동하면, 상기 피스톤 (54b) 의 이동에 연동하여 로드 (54d) 가 이동함으로써, 로드 (54d) 의 선단에 맞닿는 릴리즈 포크 (58) 의 일단이 이동된다. 이 때, 릴리즈 포크 (58) 가 지지부 (58a) 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됨으로써, 릴리즈 포크 (58) 의 타단의 위치가 변화하고, 릴리즈 포크 (58) 의 타단에 맞닿는 릴리즈 베어링 (36) 이 이동된다. 따라서, 클러치 실린더 (54) 의 작동량에 따라 릴리즈 포크 (58) 가 회동함으로써, 클러치 (16) 의 단접 상태가 전환된다.
다음으로, 밟기력 전달 기구 (60) 를 구성하고, 밟기력의 전달 경로를 단접하는 분리 기구 (56) 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는, 도 1 의 분리 기구 (56) 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2 는,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가 해제되어, 클러치 (16) 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분리 기구 (56) 는, 원통상의 실린더 보디 (64) 와, 실린더 보디 (64) 에 수용되어 있는, 1 쌍의 입력 피스톤 (66) 및 출력 피스톤 (68)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입력 피스톤 (66) 및 출력 피스톤 (68) 은, 각각 실린더 보디 (64) 의 내벽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 에 있어서 지면 우측에 도 1 에 나타내는 마스터 실린더 (52) 가 배치되어 있고, 입력 피스톤 (66) 은, 실린더 보디 (64) 내에 있어서 출력 피스톤 (68) 보다 마스터 실린더 (52) 측 (지면 우측) 에 배치되어 있다. 또, 출력 피스톤 (68) 은, 입력 피스톤 (66) 보다 마스터 실린더 (52) 로부터 멀어지는 측 (지면 좌측) 에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 보디 (64) 의 내벽면에는, 단차부 (70) 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실린더 보디 (64) 의 단차부 (70) 를 경계로 하여, 실린더 보디 (64) 의 내경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단차부 (70) 를 경계로 하여 마스터 실린더 (52) 측이, 마스터 실린더 (52) 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비하여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입력 피스톤 (66) 에는, 마스터 실린더 (52) 를 통하여 클러치 페달 (50) 로부터의 밟기력이 입력된다. 입력 피스톤 (66) 은,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 보디 (64) 의 소직경에 형성되어 있는 내벽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있다. 또, 입력 피스톤 (66) 의 출력 피스톤 (68) 과 대향하는 측에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플랜지부 (76) 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 (76) 는, 단차부 (70) 에 의해 형성되는, 입력 피스톤 (66) 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벽면에 맞닿을 수 있게 되어 있다. 플랜지부 (76) 가 단차부 (70) 에 의해 형성되는 벽면에 맞닿음으로써, 입력 피스톤 (66) 의 마스터 실린더 (52)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도 2 는, 플랜지부 (76) 가 단차부 (70) 의 벽면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2 에 나타내는 입력 피스톤 (66) 의 플랜지부 (76) 가 단차부 (70) 의 벽면에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16) 가 접속된 상태가 된다. 즉, 도 2 에 나타내는, 입력 피스톤 (66) 의 플랜지부 (76) 가 단차부 (70) 의 벽면에 맞닿는 위치가, 입력 피스톤 (66) 의 클러치 접속 위치가 되고, 입력 피스톤 (66) 이 단차부 (70) 의 상기 벽면을 향하는 방향 (지면 우측 방향) 이, 클러치 접속 방향이 된다. 한편,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이 밟기력을 전달 가능하게 접속된 통상 주행시에 있어서, 입력 피스톤 (66) 이 단차부 (70) 의 벽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클러치 (16) 가 차단된다. 따라서, 입력 피스톤 (66) 이 단차부 (70) 의 벽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지면 좌측 방향) 이, 클러치 차단 방향이 된다.
입력 피스톤 (66) 의 클러치 접속 방향측에는, 실린더 보디 (64) 와 입력 피스톤 (66) 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인 입력측 유실 (78) 이 형성되어 있다. 입력측 유실 (78) 은, 연결관 (80) 을 통하여 마스터 실린더 (52) 의 유압실 (52c) 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클러치 페달 (50) 이 밟히면, 마스터 실린더 (52) 의 유압실 (52c) 에 있어서 유압이 발생하고, 상기의 유압이 연결관 (80) 을 경유하여 입력측 유실 (78) 에 전달된다. 상기 입력측 유실 (78) 에 전달된 유압에 의해 입력 피스톤 (66) 이 눌림으로써, 입력 피스톤 (66) 이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 입력 피스톤 (66) 은, 후술하는 제 1 유실 (104) 에 수용되어 있는 스프링 (106) 에 의해, 클러치 접속 방향으로 항상 탄성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클러치 페달 (50) 이 밟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입력 피스톤 (66) 은, 스프링 (106) 의 탄성력에 의해 클러치 접속 위치로 이동된다.
출력 피스톤 (68) 은, 실린더 보디 (64) 내에 있어서 입력 피스톤 (66) 과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출력 피스톤 (68) 은, 입력 피스톤 (66) 과 서로 마주보는 원기둥상의 제 1 원기둥부 (82) 와, 제 1 원기둥부 (82) 보다 대직경의 원기둥상으로 형성된 제 2 원기둥부 (84) 와, 후술하는 스프링 (96) 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부 (86) 로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 보디 (64) 에는, 내벽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출력 피스톤 (68) 의 제 1 원기둥부 (82) 를, 출력 피스톤 (68) 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스톤 지지부 (88)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원기둥부 (82) 는, 피스톤 지지부 (88) 의 내주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공 (89) 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있다.
제 2 원기둥부 (84) 는, 제 1 원기둥부 (82) 의 클러치 차단 방향측의 단부에 연결되고, 피스톤 지지부 (88) 보다 클러치 차단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원기둥부 (84) 의 클러치 접속 방향측의 단부에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신장하는 플랜지부 (90) 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 (90) 의 외주면은, 실린더 보디 (64) 의 내벽면에 슬라이딩 접촉되어 있다. 또, 플랜지부 (90) 는, 출력 피스톤 (68) 의 이동 방향에서 피스톤 지지부 (88) 와 이웃하는 점에서, 피스톤 지지부 (88) 에 맞닿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 는, 출력 피스톤 (68) 의 플랜지부 (90) 와 피스톤 지지부 (88) 가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 (90) 가 피스톤 지지부 (88) 와 맞닿음으로써, 출력 피스톤 (68) 의 클러치 접속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출력 피스톤 (68) 의 플랜지부 (90) 가 피스톤 지지부 (88) 와 맞닿는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16) 가 접속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출력 피스톤 (68) 의 플랜지부 (90) 가 피스톤 지지부 (88) 와 맞닿는 위치가, 출력 피스톤 (68) 의 클러치 접속 위치가 된다. 또, 출력 피스톤 (68) 의 플랜지부 (90) 가 피스톤 지지부 (88) 에 맞닿는 방향 (지면 우측향) 이 클러치 접속 방향이 되고, 출력 피스톤 (68) 이 피스톤 지지부 (88)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지면 좌측 방향) 이 클러치 차단 방향이 된다. 즉, 출력 피스톤 (68) 이 클러치 접속 방향으로 이동하면 클러치 (16) 가 접속되고,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이동하면 클러치 (16) 가 차단된다.
