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66027B1 - 5'-이노신산 생산성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핵산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5'-이노신산 생산성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핵산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027B1
KR101166027B1 KR1020090028145A KR20090028145A KR101166027B1 KR 101166027 B1 KR101166027 B1 KR 101166027B1 KR 1020090028145 A KR1020090028145 A KR 1020090028145A KR 20090028145 A KR20090028145 A KR 20090028145A KR 101166027 B1 KR101166027 B1 KR 101166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 encoding
microorganism
corynebacterium
pdz
seq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732A (ko
Inventor
김정환
권중근
안태민
황수연
백민지
권나라
윤난영
김주정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90028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027B1/ko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EP10758970.7A priority patent/EP2415861B1/en
Priority to CN201080019531.5A priority patent/CN102549144B/zh
Priority to PCT/KR2010/001760 priority patent/WO2010114245A2/ko
Priority to PL10758970T priority patent/PL2415861T3/pl
Priority to RU2011144024/10A priority patent/RU2482178C1/ru
Priority to US13/262,202 priority patent/US8993272B2/en
Priority to DK10758970.7T priority patent/DK2415861T3/en
Priority to BRPI1014056A priority patent/BRPI1014056B1/pt
Priority to ES10758970.7T priority patent/ES2657837T3/es
Priority to EP17168260.2A priority patent/EP3219789A1/en
Priority to JP2012503311A priority patent/JP2012522503A/ja
Priority to MX2011010250A priority patent/MX2011010250A/es
Publication of KR20100109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26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carbohydrates
    • C12P19/28N-glycosides
    • C12P19/30Nucleotides
    • C12P19/34Polynucleotides, e.g. nucleic acids, oligoribonucleo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52Genes encoding for enzymes or pro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12N9/12Transferases (2.) transferring phosphorus containing groups, e.g. kinases (2.7)
    • C12N9/1235Diphosphotransferases (2.7.6)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26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carbohyd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26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carbohydrates
    • C12P19/28N-glycosides
    • C12P19/30Nucleotides
    • C12P19/32Nucleotides having a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two N-atoms in the same ring, e.g. purine nucleotides, nicotineamide-adenine dinucleotid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15Corynebacteri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이 내재적 발현량보다 증가된, 5'-이노신산 생산능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향상된 5'-이노신산 생산능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5'-이노신산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퓨린 생합성 효소, 코리네박테리움, 이노신산, 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IMP).

Description

5'-이노신산 생산성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핵산의 생산방법{Microorganism belonging to the genus Corynebacterium having enhaced 5'-inosinic acid productivity and method for producing 5'-inosinic aci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이 내재적 발현량보다 증가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향상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5'-이노신산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핵산계 물질 중 하나인 5'-이노신산(5'-inosinic acid)은 핵산 생합성 대사계의 중간물질로서, 동식물의 체내에서 생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식품, 의약품 및 각종 의료적 이용 등 다방면에 이용되고 있다. 5'-이노신산은 특히 모노소디움 글루탐산(MSG)과 같이 사용하면 맛의 상승효과가 커서 정미성 조미료로 각광을 받고 있는 핵산계 조미료 중 하나이다.
5'-이노신산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효모 세포로부터 추출한 리보핵산을 효소로 분해하는 방법(일본 특허공고 제1614/ 1957호 등), 발효에 의해 생산된 이노신 을 화학적 방법으로 인산화하는 방법(Agri. Biol. Chem., 36, 1511(1972) 등) 및 5'-이노신산을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을 배양하고 배지에 축적된 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IMP)를 회수하는 방법 등이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5'-이노신산을 생산하는 방법이다. 5'-이노신산의 생산을 위해 이용하는 미생물로는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균주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균주를 배양하여 5'-이노신산을 생산하는 방법(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0042972호 등) 등이 공지되어 있다.
미생물을 이용한 5'-이노신산의 생산의 수율을 높이기 위해, 5'-이노신산의 생합성 경로 또는 분해 경로와 관련된 효소의 활성이나 발현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저하시켜 개량한 균주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특허 제785248호는 퓨린 생합성 경로 상의 포스포리보실아미노이미다졸 숙시노카르복사미드 신세타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 purC가 과발현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의 생산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한국특허 제857379호는 purKE에 의해 암호화되는 포스포리보실아미노이미다졸 카복실라아제 유전자가 과발현된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균주와 이를 이용하여 IMP를 고농도 및 고수율로 생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여전히 보다 높은 수율로 5'-이노신산을 생산할 수 있는 균주의 개발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방법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5'-이노신산을 높은 생산성으로 생산할 수 있는 균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퓨린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의 활성을 동시에 내재적 활성보다 높이는 경우, 5'-이노신산의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향상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향상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이용하여 5'-이노신산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이 내재적 발현량보다 증가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이 내재적 발현량보다 증가되어, 모균주 대비 향상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퓨린 생합성 효소"는 퓨린 염기를 최종 산물로 생성하는 퓨린 생합성 경로에 포함된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를 의미하며, 포스포리보실피로포스페이트 아미도트랜스퍼라아제, 포스포리보실글리신아미드 포르밀트랜스퍼라아제, 포스포리보실포르밀글리신아미딘 신세타아제, 포스포리보실포르밀글리신아미딘 신세타아제 II, 포스포리보실아미노이미다졸 신세타아제, 포스포리보실아미노이미다졸 카복실라아제, 포스포리보실 아미노이미다졸 숙시노카르복사미드 신세타아제, 이노신산 시클로히드롤라아제, 리보스포스페이트 피로포스포키나아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퓨린 생합성 효소는 포스포리보실피로포스페이트 아미도트랜스퍼라아제, 포스포리보실글리신아미드 포르밀트랜스퍼라아제, 포스포리보실포르밀글리신아미딘 신세타아제, 포스포리보실포르밀글리신아미딘 신세타아제 II, 포스포리보실아미노이미다졸 신세타아제, 포스포리보실아미노이미다졸 카복실라아제, 포스포리보실 아미노이미다졸 숙시노카르복사미드 신세타아제 및 이노신산 시클로히드롤라아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와 리보스포스페이트 피로포스포키나아제로 구성된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내재적 수준 대비 발현량이 증가된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포스포리보실글리신아미드 포르밀트랜스퍼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36의 purN, 포스포리보실포르밀글리신아미딘 신세타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37의 purS, 포스포리보실포르밀글리신아미딘 신세타아제 II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38의 purL, 포스포리보실아미노이미다졸 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40의 purKE, 포스포리보실 아미노이미다졸 숙시노카르복사미드 신세타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41의 purC, 이노신산 시클로히드롤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42의 purH 및 리보스포스페이트 피로포스포키나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43의 prs로 구성된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내재적 수준 대비 발현량이 증가된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포스포리보실피로포스페이트 아미도트랜스퍼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35의 purF, 포스포리보실글리신아미드 포르밀트랜스퍼라 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36의 purN, 포스포리보실포르밀글리신아미딘 신세타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37의 purS, 포스포리보실포르밀글리신아미딘 신세타아제 II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38의 purL, 포스포리보실아미노이미다졸 신세타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39의 purM, 포스포리보실아미노이미다졸 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40의 purKE, 포스포리보실 아미노이미다졸 숙시노카르복사미드 신세타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41의 purC, 이노신산 시클로히드롤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42의 purH 및 리보스포스페이트 피로포스포키나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43의 prs로 구성된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내재적 발현량보다 증가된"은 미생물에서 자연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의 발현량 또는 모균주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의 발현량보다 높은 양으로 발현하는 것을 의미하며, 당해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갯수(카피 수)의 증가 및 그에 따른 발현량 증가 또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한 발현량의 증가 또는 이 둘 모두에 의한 발현량의 증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 증가는 당해 유전자가 외부로부터 추가적으로 균주에 도입되거나 또는 내재적 유전자가 증폭되어 유전자의 카피 수가 증가되거나 또는 전사 또는 번역 조절 서열에 도입된 변이에 의해 전사 효율 또는 번역 효율이 증가된 경우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내재적 유전자의 증폭은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 예를 들면 적당한 선택 압력하에서 배양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은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세포 외부로부터 추가적으로 도입되거나 또는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내재적 유전자가 증폭되어 증가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향상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에서, 내재적 수준 대비 발현량이 증가된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상응하는 