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05257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257B1
KR102405257B1 KR1020150013811A KR20150013811A KR102405257B1 KR 102405257 B1 KR102405257 B1 KR 102405257B1 KR 1020150013811 A KR1020150013811 A KR 1020150013811A KR 20150013811 A KR20150013811 A KR 20150013811A KR 102405257 B1 KR102405257 B1 KR 102405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flexible substrate
wavy line
protective film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3202A (ko
Inventor
김태웅
구현우
김기현
설영국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3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257B1/ko
Priority to US14/849,426 priority patent/US10446769B2/en
Priority to CN201511021088.6A priority patent/CN105826350B/zh
Priority to EP16150810.6A priority patent/EP3051333B1/en
Publication of KR20160093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2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01L27/3262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5Insulating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 H01L2227/32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41Short-circuit preven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일 방향으로 밴딩(bending)되는 밴딩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밴딩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개구 패턴들을 포함하는 절연층, 및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개구 패턴들을 지나는 웨이비 라인(wavy line)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최근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가 주목 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높은 반응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기판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배선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절연층 및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최근, 기판으로서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는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을 포함하여 일부 이상이 밴딩(bending)되는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렉서블 기판의 일부 이상이 밴딩되더라도, 밴딩된 부분에 대응하는 배선 및 절연층이 응력(stress)에 의해 파괴되는 것이 억제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일 방향으로 밴딩(bending)되는 밴딩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밴딩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개구 패턴들을 포함하는 절연층, 및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개구 패턴들을 지나는 웨이비 라인(wavy line)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웨이비 라인은 상기 절연층의 표면 및 상기 복수의 개구 패턴들 각각의 저부를 따라 굴곡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밴딩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밴딩 영역과 이웃하고 있으며,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밴딩 영역 중 상기 표시 영역만 커버(cover)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연결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위치하는 액티브층, 상기 액티브층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액티브층과 연결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비 라인은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소스 전극 중 하나 이상과 동일한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는 제1 서브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 패턴은 상기 제1 서브 절연층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상기 액티브층을 덮는 제2 서브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 패턴은 상기 제1 서브 절연층 및 상기 제2 서브 절연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액티브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서브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 패턴은 상기 제1 서브 절연층, 상기 제2 서브 절연층, 상기 제3 서브 절연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웨이비 라인에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밴딩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웨이비 라인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보호 필름, 및 상기 밴딩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웨이비 라인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하측 방향으로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 필름은 상기 제2 보호 필름 대비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 필름의 영률(Young's modulus)은 상기 제1 보호 필름 대비 클 수 있다.
상기 밴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상측 방향으로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 필름은 상기 제1 보호 필름 대비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 필름의 영률(Young's modulus)은 상기 제2 보호 필름 대비 클 수 있다.
상기 밴딩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곡률반경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개구 패턴들 중 이웃하는 개구 패턴 사이의 거리는 상기 곡률반경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무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유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일부 실시예 중 하나에 의하면, 플렉서블 기판의 일부 이상이 밴딩되더라도, 밴딩된 부분에 대응하는 배선 및 절연층이 응력(stress)에 의해 파괴되는 것이 억제된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표시 장치로서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일례로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면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s, LCD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lasma displays, PDs), 필드에미션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s, FEDs),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s, EPDs), 전기습윤 디스플레이(electrowetting displays, EWDs) 등의 다양한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중앙 부분 및 외곽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기판(100), 표시부(200), 밴딩부(300), 밀봉부(400), 제1 보호 필름(500), 제2 보호 필름(600), 윈도우(700)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기판(100)은 플렉서블(flexible)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트렛쳐블(stretcha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00)이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스트렛쳐블(stretcha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함으로써, 표시 장치 전체가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스트렛쳐블(stretcha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00)은 일 방향으로 밴딩(bending)될 수 있다. 여기서, 일 방향이란 플렉서블 기판(100)의 판면 상에서 어떠한 방향도 될 수 있으며, 특정한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플렉서블 기판(100)은 평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직사각형의 플렉서블 기판(100)이 밴딩되는 일 방향은 플렉서블 기판(100)의 장변 또는 단변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즉, 플렉서블 기판(100)은 평면적으로 단변 방향 또는 장변 방향으로 밴딩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00)은 폴리이미드 등의 폴리머 재료, 금속 재료 및 무기 재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휘어질 수 있다면 어떠한 재료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00)은 필름(film)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00)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DA) 및 일 방향으로 밴딩되는 밴딩 영역(B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은 플렉서블 기판(10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밴딩 영역(BA)은 플렉서블 기판(100)의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은 표시 영역(DA)과 이웃하고 있다.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플렉서블 기판(100)의 일 부분은 하측 방향으로 곡률반경을 가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플렉서블 기판(100)의 일 부분은 상측 방향으로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밴딩 영역(BA)은 플렉서블 기판(100)의 외곽에 위치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밴딩 영역(BA)은 플렉서블 기판(100)의 중앙에 위치하거나, 표시 영역(DA)과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표시부(200)는 플렉서블 기판(100)의 표시 영역(DA)에 대응하여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복수의 화소를 이용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화소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표시부(200)는 빛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소자(OLED), 유기 발광 소자(OLED), 절연층(CIL), 유기 발광 소자(OLED)와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부(200)가 유기 발광 소자(OLED) 및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부(200)는 하나 이상의 스캔 배선, 하나 이상의 데이터 배선,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들은 공지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액티브층(AL),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한다.
