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79485B1 - 타이밍 발생 회로 - Google Patents

타이밍 발생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485B1
KR102079485B1 KR1020130001435A KR20130001435A KR102079485B1 KR 102079485 B1 KR102079485 B1 KR 102079485B1 KR 1020130001435 A KR1020130001435 A KR 1020130001435A KR 20130001435 A KR20130001435 A KR 20130001435A KR 102079485 B1 KR102079485 B1 KR 102079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ignal
output
binary counter
res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399A (ko
Inventor
야스시 이마이
Original Assignee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블릭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3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4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3/00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20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flexible material; Collapsible or stackable cu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3/00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 H03K23/40Gating or clocking signals applied to all stages, i.e. synchronous counters
    • H03K23/42Out-of-phase gating or clocking signals applied to counter sta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20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flexible material; Collapsible or stackable cups
    • A45F2003/205Collapsible or foldable cu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2019/2277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collapsible

Landscapes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 Pulse Circuits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과제) 회로 규모가 작은, 8 가지의 타이밍이 상이한 출력 펄스의 생성이 가능한 타이밍 발생 회로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3 개의 T 플립플롭으로 구성한 바이너리 카운터에서, 바이너리 카운터의 리셋시의 2 진수 상태를 시스템 리셋시와 출력 펄스의 생성에 병용함으로써, 리셋시를 포함하는 바이너리 카운터에서 생성되는 2 진수의 8 가지 상태로부터, 타이밍이 상이한 8 가지의 출력 펄스를 생성한다. 시스템 리셋시에는, 바이너리 카운터로의 리셋 신호를 지연시킴으로써, 바이너리 카운터 리셋시의 디코더 회로의 출력이 지연되므로, 빠른 리셋 신호로 디코더 회로의 출력을 마스크함으로써, 시스템 리셋시의 디코더 회로의 출력이 출력 단자에 반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밍 발생 회로{TIMING GENERATING CIRCUIT}
본 발명은, 타이밍 발생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기억장치에 탑재하는 타이밍 발생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6 은, 종래의 타이밍 발생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IIC 인터페이스의 EEPROM 등에서 사용하는 타이밍 발생 회로는, 모든 타이밍에서 타이밍 발생 회로를 리셋해야 한다. 예를 들어, 8 가지의 타이밍이 상이한 출력 펄스를 발생시키는 경우, 시스템 리셋의 상태를 포함하면, 9 가지의 2 진수 상태가 필요하다. 따라서, 타이밍 발생 회로는, 4 개의 T 플립플롭 회로 (T-FF) 를 접속한 4 비트의 바이너리 카운터와, 4 입력의 논리 소자로 구성된 디코더 회로로 구성된다. 바이너리 카운터는, 8 가지의 2 진수 상태를 생성한다. 디코더 회로는, 시스템 리셋시의 2 진수 상태를 제외한, 8 가지의 2 진수 상태로부터 8 가지의 타이밍이 상이한 출력 펄스를 생성한다.
그러나, 종래의 타이밍 발생 회로에서는, 8 가지의 타이밍이 상이한 출력 펄스를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4 개의 T 플립플롭 회로를 접속한 4 비트의 바이너리 카운터와, 4 입력의 논리 소자로 구성된 디코더 회로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회로 규모가 작고, 8 가지의 타이밍이 상이한 출력 펄스를 생성하는 타이밍 발생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3 개의 T 플립플롭 회로를 접속한 3 비트의 바이너리 카운터와, 3 입력의 논리 소자로 구성된 디코더 회로와, 바이너리 카운터의 리셋을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와, 리셋 신호를 래치하는 래치 회로와, 바이너리 카운터의 리셋시에 있어서의 디코더 회로의 출력을 마스크하기 위한 2NOR 회로를 구비한 타이밍 발생 회로를 제공한다.
