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69601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601B1
KR101169601B1 KR1020100130742A KR20100130742A KR101169601B1 KR 101169601 B1 KR101169601 B1 KR 101169601B1 KR 1020100130742 A KR1020100130742 A KR 1020100130742A KR 20100130742 A KR20100130742 A KR 20100130742A KR 101169601 B1 KR101169601 B1 KR 101169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ceptacle
housing
auxiliary fitting
free e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514A (ko
Inventor
유조 사토
히로아키 오비카네
야스후미 야히로
아키라 기무라
타카유키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9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6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52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characterised by the loca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결합하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제공된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외측에서 리셉터클측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향부를 갖는 캔틸레버형 잠금보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서로 결합될 때, 잠금보의 자유단을 밀어내고 잠금보의 자유단에 올라타서, 잠금보의 자유단과 계합되도록 하는 계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은, 본원의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50)와 플러그 커넥터(51)에 끼워맞춰 형성되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를 개시하는 특허 문헌 1(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7-95371호)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50)에는 잠금부(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잠금부(52)는 그 상단부에 볼록부(53)를 갖는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51)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플러그측 꺽쇠(hold-down; 54)가 형성되며, 플러그측 꺽쇠(54)에는 잠금구멍(55)이 형성된다. 이 구조에서, 리셉터클 커넥터(50)에 형성된 잠금부(52)의 가장자리의 볼록부(53)가 탄성 변형되어 플러그 커넥터(51)에 형성된 잠금구멍(55)에 잠겨져, 플러그 커넥터(51)가 리셉터클 커넥터(50)에 잠겨지게 된다.
또한, 특허 문헌 2(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283357호)에는, 본원의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 상에 탑재된 플러그 커넥터(60)와, 다른 회로 기판 상에 탑재된 리셉터클 커넥터(61)로 구성된 보드 투 보드(Board to Board) 커넥터 구조체가 개시된다. 플러그 커넥터(60)는, 절연 합성 수지로 형성된 플러그 하우징(62)과, 플러그 하우징(62)에 고정되는 도전성의 플러그 컨택트(63)와, 커넥터의 끼워맞춤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플러그 보강 끼워맞춤부(64)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60)에 끼워맞춰지는 리셉터클 커넥터(61)는, 절연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된 리셉터클 하우징(65)과, 리셉터클 하우징(65)에 고정되며 플러그 컨택트(63)에 전기적?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리셉터클 컨택트(66) 및, 플러그 보강 끼워맞춤부(64)와 계합되어 커넥터의 끼워맞춤력을 강화시키는 리셉터클 보강 끼워맞춤부(67)를 포함한다.
본원의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보강 끼워맞춤부(64)는 리셉터클 보강 끼워맞춤부(67)의 대응 위치에 계합되는 편형(piece-like) 계합부(68)를 포함한다. 계합부(68)는 계합편(68a)과, 계합편(68a)의 선단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볼록부(68b)를 포함한다. 한편, 리셉터클 보강 끼워맞춤부(67)는 리셉터클 하우징(65)에 고정되는 고정부(69)와, 고정부(69)의 끝에서 뒤로 180°접히고 수직으로 연장되는(extending) 편형 계합부(70)를 포함한다. 계합부(70)는 판형 계합편(70a)과, 판 두께 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계합편(70a)의 중심에 형성된 홈형 오목부(70b)를 포함한다. 플러그 보강 끼워맞춤부(64)의 계합부(68)에 형성되는 돌출한 볼록부(68b)는, 압착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70b)와 계합되어, 플러그 커넥터(60)와 리셉터클 커넥터(61)의 끼워맞춤력을 강화한다.
본 발명자들은, 특허 문헌 1 및 2에 개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결합하는데 개선될 필요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의 목적 중의 하나는, 제1 커넥터부(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와 제2 커넥터부(예를 들어, 리셉터클 커넥터)를 결합하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컨택트를 가지며, 제1 기판 상에 탑재되어 있는 제1 커넥터부; 및 상기 제1 하우징을 수용할 수 있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컨택트를 가지며, 제2 기판 상에 탑재되어 있는 제2 커넥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컨택트와 상기 제2 컨택트는,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2 커넥터부를 결합함으로써 서로 접촉하여, 상기 제2 하우징에 상기 제1 하우징을 수용한다.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2 커넥터부에는 제1 보조 끼워맞춤부와 제2 보조 끼워맞춤부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2 커넥터부의 결합강도를 확보해 준다. 상기 제2 커넥터부의 상기 제2 보조 끼워맞춤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제2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향부(deflection part)를 갖는 캔틸레버형 잠금보(lock beam)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부의 상기 제1 보조 끼워맞춤부는, 상기 제1 커넥터부가 상기 제2 커넥터부에 결합될 때, 상기 잠금보의 자유단을 밀어내고 상기 잠금보의 자유단에 올라타서, 상기 잠금보의 자유단과 계합되는 계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 상기 잠금보의 편향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연면(outer peripheral surface)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잠금보의 자유단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 상기 잠금보의 자유단이, 상기 제1 보조 끼워맞춤부의 계합부가 상기 잠금보의 자유단을 밀어내기 쉽게 하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보의 자유단의 변위를 규제하는 변위 규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 상기 변위 규제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 상기 변위 규제부가 상기 제2 보조 끼워맞춤부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 상기 제2 보조 끼워맞춤부가 기판 그라운드부(ground part)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판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변위 규제부 자체의 변위를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 상기 제2 보조 끼워맞춤부의 상기 기판 그라운드부가 상기 변위 규제부의 근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 상기 잠금보가 상기 기판 그라운드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보조 끼워맞춤부는, 상기 기판 그라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기판 그라운드부로부터 상기 잠금보를 따라 상기 잠금보의 고정단을 향해 연장되는 잠금보 지지부와, 상기 잠금보 지지부를 상기 잠금보의 고정단에 결합하는 잠금보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로 돌출한 상기 잠금보의 자유단을 상기 돌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후퇴시키는 해제 기구(unlocking mechanism)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 상기 해제 기구가, 상기 잠금보가 상기 돌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로 돌출한 상기 잠금보의 자유단을 후퇴시키기 위한 토크를 발생시키는 토크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 상기 토크 발생 수단이, 상기 잠금보의 길이 방향 중간 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캔틸레버형 토크 발생보(torque generation beam)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커넥터에 있어, 상기 토크 발생보의 자유단이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보조 끼워맞춤부가, 제2 하우징의 외측에, 제2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향부를 갖는 캔틸레버형 잠금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잠금부에 비해 다음의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즉, 잠금보는, 충분한 보(beam) 길이가 보장되기 때문에, 쉽게 편향될 수 있다. 잠금보가 잘 편향되면, 제1 보조 끼워맞춤부의 계합부가 잠금보의 자유단을 용이하게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에서는, 제1 커넥터부와 제2 커넥터부가 결합될 때 필요한 힘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또는 그 외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예시로서만 주어지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으로부터 더 충분히 이해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a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기판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b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a는 플러그 커텍터를 결합측을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b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기판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를 결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의 정면도이다.
도 5a는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의 정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커넥터의 결합을 설명하는 작동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커넥터의 결합을 설명하는 작동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커넥터의 결합을 설명하는 작동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커넥터의 결합을 설명하는 작동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커넥터의 분리를 설명하는 작동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커넥터의 분리를 설명하는 작동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커넥터의 분리를 설명하는 작동도이다.
도 13a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의, 결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b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의, 기판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a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의, 결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b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의, 기판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와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가 서로 계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와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가 서로 계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a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b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기판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와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가 서로 계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해제 기구의 작동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를 결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를 기판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선 XXⅢ-XXⅢ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24는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를 결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를 기판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커넥터의 결합을 설명하는 작동도이다.
도 28은 커넥터의 결합을 설명하는 작동도이다.
도 29는 커넥터의 분리를 설명하는 작동도이다.