액티브층(AL)은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 위치하며, 폴리 실리콘 또는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는 티타늄(Ti), 하프늄(Hf), 지르코늄(Zr), 알루미늄(Al), 탄탈륨(Ta), 게르마늄(Ge), 아연(Zn), 갈륨(Ga), 주석(Sn) 또는 인듐(In)을 기본으로 하는 산화물, 이들의 복합 산화물인 산화아연(ZnO),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nGaZnO4), 인듐-아연 산화물(Zn-In-O), 아연-주석 산화물(Zn-Sn-O) 인듐-갈륨 산화물 (In-Ga-O), 인듐-주석 산화물(In-Sn-O), 인듐-지르코늄 산화물(In-Zr-O), 인듐-지르코늄-아연 산화물(In-Zr-Zn-O), 인듐-지르코늄-주석 산화물(In-Zr-Sn-O), 인듐-지르코늄-갈륨 산화물(In-Zr-Ga-O), 인듐-알루미늄 산화물(In-Al-O), 인듐-아연-알루미늄 산화물(In-Zn-Al-O), 인듐-주석-알루미늄 산화물(In-Sn-Al-O), 인듐-알루미늄-갈륨 산화물(In-Al-Ga-O), 인듐-탄탈륨 산화물(In-Ta-O), 인듐-탄탈륨-아연 산화물(In-Ta-Zn-O), 인듐-탄탈륨-주석 산화물(In-Ta-Sn-O), 인듐-탄탈륨-갈륨 산화물(In-Ta-Ga-O), 인듐-게르마늄 산화물(In-Ge-O), 인듐-게르마늄-아연 산화물(In-Ge-Zn-O), 인듐-게르마늄-주석 산화물(In-Ge-Sn-O), 인듐-게르마늄-갈륨 산화물(In-Ge-Ga-O), 티타늄-인듐-아연 산화물(Ti-In-Zn-O), 하프늄-인듐-아연 산화물(Hf-In-Zn-O)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층(AL)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 영역과, 채널 영역의 양 옆으로 불순물이 도핑되어 형성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러한 불순물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이 가능하다. 액티브층(AL)이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고온에 노출되는 등의 외부 환경에 취약한 산화물 반도체를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보호층이 추가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액티브층(AL) 상에 위치하며,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 각각은 게이트 전극(GE) 상측에 위치하여 컨택홀을 통해 액티브층(AL)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각각과 연결되어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구성들인 액티브층(AL),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 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구성들 간에 절연층(CIL)이 위치하고 있다.
절연층(CIL)은 제1 서브 절연층(IL1), 제2 서브 절연층(IL2), 제3 서브 절연층(IL3)을 포함한다.
제1 서브 절연층(IL1)은 게이트 전극(GE)을 덮고 있으며, 게이트 전극(GE)과 소스 전극(SE) 간의 단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서브 절연층(IL1)은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서브 절연층(IL2)은 액티브층(AL)을 덮고 있으며, 액티브층(AL)과 게이트 전극(GE)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서브 절연층(IL2)은 액티브층(AL)과 게이트 전극(GE) 간의 단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서브 절연층(IL2)은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서브 절연층(IL3)은 플렉서블 기판(100)과 액티브층(AL)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플렉서블 기판(100) 표면을 평탄화하는 동시에 플렉서블 기판(100)으로부터 투습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절연층(CIL)은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물 등의 무기 재료를 포함하며, 일례로 절연층(CIL)은 SiNx, Al2O3, SiO2, TiO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E)과 연결된 제1 전극(E1), 제1 전극(E1)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EL), 유기 발광층(EL)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E2)을 포함한다.
제1 전극(E1)은 정공 주입 전극인 양극(anode)일 수 있으며, 광 반사성, 광 반투과성, 광 투과성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전극(E1)은 전자 주입 전극인 음극(cathode)일 수 있다.
유기 발광층(EL)은 제1 전극(E1) 상에 위치하고 있다. 유기 발광층(EL)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PEDOT(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등의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 발광층(EL)은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은 각각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형성되어 컬러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유기 발광층(EL)은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을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모두 함께 적층하고, 각 화소별로 적색 색필터, 녹색 색필터 및 청색 색필터를 형성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유기 발광층(EL)으로서 백색을 발광하는 백색 유기 발광층을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모두에 형성하고, 각 화소별로 각각 적색 색필터, 녹색 색필터 및 청색 색필터를 형성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유기 발광층(EL)으로서 백색 유기 발광층과 색필터를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하는 경우,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을 각각의 개별 화소 즉,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증착하기 위한 증착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다른 예에서 설명한 유기 발광층(EL)으로서 백색 유기 발광층은 하나의 유기 발광층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복수 개의 유기 발광층을 적층하여 백색을 발광할 수 있도록 한 구성까지 포함한다. 일례로, 유기 발광층(EL)은 적어도 하나의 옐로우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청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적어도 하나의 시안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적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적어도 하나의 마젠타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녹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유기 발광층(EL) 상에 위치하며, 전자 주입 전극인 음극(cathode)일 수 있다. 제2 전극(E2)은 광 반사성, 광 반투과성, 광 투과성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일 수 있다. 제2 전극(E2)은 유기 발광층(EL)을 덮도록 플렉서블 기판(100)의 표시 영역(DA) 전체에 걸쳐서 위치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전극(E2)은 정공 주입 전극인 양극일 수 있다.
밴딩부(300)는 표시부(2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 위치하고 있다. 밴딩부(300)는 일 방향으로 밴딩된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일 방향으로 밴딩되어 있다. 밴딩부(300)는 표시부(200)로부터 연장된 절연층(CIL) 및 표시부(200)로부터 연장된 웨이비 라인(WL)을 포함한다.
밴딩부(300)의 절연층(CIL)은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은 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개구 패턴(OP)은 절연층(CIL)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서브 절연층(IL1), 제2 서브 절연층(IL2), 제3 서브 절연층(IL3)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구 패턴(OP)은 제1 서브 절연층(IL1), 제2 서브 절연층(IL2), 제3 서브 절연층(IL3)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개구 패턴(OP)은 제1 서브 절연층(IL1), 제2 서브 절연층(IL2), 제3 서브 절연층(IL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 패턴(OP)들 중 이웃하는 개구 패턴(OP) 사이의 거리(LE)는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플렉서블 기판(100)의 일 부분 곡률반경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일례로,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플렉서블 기판(100)의 일 부분의 곡률반경 크기가 커지면 이웃하는 개구 패턴(OP) 사이의 거리(LE)는 길어지며,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플렉서블 기판(100)의 일 부분의 곡률반경 크기가 작아지면 이웃하는 개구 패턴(OP) 사이의 거리(LE)는 짧아질 수 있다.
