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12236A - 온디맨드 퍼블리싱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디맨드 퍼블리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236A
KR20060112236A KR1020060037569A KR20060037569A KR20060112236A KR 20060112236 A KR20060112236 A KR 20060112236A KR 1020060037569 A KR1020060037569 A KR 1020060037569A KR 20060037569 A KR20060037569 A KR 20060037569A KR 20060112236 A KR20060112236 A KR 20060112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printing
processing
information
finish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7667B1 (ko
Inventor
마사미찌 아까시
마사유끼 사꾸라
마사노리 마쯔자끼
마꼬또 안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2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66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06F3/1264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by assigning post-processing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8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mproved quality of the output result, e.g. print layout, colours, workflows, print previe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8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in client-server-printer device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인쇄후 처리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정보를 로드하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에 의해 로드된 상기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 장치에 의해 처리가능한 인쇄 기능, 및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에 의한 인쇄 후에 처리가능한 후처리 기능을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상기 인쇄 기능, 및 상기 후처리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상기 표시 제어부에 의해 표시된 상기 설정 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인쇄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될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표시 제어부에 의해 표시된 상기 설정 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후처리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에 의한 인쇄후 처리를 받게 되는 후처리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설정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인쇄 데이터는 상기 인쇄 장치에 송신되며, 상기 설정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후처리 설정 정보는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에 송신된다.
인라인 피니셔, 후처리, 제본, 제단, 프린터 드라이버

Description

온디맨드 퍼블리싱 시스템{ON-DEMAND PUBLISH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컴퓨터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니어라인 피니셔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a는 니어라인 피니셔의 일례로서의 제단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b는 오프라인 피니셔의 일례로서의 양장(casing-in) 기능을 갖는 제본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제본 장치의 피니셔 프로파일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단 장치의 피니셔 프로파일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모듈들을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피니셔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테이블.
도 11은 피니셔를 접속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1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패널의 초기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패널의 옵션 설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패널의 피니셔 등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갱신된 피니셔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니어라인 피니셔의 등록을 도시한 흐름도.
도 17은 피니셔 프로파일 취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8은 프린터 드라이버의 대화창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프린터 드라이버의 페이지 설정 속성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프린터 드라이버의 피니싱(finishing) 속성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인쇄 설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2는 인쇄를 도시한 흐름도.
도 23은 호스트에서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24는 작업제어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피니셔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26은 니어라인 피니셔에서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27은 피니셔 측에서의 처리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2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의 취득을 도시한 흐름도.
도 2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에서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31은 우선순위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테이블.
도 32는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호스트에서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33은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호스트에서의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제어장치를 도시한 기능블록도.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제2004-078449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공개 제11-105455호 공보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예컨대, 디지털복사기), 후처리 장치(예컨대, 인라인 피니셔, 니어라인 피니셔 또는 오프라인 피니셔), 및 화상 형성 장치 제어용 프린터 드라이버가 인스톨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구성된 인쇄 시스템에서 인쇄 정보를 인쇄 장치에 출력하고 후처리 정보를 후처리 장치에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용어들을 설명한다. 피니셔는 인쇄후 처리 장치를 의미하며, 포스트-프레스 처리 장치 또는 간단히 후처리 장치라고도 한다. 피니셔는 제본(bookbinding), 제단, 스테이플, 펀칭 및 페이지 정렬(collate)과 같은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어떤 피니셔는 복수의 기능을 가질 수도 있고, 어떤 피니셔는 단 일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장치의 특성(feature) 정보는 그 장치의 사양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장치의 특징(예컨대, 기능)을 기술하고 있으며, 속성(property) 정보라고도 한다. 피니셔의 특성 정보에는 그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 및 용지의 공급 순서 및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특성 정보는 기능 정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인쇄 속성(attribute)은 인쇄 방법을 지정하기 위한 정보이며, 양면/단면 인쇄의 지정, 페이스업/페이스다운의 지정, 인쇄매수, 용지크기 및 레이아웃을 포함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쇄 속성은 인쇄 설정 정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인쇄 속성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부터 인쇄 장치의 기능 범위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종래, 피니셔를 이용하여 인쇄 결과물에 대한 인쇄후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인쇄 장치와 피니셔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 조작자는 인쇄출력 결과물을 피니셔 상에 세팅해야 했다.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쇄 장치는 인쇄 결과물을 피니셔의 사양(특성 정보)에 따라 배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도 피니셔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 시의 인쇄 속성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은 인쇄 시 피니셔의 특성 정보에 따라서 인쇄 속성을 제어하는 제1 방법, 또는 피니셔의 특성 정보에 따라서 프린터 드라이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 항목을 제어하는 제2 방법에 의해 구현된다. 여기서, 기능 항목은 사용자에 의해 인쇄 속성을 설정하기 위한 항목이다.
인쇄 시 인쇄 속성을 제어하는 제1 방법에서는, 프린터 드라이버가 피니셔의 특성 정보에 따라서 인쇄작업을 생성할 때 자동적으로 인쇄 속성을 설정한다. 특허문헌1에 기재된 인쇄 시스템에서는, 인쇄 장치의 컨트롤러가 인쇄 장치에 접속된 제본 장치에 관련된 아래의 2개 항목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
(1) 세트된 문서 스택의 위쪽으로부터 또는 아래쪽으로부터 용지를 픽업할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2) 문서를 페이스업 또는 페이스다운으로 세트할지를 나타내는 정보.
이들 2가지 정보에 기초하여, 컨트롤러는 용지 출력 순서(오름차순/내림차순) 및 용지 출력면(페이스업/페이스다운)을 자동 설정하여, 조작자가 제본 장치 상에 배지된 인쇄출력 결과물을 바로 세트하여 그 결과물을 제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조작은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되므로, 사용자는 이들 2가지 항목에 대한 정보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프린터 드라이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 항목을 제어하는 제2 방법에서는, 프린터에 탑재된 피니셔의 타입이 수동적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식별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 항목이 식별된 타입에 따라서 제어된다. 예를 들어, 스테이플 능력을 갖춘 피니셔가 인쇄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스테이플을 설정할 수 있도록 프린터 드라이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테이플 설정 항목이 유효화(validate)된다.
특허문헌2는 제본 처리시 표지와 용지묶음(paper bundle)을 서로 다른 내용 으로 제본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표지의 식별 정보와 용지묶음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정보가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된다. 제본제어장치는 인쇄된 식별 정보를 로드하여, 표지와 용지묶음의 식별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제본 처리를 수행한다.
인쇄 장치에 인라인 피니셔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그 인쇄 장치를 이용하는 컴퓨터는 피니셔에 의한 후처리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Horizon으로부터 입수가능한 "i2i"라고 하는 시스템에서는, 피니셔의 설정 정보가 그 피니셔의 타입과 기능 등에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며, 그 설정 정보는 인쇄작업을 관리하는 제어서버에 보관된다. 로드된 인쇄 결과물을 피니셔의 설정 정보에 접속시키는 ID가 발행되어 그 인쇄 결과물에 인쇄 및 부가된다. 피니셔는 인쇄 결과물에 부가된 ID를 바코드 리더와 같은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하여 제어서버로부터 그 ID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로드한다. 피니셔는 로드된 설정 정보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1에서 제본 장치는 인쇄 장치에 접속된, 소위 인라인 피니셔이다(이 인라인 피니셔는 프린터에 옵션 장치로서 탑재되며 프린터로부터 연장된 용지운반경로를 통해 프린터에 접속된 제본 장치이다). 특허문헌1의 방법은 물리적으로 동일한 용지운반경로를 통해 인쇄 장치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제본 장치에는 적용될 수 없다. 전술한 특허문헌2에서, 제본 장치는 인쇄 장치와 통신이 불가능한, 소위 오프라인 피니셔이다(제본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 다). 사용자는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인쇄하는 것에 대한 지시와, ID를 인쇄하라는 지시와, 피니셔에의 지시를 개별적으로 발행해야 하므로, 각종 정보가 일원적으로 관리될 수 없다. 상기 Horizon으로부터 이용가능한 i2i 시스템에서는, 인쇄 결과물이 피니셔 설정 정보와는 관련되어 있지만, 데이터의 인쇄 시에는 아무런 피니셔 특성 정보도 반영되지 않는다.
즉, 전술한 시스템에서는, 인쇄 장치에 의한 인쇄 결과물이 물리적으로 동일한 용지전달경로를 통해 인쇄 장치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피니셔에 의해 후처리를 받게 되는 경우, 인쇄 장치 및 피니셔는 개별적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특히, 인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피니셔 및 인쇄 장치를 일원적으로 설정하는 시스템에 대해서는 제안된 바 없다. 인쇄 장치와 피니셔의 설정들 간의 일치(match)를 유지하는 것은 조작자에게 부담을 주며, 인쇄처리의 생산성을 저하하며 설정오류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정보 처리 장치에 통신가능하도록 접속되며 인쇄 장치로부터 독립한 피니셔에 대하여, 정보 처리 장치상에서 인쇄 속성과 일치한 설정을 자동적으로 행함으로써, 인쇄처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설정 오류의 발생을 방지한 인쇄처리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인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될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며, 독립적으로 통신가능한 인쇄후 처리 장치에 의해 인쇄후 처리될 후처리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정보를 로드하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에 의해 로드된 상기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 의해 처리가능한 인쇄 기능, 및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에 의한 인쇄 후에 처리가능한 후처리 기능을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상기 인쇄 기능, 및 상기 후처리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상기 표시 제어부에 의해 표시된 상기 설정 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인쇄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될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표시 제어부에 의해 표시된 상기 설정 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후처리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에 의한 인쇄후 처리를 받게 되는 후처리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설정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인쇄 데이터는 상기 인쇄 장치에 송신되며, 상기 설정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후처리 설정 정보는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에 송신된다.
인쇄 장치 및 인쇄후 처리 장치에 통신에 의해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인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 정보를 생성하는 인쇄 정보 생성부; 상기 인쇄 설정 정보, 및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의 기능을 기술하는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의 후처리 내용을 기술하는 후처리 설정 정보, 및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설정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인쇄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인쇄 정보 및 상기 설정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후처리 설정 정보 모두를 상기 인쇄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네트워크에 접속된 인쇄 장치로서, 인쇄후 처리 장치에 대하여 설정된 후처리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후처리 설정 정보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인쇄후 처리 장치에 대하여 설정될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에 통신에 의해 접속되는 인쇄후 처리 장치에 대하여 인쇄 속성들에 매칭하는 세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인쇄처리의 생산성이 증대되며 설정오류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새로 접속된 인쇄후 처리 장치에 대한 정보 입력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발행된 후처리 설정 정보는 인쇄 장치를 통해 인쇄후 처리 장치에 전송되므로, 정보 처리 장치는 인쇄후 처리 장치를 위한 후처리 설정 정보를 특별히 생성하거나 송신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정보 처리 장치의 프로그래밍이 간소화될 수 있어, 프로그램 코드의 감소와 오류의 감소에 기여한다.
복수의 인쇄후 처리 장치가 이용가능한 경우,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지정되는 인쇄후 처리 장치가 우선적으로 채택될 수 있다. 그 우선순위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할 인쇄후 처리 장치를 명시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인쇄 장치에 유선으로 접속된 인쇄후 처리 장치를 우선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인쇄 장치로부터 후처리 장치로의 인쇄 결과물의 운반작업이 줄어들어, 작업 노고의 경감과 생산성의 증대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은 동일 내지 유사한 요소들을 동일 참조부호 로써 지칭하고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제1 실시예]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데스크탑 퍼블리싱(DTP: Desk Top Publishing)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PC(1801), 화상 형성 장치(1803)(프린터 또는 인쇄 장치), 화상 형성 장치에 유선으로 접속된 인라인 피니셔(1803a), 네트워크(1809)에 접속된 니어라인 피니셔(1804)(양장 제본 기능을 갖는 제본 장치), 네트워크(1809)에 접속되지 않은 오프라인 피니셔(1802), 및 피니셔 시스템(1807)을 구비한다. 피니셔 시스템(1807)은 하나 또는 복수의 피니셔들, 즉 중철기능(saddle stitch function)을 갖는 제본 장치(1805), 폴딩장치(1806), 및 컨트롤러(1811)를 네트워크(1810)에 접속하여 이들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811)를 통해 네트워크(1810)에 접속된 피니셔를 니어라인 피니셔라고도 한다. 네트워크에 접속된 장치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가능하다. 프린터(1803)는 화상스캐너를 구비하며, 인쇄 기능뿐만 아니라, 스캔, 복사, 팩스통신, 및 화일링 기능을 갖는 복합기능의 장치이다. 따라서, 프린터(1803)를 복합기(MFP: Multi-Functional Printer)라고도 한다. 클라이언트 PC(1801)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프린터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며, 프린터 제어기능에 주목하여 인쇄제어장치라고도 한다.
이하, 인라인 피니셔, 오프라인 피니셔, 및 니어라인 피니셔를 그 피니셔 제 어방법의 측면에서 설명한다.