도 30은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의 결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1은 리셉터클 기판 끼워맞춤을 기판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2는 특허 문헌1의 도 3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특허 문헌2의 도 2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특허 문헌2의 도 9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 1a~1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커넥터(1))
도 1a, 1b, 2a 및 도 2b에 도시된 커넥터(전기 커넥터)(1)는, 예를 들어, PCB(인쇄 회로 기판), PWB(인쇄 배선 기판), FPC(플렉시블 인쇄 회로), FFC(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와 같은 플러그측 기판(2; 제1 기판)과, PCB, PWB, FPC, FFC와 같은 리셉터클측 기판(3;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커넥터(1)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러그측 기판(2)에 탑재된 플러그 커넥터(4; 제1 커넥터부)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셉터클측 기판(3)에 탑재된 리셉터클 커넥터(5; 제2 커넥터부)를 포함한다. 커넥터(1)는 휴대폰으로 대표되는 이동통신 장치에 주로 이용된다. 이 경우, 커넥터(1)의 설계시, 커넥터(1) 자체의 높이를 줄이는 것이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플러그 커넥터(4)는, 도 1a 및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성의 플러그 하우징(6; 제1 하우징), 플러그 하우징(6)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도전성 플러그 컨택트(7; 제1 컨택트) 및, 플러그 하우징(6)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 제1 보조 끼워맞춤부)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5)는, 도 1b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성의 리셉터클 하우징(9; 제2 하우징), 리셉터클 하우징(9)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도전성 리셉터클 컨택트(10; 제2 컨택트) 및, 리셉터클 하우징(9)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 제2 보조 끼워맞춤부)를 포함한다.
도 1a, 1b,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5)의 리셉터클 하우징(9)은, 플러그 커넥터(4)의 플러그 하우징(6)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를 결합하여 리셉터클 하우징(9) 내에 플러그 하우징(6)을 수용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4)의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7)와 리셉터클 커넥터(5)의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10)가 일대일로 연결된다. 그러면, 플러그 커넥터(4)의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와 리셉터클 커넥터(5)의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는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의 사이의 결합 강도를 확보해 주는 기능을 한다.
이하, 각 도면에 도시된 X0 방향, X1 방향, Y0 방향, Y1 방향, Z0 방향 및 Z1 방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Z0 방향은, 플러그 커넥터(4)가 리셉터클 커넥터(5)에 결합되는 방향이다. Z1 방향은 Z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서, 플러그 커넥터(4)가 리셉터클 커넥터(5)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이다. Y0 방향은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10)(또는 플러그 컨택트(7))가 정렬되는 방향이다. Y1 방향은 Y0 방향의 반대 방향이다. X0 방향은 Z0 방향 및 Y0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다. X1 방향은 X0 방향의 반대 방향이다.
(리셉터클 하우징(9))
도 1b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9)은,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의 반대편에 위치한 저벽(9a)과, 상기 저벽(9a)을 Y0 방향 및 Y1 방향에서 보지하는(holding) 한 쌍의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 보지벽(9b)과, 상기 저벽(9a)을 X0 방향 및 X1 방향에서 보지하는 한 쌍의 리셉터클 컨택트 보지벽(9c)과, 저벽(9a)의 중심으로부터 Z1 방향으로 돌출한 컨택트 보지 돌출부(9d)로 형성된다. 리셉터클 하우징(9)의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 보지벽(9b)과 리셉터클 컨택트 보지벽(9c)은 리셉터클 하우징(9)의 외벽을 구성한다.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 보지벽(9b)의 각각은, 컨택트 보지 돌출부(9d)측 면인 전면(12)과, 컨택트 보지 돌출부(9d)의 반대측 면인 후면(13)과, 한 쌍의 측면(14)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 보지벽(9b)의 각각은, 한 쌍의 측면(14)과 후면(13) 간의 경계 부근의 코너부(15)를 포함한다. 또한,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 보지벽(9b)과 리셉터클 컨택트 보지벽(9c)의 사이에는 잠금홈(16)이, X0 방향 및 X1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코너부(15)와 리셉터클 컨택트 보지벽(9c)의 사이에는 고정홈(17)이, Z0 방향 및 Z1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 보지벽(9b)의 후면(13)과 측면(14)은 리셉터클 하우징(9)의 외연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10)는 리셉터클 커넥터(5)에 두줄로 배열되어 있다. 리셉터클 컨택트(10)는 각각 리셉터클 컨택트 보지벽(9c)와 컨택트 보지 돌출부(9d)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6))
도 1a 및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6)은, 플러그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에 반대쪽에 위치한 저벽(6a)과, 상기 저벽(6a)을 Y0 방향 및 Y1 방향에서 보지하는 한 쌍의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 보지벽(6b)과, 상기 저벽(6a)을 X0 방향 및 X1 방향에서 보지하는 한 쌍의 플러그 컨택트 보지벽(6c)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7)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플러그 컨택트 보지벽(6c)에서 두 줄로 보지된다.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 보지벽(6b) 각각은, 내부에 형성된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를 보지하도록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 보지홈(6d)을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가 서로 결합될 때, 플러그 하우징(6)은 리셉터클 하우징(9) 내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리셉터클 하우징(9)의 컨택트 보지 돌출부(9d)와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 보지벽(9b)의 사이에 플러그 하우징(6)의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 보지벽(6b)이 삽입된다. 리셉터클 하우징(9)의 컨택트 보지 돌출부(9d)와 리셉터클 컨택트 보지벽(9c)의 사이에는 플러그 하우징(6)의 플러그 컨택트 보지벽(6c) 각각이 삽입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6)에 두 줄로 정렬된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7)와, 리셉터클 하우징(9)에 두 줄로 정렬된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10)가 일대일로 연결된다.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에 대해 설명한다.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는,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위치에 소정의 형상으로 금속 박판을 타출(stamping)하여 얻어진 판을 접음(folding)으로써 얻어진다.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는 도 3a 등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X0 및 X1 방향으로 선대칭이므로,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를 X0 및 X1 방향으로 반으로 분할하여 얻어지는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a)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a)는, 기판 그라운드부(20), 잠금보 지지부(21), 잠금보 결합부(22), 잠금보(23), 변위 규제부(24) 및 안정기(25)를 주요 구성요소로서 포함한다.
잠금보(23)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9)의 외측에서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향부(26)를 갖는 캔틸레버로서, 잠금보(23)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단(27)과 고정단(28)을 포함한다. 잠금보(23)는 편향부(26)와 결합부(29)를 포함한다. 편향부(26)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9)의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 보지벽(9b)의 후면(13)의 소정의 위치의 고정단(28)으로부터 후면(13)을 따라 측면(14) 상에서 연장되는 후면측 편향부(26a)와, 후면측 편향부(26a)의 단부(end)로부터 측면(14)을 따라 리셉터클 컨택트 보지벽(9c) 상에서 연장되는 측면측 편향부(26b)로 구성된다. 자유단(27)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9)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다. 편향부(26)와 자유단(27)은 결합부(29)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결합부(29)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홀(16) 내에 수용되어 있다. 자유단(2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0 및 X1 방향으로 테이퍼(taper)된다. 자유단(27)은, 그 법선 방향이 Z1 방향에 근접하는 상측 경사면(30)과, 그 법선 방향이 Z0 방향에 근접하는 하측 경사면(31)을 포함한다. 상측 경사면(30)과 하측 경사면(31) 사이의 부분은 다소 라운딩(rounding)되어 있다.