바이너리 카운터의 리셋시의 2 진수 상태를 시스템 리셋시와 출력 펄스의 생성에 병용하여, 리셋시를 포함하는 바이너리 카운터에서 생성되는 2 진수의 8 가지 상태로부터, 타이밍이 상이한 8 가지의 출력 펄스를 생성한다. 시스템 리셋시에는, 바이너리 카운터로의 리셋 신호를 지연시킴으로써, 바이너리 카운터의 리셋시에 있어서의 디코더 회로의 출력이 지연되므로, 빠른 리셋 신호로 디코더 회로의 출력을 마스크함으로써, 시스템 리셋시의 디코더 회로의 출력이 출력 단자에 반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밍 발생 회로는, 4 비트의 바이너리 카운터와 4 입력의 논리 소자로 구성된 디코더 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고, 3 비트의 바이너리 카운터와, 3 입력의 논리 소자로 구성된 디코더 회로를 사용하므로, 회로 규모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타이밍 발생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디코더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의 타이밍 발생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4 는 제 2 실시형태의 타이밍 발생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 는 제 2 실시형태의 타이밍 발생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6 은 종래의 타이밍 발생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타이밍 발생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 1 실시형태의 타이밍 발생 회로는, 3 개의 T 플립플롭 회로 (101∼103) 로 구성되는 3 비트의 바이너리 카운터 (50) 와, 지연 회로 (201) 와, 3NAND 회로 (202) 와, RS 래치 회로 (203) 와, 2NOR 회로 (204) 와, 인버터 회로 (205) 와, 디코더 회로 (401) 를 구비한다.
클록 신호 입단자 (CLK) 는, 바이너리 카운터 (50)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입력 단자 (SYS) 는, 지연 회로 (201) 와 인버터 회로 (205) 를 통하여 바이너리 카운터 (50) 의 리셋 단자와, RS 래치 회로 (203) 의 단자 (RX) 에 접속된다. 바이너리 카운터 (50) 의 리셋 단자는, T 플립플롭 회로 (101∼103) 의 리셋 단자 (RX) 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바이너리 카운터 (50) 의 출력 단자는, 디코더 회로 (401) 와 3NAND 회로 (202) 에 접속된다. 3NAND 회로 (202) 의 출력 단자는, RS 래치 회로 (203) 의 단자 (SX) 에 접속된다. 2NOR 회로 (204) 는, 입력 단자가 디코더 회로 (401) 의 출력 단자 (DEC7) 와 RS 래치 회로 (203) 의 출력 단자 (QX) 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는 타이밍 발생 회로의 출력 단자 (M7) 에 접속된다. 디코더 회로 (401) 의 다른 7 개의 출력 단자는, 각각 타이밍 발생 회로의 출력 단자 (M0∼M6) 에 접속된다.
도 2 는, 디코더 회로 (401) 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디코더 회로 (401) 는, 3NAND 회로 (507) 와, 3NOR 회로 (500∼506) 와, 인버터 회로 (508, 509) 를 구비한다.
T 플립플롭 회로 (101) 는, 출력 단자 (Q) 가 T 플립플롭 회로 (102) 의 입력 단자 (T) 와 3NAND 회로 (202)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 (MX) 가 디코더 회로 (401) 의 입력 단자 (A1) 에 접속된다. T 플립플롭 회로 (102) 는, 출력 단자 (Q) 가 T 플립플롭 회로 (103) 의 입력 단자 (T) 와 디코더 회로 (401) 의 입력 단자 (B2) 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 (QX) 가 디코더 회로 (401) 의 입력 단자 (B2X) 와 3NAND 회로 (202)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 (MX) 가 디코더 회로 (401) 의 입력 단자 (B1) 에 접속된다. T 플립플롭 회로 (103) 는, 출력 단자 (Q) 가 디코더 회로 (401) 의 입력 단자 (C2) 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 (QX) 가 디코더 회로 (401) 의 입력 단자 (C2X) 와 3NAND 회로 (202)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 (MX) 가 디코더 회로 (401) 의 입력 단자 (C1) 에 접속된다.
