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53334B1 - 주파수 대역 결정 장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주파수 대역 결정 장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334B1
KR102053334B1 KR1020187017961A KR20187017961A KR102053334B1 KR 102053334 B1 KR102053334 B1 KR 102053334B1 KR 1020187017961 A KR1020187017961 A KR 1020187017961A KR 20187017961 A KR20187017961 A KR 20187017961A KR 102053334 B1 KR102053334 B1 KR 102053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communication unit
unit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8849A (ko
Inventor
카쓰요시 오니시
요시오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Publication of KR20180088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3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6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on th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통신 장치 및 통신 파트너가 배치되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통신에 사용된 주파수 대역을 전례 없이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결정 장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 및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이미지 취득 부(60)는 HMD(12) 또는 HMD(12)용 통신 파트너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 환경의 이미지를 취득한다.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이미지 취득부(60)에 의해 취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HMD(12)와 통신 파트너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Description

주파수 대역 결정 장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주파수 대역 결정 장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을 위한 전파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전파 상태에 따른 통신을 위해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기 위한 공지된 기술이 있다.
예를 들어, 60GHz 대역에서, 밀리미터파는 매우 선형이다. 따라서, 그러한 밀리미터 파의 통신 품질은, 통신 장치 및 통신 파트너가 위치한 환경 따라, 즉, 예를 들어, 장애물이 통신 경로에 있는 여부, 또는 통신 장치 및 통신 파트너가 동일한 방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따라서, 통신 장치 및 통신 파트너가 배치되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가능한 한 신속하게,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가 통신을 위해 밀리미터파를 사용하는 동안 통신 품질이 저하되는 상황에서 통신 장치에 의해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가 5GHz 대역 또는 다른 마이크로파로 변경될 경우, 마이크로파가 밀리미터파보다 더 회절이 잘 일어나기 때문에 통신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밀리미터파가 통신에 사용되는 동안 통신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통신 장치에 의해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가 가능한 한 빨리 마이크로파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밀리미터파 통신의 통신 품질이 모니터링 되고 저하된 것으로 결정되면,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용 전파를 마이크로파로 변경하려고 시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접근법이 사용될 경우, 환경 변화가 발생하여 통신 품질이 저하되는 순간과 통신 장치에 의해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가 마이크로파로 변경되는 순간 사이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파수 대역 결정 장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 및 통신 장치 및 통신 파트너가 배치된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전례 없이 신속하게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변경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대역 결정 장치는 이미지 취득부 및 주파수 대역 결정부를 포함한다. 이미지 취득부는 통신 장치 또는 통신 파트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된 환경의 이미지를 취득한다. 취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주파수 대역 결정부는 통신 장치와 통신 파트너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주파수 대역 결정부는 통신 장치와 통신 파트너가 동일한 방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대안적으로, 주파수 대역 결정부는 취득된 이미지가 통신 장치의 이미지 또는 통신 파트너의 이미지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여전히 대안적으로, 주파수 대역 결정부는, 취득된 이미지로부터 식별 가능한, 통신 장치와 통신 파트너 사이의 거리에 따라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거리가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주파수 대역 결정부는 주파수 대역을 제1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제2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할 수 있다; 거리가 제2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주파수 대역 결정부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주파수 대역을 변경할 수 있다; 제1 임계값은 제2 임계값보다 클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은 제2 주파수 대역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제2 임계값과제1 임계값 간의 차이는 거리에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이미지 취득부 및 주파수 대역 결정부를 포함한다. 이미지 취득부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통신 파트너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는 환경의 이미지를 취득한다. 취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주파수 대역 결정부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와 통신 파트너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은, 통신 장치 또는 통신 장치용 통신 파트너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 환경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단계; 및 취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와 통신 파트너 간의 통신에 사용된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통신 장치 또는 통신 장치용 통신 파트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되는 환경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단계; 및 통신 장치와 통신 파트너 간의 통신에 사용된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취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실행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을 실내에 배치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을 실내에 배치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구현된 기능의 예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처리 단계들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처리 단계들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서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10)의 전체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12)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16)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10)은 HMD(12), 엔터테인먼트 장치(14), 중계 장치(16), 디스플레이(18), 카메라/마이크로폰 장치(20), 및 제어기(2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HMD(12)는 제어부(30), 저장부(32), 두 개의 통신부(34)(제1 통신부(34a) 및 제2 통신부(34b)), 입출력부(36), 디스플레이부(38), 센서부(40), 오디오 출력부(42), 및 카메라부(44)를 포함한다.
제어부(30)는, 예를 들어, HMD(12)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램 제어 장치로 형성된다.
저장부(32)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와 같은 저장 요소로 형성된다. 저장부(32)는, 예를 들어, 제어부(30)에 의해 실행되어야 할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제1 통신부(34a)와 제2 통신부(34b) 각각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LAN) 모듈 또는 내장 어레이(built-in array) 안테나를 갖는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 통신부(34a) 및 제2 통신부(34b)가 HMD(12)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통신부(34a)에 의해 설정된 통신용 통신 규격은 제2 통신부(34b)에 의해 설정된 통신용 통신 규격과 다르다. 예를 들어, 제2 통신부 (34b)는 5GHz 대역의 통신을 설정하는 반면에, 제1 통신부(34a)는 60GHz 대역의 통신을 설정한다.
