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06662A - Ofdm수신장치 및 ofdm수신방법 - Google Patents

Ofdm수신장치 및 ofdm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662A
KR20070006662A KR1020067004597A KR20067004597A KR20070006662A KR 20070006662 A KR20070006662 A KR 20070006662A KR 1020067004597 A KR1020067004597 A KR 1020067004597A KR 20067004597 A KR20067004597 A KR 20067004597A KR 20070006662 A KR20070006662 A KR 20070006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ath
interpolation
carrier
signa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야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6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66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159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frequency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8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with direct estimation from sounding signals
    • H04L25/023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with direct estimation from sounding signals with extension to other symbols
    • H04L25/0232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with direct estimation from sounding signals with extension to other symbols by interpolation between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1Equal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49Demodulators
    • H04L27/265Fourier transform demodulators, e.g. fast Fourier transform [FFT] or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de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35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 H04L2025/03375Passband transmission
    • H04L2025/03414Multi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송로특성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파일럿신호를 전송하는 OFDM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는 OFDM수신장치로서,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와 상기 파일럿신호 사이의 연산에 의해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을 산출하고, 상기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에 대해, 서로 특성이 다른 복수의 필터에 의한 보간을 실시하며, 상기 복수의 필터 각각에 의해 얻어진 보간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보간 후 전송로특성을 출력하는 전송로특성 추정부와, 상기 복수의 보간 후 전송로특성에 의해, 상기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에 대해 파형등화를 행하고, 상기 복수의 보간 후 전송로특성 각각에 대응한 파형등화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복조신호를 출력하는 등화부와, 상기 복수의 복조신호 중에서 품질이 가장 양호한 것을 판정하여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복조신호 중에서 1가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부를 구비한다.
심벌보간부, 광대역필터, 협대역필터, 캐리어보간부

Description

OFDM수신장치 및 OFDM수신방법{OFDM RECEIVER APPARATUS AND OFDM RECEIVING METHOD}
본 발명은, 직교주파수 분할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변조되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럽 및 일본에서의 지상 디지털방송, 그리고 무선LAN 등의 전송방식으로 OFDM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OFDM방식은, 서로 직교하는 복수의 캐리어(carrier)에 데이터를 할당시켜 변복조를 행하는 전송방식으로, 송신측에서는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를 행하며, 수신측에서는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를 행한다. 각 캐리어에는 임의의 변조방식을 이용하기가 가능하며, QPSK(Quaternary Phase Shift Keying),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직교진폭변조) 등의 변조방식도 선택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런데 지상 디지털방송을 수신하는 장치에서는, 수신된 OFDM신호 중에 삽입돼있는 파일럿신호에 기초하여 전송로의 주파수특성(전송로특성)을 추정하고, 추정한 전송로특성을 이용하여 파형 등화를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전송로특성의 추정 및 파형 등화에 관한 기술의 예가,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돼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FFT회로에 의해 주파수영역의 신호로 변환된 OFDM신호로부터 수신 파일럿신호를 분리하고, 이미 알고 있는 파일럿신호로 이를 나눔으로써, 수신 파일럿신호를 전송하는 캐리어의 전송로특성을 구한다. 또 이 전송로특성을 심벌 필터에 의해 시간방향으로 평활화, 즉 심벌간의 보간처리를 한 후, 보간회로에서 캐리어간의 보간처리를 하여 전송로특성(H)(l, kd)을 구하고, 이 전송로특성(H)(l, kd)으로 수신데이터신호(Y)(l, kd)를 나눔으로써, 등화 후의 데이터(X)(l, kd)를 얻는다.
이와 같이 필터에 의해 심벌간이나 캐리어간의 보간을 행하여 전송로특성을 추정할 경우에는, 추정된 전송로특성에 잡음이 중첩된다. 이 잡음의 전력(잡음전력)은, 캐리어간의 보간을 행하기 위해 이용하는 필터의 통과대역폭을 넓히면 커지고, 통과대역폭을 좁히면 작아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잡음의 영향을 배제하여 전송로특성의 추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필터의 통과대역폭을 좁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런데 유럽 및 일본의 지상 디지털TV방송의 전송규격에서는, 보호구간 (guard interval) 길이로서, Tu/4, Tu/8, Tu/16, Tu/32(Tu:유효 심벌기간 길이)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하여 OFDM신호가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수신기측에서는, 이 보호구간 길이에 따라, 배제 가능한 멀티패스 방해의 지연시간이 정해진다. 예를 들어 보호구간 길이가 Tu/4일 경우에는, 주파(主波)에 대한 지연시간이 최대 Tu/4까지의 지연파 영향을 배제하고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멀티패스의 영향을 배 제하여 전송로특성의 추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필터의 통과대역폭을 넓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보간회로에서는, 수신한 OFDM신호로부터 보호구간 길이를 판정하고, 이 보호구간 길이의 판정경과에 기초하여, 보간회로에서 캐리어간의 보간을 행하는 필터(이하, "캐리어필터"로 칭함)의 계수를 제어하여, 이 필터의 통과대역폭을 절환하도록 한다. 즉, 보호구간이 길 경우에는 통과대역폭이 넓어지도록 필터계수를 설정하도록 하고, 보호구간이 짧을 경우에는 통과대역폭이 좁아지도록 필터계수를 설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 보간회로에서는, 보호구간 길이에 맞추어 보간용 필터의 대역폭을 절환함으로써, 추정한 전송로특성에 중첩되는 잡음성분의 억압, 저감을 행하도록 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특개평 11-163822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상과 같이 하여, 보호구간 길이에 기초하여 캐리어필터의 통과대역폭을 제어하면, 보호구간 길이가 Tu/4인 OFDM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는, 전송로의 추정 시에 가장 넓은 통과대역폭을 갖는 캐리어필터가 사용되게 된다. 이 때, 캐리어필터에 의한 잡음성분의 억압, 저감효과는 최소한으로 돼버리게 되어, 전송로특성의 추정 정밀도가 크게 열화된다.
또 예를 들어 보호구간 길이가 Tu/8인 OFDM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는, 지연시간이 Tu/8을 초과하는 지연파가 존재하면, 지연시간이 필터의 통과대역폭(Tu/8)을 초과하므로, 전송로특성의 추정이 불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구해진 전송로특성의 추정 정밀도가 낮을 경우에는, 복조를 정확하게 행할 수 없어, OFDM신호의 수신성능이 크게 열화되게 된다.
본 발명은 OFDM신호의 수신 시에 있어서 전송로특성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진폭 및 위상을 이미 알고있는 파일럿신호를 전송하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는 OFDM수신장치로서, 상기 수신된 OFDM신호에 기초하여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을 산출하고, 상기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에 대해, 서로 특성이 다른 복수의 필터에 의한 보간을 행함으로써 복수의 보간 후 전송로특성을 구하며, 구해진 복수의 보간 후 전송로특성 중, 품질이 좋은 복조신호가 얻어지는 전송로특성을 이용하여 복조신호를 구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진폭 및 위상을 이미 알고있는 파일럿신호를 전송하는 OFDM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는 OFDM수신장치이며, 상기 수신된 OFDM신호가 푸리에변환 되어 얻어진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와 상기 파일럿신호 사이의 연산에 의해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을 산출하고, 상기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에 대해, 서로 특성이 다른 복수의 필터에 의한 보간을 행하며, 상기 복수의 필터 각각에 의해 얻어진 보간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보간 후 전송로특성을 출력하는 전송로특성 추정부와, 상기 복수의 보간 후 전송로특성에 의해, 상기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에 대해 파형등화를 행하고, 상기 복수의 보간 후 전송로특성 각각에 대응한 파형등화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복조신호를 출력하는 등화부와, 상기 복수의 복조신호 중에서, 품질이 가장 양호한 것을 판정하고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복조신호 중에서 1가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특성이 다른 복수의 필터 각각으로부터 얻어지는 전송로특성 중, 품질이 높은 복조신호를 얻을 수 있는 전송로특성을 알 수 있다. 즉, 전송로특성의 추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어, 품질이 높은 복조신호를 얻을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OFDM신호의 수신 시에 있어서, 수신신호에 잡음 방해나 멀티패스 방해가 존재하는 경우라도, 보호구간 길이에 의존하는 일없이, 방해 상황에 따라 전송로특성의 추정 정밀도나 복조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OFDM수신장치 등에서의 수신성능 향상을 도모하기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OFDM 수신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OFDM 복조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의 OFDM 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OFDM 신호의, 파일럿신호 배치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도 2의 심벌보간부에 의해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전송로특성이 얻어지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도 2의 광대역필터 및 협대역필터에 의해 캐리어방향으로 보간된 전송로특성이 얻어지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
도 6의 (a), (b)는, 가우스잡음 방해환경 하에서의, 광대역필터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 및 협대역필터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을 각각 나타내는 도.
도 7의 (a), (b)는, 멀티패스 방해환경 하에서의, 광대역필터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 및 협대역필터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을 각각 나타내는 도.
도 8은 도 1의 품질검출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OFDM 복조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OFDM 복조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OFDM 복조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OFDM 복조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3은, 수신한 OFDM신호에 잡음이 중첩돼있을 경우에, 이 OFDM신호의 파일 럿 캐리어에 대한 전송로특성 크기 LEFT | HP RIGHT |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4는 도 12의 IFFT부에서 얻어지는 임펄스응답의 레벨을 나타내는 도.
도 15의 (a), (b)는, 잡음성분 제거 전후의 임펄스응답을 각각 나타내는 도.
도 16은 도 12의 FFT부에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을 나타내는 도.
도 17은 도 12의 잡음제거부에서 얻어진 전송로특성 HP`를 나타내는 도.