인라인 피니셔는 호스트 컴퓨터와 단독으로는 통신할 수 없고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에 동일한 용지운반경로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피니셔이다.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운반된 인쇄 결과물에 대한 인라인 피니셔의 처리 내용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설정된다. 그 처리 내용은 후처리 설정 정보에 의해 지정된다. 인라인 피니셔에 의한 지정된 처리 내용(예컨대, 제본처리)을 포함하는 인쇄작업은, 인라인 피니셔를 화상 형성 장치에서 동작하는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옵션부로 설정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오프라인 피니셔는 외부장치와의 통신(오프라인)을 위한 어떠한 수단도 갖지 않으며, 그 피니셔의 처리 내용은 다른 장치와 무관하게 피니셔에서 설정된다. 예를 들어, 그 처리 내용은 오프라인 피니셔의 조작부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그 피니셔의 판독기(reader)에 의해 후처리될 용지 상에 인쇄된 바코드와 같은 인쇄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설정된다.
니어라인 피니셔는 화상 형성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이 피니셔에 의한 처리 내용은 그 조작부으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예를 들어 호스트 컴퓨터와 같은 다른 장치로부터의 작업 티켓으로서 입력될 수도 있다.
이하, 각 피니셔의 특징들을 인쇄출력 결과물의 운반경로(용지 경로)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이들 특징들은 일반적인 것들이며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아래의 설명에 국한되지 않는다. 인라인 피니셔는 물리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어 하나의 용지운반경로를 정의한다.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인쇄출력된 용지는 운반경로(용지 경로)를 통하여 피니셔에 신속하게 보내진다. 오프라인 피니셔는 화상 형성 장치에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인쇄출력된 용지는 트럭, 트레이, 벨트 컨베이어 등에 일시적으로 적재된 다음, 피니셔의 입력부에 세트된다. 니어라인 피니셔의 경우, 오프라인 피니셔와 마찬가지로, 인쇄된 용지는 일시적으로 적재된 다음 니어라인 피니셔의 입력부에 세트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니어라인 피니셔는 통신 수단을 통해 처리 내용(작업 티켓)을 수신할 수 있다. 인라인 피니셔도 외부 장치(호스트 컴퓨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고, 이 통신부를 통하여 후처리 지시(작업 티켓)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니어라인 피니셔로서 동작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803)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프린터)는 스캐너 입력부(1914), FAX부(191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 부(1912), 전용 I/F부(1911), 및 USB I/F부(1910)를 구비한다. 스캐너 입력부(1914)는 화상을 판독하는 스캐너부, 및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스캐너 IP부를 구비한다. FAX부(1913)는 전화회선을 이용하여 화상을 송수신하며, 팩시밀리 장치로 대표된다. NIC부(1912)는 화상 데이터 및 장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등과 교환한다. 전용 I/F부(1911)는 다른 화상 형성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와 정보를 교환한다. USB I/F부(1910)는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는 측으로서 작용하는 컴퓨터 등과의 인터페이스 이다. 프린터의 사용 모드에 따라서, 작업 제어부(1901)는 전체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여, 예를 들어 화상 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경로를 결정한다. 작업 제어부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RAM, 및 하드디스크(미도시)를 배열하고, 프로세서에 의해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작업 제어부(1901)는 또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화상 데이터는 스캐너부(1914)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FAX부(1913)를 통해 입력된 팩시밀리 작업의 화상 데이터, NIC부(1912)를 통해 외부 장치(예컨대,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 및 I/F부(1911)를 통해 다른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들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다음, 판독되어 프린터부(1905)와 같은 출력부에 전송되어, 프린터부에 의해 인쇄된다. 물론, 화상 데이터는 비트맵 데이터에 국한되지 않으며, 화상을 렌더링하도록 기술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PDL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이 PDL 데이터는 PDL부(1903)에 의해 인쇄가능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된 후, 화상처리부(1904)에 의해 필요한 화상 처리를 받게 된다. 처리된 데이터는 프린터부(1905)에 의해 인쇄된다. 작업 제어부(1901)는 조작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하드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제어하여 화상 데이터가 컴퓨터 또는 다른 화상 형성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문서저장부(1908)는 압축/해제부(1909)에 의해 압축된 문서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조작부(1902)는 조작자가 이용가능한 피니셔 등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용가능한 피니셔는 후처리부(1803a), 즉 프린터부(1905)에 유선으로 접속된 인라인 피니셔와 NIC부(1912)를 통해 접속된 니어라인 피니셔(1804)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803)는 인라인 피니셔(1803a) 및 니어라인 피니셔(1804)를 그들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피니셔들의 기능을 기술하는 피니셔 프로파일(후술함)은 화상 형성 장치에 보유되어 있는 프로파일 정보로서, 컴퓨터(1801)로 송신되어, 그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컴퓨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기능이 설정된다. 설정 동작은 피니셔 프로파일을 판독하는 컴퓨터(1801)에 의해 수행된다.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선적(shipping)시에 접속될 수 있는 모든 타입의 피니셔의 프로파일들을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저장해둠으로써 피니셔 프로파일을 취득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선적 후에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새롭게 지원되는 니어라인 피니셔(1804)가 존재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는 새로운 니어라인 피니셔(1804)가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난 후 그 니어라인 피니셔(1804)에서 프로파일 정보(니어라인 피니셔의 프로파일)를 취득한다. 또한, 피니셔 내에 프로파일 정보가 보유되어 있지 않거나 프로파일 정보가 인스톨 후 기능 변경 또는 추가에 의해 갱신된 경우, 그 피니셔의 제조사 등의 웹페이지로부터 프로파일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선적시에 피니셔의 프로파일이 보유되어 있지 않더라도, 사용시에는 그 프로파일이 취득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는 해당 장치의 기능적 특성을 기술하는 정보이며, 기능 정보 또는 특성 정보라고도 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 취득한 피니셔 프로파일을 공통 DB부(1907)에 보유한다. 그런 다음, 취득된 피니셔 프로파일은 화상 형성 장치에 등 록되어 그 프로파일이 프린터 드라이버와 같은 다른 장치로부터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등록의 상세에 대해서는 아래의 <피니셔 프로파일의 관리>에서 설명한다. 등록이 완료된 후, 다른 장치가 NIC부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에 등록된 피니셔 프로파일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1의 네트워크는 IP 네트워크이며, 접속된 장치는 IP를 지원한다.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
도 3은 클라이언트 컴퓨터(1801)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컴퓨터(1801)는 처리부(3010) 및 주변 장치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1801)의 처리부(3010)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호스트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MPU(3011);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서로 접속시키는 버스(3012); MPU(301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RAM(3013); 시스템 버스, 메모리 버스 및 MPU(3011)를 접속시키는 브리지(3014); 및 CRT와 같은 표시장치(3001)에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 기능을 갖는 그래픽 어댑터(3015)를 포함한다.
처리부(3010)는 HDD 디바이스(3002)를 인터페이싱하는 HDD 컨트롤러(3016), 키보드(3003)를 인터페이싱하는 키보드 컨트롤러(3017), 및 물리레벨 및 링크레벨에서 네트워크(1809)와의 인터페이스로서 작용하는 통신 I/F(3018)를 구비한다.
조작자에게 그래픽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장치(3001)(본 예에서는 CRT)는 그래픽 어댑터(3015)를 통해 처리부(301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키보드(3002) 및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대용량 저장장치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장치(3002)는 각각 컨트롤러를 통해 처리부(3010)에 접속되어 있다.
HDD(3002)는 프로그램 파일들(예컨대, OS, 애플리케이션 및 프린터 드라이버) 및 데이터 파일들(예컨대, 프린터 드라이버 설정 정보(403) 및 프로파일 정보(404))를 저장하고 있다. 프린터 드라이버 설정 정보(403)는 컴퓨터(1801)에 의해 이용가능한 프린터의 현재 설정을 나타내는 값을 저장하고 있다. 프로파일 정보(404)는 이용가능한 주변장치의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데, 제1 실시예에서는, 프린터, 니어라인 피니셔 등의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 프로파일 정보는 그 장치의 기능과 같은 장치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파일 정보는 니어라인 피니셔의 성능(capability) 및 기능(예컨대, 제본기능 및 제단기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본기능의 경우, 그 프로파일은 제본기능에 수반하는 성능들(예컨대, 제본가능한 위치 및 크기, 하중 및 스테이플 간격)을 나타낸다. 제단기능의 경우, 그 프로파일은 제단기능에 수반하는 성능들[예컨대, 제단가능한 용지크기(최대, 최소) 및 두께]을 나타낸다.
MPU(3011)는 OS와 프린터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포함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장치 드라이버 등을 실행한다. 이들 프로그램은 가끔씩 그 디스플레이 상에, 조작자에게 예를 들어 파라미터의 설정 또는 실행의 지정과 같은, 처리에 개입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UI 화면을 표시하기도 한다. 프린터 드라이버는 프린터(MFP를 포함한다)의 모델에 따라서 준비된다. 프린터 드라이버는 OS에 프린터 등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프린터 모델 고유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니어라인 피니셔의 구성>
피니셔는 그 기능에 따라 각종 타입으로 분류된다. 제1 실시예는 인라인 피니셔의 일례로서의 중철 기능을 갖는 제본 장치, 오프라인 피니셔의 일례로서의 도 5a에 도시된 제단 장치(2201), 및 니어라인 피니셔의 일례로서의 도 5b에 도시된 양장 제본 기능을 갖는 제본 장치(2301)를 채용한다.
도 4는 니어라인 피니셔(1804, 1805, 1806)의 기능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니어라인 피니셔는 인쇄용지의 폴딩 또는 스테이플링과 같은 후처리를 실행하는 후처리 장치(2200) 및 이 후처리 장치(220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2100)를 포함한다. 컨트롤러(2100)에서, 참조번호 2101은 호스트 컴퓨터 또는 MFP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며 후처리 지시를 기술하는 작업티켓(작업제어정보라고도 한다)을 수신하는 네트워크부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2102는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1차 저장장치(예컨대, DRAM) 또는 2차 저장장치(예컨대, HDD)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2103은 니어라인 피니셔에서의 작업을 제어하며 프로세서, 메모리 등을 구비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2104는 사용자로부터 ID 입력을 수취하는 조작부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2105는 입력 작업제어정보를 해석하여 이것을 장치 제어가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작업제어정보 해석부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2106은 후처리 장치(2200)를 제어하는 장치제어부를 나타낸다. 피니셔를 제어하기 위한 작업제어정보를 후처리 설정 정보라고도 한다. 후처리 장치(2200)는 후처리(포스트-프레스 처리)를 수행하는 처리 메커니즘이며, 예컨대 양장 제본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구비한다. 이들 모듈들은 인라인 피니셔를 구성한다.
컨트롤러(2100)는 제어프로그램 실행기능 및 주변장치 제어기능의 양방을 구비하며 피니셔 전반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컨트롤러 내의 구성요소들을 접속시키는 시스템 버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프로그램,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ROM, 및 작업티켓 등을 저장하는 RAM을 구비한다. 프로파일 정보(2102a)는 ROM(3112), 또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장치(2102)에 저장되는데, 본 예에서는 하드디스크에 저장된다. 프로파일 정보(2102a)는 화상 형성 장치(1803)에 의해 판독(또는 기입)되어 화상 형성 장치가 니어라인 피니셔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구성>
도 6은 프린터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 내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OS(402)는 클라이언트 컴퓨터(1801)에 인스톨되어 있다. 프린터 드라이버(405)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408)는 OS(402)에 인스톨되며 OS(402)에 의해 제어된다.
프린터 드라이버(405)는 사용자 I/F를 표시하며 설정을 저장하는 사용자 I/F 드라이버(406), 및 OS(402)를 통해 애플리케이션(408)으로부터 발행된 인쇄 렌더링 지시를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해석가능한 코드로 변환하는 그래픽 드라이버(407)로 구성된다. 사용자 I/F 드라이버(406)는, 애플리케이션(408)이 OS(402)를 통하여 사용자의 인쇄 설정을 허용하는 경우,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인쇄 설정 화면 및 속성 시트를 표시한다.
여기서,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설정된 설정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설정저장영역(403)은 OS(402)에 의해 관리되는 저장영역에 확보되어 있다. 사용자 I/F 드라이버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인쇄 속성 및 후처리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는 프린터 드라이버 설정 저장영역에 저장된다. MFP(프린터)(1803)와 같은 이용가능한 장치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404)도 저장된다. 사용자 I/F 드라이버, 그래픽 드라이버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OS를 통하여 프린터 드라이버 설정 저장영역을 액세스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인쇄 속성 및 후처리 지시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매체를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 측의 통신 I/F(410)와 프린터(1803)측의 통신 I/F(411)를 접속함으로써 접속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마찬가지로 피니셔와 같은 다른 통신장치에도 접속되어 있다. 그래픽 드라이버(407)는 OS(402)를 통하여 인쇄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에 송신할 수 있으며, OS(402)를 통하여 화상 형성 장치 등의 구성정보 및 상태를 취득할 수도 있다.
<프로파일의 내부 구조>
제1 실시예에서, 피니셔 프로파일(=피니셔 프로파일 정보)은 XML 형식으로 기술된다. 피니셔는 제본 장치, 제단 장치 및 폴딩장치와 같이 타입이 다양하며, 각 타입마다 기능이 서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면 정보가 크게 변화된다. 각종 기능 및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프로파일은 XML을 이용하여 태그 형식으로 기술된다. 물론, 프로파일은 새로운 기능 등의 추가를 적응적으로 기술할 수 있다면 어떤 형식으로도 기술될 수 있다. 피니셔 프로파일은 각 피니셔 장치마다 준비된다.