기판 그라운드부(20)는, 도 1b 및 2b에 도시된 고정홈(17) 내로 눌려져, 도 1b에 도시된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납땜되어 있다. 기판 그라운드부(20)는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리셉터클 하우징(9)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그라운드부(20)에는 잠금보 지지부(21)가 연결되어 있으며, 잠금보 지지부(21)는, 잠금보(23)와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 보지벽(9b) 사이를 기판 그라운드부(20)로부터 잠금보(23)의 고정단(28)으로 잠금보(23)를 따라 연장된다(도 1b 참조). 즉, 잠금보(23)는 잠금보 지지부(21)의 외측에서 연장된다. 잠금보 지지부(21)는, 후면측 편향부(26a)를 따라 연장되는 후면측 잠금보 지지부(21a)와, 측면측 편향부(26b)를 따라 연장되는 측면측 잠금보 지지부(21b)로 구성된다. 잠금보 지지부(21)는 잠금보 결합부(22)에 의해 잠금보(23)의 고정단(28)에 결합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잠금보 결합부(22)에 의해 잠금보 지지부(21)의 상단과 잠금보(23)의 고정단(28)의 상단이 결합된다. 이 구조에서, 잠금보(23)는 기판 그라운드부(20)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잠금보(23)는 잠금보 지지부(21)와 잠금보 결합부(22)를 통해 기판 그라운드부(20)에 의해 간접적으로 지지된다.
변위 규제부(24)는 Z1 방향에서 잠금보(23)의 자유단(27)의 변위를 규제한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위 규제부(24)는 측면측 잠금보 지지부(21b)를 통해 기판 그라운드부(20)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기판 그라운드부(20) 근처에 형성된다. 그리고, 변위 규제부(24)는 Z1 방향에서 결합부(29)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기판 그라운드부(20)는 변위 규제부(24)를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고정함으로써, 변위 규제부(24) 자체의 변위를 규제하는 기능을 한다. Z1 방향은,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6)이 리셉터클 하우징(9)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에 해당한다.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는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박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타출함으로써 얻어진다.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며, Z0 방향에서 한 쌍의 코너부(8a) 각각에 형성된 계합부(32)를 포함한다. 각 계합부(32)는,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가 도 6~9에서와 같이 결합할 때, 잠금보(23)의 자유단(27)을 밀어내고, 잠금보(23)의 자유단(27)에 올라타서, 잠금보(23)의 자유단(27)과 계합된다. 각 계합부(32)는 X0 및 X1 방향으로 테이퍼되며, 그 법선 방향이 Z1 방향인 상부 계합면(33)과, 그 접선 방향이 Z0 방향에 근접하는 하부측 경사면(34)을 포함한다.
(커넥터(1)가 결합될 때의 동작)
다음으로, 커넥터(1)가 결합될 때의 동작을 도 6a~9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플러그 하우징(6)이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방향으로 리셉터클 하우징(9)에 삽입될 때, 도 6a 및 6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플러그 하우징(6)과 리셉터클 하우징(9)의 위치 맞춤으로 인하여,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의 계합부(32)와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잠금보(23)의 자유단(27)은 Z1 및 Z0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게 된다.
플러그 하우징(6)이,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9)에 더 삽입되게 되면,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의 계합부(32)의 하측 경사면(34)이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잠금보(23)의 자유단(27)의 상측 경사면(30)에 접촉하여, 계합부(32)가 자유단(27)을 누르게 된다. 이때, 계합부(32)의 하측 경사면(34)과, 자유단(27)의 상측 경사면(30)의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결합부(29)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X1 및 X0 방향으로 다소 후퇴한다. 또한, 자유단(27)이, 측면측 편향부(26b)로부터 X1 및 X0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의 계합부(32)에 의해 눌리기 때문에, 측면측 편향부(26b)에서 비틀림(torsion)이 발생한다.
플러그 하우징(6)이, 도 8a 및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9)에 더 삽입되면, 측면측 편향부(26b)에 추가적인 비틀림이 발생하여, 결합부(29)가 크게 기울어져, Z0 방향으로 자유단(27)을 낮추게 된다. 이러한 결합부(29)의 기울어짐으로 인해, 자유단(27)의 상측 경사면(30)과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의해 특정되는 상측 경사면(30)의 경사각(θ)이 증가한다. 상측 경사면(30)의 경사각(θ)이 증가하고, 이는, 플러그 하우징(6)이 리셉터클 하우징(9)에 삽입될 때 계합부(32)가 자유단(27)로부터 Z1 방향으로 받는 저항력을 감소시킨다.
플러그 하우징(6)이 리셉터클 하우징(9)에 더 삽입되면, 계합부(32)가 잠금보(23)의 자유단(27)을 밀어내고 잠금보(23)의 자유단(27)에 올라타서, 도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보(23)의 자유단(27)과 계합된다. 즉, 계합부(32)는 잠금보(23)의 자유단(27)에 올라타서, Z0 및 Z1 방향에서 잠금보(23)의 자유단(27)에 대향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1)을 결합하는 동작이 완료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잠금보(23)의 자유단(27)이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와 접촉한다. 즉, 도 9b에 도시한 상태의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잠금보(23)는, 도 6b에 도시한 커넥터(1)의 결합 전의 상태에 비해, X1 및 X0 방향으로 다소 후퇴하게 된다.
(커넥터(1)가 분리될 때의 동작)
다음으로, 커넥터(1)가 분리될 때의 동작을 도 10a~1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0a 및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의 플러그 하우징(6)이 Z1 방향으로 당겨지면,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의 계합부(32)가 잠금보(23)의 자유단(27)의 하측 경사면(31)에 접촉되어, 계합부(32)가 자유단(27)을 누르기 쉽게 되어 버린다. 그러나, 기판 그라운드부(20)에 의해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강하게 고정된 변위 규제부(24)가 Z1 방향측에서 결합부(29)에 인접하기 때문에, 계합부(32)가 자유단(27)을 누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4)의 플러그 하우징(6)이 Z1 방향으로 당겨지면, 계합부(32)와 자유단(27)의 하측 경사면(31)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되어, 결합부(29)는 도 11a 및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X1 및 X0 방향으로 상당히 후퇴하게 된다. 이때, 자유단(27)이 눌리지 않기 때문에, 측면측 편향부(26b)에는 어떠한 비틀림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4)의 플러그 하우징(6)이 Z1 방향으로 당겨지면, 계합부(32)가 자유단(27)에 올라타서, 커넥터(1)가 분리되는 동작이, 도 12a 및 1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료된다.