웨이비 라인(WL)은 표시부(200)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표시부(200)의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액티브층(AL),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웨이비 라인(WL)은 표시부(200)로부터 연장된 라인이며, 표시부(200)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웨이비 라인(WL)은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여,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며,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웨이비 라인(WL)은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웨이비 라인(WL)은 액티브층(AL),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 중 어느 하나 이상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웨이비 라인(wavy line)(WL)은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절연층(CIL)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플렉서블 기판(100)이 밴딩되는 방향인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을 지나고 있다. 웨이비 라인(WL)은 절연층(CIL)의 표면 및 복수의 개구 패턴(OP)들 각각의 저부를 따라 굴곡 연장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웨이비 라인(WL)은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에 의해 형성되는 서로 이격된 섬 형태의 절연층(CIL) 패턴을 따라 수직적(vertical)으로 구불구불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웨이비 라인(WL)은 수직적으로 구불구불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웨이비 라인(WL)은 수평적(horizontal) 구불구불한 형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웨이비 라인(WL)은 플렉서블 기판(100)의 판면 상에서 일 방향으로 한 번 이상 절곡된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절연층(CIL)이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을 포함함으로써,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절연층(CIL)이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서 섬(island)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일 방향으로 밴딩되는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 위치하는 절연층(CIL)이 섬 형태를 가짐으로써, 플렉서블 기판(100)이 일 방향으로 밴딩될 때, 절연층(CIL)에 가해지는 응력(stress)이 최소화된다.
즉, 절연층(CIL)이 무기재료 고유의 취성을 가지더라도, 절연층(CIL)이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방향인 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을 포함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100)이 일 방향으로 밴딩될 때 발생되는 응력에 의해 절연층(CIL) 자체가 파손되거나 또는 절연층(CIL)에 발생되는 응력에 의해 절연층(CIL) 상에 위치하는 구성 요소인 웨이비 라인(WL)이 응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웨이비 라인(WL)이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수직적으로 구불구불한 형태를 가짐으로써, 플렉서블 기판(100)이 일 방향으로 밴딩될 때 발생되는 응력이 웨이비 라인(WL)에 가해지더라도, 밴딩 영역(BA) 내에서 웨이비 라인(WL) 자체의 긴 경로를 따라 응력이 분산되기 때문에, 응력에 의해 웨이비 라인(WL)이 파괴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복수의 개구 패턴(OP)들 중 이웃하는 개구 패턴(OP) 사이의 거리(LE)가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플렉서블 기판(100)의 일 부분 곡률반경의 크기에 비례함으로써,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플렉서블 기판(100)의 일 부분의 곡률반경이 작아질수록 이웃하는 개구 패턴(OP) 사이의 거리(LE)를 짧게 하여 한정된 밴딩 영역(BA) 내에서 웨이비 라인(WL) 자체의 경로를 더욱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플렉서블 기판(100)의 일 부분의 곡률반경이 작아 웨이비 라인(WL)에 큰 응력이 가해지더라도, 밴딩 영역(BA) 내에서 웨이비 라인(WL) 자체의 긴 경로를 따라 응력이 분산되어 응력에 의해 웨이비 라인(WL)이 파괴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는, 전체적인 표시 장치의 곡률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밀봉부(400)는 표시부(200) 및 밴딩부(300)를 사이에 두고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 위치하고 있다. 밀봉부(400)는 플렉서블 기판(100)의 표시 영역(DA) 및 밴딩 영역(BA) 전체에 걸쳐서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플렉서블 기판(100)과 함께 표시부(200) 및 밴딩부(300)를 밀봉하고 있다. 밀봉부(EN)는 박막 밀봉부(thin film encapsulation)로 형성될 수 있다. 밀봉부(EN)는 유기층 및 유기층 상에 위치하는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밀봉부(400)는 상호 교호적으로 적층된 하나 이상의 유기층 및 하나 이상의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무기층 또는 유기층 각각은 복수일 수 있으며, 복수의 무기층 및 복수의 유기층 각각은 상호 교호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밀봉부(EN)는 적어도 2개의 무기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층이 삽입된 샌드위치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밀봉부(400)의 최상층에 위치하는 무기층은 다른 층인 유기층의 단부를 덮도록 유기층 대비 넓은 면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밀봉부(400)의 유기층은 고분자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라카보네이트, 에폭시, 폴리에틸렌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일례로, 유기층은 폴리아크릴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디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트리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조성물이 고분자화된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노머 조성물에 모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모노머 조성물에 TPO와 같은 공지의 광개시제가 더욱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밀봉부(400)의 무기층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기층은 SiNx, Al2O3, SiO2, TiO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밀봉부(400) 상부에는 제1 보호 필름(500)이 위치하며, 플렉서블 기판(100) 하부에는 제2 보호 필름(600)이 위치하고 있다
제1 보호 필름(500)은 플렉서블 기판(100)의 표시 영역(DA) 및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밀봉부(400) 상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외부의 간섭으로부터 밀봉부(4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보호 필름(600)은 플렉서블 기판(100)의 표시 영역(DA) 및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플렉서블 기판(100)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외부의 간섭으로부터 밀봉부(4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보호 필름(500) 및 제2 보호 필름(600) 각각은 제1 보호 필름(500) 및 제2 보호 필름(600) 각각의 영률(Young's modulus)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에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가 인가되도록 제1 보호 필름(500)은 제2 보호 필름(600) 대비 두꺼운 두께를 가진다.
즉,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웨이비 라인(WL)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보호 필름(500)이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웨이비 라인(WL)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보호 필름(600) 대비 두꺼운 두께를 가짐으로써, 밴딩 영역(BA)에 휨 모멘트(bending moment)가 발생되어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중립면(neutral plane)(NP)이 웨이비 라인(WL) 상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에 인장 응력이 아닌 압축 응력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제1 보호 필름(500)이 제2 보호 필름(600) 대비 두꺼운 두께를 가짐으로써, 일 방향으로 밴딩된 밴딩 영역(BA)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중립면(NP)이 제1 보호 필름(500) 측으로 이동하여 웨이비 라인(WL) 상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에 인장 응력이 아닌 압축 응력이 인가되어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이 인장 응력에 의해 파괴되는 것이 억제된다.