스프링 수용부 (86) 는, 실린더 보디 (64) 의 내벽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원통상의 원통부 (92) 와, 제 2 원기둥부 (84) 의 중심으로부터 클러치 차단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원기둥상의 돌출부 (94)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원통부 (92) 의 내주와 돌출부 (94) 의 외주 사이에는, 환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에 스프링 (96) 이 수용되어 있다. 스프링 (96) 은, 일단이 실린더 보디 (64) 의 바닥벽부 (98) 에 맞닿음과 함께, 타단이 제 2 원기둥부 (84) 에 맞닿아 있고, 출력 피스톤 (68) 을 클러치 접속 방향으로 항상 탄성 지지하고 있다.
또, 출력 피스톤 (68) 의 클러치 차단 방향측에는, 실린더 보디 (64) 와 출력 피스톤 (68) 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인, 출력측 유실 (100) 이 형성되어 있다. 출력측 유실 (100) 은, 스프링 (96) 이 수용되는 공간을 포함하고 있다. 출력측 유실 (100) 에는, 작동유가 충전되어 있고, 연결관 (102) 을 통하여 클러치 실린더 (54) 의 유압실 (54c) 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출력측 유실 (100) 의 작동유의 유압 (이하, 클러치 조작 유압) 이, 연결관 (102) 을 경유하여 유압실 (54c) 에 전달되고, 클러치 실린더 (54) 가 클러치 조작 유압에 의해 작동된다. 이와 같이, 출력 피스톤 (68) 은, 클러치 실린더 (54) 에 클러치 조작 유압을 출력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출력측 유실 (100) 은, 출력 피스톤 (68) 의 위치에 따라 단접되는 리저버 탱크 (101) 에 접속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출력 피스톤 (68) 이 클러치 접속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출력측 유실 (100) 과 리저버 탱크 (101) 가 접속된다. 이 때, 출력측 유실 (100) 이 해방됨으로써, 출력측 유실 (100) 에 있어서 유압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출력 피스톤 (68) 이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이동하면, 원통부 (92) 에 의해 출력측 유실 (100) 과 리저버 탱크 (101) 의 접속이 차단된다 (도 3 등 참조). 이 때, 출력측 유실 (100) 이 밀폐됨으로써, 출력측 유실 (100) 내에 있어서, 출력 피스톤 (68) 의 이동에 수반하는 클러치 조작 유압이 발생한다.
실린더 보디 (64) 내에 있어서,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사이에는, 작동유가 충전된 제 1 유실 (104)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유실 (104) 은, 실린더 보디 (64), 입력 피스톤 (66), 및 출력 피스톤 (68) 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제 1 유실 (104) 이 밀폐된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에 의해 입력 피스톤 (66) 이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이동하면, 출력 피스톤 (68) 이 제 1 유실 (104) 내의 작동유에 눌려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사이에는, 항상 제 1 유실 (104) 이 개재되어,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이 직접 맞닿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 1 유실 (104) 내에는, 스프링 (106) 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106) 의 일단이 피스톤 지지부 (88) 에 맞닿음과 함께, 타단이 입력 피스톤 (66) 의 플랜지부 (76) 에 맞닿아 있다. 스프링 (106) 은, 입력 피스톤 (66) 을 클러치 접속 방향, 즉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항상 탄성 지지되어 있다.
실린더 보디 (64) 내에는, 출력 피스톤 (68) 의 플랜지부 (90) 에 인접하는 제 2 유실 (108)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유실 (108) 은, 실린더 보디 (64) 의 내벽면, 출력 피스톤 (68), 및 피스톤 지지부 (88) 에 의해 둘러싸인 환상의 공간으로, 내부에 작동유가 충전되어 있다. 상기 제 2 유실 (108) 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출력 피스톤 (68) 이 제 2 유실 (108) 의 작동유의 유압에 의해 눌리기 때문에, 출력 피스톤 (68) 이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밟기력 전달 기구 (60) 를 구성하는 분리 기구 (56) 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분리 기구 (56) 를 통하여 클러치 (16) 를 단접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동식의 액추에이터 (48) 에 대해 설명한다. 액추에이터 (48) 는, 전동 모터 (119) 와, 전동 모터 (119) 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나사 전동 장치 (117) 와, 나사 전동 장치 (117) 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용 실린더 (115) 와, 출력 피스톤 (68) 과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작동유가 공급됨으로써 출력 피스톤 (68) 을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누르기 위한 제 2 유실 (108)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2 유실 (108) 은, 연결관 (110) 을 통하여 제어용 실린더 (115) 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용 실린더 (115) 는, 원통상의 실린더 보디 (115a) 와, 실린더 보디 (115a) 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는 원판상의 피스톤 (115b) 과, 실린더 보디 (115a) 와 피스톤 (115b) 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작동유가 충전되어 있는 유압실 (115c) 과, 도시되지 않은 리저버 탱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 (115b) 은, 로드 (113) 를 통하여 나사 전동 장치 (117) 의 후술하는 너트 부재 (117a) 에 접속되어 있다. 또, 유압실 (115c) 은, 연결관 (110) 을 통하여 제 2 유실 (108) 에 접속되어 있는 점에서, 제 2 유실 (108) 은, 제어용 실린더 (115) 로부터 출력되는 작동유를 받아들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용 실린더 (115) 가, 유압 실린더의 일례이다.
