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30215A - 유도송전장치 - Google Patents

유도송전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215A
KR20100130215A KR1020107022956A KR20107022956A KR20100130215A KR 20100130215 A KR20100130215 A KR 20100130215A KR 1020107022956 A KR1020107022956 A KR 1020107022956A KR 20107022956 A KR20107022956 A KR 20107022956A KR 20100130215 A KR20100130215 A KR 20100130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duction
transmission
signal
primary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 아잔콧
아미르 벤 샬롬
울라 그린왈드
애릭 로프
알프레드 레이보비츠
도브 로도스
노암 메유아스
Original Assignee
파우워매트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09130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13021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파우워매트 엘티디. filed Critical 파우워매트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00130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01F27/36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made of ferro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01F2038/143Inductive couplings for sig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송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유도 파워리시버를 통해 전기부하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유도 파워아울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도 파워리시버에 유도전력을 송전하기 위한 유도 파워아울렛, 상기 파워리시버를 파워아울렛에 정렬하기 위한 정렬기구, 및 상기 파워리시버에서 파워아울렛으로 제어신호를 보내기 위한 송신장치를 포함하는 유도송전장치를 제공하는데, 파워아울렛은 드라이버를 거쳐 전원에 연결되는 1차코일과, 1차 강자성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드라이버는 1차코일에 고주파 진동전압을 공급하며; 파워리시버의 2차코일은 1차코일과 유도결합하고 전력조절기에 연결되며; 송신장치는 파워리시버에 연결된 발신기와, 파워아울렛에 연결된 신호 디텍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도송전장치{INDUCTIVE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유도송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유도 파워리시버를 통해 전기부하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유도 파워아울렛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유도결합은 유선연결 없이 전원에서 전기부하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전원은 1차코일에 유선연결되고 1차코일에 진동전압이 걸리면, 진동 자기장이 유도된다. 진동 자기장은 1차코일 가까이 있는 2차코일에 진동 전류를 유도한다. 이런 식으로, 2개의 코일을 도선으로 연결하지 않고도 1차코일에서 2차코일로 전기에너지가 송전된다. 1차코일에서 2차코일로 전기에너지가 송전될 때의 코일쌍은 유도결합된 것이라 한다. 이런 2차코일에 직렬로 유선연결된 전기부하는 1차코일에 유선연결된 전원에서 에너지를 끌어오되, 단 2차코일이 1차코일에 유도결합되었을 때만 그렇다.
이런 유도형 파워아울렛은 전선이 필요없기 때문에 점점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저전력형 유도송전장치의 일례가 Hui의 미국특허 7,164,255에 소개되었는데, 이 장치는 평판형 유도배터리 충전기를 이용해 전자기기를 충전한다. 이 장치의 평판형 충전기의 충전면에 충전할 기기를 놓는다. 충전기 내부의 충전면과 병렬로 다수의 1차코일이 배치된다. 1차코일은 충전될 기기 내부의 2차코일과 유도결합한다.
이런 장치는 배터리를 충전할 정도의 비교적 낮은 전력에서 유도결합한다. 그러나, 이런 장치의 충전면의 베이스 유닛은 연속으로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 비교적 넓고 고른 면적을 필요로 하므로 컴퓨터, 전구, TV 등을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고에너지 장치에는 적절치 못하다.
고에너지 유도송전장치에서의 에너지손실은 저전력 장치보다 큰 것이 보통이다. 저전력 장치에서는 많은 열이 쉽게 분산되지만, 결합되지 않은 고전력 1차코일이나 그 주변은 고온으로 되어 위험하다.
또, 고전력 1차코일의 진동전압은 진동 자기장을 일으킨다. 2차코일이 1차코일에 유도결합되면, 자속누설이 생겨 2차코일에 의해 전력이 인출된다. 전력을 인출할 2차코일이 없으면, 진동 자기장으로 인해 고에너지 전자기파가 전방향으로 방출되어, 신용카드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등의 부작용이 생기고 심장박동기를 단 사람에게는 심각한 위험을 일으킬 수 있다.
Sabo의 "Alignment independentand self aligning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이란 명칭의 미국특허 6,803,744는 무선으로 충전하는 유도송전장치를 소개한다. 이 장치는 변압기의 1차코일과 같은 역할을 하는 인덕터를 여럿 갖는다. 변압기의 2차코일은 기기 안에 배치된다. 기기를 송전장치 가까이 두어 양쪽 코일을 정렬하면, 송전장치에서 변압기를 거쳐 기기에 유도전력이 전달된다.
이 장치의 인덕터들은 어레이 형태로 배열되고, 인덕터들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스위치들을 통해 전원에 연결된다. 이런 선택 스위치들은 전력은 보존하되 방해되는 전자기장은 없애기 위한 것이다. '744 특허는 전자기 누설의 문제점은 물론, 2차코일이 유효범위내에 있을 때에만 1차코일이 전원에서 에너지를 공급받아야 하는 문제도 있다. 또, 파워리시버가 대형이어서 소형 전기기기에는 비실용적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런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도 파워아울렛에서 유도 파워리시버에 효율적이고 무선으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전력을 전달하는 실용적인 유도송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유도 파워리시버에 유도전력을 송전하기 위한 유도 파워아울렛, 상기 파워리시버를 파워아울렛에 정렬하기 위한 정렬기구, 및 상기 파워리시버에서 파워아울렛으로 제어신호를 보내기 위한 송신장치를 포함하는 유도송전장치를 제공하는데, 파워아울렛은 드라이버를 거쳐 전원에 연결되는 1차코일과, 1차 강자성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드라이버는 1차코일에 고주파 진동전압을 공급하며; 파워리시버의 2차코일은 1차코일과 유도결합하고 전력조절기에 연결되며; 송신장치는 파워리시버에 연결된 발신기와, 파워아울렛에 연결된 신호 디텍터를 포함한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이 정렬기구는 파워아울렛에 연결된 제1 소자와, 파워리시버에 연결된 제2 소자를 갖질 수 있다. 또, 발신기가 광학 이미터이고, 신호 디텍터는 광학 디텍터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이런 파워아울렛으로부터 유도전력을 받는 유도 파워리시버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전력조절기는 파워아울렛의 AC 입력을 전기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DC 출력으로 변환하는 정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유도 파워리시버에 유도전력을 송전하기 위한 유도 파워아울렛을 구비하고, 파워아울렛의 1차코일은 드라이버를 거쳐 전원에 연결되며, 파워리시버의 2차코일은 1차코일과 유도결합하고, 2차코일은 전기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며, 열손실이 낮은 전파정류기를 더 구비한 유도송전장치도 제공한다. 이 장치는 a. 제1 출력단자에 연결된 아노드와, 제1 입력단자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제1 반파정류기; b. 제1 출력단자에 연결된 아노드와, 제2 입력단자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제2 반파정류기; c. 제1 입력단자에 연결된 아노드와, 제2 출력단자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제3 반파정류기; 및 d. 제2 입력단자에 연결된 아노드와, 제2 출력단자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제4 반파정류기;를 포함하고, 전파 정류기는 가변 극성의 입력단자로부터 일정 극성의 출력을 제공하고, 반파정류기는 전자식 스위치를 구비하는데, 이 스위치의 캐소드에 흐르는 전류가 임계치를 넘을 때 스위치가 ON 상태로 바뀐다. 또, a. 상기 제1 반파정류기가 제1 전자식 스위치를 구비하는데, 이 스위치는 캐소드에 흐르는 전류가 제1 임계치를 넘을 때 ON 상태로 바뀌고; b. 상기 제2 반파정류기가 제2 전자식 스위치를 구비하는데, 이 스위치는 캐소드에 흐르는 전류가 제2 임계치를 넘을 때 ON 상태로 바뀔 수도 있다. 또, 반파정류기들 중의 적어도 하나가 입력신호의 주파수와 동기적으로 ON/OFF되는 전자식 스위치를 갖추기도 한다. 한편, a. 제1 반파정류기가 제1 전자식 스위치를 갖고, 이 스위치는 캐소드에 흐르는 전류가 임계치를 넘을 때 ON 상태로 바뀌며; b. 제2 반파정류기가 제2 전자식 스위치를 갖고, 이 스위치는 캐소드에 흐르는 전류가 임계치를 넘을 때 ON 상태로 바뀌며; c. 제3 반파정류기가 제3 전자식 스위치를 갖고, 이 스위치는 제2 입력단자의 전압신호와 동위상으로 ON/OFF되며; d. 제4 반파정류기가 제4 전자식 스위치를 갖고, 이 스위치는 제1 입력단자의 전압신호와 동위상으로 ON/OFF되기도 한다. 이런전자식 스위치가 트랜지스터, MOSFET, 소스, 드레인 및 게이트가 달린 MOSFET; MOSFET와 병렬로 상기 소스와 드레인에 연결된 반파정류기; 및 드레인전류가 제1 임계전류보다 클 때는 상기 MOSFET가 ON 상태로 바뀌고 드레인전류가 제2 임계전류보다 작을 때는 MOSFET가 OFF 상태로 바뀌도록 드레인에 흐르는 드레인전류를 감시하고 게이트에 게이트 신호를 보내는 전류모니터를 포함한다. 이런 전류모니터는 변류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드라이버를 거쳐 전원에 연결된 1차코일을 갖는 유도 파워아울렛을 갖고; 1차코일은 전기부하에 연결된 2차코일과 유도결합을 하며; 2차코일은 유도 파워리시버에 연결되고; 드라이버는 1차코일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며; 구동전압은 유도결합의 공진주파수와 다른 송전주파수로 진동하는 유도송전장치도 제공한다. 이때, 드라이버가 1차코일을 전원에 단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기도 한다. 또, 유도전압이 주파수와 선형으로 변하는 범위내에 송전주파수가 속하기도 한다. 또, 드라이버가 피드백신호에 응답해 송전주파수를 조절하기도 한다. 또, 파워아울렛이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디텍터를 포함하고, 드라이버는 신호디텍터가 제1 신호를 감지했을 때는 송전주파수를 높이고 제2 신호를 감지했을 때는 송전주파수를 낮출 수 있다. 또, 피드백신호가 전기부하의 작동변수에 관한 데이터를 반송할 수 있는데, 이때의 작동변수는 전기부하에 필요한 작동 전압, 전류, 온도, 전력; 전기부하에서 측정된 작동 전압, 전류, 온도, 전력; 1차코일에 공급된 전력, 2차코일이 받은 전력; 및 사용자 식별코드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 신호디텍터가 광학 디텍터, 무선수신기, 오디오 디텍터 또는 피크전압 디텍터일 수 있다. 또, 드라이버가 1차코일의 1차전압의 진폭을 감시하는 전압모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런 전압모니터는 1차전압의 대폭적인 증가를 감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송전장치는 변압기, DC-DC 컨버터, AC-DC 컨버터, AC-AC 컨버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플라이백 컨버터, 풀브리지 컨버터, 하프브리지 컨버터 및 포워드 컨버터 중에서 선택된 파워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구동전압이 유도결합의 공진주파수보다 높은 송전주파수로 진동하고; 이때, 1차코일이 수신회로에 연결되고, 이 수신회로에는 1차코일의 1차전압의 진폭을 감시하는 전압모니터가 달려있으며; 2차코일은 송신회로에 연결되어 전기소자를 2차코일에 연결해 공진주파수를 증가시키며; 제어신호가 송신회로에서 수신회로로 전송된다. 이 경우, 2차코일이 브리지 정류기의 2개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전기부하는 브리지 정류기의 2개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송신회로는 브리지 정류기의 한쪽 입력단자와 한쪽 출력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또, 송신회로가 입력신호로 비트율신호를 변조하여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변조기와, 변조신호에 맞게 2차코일에 전기소자를 단속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또, 전압모니터가 1차전압의 진폭을 비트율 신호와 연계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코릴레이터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또, 제어신호가 2차코일에서 1차코일로 피드백 신호를 보내 유도결합을 통한 전력송전을 조절하기도 하는데, 이때는 드라이버가 피드백신호에 응답해 송전주파수를 조절하하거나, 유도전송장치가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전송하고, 드라이버는 리시버가 제1 신호를 받으면 상기 송전주파수를 높이고, 리시버가 제2 신호를 받으면 상기 송전주파수를 낮춘다.
본 발명은 또한, a. 유도 파워아울렛에서 전력을 받는 유도 파워리시버; b. 파워리시버를 전기기기에 도선으로 연결하는 파워커넥터; 및 c. 파워리시버가 동작중일 때 사용자가 안전하게 어댑터를 다룰 수 있드록 파워리시버와 단열되어 있고 어댑터를 취급하기 위한 그립;을 포함하는 유도 파워어댑터도 제공한다. 이런 유도어잽터는 PCB나 냉각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파워리시버가 50W 이상의 전력을 공급하기도 하는데, 냉각장치는 파워리시버 위에 위치하는 배기공과 파워리비서 밑에 위치하는 흡기공을 구비하여, 파워리시버에서 가열된 고온 공기는 상기 배기공을 통해 나가고 외부의 찬 공기는 흡기공을 통해 들어오도록 할 수 있다. 또, 파워리시버에서 생긴 열을 방열하기 위한 히트싱크로서 금속 디스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히트싱크의 직경이 어댑터의 케이싱의 내경보다 작아 히트싱크와 케이싱 사이에서 공기가 순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도결합된 전기부하가 없을 때 유도 파워아울렛의 전력 송전을 방지하는 송전-가드도 제공하는데, 파워아울렛의 1차코일은 전원에 연결되고 전기부하에 연결된 2차코일과 유도결합을 하며; 송전-키가 없을 때는 상기 1차코일이 전원에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송전-락을 사용한다. 이런 송전-락은 자기스위치를 포함하고, 송전-키는 2차코일에 연결된 자기소자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송전-락이 자기소자와 일치하여 작동되었을 때만 1차코일을 전원에 연결하는 일련의 자기스위치들을 가질 수 있다. 또, 자기스위치가 자기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해제신호를 내는 이미터와 해제신호를 감지하는 디텍터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때 송전-키는 이미터와 디텍터 사이를 브리지하기 위해 2차코일과 연결된 브리지를 구비하여, 2차코일이 1차코일과 정렬되었을 때만 해제신호가 이미터에서 디텍터로 보내지도록 한다. 이 경우, 해제신호가 광신호이고 브리지가 도파관이거나, 해제신호가 자기신호이고 상기 브리지가 자속가이드일 수 있다. 또, 송전-키가 2차코일과 연결된 이미터에서 방출된 해제신호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의 해제신호는 광신호이고, 광신호로는 송전-락을 해제하기 위해 디텍터에 의해 수신되는 적외선 펄스이고 해제신호는 자기신호일 수 있다. 이때의 이미터는 2차코일일 수 있다. 또, 1차코일에서 저전력 전력펄스를 송전하여, 2차코일이 1차코일과 정렬되었을 때 전력펄스가 2차코일로 송전되고 이런 전력펄스에 의해 송전-키가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2차코일의 존재 가능성을 나타내는 제1 송전-키에 의해 해제되는 제1 송전-락과, 2차코일의 존재를 확인하는 제2 송전-키에 의해 해제되는 제2 송전-락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송전-락이 1차코일에서 전력펄스를 송전시키고, 상기 제2 송전-키는 2차코일이 받는 전력펄스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자기소자가 페라이트 자속가이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해제신호로는 기계식 신호, 오디오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마이크로파가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유도 파워아울렛에서 전력을 받기 위한 유도 파워리시버를 갖는 유도송전장치도 제공하는데, 파워아울렛의 1차코일이 드라이버를 통해 전원에 연결되고, 파워리시버의 2차코일은 상기 1차코일에 유도결합하여 전기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며; 1차코일에서 2차코일로 자속을 안내하는 자속가이드를 포함하고, 이 자속가이드가 비정질 강자성체를 갖는다. 이 경우, 비정질 강자성체의 두께가 30미크론 미만이거나, 비정질 강자성체가 2개의 폴리머층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또, 자속가이드가 다수의 비정질 강자성체 층을 포함하고, 이런 강자성체 층들은 절연재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도 있다. 또, 자속가이드가 비정질 강자성체의 웨이퍼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와전류의 축적을 줄이기 위해 웨이퍼에 슬릿이 형성되는데, 가급적 웨이퍼가 원형이고 슬릿이 반경 방향으로 뻗는 것이 좋다. 또, 웨이퍼가 비정질 강자성체 시트를 절단한 것일 수도 있다. 또, 자속가이드가 비정질 강자성체로 된 마이크로와이어 클로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유도 파워아울렛에서 유도 파워리시버에 유도전력을 송전하고, 파워아울렛의 1차코일은 드라이버를 통해 전원에 연결되며, 유도리시버의 2차코일은 1차코일에 유도결합하고, 상기 2차코일이 전기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유도송전장치도 제공하는데, 이 장치는 a. 캐소드에 흐르는 전류가 임계치를 넘을 때 ON 상태로 바뀌는 전자식 스위치를 갖춘 저열손실 전파정류기; b. 상기 전원과 1차코일을 연결하고, 상기 1차코일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며, 이 구동전압이 1차코일과 2차코일 사이의 유도결합 공진주파수와는 다른 송전주파수로 진동하는 드라이버; c. 상기 파워리시버가 동작중일 때 사용자가 상처 없이 다룰 수 있도록 파워리시버와는 단열되어 있는 유도 파워어댑터; d. 유도결합된 전기부하가 없을 때는 상기 파워아울렛의 전력 송전을 방지하고, 송전-키가 없으면 1차코일의 전원에의 연결을 방지하는 송전-락이 달린 송전-가드; 및 e. 상기 1차코일에서 2차코일로의 자속을 안내하고, 비정질 강자성체로 된 자속가이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요소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1a~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송전장치에 사용되는 유도 파워아울렛과 유도 파워리시버의 개략적 사시도와 평면도;
도 1c는 유도송전장치의 주요부의 블록도;
도 2a는 2차부(2300)가 전기부하(2340)에 연결되지 않은상태에서 유도 파워아울렛(220)이 전력을 송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송전-가드(2100)의 블록도;
도 2b는 송전-가드(2100)로 보호되는 파워아울렛(2200)의 사시도;
도 2c~e는 능동형 광학 송전-키로 송전-락이 해제되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가드의 개략적 사시도;
도 3a는 기존의 전파 정류기의 회로도;
도 3b는 기존의 파워 MOSFET의 회로도;
도 4a는 동기 전파정류기(4200)의 회로도;
도 4b는 제2의 동기 전파정류기(4300)의 회로도;
도 4c는 전류작동 동기정류기(4330)의 회로도;
도 4d는 1) 캐소드(4334)와 아노드(4336) 사이의 전압강하(Vd)와, 2) 드레인전류(Id)와, 3) 1 전압 사이클 동안의 MOSFET 상태를 보여주는 3개의 그래프;
도 4e는 본 발명에 따라 유도 파워리시버 안에 설치된 동기 전파정류기(4400)의 회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라 유도 파워어댑터(5100)를 거쳐 파워아울렛(5200)에서 전력을 받는 랩탑컴퓨터(5300)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유도 파워어댑터의 사시도, 5c는 전개도, 5d는 단면도;
도 5e~f는 2차코일(5220), 자속가이드(5260) 및 PCB(5270)를 갖춘 파워리시버(5200)가 파워아울렛의 1차코일로부터 유도전력을 받는 것을 보여주는 전개사시도 및 결합상태 사시도;
도 6a는 비공진 주파수에서 전력을 송전하는 유도송전장치(6100)의 주요부의 블록도;
도 6b는 작동전압의 크기가 송전주파수에 따라 변하는 과정을 보이는 그래프;
도 6c는 유도 파워아울렛에서 전력을 받는 랩탑컴퓨터의 개략도;
도 6d는 간단한 피드백신호를 이용한 전력조절법의 순서도;
도 6e는 파워아울렛(6200)과 2차부(6300)의 회로도;
도 7a는 유도 파워아울렛(7200)이 원격 2차부(73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유도송전장치(7100)의 주요부의 블록도;
도 7b는 송전주파수에 맞게 작동전압이 변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유도 파워아울렛(7200)과 2차부(7300)의 회로도;
도 7d는 2차코일에서 1차코일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1a~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송전장치(100)에 사용되는 유도 파워아울렛(200)과 유도 파워리시버(300)가 도시되어 있다.