(정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1)가 도 1a~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커넥터(1)는 플러그 하우징(6), 플러그 하우징(6)에 의해 지지되는 플러그 컨택트(7), 플러그측 기판(2)에 탑재되는 플러그 커넥터(4), 플러그 하우징(6)을 수용할 수 있는 리셉터클 하우징(9), 리셉터클 하우징(9)에 의해 지지되는 리셉터클 컨택트(10) 및 리셉터클측 기판(3)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5)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를 결합하여 리셉터클 하우징(9) 내에 플러그 하우징(6)을 수용함으로써, 플러그 콘택트(7)가 리셉터클 콘택트(10)와 접촉한다.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는,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 사이의 결합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각각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와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커넥터(5)의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는, 리셉터클 하우징(9)의 외측에서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향부(26)를 각각 포함하는 캔틸레버형 잠금보(23)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4)의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는,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가 서로 결합될 때, 잠금보(23)의 자유단(27)을 밀어내고 잠금보(23)의 자유단(27)에 올라타서, 잠금보(23)의 자유단(27)과 계합되는 계합부(32)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는, 리셉터클 하우징(9)의 외측에서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향부(26)를 포함하는 캔틸레버형 잠금보(23)를 포함하기 때문에, 특허 문헌 1에서 개시되는 잠금부에 비해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잠금보(23)는 보 길이가 보장되기 때문에, 쉽게 휠 수 있다. 잠금보(23)가 쉽게 휘면,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의 계합부(32)가 잠금보(23)의 자유단(27)을 밀어내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기 기술된 구성으로 인해,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를 결합하는데 필요한 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보(23)의 편향부(26)는 리셉터클 하우징(9)의 외연면(후면(13), 측면(14) 등)을 따라 연장된다. 잠금보(23)의 자유단(27)은 리셉터클 하우징(9)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의 계합부(32)가 잠금보(23)의 자유단을 밀어낼 때, 잠금보(23)의 편향부(26)에는 단순한 휘어짐(bending) 뿐만 아니라, 비틀림도 발생하게 된다. 잠금보(23)의 편향부(26)에서 휘어짐과 비틀림이 동시에 발생하여, 잠금보(23)의 자유단(27)의 변위가 더욱 촉진된다. 잠금보(23)의 자유단(27)이 쉽게 변위되기 때문에,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의 계합부(32)는 잠금보(23)의 자유단(27)을 쉽게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으로 인해,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의 결합에 필요한 힘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보(23)의 자유단(27)은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의 계합부(32)가 잠금보(23)의 자유단(27)을 쉽게 밀어낼 수 있도록 형성된 상측 경사면(30)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의 결합에 필요한 힘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잠금보(23)의 편향부(26)에서 발생한 비틀림으로 인해 커넥터 탑재면(3a)에 대해 상측 경사면(30)의 경사각(θ)이 증가하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가 결합될 때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의 계합부(32)가 잠금보(23)의 자유단(27)으로부터 받는 저항력도 자동적으로 감소한다. 이러한 점에서도,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가 결합되는데 필요한 힘이 더욱 줄어들 수 있다. 즉, 잠금보(23)의 편향부(26)에서 발생한 비틀림으로 인해, 잠금보(23)의 자유단(27)의 변위를 촉진시킬 뿐 아니라, 특유의 기술적 특징으로서, 상측 경사면(30)의 경사각(θ) 또한 변화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는, 플러그 하우징(6)이 리셉터클 하우징(9)으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 잠금보(23)의 자유단(27)의 변위를 제어하는 변위 규제부(24)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하우징(6)이 리셉터클 하우징(9)로부터 제거될 때, 잠금보(23)의 편향부(26)에서 비틀림의 발생이 방지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가 분리될 때, 잠금보(23)의 자유단(27)은,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가 서로 결합될 때에 비해 거의 변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가 결합되는데 필요한 힘을 줄일 수 있고,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는 커넥터(1)를 얻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 규제부(24)는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방법으로는, 이러한 구조 대신에, 변위 규제부(24)는 리셉터클 하우징(9)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는,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기판 그라운드부(20)을 고정함으로써 변위 규제부(24) 자체의 변위를 규제하는 기판 그라운드부(20)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잠금보(23)의 자유단(27)의 변위를, 플러그 하우징(6)이 리셉터클 하우징(9)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에서 효율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기판 그라운드부(20)는 변위 규제부(24)의 근처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기판 그라운드부(20)가 변위 규제부(24)로부터 떨어져서 형성된 경우에 비해, 변위 규제부(24) 자체의 변위가 더욱 효율적으로 규제될 수 있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보(23)는 기판 그라운드부(20)에 의해 지지된다.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는 잠금보 지지부(21)와 잠금보 결합부(22)를 더 포함한다. 잠금보 지지부(21)는 기판 그라운드부(20)에 연결되어, 기판 그라운드부(20)로부터 잠금보(23)를 따라 잠금보(23)의 고정단(28)을 향해 연장되며, 잠금보 결합부(22)는 잠금보(23)의 고정단(28)에 잠금보 지지부(21)를 결합한다. 즉, 기판 그라운드부(20)는 변위 규제부(24)의 근처에 위치하고, 변위 규제부(24)는 잠금보(23)의 자유단(27)의 근처에 위치한다. 따라서, 기판 그라운드부(20)는 잠금보(23)의 자유단(27)의 근처에 위치하게 된다. 잠금보(23)가 이러한 구조를 갖는 기판 그라운드부(20)에 의해 지지될 때, 잠금보(23)의 보 길이는 거의 보장될 수 없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잠금보(23)는, 잠금보 결합부(22)와 잠금보 지지부(21)를 통해 기판 그라운드부(20)에 의해 간접적으로 지지되어, 잠금보(23)의 보 길이가 아무런 문제없이 충분히 보장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 13a 및 1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할 것이며,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 변위 규제부(24)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Z1 방향에서 잠금보(23)의 결합부(29)에 인접한다. 반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변위 규제부(24)는 측면측 잠금보 지지부(21b)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Z1 방향측에서 측면측 편향부(26b)에 인접한다. 이 경우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보(23)의 자유단(27)의 X0 및 X1 방향에서의 변위는 허용되면서, Z1 방향에서의 변위는 허용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잠금보 결합부(22)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보 지지부(21)의 후면측 잠금보 지지부(21a)와 잠금보(23)의 고정단(28)을 Z1 방향으로 결합한다. 반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잠금보 결합부(22)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보 지지부(21)의 후면측 잠금보 지지부(21a)와 잠금보(23)의 고정단(28)을 Z0 방향으로 결합한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4a 및 1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할 것이며,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잠금보 지지부(21)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보(23) 내측에 잠금보(23)를 따라 형성된다. 반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잠금보 지지부(21)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보(23)의 외측에 잠금보(23)를 따라 형성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변위 규제부(24)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Z1 방향측에서 잠금보(23)의 결합부(29)에 인접한다. 반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변위 규제부(24)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측 잠금보 지지부(21b)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Z1 방향측에서 측면측 편향부(26b)에 인접한다. 이 경우에도,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보(23)의 자유단(27)의 X0 및 X1 방향에서의 변위는 허용되면서, Z1 방향에서의 변위는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보 결합부(22)가 잠금보 지지부(21)의 후면측 잠금보 지지부(21a)와 잠금보(23)의 고정단(28)을 Z1 방향측에서 결합한다. 반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잠금보 결합부(22)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보 지지부(21)의 후면측 잠금보 지지부(21a)와 잠금보(23)의 고정단(28)을 Z0 방향으로 결합한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할 것이며,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가 서로 결합할 때,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와 잠금보(23)의 자유단(27)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하고 있다. 반면,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가 서로 결합할 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와 잠금보(23)의 자유단(27)이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경우에도, 잠금보(23)의 자유단(27)과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의 계합부(32)는 Z1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며, 이러한 점에서,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의 계합부(32)는 잠금보(23)의 자유단(27)과 계합한다고 볼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6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제1 실시 형태의 잠금보(23)의 자유단(2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선 방향이 Z0 방향에 근접하도록 형성된 하측 경사면(31)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합부(32)가 Z1 방향에서 자유단(27)과 접촉할 때,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단(27)이 X0 및 X1 방향으로 후퇴함으로써, 계합부(32)가 자유단(27)에 올라탈 수 있게 된다. 반면,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잠금보(23)의 자유단(27)은 하측 경사면(31)을 포함하지 않고, 하측 경사면(31) 대신에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Z1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된 하측 계합면(27a)을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4)가 리셉터클 커넥터(5)에 결합될 때, 자유단(27)의 하측 계합면(27a)과 계합부(32)의 상측 계합면(33)이 Z1 방향에서 서로 대향한다. 자유단(27)의 하측 계합면(27a)과 계합부(32)의 상측 계합면(33)은 Z1 방향에 수직이다. 따라서, 계합부(32)가 Z1 방향에서 자유단(27)과 접촉할 때에도, 자유단(27)이 X0 및 X1 방향으로 후퇴하지 않아, 계합부(32)가 자유단(27)에 올라탈 수 없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유단(27)의 하측 계합면(27a)과 계합부(32)의 상측 계합면(33)은 소위 고정된 끼워맞춤(fixed-fitting) 구조를 갖는다.
(제6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7a~19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제5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제6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가, 도 17a 및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9)으로 돌출한 잠금보(23)의 자유단(27)이 돌출 방향(D)의 반대 방향(E)으로 후퇴할 수 있게 하는 해제 기구(35)를 포함한다. 해제 기구(35)는, 도 18a 및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캔틸레버형 토크 발생보(토크 발생 수단)(36)을 포함한다. 이 토크 발생보(36)는, 잠금보(23)의 편향부(26)의 측면측 편향부(26b)의 길이 방향 중간부(26c)와 접촉하며, 도 18b에 2점쇄선으로 도시한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토크 발생보(36)는 잠금보(23)의 편향부(26)의 측면측 편향부(26b)의 길이 방향 중간부(26c)와 접촉하며, 잠금보(23)의 고정단(28)으로 대략 사행하는 형태로(in a meander shape) 연장된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크 발생보(36)는 리셉터클 하우징(9)의 외측에 형성되며, 이것은 토크 발생보(36)의 자유단(36a) 또한 리셉터클 하우징(9)의 외측에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크 발생보(36)의 자유단(36a)은 리셉터클 하우징(9)의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 보지벽(9b)의 후면(13)에 대향한다.