나사 전동 장치 (117) 는, 로드 (113) 에 연결되어 있는 너트 부재 (117a) 와, 너트 부재 (117a) 와 끼워맞추는 나사축 (117b) 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사축 (117b) 은, 그 일단에 접속되어 있는 전동 모터 (119) 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전동 모터 (119) 가 회전하면 나사축 (117b) 에 대해서도 회전함으로써, 너트 부재 (117a) 가 나사축 (117b) 의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너트 부재 (117a) 는, 로드 (113) 를 통하여 제어용 실린더 (115) 의 피스톤 (115b) 에 연결되어 있는 점에서, 너트 부재 (117a) 에 연동하여 피스톤 (115b) 이 나사축 (117b) 의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 피스톤 (115b) 이 이동하면, 유압실 (115c) 에 있어서 유압이 발생하고, 상기 유압이 연결관 (110) 을 통하여 제 2 유실 (108) 에 전달되기 때문에, 출력 피스톤 (68) 이 제 2 유실 (108) 의 유압에 의해 눌린다. 따라서,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 과도기에 있어서, 전동 모터 (119) 를 제어함으로써, 출력 피스톤 (68) 에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의 힘을 부여하고, 클러치 (16) 의 차단에 필요한 조작력을 어시스트할 수 있다. 또, 클러치 페달 (50) 이 밟히지 않은 상태여도, 전동 모터 (119) 를 구동시켜 출력 피스톤 (68) 을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클러치 (16) 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유실 (104) 은, 연결관 (114) 를 통하여 리저버 탱크 (116) 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연결관 (114) 상에는, 제 1 유실 (104) 과 리저버 탱크 (116) 사이를 단접 가능한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형성되어 있다. 전자 전환 밸브 (118) 는,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구조 및 작동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전자 밸브의 일례이다.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밸브 폐쇄되면, 제 1 유실 (104) 과 리저버 탱크 (116) 의 접속이 차단됨으로써, 제 1 유실 (104) 이 밀폐된 공간이 된다. 이 때,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사이에서, 제 1 유실 (104) 의 작동유를 통하여 밟기력이 전달된다.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밸브 개방되면, 제 1 유실 (104) 과 리저버 탱크 (116) 가 전자 전환 밸브 (118) 를 통하여 접속된다. 이 때, 제 1 유실 (104) 이 해방됨으로써,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사이에서 밟기력의 전달이 차단된다. 예를 들어, 클러치 페달 (50) 이 밟힘으로써 입력 피스톤 (66) 이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여도, 제 1 유실 (104) 의 작동유가 리저버 탱크 (116) 측에 유입되고, 제 1 유실 (104) 내에 있어서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에 의한 유압이 발생하는 경우도 없기 때문에, 출력 피스톤 (68) 에는 밟기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즉,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밸브 개방된 상태에서는, 입력 피스톤 (66) 및 출력 피스톤 (68) 의 위치 및 이동 속도에 관계없이, 제 1 유실 (104) 의 작동유를 통하여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사이에서 밟기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전자 전환 밸브 (118) 의 개폐가 전환됨으로써,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사이에서 밟기력의 전달 상태가 전환된다. 따라서, 분리 기구 (56) 에 의해, 밟기력 전달 기구 (60) 의 밟기력의 전달 경로가 단접된다.
또, 전자 전환 밸브 (118) 는, 통전되지 않은 상태 (즉 전력 공급되지 않은 상태) 에 있어서 밸브 폐쇄되는, 소위 노멀 클로즈식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통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 1 유실 (104) 이 밀폐되는 점에서,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사이에서, 제 1 유실 (104) 의 작동유를 통하여 밟기력의 전달이 가능해진다. 이 때,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 조작에 의한 클러치 (16) 의 단접이 가능해진다.
또, 제 1 유실 (104) 은, 연결관 (124) 을 통하여 리저버 탱크 (122) 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연결관 (124) 상에는, 릴리프 밸브 (120) 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유실 (104) 은, 릴리프 밸브 (120) 를 통하여 리저버 탱크 (122) 에 접속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 (120) 는, 제 1 유실 (104) 에 있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유압 해방 임계치 (α) 보다 큰 유압이 발생한 경우에 밸브 개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제 1 유실 (104) 에 있어서, 유압 해방 임계치 (α) 보다 큰 유압이 발생한 경우에, 제 1 유실 (104) 과 리저버 탱크 (122) 가 릴리프 밸브 (120) 를 통하여 접속되고, 제 1 유실 (104) 의 작동유가 리저버 탱크 (122) 에 유입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유압 해방 임계치 (α) 는, 클러치 페달 (50) 의 최대 반력이 발생할 때의 제 1 유실 (104) 의 유압치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페달 (50) 의 최대 반력은, 미리 설계적으로 설정되는 값이다. 또한, 유압 해방 임계치 (α) 는, 분리 기구 (56) 를 구성하는 유압 부품의 미리 설계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내압치 이하의 값 (즉 내압 성능이 확보되는 값) 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1 로 돌아와, 전동 모터 (119) 및 전자 전환 밸브 (118) 는, 전자 제어 장치 (150) 로부터 출력되는 지령 신호 (즉 지령 전류) 에 의해 작동된다. 전자 제어 장치 (150) 는, 예를 들어 CPU (Central Processing Unit), RAM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한 소위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CPU 는 RAM 의 일시 기억 기능을 이용하면서 미리 ROM 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신호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전동 모터 (119) 및 전자 전환 밸브 (118) 를 제어한다. 전자 제어 장치 (150) 는, 엔진 (12) 등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전동 모터 (119) 및 전자 전환 밸브 (118) 를 오로지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별개로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전자 제어 장치 (150) 에는, 마스터 실린더 (52) 의 스트로크량 (STm) 및 유압실 (52c) 의 유압 (Pm) 을 나타내는 신호, 클러치 실린더 (54) 의 스트로크량 (STc) 및 유압실 (54c) 의 유압 (Pc) 을 나타내는 신호 등이 입력된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 (52) 의 스트로크량 (STm) 은, 클러치 페달 (50) 및 입력 피스톤 (66) 과 연동하는 점에서, 마스터 실린더 (52) 의 스트로크량 (STm) 을, 클러치 페달 (50) 의 스트로크량, 및 입력 피스톤 (66) 의 스트로크량으로 바꿔 읽을 수 있다. 또, 클러치 실린더 (54) 는, 릴리즈 베어링 (36) 및 출력 피스톤 (68) 과 연동하는 점에서, 클러치 실린더 (54) 의 스트로크량 (STc) 을, 릴리즈 베어링 (36) 의 스트로크량, 및 출력 피스톤 (68) 의 스트로크량으로 바꿔 읽을 수 있다. 또, 전자 제어 장치 (150) 에서는, 전동 모터 (119) 를 제어하기 위한 지령 신호 (Sc), 및, 전자 전환 밸브 (118) 의 개폐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신호 (Sv) 가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단접 장치 (10) 에 있어서는, 전자 제어 장치 (150) 에 의해,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전자 전환 밸브 (118) 의 단접이 적절히 전환됨으로써, 클러치 페달 (50) 의 조작에 의해 클러치 (16) 가 단접되는 주행시 (이하, 통상 주행시) 에는,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 과도기에 있어서 액추에이터 (48) (전동 모터 (119)) 에 의한 어시스트가 가능해짐과 함께, 액추에이터 (48) (전동 모터 (119)) 의 구동에 의해 클러치 (16) 를 자동으로 단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단접 장치 (10) 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클러치 페달 (50) 의 조작에 의해 클러치 (16) 를 단접하는 통상 주행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은, 통상 주행시에 있어서의 분리 기구 (56) 및 마스터 실린더 (52) 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전자 제어 장치 (150) 는, 통상 주행시에 있어서 전자 전환 밸브 (118) 를 밸브 폐쇄한다. 전자 전환 밸브 (118) 는, 노멀 클로즈식이기 때문에, 전자 제어 장치 (150) 는, 전자 전환 밸브 (118) 로의 통전을 차단함으로써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밸브 폐쇄되고, 제 1 유실 (104) 이 밀폐된다. 따라서,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이, 제 1 유실 (104) 의 작동유를 통하여 밟기력의 전달이 가능해진다.