내재적 유전자 외에 하나 이상의 카피가 외부로부터 도입되어 두개 이상의 카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향상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에서,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외부로부터의 도입은 상응하는 유전자의 연속적으로 배열된 2개의 카피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에 의한 형질전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향상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재조합 벡터는 도입되는 유전자에 따라 각각 도 2 내지 7의 개열지도를 갖는 재조합 벡터, pDZ-2purFM, pDZ-2purNH, pDZ-2purSL, pDZ-2purKE, pDZ-2purC, 및 pDZ-2pr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향상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5'-이노신산을 생산할 수 있는 코리네박테리움 미생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ATCC6872, 코리네박테리움 써모아미노게네스(thermoaminogenes) FERM BP-1539,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 브레비박테리움 플라붐(Brevibacterium flavum) ATCC14067, 브레비박테리움 락토페르멘툼(Brevibacterium lactofermentum) ATCC13869 및 이들로부터 제조된 균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향상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두 카피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향상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prs 유전자와, purF, purN, purS, purL, purM, purKE, purC 및 purH 유전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조합의 내재적 활성이 5'-이노신산을 고농도로 생산하도록 증가된 것인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향상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5'-이노신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JIP2401(KCCM-10610) 균주에 각각 도 2, 3, 4, 5, 6 및 7의 개열지도를 갖는 재조합 벡터 pDZ-2purFM, pDZ-2purNH, pDZ-2purSL, pDZ-2purKE, pDZ-2purC, pDZ-2prs를 순서대로 또는 조합으로 도입되고, 도입된 purF, purN, purS, purL, purM, purKE, purC, purH 및 prs 유전자의 두 카피 중 하나가 상응하는 내재적 유전자를 상동 재조합에 의하여 치환하여, purF, purN, purS, purL, purM, purKE, purC, purH 및 prs유전자가 각각 2 카피씩 염색체 내에 삽입된 균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향상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포스포리보실글리신아미드 포르밀트랜스퍼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36의 purN, 포스포리보실포르밀글리신아미딘 신세타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37의 purS, 포스포리보실포르밀글리신아미딘 신세타아제 II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38의 purL, 포스포리보실아미노이미다졸 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40의 purKE, 포스포리보실 아미노이미다졸 숙시노카르복사미드 신세타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41의 purC, 이노신산 시클로히드롤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42의 purH 및 리보스포스페이트 피로포스포키나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43의 prs로 구성된 조합의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두 카피씩 포함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N01-012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향상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포스포리보실피로포스페이트 아미도트랜스퍼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35의 purF, 포스포리보실글리신아미드 포르밀트랜스퍼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36의 purN, 포스포리보실포르밀글리신아미딘 신세타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37의 purS, 포스포리보실포르밀글리신아미딘 신세타아제 II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38의 purL, 포스포리보실아미노이미다졸 신세타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39의 purM, 포스포리보실아미노이미다졸 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40의 purKE, 포스포리보실 아미노이미다졸 숙시노카르복사미드 신세타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41의 purC, 이노신산 시클로히드롤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42의 purH 및 리보스포스페이트 피로포스포키나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43의 prs로 구성된 조합의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두 카피씩 포함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N01-0316(KCCM 10992P)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이 내재적 발현량보다 증가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액으로부터 5'-이노신산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5'-이노신산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5'-이노신산을 생산하는 방법에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 및 기타 배양 조건은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배양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할 수 있고,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택하고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배양 방법도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배양 방법, 예를 들면, 회분식, 연속식 및 유가식 배양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 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N01-0120 또는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N01-0316(KCCM 10992P)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는 균주를 적당한 탄소원, 질소원, 아미노산, 비타민 등을 함유한 통상의 배지 내에서 호기성 조건 하에 온도, pH 등을 조절하면서 배양한다.
탄소원으로는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와 같은 탄수화물이 사용될 수 있고, 질소원으로는 암모니아, 염화암모늄, 황산암모늄과 같은 각종 무기질소원 및 펩톤, NZ-아민, 육류 추출물, 효모 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카세인 가수분해물, 어류 또는 그의 분해생성물, 탈지 대두 케이크 또는 그의 분해생성물 등 유기질소원이 사용될 수 있다. 무기화합물로는 인산제1칼륨, 인산제2칼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철, 황산망간, 탄산칼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 필요에 따라 비타민 및 영양요구성 염기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배양은 호기적 조건 하에서, 예를 들면 진탕 배양 또는 통기 교반 배양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36℃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배지의 pH는 배양하는 동안 pH 6 내지 8의 범위에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양은 4 내지 6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퓨린 생합성에 관여하는 주요한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이 내재적 발현량보다 증가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이용하여 5'-이노신산을 고농도 및 고수율로 생산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실시예 1. 염색체 삽입용 벡터 (pDZ)를 이용한 퓨린 생합성 유전자의 삽입 및 이에 의한 고수율 5'-이노신산 생산 균주의 개발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균주의 염색체로 외래 유전자를 삽입하기 위해, 해당 유전자를 연속적으로 2 카피 포함하는 pDZ 기반 재조합 벡터를 이용하였다. pDZ 벡터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염색체 삽입용 벡터로,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8-0025355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도 1은 pDZ 벡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하기의 (1) 내지 (6)에서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염색체 내에 삽입시켜 각 유전자의 카피 수를 2개로 증가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재조합 벡터를 제작하였다. 각 재조합 벡터에 의한 형질전환 및 형질전환체의 선별은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5'-이노신산 생산 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JIP2401(KCCM-10610)에 원하는 퓨린 생합성 경로 상의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pDZ 벡터를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으로 형질전환한 후, 카나마이신(kanamycin) 25㎎/ℓ를 함유한 선별 배지에서 염색체상의 당해 유전자와 상동성 재조합에 의해 벡터 내의 유전자가 염색체 내로 삽입된 균주를 선별하였다. 벡터의 성공적인 염색체 삽입은 X-gal(5-브로모-4-클로로-3-인돌릴-β-D-갈락토시드)을 포함한 고체배지(육즙 1%, 효모엑기스 1%, 펩톤 1%, 염화나트륨 0.25%, 아데닌 1%, 구아닌 1%, 한천 1.5%)에서 콜로니의 색에 의해 확인하였다. 즉, 청색을 띠는 콜로니를 벡터가 염색체에 삽입된 형질전환체인 것으로 선별하였다. 1차 교차(crossover)에 의해 벡터가 염색체에 삽입된 균주를 영양 배지(포도당 1%, 육즙 1%, 효모엑기스 1%, 펩톤 1%, 염화나트륨 0.25%, 아데닌 1%, 구아닌 1%)에서 진탕배양(30℃, 8시간)한 후, 각각 10-4으로부터 10-10까지 희석하여, X-gal을 포함하고 있는 고체배지에 도말하였다. 대부분의 콜로니가 청색을 띄는데 반해 낮은 비율로 나타나는 백색의 콜로니를 선별함으로써, 2차 교차에 의해 염색체상에 삽입된 벡터 서열이 제거된 균주를 선별하였다. 이상과 같이 선별된 균주를 최종적으로 항생제 카나마이신에 대한 감수성 여부의 확인 및 PCR을 통한 유전자 구조 확인 과정을 거쳐 최종 균주로 선정하였다.
(1) purFM 유전자의 클로닝 및 재조합벡터(pDZ-2purFM) 제작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염색체 상에서 purF 유전자와 purM 유전자는 근접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두 유전자를 동시에 발현시키기 위해 상기 두 유전자 및 프로모터 부위를 포함한 purFM 벡터를 제작하였다.
5'-이노신산 생산능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JIP2401 균주의 염색체를 분리하고, 이를 주형으로 하여 purFM, 즉, 연속적으로 배열된 purF와 purM을 포함하는 단편을 수득하기 위해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수행하였다. 중합효소는 PfuUltra TM 고-신뢰 DNA 폴리머라아제(Stratagene)를 사용하고, 96℃에서 30초의 변성, 53℃에서 30초의 어닐링(annealing) 및 72℃에서 2분의 중합 반응으로 구성된 사이클을 30회 반복하였다. 그 결과, 프로모터 부위를 포함한 purFM 유전자 두 쌍(purFM-A, purFM-B)을 얻었다. purFM-A는 서열번호 1과 2를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증폭된 것이며, purFM-B는 서열번호 3과 4를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증폭된 것이다. 상기 증폭 산물을 TOPO Cloning Kit(Invitrogen)를 이용하여 대장균 벡터 pCR2.1에 클로닝하여 각각 pCR-purFM-A와 pCR-purFM-B 벡터를 얻었다. 상기 pCR 벡터에 purFM-A와 purFM-B의 각 말단에 포함된 제한효소(purFM-A: EcoRI+XbaI, purFM-B: XbaI+HindIII)를 처리하여, 상기 pCR 벡터로부터 각각의 purFM 유전자를 분리하였다. 그 후, 제한효소 EcoRI과 HindIII가 처리된 pDZ 벡터에 3 조각 접합(3-piece ligation)을 통하여 클로닝하여, 최종적으로 purFM 유전가 2개가 연속적으로 클로닝된 pDZ-2purFM 재조합 벡터를 제작하였다. 도 2는 코리네박테리움 염색체 삽입용 벡터 pDZ-2purFM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pDZ-2purFM 벡터를 5'-이노신산 생산 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JIP2401 균주에 전기천공법에 의해 형질전환하고, 2차 교차 과정을 거쳐 염색체 상의 내재적 purFM 유전자의 바로 옆에 1개의 purFM 유전자를 추가로 삽입 하여 총 카피 수를 2개로 증가시킨 균주를 얻었다. 연속적으로 삽입된 purFM 유전자는 2개의 purFM 연결부위를 증폭할 수 있는 서열번호 5와 6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을 통하여 최종 확인하였다.
(2) purNH 유전자 클로닝 및 재조합벡터(pDZ-2purNH) 제작, purNH 삽입 균주 개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염색체 상에서 purN 유전자와 purH 유전자가 근접 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두 유전자를 동시에 발현시키기 위하여 프로모터 부위를 포함한 purNH 벡터를 제작하였다.