디코더 회로 (401) 는, 내부에서 이하와 같이 접속된다. 입력 단자 (A1) 는, 3NAND 회로 (507), 3NOR 회로 (506), 인버터 회로 (508), 3NOR 회로 (504), 3NOR 회로 (502), 3NOR 회로 (500)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입력 단자 (B1) 는, 3NAND 회로 (507), 3NOR 회로 (505), 인버터 회로 (509), 3NOR 회로 (501)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입력 단자 (B2) 는, 3NOR 회로 (504), 3NOR 회로 (500)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입력 단자 (B2X) 는, 3NOR 회로 (506), 3NOR 회로 (502)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입력 단자 (C1) 는, 3NAND 회로 (507), 3NOR 회로 (503)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입력 단자 (C2) 는, 3NOR 회로 (502, 501, 500)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입력 단자 (C2X) 는, 3NOR 회로 (506, 505, 504)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인버터 회로 (508) 의 출력 단자는, 3NOR 회로 (501), 3NOR 회로 (503), 3NOR 회로 (505)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인버터 회로 (509) 의 출력 단자는, 3NOR 회로 (503)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의 타이밍 발생 회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의 타이밍 발생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신호 (SYS) 는, 시스템 인에이블시에 하이레벨이 된다. 신호 (SYS) 가 하이레벨일 때, 클록 신호 (CLK) 가 입력되면, T 플립플롭 회로 (101∼103) 의 출력 상태로부터 디코더 회로 (401) 는, 타이밍이 상이한 M0∼M6 의 7 가지의 출력 펄스와 신호 (DEC7) 를 출력한다. RS 래치 회로 (203) 의 출력 (CY0X) 이 로우 레벨 출력일 때에, 2NOR 회로 (204) 는, 신호 (DEC7) 가 로우 레벨일 때에 8 번째의 출력 펄스 (M7) 를 출력한다. 신호 (SYS) 가 하이레벨이 된 직후에는, 신호 (DEC7) 는 로우 레벨이 되어 있지만, 신호 (CY0X) 가 하이레벨이 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 펄스 (M7) 는 로우 레벨이 된다.
시스템 리셋시, 신호 (SYS) 는 로우 레벨이 된다. 래치 회로 (203) 는, 신호 (SYS) 에 의해 리셋된다. T 플립플롭 회로 (101∼103) 는, 인버터 회로 (205) 가 출력하는 신호에 의해 리셋된다. 즉, 래치 회로 (203) 는, T 플립플롭 회로 (101∼103) 보다 먼저 리셋된다. 따라서, 신호 (CY0X) 는, 신호 (DEC7) 가 로우 레벨이 되는 것보다도 먼저 하이레벨이 되므로, 출력 펄스 (M7) 는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타이밍 발생 회로는, 3 개의 T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바이너리 카운터에서, 바이너리 카운터의 리셋시의 2 진수 상태를 시스템 리셋시와 출력 펄스의 생성에 병용함으로써, 리셋시를 포함하는 바이너리 카운터에서 생성되는 2 진수의 8 가지 상태로부터, 타이밍이 상이한 8 가지의 출력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즉, 3 비트의 T 플립플롭 회로와 3NAND 회로와 3NOR 회로와 디코더 회로에 의해, 타이밍이 상이한 M0∼M7 의 8 가지의 출력 펄스를 발생시키므로, 회로 규모를 작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3 비트의 T 플립플롭 회로로 구성한 바이너리 카운터와 3NAND, 3NOR 로 구성된 디코더 회로에 의해, 타이밍이 상이한 8 가지의 출력 펄스를 생성했지만, 발생 가능한 출력 펄스 수는, 8 가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제 1 실시형태에 D 플립플롭 회로를 추가함으로써, 9 가지의 타이밍이 상이한 출력 펄스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제 2 실시형태의 타이밍 발생 회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에 제 2 실시형태의 타이밍 발생 회로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제 2 실시형태의 타이밍 발생 회로는, 바이너리 카운터 (50) 와, 지연 회로 (201) 와, 3NAND 회로 (202) 와, RS 래치 회로 (203) 와, 2NOR 회로 (301) 와, 3NOR 회로 (302) 와, D 플립플롭 회로 (303) 와, 3NOR 회로 (304) 와, 인버터 회로 (305, 306) 와, 디코더 회로 (401) 를 구비한다.
클록 신호 입단자 (CLK) 는, T 플립플롭 회로 (101) 와 D 플립플롭 회로 (303) 에 접속한다.