다음으로, 토크 발생보(36)를 포함하는 해제 기구(35)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a 및 19b는 저면에서 본 해제 기구(35)를 나타낸다. 도 19a 는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잠금보(23)의 자유단(27)이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의 계합부(32)와 계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9b는 해제 기구(35)에 의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다.
토크 발생보(36)의 자유단(36a)이, 도 19a의 계합 상태에서 윤곽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9)의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 보지벽(9b)의 후면(13)쪽으로 눌릴 때, 잠금보(23)에 토크(T)가 발생한다. 반면, 잠금보(23)는 고정단(28)에서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잠금보(23)가 탄성 변형되어, 리셉터클 하우징(9) 내로 돌출한 잠금보(23)의 자유단(27)은,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단(28) 부근을 중심으로 하여 돌출 방향(D)의 반대 방향(E)으로 후퇴한다. 결과적으로,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서 보아,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잠금보(23)의 자유단(27)이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의 계합부(32)와 겹친 계합 상태는,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서 보아,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잠금보(23)의 자유단(27)이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의 계합부(32)와 겹치지 않는 해제 상태가 된다. 도 19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의 상태가 계합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바뀌면, 플러그 커넥터(4)는 리셉터클 커넥터(5)로부터 더 적은 힘으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정리)
전술한 바와 같이, 제6 실시 형태에서는, 도 17a 및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9)으로 돌출한 잠금보(23)의 자유단(27)이 돌출 방향(D)에 반대 방향(E)으로 후퇴할 수 있게 하는 해제 기구(35)가 형성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의 계합부(32)와 잠금보(23)의 자유단(27)의 계합이 강제로 풀림으로써,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이 줄어든다.
도 18a 및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기구(35)는, 돌출 방향(D)에 반대 방향(E)으로, 리셉터클 하우징(9) 내로 돌출한 잠금보(23)의 자유단(27)을 후퇴시키기 위한 잠금보(23)의 토크(T)를 발생시키는 토크 발생보(토크 발생 수단)(36)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에 따라, 단순한 메커니즘으로 해제 기구(35)가 획득된다.
또한,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크 발생보(36)는,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잠금보(23)의 길이 방향 중간부(26c)에 연결되는 캔틸레버 형상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토크 발생보(36)의 자유단(36a)을 작동시킴으로써, 돌출 방향(D)의 반대 방향(E)으로, 리셉터클 하우징(9) 내로 돌출한 잠금보(23)의 자유단(37)을 후퇴시키는 토크(T)가 발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술한 구성에 따라, 단순한 구성으로 토크(T)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크 발생보(36)의 자유단(36a)은 리셉터클 하우징(9)의 외측에 형성된다. 전술한 구조에 따르면, 토크 발생보(36)의 자유단(36a)의 작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20 및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7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 규제부(24)가 Z1 방향측에서 잠금보(23)의 결합부(29)에 인접한다. 반면, 도 20 및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변위 규제부(24)는 Z0 방향측에서 잠금보(23)의 결합부(29)에 인접한다.
또한, 제7 실시 형태에서는, 도 20 및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Z0 방향(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쪽)으로 연장되는 수직부(37)가 잠금보(23)의 연결부(29)의 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결합부(29)로부터 반대측으로 돌출하고 변위 규제부(24)를 개재한 제1 계합 돌기(38)가 수직부(37)의 단부에 형성된다. 제1 실시 형태의 자유단(27)에 대응하는 제2 계합 돌기(39)는 수직부(37)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된다. 즉, 제7 실시 형태에서, 잠금보(23)는 편향부(26), 결합부(29), 수직부(37), 제1 계합 돌기(38) 및 제2 계합 돌기(39)를 주요 구성요소로서 포함한다.
(커넥터(1)가 결합될 때의 동작)
커넥터(1)가 결합될 때, 플러그 커넥터(4)의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의 계합부(32)는 잠금보(23)의 제2 계합 돌기(39)를 밀어내고 잠금보(23)의 제2 계합 돌기(39)에 올라타서,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가 결합될 때 잠금보(23)의 제2 계합 돌기(39)와 계합된다.
(커넥터(1)가 분리될 때의 동작)
한편, 커넥터(1)가 분리될 때, 플러그 커넥터(4)의 플러그 하우징(6)은 Z1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때,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의 계합부(32)가 잠금보(23)의 제2 계합 돌기(39)와 접촉하여, 계합부(32)는 제2 계합 돌기(39)를 밀어올리기 쉽게 되어 버린다. 그러나, 기판 그라운드부(20)에 의해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강하게 고정된 변위 규제부(24)가 Z1 방향측에서 제1 계합 돌기(38)에 인접한다. 따라서, 계합부(32)는 제2 계합 돌기(39)를 밀어올리지 않게 된다.
(제8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22~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리셉터클 하우징(9))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 보지벽(9b) 각각은 한 쌍의 측면(14) 각각의 하측 부근에 코너부(15)를 포함한다. X0 및 X1 방향으로 관통하는 잠금홀(16)이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 보지벽(9b)과 리셉터클 컨택트 보지벽(9c)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두개의 끼워맞춤 부착홀(40a)이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 보지벽(9b) 각각의 상면(40)에 형성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9)에는, 리셉터클 하우징(9) 내로 돌출한 변위 규제부(24)가 높이 방향으로 커넥터(1)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와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를 도 23~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커넥터(1)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는, 도 24 및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위치에 소정의 형상으로 금속 박판을 타출하여 얻어진 판을 접음으로써 형성한다.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는 도 24 등에서와 같이 X0 및 X1 방향으로 선대칭이므로, X0 및 X1 방향으로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를 둘로 나눈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a)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a)는 기판 그라운드부(20), 잠금보(23), 안정기(25) 및 끼워맞춤 고정편(44)을 주요 구성요소로서 포함한다.
잠금보(23)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9)의 외측에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향부(26)를 갖는 캔틸레버이다(도 1 참조). 잠금보(23)는 편향부(26), 결합부(29), 수직부(41), 제1 계합 돌기(42) 및 제2 계합 돌기(43)를 포함한다. 편향부(26)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9)의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 보지벽(9b)의 후면(13)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한 고정단(28)으로부터 후면(13)을 따라 측면(14)쪽으로 연장되는 후면측 편향부(26a)의 단부와, 후면측 편향부(26a)로부터 측면(14)을 따라 리셉터클 컨택트 보지벽(9c)쪽으로 연장되는 측면측 편향부(26b)로 구성된다. 도 22에서, 결합부(29)는 측면측 편향부(26b)의 단부에 연결되며, 리셉터클 하우징(9)의 잠금홀(16)을 관통하여 리셉터클 하우징(9)에 도달한다. 도 23에서, 수직부(41)는 결합부(29)의 단부에 연결되며,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수직인 방향으로 리셉터클 하우징(9)내의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쪽으로 연장된다(또한, 도 1을 참조). 수직부(41)의 단부에, 결합부(29)로부터 반대측으로 돌출하고 리셉터클 하우징(9)의 변위 규제부(24)를 개재한 제1 계합 돌기(42)가 형성된다. 제1 실시 형태의 자유 단부(27)에 대응하는 제2 계합 돌기(43)는 수직부(41)의 길이 방향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다. 제2 계합 돌기(43)는 상측 경사면(30)과 하측 경사면(31)을 포함한다.
도 22에 도시된 기판 그라운드부(2)는 도 1b의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납땜된다. 제8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가 하나의 기판 그라운드부(20)를 포함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보(23)는 기판 그라운드부(20)에 의해 안정기(25)를 통해 간접적으로 지지된다.