5'-이노신산 생산능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JIP2401 균주의 염색체를 분리하고, 이를 주형으로 하여 purNH, 즉, 연속적으로 배열된 purN과 purH를 포함하는 단편을 수득하기 위해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수행하였다. 중합효소는 PfuUltra TM 고-신뢰 DNA 폴리머라아제(Stratagene)를 사용하고, 96℃에서 30초의 변성, 53℃에서 30초의 어닐링 및 72℃에서 2분의 중합 반응으로 구성된 사이클을 30회 반복하였다. 그 결과, 프로모터 부위를 포함한 purNH 유전자 두 쌍(purNH-A, purNH-B)을 얻었다. purNH-A는 서열번호 7과 8를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증폭된 것이며, purNH-B는 서열번호 8와 9를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증폭된 것이다. 상기 증폭 산물을 TOPO Cloning Kit를 이용하여 대장균 벡터 pCR2.1에 클로닝하여 pCR-purNH-A와 pCR-purNH-B 벡터를 얻었다. 상기 pCR 벡터에 purNH-A와 purNH-B의 각 말단에 포함된 제한효소(purNH-A: BamHI+SalI, purNH-B: SalI)를 처리하여, 상기 pCR 벡터로부터 각각의 purNH 유전자를 분리하였다. 그 후, 제한효소 BamHI과 SalI이 처리된 pDZ 벡터에 3 조각 접합을 통하여 클로닝하여, 최종적으로 purNH 유전자 2개가 연속적으로 클로닝된 pDZ-2purNH 재조합 벡터를 제작하였다. 도 3은 코리네박테리움 염색체 삽입용 벡터 pDZ-2purNH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pDZ-2purNH 벡터를 5'-이노신산 생산 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JIP2401 균주에 전기천공법에 의해 형질전환하고, 2차 교차 과정을 거쳐 염색체 상의 내재적 purNH 유전자의 바로 옆에 1개의 purNH 유전자를 추가로 삽입하여 총 카피 수를 2개로 증가시킨 균주를 얻었다. 연속적으로 삽입된 purNH 유전자는 2개의 purNH 연결부위를 증폭할 수 있는 서열번호 10과 11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을 통하여 최종 확인하였다.
(3) purSL 유전자 클로닝 및 재조합벡터(pDZ-2purSL) 제작, purSL 삽입 균주 개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염색체 상에서 purS 유전자와 purL 유전자가 근접 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두 유전자를 동시에 발현시키기 위하여 프로모터 부위를 포함한 purSL 벡터를 제작하였다.
5'-이노신산 생산능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JIP2401 균주의 염색체를 분리하고, 이를 주형으로 하여 purSL, 즉, 연속적으로 배열된 purS와 purL을 포함하는 단편을 수득하기 위해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수행하였다. 중합효소 는 PfuUltra TM 고-신뢰 DNA 폴리머라아제(Stratagene)를 사용하고, 96℃에서 30초의 변성, 53℃에서 30초의 어닐링 및 72℃에서 2분의 중합 반응으로 구성된 사이클을 30회 반복하였다. 그 결과, 프로모터 부위를 포함한 purSL 유전자 두 쌍(purSL-A, purSL-B)을 얻었다. purSL-A는 서열번호 12과 13를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증폭된 것이며, purSL-B는 서열번호 14과 15을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증폭된 것이다. 상기 증폭 산물을 TOPO Cloning Kit를 이용하여 대장균 벡터 pCR2.1에 클로닝하여 pCR-purSL-A와 pCR-purSL-B 벡터를 얻었다. 상기 pCR 벡터에 purSL-A와 purSL-B의 각 말단에 포함된 제한효소(purSL-A: BamHI+SalI, purSL-B: SalI+BamHI)를 처리하여, 상기 pCR 벡터로부터 각각의 purSL 유전자를 분리하였다. 그 후, 제한효소 BamHI이 처리된 pDZ 벡터에 3 조각 접합을 통하여 클로닝하여, 최종적으로 purSL 유전자 2개가 연속적으로 클로닝된 pDZ-2purSL 재조합 벡터를 제작하였다. 도 4는 코리네박테리움 염색체 삽입용 벡터 pDZ-2purSL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pDZ-2purSL벡터를 5'-이노신산 생산 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JIP2401 균주에 전기천공법에 의해 형질전환하고, 2차 교차 과정을 거쳐 염색체 상의 내재적 purSL 유전자의 바로 옆에 1개의 purSL 유전자를 추가로 삽입하여 총 카피 수를 2개로 증가시킨 균주를 얻었다. 연속적으로 삽입된 purSL 유전자는 2개의 purSL 연결부위를 증폭할 수 있는 서열번호 16와 17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을 통하여 최종 확인하였다.
(4) purKE 유전자 클로닝 및 재조합벡터(pDZ-2purKE) 제작, purKE 삽입 균주 개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염색체 상에서 purK 유전자와 purE 유전자가 근접 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두 유전자를 동시에 발현시키기 위하여 프로모터 부위를 포함한 purKE 벡터를 제작하였다.
5'-이노신산 생산능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JIP2401 균주의 염색체를 분리하고, 이를 주형으로 하여 purKE, 즉, 연속적으로 배열된 purK와 purH를 포함하는 단편을 수득하기 위해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수행하였다. 중합효소는 PfuUltra TM 고-신뢰 DNA 폴리머라제를 사용하고, 96℃에서 30초의 변성, 53℃에서 30초의 어닐링 및 72℃에서 2분의 중합 반응으로 구성된 사이클을 30회 반복하였다. 그 결과, 프로모터 부위를 포함한 purKE 유전자 두 쌍(purKE-A, purKE-B)을 얻었다. purKE-A는 서열번호 18와 19를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증폭된 것이며, purKE-B는 서열번호 20과 21을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증폭된 것이다. 상기 증폭 산물을 TOPO Cloning Kit를 이용하여 대장균 벡터 pCR2.1에 클로닝하여 pCR-purKE-A와 pCR-purKE-B 벡터를 얻었다. 상기 pCR 벡터에 purKE-A와 purKE-B의 각 말단에 포함된 제한효소(purKE-A: BamHI+KpnI, purKE-B: KpnI+XbaI)를 처리하여, 상기 pCR 벡터로부터 각각의 purKE 유전자를 분리하였다. 그 후, 제한효소 BamHI과 XbaI이 처리된 pDZ 벡터에 3 조각 접합을 통하여 클로닝하여, 최종적으로 purKE 유전자 2개가 연속적으로 클로닝된 pDZ-2purKE 재조합 벡터를 제작하였다. 도 5는 코리네박 테리움 염색체 삽입용 벡터 pDZ-2purK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pDZ-2purKE벡터를 5'-이노신산 생산 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JIP2401균주에 전기천공법에 의해 형질전환하고, 2차 교차 과정을 거쳐 염색체 상의 내재적 purKE 유전자의 바로 옆에 1개의 purKE 유전자를 추가로 삽입하여 총 카피 수를 2개로 증가시킨 균주를 얻었다. 연속적으로 삽입된 purKE 유전자는 2개의 purKE 연결부위를 증폭할 수 있는 서열번호 22과 23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을 통하여 최종 확인하였다.
(5) purC 유전자 클로닝 및 재조합벡터(pDZ-2purC) 제작, purC 삽입 균주 개발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JIP2401 균주의 염색체를 분리하고, 이를 주형으로 하여 purC를 수득하기 위해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수행하였다. 중합효소는 PfuUltra TM 고-신뢰 DNA 폴리머라제를 사용하고, 96℃에서 30초의 변성, 53℃에서 30초의 어닐링 및 72℃에서 2분의 중합 반응으로 구성된 사이클을 30회 반복하였다. 그 결과, 프로모터 부위를 포함한 purC 유전자 두 쌍(purC-A, purC-B)을 얻었다. purC-A는 서열번호 24과 25을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증폭된 것이며, purC-B는 서열번호 25과 26을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증폭된 것이다. 상기 증폭 산물을 TOPO Cloning Kit를 이용하여 대장균 벡터 pCR2.1에 클로닝하여 pCR-purC-A와 pCR-purC-B 벡터를 얻었다. 상기 pCR 벡터에 purC-A와 purC-B의 각 말단에 포함된 제한효 소(purC-A: BamHI+SalI, purC-B: SalI)를 처리하여, 상기 pCR 벡터로부터 각각의 purC 유전자를 분리하였다. 그 후, 제한효소 BamHI과 SalI이 처리된 pDZ 벡터에 3 조각 접합을 통하여 클로닝하여, 최종적으로 purC 유전자 2개가 연속적으로 클로닝된 pDZ-2purC 재조합 벡터를 제작하였다. 도 6은 코리네박테리움 염색체 삽입용 벡터 pDZ-2purC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pDZ-2purC벡터를 5'-이노신산 생산 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JIP2401 균주에 전기천공법에 의해 형질전환하고, 2차 교차 과정을 거쳐 염색체 상의 내재적 purC 유전자의 바로 옆에 1개의 purC 유전자를 추가로 삽입하여 총 카피 수를 2개로 증가시킨 균주를 얻었다. 연속적으로 삽입된 purC 유전자는 2개의 purC 연결부위를 증폭할 수 있는 서열번호 27과 28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을 통하여 최종 확인하였다.