도 18은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OFDM복조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부호의 설명*
16, 17, 17A, 17B, 416, 417, 516, 517 : 지연부
19, 319, 419, 519 : 선택부 20, 220, 320 : 전송로특성 추정부
40, 42 : 심벌보간부 43, 51, 351 : 광대역필터
44, 52, 352 : 협대역필터 50, 53, 54, 350, 453 : 캐리어보간부
60, 360, 460 : 등화부 70, 670 : 잡음제거부
71, 671 : IFFT부 72, 672 : 영 치환부
73, 673 : FFT부 74, 674 : 단부 치환부
80, 380, 480 : 판정부 81, 82, 82A, 82B : 품질검출부
83, 383 : 비교부 463 : 제산부
583 : 차이검출부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OFDM 수신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의 OFDM 수신장치(100)는, 튜너(3)와, OFDM복조부(4)와, 오류정정부(5)와, 정보원 복호부(6)와, 출력부(7)를 구비한다.
도 1에서, 안테나(1)로 수신된 신호는 OFDM 수신장치(100) 내의 튜너(3)에 공급된다. 튜너(3)는, 공급되는 수신신호에 대해, 원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OFDM신호의 추출, RF(Radio Frequency: 무선주파수) 대역으로부터 IF(Intermediate Frequency: 중간주파수) 대역으로의 주파수변환, 게인 조정 등을 하여, 그 처리결과를 OFDM복조부(4)로 출력한다. OFDM복조부(4)는, 튜너부(3)로부터 공급된 신호(DI)를 전송로의 주파수특성(전송로특성)에 기초하여 복조하고, 복조결과(DO)를 오류정정부(5)로 출력한다.
오류정정부(5)는 OFDM복조부(4)의 복조결과(DO)로부터, 전송된 디지털데이터를 복원하여, 전송로에서 부가된 외란 등에 기인하는 전송오류를 비터비복호, 리드솔로몬복호 등으로 정정하고, 그 결과를 정보원 복호부(6)로 출력한다. 정보원 복호부(6)는, 오류정정부(5)의 출력을 영상, 음성 등의 데이터로 분리한 후, 분리 후의 데이터에 데이터신장처리를 실시하여 출력부(7)로 출력한다. 출력부(7)는, 정보원 복호부(6)의 출력 중, 영상정보를 CRT(Cathode Ray Tube: 음극선관) 등에 표시하고 음성정보를 스피커 등으로부터 출력함으로써,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또 출력부(7)는, 정보원 복호부의 출력을 외부기기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OFDM복조부의 여러 가지 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OFDM복조부(4)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OFDM복조부(4)는, 직교검파부(11)와, FFT부(12)와, 전송로특성 추정부(20)와, 등화부(60)와, 판정부(80)와, 지연부(16, 17)와, 선택부(19)를 구비한다.
직교검파부(11)는, 직교 검파함으로써 도 1의 튜너(3) 출력을 IF대역 신호로부터 기저대역(이하, 베이스밴드로 칭함) 신호로 주파수 변환시켜, FFT부(12)로 출력한다. 이 때, 실수신호인 튜너(3)의 출력은, I(In Phase: 동위상)축성분과 Q(Quadrature Phase: 직교위상)축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복소신호로 변환된다.
FFT부(12)는, 직교검파부(11)의 출력을 시간영역의 OFDM신호로부터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로 변환하고, 얻어진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Y)를 전송로특성 추정부(20) 및 등화부(60)로 출력한다. FFT부(12)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Y)는, OFDM신호 각 캐리어(반송파)의 위상과 진폭을 나타내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I축 방향의 레벨과 Q축 방향의 레벨을 독자적으로 갖는 복소신호의 형태로 표시된다.
전송로특성 추정부(20)는, 서로 특성이 다른 복수의 필터를 보간을 위해 이용하여, 수신한 OFDM신호가 전송된 전송로의 주파수특성(전송로특성)을 복수 추정하는 것이며, 전송로특성 산출부(30)와, 심벌보간부(42)와, 캐리어보간부(50)를 구비한다.
전송로특성 산출부(30)는, 파일럿신호 추출부(31)와, 제산부(32)와, 파일럿신호 발생부(33)를 갖는다. 캐리어보간부(50)는, 캐리어 보간필터로서 광대역필터(51)와, 협대역필터(52)를 갖는다. 등화부(60)는 제산부(61, 62)를 구비하며, 판정부(80)는 품질검출부(81, 82)와 비교부(83)를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관한 OFDM복조부(4)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OFDM수신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OFDM신호에서의, 파일럿신호의 배치 포맷 일례를 나타내는 예이다. 도 3은, 구체적으로는 유럽의 지상 디지털방송방식(DVB-T)이나 일본의 지상디지털방송방식(ISDB-T) 등의 파일럿신호 배치 포맷이다.
도 3에서 가로축(주파수축)의 k는 캐리어의 색인을 나타내며, 세로축(시간축)의 l은 심벌의 색인을 나타낸다. 또 검은 점은 파일럿신호(SP(Scattered Pilot: 분산 파일럿))이며, 흰 점은 제어정보나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신호(D)이다. 여기서 제어정보란, DVB-T에서의 TPS(Transmission Parameter Signaling)나, ISDB-T에서의 TMCC(Transmission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이며, 부가정보란, ISDB-T에서의 AC(Auxiliary Channel)이다.
도 3에서 검은 점으로 표시된 파일럿신호는, 각각의 심벌에 12 캐리어마다 배치되며, 심벌마다 3 캐리어씩 시프트된다. 또 파일럿신호는 의사랜덤부호 계열에 기초하여 변조되며, 그 진폭 및 위상은, 배치될 캐리어의 색인(k)에 의해서만 결정되며, 심벌의 색인(l)에는 의존하지 않는다.
파일럿신호 추출부(31)는, FFT부(12)에서 공급되는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로부터, 이 중에 포함되는 파일럿신호를 추출하여 제산부(32)로 출력한다. 파일럿신호 발생부(33)는, 파일럿신호 추출부(31)로부터 제산부(32)로 공급되는 파일럿신호에 대응하는, 그 진폭 및 위상을 이미 알고있는 소정의 파일럿신호(ISDB-T 및 DVB-T에서의 SP신호)를 발생시켜, 제산부(32)로 출력한다.
제산부(32)는, 파일럿신호 발생부(33)로부터 공급되는 파일럿신호로, 파일럿신호 추출부(31)로부터 공급되는 파일럿신호를 나누고, 파일럿신호를 전송하는 캐리어(이하에서는, 파일럿캐리어로 칭함)에 대한 전송로의 주파수특성, 즉 전송로특성(HP)을 산출하여, 이를 심벌보간부(42)로 출력한다. 이 전송로특성(HP)은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으로서, 도 3의 파일럿신호(SP) 삽입위치에 대해 얻어진다.
심벌보간부(42)는, 제산부(32)로부터 공급되는 전송로특성(HP)에 대해, 심벌방향(시간축방향)의 필터링(대역제한)을 함으로써 심벌간을 보간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전송로특성(HS)을 광대역필터(51) 및 협대역필터(52)로 출력한다.
도 4는 도 2의 심벌보간부(42)에 의해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전송로특성이 얻어지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와 같이, 보간된 전송로특성(HS)은 기호(CT)의 위치에 대해 얻어진다.
캐리어보간부(50)의 광대역필터(51)와 협대역필터(52)는, 서로 특성이 다르다. 광대역필터(51) 및 협대역필터(52)는, 심벌보간부(42)로부터 공급되는 전송로특성(HS)에 대해, 캐리어방향(주파수축 방향)의 필터링(대역제한)을 함으로써 캐리어(반송파)간의 보간을 각각 행한다. 광대역필터(51)는 얻어진 전송로특성(HCW)을 제산부(61)로 출력하며, 협대역필터(52)는 얻어진 전송로특성(HCN)을 제산부(62)로 출력한다.
도 5는 도 2의 광대역필터(51) 및 협대역필터(52)에 의해 캐리어방향으로 보간된 전송로특성이 얻어지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와 같이, 보간된 전송로특성(HCW, HCN)은 모두 기호(CF)의 위치에 대해 얻어진다.
광대역필터(51) 및 협대역필터(52)는, FIR필터로 구성된다. 단, 양자의 특성, 즉 통과대역은 서로 다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대역필터(51)의 통과대역폭을 Tu/4로 하고, 협대역필터(52)의 통과대역폭을 Tu/8로 한다.
도 6의 (a), (b)는, 가우스잡음(이하에서는, 단순하게 잡음으로 칭함) 방해환경 하에서의, 광대역필터(51)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 및 협대역필터(52)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을 각각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의 (a), (b)는, 세로축을 신호의 레벨(신호의 전력), 가로축을 시간축으로 하며, 광대역필터(51) 및 협대역필터(52) 각각을 통과하는 전송로특성 및 잡음을 시간축 응답으로 변환하여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송로특성은 피크를 갖는 형상인데 반해, 이에 중첩되는 잡음은 바닥에 평탄하게 분포된다. 또 광대역필터(51)를 통과하는 잡음의 양에 비해, 협대역필터(52)를 통과하는 잡음의 양은 적다. 따라서 잡음방해가 존재하는 환경 하에서 OFDM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는, 광대역필터(51)에 비해 협대역필터(52) 쪽이, 추정 정밀도가 보다 높은 전송로특성이 얻어진다.