윈도우(700)는 플렉서블 기판(100)의 표시 영역(DA)에 대응하여 표시부(200) 상에 위치하고 있다. 윈도우(700)는 밀봉부(40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윈도우(700)는 외부의 간섭으로부터 표시부(200)를 보호할 수 있으며, 윈도우(700)의 전면 및 배면 중 하나 이상에는 터치(touch)를 인식하는 터치 센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700)의 전면 및 배면 중 하나 이상에는 외부의 광에 의한 반사를 억제하는 위상 지연판 및 편광판이 위치할 수 있다. 윈도우(700)는 플렉서블 기판(100)의 표시 영역(DA) 및 밴딩 영역(BA) 중 표시 영역(DA)만 커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밴딩부(300)는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윈도우(700)가 플렉서블 기판(100)의 표시 영역(DA) 및 밴딩 영역(BA) 중 표시 영역(DA)만 커버하고 있음으로써,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이 일 방향으로 용이하게 밴딩된다.
나아가, 윈도우(700)가 플렉서블 기판(100)의 표시 영역(DA)만 커버하여 밀봉부(400)에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밴딩부(300)에 형성되는 중립면(NP)이 윈도우(700)에 의해 웨이비 라인(WL) 방향으로 이동하여 웨이비 라인(WL)에 인장 응력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윈도우(700)는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밴딩부(300)의 용이한 밴딩을 위해 플렉서블 기판(100)의 표시 영역(DA)만을 커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절연층(CIL)이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을 포함함으로써,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절연층(CIL)이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서 섬(island)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일 방향으로 밴딩되는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 위치하는 절연층(CIL)이 섬 형태를 가짐으로써, 플렉서블 기판(100)이 일 방향으로 밴딩될 때, 절연층(CIL)에 가해지는 응력(stress)이 최소화된다.
즉, 절연층(CIL)이 무기재료 고유의 취성을 가지더라도, 절연층(CIL)이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방향인 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을 포함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100)이 일 방향으로 밴딩될 때 발생되는 응력에 의해 절연층(CIL) 자체가 파손되거나 또는 절연층(CIL)에 발생되는 응력에 의해 절연층(CIL) 상에 위치하는 구성 요소인 웨이비 라인(WL)이 응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웨이비 라인(WL)이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수직적으로 구불구불한 형태를 가짐으로써, 플렉서블 기판(100)이 일 방향으로 밴딩될 때 발생되는 응력이 웨이비 라인(WL)에 가해지더라도, 밴딩 영역(BA) 내에서 웨이비 라인(WL) 자체의 긴 경로를 따라 응력이 분산되기 때문에, 응력에 의해 웨이비 라인(WL)이 파괴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개구 패턴(OP)들 중 이웃하는 개구 패턴(OP) 사이의 거리(LE)가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플렉서블 기판(100)의 일 부분 곡률반경의 크기에 비례함으로써,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플렉서블 기판(100)의 일 부분의 곡률반경이 작아질수록 이웃하는 개구 패턴(OP) 사이의 거리(LE)를 짧게 하여 한정된 밴딩 영역(BA) 내에서 웨이비 라인(WL) 자체의 경로를 더욱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플렉서블 기판(100)의 일 부분의 곡률반경이 작아 웨이비 라인(WL)에 큰 응력이 가해지더라도, 밴딩 영역(BA) 내에서 웨이비 라인(WL) 자체의 긴 경로를 따라 응력이 분산되어 응력에 의해 웨이비 라인(WL)이 파괴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는, 전체적인 표시 장치의 곡률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제1 보호 필름(500)이 제2 보호 필름(600) 대비 두꺼운 두께를 가짐으로써, 일 방향으로 밴딩된 밴딩 영역(BA)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중립면(NP)이 제1 보호 필름(500) 측으로 이동하여 웨이비 라인(WL) 상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에 인장 응력이 아닌 압축 응력이 인가되어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이 인장 응력에 의해 파괴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윈도우(700)가 플렉서블 기판(100)의 표시 영역(DA) 및 밴딩 영역(BA) 중 표시 영역(DA)만 커버하고 있음으로써,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이 일 방향으로 용이하게 밴딩된다. 나아가, 윈도우(700)가 플렉서블 기판(100)의 표시 영역(DA)만 커버하여 밀봉부(400)에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밴딩부(300)에 형성되는 중립면(NP)이 윈도우(700)에 의해 웨이비 라인(WL) 방향으로 이동하여 웨이비 라인(WL)에 인장 응력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밴딩부(300)는 표시부(200)로부터 연장된 절연층(CIL) 및 표시부(200)로부터 연장된 웨이비 라인(WL)을 포함한다.
절연층(CIL)의 제1 서브 절연층(IL1), 제2 서브 절연층(IL2), 제3 서브 절연층(IL3) 중 하나 이상의 층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페닐렌(phenylene), 실록산(siloxane)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 재료를 포함한다. 즉, 절연층(CIL)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페닐렌(phenylene), 실록산(siloxane)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 재료를 포함한다.
밴딩부(300)의 절연층(CIL)은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은 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개구 패턴(OP)은 절연층(CIL)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서브 절연층(IL1) 및 제2 서브 절연층(IL2)에 형성되어 있다.
웨이비 라인(WL)은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여,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며,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웨이비 라인(WL)은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절연층(CIL)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플렉서블 기판(100)이 밴딩되는 방향인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을 지나고 있다. 웨이비 라인(WL)은 절연층(CIL)의 표면 및 복수의 개구 패턴(OP)들 각각의 저부를 따라 굴곡 연장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웨이비 라인(WL)은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에 의해 형성되는 서로 이격된 섬 형태의 절연층(CIL) 패턴을 따라 수직적(vertical)으로 구불구불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절연층(CIL)이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을 포함함으로써,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절연층(CIL)이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서 섬(island)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일 방향으로 밴딩되는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 위치하는 절연층(CIL)이 섬 형태를 가짐으로써, 플렉서블 기판(100)이 일 방향으로 밴딩될 때, 절연층(CIL)에 가해지는 응력(stress)이 최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웨이비 라인(WL)이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수직적으로 구불구불한 형태를 가짐으로써, 플렉서블 기판(100)이 일 방향으로 밴딩될 때 발생되는 응력이 웨이비 라인(WL)에 가해지더라도, 밴딩 영역(BA) 내에서 웨이비 라인(WL) 자체의 긴 경로를 따라 응력이 분산되기 때문에, 응력에 의해 웨이비 라인(WL)이 파괴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절연층(CIL)이 무기 재료 대비 영률이 큰 유기 재료를 포함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100)이 일 방향으로 밴딩될 때, 절연층(CIL)이 응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절연층(CIL) 자체가 파손되거나 또는 절연층(CIL)에 발생되는 응력에 의해 웨이비 라인(WL)이 파손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절연층(CIL)이 영률이 큰 유기 재료를 포함함으로서, 일 방향으로 밴딩된 밴딩 영역(BA)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중립면(NP)이 제1 보호 필름(500) 측으로 이동하여 웨이비 라인(WL) 상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에 인장 응력이 아닌 압축 응력이 인가되어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이 인장 응력에 의해 파괴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밴딩부(300)는 표시부(200)로부터 연장된 절연층(CIL) 및 표시부(200)로부터 연장된 웨이비 라인(WL)을 포함한다.