(6) prs 유전자 클로닝 및 재조합벡터(pDZ-2prs) 제작, prs 삽입 균주 개발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JIP2401 균주의 염색체를 분리하고, 이를 주형으로 하여 prs를 수득하기 위해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수행하였다. 중합효소는 PfuUltra TM 고-신뢰 DNA 폴리머라제를 사용하고, 96℃에서 30초의 변성, 53℃에서 30초의 어닐링 및 72℃에서 2분의 중합 반응으로 구성된 사이클을 30회 반복하였다. 그 결과, 프로모터 부위를 포함한 prs 유전자 두 쌍(prs-A, prs-B)을 얻었다. prs-A는 서열번호 29과 30을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증폭된 것이며, prs-B는 서열번 호 31와 32을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증폭된 것이다. 상기 증폭 산물을 TOPO Cloning Kit를 이용하여 대장균 벡터 pCR2.1에 클로닝하여 pCR-prs-A와 pCR-prs-B 벡터를 얻었다. 상기 pCR 벡터에 prs-A와 prs-B의 각 말단에 포함된 제한효소(prs-A: BamHI+SpeI, prs-B: SpeI+PstI)를 처리하여, 상기 pCR 벡터로부터 각각의 prs 유전자를 분리하였다. 그 후, 제한효소 BamHI과 PstI이 처리된 pDZ 벡터에 3 조각 접합을 통하여 클로닝하여, 최종적으로 prs 유전자 2개가 연속적으로 클로닝된 pDZ-2prs 재조합 벡터를 제작하였다. 도 7은 코리네박테리움 염색체 삽입용 벡터 pDZ-2prs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pDZ-2prs 벡터를 5'-이노신산 생산 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JIP2401 균주에 전기천공법에 의해 형질전환하고, 2차 교차 과정을 거쳐 염색체 상의 내재적 prs 유전자의 바로 옆에 1개의 prs 유전자를 추가로 삽입하여 총 카피 수를 2개로 증가시킨 균주를 얻었다. 연속적으로 삽입된 prs 유전자는 2개의 prs 연결부위를 증폭할 수 있는 서열번호 33과 34의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을 통하여 최종 확인하였다.
(7) 퓨린 생합성 유전자 강화에 의한 고수율 5'-이노신산 생산 균주 개발
상기 (1) 내지 (6)에서 제작된 pDZ-2purFM, pDZ-2purNH, pDZ-2purSL, pDZ-2purKE, pDZ-2purC 및 pDZ-2prs 벡터의 조합을 5'-이노신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JIP2401 균주에 도입하였다. 벡터의 도입 순서는 임의로 선택하였으며, 도입 방법 및 확인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다.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JIP2401을 모균주로 이용하고, 각각 pDZ-2purNH, pDZ-2purSL, pDZ-2purKE, pDZ-2purC와 pDZ-2prs로 구성된 조합 및 pDZ-2purNH, pDZ-2purSL, pDZ-2purKE, pDZ-2purC, pDZ-2purFM과 pDZ-2prs로 구성된 조합에 의한 형질전환을 수행하여 퓨린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2 카피씩 포함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N01-0120(2purNH + 2purSL + 2purKE + 2purC + 2prs)과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N01-0316(2purNH + 2purSL + 2purKE + 2purC + 2purFM + 2prs)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재조합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의 발효역가 시험
하기에 표시된 조성을 갖는 종배지 3㎖를 지름 18㎜의 시험관에 분주하고 가압 살균한 후, 모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JIP2401 균주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된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N01-0120 및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N01-0316을 접종하고 30℃ 온도에서 24시간 진탕 배양하여 종 배양액으로 사용하였다. 하기에 표시된 조성을 갖는 발효배지 27㎖를 500㎖ 진탕용 삼각플라스크에 분주하고 120℃ 온도에서 10분간 가압 살균한 후, 상기 종 배양액 3㎖을 접종하여 5 내지 6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조건은 회전수 200rpm, 온도32℃, pH 7.2로 조절하였다.
상기 종배지 및 발효배지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종배지 : 포도당 1%, 펩톤 1%, 육즙 1%, 효모엑기스 1%, 염화나트륨 0.25%, 아데닌 100㎎/ℓ, 구아닌 100㎎/ℓ, pH7.2
플라스크 발효배지 : 글루타민산 나트륨 0.1%, 암모늄클로라이드 1%, 황산마그네슘1 .2%, 염화칼슘 0.01%, 황산철 20㎎/ℓ, 황산망간 20㎎/ℓ, 황산아연 20㎎/ℓ, 황산구리 5㎎/ℓ, L-시스테인 23㎎/ℓ, 알라닌 24㎎/ℓ, 니코틴산 8㎎/ℓ, 비오틴 45㎍/ℓ, 티아민염산 5㎎/ℓ, 아데닌 30㎎/ℓ, 인산(85%) 1.9%, 포도당 4.2%, 원당 2.4%.
배양 종료 후 HPLC를 이용한 방법에 의해 5'-이노신산의 생산량을 측정하였으며, 배양액 중의 5'-이노신산의 축적량은 하기의 표에 표시된다.
균주명 Cell OD
(배양 5일후)
생산성(g/l/hr)
(배양 5일후)
대조군(CJIP2401) 31.2 0.136
CN01-0120 31.8 0.155
CN01-0316 31.3 0.149
배양액 내 5'-이노신산 축적량을 모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JIP2401 균주와 비교한 결과,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N01-0120과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N01-0316 균주들이 동일한 조건하에서 모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JIP2401 균주 대비 단위 시간당 생산하는 5'-이노신산의 생산성이 10.9 - 11.4% 증가했다는 것을 확인했다.
퓨린 생합성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향상된 5'-이노신산 생산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된,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N01-0316을 부다페스트 조약 하에 서울 서대문구 홍제1동 소재의 한국미생물보존센터(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 KCCM)에 2009년 2월 19일자로 수탁번호 KCCM 10992P로 기탁하였 다.
도 1은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염색체내 삽입용 벡터 pDZ 벡터를 나타낸다.
도 2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염색체내 삽입용 벡터 pDZ-2purFM을 나타낸다.
도 3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염색체내 삽입용 벡터 pDZ-2purNH를 나타낸다.
도 4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염색체내 삽입용 벡터 pDZ-2purSL을 나타낸다.
도 5은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염색체내 삽입용 벡터 pDZ-2purKE를 나타낸다.
도 6은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염색체내 삽입용 벡터 pDZ-2purC를 나타낸다.
도 7은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염색체내 삽입용 벡터 pDZ-2prs를 나타낸다.