이 상태에서, 클러치 페달 (50) 이 밟히면, 마스터 실린더 (52) 에 있어서 유압이 발생하여, 입력측 유실 (78) 에 상기 유압이 전달된다. 입력 피스톤 (66) 은, 입력측 유실 (78) 의 유압에 의해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제 1 유실 (104) 은 밀폐된 공간이 되기 때문에, 입력 피스톤 (66) 이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이동하면, 출력 피스톤 (68) 에 대해서도 제 1 유실 (104) 의 작동유의 유압에 의해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눌림으로써, 출력 피스톤 (68) 이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통상 주행시에는, 제 1 유실 (104) 이 밀폐됨으로써, 입력 피스톤 (66) 측으로부터 입력되는 밟기력이, 제 1 유실 (104) 의 작동유를 통하여 출력 피스톤 (68) 에 전달된다.
상기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에 의한 출력 피스톤 (68) 의 이동 과도기에 있어서, 전자 제어 장치 (150) 는,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를 어시스트 (보조) 하는 유압을 제 2 유실 (108) 에 공급하기 위한 지령 신호를, 전동 모터 (119) 에 출력한다. 전자 제어 장치 (150) 는, 예를 들어, 마스터 실린더 (52) 의 스트로크량 (STm) (또는 클러치 실린더 (54) 의 스트로크량 (STc)) 과 제 2 유실 (108) 의 유압의 관계 맵을 기억하고 있고, 상기 관계 맵에 수시 검출되는 스트로크량 (STm) 을 적용함으로써, 어시스트력에 대응하는 제 2 유실 (108) 의 유압을 결정한다. 또한, 전자 제어 장치 (150) 는, 제 2 유실 (108) 의 유압이, 관계 맵에 기초하여 결정된 목표 유압이 되도록 전동 모터 (119) 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 2 유실 (108) 의 유압이 수시 검출되고, 결정된 목표 유압과 수시 검출되는 제 2 유실 (108) 의 유압의 편차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 (119) 의 출력 (제어량) 을 제어하는 피드백 제어가 실행된다. 상기 관계 맵은, 미리 실험적 또는 설계적으로 구해지고,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 과도기에 있어서 양호한 페달 반력이 얻어지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제 2 유실 (108) 의 유압에 의해 출력 피스톤 (68) 이 눌림으로써,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 과도기에 있어서 운전자에게 주는 부하가 저감된다.
출력 피스톤 (68) 이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출력측 유실 (100) 의 작동유가 연결관 (102) 을 통하여 클러치 실린더 (54) 의 유압실 (54c) 에 유입된다. 따라서, 출력 피스톤 (68) 에 연동하여 클러치 실린더 (54) 의 피스톤 (54b) 및 로드 (54d) 가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클러치 (16) 가 차단된다. 또,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에 의해 클러치 (16) 가 차단된 상태로부터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를 해제하는 과도기에 있어서도,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밸브 폐쇄됨으로써,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사이에서, 제 1 유실 (104) 의 작동유를 통하여 밟기력의 전달이 가능해진다. 또한, 클러치 페달 (50) 이 밟힌 상태로부터 밟기를 해제하는 과도기의 작동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다음으로, 액추에이터 (48) (전동 모터 (119)) 를 구동시켜 클러치 (16) 를 자동으로 단접하는 제어 (이하, 자동 제어) 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는, 자동 제어 중에 있어서의 분리 기구 (56) 및 마스터 실린더 (52) 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주행 중에 액추에이터 (48) (전동 모터 (119)) 를 구동시켜 클러치 (16) 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자동 제어는, 차량의 타행 주행 중에 실행된다. 타행 주행은, 차량이 관성에 의해 주행하는 것으로, 차량의 주행 저항을 저감시키면 타행 주행 가능한 거리가 길어져, 연비의 향상으로 연결된다. 그래서, 전자 제어 장치 (150) 는, 타행 주행 중에 클러치 (16) 를 차단하는 자동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엔진 (12) 등의 끌림에 의한 주행 저항을 저감시켜, 타행 주행 가능한 거리를 길게 한다.
전자 제어 장치 (150) 는, 타행 주행 가능한 조건이 성립된 것으로 판단하면, 전자 전환 밸브 (118) 를 통전함으로써 전자 전환 밸브 (118) 를 밸브 개방한다. 이어서, 전자 제어 장치 (150) 는, 전동 모터 (119) 에, 제어용 실린더 (115) 를 작동시켜 출력 피스톤 (68) 을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전자 제어 장치 (150) 는, 타행 주행 가능한 조건이 성립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으로 출력 피스톤 (68) 이 클러치 차단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출력 피스톤 (68) 의 스트로크량에 대응하는 클러치 실린더 (54) 의 스트로크량 (STc) 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 (119) 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를 실행한다. 이것으로부터, 제어용 실린더 (115) 로부터 제 2 유실 (108) 에 작동유가 공급되고, 출력 피스톤 (68) 이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타성 주행이 가능해지는 성립 조건으로서, 예를 들어 액셀 페달의 밟기가 해제되어 있을 것, 차속이 소정 차속 이상일 것 등 복수의 조건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성립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 있어서 타성 주행인 조건이 성립된 것으로 판단된다.
액추에이터 (48) (전동 모터 (119)) 를 구동시켜 출력 피스톤 (68) 을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도기에 있어서,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밸브 개방됨으로써, 제 1 유실 (104) 이 전자 전환 밸브 (118) 를 통하여 리저버 탱크 (116) 에 접속된다. 따라서,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사이에서의 힘의 전달이 차단되어, 입력 피스톤 (66) 에 힘이 전달되지 않고, 출력 피스톤 (68) 을 액추에이터 (48) 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제어용 실린더 (115) 로부터 제 2 유실 (108) 에 작동유가 공급됨으로써, 제 2 유실 (108) 에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출력 피스톤 (68) 이 클러치 차단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으로부터, 출력측 유실 (100) 에 있어서 클러치 조작 유압이 발생하고, 상기 클러치 조작 유압이 연결관 (102) 을 경유하여 클러치 실린더 (54) 의 유압실 (54c) 에 전달됨으로써, 클러치 실린더 (54) 의 피스톤 (54b) 및 로드 (54d) 가 출력 피스톤 (68) 에 연동하여 클러치 차단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클러치 (16) 가 차단된다.