밴딩부(300)의 절연층(CIL)은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은 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개구 패턴(OP)은 절연층(CIL)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서브 절연층(IL1)에 형성되어 있다.
웨이비 라인(WL)은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여,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며,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웨이비 라인(WL)은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절연층(CIL)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플렉서블 기판(100)이 밴딩되는 방향인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을 지나고 있다. 웨이비 라인(WL)은 절연층(CIL)의 표면 및 복수의 개구 패턴(OP)들 각각의 저부를 따라 굴곡 연장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웨이비 라인(WL)은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에 의해 형성되는 서로 이격된 섬 형태의 절연층(CIL) 패턴을 따라 수직적(vertical)으로 구불구불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절연층(CIL)이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을 포함함으로써,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절연층(CIL)이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서 섬(island)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일 방향으로 밴딩되는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 위치하는 절연층(CIL)이 섬 형태를 가짐으로써, 플렉서블 기판(100)이 일 방향으로 밴딩될 때, 절연층(CIL)에 가해지는 응력(stress)이 최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웨이비 라인(WL)이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수직적으로 구불구불한 형태를 가짐으로써, 플렉서블 기판(100)이 일 방향으로 밴딩될 때 발생되는 응력이 웨이비 라인(WL)에 가해지더라도, 밴딩 영역(BA) 내에서 웨이비 라인(WL) 자체의 긴 경로를 따라 응력이 분산되기 때문에, 응력에 의해 웨이비 라인(WL)이 파괴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밴딩부(300)는 표시부(200)로부터 연장된 절연층(CIL) 및 표시부(200)로부터 연장된 웨이비 라인(WL)을 포함한다.
밴딩부(300)의 절연층(CIL)은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은 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개구 패턴(OP)은 절연층(CIL)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2 서브 절연층(IL2) 및 제3 서브 절연층(IL3)에 형성되어 있다.
웨이비 라인(WL)은 게이트 전극(GE)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여, 게이트 전극(GE)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며, 게이트 전극(GE)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웨이비 라인(WL)은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절연층(CIL)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플렉서블 기판(100)이 밴딩되는 방향인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을 지나고 있다. 웨이비 라인(WL)은 절연층(CIL)의 표면 및 복수의 개구 패턴(OP)들 각각의 저부를 따라 굴곡 연장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웨이비 라인(WL)은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에 의해 형성되는 서로 이격된 섬 형태의 절연층(CIL) 패턴을 따라 수직적(vertical)으로 구불구불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절연층(CIL)이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개구 패턴(OP)들을 포함함으로써,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절연층(CIL)이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서 섬(island)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일 방향으로 밴딩되는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 위치하는 절연층(CIL)이 섬 형태를 가짐으로써, 플렉서블 기판(100)이 일 방향으로 밴딩될 때, 절연층(CIL)에 가해지는 응력(stress)이 최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웨이비 라인(WL)이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수직적으로 구불구불한 형태를 가짐으로써, 플렉서블 기판(100)이 일 방향으로 밴딩될 때 발생되는 응력이 웨이비 라인(WL)에 가해지더라도, 밴딩 영역(BA) 내에서 웨이비 라인(WL) 자체의 긴 경로를 따라 응력이 분산되기 때문에, 응력에 의해 웨이비 라인(WL)이 파괴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밀봉부(400)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보호 필름(500) 및 플렉서블 기판(100)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보호 필름(600)을 포함한다.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플렉서블 기판(100)의 일 부분은 하측 방향인 제2 보호 필름(600) 방향으로 곡률반경을 가지고 있다.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제2 보호 필름(600)의 일 부분(610)의 영률은 제1 보호 필름(500) 대비 크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보호 필름(600) 전체의 영률이 제1 보호 필름(500) 대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2 보호 필름(600) 방향으로 곡률반경을 가지는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에 위치하는 제2 보호 필름(600)의 일 부분(610)의 영률이 제1 보호 필름(500) 대비 크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밴딩 영역(BA)에 휨 모멘트(bending moment)가 발생되면 제2 보호 필름(600)의 일 부분(610)이 응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표시 장치의 중립면(neutral plane)(NP)이 웨이비 라인(WL) 상측으로 이동되어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에 인장 응력이 아닌 압축 응력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제2 보호 필름(600)의 일 부분(610)이 제1 보호 필름(500) 대비 큰 영률을 가짐으로써, 일 방향으로 밴딩된 밴딩 영역(BA)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중립면(NP)이 제1 보호 필름(500) 측으로 이동하여 웨이비 라인(WL) 상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에 인장 응력이 아닌 압축 응력이 인가되어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이 인장 응력에 의해 파괴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밀봉부(400)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보호 필름(500) 및 플렉서블 기판(100)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보호 필름(600)을 포함한다.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플렉서블 기판(100)의 일 부분은 상측 방향인 제1 보호 필름(500) 방향으로 곡률반경을 가지고 있다.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에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가 인가되도록 제2 보호 필름(600)은 제1 보호 필름(500) 대비 두꺼운 두께를 가진다.
