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71010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1010B1
KR102671010B1 KR1020190075942A KR20190075942A KR102671010B1 KR 102671010 B1 KR102671010 B1 KR 102671010B1 KR 1020190075942 A KR1020190075942 A KR 1020190075942A KR 20190075942 A KR20190075942 A KR 20190075942A KR 102671010 B1 KR102671010 B1 KR 102671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openings
support member
disposed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809A (ko
Inventor
서동우
박동진
신재구
최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5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1010B1/ko
Priority to US16/819,366 priority patent/US11296286B2/en
Priority to EP20181422.5A priority patent/EP3757668B1/en
Priority to EP24218938.9A priority patent/EP4513296A3/en
Priority to CN202010578763.XA priority patent/CN112133196A/zh
Publication of KR20210000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809A/ko
Priority to US17/713,159 priority patent/US1207568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1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1010B1/ko
Priority to US18/786,005 priority patent/US20240389448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배치되고, 폴딩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및 지지 부재의 저면 상의 폴딩 영역에서 개구들과 중첩하여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질이 개구들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고, 폴딩 영역에서 표시 장치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장치는 경량 및 박형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음극선관 표시 장치를 대체하는 표시 장치로써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액정 표시 장치와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있다.
최근 이러한 표시 장치에 포함된 표시 패널의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은 플렉서블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표시 패널의 일부가 벤딩 또는 폴딩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에 포함된 하부 기판은 폴리이미드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표시 패널에 포함된 상부 기판은 박막 봉지 구조물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이 폴딩되는 부분에서도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시 영역의 일부가 폴딩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개구들은 상기 표시 패널이 폴딩되는 부분과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폴딩 및 언폴딩되는 동안 상기 개구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경우, 상기 폴딩되는 부분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불량이 야기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목적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저면 상의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개구들과 중첩하여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의 일부가 상기 폴딩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개구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내지 제n(단, n은 1 이상의 정수) 개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개구들 중 제k(단, k는 1과 n 사이의 짝수) 개구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n 개구들 중 제k-1 및 제k+1 개구들 각각의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되는 제3 방향에 위치하는 돌출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 중 인접한 두 개의 돌출부들 사이 공간이 트랜치로 정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트랜치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저면 상의 제1 부분에 배치되는 제1 단차 보상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저면 상의 제2 부분에 배치되는 제2 단차 보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차 보상 부재들 각각의 저면과 상기 탄성 부재의 저면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개구들을 덮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충격 완화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접착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충격 완화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 부재는 상기 충격 완화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개구들을 덮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착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충격 완화 부재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저면 상의 제1 부분에 배치되는 제1 금속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저면 상의 제2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이격되는 제2 금속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각각은 상기 폴딩 영역과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금속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접착 부재와 이격되는 제5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저면 상의 제1 부분에 배치되는 제1 단차 보상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저면 상의 제2 부분에 배치되는 제2 단차 보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차 보상 부재들 각각의 저면과 상기 제1 및 제2 금속 부재 각각의 저면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 패널이 폴딩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개구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인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빈 공간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개구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개구들 상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이물질이 개구들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 영역에서 표시 장치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가 금속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폴딩 영역에서 표시 패널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발생된 정전기, 전자파, 전기장, 자기장 등을 차폐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표시 패널이 