<110> CJ CheilJedang Coroporation <120> Microorganism belonging to the genus Corynebacterium having enhaced 5'-inosinic acid productivity and method for producing 5'-inosinic acid using the same <160> 43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urFM <400> 1 cgacgagaat tccccgaccc gcatgagatg 30 <210> 2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urFM <400> 2 gtatcgtcta gagcggtagc ggtggcttcg 30 <210> 3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urFM <400> 3 cgacgatcta gacccgaccc gcatgagatg 30 <210> 4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urFM <400> 4 gtatcgaagc ttgcggtagc ggtggcttcg 30 <210> 5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2purFM <400> 5 gctatcgttt cccctgaa 18 <210> 6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2purFM <400> 6 tgattctact aagtttgc 18 <210> 7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urNH <400> 7 cgggatcccg aggcgaagac gatattgagg acag 34 <210> 8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urNH <400> 8 acgcgtcgac gtgggaaacg cagacgagaa ca 32 <210> 9 <211> 3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urNH <400> 9 acgcgtcgac gaggcgaaga cgatattgag gacag 35 <210> 10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2purNH <400> 10 tcgatgcctg catcttgg 18 <210> 1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2purNH <400> 11 ggcgataagg cttcgagt 18 <210> 12 <211> 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urSL <400> 12 gctcggatcc gcgatactca gccccagcaa cagcagaaaa tgaagc 46 <210> 13 <211> 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urSL <400> 13 cagcgtcgac gcagccgtcg caggcaccat cgcagcagt 39 <210> 14 <211> 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urSL <400> 14 cagcgtcgac gcgatactca gccccagcaa cagcagaaaa tgaagc 46 <210> 15 <211> 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urSL <400> 15 gctcggatcc gcagccgtcg caggcaccat cgcagcagt 39 <210> 16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2purSL <400> 16 acttgacctc cagcccta 18 <210> 17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2purSL <400> 17 aagaacaacg tcggcgtc 18 <210> 18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urKE <400> 18 acgtcaggat cccctatcgt gctttgctgt 30 <210> 19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urKE <400> 19 ctctaaggta ccattggtac tagtagccgc 30 <210> 20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urKE <400> 20 acgtcaggta cccctatcgt gctttgctgt 30 <210> 21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urKE <400> 21 ctctaatcta gaattggtac tagtagccgc 30 <210> 22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2purKE <400> 22 ccagctgggg ttccggtt 18 <210> 2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2purKE <400> 23 tttcgatgcg cttcgttt 18 <210> 24 <211> 3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urC <400> 24 gctcggatcc cgcagtggct gttgcgctga acatgcg 37 <210> 25 <211> 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urC <400> 25 gcaggtcgac cacggacata tcggtttgct tcacgcggg 39 <210> 26 <211> 3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urC <400> 26 gcaggtcgac cgcagtggct gttgcgctga acatgcg 37 <210> 27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2purC <400> 27 gagcgcttgt ccggcaagcg tttc 24 <210> 28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2purC <400> 28 ggtggttgcg gtaagaaccc ggcc 24 <210> 29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rs <400> 29 gctcggatcc ggattcccaa gcttgcttcc ggg 33 <210> 30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rs <400> 30 cagcactagt ggcagctacc acctccgcgg ctgctg 36 <210> 31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rs <400> 31 cagcactagt ggattcccaa gcttgcttcc ggg 33 <210> 32 <211> 3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prs <400> 32 caattctgca gggcagctac cacctccgcg gctgctg 37 <210> 33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2prs <400> 33 cgtacgattc atgagatctt cga 23 <210> 3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for 2prs <400> 34 caaagtcacg ggcggtggta g 21 <210> 35 <211> 1500 <212> DNA <213> Corynebacterium ammoniagenes <220> <221> gene <222> (1)..(1500) <223> purF <400> 35 gtggtgaaca ctactttccc cagcgacgtg aatttagatg accaaggcga gcaagaaccc 60 cgcgaagagt gcggtgtctt tggcgtctgg gctcctggtg aagatgttgc gacactgacc 120 tactttggtc tgttcgcatt gcagcatcgt gggcaggaag ctgcaggtat cggcgtcggt 180 gatggagacc gcctcgttgt cttcaaagac atgggcttgg tctcgaatat tttcgatgag 240 tccattttaa attccctcca tggctccgtg ggcgtggggc atacgcgcta ctcgactgcc 300 ggtggcaaag agtggtcgaa tgtccagccg atgtttaata ccacctcaaa tggggtagac 360 atcgctttgt gccacaacgg caacttggtg aactaccaag aactgcgcga tgaagcagta 420 gctctgggac tttaccgaga gaatgaaaaa tccctgtcgg attccatgat catgacagct 480 ttgctggcgc acggagtcgg ggaaggcaac tctgtctttg acgccgctaa gcaactgctg 540 ccaagcatca aaggcgcttt ttgcttgacc tttaccgatg gcaagacctt gtacgccgcg 600 cgtgacccgc acggtgtacg ccccttggtc attggccgct tggcgcaagg ctgggttgtt 660 gcttccgaaa cctgtgcgct ggatatcgtg ggcgcacagt ttatccgtga ggtagagccc 720 ggtgaactta tctctgtcaa tgaggcagga atccacagcg aaaaattcgc tgagccgaag 780 cgccagggct gcgtctttga atacgtctac ttggcacgtc cagacaccgt gatcaaaggc 840 cgcaacgttc acgcgacgcg cgtggatatt ggtcgcgcac ttgcgaaatc tcaccctgcg 900 ccagaagctg acatggtcat ccccgtgcca gaatccggaa acccggcagc tgttggctac 960 gcccgggaat cgggcctgac atttgcgcac ggcttggtca aaaacgccta cgtgggtcga 1020 accttcattc agcccaccca gaccttgcgc cagctgggta ttcgcctcaa gctcaacccc 1080 ctgcgcgagg tcatcgaggg caagtcactc gttgttgtag atgactctat tgtccgcggc 1140 aacacccaac gcgcgctggt gcgcatgctg cgtgaagcag gcgctgctga agtgcacgtg 1200 cgcattgctt caccgccagt caaatggcct tgtttctacg gcattgactt cgcctcgcct 1260 ggtgaattga ttgctaatat caagccttct gatgatcctc aggtagtaac cgatgcagtg 1320 tgcgaagcta tcggagcaga ctctttaggg tttgtatctg tagatgagat ggttgaggca 1380 acgcaccaac ctatcaattc cttgtgtacc gcttgctttg atggcaacta cgaactcgga 1440 cttccgaccg ctaaccccaa tgctgacgct gtgcgaactt tgctcagcca aaagaactga 1500 1500 <210> 36 <211> 606 <212> DNA <213> Corynebacterium ammoniagenes <220> <221> gene <222> (1)..(606) <223> purN <400> 36 gtgactgaat cgccttcgca agttttgaaa gcacaagacc cgcttcaagt agtggtgctg 60 gtatctggca ccggatcttt gctgcaaaat attatcgaca accaagatga ctcctatcgg 120 gttatcaagg tagtcgcgga taagccctgc ccggggatta accgagccca agatgcaggc 180 atcgacaccg aagtcgtgct tttaggctca gaccgcgcgc agtggaacaa agaccttgtc 240 gcagcggttg gtaccgccga tgttgtggtg tccgctggat ttatgaaaat cctggggcct 300 gaattcttgg ccagctttga aggccgcaca ataaatacgc atcccgcact cctgccgtcc 360 tttccgggcg cgcatggagt acgggatgcg ttggcttatg gcgtgaaagt caccggctct 420 actgtccatt ttgtggacgc gggagtcgat actggccgca tcatcgcaca acgcgcagta 480 gagattgagg cagaagatga tgaggcaagc ttgcatgagc gcatcaaaag cgtcgaacgt 540 gagcttatcg tgcaggtctt acgcgcagcg aatgttcaag accagcagct tattattgag 600 atttaa 606 <210> 37 <211> 243 <212> DNA <213> Corynebacterium ammoniagenes <220> <221> gene <222> (1)..(243) <223> purS <400> 37 atggctcgtg ttgttgtcaa tgtcatgccc aaggctgaaa tcctcgaccc gcagggacaa 60 gctgttgtcc gtgcacttgg acgcctgggt gtaaacggag taagcgatgt ccgtcagggc 120 aagcgctttg aaatcgaagt cgatgattca gtcagcgctg aagatctaga caaggtcgca 180 gcaagcttgc tggcaaacac cgtcatcgag gactacgaag ttgtagggct ggaggtcaag 240 taa 243 <210> 38 <211> 2277 <212> DNA <213> Corynebacterium ammoniagenes <220> <221> gene <222> (1)..