도 5 는, 자동 제어에 의해, 출력 피스톤 (68) 이 클러치 (16) 가 차단되는 클러치 차단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의 분리 기구 (56) 및 마스터 실린더 (52) 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액추에이터 (48) 에 의해, 출력 피스톤 (68) 이 클러치 (16) 가 차단되는 클러치 차단 위치까지 이동되면, 전자 제어 장치 (150) 는, 전자 전환 밸브 (118) 로의 통전을 차단하고, 이어서, 전동 모터 (119) 로의 통전을 차단한다. 이것으로부터, 전자 전환 밸브 (118) 에 의해 제 1 유실 (104) 과 리저버 탱크 (116) 의 접속이 차단되고, 제 1 유실 (104) 이 유밀 (油密) 하게 밀폐되는 점에서, 제 1 유실 (104) 의 작동유에 의해 출력 피스톤 (68) 의 클러치 접속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즉, 제 1 유실 (104) 이 밀폐됨으로써, 출력 피스톤 (68) 을 유지하는 셀프 로크 기구로서 기능하고, 전동 모터 (119) 로의 통전이 차단되어도, 출력 피스톤 (68) 이 클러치 차단 위치에서 유지된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내는 출력 피스톤 (68) 이 클러치 차단 위치에서 유지 된 상태로부터, 미리 설정되어 있는 타행 주행의 성립 조건이 성립되지 않게 되었을 때의 분리 기구 (56) 및 마스터 실린더 (52) 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자동 제어에 의해 출력 피스톤 (68) 이 클러치 차단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타행 주행의 성립 조건이 성립되지 않게 된 경우에는, 전자 제어 장치 (150) 는 전자 전환 밸브 (118) 를 통전함으로써, 전자 전환 밸브 (118) 를 밸브 개방시킨다.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밸브 개방됨으로써, 제 1 유실 (104) 이 리저버 탱크 (116) 에 접속되기 때문에, 출력 피스톤 (68) 의 클러치 접속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따라서, 출력 피스톤 (68) 이, 스프링 (96) 의 탄성력에 의해 클러치 접속 위치까지 이동함으로써, 클러치 (16) 가 접속된다. 또, 출력 피스톤 (68) 이 클러치 접속 위치까지 이동하면, 전자 제어 장치 (150) 는, 전자 전환 밸브 (118) 의 통전을 차단함으로써,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밸브 폐쇄되고, 통상 주행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액추에이터 (48) 에 의한 출력 피스톤 (68) 의 이동 과도기에 있어서, 운전자에 의해 클러치 페달 (50) 이 밟히는 것 (이하, 자동 제어에 의한 출력 피스톤 (68) 의 이동 과도기에 있어서 클러치 페달 (50) 이 밟히는 조작을 개입 조작이라고 한다) 이 고려된다. 이 때,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사이에서 밟기력을 전달 가능한 상태가 되면,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의 상대 위치 및 상대 속도에 따른 힘이 제 1 유실 (104) 의 작동유를 통하여 입력 피스톤 (66) 에 전달됨으로써,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 과도기에 있어서의 페달 반력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클러치 페달 (50) 의 조작량에 기초하는 페달 반력에 대해 괴리되어, 운전자에게 위화감을 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반하여, 전자 제어 장치 (150) 는, 자동 제어 중에 개입 조작되었을 때, 전자 전환 밸브 (118) 의 통전을 유지하여 전자 전환 밸브 (118) 를 밸브 개방한다. 도 7 은, 액추에이터 (48) (전동 모터 (119)) 에 의한 출력 피스톤 (68) 의 이동 과도기에 있어서, 클러치 페달 (50) 이 밟혔을 때의 분리 기구 (56) 및 마스터 실린더 (52) 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전자 전환 밸브 (118) 의 통전이 유지됨으로써 전자 전환 밸브 (118) 의 밸브 개방 상태가 계속되고,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사이에서 밟기력의 전달이 차단되기 때문에,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의 상대 위치 및 상대 속도에 관계없이, 입력 피스톤 (66) 에는 제 1 유실 (104) 의 작동유를 통하여 힘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액추에이터 (48) 에 의한 출력 피스톤 (68) 의 이동 과도기에 개입 조작된 경우여도, 클러치 페달 (50) 의 페달 반력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클러치 페달 (50) 의 조작량에 기초하는 페달 반력에 대해 괴리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클러치 페달 (50) 의 조작량에 기초하는 페달 반력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력 피스톤 (66) 을 클러치 접속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106) 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개입 조작 중이어도, 스프링 (106) 의 특성에 기초한 페달 반력이 얻어진다.
도 8 은, 도 7 의 자동 제어 중에 클러치 페달 (50) 이 밟힌 상태로부터 클러치 페달 (50) 이 되돌려지는 과도기의 분리 기구 (56) 및 마스터 실린더 (52) 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에도,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통전됨으로써,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밸브 개방된다. 출력 피스톤 (68) 은,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밸브 개방됨으로써 제 1 유실 (104) 의 작동유에 의해 유지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스프링 (96) 의 탄성력에 의해 출력 피스톤 (68) 이 클러치 접속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출력 피스톤 (68) 이 클러치 접속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도기에 있어서, 제 1 유실 (104) 이 전자 전환 밸브 (118) 를 통하여 리저버 탱크 (116) 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 피스톤 (66) 에는, 출력 피스톤 (68) 의 이동에 수반하는 힘은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클러치 페달 (50) 이 되돌려지는 과도기에 있어서도, 페달 반력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페달 반력으로부터 괴리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가 해제되면, 전자 제어 장치 (150) 는, 전자 전환 밸브 (118) 로의 통전을 차단함으로써,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밸브 폐쇄됨으로써 통상 주행이 가능해진다.
도 9 는, 클러치 페달 (50) 의 조작에 의해 클러치 (16) 를 단접하는 통상 주행시에 있어서, 전동 모터 (119) 및 전자 전환 밸브 (118) 로의 전력 공급이 곤란해지는 시스템 고장이 발생했을 때의 분리 기구 (56) 및 마스터 실린더 (52) 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전자 전환 밸브 (118) 는, 노멀 클로즈식이 사용되고 있는 점에서, 상기 시스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통전되지 않기 때문에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밸브 폐쇄된다. 따라서,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사이에서, 제 1 유실 (104) 의 작동유를 통하여 밟기력이 전달 가능해지고, 클러치 페달 (50) 의 조작에 의해 클러치 (16) 를 단접할 수 있는 점에서 주행을 계속할 수 있다. 이 때, 전동 모터 (119) 에도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점에서 액추에이터 (48) 에 의한 동력의 어시스트가 정지하기 때문에, 그 만큼 클러치 페달 (50) 의 페달 반력이 통상시에 비하여 커진다.