폴딩된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를 I-I'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표시 장치의 'B'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표시 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표시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표시 패널이 폴딩된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를 I-I'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1 및 3은 표시 장치(100)가 언폴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2, 3 및 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200), 충격 완화 부재(410), 지지 부재(500), 탄성 부재(430), 단차 보상 부재(4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는 표시 영역(10) 및 폴딩 영역(2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10)은 표시 패널(200)로부터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폴딩 영역(20)은 표시 장치(100)가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10)의 일부가 폴딩 영역(20)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 보상 부재(460)는 제1 단차 보상 부재(461) 및 제2 단차 보상 부재(462)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500)에는 복수의 개구들(535), 복수의 돌출부들(530) 및 복수의 트랜치들(5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2 및 3을 다시 참조하면, 표시 패널(200)이 제공될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은 복수의 서브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브 화소들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200)은 영상이 표시되는 제1 면(S1) 및 제1 면(S1)과 대향하는 제2 면(S2)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200)은 제1 측면(SS1) 및 제1 측면(SS1)과 마주보는 제2 측면(SS2)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 영역(20)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200)이 폴딩되는 경우, 제1 측면(SS1)과 제2 측면(SS2)이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폴딩 영역(20)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200)의 형상이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면(S1)이 안쪽에 위치하고, 제2 면(S2)이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표시 패널(200)은 제1 면(S1)이 바깥쪽에 위치하고, 제2 면(S2)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폴딩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200)의 제2 면(S2) 상에 충격 완화 부재(410)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충격 완화 부재(410)는 지지 부재(500)와 표시 패널(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충격 완화 부재(41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20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충격 완화 부재(410)는 표시 패널(200)이 용이하게 폴딩되도록 연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격 완화 부재(410)는 폴리우레탄 폼, 폴리스타이렌 폼 등과 같은 폼 형태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4를 다시 참조하면, 충격 완화 부재(410)의 저면 상에 지지 부재(500)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지 부재(500)는 표시 패널(200)의 제2 면(S2)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폴딩 영역(20)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들(53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개구들(535)은 표시 장치(100)의 상면에 평행한 제1 방향(D1)으로 배열되는 개구들(531) 및 제1 방향(D1)과 직교하는 제2 방향(D2)으로 시프트되어 제1 방향(D1)으로 배열되는 개구들(5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500)는 제2 방향(D2)과 반대되는 제3 방향(D3)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돌출부들(530) 중 인접한 두 개의 돌출부들 사이 공간이 트랜치(520)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구들(535)은 제1 방향(D1)으로 배열되는 제1 내지 제n(단, n은 1 이상의 정수)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n 개구들 중 제k(단, k는 1과 n 사이의 짝수) 개구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500)는 상기 제1 내지 제n 개구들 중 제k-1 및 제k+1 개구들 각각의 제3 방향(D3)에 위치하는 돌출부들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들에 의해 트랜치(520)가 정의될 수 있다.
지지 부재(500)는 표시 패널(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표시 패널(200)의 폴딩을 돕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500)는 표시 패널(200)의 제2 면(S2) 상에 전체적으로 배치됨으로써 표시 패널(200)을 지지할 수 있고, 폴딩 영역(20)에 형성된 개구들(535)이 표시 패널(200)이 폴딩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개구들(535)은 빈 공간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가 폴딩되는 경우, 개구들(535) 각각의 형상이 변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개구들(535) 각각의 형상이 기하학적 형상을 가짐에 따라, 폴딩 영역(20)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500)는 깊이 방향(예를 들어, 지지 부재(500)로부터 표시 패널(200)으로의 방향)으로의 변형되지 않고, 길이 방향(예를 들어, 제1 방향(D1))으로 변형될 수 있다.
지지 부재(500)는 상대적으로 큰 탄성력 또는 상대적으로 큰 복원력을 가지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지지 부재(500)는 서스(SUS: Steel use stainless)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지지 부재(500)는 니켈-티타늄(Ni-Ti), 니켈-알루미늄(Ni-Al), 구리-아연-니켈(Cu-Zn-Ni), 구리-알루미늄-니켈(Cu-Al-Ni), 구리-알루미늄-망간(Cu-Al-Mn), 티타늄-니켈-구리-몰리브덴(Ti-Ni-Cu-Mo), 코발트-니켈-갈륨:철(Co-Ni-Ga:Fe), 은-니켈(Ag-Ni), 금-카드뮴(Au-Cd), 철-백금(Fe-Pt), 철-니켈(Fe-Ni), 인듐-카드뮴(In-Cd) 등과 같은 합금(예를 들어, 초탄성 금속)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개구들(535) 각각의 형상이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개구들(535) 각각의 형상은 삼각형의 평면 형상, 마름모의 평면 형상, 다각형의 평면 형상, 원형의 평면 형상, 트랙형의 평면 형상 또는 타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지지 부재(500)의 저면 상의 일부에 탄성 부재(430)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탄성 부재(430)는 지지 부재(500)의 저면 상의 폴딩 영역(20)에서 개구들(535)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430)에 의해 개구들(535)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개구들(535)이 빈 공간으로 존재하도록 탄성 부재(430)는 개구들(535) 각각의 내부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장치(100)가 폴딩 및 언폴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동안, 탄성 부재(430)는 개구들(535) 및 트랜치(520)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가 폴딩 및 언폴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동안, 탄성 부재(430)는 개구들(535)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인장 및 수축될 수 있다. 