(2277) <223> purL <400> 38 atgactgttt ccaatgacac agtagataat gcaaaggcca ctcccgagct agaccagccg 60 tgggaagaac tcggcttaaa gcaagacgaa tacgacaaga ttgtaggcat cttgggccgc 120 cgcccaaccg atgctgagct gacggtttac tccgtgatgt ggtcggagca ctgctcttac 180 aagtcttcca agacccacct acgctacttt ggcgagacca ccactgagga aatggcgtcg 240 aagattcttg ccggtatcgg tgagaacgct ggtgtcgttg acatcggcga cggtgacgca 300 gtgaccttcc gcgtcgaatc ccacaaccac ccatccttcg tcgagcctta ccagggtgcc 360 gcgaccggtg ttggcggcat cgtccgcgac atcatggcga tgggtgcacg tccaatcgca 420 gtgatggatc agctgcgctt cggcccagct gatgccccgg ataccgcacg tgttctgccg 480 ggcgttgttt ccggcatcgg cggttacggc aactccctcg gcctgccgaa catcggcggc 540 gagaccgtct ttgatgagtc ttatgccggc aacccactgg tcaacgcact gtgcgtgggt 600 accttgcgcg tggaagacct gaagctggct tttgcttccg gtactggcaa caaggtgatg 660 ctctttggct cccgcacggg cctcgacggc atcggcggcg tatccgtttt gggttctgct 720 tccttcgaag aaggcgaaga gcgcaagctt cctgcagtcc aggtcggcga cccattcgcg 780 gaaaaagtcc tcatcgaatg ctgcctggag ctctacgctg cgggcgtcgt tgtcggtatt 840 caggaccttg gtggcggtgg cctcgcatgt gcgacctctg agctggcagc agctggcgac 900 ggcggcatgg tggtcaacct ggataatgtt ccactgcgtg cagagaacat gtccgccgca 960 gaaatcctgg cttccgaatc ccaggagcgc atgtgtgctg ttgtctcccc agataacgtg 1020 gagaagttcc gcgagatctg tgaaaagtgg gacgtaacgt gtgctgaaat cggtgaagtt 1080 accgataaga aagacaccta cctcgtgtac cacaacggtg agctggtagt agacgctccg 1140 ccatcaacta tcgatgaagg ccctgtctac gagcgcccat acgcacgccc tcagtggcag 1200 gatgagatcc agcaggctcc ggaaattgca cgtccggaat ccttggtaca ggcattcaag 1260 gacatggtgt cctccccagc tctgtcatcg cgtgcattta tcactgagca gtatgaccgc 1320 tacgtgcgcg gtaacaccgt caaggcgaag cagtctgact ccggcgttct gcgtatcaat 1380 gaggaaactt ctcgcggtgt cgcaatttct gccgatgcct ccggtcgcta caccaagctg 1440 gacccaaaca tgggtgcacg tttggcgctg gctgaggcat accgcaacgt tgctgtgacc 1500 ggcgcacgac catatgcggt gaccaactgc ttgaacttcg gttctccaga aaacaccgac 1560 gtgatgtggc aattccgcga ggccgttcac ggtctggctg acggttctaa ggaactgaat 1620 atcccagtct ccggcggtaa cgtctccttc tacaaccaga ctggtgatga gccaattctg 1680 ccgaccccag ttgttggcgt gctcggtgtc attgatgatg ttcacaaggc actggcacat 1740 gacttgggcg gcattgatga gcctgaaacc ctgattctgc ttggtgagac caaggaagaa 1800 ttcggcggct ccatctggca gcaggtctcc ggcggcggcc tgcagggtct gccaccacag 1860 gtggatctgg cgaatgaggc aaagctggcg gacttcttcg tcggcaacac ctccgttgca 1920 gcctcccacg acctctctga gggcggtctg gctatcgcgg cgtttgagat ggcgcaaaag 1980 aacaacgtcg gcgtcgacct tgatttgagc gttgtacacg aggatgcact gaccgcactg 2040 tttagtgagt ccgcatcgcg tgttctgatt tccaccgcgt ctgaccacct cgatggaatc 2100 ttgcagcgtg cttccgagct gggcattcca gctgtcgtgg taggaaccac caatgattcc 2160 ggcaacatca ccttcgctgg tgaagaagtt gctaccgctg agctgcgcga ggcatggtct 2220 gcaaccttgc caaacctgtt tggccacgct gttggcgcta attccgtagt cgaataa 2277 <210> 39 <211> 1056 <212> DNA <213> Corynebacterium ammoniagenes <220> <221> gene <222> (1)..(1056) <223> purM <400> 39 atgtctgaaa atacttacgc cgcggcaggc gtcaacattg aagaaggcga ccgcgccgtt 60 gagcttttcg ctccactggc taagcgcgct acccgtccag aggtaatggg tggactcggt 120 ggcttcgcgg gactgtttaa gctcggcgaa tacaaagagc caatccttgc agctggctcc 180 gacggcgtgg gcaccaagct cgccgttgcc caggcaatgg ataagcacga caccatcggc 240 attgacctgg ttgcaatgtg cgtcgatgac ttggtcgtgt gtggtgctga gccactattt 300 ctccaggact acatcgcagt aggcaaggtt gttccggaaa aggttgcgca gattgttgcc 360 ggtattgctg agggctgcgt gcaggcaggc tgtgcacttc ttggtggcga gaccgctgag 420 cacccgggcg taatgaatga aaaggactac gatgtttccg ccaccgctgt cggcgttgtc 480 gaagcagacg agcttctcgg accagacaag gttcgcgacg gcgatgtttt gattgccatg 540 ggctcatccg gactgcactc caatggttac tccttggcgc gccacgtctt gttagagcag 600 gcaggattgc cgctcgatgg ctacatcgat gaccttggcc gcacgcttgg tgaagagctc 660 ctggagccga cccgcatcta cgccaaggac tgcctggcgc tagtttctga gtgtgacgtt 720 gctactttct gccacgtcac cggcggtggc ttggcaggca acctcgagcg cgtgctacct 780 gaaggccttg tcgcagaggt taaccgcgca tcgtggaccc cagcagcgat tttccgcacc 840 atcgcgtctt tcggcaaggt cagcctggaa gagatggaaa agaccttcaa catgggcgtt 900 ggcatgatcg ctatcgtttc ccctgaagac cgtgaccgcg ccttggcgat gctaactgcg 960 cgccacgttg atgcatggga gctgggctcg gttcgcacca agaaggaaga cgacaccgca 1020 ggtgttgtca tgcaaggtga gcactctaac ttctaa 1056 <210> 40 <211> 1779 <212> DNA <213> Corynebacterium ammoniagenes <220> <221> gene <222> (1)..(1779) <223> purKE <400> 40 atgaaacgcg tgagtgaaca agcaggaaac ccagacggaa accctcaagc acatgttccc 60 ggcatgccgg ttatcgccgt tattggtgat ggccagctag ctcgcatgat gcaaaccgcc 120 gccattgagc tcggccaatc gctgcgcctt cttgccggcg cacgcgatgc ctctgcggca 180 caagtatgcg cggatgtagt gcttggtgat tacaccaact acgacgactt gctcaaagcc 240 gtcgacggtg ccaccgctgt cacttttgac catgagcacg tgcctaatga gcacctcacc 300 gcgttgatcg atgcaggcta taacgtgcag ccacaacctg ctgcgctgat taacgcccaa 360 gacaaattgg ttatgcgcga gcgcctcgcc gagctgggcg cacccgtgcc gcgctttgcg 420 ccgattgaat ctgcccaaga tgcgtacgat ttttggacct tgacgtccgg gcaggtctgt 480 ctgaaggcgc gccggggtgg ctacgacggc aaaggcgtgt ggtttccgaa taatgaatct 540 gagctgactg ctttggtctc tgacctttcg cgccgcggcg tggccttgat ggctgaagag 600 aaggttgcgc tggtccgcga gctttccgtg ctggtcgcgc ggactccctc gggcgaggtt 660 gctacttggc cgctgactga gtctgtgcag cgcaacggtg tgtgcgctga agctgtcgcg 720 ccagccccgg gagttgaccc gcagctgcag caacgcgctg agacactggg tgaaaagatt 780 gccaccgagt tgggtgtaac tggtgtgctc gcggtagagc tttttgcatt tgcgaatgag 840 tccggtgcgg aagatatcgc ggttaatgaa ctggcaatgc gcccgcacaa taccggccac 900 tggaccctag atggttctgt gacctcccaa tttgagcagc acctgcgcgc ggtgatggat 960 gagccactgg gggatacatc cacgcttgcc ccagtcaccg tgatggccaa cgtcttaggc 1020 gctgacgaag acccaaagat gccaatgggc gagcgtgccc gagaagtggc gcgccgcttc 1080 ccgcgagcca aagtccatct ctacggcaag gggcatcgcc caggccgtaa gattggccac 1140 gtgaacctca ccggtgagga cgtagaggca acccgtcgcg atgctcgctt ggctgcggat 1200 ttcctcgtga acgccgcgtg gtctgataac tggtccgcta aatagcaaga tgtatcaaga 1260 tatataagga aagaaatgac tgcaccgcta gttgggctca tcatgggctc tgattctgat 1320 tggccaaccg ttgaaccagc agctgaggtt ctcgccgaat tcggtgttcc ttttgaggtg 1380 ggcgtggtct ctgcgcaccg cacgccggaa aagatgctgg attacgccaa gcaagcccac 1440 actcgcggca tcaaggtgat tgttgcttgt gccggtgggg cagcgcacct accaggcatg 1500 gtggctgcag caactccttt gccagttatt ggtattccac gtgccttgaa agatttggaa 1560 ggtctggact ctttgctgtc tatcgtgcag atgccagctg gggttccggt tgcgaccgtg 1620 tctatcggcg gcgctaagaa tgctggcttg ctcgccatcc gtaccctggg cgtgcagtac 1680 tcagaattgg ttgaacgcat ggccgattac caagaaaata tggccaagga agttgagcaa 1740 aaagacgcca atcttcgcgc caagctcatg ggggactag 1779 <210> 41 <211> 888 <212> DNA <213> Corynebacterium ammoniagenes <220> <221> gene <222> (1)..(888) <223> purC <400> 41 atgcgcccac agctttctga ttatcagcac gtatcctccg gcaaagtccg cgatatctac 60 gaagtagatg acaacacttt gctcatggtg gtcaccgacc gcatctccgc ctatgacttc 120 gcactagagc cagccatccc cgataaaggc cgggttctta ccgcaaccac catgttcttc 180 ttcgacgcca tcgatttccc gaaccatttg gcaggaccca tcgatgatgc gcggattcca 240 gaagaagtat tgggccgagc gatcatcgtt aagaagctca acatgctgcc ctttgagtgc 300 gttgcccgcg gttacctcac cggttccggc ttgaaggaat acaacgctaa cggcaccgtg 360 tgcggcatcg agctgccaga aggcttggtt gaggcgtcgc gtctgccaga gccaattttc 420 accccagcca ccaaggcaga gcagggcgac cacgatgaaa acgtcagctt cgagcgcgtg 480 gtgcaggacc ttggccaaga gcgcgcagag cagcttcgcg atgaaaccct gcgcatctac 540 tccgccgccg ccaagattgc cgaagaaaag ggcatcatct tggctgatac gaagtttgaa 600 ttcggccttg attccgaagg caatctggtc ttgggcgatg aagtacttac gcctgattcc 660 tcccggtact ggccagcaga cacctacgcg gaaggcattg tgcagcccag ctttgacaag 720 cagtacgtgc gcaactggtt gacctcggag gaatccggct gggatgtgga gtcggaaacc 780 cagccgccag tgcttcccga tgacatcgtc gccgccaccc gcctgcgcta catcgaggct 840 tatgagcgct tgtccggcaa gcgtttcatc gacttcattg gcggttaa 888 <210> 42 <211> 1551 <212> DNA <213> Corynebacterium ammoniagenes <220> <221> gene <222> (1)..