유도 파워아울렛(200)의 플랫폼(202)에 4개의 1차코일(220a~d)가 설치되어 있다. 유도 파워리시버(300)의 휴대폰(342) 케이스(302)에 2차코일(320)가 설치된다. 휴대폰(342)을 케이스(302)에 끼우면, 파워커넥터(304)에 의해 2차코일(320)가 휴대폰(342)에 연결된다. 도 1a에의하면, 유도 파워리시버(300)를 1차코일(220b)와 일치되게 플랫폼(202) 위에 두면, 2차코일(320)가 1차코일(220b)와 유도결합한다.
도 1c는 유도송전장치(100)의 주요부의 블록도이다.
유도 파워아울렛(200)의 1차코일(220)는 드라이버(230)를 통해 전원(240)에 유선연결된다. 드라이버(230)는 일반적으로 1차코일(220)에 진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와 같은 전자부품을 포함한다. 1차코일(220)에 진동전압이 걸리면 주변에도 진동 자기장이 생긴다.
유도 파워리시버(300)의 2차코일(320)는 정류기(330)를 통해 전기부하(340)에 유선연결된다. 1차코일(220)의 진동 자기장 안에 있는 2차코일(320)에 2차전압이 유도된다. 2차전압은 전기부하(340)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된다. 2차코일(320)에 유도된 2차전압이 교류전류(AC)를 일으킴에 주의하자. 전기부하(340)가 예컨대 전기화학전지를 충전시키기 위해 직류전류(DC)를 필요로 할 경우, 정류기(330)를 통해 AC를 DC로 변환한다.
실용화되거나 상업적으로 증명되지 못한 기존의 유도송전장치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유도 파워아울렛(200)에서 파워리시버(300)로의 전력전달 효율을 개선하는 요소들을 더 포함한다. 예컨대, 신호전달장치(400), 정렬기구(500) 및 자속가이드(600)를 예로 들 수 있다.
신호전달장치(400)는 파워리시버(300)와 파워아울렛(200) 사이에 신호전달 채널을 제공하고, 파워리시버(300)에 관련된 발신기(420) 및 파워아울렛(200)에 관련된 신호검출기(440)를 포함한다. 신호는 파워리시버(300)의 존재 확인, 전력전달 조절, 필요한 전력송전변수 송신 등의 여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마지막 기능은 특히 다단 레벨로 작동하는 장치에 특히 유용하다. 광학, 유도, 초음파 발신기,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여러가지 신호전달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정렬기구(500)는 2차코일(320)와 1차코일(220)를 정렬시켜 유도송전장치(100)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가 1차코일(220)를 직접 볼 수 있는 곳에서는 2차코일(320)를 눈으로 직접 보면서 정렬할 수 있다. 그러나, 1차코일(220)가 가려져 보이지 않으면, 정렬기구(500)가 필요하다. 이런 정률기구(500)는 촉감, 시각, 청각 등을 이용한다.
자속가이드(600)는 자속을 1차코일(220)에서 2차코일(320)로 안내하고 유도송전장치(100)에서 부근의 금속이나 다른 도체로 자속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유도송전장치는 무선으로 전기장치를 작동시키기에는 비효율적이거나 비실용적인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 결과, 오랫동안 전선을 줄일 필요성을 느꼈음에도 불구하고, 유도송전의 이용이 배터리 충전과 같은 저전력 분야에 한정되었다. 실용적이기 위해서는, 유도송전장치가 효율적이고 안전하면서도 걸리적거리지 않아야 하고, 특히 경박소형일 필요가 있다. 뒤에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런 요건을 만족하는 유도송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 유도 파워리시버(300)가 없을 때의 유도 파워아울렛(200)의 전력송전을 금지하는 송전-가드;
- 다이오드에서의 열손실을 줄이기 위한 전자스위치를 이용하는 AC-DC 정류기(330);
-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유도 파워리시버(300)를 다룰 수 있도록 파워리시버에 방열시스템 구비;
- 1차코일(220)와 2차코일(320) 사이의 자속누설은 개선하고 주변으로의 자속누설은 방지하는 얇은 재료로 자속가이드(600)를 구성;
- 유도결합의 공진주파수와는 상당히 다른 송전주파수로 진동하는 구동전압을 일으키도록 드라이버(230)를 구성.
이상의 어떤 특징도 종래의 기술에 비해 상당한 개선을 달성한다. 그러나, 유도송전장치가 실제로 전기기기를 작동시키려면 위의 특징들을 적어도 2가지 이상은 갖춰야 한다. 이들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대해 이하 자세히 설명한다.
송전-가드
도 2a는 2차부(2300)가 전기부하(2340)에 연결되지 않은상태에서 유도 파워아울렛(220)이 전력을 송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송전-가드(2100)의 블록도이다.
유도 파워아울렛(2200)의 1차코일(2220)은 전원(2240)에 연결되고, 전기부하(2340)에 연결된 2차코일(2320)와 유도결합한다. 1차코일(2220)은 드라이버(2230)를 통해 전원(2240)에 연결되고, 드라이버는 1차코일(2220)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자소자들, 예컨대 고주파 진동전압원을 제공하는 스위치 등을 제공한다. 피워아울렛(2200)의 1차코일(2220)이 하나 이상이면, 드라이버(2230)는 구동될 1차코일을 선택할 셀렉터를 포함한다.
이런 송전-가드(2100)는 전원(2240)과 1차코일(222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송전-락(2120)을 구비한다. 송전-락(2120)은 송전-키(2140)로 풀리지 않는 한 1차코일(2220)이 전원(2240)에 연결되지 못하게 한다. 송전-키(2140)는 2차부(2300)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2차코일(23220)이 1차코일(2220)에 정렬되었음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도 2b는 송전-가드(2100)로 보호되는 파워아울렛(2200)의 사시도이다. 2차부(2300)가 정렬된 상태에서만 파워아울렛(220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보호중인 파워아울렛(2200)의 자기 송전-락(2120)에 들어있는 다수의 자기스위치(2122)는 1차코일(2220)과 드라이버(223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다수의 자기소자들(2142)을 갖춘 송전-키(2140)은 승인된 2차부(2300) 안에 배치된다.
송전-키(2140) 안의 자기요소들은 송전-락(2120) 안의 자기스위치(2122)와 매칭되도록 구성된다. 송전-키(2140)와 2차코일(2320)이 각각 송전-락(2120) 및 1차코일(2220)과 정렬되면 승인된 2차부(2300)가 파워아울렛(2200)과 정렬된 것이다. 제대로 정렬이 이루어졌으면, 송전락(2120) 내의 모든 자기스위치(2122)가 닫혀 드라이버(2230)가 1차코일(2220)에 연결된다.
리드스위치나 홀효과센서와 같은 자기스위치(2122)는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의 N극이나 S극과 같은 자기요소(2142)에 민감하다. 홀효과센서는 일정 강도의 자기장을 감지한다.
송전-키(2140)는 2차부(2300)에 설치된 영구자석과 강자성체로 구성된다. 이런 종류의 송전-키에서 생긴 자기장의 특성은 영구자석의 강도와 위치는 물론 강자성체의 크기와 특성에 좌우된다. 송전-락(2120)은 단극 홀스위치와 같은 자기스위치로 구성되고, 이들 스위치는 영구자석 및 강자성체의 특정 조합에 의해 작동되었을 때만 1차코일(2220)을 드라이버(2230)에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1,2차 코일들(2220,2320)의 정렬을 돕기 위해 영구자석을 사용한다. 강자성체는 1차코일(2220)에서 2차코일(2320)로 자속을 안내하기 위해 2차부(2300) 안에 배치한다. 송전-락(2120)은 따라서 이들 요소에 민감하다. 각종 2차요소들을 감지하고 감지된 2차요소에 맞는 1차코일(2220)을 선택하는 하나의 자기 송전-락(2120)이 있을 수도 있다.
도 2a의 송전-가드(2100)에 의하면, 디텍터(2124)가 해제신호 SR을 받았을 때 풀리는 송전-락(2120)에 의해 파워아울렛(2200)이 보호된다. 해제신호 SR은 송전-키(2140)에 의해 능동적으로 방출되지만, 송전-키가 수동적으로 해제신호를 디텍터(2124)로 보낼 수도 있다.
수동 송전-키(2140)의 일례가 도 2c~e에 도시되었는데, 여기서는 광학 송전-가드(2100)를 이용한다.
송전-가드(2100)는 파워아울렛(2200') 안에 설치된 능동형 광학 송전-락(2120')과, 2차부(2300) 안에 설치된 수동형 광학 송전-키(2140')로 이루어진다.
도 2c에서, 송전-락(2120')은 스위치(2122'), 포토다이오드, 포토트랜지스터, 감광소자 등의 광학 디텍터(2124'), 및 LED와 같은 광학 이미터(2126')를 포함한다. 스위치(2122')는 평상시는 열려있지만 디텍터(2124')에서 해제신호 SR를 받았을 때는 닫히면서 1차코일(2220)를 드라이버(2230)에 연결한다. 광학 이미터(2126')는 광학 디텍터(2124')에서 직접 감지하지 못하는 해제신호 SR를 방출한다.
도 2d에 의하면, 송전-키(2140')의 브리지(2142')는 도파관, 광섬유, 반사기를 포함하는 요소로서, 2차코일(2320)이 1차코일(2220)과 정렬되었을 때 이미터(2142')의 해제신호 SR를 디텍터(2126')로 보내기 위한 것이다.
2차부(2300)가 도 2e와 같이 파워아울렛(2200)에 정확히 정렬되면, 2차코일(2320)이 1차코일(2220')과 정렬되고 송전-키(2140')가 송전-락(2120')과 정렬되어, 해제신호 SR이 디텍터(2126')에 의해 감지되고 스위치(2122)가 닫혀 1차코일(2220)이 드라이버(2230)에 연결된다.
적외선을 일부라도 투과시키는 지료가 많은데, LED에서 나오는 비교적 낮은 강도의 적외선은 플라스틱, 카드보드, 포미카, 종이 등을 수백 마이크론 두께도 투과하므로, 디텍터(2124')가 0.1~2mm 두께의 이런 재료 뒤에 가려져 있어도 해제신호를 받아서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24도 이상의 온도에서 850nm를 투과하는 Avago HSDL-4420 LED의 신호를 0.8mm 포미카 시트 뒤에 있는 Everlight PD15-22C-TR8 NPN 포토다이오드에서 감지할 수 있다. 신호용으로는 큰 정도의 감쇠도 인정되므로, 투과된 신호 강도의 0.1% 정도만 투과해도 충분하다.
이상 설명한 이외의 다른 종류의 수동 송전키에 다른 종류의 해제신호 안내를 위한 브리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홀효과센서와 같은 자기 디텍터에 해제신호를 보내기 위해 강자성체 브리지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자기 이미터가 1차코일 자체일 수 있다.
한편, 도파관을 따라 저전력 마이크로파가 안내되거나, 밀집 소자들을 통해 오디오신호가 안내될 수도 있다.
능동 광학 송전-키(2140")의 일례가 도 2f에도시되었는데, 여기서 사용되는 송전-가드(2100")는 파워아울렛(2200) 안에 설치된 송전-락(2120")과, 2차부(2300) 안에 설치된 능동 광학 송전-키(2140")를 포함한다.
송전-키(2140")의 광학 이미터(2142")는 광학 해제신호 SR을 방출하고, 송전-락(2120")은 스위치(2122")와 디텍터(2124")를 갖추고 있다. 디텍터(2124")가 해제신호 SR을 받으면 송전-락(2120")은 스위치(2122")를 닫아 1차코일(2220)을 드라이버(2230)에 연결한다. 2차부(2300)가 파워아울렛(2200)과 정렬되면, 송전-키(2140")이 해제신호 SR을 방출하고, 이 신호는 디텍터(2124")에서 감지되어 스위치(2122")가 닫히고, 파워아울렛(2200")에 의해 2차코일(2320)에 전력이 송전된다.
해제신호 SR가 고유 식별자를 제공하도록 코딩할 수도 있는데, 이런 코딩은 주파수, 펄스수, 진폭 등을 변조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이런 코드를 이용해 승인을 위한 2차부의 종류나 정체를 확인할 수 있다. 해제신호에 다른 데이터도 실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필요한 송전변수, 요금정보 등이 있다.
이상 설명한 송전-키(2140") 이외의 다른 능동형 송전키가 다른 종류의 해제신호를 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차코일(2320)이 송전락에 설치된 자기 디텍터에 자기 해제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데, 이런 2차코일이 홀효과센서일 수도 있으며 심지어는 1차코일 자체일 수도 있다.
해제신호를 능동적으로 방출하려면 송전키에 전원이 필요하다. 특히, 2차부가 휴대용 전기기기에 설치된 경우에는 2차부가 달린 내부 전지에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지만, 1차코일에서 2차코일로 전송된 전력펄스에서 전력을 끌어올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파워아울렛이 주기적인 저전력 펄스, 예컨대 수밀리초 주기의 펄스를 1Hz의 주파수로 1차코일에서 전송할 수도 있다. 2차코일이 1차코일에 접근하면, 2차코일로 전력이 송전되어 송전키를 작동시킨다.
한편, 2차부에 연결된 제1 수동식 송전락이 제1 송전락을 해제하여 휴대형 2차코일의 존재를 나타낼 수도 있다. 이때는 1차코일에서 저전력 펄스가 방출되어 2차 송전키를 작동시켜 제2 송전락이 해제됨으로써, 1차코일이 드라이버에 연결된다.
동기 정류기
도 3a는 기존의 전파 정류기(3100)의 회로도이다. 이 정류기는 2개의 입력단자(T1,T2)와 2개의 출력단자(T3,T4)를 갖는다. 교류전류원(ACin)이 2개 입력단자(T1,T2)에 연결되면, 직류전류 출력단(DCout)이2개 출력단자(T3,T4)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2개의 다이오드(D1~2)와 다른 2개의 다이오드(D3~3)는 각각 그라에츠 회로(Graetz circuit)의 제1 및 제2 분기로(3110,3120)를 형성한다. 상류측 다이오드(D1,D3)의 아노드는 제1 출력단자(T3)에 연결되고 2개의 하류측 다이오드(D2,D4)의 캐소드는 제2 출력단자(T4)에 연결된다. 제1 상류측 다이오드(D1)의 캐소드와 제1 하류측 다이오드(D2)의 아노드는 제1 입력단자(T1)에 연결되고, 제2 상류측 다이오드(D3)의 캐소드와 제2 하류측 다이오드(D4)의 아노드는 제2 입력단자(T2)에 연결된다.
제1 입력단자(T1)의 극성이 제2 입력단자(T2)에 비해 양극이면 제1 하류 다이오드(D2)와 제2 상류 다이오드(D3)에 전류가 흐르고, 제1 입력단자(T1)의 극성이 제2 입력단자(T2)에 비해 음극이면 제2 하류 다이오드(D4)와 제1 상류 다이오드(D1)에 전류가 흐른다.
도 3a와 같은 다이오드 브리지 정류기를 이용해 입력의 극성에 따라 극성이 고정된 출력을 낼 수 있다. 이런 다이오드 브리지 정류기는 AC-DC 파워컨버터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평활 커패시터 C로 출력을 평활화한다.
극성이 바뀔 때마다 다이오드에서 전력이 손실된다. 고주파 전력 컨버터에서, 입력단자(T1,T2)가 100kHz 이상의 주파수로 진동할 수 있으면, 전력손실로 브리지회로가 상당히 가열되어 주변 소자들의 신뢰성이 떨어지거나 고장날 수도 있다.
전력손실이 훨씬 적은 도 3a와 같은 MOSFET와 같은 전자스위치가 달린 다이오드로 바꾸면 전력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4a는 이런 동기 전파정류기(4200)의 회로도로서, 도 3a의 다이오드 브리지 중의 제1 하류다이오드(D2)와 제2 하류다이오드(D4)를 2개의 전자스위치 M2와 M4로 바꾸었다.
전자스위치 M2와 M4는 스위칭신호 G2와 G4에 의해 ON/OFF 조절된다. M2를 조절하는 스위칭신호 G2는 제1 입력단자(T1)가 제2 입력단자(T2)에 대해 양극일 때마다 ON 상태로 바꾸도록 동기화되어야 한다. M4를 조절하는 스위칭신호 G4는 제1 입력단자(T1)가 제2 입력단자(T2)에 대해 음극일 때마다 ON 상태로 바꾸도록 동기화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런 동기화는 제1 스위칭신호 G2를 제2 입력단자(T2)의 전압에서 끌어오고 제2 스위칭신호 G4를 제1 입력단자(T1)의 전압에서 끌어와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동기 전파정류기(4200)에서는 2개의 다이오드를 MOSFET로 바꿔 종래의 다이오드브리지 정류기(4100)에 비해 전압손실을 50%까지 줄일 수 있다. 전력손실을 더 줄이려면, 나머지 2개의 다이오드(D1,D3)도 전자스위치로 바꾸는 것이 좋다. 그러나, 입출력 단자들 사이에 단락을 일으키지 않고 4개의 전자스위치를 동기화시키는 것은 아주 어렵다.
도 4b는 제2의 동기 전파정류기(4300)의 회로도로, 도 3a의 다이오드 브리지의 4개 다이오드(D1~4)를 모두 전자스위치(M1~4)로 바꾸었다. 극성이 일정한 출력(DCout)을 내기 위해, 스위칭신호 G1~4는 주의깊게 조절해야 한다.
