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2311B1 - 충전전력 공급장치, 충전 장치, 배터리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충전전력 공급장치, 충전 장치, 배터리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311B1
KR100792311B1 KR1020050069962A KR20050069962A KR100792311B1 KR 100792311 B1 KR100792311 B1 KR 100792311B1 KR 1020050069962 A KR1020050069962 A KR 1020050069962A KR 20050069962 A KR20050069962 A KR 20050069962A KR 100792311 B1 KR100792311 B1 KR 100792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voltage
pulse
char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5264A (ko
Inventor
박동영
문성욱
최성욱
권광희
한섭
김정범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9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311B1/ko
Priority to CNA2006800279846A priority patent/CN101233666A/zh
Priority to JP2008523791A priority patent/JP4956539B2/ja
Priority to PCT/KR2006/002695 priority patent/WO2007015599A1/en
Priority to US11/997,401 priority patent/US8129942B2/en
Publication of KR20070015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31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전자기기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도 결합을 이용한 무접점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접점 충전시스템은 1차 코일과 무선수신모듈을 포함하는 제 1 충전 유닛과, 이 1차 코일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2차 코일과 무선송신모듈을 포함하는 제 2 충전 유닛 및 이 제 2 충전 유닛으로부터 충전 전압을 제공받는 배터리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 1 충전 유닛은, 상용 교류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용 주파수 이상의 교류 전력 펄스를 생성하고, 이를 1차 코일에 인가하여 상기 2차 코일에 고주파 교류 전압 펄스를 유도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충전유닛은, 상기 2차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교류전압 펄스의 펄스간 유휴 시간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상태정보를 상기 제 1 충전유닛에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1차 코일과 2차 코일 사이의 전력 신호와 상기 무선송신모듈과 무선수신모듈 사이의 통신 신호가 시간적으로 중첩되지 않게 된다.
무접점 충전, 시분할, 피드백 제어

Description

충전전력 공급장치, 충전 장치, 배터리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Rechargeable power supply, rechargeable device, battery device, contactless recharger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rechargeable battery cell}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충전시스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충전시스템의 내부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충전시작 시점으로부터 만충전 시점까지의 전력 신호와 통신 신호의 시분할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충전 방법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 부호에 대한 설명>
100: 충전 모체 200: 배터리 장치
150: 충전전력 공급장치 250: 충전 장치
110: 1차 코일 210: 2차 코일
120: 무선수신모듈 220: 무선송신모듈
151: 상용 교류전원 153: 구동 회로
261: 보호 회로(PCM) 262: 배터리
본 발명은 휴대형 전자기기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도 결합을 이용한 무접점 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 PDA 등과 같은 휴대형 전자기기에는 재충전 가능한 2차전지(배터리)가 장착된다. 2차 전지(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가정용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형 전자기기의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별도의 충전장치가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충전장치와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서, 두 접촉 단자를 서로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되면, 미관상 좋지 않고 접촉 단자가 외부의 이물질에 오염되어 접촉 상태가 쉽게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배터리에 단락이 발생하거나 습기에 노출되면, 충전에너지가 쉽게 소실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식 충전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비접촉 방식으로 충전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2-57468 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2-57469 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363,439 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428,713 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2-35242 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17,303 호, 영국 공개특허 제 2,314,470 호 및 미국 공개특허 제 2003/0,210,106 호는 충전모체의 1차 코일과 배터리팩의 2차 코일간의 유도 결합을 이용하여 접촉단자 없이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비접촉식 충전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4-87037 호는 배터리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사용시간 및 충전용량 등의 정보를 누적하고, 이렇게 누적된 정보에 근거하여 배터리의 충,방전 용량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무접점 충전 배터리팩을 개시한다. 특히, 상기 제어회로는 배터리에서 검출되는 충전 전압과 온도센서부에서 검출되는 배터리의 온도에 근거하여 충전 전압과, 배터리 온도를 보상하는 보상회로를 더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037'호 공개 특허는 배터리의 충전상태정보(충전 전류, 충전전압 등)를 피드백 받고, 이 충전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전력을 생성하는 전력공급장치나 이를 이용한 무접점 충전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유도 결합을 이용한 무접점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무선으로 배터리의 상태정보를 피드백 받아 배터리의 상태에 가장 적합한 충전 전력을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차 충전유닛(충전모체)과 2차 충전유닛(배터리팩) 사이의 전력 신호와 통신 신호간의 간섭 현상을 해소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방지될 수 있도록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자기적으로 완전히 결합된 후에 충전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대기모드, 충전모드 및 완충모드로 나누고, 배터리의 모드 상태를 파악하여 각 모드에 가장 적합한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유도 결합을 위한 2차 코일, 데이터를 무선 송신하기 위한 무선송신모듈,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조절하는 충전제어회로 및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장치와 무접점으로 결합되는 충전전력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상기 충전전력 공급장치는, 상기 2차 코일에 충전 전력을 유도하는 1차 코일; 상기 무선송신모듈로부터 충전상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모듈; 상기 1, 2차 코일 사이의 전력 신호와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 사이의 통신 신호가 서로 시간적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1차 코일을 구동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상용 교류전압을 이용하여 상용 주파수 이상의 교류 전압 펄스를 생성하는 상기 충전전력 공급장치로부터 무접점으로 전력을 공급받고, 이 전력을 이용하여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전력 공급장치의 1차 코일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교류 전압 펄스에 대응하는 유도 기전력 펄스를 생성하는 2차 코일; 이 유도 기전력 펄스에 근거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킬 정전압과 정전류를 생성하는 충전제어회로; 상기 유도 기전력 펄스의 폴링 타임(falling time)을 체크하여 폴링이 감지되면, 배터리의 충전상태정보와 같은 피드백 응답 신호를 상기 충전전력 공급장치에 무선으로 피드백하는 피드백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충전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모니터링회로; 상기 충전상태정보와 배터리 사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충전상태정보에 근거하여 피드백 응답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충전전력 공급장치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상용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상용 주파수 이상의 펄스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전력공급장치로부터 무접점으로 충전 전력을 공급받는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배터리 장치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1차 코일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에 대응하는 유도 기전력 펄스를 생성하는 2차 코일; 상기 유도 기전력에 근거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킬 정전압과 정전류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제어회로; 상기 유도 기전력 펄스의 폴링 타임(falling time)을 검출하는 폴링 검출기; 배터리의 충전상태정보와 배터리 사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충전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모니터링회로; 상기 충전상태정보를 변조하여 피드백 응답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전력공급장치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모듈; 상기 폴링 타임을 검출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충전 상태정보를 읽어들이고, 이 충전상태정보를 상기 무선송신모듈에 전달하는 피드백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1차 코일과 무선수신모듈을 포함하는 제 1 충전 유닛과, 이 1차 코일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2차 코일과 무선송신모듈을 포함하는 제 2 충전 유닛 및 이 제 2 충전 유닛으로부터 충전 전압을 제공받는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서의 배터리 충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A) 폭 W1을 갖는 전력 펄스열을 1차 코일에 인가하는 것에 의해 대응하는 자계를 외부로 방사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코일과 제 2 코일이 자기적으로 결합되었음을 확인하는 충전시작신호를 상기 제 2 충전유닛으로부터 무선으로 응답받는 단계; (C) 상기 충전시작신호에 따라 적어도 상기 W1 보다 큰 펄스폭(W2) 을 갖는 충전 전력 펄스열을 생성하고, 이를 1차 코일에 인가하는 것에 의해 2차 코일에 대응하는 유도 기전력 펄스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유도 기전력 펄스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E)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정보를 제 2 충전유닛으로부터 피드백 받는 단계; (F) 상기 충전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 전력 펄스의 펄스폭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 2 충전유닛으로부터의 무선 피드백 신호는 상기 유도 기전력 펄스의 폴링 타임(falling time)에 동기된다.