도 7의 (a), (b)는, 멀티패스방해 환경 하에서의, 광대역필터(51)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 및 협대역필터(52)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을 각각 나타내는 도이 다. 도 7의 (a), (b)도, 세로축을 신호의 레벨, 가로축을 시간축으로 하며, 광대역필터(51) 및 협대역필터(52) 각각을 통과하는 전송로특성을 시간축 응답으로 변환하여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파에 대한 지연파의 지연시간이 협대역필터(52)의 통과대역폭(Tu/8)을 초과하는 등의 경우에는, 주파 및 지연파의 전송로특성은 모두 광대역필터(51)를 통과할 수 있지만, 협대역필터(52)에서는 저지돼버려, 함께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필터의 통과대역폭을 통과하는 지연시간이 긴 지연파가 발생하는 멀티패스 방해 환경 하에서 OFDM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는, 광대역필터(51) 쪽이, 협대역필터(52)보다 추정 정밀도가 높은 전송로특성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잡음이나 멀티패스 등의 방해요인에 의해, 광대역필터(51) 및 협대역필터(52) 각각에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HCW, HCN)에는 추정 정밀도에 차이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제산부(61)는, FFT부(12)로부터 공급되는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Y)를 전송로특성(HCW)으로 나누고, 얻어진 복조신호(XCW)를 지연부(16) 및 품질검출부(81)로 출력한다. 제산부(62)는, FFT부(12)로부터 공급되는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Y)를 전송로특성(HCN)으로 나누고, 얻어진 복조신호(XCN)를 지연부(17) 및 품질검출부(82)로 출력한다. 즉, 제산부(61, 62)는,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Y)의 파형 등화를 행하여, 전송로에서 발생한 멀티패스에 의한 파형왜곡을 보상한다.
여기서 캐리어보간부(50)에서 얻어지는 2가지의 전송로특성(HCW 및 HCN)은 방해(잡음, 멀티패스)의 상황에 따라 추정 정밀도가 다르므로, 이들의 전송로특성 에 기초하여 제산부(61, 62) 각각에서 얻어지는 복조신호(XCW 및 XCN)도 역시 방해 상황에 따라 그 품질이 다른 것이 된다.
판정부(80)는, 제산부(61, 62) 각각으로부터 공급되는 복조신호(XCW 및 XCN) 중, 품질이 높은 쪽(품질이 양호한 쪽)을 판정한다. 판정부(80)에 대하여 설명한다. 품질검출부(81)는, 복조신호(XCW)의 품질값(QCW)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비교부(83)로 출력한다. 품질검출부(82)는 복조신호(XCN)의 품질값(QCN)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비교부(83)로 출력한다. 비교부(83)는, 품질값(QCW)과 품질값(QCN)을 비교하여 품질이 높은 쪽을 판정하고, 판정결과를 선택부(19)로 출력한다.
도 8은 도 1의 품질검출부(81)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품질검출부(81)는, 경판정(HARD DECISION)부(86)와, 신호점간 거리산출부(87)와, 평균산출부(88)를 구비한다. 품질검출부(82)는 품질검출부(8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경판정부(86)는, 복조신호(XCW) 캐리어의 I-Q평면상의 신호점에 대해, 그곳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이상(理想)신호점을 판정하여, 이를 이상신호로서 신호점간 거리산출부(87)로 출력한다. 신호점간 거리산출부(87)는, 경판정부(86)로부터 출력된 이상신호와, 복조신호(XCW)에 기초하여, 신호점간 거리를 캐리어별로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신호점간거리 산출부(87)는, 이상신호가 나타내는 I-Q평면상의 이상신호점과, 복조신호가 나타내는 I-Q평면상의 신호점에 관해, I축 성분 차분값의 제곱과, Q축성분 차분값의 제곱을 산출하고 이들의 합을 신호점간 거리로서 산 출하여 평균산출부(88)로 출력한다.
평균산출부(88)는, 신호점간 거리산출부(87)에서 캐리어별로 얻어지는 신호점간 거리에 대해, 복수의 캐리어에 걸쳐 평균값을 산출한다. 이 평균값을 산출하는 기간으로는, 1심벌 내로 해도 되며, 복수의 심벌에 걸치는 기간으로 해도 된다. 산출기간이 길수록 복조신호의 품질 검출 정밀도가 높아진다. 반대로 산출기간을 짧게 하면, 판정부(80)에서 판정결과가 얻어질 때까지의 시간이 짧아지는 점에서, 지연부(16 및 17) 지연기의 하드웨어 양이 적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정부(80)에 의하면, 방해의 상황에 따라 품질이 다른 2가지의 복조신호(XCW 및 XCN)로부터 각 신호의 품질값(QCW 및 QCN)을 산출하고, 산출된 품질값(QCW 및 QCN)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보다 품질이 높은 복조신호를 판정할 수 있다.
지연부(16 및 17)는, 복조신호(XCW, XCN)를 각각 지연시켜 선택부(19)로 출력한다. 선택부(19)는 판정부(80)로부터 출력된 판정결과에 따라 복조신호(XCW 및 XCN)로부터 품질이 양호한 것을 1가지 선택하여, 선택결과를 복조신호(DO)로서 오류정정부(5)로 출력한다.
여기서 지연부(16 및 17)는, 예를 들어 판정부(80)에서의 품질값의 검출, 비교, 판정에 요하는 시간만큼, 복조신호(XCW, XCN)를 각각 지연시킨다. 그리하면 복조신호(XCW, XCN)가 선택부(19)에 입력되는 타이밍과, 이들 복조신호에 대해 판정부(80)에서 행해진 판정결과가 선택부(19)에 입력되는 타이밍과의 차가 없어진다. 이로써, 방해 상황이 변화하는 등에 의해, 캐리어보간부(50)로부터 출력되는 2 가 지 전송로특성(HCW, HCN)의 추정 정밀도 상황이 변화할 경우라도, OFDM복조부(4)는, 이 변화에 신속하게 추종하여 적절한 복조신호(DO)를 출력할 수 있다.
또, 지연부(16 및 17)를 구비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지연부(16, 17)에 드는 회로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캐리어보간부(50)는, 2종류의 필터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설명을 했지만, 더 많은 종류의 필터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도 각 필터에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에 의한 파형등화를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복조신호 중에서, 가장 품질이 높은 복조신호를 선택하도록 하면 된다. 방해 상황에 따라 보다 유연하게 복조신호의 품질 정밀도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OFDM수신장치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캐리어보간부(50)는, 통과대역(통과대역폭)이 다른 복수의 필터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설명을 했지만, 이 대신에 통과대역폭은 동일하지만 통과대역을 서로 어긋나게 한(통과대역의 중심위치를 서로 어긋나게 한) 필터를 복수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통과대역폭 Tu/4의 필터를 2개 구비하여, 한쪽은 통과대역을 0에서 Tu/4인 것(중심위치는 Tu/2)으로 하고, 다른 쪽은 통과대역을 -Tu/8에서 +Tu/8인 것(중심위치는 0)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다양한 지연시간을 갖는 멀티패스 방해의 상황 하에서도 보다 유연하게 복조신호의 품질 정밀도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OFDM수신장치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통과대역폭이 다르고 또 이들의 통과대역을 어긋나게 한(통과대역의 중심위치를 서로 어긋나게 한) 필터를 복수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OFDM수신장치는, 수신한 OFDM신호의 복조 시에, 특성(통과대역)이 다른 복수의 필터 각각에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에 기초하여 파형등화를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복수의 복조신호 중에서 가장 양호한 품질의 것을 판정, 선택하도록 한다. 이로써, 보호구간 길이에 의존하는 일없이, 가우스잡음 방해 및 멀티패스 방해 모두 받을 가능성이 있는 상황 하에서도, OFDM수신장치의 수신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OFDM복조부(204)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1의 OFDM수신장치에 있어서 OFDM복조부(4) 대신에 OFDM복조부(204)를 이용한다. 도 9의 OFDM복조부(204)는 도 2의 OFDM복조부(4)에 있어서 전송로특성 추정부(20) 대신에 전송로특성 추정부(220)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 밖의 구성요소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전송로특성 추정부(220)는, 전송로특성 산출부(30)와, 심벌보간부(40)와, 캐리어보간부(53, 54)를 갖는다. 전송로특성 산출부(3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심벌보간부(40)는, 서로 특성이 다른 광대역필터(43)와 협대역필터(44)를 구비한다. 이들 필터는 통과대역이 서로 다르다. 광대역필터(43) 및 협대역필터(44)는, 제산부(32)로부터 공급되는 전송로특성(HP)에 심벌방향의 필터링을 함으로써 심벌간의 보간을 각각 행한다. 광대역필터(43)는 얻어진 전송로특성(HSW)을 캐리어 보간부(53)로 출력하며, 협대역필터(44)는 얻어진 전송로특성(HSN)을 캐리어보간부(54)로 출력한다. 보간된 전송로특성(HSW, HSN)은, 도 4의 기호(CT) 위치에 대해 얻어진다.
여기서 광대역필터(43) 및 협대역필터(44)는 모두 FIR필터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광대역필터(43)는 1차 보간필터로서 구성되며, 협대역필터(44)는 0차 보간필터로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대역필터(43)는, 4심벌마다 얻어지는 파일럿신호에 대응하는 전송로특성(HP)에 기초하여, 심벌의 타이밍에 따라 직선적으로 보간을 행한다. 이동수신 시 등의 전송로특성의 시간적 변동이 클 경우(페이딩 방해 시)에는 전송로특성에 관한 비교적 높은 추정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기는 하지만, 잡음의 억압효과가 비교적 낮으므로, 잡음방해 시에는 추정 정밀도가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협대역필터(44)는, 수신한 심벌의 전후 심벌에 삽입된 파일럿신호에 대응하는 전송로특성(HP)의 평균값으로 보간처리를 하는 것이며, 그 통과대역폭은 광대역필터(43)보다 좁아진다. 따라서 페이딩방해 시 등의 전송로특성의 시간적 변동이 클 경우에는 전송로특성에 관한 추정 정밀도가 열화되지만, 잡음의 억압효과가 비교적 높으므로, 잡음방해 시에는 비교적 높은 추정 정밀도가 확보된다.