60GHz 대역 통신은 5GHz 대역 통신보다 더 높은 최대 속도로 통신을 제공한다. 또한, 60GHz 대역 통신은 5GHz 대역 통신보다 높은 선형성과 짧은 통신 범위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용 전파 상태에 따라 제1 통신부(34a) 또는 제2 통신부(34b)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중계 장치(16)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용 전파 상태에 따라, 제1 및 제2 통신부(34a, 34b)의 변조 방법과 코딩 방법을 적응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공지된 적응 변조/코딩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입출력부(36)는 HDMI(등록 상표)(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포트, 범용 시리얼 버스(USB) 포트, 또는 보조(AUX) 포트와 같은 입출력 포트로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38)는, HMD(12)의 전방에 배치되어, 예를 들어, 엔터테인먼트 장치(14)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된,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전기발광(EL)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로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38)는 HMD(12)의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38)는, 예를 들어, 엔터테인먼드 장치(14)로부터 출력되어 중계 장치(16)에 의해 중계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영상 신호에 의해 나타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8)는, 예를 들어,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8)는 2차원 이미지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3차원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불가능할 수 있다.
센서부(40)는 가속 센서 또는 모션 센서와 같은 센서로 형성된다. 센서부(40)는, HMD(12)의 회전량 및 이동량과 같은, 측정 결과를 소정의 프레임 속도로 제어부(30)에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42)는, 예를 들어, 헤드폰 또는 스피커로 형성되어, 예를 들어, 엔터테인먼트 장치(14)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에 의해 나타난 사운드를 출력하는 데 사용된다. 오디오 출력부(42)는, 예를 들어, 엔터테인먼트 장치(14)로부터 출력되어 중계 장치(16)에 의해 중계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의해 나타난 사운드를 출력한다.
카메라부(44)는, HMD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 주변의 이미지를 소정의 프레임 속도로 캡처하는 데 사용된, 디지털 카메라 또는 다른 카메라로 형성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부는, 예를 들어, 4대의 카메라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대의 카메라는 디스플레이부(38)의 상부 좌측, 디스플레이부(38)의 상부 우측, HMD(12)용 하우징의 좌측면. 및 HMD(12)용 하우징의 우측면에 개별적으로 배치된다. 카메라는, 예를 들어, HMD(12) 주변의 전방향의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한 어안 렌즈(fisheye lens)를 포함할 수 있거나, 방향성 이미지만을 캡처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44)는, HMD(12)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HMD(12)용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4)는 HMD(12)와 중계 장치(16) 간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8)의 상부 좌측 및 상부 우측에 배치된 카메라는 스테레오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의 거리는 스테레오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부(44)는 HMD(12)와 HMD(12)의 전방에 배치된 중계 장치(16)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 또는 다른 장치(거리 측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장치(14)는, 게임 콘솔,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VD) 플레이어, 또는 블루레이(등록된 상표) 플레이어와 같은, 컴퓨터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장치(14)는, 예를 들어, 저장된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광 디스크에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함으로써 영상 및 오디오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장치(14)는 생성된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신호와 생성된 오디오를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를 중계 장치(16)를 통해 HMD(12) 및 디스플레이(18)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16)는, 엔터테인먼트 장치(14)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중계하여 HMD(12) 및 디스플레이(18)에 출력하는 컴퓨터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16)는 제어부(50), 저장부(52), 두 개의 통신부(54)(제1 통신부(54a) 및 제2 통신부 (54b)), 및 입출력부(56)를 포함한다.
제어부(50)는, 예를 들어, 중계 장치(16)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하는, 제어 회로 또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다른 프로그램 제어 장치로 형성된다.
저장부(52)는, 예를 들어, ROM, RAM, 또는 다른 저장 요소로 형성된다. 저장부(52)는 예를 들어, 제어부(50)에 의해 실행되어야 할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제1 통신부(54a)와 제2 통신부(54b) 각각은 무선 LAN 모듈 또는 내장된 어레이 안테나를 갖는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 통신부(54a) 및 제2 통신부(54b)가 중계 장치(16)의 전면에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통신부(54a)에 의해 설정된 통신용 통신 규격은 제2 통신부(54b)에 의해 설정된 통신용 통신 규격과 다르다. 예를 들어, 제2 통신부(54b)는 5GHz 대역 통신을 설정하는 반면에, 제1 통신부(54a)는 60GHz 대역 통신을 설정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60GHz 대역 통신은 5GHz 대역 통신보다 더 높은 최대 속도로 통신을 제공한다. 또한, 60GHz 대역 통신은 5GHz 대역 통신보다 높은 선형성과 짧은 통신 범위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통신부(34a) 또는 제2 통신부(34b)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위한 전파 조건에 따라 HMD(12)와 통신할 수 있다.
입출력부(56)는 HDMI(등록 상표)(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포트 또는 USB 포트와 같은 입력/출력 포트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8)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엔터테인먼트 장치(14)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에 의해 표현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마이크로폰 장치(20)는 카메라(20a)와 마이크로폰 (20b)을 포함한다. 카메라(20a)는, 예를 들어, 대상의 이미지를 캡처하고 포착된 이미지를 엔터테인먼트 장치(14)에 출력한다. 마이크로폰(20b)은 주변의 사운드를 켑처하고, 캡처된 사운드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엔터테인먼트 장치 (14)로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20a)는 스테레오 카메라이다.