클록 신호 입단자 (CLK) 는, 바이너리 카운터 (50) 의 입력 단자와 D 플립플롭 회로 (303) 의 입력 단자 (C) 에 접속된다. 입력 단자 (SYS) 는, 지연 회로 (201) 와 2NOR 회로 (301) 를 통하여 바이너리 카운터 (50) 의 리셋 단자와, RS 래치 회로 (203) 의 단자 (RX) 와, D 플립플롭 회로 (303) 의 입력 단자 (RX) 에 접속된다. 바이너리 카운터 (50) 의 출력 단자는, 디코더 회로 (401) 와 3NAND 회로 (202) 와 3NOR 회로 (302) 에 접속된다. 3NAND 회로 (202) 의 출력 단자는, RS 래치 회로 (203) 의 단자 (SX) 에 접속된다. 3NOR 회로 (302) 의 출력 단자는, D 플립플롭 회로 (303) 의 입력 단자 (D) 에 접속된다. D 플립플롭 회로 (303) 의 출력 단자 (MX) 는 인버터 회로 (305)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 (QX) 는 인버터 회로 (306)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인버터 회로 (305) 의 출력 단자는 타이밍 발생 회로의 출력 단자 (M7) 에 접속된다. 인버터 회로 (306) 의 출력 단자는, 2NOR 회로 (301)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3NOR 회로 (304) 는, 입력 단자가 디코더 회로 (401) 의 출력 단자 (DEC7) 와 인버터 회로 (305) 의 출력 단자와 RS 래치 회로 (203) 의 출력 단자 (QX) 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는 타이밍 발생 회로의 출력 단자 (M8) 에 접속된다. 디코더 회로 (401) 의 다른 7 개의 출력 단자는, 각각 타이밍 발생 회로의 출력 단자 (M0∼M6) 에 접속된다.
T 플립플롭 회로 (101) 는, 출력 단자 (Q) 가 T 플립플롭 회로 (102) 의 입력 단자 (T) 와 3NAND 회로 (202)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 (QX) 가 3NOR 회로 (302)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 (MX) 가 디코더 회로 (401) 의 입력 단자 (A1) 에 접속된다. T 플립플롭 회로 (102) 는, 출력 단자 (Q) 가 T 플립플롭 회로 (103) 의 입력 단자 (T) 와 디코더 회로 (401) 의 입력 단자 (B2) 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 (QX) 가 디코더 회로 (401) 의 입력 단자 (B2X) 와 3NAND 회로 (202) 의 입력 단자와 3NOR 회로 (302)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 (MX) 가 디코더 회로 (401) 의 입력 단자 (B1) 에 접속된다. T 플립플롭 회로 (103) 는, 출력 단자 (Q) 가 디코더 회로 (401) 의 입력 단자 (C2) 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 (QX) 가 디코더 회로 (401) 의 입력 단자 (C2X) 와 3NAND 회로 (202) 의 입력 단자와 3NOR 회로 (302)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 (MX) 가 디코더 회로 (401) 의 입력 단자 (C1) 에 접속된다.
디코더 회로 (401) 의 내부의 접속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접속된다.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의 타이밍 발생 회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는, 제 2 실시형태의 타이밍 발생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시스템 인에이블시, 신호 (SYS) 는 하이레벨이 된다. 신호 (SYS) 가 하이레벨일 때, 클록 신호 (CLK) 가 입력되면, T 플립플롭 회로 (101∼103) 의 출력 상태로부터 디코더 회로 (401) 는, 타이밍이 상이한 M0∼M6 의 7 가지의 출력 펄스와 신호 (DEC7) 를 출력한다. D 플립플롭 회로 (303) 는, 3NOR 회로 (302) 의 출력 (S6) 을 절반 클록만큼 시프트하여, 8 번째의 출력 펄스 (M7) 를 출력한다. RS 래치 회로 (203) 의 출력 (CY0X) 과 신호 (DEC7) 가 로우 레벨 출력일 때, 출력 펄스 (M7) 가 로우 레벨이 되는 타이밍에서, 3NOR 회로 (304) 는 9 번째의 출력 펄스 (M8) 를 출력한다. 신호 (SYS) 가 하이레벨이 된 직후에는, 신호 (DEC7) 는 로우 레벨이 되어 있지만, 신호 (CY0X) 가 하이레벨이 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 펄스 (M8) 은 로우 레벨이 된다. 시스템 리셋시, 신호 (SYS) 는 로우 레벨이 된다. 신호 (SYS) 가 로우 레벨이 된 직후에는, 지연 회로 (201) 에 의해, 신호 (SYS_DLY) 는, 신호 (SYS) 보다 늦게 로우 레벨을 출력하므로, 래치 회로 (203) 는, T 플립플롭 회로 (101∼103) 보다 먼저 리셋된다. 따라서, 신호 (CY0X) 는, 신호 (DEC7) 가 로우 레벨을 출력하는 것보다 먼저 하이레벨이 출력되므로, 출력 펄스 (M8) 는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타이밍 발생 회로는, 3 비트의 T 플립플롭 회로와, 3NAND 회로와, 2 개의 3NOR 회로와, 2NOR 회로와, D 플립플롭 회로와, 2 개의 인버터 회로와, 디코더 회로에 의해, 타이밍이 상이한 M0∼M8 의 9 가지의 출력 펄스를 발생시키므로, 회로 규모를 작게 할 수 있다.