이와 같이 잡음이나 페이딩 등의 방해요인에 의해, 광대역필터(43) 및 협대역필터(44) 각각에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HSW 및 HSN)에는 추정 정밀도에 차이가 생길 경우가 있다.
캐리어보간부(53)는, 전송로특성(HSW)에 대한 캐리어간의 보간을 행하여, 얻어진 보간 후의 전송로특성(HCW)을 제산부(61)로 출력한다. 캐리어보간부(54)는, 전송로특성(HSN)에 대한 캐리어간의 보간을 행하여, 얻어진 보간 후의 전송로특성(HCN)을 제산부(62)로 출력한다.
전송로특성 추정부(220)에서 얻어지는 2가지의 전송로특성(HCW 및 HCN)은, 방해(잡음, 페이딩)의 상황에 따라 추정 정밀도가 다르므로, 이들의 전송로특성에 기초하여 등화부(60)에서 얻어지는 복조신호(XCW 및 XCN)도 역시, 방해의 상황에 따라 그 품질이 다른 것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도, 방해의 상황에 따라 품질이 다른 2가지 복조신호(XCW 및 XCN)로부터 각 신호의 품질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품질값에 기초하여, 보다 품질이 높은 복조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심벌보간부(40)는, 2종류의 필터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더 많은 종류의 필터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도 각 필터에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에 의한 파형등화처리를 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복조신호 중에서, 가장 품질이 높은 복조신호를 선택하도록 하면 된다. 방해상황에 따라 보다 유연하게 복조신호의 품질 정밀도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OFDM수신장치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OFDM복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의 OFDM복조부(304)는, 도 9의 OFDM복조부(204)에서의 전송로특성 추정부(220), 등화부(60), 판정부(80), 지연부(17) 및 선택부(19) 대신, 전송로특성 추정부(320), 등화부(360), 판정부(380), 지연부(17A) 및 선택부(319)를 각각 구비하며, 지연부(17B)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다.
전송로특성 추정부(320)는, 전송로특성 추정부(220)에 있어서 캐리어보간부(54) 대신에 캐리어보간부(350)를 구비하는 것이다. 캐리어보간부(350)는 캐리어보간 필터로서, 광대역필터(351)와 협대역필터(352)를 갖는다. 광대역필터(351)와 협대역필터(352)는, 도 2의 광대역필터(51) 및 협대역필터(52)와 각각 마찬가지의 것이다. 등화부(360)는, 제산부(61, 62A, 62B)를 구비한다. 판정부(380)는 품질검출부(81, 82A, 82B)와 비교부(383)를 구비한다.
광대역필터(351) 및 협대역필터(352)는, 심벌보간부(40)로부터 공급되는 전송로특성(HSN)에 대해, 캐리어방향의 필터링을 함으로써 캐리어간의 보간을 각각 행한다. 광대역필터(351)는, 얻어진 전송로특성(HCW1)을 제산부(62A)로 출력하며, 협대역필터(352)는, 얻어진 전송로특성(HCN1)을 제산부(62B)로 출력한다.
제산부(62A)는, FFT부(12)로부터 공급되는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Y)를 전송로특성(HCW1)으로 나누고, 얻어진 복조신호(XCN1)를 지연부(17A) 및 품질검출부(82A)로 출력한다. 제산부(62B)는, FFT부(12)로부터 공급되는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Y)를 전송로특성(HCN1)으로 나누고, 얻어진 복조신호(XCN2)를 지연부(17B) 및 품질검출부(82B)로 출력한다.
품질검출부(82A)는, 복조신호(XCN1)의 품질값(QCN1)을 검출하여, 검출결과를 비교부(383)로 출력한다. 품질검출부(82B)는 복조신호(XCN2)의 품질값(QCN2)을 검출하여, 검출결과를 비교부(383)로 출력한다. 비교부(383)는, 품질값(QCW, QCN1 및 QCN2) 사이에서 비교를 하여 가장 품질이 높은 것을 판정하고, 판정결과를 선택부(319)로 출력한다.
지연부(17A 및 17B)는, 지연부(16)와 마찬가지의 것이며, 복조신호(XCN1, XCN2)를 각각 지연시켜 선택부(319)로 출력한다. 선택부(319)는 판정부(380)로부터 출력된 판정결과에 따라 복조신호(XCW, XCN1 및 XCN2)로부터 품질이 가장 양호한 것을 1가지 선택하여, 선택결과를 복조신호(DO)로서 오류정정부(5)로 출력한다.
도 10의 OFDM복조부(304)에 의하면, 보다 많은 복조신호로부터 잡음방해, 멀티패스 방해, 페이딩 방해 등의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수신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OFDM복조부(204)의 캐리어보간부(53, 54) 및 도 10의 OFDM복조부(304)의 캐리어보간부(53) 필터가, 모두 광대역필터(351)와 동일 특성인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경우이며, 수신신호에 잡음방해만이 존재하는 등의 경우에, OFDM복조부(304)는 중첩되는 잡음의 양이 다른 전송로특성(HCW, HCN, HCW1)의 어느 것보다 적은 전송로특성(HCN1)을 얻을 수 있으므로, OFDM복조부(204)에 비해, 잡음방해 환경 하에서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10의 OFDM복조부에서 캐리어보간부(53) 대신에 캐리어보간부(350)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즉, 4가지 전송로특성을 산출하고, 각 전송로특성에 기초하여 파형등화를 하여 4가지 복조신호를 구해, 그 중에서 가장 품질이 높은 복조신호를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제 3 실시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OFDM복조부(404)의 구성예를 나타 내는 블록도이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도 1의 OFDM수신장치에 있어서 OFDM복조부(4) 대신에 OFDM복조부(404)를 이용한다.
도 11의 OFDM복조부(404)는 직교검파부(11)와, FFT부(12)와, 전송로특성 산출부(30)와, 심벌보간부(40)와, 등화부(460)와, 판정부(480)와, 지연부(416, 417)와 선택부(419)와, 캐리어보간부(453)와, 제산부(463)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등화부(460)는, 제산부(461, 462)를 구비한다. 제산부(461)는, FFT부(12)로부터 공급되는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Y)를, 광대역필터(43)로부터 출력된 전송로특성(HSW)으로 나누고, 얻어진 복조신호(XSW)를 품질검출부(481)로 출력한다. 제산부(462)는, FFT부(12)로부터 공급되는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Y)를, 협대역필터로부터 출력된 전송로특성(HSN)으로 나누고, 얻어진 복조신호(XSN)를 품질검출부(482)로 출력한다.
심벌보간부(40)에서 얻어지는 2가지 전송로특성(HSW 및 HSN)은 방해(잡음, 페이딩)의 상황에 따라 추정 정밀도가 다르므로, 이들 전송로특성에 기초하여 제산부(461, 462) 각각에서 얻어지는 복조신호(XSW 및 XSN)도 역시, 방해 상황에 따라 그 품질이 다른 것이 된다. 여기서, 심벌보간부(40)에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HSW 및 HSN)은 도 4에서 파일럿신호가 전송되는 캐리어의 기호(CT)로 나타내진 위치에 대해 얻어지는 것이며, 등화부(460)에서 얻어지는 복조신호(XSW 및 XSN)도 역시, 이들과 동일한 위치에 대해 얻어지는 것이다.
판정부(480)는, 품질검출부(481, 482)와 비교부(483)를 구비한다. 이들의 구성요소는 도 2의 판정부(80)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판정부(480)는, 복조신호(XSW 및 XSN) 중 품질이 높은 쪽(품질이 양호한 쪽)을 판정한다. 품질검출부(481)는, 복조신호(XSW)의 품질값(QSW)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비교부(483)로 출력한다. 품질검출부(482)는 복조신호(XSN)의 품질값(QSN)을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비교부(483)로 출력한다. 비교부(483)는, 품질값(QSW)과 품질값(QSN)을 비교하여 품질이 높은 쪽을 판정하고, 판정결과를 선택부(419)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판정부(480)에 의하면, 방해의 상황에 따라 품질이 다른 2가지 복조신호(XSW 및 XSN)로부터 각 신호의 품질값(QSW 및 QSN)을 산출하고, 산출된 품질값(QSW 및 QSN)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보다 추정 정밀도가 높은 전송로특성을 판정할 수 있다.
지연부(416 및 417)는, 전송로특성(HSW 및 HSN)을 각각 지연시켜 선택부(419)로 출력한다. 선택부(419)는 판정부(480)로부터 출력된 판정결과에 따라 전송로특성(HSW 및 HSN) 중에서 품질이 양호한 것을 1가지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로특성(HS)을 캐리어보간부(453)로 출력한다.
여기서 지연부(416 및 417)는, 예를 들어 등화부(460) 및 판정부(480)에서의 처리에 요하는 시간만큼, 전송로특성(HSW 및 HSN)을 각각 지연시킨다. 그리하면 전송로특성(HSW 및 HSN)이 선택부(419)에 입력되는 타이밍과, 이들 전송로특성에 대해 판정부(480)에서 행해진 판정결과가 선택부(419)에 입력되는 타이밍과의 차가 없어진다. 이로써, 심벌보간부(40)로부터 출력되는 2가지 전송로특성(HSW, HSN)의 추정 정밀도 상황이 변화할 경우라도, OFDM복조부(404)는, 이 변화에 신속하게 추종할 수 있다.