HMD(12) 및 중계 장치(16)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을 설정하여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HMD(12)와 중계 장치(16)가 서로 통신할 경우, 제1 통신부(34a)와 제1 통신부(54a) 사이에서 60GHz 대역 통신이 설정되고, 제2 통신부(34b)와 제2 통신부(54b) 사이에서 5GHz 대역 통신이 설정된다.
엔터테인먼트 장치(14)는, 예를 들어, HDMI 케이블 또는 USB 케이블로 중계 장치(16)에 연결되어 있다. 중계 장치(16)는, 예를 들어, HDMI 케이블로 디스플레이(18)에 연결되어 있다. 엔터테인먼트 장치(14)는, 예를 들어, AUX 케이블로 카메라/마이크로폰 장치(2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22)는 엔터테인먼트 장치(14)에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입력 장치이다. 사용자는 제어기(22) 상의 방향 키 또는 버튼을 누르거나 제어기(22) 상의 조작 스틱을 기울임으로써 다양한 조작 입력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기(22)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에, 본 실시예에서, 제어기(22)는 조작 입력과 관련된 입력 데이터를 엔터테인먼트 장치(14)에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22)는 USB 포트를 포함한다. USB 케이블로 엔터테인먼트 장치 (14)에 연결될 경우, 제어기(22)는 입력 데이터를 유선 방식으로 엔터테인먼트 장치(14)에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22)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따라서, 입력 데이터를 엔터테인먼트 장치(14)로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a 및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10)을 방에 배치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HMD(12)와 중계 장치(16)가 동일한 방에 있을 경우, HMD(12)의 제1 통신부(34a)는 중계 장치 (16)의 제1 통신부(54a)와 60GHz 대역 통신을 설정한다. 한편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HMD(12)와 중계 장치(16)가 서로 다른 방에 있을 경우, HMD(12)의 제2 통신부(34b)는 중계 장치(16)의 제2 통신부(54b)와 5GHz 대역 통신을 설정한다.
HMD(12) 또는 중계 장치(16)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 환경을 도시하는, 카메라부(44)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는 HMD(12)와 중계 장치(16)가 동일한 방 또는 다른 방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중계 장치(16)의 이미지가 카메라부(44)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에 포함되면, HMD(12)와 중계 장치(16)가 동일한 방에 있다고 결정된다. 반면에, 중계 장치(16)의 이미지가 카메라부(44)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으면, HMD(12)와 중계 장치(16)가 다른 방에 있다고 결정된다.
HMD(12)와 중계 장치(16)가 동일한 방에 있다고 결정되면, 본 실시예에서는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에서 60㎓ 대역의 통신을 설정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반면에, HMD(12)와 중계 장치(16)가 다른 방에 있다고 결정되면, 본 실시예는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에 5GHz 대역 통신을 설정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부(44)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로부터 식별된,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는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HMD(12)와 중계 장치(16)가 다른 방에 있을 경우,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에 벽, 문, 또는 다른 장애물이 있다. 따라서, 60GHz 또는 다른 고주파 대역 통신의 품질이 낮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카메라부(44)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HMD(12)와 중계 장치(16)가 서로 다른 방에 있다고 결정될 경우, 본 실시 예에서는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에 5GHz 또는 다른 저주파 대역 통신을 설정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에서 60GHz 대역 통신이 설정되는 동안, HMD(12)를 착용한 사용자가 중계 장치(16)가 배치된 방으로부터 다른 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의 통신은 5GHz 대역 통신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는 HMD(12) 및 중계 장치(16)가 배치되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며, 이러한 변경은 통신 품질 확인 후의 주파수 대역 변경보다 먼저 발생한다.
또한, 밀리미터파는, 예를 들어, 통신에 이용 가능한 최대 속도 높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마이크로파 통신 중에 밀리미터파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품질이 달성 가능한 경우, 마이크로파 통신은 밀리미터파 통신으로 대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에 5GHz 대역의 통신이 설정되어 있는 동안에, HMD(12)를 착용한 사용자가 방으로부터 중계 장치(16)가 배치된 다른 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의 통신은 60GHz 대역 통신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는 고주파 대역 통신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환경 변화에 따라 고주파 대역 통신으로 전환된다.
한편, 카메라부(44)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에 전파를 차단하는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에 전파를 차단하는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결정되면,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에 5GHz 대역 통신을 설정하도록 제어가 실행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에 전파를 차단하는 장애물이 없는 것으로 결정될 경우,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에 60GHz 대역 통신이 설정되도록 제어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HMD(12)와 중계 장치(16)가 동일한 방에 있어도, 중계 장치(16)의 이미지가 카메라부(44)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 장치(16)의 이미지가 카메라부(44)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에 포함될 경우,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에 60GHz 대역 통신이 설정되도록 제어가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중계 장치(16)의 이미지가 카메라부(44)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에 5GHz 대역 통신이 설정되도록 제어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에 5GHz 또는 60GHz 대역 통신을 설정할지 여부는, 예를 들어,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의 거리는 카메라부(44)에 포함된 스테레오 카메라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HMD(12)가 거리 측정 장치를 포함할 경우, 거리 측정 장치는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HMD(12)의 기능 및 HMD(1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가 아래에서 더 서술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HMD(12)는, HMD(12)와 중계 장치(16)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 환경에 따라, HMD(12)와 중계 장치(16)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주파수 대역 결정 장치로서 기능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HMD(12)에서 구현되는 기능의 예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HMD(12)는 도 4에 도시된 모든 기능을 포함할 필요가 없으며, 도 4에 도시된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HMD(12)는 기능적으로 이미지 취득부(60), 주파수 대역 결정부(62), 및 통신 제어부(64)를 포함한다. 이미지 취득부(60)는 주로 제어부(30) 및 카메라부(44)에 의해 구현된다. 주파수대 결정부 (62)는 주로 제어부(30)에 의해 구현된다. 통신 제어부(64)는 주로 제어부(30), 제1 통신부(34a), 및 제2 통신부(34b)에 의해 구현된다.