도 7은 제본 장치의 피니셔 프로파일을 기술하는 일례이며, 도 8은 제단 장치의 피니셔 프로파일을 기술하는 일례이다. "FINISHING" 태그에서, "FinishingType"은 제본 장치 또는 제단 장치와 같은 타입을 나타내며, "Manufacturer"는 제조사명을 나타내며, "ProductName"은 모델을 나타낸다. 도 7은 ABC로부터 입수가능한 11ABC 모델의 제본 장치(타입: Bookbinding)를 나타낸다. 도 8은 XYZ로부터 입수가능한 10XYZ 모델의 제단 장치(타입: Cutting)를 나타낸다. 도 7의 태그 "Booklet" 및 도 8의 "Cutting"은 각 모델(제본 장치 및 제단 장치)에 고유한 기능을 기술한다. 이와 같이, 각 피니셔에 고유한 기능이 태그에 의해 개별적으로 정의되어 프로파일로서 기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제본 장치의 "Booklet" 태그는 타입명으로서 "saddle stitching fold", "flat stitching", "corner stitching", " half fold", "flat stitching fold" 및 "corner stitching fold"를 정의하고 있다. "Medium" 태그는 매체의 타입으로서 "Plain" 및 "Fine", 매체의 중량으로서 "60kg"을 최소값으로, "120kg"을 최대값으로 정의하고 있다. "StapleSpaceInterval" 태그는 스테이플 간격을 조정할 수 없으며("False"), 그 간격이 100mm임을 정의하고 있다.
도 8에서, "Cutting" 태그는 최대 입력 규격(MaxInputDimensions)의 폭과 길이(X,Y)가 360mm임을 나타낸다. 또한, "Cutting" 태그는 최대 출력 규격(MaxOutputDimensions)의 폭과 길이(X,Y)가 310mm임을 나타내며, 최소 출력 규격(MinOutputDimensions)의 폭과 길이(X,Y)가 각각 80mm 및 150mm임을 나타낸다. 또한, "Cutting" 태그는 최대 두께(MaxThickness)가 70mm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피니셔 프로파일 정보는 기능의 타입, 제조사명, 및 각 기능의 성능(예컨대, 규격 및 제본 위치)을 정의한다. 프로파일 정보는 예를 들어 피니셔의 저장장치(2102)에 저장되며,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판독되어 수집되거나, 호스트 컴퓨터로서 작용하는 화상처리 장치의 프린터 드라이버의 제어 하에 니어라인 피니셔로부터 직접 수집될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피니셔 프로파일 관리>
도 9는 화상 형성 장치(1803) 내의 피니셔 프로파일에 관련된 모듈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803)는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 I/F(NIC)(1912), 피니셔 프로파일을 관리하며 외부의 취득요구에 응답하여 프로파일을 송신하는 피니셔 프로파일 제어부(901), 피니셔명, 대응하는 피니셔 프로파일명, 접속상태 등을 관리하는 피니셔 관리 테이블(902), 및 피니셔 프로파일의 엔티티(예컨대,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피니셔 프로파일 저장영역(903)을 구비한다.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가능한 피니셔의 피니셔명과 같은 정보는 피니셔 관리 테이블(902)에 저장되며, 각 피니셔에 대응하는 프로파일 정보는 피니셔 프로파일 저장영역(903)에 저장된다. 피니셔 프로파일 제어부(901)는 작업 제어부(1901)의 기능들 중 하나이며, 피니셔 관리 테이블(902) 및 피니셔 프로파일 저장영역(903)은 공통의 데이터베이스(1907)에 포함된다.
도 10은 피니셔 관리 테이블(902)의 내용의 일례이다. 이 테이블(902)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가능한 피니셔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제1 실시예에서, 테이블(902)의 항목에는 관리번호(1002)(변수 타입은 Unsigned Short이다), 피 니셔명(1003)(변수 타입은 String이다), 제조사명(1004)(변수 타입은 String이다), 대응 프로파일의 프로파일명(1005) (변수 타입은 String이다), 및 피니셔의 접속상태(1006)(변수 타입은 Boolean이며, "false"인 경우 피니셔가 접속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며, "true"인 경우 피니셔가 접속되어 있음을 나타낸다)가 있다. 예를 들어, 관리번호 #5의 칼럼에서, 피니셔명은 "Finisher-X"이며, 제조사명은 "XYZ"이며, 대응 프로파일의 프로파일명은 "finisher-x-of-xyz.xml"이다. 접속 상태는 피니셔가 접속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true"이다. 다른 칼럼들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이 테이블에서, 관리번호 #5 외의 다른 피니셔들은 접속되어 있지 않다.
<니어라인 피니셔와 화상 형성 장치 사이의 접속>
도 16은 화상 형성 장치가 피니셔의 프로파일을 대응 니어라인 피니셔로부터 취득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즉, 도 16은 피니셔 관리 테이블에 새로운 피니셔가 추가 및 등록되는 경우의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이 흐름은 사용자가 조작 패널 상에서 "옵션" 또는 "사용자 모드"를 지정하여 화면을 니어라인 피니셔 설정 화면으로 변경하는 경우에 시작된다.
S2501에서, 사용자는 조작부(1902)를 통해 니어라인 피니셔의 IP 어드레스를 입력한다. IP 어드레스는 니어라인 피니셔에 직접 할당된 IP 어드레스일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서브넷(subnet)의 IP 어드레스일 수도 있다. S2502에서, 입력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피니셔 프로파일 저장영역(903)에 미리 저장된 피니셔 리스트로부터 피니셔가 지정되며, 지정된 화상처리 장치에 접속가능한 피니셔들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사용자에게 표시된 리스트에서 니어라인 피니셔들 의 제조사 및 모델의 리스트로부터 해당 피니셔를 선택하고 대응 프로파일을 지정하라는 프롬프트가 제공된다.
S2503에서, 그 피니셔가 정확한(correct) 것인지를 확인하라는 프롬프트 화면이 출력된다. 사용자가 정확한 피니셔임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화면에 입력하면, 입력 어드레스 측에 그 피니셔의 프로파일 정보를 요구하고, S2504에서 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저장된 피니셔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피니셔가 피니셔 관리 테이블(902)에 추가된다. 변경된 피니셔 관리 테이블은 2차 저장장치 또는 불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
또 다른 예로서, 니어라인 피니셔로부터 제조사 및 모델을 나타내는 ID가 취득되는 경우, 사용자가 니어라인 피니셔의 IP 어드레스를 입력한 후 ID 취득 요구가 IP 어드레스에 대하여 발행된다. 그런 다음, 니어라인 피니셔로부터 ID가 취득되어 표시된다. 사용자가 니어라인 피니셔의 표시된 ID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ID에 대응하는 피니셔에게 프로파일 정보를 요구한다. 프로파일 정보는 니어라인 피니셔로부터 취득되어 피니셔 관리 테이블에 재기입될 수 있다. 프로파일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피니셔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고 이용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입력 IP 어드레스 측에서 피니셔의 피니셔 프로파일이 요구되어 취득된다. 피니셔의 IP 어드레스 및 그 IP 어드레스로부터 취득된 프로파일 정보는 서로 연관되어 저장된다.
이하,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가 등록된 니어라인 피니셔를 이용가능하게 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이용가능한 니어라인 피니셔는 XYZ로부 터 입수가능한 피니셔-Y이다. 사용자는 새로운 니어라인 피니셔를 인스톨하고, 그것을 LAN 케이블과 같은 미리 정해진 통신매체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시킨다. 도 11의 절차는 화상 형성 장치(1803)의 피니셔 프로파일 제어부(901)에 의해, 즉 화상 형성 장치(1803)의 프로세서(1901)에 의해 실행된다.
S1101에서, 화상 형성 장치(1803)는 사용자에 의한 접속동작을 위해 조작부(1902)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이 화면에서, 사용자는 네트워크 상의 니어라인 피니셔에의 접속동작을 수행하며, 니어라인 피니셔의 사용 명령을 발행한다. 니어라인 피니셔가 이 동작에 응답하여 그것이 이용가능한 것으로 판정되면, S1102에서, 접속된 피니셔의 접속상태가 피니셔 관리 테이블에서 "접속됨(true)"으로 변경된다. 이러한 동작에 대해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S1101에서의 조작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패널의 초기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니어라인 피니셔의 접속설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옵션버튼(1201)을 클릭한다. 이 버튼은 화상 형성 장치의 옵션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며, 클릭된 경우 도 13의 화면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Finisher Registration(피니셔 등록)" 버튼(1301)을 클릭한다. 이 버튼을 누르면 도 14의 피니셔 접속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이 화면은 등록가능한 니어라인 피니셔의 리스트를 표시하며, 각 니어라인 피니셔의 접속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4의 피니셔 리스트 화면은 대응 프로파일명(1005)을 제외한 나머지 피니셔 관리 테이블(902)을 시각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즉, 피니셔 리스트는 피니셔명(1401), 제조사명(1402), 및 접속상태(1403)로 이루어진다. 이 리스트는 7개의 피니셔를 한번에 표시하며, 표시된 리스트를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한 버튼(1404 또는 1405)을 클릭하면 이 7개의 피니셔의 전후에 열거된 피니셔들을 볼 수 있다. 접속의 등록 또는 접속등록의 취소는 타겟 피니셔 로우의 임의의 부분을 터치하여 해당 로우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피니셔의 접속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Connect(접속)" 버튼(1409)을 터치하면 되고, 접속등록을 취소하기 위해서는 "Disconnect(접속해제)" 버튼(1408)을 터치하면 된다. 이 경우, XYZ로부터 입수가능한 피니셔-Y의 접속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로우(1407)의 임의의 부분을 터치하여 피니셔-Y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Connect(접속)" 버튼(1409)을 터치하면 피니셔의 접속이 등록된다. "Connect(접속)" 버튼(1409)의 터치에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803)는 니어라인 피니셔의 접속 요구(사용 요구)를 발행한다. 이 접속요구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그 피니셔를 사용할 수 있다고 판정되고, "Connected(접속됨)"가 표시되게 된다. 아무런 응답도 수신되지 않으면, 지정된 니어라인 피니셔를 사용할 수 없다고 판정되고, 표시의 변화는 없다. 마지막으로, "OK" 버튼(1411)을 터치하여 설정을 유효화(validate)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조작 패널의 초기 화면으로 복귀한다. 등록을 취소하기 위해서는, "취소" 버튼(1410)을 터치하여 화면에서 조작한 모든 내용을 취소하면 된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의 피니셔 관리 테이블의 갱신(후술함)은 실행되지 않는다.
이하, 화상 형성 장치(1803)에 의한 피니셔 관리 테이블(902)의 갱신 방법(도 11의 S1102)을 설명한다. 도 14의 피니셔 접속 설정 화면에서 사용자는 XYZ로 부터 이용가능한 피니셔-Y를 접속 및 등록하므로, 화상 형성 장치(1803)는 피니셔 관리 테이블(902)을 갱신한다. 도 14의 예에서, 관리번호 #6의 접속상태 칼럼은 "False"로부터 "true"로 재기입된다. 도 15는 갱신 후의 피니셔 관리 테이블(902)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의 칼럼(16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6에서의 피니셔-Y의 접속상태는 "true"로 변경된다.
상기 절차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니어라인 피니셔의 접속등록이 완료된다. 제1 실시예에서, 니어라인 피니셔의 접속은, 니어라인 피니셔가 접속된 후,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패널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다. 그러나, 피니셔 관리 테이블의 갱신이 가능하기만 하다면, 이와 다른 방법에 의해 접속이 등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 및 니어라인 피니셔가 통신매체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므로, 접속시의 프로토콜은 정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및 니어라인 피니셔는 이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통신하며, 화상 형성 장치는 니어라인 피니셔의 접속을 자동적으로 등록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또한 피니셔 프로파일 취득 요구를 접속된 니어라인 피니셔에 송신하는 단계, 및 이 요구에 응답하여 니어라인 피니셔에 의해 송신된 피니셔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수신된 피니셔 프로파일은 피니셔 프로파일 저장영역(903)에 저장된다. 수신된 피니셔 프로파일의 명칭은 피니셔 관리 테이블(902)의 피니셔 프로파일명(1005)에 등록된다. 피니셔의 어드레스는 피니셔 프로파일과 연관되어 등록된다.
여기서, 니어라인 피니셔의 프로파일 정보는 등록된 니어라인 피니셔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판독된 후, 컴퓨터에 의해 취득된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파일 정보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후술함), 컴퓨터에 의해 니어라인 피니셔로부터 직접 취득될 수도 있다.
인라인 피니셔의 경우, 그 피니셔 프로파일은 화상 형성 장치에 애초에 저장되어 있다. 인라인 피니셔가 실제로 접속되면, 인라인 피니셔가 접속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된다. 이 신호는 트리거(trigger)로서 작용하며, 예를 들어, 인라인 피니셔가 접속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세트된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인라인 피니셔의 경우에는, 인라인 피니셔가 등록되거나 접속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조작이 필요하지 않다.