도 10 은, 액추에이터 (48) (전동 모터 (119)) 에 의해 출력 피스톤 (68) 을 이동시키는 자동 제어 중에, 전자 전환 밸브 (118) 및 전동 모터 (119) 로의 전력 공급이 곤란해지는 시스템 고장이 발생한 경우의 분리 기구 (56) 및 마스터 실린더 (52) 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자동 제어 중에 있어서도, 시스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전자 전환 밸브 (118) 로의 통전이 차단됨으로써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밸브 폐쇄되고, 제 1 유실 (104) 이 유밀하게 밀폐된다. 이것으로부터, 출력 피스톤 (68) 이 제 1 유실 (104) 에 의해 시스템 고장이 발생한 시점의 위치 (도 10 에서는 클러치 차단 위치) 에서 유지되는 셀프 로크 상태가 되기 때문에, 시스템 고장에 수반하는 의도하지 않은 클러치 (16) 의 급걸어맞춤이 방지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자동 제어 중에 상기 시스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폐쇄됨으로써, 출력 피스톤 (68) 이 시스템 고장이 발생한 시점의 위치에서 유지되는 셀프 로크 상태가 된다. 그러나, 출력 피스톤 (68) 이 이동하지 않게 되면, 주행 (퇴피 주행) 의 계속이 곤란해진다. 이에 대하여, 주행의 계속을 목적으로 하여, 제 1 유실 (104) 이 릴리프 밸브 (120) 를 통하여 리저버 탱크 (122) 에 접속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 (120) 는, 제 1 유실 (104) 의 유압이 유압 해방 임계치 (α) 이상이 되면 밸브 개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유압 해방 임계치 (α) 는, 미리 설계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클러치 페달 (50) 의 최대 반력이 발생했을 때의 유압치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유압 해방 임계치 (α) 에 대응하는 밟기력보다 큰 밟기력으로 클러치 페달 (50) 을 강하게 밟음으로써, 릴리프 밸브 (120) 가 밸브 개방되고, 제 1 유실 (104) 이 해방된다. 이 때, 출력 피스톤 (68) 의 셀프 로크 상태가 해제되어, 출력 피스톤 (68) 이 이동 가능해지고, 분리 기구 (56) 에 있어서의 유량의 수지 (收支) 가 통상시 상태로 조정된다. 이와 같이, 액추에이터 (48) 에 의한 동력의 어시스트는 없기는 하지만, 운전자에 의한 클러치 페달 (50) 의 조작에 의해 클러치 (16) 의 단접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 (퇴피 주행) 이 가능해진다.
또, 릴리프 밸브 (120) 의 유압 해방 임계치 (α) 는, 분리 기구 (56) 를 구성하는 유압 부품의 미리 설계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내압치 이하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도 9 에 나타내는 통상 주행시에 시스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제 1 유실 (104) 에 과대한 유압이 발생한 경우여도, 릴리프 밸브 (120) 가 밸브 개방됨으로써 제 1 유실 (104) 의 유압이 저하되기 때문에, 유압 부품을 과대한 유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유압 부품의 고장에 의한 클러치 (16) 의 단접의 곤란, 또는 유압 부품의 오일 누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 전환 밸브 (118) 에 의해 제 1 유실 (104) 과 리저버 탱크 (116) 사이의 단접이 전환됨으로써,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사이에서, 밟기력의 전달의 전환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 과도기에 있어서, 전자 전환 밸브 (118) 에 의해 제 1 유실 (104) 과 리저버 탱크 (116) 의 접속이 차단됨으로써, 제 1 유실 (104) 은 밀폐되고,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사이에서, 제 1 유실 (104) 의 작동유를 통하여 밟기력의 전달이 가능해진다. 이것으로부터,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력이 입력 피스톤 (66) 및 제 1 유실 (104) 을 통하여 출력 피스톤 (68) 에 전달된다. 또,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 과도기에 있어서, 액추에이터 (48) 의 동력이 출력 피스톤 (68) 에 전달됨으로써, 액추에이터 (48) 에 의해 클러치 (16) 의 단접을 어시스트할 수 있다. 또, 액추에이터 (48) 에 의한 클러치 (16) 의 단접 과도기는, 전자 전환 밸브 (118) 에 의해 제 1 유실 (104) 과 리저버 탱크 (116) 가 접속됨으로써, 제 1 유실 (104) 이 해방되고,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사이에서 밟기력의 전달이 차단된다. 따라서, 입력 피스톤 (66) 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액추에이터 (48) 에 의해 출력 피스톤 (68) 을 이동시켜 클러치 (16) 를 단접할 수 있다. 또, 액추에이터 (48) 에 의해 출력 피스톤 (68) 을 이동시키는 과도기에 있어서, 입력 피스톤 (66) 과 출력 피스톤 (68) 사이에서 밟기력의 전달이 차단되는 점에서, 액추에이터 (48) 에 의해 출력 피스톤 (68) 이 이동되고 있는 과도기에 클러치 페달 (50) 이 밟힌 경우여도, 클러치 페달 (50) 의 페달 반력이 변화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액추에이터 (48) 에 의해 출력 피스톤 (68) 이 클러치 (16) 의 차단 위치까지 이동하면, 전자 전환 밸브 (118) 에 의해 제 1 유실 (104) 과 리저버 탱크 (116) 의 접속이 차단되기 때문에, 제 1 유실 (104) 이 밀폐되고, 전동 모터 (119) 로의 통전을 차단한 상태여도, 출력 피스톤 (68) 을 클러치 (16) 의 차단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또,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노멀 클로즈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 과도기에 전동 모터 (119) 및 전자 전환 밸브 (118) 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되는 시스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폐쇄되어 제 1 유실 (104) 과 리저버 탱크 (116) 가 차단된다. 따라서,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 과도기에 시스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액추에이터 (48) 에 의한 동력의 어시스트가 정지되기는 하지만, 클러치 페달 (50) 의 조작에 의한 주행이 가능해진다. 