전술한 기능들은 제어부(30)가 컴퓨터로 형성되어 전술한 기능용 명령을 포함하는 HMD(12)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자기 테이프, 광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정보 저장 매체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서, HMD(12)에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미지 취득부(60)는, 예를 들어, 통신 장치(본 실시예에서는 HMD(12))와 통신 장치용 통신 파트너(본 실시예에서는 중계 장치(16))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 환경의 이미지를 취득한다. 이미지 취득부(60)는 카메라부(44)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를 취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이미지 취득부(60)에 의해 취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통신 장치(본 실시예에서는 HMD(12))와 통신 파트너(본 실시예에서는 중계 장치(16)) 간에 통신용으로 사용된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HMD(12)와 중계 장치(16)가 동일한 방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HMD(12)와 중계 장치(16)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HMD(12)와 중계 장치(16)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통신 장치인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HMD(12)의 이미지 또는 중계 장치(16)의 이미지가 이미지 취득부(60)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통신 장치인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HMD(12)와 중계 장치(16)가 동일한 방에 있을 경우에도,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중계 장치(16)의 이미지가 이미지 취득부(60)에 의해 취득된 이미지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예를 들어, 이미지 취득부(60)에 의해 취득된 이미지에 HMD(12)의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 제어부(64)는, 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 결정부(62)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을 설정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60GHz 대역 통신이 설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통신 제어부(64)는 제1 통신부(34a)가 통신을 설정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5GHz 대역 통신이 설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통신 제어부(64)는 제2 통신부(34b)가 통신을 설정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통신 제어부(64)는 통신부 식별 데이터를 유지한다. 통신부 식별 데이터는 제1 통신부(34a) 또는 제2 통신부(34b)에 의해 설정된 통신이 제공되는지 여부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설정된 통신이 제1 통신부(34a)에 의해 제공될 경우, 통신부 식별 데이터의 값은 "1"로 설정된다. 반대로, 설정된 통신이 제2 통신부(34b)에 의해 제공될 경우, 통신부 식별 데이터의 값은 "2"로 설정된다. 통신부 식별 데이터의 값이 "1"로 설정될 경우, 통신 제어부(64)는 제2 통신부(34b)를 정지시키도록 제어를 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 식별 데이터의 값이 "2"로 설정될 경우, 통신 제어부(64)는 제1 통신부(34a)를 정지시키도록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이 HMD(12)와 중계 장치(16)가 동일한 방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어야 할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HMD(12)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처리 단계가, 도 5의 흐름도에 대한 참조와 함께, 아래에서 서술된다.
최초로, 이미지 취득부(60)는 카메라부(44)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를 취득한다(단계 S101). 카메라부(44)가 소정의 프레임 속도로 이미지를 캡처하는 경우, 단계 S101에서, 예를 들어, 카메라부(44)에 의해 캡처된 최신 이미지가 취득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S101에서 취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다(단계 S102). 여기에서, 예를 들어, 카메라부(44)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HMD(12)와 중계 장치(16)가 동일한 방에 있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HMD(12)와 중계 장치(16)가 동일한 방에 있는 것으로 식별되면,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이 60GHz 대역이라고 결정한다. 반대로, HMD(12)와 중계 장치(16)가 서로 다른 방에 있는 것으로 식별되면,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이 5GHz 대역이라고 결정한다. 중계 장치(16)의 이미지가 카메라부(44)에 의해 캡쳐된 이미지에 포함될 경우, 주파수 대역 결정 부(62)는 HMD(12)와 중계 장치(16)가 동일한 방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중계 장치(16)의 이미지가 카메라 부(44)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HMD(12)와 중계 장치(16)가 다른 방에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제어부(64)는 단계 S102에서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보유된 통신부 식별 데이터의 값을 검증한다(단계 S103).
단계 S102에서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60GHz 대역이고 단계 S103에서 검증된 통신부 식별 데이터의 값이 "2"일 경우, 통신 제어부(64)는 통신부 식별 데이터의 값을 "1"로 변경한다(단계 S104). 이후에, 통신 제어부(64)는 제1 통신부(34a)가 통신을 설정하게 하도록 제어를 행한다(단계 S105). 이후에, 본 실시예에 도시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단계 S105에서, 통신 제어부(64)는 제1 통신부(34a)를 기동시키고 제2 통신부(34b)를 정지시킬 수 있다.