(1551) <223> purH <400> 42 atgagtgatg accgcaagca gatcaagcgt gcactaatta gcgtttatga caagacaggg 60 ctcgaagagc tcgctcgcac gcttgacagc gcaggcgtag agattgtgtc caccggctcc 120 accgccgcca agattgctga tcttggtatt aacgtcactc cggttgaatc tctcaccgga 180 ttcccagagt gcctcgaagg ccgcgttaag accttgcacc cacgcgtgca tgcgggcatt 240 ttggctgata cccgcaagcc ggatcacctt aatcagctgg aagagcttga gattgagcca 300 ttccagttgg tcgtggttaa cctgtaccca tttaaagaga ctgtagcttc tggcgcagac 360 ttcgatggtt gcgtcgagca gattgatatc ggcggtccat ccatggtccg tgctgctgcc 420 aagaaccacc catcggtggc ggttgttgta gacccagcgc gttacggcga catcgctgag 480 gctgtcgctc agggcggatt cgatctggcg cagcgtcgtc agctggccgc gactgcgttt 540 aagcacacgg cagattatga tgttgcagtt tctggctggt ttgcccagca gcttgccgat 600 gactctgttg cctctgctga gcttgaaggc gacgcgctgc gttatggtga gaaccctcac 660 cagcaggctt ccatcgttcg tgaaggcacg accggtgttg ctaatgcgaa gcagctgcac 720 ggtaaggaaa tgagctacaa caactaccag gacgcggatg ccgcatggcg cgcggcttgg 780 gatcatgaac gtccatgtgt agcaattatt aagcacgcta acccttgcgg tatcgctgtt 840 tctgatgagt ccatcgcagc agcacacgca gcggcacacg cctgtgaccc aatgtccgct 900 ttcggtggcg ttattgcggt caaccgcgaa gtcaccaagg aaatggcaac ccaggttgct 960 gacatcttca ccgaggtcat catcgcaccg tcctacgaag atggagccgt cgagattttg 1020 cagggcaaga agaatattcg catccttgtt gctgagcatg aagtaccagc agtagaggtc 1080 aaagaaatct ctggtggccg tctgctgcag gaagcagacg tttaccaggc tgagggcgat 1140 aaggcttcga gttggacttt ggctgccggc gaagctgcat ccgaggaaaa gctcgcggag 1200 ctggaattcg cttggcgcgc agtacgctcg gtaaagtcca acgccatctt gttggcgcat 1260 gaaggtgcaa ccgttggcgt gggtatgggc caggtcaacc gcgttgattc ggcgaagttg 1320 gctgttgacc gcgcgaatac tttggctgat tccgcagagc gtgctcgcgg ttccgtcgca 1380 gcatcggatg cgttcttccc attcgccgat ggcttgcagg tgcttatcga tgccggcgtt 1440 tccgccgttg tccagcccgg cggctccatc cgcgatgaag aagttattgc tgccgctgaa 1500 gcagccggta tcaccatgta cttcactggc acccgccact tcgcgcacta a 1551 <210> 43 <211> 1020 <212> DNA <213> Corynebacterium ammoniagenes <400> 43 atgaccggca agatttctga tagccgcaag aatatgatgc tgttttccgg gcgcgcccac 60 ccagagttgg gtgaggctgt tgccaaggaa ttgggcactg acttggttcc taccaccgcc 120 cgtgactttg cgaatggcga aatcttcatt cgcttcgaag agtccgttcg tggtgcagat 180 tgctttgttt tgcagtccca cacccagccg ttgaacaagt ggctcatgga gcagctcatc 240 atgattgatg cgctcaagcg tggttccgct aagcgcatca cggccatctt gccgttctac 300 ccatatgctc gccaggacaa gaagcacctc ggtcgcgagc ctatttccgc tcgcctagtg 360 gctgacctgc tggctaccgc aggtgctgac cgcattgtgt cggtggactt gcacaccgac 420 cagatccagg gtttcttcga cggccctgtc gatcacatgc acgccatgcc gattttgacc 480 gagtacatcc agtccaagta ctccatcgac aacattgttg tggtctcccc agatgcaggc 540 cgcgtcaagg ttgcagaaaa gtgggcgcat gagcttggcg atgccccact ggcattcgtt 600 cacaagtctc gctccaacac tgaagcgaat aaaaccgtgt ccaaccgcgt ggtcggtgat 660 attgagggca aggactgcat cttgctcgat gacatgattg ataccggcgg caccatcgct 720 ggcgcggtcc gcgtactgcg tgaagctggc gcacgttccg tcgttatcgc atgtacccac 780 ggcgttttct ctgaccccgc acgcgagcgt ctgtctgagt gcggtgctga ggaagttatc 840 accaccgaca ccttgcctca gtccaccgag ggctgggaca acctcaccgt gctgtcgatc 900 gcgccgctgt tggcacgtac gattcatgag atcttcgaaa atggttcggt aaccaccctc 960 ttcgagtccg cgtagaaaaa tctgagagat ttttctacag gataagacca aataggaccg 1020

Claims (11)

  1.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이 내재적 발현량보다 증가된, 5'-이노신산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로서, 상기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포스포리보실피로포스페이트 아미도트랜스퍼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35의 purF, 포스포리보실글리신아미드 포르밀트랜스퍼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36의 purN, 포스포리보실포르밀글리신아미딘 신세타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37의 purS, 포스포리보실포르밀글리신아미딘 신세타아제 II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38의 purL, 포스포리보실아미노이미다졸 카복실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40의 purKE, 포스포리보실 아미노이미다졸 숙시노카르복사미드 신세타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41의 purC, 및 이노신산 시클로히드롤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42의 purH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과 리보스포스페이트 피로포스포키나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서열번호 43의 prs로 구성된 조합들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purN, purS, purL, purKE, purC, purH 및 prs로 구성된 조합인 것인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purF, purN, purS, purL, purM, purKE, purC, purH 및 prs로 구성된 조합인 것인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은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세포 외부로부터 추가적으로 도입되거나 또는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내재적 유전자가 증폭되어 증가된 것인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하나 이상의 카피가 외부로부터 세포 내로 도입되어 두 개 이상의 카피로 존재하는 것인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퓨린 생합성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세포내로의 도입은 연속적으로 배열된 유전자의 두개의 카피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에 의한 형질전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벡터는 각각 도 2 내지 7의 개열지도를 갖는 재조합 벡터, pDZ-2purFM, pDZ-2purNH, pDZ-2purSL, pDZ-2purKE, pDZ-2purC, 및 pDZ-2pr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인 것인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CN01-0120인 것인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 게네스 CN01-0316(KCCM 10992P)인 것인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액으로부터 5'-이노신산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5'-이노신산을 생산하는 방법.
KR1020090028145A 2009-04-01 2009-04-01 5'-이노신산 생산성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핵산의 생산방법 KR101166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145A KR101166027B1 (ko) 2009-04-01 2009-04-01 5'-이노신산 생산성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핵산의 생산방법
BRPI1014056A BRPI1014056B1 (pt) 2009-04-01 2010-03-23 micro-organismos de corynebacterium com maior produtividade de ácido 5'-inosínico e método para produzir ácidos nucleicos com eles.
PCT/KR2010/001760 WO2010114245A2 (ko) 2009-04-01 2010-03-23 5'-이노신산 생산성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핵산의 생산방법
PL10758970T PL2415861T3 (pl) 2009-04-01 2010-03-23 Mikroorganizmy corynebacterium o zwiększonej produktywności kwasu 5'-inozynowego oraz sposób produkcji kwasów nukleinowych z ich użyciem
RU2011144024/10A RU2482178C1 (ru) 2009-04-01 2010-03-23 МИКРООРГАНИЗМЫ Corynebacterium С ПОВЫШЕННОЙ ПРОДУКЦИЕЙ 5'- ИНОЗИНОВОЙ КИСЛОТЫ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УКЛЕИНОВЫХ КИСЛОТ С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US13/262,202 US8993272B2 (en) 2009-04-01 2010-03-23 Microorganisms of Corynebacterium with improved 5′-inosinic acid productivity, and method for producing nucleic acids using same
EP10758970.7A EP2415861B1 (en) 2009-04-01 2010-03-23 Microorganisms of corynebacterium with improved 5'-inosinic acid productivity, and method for producing nucleic acids using same
CN201080019531.5A CN102549144B (zh) 2009-04-01 2010-03-23 具有提高的5'-肌苷酸生产力的棒状杆菌属微生物及使用该微生物产生核酸的方法
ES10758970.7T ES2657837T3 (es) 2009-04-01 2010-03-23 Microorganismos de Corynebacterium con productividad mejorada de ácido 5'-inosínico, y procedimiento de producción de ácidos nucleicos usando los mismos
EP17168260.2A EP3219789A1 (en) 2009-04-01 2010-03-23 Microorganisms of corynebacterium with improved 5'-inosinic acid productivity, and method for producing nucleic acids using same
JP2012503311A JP2012522503A (ja) 2009-04-01 2010-03-23 5’−イノシン酸生産性が向上したコリネバクテリウム属微生物及びこれを用いた核酸の生産方法
MX2011010250A MX2011010250A (es) 2009-04-01 2010-03-23 Microorganismo de corynebacterium con productividad mejorada de acido 5´-inosinico, y metodo para producir acidos nucleicos utilizando los mismos.