또, 지연부(416 및 417)를 구비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지연부(416, 417)에 드는 회로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캐리어보간부(453)는 선택부(419)에서 선택된 전송로특성(HS)에 대해 캐리어방향의 필터링을 함으로써 캐리어간의 보간처리를 한다. 캐리어보간부(453)는, 보간된 전송로특성(HC)을 제산부(463)로 출력한다. 도 5와 같이, 보간된 전송로특성(HC)는 기호(CF)의 위치에 대해 얻어진다.
제산부(463)는, FFT부(12)로부터 공급되는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Y)를 전송로특성(HC)으로 나누고, 얻어진 복조신호(DO)를 출력한다. 즉, 제산부(463)는, 주파수영역 OFDM신호(Y)의 파형등화를 행하여, 전송로에서 발생한 멀티패스에 의한 파형왜곡을 보상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캐리어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으로부터 적절한 것을 선택하므로, 판정부에서의 연산량을 억제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OFDM복조부(504)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OFDM복조부(504)는, 직교검파부(11)와, FFT부(12)와, 전송로특성 산출부(30)와, 심벌보간부(42)와, 캐리어보간부(50)와, 잡음제거부(70)와, 차이검출부(583)와 지연부(516, 517)와, 선택부(519)와, 제산부(461)를 구비한다. 직교검파부(11), FFT부(12), 전송로특성 산출부(30), 심벌보간부(42), 및 캐리어보간부 (5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잡음제거부(70)는, 전송로특성(HP)에 대해 IFFT처리를 하여 임펄스응답을 산출하고, 이 임펄스응답에 기초하여 전송로특성(HP)에 중첩되는 잡음성분을 제거하며, 잡음제거 후의 전송로특성(HP`)을 심벌보간부(42)로 출력한다. 잡음제거부(70)는, IFFT부(71)와, 영치환부(72)와, FET부(73)와, 단부치환부(74)를 구비한다.
도 13은, 수신한 OFDM신호에 잡음이 중첩돼있을 경우에, 이 OFDM신호의 파일럿캐리어에 대한 전송로특성의 크기|HP|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전송로특성의 크기|HP|는 이상적일 경우는 일정하지만, 도 13에서는 대역 전체에 걸쳐 왜곡이 발생했다.
IFFT부(71)는, 전송로특성 산출부(30)에서 얻어진 전송로특성(HP)에 대해 심벌마다 IFFT처리를 하여, 주파수영역의 신호로부터 시간영역 신호로의 변환을 행하며, 얻어진 시간영역의 신호, 즉 임펄스응답을 영치환부(72)로 출력한다. 이 임펄스응답은 I축 및 Q축 각 방향의 성분을 갖는 복소신호(벡터)의 형식으로 얻어진다.
도 14는 도 12의 IFFT부(71)에서 얻어지는 임펄스응답의 레벨(크기의 제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송로특성의 레벨은 국소적으로 피크를 갖지만, 잡음성분은 영역 전체의 바닥부분에 걸쳐 분포한다. 영치환부(72)는 이 임펄스응답으로 잡음성분을 제거한다.
도 15의 (a), (b)는 잡음성분제거 전후의 임펄스응답을 각각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의 (a)와 같이 영치환부(72)는 소정의 레벨로 임계값을 설정한다. 영치환 부(72)는, IFFT부(71)로부터 출력된 임펄스응답의 I축 성분 제곱과 Q축 성분 제곱과의 합을 임펄스응답의 전력으로서 산출하고, 이 임펄스응답의 전력과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임계값보다 작은 전력을 나타내는 임펄스응답을 "0벡터"로 치환시키며, 임계값보다 작지 않은 전력을 나타내는 임펄스응답을 그대로 FFT부(73)로 출력한다. 영치환부(72)는 도 15의 (b)와 같이 치환후의 임펄스응답을 출력한다.
FFT부(73)는, 잡음성분제거 후의 임펄스응답을 FFT처리하고, 이를 다시 주파수영역의 신호로 변환시켜 단부치환부(74)로 출력한다. 도 16은 도 12의 FFT부(73)에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중단의 영향으로 대역 양단부의 특성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단부치환부(74)는 대역 양단부의 특성 열화를 피하는 것을 목적으로, 상기의 잡음제거처리를 우회하기 위해 설치된다.
단부치환부(74)는, FFT부(73)로부터 출력된 전송로특성 중, 대역 중앙부를 포함하는 소정 주파수대역 내의 전송로특성은 그대로 출력하며, 이 주파수대역 이외의 영역, 즉 특성열화가 큰 대역 단부(저대역부 및 고대역부) 주변의 전송로특성은, 잡음성분 제거 전의 전송로특성(HP)으로 치환시켜 출력한다. 단부치환부(74)는, 얻어진 전송로특성(HP`)을 심벌보간부(42)로 출력한다. 이때, 치환이 실시되지 않은 대역 중앙부의 전송로특성(HP`)에 관해서는 잡음이 제거되며, 치환이 실시된 대역 단부의 전송로특성(HP`)에 관해서는 잡음이 제거되지 않은 것이 된다.
도 17은, 도 12의 잡음제거부(70)에서 얻어진 전송로특성(HP`)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과 같이 대역의 중앙부에 관해서는 잡음의 영향이 제거되지만, 대역 의 양단부에 관해서는 잡음이 제거되지 않고 잔류한다.
여기서 잡음제거부(70)에서 데이터 중단의 영향을 경감하기 위해, 전송로특성(HP)에 적절한 창함수(window function)를 곱한 후 IFFT처리를 하도록 해도 되며, FFT부(73)에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을 이 창함수로 나누도록 해도 된다.
심벌보간부(42)는, 잡음제거 후의 전송로특성(HP`)에 대해 심벌간의 필터링을 함으로써 심벌방향의 보간을 행하여, 심벌보간 후의 전송로특성(HS)을 캐리어보간부(50)의 광대역필터(51) 및 협대역필터(52)로 출력한다. 광대역필터(51) 및 협대역필터(52)는 전송로특성(HCW 및 HCN)을 각각 산출한다. 광대역필터(51)는, 얻어진 전송로특성(HCW)을 지연부(516) 및 차이검출부(583)로 출력하며, 협대역필터(52)는, 얻어진 전송로특성(HCN)을 지연부(517) 및 차이검출부(583)로 출력한다.
잡음제거부(70)의 출력을 심벌방향으로 보간하여 얻어지는 전송로특성(HS)은, 대역의 중앙부에 관해서는 잡음이 제거된다. 이로써, 잡음방해환경 하에서의 광대역필터(51) 및 협대역필터(52) 각각에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HCW, HCN) 중 대역 중앙부에 관해서는, 잡음의 영향에 의한 양자의 차이는 거의 없다.
한편, 멀티패스 방해가 존재하는 환경 하에서, 특히 지연시간이 협대역필터(52)의 통과대역 폭을 초과하는 등의 경우에는, 전송로특성(HCW)과 전송로특성(HCN)에 차이가 생긴다(도 7의 (a), (b)). 이와 같은 경우, 광대역필터(51)에서는 정확한 전송로특성이 얻어지지만, 협대역필터(52)에서는 정확한 전송로특성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광대역필터(51) 및 협대역필터(52) 각각에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HCW)과 전송로특성(HCN)에 커다란 차이가 생기게 된다.
또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캐리어보간에 이용되는 필터의 통과대역폭이 넓을수록, 지연시간이 긴 지연파의 추정이 가능해지는 한편, 추정된 전송로특성에 중첩되는 잡음의 양은 많아진다.
그래서 차이검출부(583)는, 대역 중앙부(또는 그 일부)에서, 전송로특성(HCW)과 전송로특성(HCN)간 차이의 유무(또는 차이의 값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것)를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선택부(519)로 출력한다.
차이검출부(583)에서의 차이검출 시에는, 대역 중앙부의 전송로특성(HCW)과 전송로특성(HCN)에 관해, I축성분의 차분값과 Q축성분의 차분값을 산출하고, 다시 이들의 제곱의 합을 차분전력으로서 캐리어별로 산출하고, 그 차분 전력의 최대값이 소정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판단하면 된다. 또 대역 중앙부의 전송로특성(HCW)과 전송로특성(HCN)간의 차분전력 크기를 대역 중앙부에 속하는 캐리어 전체에 걸쳐 누적시키고, 누적결과가 소정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판단해도 된다. 여기서, 차이검출부(583)에서의 차이검출 시에는, 대역 중앙부 또는 대역 중앙부의 일부에서 차이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지연부(516 및 517)는, 전송로특성(HCW 및 HCN)을 각각 지연시켜 선택부(519)로 출력한다. 선택부(519)는 전송로특성(HCW 및 HCN) 중 어느 한쪽을, 차이검출부(583)로부터 출력된 검출결과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로특성(HS)을 제산부(461)로 출력한다.