<피니셔 프로파일의 취득>
이하,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니어라인 피니셔의 피니셔 프로파일을 취득하고 피니셔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도 6의 구성에서, 저장영역(404)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프린터 드라이버(405)에 의해 취득한 피니셔 프로파일이 저장되는 OS 내의 저장영역(프로파일 저장영역)이다. 프린터 드라이버(405)는 OS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프로파일 취득 모듈을 기동하고, 이 프로파일 취득 모듈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피니셔 프로파일을 취득하며, 취득된 피니셔 프로파일을 프로파일 저장영역(404)에 저장한다. 프로파일 취득 모듈은 프린터 드라이버(405)의 모듈들 중 하나로서 구성되거나, OS(402)의 기능들 중 하나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피니셔 프로파일을 요구 및 송신하기 위하여, 호스트 컴퓨터 측의 통 신 I/F(410)와 화상 형성 장치 측의 통신 I/F(411) 사이에 통신매체가 이용된다. 여기서, 피니셔 프로파일의 취득을 프린터 드라이버로부터 요구할 수 있고 피니셔 프로파일의 엔티티가 송신될 수 있다면,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특별히 지정되지 않는다.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피니셔 프로파일을 취득하는 방법을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이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에서의 처리는, 예를 들어 컴퓨터의 전원이 켜진 경우, 사용자가 인쇄 처리를 지정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에 의해 명시적인 지시에 따라 실행된다.
단계(S1501)에서, 프린터 드라이버(405)는 화상 형성 장치(1803)에게 그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고 등록되어 있는 피니셔의 프로파일을 취득하도록 요구한다. 프린터 드라이버의 취득 요구에 응답하여, 화상 형성 장치(1803)는 피니셔 프로파일 저장 영역(903)에 저장된 피니셔 프로파일을, 프린터 드라이버가 동작하고 있는 호스트 컴퓨터(1801)에 송신한다.
이 요구를 수신하면, S1511에서, 화상 형성 장치(도 17의 MFP)는 피니셔 관리 테이블을 위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열람하여, 각 피니셔의 접속상태를 확인한다: 즉, 각 피니셔의 접속 여부를 확인한다. 도 15는 화상 형성 장치에 보유된 피니셔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고 있다. 첫번째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상위 로우에 있는 "피니셔-A"의 접속상태를 확인한다. 이 테이블에서, 피니셔의 접속상태는 해당 피니셔가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False"이다. S1512에서, 접속상태의 상황이 판정된다. "피니셔-A"의 접속상태가 "false"이므로, S1514로 진행한다. S1505에서, 모든 피니셔가 판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모든 피니셔가 판정 되지 않았다면, S1511로 복귀한다. 이 단계는 "피니셔-B", "피니셔-C" 및 "Binder-ABC"에 대해 마찬가지로 반복된다.
S1511에서, 다음 목록으로서 작용하는 "피니셔-X"의 접속상태가 판정된다. "피니셔-X"의 접속상태는 "피니셔-X"가 이용가능함을 나타내는 "true"이므로, S1512에서 상태 판정을 행한 후, S1513으로 진행한다. S1513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이용가능한 상태로 관리되는 각 피니셔(즉, 피니셔 관리 테이블 내의 대상 피니셔)의 피니셔 프로파일을 프린터 드라이버에게 송신한다. 이를 위해, 화상 형성 장치는 피니셔 관리 테이블(902)로부터 대응 피니셔 프로파일명 "finisher-x-of-xyz.xml"을 판독한다. 이 프로파일명의 파일은 피니셔 프로파일 저장영역(905)으로부터 추출되어 프린터 드라이버에 송신된다(S1513). S1514에서, 모든 피니셔들이 판정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모든 피니셔들이 판정되지 않았다면, S1511로 복귀한다. 다음의 "피니셔-Y"에 대하여, "피니셔-X"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단계가 수행된다. S1512에서 접속상태가 "true"이므로, S1513에서 피니셔의 프로파일명 "finisher-y-of-xyz.xml"이 로드된다. 화상 형성 장치는 피니셔 프로파일 저장영역으로부터 이러한 명칭의 피니셔 프로파일을 추출하여, 그 피니셔 프로파일을 프린터 드라이버에게 송신한다(S1513). 이 단계는 피니셔 관리 테이블에 등록된 모든 피니셔에 대하여 반복된다. 피니셔 관리 테이블 내의 최종 피니셔가 판정된 후, 화상 형성 장치는 S1515에서 모든 피니셔가 판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프린터 드라이버에게 송신한다. 그러면, 도 17의 흐름도의 처리가 종료된다.
프린터 드라이버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면(S1502), 응답 내용이 "end(종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503). 응답 내용이 "end(종료)"를 나타내지 않다면, 수신된 데이터는 피니셔 프로파일이고, 이것은 저장영역에 저장된다(S1504). 이와 같이, 프린터 드라이버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접속된(이용가능한) 니어라인 피니셔의 피니셔 프로파일을 취득한다.
여기서, 인라인 피니셔의 프로파일은 니어라인 피니셔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취득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가능한 인라인 피니셔는 제한되지 않으므로, 모든 인라인 피니셔의 프로파일들이 화상 형성 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실제로 접속된 인라인 피니셔의 프로파일에 활성화 플래그(activation flag) 등이 연관되어, 그 접속상태가 표시된다. 피니셔의 설정 등을 위한 처리에서, 활성화된 인라인 피니셔는 이용가능한 피니셔이다.
<프린터 드라이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18 내지 도 20은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하, 프린터 드라이버 화면이라고도 한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게 될 동작과 제어들은 본 발명의 한 부분으로서 포함된다. 프린터 드라이버는 시스템의 화상 형성 장치(예컨대, MFP 또는 프린터)에 의한 출력 동작(예컨대, 인쇄 동작)을 지정하기에 적합한 표시 화면 구조를 갖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키 조작에 의해 인쇄를 지정하는 경우에 컴퓨터 화면에 표시되는 인쇄 설정 GUI는 애플리케이션 등의 조작화면으로부터 표시된다. GUI는 "프린터"의 속성을 표시 및 지정하기 위한 필드를 갖는다. 사용자가 이 필드를 조작하는 경우, 인쇄 설정을 표시 및 변경하기 위한 GUI가 추가로 표시된다. 도 18은 이러한 GUI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의 GUI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설정 파라미터(인쇄출력 처리 조건 데이터)를 설정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된 인쇄 설정 정보에 따라서, 프린터 드라이버는, 화상과 같은 지정된 데이터로부터, 프린터와 같은 송신 목적지(출력 목적지라고도 한다)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인쇄 데이터는 OS에 의해 네트워크 등을 통해 목적지 장치에 인쇄 작업으로서 송신된다.
도 18에서, 참조번호 101은 프린터 드라이버 화면을 나타낸다. 프린터 드라이버 화면(101)의 설정항목들 중에서, 참조번호 102는 타겟 출력 목적지를 선택하기 위한 송신 목적지 선택 박스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이 화면에 표시된 선택 박스(102)를 통하여 시스템의 원하는 출력 목적지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참조번호 103은 인쇄 작업으로부터 출력 페이지를 선택하기 위한 페이지 설정 필드를 나타낸다. 이 필드(103)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작성되어 출력될 복수의 페이지들의 데이터 중 어떤 페이지를 출력할 것인지가 설정된다. 사용자는 이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 설정 필드(103)를 통해 시스템의 화상 형성 장치와 같은 장치에 의해 출력될 페이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든 페이지를 인쇄할 수도 있고, 또는 모든 페이지를 인쇄하지 않고 특정 페이지만을 인쇄할 수도 있다.
참조번호 104는 시스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인쇄 출력될 작업의 출력 매수를 지정하기 위한 복사매수 설정 박스를 나타낸다. 이 박스(104)의 위치에 커서를 이동시켜, 도 18에 도시된 화살표(스크롤바의 화살표)를 클릭하여 복사매수를 증가/감소시킨다. 참조번호 107은 송신 목적지 선택 박스(102)에서 선택된 송신 목적지 장치의 상세 설정을 위한 속성 버튼을 나타낸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버튼(107)에 응답하여, 프린터 드라이버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각종 상세 화면을 컴퓨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18 내지 도 20의 각종 조작화면을 통해 원하는 설정을 행한 후 사용자가 OK 버튼(105)을 클릭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에 따라서 인쇄를 개시할 수 있게 된다. 처리를 취소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취소 버튼(106)를 클릭하면 된다. 이것에 응답하여, 제어부는 인쇄를 취소하고 화면(101)의 표시를 종료한다.
도 19 및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조작화면에서 사용자가 속성 버튼(107)을 클릭하는 것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 화면 상에 표시되는 조작화면(GUI)을 도시하고 있다.
이 화면은 "페이지 설정(page setting)", "피니싱", "용지 공급(paper feeding)" 및 "인쇄 품질(print quality)" 등의 시트와, 이들 각 시트를 선택하기 위한 탭을 갖는다. 사용자가 이들 탭을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조작부(예컨대, 지시장치(미도시))를 통하여) 클릭하면, "페이지 설정"과 연관된 설정, "피니싱"과 연관된 설정, "용지공급"과 연관된 설정, 및 "인쇄품질"과 연관된 설정과 같은 각종의 서로 다른 인쇄출력 조건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도 19는 "페이지 설정" 탭이 클릭된 경우에 표시되는 조작화면(페이지 설정 시트)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화면은 용지 크기 설정 박스(201), 임포지션(imposition) 레이아웃 설정 박스(202), 용지 방향 설정 박스(203), 복사매수 설 정 박스(204) 등을 포함한다. 용지 크기 설정 박스(201)는 사용자가 인쇄될 작업에 대한 인쇄 용지의 용지 크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드이다. 임포지션 레이아웃 설정 박스(202)는 복수 매수의 문서 화상 데이터가 하나의 인쇄 용지의 동일 면에 레이아웃되어 형성되는 레이아웃 모드를 선택하는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필드이다. 임포지션 레이아웃 설정 박스(202)는 또한 레이아웃 모드에서, 복수의 후보들로부터, 그 화상들이 하나의 인쇄 용지의 동일 면에 레이아웃되어 형성될 페이지의 수를 선택하기 위한 필드이다. 용지 방향 설정 박스(203)는 세로(portrait) 및 가로(landscape)와 같은 복수의 선택 후보들로부터 인쇄될 용지의 방향을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재촉하기 위한 필드이다. 복사 매수 설정 박스(204)는 처리될 작업의 인쇄 매수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필드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각 설정 항목 필드(박스)에서 원하는 인쇄 설정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키 조작에 의해 "피니싱" 탭이 선택되고 복수의 피니셔 프로파일이 보유되어 있는 경우, 프린터 드라이버(405)(즉, 제어부(3010))는 피니셔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피니셔 선택 화면(미도시)을 표시한다. 피니셔 선택 화면으로부터 피니셔가 선택되면, 프린터 드라이버는 선택된 피니셔의 프로파일 정보를 로드하고, 로드된 프로파일 정보에 따라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작 화면을 표시부 상에 표시한다. 이 화면은 시스템의 장치들로부터 도 18의 조작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장치에 고유한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설정 정보는 시트 처리를 위한 설정을 포함하는데, 이 시트 처리를 위한 설정은 스테 이플 처리의 설정, 정렬(sorting) 처리의 설정, 펀칭 처리의 설정, 및 제본 처리의 설정을 포함한다. 또한, 단면 인쇄를 실행할 것인지 또는 양면 인쇄를 실행할 것인지에 대한 설정, 및 프린터 등에 의한 색조(color tint)와 같은 파라미터의 변경을 위한 화상 처리와 관련된 미세조정의 설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상세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실행가능한 복수의 설정 화면(설정 박스)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20의 조작화면에서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인쇄방법 설정 박스(301)를 통해 양면 인쇄 모드가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는 도 18의 조작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가 "양면인쇄" 및 "장변제본(long-edge binding)"이라는 설정에 따라서 양면인쇄처리를 실행하도록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제어된다. 니어라인 피니셔에 의한 후처리(예컨대, 양장 제본)가 인쇄 결과물에 대한 후처리로서 지정된 경우, 후처리는 2가지 처리 방법으로 수행된다. 제1 처리 방법에 따르면, 프린터 드라이버는 니어라인 피니셔에 의한 후처리의 내용과 니어라인 피니셔의 ID를 기술하는 작업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을 화상 형성 장치에게 송신한다. 제2 처리방법에 따르면, 프린터 드라이버는 니어라인 피니셔에 의한 후처리의 내용과 작업 ID(식별자)를 기술하는 작업 티켓을 생성하고, 이 작업티켓을 작업제어정보와는 별도로 니어라인 피니셔에게 출력한다. 사용자가 도 20의 조작화면에서 디폴트 버튼(303)을 조작하면, 프린터 드라이버는 도 20의 조작화면의 상세 인쇄 설정을 디폴트 값으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인쇄품질" 탭은 마찬가지로 해상도, 하프 톤(halftone) 설정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OK 버튼(304)이 클릭(지정)되면, 속성설정이 유효화되고 화면은 도 18의 화면으로 복귀된다. 취소 버튼(305)이 클릭(지정)되면, 속성 설정이 무효화되며 화면은 도 18의 화면으로 복귀된다.