또한, 상기 (B)단계는 다시, 상기 제 1 코일과 제 2 코일이 자기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제 2 코일로부터 유도 기전력 펄스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유도 기전력 펄스의 폴링 타임(falling time)을 체크하여 메모리로부터 충전상태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메모리에 충전상태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초기 충전으로 판단하여 초기충전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초기충전신호를 무선송신모듈을 경유하여 제 1 충전유닛의 무선수신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A)단계는 다시, 상용 교류 전압을 직류로 정류하는 단계; 정류된 직류를 이용하여 상용 주파수 이상의 교류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교류 전압을 펄스폭 변조하여 폭 W1을 갖는 전력 펄스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력 펄스열을 1차 코일에 인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D)단계는 다시, 상기 유도 기전력(교류 전압)을 직류로 정류하는 단계; 정류된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에 충전할 일정한 레벨의 정전압과 정전류 를 생성하는 단계; 배터리 전압이 일정 수준에 도달할때까지 정전류 모드로 배터리를 충전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전압에 도달하면, 충전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정전압 모드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E)단계는 다시, 2차 코일로부터 유기되는 유도 기전력 펄스의 폴링 타임을 체크하는 단계; 폴링 타임이 체크되면, 메모리로부터 충전상태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충전상태정보에 근거하여 피드백 응답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무선송신모듈을 통해 제 1 충전유닛의 무선수신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F)단계는 다시, 충전상태정보를 분석하여, 배터리의 만충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배터리가 만충전되지 않은 경우, 충전상태에 대응하도록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력 펄스의 펄스폭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1차 코일과 무선수신모듈을 포함하는 제 1 충전 유닛과, 이 1차 코일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2차 코일과 무선송신모듈을 포함하는 제 2 충전 유닛 및 이 제 2 충전 유닛으로부터 충전 전압을 제공받는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 1 충전 유닛은, 상용 교류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용 주파수 이상의 교류 전력 펄스를 생성하고, 이를 1차 코일에 인가하여 상기 2차 코일에 고주파 교류 전압 펄스를 유도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충전유닛은, 상기 2차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교류전압 펄스의 펄스간 유휴 시간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상태정보를 상기 제 1 충전유닛에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1차 코일과 2차 코일 사이의 전력 신호와 상기 무선송 신모듈과 무선수신모듈 사이의 통신 신호가 시간적으로 중첩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전송 수단은, 유도 기전력 펄스의 폴링 타임(falling time)을 검출하고, 폴링 타임의 검출과 동시에 상기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1차 충전유닛의 유도 수단은, 상용 교류 전원을 정류한 직류 전압에 근거하여 상용 주파수 이상의 교류 전압을 생성하는 수단과, 이 상용 주파수 이상의 교류 전압을 이용하여 펄스폭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1차 충전유닛은, 상기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펄스폭을 조절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충전유닛은, 상기 2차 코일로부터 생성되는 유도 기전력 펄스의 폴링 타임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폴링 타임의 검출에 따라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를 추출하고, 이 충전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충전유닛의 무선수신모듈에 송신할 피드백 응답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2차 코일로부터 생성되는 유도 기전력을 직류로 정류하는 수단, 상기 정류된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에 공급할 정전압 및 정전류를 생성하는 수단, 배터리의 충전 전압과 충전 전류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충전 전압과 충전 전류를 저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접점 충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충전시스템은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에 공급할 충전 전력을 생성시키는 충전 모체(100)와, 이 충전 모체(100)로부터 무접점으로 상기 충전 전력을 공급받고, 이를 이용하여 내부의 배터리(미도시)를 충전시키는 배터리 장치(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터리 장치(200)는 배터리가 내장된 배터리팩이나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휴대형 전자기기로서는 셀룰러폰, PDA, MP3 플레이어 등을 들 수 있다. 이 배터리 장치(200)에 내장되는 배터리는 재충전 가능한 전지셀로서 리튬 이온 전지나 리튬 폴리머 전지 등을 포함한다.
상기 충전 모체(10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 받아 상기 배터리 장치(200)에 공급할 충전 전력을 생성하는 장치로서, 배터리 장치(200)가 쉽게 안착될 수 있도록 패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전 모체(100)에 공급되는 외부 전원으로서는 가정용의 상용 교류 전원(60Hz,220V/100V)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다른 DC 전원도 채택 가능하다.
상기 충전 모체(100)와 상기 배터리 장치(200)는 서로 대응되는 1차 코일 (110) 및 2차 코일(210)과 안테나(120, 2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1, 2차 코일(110, 210)은 유도 결합에 의해 자기적으로 상호 커플링된다. 따라서, 상기 2차 코일이 상기 1차 코일 위에 병렬됨(juxtaposed)에 따라 1차 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이 2차 코일내에 유도 전류를 유기하게 된다. 또한, 상기 1, 2차 코일(110, 210)은 각각 안테나(120, 220)에 의해 둘러 싸여져 있다.
또한, 상기 충전 모체(100)는 1차 코일(110)을 구동하여 자기장을 생성하기위한 충전전력 공급회로(150)(도 2 참조)를 내장하고 있고, 상기 배터리 장치(200)는 2차 코일(210)에 의해 유기되는 유도 기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 회로(250)(도 2 참조)를 내장하고 있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충전전력 공급회로(150)와 충전 회로(250)의 상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충전 모체(100)내에 내장되는 충전전력 공급회로(150)는 1차 코일(110), 정류기(152), 구동회로(153), 제어기(155), 무선수신모듈(120, 156)을 포함한다.
상기 정류기(152)는 상용 교류 전원(151)으로부터의 교류 전압을 직류로 정류한 후, 구동 회로(153)에 전달한다. 상기 구동 회로(153)는 정류기(152)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상용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교류 전압 펄스를 생성하고, 이를 1차 코일(110)에 인가하여 자계(magnetic field)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 회로(153)는 다시 PWM 신호 발생기(154b)와 전력 구동부(154a)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력 구동부(154a)는 소정 레벨의 직류 전압을 컨버팅하여 상용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교류 전압을 발진하는 고주파 발진회로와 펄스폭 변조된 고 주파 교류 전압 펄스를 1차 코일(110)에 인가하는 것에 의해 1차 코일(110)을 구동하는 드라이브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PWM 신호 발생기(154b)는 상기 고주파 교류 전압을 펄스폭 변조(PWM : pulse width modulation)시킨다. 따라서, 전력 구동부(153)의 출력단을 통해 배출되는 출력 신호는 고주파 교류 전압 펄스가 된다. 이 고주파 교류 전압 펄스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펄스열(pulse train)이다. 이 펄스열의 펄스폭은 제어기(155)에 의해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회로(153)로는 예를 들어,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프라이(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가 채택될 수 있는데, 동일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다른 균등 수단이 채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기(155)는 무선 송,수신모듈(156, 120, 220, 256)을 경유하여 피드백 되는 배터리의 충전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펄스폭 변조되는 고주파 교류 전압 펄스의 펄스폭을 조절한다. 특히, 제어기(155)는 충전 회로(25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신호가 충전시작신호인 경우, 도 3과 같이 1차 코일(110)의 구동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충전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충전 회로(250)로부터 피드백 되는 충전상태정보를 분석한 결과, 배터리가 만충전인 것으로 판단되면, 도 3과 같이 1차 코일의 구동 모드를 충전 모드에서 완충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제어기(155)는 충전 회로(25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신호가 없는 경우, 1차 코일(110)의 구동 모드를 대기 모드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충전전력 공급회로(150)의 제어기(155)는 배터리 장치(200)로부터의 응답 신호의 유,무와 그 내용에 따라 1차 코일(110)을 구동하는 모드를 대기 모드, 충전 모드 및 완충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무선수신모듈(120, 156)은 충전 회로(250)의 무선송신모듈(220, 256)로부터 전송되는 피드백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20)와, 이 피드백 응답 신호를 복조하여 배터리의 충전상태정보를 복원하는 복조기와 같은 수신부(15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충전전력 공급회로(150)는 회로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한 과전압 필터회로나 정류기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압을 소정 레벨의 전압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정전압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전압 필터회로는 상용 교류전원(151)과 정류기(15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정전압 회로는 정류기(152)와 구동 회로(153)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충전전력 공급회로(15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262)를 충전하는 충전 회로(250)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 충전 회로(250)는 배터리(262)와 함께 배터리 장치(200)의 내부에 내장된다.
상기 충전 회로(250)는 2차 코일(210), 정류기(251), 정전압/정전류 회로(252), 폴링 검출기(253), 제어기(255), 무선송신모듈(220, 256)을 포함한다.
상기 2차 코일(210)은 상기 1차 코일(110)에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코일(110)에 인가되는 전력 신호가 펄스폭 변조신호이기 때문에 2차 코일(210)에 유기되는 유기 기전력 역시 교류 전압 펄스열이다. 또한, 1차 코일(110)의 구동 모드에 따라 2차 코일(210)에 유기되는 교류 전압 펄스 역시 도 3과 같이 대기 모드, 충전 모드 및 완충 모드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따르게 된다.
상기 정류기(251)는 상기 2차 코일(21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2차 코일(210)에 의해 유도된 교류 전압 펄스를 일정한 레벨의 직류로 평탄화한다.
상기 정전압/정전류 회로(252)는 소정 레벨의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에 충전할 정전압과 정전류를 생성한다. 즉, 배터리의 초기 충전시점에서 정전류 모드를 유지하다가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포화상태가 되면, 정전압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폴링 검출기(253)는 2차 코일에 의해 유도된 교류 전압 펄스의 하강 시점 즉, 폴링 시점(falling time)을 검출하는 장치이다. 이 폴링 검출 신호는 제어기(255)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기(255)는 일종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서 폴링 검출 신호, 충전 전류, 충전 전압 등과 같은 모니터링 신호를 입력 받고, 이 모니터링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정전압/정전류 회로(252)와 무선송신모듈(220, 256)을 제어한다.
즉, 폴링 검출기(253)로부터 입력되는 폴링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펄스의 하강 시점을 파악하고, 상기 충전전력 공급장치(150)에 전송할 피드백 응답 신호의 전송 시점을 상기 펄스의 하강 시점에 동기화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기(255)는 배터리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 모니터링 값을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임시 저장한다. 미도시된 상기 메모리는 모니터링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 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255)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정전압 모드와 정전류 모드를 적절히 선택, 전환한다.