끼워맞춤 고정편(44)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9)의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 보지벽(9b)에 형성된 끼워맞춤 부착홀(40a) 내로 눌린다.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박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타출함으로써 얻어진다.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는 실질적으로 거꾸로 된 U자 형상이며, 플러그측 기판(2)의 커넥터 탑재면(2a)(또한, 도 2a를 참조)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base part; 45)와, 기부(45)의 양단에 연결되며 기부(45)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각부(leg part; 46)를 포함한다. 각각의 각부(46)는 그 단부에 형성된 계합부(32)를 포함한다. 각 계합부(32)는 상부 계합면(33)과 하측 경사면(34)을 포함한다. 각각의 계합부(32)는 잠금보(23)의 수직부(41)의 제2 계합 돌기(43)를 밀어내고 제2 계합 돌기(43)에 올라타서, 도 27 및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가 서로 결합될 때, 제2 계합 돌기(43)와 계합된다.
(커넥터(1)가 결합될 때의 동작)
다음으로, 커넥터(1)가 결합될 때의 동작을 도 27 및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플러그 하우징(6)이 리셉터클 하우징(9)에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방향으로 삽입될 때, 플러그 하우징(6)과 리셉터클 하우징(9)의 위치 맞춤으로 인해, 도 27과 같이,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의 계합부(32)와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잠금보(23)의 수직부(41)의 제2 계합 돌기(43)는 Z1 및 Z0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며 접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커넥터(4)의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의 계합부(32)의 하측 경사면(34)과, 리셉터클 커넥터(5)의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잠금보(23)의 수직부(41)의 제2 계합 돌기(43)의 상측 경사면(30)이 접촉하게 된다.
플러그 하우징(6)이 리셉터클 하우징(9)에 더 삽입되면,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의 계합부(32)는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잠금보(23)의 수직부(41)의 제2 계합 돌기(43)을 누른다. 이때, 계합부(32)의 하측 경사면(34)과 제2 계합 돌기(43)의 상측 경사면(30) 간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결합부(29)가 X1 및 X0 방향으로 다소 후퇴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X1 및 X0 방향에서 측면측 편향부(26b)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제2 계합 돌기(43)가 계합부(32)에 의해 눌리기 때문에, 측면측 편향부(26b)에 비틀림이 발생하게 된다.
플러그 하우징(6)이 리셉터클 하우징(9)에 더 삽입되면, 계합부(32)는 잠금보(23)의 수직부(41)의 제2 계합 돌기(43)를 밀어내고 제2 계합 돌기(43)에 올라타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계합 돌기(43)와 계합된다. 즉, 계합부(32)는 제2 계합 돌기(43)에 올라타서, Z0 및 Z1 방향에서 제2 계합 돌기(43)에 대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1)가 결합될 때의 동작이 완료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1)가 결합되기 이전인 도 27의 상태보다,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잠금보(23)의 수직부(41)가 X1 및 X0 방향으로 다소 후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잠금보(23)의 수직부(41)가 변위됨에 따라, 제1 계합 돌기(42)가 리셉터클 하우징(9)의 변위 규제부(24)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 27 및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잠금보(23)의 제1 계합 돌기(42)와 리셉터클 하우징(9)의 변위 규제부(24)가 X0 및 X1 방향에서 겹치는 부분은 커넥터(1)의 결합으로 인해 증가된다. 따라서, 커넥터(1)를 결합하기 이전에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가 리셉터클 하우징(9)에 부착될 때,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잠금보(23)의 제1 계합 돌기(42)와 리셉터클 하우징(9)의 변위 규제부(24)가 X0 및 X1 방향에서 겹치는 부분이 충분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충분하다'라는 것은,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잠금보(23)의 제1 계합 돌기(42)가 리셉터클 하우징(9)의 변위 규제부(24)를 물리적으로 방해하기 때문에, 리셉터클 하우징(9)의 변위 규제부(24)가 잠금보(23)의 수직부(41)의 제2 계합 돌기(43)의 변위를 Z1 방향으로 규제할 수 있는 정도라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가 결합될 때 제1 계합 돌기(42)가 변위되는 방향이, 제1 계합 돌기(42)와 변위 규제부(24)가 X0 및 X1 방향에서 겹치는 부분이 증가하는 방향과 일치하여, 플러그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5)가 결합되기 전에 제1 계합 돌기(42)와 변위 규제부(24)가 겹치는 부분을 줄일 수 있어,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가 리셉터클 하우징(9)에 더욱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커넥터(1)가 분리될 때의 동작)
다음으로, 커넥터(1)가 분리될 때의 동작을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플러그 커넥터(4)의 플러그 하우징(6)이 Z1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때,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8)의 계합부(32)가 잠금보(23)의 수직부(41)의 제2 계합 돌기(43)의 하측 경사면(31)에 접촉하여, 계합부(32)가 제2 계합 돌기(43)을 밀기 쉽게 되어 버린다. 그러나, 기판 그라운드부(20)에 의해 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강하게 고정된 리셉터클 하우징(9)의 변위 규제부(24)가 Z1 방향측에서 제1 계합 돌기(42)에 인접하기 때문에, 계합부(32)가 제2 계합 돌기(43)를 누르지 않게 된다.
플러그 커넥터(4)의 플러그 하우징(6)이 Z1 방향으로 더 당겨지면, 계합부(32)와 제2 계합 돌기(43)의 하측 경사면(31) 간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결합부(29)가 X1 및 X0 방향으로 많이 후퇴된다. 이때, 제2 계합 돌기(43)가 절대로 눌리지 않기 때문에, 측면측 편향부(26b)에 어떠한 비틀림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플러그 커넥터(4)의 플러그 하우징(6)이 Z1 방향으로 더 당겨지면, 계합부(32)가 제2 계합 돌기(43)에 올라타서, 커넥터(1)가 분리되는 작동이 완료된다.
(정리)
전술한 바와 같이, 제8 실시 형태에서는, 변위 규제부(24)가 리셉터클 커넥터(5)의 리셉터클 하우징(9)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변위 규제부(24)가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 자체의 일부로서 구성되면,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구조는 복잡하게 될 수 밖에 없다. 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변위 규제부(24)가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가 아니라 리셉터클 하우징(9)의 일부로서 형성되면,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구조는 더욱 단순해질 수 있다.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가 금속판을 접어서 형성되는 경우, 커넥터(1)의 제조 비용은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구조가 복잡하느냐 단순하느냐에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변위 규제부(24)를 리셉터클 하우징(9)의 일부로서 형성함으로써, 커넥터(1)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하우징(9)이 제8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금속 몰딩으로 형성된 수지로 형성되면, 리셉터클 하우징(9) 자체에 변위 규제부(24)를 형성하는 것도,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를 접는 경우에 비해, 전체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행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변위 규제부(24)를 리셉터클 하우징(9)의 일부로서 형성함으로써 커넥터(1)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1)의 높이(리셉터클측 기판(3)의 커넥터 탑재면(3a)에 대한 커넥터(1)의 높이)는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에 의해 지배적으로 결정된다. 즉, 커넥터(1)의 높이는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가 얼마나 복잡한가에 의해 결정된다. 즉,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변위 규제부(24)가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 자체에 형성되기 때문에,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높이를 더 줄이는 것도 어렵다. 그러나, 제8 실시 형태에서는, 변위 규제부(24)가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리셉터클 하우징(9)의 일부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구조를 구조적으로 더욱 단순하게 한다.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가 구조적으로 단순하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커넥터(1)의 높이를 억제함으로써 커넥터(1)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a에 예시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변위 규제부(24) 자체의 변위를 효율적으로 규제하기 위해,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기판 그라운드부(20)가 변위 규제부(24)의 근처에 형성된다. 반면, 제8 실시 형태에서는, 변위 규제부(24)가 리셉터클 하우징(9)의 일부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변위 규제부(24)의 근처에 기판 그라운드부(20)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변위 규제부(24)를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일부로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변위 규제부(24)를 리셉터클 하우징(9)의 일부로서 형성하는 것은, 기판 그라운드부(20)가 형성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설계하는데 더 큰 자유도를 제공한다.