제1 입력단자(T1)가 제2 입력단자(T2)에 대해 양극으로 바뀌면, 제1 상류 및 제2 하류 전자스위치 M1, M4는 OFF로 되고, 제1 하류 및 제2 상류 전자스위치 M2, M3는 ON 상태로 되어야 한다. 제1 입력단자(T1)가 제2 입력단자(T2)에 대해 음극으로 바뀌면, 제1 상류 및 제2 하류 전자스위치 M1, M4는 ON 상태로 되고, 제1 하류 및 제2 상류 전자스위치 M2, M3는 OFF 상태로 되어야 한다.
스위칭신호 G1~4의 동기화는 다른 요인에 의해 더 복잡해진다. 출력단자의 단락을 막으려면, 공통 분기로(4310,4320)에서의 상하류 전자스위치들이 모두 동시에 ON 상태에 있어서는 안된다. 실제로, M1과 M2를 조절하는 2개의 스위칭신호 G1과 G2가 입력단자(T1~2) 각각에서 온다면, M1과 M2 모두 주기적으로 ON 상태에 있다. M1과 M2가 제1 분기로(4310)에서 서로 근접해 있으므로, 출력단자 T3와 T4 사이에 단락이 일어난다. 나머지 2개 전자스위치 M3와 M4를 조절하는 스위칭신호 G3와 G4가 각각 입력단자 T1과 T2에서 올 EO에도 제2 분기로(4320)를 따라 비슷한 단락이 일어난다.
본 발명에서는, M2와 M4의 스위칭신호 G2와 G4만 직접 입력단자 T1과 T2에서 오고, M1과 M3의 스위칭신호 G1과 G3는 간접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스위칭신호 G1과 G3는 각각 M1과 M3의 캐소드전류 변화에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c는 전류작동 동기정류기(4330)의 회로도로서, 이 회로는 브리지 동기정류기(4300)에 설치된 전자스위치(M) 역할을 한다. 전류작동 동기정류기(4330)는 도 3b와 같은 파워 MOSFET(4130)과 전류모니터(4332)를 갖추고 있다. 전류모니터(4332)는 MOSFET(4130)의 드레인(4136)에 연결되고, 드레인전류 Id가 임계치 Ith를 넘을 때 MOSFET의 게이트(4138)에 전류기반 게이트신호 Gi를 보낸다. 이 MOSFET는 n-채널형이지만, p-채널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류작동 동기정류기(4330)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이 정류기의 캐소드(4334)와 아노드(4336)에 사인파 교류전압이 걸린 경우를 고려한다. 도 4d는 1) 캐소드(4334)와 아노드(4336) 사이의 전압강하(Vd)와, 2) 드레인전류(Id)와, 3) 1 전압 사이클 동안의 MOSFET 상태를 보여주는 3개의 그래프이다.
- 첫번째 하프사이클 동안 캐소드(4334)와 아노드(4336) 사이의 전압강하(Vd)가 음성이어서, 캐소드(4334)의 극성이 아노드(4336)에 대해 음극이다. 그 결과, 드레인(4136)에 전류가 흐르지 않고, MOSFET는 OFF 상태이다.
- 두번째 하프사이클의 초기에 캐소드(4334)와 아노드(4336) 사이의 전압강하(Vd)가 0보다 커져, 캐소드(4334)의 극성은 아노드(4336)에 대해 양극으로 되어, 작은 드레인전류(Id)가 다이오드(4132)에 흐르기 시직한다. 이 전류는 전류모니터(4332)로 측정한다.
- 세번째 쿼터사이클 동안 캐소드(4334)와 아노드(4336) 사이의 전압강하(Vd)가 계속 상승하고, 전류모니터(4332)가 증가하는 드레인전류(Id)를 측정한다.
- 드레인전류(Id)가 임계치(Ith)를 넘으면 전류기반 게이트신호(Gi)가 MOSFET(4130)를 ON 상태로 바꾼다.
- MOSFET(4130)가 ON 상태이면, 전자스위치(4131)의 저항도전로에 전류가 흘러, 드레인전류(Id)가 전압강하(Vd)에 비례하여 변한다.
- 마지막 쿼터사이클 동안, 캐소드(4334)와 아노드(4336) 사이의 전압강하(Vd)가 감소하고, 전류모니터(4332)가 줄어드는 드레인전류(Id)를 측정한다.
- 드레인전류가 임계치(Ith) 밑으로 떨어지면, 전류기반 게이트신호(Gi)가 MOSFET(4130)를 OFF 상태로 바꾼다.
도 4e는 본 발명에 따라 유도 파워리시버 안에 설치된 동기 전파정류기(4400)의 회로도이다. 전자스위치 M1~4는 모두 소스, 드레인 및 게이트의 3개 단자가 달린 MOSFET이다. 상류측 MOSFET인 M1과 M3는 모두 n 채널형으로서, 소스는 모두 정류기의 제1 출력단자인 T3에 연결된다. 하류 MOSFET인 M2와 M4는 모두 p 채널형으로서, 소스는 모두 정류기의 제2 출력단자인 T4에 연결된다. M1과 M2의 드레인은 모두 정류기의 제1 입력단자인 T1에 연결되고, M3와 M4의 드레인은 모두 정류기의 제2 입력단자인 T2에 연결된다.
입력단자 T1과 T2는 1차코일에 유도결합된 변압기의 2차코일(L2)에 연결되고, 2차코일(L2)은 입력단자 T1과 T2에 교류전류를 공급한다.
M2와 M4의 게이트는 평활회로(4420,4440)를 통해 각각 입력단자 T2와 T1에 연결된다. 따라서, 스위칭신호 G2와 G4는 서로 위상차 상태에 있다. M1과 M3의 게이트는 자체 드레인전류 Id1과 Id3로 구동되는 스위칭신호 G1과 G3를받는다. M1의 드레인전류(Id1)는 제1 변류기(4410)의 감시를 받고, 이 변류기의 1차 전류모니터 코일 CT1P는 전류신호를 2차전류 모니터(CT2S)로 보내고, 그 출력은 정류되어 드라이버(4450)의 제1 입력(IN1)로 중계되며, 이곳에서 증폭된 다음 제1 출력(OUT1)에 출력된다. 드라이버의 제1 출력신호는 다시 상류 MOSFET(M1)으로 보내져, 드레인전류(Id1)가 임계치를 넘으면 M1이 스스로 ON 상태로 바뀐다. 이 과정에서 교류전류입력(ACin)과 같은 주파수로 스위칭신호 G1이 생긴다.
마찬가지로, 제2 상류 MOSFET(M2)의 드레인전류(Id3)는 제2 변류기(4430)의 감시를 받으며, 이 변류기에서 1차전류 모니터코일(CT2p)이 전류신호를 2차전류 모니터(CT2S)로 보내고, 그 출력은 정류되어 드라이버(4450)의 제2 입력(IN2)로 중계되며, 이곳에서 증폭된 다음 제1 출력(OUT2)에 출력된다. 드라이버의 제2 출력신호는 다시 제2 상류 MOSFET(M3)로 보내져, 드레인전류(Id2)가 임계치를 넘으면 M3가 스스로 ON 상태로 바뀐다. 이 과정에서 교류전류입력(ACin)과 같은 주파수로 스위칭신호 G3가 생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변류기(4410,4430)를 이용해 드레인전류를 감시했지만, 전류계, 검류계, 홀효과센서 등의 다른 전류모니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유도 파워리시버의 내부 방열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라 유도 파워어댑터(5100)를 거쳐 파워아울렛(5200)에서 전력을 받는 랩탑컴퓨터(5300)를 보여준다. 파워어댑터는 안전하게 다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파워어댑터(5100)는 케이싱(5160) 안에 들어있는 유도리시버(5120)와, 컴퓨터(5300)와 같은 전기기기에 연결하기 위한 파워커넥터(5140)를 구비한다. 유도리시버(5120)의 2차코일(5122)는 파워아울렛(5200)의 1차코일(5220)와 유도결합한다. 1차코일(5220)는 대개 드라이버(5230)를 거쳐 전원(5240)에 연결되고, 드라이버(5230)는 1차코일(5220)에 진동전압을 공급한다.
2차코일(5122)를 1차코일(5220)에 정렬하기 위해 정렬기구(도시 안됨)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정렬기구의 유도아울렛 내부의 1차 자기요소는 파워어댑터(5100)의 2차 자기요소와 맞닿거나 결합된다.
파워컨버터의 전기 부품들에서는 열이 생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도리시버(5120), 특히 50W나 100W 이상의 고전력에서 작동하는 유도리시버에 열이 생기면 많은 문제가 생긴다. 열 때문에 온도가 올라가면 전체적인 효율이 저하되고 신뢰성도 떨어진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려는 많은 시도가 필요하고, 시스템의 크기와 같은 다른 요인도 고려해야 한다.
실제로는 고온에서 기능하는 파워어댑터(5100)를 사용하지만, 케이싱(5160)이 견딜 수 있는 최대온도는 사용자가 다루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케이싱(5160)이 섭씨 50도 이상의 고온에 이르면, 사용자가 어댑터를 다루기가 쉽지 않고 화상을 입을 위험도 있다.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어댑터(5100)를 다루려면, 핸드그립(5162)에서 열을 없애는 방열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유도 파워어댑터(5100)를 보여주는 도 5b~d를 참조하면 방열시스템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b는 파워어댑터의 사시도, 5c는 전개도, 5d는 단면도이다.
파워어댑터(5100)는 하부 케이싱(5160L)과 상부케이싱(5160U) 사이에 있는 유도 파워리시버(5120)와 히트싱크(5130) 및 핸드그립(5162) 둘레에 전력저장용으로 감겨있는 파워커넥터(5140)를 포함한다.
파워리시버(5120)는 2차코일(5122), 강자성 디스크(5124) 및 PCB(5126)로 이루어진다. 히트싱크(5130)는 파워리시버(5120)와 상부케이싱(5160U) 사이에 있는 금속디스크로 이루어진다. 강자성 디스크(5124)는 2차코일(5122)과 파워아울렛(5200)의 1차코일(5220) 사이의 유도결합을 개선하기 위한 자속안내심 역할을 한다(도 1 참조).
파워어댑터(5100)가 작동중일 때는 파워리시버(5120)의 여러 부품들에서 열이 생긴다. 2차코일(5122)에 교류전류가 유도되면, 코일에 열이 생긴다. 또, 정류기, 다이오드, MOSFET, 전력조절기, LDO, 피드백송신기와 같이 PCB(5126)에 설치된 소자들 주변에 열점이 생긴다.
히트싱크(5130)는 알루미늄이나 구리와 같은 열전도재로서, 파워리시버(5120) 둘레로 균일하게 열을 분포시키는 역할을 한다. PCB(5126)에 방열공을 뚫고 히트싱크(5130)와 PCB(5126)와 강자성 디스크(5124)와 2차코일(5122) 사이의 열접촉을 개선하기 위해 그리이스 등의 기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워어댑터 내부에서 공기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상부케이싱(5160U)의 윗면(5161)에 배기공(5132)를 형성한다. 하부케이싱(5160L)의 밑면(5165)과 측면(5167)은 물론 상부케이싱(5160U)의 측면(5163)에는 밑에서부터 파워어댑터 내부로 찬공기가 들어가는 흡기공(5134)을 형성한다. 히트싱크의 외경(d)을 케이싱(5160)의 내경(D)보다 작게 하여 파워리시버(5120) 주변에 공기가 순환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되면 파워리시버(5120)에서 가열된 고온공기가 배기공(5132)를 통해 어댑터(5100)를 나가고, 흡기공(5134)을 통해 외부에서 찬공기가 어댑터(5100)에 들어간다. 핸드그립(5162)은 단열재 방벽에 의해 열에서 더 보호될 수 있다.
배기공(5132)을 통해 파워어댑터(5100) 안으로 먼지가 들어갈 수도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먼지를 막는 방진기를 설치할 수도 있다. 운전상태에서는 핸드그립(5162)으로 배기공(5132)을 가려 먼지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고, 정지상태에서는 파워커넥터(5140)를 핸드그립(5162)에 감아 먼지를 막을 수도 있다.
또, 파워아울렛(5200)의 광디텍터에 신호를 보내는 피드백송신기로 사용되는 LED를 PCB(5126)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LED와 디텍터 사이에 분명한 시야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광송신 파장을 투과하는 광학적 창을 2차코일(5122), 강자성 디스크(5124), 하부케이싱(5160L), 및 PCB(5126)와 1차코일(5220) 사이의 다른 층들을 관통해 형성하는 것이 좋다.
자속 안내
도 5e~f에의하면, 2차코일(5220), 자속가이드(5260) 및 PCB(5270)를 갖춘 파워리시버(5200)가 파워아울렛(도시 안됨)의 1차코일로부터 유도전력을 받는다. 자속가이드(5260)은 1차코일의 자속을 2차코일(5220)로 안내하여 주변으로의 자속 누설을 줄이는 역할을 하고, 강자성 코어(5262)와 자기실드(5264)로 구성된다. 강자성 코어(5262)는 1차코일의 자속을 2차코일(5220)로 안내한다.
강자성 코어(5262)는 비정질 강자성체로 이루어지고, 대부분 두께 20미크론 정도의 판을 웨이퍼 형태로 절단한 것이다. 일례로, 강자성 코어가 2개의 비정질 강자성 웨이퍼(5262a,b)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제1 웨이퍼(5262a)를 제1 접착절연층(5265a)으로 1차코일(5220)에 접착하고, 제2 웨이퍼(5262b)는 제2 접착절연층(5265b)으로 제1 웨이퍼(5262a)에 접착한다. 이들 2개의 웨이퍼(5262a,b)는 1차코일의 자속을 2차코일(5220)에 안내하는 강자성체 코어 역할을 한다. 1차코일에서 생긴 진동 자속으로 인해 웨이퍼 내부에 와전류가 쌓이지 않도록 강자성 웨이퍼(5262a,b) 각각에 방사상 슬릿(5263a,b)을 형성한다. 웨이퍼가 원형이면, 슬릿은 원주변에서 안쪽으로 직경 방향으로 뻗을 수 있다.
자기실드(5264)는 주변으로의 자속 누설을 방지하는 것으로, 얇은 비정질 강자성체 판으로 이루어지고 제3 접착절연층(5265c)을 통해 PCB에 접착되는 것이 좋다. 파워리시버(5200)를 도전면이나 도전요소에 설치할 때 자기실드가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이런 파워리시버(5200)를 컴퓨터나 휴대폰과 같은 전기기기에 설치할 때, 자기실드(5264)가 전기기기의 금속요소로의 자속 누설을 방지하여 발열을 방지한다.
비정질 강자성체 판의 두께는 20미크론이다. 양쪽에 폴리머 박판을 쌓으면, 전체 두께가 60미크론으로 된다. 따라서, 유도장치에서 자속을 안내하는데 사용된 다른 페라이트 요소들에 비해, 얇은 자속가이드(5260)를 제작하는데 비정질 강자성체가 사용된다. 얇은 자속가이드(5260)를 사용하면 파워리시버(5200)가 유연해지고 거슬리지 않게 된다. 이런 특징은 유도 리시버를 설치한 기기의 설계와 제조에 아주 중요하다. 비정질 강자성체로 자속가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은 프린팅, 스탬핑, 커팅, 비정질 강자성체 마이크로와이어 클로스 등이 있다.
비공진 주파수에서의 송전
유도결합된 2차코일의 유도전압의 세기는 1차코일에 공급된 전압의 진동주파수에 달려있다. 진동주파수가 시스템의 공진주파수와 같을 때 유도전압이 가장 강하다. 공진주파수 fR은 인덕턴스(L)와 커패시턴스(C)의 함수로서
Figure pct00001
이다.
기존의 유도송전장치는 유도결합의 공진주파수에서 전력을 송전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 경우 송전 기간동안 장치의 공진주파수를 유지하기가 아주 어려운데, 이는 1, 2차 코일들 사이의 정렬상태 변동이나 외부조건의 변화 때문이다.
따라서, 공진주파수에서 송전하도록 설계된 유도송전장치는 공진주파수를 유지하기 위한 튜닝기구가 필요하다. 튜닝은 공진 검색을 위해 구동주파수를 조절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Kuennen의 "Inductively coupled ballast circuit"란 제목의 미국특허 6,825,620는 부하에 유도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공진검색 안정기를 소개한다. 안정기는 오실레이터, 드라이버, 스위칭회로, 공진탱크회로 및 전류감지회로를 포함한다. 전류감지회로는 전류 피드백신호를 오실레이터에 공급하고, 오실레이터는 공진탱크회로의 전류를 표시한다. 전류 피드백신호는 공진기의 주파수를 조절해 공진을 검색한다. 공진기는 공진탱크회로에 유도결합된 전류제한회로를 갖는다. 전류제한회로는 공진기의 전류가 임계치를 넘거나 일정 범위를 벗어날 때 공진기를 불능화시킨다.
한편, 유도장치의 특성을 조절해 튜닝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Baarman의 "Adaptive inductive power supply"란 명칭의 미국특허 7,212,414는 인버터로 작동되는 동적 탱크회로를 갖춘 무접점 전원을 소개한다. 무접점 전원은 부하에 유도결합되고, 인버터는 DC 전원에 연결된다. 장치에서 부하를 제거하거나 추가할 때 무접점 전원은 탱크회로의 공진주파수, 인버터 주파수, 인버터 듀티사이클 또는 DC 전원의 레일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튜닝기구들은 공진 송전이 아주 민감하기 때문에 공진상태의 송전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공진에 아주 작은 변화만 있어도 송전된 전력에는 큰 변화가 생긴다. 공진 송전에 관한 더 큰 문제는 높은 송전 전압이다. 높은 전압에서는 커패시터와 트랜지스터가 상대적으로 커야 한다.
도 6a는 비공진 주파수에서 전력을 송전하는 유도송전장치(6100)의 주요부의 블록도이다. 이 유도송전장치(6100)의 유도 파워아울렛(6200)은 원격 2차부(6300)에 전력을 공급한다. 파워아울렛(6200)의 1차코일(6220)은 드라이버(6230)를 거쳐 전원(6240)에 연결되고, 드라이버(6230)는 진동 구동전압을 1차코일(6220)에 공급한다.
2차부(6300)의 2차코일(6320)는 전기부하(6340)에 연결되어있고 1차코일(6220)에 유도결합한다. 전기부하(6340)는 전원(6240)에서 전력을 받는다. 2차부(6300)의 송신기(6122)와 파워아울렛(6200)의 수신기(6124) 사이에 통신채널(6120)이 제공되는데, 이 통신채널은 드라이버(6230)에 피드백신호(S) 등을 제공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송전 전압의 큰 증가를 검색하는 피크전압 디텍터(6140)를 설치하기도 한다. 뒤에 설명하겠지만, 피크전압 디텍터(6140)는 2차부(6300)의 제거, 전력 누설, 단락 등을 검색한다.