탄성 부재(430)는 상대적으로 큰 탄성력 또는 상대적으로 큰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중합체(elastom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 부재(430)는 실리콘, 우레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 urethane TPU) 등과 같은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표시 장치가 폴딩 및 언폴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동안, 이물질이 개구들(535)에 침투할 수 있다. 상기 침투된 이물질은 개구들(535) 밖으로 다시 빠져나가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물질 때문에 폴딩 영역(20)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500)가 손상되거나 개구들(535)의 형상이 변형되어 폴딩 영역(20)에서 상기 종래의 표시 장치의 불량이 야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개구들(535)이 노출되지 않도록 개구들(535) 상에 탄성 부재(430)가 배치됨으로써, 이물질이 개구들(535)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460)가 지지 부재(500)의 저면 상에서 탄성 부재(430)와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차 보상 부재(461)는 지지 부재(500)의 저면 상의 제1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단차 보상 부재(462)는 지지 부재(500)의 저면 상의 제2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단차 보상 부재(460)의 저면과 탄성 부재(430)의 저면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460)는 탄성 부재(430)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에서 표시 패널(20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46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렌(polyethylene naphthalene PEN),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스트렌(polystyrene PS), 폴리술폰(polysulfone PSul),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탈라미드(polyphthalamide PPA),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아리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 카보네이트 옥사이드(polycarbonate oxide PCO), 변성 폴리페닐렌 옥사이드(modified polyphenylene oxide MPP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개구들(535)이 노출되지 않도록 개구들(535) 상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430)를 포함함으로써, 이물질이 개구들(535)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 영역(20)에서 표시 장치(100)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표시 장치의 'B'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표시 패널(200)은 기판(110), 반도체 소자(250), 평탄화층(270), 하부 전극(290), 화소 정의막(310), 발광층(330), 상부 전극(340), 제1 박막 봉지층(451), 제2 박막 봉지층(452), 제3 박막 봉지층(4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소자(250)는 액티브층(130), 게이트 절연층(150), 게이트 전극(170), 층간 절연층(190), 소스 전극(210) 및 드레인 전극(230)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한 또는 불투명한 재료를 포함하는 기판(110)이 제공될 수 있다. 기판(110)은 충격 완화 부재(4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110)은 투명 수지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기판(110)으로 이용될 수 있는 투명 수지 기판의 예로는 폴리이미드 기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폴리이미드 기판은 제1 폴리이미드층, 베리어 필름층, 제2 폴리이미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기판(110)은 석영(quartz) 기판, 합성 석영(synthetic quartz) 기판, 불화칼슘(calcium fluoride) 기판, 불소가 도핑된 석영(F-doped quartz) 기판, 소다라임(sodalime) 유리 기판, 무알칼리(non-alkali) 유리 기판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판(110) 상에 버퍼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버퍼층은 기판(110)으로부터 금속 원자들이나 불순물들이 반도체 소자(250)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액티브층을 형성하기 위한 결정화 공정 동안 열의 전달 속도를 조절하여 실질적으로 균일한 액티브층을 수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층은 기판(110)의 표면이 균일하지 않을 경우, 기판(110)의 표면의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기판(110)의 유형에 따라 기판(110) 상에 두 개 이상의 버퍼층들이 제공될 수 있거나 상기 버퍼층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버퍼층은 유기 물질 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 상에 액티브층(130)이 배치될 수 있다. 액티브층(130)은 금속 산화물 반도체, 무기물 반도체(예를 들면, 아몰퍼스 실리콘(amorphous silicon), 폴리 실리콘(poly silicon)) 또는 유기물 반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층(130)은 소스 및 드레인 영역들을 가질 수 있다.
액티브층(130) 상에는 게이트 절연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절연층(150)은 기판(110) 상에서 액티브층(130)을 충분히 덮을 수 있으며, 액티브층(130)의 주위에 단차를 생성시키지 않고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게이트 절연층(150)은 기판(110) 상에서 액티브층(130)을 덮으며, 균일한 두께로 액티브층(130)의 프로파일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게이트 절연층(150)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절연층(150)은 실리콘 산화물(SiO), 실리콘 질화물(SiN), 실리콘 산질화물(SiON), 실리콘 산탄화물(SiOC), 실리콘 탄질화물(SiCN), 알루미늄 산화물(AlO), 알루미늄 질화물(AlN), 탄탈륨 산화물(TaO), 하프늄 산화물(HfO), 지르코늄 산화물(ZrO), 티타늄 산화물(Ti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게이트 절연층(150)은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절연층들은 두께가 서로 다르거나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50) 상에 게이트 전극(170)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70)은 게이트 절연층(150) 중에서 하부에 액티브층(130)이 위치하는 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70)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전극(170)은 금(Au), 은(Ag), 알루미늄(Al), 텅스텐(W), 구리(Cu), 백금(Pt), 니켈(Ni), 티타늄(Ti), 팔라듐(Pd), 마그네슘(Mg), 칼슘(Ca), 리튬(Li), 크롬(Cr), 탄탈륨(Ta), 몰리브데늄(Mo), 스칸듐(Sc), 네오디뮴(Nd), 이리듐(Ir),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합금, 알루미늄 질화물(AlN), 은을 함유하는 합금, 텅스텐 질화물(WN), 구리를 함유하는 합금, 몰리브데늄을 함유하는 합금, 티타늄 질화물(TiN), 크롬 질화물(CrN), 탄탈륨 질화물(TaN), 스트론튬 루테늄 산화물(SrRuO), 아연 산화물(ZnO), 인듐 주석 산화물(ITO), 주석 