즉,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웨이비 라인(WL)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보호 필름(600)이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웨이비 라인(WL)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보호 필름(500) 대비 두꺼운 두께를 가짐으로써, 밴딩 영역(BA)에 휨 모멘트(bending moment)가 발생되어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중립면(neutral plane)(NP)이 웨이비 라인(WL) 하측인 웨이비 라인(WL)과 제2 보호 필름(600)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에 인장 응력이 아닌 압축 응력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보호 필름(500) 방향으로 곡률반경을 가지는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제2 보호 필름(600)이 제1 보호 필름(500) 대비 두꺼운 두께를 가짐으로써, 일 방향으로 밴딩된 밴딩 영역(BA)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중립면(NP)이 제2 보호 필름(600) 측으로 이동하여 웨이비 라인(WL) 하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에 인장 응력이 아닌 압축 응력이 인가되어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이 인장 응력에 의해 파괴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밀봉부(400)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보호 필름(500) 및 플렉서블 기판(100)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보호 필름(600)을 포함한다.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플렉서블 기판(100)의 일 부분은 상측 방향인 제1 보호 필름(500) 방향으로 곡률반경을 가지고 있다.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에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가 인가되도록 제2 보호 필름(600)은 제1 보호 필름(500) 대비 두꺼운 두께를 가진다.
즉,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웨이비 라인(WL)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보호 필름(600)이 밴딩 영역(BA)에 대응하여 웨이비 라인(WL)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보호 필름(500) 대비 두꺼운 두께를 가짐으로써, 밴딩 영역(BA)에 휨 모멘트(bending moment)가 발생되어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중립면(neutral plane)(NP)이 웨이비 라인(WL) 하측인 웨이비 라인(WL)과 제2 보호 필름(600)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에 인장 응력이 아닌 압축 응력이 인가된다.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제1 보호 필름(500)의 타 부분(510)의 영률은 제2 보호 필름(600) 대비 크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보호 필름(500) 전체의 영률이 제2 보호 필름(600) 대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보호 필름(500) 방향으로 곡률반경을 가지는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제2 보호 필름(600)이 제1 보호 필름(500) 대비 두꺼운 두께를 가짐으로써, 일 방향으로 밴딩된 밴딩 영역(BA)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중립면(NP)이 제2 보호 필름(600) 측으로 이동하여 웨이비 라인(WL) 하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에 인장 응력이 아닌 압축 응력이 인가되어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이 인장 응력에 의해 파괴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보호 필름(500) 방향으로 곡률반경을 가지는 플렉서블 기판(100)의 밴딩 영역(BA)에 위치하는 제1 보호 필름(500)의 타 부분(510)의 영률이 제2 보호 필름(600) 대비 크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밴딩 영역(BA)에 휨 모멘트(bending moment)가 발생되면 제1 보호 필름(500)의 타 부분(510)이 응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표시 장치의 중립면(neutral plane)(NP)이 웨이비 라인(WL) 하측으로 이동되어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에 인장 응력이 아닌 압축 응력이 인가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밴딩 영역(BA)에 대응하는 제1 보호 필름(500)의 타 부분(510)이 제2 보호 필름(600) 대비 큰 영률을 가짐으로써, 일 방향으로 밴딩된 밴딩 영역(BA)에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중립면(NP)이 제2 보호 필름(600) 측으로 이동하여 웨이비 라인(WL) 하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에 인장 응력이 아닌 압축 응력이 인가되어 절연층(CIL) 및 웨이비 라인(WL)이 인장 응력에 의해 파괴되는 것이 억제된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플렉서블 기판(100), 개구 패턴(OP), 절연층(CIL), 웨이비 라인(WL)

Claims (27)

  1. 일 방향으로 밴딩(bending)되는 밴딩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밴딩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개구 패턴들을 포함하는 절연층;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일부와 같은 층 위에 위치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개구 패턴들을 지나는 웨이비 라인(wavy line);
    상기 플렉서블 기판 위에 위치하고, 상기 밴딩 영역의 상기 웨이비 라인과 중첩하는 제1 보호 필름;
    상기 플렉서블 기판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밴딩 영역의 상기 웨이비 라인과 중첩하는 제2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밴딩 영역의 곡률반경의 중심은 상기 제1 보호 필름보다 상기 제2 보호 필름에 가깝고,
    상기 제1 보호 필름은 상기 제2 보호 필름 대비 두껍고,
    상기 밴딩 영역의 중립면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웨이비 라인 위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웨이비 라인은 상기 절연층의 표면 및 상기 복수의 개구 패턴들 각각의 저부를 따라 굴곡 연장된 표시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밴딩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외곽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밴딩 영역과 이웃하고 있으며,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밴딩 영역 중 상기 표시 영역만 커버(cover)하는 표시 장치.
  7. 제3항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유기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7항에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위치하는 액티브층;
    상기 액티브층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액티브층과 연결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웨이비 라인은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소스 전극 중 하나 이상과 동일한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1. 제9항에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는 제1 서브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개구 패턴은 상기 제1 서브 절연층에 형성된 표시 장치.
  13. 제11항에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액티브층을 덮는 제2 서브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개구 패턴은 상기 제1 서브 절연층 및 상기 제2 서브 절연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에 형성된 표시 장치.
  15. 제13항에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액티브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서브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개구 패턴은 상기 제1 서브 절연층, 상기 제2 서브 절연층, 상기 제3 서브 절연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에 형성된 표시 장치.
  17. 제1항에서,
    상기 웨이비 라인에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이 인가되는 표시 장치.
  18. 일 방향으로 밴딩(bending)되는 밴딩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밴딩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개구 패턴들을 포함하는 절연층;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일부와 같은 층 위에 위치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개구 패턴들을 지나는 웨이비 라인(wavy line);
    상기 플렉서블 기판 위에 위치하고, 상기 밴딩 영역의 상기 웨이비 라인과 중첩하는 제1 보호 필름;
    상기 플렉서블 기판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밴딩 영역의 상기 웨이비 라인과 중첩하는 제2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밴딩 영역의 곡률반경의 중심은 상기 제2 보호 필름보다 상기 제1 보호 필름에 가깝고,
    상기 제2 보호 필름은 상기 제1 보호 필름 대비 두껍고,
    상기 밴딩 영역의 중립면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웨이비 라인 아래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웨이비 라인은 상기 절연층의 표면 및 상기 복수의 개구 패턴들 각각의 저부를 따라 굴곡 연장된 표시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밴딩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외곽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1. 제20항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유기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위치하는 액티브층; 상기 액티브층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액티브층과 연결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웨이비 라인은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소스 전극 중 하나 이상과 동일한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2. 제21항에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는 제1 서브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3. 제22항에서,
    상기 개구 패턴은 상기 제1 서브 절연층에 형성된 표시 장치.
  24. 제22항에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액티브층을 덮는 제2 서브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5. 제24항에서,
    상기 개구 패턴은 상기 제1 서브 절연층 및 상기 제2 서브 절연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에 형성된 표시 장치.