도 6b는 작동전압의 크기가 송전주파수에 따라 변하는 과정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송전 주파수가 공진주파수와 같을 때 전압이 최대이고, 최대 진폭은 공진피크(2)이다. 그래프의 기울기는 공진피크(2)의 양쪽 영역(4a,b)에서 가장 급하다. 따라서, 공진주파수나 그 부근에서 동작하는 유도전송장치의 주파수가 약간만 변해도 유도전압은 크게 변동된다. 마찬가지로, 공진주파수가 약간만 변해도 유도전압은 크게 변동한다. 이런 이유로, 기존의 유도전송장치는 주변환경이나 유도코일들 사이의 정렬상태의 변화에 아주 민감할 수밖에 없었다.
드라이버(6230)가 유도결합 공진주파수에서 상당히 벗어난 주파수로 진동하는 구동전압을 송전하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도 1 참조). 주파수-진폭 그래프의 기울기가 덜 급격한 근접선 영역(6,8)에 송전 주파수가 있도록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의 장점에 대해 도 6c를 참조해 설명한다. 랩탑컴퓨터(6340)가 전력을 받는 2차부(6300)를 거쳐 유도 파워아울렛(6200)로부터 전력을 받는다. 2차부(6300)의 2차코일(6320)은 파워아울렛(6200)의 1차코일(6220)과 정렬한다. 2차부(6300)가 옆으로 움직이면 1,2차 코일들의 정렬상태가 변해, 코일쌍의 결합 인덕턴스가 변하여, 결국 장치의 공진주파수가 바뀐다.
파워아울렛(6200)이 공진주파수에서 전력을 송전하면, 옆으로 조금만 움직여도 유도전압의 진폭은 크게 변한다.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하면, 파워아울렛(6200)이 공진피크(2)의 양쪽의 기울기가 크게 작은 영역(6,8)의 주파수에서 전력을 전송하므로, 파워아울렛의 움직임과 같은 큰 변화를 허용할 수 있다.
비공진 송전의 다른 장점은, 송전주파수를 이용해 송전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유도송전장치에서는 드라이버가 공급하는 송전 전압의 듀티사이클을 바꿔 전력을 조절하므로, 송전주파수가 공진주파수와 같지 않으면 드라이버(6230)가 송전주파수를 조절해 송전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b에서는 주파수값이 fL과 fU 사이에 있는 근접선형 영역(8)에서 송전 주파수를 선택했다. 장치의 공진주파수 fR보다 높은 송전주파수 ft에서 Vt의 유도전압이 생긴다. 이 유도전압은 송전주파수를 낮추면 증가하고 높이면 감소한다. 예를 들어, 송전주파수가 δf만큼 증가하면 유도전압은 δV만큼 감소한다.
각종 송신기(6122)와 수신기(6124)를 통신채널(6120)에 사용할 수 있다. 또, 1, 2차 코일(6220,6320)이 갈바닉 절연되어 있으면, 수신기 역할을 하는 광트랜지스터에 암호화된 광신호를 단거리 송신하는 송신기 역할을 하는 LED를 광커플러에 사용할 수 있다. 광커플러는 일반적으로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시야를 확보하도록 배열되어야 한다. 송신기와 수신기의 정렬이 어려운 장치에서는, 광커플러가 부적절하고,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신호나 압전소자로 송신되는 초음파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1,2차 코일(6220,6230) 자체가 송신기(6122)와 수신기(6124) 역할을 하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는 LED와 같은 광송신기를 2차부(6300)에 설치해, 2차부(6300)와 파워아울렛(6200)을 모두 투과할 수 있는 강도와 종류의 전자기파를 내기도 한다. 이 경우, 포토다이오드, 포토트랜지스터, 빛에 의한 저항기와 같은 광수신기를 파워아울렛(6200)에 설치해 전자기파를 받는다.
통신채널(6120)이 전력송전 기간동안 피드백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피드백 송전에는 아래와 같은 전기부하(6240)의 작동변수를 감시해야 한다:
- 전기부하에 필요한 작동 전압, 전류, 온도 또는 전력;
- 동작 중에 전기부하에 공급된 측정 전압, 전류, 온도 또는 전력;
- 동작 중에 전기부하가 받은 측정 전압, 전류, 온도 또는 전력.
어떤 경우에는, 드라이버(6230)의 마이크로컨트롤러가 필요한 송전주파수를 계산해 드라이버를 조정하기 위한 피드백 변수를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전력을 가감할 필요가 있는지 표시하는 간단한 피드백 신호를 받을 수도 있다.
간단한 피드백신호를 이용한 전력조절법의 일례가 도 6d의 순서도이다. 이 방법의 단계들은 아래와 같다:
(a) 드라이버(6230)가 장치의 공진주파수 fR보다 높은 송전주파수 ft에서 진동전압 공급.
(b) 2차코일(6320)에 2차전압 유도.
(c) 2차부(6300)의 파워모니터가 전기부하(6340)에 공급된 전력 감시.
(d) 전기부하에 공급된 전력이 일정 범위에 있으면 아무 동작도 취하지 않지만, 이 범위보다 낮으면 제1 종류의 피드백신호 Sa를 드라이버에 보내고, 이 범위보다 크면 제2 종류의 피드백신호 Sb를 드라이버에 보냄.
(e) 드라이버(6230)가 피드백신호 수신.
(f) 수신된 피드백 신호가 Sa이면 송신주파수가 증분값 +δf1만큼 커지고, Sb이면 송신주파수가 증분값 -δf2만큼 감소.
이상 설명한 전력조절법을 이용하면, 부하에서 받은 전력이 너무 높을 때, 적당한 수준으로 전력이 감소될 때까지 Sa 종류의 일련의 피드백 신호가 송신된다. 마찬가지로, 부하에서 받은 전력이 너무 낮으면, 적당한 수준으로 전력이 증가될 때까지 Sb 종류의 일련의 피드백 신호가 송신된다. + 증분값 δf1만는 - 증분값 증분값 δf2보다 작거나 크거나 같을 수 있다.
한편, 주파수 조절을 이용한 다른 전력조절법도 있다. 예를 들어, 전기부하의 작동변수들이 감시되고 그 값들이 통신채널(6120)을 통해 파워아울렛에 송신된다고 하면, 파워아울렛의 프로세서가 필요한 송신주파수를 직접 계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방법은 공진피크(2)보다 높은 선형 영역(8)내의 비공진 송전주파수에 대한 설명이다(도 6b 참조).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공진피크보다 낮은 선형 영역(6)의 송전주파수에서도 주파수조절 전력조정법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유도결합장치의 공진주파수는
Figure pct00002
인데, 여기서 L은 인덕턴스이고 C는 커패시턴스이다. 따라서, L이나 C 어느쪽이 작아져도 공진주파수는 증가한다.
공진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로 송전하는 파워아울렛에서, 공진주파수가 커지면 송전전압이 크게 증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1의 피크전압 디텍터(6140)를 이용해 파워아울렛(6200)의 송전전압을 감시하고 공진주파수의 증가를 나타내는 송전전압의 큰 증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런 송전전압의 증가는 전력누설, 회로단락, 2차부의 제거 등을 표시한다.
도 6c와 같은 데스크탑 환경에서는 페이퍼클립, 금속자, 금속케이싱, 스테이플러, 홀펀치 등의 금속물체로 된 도체가 유도 파워아울렛(6200)과 2차부(63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1차코일(6220)에서 생긴 진동 자기장이 도체에 와전류를 일으켜 열을 발생시키면, 1차코일(6220)에서 전력이 누설된다. 이런 전력누설은 낭비를 일으키고 위험하기도 하다.
이런 전력누설은 장치의 인덕턴스(L)를 감소시킨다. 인덕턴스(L)는 2차코일(6220)의 제거나 단락에 의해서도 감소된다. 파워아울렛에 연결된 피크전압 디텍터(6140)는 송전전압의 대폭증가가 있으면 이런 현상이 있다고 감지하고, 이때 송전장치가 정지하고 경고를 내거나 사용자와 장치를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e는 파워아울렛(6200)과 2차부(6300)의 회로도로서, 2차부(6300)의 2차코일(6320)은 정류기(6330)를 통해 전기부하(6340)에 연결된다. 파워아울렛(6200)의 1차코일(6220)은 전원(6240)에 연결된 하프브리지 컨버터(6230)에 의해 구동된다. 이 컨버터(6230)는 공진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1차코일(6220)을 작동시키고, 피크전압 디텍터(6140)는 송전전압의 증가를 감지한다.
이런 하프브리지 컨버터 이외의 다른 구동회로, 예컨대 DC-DC 컨버터, AC-DC 컨버터, AC-AC 컨버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풀브리지 컨버터, 플라이백 컨버터, 포워드 컨버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공진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로 진동하는 송전전압을 사용하는 유도송전장치는 환경변화와 유도코일 정렬상태의 변화에 기존 장치보다 더 잘 견딜 수 있고, 주파수를 이용해 전력송전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 송전주파수가 공진주파수보다 높으면 피크전압 디텍터를 이용해 위험을 경고할 수도 있다.
유도 통신채널
Terry J. Parks와 David S. Register의 "Inductive coupling system for power and data transfer"란 제목의 미국특허 5,455,466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력과 데이터를 유도결합으로 보내는 장치를 소개한다. PDA와 같은 휴대기기는 지지부와의 사이의 유도결합을 통해 충전된다. 동일한 유도결합이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다른 전자기기와의 데이터신호 송신에도 사용된다. 지지부는 1차코일, 전력증폭기 및 변조기를 구비한다. 휴대기기의 2차코일은 정류기의 입력단자와 병렬로 연결되고, 정류기의 출력단자는 배터리 충전회로와 모뎀에 연결되며, 모뎀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된다. 휴대기기를 지지부에 놓으면 1-2차 코일들이 근접했을 때 유도결합이 일어난다. 즉, 이 장치는 PDA와 컴퓨터와 같은 2개의 데이터 저장장치를 동기화시키는 데이터채널을 제공하는 셈이다.
이 장치에서 1차코일에서 2차코일로의 데이터 송신은 전력신호를 조절해 이루어진다. 이때문에, 1차코일에 의해 유도된 2차코일에 의해 송신되는 별도의 데이터신호가 필요하다. 따라서, 2차코일에서 1차코일로 데이터신호를 송신하려면 송전이 중단되어야 하고, 이때문에 전기부하에 무정전 유도전력 송전의 조절을 위한 피드백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어떤 해결책도 제시하지 못했다.
도 7a는 유도 파워아울렛(7200)이 원격 2차부(73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유도송전장치(7100)의 주요부의 블록도이다. 이 유도송전장치(7100)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 통신채널(7120)을 갖고, 이 통신채널은 파워아울렛(7200)에서 2차부(7300)로의 유도송전의 중단 없이 2차부(7300)에 의해 입력신호(Sin)가 제공되었을 때 파워아울렛(7200)에 출력신호(Sout)를 생성한다.
파워아울렛(7200)의 1차코일(7220)은 드라이버(7230)를 통해 전원(7240)에 연결되고, 이 드라이버는 장치의 공진주파수 fR보다 높은 주파수 f1에서 1차코일(7220)에 진동전압을 공급한다.
2차부(7300)의 2차코일(7320)는 전기부하(7340)에 연결되고 1차코일(7220)과 유도결합한다. 전기부하(7340)는 전원(7240)에서 전력을 받는다. 전기부하(7340)가 전기화학적 전지의 충전기로서 직류전류가 필요하면, 2차코일(7320)에 유도된 교류전류신호를 정류기(7330)로 정류한다.
1차코일(7220)에서 2차코일(7320)로의 송전 중단 없이 2차코일(7320)에서 1차코일(7220)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유도 통신채널(7120)을 마련한다. 이 통신채널(7120)은 드라이버(7230)에 피드백신호를 제공한다. 통신채널(7120)은 송신회로(7122)와 수신회로(7124)를 가지며, 송신회로(7122)는 정류기(7330)를 통해 2차코일(7320)에 연결되고, 수신회로(7124)는 1차코일(7220)에 연결된다. 송신회로(7122)는 2차코일(7320)에 연결되었을 때 공진주파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전기소자(7126)를 포함한다. 송신회로(7122)는 이 전기소자(7126)를 2차코일(7320)에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유도결합의 공진주파수
Figure pct00003
에서 L은 인덕턴스이고 C는 커패시턴스임은 전술한 바와 같다. L이나 C 어느쪽이 감소해도 공진주파수는 커진다. 전기소자(7126)의 저항은 50오옴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오옴이다.
수신회로(7124)는 피크전압 디텍터(7128)를 포함하는데, 이 디텍터는 송전전압의 대량 증가를 감지한다. 송전주파수 ft가 장치의 공진주파수 fR보다 높으면, 공진주파수 fR의 증가로 송전전압이 크게 증가하고, 이 현상은 전기소자(7126)가 2차코일(7320)에 연결되었음을 뜻한다. 따라서, 송신회로(7122)는 수신회로(7124)에 신호펄스를 보내는데 사용되고, 이런 펄스들이 부호화된 신호를 형성한다.
송신회로(7122)가 입력신호(Sin)로 비트율신호를 변조하는 변조기를 갖출 수도 있다. 이때는 전기소자(7126)가 변조신호에 맞춰 2차코일(7320)에 연결될 수 있다. 수신회로(7124)는 변조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피크전압 디텍터(7128)는 비트율 신호로 1차전압의 진폭을 교차상관시키는 코릴레이터에 연결되어 출력신호(Sout)를 낼 수 있다.
또, 전기소자(7126)를 여러개 설치하고, 1차전압의 진폭내에서 피크전압 여러개를 유도하도록 이들 전기소자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디텍터(7128)가 감지한 피크전압은 다수의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7b는 송전주파수에 맞게 작동전압이 변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송전주파수가 공진주파수와 같을 때 전압이 최대이고, 이때의 최대 진폭이 공진피크(2)이다. 공진주파수가 증가하면, 새로운 공진피크(2')가 생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송전장치(7100)의 작동 송신주파수 ft는 공진주파수 fR보다 높다. 정상 작동전압 Vt가 피크전압 디텍터(7128)에서 감시된다. 전기소자(7126)가 2차코일(7320)에 연결되면, 장치의 공진주파수가 증가한다. 따라서, 작동전압이 Vt'로 증가하고, 이런 증가는 피크전압 디텍터(7128)에 의해 감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1차코일(7220)에서 2차코일(7320)로 유도전력을 송전함과 동시에 2차코일(7320)에서 1차코일(7220)로 데이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송신장치가 실시간 전력제어를 위한 피드백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점이 기존의 유도 송신장치와 대조적인데, 기존의 장치에서는 별도의 데이타신호가 2차코일에 공급되고 1차코일에는 전압이 유도된다.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유도 파워아울렛(7200)과 2차부(7300)의 회로도이다. 이들 코일 사이에는 무정전 유도송전과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유도 피드백채널(7120)이 제공된다.
유도 파워아울렛(7200)의 1차코일(7220)은 전원(7240)에 연결된 하프브리지 컨버터(7230)에 의해 구동된다. 이 컨버터(7230)는 공진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1차코일(7220)을 작동시킨다. 2차부(7300)는 정류기(7330)의 입력단자(T1,T2)에 연결된 2차코일(7320)과, 정류기의 출력단자(T3,T4)에 연결된 전기부하(7340)를 구비한다.
이런 하프브리지 컨버터 이외의 다른 구동회로, 예컨대 DC-DC 컨버터, AC-DC 컨버터, AC-AC 컨버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풀브리지 컨버터, 플라이백 컨버터, 포워드 컨버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유도 피드백채널(7120)는 2차부(7300)의 송신회로(7122)와 파워아울렛(7200)의 수신회로(7124)를 가지며, 송신회로(7122)의 전기저항(7126)는 MOSFET(7125)를 통해 정류기(7330)에 연결된다. MOSFET(7125)에 입력신호(Sin)를 공급하는 변조기(7123)가 있다.
송신회로(7122)가 정류기(7330)의 입력단자(T1)와 출력단자(T3)에 연결되는 구성에서는, 송신회로가 연결되었을 때에도 AC 사이클의 반파 동안에 저항(7126)만이 전력을 받으므로, 전력손실이 상당히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수신회로(7124)의 피크전압 디텍터(7128)는 송전전압의 증가를 감지하고, 복조기(7129)는 출력신호(Sout)를 낸다.
도 7d는 2차코일에서 1차코일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로서, 이 방법은 아래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a) 1차코일의 1차전압의 진폭을 감시하기 위해 1차코일을 전압모니터에 연결;
(b) 전기소자를 2차코일에 연결해 유도송전장치의 공진주파수를 높이기 위해 2차코일을 송신회로에 연결;
(c) 공진주파수보다 높은 초기 송전주파수로 진동전압을 1차코일에 공급해 2차코일에 전압 유도;
(d) 송신회로를 이용해 입력신호로 비트율 신호를 변조하여 변조신호를 생성하고, 변조신호에 맞게 전기소자를 2차코일에 단속적으로 연결;
(e) 전압모니터를 사용해 비트율 신호와 1차전압의 진폭을 연계하여 출력신호 생성.
피드백채널(7120)은 아래에 관한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전기부하(7240)에 필요한 동작 전압, 전류, 온도 또는 전력;
- 동작중에 전기부하(7240)에 공급된 측정 전압, 전류, 온도 또는 전력;
- 동작중에 전기부하(7240)가 받은 측정 전압, 전류, 온도 또는 전력;
- 사용자, 잔자기기의 식별 데이터;
- 송전-락을 해제하기 위한 송전-키의 해제신호.
따라서, 유도 통신채널은 유도결합부의 송전을 조절하기 위해 2차코일에서 1차코일로 피드백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첫번째 신호가 수신되면 송전 전력을 낮추고 두번째 신호가 수신되면 송전 전력을 높이도록 2가지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드라이버가 공급한 송전 전압의 듀티사이클을 바꾸면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송전을 조절하기 위해 드라이버(7230)가 송전주파수를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드라이버는 피드백신호에 맞춰 송전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송전주파수는 첫번째 신호 수신시 증가되어 작동전압을 낮추고, 두번째 신호 수신시 감소되어 작동전압을 높인다.
통신채널은 전력송전을 조절하는 외에도, 전력이 송전되는 동안 유도결합부의 2차코일에서 1차코일로 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데도 사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도전력을 송전하는데 있어 효과적이고 안전하다. 이때문에 본 발명의 유도송전장치는 다양한 분야에서 아주 실용적이다.