산화물(SnO), 인듐 산화물(InO), 갈륨 산화물(GaO), 인듐 아연 산화물(IZ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170)은 복수의 금속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금속층들은 두께가 서로 다르거나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70) 상에는 층간 절연층(19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층간 절연층(190)은 게이트 절연층(150) 상에서 게이트 전극(170)을 충분히 덮을 수 있으며, 게이트 전극(170)의 주위에 단차를 생성시키지 않고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층간 절연층(190)은 게이트 절연층(150) 상에서 게이트 전극(170)을 덮으며, 균일한 두께로 게이트 전극(170)의 프로파일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층간 절연층(190)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층간 절연층(190)은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절연층들은 두께가 서로 다르거나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층간 절연층(190) 상에 소스 전극(210) 및 드레인 전극(230)이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210)은 게이트 절연층(150) 및 층간 절연층(190)의 제1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130)의 소스 영역에 접속될 수 있고, 드레인 전극(230)은 게이트 절연층(150) 및 층간 절연층(190)의 제2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130)의 드레인 영역에 접속될 수 있다. 소스 전극(210) 및 드레인 전극(230)은 각기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소스 전극(210) 및 드레인 전극(230) 각각은 복수의 금속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금속층들은 두께가 서로 다르거나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티브층(130), 게이트 절연층(150), 게이트 전극(170), 층간 절연층(190), 소스 전극(210) 및 드레인 전극(230)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25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반도체 소자(250)가 상부 게이트 구조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반도체 소자(250)는 하부 게이트 구조, 더블 게이트 구조 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가 하나의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소자,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층간 절연층(190), 소스 전극(210) 및 드레인 전극(230) 상에 평탄화층(27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탄화층(270)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평탄화층(270)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평탄화층(270)의 평탄한 상면을 구현하기 위하여 평탄화층(270)에 대해 평탄화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평탄화층(270)은 층간 절연층(190) 상에서 균일한 두께로 소스 전극(210) 및 드레인 전극(230)의 프로파일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평탄화층(270)은 유기 물질 또는 무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평탄화층(270)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탄화층(270)은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based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based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based resin), 실록산계 수지(siloxane-based resin), 아크릴계 수지(acryl-based resin), 에폭시계 수지(epoxy-based res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290)은 평탄화층(27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전극(290)은 평탄화층(270)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드레인 전극(230)에 접속될 수 있고, 하부 전극(290)은 반도체 소자(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전극(290)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하부 전극(290)은 복수의 금속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금속층들은 두께가 서로 다르거나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310)은 평탄화층(27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소 정의막(310)은 하부 전극(290)의 양측부를 덮으며 하부 전극(290)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화소 정의막(310)은 유기 물질 또는 무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화소 정의막(310)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330)은 화소 정의막(310) 및 하부 전극(29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330)은 서브 화소들에 따라 상이한 색광들(즉,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등)을 방출시킬 수 있는 발광 물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발광층(330)은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등의 다른 색광들을 발생시킬 수 있는 복수의 발광 물질들을 적층하여 전체적으로 백색광을 방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하부 전극(290) 상에 배치된 발광층(330) 상에 컬러 필터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컬러 필터는 적색 컬러 필터, 녹색 컬러 필터, 청색 컬러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컬러 필터는 황색(Yellow) 컬러 필터, 청남색(Cyan) 컬러 필터 및 자주색(Magenta)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컬러 필터는 감광성 수지 또는 컬러 포토레지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전극(340)은 발광층(330) 및 화소 정의막(3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전극(340)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부 전극(340)은 복수의 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금속층들은 두께가 서로 다르거나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전극(340) 상에 제1 박막 봉지층(45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박막 봉지층(451)은 상부 전극(340)을 덮으며 균일한 두께로 상부 전극(340)의 프로 파일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박막 봉지층(451)은 발광층(330)이 수분, 산소 등의 침투로 인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박막 봉지층(451)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200)을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제1 박막 봉지층(451)은 가요성을 갖는 무기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박막 봉지층(451) 상에 제2 박막 봉지층(45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박막 봉지층(452)은 표시 패널(200)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표시 패널(200)을 보호할 수 있다. 