각종의 상세 설정을 포함하는 인쇄처리 조건들 중에서, 클라이언트는 도 18 내지 도 20의 각종 인쇄 설정 화면을 통해 설정된 각종 인쇄조건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의 작업출력요구 및 그 작업의 화상 데이터와 함께 송신한다. 그 결과, 클라이언트에 의해 선택된 화상 형성 장치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행된 출력설정에 따라서 클라이언트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피니싱이 선택된 후 "피니싱" 시트 상에 표시되는 항목들은 화상 형성 장치 자체의 프린터 프로파일 및 도 17의 절차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취득된 피니셔 프로파일들로부터 선택된 피니셔 프로파일에 기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니싱" 시트는 선택된 니어라인 피니셔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된 인라인 피니셔로부터 선택되는 피니셔의 기능에 대응하는 항목들을 도시한다. 이들 항목들에는 미리 정해진 디폴트 값들이 주어진다. 예를 들어, 도 7의 피니셔 프로파일이 보유되어 있는 경우, 도 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스테이플 위치 지정" 버튼(306)이 활성화된다. 이 버튼(306)이 조작자에 의해 클릭되면, 제본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메뉴 필드가 표시된다. 이 메뉴 필드에는, 도 7의 프로파일에서 "BookletType" 탭에 정의된 6가지 제본방법이 선택 후보로서 제공된다. 예를 들어 도 20의 "피니싱의 상세" 버튼(307)을 클릭하여 제단 후의 크기를 표시함으로써 도 8의 프로파일에 포함된 제단 크기 등이 설정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에 의한 인쇄 처리>
이하, 프린터 드라이버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인쇄 속성을 설정하여 인쇄 출력하는 흐름을 도 21 및 도 22의 흐름도와 도 18 내지 도 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사용자에 의해 인쇄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22는 사용자가 인쇄를 지정한 후 인쇄될 때까지의 흐름도이다.
인쇄를 설정함에 있어서, S501에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메뉴로부터 인쇄 설정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이 사용자로부터 수취된다. S502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OS의 API를 호출하여 프린터 드라이버에게 인쇄 설정 속성 시트를 표시하도록 지시한다. 이 지시에 응답하여, OS는 프린터 드라이버에게 인쇄 설정 속성 시트를 표시하도록 지시한다. S503에서, 프린터 드라이버(구체적으로 프린터 드라이버의 부분으로서 작용하는 사용자 I/F 드라이버)는 이러한 지시를 수취하고, 도 18에 도시된 인쇄 설정 속성 시트를 표시한다. 그 후, S504에서, 사용자는 도 18 내지 도 20의 전술한 속성 시트들 상에 원하는 인쇄 설정을 행한다. 프린터 드라이버는 설정 조작에 따라서 설정값들을 저장한다. 사용자가 도 18의 속성 시트 상의 OK 버튼을 클릭하면, 프린터 드라이버는 설정된 인쇄 설정 정보를 최종적으로 승인한다. OK 버튼의 클릭에 응답하여, S505에서, 프린터 드라이버(사용자 I/F 드라이버)는 OS의 API를 호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인쇄 설정 정보의 값들을 OS 내의 프린터 드라이버 설정 저장영역(403)에 저장한다. 그 결과, 인쇄 설정 정보의 입력 및 저장이 완료된다.
문서를 인쇄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메뉴로부터 인쇄 메뉴를 선택한다. 이 선택 지시에 응답하여, S601에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OS의 API를 호출하고, 프린터 드라이버에게 인쇄를 시작할 것을 지시한다. 이 인쇄 지시에 응답하여, OS는 프린터 드라이버에게 인쇄를 시작할 것을 지시한다. S602에서, 프린터 드라이버를 구성하는 그래픽 드라이버는 저장된 인쇄 설정 정보를 OS의 프린터 드라이버 설정 저장영역(403)으로부터 판독하고,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작업제어정보, 및 선택된 피니셔에 대한 피니싱 설정을 지정하기 위한 작업제어정보를 생성한다. 프린터 드라이버는 생성된 작업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을 생성하며, 이 작업을 화상 형성 장치에 송신하거나(제1 처리 방법), 이 인쇄 작업과 작업제어정보의 작업 티켓을 화상 형성 장치 및 선택된 피니셔에게 각각 송신한다(제2 처리방법). 작업제어정보는 예를 들어 JDF(Job Definition Format) 커맨드, PJL(Print Job Language) 커맨드 및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커맨드를 포함한다. JDF는 XML-기반 파일 형식의 약어인데, 인쇄 결과물을 작성 및 형성하는 모든 단계들을 포괄적으로 정의, 기술, 관리 및 제어하도록 정의된 것이다. 제1 실시예에서, JDF 형식의 데이터를 간단히 작업 티켓이라고 한다. PJL은 PDL로 기술된 데이터를 인쇄 작업으로서 처리하기 위한 일반 언어이다. 본 예에서, JDF가 작업제어정보로서 사용된다. 선택된 피니셔가 니어라인 피니셔인 경우, 작업 티켓은 작업제어정보로서 니어라인 피니셔에게 송신된다. 선택된 피니셔가 인라인 피니셔인 경우, PDL에 기술된 인쇄 작업 또는 작업제어정보 내의 PJL이 인라인 피니셔에 접속된 화상 형성 장치에 송신된다. 선택된 피니셔가 오프라인 피니셔인 경우, 작업제어정보의 내용을 사용자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오프라인 피니셔에 입력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함으로써 인쇄 작업이 생성된다. 그런 다음, 인쇄 작업은 화상 형성 장치에 송신된다. 송신 목적지가 니어라인 피니셔인 경우, 목적지 주소는 피니셔 프로파일과 연관되어 저장된 IP 주소이다.
S603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문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OS를 통한 인쇄 렌더링을 수행한다. S604에서, OS에 발행된 인쇄 렌더링 지시는 인쇄 렌더링 지시로서 그래픽 드라이버에 전송된다. 그래픽 드라이버는 수신된 인쇄 렌더링 지시를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해석가능한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여, 이 렌더링 정보를 인쇄 작업을 형성하는 데이터(간단히 인쇄 작업이라고도 한다)로서 화상 형성 장치에 송신한다.
S605에서, 렌더링 정보가 수신되면, 화상 형성 장치는 렌더링을 실행하며, 수신된 렌더링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한다. 렌더링 정보를 표현하는 페이지 기술 언어의 예에는 LIPS, PCL 및 PS가 있다. 전술한 절차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인쇄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니어라인 피니셔의 주소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피니셔 프로파일에 대응하도록 만들어지며, 피니셔 프로파일과 함께 판독된다. 니어라인 피니셔의 주소는 또한 호스트 컴퓨터에 미리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니어라인 피니셔의 설정 정보들을 결합한 후처리 설정 정보는 선택된 피니셔에 대응하도록 생성된다. 예를 들어, 선택된 니어라인 피니셔의 기능 및 설정항목들은 그 프로파일에 의해 지정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된 기능의 설정항목들은 상세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며, 입력값들이 결합되어 작업제어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작업제어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응하는 니어라인 피니셔에 송신된다.
도 23은 호스트에서의 인쇄처리의 흐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의 예에서 사용자는 인쇄 개시 전에 인쇄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쇄될 데이터를 작성하며, 인쇄할 드라이버를 호출한다(S701). 피니셔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도 18의 속성 버튼(107)을 클릭하면, 드라이버는 상세 설정 화면(도 19 및 도 20)을 표시한다(S702). 사용자가 피니싱 처리를 설정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피니싱의 상세" 버튼(307) 등을 클릭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세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S703). "피니싱의 상세" 설정 화면에서,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정보로서 보유되어 있는 지원되는 니어라인 피니셔들로부터 한 피니셔가 선택되면, 그 피니셔에 의해 제공되는 피니싱 기능에 대응하는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S704). 이 처리는 모든 설정이 행해질 때까지 반복된다(S705). 설정이 완료되고 OK 버튼(105)이 클릭되면, 인쇄 처리가 실행된다(S706). 인쇄 처리시, 프린터 드라이버는 작업제어정보(필요하다면, 인라인 피니셔에 대한 후처리의 내용을 기술하는 정보) 및 렌더링 지시(인쇄 작업의 내용)를 화상 형성 장치에 출력한다(S707). 프린터 드라이버는 후처리의 내용을 기술하는 작업제어정보를 니어라인 피니셔에게 출력한다. 니어라인 피니셔에 대한 작업제어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2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작업제어정보의 구조예>
도 24는 작업제어정보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작업제어정보는 JDF(Job Definition Format) 형식으로 기술된 작업 티켓이라고 한다. JDF는 XML을 이용하여 정의된다. 도 24에서, "JDF" 태그(2600)는 작업 ID 등을 기술한다. "SaddleStitchingParams" 태그(2601)는 중철과 관련된 파라미터 설정이며, "CuttingParams" 태그(2602)는 제단과 관련된 파라미터 설정이다. 이들 태그는 "ResourcePool" 태그에 기술되어 있으며, 사용된 리소스(기능)로서 기술된다. "ResourceLinkPool" 태그(2603)는 중철 및 그 후의 제단을 실행하는 예를 기술하고 있다. 이 기술의 형식은 JDF로서 정의되며, 실행될 처리는 인라인 피니셔의 기능에 따라서 기술될 수 있다. 도 1의 니어라인 피니셔에 의한 양장 제본도 JDF로 기술될 수 있다. 이상, 도 24의 중철기능을 갖는 제본 장치와 제단 장치의 양방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 니어라인 피니셔로서 등록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작업제어정보는 그 작업제어정보의 목적지의 장치에 의해 수행될 인쇄후 처리(포스트-프레스 처리)의 절차를 기술하는 것으로서, 상기 목적지에 송신된다. 이 절차들은 피니셔의 동작의 상세를 지정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파라미터들이다. 예를 들어, 이 절차들은 스테이플 위치 및 간격, 스테이플될 매수, 바인딩될 매수, 복사매수, 제단 크기 등을 정의하는 파라미터들이다. 피니셔는 작업제어정보의 태그에 의해 특정된 파라미터들을 그 태그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며, 이 파라미터의 값에 따라서 후처리를 실행한다. 다른 방법으로, 작업제어정보는 태그를 키로서 사용하여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판독하도록 직접 적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작업제어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설정된, 특히 프린터 드라이버의 "피니싱" 시트에 설정된 피니싱 처리 설정에 따라서 기술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중철이 지정되면, 도 24의 태그(2601)가 기술된다. 이것은 또한 다른 인쇄후 처리 설정에도 적용되며, 이들 설정은 JDF 정의에 따라서 기술된다. 이를 위해, 프로파일 정보에 기술된 태그들, 설정항목의 식별자, 및 작업제어정보에 기술된 태그들 사이의 대응관계를 기술하며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조회가능한 대응(correspondence) 테이블이 준비된다. 프로파일 정보에 포함된 태그들에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한 필드들이 표시된다. 설정이 완료된 후, 설정 항목들에 대응하는 태그들(항목들의 식별자들)이 작업제어정보에 추가되어 작업제어정보를 형성한다. 각 태그의 속성값은 피니셔에 송신 및 판독되어 조작 파라미터로서 설정된다. 이것은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설정된 파라미터 및 태그를 서로 연관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방법이 채용될 수도 있다.
<피니싱 처리>
이하, 도 25를 참조하여 작업제어정보의 피니싱 처리의 기술에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흐름을 설명한다. 이 경우, 프린터 드라이버는 제1 처리방법을 채용하며, 인쇄작업에 니어라인 피니셔에 대한 후처리의 내용을 기술하는 작업제어정보를 설정하여, 그 인쇄작업을 화상 형성 장치에 송신한다. 그러면, 화상 형성 장치는 작업제어정보를 수신한다. S2701에서,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작업제어정보가 프린터 드라이버 등으로부터 수신된다. 이 작업제어정보는 S2702에서 해석되며, S2703에서 화상 형성 장치에 보유되어 있는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수신된 작업제어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피니셔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프로파일 정보에 기술된 태그들과 작업제어정보에 기술된 태그들 사이의 대응관계를 기술하며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조회가능한 대응 테이블이 준비된다. 작업제어정보에 기술된 태그들에 대응하는 태그들에 대해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수집된 피니셔 프로파일이 스캔된다. 피니셔 프로파일이 모든 기능 태그들에 대하여 일치(hit)하면, 그 작업제어정보는 처리가 가능하다(즉, 지정된 피니싱 처리의 실행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에서, 프린터 드라이버가 피니셔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작업제어정보를 생성하므로, S2709은 건너뛸 수 있다.
작업제어정보에 기술되어 있고 기능을 표현하는 태그에 기술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본 처리는 종료된다. 하나의 프로세스라도 검지되면, S2704에서 어떤 타입의 피니셔가 등록되어 있는지가 판정된다. 인라인 피니셔가 등록되어 있다면, S2705로 진행한다. S2706에서, 인라인 피니셔에 대한 작업이 작업제어정보에 의해 지정된 설정에 따라서 제어된다. S2704에서의 판정은 S2703의 스캔에서 일치된 프로파일 정보와 연관된 IP 주소에 기초하여 실현될 수 있다. 피니셔가 IP 주소에 관련되어 있다면, 이것은 니어라인 피니셔이다. 오프라인 피니셔는 어떠한 프로파일 정보도 가지지 않으며, 작업 ID 등으로부터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피니셔에 대한 작업제어정보의 작업 ID는 오프라인 피니셔를 판정할 수 있는 코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S2703에서, 오프 라인 피니셔에 대한 작업제어정보는 판정 대상으로부터 제외된다.