Claims (73)

  1. 유도 파워리시버에 유도전력을 송전하기 위한 유도 파워아울렛, 상기 파워리시버를 파워아울렛에 정렬하기 위한 정렬기구, 및 상기 파워리시버에서 파워아울렛으로 제어신호를 보내기 위한 송신장치를 포함하는 유도송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워아울렛은 드라이버를 거쳐 전원에 연결되는 1차코일과, 1차 강자성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드라이버는 1차코일에 고주파 진동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파워리시버의 2차코일은 1차코일과 유도결합하고 전력조절기에 연결되며;
    상기 송신장치는 파워리시버에 연결된 발신기와, 파워아울렛에 연결된 신호 디텍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기구가 파워아울렛에 연결된 제1 소자와, 파워리시버에 연결된 제2 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기가 광학 이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디텍터가 광학 디텍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4. 제1항의 파워아울렛으로부터 유도전력을 받는 유도 파워리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조절기가 파워아울렛의 AC 입력을 전기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DC 출력으로 변환하는 정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6. 유도 파워리시버에 유도전력을 송전하기 위한 유도 파워아울렛을 구비하고, 상기 파워아울렛의 1차코일은 드라이버를 거쳐 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파워리시버의 2차코일은 1차코일과 유도결합하고, 상기 2차코일은 전기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며, 열손실이 낮은 전파정류기를 더 구비한 유도송전장치에 있어서:
    a. 제1 출력단자에 연결된 아노드와, 제1 입력단자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제1 반파정류기;
    b. 제1 출력단자에 연결된 아노드와, 제2 입력단자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제2 반파정류기;
    c. 제1 입력단자에 연결된 아노드와, 제2 출력단자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제3 반파정류기; 및
    d. 제2 입력단자에 연결된 아노드와, 제2 출력단자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제4 반파정류기;를 포함하고,
    전파 정류기는 가변 극성의 입력단자로부터 일정 극성의 출력을 제공하고, 상기 반파정류기는 전자식 스위치를 구비하는데, 이 스위치의 캐소드에 흐르는 전류가 임계치를 넘을 때 스위치가 ON 상태로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a. 상기 제1 반파정류기가 제1 전자식 스위치를 구비하는데, 이 스위치는 캐소드에 흐르는 전류가 제1 임계치를 넘을 때 ON 상태로 바뀌고;
    b. 상기 제2 반파정류기가 제2 전자식 스위치를 구비하는데, 이 스위치는 캐소드에 흐르는 전류가 제2 임계치를 넘을 때 ON 상태로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파정류기들 중의 적어도 하나가 입력신호의 주파수와 동기적으로 ON/OFF되는 전자식 스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a. 상기 제1 반파정류기가 제1 전자식 스위치를 갖고, 이 스위치는 캐소드에 흐르는 전류가 임계치를 넘을 때 ON 상태로 바뀌며;
    b. 상기 제2 반파정류기가 제2 전자식 스위치를 갖고, 이 스위치는 캐소드에 흐르는 전류가 임계치를 넘을 때 ON 상태로 바뀌며;
    c. 상기 제3 반파정류기가 제3 전자식 스위치를 갖고, 이 스위치는 제2 입력단자의 전압신호와 동위상으로 ON/OFF되며;
    d. 상기 제4 반파정류기가 제4 전자식 스위치를 갖고, 이 스위치는 제1 입력단자의 전압신호와 동위상으로 ON/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스위치가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스위치가 MOSF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스위치가,
    - 소스, 드레인 및 게이트가 달린 MOSFET;
    - 상기 MOSFET와 병렬로 상기 소스와 드레인에 연결된 반파정류기; 및
    - 상기 드레인전류가 제1 임계전류보다 클 때는 상기 MOSFET가 ON 상태로 바뀌고 드레인전류가 제2 임계전류보다 작을 때는 MOSFET가 OFF 상태로 바뀌도록 드레인에 흐르는 드레인전류를 감시하고 게이트에 게이트 신호를 보내는 전류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모니터가 변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14. 드라이버를 거쳐 전원에 연결된 1차코일을 갖는 유도 파워아울렛을 갖고;
    상기 1차코일은 전기부하에 연결된 2차코일과 유도결합을 하며;
    상기 2차코일은 유도 파워리시버에 연결되고;
    상기 드라이버는 1차코일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구동전압은 유도결합의 공진주파수와 다른 송전주파수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가 1차코일을 전원에 단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유도전압이 주파수와 선형으로 변하는 범위내에 상기 송전주파수가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가 피드백신호에 응답해 송전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아울렛이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디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는 신호디텍터가 제1 신호를 감지했을 때는 송전주파수를 높이고 제2 신호를 감지했을 때는 송전주파수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신호가 전기부하의 작동변수에 관한 데이터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변수가 아래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a. 전기부하에 필요한 작동 전압;
    b. 전기부하에 필요한 작동 전류;
    c. 전기부하에 필요한 작동 온도;
    d. 전기부하에 필요한 작동 전력;
    e. 전기부하에서 측정된 작동 전압;
    f. 전기부하에서 측정된 작동 전류;
    g. 전기부하에서 측정된 작동 온도;
    h. 전기부하에서 측정된 작동 전력;
    i. 1차코일에 공급된 전력;
    j. 2차코일이 받은 전력; 및
    k. 사용자 식별코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디텍터가 광학 디텍터, 무선수신기, 오디오 디텍터 또는 피크전압 디텍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가 1차코일의 1차전압의 진폭을 감시하는 전압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모니터가 1차전압의 증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변압기, DC-DC 컨버터, AC-DC 컨버터, AC-AC 컨버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플라이백 컨버터, 풀브리지 컨버터, 하프브리지 컨버터 및 포워드 컨버터 중에서 선택된 파워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압이 유도결합의 공진주파수보다 높은 송전주파수로 진동하고;
    a. 상기 1차코일이 수신회로에 연결되고, 이 수신회로에는 1차코일의 1차전압의 진폭을 감시하는 전압모니터가 달려있으며;
    b. 상기 2차코일은 송신회로에 연결되어 전기소자를 2차코일에 연결해 공진주파수를 증가시키며;
    제어신호가 송신회로에서 수신회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2차코일이 브리지 정류기의 2개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전기부하는 브리지 정류기의 2개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송신회로는 브리지 정류기의 한쪽 입력단자와 한쪽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회로가 입력신호로 비트율신호를 변조하여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변조기와, 변조신호에 맞게 2차코일에 전기소자를 단속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모니터가 1차전압의 진폭을 비트율 신호와 연계하여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코릴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가 2차코일에서 1차코일로 피드백 신호를 보내 유도결합을 통한 전력송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가 피드백신호에 응답해 송전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유도전송장치가 제1 신호와 제2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드라이버는
    i. 리시버가 제1 신호를 받으면 상기 송전주파수를 높이고,
    ii. 리시버가 제2 신호를 받으면 상기 송전주파수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32. a. 유도 파워아울렛에서 전력을 받는 유도 파워리시버;
    b. 상기 파워리시버를 전기기기에 도선으로 연결하는 파워커넥터; 및
    c. 상기 파워리시버가 동작중일 때 사용자가 안전하게 어댑터를 다룰 수 있드록 파워리시버와 단열되어 있고 어댑터를 취급하기 위한 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파워어댑터.
  33. 제32항에 있어서, PC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파워어댑터.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리시버가 50W 이상의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파워어댑터.
  35. 제32항에 있어서, 열을 분산시키는 냉각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파워어댑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가 파워리시버 위에 위치하는 배기공과 파워리비서 밑에 위치하는 흡기공을 구비하여, 파워리시버에서 가열된 고온 공기는 상기 배기공을 통해 나가고 외부의 찬 공기는 흡기공을 통해 들어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파워어댑터.
  37. 제32항에 있어서, 파워리시버에서 생긴 열을 방열하기 위한 히트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파워어댑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가 금속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파워어댑터.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의 직경이 어댑터의 케이싱의 내경보다 작아 히트싱크와 케이싱 사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파워어댑터.
  40. 유도결합된 전기부하가 없을 때 유도 파워아울렛의 전력 송전을 방지하는 송전-가드에 있어서:
    상기 파워아울렛의 1차코일은 전원에 연결되고 전기부하에 연결된 2차코일과 유도결합을 하며;
    송전-키가 없을 때는 상기 1차코일이 전원에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송전-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가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락이 자기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송전-키는 2차코일에 연결된 자기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가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락이 자기소자와 일치하여 작동되었을 때만 1차코일을 전원에 연결하는 일련의 자기스위치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가드.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스위치가 자기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가드.
  44. 제40항에 있어서, 해제신호를 내는 이미터와 해제신호를 감지하는 디텍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전-키는 이미터와 디텍터 사이를 브리지하기 위해 2차코일과 연결된 브리지를 구비하여, 2차코일이 1차코일과 정렬되었을 때만 상기 해제신호가 이미터에서 디텍터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가드.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신호가 광신호이고 상기 브리지가 도파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가드.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신호가 자기신호이고 상기 브리지가 자속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가드.
  47.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키가 2차코일과 연결된 이미터에서 방출된 해제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가드.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신호가 광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가드.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가 송전-락을 해제하기 위해 디텍터에 의해 수신되는 적외선 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가드.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신호가 자기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가드.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터가 상기 2차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가드.
  5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1차코일에서 저전력 전력펄스를 송전하여, 2차코일이 1차코일과 정렬되었을 때 상기 전력펄스가 2차코일로 송전되고 이런 전력펄스에 의해 송전-키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가드.
  53. 제40항에 있어서, 2차코일의 존재 가능성을 나타내는 제1 송전-키에 의해 해제되는 제1 송전-락과, 2차코일의 존재를 확인하는 제2 송전-키에 의해 해제되는 제2 송전-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가드.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전-락이 1차코일에서 전력펄스를 송전시키고, 상기 제2 송전-키는 2차코일이 받는 전력펄스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가드.
  5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소자가 페라이트 자속가이드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가드.
  5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신호가 기계식 신호, 오디오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마이크로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가드.
  57.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신호가 기계식 신호, 오디오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마이크로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가드.
  58. 제40항의 송전-가드에 사용하기 위한 송전-키.
  59. 제40항의 송전-가드에 사용하기 위한 송전-락.
  60. 제40항의 송전-가드에 의해 보호되는 유도 파워아울렛.
  61. 유도 파워아울렛에서 전력을 받기 위한 유도 파워리시버를 갖는 유도송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 파워아울렛의 1차코일이 드라이버를 통해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유도 파워리시버의 2차코일은 상기 1차코일에 유도결합하여 전기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1차코일에서 2차코일로 자속을 안내하는 자속가이드를 포함하고, 이 자속가이드가 비정질 강자성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강자성체의 두께가 30미크론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63.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강자성체가 2개의 폴리머층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64.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가이드가 다수의 비정질 강자성체 층을 포함하고, 상기 강자성체 층들은 절연재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65.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가이드가 비정질 강자성체의 웨이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66. 제65항에 있어서, 와전류의 축적을 줄이기 위해 상기 웨이퍼에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가 원형이고 상기 슬릿이 반경 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68.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가 비정질 강자성체 시트를 절단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69.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가이드가 비정질 강자성체로 된 마이크로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와이어가 클로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71. 유도 파워아울렛에서 유도 파워리시버에 유도전력을 송전하고, 파워아울렛의 1차코일은 드라이버를 통해 전원에 연결되며, 유도리시버의 2차코일은 1차코일에 유도결합하고, 상기 2차코일이 전기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유도송전장치에 있어서:
    a. 캐소드에 흐르는 전류가 임계치를 넘을 때 ON 상태로 바뀌는 전자식 스위치를 갖춘 저열손실 전파정류기;
    b. 상기 전원과 1차코일을 연결하고, 상기 1차코일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며, 이 구동전압이 1차코일과 2차코일 사이의 유도결합 공진주파수와는 다른 송전주파수로 진동하는 드라이버;
    c. 상기 파워리시버가 동작중일 때 사용자가 상처 없이 다룰 수 있도록 파워리시버와는 단열되어 있는 유도 파워어댑터;
    d. 유도결합된 전기부하가 없을 때는 상기 파워아울렛의 전력 송전을 방지하고, 송전-키가 없으면 1차코일의 전원에의 연결을 방지하는 송전-락이 달린 송전-가드; 및
    e. 상기 1차코일에서 2차코일로의 자속을 안내하고, 비정질 강자성체로 된 자속가이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요소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들 중의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73.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들 중의 적어도 3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송전장치.
KR1020107022956A 2008-03-17 2008-12-18 유도송전장치 KR201001302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461808P 2008-03-17 2008-03-17
US61/064,618 2008-03-17
US7115108P 2008-04-15 2008-04-15
US61/071,151 2008-04-15
US12952608P 2008-07-02 2008-07-02
US61/129,526 2008-07-02
US12985908P 2008-07-24 2008-07-24
US61/129,859 2008-07-24
US12997008P 2008-08-04 2008-08-04
US61/129,970 2008-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215A true KR20100130215A (ko) 2010-12-10

Family

ID=41091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956A KR20100130215A (ko) 2008-03-17 2008-12-18 유도송전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8) US9136734B2 (ko)
EP (1) EP2266123B2 (ko)
JP (1) JP5483030B2 (ko)
KR (1) KR20100130215A (ko)
CN (1) CN102084442B (ko)
AU (1) AU2008353278A1 (ko)
CA (1) CA2718901C (ko)
IL (1) IL208197A0 (ko)
WO (1) WO2009116025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4043A2 (ko) 2010-11-08 2012-05-18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
KR20150011273A (ko) * 2013-07-22 2015-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멀티 타겟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 제어 방법 및 이를 채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160094261A (ko) * 2015-01-30 2016-08-09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69185B2 (en) 2006-01-31 2012-05-01 Mojo Mobility, Inc.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 charging of portable devices
US11201500B2 (en) 2006-01-31 2021-12-14 Mojo Mobility, Inc. Efficiencies and flexibilities in inductive (wireless) charging
US7952322B2 (en) 2006-01-31 2011-05-31 Mojo Mobility, Inc. Inductive power source and charging system
US11329511B2 (en) 2006-06-01 2022-05-10 Mojo Mobility Inc. Power source, charging system, and inductive receiver for mobile devices
US7948208B2 (en) 2006-06-01 2011-05-24 Mojo Mobility, Inc. Power source, charging system, and inductive receiver for mobile devices
EP2208367B1 (en) 2007-10-12 2017-09-27 Earlens Corporation Multifunc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hearing and communiction with noise cancellation and feedback management
US8766487B2 (en) 2007-12-21 2014-07-0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Inductive power transfer
US8855554B2 (en) * 2008-03-05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Packaging and details of a wireless power device
WO2014072975A1 (en) * 2012-11-07 2014-05-15 Powermat Technologies Ltd. Embedded interface for wireless power transfer to electrical devices
KR20100130215A (ko) * 2008-03-17 2010-12-10 파우워매트 엘티디. 유도송전장치
US20110050164A1 (en) 2008-05-07 2011-03-03 Afshin Partovi System and methods for inductive charging, and improvements and uses thereof
KR101568452B1 (ko) 2008-06-17 2015-11-20 이어렌즈 코포레이션 개별 전원과 신호 구성요소들을 구비한 광 전자-기계적 청력 디바이스
US11979201B2 (en) 2008-07-02 2024-05-07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coded communication signals regulating inductive power transmissions
US8981598B2 (en) 2008-07-02 2015-03-17 Powermat Technologies Ltd. Energy efficient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WO2010033932A1 (en) 2008-09-22 2010-03-25 Earlens Corporation Transducer devices and methods for hearing
MY158462A (en) 2009-04-08 2016-10-14 Access Business Group Int Llc Selectable coil array
CN102598168B (zh) 2009-08-25 2015-06-17 捷通国际有限公司 通量集中器和制作磁通量集中器的方法
WO2011036659A2 (en) * 2009-09-28 2011-03-31 Powermat Ltd.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US8525370B2 (en) * 2009-11-30 2013-09-03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power circuit board and assembly
EP2507887A2 (en) * 2009-12-04 2012-10-10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from a power supply to an inductive power outlet
JP4669560B1 (ja) * 2009-12-11 2011-04-13 エンパイア テクノロジー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ルエルシー 非接触式の情報管理・充電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および非接触式の情報・電力伝送ユニット
KR101688893B1 (ko) * 2009-12-14 2016-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EP2580844A4 (en) 2010-06-11 2016-05-25 Mojo Mobility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SUPPORTING INTEROPERABILITY AND MULTIPOLAR MAGNETS FOR USE WITH THIS SYSTEM
US9386731B2 (en) * 2010-08-10 2016-07-05 Powerbyproxi Limited Magnetic shield
JP5789790B2 (ja) 2010-09-10 2015-10-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送電装置およ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WO2012040548A1 (en) * 2010-09-26 2012-03-29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Selectively controllable electromagnetic shielding
US9866065B2 (en) 2010-09-30 2018-01-09 Lg Innotek Co., Ltd. Energy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DE102010043752A1 (de) * 2010-11-11 2012-05-1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lokalen Energienetzes
WO2012088187A2 (en) 2010-12-20 2012-06-28 SoundBeam LLC Anatomically customized ear canal hearing apparatus
US9054544B2 (en) * 2010-12-22 2015-06-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ower feeding device, power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feed system
US9088307B2 (en) * 2010-12-29 2015-07-21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Non-resonant and quasi-resonant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multiple receivers
US9178369B2 (en) 2011-01-18 2015-11-03 Mojo Mobili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ositioning freedom, and support of different voltages, protocols, and power levels in a wireless power system
US9356659B2 (en) 2011-01-18 2016-05-31 Mojo Mobility, Inc. Charger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9496732B2 (en) 2011-01-18 2016-11-15 Mojo Mobili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11342777B2 (en) 2011-01-18 2022-05-24 Mojo Mobility, Inc. Powering and/or charging with more than one protocol
US10115520B2 (en) 2011-01-18 2018-10-30 Mojo Mobility, Inc. Systems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10630116B2 (en) 2011-02-01 2020-04-21 Fu Da Tong Technology Co., Ltd. Intruding metal detection method for induction type power supply system and related supplying-end module
US10574095B2 (en) 2011-02-01 2020-02-25 Fu Da Tong Technology Co., Ltd. Decoding method for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signal processing circuit using the same
US11128180B2 (en) * 2011-02-01 2021-09-21 Fu Da Tong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supplying-end module for detecting receiving-end module
US10951063B2 (en) 2011-02-01 2021-03-16 Fu Da Tong Technology Co., Ltd. Supplying-end module of induction type power supply system and signal detection method thereof
US10673287B2 (en) 2011-02-01 2020-06-02 Fu Da Tong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supplying-end module for detecting receiving-end module
US10038338B2 (en) 2011-02-01 2018-07-31 Fu Da Tong Technology Co., Ltd. Signal modulation method and signal rectification and modulation device
US10587153B2 (en) 2011-02-01 2020-03-10 Fu Da Tong Technology Co., Ltd. Intruding metal detection method for induction type power supply system and related supplying-end module
US20120215308A1 (en) * 2011-02-17 2012-08-23 Mathew Ross Markey Power transfer in a medical implant
FR2971898A1 (fr) * 2011-02-22 2012-08-2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emetteur a bobine libre dans un systeme de recharge sans fil
JP5488505B2 (ja) * 2011-03-16 2014-05-14 株式会社ダイフク 無接触給電設備
US8772976B2 (en) 2011-03-30 2014-07-08 Intel Corporation Reconfigurable coil techniques