50 : 바이너리 카운터
201 : 지연 회로
203 : RS 래치 회로
401 : 디코더 회로

Claims (2)

  1. 바이너리 카운터와, 디코더 회로와, 래치 회로와, 지연 회로와, 논리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바이너리 카운터는, 3 개의 T 플립플롭 회로로 구성되고, 클록 신호에 따라 상기 3 개의 T 플립플롭 회로가 상기 바이너리 카운터가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디코더 회로는, 상기 바이너리 카운터가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를 입력하고, 7 개의 신호 (M0 ~ M6) 에 타이밍이 상이한 7 가지의 펄스 신호와, 8 개째의 신호 (M7) 에 8 가지째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DEC7 을 출력하고,
    상기 래치 회로는, 상기 바이너리 카운터가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에 기초하는 신호 (S0X) 와 리셋 신호에 따라 래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지연 회로는, 상기 리셋 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바이너리 카운터를 리셋하고,
    상기 논리 회로는, 상기 래치 신호와 상기 신호 DEC7 이 입력되고, 상기 바이너리 카운터가 카운트 업했을 때에는 상기 8 개째의 신호 (M7) 에 상기 8 가지째의 펄스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리셋 신호에 의해 상기 바이너리 카운터가 리셋되었을 때에는 상기 8 개째의 신호 (M7) 에 상기 8 가지째의 펄스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발생 회로.
  2. 바이너리 카운터와, 디코더 회로와, D 플립플롭 회로와, 래치 회로와, 지연 회로와, 논리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바이너리 카운터는, 3 개의 T 플립플롭 회로로 구성되고, 클록 신호에 따라 상기 3 개의 T 플립플롭 회로가 상기 바이너리 카운터가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디코더 회로는, 상기 바이너리 카운터가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를 입력하고, 7 개의 신호 (M0 ~ M6) 에 타이밍이 상이한 7 가지의 펄스 신호와, 9 개째의 신호 (M8) 에 9 가지째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DEC7 을 출력하고,
    D 플립플롭 회로는, 상기 클록 신호와 리셋 신호와 상기 바이너리 카운터가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에 기초하는 신호 (S6) 를 입력하고, 8 개째의 신호 (M7) 에 8 가지째의 펄스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래치 회로는, 상기 바이너리 카운터가 출력하는 복수의 신호에 기초하는 신호 (S0X) 와 상기 리셋 신호에 따라 래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지연 회로는, 상기 리셋 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바이너리 카운터를 리셋하고,
    상기 논리 회로는, 상기 래치 신호와 상기 신호 DEC7 과 8 개째의 신호 (M7) 가 입력되고, 상기 바이너리 카운터가 카운트 업했을 때에는 상기 9 개째의 신호 (M8) 에 상기 9 가지째의 펄스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리셋 신호에 의해 상기 바이너리 카운터가 리셋되었을 때에는 상기 9 개째의 신호 (M8) 에 상기 9 가지째의 펄스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발생 회로.