또, 액추에이터 (48) 에 의한 출력 피스톤 (68) 의 이동 중에 시스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전자 전환 밸브 (118) 가 폐쇄됨으로써, 제 1 유실 (104) 의 작동유에 의해 출력 피스톤 (68) 이 로크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 고장에 의한 클러치 (16) 의 급걸어맞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액추에이터 (48) 에 의해 출력 피스톤 (68) 을 이동시키는 과도기에 시스템 고장이 발생했을 때에, 전자 전환 밸브 (118) 에 의해 제 1 유실 (104) 과 리저버 탱크 (116) 사이가 차단된 경우에는, 클러치 페달 (50) 의 최대 반력이 발생할 때의 유압치보다 큰 유압이 발생하도록 클러치 페달 (50) 을 강하게 밟음으로써, 제 1 유실 (104) 의 작동유가 릴리프 밸브 (120) 를 통하여 리저버 탱크 (122) 로 유입되기 때문에, 출력 피스톤 (68) 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분리 기구 (200)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의 액추에이터 (202) 는, 나사 전동 장치 (204) 및 전동 모터 (206) 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의 액추에이터 (202) 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액추에이터 (202) 이외의 다른 구성은,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기본적으로는 다르지 않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액추에이터 (202) 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나사 전동 장치 (204) 와, 나사 전동 장치 (204) 에 회전 토크를 부여하는 전동 모터 (206)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나사 전동 장치 (204) 는, 출력 피스톤 (68) 에 접속되어 있는 너트 부재 (204a) 와, 너트 부재 (204a) 에 끼워맞추는 나사축 (204b)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나사축 (204b) 의 일단은, 전동 모터 (206) 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 모터 (206) 가 회전하면, 나사축 (204b) 에 대해서도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분리 기구 (200) 를 구성하는 실린더 보디 (208) 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둘레 방향의 일부에 실린더 보디 (208) 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절결 (210)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결 (210) 을 통하여 너트 부재 (204a) 가, 출력 피스톤 (68) 에 접속되어 있다. 너트 부재 (204a) 는, 절결 (210) 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나사 전동 장치 (204) 의 너트 부재 (204a) 가 출력 피스톤 (68) 에 접속됨으로써, 전동 모터 (206) 의 회전 운동이, 너트 부재 (204a) 의 나사축 (204b) 의 축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고, 전동 모터 (206) 에 의해 출력 피스톤 (68) 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절결 (210) 의 출력 피스톤 (68) 의 이동 방향의 폭 (즉 간극의 폭) 은, 출력 피스톤 (68) 을 클러치 접속 위치와 클러치 차단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 모터 (206) 를 제어함으로써, 출력 피스톤 (68) 을 클러치 접속 위치와 클러치 차단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 (202) 의 구체적인 작동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기본적으로는 다르지 않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와 같이, 액추에이터 (202) 가, 나사 전동 장치 (204) 와 전동 모터 (206) 로 구성되고, 유압 실린더를 통하지 않고 출력 피스톤 (68) 을 이동시키는 것이어도,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유압 실린더 및 유실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구조도 단순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밖의 양태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액추에이터 (48) 는, 제어용 실린더 (115) 에서 발생되어, 제 2 유실 (108) 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압에 의해 출력 피스톤 (68) 을 이동하는 것이었지만, 출력 피스톤 (68) 을 이동 가능한 액추에이터이면,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엔진 (12) 등에 의해 구동되는 오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유압을 원압으로 하여, 제 2 유실 (108) 의 유압을 제어하는 전자식의 조절 압력 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 압력 밸브에 의해 제 2 유실 (108) 의 유압이 제어됨으로써, 출력 피스톤 (68) 을 이동시키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혹은, 전동 오일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에 의해 출력 피스톤 (68) 을 이동시키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나사 전동 장치 (117, 204) 가, 너트 부재 (117a, 204a) 와 나사축 (117b, 204b) 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나사 전동 장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이면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 전동 장치가, 볼 나사 또는 웜 기어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릴리프 밸브 (120) 의 유압 해방 임계치 (α) 가, 분리 기구 (56) 의 유압 부품의 설계적으로 설정되는 내압치 이하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었지만, 유압 부품의 강도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내압치를 고려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분리 기구 (56) 와 클러치 페달 (50) 사이에 마스터 실린더 (52) 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클러치 페달 (50) 에 의해 입력 피스톤 (66) 을 직접 이동시키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전자 전환 밸브 (118) 는 통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밸브 폐쇄되는 노멀 클로즈식이 사용되고 있었지만, 반드시 노멀 클로즈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통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밸브 개방되는 노멀 오픈식이 사용되어도 상관없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리저버 탱크 (52d, 101, 116, 122) 가 사용되고 있지만, 공통의 리저버 탱크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1 유실 (104) 이 릴리프 밸브 (120) 를 통하여 리저버 탱크 (122) 에 접속되어 있었지만, 릴리프 밸브 (120) 및 리저버 탱크 (122) 는, 자동 제어 중에 시스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이것들이 생략되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서술한 것은 어디까지나 일 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은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의 변경, 개량을 더한 양태로 실시할 수 있다.