JP2012223027A (ja) * 2011-04-12 2012-11-12 Sanyo Electric Co Ltd 無接点式の充電アダプタ
US9620995B2 (en) * 2011-04-26 2017-04-1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O2012158800A2 (en) * 2011-05-18 2012-11-2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power transfer modules within a vehicle wireless charging system
NZ593764A (en) * 2011-06-27 2013-12-20 Auckland Uniservices Ltd Load control for bi-directional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US9379571B2 (en) * 2011-07-11 2016-06-28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harging system having energy coupling arrangement for wireless energy transmission therebetween
JP5838333B2 (ja) * 2011-08-01 2016-01-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KR101813264B1 (ko) * 2011-08-05 2017-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3782481B (zh) * 2011-09-14 2017-02-1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非接触受电装置及非接触电力传送装置
US20140203774A1 (en) * 2011-09-29 2014-07-24 Hitachi Power Solutions Co., Ltd. Charging Control Device and Charging Control Method
US9508487B2 (en) * 2011-10-21 2016-11-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imiting voltage in wireless power receivers
CN103947077B (zh) * 2011-11-24 2017-10-1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输电装置、车辆以及非接触输电受电系统
US20140292101A1 (en) * 2011-12-06 2014-10-02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Selective shielding for portable heating applications
JP6047911B2 (ja) * 2011-12-22 2016-12-2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給電システム
US9385561B2 (en) * 2011-12-22 2016-07-05 Koninklijke Philips N.V. Charging coil system for a drop-in target device such as a toothbrush
EP3481009B1 (en) * 2011-12-28 2021-10-27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Load control system having independently-controlled units responsive to a broadcast controller
US20130168380A1 (en) * 2012-01-04 2013-07-04 Ching-Chuan Wang Hea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overheat of heating line
TW201340067A (zh) * 2012-01-06 2013-10-01 Access Business Group Int Llc 具感應次級線圈之印刷媒體
US9531441B2 (en) 2012-02-21 2016-12-27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managing power thereof
US9722447B2 (en) 2012-03-21 2017-08-01 Mojo Mobility, Inc.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or powering devices, such as robots, electric vehicles, or other mobile devices or equipment
DE102012205730A1 (de) * 2012-04-05 2013-10-10 Robert Bosch Gmbh Drahtlose Energieübertragung
EP2845416B1 (en) 2012-05-02 2018-11-21 Apple Inc. Methods for detecting and identifying a receiver in an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CN103384092A (zh) * 2012-05-03 2013-11-06 苏州强芯电子有限公司 一种无线供电接收电路
CN103384093A (zh) * 2012-05-03 2013-11-06 苏州强芯电子有限公司 一种无线供电发射电路
US10770927B2 (en) 2012-07-05 2020-09-08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ductive power at multiple power levels
KR102074475B1 (ko) 2012-07-10 2020-02-06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감지 장치 및 방법
US9859755B2 (en) 2012-07-16 2018-01-02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alignment and identification in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CN104488169B (zh) * 2012-07-25 2016-06-01 富士胶片株式会社 电子设备的电源管理方法、电源管理程序、电子设备、供电装置
DE112012006861B4 (de) * 2012-08-31 2024-01-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Batterieladesystem und Verfahren zum kabellosen Laden einer Batterie
DE102012108671A1 (de) * 2012-09-17 2014-05-28 Paul Vahle Gmbh & Co. Kg Metall-Fremdkörper-Erkennungssystem für induktive Energieübertragungssysteme
EP2713470A1 (de) * 2012-10-01 2014-04-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ungsanordnung mit einem Resonanzwandle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esonanzwandlers
JP5962412B2 (ja) * 2012-10-05 2016-08-03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ブリッジ整流回路
EP2717450B1 (en) * 2012-10-05 2016-12-28 Nxp B.V. Isolated switched-mode power supply
WO2014057343A1 (en) * 2012-10-11 2014-04-17 Powermat Technologies Ltd.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concurrently transmitting digital messages
DE102012110173A1 (de) 2012-10-24 2014-06-1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Modulares Elektroniksystem und Busteilnehmer
US20150288195A1 (en) * 2012-11-07 2015-10-08 Rotem Shraga Adaptable inductive power receiver for electrical devices
TW201421211A (zh) * 2012-11-16 2014-06-01 Primax Electronics Ltd 無線充電裝置
CN103855813A (zh) * 2012-12-07 2014-06-11 天宇通讯科技(昆山)有限公司 支持多系统的无线充电接收装置
RU2653837C2 (ru) * 2012-12-17 2018-05-14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стыковочный модуль для системы терапии с поддержкой давлением
US9325183B2 (en) * 2012-12-21 2016-04-26 Nokia Technologies Oy Reducing inductive heating
KR101991341B1 (ko) * 2013-01-04 2019-06-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US20140225447A1 (en) * 2013-02-11 2014-08-14 Triune Ip Llc High-frequency wireless power system
DE102013103144A1 (de) * 2013-03-27 2014-10-02 Nitz Engineering Gmbh Ladevorrichtung für ein mobiles Endgerät
CN103199637B (zh) * 2013-04-11 2015-02-11 乐金电子研发中心(上海)有限公司 绕线式转子同步电机励磁电流非接触式传输装置和方法
JP6119390B2 (ja) * 2013-04-11 2017-04-26 株式会社Ihi 器具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US9837846B2 (en) 2013-04-12 2017-12-05 Mojo Mobility, Inc. System and method for powering or charging receivers or devices having small surface areas or volumes
DE102013207883A1 (de) * 2013-04-30 2014-10-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ungsanordnung mit einem Resonanzwandle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esonanzwandlers
AT13856U1 (de) * 2013-04-30 2014-10-15 Tridonic Gmbh & Co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LED-Konverters
WO2014199691A1 (ja) 2013-06-14 2014-12-18 株式会社Ihi 給電装置、およ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CN107659300B (zh) 2013-06-17 2021-08-27 英飞凌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双向数据传输的电路装置及方法
KR102086345B1 (ko) * 2013-07-01 202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장치
US9793739B2 (en) 2013-08-07 2017-10-17 Sandisk Technologies Llc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JP6086839B2 (ja) * 2013-08-08 2017-03-0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装置
CN104426244B (zh) * 2013-08-23 2018-07-31 苏州彤帆智能科技有限公司 无线充电装置
US9300083B2 (en) * 2013-09-30 2016-03-29 Apple Inc. Stackable magnetically-retained connector interface
JP6398087B2 (ja) * 2013-10-21 2018-10-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携帯端末充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自動車
EP3065262B1 (en) * 2013-11-01 2018-04-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obile-terminal charging device, and vehicle provided with same
JP6668238B2 (ja) * 2013-11-11 2020-03-18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磁気シグネチャを有する受電器及び当該受電器を動作させる方法
US20150188339A1 (en) * 2013-12-27 2015-07-02 Evan R. Green 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concave charging station
US10034103B2 (en) 2014-03-18 2018-07-24 Earlens Corporation High fidelity and reduced feedback contact hearing apparatus and methods
KR102078515B1 (ko) * 2014-03-24 2020-02-17 애플 인크. 유도 전력 전달에서의 자기 차폐
JP6236193B2 (ja) * 2014-03-26 2017-11-22 Ihi運搬機械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と対象物給電装置
US20150303733A1 (en) * 2014-04-18 2015-10-22 Songnan Yang Reducing magnetic field variation in a charging device
CN105226843B (zh) * 2014-05-27 2017-09-1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无线电力传输系统以及无线电力传输系统的送电装置
US9590525B2 (en) * 2014-07-03 2017-03-07 Eaton Capital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using load feedback
WO2016011044A1 (en) 2014-07-14 2016-01-21 Earlens Corporation Sliding bias and peak limiting for optical hearing devices
US9793959B2 (en) * 2014-07-22 2017-10-17 Advanced Wireless Innovations Llc Registration system, apparatus, architecture, and method for inductive energy communication systems
US10454307B2 (en) * 2014-08-04 2019-10-22 Jabil Inc. Wireless pow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9231493B1 (en) * 2014-08-11 2016-01-05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Rectifier with auxiliary voltage output
US10699842B2 (en) * 2014-09-02 2020-06-30 Apple Inc. Magnetically doped adhesive for enhancing magnetic coupling
US10164439B2 (en) 2014-09-05 2018-12-25 Qualcomm Incorporated Metal back cover with combined wireless power transfer and communications
CN106797119B (zh) * 2014-09-05 2019-10-18 飞利浦灯具控股公司 极性校正电路
JP6118304B2 (ja) * 2014-11-14 2017-04-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US9924276B2 (en) 2014-11-26 2018-03-20 Earlens Corporation Adjustable venting for hearing instruments
US10003218B2 (en) * 2014-12-20 2018-06-19 Intel Corporation Chassis design for wireless-charging coil integration for computing systems
US9984815B2 (en) 2014-12-22 2018-05-29 Eaton Capital Unlimited Company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and power supplies including overlapping magnetic cores
US20160218546A1 (en) * 2015-01-22 2016-07-28 Jeffrey Mark Schroeder Providing feedback based on an electronic device placed on a wireless charging device
CN104578346A (zh) * 2015-01-27 2015-04-29 李德生 双长圆芯安全电能耦合中端
CN104578457A (zh) * 2015-01-27 2015-04-29 李德生 环形安全电能耦合中端
DE102016201148A1 (de) * 2015-01-30 2016-08-0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Drahtloser Leistungs-Übertrager und drahtloser Leistungs-Empfänger
WO2016125227A1 (ja) * 2015-02-02 2016-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装置、電気機器、及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US20180069432A1 (en) * 2015-03-13 2018-03-08 Powerbyproxi Limited Inductive power receiver
JP6440197B2 (ja) * 2015-03-31 2018-12-19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送電器
US9608352B2 (en) * 2015-05-11 2017-03-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rface for multiple connectors
EP3107176B1 (fr) * 2015-06-18 2018-04-04 STMicroelectronics (Grand Ouest) SAS Procédé de gestion d'un transfert sans contact d'énergie d'un émetteur vers un récepteur, et émetteur correspondant
KR20170011715A (ko) * 2015-07-24 2017-0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무선충전장치
DE102015214774A1 (de) * 2015-08-03 2017-02-09 Robert Bosch Gmbh Induktionsladegerät zur induktiven Energieübertragung auf eine Induktionsakku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induktiven Aufladen einer Induktionsakkuvorrichtung
WO2017059240A1 (en) 2015-10-02 2017-04-06 Earlens Corporation Drug delivery customized ear canal apparatus
US20170129344A1 (en) * 2015-11-06 2017-05-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rmal dissipation in vehicle pad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applications
CN108401471B (zh) 2015-11-19 2021-06-25 苹果公司 感应式电力发射器
EP3182555B1 (en) 2015-12-18 2019-04-17 TE Connectivity Nederland B.V. Contactless connector and contactless connector system
WO2017116791A1 (en) 2015-12-30 2017-07-06 Earlens Corporation Light based hearing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US11350226B2 (en) 2015-12-30 2022-05-31 Earlens Corporation Charging protocol for rechargeable hearing systems
DE102016203937A1 (de) * 2016-03-10 2017-09-1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 einer induktiven Energieübertragung
WO2017171561A1 (en) * 2016-04-01 2017-10-05 Powerbyproxi Limited Method of authentication for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20210307149A1 (en) * 2016-08-22 2021-09-30 Signify Holding B.V. An interface circuit and an external circuit
WO2018048794A1 (en) 2016-09-09 2018-03-15 Earlens Corporation Contact hearing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SG10201707385XA (en) * 2016-09-30 2018-04-27 Gen Electric Over voltage protection for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11455011B2 (en) 2016-10-13 2022-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dular computing device with common AC power
US10345876B2 (en) * 2016-10-13 2019-07-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ing device with removable power module
WO2018093733A1 (en) 2016-11-15 2018-05-24 Earlens Corporation Improved impression procedure
US10283952B2 (en) 2017-06-22 2019-05-07 Bretford Manufacturing, Inc. Rapidly deployable floor power system
DE102018007599A1 (de) * 2017-10-06 2019-04-11 Sew-Eurodrive Gmbh & Co Kg System zur berührungslosen Übertragung von elektrischer Energie an ein Mobilteil
US10714985B2 (en) 2017-10-11 2020-07-14 Spark Connected LL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method
DE102018007910A1 (de) * 2017-10-20 2019-04-25 Sew-Eurodrive Gmbh & Co Kg System zur berührungslosen Übertragung von elektrischer Energie an ein auf einem Boden einer Anlage verfahrbares Mobilteil
DE102017221173A1 (de) * 2017-11-27 2019-05-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rommessvorrichtung
WO2019173470A1 (en) 2018-03-07 2019-09-12 Earlens Corporation Contact hearing device and retention structure materials
US11404910B2 (en) 2018-03-23 2022-08-02 Raytheon Company Multi-cell inductiv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10886781B2 (en) * 2018-04-03 2021-01-05 Apple Inc. Wireless power transmitting circuitry with multiple modes
WO2019199680A1 (en) 2018-04-09 2019-10-17 Earlens Corporation Dynamic filter
WO2020028085A1 (en) 2018-07-31 2020-02-06 Earlens Corporation Eartip venting in a contact hearing system
JP7043006B2 (ja) * 2018-10-04 2022-03-29 豊田合成株式会社 無線給電式発光部品および無線給電システム
US11444485B2 (en) 2019-02-05 2022-09-13 Mojo Mobility, Inc. Inductive charging system with charging electronics physically separated from charging coil
US11509169B2 (en) 2019-02-13 2022-11-22 Spark Connected LLC Sub-surface wireless charging
DE102019202991A1 (de) * 2019-03-05 2020-09-10 E.G.O. Elektro-Gerätebau GmbH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Induktionsspule und Induktionsspulenvorrichtung
US11152823B2 (en) 2019-04-01 2021-10-19 Spark Connected LLC Translation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fer
KR102282862B1 (ko) * 2019-07-24 2021-07-28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감지 장치 및 방법
US11881720B2 (en) 2019-09-12 2024-01-23 Spark Connected LLC Electronic device, wireless charger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US11431201B2 (en) 2019-09-16 2022-08-30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Techniques for improved wireless energy transmission efficiency
US20220416583A1 (en) * 2019-09-26 2022-12-29 Soreq Nuclear Research Center Wireless enhanced power transfer
EP3836347B1 (en) * 2019-12-13 2022-01-19 Wiferion Gmb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ith modular output
PL432852A1 (pl) * 2020-02-06 2021-08-09 Jarosław Beznosiuk Układ i sposób przenoszenia informacji o stanach kwantowych zwłaszcza układów makrocząsteczkowych
US11515739B2 (en) 2020-02-14 2022-11-29 Spark Connected LLC FOD and wireless power transfer calibration
US12068631B2 (en) 2020-04-13 2024-08-20 Spark Connected LLC Alignment method for sub-surface wireless charger
US11310934B2 (en) 2020-04-30 2022-04-19 Nucurrent, Inc. Multi-channel cooling for extended distance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11476722B2 (en) 2020-04-30 2022-10-18 Nucurrent, Inc. Precision power level control for extended range wireless power transfer
US11239709B2 (en) 2020-04-30 2022-02-01 Nucurrent, Inc. Operating frequency based power level altering in extended range wireless power transmitters
US11482890B2 (en) 2020-04-30 2022-10-25 Nucurrent, Inc. Surface mountable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transmission at extended range
US12053055B2 (en) 2020-05-15 2024-08-06 Spark Connected LLC Dual function wireless power and thermal receiver
US11888331B2 (en) 2020-07-01 2024-01-30 Spark Connected LLC Sub-surface wireless charging and associated method
US20220109331A1 (en) * 2020-10-07 2022-04-07 Kalani Ventimiglio Inductive charging track system
CN114430201A (zh) * 2020-10-28 2022-05-03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通用型无线充电装置
US11855463B2 (en) 2020-12-04 2023-12-26 Spark Connected LL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o a mobile device
US11387684B1 (en) 2020-12-23 2022-07-12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s and associated base stations for transmitting power at extended separation distances
US11387674B1 (en) 2020-12-23 2022-07-12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s for transmitting power at extended separation distances utilizing concave shielding
US11757311B2 (en) 2020-12-23 2023-09-12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s and associated base stations for transmitting power at extended separation distances
US11637459B2 (en) 2020-12-23 2023-04-25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s for transmitting power at extended separation distances utilizing T-Core shielding
US11476711B2 (en) 2020-12-23 2022-10-18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s and associated base stations for through-structure charging
US11942799B2 (en) 2021-04-30 2024-03-26 Nucurrent, Inc. False notification suppression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11539247B2 (en) 2021-04-30 2022-12-27 Nucurrent, Inc. Power capability detection in precision power level control system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11791667B2 (en) 2021-04-30 2023-10-17 Nucurrent, Inc. Power capability detectio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based on receiver power request
US11482891B1 (en) 2021-04-20 2022-10-25 Nucurrent, Inc. Timing verification in precision power level control system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11532956B2 (en) 2021-04-30 2022-12-20 Nucurrent, Inc. Power capability detection with verification load in power level control system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JP7355076B2 (ja) * 2021-06-17 2023-10-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信号発信機器及び信号送受信システム
US12132325B2 (en) 2021-10-12 2024-10-29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th removable magnetic connector panel
US11967830B2 (en) 2021-10-12 2024-04-23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s for transmitting power at extended separation distances with magnetic connectors
US11637448B1 (en) 2021-10-12 2023-04-25 Nucurrent,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th removable magnetic connector panel for vehicular use
CN116266717A (zh) * 2021-12-17 2023-06-20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充电装置
CN114498869A (zh) * 2022-01-21 2022-05-13 山东新一代信息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对称式ct磁动能机器人无线充电方法及装置
CN115050560B (zh) * 2022-06-17 2024-06-21 西北核技术研究所 一种多级串联共用腔体的fltd模块结构及其触发方法
DE102023124791B3 (de) 2023-09-14 2025-03-2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Leistungselektronische Schaltung und Kraftfahrzeug
DE102023126024B3 (de) 2023-09-26 2025-02-0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eine Signalübertragung in einen mediendichten Bereich

Family Cites Families (3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836A (en) 1902-10-24 1903-03-31 Percy Foote Cowing Induction apparatus.