단계 S102에서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5GHz 대역이고 단계 S103에서 검증된 통신부 식별 데이터의 값이 "1"일 경우, 통신 제어부(64)는 통신부 식별 데이터의 값을 "2"로 변경한다(단계 S106). 이후에, 통신 제어부(64)는 제2 통신부(34b)가 통신을 설정하게 하도록 제어를 행한다(단계 S107). 이후에, 본 실시예에 도시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단계 107에서, 통신 제어부(64)는 제2 통신부(34b)를 기동시키고 제1 통신부(34a)를 정지시킬 수 있다.
기타의 경우에, 본 실시예에 도시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더 구체적으로, 단계 S102에서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60GHz 대역이고 단계 S103에서 검증된 통신부의 식별 데이터의 값이 "1"일 경우, 본 실시예에 도시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또한, 단계 S102에서 결정된 주파수 대역이 5GHz 대역이고 단계 S103에서 검증된 통신부의 식별 데이터의 값이 "2"일 경우, 본 실시예에 도시된 프로세스가 또한 종료된다.
이후에, 처리는 단계 S101로 되돌아간다. 이후에, 단계 S101 내지 S105가 반복된다. 단계 S101 내지 S105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102에서,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카메라부(44)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에 전파를 차단하는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전파를 차단하는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결정될 경우,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이 5GHz 대역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전파를 차단하는 장애물이 없다고 결정될 경우,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이 60GHz 대역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02에서,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의 거리에 따라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이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야 할 경우, 전술한 단계 S102에 대응하고 주파수 대역 결정부(62)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처리 단계가, 도 6의 흐름도에 대한 참조와 함께, 아래에서 서술된다.
최초로, 단계 S101에서 취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의 거리(L)를 식별한다(단계 S201). 이후에,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통신 제어부(64)가 유지하는 통신부 식별 데이터의 값을 검증한다(단계 S202).
단계 S202에서 통신부 식별 데이터의 값이 "1"인 것으로 검증되면,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단계 S201에서 식별된 거리 L이 값 Δ을 참조 거리(L1)에 추가함으로써 얻어진 제1 임계값(L1 + Δ) 보다 큰지 여부를 검증한다(단계 S203). 여기에서, 참조 거리(L1)는, 예를 들어, 8m이고, Δ값은 단계 S201에서 식별된 거리(L)에 기초한 값, 예를 들어, 0.1×L이다. Δ값은 거리 L에서의 이미지 기반 인식 정확도에 따른 값일 수 있다.
단계 S203에서, 단계 S201에서 식별된 거리(L)가 제1 임계값(L1 + Δ)보다 큰 것으로 검증될 경우(단계 203에서 "예"),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이 5GHz 대역이라고 결정한다(단계 S204). 이후에, 단계 S103 및 그 이후가 수행된다. 한편, 단계 S201에서 식별된 거리(L)가 제1 임계값(L1 + Δ)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검증될 경우(단계 203에서 "아니오"),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이 60GHz 대역이라고 결정한다(단계 S205). 이후에, 단계 S103 및 그 이후가 수행된다.
단계 S202에서 통신부 식별 데이터의 값이 "2"인 것으로 검증되면,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단계 S201에서 식별된 거리(L)가 값 Δ를 참조 거리(L1)로부터 차감하여 얻어진 제2 임계값(L1 - Δ)보다 작은지를 검증한다(단계 S206).
단계 S206에서, 단계 S201에서 식별된 거리(L)가 제2 임계값(L1 - Δ)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될 경우,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이 60GHz 대역이라고 결정한다(단계 S207). 이후에, 단계 S103 및 이후가 수행된다. 한편, 단계 S201에서 식별된 거리(L)가 제2 임계값(L1 - Δ)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검증될 경우,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이 5GHz 대역이라고 결정한다(단계 S208). 이후에, 단계 S103 및 이후가 수행된다.
전술한 방식이 적용되는 상황에서, 거리(L)가 제1 임계값(L1 + Δ)보다 큰 경우,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제1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0GHz 대역)으로부터 제2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5GHz 대역)으로 변경한다. 한편, 거리(L)가 제2 임계값(L1 - Δ)보다 작은 경우, 주파수 대역 결정부(62)는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제2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5GHz 대역)으로부터 제1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0GHz 대역)으로 변경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이 제1 주파수 대역 (고주파 대역)에서 제2 주파수 대역(저주파 대역)으로 변화하거나 저주파 대역에서 고주파 대역으로 변화하는지 여부에 따라,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의 거리의 임계값이 변할 수 있다. 또한, 제1 임계값(L1 + Δ)과 제2 임계값(L1 - Δ) 간의 차이(2 × Δ)는 단계 S201에서 식별된 거리(L)에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모든 기능 또는 일부 기능은 중계 장치(16) 또는 엔터테인먼트 장치(1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중계 장치(16)가 제1 통신부(54a) 또는 제2 통신부(54b)를 사용하여 HMD(12)와 통신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가 수행된다.
또한,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이, HMD(12) 또는 중계 장치(16)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는 환경을 나타내는, 카메라(20a)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HMD(12)와 중계 장치(16) 사이의 통신을 위한 전파의 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어, HMD(12)의 이미지가 카메라(20a)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있다. 예를 들어, HMD(12)의 이미지가 카메라부(20a)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에 포함될 경우, HMD(12)와 중계 장치(16) 간에 60GHz 대역 통신을 설정하는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HMD(12)의 이미지가 카메라부(20a)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HMD(12)와 중계 장치(16) 간에 5GHz 대역 통신을 설정하는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60GHz 대역 통신과 5GHz 대역 통신 사이의 전환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고주파 대역 통신과 저주파 대역 통신 간의 전환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특정한 문자열 및 수치 값과, 첨부된 도면의 문자열 및 수치 값은 예시적이며 제한적이지 않다.