즉, 대역 중앙부의 전송로특성(HCW)과 전송로특성(HCN) 사이에 차이가 없을(또는 차이값이 일정 범위 내로 안정될) 경우에는, 잡음억압효과가 높은 협대역필터 (52)에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HCN)을 선택하여, 대역 전체에 대한 전송로특성(HC)으로서 출력한다. 그 결과, 양단부 잡음의 영향이 경감된 전송로특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대역 중앙부의 전송로특성(HCW)과 전송로특성(HCN) 사이에 차이가 있을(또는 차이값이 일정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대역 단부의 전송로특성으로서, 멀티패스 전송로에서의 추정 정밀도가 높은 광대역필터(51)로부터 얻어지는 전송로특성(HCW)을 선택하여, 대역 전체에 대한 전송로특성(HC)으로서 출력한다. 그 결과, 멀티패스 전송로의 추정 정밀도가 향상된 전송로특성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지연부(516 및 517)는, 예를 들어 차이검출부(583)에서의 처리에 요하는 시간만큼, 전송로특성(HCW 및 HCN)을 각각 지연시킨다. 그리하면 전송로특성(HCW 및 HCN)이 선택부(519)로 입력되는 타이밍과, 이들 전송로특성에 대한 차이검출부(583)에 의한 검출결과가 선택부(519)로 입력되는 타이밍과의 차가 없어진다. 이로써, 캐리어보간부(50)로부터 출력되는 2가지 전송로특성(HCW, HCN)의 추정 정밀도 상황이 변화할 경우라도, OFDM복조부(504)는, 이 변화에 신속하게 추종할 수 있다.
제산부(461)는,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Y)를 전송로특성(HC)으로 나누고, 주파수영역 OFDM신호(Y)의 파형등화를 행한다. 이로써 제산부(461)는, 전송로에서 발생한 멀티패스 방해에 의한 파형왜곡을 보상하고, 그 결과 얻어진 복조신호(DO)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대역 전체에 대한 전송로특성(HC)은, 잡음 방해나 멀티패스 방해가 존재하는 환경 하에서, 전송로특성의 추정에 이용하는 복수 필터의 출력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얻어지는 것이므로, 전송로의 추정 정밀도가 높으며, 이 전송로특성을 이용하여 파형등화를 행하면 수신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복수 필터출력으로부터의 선택을 심벌마다 행할 수 있으므로, 전송로특성이 변동하는 환경 하에서의 추종성에 대해서도 매우 우수하다.
여기서 지연부(516 및 517)를 구비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지연부(516, 517)에 드는 회로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선택부(519)는, 대역 중앙부의 전송로특성(HCW)과 전송로특성(HCN)간 차이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양자 중 한쪽을 선택할 경우에는, 대역 전체의 전송로특성으로서 전송로특성(HCW 및 HCN)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도록 해도 되며, 또는 대역 중앙부에 대해서는 항상 전송로특성(HCW)을 선택하고, 대역 단부만을 전송로특성(HCW 및 HCN)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대역 중앙부의 전송로특성에 관해서는 잡음의 영향이 제거돼있으므로, 대역 중앙부에서는 항상 전송로특성(HCW)을 이용하도록 해도 문제는 없다.
또한 대역 단부만을 선택할 경우에는, 한쪽 단부, 예를 들어 고대역 쪽 단부에 대해서만, 어느 한쪽 전송로특성을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지연부(516 및 517) 지연기의 하드웨어 양이 적어도 된다.
도 18은,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OFDM복조부(604)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OFDM복조부(604)는 도 12의 OFDM복조부(504)에 있어서 잡음제거부(70) 대신에 잡음제거부(670)를 구비하여, 심벌보간처리 후에 잡음제거처리를 하도 록 하는 것이다.
심벌보간부(42)는, 전송로특성 산출부(30)에서 얻어진 전송로특성(HP)에 대해, 심벌간의 필터링을 함으로써 심벌방향의 보간을 행하여, 심벌보간 후의 전송로특성을 잡음제거부(670)로 출력한다.
잡음제거부(670)는, IFFT부(671)와, 영치환부(672)와, FET부(673)와, 단부치환부(674)를 구비하며, 도 12의 잡음제거부(70)와 거의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잡음제거부(670)는, 심벌보간부(42)에서 출력된 전송로특성에 대해, 잡음제거부(70)와 마찬가지로 전송로특성에 중첩되는 잡음성분을 제거하여, 잡음제거 후의 전송로특성(HS)을 광대역필터(51) 및 협대역필터(52)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심벌방향의 보간처리를 먼저 한 후, 잡음제거처리를 하도록 해도, 대역 중앙부에 관해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심벌보간부 또는 캐리어보간부가 복수의 필터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특성이 다른 2종류의 필터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더 많은 종류의 필터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도, 각 필터에서 얻어지는 전송로특성에 의한 파형등화처리를 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복조신호 중에서, 가장 품질이 높은 복조신호를 선택하도록 하면 된다. 방해의 상황에 따라 보다 유연하게 복조신호의 품질 정밀도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OFDM수신장치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우스잡음이나 멀티패스 등의 전송로 방해조건에 좌우되는 일없이, 또 보호구간 길이에 의존하는 일없이, 적응성 있게 전송로특성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거나, 복조신호의 품질을 높일 수 있으므로, 디지털방송이나 무선LAN 등의 OFDM신호를 수신하는 OFDM수신장치 등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17)

  1. 진폭 및 위상을 이미 알고있는 파일럿신호를 전송하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주파수 분할다중)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는 OFDM수신장치이며,
    상기 수신된 OFDM신호가 푸리에변환 되어 얻어진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와 상기 파일럿신호 사이의 연산에 의해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을 산출하고, 상기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에 대해, 서로 특성이 다른 복수의 필터에 의한 보간을 실시하며, 상기 복수의 필터 각각에 의해 얻어진 보간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보간 후 전송로특성을 출력하는 전송로특성 추정부와,
    상기 복수의 보간 후 전송로특성에 의해, 상기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에 대해 파형등화를 행하며, 상기 복수의 보간 후 전송로특성 각각에 대응한 파형등화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복조신호를 출력하는 등화부와,
    상기 복수의 복조신호 중에서 품질이 가장 양호한 것을 판정하고,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복조신호 중에서 1가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부를 구비하는 OFDM수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특성 추정부는,
    상기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와 상기 파일럿신호 사이의 연산에 의해 상기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을 산출하는 전송로특성 산출부와,
    상기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에 대해, 심벌방향의 보간을 실시하여,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전송로특성을 출력하는 심벌보간부와,
    서로 통과대역이 다른 복수의 캐리어 보간필터를 가지며, 상기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전송로특성에 대한 캐리어방향의 보간을, 상기 복수의 캐리어 보간필터 각각에 의해 실시하고, 그 결과를 상기 복수의 보간 후 전송로특성으로서 출력하는 캐리어보간부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OFDM수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특성 추정부는,
    상기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와 상기 파일럿신호 사이의 연산에 의해 상기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을 산출하는 전송로특성 산출부와,
    서로 통과대역이 다른 복수의 필터를 가지며, 상기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에 대한 심벌방향의 보간을, 상기 복수의 필터 각각에 의해 실시하고, 그 결과를,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복수의 전송로특성으로서 출력하는 심벌보간부와,
    상기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복수의 전송로특성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캐리어보간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캐리어보간부는,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전송로특성에 대해 캐리어방향의 보간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보간 후 전송로특성을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OFDM수신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리어보간부 중 적어도 1개는,
    서로 통과대역이 다른 복수의 캐리어보간 필터를 가지며, 당해 캐리어보간부에 대응하는 상기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전송로특성에 대한 캐리어방향의 보간을, 당해 캐리어보간부의 상기 복수 캐리어보간 필터 각각에 의해 실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OFDM수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화부로부터 출력된 복수의 복조신호에 각각 대응하며, 대응하는 복조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선택부로 출력하는 복수의 지연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지연부는 각각,
    상기 선택부에서, 상기 판정결과가 얻어지는 타이밍과 상기 지연시켜진 복조신호가 얻어지는 타이밍이 일치하도록, 상기 대응하는 복조신호를 지연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OFDM수신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등화부에서 얻어진 복수의 복조신호에 각각 대응하며, 대응하는 복조신호의 품질값을 구하는 복수의 품질검출부와,
    상기 복수의 품질검출부에서 구해진 품질값에 기초하여 판정을 하는 비교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품질검출부는 각각,
    상기 대응하는 복조신호에 대한 경판정(hard dicision)을 행하여 기준신호점을 구하고, 상기 대응하는 복조신호를 구성하는 각 캐리어에 대해, 구해진 기준신호점과, 경판정 전 신호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며, 구해진 거리를 상기 대응하는 복조신호를 구성하는 복수의 캐리어를 평균하여 얻어지는 평균값에 따른 값을 상기 품질값으로서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OFDM수신장치.
  7. 진폭 및 위상을 이미 알고있는 파일럿신호를 전송하는 OFDM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는 OFDM수신장치이며,
    상기 수신된 OFDM신호가 푸리에변환 되어 얻어진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와 상기 파일럿신호 사이의 연산에 의해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을 산출하는 전송로특성 산출부와,
    서로 통과대역이 다른 복수의 필터를 가지며, 상기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에 대한 심벌방향의 보간을, 상기 복수의 필터 각각에 의해 실시하고, 그 결과를,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복수의 전송로특성으로서 출력하는 심벌보간부와,
    상기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에 대한 파형등화를, 상기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복수의 전송로특성 각각에 의해 실시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복조신호를 출력하는 등화부와,
    상기 복수의 복조신호 중에서 품질이 가장 양호한 것을 판정하고,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복수의 전송로특성 중에서 1가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전송로특성에 대해 캐리어방향의 보간을 실시하고, 캐리어방향으로 보간된 전송로특성을 출력하는 캐리어보간부와,
    상기 캐리어방향으로 보간된 전송로특성에 의해, 상기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에 대한 제산을 실시하고, 얻어진 결과를 복조신호로서 출력하는 제산부를 구비하는 OFDM수신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복수의 전송로특성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대응하는 전송로특성을 지연시켜 상기 선택부로 출력하는 복수의 지연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지연부는 각각,
    상기 선택부에서, 상기 판정결과가 얻어지는 타이밍과 상기 지연시켜진 전송로특성이 얻어지는 타이밍이 일치하도록, 상기 대응하는 전송로특성을 지연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OFDM수신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등화부에서 얻어진 복수의 복조신호에 각각 대응하며, 대응하는 복조신호의 품질값을 구하는 복수의 품질검출부와,
    상기 복수의 품질검출부에서 구해진 품질값에 기초하여 판정을 하는 비교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품질검출부는 각각,
    상기 대응하는 복조신호에 대한 경판정을 행하여 기준신호점을 구하고, 상기 대응하는 복조신호를 구성하는 각 캐리어에 대해, 구해진 기준신호점과, 경판정 전 신호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며, 구해진 거리를 상기 대응하는 복조신호를 구성하는 복수의 캐리어를 평균하여 얻어지는 평균값에 따른 값을 상기 품질값으로서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OFDM수신장치.