GB239966A (en) 1924-07-11 1925-09-24 Cyril Cook A rotary engine
US2415688A (en) 1943-05-05 1947-02-11 Mrs Helen J Hall Jr Induction device
GB778072A (en) 1954-04-09 1957-07-03 Frank Walter Holland Improvements in electrical table lamps
US3207975A (en) 1960-05-31 1965-09-21 Intron Int Inc Circuit employing electronic or semiconductor switch regulating an output voltage
FR1462329A (fr) * 1965-10-15 1966-04-15 Materiel Telephonique Dispositif de commande électrique
US3771085A (en) 1971-08-10 1973-11-06 Tokyo Keiki Kk Deviation detecting apparatus
FR2176499B1 (ko) * 1972-03-21 1975-03-21 Salmet Gaston
US3894249A (en) * 1972-12-20 1975-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vice for generating variable output voltage
US3995174A (en) 1974-02-26 1976-11-30 The University Of Toledo Chopper and chopper-multiplexer circuitry for measurement of remote low-level signals
US3938018A (en) 1974-09-16 1976-02-10 Dahl Ernest A Induction charging system
DE2634303A1 (de) 1976-07-30 1978-02-02 Knorr Bremse Gmbh Elektronische schliesseinrichtung
US4139880A (en) 1977-10-03 1979-02-13 Motorola, Inc. CMOS polarity reversal circuit
US4160193A (en) 1977-11-17 1979-07-03 Richmond Abraham W Metal vapor electric discharge lamp system
DE2752783C2 (de) * 1977-11-25 1979-08-3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Gerät zum Erfassen und Verarbeiten von elektrischen Signalen
US4349814A (en) * 1979-10-08 1982-09-14 Duraplug Electricals Limited Electric switches
US4331496A (en) 1980-03-10 1982-05-25 The B. F. Goodrich Company Bearing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4319144A (en) 1980-05-22 1982-03-09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Single polarity circuit
US4423456A (en) 1981-11-13 1983-12-27 Medtronic, Inc. Battery reversal protection
US4473757A (en) 1981-12-08 1984-09-25 Intersil, Inc. Circuit means for converting a bipolar input to a unipolar output
US4431948A (en) 1982-08-09 1984-02-14 Standun Controls, Inc. Apparatus for control of load power consumption
ATE36786T1 (de) 1982-12-08 1988-09-15 Siliconix Ltd Gleichrichterbrueckenschaltung.
EP0115747A1 (en) 1983-01-11 1984-08-15 SAET S.p.A. Electronic antitheft device comprising an electronic key
US4580062A (en) * 1983-04-21 1986-04-01 Cosden Technology, Inc. Safety shield control device
DE3417455C2 (de) 1984-05-11 1986-07-03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Einrichtung zur induktiven Energie- und Datenübertragung
US4754180A (en) 1985-04-01 1988-06-28 Honeywell Inc. Forceless non-contacting power transformer
US4970656A (en) 1986-11-07 1990-11-13 Alcon Laboratories, Inc. Analog drive for ultrasonic probe with tunable phase angle
JPH0739078Y2 (ja) 1986-11-27 1995-09-06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反転磁気ヘッド装置のテープガイド機構
JPH0747957Y2 (ja) * 1987-03-31 1995-11-01 トツパン・ム−ア株式会社 非接触式電力供給装置
US4831508A (en) 1987-10-20 1989-05-16 Computer Products Inc. Power supply system having improved input power factor
US4977515A (en) 1988-08-29 1990-12-11 Rudden Frank G Load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of use
ATE90116T1 (de) 1988-09-05 1993-06-15 Cockerill Sambre Sa Verfahren zur elektroplattierung zon zinn.
JP2697935B2 (ja) * 1989-12-08 1998-01-19 正雄 中川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を用いたデータ伝送方式
JPH0736556Y2 (ja) 1990-03-06 1995-08-23 株式会社ヤマガタグラビヤ 腰掛け式便器
JPH0736556B2 (ja) 1990-03-20 1995-04-19 富士通株式会社 集線装置
JPH04156242A (ja) 1990-10-17 1992-05-28 Sekisui Chem Co Ltd 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US5119285A (en) 1991-04-03 1992-06-02 Wayne State University Solid-state power transformer circuit
US5278771A (en) 1991-07-12 1994-01-11 Seti Corporation Programmable timed electrical power management device
NL9101590A (nl) 1991-09-20 1993-04-16 Ericsson Radio Systems Bv Stelsel voor het laden van een oplaadbare accu van een draagbare eenheid in een rek.
GB2262634B (en) * 1991-12-18 1995-07-12 Apple Computer Power connection scheme
GB9204200D0 (en) 1992-02-27 1992-04-08 Goble Nigel M An inductive loop power transmission system
US5221877A (en) 1992-03-10 1993-06-22 Davis Controls Corporation Power reduction control for inductive lighting installation
JPH0621018A (ja) 1992-06-29 1994-01-28 Sony Corp 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FR2695285B3 (fr) 1992-09-02 1994-07-29 Cableco Sa Ensemble d'eclairage comprenant une lampe alimentee par le secteur.
US5287112A (en) * 1993-04-14 1994-02-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igh speed read/write AVI system
JPH0736556A (ja) 1993-06-28 1995-02-07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を電源とする電気機器の冷却方法
JP3409145B2 (ja) 1993-07-26 2003-05-26 任天堂株式会社 小型電気機器
JPH0739078A (ja) * 1993-07-26 1995-02-07 Toshiba Corp 無線電話機の充電装置
US5455466A (en) 1993-07-29 1995-10-03 Dell Usa, L.P. Inductive coupling system for power and data transfer
EP0727105B1 (en) 1993-10-21 2003-03-12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Inductive power pick-up coils
US5530435A (en) 1993-12-09 1996-06-25 Steelcase Inc. Utility distribution system for modular furniture and the like
JP2671809B2 (ja) 1994-06-30 1997-11-05 日本電気株式会社 非接触型充電装置
US5762250A (en) 1994-07-06 1998-06-09 Truckin' Movers Corporation Convertible carrying case and work platform for small electronic devices
EP0767936A4 (en) 1994-07-19 1998-03-04 Elonex Technologies Inc HANDHELD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5486394A (en) 1994-08-26 1996-01-23 E-Z Taping System, Inc. Self-release self-adhesive drywall tape
IL112928A0 (en) 1995-03-07 1995-06-29 Neerman Haim Electronic filter
DE69630894T2 (de) 1995-05-18 2004-09-02 Aura Communications, Inc., Wilmington Magnetisches kommunikationssystem mit geringer reichweite
JPH09103037A (ja) 1995-10-05 1997-04-15 Nippon Ido Tsushin Kk 給電装置、被給電装置および給電システム
FR2739929B1 (fr) 1995-10-11 1998-01-02 Marwal Systems Reservoir de carburant pour vehicule automobile, avec moyens de couplage magnetique pour transmission de signaux
DE19546171C1 (de) * 1995-12-11 1996-11-28 Siemens Ag Diebstahlschut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FI960358L (fi) 1996-01-26 1997-07-27 Veijo Sakari Makkonen Kuulokeväline ja menetelmä kuulokevälineen asettamiseksi
DE69711963T2 (de) 1996-01-30 2002-11-2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Verbindungssystem und -verfahren für ein elektrisch betriebenes Fahrzeug
DE69729816T2 (de) 1996-01-31 2005-07-21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Verbesserung für Vollweggleichrichter
JPH1023677A (ja) 1996-07-03 1998-01-23 Uniden Corp 無接点充電装置、充電器、コードレス機器および無接点充電器
US5821728A (en) 1996-07-22 1998-10-13 Schwind; John P. Armature induction charging of moving electric vehicle batteries
SG54559A1 (en) * 1996-09-13 1998-11-16 Hitachi Ltd Power transmission system ic card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ic card
US5713939A (en) 1996-09-16 1998-02-03 Sulzer Intermedics Inc. Data communication system for control of transcutaneous energy transmission to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5949214A (en) 1997-11-04 1999-09-07 Input/Output, Inc. Rechargeable battery pack
FR2756679B1 (fr) 1996-11-29 1999-02-12 France Telecom Dispositif de redressement de tension a composants integres
DE19649761C2 (de) 1996-11-30 2003-04-03 Univ Stuttga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lüssigkristall-Displays auf Kunststoff-Folien unter Verwendung von bistabilen Flüssigkristallen
US5734254A (en) 1996-12-06 1998-03-31 Hewlett-Packard Company Battery pack and charging system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R2756953B1 (fr) 1996-12-10 1999-12-24 Innovatron Ind Sa Objet portatif telealimente pour la communication sans contact avec une borne
JPH10210751A (ja) * 1997-01-22 1998-08-07 Hitachi Ltd 整流回路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並びにicカード
US6275143B1 (en) * 1997-05-09 2001-08-14 Anatoli Stobbe Security device having wireless energy transmission
US6042005A (en) 1997-06-20 2000-03-28 Basile; Mark R. Personal identification and promotional system using personal and medical information
US6230029B1 (en) 1998-01-07 2001-05-08 Advanced Mobile Solutions, Inc. Modular wireless headset system
US5991170A (en) * 1998-02-03 1999-11-23 Sony Corpora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electric power
US6484260B1 (en) 1998-04-24 2002-11-19 Identix, Inc. Personal identification system
DE19837675A1 (de) * 1998-08-19 2000-02-24 Nokia Technology Gmbh Ladevorrichtung für Akkumulatoren in einem mobilen elektrischen Gerät mit induktiver Energieübertragung
JP2000150273A (ja) * 1998-11-05 2000-05-30 Densei Lambda Kk 非接触給電用変圧器
US6532298B1 (en) 1998-11-25 2003-03-11 Iridian Technologies, Inc. Portable authent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iris patterns
WO2000054387A1 (en) 1999-03-10 2000-09-14 Ea Technology Limited Battery chargers
TW463399B (en) 1999-03-19 2001-11-11 Seiko Epson Corp Electronic device
US6211649B1 (en) 1999-03-25 2001-04-03 Sourcenext Corporation USB cable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of external apparatus by using USB cable
US6127799A (en) 1999-05-14 2000-10-03 Gte Internetwork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powering and recharging
US6673250B2 (en) 1999-06-21 2004-01-06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for a fluid treatment system
US20050083020A1 (en) 2003-10-20 2005-04-21 Baarman David W. Electrostatic charge storage assembly
US7612528B2 (en) 1999-06-21 2009-11-03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Vehicle interface
US7522878B2 (en) 1999-06-21 2009-04-2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daptive inductive power supply with communication
US6731071B2 (en) 1999-06-21 2004-05-04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Inductively powered lamp assembly
US7212414B2 (en) 1999-06-21 2007-05-0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daptive inductive power supply
US7385357B2 (en) 1999-06-21 2008-06-10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Inductively coupled ballast circuit
US6436299B1 (en) 1999-06-21 2002-08-20 Amway Corporation Water treatment system with an inductively coupled ballast
US6825620B2 (en) 1999-06-21 2004-11-30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Inductively coupled ballast circuit
US7518267B2 (en) 2003-02-04 2009-04-14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Power adapter for a remote device
US7126450B2 (en) 1999-06-21 2006-10-24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Inductively powered apparatus
JP2001030959A (ja) 1999-07-22 2001-02-06 Mitsubishi Motors Corp トランクルーム装置
US6442434B1 (en) * 1999-10-19 2002-08-27 Abiomed,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ufficiently stable power to a load in an energy transfer system
US6803744B1 (en) * 1999-11-01 2004-10-12 Anthony Sabo Alignment independent and self aligning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US20050174473A1 (en) 1999-11-18 2005-08-11 Color Kinetics, Inc. Photography methods and systems
US6349047B1 (en) 2000-12-18 2002-02-19 Lovoltech, Inc. Full wave rectifier circuit using normally off JFETs
JP3860035B2 (ja) * 2000-04-13 2006-12-20 株式会社マキタ 充電装置用のアダプタ
JP4240748B2 (ja) * 2000-04-25 2009-03-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無接点給電装置
US6587358B1 (en) * 2000-05-11 2003-07-01 Sony Corporatio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EP1296324B1 (en) 2000-06-27 2005-03-30 Citizen Watch Co. Ltd. Disk drive
JP3843944B2 (ja) * 2000-08-15 2006-11-08 オムロン株式会社 非接触通信媒体および非接触通信システム
KR100426643B1 (ko) 2000-08-16 2004-04-08 (주) 잉카 시스템스 배터리 충전장치
US6766040B1 (en) 2000-10-02 2004-07-20 Biometric Solu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enrolling and verifying a fingerprint
FI20002493A (fi) 2000-11-14 2002-05-15 Salcomp Oy Teholähdejärjestely ja induktiivisesti kytketty akkulaturi, jossa on langattomasti kytketty ohjaus, ja menetelmä teholähdejärjestelyn ja induktiivisesti kytketyn akkulaturin ohjaamiseksi langattomasti
US6477043B2 (en) 2000-12-21 2002-11-05 Gateway, Inc. Data and power storage device
US6441589B1 (en) 2001-04-02 2002-08-27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Portable battery recharge station
DE10119283A1 (de) 2001-04-20 2002-10-24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System zur drahtlosen Übertragung elektrischer Leistung, ein Kleidungsstück, ein System von Kleidungsstücken und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Signalen und/oder elektrischer Leistung
JP2003011734A (ja) 2001-04-26 2003-01-15 Denso Corp 車両用電気機器取付構造
US6888438B2 (en) 2001-06-15 2005-05-03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Planar printed circuit-board transformers with effectiv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hielding
JP2003018757A (ja) * 2001-06-29 2003-01-17 Toko Inc 無接点型充電装置
US7263388B2 (en) 2001-06-29 2007-08-28 Nokia Corporation Charging system for portable equipment
DE10131905B4 (de) 2001-07-04 2005-05-19 Wampfler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induktiven Übertragung elektrischer Energie
US7043060B2 (en) 2001-07-17 2006-05-09 Niccole Family Trust Fingerprint-actuated padlock
US6781249B2 (en) 2001-08-29 2004-08-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trofittable power supply
JP4712254B2 (ja) * 2001-09-28 2011-06-29 株式会社イトーキ 受電コア及び、移動体への給電システム
JP2003209903A (ja) 2001-11-07 2003-07-25 Tsubakimoto Chain Co 非接触給電装置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DE10158794B4 (de) 2001-11-30 2008-05-29 Friwo Gerätebau Gmbh Induktiver kontaktloser Leistungsübertrager
US6586909B1 (en) 2001-12-21 2003-07-01 Ron Trepka Parallel battery charging device
GB2399466B (en) 2003-03-10 2005-11-16 Univ City Hong Kong Battery charging system
WO2003071393A2 (en) 2002-02-15 2003-08-28 Mathsoft Engineering And Education, Inc. Linguistic support for a regognizer of mathematical expressions
US7392068B2 (en) 2002-03-01 2008-06-24 Mobilewise Alternative wirefree mobile device power supply method and system with free positioning
JP3821023B2 (ja) * 2002-03-12 2006-09-13 ソニー株式会社 非接触充電装置
US6644557B1 (en) 2002-03-25 2003-11-11 Robert A Jacobs Access controlled thermostat system
US6906495B2 (en) 2002-05-13 2005-06-14 Splashpower Limited Contact-less power transfer
US6844702B2 (en) * 2002-05-16 2005-01-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ct-less battery charging with dynamic control
EP1547222B1 (en) 2002-06-10 2018-10-03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Planar inductive battery charger
US6556415B1 (en) 2002-06-28 2003-04-29 Industrial Technologies Research Institute Tunable/variable passive microelectronic components
US20040023633A1 (en) 2002-07-31 2004-02-05 Gordon Mark A. Handheld wireless device holder
US7440780B2 (en) 2002-09-18 2008-10-21 University Of Pittsburgh -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Re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GB2393860B (en) 2002-09-27 2006-02-15 Zap Wireless Technologie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retention of rechargeable devices
JP2004153879A (ja) 2002-10-29 2004-05-27 Aichi Electric Co Ltd 非接触給電装置
US7224086B2 (en) 2002-11-01 2007-05-29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Universal multiple device power adapter and carry case
US6894457B2 (en) 2002-11-01 2005-05-17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Universal multiple device power adapter and carry case
GB0226896D0 (en) 2002-11-19 2002-12-24 Huntleigh Technology Plc Electrical coupling
US7172196B2 (en) 2002-12-10 2007-02-06 Mitch Randall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to mobile and arbitrarily positioned devices
KR100513016B1 (ko) 2003-01-09 2005-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헤드셋 장치
US8183827B2 (en) 2003-01-28 2012-05-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aptive charger system and method
JP4128102B2 (ja) 2003-04-14 2008-07-30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送受信カード
RU2341840C2 (ru) 2003-05-02 2008-12-20 ЛИМПКИН Джордж Ала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на нагрузку и связанная с ним система
JP2005006440A (ja) 2003-06-12 2005-01-06 Seiko Epson Corp 無接点充電システムおよび無接点充電器
US7293565B2 (en) 2003-06-30 2007-11-13 Philip Morris Usa Inc. Electrically heated cigarette smoking system
GB2404094B (en) * 2003-07-17 2008-01-02 Thales Plc Electrical connector
JP2005110412A (ja) 2003-09-30 2005-04-21 Sharp Corp 電力供給システム
US7233137B2 (en) 2003-09-30 2007-06-19 Sharp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system
US7041579B2 (en) 2003-10-22 2006-05-09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Hard substrate wafer sawing process
NZ529291A (en) 2003-10-31 2006-05-26 Auckland Uniservices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603148B2 (en) 2003-12-16 2009-10-1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ntegrated wireless headset
US7026789B2 (en) * 2003-12-23 2006-04-11 Motorola, Inc. Charging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US7822236B2 (en) 2004-01-07 2010-10-26 Identification International, Inc. Low power fingerprint captur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JP4071202B2 (ja) 2004-02-23 2008-04-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非接触デバイスの電力抑制方法及び非接触デバイス
US20050226475A1 (en) 2004-04-06 2005-10-13 Mark Basile Method of, and system for, accessing a home or dwelling
TWI260939B (en) 2004-04-16 2006-08-21 Hon Hai Prec Ind Co Ltd Wireless earphone system
GB2414120B (en) * 2004-05-11 2008-04-02 Splashpower Ltd Controlling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US7605496B2 (en) 2004-05-11 2009-10-20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Controlling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JP2005327845A (ja) 2004-05-13 2005-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ed点灯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4039398B2 (ja) 2004-06-25 2008-01-30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クレードル装置、並びに携帯型機器
KR100564256B1 (ko) 2004-06-25 2006-03-29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주파수 식별기술이 적용된 무선 충전용 패드 및배터리팩
US8787848B2 (en) 2004-06-28 2014-07-22 Rosemount Inc. RF adapter for field device with low voltage intrinsic safety clamping
WO2006023149A2 (en) 2004-07-08 2006-03-02 Color Kinetics Incorporated Led package methods and systems
US20060028176A1 (en) 2004-07-22 2006-02-09 Qingfeng Tang Cellular telephone battery recharging apparatus
CA2575227A1 (en) 2004-07-28 2006-02-09 Newton Peripherals, Llc Peripheral devices for portable computer
US7462951B1 (en) 2004-08-11 2008-12-09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Portable inductive power station
JP2006060909A (ja) * 2004-08-19 2006-03-02 Seiko Epson Corp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4639692B2 (ja) * 2004-08-19 2011-02-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装置
FR2874774B1 (fr) 2004-08-30 2009-01-30 Innovi Technologies Ltd Oreillette sans fil pour telephone mobile
US7292881B2 (en) 2004-09-08 2007-11-06 Belkin International, Inc. Holder, electrical supply, and RF transmitter unit for electronic devices
NZ535390A (en) * 2004-09-16 2007-10-26 Auckland Uniservices Ltd Inductively powered mobile sensor system
US7414380B2 (en) 2004-09-21 2008-08-19 Lear Corporation Apparatus for inductively recharging batteries of a portable convenience device
US7208912B2 (en) 2004-09-24 2007-04-24 Lear Corporation Inductive battery recharging system with peak voltage detection