Claims (8)

  1. 주파수 대역 결정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통신 장치와 상기 통신 장치용 통신 파트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되는 환경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이미지 취득부; 및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통신 파트너 간의 통신용으로 사용된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취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주파수 대역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제1통신부와 제2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파트너는 제3 통신부와 제4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제3 통신부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제4 통신부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며,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3 통신부가 통신하는 경우 식별 데이터의 값은 1로 설정되고, 상기 제2 통신부와 상기 제4 통신부가 통신하는 경우 상기 식별 데이터의 값은 2로 설정되며,
    상기 환경의 이미지는 상기 통신 장치에 배치된 카메라부에 의해 취득되고,
    상기 주파수 대역 결정부는 상기 취득된 이미지가 상기 통신 장치의 이미지 또는 상기 통신 파트너의 이미지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 결정부는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통신 파트너가 동일한 방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되, 상기 취득된 이미지가 상기 통신 장치의 이미지 및 상기 통신 파트너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만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통신 파트너가 동일한 방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결정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 결정부는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통신 파트너 간의 거리에 따라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상기 거리는 상기 취득된 이미지로부터 식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결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1 임계값은 참조거리(L1)와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통신 파트너 간의 식별된 거리(L)에 기초한 값 Δ의 합에 의해 결정되고, 제2 임계값은 상기 참조거리(L1)와 상기 Δ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식별 데이터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주파수 대역 결정부는 상기 식별된 거리(L)를 상기 제1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식별된 거리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주파수 대역 결정부는 상기 주파수 대역을 제1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제2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하고,
    상기 식별 데이터의 값이 2인 경우, 상기 주파수 대역 결정부는 상기 식별된 거리(L)를 상기 제2 임계값과 비교하며, 상기 식별된 거리가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주파수 대역 결정부는 상기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하며,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제2 임계값보다 큰 값이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보다 크며, 상기 제2 임계값과 상기 제1 임계값 간의 차이는 상기 식별된 거리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결정 장치.
  6.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로서,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와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통신 파트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되는 환경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이미지 취득부; 및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와 상기 통신 파트너 간의 통신에 사용된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취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주파수 대역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는 제1통신부와 제2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파트너는 제3 통신부와 제4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제3 통신부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제4 통신부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며,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3 통신부가 통신하는 경우 식별 데이터의 값은 1로 설정되고, 상기 제2 통신부와 상기 제4 통신부가 통신하는 경우 상기 식별 데이터의 값은 2로 설정되며,
    상기 환경의 이미지는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배치된 카메라부에 의해 취득되고,
    상기 주파수 대역 결정부는 상기 취득된 이미지가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이미지 또는 상기 통신 파트너의 이미지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7.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통신 장치와 상기 통신 장치용 통신 파트너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 환경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통신 파트너 간의 통신에 사용된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취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제1통신부와 제2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파트너는 제3 통신부와 제4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제3 통신부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제4 통신부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며,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3 통신부가 통신하는 경우 식별 데이터의 값은 1로 설정되고, 상기 제2 통신부와 상기 제4 통신부가 통신하는 경우 상기 식별 데이터의 값은 2로 설정되며,
    상기 환경의 이미지는 상기 통신 장치에 배치된 카메라부에 의해 취득되고,
    상기 취득된 이미지가 상기 통신 장치의 이미지 또는 상기 통신 파트너의 이미지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주파수 대역부에 의해 주파수 대역이 상이하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
  8.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통신 장치와 상기 통신 장치용 통신 파트너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 환경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통신 파트너 간의 통신에 사용된 전파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취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를 실행하게 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제1통신부와 제2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파트너는 제3 통신부와 제4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제3 통신부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제4 통신부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하며,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3 통신부가 통신하는 경우 식별 데이터의 값은 1로 설정되고, 상기 제2 통신부와 상기 제4 통신부가 통신하는 경우 상기 식별 데이터의 값은 2로 설정되며,
    상기 환경의 이미지는 상기 통신 장치에 배치된 카메라부에 의해 취득되고,
    상기 취득된 이미지가 상기 통신 장치의 이미지 또는 상기 통신 파트너의 이미지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주파수 대역부에 의해 주파수 대역이 상이하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1020187017961A 2015-12-24 2016-12-19 주파수 대역 결정 장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 및 프로그램 Active KR102053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51360 2015-12-24