  10. 진폭 및 위상을 이미 알고있는 파일럿신호를 전송하는 OFDM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는 OFDM수신장치이며,
    상기 수신된 OFDM신호가 푸리에변환 되어 얻어진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와 상기 파일럿신호 사이의 연산에 의해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을 산출하는 전송로특성 산출부와.
    상기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으로부터, 소정 주파수대역의 잡음을 제거하고, 얻어진 잡음제거 후의 전송로특성을 출력하는 잡음제거부와,
    상기 잡음제거 후의 전송로특성에 대해, 심벌방향의 보간을 실시하여,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전송로특성을 출력하는 심벌보간부와,
    서로 통과대역이 다른 복수의 캐리어 보간필터를 가지며, 상기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전송로특성에 대한 캐리어방향의 보간을, 상기 복수의 캐리어보간 필터 각각에 의해 실시하고, 그 결과를, 캐리어방향으로 보간된 복수의 전송로특성으로서 출력하는 캐리어보간부와,
    상기 소정의 주파수대역 또는 그 일부에서, 상기 캐리어방향으로 보간된 복수 전송로특성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차이검출부와,
    상기 차이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캐리어방향으로 보간된 복수의 전송로특성 중에서 1 가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전송로특성에 의해, 상기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에 대한 제산을 실시하고, 얻어진 결과를 복조신호로서 출력하는 제산부를 구비하는 OFDM수신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제거부는,
    입력된 전송로특성을 역 푸리에 변환하여, 얻어진 임펄스응답을 출력하는 역푸리에 변환부와,
    상기 임펄스응답 중 소정의 크기에 미치지 않는 것을 0벡터로 치환시켜 출력 하는 영 치환부와,
    상기 영 치환부의 출력을 푸리에 변환하여 출력하는 푸리에변환부와,
    상기 푸리에 변환부의 출력 중, 상기 소정의 주파수대역에 대해서는 그대로 출력하며, 상기 소정 주파수대역 이외의 주파수대역에 대해서는, 상기 역 푸리에 변환부에 입력된 전송로특성으로 치환하여 출력하는 단부 치환부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OFDM수신장치.
  12. 진폭 및 위상을 이미 알고있는 파일럿신호를 전송하는 OFDM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는 OFDM수신장치이며,
    상기 수신된 OFDM신호가 푸리에변환 되어 얻어진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와 상기 파일럿신호 사이의 연산에 의해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을 산출하는 전송로특성 산출부와,
    상기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에 대해 심벌방향의 보간을 실시하고,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전송로특성을 출력하는 심벌보간부와,
    상기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전송로특성에서, 소정 주파수대역의 잡음 제거를 실시하고, 얻어진 잡음 제거 후의 전송로특성을 출력하는 잡음제거부와,
    서로 통과대역이 다른 복수의 캐리어 보간필터를 가지며, 상기 잡음제거 후의 전송로특성에 대한 캐리어방향의 보간을, 상기 복수의 캐리어 보간필터 각각에 의해 실시하고, 그 결과를, 캐리어방향으로 보간된 복수의 전송로특성으로서 출력하는 캐리어보간부와,
    상기 소정의 주파수대역 또는 그 일부에서, 상기 캐리어방향으로 보간된 복수 전송로특성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차이검출부와,
    상기 차이검출부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캐리어방향으로 보간된 복수의 전송로특성 중에서 1 가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전송로특성에 의해, 상기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에 대한 제산을 실시하고, 얻어진 결과를 복조신호로서 출력하는 제산부를 구비하는 OFDM수신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제거부는,
    입력된 전송로특성을 역 푸리에변환 하여, 얻어진 임펄스응답을 출력하는 역푸리에변환부와,
    상기 임펄스응답 중 소정의 크기에 미치지 않는 것을 0벡터로 치환하여 출력하는 영치환부와,
    상기 영치환부의 출력을 푸리에변환 하여 출력하는 푸리에변환부와,
    상기 푸리에 변환부의 출력 중, 상기 소정의 주파수대역에 대해서는 그대로 출력하며, 상기 소정 주파수대역 이외의 주파수대역에 대해서는, 상기 역푸리에변환부에 입력된 전송로특성으로 치환하여 출력하는 단부 치환부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OFDM수신장치.
  14. 진폭 및 위상을 이미 알고있는 파일럿신호를 전송하는 OFDM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는 OFDM수신방법이며,
    상기 수신된 OFDM신호가 푸리에변환 되어 얻어진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와 상기 파일럿신호 사이의 연산에 의해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을 산출하고, 상기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에 대해, 서로 특성이 다른 복수의 필터에 의한 보간을 실시하며, 상기 복수의 필터 각각에 의해 얻어진 보간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보간 후 전송로특성을 구하는 전송로특성 추정단계와,
    상기 복수의 보간 후 전송로특성에 의해, 상기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에 대해 파형등화를 행하고, 상기 복수의 보간 후 전송로특성 각각에 대응한 파형등화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복조신호를 구하는 등화단계와,
    상기 복수의 복조신호 중에서, 품질이 가장 양호한 것을 판정하는 판정단계와,
    상기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복조신호 중에서 1가지를 선택하는 선택단계를 구비하는 OFDM수신방법.
  15. 진폭 및 위상을 이미 알고있는 파일럿신호를 전송하는 OFDM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는 OFDM수신방법이며,
    상기 수신된 OFDM신호가 푸리에변환 되어 얻어진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와 상기 파일럿신호 사이의 연산에 의해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을 산출하는 전송로특성 산출단계와,
    상기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에 대한 심벌방향의 보간을, 서로 통과대역이 다른 복수의 필터 각각에 의해 실시하고, 그 결과를,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복수의 전송로특성으로서 구하는 심벌 보간단계와,
    상기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에 대한 파형등화를, 상기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복수의 전송로특성 각각에 의해 실시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복조신호를 구하는 등화단계와,
    상기 복수의 복조신호 중으로부터, 품질이 가장 양호한 것을 판정하는 판정단계와,
    상기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복수의 전송로특성 중에서 1가지를 선택하는 선택단계와,
    상기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전송로특성에 대해 캐리어방향의 보간을 실시하여, 캐리어방향으로 보간된 전송로특성을 구하는 캐리어 보간단계와,
    상기 캐리어방향으로 보간된 전송로특성에 의해, 상기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에 대한 제산을 실시하고, 얻어진 결과를 복조신호로서 구하는 제산단계를 구비하는 OFDM수신방법.
  16. 진폭 및 위상을 이미 알고있는 파일럿신호를 전송하는 OFDM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는 OFDM수신방법이며,
    상기 수신된 OFDM신호가 푸리에변환 되어 얻어진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와 상기 파일럿신호 사이의 연산에 의해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을 산출하는 전송로특성 산출단계와,
    상기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으로부터, 소정 주파수대역의 잡음 제거를 행하여, 얻어진 잡음제거 후의 전송로특성을 구하는 잡음제거단계와,
    상기 잡음제거 후의 전송로특성에 대해 심벌방향의 보간을 실시하여,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전송로특성을 구하는 심벌 보간단계와,
    상기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전송로특성에 대한 캐리어방향의 보간을, 서로 통과대역이 다른 복수의 캐리어 보간필터 각각에 의해 실시하고, 그 결과를, 캐리어방향으로 보간된 복수의 전송로특성으로서 구하는 캐리어 보간단계와,
    상기 소정의 주파수대역 또는 그 일부에서, 상기 캐리어방향으로 보간된 복수 전송로특성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차이검출단계와,
    상기 차이검출단계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캐리어방향으로 보간된 복수의 전송로특성 중에서 1 가지를 선택하는 선택단계와,
    상기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전송로특성에 의해, 상기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에 대한 제산을 실시하고, 얻어진 결과를 복조신호로서 구하는 제산단계를 구비하는 OFDM수신방법.
  17. 진폭 및 위상을 이미 알고있는 파일럿신호를 전송하는 OFDM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는 OFDM수신방법이며,
    상기 수신된 OFDM신호가 푸리에변환 되어 얻어진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와 상기 파일럿신호 사이의 연산에 의해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을 산출하는 전송로특성 산출단계와,
    상기 보간 전의 전송로특성에 대해 심벌방향의 보간을 실시하여,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전송로특성을 구하는 심벌 보간단계와,
    상기 심벌방향으로 보간된 전송로특성으로부터, 소정 주파수대역의 잡음을 제거하여, 얻어진 잡음제거 후의 전송로특성을 구하는 잡음 제거단계와,
    상기 잡음제거 후의 전송로특성에 대한 캐리어방향의 보간을, 서로 통과대역이 다른 복수의 캐리어 보간필터 각각에 의해 실시하고, 그 결과를, 캐리어방향으로 보간된 복수의 전송로특성으로서 구하는 캐리어 보간단계와,
    상기 소정의 주파수대역 또는 그 일부에서, 상기 캐리어방향으로 보간된 복수 전송로특성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차이검출단계와,
    상기 차이검출단계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캐리어방향으로 보간된 복수의 전송로특성 중에서 1 가지를 선택하는 선택단계와,
    상기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전송로특성에 의해, 상기 주파수영역의 OFDM신호에 대한 제산을 실시하고, 얻어진 결과를 복조신호로서 구하는 제산단계를 구비하는 OFDM수신방법.