니어라인 피니셔에 의한 프로세스가 검지되면, 화상 형성 장치는 S2708에서 니어라인 피니셔에 대한 작업제어정보 및 작업 ID를 송신한다. 송신 목적지는 니어라인 피니셔의 접속시 입력된 IP 주소이다. 그 피니셔가 오프라인 피니셔인 경우, S2710에서 작업 ID 및 지정된 피니셔명의 인쇄 준비 지시가 발행된다.
제1 실시예에서, 프린터 드라이버가 제2 처리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 지정된 피니셔에게 직접 작업제어정보를 송신하며, 프린터는 니어라인 피니셔에 대한 작업제어정보만을 수신한다. 그러므로, S2706은 S2702의 직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린터는 작업제어정보 외에도 인쇄작업을 수신하며, 이 인쇄작업을 실행하여 인쇄처리를 수행한다.
S2711에서, 모든 프로세스(후처리)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실행될 프로세스가 남아있다면, S2704로 복귀하여 다음 프로세스를 위한 처리가 계속된다. S2711에서 모든 프로세스가 완료된 것으로 판정되면, 본 처리는 종료된다.
상기한 방식에서는, 프린터의 인라인 피니셔에 의해 후처리가 실행된다. 니어라인 피니셔의 작업제어정보가 프린터에 송신되더라도, 작업제어정보는 목적지측의 니어라인에 전송될 수 있다.
<니어라인 피니셔에 의한 인쇄후 처리(1)>
도 26은 작업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니어라인 피니셔에서의 일련의 프로세스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니어라인 피니셔는 네트워크부(2101)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 내의 프린터 드라이버(제2 처리 방법의 경우)로부터 또는 화상 형성 장치(제1 처리 방법의 경우)로부터 작업제어정보를 수신한다(S2401). 작업제어정보 해석부(2105)가 수신된 작업제어정보를 해석하는 동안, 작업제어정보를 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내부 형식으로 변환한다(S2402). 변환된 작업제어정보는 작업 ID와 함께 저장장치(2102)에 저장된다(S2403). 이 상태에서, 조작부(2104)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작업 ID 입력을 기다린다(S2404).
작업 ID가 입력된 후, S2405에서, 작업 제어부(2103)는 저장장치(2102)로부터 대응하는 작업제어정보를 취득하여, 이것을 장치제어부(2106)에 설정하며, 후처리 장치(2200)가 그 설정에 따라서 지정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작업제어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또는 MFP)가 네트워크에 추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작업제어정보 서버(그 주소)가 피니셔에 등록된다. 조작부으로부터 작업 ID가 입력되면, 피니셔가 작업제어정보 서버에 접속된다. 입력된 작업 ID에 대응하는 작업제어정보가 작업제어정보 서버로부터 취득된 후 해석되어 후처리 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절차에 의해,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취득된 피니셔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니어라인 피니셔를 이용하여 인쇄후 처리를 설정하라는 프롬프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린터 드라이버는 작업제어정보를 생성하고 니어라인 피니셔에게 송신하여, 니어라인 피니셔에 의한 인쇄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린터 드라이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서, 사용자는 그 피니셔가 니어라인 피니셔라는 사실을 인식하지 않고도 니어라인 피니셔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변형예]
<니어라인 피니셔에 의한 포스트-프레스 처리(2)>
도 27은 피니셔에 의한 또 다른 처리예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본 예에서, 프린터 드라이버는 니어라인 피니셔에게 어떠한 작업제어정보도 송신하지 않으며, 작업제어정보에 대한 요구가 있을 때까지 그것을 보유한다. 피니셔가 프린터 드라이버의 작업제어정보를 요구하면, 프린터 드라이버는 그 요구에 응답하여 작업제어정보를 송신한다. 이 처리를 제3 처리 방법으로 정의한다.
본 변형예에서, 피니셔는 조작부(2104)으로부터의 사용자에 의한 작업 ID 입력을 기다린다(S1701). S1702에서, 작업 제어부의 프로세서는 작업 ID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사용자가 작업 ID를 입력하였다면, 프로세서는 호스트(클라이언트 PC(1801))의 작업 ID에 대응하는 작업제어정보를 요구하여, 작업 ID에 대응하는 작업제어정보를 취득한다(S1703). 프린터 드라이버가 니어라인 피니셔로부터 작업 ID가 지정되어 있는 작업제어정보에 대한 요구를 수신하면, 지정된 작업 ID에 대응하는 작업제어정보(작업티켓)가 보유되어 있는 저장영역을 검색하여, 검색된 작업제어정보를 니어라인 피니셔에게 회송한다.
아무런 작업 ID도 입력되지 않았다면, 니어라인 피니셔는 작업 ID의 입력을 계속 기다린다. S1704에서, 피니셔는 출력 매뉴얼에 기초하여 조작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통상 설정되던 파라미터 등(예컨대 용지 폭)을 자동적으로 설정한다. S1705에서, 사용자에게 설정된 내용을 확인하라는 프롬프트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설정이 부정확한지 또는 정확한지를 입력한다.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니어라인 피니셔는 현재의 설정이 부정확한지 여부를 판정한다(S1706). 설정이 정확하다 면, 설정된 내용에 기초하여 피니싱 처리가 수행되며, 설정이 부정확하다면, S1708에서 부정확한 내용을 교정하기 위하여 수작업으로 설정하라는 프롬프트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복수의 피니셔가 접속되어 있다면, 다음 피니셔에 대해서 동일한 처리가 반복된다.
[제2 변형예]
제1 변형예에서, 니어라인 피니셔의 프로파일이 프린터에 의해 수집되어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취득된다. 그러나, 작업제어정보를 프린터 드라이버로부터 니어라인 피니셔에게 송신하는 제2 처리 방법에서는, 프린터가 항상 니어라인 피니셔의 프로파일 정보를 수집할 필요가 없다. 아래에서는, 도 28을 참조하여, 프린터 드라이버가 니어라인 피니셔로부터 직접 니어라인 피니셔의 프로파일을 취득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프린터 드라이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피니셔를 지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피니셔의 IP 주소를 입력함으로써, 또는 이용가능한 피니셔들의 리스트 또는 네트워크 상의 피니셔들의 리스트로부터 사용할 피니셔를 선택한다. 프린터 드라이버는 S2801에서 선택된 피니셔를 지정한다(예컨대, 미리 정해진 메모리 영역에 주소 등이 기록된다). 프린터 드라이버는 선택된 피니셔에 대하여 그 피니셔가 프로파일을 갖고 있는지를 조사한다(S2802). 피니셔가 프로파일을 보유하고 있다면, 프린터 드라이버는 곧바로 그 피니셔의 프로파일을 요구한다(S2803). 피니셔가 프로파일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프린터 드라이버는 화상 형성 장치의 프로파일을 요구하고(S2804), 그것을 수신한다(S2805).
전술한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피니셔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피니셔의 프로파일을 수집할 필요가 없다.
[제3 변형예]
제1 실시예에서, 사용할 피니셔가 프린터 드라이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선택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그와 반대로, 피니셔가 선택되지 않고, 이용가능한 피니셔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의 설정 필드들이 피니셔들의 구분 없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된다. 사용할 니어라인 피니셔는 설정 항목들로부터 지정된다. 먼저, 프린터 드라이버는 이용가능한 인라인 및 니어라인 피니셔들의 기능을 상세 설정 시트 상에 표시하여 이들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설정 기능에 관련된 피니셔가 지정된다. 지정된 피니셔가 니어라인 피니셔라면, 니어라인 피니셔에 대한 작업제어정보가 생성되어 송신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기능선택버튼(설정 박스 또는 필드)을 피니셔의 지정을 위한 식별자와 링크시키는 피니셔 기능 링크 정보를 RAM 등에 저장함으로써 피니셔가 지정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세설정 시트가 작성될 때의 피니셔 프로파일을 참조함으로써 링크 정보가 작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피니셔와 기능을 연관짓는 다른 방법이 채용될 수도 있다. 피니싱 설정이 행해진 후, 각 피니셔에 대하여 설정된 기능들을 결합한 작업제어정보가 생성되어 피니셔에게 송신된다. 이용가능한 기능들이 복수의 피니셔들 사이에서 서로 중첩되는 경우, 부여된 우선순위에 따라서 사용할 피니셔가 결정되는데, 이것에 대해서는 제2 실시 예에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는 인라인 피니셔, 니어라인 피니셔, 다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인라인 피니셔, 오프라인 피니셔, 및 기타의 순으로 설정된다.
[제2 실시예]
어떤 경우에는 사용자가 복수의 피니셔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프린터와 유선으로 접속된 인라인 피니셔와, 프린터로부터는 독립하여 있지만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니어라인 피니셔와, 통신에 의해서조차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오프라인 피니셔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프린터 드라이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할 피니셔를 선택하라는 프롬프트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선택된 피니셔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그와 반대로, 제2 실시예의 목적은, 피니셔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며, 사용자가 피니셔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한 채로, 프린터 드라이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설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도 29 및 그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PC(1801), 화상 형성 장치(프린터)(1803), 화상 형성 장치에 유선으로 접속된 인라인 피니셔의 일례로서 작용하는 중철기능을 갖는 제본 장치(1803a), 및 네트워크에 접속된 니어라인 피니셔의 일례로서 작용하는 중철기능을 갖는 제본 장치(1805)를 구비한다. 이들 장치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 접속되지 않은 오프라인 피니셔로서 작용하는 중철기능을 갖는 제본 장치(1901)도 본 시스템의 구성요소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기능을 갖는 복수의 피니셔가 시스템 내에 포함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점을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호스트에서의 인쇄 처리>
도 30은 호스트에서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본 처리가 수행되기 전에, 호스트 컴퓨터는 피니셔 프로파일을 취득한다. 이것은 다른 변형예에도 적용된다. 인라인 및 니어라인 피니셔들의 프로파일은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취득될 수 있다. 오프라인 피니셔의 경우 그 프로파일은 인터넷의 벤더 사이트로부터 취득된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쇄될 데이터를 작성하며 드라이버를 호출한다. 이것에 응답하여, 드라이버가 기동된다(S3001). 피니셔를 설정하기 위하여, 드라이버는 도 18의 속성버튼이 클릭된 경우 상세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S3002). 사용자가 인쇄될 데이터에 대한 피니싱 처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드라이버는 상세 설정 화면도 표시한다(S3003). 이 상세설정 화면에서, 필요한 기능, 즉 제2 실시예에서는 중철제본기능이, 드라이버에 의해 정보로서 보유되어 있는 지원되는 후처리 기능들의 리스트로부터 선택되면,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S3004). 사용자는 이 화면에서 각종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이 처리는 모든 설정이 행해질 때까지 반복된다(S3005). 설정이 완료되면, OK 버튼(105)이 눌러져 인쇄지시가 실행된다(S3006).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하도록 하는 인쇄작업이 생성된다. 드라이버는 중철제본기능을 갖는 복수의 피니셔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S3007). 복수의 피니셔가 존재한다면, 그 작업에서 사용할 인쇄 용지의 매수를 카운트한다(S3008). 인쇄 용지의 매수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카운트된 페이지의 수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 의한 매수의 지정을 판독하거나, 인쇄될 문서 데이터와 인쇄 설정으로부터 카운트될 수 있다. 인라인 제본 장치의 한계인 미리 정해진 값(제2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20매의 인쇄용지)과 동일한지 또는 그보다 작은지가 판정된다(S3009). 인쇄 매수가 한계값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작다면, 인라인 제본 장치가 자동 선택된다(S3010). 인쇄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인쇄 작업 및 후처리 지시를 포함하는 인쇄제어정보가 호스트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803)에 출력된다(S3012).