제2 박막 봉지층(452)은 가요성을 갖는 유기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박막 봉지층(452) 상에 제3 박막 봉지층(453)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박막 봉지층(453)은 제2 박막 봉지층(452)을 덮으며 균일한 두께로 제2 박막 봉지층(452)의 프로 파일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3 박막 봉지층(453)은 제1 박막 봉지층(451)과 함께 발광층(330)이 수분, 산소 등의 침투로 인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박막 봉지층(453)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제1 박막 봉지층(451) 및 제2 박막 봉지층(452)과 함께 표시 패널(200)을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제3 박막 봉지층(453)은 가요성을 갖는 무기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110), 반도체 소자(250), 평탄화층(270), 하부 전극(290), 화소 정의막(310), 발광층(330), 상부 전극(340), 제1 박막 봉지층(451), 제2 박막 봉지층(452) 및 제3 박막 봉지층(453)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20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표시 장치(100)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표시 장치(10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device PDP) 또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image display device EP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예시한 표시 장치(700)는 제1 접착 부재(425), 제2 접착 부재(415), 제3 접착 부재(205), 제4 접착 부재(436), 제5 접착 부재(437) 및 금속 부재(7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도 6은 표시 장치(700)가 언폴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700)는 표시 패널(200), 제3 접착 부재(205), 충격 완화 부재(410), 제2 접착 부재(415), 지지 부재(500), 제1 접착 부재(425), 탄성 부재(430), 제4 접착 부재(436), 제5 접착 부재(437), 금속 부재(705), 단차 보상 부재(4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장치(700)는 표시 영역(10) 및 폴딩 영역(2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10)은 표시 패널(200)로부터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폴딩 영역(20)은 표시 장치(700)가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10)의 일부가 폴딩 영역(20)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단차 보상 부재(460)는 제1 단차 보상 부재(461) 및 제2 단차 보상 부재(462)를 포함할 수 있고, 금속 부재(705)는 제1 금속 부재(710) 및 제2 금속 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지지 부재(500)에는 복수의 개구들(535), 복수의 돌출부들(530) 및 복수의 트랜치들(5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425)가 지지 부재(500)와 탄성 부재(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접착 부재(425)의 상면은 지지 부재(500)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제1 접착 부재(425)의 저면은 탄성 부재(430)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 부재(425)는 개구들(535)을 덮을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425)는 지지 부재(500)의 저면 상에 탄성 부재(430)를 접착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개구들(535)이 빈 공간으로 존재하도록 제1 접착 부재(425)는 개구들(535) 각각의 내부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장치(700)가 폴딩 및 언폴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동안, 탄성 부재(430)와 함께 제1 접착 부재(425)는 개구들(535) 및 트랜치(520)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700)가 폴딩 및 언폴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동안, 제1 접착 부재(425)는 개구들(535)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인장 및 수축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425)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압감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광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착제는 PET, PEN, PP, PC, PS, PSul, PE, PPA, PES, PAR, PCO, MPPO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지는 에폭시 수지(epoxy resin), 아미노 수지(amino resin), 페놀 수지(phenol resin), 우레아 수지(urea resin),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 폴리우레탄 수지(polyurethan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415)는 충격 완화 부재(410)와 지지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접착 부재(415)의 상면은 충격 완화 부재(410)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제2 접착 부재(415)의 저면은 지지 부재(500)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 부재(415)는 개구들(535)을 덮을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415)는 지지 부재(500)의 상면 상에 충격 완화 부재(410)를 접착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개구들(535)이 빈 공간으로 존재하도록 제2 접착 부재(415)는 개구들(535) 각각의 내부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415)는 OCA, PSA, 광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접착 부재(205)는 표시 패널(200)과 충격 완화 부재(4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3 접착 부재(205)의 상면은 표시 패널(200)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제3 접착 부재(205)의 저면은 충격 완화 부재(410)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3 접착 부재(205)는 표시 패널(200)과 충격 완화 부재(410)를 접착시킬 수 있다. 제3 접착 부재(205)는 OCA, PSA, 광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430)의 저면 상에 금속 부재(70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금속 부재(710)는 탄성 부재(430)의 저면 상의 제1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금속 부재(720)는 탄성 부재(430)의 저면 상의 제2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부재(430)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 각각은 폴딩 영역(20)과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금속 부재(710)와 제2 금속 부재(720)는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되는 거리는 폴딩 영역(20)의 곡률 반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금속 부재(705)는 폴딩 영역(20)에서 표시 패널(20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발생된 정전기, 전자파, 전기장, 자기장 등을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금속 부재(705)는 SUS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금속 부재는 Au, Ag, Al, W, Cu, Pt, Ni, Ti, Pd, Mg, Ca, Li, Cr, Ta, Mo, Sc, Nd, Ir,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합금, AlN, 은을 함유하는 합금, WN, 구리를 함유하는 합금, 몰리브데늄을 함유하는 합금, TiN, CrN, TaN, SrRuO, ZnO, ITO, SnO, InO, GaO, IZO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금속 부재(700)의 저면 상에 단차 보상 부재, 접착 부재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접착 부재는 표시 장치(700)를 둘러싸는 세트 부재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단차 보상 부재는 금속 부재(705)와 함께 폴딩 영역(20)에서 표시 패널(20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436)는 제1 금속 부재(710)와 탄성 부재(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4 접착 부재(436)의 상면은 탄성 부재(430)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제4 접착 부재(436)의 저면은 제1 금속 부재(710)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436)는 탄성 부재(430)의 저면 상의 상기 제1 부분에 제1 금속 부재(710)를 접착시킬 수 있다. 