상기 무선송신모듈은 충전전력 공급장치(150)에 전송할 피드백 응답 신호(충전시작신호 또는 충전상태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220)와, 충전상태정보와 같은 베이스밴드 신호를 변조하여 피드백 응답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부(256)를 포함한다.
상기 정전압/정전류 회로(252)와 배터리(262) 사이에는 배터리에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회로(PCM)(261)가 배치된다. 이 보호 회로(261)와 배터리(262)는 하나의 단일 배터리 유닛(260)을 구성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드별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충전전력 공급장치 또는 충전 모체는 1차 충전유닛으로 상기 충전회로 또는 배터리 장치는 2차 충전유닛으로 정의한다.
상용 교류 전원(151)과 같은 외부 전원이 1차 충전유닛에 인가되면, 1차 충전 유닛의 제어기(155)가 깨어나서(wake-up) 구동 회로(153)를 제어함으로써 1차 코일(110)을 드라이브한다.
즉, 제어기(155)는 2차 충전유닛으로부터 어떠한 응답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이를 대기모드로 판단하고, 도 3과 같이 폭이 w1이고, 주기가 t1인 대기모드 전력 펄스열을 1차 코일(110)에 인가하도록 상기 구동 회로(153)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1차 코일(110)은 상기 대기모드 전력 펄스열에 대응하는 자계를 발생시키고, 이를 외부로 방사한다. 이러한 자계의 방사는 도 3에 도시된 충전시작신호가 1차 충전유닛의 무선수신모듈(120, 156)로 수신될 때까지 계속된다.
도 1과 같이 배터리 장치(200)가 충전 모체(100)에 안착됨에 따라 1차 코일(110)과 2차 코일(210)이 자기적으로 커플링되면(도 3의 T지점), 1차 코일(110)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2차 코일(210)의 출력단에도 폭이 w1이고, 주기가 t1인 대기모드 전력 펄스열이 유도된다. 이 전력 펄스열은 그 전력량이 배터리를 충전하기에는 미약하기 때문에 2차 충전유닛의 내부 회로의 구동전원(특히,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된다. 즉, 대기모드의 전력 펄스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커플링되기 전에는 외부로 방사되어 소비되고,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커플링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깨우는(wake-up) 구동전원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2차측에 유도 기전력이 유기되면, 2차 충전유닛의 폴링 검출기(253)는 상기 유도 펄스의 하강 시점(또는 폴링 타임)을 체킹한다. 이때, 폴링 검출기(253)가 펄스의 하강 시점을 검출하게 되면, 폴링 검출 신호가 2차 충전유닛의 제어기(255)에 입력되고, 제어기(255)는 도 3과 같은 충전시작신호를 무선송신모듈(220, 256)을 경유하여 1차 충전유닛으로 피드백 응답한다. 즉,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폴링 검출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제어기는 내부 메모리를 조회하여 충전상태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메모리내에 충전상태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현재의 상태가 대기모드인 것으로 판단하여 1차 충전유닛에 충전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충전시작신호를 응답한다.
2차 충전유닛으로부터 충전시작신호를 피드백 받은 1차 충전유닛의 제어기(155)는 도 3과 같이 대기모드를 충전모드로 전환한다. 즉, 구동 회로(153)를 제어하여 1차 코일에 폭이 w2이고, 주기가 t2인 충전모드 전력 펄스열을 드라이브한다. 여기서, w2는 적어도 w1에 비해서 더 크다.
이에 따라, 2차 코일(210)의 출력단에는 폭이 w2이고, 주기가 t2인 충전모드 전력 펄스열이 유도되고, 이 전력 펄스열을 정류하여 배터리(262)를 충전하게 된다. 배터리의 충전은 공지의 정전류 모드와 정전압 모드를 사용한다.
한편, 2차 코일(210)의 출력단에 폭이 w2이고, 주기가 t2인 충전모드 전력 펄스열이 유도됨에 따라, 폴링 검출기(253)는 각 펄스의 하강 시점을 체킹한다. 이때, 펄스의 하강 시점이 검출되면, 제어기는 미리 모니터링 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충전상태정보(예를 들어, 충전 전압, 충전 전류)를 판독한다. 이렇게 판독된 충전상태정보는 충전송신모듈을 경유하여 1차 충전유닛으로 피드백 응답된다.
2차 충전유닛으로부터 충전상태정보를 피드백 받은 1차 충전유닛의 제어기(155)는 이 충전상태정보를 분석하고, 이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구동회로(153)를 제어함으로써 1차 코일(110)에 인가되는 전력 펄스의 펄스폭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충전상태정보를 분석한 결과, 배터리가 이미 만충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1차 충전유닛의 제어기(155)는 도 3과 같이 충전모드를 완충모드로 전환한다.
즉, 구동 회로를 제어하여 1차 코일에 폭이 w3이고, 주기가 t3인 완충모드 전력 펄스열을 드라이브한다. 여기서, w3는 w2 보다는 작고 w1과 같거나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 모드의 경우에도 펄스의 하강 시점에 충전상태정보가 2차 충전유닛으로부터 1차 충전유닛으로 피드백 되고, 1차 충전유닛의 제어기는 이 충전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완충모드를 계속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충전 모드로 복귀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1차 코일과 2차 코일 사이에 전달되는 전력 신호(전력 펄스열)와 무선송신모듈과 무선수신모듈 사이에 전달되는 통신 신호(피드백 응답 신호)가 서로 시간적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시분할 되어 있다. 즉, 상기 통신 신호는 전력 신호의 하강 시점에 동기되어 전송된다. 따라서, 전력 신호와 통신 신호가 동시에 전달됨으로서 발생하게 되는 신호(특히, 통신 신호)의 간섭현상이나 왜곡 및 희석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충전 모드와 별개로 대기 모드와 완충 모드를 가진다. 따라서, 1차 코일에 의해 외부로 방사되어 소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시킴으로써 기존의 무접점 충전장치에 비해 전력 소모를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충전시스템의 동작 관계를 설명한다.
상용 교류 전원(151)과 같은 외부 전원이 1차 충전유닛에 인가되면(S11), 1 차 충전 유닛의 제어기(155)가 깨어나서(wake-up) 1차 코일(110)을 드라이브한다. 즉, 1차 코일(110)에 도 3의 대기 모드 전력 펄스(펄스폭 변조된 고주파 교류 전압)를 인가하고, 1차 코일은 이에 대응하는 자기장을 형성하여 외부로 방사한다.(S12)
상기 자기장에 의해 2차 코일(210)의 출력단에는 상기 대기모드 전력 펄스에 대응하는 유도 기전력 펄스가 생성된다.(S30) 이 유도기전력 펄스는 배터리를 충전시키기에 그 크기가 미약하기 때문에 2차 충전유닛내의 회로(특히,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전원으로 사용된다. 또한, 2차 충전유닛의 폴링 검출기(253)는 상기 대기모드 전력 펄스의 하강 시점을 체크하여 폴링 타임(falling time)을 검출한다.(S31)
이때, 폴링 타임이 검출되면, 2차 충전유닛의 제어기(255)는 내부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태정보(특히, 충전상태정보)를 판독한다.(S33) 이 상태정보에는 충전전압과 충전전류와 같은 충전상태정보와 제품 코드, 정격과 같은 배터리 사양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단계 S33에서, 메모리내에 충전상태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기(255)는 현재의 동작 상태를 대기 모드로 판단하여 충전시작신호를 생성하고(S36), 이를 무선송신모듈(210, 256)을 통해 1차 충전유닛에 전송한다.(S37)
반면에, 상기 단계 S33에서, 메모리내에 상태정보가 존재하면, 메모리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읽어들이고, 이 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상태 피드백 신호(또는 피드백 응답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무선송신모듈(210, 256)을 통해 1차 충전유닛에 전송한다.(S37)
한편, 1차 충전유닛의 제어기(155)는 2차 충전유닛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3),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커플링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하여 기존의 대기 모드를 그대로 유지한다.(S14)
반면에, 2차 충전유닛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응답을 분석하여 충전시작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5, S16)
이때, 충전시작신호로 판별 되면,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충전 모드로 전환한다.(S17) 반면에, 상기 응답이 충전시작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상태정보를 보다 정밀하게 분석한다.(S18)
상기 단계 S18에서 상태정보를 분석한 결과, 배터리가 만충전 상태로 판별되면, 시스템의 동작모드를 충전모드에서 완충모드로 전환한다.(S20)
반면에, 배터리가 만충전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상태정보에 포함된 충전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충전 전력의 크기를 조절한다. 즉, 1차 코일에 인가되는 고주파 교류 전압 펄스의 펄스폭을 조절한다.(S21)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의 상태정보를 피드백 받아 충전 전력을 조절하기 때문에 2차측에 보다 적합한 전력의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1차측과 2차측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전력 신호와 통신 신호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동기화하고 있기 때문에 신호의 간섭, 왜곡 및 희석화로 인한 문제점을 손쉽게 해결한다.