JP2015251360 2015-12-24
PCT/JP2016/087749 WO2017110731A1 (ja) 2015-12-24 2016-12-19 周波数帯決定装置、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周波数帯決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849A KR20180088849A (ko) 2018-08-07
KR102053334B1 true KR102053334B1 (ko) 2019-12-06

Family

ID=5909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961A Active KR102053334B1 (ko) 2015-12-24 2016-12-19 주파수 대역 결정 장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10721735B2 (ko)
EP (2) EP4254819A3 (ko)
JP (2) JP6420500B2 (ko)
KR (1) KR102053334B1 (ko)
CN (2) CN108476033B (ko)
WO (1) WO20171107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2867A (zh) * 2015-11-19 2018-07-31 索尼互动娱乐股份有限公司 天线控制装置、头戴式显示器、天线控制方法以及程序
US10721735B2 (en) 2015-12-24 2020-07-21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Frequency band determination based on image of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head-mounted display
EP3472806A4 (en) 2016-06-17 2020-02-26 Immersive Robotics Pty Ltd IMAGE COMPRESSION METHOD AND APPARATUS
CN110494193A (zh) 2017-02-08 2019-11-22 因默希弗机器人私人有限公司 向多人游戏场地中的用户显示内容
EP3635952B1 (en) 2017-06-05 2024-07-03 Immersive Robotics Pty Ltd Digital content stream compression
EP3714602A4 (en) 2017-11-21 2021-07-28 Immersive Robotics Pty Ltd DIGITAL REALITY IMAGE COMPRESSION
TWI875684B (zh) 2017-11-21 2025-03-11 澳大利亞商伊門斯機器人控股有限公司 用於影像壓縮之頻率分量選擇
US12355984B2 (en) 2019-10-18 2025-07-08 Immersive Robotics Pty Ltd Content compression for network transmission
JP2023048008A (ja) * 2021-09-27 2023-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およびクロスリアリティ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4154A (ja) 2009-07-21 2011-02-03 Hitachi Ltd 無線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運用方法。
JP2011239223A (ja) 2010-05-11 2011-11-24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無線伝送制御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無線伝送システム
JP2012186701A (ja) 2011-03-07 2012-09-27 Ricoh Co Ltd 無線通信端末
US20150016246A1 (en) 2012-12-14 2015-01-15 Panasonic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2894B1 (fr) * 1990-06-01 1995-11-17 Thomson Csf Dispositif de visualisation d'images simulees pour casque.
FR2842984B1 (fr) * 2002-07-25 2004-09-17 Nec Technologies Uk Ltd Procede et dispositif de selection de reseaux de telecommunication
US7295960B2 (en) * 2003-01-22 2007-11-13 Wireless Valley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lacement or configuration of equipment for obtaining desired network performance objectives
JP2004328319A (ja) * 2003-04-24 2004-11-18 Sharp Corp 通信装置、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6332970A (ja) * 2005-05-25 2006-12-07 Fujifilm Holdings Corp 視覚補助装置
JP5021948B2 (ja) * 2006-03-30 2012-09-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障害物検知装置及びエネルギー供給装置並びにエネルギー供給システム
CN200962647Y (zh) * 2006-08-21 2007-10-17 袁德伟 长距离电脑摄像装置
JP5156211B2 (ja) * 2006-09-15 2013-03-06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車両から信号機までの距離測定方法
KR100790368B1 (ko) * 2006-11-20 2008-0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통신을 위한 dmb수신용 휴대 장치 및 그 방법과,인체통신을 이용한 dmb수신용 hmd 장치 및 그 방법
JP5053731B2 (ja) 2007-07-03 2012-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067850B2 (ja) * 2007-08-02 2012-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頭部装着型表示装置、その制御方法
WO2009128576A1 (en) * 2008-04-17 2009-10-22 Kt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calculating quality-value of in-buildin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JP5090302B2 (ja) * 2008-09-19 2012-1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方法
RU2398356C2 (ru) * 2008-10-31 2010-08-27 C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пособ установления беспроводной линии связи и система для установления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JP5117352B2 (ja) * 2008-11-07 2013-01-16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5109952B2 (ja) 2008-12-08 2012-12-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5874178B2 (ja) * 2010-04-09 2016-03-02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装置、カメラ制御装置、および中継装置
US20120188345A1 (en) * 2011-01-25 2012-07-26 Pairasigh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aming live images, audio and meta-data
JP5874176B2 (ja) * 2011-03-06 2016-03-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並びに中継装置
CN202002978U (zh) * 2011-03-18 2011-10-05 中国气象科学研究院 全视野闪电通道图像自动拍摄设备
KR101818024B1 (ko) 2011-03-29 2018-01-12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각각의 사용자의 시점에 대해 공유된 디지털 인터페이스들의 렌더링을 위한 시스템
AT511191B1 (de) * 2011-07-01 2012-10-15 Thomas Dr Neubau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und speicherung von position und ausrichtung von antennenstrukturen
JP2013051570A (ja) 2011-08-31 2013-03-14 Ricoh Co Ltd 無線通信装置
JP2013093664A (ja) * 2011-10-24 2013-05-16 Sony Corp 表示システム並びに中継装置
US20130147686A1 (en) * 2011-12-12 2013-06-13 John Clavin Connecting Head Mounted Displays To External Displays And Other Communication Networks
JP5880115B2 (ja) * 2012-02-17 2016-03-08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制御プログラム及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制御方法
JP2013186521A (ja) * 2012-03-06 2013-09-19 Casio Comput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66037B2 (ja) * 2012-03-27 2017-01-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2013236213A (ja) 2012-05-08 2013-11-21 Nikon Corp 電子機器、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5580855B2 (ja) * 2012-06-12 2014-08-2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障害物回避装置および障害物回避方法
US20140022793A1 (en) * 2012-07-17 2014-01-23 Procter And Gamble, Inc. Home network of connected consumer devices