제5 접착 부재(437)는 제2 금속 부재(720)와 탄성 부재(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5 접착 부재(437)의 상면은 탄성 부재(430)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제5 접착 부재(437)의 저면은 제2 금속 부재(720)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4 접착 부재(436)와 제5 접착 부재(437)는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5 접착 부재(437)는 탄성 부재(430)의 저면 상의 상기 제2 부분에 제2 금속 부재(720)를 접착시킬 수 있다.제4 접착 부재(436) 및 제5 접착 부재(437) 각각은 OCA, PSA, 광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탄성 부재(430)의 저면 상의 상기 제1 부분에 제4 접착 부재(436)와 함께 제1 단차 보상 부재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탄성 부재(430)의 저면 상의 상기 제2 부분에 제5 접착 부재(437)와 함께 제2 단차 보상 부재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단차 보상 부재들은 폴딩 영역(20)에서 표시 패널(20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460)가 지지 부재(500)의 저면 상에서 제1 접착 부재(425), 탄성 부재(430), 제4 접착 부재(436), 제5 접착 부재(437) 및 금속 부재(705)와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차 보상 부재(461)는 지지 부재(500)의 저면 상의 제1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단차 보상 부재(462)는 지지 부재(500)의 저면 상의 제2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단차 보상 부재(460)의 저면과 금속 부재(705)의 저면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460)는 금속 부재(705)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에서 표시 패널(20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차 보상 부재(460)는 PET, PEN, PP, PC, PS, PSul, PE, PPA, PES, PAR, PCO, MPP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단차 보상 부재(460)의 저면 상에 접착 부재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접착 부재는 표시 장치(700)를 둘러싸는 세트 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700)는 개구들(535)이 노출되지 않도록 개구들(535) 상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430)를 포함함으로써, 이물질이 개구들(535)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 영역(20)에서 표시 장치(700)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700)가 금속 부재(705)를 포함함으로써 폴딩 영역(20)에서 표시 패널(20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발생된 정전기, 전자파, 전기장, 자기장 등을 차폐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표시 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표시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 8 및 9에 예시한 표시 장치(800)는 탄성 부재(83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장치(8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7, 8 및 9에 있어서,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도 7, 8 및 9는 표시 장치(800)가 언폴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8 및 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800)는 표시 패널(200), 충격 완화 부재(410), 지지 부재(500), 탄성 부재(830), 단차 보상 부재(4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장치(800)는 표시 영역(10) 및 폴딩 영역(2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10)은 표시 패널(200)로부터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폴딩 영역(20)은 표시 장치(800)가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10)의 일부가 폴딩 영역(20)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단차 보상 부재(460)는 제1 단차 보상 부재(461) 및 제2 단차 보상 부재(462)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지지 부재(500)에는 복수의 개구들(535), 복수의 돌출부들(530) 및 복수의 트랜치들(520)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500)의 저면의 일부 및 측면의 일부에 탄성 부재(830)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탄성 부재(830)는 지지 부재(500)의 저면 상의 폴딩 영역(20)에서 개구들(535)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면서, 지지 부재(500)의 측면 상의 폴딩 영역(20)에서 트랜치들(520)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830)에 의해 개구들(535) 및 트랜치들(520)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개구들(535) 및 트랜치들(520)이 빈 공간으로 존재하도록 탄성 부재(830)는 개구들(535) 및 트랜치들(520) 각각의 내부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장치(800)가 폴딩 및 언폴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동안, 탄성 부재(830)는 개구들(535) 및 트랜치들(520)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800)가 폴딩 및 언폴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동안, 탄성 부재(830)는 개구들(535) 및 트랜치들(520)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인장 및 수축될 수 있다. 탄성 부재(830)는 상대적으로 큰 탄성력 또는 상대적으로 큰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 부재(830)는 실리콘, 우레탄, TPU 등과 같은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800)가 탄성 부재(830)를 포함함으로써, 지지 부재(500)의 개구들(535) 및 트랜치들(520)을 덮을 수 있고, 이물질이 개구들(535) 및 트랜치(520)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물질에 의한 표시 장치(800)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구비할 수 있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박용 및 항공기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휴대용 통신 장치들, 전시용 또는 정보 전달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의료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등과 같은 수많은 디스플레이 기기들에 적용 가능하다.