또한,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충전 모드 이외에 절전형의 대기 모드와 완충 모드로 자유롭게 절환이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전력을 95%까지 절감할 수 있다.

Claims (40)

  1. 유도 결합을 위한 2차 코일, 데이터를 무선 송신하기 위한 무선송신모듈,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조절하는 충전제어회로 및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장치와 무접점으로 결합되는 장치로서,
    상기 2차 코일에 충전 전력을 유도하는 1차 코일;
    상기 무선송신모듈로부터 충전상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모듈;
    상기 1, 2차 코일 사이의 전력 신호와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 사이의 통신 신호가 서로 시간적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1차 코일을 구동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전력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전력은 상용 주파수 이상의 교류 전압을 펄스폭 변조한 전력 펄스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전력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는 상기 전력 펄스의 폴링 타임(Falling time)에 동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전력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충전상태정보를 분석하여 1차 코일을 구동할 전력 펄스의 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전력 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상태정보에는 배터리의 충전 전압, 충전 전류 뿐만 아니라 충전시작신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전력 공급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용 교류 전압을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전력 공급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정류기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상용 주파수(60Hz) 이상의 교류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변환수단;
    상기 교류 전압을 이용하여 1차 코일에 인가할 펄스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폭 변조기;
    상기 충전상태정보를 분석하고, 이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펄스폭 변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전력 공급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수신모듈은
    상기 무선송신모듈로부터 충전상태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상기 충전상태신호로부터 충전상태정보를 복원하기 위한 복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전력 공급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가 상기 1차 코일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전력 공급장치.
  10. 상용 교류전압을 이용하여 상용 주파수 이상의 교류 전압 펄스를 생성하는 충전전력 공급장치로부터 무접점으로 전력을 공급받고, 이 전력을 이용하여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로서,
    상기 충전전력 공급장치의 1차 코일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교류 전압 펄스에 대응하는 유도 기전력 펄스를 생성하는 2차 코일;
    이 유도 기전력 펄스에 근거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킬 정전압과 정전류를 생성하는 충전제어회로;
    상기 유도 기전력 펄스의 폴링 타임(falling time)을 체크하여 폴링이 감지되면, 배터리의 충전상태정보와 같은 피드백 응답 신호를 상기 충전전력 공급장치에 무선으로 피드백하는 피드백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상태정보와 배터리 사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충전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모니터링회로;
    상기 충전상태정보에 근거하여 피드백 응답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충전전력 공급장치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상태정보는 배터리의 충전 전압, 충전 전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어수단은
    폴링 검출시에 상기 메모리에 충전상태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충전 전력의 공급을 요청하는 충전시작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피드백 응답신호로 상기 무선송신모듈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신모듈은
    상기 피드백 응답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기와,
    상기 변조된 피드백 응답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가 상기 2차 코일을 둘러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16. 상용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상용 주파수 이상의 펄스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전력공급장치로부터 무접점으로 충전 전력을 공급받는 배터리 장치로서,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상기 전력공급장치의 1차 코일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에 대응하는 유도 기전력 펄스를 생성하는 2차 코일;
    상기 유도 기전력에 근거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킬 정전압과 정전류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제어회로;
    상기 유도 기전력 펄스의 폴링 타임(falling time)을 검출하는 폴링 검출기;
    배터리의 충전상태정보와 배터리 사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충전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모니터링회로;
    상기 충전상태정보를 변조하여 피드백 응답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전력공급장치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모듈;
    상기 폴링 타임을 검출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충전 상태정보를 읽어들이고, 이 충전상태정보를 상기 무선송신모듈에 전달하는 피드백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과충전이나 과전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상태정보에는 배터리의 충전 전압, 충전 전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어기는
    상기 메모리에 충전상태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충전 전력의 공급을 요청하는 충전시작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신모듈은
    상기 피드백 응답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기와,
    상기 변조된 피드백 응답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가 상기 2차 코일을 둘러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장치.
  23. 1차 코일과 무선수신모듈을 포함하는 제 1 충전 유닛과, 이 1차 코일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2차 코일과 무선송신모듈을 포함하는 제 2 충전 유닛 및 이 제 2 충전 유닛으로부터 충전 전압을 제공받는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서의 배터리 충전방법으로서,
    (A) 폭 W1을 갖는 전력 펄스열을 1차 코일에 인가하는 것에 의해 대응하는 자계를 외부로 방사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코일과 제 2 코일이 자기적으로 결합되었음을 확인하는 충전시작신호를 상기 제 2 충전유닛으로부터 무선으로 응답받는 단계;
    (C) 상기 충전시작신호에 따라 적어도 상기 W1 보다 큰 펄스폭(W2)을 갖는 충전 전력 펄스열을 생성하고, 이를 1차 코일에 인가하는 것에 의해 2차 코일에 대응하는 유도 기전력 펄스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유도 기전력 펄스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E)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정보를 제 2 충전유닛으로부터 피드백 받는 단 계;
    (F) 상기 충전상태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 전력 펄스의 펄스폭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충전유닛으로부터의 무선 피드백 신호는 상기 유도 기전력 펄스의 폴링 타임(falling time)에 동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상기 충전상태정보를 분석한 결과 배터리가 만 충전된 경우,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력 펄스열의 펄스폭(W3)을 상기 W2 보다 작고 상기 W1 보다 크거나 같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W3가 상기 W1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다시
    상기 제 1 코일과 제 2 코일이 자기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제 2 코일로부터 유도 기전력 펄스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유도 기전력 펄스의 폴링 타임(falling time)을 체크하여 메모리로부터 충전상태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메모리에 충전상태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초기 충전으로 판단하여 초기충전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초기충전신호를 무선송신모듈을 경유하여 제 1 충전유닛의 무선수신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방법.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펄스열은 상용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교류 전압을 펄스폭 변조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방법.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상태정보는 적어도 배터리의 충전 전압값 또는 충전 전류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방법.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다시
    상용 교류 전압을 직류로 정류하는 단계;
    정류된 직류를 이용하여 상용 주파수 이상의 교류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교류 전압을 펄스폭 변조하여 폭 W1을 갖는 전력 펄스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력 펄스열을 1차 코일에 인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방법.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다시
    상기 유도 기전력(교류 전압)을 직류로 정류하는 단계;
    정류된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에 충전할 일정한 레벨의 정전압과 정전류를 생성하는 단계;
    배터리 전압이 일정 수준에 도달할때까지 정전류 모드로 배터리를 충전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전압에 도달하면, 충전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정전압 모드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방법.
  3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다시
    2차 코일로부터 유기되는 유도 기전력 펄스의 폴링 타임을 체크하는 단계;
    폴링 타임이 체크되면, 메모리로부터 충전상태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충전상태정보에 근거하여 피드백 응답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무선송신모듈을 통해 제 1 충전유닛의 무선수신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방법.
  32.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다시
    충전상태정보를 분석하여, 배터리의 만충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배터리가 만충전되지 않은 경우, 충전상태에 대응하도록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력 펄스의 펄스폭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방법.