CN103686211B (zh) * 2012-08-30 2017-02-08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频道选择方法、频道选择器及网络连接装置
US9619017B2 (en) * 2012-11-07 2017-04-1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utilizing a computer input device with multiple computers
US10108018B2 (en) 2012-11-13 2018-10-23 Sony Corporatio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captured by a mobile apparatus
KR102004265B1 (ko) * 2012-12-28 2019-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통화 방법
JP6140485B2 (ja) 2013-03-13 2017-05-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JP5838987B2 (ja) * 2013-03-28 2016-01-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KR101508832B1 (ko) * 2013-06-07 2015-04-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여러 주파수 대역의 무선 랜에서 스캐닝될 주파수 대역의 설정
GB201310376D0 (en) * 2013-06-11 2013-07-24 Sony Comp Entertainment Europe Head-mountable apparatus and systems
WO2015036691A1 (fr) * 2013-09-12 2015-03-19 Overline Systems Dispositif de communication sonore sans fil dans un milieu dense en frequences
US20150081837A1 (en) * 2013-09-13 2015-03-19 Google Inc. Provisioning a plurality of computing devices
US9510273B2 (en) * 2013-09-18 2016-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with cell selec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630105B2 (en) * 2013-09-30 2017-04-25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Camera based safety mechanisms for users of head mounted displays
US20150116316A1 (en) * 2013-10-28 2015-04-30 Brown University Virtual reality methods and systems
JP2015149654A (ja) * 2014-02-07 2015-08-20 船井電機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視聴システム
EP3057301A4 (en) * 2014-02-10 2017-09-27 Olympus Corporation Wireless image transmission system and wireless image transmission method
US9766715B2 (en) * 2014-05-01 2017-09-19 Seiko Epson Corporation Head-mount type display device, control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head-mount type display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6427942B2 (ja) 2014-05-01 2018-11-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EP3136500A4 (en) * 2014-05-27 2017-04-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cquiring antenna engineering parameters
JP2015228097A (ja) 2014-05-30 2015-12-17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573755B2 (ja) * 2014-07-10 2019-09-11 富士通株式会社 表示制御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102243656B1 (ko) * 2014-09-26 2021-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hmd 및 시스템
US10129878B2 (en) * 2015-02-02 2018-11-1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band switching
CA2994674C (en) * 2015-08-03 2023-12-19 Nextivity, Inc. Determining the optimum coverage position in a building for externally provided rf signals
KR101734287B1 (ko) * 2015-08-04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방법
US10546556B2 (en) * 2015-12-11 2020-01-28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Communication path specifying device, head mounted display, communication path specifying method, and program
US10721735B2 (en) * 2015-12-24 2020-07-21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Frequency band determination based on image of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head-mounted display
KR20170083385A (ko) * 2016-01-08 201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JP6528798B2 (ja) * 2017-03-30 2019-06-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ミリ波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4154A (ja) 2009-07-21 2011-02-03 Hitachi Ltd 無線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運用方法。
JP2011239223A (ja) 2010-05-11 2011-11-24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無線伝送制御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無線伝送システム
JP2012186701A (ja) 2011-03-07 2012-09-27 Ricoh Co Ltd 無線通信端末
US20150016246A1 (en) 2012-12-14 2015-01-15 Panasonic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35304A1 (en) 2023-02-02
CN108476033B (zh) 2020-08-21
KR20180088849A (ko) 2018-08-07
EP3376674B1 (en) 2023-09-06
JPWO2017110731A1 (ja) 2018-04-19
JP6420500B2 (ja) 2018-11-07
EP4254819A2 (en) 2023-10-04
US20200314850A1 (en) 2020-10-01
WO2017110731A1 (ja) 2017-06-29
US20240106479A1 (en) 2024-03-28
US20210227545A1 (en) 2021-07-22
EP3376674A1 (en) 2018-09-19
US11881886B2 (en) 2024-01-23
US10721735B2 (en) 2020-07-21
US11528706B2 (en) 2022-12-13
EP3376674A4 (en) 2018-11-14
US10999847B2 (en) 2021-05-04
US20190364564A1 (en) 2019-11-28
CN111934704B (zh) 2023-02-24
CN111934704A (zh) 2020-11-13
JP2019041394A (ja) 2019-03-14
CN108476033A (zh) 2018-08-31
EP4254819A3 (en)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334B1 (ko) 주파수 대역 결정 장치,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 및 프로그램
US10546556B2 (en) Communication path specifying device, head mounted display, communication path specifying method, and program
US10101813B2 (en) Automatic haptic generation based on color features and motion analysis
US202101527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600290B2 (en) Automatic haptic generation based on visual odometry
WO2019204969A1 (en) Method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video capturing and playing back frame rate
JP6757420B2 (ja) 音声制御装置、音声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550535A (ja) 適応型イントラリフレッシュメカニズムに基づく復号化、符号化
KR20170070607A (ko) 전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00112354A1 (en) Main beam direction determining device, main beam direction determining method, and program
CN113965801A (zh) 播放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KR101783608B1 (ko) 전자 장치 및 입체감 조정 방법
CN113938689B (zh) 量化参数确定方法和装置
CN110169007B (zh) 通信装置、生成数据大小控制方法和程序
US20190335114A1 (en) Head-mounted display, display controlling apparatus,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