JP2006102055A (ja) 2004-10-04 2006-04-20 Cleanup Corp コードレス電源装置
GB0422349D0 (en) * 2004-10-06 2004-11-10 Zi Medical Plc Electrical recharger unit
EP1810215A2 (en) 2004-10-25 2007-07-25 Empower Technologies, Inc. Direct-mounted pouch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60145660A1 (en) 2004-12-30 2006-07-06 Black Greg R Method and apparatus for near field communications
JP2006217747A (ja) 2005-02-04 2006-08-17 Sony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USD519275S1 (en) 2005-03-09 2006-04-25 Tbac Investment Trust Carrier for digital player and headphones
US7262700B2 (en) 2005-03-10 2007-08-28 Microsoft Corporation Inductive powering surface for powering portable devices
US7211906B2 (en) 2005-04-04 2007-05-01 Tma Power, Llc Rankine—microturbine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20070023559A1 (en) 2005-07-26 2007-02-01 James Scapillato Electronic device case
KR100792311B1 (ko) 2005-07-30 2008-01-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충전전력 공급장치, 충전 장치, 배터리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GB2429372B (en) 2005-08-16 2010-02-24 Zarlink Semiconductor Ab A pick up coil functioning as an inductive element and as an antenna, especially useful in high frequency medical in-vivo devices
US20070042729A1 (en) 2005-08-16 2007-02-22 Baaman David W Inductive power supply, remote device powered by inductive power supply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7664961B2 (en) 2005-09-12 2010-02-16 Imation Corp. Wireless handheld device with local biometric authentication
KR100736053B1 (ko) 2005-10-24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전원을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
WO2007054259A1 (de) 2005-11-08 2007-05-18 Schleifring Und Apparatebau Gmbh Kontaktlose abfrage von systemzuständen
US7278310B1 (en) * 2005-12-12 2007-10-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Non-invasive measurement system
US20070136593A1 (en) 2005-12-14 2007-06-14 Richard Plavcan Secure information storage apparatus
DE202006010690U1 (de) 2006-01-07 2007-03-08 Rosenboom, Volker Wilhelm Kabellose Ladestation für Mobiltelefone
USD553852S1 (en) 2006-01-13 2007-10-30 Marware, Inc. Portable digital media player case
US20070165371A1 (en) 2006-01-13 2007-07-19 Marware, Inc. Portable digital media player case
US7952322B2 (en) 2006-01-31 2011-05-31 Mojo Mobility, Inc. Inductive power source and charging system
US7949372B2 (en) 2006-02-27 2011-05-24 Power Science Inc. Data communications enabled by wire free power transfer
US7948208B2 (en) * 2006-06-01 2011-05-24 Mojo Mobility, Inc. Power source, charging system, and inductive receiver for mobile devices
JP4670738B2 (ja) * 2006-06-06 2011-04-1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充電装置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自動機器
KR101284044B1 (ko) 2006-08-07 2013-07-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WO2008017818A1 (en) 2006-08-09 2008-02-14 Mbda Uk Limited Inductive power system
US8344888B2 (en) 2006-08-31 2013-01-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CN101595647A (zh) 2006-09-06 2009-12-02 牛顿电脑外设有限公司 无线耳机
US8004235B2 (en) 2006-09-29 2011-08-23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ly charging a battery
US7868585B2 (en) 2006-10-03 2011-01-1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Wireless charging device
KR101253669B1 (ko) 2006-10-10 2013-04-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무접점 충전기
EP2087575A1 (en) 2006-10-26 2009-08-12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Inductive pow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8099140B2 (en) * 2006-11-24 2012-01-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and wireless power supply method
US20100068795A1 (en) 2006-11-30 2010-03-18 Panasonic Corporation Blood test device
WO2008086080A2 (en) 2007-01-03 2008-07-17 Newton Peripherals, Llc Dongle device
US9239112B2 (en) 2007-01-12 2016-01-19 Nippon Gasket Co., Ltd. Metal gasket
JP2008178195A (ja) 2007-01-17 2008-07-31 Seiko Epson Corp 送電制御装置、受電制御装置、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送電装置、受電装置及び電子機器
WO2008092429A1 (de) 2007-01-29 2008-08-07 Peiker Acustic Gmbh & Co. Kg Aufnahmevorrichtung
JP5549009B2 (ja) 2007-01-29 2014-07-16 パワーマット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ピンレス電源結合
JP4308858B2 (ja) * 2007-02-16 2009-08-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送電制御装置、受電制御装置、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送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494426B2 (ja) * 2007-02-16 2010-06-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送電制御装置、受電制御装置、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送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999770B1 (ko) * 2007-02-20 2010-12-0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송전 제어 장치, 송전 장치, 전자 기기 및 무접점 전력전송 시스템
JP4847891B2 (ja) * 2007-02-20 2011-12-28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7946483B2 (en) 2007-03-01 2011-05-24 Deadman Technologies, Llc Biometric control of equipment
SI2154763T1 (sl) 2007-03-22 2021-12-31 Powermat Technologies Ltd. Naprava za spremljanje učinkovitosti za induktivni prenos moči
US7728551B2 (en) 2007-04-26 2010-06-0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ITRM20070260A1 (it) 2007-05-09 2008-11-10 Menstecnica S R L Sistema portatile e autonomo per la memorizzazione e vicualizzazione di password e pin
KR100819753B1 (ko) 2007-07-13 2008-04-08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배터리팩 솔루션을 위한 무접점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1089462B (zh) 2007-07-27 2010-06-02 极沣科技有限公司 载具的非接触发光显示装置
USD586809S1 (en) 2007-08-02 2009-02-17 Newton Peripherals, Llc Dongle
JP2009043307A (ja) 2007-08-06 2009-02-26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7682924B2 (en) 2007-08-13 2010-03-2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a plurality of capacitors
US8026135B2 (en) 2007-08-15 2011-09-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ormation of shallow junctions by diffusion from a dielectric doped by cluster or molecular ion beams
US20090075704A1 (en) 2007-09-18 2009-03-19 Kevin Peichih Wa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charging module
WO2009040807A2 (en) 2007-09-25 2009-04-02 Powermat Ltd.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platform
JP2009081943A (ja) 2007-09-26 2009-04-16 Seiko Epson Corp 送電制御装置、送電装置、送電側装置および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
US8302769B2 (en) 2007-09-28 2012-11-06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Multi-function case for portable digital media device
MX2010003836A (es) 2007-10-09 2011-03-24 Powermat Ltd Dispositivos de audio inductivos recargables.
US8283812B2 (en) 2007-10-09 2012-10-09 Powermat Technologies, Ltd. Inductive power providing system having moving outlets
CA2702164A1 (en) 2007-10-09 2009-04-16 Powermat Ltd. Inductive power providing system
US7902691B2 (en) 2007-10-10 2011-03-08 Tomtom International B.V. Enhanced cigarette lighter adapter
US8026693B2 (en) 2007-10-18 2011-09-27 Wi.U, Llc Induction charger for portable battery-powered devices
US8193769B2 (en) 2007-10-18 2012-06-05 Powermat Technologies, Ltd Inductively chargeable audio devices
CN101828336B (zh) 2007-10-19 2013-05-22 通腾科技股份有限公司 增强型点烟器适配器
US8134449B2 (en) 2007-10-23 2012-03-13 Minebea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biometric keyboard
JP4600462B2 (ja) 2007-11-16 2010-1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送電制御装置、送電装置、電子機器及び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
US8536737B2 (en) 2007-11-19 2013-09-17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for inductive power provision in wet environments
KR101437975B1 (ko) 2007-12-06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
US8276816B2 (en) 2007-12-14 2012-10-02 Validity Sensors, Inc. Smart card system with ergonomic fingerprint sensor and method of using
JP5362330B2 (ja) 2007-12-18 2013-12-11 三洋電機株式会社 充電台
KR101560853B1 (ko) 2008-01-07 2015-10-15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듀티 사이클 제어를 갖는 유도성 전력 공급기
WO2009100230A1 (en) 2008-02-07 2009-08-13 Inflexis Corporation Mobile electronic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KR100976161B1 (ko) 2008-02-20 2010-08-16 정춘길 무접점충전시스템 및 그의 충전제어방법
US8421407B2 (en) 2008-02-25 2013-04-16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Inductively coupled work surfaces
WO2009114101A1 (en) 2008-03-03 2009-09-17 Mitch Randall Universal electrical interface for providing power to mobile devices
US20090226050A1 (en) 2008-03-06 2009-09-10 Hughes Michael L System and apparatus for securing an item using a biometric lock
JP5188211B2 (ja) 2008-03-07 201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給電方法
AU2009223084A1 (en) 2008-03-13 2009-09-17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Inductive power supply system with multiple coil primary
US9960640B2 (en) 2008-03-17 2018-05-01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US9337902B2 (en) 2008-03-17 2016-05-10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power transfer functionality to an electrical device
US9331750B2 (en) 2008-03-17 2016-05-03 Powermat Technologies Lt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host control interface thereof
WO2013093922A2 (en) 2011-12-21 2013-06-27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power transfer functionality to an electrical device
US9960642B2 (en) 2008-03-17 2018-05-01 Powermat Technologies Ltd. Embedded interface for wireless power transfer to electrical devices
KR20100130215A (ko) 2008-03-17 2010-12-10 파우워매트 엘티디. 유도송전장치
US20090243791A1 (en) 2008-03-28 2009-10-01 Partin Dale L Mini fob with improved human machine interface
EP2263296B1 (en) 2008-04-03 2015-11-11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O2009144542A1 (en) 2008-04-15 2009-12-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Wireless energy transfer device
US8320143B2 (en) 2008-04-15 2012-11-27 Powermat Technologies, Ltd. Bridge synchronous rectifier
JP4544338B2 (ja) 2008-04-28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送電装置、受電装置、送電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電力伝送システム
CA2726601C (en) 2008-06-17 2016-08-09 Rosemount Inc. Rf adapter for field device with variable voltage drop
US8188619B2 (en) * 2008-07-02 2012-05-29 Powermat Technologies Ltd Non resonant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AU2009268616B2 (en) * 2008-07-09 2014-01-30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Wireless charging system
KR20100006756A (ko) 2008-07-10 201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0045960A (ja) 2008-07-16 2010-02-25 Seiko Epson Corp 送電制御装置、送電装置、受電制御装置、受電装置、電子機器、及び無接点電力伝送方法
US8248024B2 (en) 2008-08-15 2012-08-21 Microsoft Corporation Advanced inductive charging pad for portable devices
US8432070B2 (en) 2008-08-25 2013-04-30 Qualcomm Incorporated Passive receiver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JP2012501500A (ja) 2008-08-26 2012-01-19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並行して行う無線電力伝送および近接場通信
US7858878B2 (en) 2008-09-15 2010-12-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lush mount-corner mount gang box
US20140349572A1 (en) 2008-09-23 2014-11-27 Powermat Technologies Ltd. Integrated inductive power receiver and near field communicator
CA2738206A1 (en) 2008-09-23 2010-04-01 Powermat Ltd. Combined antenna and inductive power receiver
US8587155B2 (en) 2008-09-27 2013-11-19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using repeater resonators
US8362651B2 (en) 2008-10-01 2013-01-2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Efficient near-field wireless energy transfer using adiabatic system variations
KR101699986B1 (ko) * 2008-10-03 2017-02-13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전력 시스템
USD611408S1 (en) 2009-01-06 2010-03-09 Powermat Usa, Llc Mat for charging an electronic device
USD599736S1 (en) 2009-01-06 2009-09-08 Hpna Llc Mat for charging an electronic device
USD599735S1 (en) 2009-01-06 2009-09-08 Hpna Llc Battery charger
USD599738S1 (en) 2009-01-06 2009-09-08 Hpna Llc Power adapter
USD611407S1 (en) 2009-01-06 2010-03-09 Powermat Usa, Llc Mat for charging an electronic device
USD599737S1 (en) 2009-01-06 2009-09-08 Hpna Llc Power adapter
USD603603S1 (en) 2009-01-06 2009-11-10 Powermat Usa, Llc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D607879S1 (en) 2009-01-06 2010-01-12 Powermat Usa, Llc Docking station
US8405346B2 (en) 2009-02-17 2013-03-26 Diversified Power International, Llc Inductively coupled power transfer assembly
WO2010132578A1 (en) 2009-05-12 2010-11-18 Kimball International, Inc. Furniture with wireless power
JP5446452B2 (ja) 2009-05-21 2014-03-19 ソニー株式会社 電力供給装置、被電力供給装置、電力供給装置システム、位置決め制御方法
CN101938149A (zh) 2009-06-29 2011-01-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无线充电装置
JP5785167B2 (ja) 2009-07-24 2015-09-24 アクセス ビジネス グループ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電源
DE102010027592A1 (de) 2009-08-11 2011-02-17 Magna E-Car Systems Gmbh & Co Og Trag- und Antriebsanordnung
WO2011021178A2 (en) 2009-08-19 2011-02-24 Powermat Ltd. Inductively chargeable power pack
WO2011036659A2 (en) 2009-09-28 2011-03-31 Powermat Ltd.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JP4612734B1 (ja) 2009-11-30 2011-01-12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EP2507887A2 (en) 2009-12-04 2012-10-10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from a power supply to an inductive power outlet
JP2011134174A (ja) 2009-12-25 2011-07-07 Sony Corp カード型周辺装置およびカードシステム
JP2011205854A (ja) 2010-03-26 2011-10-13 Panasonic Corp 送電制御装置、受電制御装置、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電力伝送システムのデータ通信方法
TWI408861B (zh) 2010-04-26 2013-09-11 Fu Da Tong Technology Co Ltd Method of data transmission in induction power supply
JP2013529451A (ja) 2010-04-30 2013-07-18 パワーマッド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拡張領域上で誘導的に電力を伝達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EP2577836A4 (en) 2010-06-03 2016-04-20 Powerkiss Oy INDUCTIVE LOADING
CN102299567B (zh) 2010-06-24 2013-11-06 海尔集团公司 电子装置及其无线供电系统、无线供电方法
WO2012007942A2 (en) 2010-07-12 2012-01-19 Powermat Ltd.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n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ES2771174T3 (es) 2010-10-13 2020-07-06 Koninklijke Philips Nv Transmisor de potencia y receptor de potencia para un sistema de potencia inductivo
WO2012093398A2 (en) 2011-01-05 2012-07-12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inductive power functionality into furniture
WO2012095850A1 (en) 2011-01-10 2012-07-19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for transferring power inductively to items within a container
JP5654367B2 (ja) 2011-01-28 2015-01-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の給電モジュール、非接触給電装置の給電モジュールの使用方法及び非接触給電装置の給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6001563B2 (ja) 2011-02-07 2016-10-05 アクセス ビジネス グループ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で通信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30082536A1 (en) 2011-03-22 2013-04-04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control in wireless power supply systems
JP5836898B2 (ja) 2012-08-01 2015-12-2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JP6004836B2 (ja) 2012-08-22 2016-10-1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源装置、半導体装置、及びワイヤレス通信装置
US9449757B2 (en) 2012-11-16 2016-09-20 Witricity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system with improved performance and/or ease of use
US9461341B2 (en) 2012-12-26 2016-10-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ower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the same
JP2014143185A (ja) 2012-12-28 2014-08-0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蓄電装置及びその充電方法
US9614258B2 (en) 2012-12-28 2017-04-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ower storage device and power storage system
JP6223171B2 (ja) 2012-12-28 2017-11-0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蓄電装置の制御システム、蓄電システム、及び電気機器
US20140203661A1 (en) 2013-01-21 2014-07-24 Powermat Technologies, Ltd. Inductive power receiver having dual mode connector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s
US20150069965A1 (en) 2013-09-12 2015-03-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mbeddable wireless charger
CA2865457C (en) 2013-09-30 2019-01-22 Norman R. Byrne Articles with electrical charging surfaces
DE202014101674U1 (de) 2014-04-09 2014-04-15 Nitz Engineering Gmbh Energiespeicher für Möbel sowie Möbel mit Energiespeicher
US9369004B2 (en) 2014-06-25 2016-06-14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Inductive-charging grommet for furniture
MX380486B (es) 2016-05-02 2025-03-12 Norman R Byrne Arandela aislante de carga inhalámbrica montada en una superficie de trabaj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4043A2 (ko) 2010-11-08 2012-05-18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유산 수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필름
KR20150011273A (ko) * 2013-07-22 2015-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멀티 타겟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 제어 방법 및 이를 채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160094261A (ko) * 2015-01-30 2016-08-09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353278A1 (en) 2009-09-24
CA2718901A1 (en) 2009-09-24
US20140125147A1 (en) 2014-05-08
EP2266123B1 (en) 2018-10-10
CN102084442B (zh) 2013-12-04
US9083204B2 (en) 2015-07-14
EP2266123A4 (en) 2017-08-09
US9048696B2 (en) 2015-06-02
CA2718901C (en) 2018-10-16
US20110062793A1 (en) 2011-03-17
JP2011514801A (ja) 2011-05-06
JP5483030B2 (ja) 2014-05-07
WO2009116025A3 (en) 2010-03-11
US9685795B2 (en) 2017-06-20
US20150263537A1 (en) 2015-09-17
US9035501B2 (en) 2015-05-19
US20170294808A1 (en) 2017-10-12
CN102084442A (zh) 2011-06-01
US9136734B2 (en) 2015-09-15
WO2009116025A2 (en) 2009-09-24
US20140252871A1 (en) 2014-09-11
IL208197A0 (en) 2010-12-30
EP2266123A2 (en) 2010-12-29
US11837399B2 (en) 2023-12-05
EP2266123B2 (en) 2024-09-11
US20150326032A1 (en) 2015-11-12
US20230307176A1 (en) 2023-09-28
US20140125146A1 (en)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07176A1 (en) Transmission-guard system and method for an inductive power supply
US8188619B2 (en) Non resonant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KR101806592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US8872386B2 (en)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concurrently transmitting digital messages
US90998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ded communication signals regulating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KR101322764B1 (ko) 무선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EP2843801A1 (en)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for
EP287067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ductive power at multiple power levels
JP2012023913A (ja) 非接触給電装置
KR20130130191A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KR200453596Y1 (ko) 무선 전력전송을 이용한 수족관 및 조명장치
KR101305657B1 (ko) 무선 전력 송신장치 및 그의 무선 전력 송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0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1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5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