  26. 제24항에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액티브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서브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 패턴은 상기 제1 서브 절연층, 상기 제2 서브 절연층, 상기 제3 서브 절연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에 형성된 표시 장치.
  27. 제1항에서,
    상기 절연층은 무기 재료 또는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50013811A 2015-01-28 2015-01-28 표시 장치 Active KR102405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811A KR102405257B1 (ko) 2015-01-28 2015-01-28 표시 장치
US14/849,426 US10446769B2 (en) 2015-01-28 2015-09-09 Display device having bending area
CN201511021088.6A CN105826350B (zh) 2015-01-28 2015-12-30 显示装置
EP16150810.6A EP3051333B1 (en) 2015-01-28 2016-01-11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811A KR102405257B1 (ko) 2015-01-28 2015-01-28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202A KR20160093202A (ko) 2016-08-08
KR102405257B1 true KR102405257B1 (ko) 2022-06-03

Family

ID=5508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811A Active KR102405257B1 (ko) 2015-01-28 2015-01-2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46769B2 (ko)
EP (1) EP3051333B1 (ko)
KR (1) KR102405257B1 (ko)
CN (1) CN1058263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3870B2 (en) * 2015-03-17 2018-04-03 Lg Display Co., Ltd. Back plate member for flexible display,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516118B2 (en) 2015-09-30 2019-12-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displa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KR102439506B1 (ko) * 2015-10-16 2022-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11499B1 (ko) * 2015-12-15 2023-1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0361385B2 (en) 2016-02-12 2019-07-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JP6727843B2 (ja) * 2016-02-25 2020-07-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536250B1 (ko) * 2016-03-17 2023-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5879B1 (ko) 2016-03-24 2023-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756508B2 (ja) 2016-04-04 2020-09-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20180040638A1 (en) * 2016-08-05 2018-02-08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KR102007435B1 (ko) 2016-08-02 2019-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741521B1 (ko) * 2016-08-05 2024-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710823B1 (ko) 2016-08-18 2024-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51056B1 (ko) * 2016-08-18 2024-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57892B1 (ko) * 2016-08-19 2023-07-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6206613B (zh) * 2016-08-24 2020-12-29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
KR102592956B1 (ko) 2016-08-29 2023-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2742A (ko) * 2016-09-22 2018-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벤딩 방법
KR102694860B1 (ko) 2016-09-23 2024-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806394B1 (ko) * 2016-09-28 2025-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6469523A (zh) * 2016-09-30 2017-03-01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8022943B (zh) * 2016-11-02 2019-11-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掩模板
JP6998652B2 (ja) * 2016-11-11 2022-01-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631257B1 (ko) * 2016-11-18 2024-01-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3831B1 (ko) * 2016-11-25 2023-09-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US10825839B2 (en) * 2016-12-02 2020-11-03 Innolux Corporation Touch display device
KR102675575B1 (ko) * 2016-12-12 2024-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8117111A1 (ja) * 2016-12-21 2018-06-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貫通電極基板、半導体装置及び貫通電極基板の製造方法
CN108400138B (zh) * 2016-12-28 2020-11-03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显示装置和柔性显示面板的制作方法
CN106653815B (zh) * 2016-12-29 2019-09-2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US10444912B2 (en) * 2016-12-30 2019-10-1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ensing method of sensing device and stretchable sensor device
KR102690480B1 (ko) * 2016-12-30 2024-07-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312228B2 (en) * 2017-01-25 2019-06-04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CN106972030B (zh) 2017-03-30 2019-09-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显示装置及柔性显示面板的制作方法
CN106920829A (zh) 2017-03-30 2017-07-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显示装置及柔性显示面板的制作方法
CN107146527B (zh) * 2017-04-27 2020-01-03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屏和柔性显示装置
CN107068695B (zh) * 2017-05-02 2020-02-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柔性显示装置
KR102318953B1 (ko) * 2017-05-08 2021-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952938B (zh) 2017-05-16 2020-06-0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以及柔性显示设备
CN106940966B (zh) 2017-05-17 2019-07-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屏模组和电子设备
CN107490892A (zh) * 2017-05-27 2017-12-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彩膜基板、液晶显示面板以及液晶显示器
KR102325818B1 (ko) * 2017-06-01 2021-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CN107195253B (zh) * 2017-07-26 2020-08-2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折叠柔性显示装置
CN109427258B (zh) * 2017-09-05 2021-09-17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WO2019064395A1 (ja) * 2017-09-27 2019-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417112B1 (ko) * 2017-09-28 2022-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90983B1 (ko) * 2018-02-13 2024-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10797123B2 (en) * 2017-10-13 2020-10-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9755256B (zh) * 2017-11-01 2022-0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制备方法、柔性显示装置
CN107863452A (zh) * 2017-11-02 2018-03-30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KR102606570B1 (ko) * 2017-11-29 2023-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7029948B2 (ja) * 2017-12-04 2022-03-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7086582B2 (ja) * 2017-12-11 2022-06-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559510B1 (ko) * 2017-12-15 2023-07-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26552B1 (ko) * 2017-12-19 2020-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04981B1 (ko) 2017-12-19 2020-05-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67823B1 (ko) * 2017-12-19 2022-02-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14597B1 (ko) * 2017-12-19 2022-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73434B1 (ko) 2017-12-19 2020-11-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26553B1 (ko) 2017-12-19 2020-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85116B1 (ko) * 2017-12-19 2020-1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054188B (zh) * 2017-12-20 2020-11-2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08231839A (zh) * 2017-12-27 2018-06-2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的弯折区结构及其制作方法
CN113053250B (zh) * 2017-12-28 2022-10-04 乐金显示有限公司 可折叠显示器
KR102515890B1 (ko) * 2017-12-28 2023-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61357B1 (ko) * 2018-01-05 2022-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231800B (zh) * 2018-02-02 2019-10-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JP2019168642A (ja) * 2018-03-26 2019-10-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電気光学装置
US11380222B2 (en) * 2018-03-27 2022-07-05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US11522162B2 (en) * 2018-03-30 2022-12-0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with wiring line between islands in bending region
CN108461531B (zh) * 2018-04-09 2019-09-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和柔性显示面板
TWI664475B (zh) * 2018-04-30 2019-07-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器