  33. 1차 코일과 무선수신모듈을 포함하는 제 1 충전 유닛과, 이 1차 코일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2차 코일과 무선송신모듈을 포함하는 제 2 충전 유닛 및 이 제 2 충전 유닛으로부터 충전 전압을 제공받는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 유닛은
    상용 교류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용 주파수 이상의 교류 전력 펄스를 생성하고, 이를 1차 코일에 인가하여 상기 2차 코일에 고주파 교류 전압 펄스를 유도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충전유닛은
    상기 2차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교류전압 펄스의 펄스간 유휴 시간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상태정보를 상기 제 1 충전유닛에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이로 인해, 상기 1차 코일과 2차 코일 사이의 전력 신호와 상기 무선송신모듈과 무선수신모듈 사이의 통신 신호가 시간적으로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은
    유도 기전력 펄스의 폴링 타임(falling time)을 검출하고, 폴링 타임의 검출과 동시에 상기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충전유닛의 유도 수단은
    상용 교류 전원을 정류한 직류 전압에 근거하여 상용 주파수 이상의 교류 전압을 생성하는 수단과,
    이 상용 주파수 이상의 교류 전압을 이용하여 펄스폭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충전유닛은
    상기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펄스폭을 조절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상태정보에는 배터리의 충전 전압, 충전 전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38.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충전유닛은
    상기 2차 코일로부터 생성되는 유도 기전력 펄스의 폴링 타임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폴링 타임의 검출에 따라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를 추출하고, 이 충전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충전유닛의 무선수신모듈에 송신할 피드백 응답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충전 유닛은
    상기 2차 코일로부터 생성되는 유도 기전력을 직류로 정류하는 수단과;
    상기 정류된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에 공급할 정전압 및 정전류를 생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충전 유닛은
    배터리의 충전 전압과 충전 전류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충전 전압과 충전 전류를 저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KR1020050069962A 2005-07-30 2005-07-30 충전전력 공급장치, 충전 장치, 배터리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Active KR100792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962A KR100792311B1 (ko) 2005-07-30 2005-07-30 충전전력 공급장치, 충전 장치, 배터리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CNA2006800279846A CN101233666A (zh) 2005-07-30 2006-07-10 对可再充电电池单元进行充电的可再充电电源、电池装置、非接触式充电器系统及方法
JP2008523791A JP4956539B2 (ja) 2005-07-30 2006-07-10 無接点充電方法及び無接点充電システム
PCT/KR2006/002695 WO2007015599A1 (en) 2005-07-30 2006-07-10 Rechargeable power supply, battery device, contactless charger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rechargeable battery cell
US11/997,401 US8129942B2 (en) 2005-07-30 2006-07-10 Contactless charging method for charging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962A KR100792311B1 (ko) 2005-07-30 2005-07-30 충전전력 공급장치, 충전 장치, 배터리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264A KR20070015264A (ko) 2007-02-02
KR100792311B1 true KR100792311B1 (ko) 2008-01-07

Family

ID=3770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962A Active KR100792311B1 (ko) 2005-07-30 2005-07-30 충전전력 공급장치, 충전 장치, 배터리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29942B2 (ko)
JP (1) JP4956539B2 (ko)
KR (1) KR100792311B1 (ko)
CN (1) CN101233666A (ko)
WO (1) WO2007015599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156B1 (ko) * 2009-04-08 2011-09-07 주식회사 와이즈파워 무접점 충전제어장치 및 충전제어방법
KR101136532B1 (ko) * 2009-09-15 2012-04-17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무접점 충전 장치, 무접점 충전 배터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KR101145682B1 (ko) * 2009-06-12 2012-05-24 정춘길 차량용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충전 제어 방법
WO2013006004A3 (ko) * 2011-07-07 2013-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의 통신 및 전력 제어 방법
WO2019135590A1 (ko) * 2018-01-02 2019-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 장치
KR20190109568A (ko) * 2017-04-07 2019-09-25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
KR20190126870A (ko) * 2017-04-07 2019-11-12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충전 시스템,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
KR20190127886A (ko) * 2017-04-07 2019-11-13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충전 장치, 방법 및 충전 대상 기기
US11050303B2 (en) 2011-05-17 2021-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47234B2 (en) 2006-01-18 2013-05-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powering an electronic device via a wireless link
US9130602B2 (en) 2006-01-18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energy to an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 via a wireless link
US20080103572A1 (en) 2006-10-31 2008-05-01 Medtronic, Inc. Implantable medical lead with threaded fixation
US9774086B2 (en) 2007-03-02 2017-09-26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apparatus and methods
US8482157B2 (en) 2007-03-02 2013-07-09 Qualcomm Incorporated Increasing the Q factor of a resonator
KR100903461B1 (ko) * 2007-04-20 2009-06-1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무 접점 충전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충전 세트
KR100903464B1 (ko) * 2007-04-25 2009-06-1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무접점 충전 배터리 및 이를구비한 배터리 충전 세트
KR100903463B1 (ko) * 2007-04-25 2009-06-1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무 접점 충전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세트
US9124120B2 (en) 2007-06-11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system and proximity effects
KR100819753B1 (ko) * 2007-07-13 2008-04-08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배터리팩 솔루션을 위한 무접점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9027781A (ja) * 2007-07-17 2009-02-05 Seiko Epson Corp 受電制御装置、受電装置、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充電制御装置、バッテリ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090033564A1 (en) * 2007-08-02 2009-02-05 Nigel Power, Llc Deployable Antennas for Wireless Power
US8922160B2 (en) * 2007-08-21 2014-12-30 Kabushiki Kaisha Toshiba Non-contact type power receiving apparatus, electronic equipment and charging system using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KR100954247B1 (ko) * 2007-09-07 2010-04-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범용 무접점 충전 패드
KR100955896B1 (ko) * 2007-09-11 2010-05-0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무선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디바이스거치대
JP2010539821A (ja) 2007-09-13 2010-12-16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レス電力磁気共振器から生じた電力を最大にすること
JP2010539857A (ja) 2007-09-17 2010-12-16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レスエネルギー伝送のための送信機および受信機
CN103904787B (zh) 2007-10-11 2017-06-06 高通股份有限公司 使用磁机械系统的无线功率转移
US8228025B2 (en) * 2007-11-09 2012-07-24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Electronic control method for a planar inductive battery charging apparatus
US8574079B2 (en) * 2007-11-13 2013-11-05 Spielo International Canada, Ulc Wireless wagering system
WO2009065419A1 (en) * 2007-11-20 2009-05-28 Nokia Corporation Wireless galvanic charging device,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to be charged
EP2083496A3 (en) * 2008-01-28 2013-01-09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Charging system
KR100976161B1 (ko) 2008-02-20 2010-08-16 정춘길 무접점충전시스템 및 그의 충전제어방법
US8855554B2 (en) * 2008-03-05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Packaging and details of a wireless power device
KR20100130215A (ko) 2008-03-17 2010-12-10 파우워매트 엘티디. 유도송전장치
US8629576B2 (en) 2008-03-28 2014-01-14 Qualcomm Incorporated Tuning and gain control in electro-magnetic power systems
JP5484686B2 (ja) * 2008-03-31 2014-05-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充電器、及び電子機器充電システム
JP5247215B2 (ja) * 2008-04-04 2013-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09126963A2 (en) * 2008-04-11 2009-10-15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Power control duty cycle throttling scheme for plana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EP2277252A4 (en) 2008-04-21 2017-04-26 Qualcomm Incorporated Short range efficient wireless power transfer
US9130407B2 (en) 2008-05-13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charging in wireless power environment
US8878393B2 (en) 2008-05-13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fer for vehicles
US8981598B2 (en) 2008-07-02 2015-03-17 Powermat Technologies Ltd. Energy efficient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11979201B2 (en) 2008-07-02 2024-05-07 Powermat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coded communication signals regulating inductive power transmissions
US8278784B2 (en) * 2008-07-28 2012-10-0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or electronic devices
CN102124624B (zh) * 2008-08-18 2014-02-26 Nxp股份有限公司 控制充电垫系统的移动设备
US9473209B2 (en) * 2008-08-20 2016-10-18 Intel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10026549A2 (en) 2008-09-05 2010-03-11 Nxp B.V. Power supply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unit
JP5238420B2 (ja) * 2008-09-11 2013-07-17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ワイヤレス充電システム
US8234509B2 (en) * 2008-09-26 2012-07-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power supply device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US8643326B2 (en) 2008-09-27 2014-02-04 Witricity Corporation Tunable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EP3127742B1 (en) 2008-10-09 2021-03-2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with non-contact power reception device
CN103522902B (zh) * 2008-10-09 2019-05-0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非接触受电装置及具有该非接触受电装置的车辆
KR100976164B1 (ko) * 2008-11-14 2010-08-16 정춘길 무선통신용 모듈이 구비된 무선전력충전스테이션
US8929957B2 (en) * 2008-11-21 2015-01-06 Qualcomm Incorporated Reduced jamming between receivers and wireless power transmitters
JP5426149B2 (ja) * 2008-11-28 2014-02-26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装置
CN102405579B (zh) 2008-12-12 2015-05-13 翰林Postech株式会社 非接触受电设备
EP2426808B1 (en) 2008-12-12 2013-06-05 Hanrim Postech Co., Ltd.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N102356530B (zh) 2009-01-06 2014-06-25 捷通国际有限公司 感应电源
CN101783944B (zh) * 2009-01-14 2012-05-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无线影像及电能传输装置及方法
KR101510760B1 (ko) * 2009-01-19 2015-04-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497658B2 (en) 2009-01-22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power control for wireless charging of devices
US9130394B2 (en) * 2009-02-05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for charging devices
US20100201312A1 (en) * 2009-02-10 2010-08-1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fer for portable enclosures
US9312924B2 (en) 2009-02-10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multi-dimensional wireless charging
US8854224B2 (en) 2009-02-10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Conveying device information relating to wireless charging
CN102007018A (zh) * 2009-02-19 2011-04-06 野中刚 信息输出设备
TWI403105B (zh) * 2009-02-27 2013-07-21 Hon Hai Prec Ind Co Ltd 無線影像及電能傳輸裝置及方法
JP5597022B2 (ja) 2009-05-13 2014-10-01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制御方法
JP5603647B2 (ja) 2009-05-13 2014-10-08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給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給電通信システム
DE102009022886A1 (de) * 2009-05-27 2010-12-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mechanischen und elektrischen Anbindung eines tragbaren, batteriebetriebenen Geräts und tragbares, batteriebetriebenes Gerät
US8655272B2 (en) * 2009-07-07 2014-02-18 Nokia Corporation Wireless charging coil filtering
CN201510739U (zh) * 2009-07-16 2010-06-23 深圳市三子科技有限公司 可无线充电的游戏装置组合
USD611898S1 (en) 2009-07-17 2010-03-16 Lin Wei Yang Induction charger
JP2011030318A (ja) * 2009-07-23 2011-02-10 Sony Corp 非接触給電装置、非接触受電装置、非接触給電装置における優先度表示方法および非接触受電装置における優先度表示方法
JP2011035964A (ja) * 2009-07-30 2011-02-17 Olympus Imaging Corp 充電装置及び充電システム
USD611899S1 (en) 2009-07-31 2010-03-16 Lin Wei Yang Induction charger
USD611900S1 (en) 2009-07-31 2010-03-16 Lin Wei Yang Induction charger
US8629574B2 (en) * 2009-08-18 2014-01-1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Ballast for fluorescent emergency lighting
CN102005784A (zh) * 2009-09-02 2011-04-06 北京华旗资讯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系统
US8290463B2 (en) 2009-09-14 2012-10-16 ConvenientPower HK Ltd. Universal demodulation and modulation for data communication in wireless power transfer
FI20095973A0 (fi) 2009-09-22 2009-09-22 Powerkiss Oy Induktiivinen tehonsyöttö
KR20110042403A (ko) * 2009-10-19 2011-04-27 김현민 전기자동차용 무선충전 시스템 및 그충전방법
KR101097263B1 (ko) * 2009-12-28 2011-1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의 충전 제어방법
WO2011084942A2 (en) * 2010-01-05 2011-07-14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Integrated wireless power system
JP5463932B2 (ja) 2010-01-26 2014-04-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10103295A (ko) * 2010-03-12 2011-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KR20110103605A (ko) * 2010-03-15 2011-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기에 의해 충전 가능한 3d 안경 및 그 원격 제어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US8791665B2 (en) * 2010-04-08 2014-07-29 Qualcomm Incorporated Energy storage device security
EP2577836A4 (en) * 2010-06-03 2016-04-20 Powerkiss Oy INDUCTIVE LOADING
JP5728831B2 (ja) * 2010-06-03 2015-06-0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充電装置
WO2011156768A2 (en) 2010-06-11 2011-12-15 Mojo Mobility, Inc.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fer that supports interoperability, and multi-pole magnets for use therewith
IT1400748B1 (it) 2010-06-30 2013-07-02 St Microelectronics Srl Apparato per il trasferimento wireless di energia fra due dispositivi e contemporaneo trasferimento di dati.