Claims (8)

  1. 클러치 (16) 의 단접 장치 (10) 로서,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구성되는 클러치 페달 (50) ;
    클러치 실린더 (54) ;
    상기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력을 상기 클러치 실린더 (54) 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밟기력 전달 기구 (60) ; 및
    상기 밟기력 전달 기구 (60) 를 통하여 상기 클러치 (16) 를 단접하는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 (48 ; 202) 을 구비하고,
    상기 밟기력 전달 기구 (60) 는, 상기 밟기력 전달 기구 (60) 의 밟기력의 전달 경로를 단접하는 분리 기구 (56 ; 200) 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기구 (56 ; 200) 는, 상기 클러치 페달 (50) 로부터의 밟기력이 입력되는 입력 피스톤 (66) 과, 상기 클러치 실린더 (54) 에 클러치 조작 유압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 피스톤 (68) 과, 상기 입력 피스톤 (66) 과 상기 출력 피스톤 (68)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유실 (104) 과, 상기 제 1 유실 (104) 과 상기 제 1 유실 (104) 에 접속되어 있는 리저버 탱크 (116) 사이를 단접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전자 밸브 (118) 를 포함하고, 및
    상기 액추에이터 (48 ; 202) 는, 상기 분리 기구 (56 ; 200) 의 상기 출력 피스톤 (68) 에 동력 전달하도록 접속되는, 클러치 (16) 의 단접 장치 (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48 ; 202) 및 상기 전자 밸브 (118) 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제어 유닛 (150) 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닛 (150) 은, 상기 액추에이터 (48 ; 202) 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 피스톤 (68) 을 이동시키는 과도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실 (104) 과 상기 리저버 탱크 (116) 가 접속되도록 상기 전자 밸브 (118) 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클러치 (16) 의 단접 장치 (1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48 ; 202) 는, 전동식의 액추에이터 (48 ; 202) 를 포함하고 ;
    상기 전자 제어 유닛 (150) 은, 상기 액추에이터 (48 ; 202) 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 피스톤 (68) 이 상기 클러치 (16) 의 차단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 상기 제 1 유실 (104) 과 상기 리저버 탱크 (116) 의 접속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자 밸브 (118) 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클러치 (16) 의 단접 장치 (1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 (118) 는, 노멀 클로즈식인, 클러치 (16) 의 단접 장치 (1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실 (104) 은, 릴리프 밸브 (120) 를 통하여 리저버 탱크 (116, 122) 에 접속되고 ;
    상기 릴리프 밸브 (120) 는, 상기 제 1 유실 (104) 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페달 (50) 의 최대 반력이 발생할 때의 유압치보다 큰 유압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 1 유실 (104) 과 상기 리저버 탱크 (122) 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클러치 (16) 의 단접 장치 (10).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48) 는, 전동 모터 (119) 와, 나사 전동 장치 (117) 와, 유압 실린더 (115) 와, 제 2 유실 (108) 을 포함하고 ;
    상기 나사 전동 장치 (117) 는, 상기 전동 모터 (119) 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나사 전동 장치 (117) 는, 상기 유압 실린더 (115) 를 구동하도록 접속되고 ;
    상기 제 2 유실 (108) 은, 작동유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출력 피스톤 (68) 을 상기 클러치 (16) 의 차단 방향으로 누르도록, 상기 출력 피스톤 (68) 과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 및
    상기 제 2 유실 (108) 은, 상기 유압 실린더 (115) 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클러치 (16) 의 단접 장치 (10).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202) 는, 전동 모터 (206) 와 나사 전동 장치 (204) 를 포함하고 ;
    상기 나사 전동 장치 (204) 는, 상기 전동 모터 (206) 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나사 전동 장치 (204) 는, 상기 출력 피스톤 (68) 에 동력 전달하도록, 상기 출력 피스톤 (68) 에 접속되어 있는, 클러치 (16) 의 단접 장치 (10).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실 (104) 내에는, 상기 입력 피스톤 (66) 을 상기 클러치 페달 (50) 의 밟기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106) 이 배치되는, 클러치 (16) 의 단접 장치 (10).
KR1020190069178A 2018-07-03 2019-06-12 클러치의 단접 장치 Ceased KR202000042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27154A JP2020008034A (ja) 2018-07-03 2018-07-03 クラッチの断接装置
JPJP-P-2018-127154 2018-07-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242A true KR20200004242A (ko) 2020-01-13

Family

ID=67070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178A Ceased KR20200004242A (ko) 2018-07-03 2019-06-12 클러치의 단접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011350A1 (ko)
EP (1) EP3597954A1 (ko)
JP (1) JP2020008034A (ko)
KR (1) KR20200004242A (ko)
CN (1) CN110671445A (ko)
BR (1) BR102019011116A2 (ko)
RU (1) RU2711521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7554B1 (ko) * 2020-06-25 2025-03-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화 변속기용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제어방법
CN112253644A (zh) * 2020-10-21 2021-01-22 安徽天沃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柴油机装配用减速机离合装置
JP2022167612A (ja) * 2021-04-23 2022-11-04 マツダ株式会社 摩擦締結要素の作動アクチュエータ
JP7651931B2 (ja) * 2021-04-23 2025-03-27 マツダ株式会社 摩擦締結要素の作動アクチュエータ
CN114396436B (zh) * 2022-01-19 2024-05-10 泉州市鑫利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改进型汽车离合器助力器
CN116279363B (zh) * 2023-05-22 2023-08-01 泉州市鑫利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车用刹车总泵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45500A1 (de) * 1985-12-20 1987-07-02 Rexroth Mannesmann Gmbh Elektrohydraulischer verstaerker, insbesondere zur hydraulischen betaetigung einer kupplung fuer ein fahrzeug
JPH09269021A (ja) * 1996-03-31 1997-10-14 Isuzu Motors Ltd 自動車用オートクラッチ装置
JP3635334B2 (ja) * 1996-03-31 2005-04-06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オートクラッチ装置
JPH11241734A (ja) * 1998-02-25 1999-09-07 Isuzu Motors Ltd クラッチ自動制御車両
JP3869143B2 (ja) * 1999-01-29 2007-01-17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クラッチ装置
JP3940266B2 (ja) * 2001-01-22 2007-07-04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クラッチ操作システム用油圧機構
RU2263034C2 (ru) * 2003-04-07 2005-10-27 Буданов Александр Сергеевич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привод сцепления для автомобилей любого типа и класса, имеющих механическую коробку переключения передач
JP2006214476A (ja) * 2005-02-02 2006-08-17 Hino Motors Ltd クラッチ操作装置
JP5620169B2 (ja) * 2010-07-02 2014-11-0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惰行制御装置
CN106133370B (zh) * 2014-03-31 2019-08-27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离合器操纵设备
EP3126699B1 (de) * 2014-03-31 2019-02-2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betätigungsvorrichtung
JP6477658B2 (ja) * 2016-10-18 2019-03-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ラッチ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9011116A2 (pt) 2020-01-21
RU2711521C1 (ru) 2020-01-17
CN110671445A (zh) 2020-01-10
EP3597954A1 (en) 2020-01-22
US20200011350A1 (en) 2020-01-09
JP2020008034A (ja)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4242A (ko) 클러치의 단접 장치
JP5516753B2 (ja) 液圧ブレーキシステム
US8444529B2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with automatic transmission
US10066748B2 (en) Vehicle parking lock device
JP5516752B2 (ja) 液圧ブレーキシステム
US7891261B2 (en) Clutch actuation system with locking mechanism and method of controlling engagement of a clutch
RU2667797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цеплением
JP2002213497A (ja) クラッチ操作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油圧機構
CN109969156B (zh) 电动制动装置和包括电动制动装置的车辆制动系统
US20220281424A1 (en) Vehicle control system
US11009087B2 (en) Clutch connecting/disconnecting device
EP3225478B1 (en) Solenoid valve, vehicle brake hyraulic pressure control apparatus and solenoid valve fabriation method
CN104797472A (zh) 主缸以及主缸装置
JP2006151342A (ja) ブレーキ制御装置
JP3885383B2 (ja) ブレーキシステム
JPH09269019A (ja) 車両用オートクラッチ装置
JP4400435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JP2017203501A (ja) クラッチ操作装置
JPH09269021A (ja) 自動車用オートクラッチ装置
JP5434514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用駆動装置
JP2004270868A (ja) クラッチ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H09269020A (ja) 車両のオートクラッチ装置
KR20010002053U (ko) 차량용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의 오일누유 방지장치
US20020094901A1 (en) Transmiss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5895553B2 (ja) 無段変速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7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