KR102547854B1 (ko) 2018-05-04 2023-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및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8428731B (zh) * 2018-05-17 2021-01-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oled显示面板及柔性oled显示装置
CN108550556B (zh) 2018-05-31 2021-03-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柔性衬底的保护膜及其显示面板
TWI666492B (zh) * 2018-07-09 2019-07-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主動元件基板
CN109037469B (zh) 2018-07-09 2020-11-03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1985876B2 (en) * 2018-07-20 2024-05-1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CN109004011B (zh) * 2018-08-01 2021-03-1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0770667B2 (en) * 2018-08-21 2020-09-08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9148532B (zh) * 2018-08-21 2020-04-1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9166866B (zh) * 2018-08-28 2020-12-0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9273503B (zh) * 2018-09-27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20065962A1 (ja) * 2018-09-28 2020-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9545796A (zh) * 2018-09-30 2019-03-2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曲面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
CN111146238B (zh) * 2018-10-17 2022-08-16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电子设备
KR102562604B1 (ko) * 2018-11-08 2023-08-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전계발광 표시장치
CN109509776A (zh) * 2018-11-22 2019-03-2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oled显示器
CN109560110B (zh) 2018-11-29 2020-10-16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柔性显示装置
KR102671454B1 (ko) * 2018-11-30 2024-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671718B (zh) * 2018-12-04 2021-02-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09585514A (zh) * 2018-12-12 2019-04-0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具有该显示面板的显示装置
KR102658430B1 (ko) * 2018-12-31 2024-04-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7064157B2 (ja) * 2019-01-09 2022-05-10 株式会社Joled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CN110660327B (zh) 2019-01-18 2021-03-2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US10892257B2 (en) * 2019-01-21 2021-01-12 Innolux Corporatio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769670B1 (ko) * 2019-01-29 2025-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9887416B (zh) 2019-03-15 2021-12-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KR102777238B1 (ko) * 2019-04-02 2025-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24352A (ko) * 2019-04-23 2020-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061039B (zh) * 2019-04-26 2021-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246849A (zh) * 2019-05-17 2019-09-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
JP7341728B2 (ja) * 2019-05-28 2023-09-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フレキシブル基板
KR102671010B1 (ko) * 2019-06-25 2024-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148620B (zh) * 2019-06-26 2021-06-15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0391294B (zh) * 2019-07-08 2021-04-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阵列基板及柔性显示面板
CN110544710A (zh) * 2019-08-08 2019-12-0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阵列基板及显示装置
KR102663520B1 (ko) * 2019-08-23 2024-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0828694A (zh) * 2019-10-31 2020-02-21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CN110931530B (zh) * 2019-11-26 2022-07-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KR102727809B1 (ko) 2019-12-10 2024-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CN113287209B (zh) * 2019-12-20 2023-04-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和柔性显示装置
CN111240513B (zh) * 2020-01-07 2022-09-20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显示器反折部保护结构
KR102793995B1 (ko) 2020-01-13 2025-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686883B2 (en) 2020-02-14 2023-06-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bendable area
CN113314509B (zh) * 2020-02-27 2022-11-0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发光装置
CN111415969B (zh) * 2020-04-27 2022-04-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US11640963B2 (en) * 2020-05-19 2023-05-02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1206734B1 (en) * 2020-06-08 2021-12-21 Roger Huang Electronic device and wiring structure thereof
KR20200077477A (ko) * 2020-06-18 2020-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31839A (ko) * 2020-09-04 2022-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2064710A1 (ja) * 2020-09-28 2022-03-3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501143B1 (ko) * 2020-10-27 2023-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220060605A (ko) * 2020-11-04 2022-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331681A (zh) * 2020-11-25 2021-02-05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4171497B (zh) * 2021-11-30 2023-02-03 中国农业大学 可延展电子器件、柔性基底及其制作方法
CN114447077B (zh) * 2022-01-25 2025-07-0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46886A1 (en) * 2010-12-13 2012-06-14 Sony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3188B2 (en) * 2005-07-29 2011-01-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7288078A (ja) 2006-04-20 2007-11-01 Seiko Epson Corp フレキシブル電子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5322427B2 (ja) * 2007-12-19 2013-10-23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155907B1 (ko) * 2009-06-04 2012-06-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2389064A4 (en) * 2009-10-12 2014-10-01 New Health Sciences Inc OXYGEN DETECTION DEVICES AND METHOD FOR REMOVING OXYGEN FROM RED BLOOD CELLS
US8665236B2 (en) 2011-09-26 2014-03-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wrap around display
KR101308238B1 (ko) 2012-02-20 2013-09-13 천태봉 수상용 태양전지
US8752881B2 (en) * 2012-07-19 2014-06-17 Rory H. Chenowth Self-correcting drive for retractable cargo canopy
KR101965257B1 (ko) 2012-10-08 2019-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 장치
KR102045244B1 (ko) * 2012-11-14 2019-1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표시소자
US9601557B2 (en) * 2012-11-16 2017-03-21 Apple Inc. Flexible display
KR102097150B1 (ko) * 2013-02-01 2020-04-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9740035B2 (en) * 2013-02-15 2017-08-22 Lg Display Co., Ltd.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96812B1 (ko) * 2013-02-15 2017-1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38985B1 (ko) * 2013-02-21 2019-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76666B1 (ko) * 2013-04-11 2020-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패널
KR102099865B1 (ko) 2013-08-12 2020-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46886A1 (en) * 2010-12-13 2012-06-14 Sony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26350B (zh) 2020-10-27
EP3051333B1 (en) 2018-03-14
EP3051333A1 (en) 2016-08-03
CN105826350A (zh) 2016-08-03
KR20160093202A (ko) 2016-08-08
US10446769B2 (en) 2019-10-15
US20160218305A1 (en)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5257B1 (ko) 표시 장치
US10976853B2 (en) Display device
KR102367251B1 (ko) 표시 장치
KR102439506B1 (ko) 표시 장치
US10096667B2 (en) Display device
KR102312260B1 (ko) 플렉서블 터치 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178796B1 (ko) 표시 장치
KR10231621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44330B1 (ko) 표시 장치
KR102385336B1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1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11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5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1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7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02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2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1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7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