EP2589130B1 (en) 2010-07-02 2016-04-27 Koninklijke Philips N.V. Inductive power supply system
JP5532483B2 (ja) * 2010-08-04 2014-06-25 岩崎通信機株式会社 近接給電・通信装置
CN102377205B (zh) * 2010-08-27 2013-10-23 王开 一种采用非接触式能量转移方式的电池充电管理系统
JP5527848B2 (ja) * 2010-09-27 2014-06-25 岩崎通信機株式会社 近接給電・通信装置
CN105553118B (zh) * 2010-10-01 2018-06-29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供电装置和汽车
CN102035265B (zh) * 2010-12-06 2013-11-20 南京科孚纳米技术有限公司 电容器储能电池无线充电系统
CN102593927A (zh) * 2011-01-11 2012-07-18 上海泰莱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磁共振技术的风光互补充电装置
KR101373769B1 (ko) 2011-02-15 2014-03-1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고효율 가변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267076B1 (ko) 2011-03-24 2013-05-24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전력 전송 어셈블리에서의 전력 제어 방법 및 무선 전력 전송 어셈블리
US9520226B2 (en) * 2011-04-08 2016-12-13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Counter wound inductive power supply
KR101399958B1 (ko) * 2011-05-09 2014-05-28 김창호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8601B1 (ko) * 2011-06-01 2019-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467441Y1 (ko) * 2011-07-06 2013-06-14 성부현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WO2013012111A1 (ko) * 2011-07-20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신호를 이용한 양방향 통신
JP2013023077A (ja) * 2011-07-21 2013-02-04 Koito Mfg Co Ltd 車両用ランプの給電装置
CN103814559B (zh) 2011-07-21 2017-06-09 Lg电子株式会社 通过无线电力信号的无线电力接收器、发射器以及控制方法
EP2750259A4 (en) * 2011-08-26 2015-07-29 Panasonic Ip Man Co Ltd LOADING DEVICE ON BOARD VEHICLE
KR101580342B1 (ko) * 2011-08-29 2015-12-24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US20130057079A1 (en) * 2011-09-07 201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102012213263A1 (de) * 2011-09-20 2013-03-21 Robert Bosch Gmbh Handwerkzeugvorrichtung mit zumindest einer Ladespule
WO2013061402A1 (ja) * 2011-10-25 2013-05-02 住友電装株式会社 車両用充電装置
KR101327081B1 (ko) 2011-11-04 2013-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060516B2 (ja) * 2011-11-30 2017-01-18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給電システム
US20130158726A1 (en) 2011-12-20 2013-06-20 Kohler Co.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network to control multiple power management systems
US9281716B2 (en) * 2011-12-20 2016-03-08 Kohler Co. Generator controller configured for preventing automatic transfer switch from supplying power to the selected load
JP5857861B2 (ja) * 2011-12-21 2016-02-10 ソニー株式会社 給電装置、給電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JP6047911B2 (ja) * 2011-12-22 2016-12-2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給電システム
KR101968596B1 (ko) * 2012-01-04 2019-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
KR101142388B1 (ko) 2012-01-11 2012-05-18 전자부품연구원 자기공진유도 방식 기반 충전기기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FR2987475B1 (fr) * 2012-02-24 2016-07-08 Stmicroelectronics Rousset Recharge d'un dispositif nfc
JP2013191913A (ja) * 2012-03-12 2013-09-26 Renesas Electronics Corp ワイヤレス充電回路、ワイヤレス充電システム及び半導体装置
US9054747B2 (en) * 2012-03-26 2015-06-09 Lg Innotek Co., Ltd. Mobile terminal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DE102012207586A1 (de) * 2012-05-08 2013-11-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Ladevorrichtung für ein tragbares Gerät in einem Kraftfahrzeug
TWI545866B (zh) * 2012-05-25 2016-08-11 三營超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無線充電系統
JP5847651B2 (ja) * 2012-06-01 2016-01-27 株式会社東芝 受電装置および送受電システム
CN103457362B (zh) * 2012-06-04 2016-02-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无线充电的发送装置、无线充电系统及无线充电控制方法
US9673509B2 (en) * 2012-07-18 2017-06-06 Amotech Co., Ltd. Antenna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same
AU2013308541B2 (en) 2012-08-31 2016-05-05 Alfred E. Mann Foundation For Scientific Research Feedback controlled coil driver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US9419457B2 (en) 2012-09-04 2016-08-1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device with enhanced battery capacity savings
US20160197494A1 (en) 2012-09-05 2016-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excluding cross-connecte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31780A (ko) * 2012-09-05 2014-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교차 연결된 무선 전력 수신기를 배제하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JP6104539B2 (ja) * 2012-09-06 2017-03-2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接触充電システム
CN102871663A (zh) * 2012-09-24 2013-01-16 中山大学 一种灵长类动物生理信号采集系统
US9356461B2 (en) * 2012-09-25 2016-05-3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rapid wireless charging where the low state of charge (SOC) temperature dependent charging current and low SOC temperature limit are higher than the high SOC temperature dependent charging current and high SOC temperature limit
JP6185228B2 (ja) * 2012-10-16 2017-08-23 ローム株式会社 受電制御回路、ワイヤレス受電装置の制御方法、電子機器
CN102983613A (zh) * 2012-11-30 2013-03-20 邹小兰 一种无线充电装置
CN104885298B (zh) * 2012-12-12 2017-12-26 Ls电线有限公司 无线电力用天线以及具备该无线电力用天线的双模天线
KR101965451B1 (ko) * 2012-12-12 2019-04-0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무선전력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중모드 안테나
CN103094962A (zh) * 2013-01-10 2013-05-08 李鹏 一种用于无线充电的移动电源及无线充电系统
CN103117603A (zh) * 2013-02-28 2013-05-22 深圳市永兴辉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无线麦克风充电的无线充电平台
US20150087228A1 (en) * 2013-03-12 2015-03-26 Shahar Porat Coexistence between nfc and wct
KR102124444B1 (ko) 2013-03-13 2020-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접촉 ic 카드 리더의 동작 방법, 비접촉 ic 카드 리더의 탐지 회로, 이를 포함하는 비접촉 ic 카드 리더 및 카드 시스템
US9491706B2 (en) 2013-03-13 2016-11-08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Reduced-power transmitting from a communications device
WO2014146016A2 (en) 2013-03-15 2014-09-18 Alfred E. Mann Foundation For Scientific Research Current sensing multiple output current stimulators with fast turn on time
WO2014146019A2 (en) 2013-03-15 2014-09-18 Alfred E. Mann Foundation For Scientific Research High voltage monitoring successive approximatio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KR102044807B1 (ko) * 2013-03-18 2019-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제어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JPWO2014147736A1 (ja) * 2013-03-19 2017-02-1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電力伝送装置
TWI538344B (zh) * 2013-04-12 2016-06-11 亞旭電腦股份有限公司 可無線充電的電子裝置
CN103236567B (zh) * 2013-04-18 2016-05-04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无线充电的方法、装置及系统
JP6702856B2 (ja) 2013-05-03 2020-06-03 アルフレッド イー. マン ファウンデーション フォー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サーチ 埋め込み型デバイス用高信頼性ワイヤ溶接
CA2910984C (en) 2013-05-03 2024-04-02 Alfred E. Mann Foundation For Scientific Research Implant recharger handshaking system and method
US9433779B2 (en) 2013-05-03 2016-09-06 Alfred E. Mann Foundation For Scientific Research Multi-branch stimulation electrode for subcutaneous field stimulation
US9369001B2 (en) * 2013-05-16 2016-06-14 Delphi Technologies, Inc. Magnetic field detection apparatus for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9301259B2 (en) 2013-06-05 2016-03-29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evice charging information
KR101459922B1 (ko) * 2013-06-26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 기능을 가지는 차량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
US9601267B2 (en) 2013-07-03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th a plurality of magnetic oscillators
KR102107768B1 (ko) * 2013-07-24 2020-05-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조 전원을 내장한 무선 충전 장치와 보조 전원 장치
AU2014296322B2 (en) 2013-07-29 2020-01-16 Alfred E. Mann Foundation For Scientific Research High efficiency magnetic link for implantable devices
CA2919462C (en) 2013-07-29 2018-03-06 Alfred E. Mann Foundation For Scientific Research Implant charging field control through radio link