인쇄 매수가 한계값보다 크다면, 현재의 작업은 인라인 제본 장치(1803a)에 의해 처리될 수 없다. 이 때문에, 니어라인 제본 장치는 상기 처리를 수행하도록 지시받는다(S3011). 이 지시는 작업제어정보이다.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대응하는 니어라인 피니셔를 지정할 수 있다면, 니어라인 피니셔에 의해 실행될 인쇄후 처리(본 예에서는, 중철제본)의 설정(피니셔의 파라미터로서 작용하는 값들: 이것은 제1 실시예에도 적용된다)이 송신된다. 인쇄 작업은 MFP에 송신된다(S3012). S3007에서, 하나의 피니셔만 중철제본기능을 가지므로, 제본 장치에 대하여 작업제어정보가 생성되어 출력된다(S3013). 작업제어정보를 수신하면, 피니셔는 작업제어정보에 포함된 설정값들에 따라서 조작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고, 후처리를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피니셔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인라인 피니셔가 필요한 성능을 갖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인라인 피니셔가 필요한 성능을 갖고 있다면, 그 인라인 피니셔를 이용하는 피니셔가 결정되며, 후처리 파라미터들을 기술하는 작업제어정보가 인라인 피니셔에 발행된다. 인라인 피니셔가 존재하지 않거나 필요한 성능도 갖고 있지 않다면, 후처리 파라미터들을 기술하는 작업제어정보가 니어라인 피니셔에 발행된다. 이와 같이, 사용할 피니셔가 필요한 성능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제1 변형예]
이하, 제2 실시예에 대한 제1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31은 피니셔 관리 테이블(902)(도 9)의 몇몇 콘텐츠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테이블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가능한 피니셔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10의 항목들에 추가하여 우선 순위가 저장되어, 사용자가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도 32를 참조하여, 본 변형예에서의 호스트에 의한 인쇄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쇄될 데이터를 작성하며 인쇄할 드라이버를 호출한다. 이것에 응답하여, 드라이버가 기동된다(S3201). 설정 화면에서 도 18의 속성버튼이 클릭되면, 드라이버는 피니셔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세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S3202). 사용자가 인쇄될 데이터에 대한 피니싱 처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드라이버는 상세 설정 화면(피니싱 시트)도 표시한다(S3203). 이 상세설정 화면에서, 필요한 기능, 즉 본 변형예에서는 중철제본기능이, 드라이버에 의해 정보로서 보유되어 있는 지원되는 후처리 기능들의 리스트로부터 선택되면(S3204), 각종 설정이 행해진다. 이 처리는 중철제본기능에 대하여 모든 설정이 행해질 때까지 반복된다(S3205). 설정이 완료되면, OK 버튼(105)이 눌러져 인쇄지시가 실행된다(S3206). 드라이버는 중철제본기능을 갖는 복수의 피니셔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S3207). 복수의 피니셔가 존재한다면, 도 31에 도시된 피니셔 관리 테이블로부터 우선순위가 판독된다(S3208). 최고 우선순위를 갖는 피니셔가 검색되며, 그 피니셔가 니어라인 제본 장치라면, 니어라인 제본 장치에 대하여 제본설정이 수행된다(S3210). 여기서, 제본설정을 수행하는 것은 설정에 따라서 작업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것이다. 최고 우선순위를 갖는 피니셔가 인라인 제본 장치라면, 인라인 제본 장치에 대하여 제본설정이 수행된다(S3211). 그 후, 호스트가 작업을 MFP에 출력한다(S3212). S3207에서 하나의 피니셔만 중철제본기능을 갖는다면, 그 제본 장치에 대하여 설정이 행해진다(S3213). 그런 다음, 처리가 종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변형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피니셔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피니셔에 설정된 우선순위가 판정된다. 최고의 우선순위를 갖는 피니셔가 사용할 피니셔로서 결정되며, 후처리 파라미터들을 기술하는 작업제어정보가 피니셔에 발행된다. 사용할 피니셔는 미리 정해질 수 있으며, 그 피니셔가 고장나면, 우선순위를 변경함으로써 교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할 피니셔가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제2 변형예]
이하, 도 33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대한 제2 변형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 동일한 성능을 갖는 복수의 피니셔가 존재하는 경우, 제2 변형예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피니셔들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프롬프트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쇄될 데이터를 작성하며 드라이버를 호출한다. 이것에 응답하여, 드라이버가 기동된다(S3301). 도 18의 속성버튼이 클릭되면, 사용자가 피니셔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드라이버는 상세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S3302). 사용자가 인쇄될 데이터에 대한 피니싱 처리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드라이버는 상세 설정 화면도 표시한다(S3303). 이 상세설정 화면에서, 필요한 기능, 즉 제2 실시예에서는 중철제본기능이, 드라이버에 의해 정보로서 보유되어 있는 지원되는 후처리 기능들의 리스트로부터 선택되면, 중철제본기능을 위한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S3304). 사용자는 이 화면에서 각종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이 처리는 모든 설정이 행해질 때까지 반복된다(S3305). 설정이 완료되면, OK 버튼(105)이 눌러져 인쇄지시가 실행된다(S3306). 이 때,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하도록 하는 인쇄작업이 생성된다. 드라이버는 중철제본기능을 갖는 복수의 피니셔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S3307). 복수의 피니셔가 존재한다면, 그 작업에서 사용할 인쇄 용지의 매수를 카운트한다(S3308). 인쇄 용지의 매수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카운트된 페이지의 수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 의한 매수의 지정을 판독하거나, 인쇄될 문서 데이터와 인쇄 설정으로부터 카운트될 수 있다. 인라인 제본 장치의 한계로서 작용하는 미리 정해진 값(제2 변형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20매의 인쇄용지)과 동일한지 또는 그보다 작은지가 판정된다(S3309). 인쇄 매수가 한계값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작다면, 인라인 피니셔 및 니어라인 피니셔에 의해 후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용가능한 피니셔들(인라인 및 니어라인 피니셔를 포함한다)의 리스트가 표시되어 피니셔를 선택하라는 프롬프트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S3310). 사용자가 피니셔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피니셔에게 송신될 작업제어정보가 생성되어 선택된 피니셔에게 송신된다(S3311). 인쇄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인쇄 작업 및 후처리 지시를 포함하는 인쇄제어정보가 호스트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803)에 출력된다(S3313).
인쇄 매수가 한계값보다 크다면, 현재의 작업은 인라인 제본 장치(1803a)에 의해 처리될 수 없다. 이 때문에, 니어라인 제본 장치는 상기 처리를 수행하도록 지시받는다(S3312). 이 지시는 작업제어정보이다.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대응하는 니어라인 피니셔를 지정할 수 있다면, 니어라인 피니셔에 의해 실행될 인쇄후 처리(본 예에서는, 중철제본)의 설정(피니셔의 파라미터로서 작용하는 값들: 이것은 제1 실시예에도 적용된다)이 송신된다. 인쇄 작업은 MFP에 송신된다(S3313). S3307에서, 하나의 피니셔만 중철제본기능을 가지므로, 제본 장치에 대하여 작업제어정보가 생성되어 출력된다(S3314). 작업제어정보를 수신하면, 피니셔는 작업제어정보에 포함된 설정값들에 따라서 조작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고, 후처리를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변형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피니셔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인라인 피니셔가 필요한 성능을 갖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인라인 피니셔가 필요한 성능을 갖고 있다면, 사용자에게 이용가능한 인라인 및 니어라인 피니셔들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프롬프트가 제공되며, 선택된 피니셔가 사용할 피니셔로서 결정된다. 그런 다음, 후처리 파라미터들을 기술하는 작업제어정보가 선택된 피니셔에 발행된다. 인라인 피니셔가 존재하지 않거나 필요한 성능도 갖고 있지 않다면, 후처리 파라미터들을 기술하는 작업제어정보가 니어라인 피니셔에 발행된다. 그 결과, 사용할 피니셔가 필요한 성능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한 성능을 갖는 피니셔들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3 변형예]
도 33의 S3310에서 사용자에게 피니셔를 선택하라는 프롬프트가 제공된다. 다른 방법으로, 도 31의 우선순위 테이블을 조회함으로써 최고의 우선순위를 갖는 피니셔가 선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무조건적으로 우선순위를 따르지 않고도 이용가능한 피니셔들로부터 최고의 우선순위를 갖는 피니셔가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장치(예컨대, 호스트 컴퓨터, 인터페이스 장치, 리더, 및 프린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단일 장치(예컨대, 복사기 또는 팩시밀리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코드들을 기록한 기억매체(기록매체)를 상기 시 스템 또는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가 상기 기억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들을 판독 및 실행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들 그 자체도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을 구현하며, 상기 프로그램 코드들 및 상기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기억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한다.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들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컴퓨터 상에서 동작하는 OS 등이 상기 프로그램 코드들의 지시에 기초하여 실제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들이 구현된다. 기억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들이, 상기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확장카드의 메모리 또는 상기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확장부의 메모리에 기록되고, 상기 기능확장카드 또는 기능확장부의 CPU가 상기 프로그램 코드들의 지시에 기초하여 실제 처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들이 구현된다.
<장치의 기능 블록>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제어장치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4의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흐름도에 도시된 프로그램들을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구현된다.
도 34에서, 화상 형성 장치(3402)는 기능 정보(프로파일에 대응함)(3402a)를 저장한다. 이 기능 정보는 후처리 장치(피니셔에 대응함)(3403)의 기능 정보(3403a)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MFP(화상 형성 장치에 대응함)(1801)가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경우에 대응한다.
정보 처리 장치(3401)는 화상 형성 장치에게 인쇄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때, 로딩부(3411)는 인쇄후 처리 장치(3403)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정보를 로드한다. 이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부(3412)는 인쇄 장치에 의해 처리가능한 인쇄 기능 및 인쇄후 처리 장치에 의해 인쇄 후에 처리가능한 후처리 기능을 식별한다. 표시 제어부(3415)는 표시부(3417)상에 인쇄 기능 및 후처리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설정 정보 생성부(3416)는 인쇄후 처리 장치(3403)에 의해 실행될 인쇄후 처리의 설정 정보(후처리 설정 정보)를 생성하며, 이 정보를 설정 정보(3418)에 저장한다. 표시된 설정 화면을 통해 입력된 인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생성부(3413)는 화상 형성 장치(3402)에 의해 인쇄될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때, 인쇄 데이터는 인쇄 설정 정보(3418a) 및 후처리 설정 정보(3418b)를 참조함으로써 생성된다. 데이터 생성부(3413)에 의해 생성된 인쇄 데이터는 화상 형성 장치(3402)에 송신된다. 설정 정보 생성부(3416)에 의해 생성된 후처리 설정 정보(3418b)는 인쇄후 처리 장치(3403) 또는 화상 형성 장치(3402)에 송신된다.
여기서, 로딩부(3411)는 도 17의 S1501, S1502 및 S1504에 의해 구현된다. 식별부(3412) 및 표시 제어부(3415)는 도 21의 S503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된다. 설정 정보 생성부(3416) 및 데이터 생성부(3413)는 그래픽 드라이버에 대응한다. 그래픽 드라이버는 인쇄개시지시에 따라서 OS의 프린터 드라이버 설정 저장영역(403)으로부터 저장된 인쇄 설정 정보를 판독한다. 그래픽 드라이버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작업제어정보인 인쇄 데이터 및 선택된 피니셔에 대한 피니싱 설정을 지정 하기 위한 작업제어정보인 후처리 설정 정보를 생성한다.
<실시예들에 설명된 본 발명의 효과>
전술한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에 따르면, 프린터와 마찬가지로, 프린터 드라이버는 사용할 니어라인 피니셔에 대해서도 작업제어정보를 생성 및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피니셔를 설정하지 않고도 피니셔가 설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인쇄후 처리 단계의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어떠한 설정오류도 방지된다. 니어라인 피니셔 자체가 프로파일 정보를 가지며,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직접 또는 프린터를 통하여 프로파일 정보를 수집한다. 이것에 의해, 새로 접속되는 니어라인 피니셔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프린터 드라이버로부터 발행된 작업제어정보는 프린터를 통하여 니어라인 피니셔에 전송되므로, 프린터 드라이버는 니어라인 피니셔에 대한 작업제어정보를 특별히 생성하거나 송신할 필요가 없다. 프린터 드라이버의 프로그래밍 작업이 간소화될 수 있어, 코드량의 감축 및 프로그램 오류의 감소에 기여한다.
복수의 피니셔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지정된 피니셔를 우선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우선순위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할 피니셔를 지정할 수 있다.
인라인 피니셔를 우선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인쇄 결과물을 인쇄 장치로부터 후처리 장치로 운반하는 작업을 줄일 수 있어, 수고의 절감 및 생산성의 증대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일탈하지 않고도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른 많은 실 시예가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에 의해 접속되는 인쇄후 처리 장치에 대하여 인쇄 속성들과 일치되는 속성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인쇄처리의 생산성이 증대되며 설정오류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새로 접속된 인쇄후 처리 장치에 대한 정보 입력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발행된 후처리 설정 정보는 인쇄 장치를 통해 인쇄후 처리 장치에 전송되므로, 정보 처리 장치는 인쇄후 처리 장치를 위한 후처리 설정 정보를 특별히 생성하거나 송신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정보 처리 장치의 프로그래밍이 간소화될 수 있어, 프로그램 코드의 감소와 오류의 감소에 기여한다. 복수의 인쇄후 처리 장치가 이용가능한 경우,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지정되는 인쇄후 처리 장치가 우선적으로 채택될 수 있다. 그 우선순위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할 인쇄후 처리 장치를 명시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인쇄 장치에 유선으로 접속된 인쇄후 처리 장치를 우선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인쇄 장치로부터 후처리 장치로의 인쇄 결과물의 운반작업이 줄어들어, 작업 노고의 경감과 생산성의 증대에 기여한다.

Claims (18)

  1.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될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며, 독립적으로 통신가능한 인쇄후 처리 장치에 의한 인쇄후 처리를 받게 되는 후처리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정보를 로드하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에 의해 로드된 상기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 의해 처리가능한 인쇄 기능, 및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에 의한 인쇄 후에 처리가능한 후처리 기능을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상기 인쇄 기능 및 후처리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상기 표시 제어부에 의해 표시된 상기 설정 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인쇄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될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표시 제어부에 의해 표시된 상기 설정 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후처리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에 의한 인쇄후 처리를 받게 되는 후처리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설정 정보 생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인쇄 데이터는 상기 인쇄 장치에 송신되며, 상기 설정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후처리 설정 정보는 상기 인쇄 후 처리 장치에 송신되는 정보 처리 장치.