(제9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30 및 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9 실시 형태에서는, 제8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또한, 제8 실시 형태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제8 실시 형태에서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그라운드부(20)는, 리셉터클 하우징(9)의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 보지벽(9b)을 개재하고 리셉터클 하우징(9)의 컨택트 보지 돌출부(9d)로부터 반대측에 형성된다(또한, 도 1b를 참조). 그러나, 제9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 그라운드부(20)가 잠금보(23)의 결합부(29)의 근처에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a)는 기판 그라운드부(20), 잠금보 지지부(21), 잠금보 결합부(22), 잠금보(23) 및 안정기(25)를 주요 구성요소로서 포함한다.
잠금보 지지부(21)는 편향부(26)에서 잠금보(23)의 후면측 편향부(26a)와 측면측 편향부(26b)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잠금보 지지부(21)의 일단은 잠금보 결합부(22)를 통해 편향부(26)에 연결되며, 잠금보 지지부(21)의 타단은 기판 그라운드부(20)에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 그라운드부(20)가 형성되는 위치는, 기판 그라운드부(20)가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11)의 잠금보(23)를 변형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술된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그러한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모든 변형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본원은, 2010년 4월 27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0-101993호 및, 2010년 7월 14일에 출원된 제2010-159667호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서 원용한다.
1: 커넥터(전기 커넥터)
2: 플러그측 기판(제1 기판)
2a: 커넥터 탑재 기판
3: 리셉터클측 기판(제2 기판)
3a: 커넥터 탑재 기판
4: 플러그 커넥터(제1 커넥터부)
5: 리셉터클 커텍터(제2 커넥터부)
6: 플러그 하우징(제1 하우징)
7: 플러그 컨택트(제1 컨택트)
8: 플러그 보조 끼워맞춤부(제1 보조 끼워맞춤부)
9: 리셉터클 하우징(제2 하우징)
10: 리셉터클 컨택트(제2 컨택트)
11: 리셉터클 보조 끼워맞춤부(제2 보조 끼워맞춤부)
13: 후면
14: 측면
20: 기판 그라운드부
21: 잠금보(lock beam) 지지부
22: 잠금보 결합부
23: 잠금보
24: 변위 규제부
26: 편향(deflection)부
27: 자유단
28: 고정단
29: 결합부
30: 상측 경사면(경사면)
32: 계합부
35: 해제(unlocking) 기구
36: 토크 발생보(토크 발생 수단)
36a: 자유단
39: 제2 계합 돌기(projection)(자유단)
43: 제2 계합 돌기(자유단)
D: 돌기 방향
E: 돌기 방향의 반대 방향
T: 토크

Claims (13)

  1.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컨택트를 가지며, 제1 기판 상에 탑재되어 있는 제1 커넥터부; 및
    상기 제1 하우징을 수용할 수 있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컨택트를 가지며, 제2 기판 상에 탑재되어 있는 제2 커넥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컨택트와 상기 제2 컨택트는,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2 커넥터부를 결합함으로써 서로 접촉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을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수용하고,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제1 보조 끼워맞춤부와 제2 보조 끼워맞춤부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2 커넥터부의 결합 강도를 확보하고,
    상기 제2 커넥터부의 상기 제2 보조 끼워맞춤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제2 기판의 커넥터 탑재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향부를 갖는 캔틸레버형 잠금보(lock beam)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부의 상기 제1 보조 끼워맞춤부는, 상기 제1 커넥터부가 상기 제2 커넥터부에 결합될 때, 상기 잠금보의 자유단을 밀어내고 상기 잠금보의 자유단에 올라타서, 상기 잠금보의 자유단과 계합되는 계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보의 편향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연면(outer peripheral surface)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잠금보의 자유단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보의 상기 자유단은, 상기 제1 보조 끼워맞춤부의 계합부가 상기 잠금보의 자유단을 밀어내기 쉽게 하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보의 자유단의 변위를 규제하는 변위 규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규제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규제부는 상기 제2 보조 끼워맞춤부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끼워맞춤부는 기판 그라운드부(ground part)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판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변위 규제부 자체의 변위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끼워맞춤부의 상기 기판 그라운드부는 상기 변위 규제부의 근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보는 상기 기판 그라운드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 보조 끼워맞춤부는,
    상기 기판 그라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기판 그라운드부로부터 상기 잠금보를 따라 상기 잠금보의 고정단을 향해 연장되는 잠금보 지지부와,
    상기 잠금보 지지부를 상기 잠금보의 고정단에 결합하는 잠금보 결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로 돌출한 상기 잠금보의 자유단을 상기 돌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후퇴시키는 해제 기구(unlocking mechanism)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기구는 토크를 발생시키는 토크 발생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토크에 의해, 상기 잠금보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로 돌출한 상기 잠금보의 자유단을 상기 돌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발생 수단은, 상기 잠금보의 길이 방향 중간 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커넥터 탑재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캔틸레버형 토크 발생보(torque generation beam)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발생보의 자유단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00130742A 2010-04-27 2010-12-20 전기 커넥터 Active KR101169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01993 2010-04-27
JPJP-P-2010-101993 2010-04-27
JP2010159667A JP5498883B2 (ja) 2010-04-27 2010-07-14 電気コネクタ
JPJP-P-2010-159667 2010-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514A KR20110119514A (ko) 2011-11-02
KR101169601B1 true KR101169601B1 (ko) 2012-07-30

Family

ID=4341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742A Active KR101169601B1 (ko) 2010-04-27 2010-12-20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08931B2 (ko)
JP (1) JP5498883B2 (ko)
KR (1) KR101169601B1 (ko)
CN (1) CN102280769B (ko)
DE (1) DE102010063576B4 (ko)
FI (1) FI123265B (ko)
TW (1) TWI4952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7030B2 (ja) * 2010-05-28 2014-10-0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807181B2 (ja) * 2011-02-07 2015-11-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JP5815277B2 (ja) * 2011-05-13 2015-11-17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08225B2 (ja) * 2011-07-06 2016-04-2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84036B2 (ja) * 2011-08-31 2016-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ッダならびに当該ヘッダを用いたコネクタ
CN102957018B (zh) * 2011-08-31 2016-08-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导电端子
JP2013118141A (ja) * 2011-12-05 2013-06-13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8858239B2 (en) * 2012-06-19 2014-10-14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blind mating for board to board use
JP6058355B2 (ja) * 2012-07-19 2017-01-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43774B2 (ja) * 2012-08-16 2016-07-0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5708942B2 (ja) * 2012-12-28 2015-04-30 第一精工株式会社 配線基板連結装置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JP2014170726A (ja) * 2013-02-05 2014-09-18 Tyco Electronics Japan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用いる電気コネクタ
WO2014132284A1 (ja) * 2013-02-27 2014-09-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JP6148952B2 (ja) * 2013-03-14 2017-06-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44122B2 (ja) * 2013-06-14 2017-06-07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電気コネクタ
JP6429263B2 (ja) * 2013-06-19 2018-11-28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コネクタ、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付フラットケーブル
JP5747953B2 (ja) * 2013-06-27 2015-07-15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496721B1 (ko) * 2013-11-05 2015-02-2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체결형 보드 커넥터
JP5887326B2 (ja) * 2013-12-12 2016-03-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5972855B2 (ja) * 2013-12-24 2016-08-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4795654B (zh) * 2014-01-17 2017-09-0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JP6342190B2 (ja) * 2014-03-24 2018-06-1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6167997B2 (ja) * 2014-06-05 2017-07-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20160046173A (ko) * 2014-10-20 2016-04-2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JP2016143497A (ja) * 2015-01-30 2016-08-0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コネクタ
CN106356656A (zh) * 2015-07-17 2017-01-25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组件及其插座连接器与插头连接器
CN105470674B (zh) * 2016-01-11 2020-10-23 深圳前海达闼云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大功率设备连接器
JP6399063B2 (ja) * 2016-09-07 2018-10-03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6761736B2 (ja) * 2016-11-11 2020-09-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8232526B (zh) * 2016-12-21 2020-04-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JP6512210B2 (ja) * 2016-12-21 2019-05-1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CN108258484B (zh) * 2016-12-28 2020-02-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US10170849B2 (en) * 2017-04-07 2019-01-01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with slidable latch