10: 표시 영역 20: 폴딩 영역
100, 700, 800: 표시 장치 110: 기판
130: 액티브층 150: 게이트 절연층
170: 게이트 전극 190: 층간 절연층
200: 표시 패널 205: 제3 접착 부재
210: 소스 전극 230: 드레인 전극
250: 반도체 소자 270: 평탄화층
290: 하부 전극 310: 화소 정의막
330: 발광층 340: 상부 전극
410: 충격 완화 부재 415: 제2 접착 부재
425: 제1 접착 부재 430, 830: 탄성 부재
436: 제4 접착 부재 451: 제1 박막 봉지층
452: 제2 박막 봉지층 453 제3 박막 봉지층
460: 단차 보상 부재 461: 제1 단차 보상 부재
462: 제2 단차 보상 부재 500: 지지 부재
520: 트랜치 530: 돌출부들
531, 532: 개구들 700: 금속 부재
710: 제1 금속 부재 720: 제2 금속 부재

Claims (20)

  1. 폴딩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저면 상의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개구들과 중첩하여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저면 상에서 상기 탄성 부재와 이격하여 배치되는 단차 보상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의 일부가 상기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개구들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내지 제n(단, n은 1 이상의 정수) 개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개구들 중 제k(단, k는 1과 n 사이의 짝수) 개구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n 개구들 중 제k-1 및 제k+1 개구들 각각의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되는 제3 방향에 위치하는 돌출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 중 인접한 두 개의 돌출부들 사이 공간이 트랜치로 정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트랜치를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보상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저면 상의 제1 부분에 배치되는 제1 단차 보상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저면 상의 제2 부분에 배치되는 제2 단차 보상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차 보상 부재들 각각의 저면과 상기 탄성 부재의 저면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개구들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충격 완화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접착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충격 완화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 부재는 상기 충격 완화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개구들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착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충격 완화 부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폴딩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저면 상의 상기 폴딩 영역에서 상기 개구들과 중첩하여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저면 상의 제1 부분에 배치되는 제1 금속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저면 상의 제2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이격되는 제2 금속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각각은 상기 폴딩 영역과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접착 부재; 및
    상기 제2 금속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4 접착 부재와 이격되는 제5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저면 상의 제1 부분에 배치되는 제1 단차 보상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저면 상의 제2 부분에 배치되는 제2 단차 보상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차 보상 부재들 각각의 저면과 상기 제1 및 제2 금속 부재 각각의 저면은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 패널이 폴딩되는 경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개구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빈 공간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90075942A 2019-06-25 2019-06-25 표시 장치 Active KR102671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942A KR102671010B1 (ko) 2019-06-25 2019-06-25 표시 장치
US16/819,366 US11296286B2 (en) 2019-06-25 2020-03-16 Display device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having openings
EP24218938.9A EP4513296A3 (en) 2019-06-25 2020-06-22 Electronic device
EP20181422.5A EP3757668B1 (en) 2019-06-25 2020-06-22 Display device
CN202010578763.XA CN112133196A (zh) 2019-06-25 2020-06-23 显示装置
US17/713,159 US12075689B2 (en) 2019-06-25 2022-04-04 Display device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having openings
US18/786,005 US20240389448A1 (en) 2019-06-25 2024-07-26 Display device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having open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942A KR102671010B1 (ko) 2019-06-25 2019-06-25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09A KR20210000809A (ko) 2021-01-06
KR102671010B1 true KR102671010B1 (ko) 2024-06-03

Family

ID=71120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942A Active KR102671010B1 (ko) 2019-06-25 2019-06-25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1296286B2 (ko)
EP (2) EP3757668B1 (ko)
KR (1) KR102671010B1 (ko)
CN (1) CN1121331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24814B1 (ko) 2019-08-27 2024-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0202359A1 (ja) * 2019-03-29 2020-10-08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ォルダブルディスプレイ
CN110581156A (zh) * 2019-08-29 2019-12-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可弯折的显示装置
KR102727809B1 (ko) 2019-12-10 2024-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US11503727B2 (en) 2020-02-14 2022-11-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551594B2 (en) * 2020-06-15 2023-01-10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reinforcing layer under protective layer corresponding to non-display area
CN116250383A (zh) * 2020-09-30 2023-06-09 夏普株式会社 可折叠显示器和可折叠显示器的制造方法