  2. 인쇄 장치 및 인쇄후 처리 장치에 통신에 의해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인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 정보를 생성하는 인쇄 정보 생성부;
    상기 인쇄 설정 정보, 및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의 기능을 기술하는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의 후처리 내용을 기술하는 후처리 설정 정보, 및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설정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인쇄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인쇄 정보 및 상기 설정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후처리 설정 정보 모두를 상기 인쇄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어,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될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며, 독립적으로 통신가능한 인쇄후 처리 장치에 의한 인쇄후 처리를 받게 될 후처리 설정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정보를 로드하는 로딩 단계를 위한 코드;
    상기 로딩 단계에서 로드된 상기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 의해 처리가능한 인쇄 기능, 및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에 의해 인쇄 후에 처리가능한 후처리 기능을 식별하는 식별 단계를 위한 코드;
    상기 식별 단계에서 식별된 상기 인쇄 기능 및 후처리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를 위한 코드
    상기 표시 제어 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설정 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인쇄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될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쇄 데이터 생성 단계를 위한 코드; 및
    상기 표시 제어 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설정 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후처리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에 의한 인쇄후 처리를 받게 되는 후처리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설정 정보 생성 단계를 위한 코드
    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인쇄 데이터는 상기 인쇄 장치에 송신되며, 상기 설정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후처리 설정 정보는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에 송신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4.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통신부를 통해, 인쇄 장치 및 인쇄후 처리 장치에 접속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인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 정보를 생성하는 인쇄 정보 생성 단계를 위한 코드;
    상기 인쇄 설정 정보, 및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의 기능을 기술하는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의 후처리 내용을 기술하는 후처리 설정 정보, 및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설정 정보 생성 단계를 위한 코드; 및
    상기 인쇄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인쇄 정보 및 상기 설정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후처리 설정 정보 모두를 상기 인쇄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위한 코드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설정 정보는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에 송신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가 상기 인쇄 장치에 일체로 접속된 경우, 상기 인쇄 장치에 상기 후처리 설정 정보가 송신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7. 제5항에 있어서,
    조작자가 인쇄후 처리 설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를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상기 설정 화면에 입력되고 선택된 인쇄후 처리 장치에 송신될 후처리 설정 정보가 생성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상기 설정 화면에서 입력된 인쇄후 처리 설정에 대응하는 기능 및 성능을 갖는 인쇄후 처리 장치가 인쇄후 처리 장치 각각의 기능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선택되며, 상기 선택된 인쇄후 처리 장치에 송신될 후처리 설정 정보가 생성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상기 인쇄 장치에 유선으로 접속된 인라인(in-line) 후처리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인라인 후처리 장치가 우선적으로 선택되며, 상기 선택된 인라인 후처리 장치에 송신될 후처리 설정 정보가 생성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 생성 단계에서, 최고 우선순위를 갖는 인쇄후 처리 장치가 인쇄후 처리 장치 각각에 미리 할당된 우선순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선택되며, 상 기 선택된 인쇄후 처리 장치에 송신될 후처리 설정 정보가 생성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2.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될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며, 독립적으로 통신가능한 인쇄후 처리 장치에 의한 인쇄후 처리를 받게 되는 후처리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정보를 로드하는 로딩 단계;
    상기 로딩 단계에서 로드된 상기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 의해 처리가능한 인쇄 기능, 및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에 의한 인쇄 후에 처리가능한 후처리 기능을 식별하는 식별 단계;
    상기 식별 단계에서 식별된 상기 인쇄 기능 및 후처리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
    상기 표시 제어 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설정 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인쇄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될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쇄 데이터 생성 단계; 및
    상기 표시 제어 단계에서 표시된 상기 설정 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후처리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에 의한 인쇄후 처리를 받게 되는 후처리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후처리 설정 정보 생성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 데이터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인쇄 데이터는 상기 인쇄 장치 에 송신되며, 상기 후처리 설정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후처리 설정 정보는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에 송신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13. 인쇄 장치 및 인쇄후 처리 장치에 통신에 의해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인쇄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 정보를 생성하는 인쇄 정보 생성 단계;
    상기 인쇄 설정 정보, 및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의 기능을 기술하는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의 후처리 내용을 기술하는 후처리 설정 정보, 및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후처리 설정 정보 생성 단계; 및
    상기 인쇄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인쇄 정보 및 상기 후처리 설정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후처리 설정 정보 모두를 상기 인쇄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14. 인쇄 시스템으로서,
    인쇄 장치;
    인쇄후 처리 장치; 및
    제1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를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
  15. 인쇄 시스템으로서,
    인쇄 장치;
    인쇄후 처리 장치; 및
    제2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를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
  16. 네트워크에 접속된 인쇄 장치로서,
    인쇄후 처리 장치에 대하여 설정된 후처리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후처리 설정 정보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인쇄후 처리 장치에 대하여 설정될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설정 정보 중 상기 인쇄 장치에 유선으로 접속된 인라인 후처리 장치에 대하여 설정될 정보를 상기 인라인 후처리 장치에 설정하며, 상기 인라인 후처리 장치가 인쇄후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후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인쇄 장치.
  18. 네트워크에 접속된 인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인쇄후 처리 장치에 대하여 설정된 후처리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및
    상기 후처리 설정 정보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인쇄후 처리 장치에 대하여 설정될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인쇄후 처리 장치에 전송하는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60037569A 2005-04-26 2006-04-26 온디맨드 퍼블리싱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817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28619 2005-04-26
JP2005128619A JP4455397B2 (ja) 2005-04-26 2005-04-26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236A true KR20060112236A (ko) 2006-10-31
KR100817667B1 KR100817667B1 (ko) 2008-03-27

Family

ID=3669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569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7667B1 (ko) 2005-04-26 2006-04-26 온디맨드 퍼블리싱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39236B2 (ko)
EP (1) EP1717690A3 (ko)
JP (1) JP4455397B2 (ko)
KR (1) KR100817667B1 (ko)
CN (2) CN1015045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7252B2 (ja) * 2005-04-26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印刷システム
JP4464312B2 (ja) * 2005-04-26 2010-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708858B2 (ja) * 2005-05-17 2011-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デバイス選択方法
JP2008011220A (ja) * 2006-06-29 2008-01-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8160288A (ja) * 2006-12-21 2008-07-10 Canon Inc 画像処理システム、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8004713B2 (en) * 2007-01-12 2011-08-23 Ricoh Company, Ltd. Creating and manufacturing documents that initially exceed equipment finishing capacity
US8164767B2 (en) * 2007-01-26 2012-04-24 Ricoh Company, Ltd. Print driver with processed print data management capability
JP5096078B2 (ja) * 2007-08-28 2012-12-12 株式会社リコー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288837B2 (ja) * 2008-03-03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ジョブ制御装置、印刷ジョブ制御方法、印刷ジョブ制御プログラム
JP5157682B2 (ja) * 2008-03-17 2013-03-06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操作画面変更方法、操作画面変更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5159484B2 (ja) * 2008-07-15 2013-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と後処理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00023620A (ko) * 2008-08-22 2010-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잡 프로파일을 설정하는 클라이언트장치 및 그 방법
JP5188350B2 (ja) * 2008-09-30 201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4674631B2 (ja) * 2008-11-04 2011-04-2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登録された項目を予め定められた処理に提供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US8264736B2 (en) * 2009-07-09 2012-09-11 Infoprint Solutions Company Llc Variable data print verification mechanism
US8348419B2 (en) * 2009-12-18 2013-01-08 Info Print Solutions Company, LLC Variable data printing system
US8310715B2 (en) * 2009-12-18 2012-11-13 Infoprint Solutions Company, Llc Mechanism for verifying variable print data
US20110222107A1 (en) * 2010-03-10 2011-09-15 Williams David A Methods and structure for improved jdf ticket processing in a printing system using automatically generated translation tables
JP2011238136A (ja) * 2010-05-12 2011-11-2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連携機能設定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572286A4 (en) * 2010-05-17 2013-10-09 Hewlett Packard Indigo Bv ONLINE FINISHING PRINTING SYSTEM
JP5562161B2 (ja) * 2010-07-23 2014-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46231B2 (ja) * 2010-09-21 2013-07-2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JP5729121B2 (ja) * 2011-05-12 2015-06-03 株式会社リコー 印刷ジョブ生成プログラム、印刷ジョブ生成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US9557946B2 (en) 2013-01-29 2017-01-31 Hewlett-Packard Indigo B.V.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print job
US20150244882A1 (en) * 2014-02-24 2015-08-27 Xerox Corporation Automatically populating imposition options of document finishing devices
JP6264138B2 (ja) * 2014-03-26 2018-01-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15181145A1 (en) * 2014-05-27 2015-12-03 Oce-Technologies B.V. Document reproduction and finishing system and method
JP6473399B2 (ja) * 2015-08-28 2019-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US9804810B2 (en) * 2015-10-09 2017-10-31 Xerox Corporation Document finishing architecture profile management
JP6370963B2 (ja) * 2017-05-24 2018-08-08 エイチピー・インディゴ・ビー・ブイHP Indigo B.V. 印刷ジョブ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7204384B2 (ja) * 2018-09-07 2023-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263837B2 (ja) 2019-02-27 2023-04-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グラム、アプリケーション、情報処理装置
JP7234687B2 (ja) 2019-02-27 2023-03-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モジュール及びプログラム
JP7234688B2 (ja) * 2019-02-27 2023-03-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グラム、アプリケーション、情報処理装置
JP7387342B2 (ja) * 2019-09-04 2023-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JP7395177B2 (ja) * 2019-10-31 2023-12-11 ホリゾ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判定装置および判定プログラム
NL2030510B1 (en) * 2022-01-12 2023-07-17 Canon Production Printing Holding Bv Method for processing a print job by a printer and a finish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2719B2 (ja) 1997-08-04 2005-07-20 ホリゾ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製本処理装置
JP3717670B2 (ja) * 1998-07-01 2005-11-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7864346B2 (en) * 2000-05-16 2011-01-04 Xero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cribing, planning and automatically programming complex finishing tasks
US20020120742A1 (en) 2001-02-14 2002-08-29 Cherry Darrel D. Dynamic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network device capability utilization
US6930791B2 (en) 2001-02-27 2005-08-1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selecting a finishing device for digital printing
JP2002341610A (ja) 2001-05-11 2002-11-29 Sharp Corp 印刷装置システム及びこれに接続する後処理装置および給紙装置
EP1291728B1 (en) * 2001-09-05 2009-09-23 Eastman Kodak Company Image-forming system with automatic finishing output chaining
US7312886B2 (en) * 2001-12-03 2007-12-25 Canon Kabushiki Kaisha Printer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2003212427A (ja) 2002-01-22 2003-07-30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426601B1 (ko) * 2002-04-18 2004-04-14 (주)케이알디씨 용지 후처리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3341169A (ja) * 2002-05-24 2003-12-03 Hitachi Printing Solutions Ltd 印刷制御方法
JP2004078449A (ja) 2002-08-14 2004-03-11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印刷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印刷システムの印刷方法、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DE10250181A1 (de) 2002-10-28 2004-05-13 OCé PRINTING SYSTEMS GMBH Bedienfeld für ein elektrofotografisches Druck -oder Kopiersystem mit Vor- und/oder Nachverarbeitungseinheit sowie Integration des Bedienfeldes in einen Druckerserver
US8315898B2 (en) * 2002-10-30 2012-11-20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Planning and scheduling reconfigurable systems around off-line resources
CN101241426B (zh) * 2003-03-27 2011-03-23 佳能株式会社 控制装置
JP2006058944A (ja) * 2004-08-17 2006-03-02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4537252B2 (ja) 2005-04-26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印刷システム
JP4464312B2 (ja) 2005-04-26 2010-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17690A3 (en) 2011-09-07
EP1717690A2 (en) 2006-11-02
CN100476712C (zh) 2009-04-08
US8139236B2 (en) 2012-03-20
CN101504596B (zh) 2011-12-28
CN1862480A (zh) 2006-11-15
JP4455397B2 (ja) 2010-04-21
JP2006309351A (ja) 2006-11-09
CN101504596A (zh) 2009-08-12
US20060238793A1 (en) 2006-10-26
KR100817667B1 (ko)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667B1 (ko) 온디맨드 퍼블리싱 시스템
JP5164663B2 (ja) 印刷ジョブ管理装置、印刷ジョブ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777907B2 (en) Printing system using post-printing processing apparatus
US9354833B2 (en) Computer readabl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storing print job editing program, print job editing apparatus, print job editing method and printing system for determining valid functions based on apparatus capabilities and printing conditions
US7900146B2 (en) Image form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JP476153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ワークフロー生成方法とプログラム
JP4566679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05929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converting print jobs among a plurality of printing systems, print job conversion method, and program
JP4819317B2 (ja) 情報処理装置、ジョブ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46113B2 (ja) 情報処理装置、ジョブ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29842B2 (ja) 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78903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enables print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a folder to be temporarily changed,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storage medium
JP4533228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1097696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ransfer order capability, system, control and method thereof
JP201517292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20047244A (ja) 印刷制御装置、情報処理装置、プリント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711387B2 (en)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int management program, print management device, print management method, and print system
JP200630935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789373B2 (ja)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管理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7714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64061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2012148435A (ja)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2010049345A (ja) 印刷システム
JP2019101778A (ja) 印刷指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0201929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