KR1020130001435A 2012-01-12 2013-01-07 타이밍 발생 회로 Active KR1020794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04257 2012-01-12
JP2012004257A JP6257126B2 (ja) 2012-01-12 2012-01-12 タイミング発生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399A KR20130083399A (ko) 2013-07-22
KR102079485B1 true KR102079485B1 (ko) 2020-02-20

Family

ID=4875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435A Active KR102079485B1 (ko) 2012-01-12 2013-01-07 타이밍 발생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23579B2 (ko)
JP (1) JP6257126B2 (ko)
KR (1) KR102079485B1 (ko)
CN (1) CN103208310B (ko)
TW (1) TWI575880B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46081C3 (de) * 1979-11-15 1995-09-21 Wabco Vermoegensverwaltung Schaltungsanordnung zur Überwachung der Funktion eines Mikroprozessors
JPS577634A (en) * 1980-06-16 1982-01-14 Victor Co Of Japan Ltd Frequency dividing circuit
US4815107A (en) * 1987-02-16 1989-03-21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Digital code decoding apparatus
JPH04246915A (ja) 1991-01-31 1992-09-02 Nec Corp 半導体集積回路
KR100316528B1 (ko) * 1999-12-21 2001-12-12 박종섭 노이즈 검출기를 이용한 파워온리셋신호 발생장치
JP4063001B2 (ja) * 2002-07-19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多相クロック生成回路
US7149275B1 (en) * 2004-01-29 2006-12-12 Xilinx, Inc.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implementing a counter in an integrated circuit
US7362835B2 (en) * 2005-02-04 2008-04-22 Mediatek Incorporation Clock generator circuit and related method for generating output clock signal
JP2008192271A (ja) * 2007-02-08 2008-08-21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テスト方法
TW200849792A (en) * 2007-06-01 2008-12-16 Richtek Technology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the die area of a PWM controller
CN100578661C (zh) * 2007-12-13 2010-01-06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存储器时脉信号产生方法及门控时脉产生电路
CN101557211B (zh) * 2009-04-30 2011-05-18 上海新茂半导体有限公司 时序信号源电路
US20110122274A1 (en) * 2009-11-23 2011-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dr counter circuits, analog to digital converters, image sensors and digital imaging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8618974B2 (en) * 2010-12-20 2013-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unter circuits, analog to digital converters, image sensors and digital imaging system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75880B (zh) 2017-03-21
KR20130083399A (ko) 2013-07-22
US8723579B2 (en) 2014-05-13
JP6257126B2 (ja) 2018-01-10
JP2013143751A (ja) 2013-07-22
CN103208310A (zh) 2013-07-17
CN103208310B (zh) 2017-12-01
US20130182817A1 (en) 2013-07-18
TW201340612A (zh)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1608B2 (en) Clock divider circuit
US9685953B1 (en) Low latency asynchronous interface circuits
US8860468B1 (en) Clock multiplexer
US8829953B1 (en) Programmable clock divider
CN107562163B (zh) 一种具有稳定复位控制的数字逻辑电路
TWI355574B (en) Clock switching circuit
US8975921B1 (en) Synchronous clock multiplexer
KR102079485B1 (ko) 타이밍 발생 회로
TWI301700B (en) De-glitch circuit
US10014849B2 (en) Clock detectors and methods of detecting clocks
JP5519456B2 (ja) エッジ検出回路及びエッジ検出方法
US9197197B2 (en) Duty cycle protection circuit
US8773180B2 (en) Device for generating reset signal having sufficient pulse width
US9148152B1 (en) Device for maintaining synchronization of plurality of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CN103647528B (zh) 非交叠时钟产生电路
KR102002466B1 (ko) 디지털 카운터
US20200280305A1 (en) Glitch removal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9647650B2 (en) Clock generating device
US9660615B2 (en) Flip-flop devices with clock sharing
CN103780232B (zh) 可以免于使用部分脉冲的转换器
US9774326B2 (en)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clock-signals
US20080297207A1 (en) Double data rate transmitter and clock converter circuit thereof
US20060145738A1 (en) Method and circuit configuration for synchronous resetting of a multiple clock domain circuit
CN111090965A (zh) 一种使用单管脚实现数据和时钟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02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8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1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