CN105263571B (zh) 2013-07-29 2017-06-09 艾尔弗雷德·E·曼科学研究基金会 微处理器控制的e类驱动器
TWI528679B (zh) * 2013-08-30 2016-04-01 凌通科技股份有限公司 無線充電電路及其狀態異常保護電路
JP6227359B2 (ja) * 2013-10-01 2017-11-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受電装置、通信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給電装置
CN104578437A (zh) * 2013-10-18 2015-04-29 宁夏先锋软件有限公司 一种无线供电式的电子时钟
US9596653B2 (en) 2013-12-16 2017-03-1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Remedying power drain via a coverage map
CN103746463A (zh) * 2013-12-27 2014-04-23 广西科技大学 一种万用表无线供电装置
CN103683438B (zh) * 2014-01-06 2016-03-30 武汉大学 应用于植入式心脏起搏器的功率可调式无线充电装置
WO2015123619A2 (en) * 2014-02-14 2015-08-20 Yani Deros Modular electronics system with interfacing interchangeable components
CN103944284A (zh) * 2014-04-30 2014-07-23 向学位 磁谐振耦合无线电能传输系统的实现方法
US20150318895A1 (en) * 2014-05-05 2015-11-05 Shangri-la Management S.L. Wireless Power Transfer Via Data Signal
PL3557719T3 (pl) * 2014-05-13 2022-11-21 Fontem Holdings 4 B.V. Układ do indukcyjnego ładowania baterii papierosów elektronicznych
PL3143677T3 (pl) 2014-05-13 2020-08-10 Fontem Holdings 4 B.V. Charakterystyka i inteligentne ładowanie papierosów elektronicznych
CN103970295A (zh) * 2014-05-15 2014-08-06 中科融通物联科技无锡有限公司 无线电源供电的鼠标
US9865897B2 (en) 2014-06-02 2018-01-09 Google Llc Stacked electrochemical cell with increased energy density
US10566843B2 (en) * 2014-07-15 2020-02-18 Qorvo Us, Inc. Wireless charging circuit
US9570926B2 (en) * 2014-07-23 2017-02-1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etermining a re-configuration of a wireless surface with a multi-coil system
US9438293B2 (en) 2014-08-05 2016-09-0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Tunable circuit elements for dynamic, per element power
CA2957967C (en) 2014-08-15 2018-11-27 Axonics Modulati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eurostimulation electrode configurations based on neural localization
EP3180072B1 (en) 2014-08-15 2018-11-28 Axonics Modulation Technologies Inc. Electromyographic lead positioning and stimulation titration in a nerve stimulation system for treatment of overactive bladder
US10092762B2 (en) 2014-08-15 2018-10-09 Axonics Modulation Technologies, Inc. Integrated electromyographic clinician programmer for use with an implantable neurostimulator
CN107148294B (zh) 2014-08-15 2021-08-24 艾克索尼克斯股份有限公司 用于试验神经刺激的外部脉冲发生器设备和相关联方法
US10682521B2 (en) 2014-08-15 2020-06-16 Axonics Modulation Technologies, Inc. Attachment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with a nerve stimulation charging device
ES2867298T3 (es) 2014-08-15 2021-10-20 Axonics Modulation Tech Inc Estructura implantable de fijación de derivación para estimulación nerviosa destinada a aliviar disfunción vesical y otras indicaciones
KR101530491B1 (ko) * 2014-08-18 2015-06-2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칩 간 무선 전송을 위한 무선 칩
JP6448774B2 (ja) * 2014-09-03 2019-01-0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ワイヤレス誘導電力伝送
US9472965B2 (en) 2014-09-08 2016-10-18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cycle life through smart overnight charging
US10559970B2 (en) 2014-09-16 2020-02-11 Qorvo Us, Inc.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power control
WO2016112401A1 (en) 2015-01-09 2016-07-14 Axonics Modulation Technologies, Inc. Attachment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with a nerve stimulation charging device
JP6791857B2 (ja) 2015-01-09 2020-11-25 アクソニクス モジュレーショ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埋込可能神経刺激装置のための改良されたアンテナおよび使用方法
JP6805153B2 (ja) 2015-01-09 2020-12-23 アクソニクス モジュレーショ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患者遠隔装置および関連付けられた神経刺激システムとの使用の方法
US10063065B2 (en) 2015-01-13 2018-08-28 Samsung Electro-Mechancie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er
CN104753149A (zh) * 2015-03-06 2015-07-01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风光发电的无线充电装置
US11631997B2 (en) * 2015-04-06 2023-04-1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noncontact power supply device
JP6547402B2 (ja) * 2015-05-13 2019-07-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電子機器及び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
SE538687C2 (sv) 2015-06-08 2016-10-18 Nok9 Ab A testing device for wireless power transfer, and an associated method
US20160365742A1 (en) * 2015-06-12 2016-12-15 Fiber Fix Usa, Llc Portable back-up battery pack
CN110101968B (zh) 2015-07-10 2023-09-08 艾克索尼克斯股份有限公司 具有无asic的内部电子设备的可植入神经刺激器以及使用方法
KR102514140B1 (ko) * 2015-08-12 2023-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팬 제어 방법
KR102408846B1 (ko) 2015-10-07 202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9517338B1 (en) 2016-01-19 2016-12-13 Axonics Modulation Technologies, Inc. Multichannel clip device and methods of use
US10195423B2 (en) 2016-01-19 2019-02-05 Axonics Modulation Technologies, Inc. Multichannel clip device and methods of use
CN108697886B (zh) 2016-01-29 2022-11-08 艾克索尼克斯股份有限公司 用于频率调整以优化可植入神经刺激器的充电的方法和系统
CA3014195A1 (en) 2016-02-12 2017-08-17 Axonics Modulation Technologies, Inc. External pulse generator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for trial nerve stimulation
JP6665568B2 (ja) * 2016-02-12 2020-03-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受電装置、電子機器、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電力供給方法
KR101635084B1 (ko) * 2016-03-31 2016-06-30 주식회사 핀크래프트엔지니어링 전압 및 전류 제어를 통한 멀티 충전이 가능한 충전 장치
DE102016209871A1 (de) 2016-06-06 2017-12-07 Robert Bosch Gmbh Stanz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anzen eines Lumens und Implantieren einer Implantateinrichtung
CN106059108B (zh) * 2016-07-21 2018-07-27 宁波力芯科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效率高的自适应无线充电系统
CN106218429B (zh) * 2016-08-03 2019-02-01 中国地质大学(武汉) 超导发射型电动车无线充电系统
RU2662802C1 (ru) * 2017-02-07 2018-07-31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Центр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Лазурит" Аппаратно-батарейный комплекс подводного аппарата
JP6997522B2 (ja) * 2017-02-27 2022-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電子機器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JP6680243B2 (ja) * 2017-03-02 2020-04-15 オムロン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EP3755418B1 (en) 2018-02-22 2023-06-21 Axonics, Inc. Neurostimulation leads for trial nerve stimulation
TWI645648B (zh) * 2018-04-03 2018-12-21 群光電能科技股份有限公司 充電裝置與應用於充電裝置之適應性分頻控制方法
KR102184049B1 (ko) * 2018-04-16 2020-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전력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중모드 안테나
KR102183887B1 (ko) * 2018-04-16 2020-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전력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중모드 안테나
DE102018206725A1 (de) * 2018-05-02 2019-11-07 Kardion Gmbh Empfangseinheit, Sendeeinheit, Energieübertragungssystem und Verfahren zur drahtlosen Energieübertragung
DE102018206750A1 (de) 2018-05-02 2019-11-07 Kardion Gmbh Vorrichtung zur induktiven Energieübertragung in einen menschlichen Körper und deren Verwendung
DE102018206754A1 (de) 2018-05-02 2019-11-07 Kardio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r Temperatur an einer Oberfläche sowie Verwendung des Verfahrens
DE102018206731A1 (de) 2018-05-02 2019-11-07 Kardion Gmbh Vorrichtung zur induktiven Energieübertragung in einen menschlichen Körper und Verwendung der Vorrichtung
US10622828B2 (en) * 2018-06-25 2020-04-14 Hades-Gaming Corporation Intelligent wireless power-supplying mouse pad
TW202026824A (zh) * 2019-01-07 2020-07-16 哈帝斯科技股份有限公司 可無線充電之滑鼠墊結構與製程
US11642537B2 (en) 2019-03-11 2023-05-09 Axonics, Inc. Charging device with off-center coil
US11439829B2 (en) 2019-05-24 2022-09-13 Axonics, Inc. Clinician programmer methods and systems for maintaining target operating temperatures
US11848090B2 (en) 2019-05-24 2023-12-19 Axonics, Inc. Trainer for a neurostimulator programmer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with a neurostimulation system
CN112332506A (zh) * 2019-07-18 2021-02-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无线发射装置的无线充电方法和无线发射装置