KR20220065145A (ko) * 2020-11-12 2022-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20077953A (ko) * 2020-12-02 2022-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20095572A (ko) * 2020-12-30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CN215068979U (zh) * 2021-03-26 2021-12-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支撑层、柔性显示模组以及柔性显示装置
KR20220167845A (ko) 2021-06-14 2022-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00280A (ko) * 2021-06-24 2023-0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쿠션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30020071A (ko) 2021-08-02 2023-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0823B (zh) 2011-04-13 2016-08-17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柔性多层基板
KR20130118483A (ko) * 2012-04-20 2013-10-30 강호림 표시 소자 보호용 충격 흡수 필름
KR20150017819A (ko) * 2013-08-07 2015-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663728B1 (ko) * 2013-08-26 2016-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KR102405257B1 (ko) * 2015-01-28 2022-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14855B1 (ko) * 2015-04-30 2022-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전자 장치
KR102506631B1 (ko) * 2015-06-08 2023-03-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20170064453A (ko) 2015-11-30 2017-06-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102535208B1 (ko) * 2016-03-10 2023-05-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50696B1 (ko) * 2016-04-08 202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792462B (zh) * 2016-09-28 2021-01-29 夏普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
KR102578589B1 (ko) * 2016-09-30 2023-09-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31257B1 (ko) * 2016-11-18 2024-01-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72832B1 (ko) * 2016-12-30 2024-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80111281A (ko) * 2017-03-31 2018-10-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8665804A (zh) 2017-03-31 2018-10-16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可折式电子纸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KR102379216B1 (ko) 2017-04-24 2022-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65542B1 (ko) * 2017-05-31 2021-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1834793B1 (ko) 2017-07-28 2018-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888451B1 (ko) * 2017-08-31 2018-08-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제 및 이를 적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CN107437378B (zh) 2017-09-20 2020-09-1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
KR102636685B1 (ko) 2017-10-31 2024-0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US10694625B2 (en) * 2017-10-31 2020-06-23 L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KR102590012B1 (ko) 2017-11-30 202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제 및 이를 적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102422072B1 (ko) * 2017-12-04 2022-07-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8155218A (zh) * 2017-12-29 2018-06-12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屏
CN108428731B (zh) * 2018-05-17 2021-01-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oled显示面板及柔性oled显示装置
CN208141720U (zh) * 2018-05-28 2018-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支撑件、柔性显示基板及显示装置
CN108898954B (zh) * 2018-07-18 2024-02-2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面板制作方法
CN109036133A (zh) 2018-07-28 2018-12-18 蒙凤英 背板及显示组件
CN208607861U (zh) * 2018-08-09 2019-03-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面板模组和显示装置
CN109545087A (zh) * 2018-12-03 2019-03-2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折叠背板结构及其显示装置
CN109671753B (zh) * 2018-12-14 2021-06-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9616018A (zh) * 2019-01-17 2019-04-12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柔性显示装置
EP3893093A4 (en) * 2019-02-01 2022-02-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SUPPORT SHEET FOR FOLDABLE TERMINAL DEVICE AND FOLDABLE TERMINAL DEVICE
KR102827526B1 (ko) * 2019-10-22 2025-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727809B1 (ko) * 2019-12-10 2024-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7668A1 (en) 2020-12-30
KR20210000809A (ko) 2021-01-06
US20220231241A1 (en) 2022-07-21
US11296286B2 (en) 2022-04-05
CN112133196A (zh) 2020-12-25
US12075689B2 (en) 2024-08-27
US20240389448A1 (en) 2024-11-21
EP4513296A3 (en) 2025-05-07
EP3757668B1 (en) 2025-01-01
US20200411777A1 (en) 2020-12-31
EP4513296A2 (en) 202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71010B1 (ko) 표시 장치
KR102724814B1 (ko) 표시 장치
KR10279399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7731790B (zh) 有机发光显示装置
KR102811864B1 (ko) 표시 장치
KR20210042206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54438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2447101B (zh) 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制造方法
CN118139461A (zh) 一种柔性显示基板和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6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6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