CN108933365B (zh) * 2017-05-26 2021-06-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D877704S1 (en) * 2018-02-20 2020-03-1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JP6942074B2 (ja) * 2018-03-05 2021-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6582083B2 (ja) * 2018-03-09 2019-09-25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11605911B2 (en) * 2018-06-22 2023-03-14 Fujikura Ltd.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detachably fitting to each other
JP7026025B2 (ja) * 2018-08-24 2022-02-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TWI823997B (zh) * 2018-08-28 2023-12-01 英屬開曼群島商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卡緣連接器
JP6714056B2 (ja) * 2018-09-12 2020-06-2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2020077490A (ja) * 2018-11-06 2020-05-21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セット
JP7202866B2 (ja) * 2018-12-03 2023-01-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向けの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JP7309370B2 (ja) * 2019-01-22 2023-07-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JP6986039B2 (ja) * 2019-03-15 2021-12-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209571614U (zh) * 2019-04-18 2019-11-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对接连接器
US11095059B2 (en) * 2019-04-25 2021-08-17 Molex, Llc Connector
JP7364363B2 (ja) 2019-04-25 2023-10-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WO2021000152A1 (zh) * 2019-06-30 2021-01-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多极连接器
JP7196028B2 (ja) * 2019-07-04 2022-12-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TWI712223B (zh) * 2019-10-08 2020-12-01 日商第一精工股份有限公司 基板連接器裝置
US12218446B2 (en) * 2019-12-09 2025-02-04 I-Pex Inc. Electrical connector pair
USD941246S1 (en) * 2019-12-18 2022-01-18 Ls Mtron Ltd. Connector
USD941245S1 (en) * 2019-12-18 2022-01-18 Ls Mtron Ltd. Connector
JP1663235S (ko) 2020-02-13 2020-07-06
JP7129462B2 (ja) * 2020-12-17 2022-09-01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とコネクタ対
JP1695902S (ko) * 2021-04-20 2021-09-27
JP1695901S (ko) * 2021-04-20 2021-09-27
CN113922114B (zh) * 2021-09-30 2024-03-15 国光集团唯丞精密电子(昆山)有限公司 一种自锁式基板用连接器
JP2023092756A (ja) * 2021-12-22 2023-07-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1740505S (ja) * 2022-08-30 2023-03-30 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5371A (ja) 2005-09-27 2007-04-12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09283357A (ja) 2008-05-23 2009-12-03 Jst Mfg Co Ltd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5929A (en) 1980-05-06 1982-06-22 Amp Incorporated Line assignment module
EP0450770B1 (en) * 1990-04-02 1995-11-22 The Whitaker Corporation Surface mount connector
JPH052385U (ja) * 1991-06-25 1993-01-14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の接続構造
EP0594680B1 (en) * 1991-07-16 1999-12-29 Berg Electronics Manufacturing B.V. Retention system for a connector housing
US5120256A (en) * 1991-07-16 1992-06-09 Walden John D Retention system for a connector housing
US5154620A (en) * 1991-08-09 1992-10-13 Molex Incorporated Chip carrier socket assembly
JP2559833Y2 (ja) * 1991-10-17 1998-01-19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モジューラ電気コネクタ用ホルダ
US5199884A (en) * 1991-12-02 1993-04-06 Amp Incorporated Blind mating miniature connector
US5346405A (en) 1993-05-04 1994-09-13 The Whitaker Corporation Shunted connector assembly and shunt assembly therefor
US5626482A (en) * 1994-12-15 1997-05-06 Molex Incorporated Low profile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545051A (en) * 1995-06-28 1996-08-13 The Whitaker Corporation Board to board matable assembly
US5803752A (en) * 1995-12-04 1998-09-0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US5836773A (en) * 1996-07-29 1998-11-1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FR2752098B1 (fr) * 1996-08-02 1998-08-28 Framatome Connectors Int Ensemble de connecteur
JP3617220B2 (ja) * 1996-11-26 2005-02-02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US5931689A (en) * 1997-08-06 1999-08-03 Molex Incorporate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ocking characteristics
JP3642705B2 (ja) * 1999-11-11 2005-04-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6645005B2 (en) * 2001-11-29 2003-11-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atching metal ears
JP2004055306A (ja) * 2002-07-18 2004-02-19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基板接続用コネクタ
CN1237662C (zh) * 2002-07-23 2006-01-18 松下电工株式会社 薄型连接器
TW555189U (en) * 2002-09-25 2003-09-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W558094U (en) * 2003-02-26 2003-10-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940387B2 (ja) * 2003-07-29 2007-07-0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US6902441B2 (en) 2003-09-12 2005-06-07 Alcoa Fujikura Limited Modular layered stackable connector system
JP4219308B2 (ja) * 2004-08-18 2009-02-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ロック機能付き補強金具及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
JP4287825B2 (ja) * 2005-01-28 2009-07-0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接続用コネクタ
US7108534B2 (en) 2005-02-04 2006-09-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t least two keying arrangements
CN200941443Y (zh) * 2006-08-08 2007-08-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US7318754B1 (en) 2006-09-08 2008-01-15 Superior Modular Products Incorporated Keyed modular connection system and associated adapter cable
JP4454651B2 (ja) * 2007-07-25 2010-04-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623694B2 (ja) * 2008-05-12 2014-11-12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454998B2 (ja) 2008-10-22 2014-03-26 花王株式会社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US7828559B2 (en) * 2008-12-12 2010-11-0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to board connector assembly
JP5553502B2 (ja) * 2008-12-19 2014-07-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0159667A (ja) 2009-01-07 2010-07-22 Toshiba Corp 軸流タービン
JP5250450B2 (ja) * 2009-02-27 2013-07-3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784673B2 (ja) * 2009-03-24 2011-10-0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16692B2 (ja) * 2010-02-10 2012-09-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US8292635B2 (en) * 2011-03-12 2012-10-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assembly with robust latching mea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5371A (ja) 2005-09-27 2007-04-12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09283357A (ja) 2008-05-23 2009-12-03 Jst Mfg Co Ltd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98883B2 (ja) 2014-05-21
FI123265B (fi) 2013-01-15
CN102280769A (zh) 2011-12-14
TW201140960A (en) 2011-11-16
CN102280769B (zh) 2014-04-09
KR20110119514A (ko) 2011-11-02
US20110263140A1 (en) 2011-10-27
DE102010063576A1 (de) 2011-10-27
US8408931B2 (en) 2013-04-02
FI20106339A0 (fi) 2010-12-17
FI20106339L (fi) 2011-10-28
TWI495206B (zh) 2015-08-01
DE102010063576B4 (de) 2021-03-25
JP2011249297A (ja)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601B1 (ko) 전기 커넥터
JP5553502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CN109904648B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CN100557896C (zh) 缆线连接器
JP6441777B2 (ja) コネクタ
KR102076174B1 (ko) 커넥터
KR20100109482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5885594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005822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N101118993A (zh) 薄型连接器
CN108400506A (zh) 电连接器
JP4651521B2 (ja) コネクタ用シールドケース
CN103765685B (zh) 保持配件、连接器连接体及连接器
JP4789576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488891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JP7453756B2 (ja) コネクタ
KR101488892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JP4082512B2 (ja) 垂直嵌合コネクタ
EP4343979A1 (en) Connector outer housing
JP2019024023A (ja) コネクタ
JP2019129137A (ja) コネクタ、相手方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5959704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14216219A (ja) コネクタ
JP5842677B2 (ja) コネクタ装置
TW201405967A (zh) 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7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