CN110649688B (zh) * 2019-10-21 2023-03-14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基于电池温度检测的无线充电控制系统及方法
CN115191071A (zh) 2020-03-13 2022-10-14 Abb电网电子公司 无线供电设备、无线受电设备、无线功率传输系统及其制造方法
CN111884349B (zh) * 2020-07-01 2023-08-08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支持无线充电的物联网消防装置及其电量估算与管理方法
CN112721671B (zh) * 2021-01-15 2022-10-25 四川电力设计咨询有限责任公司 电场耦合式无线充电系统原、副边电路及充电方法
GB2621980B (en) * 2022-08-23 2025-04-30 Dyson Technology Ltd Battery charger and method of charging a battery
KR20250064541A (ko) 2023-11-02 2025-05-09 백종호 휴대용 기기에 탈부착 가능한 무선 전원 공급 팬 마운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9344A (ja) * 2001-01-12 2002-07-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非接触電力伝送装置
KR20040028312A (ko) * 2002-09-30 2004-04-03 한국과학기술원 유도 결합에 의한 비접촉식 충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3037A (ja) * 1995-10-05 1997-04-15 Nippon Ido Tsushin Kk 給電装置、被給電装置および給電システム
KR20000010733A (ko) * 1996-05-03 2000-02-25 존 에이 컬노우한 유도전원 전지 충전기
GB2314470A (en) 1996-06-18 1997-12-24 Tien Chung Lung Battery charging arrangement with inductively coupled charging device and rechargeable battery device
JP3911111B2 (ja) * 2000-01-28 2007-05-09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WO2002007596A1 (en) 2000-07-21 2002-01-31 Medtronic, Inc. Measurement and communication of body parameters
KR100363439B1 (ko) 2000-09-28 2002-12-05 서경종 무접점 타입 충전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이동 전화단말기용 핸드프리키트
KR20020035242A (ko) 2000-11-06 2002-05-11 조규형 유도 결합에 의한 휴대 이동 장치용 축전지의 비접촉식충전 장치
KR100566220B1 (ko) * 2001-01-05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접점 배터리 충전기
KR20020057469A (ko) 2001-01-05 2002-07-11 윤종용 코어 없는 초박형 프린트회로기판 변압기 및 그프린트회로기판 변압기를 이용한 무접점 배터리 충전기
JP2002315209A (ja) * 2001-04-09 2002-10-25 Terumo Corp 植え込み型充電式医療装置用充電器及びシステム
KR100548119B1 (ko) * 2001-07-27 2006-02-02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용융 금속의 측온 장치와 측온 방법
KR100428713B1 (ko) 2001-12-03 2004-04-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접촉식 자기유도를 이용한 충전과 신호의 송수신이가능한 무선 단말기 및 핸즈프리 기능을 구비한 무선단말기 충전장치
US6906495B2 (en) 2002-05-13 2005-06-14 Splashpower Limited Contact-less power transfer
US6844702B2 (en) 2002-05-16 2005-01-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ct-less battery charging with dynamic control
KR100505484B1 (ko) 2003-04-04 2005-08-05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배터리 정보 처리 장치가 삽입된 무접점 충전 배터리팩
JP2004328916A (ja) 2003-04-25 2004-11-18 Fuji Photo Film Co Ltd 充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9344A (ja) * 2001-01-12 2002-07-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非接触電力伝送装置
KR20040028312A (ko) * 2002-09-30 2004-04-03 한국과학기술원 유도 결합에 의한 비접촉식 충전 시스템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156B1 (ko) * 2009-04-08 2011-09-07 주식회사 와이즈파워 무접점 충전제어장치 및 충전제어방법
KR101145682B1 (ko) * 2009-06-12 2012-05-24 정춘길 차량용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충전 제어 방법
KR101136532B1 (ko) * 2009-09-15 2012-04-17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무접점 충전 장치, 무접점 충전 배터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US11056932B2 (en) 2011-05-17 2021-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US11050303B2 (en) 2011-05-17 2021-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3006004A3 (ko) * 2011-07-07 2013-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의 통신 및 전력 제어 방법
KR102264015B1 (ko) * 2017-04-07 2021-06-11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충전 시스템,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
US11355963B2 (en) 2017-04-07 2022-06-0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evice to-be-charge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KR20190128685A (ko) * 2017-04-07 2019-11-1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
KR102222153B1 (ko) * 2017-04-07 2021-03-03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
KR102243241B1 (ko) * 2017-04-07 2021-04-22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충전 장치, 방법 및 충전 대상 기기
US10998751B2 (en) 2017-04-07 2021-05-0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harging system, wireless charging device,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device to be charged
KR20190126870A (ko) * 2017-04-07 2019-11-12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충전 시스템,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
KR102268987B1 (ko) * 2017-04-07 2021-06-24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
KR20190109568A (ko) * 2017-04-07 2019-09-25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
US11539219B2 (en) 2017-04-07 2022-12-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and device to be charged
US11075542B2 (en) 2017-04-07 2021-07-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evice to-be-charge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11201509B2 (en) 2017-04-07 2021-12-1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device to-be-charged
US11233423B2 (en) 2017-04-07 2022-01-2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evice to-be-charge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KR20190127886A (ko) * 2017-04-07 2019-11-13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충전 장치, 방법 및 충전 대상 기기
US11368050B2 (en) 2017-04-07 2022-06-2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method, and device to-be-charged
US11394250B2 (en) 2017-04-07 2022-07-1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device to be charged
US11437865B2 (en) 2017-04-07 2022-09-0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harging system,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device to-be-charged
US11437848B2 (en) 2017-04-07 2022-09-0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device to-be-charged,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US11411415B2 (en) 2018-01-02 2022-08-09 Lg Electronics Inc. Charging apparatus for a cleaner
WO2019135590A1 (ko) * 2018-01-02 2019-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04117A (ja) 2009-01-29
CN101233666A (zh) 2008-07-30
US20080211455A1 (en) 2008-09-04
JP4956539B2 (ja) 2012-06-20
WO2007015599A1 (en) 2007-02-08
US8129942B2 (en) 2012-03-06
KR20070015264A (ko) 200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2311B1 (ko) 충전전력 공급장치, 충전 장치, 배터리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KR100792308B1 (ko) 코일 어레이를 구비한 무접점 충전장치, 무접점 충전시스템 및 충전 방법
US11303135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excluding cross-connecte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695691B2 (ja) 無接点充電バッテリー及び充電器、これらを含むバッテリー充電セット、並びに充電制御方法
US10587123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excluding cross-connecte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566220B1 (ko) 무접점 배터리 충전기
KR101211535B1 (ko) 무선 충전용 전력 수신기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200415537Y1 (ko) 유선 충전부를 구비하는 무접점 충전장치
KR101318688B1 (ko) 무선 충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326661A1 (en) Contact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contactless charging system
WO2008133388A1 (en) Contactless rechargeable battery capable of lessening power loss and battery charging set having the same
JP6192028B2 (ja) 非接触充電システム
KR20140087612A (ko)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20100012944A (ko) 전력 송출 장치와 이를 이용한 비접촉 무선 전원 공급시스템 및 그 방법
JP6116832B2 (ja) 非接触充電システム
KR101063156B1 (ko) 무접점 충전제어장치 및 충전제어방법
KR20120009960A (ko) 무선 전력 통신 시스템,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무선 전력 공급기 및 수신기
KR20080095645A (ko) 무 접점 충전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세트
KR101034740B1 (ko)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74719A (ko) 충전 회로부와 코일부가 분리된 무접점 충전장치
KR101261338B1 (ko) 무접점 및 접점 겸용 충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989310B2 (ja) パック電池とパック電池及び電気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3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31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