KR1020067004597A 2004-05-07 2005-05-09 Ofdm수신장치 및 ofdm수신방법 Withdrawn KR200700066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38195 2004-05-07
JPJP-P-2004-00138195 2004-05-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662A true KR20070006662A (ko) 2007-01-11

Family

ID=35320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597A Withdrawn KR20070006662A (ko) 2004-05-07 2005-05-09 Ofdm수신장치 및 ofdm수신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19122B2 (ko)
EP (1) EP1744480A1 (ko)
JP (1) JP4728227B2 (ko)
KR (1) KR20070006662A (ko)
CN (1) CN1842982A (ko)
TW (1) TW200608723A (ko)
WO (1) WO20051097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590B1 (ko) * 2009-08-21 2011-09-20 한국전기연구원 임펄스성 잡음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중 반송파 기반의 데이터 복조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7508B2 (en) * 2003-07-09 2011-09-27 Digimarc Corporation Interactive gaming objects
US8130857B2 (en) 2006-01-20 2012-03-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ilot multiplex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R2897998A1 (fr) * 2006-02-27 2007-08-31 St Microelectronics Sa Procede et dispositif d'estimation de la fonction de transfert du canal de transmission pour demodulateur cofdm
FR2897999A1 (fr) * 2006-02-27 2007-08-31 St Microelectronics Sa Procede et dispositif d'estimation de la fonction de transfert du canal de transmission pour demodulateur cofdm
JP4664234B2 (ja) * 2006-05-24 2011-04-06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Ofdm受信機
JP4944106B2 (ja) * 2006-05-25 2012-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受信機および伝搬路推定方法
JP4709082B2 (ja) * 2006-07-05 2011-06-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ジタル受信装置、その制御方法、デジタル受信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961918B2 (ja) * 2006-09-12 2012-06-27 ソニー株式会社 Ofdm受信装置及びofdm受信方法
US7830994B2 (en) * 2006-10-18 2010-11-09 Analog Devices, Inc. Channel estimation system and method
JP5073433B2 (ja) * 2007-02-22 2012-11-14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Ofdm受信機
JP4832261B2 (ja) * 2006-11-15 2011-12-07 富士通株式会社 チャネル推定装置
JP4916846B2 (ja) * 2006-11-20 2012-04-18 シャープ株式会社 Ofdm復調装置及びofdm復調方法
GB2444100B (en) * 2006-11-24 2009-10-28 Imagination Tech Ltd Channel estimation and equalization in ofdm receivers
JP4827723B2 (ja) * 2006-12-27 2011-11-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Ofdm受信装置
EP2131512B1 (en) * 2007-03-27 2014-06-04 Panasonic Corporation OFDM reception device, OFDM reception method, OFDM reception circuit, integrated circuit and program
TW200843381A (en) * 2007-04-20 2008-11-01 Sunplus Technology Co Ltd Real-time channel estimation system
CN101874371A (zh) * 2007-11-27 2010-10-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信号解调装置、信号解调方法、半导体集成电路以及接收装置
CN101878605A (zh) * 2007-11-28 2010-11-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接收装置以及接收方法
US7979032B2 (en) * 2007-12-18 2011-07-12 Intel Corporation Estimating statistical properties of noise in modulated data carrier signals
CN101521652B (zh) * 2008-02-29 2013-02-06 索尼株式会社 接收设备和接收方法
JP4600559B2 (ja) * 2008-02-29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524704B2 (ja) * 2008-03-14 2010-08-18 ソニー株式会社 復調回路、復調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受信装置
JP5042118B2 (ja) * 2008-05-20 2012-10-03 三菱電機株式会社 伝送路推定装置および方法
KR101455273B1 (ko) * 2008-07-01 2014-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
US8768245B2 (en) * 2008-08-18 2014-07-01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Cyclic prefix schemes
JP4631955B2 (ja) 2008-09-30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表示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US8325790B2 (en) * 2009-08-03 2012-12-04 Analog Devices, Inc. Equalization for OFDM communication
GB2473674A (en) * 2009-09-22 2011-03-23 Sony Corp OFDM receiver with a plurality of prediction filters to reduce noise in channel transfer function estimates
US8917799B2 (en) * 2009-10-27 2014-12-23 Maxlinear, Inc. Edge equalizer
JP5275304B2 (ja) * 2010-08-30 2013-08-28 株式会社東芝 Ofdm受信装置
US8823806B2 (en) * 2011-02-18 2014-09-02 Wi-La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elevision band pilot sensing
JP2012178634A (ja) * 2011-02-25 2012-09-13 Kyocera Corp チャネル推定装置およびチャネル推定方法
JP5968593B2 (ja) * 2011-02-25 2016-08-10 京セラ株式会社 チャネル推定装置およびチャネル推定方法
JP2012178635A (ja) * 2011-02-25 2012-09-13 Kyocera Corp チャネル推定装置およびチャネル推定方法
JP5518261B2 (ja) * 2011-06-17 2014-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等化装置及び等化方法
TWI551064B (zh) * 2012-12-27 2016-09-2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無線接收系統及其頻道效應估計方法
CN103929380B (zh) * 2013-01-10 2017-04-26 晨星软件研发(深圳)有限公司 无线接收系统及其频道效应估计方法
JP5896393B2 (ja) * 2014-01-17 2016-03-30 三菱電機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9691378B1 (en) * 2015-11-05 2017-06-27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electively ignoring captured audio data
US10079015B1 (en) 2016-12-06 2018-09-18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layer keyword detection
US11146422B1 (en) * 2020-07-29 2021-10-12 U-Blox Ag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the bandwidth of a frequency domain smoothing filter for channel tracking loop in an OFDM communication system
JP7527935B2 (ja) 2020-11-05 2024-08-05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通信装置及びフィルタ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9730A (en) * 1990-06-12 1996-05-21 Jasper; Steven C. Communication signal having a time domain pilot component
JP2772286B2 (ja) 1996-08-30 1998-07-02 株式会社次世代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システム研究所 直交周波数分割多重信号復調装置
JP3006679B2 (ja) * 1997-01-16 2000-02-07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ルラー移動電話システム
JPH10257013A (ja) 1997-03-14 1998-09-25 Toshiba Corp 受信装置
JP2911861B2 (ja) 1997-11-26 1999-06-23 株式会社次世代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システム研究所 Ofdm用受信装置
JP3728116B2 (ja) * 1998-06-02 2005-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方法及び装置
JP2001189768A (ja) 1999-12-28 2001-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同期検波装置
JP3842614B2 (ja) * 2001-10-30 2006-11-08 日本放送協会 周波数特性算出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キャンセラならびに装置
US7209433B2 (en) * 2002-01-07 2007-04-24 Hitachi, Ltd. Channel estimation and compensation techniques for use in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systems
US7436759B2 (en) * 2002-05-17 2008-10-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channel response measurement apparatus for receiving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al multiplexing signal
WO2004100413A1 (ja) * 2003-05-12 2004-11-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復調装置及び復調方法
JP2005045628A (ja) 2003-07-24 2005-02-17 Fujitsu Ltd Ofdm通信方式の受信装置
US7433433B2 (en) * 2003-11-13 2008-10-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hannel estimation by adaptive interpolation
US7693227B2 (en) * 2005-03-31 2010-04-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hannel length estimation and accurate FFT window placement for high-mobility OFDM receivers in single frequency networ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590B1 (ko) * 2009-08-21 2011-09-20 한국전기연구원 임펄스성 잡음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중 반송파 기반의 데이터 복조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08723A (en) 2006-03-01
US7519122B2 (en) 2009-04-14
CN1842982A (zh) 2006-10-04
WO2005109712A1 (ja) 2005-11-17
EP1744480A1 (en) 2007-01-17
JPWO2005109712A1 (ja) 2008-03-21
JP4728227B2 (ja) 2011-07-20
US20070036232A1 (en)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6662A (ko) Ofdm수신장치 및 ofdm수신방법
US7664189B2 (en) OFDM demodulator, receiver, and method
KR100816609B1 (ko) 오에프디엠 수신장치 및 오에프디엠 수신방법
JP4961918B2 (ja) Ofdm受信装置及びofdm受信方法
JP4816353B2 (ja) Ofdm受信装置及びofdm信号受信方法
US8045945B2 (e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and program
EP1408625A2 (en) Diversity receiver and diversity receiving method for FDM signals
JP4396423B2 (ja) Ofdm受信装置
US8155223B2 (en)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and program
CN104052692B (zh) 数据信号校正电路、接收器和数据信号校正方法
JP5995703B2 (ja) 等化装置及び等化方法並びに受信装置
JP2007288450A (ja) 復調装置及び方法
JP5331583B2 (ja) マルチパス等化器
JP5566223B2 (ja) ダイバーシティ受信装置及びダイバーシティ受信方法
JP2013201578A (ja) 伝送路応答推定器、及び放送受信装置
JP2009218737A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2004140739A (ja) Ofdm受信装置
KR101083864B1 (ko) Ofdm 수신 장치
JP2011188192A (ja) 受信装置
JP2008283588A (ja) 受信装置及び受信信号増幅率設定方法
JP2004104558A (ja) Ofdm信号受信装置
JP2012019488A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