DK10758970.7T DK2415861T3 (en) 2009-04-01 2010-03-23 Corynebacterium microorganisms with improved 5'-inosinic acid productivity and method of producing nucleic acids using th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145A KR101166027B1 (ko) 2009-04-01 2009-04-01 5'-이노신산 생산성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핵산의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732A KR20100109732A (ko) 2010-10-11
KR101166027B1 true KR101166027B1 (ko) 2012-07-19

Family

ID=42828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145A KR101166027B1 (ko) 2009-04-01 2009-04-01 5'-이노신산 생산성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핵산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993272B2 (ko)
EP (2) EP3219789A1 (ko)
JP (1) JP2012522503A (ko)
KR (1) KR101166027B1 (ko)
CN (1) CN102549144B (ko)
BR (1) BRPI1014056B1 (ko)
DK (1) DK2415861T3 (ko)
ES (1) ES2657837T3 (ko)
MX (1) MX2011010250A (ko)
PL (1) PL2415861T3 (ko)
RU (1) RU2482178C1 (ko)
WO (1) WO2010114245A2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958B1 (ko) 2014-12-24 2017-06-12 대상 주식회사 5’-이노신산의 고생성능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변이 균주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의 제조 방법
WO2019135445A1 (ko) * 2018-01-04 2019-07-11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 폴리펩타이드 및 이를 이용한 imp 생산방법
KR102614734B1 (ko) 2023-04-06 2023-12-19 대상 주식회사 5-데하이드로-2-데옥시글루코노키나아제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KR102614733B1 (ko) 2023-04-06 2023-12-19 대상 주식회사 포스포에놀피루베이트 카르복실라아제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KR102684451B1 (ko) 2023-04-11 2024-07-15 대상 주식회사 Pts 수송체 서브유닛 eiic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KR20240151933A (ko) 2023-04-11 2024-10-21 대상 주식회사 알데히드 탈수소효소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KR20240151932A (ko) 2023-04-11 2024-10-21 대상 주식회사 피루베이트 탈수소효소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KR20240151935A (ko) 2023-04-11 2024-10-21 대상 주식회사 Fe-S 클러스터 조립 단백질 SufB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KR20240151934A (ko) 2023-04-11 2024-10-21 대상 주식회사 Fe-S 클러스터 조립 단백질 SufD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KR20240151930A (ko) 2023-04-11 2024-10-21 대상 주식회사 (p)ppGpp 합성효소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KR20240151936A (ko) 2023-04-11 2024-10-21 대상 주식회사 Fe-S 클러스터 조립 단백질 SufC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KR20240151931A (ko) 2023-04-11 2024-10-21 대상 주식회사 인산기전이효소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5923B (zh) * 2014-02-14 2018-03-23 中国科学院微生物研究所 生产l‑组氨酸的方法及其专用重组菌
CN106282220B (zh) * 2015-05-29 2021-03-23 上海市农业科学院 一种提高枯草芽孢杆菌合成肌苷能力的方法
US11180754B2 (en) 2017-12-15 2021-11-23 Cj Cheiljedang Corporation Polypeptide and method of producing IMP using the same
KR101916611B1 (ko) * 2017-12-15 2018-11-07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 폴리펩타이드 및 이를 이용한 imp 생산방법
KR101904675B1 (ko) * 2017-12-15 2018-10-04 씨제이제일제당 (주) 5'-이노신산을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의 생산 방법
KR101999454B1 (ko) * 2017-12-19 2019-07-11 씨제이제일제당 (주) L-아르기닌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아르기닌 생산방법
KR102013873B1 (ko) 2018-01-25 2019-08-23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퓨린 뉴클레오티드를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퓨린 뉴클레오티드의 생산방법
KR101956510B1 (ko) * 2018-07-27 2019-03-08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 5'-이노신산 디하이드로게나아제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제조방법
KR101950141B1 (ko) * 2018-08-01 2019-02-19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 아데닐로석시네이트 신세타아제 및 이를 이용한 퓨린 뉴클레오티드 생산방법
TWI853864B (zh) * 2018-12-18 2024-09-01 日商帝人股份有限公司 用以製造菸鹼醯胺衍生物之重組微生物及方法,以及其所使用之載體
KR102006976B1 (ko) * 2019-02-26 2019-08-06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신규 프로모터 및 이를 이용한 퓨린 뉴클레오티드 제조방법
KR102006977B1 (ko) * 2019-03-28 2019-08-05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변이형 포스포리보실피로포스페이트 아미도트랜스퍼라아제 및 이를 이용한 퓨린 뉴클레오티드 제조방법
KR102185850B1 (ko) * 2020-02-21 2020-12-02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퓨린 뉴클레오티드를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퓨린 뉴클레오티드의 생산방법
KR102277409B1 (ko) * 2021-04-29 2021-07-14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신규한 2중기능성 포스포리보실아미노이미다졸카르복사미드 포밀트랜스퍼라아제/imp 사이클로하이드롤라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imp 생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8156A1 (en) 2007-01-15 2008-07-24 Cj Cheiljedang Corporation Microorganism producing inosine and method of producing inosin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5078B2 (ja) 1987-04-06 1996-10-16 協和醗酵工業株式会社 核酸関連物質の製造法
US7435560B1 (en) * 1997-07-18 2008-10-14 Ajinomoto Co., Inc. Method for producing purine nucleoside by fermentation
JP2000295996A (ja) * 1999-02-08 2000-10-24 Kyowa Hakko Kogyo Co Ltd プリンヌクレオチドの製造法
US6586214B1 (en) * 1999-09-15 2003-07-01 Degussa Ag Method for increasing the metabolic flux through the pentose phosphate cycle in coryneform bacteria by regulation of the phosphoglucose isomerase (pgi gene)
KR100397321B1 (ko) * 2000-12-26 2003-09-06 씨제이 주식회사 5'-이노신산을 고수율로 생산하는 미생물 코리네박테리움암모니아게네스 씨제이아이피009 및 그를 이용한5'-이노신산 생산방법
KR100446113B1 (ko) 2001-11-26 2004-08-30 씨제이 주식회사 5-이노신산을 생산하는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한5-이노신산의 생산방법
RU2004109599A (ru) * 2004-03-31 2005-10-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Аджиномото-Генетика" (ЗАО АГРИ) (RU) Белок ydhl из bacillus amyloliguefaciens, фрагмент днк, бактерия, принадлежащая к роду escherichia или bacillus,-продуцент пуриновых нуклеозидов,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уриновых нуклеозидов и нуклеотидов
US7326546B2 (en) * 2005-03-10 2008-02-05 Ajinomoto Co., Inc. Purine-derived substance-producing bacterium and a method for producing purine-derived substance
RU2333949C2 (ru) * 2005-09-14 2008-09-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Аджиномото-Генетика" (ЗАО АГРИ) ШТАММЫ БАКТЕРИЙ Bacillus subtilis И Bacillus amyloliquefaciens-ПРОДУЦЕНТЫ ИНОЗИНА И СПОСОБ ПРОДУКЦИИ ИНОЗИНА С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BRPI0710752B1 (pt) * 2006-04-24 2017-01-24 Ajinomoto Kk métodos para produzir uma substância derivada de purina e um nucleotídeo de purina
US9109242B2 (en) * 2006-09-15 2015-08-18 Cj Cheiljedang Corporation Corynebacteria having enhanced L-lysine productivity and a method of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RU2365622C2 (ru) * 2006-12-22 2009-08-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Аджиномото-Генетика" (ЗАО АГРИ) СПОСОБ ПРОДУКЦИИ ПУРИНОВЫХ НУКЛЕОЗИДОВ И НУКЛЕОТИДОВ МЕТОДОМ ФЕРМЕНТАЦ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БАКТЕРИЙ, ПРИНАДЛЕЖАЩИХ К РОДУ Escherichia ИЛИ Bacillus
KR100857379B1 (ko) 2007-01-11 2008-09-11 씨제이제일제당 (주) 포스포라이보실 아미노이미다졸 카복실라아제가 과발현된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의 생산 방법
KR100785248B1 (ko) 2007-01-12 2007-12-12 씨제이 주식회사 purC 유전자가 과발현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5'-이노신산의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8156A1 (en) 2007-01-15 2008-07-24 Cj Cheiljedang Corporation Microorganism producing inosine and method of producing inosine using the same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958B1 (ko) 2014-12-24 2017-06-12 대상 주식회사 5’-이노신산의 고생성능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 변이 균주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의 제조 방법
WO2019135445A1 (ko) * 2018-01-04 2019-07-11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 폴리펩타이드 및 이를 이용한 imp 생산방법
WO2024210280A1 (ko) * 2023-04-06 2024-10-10 대상 주식회사 포스포에놀피루베이트 카르복실라아제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KR102614734B1 (ko) 2023-04-06 2023-12-19 대상 주식회사 5-데하이드로-2-데옥시글루코노키나아제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KR102614733B1 (ko) 2023-04-06 2023-12-19 대상 주식회사 포스포에놀피루베이트 카르복실라아제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KR20240151933A (ko) 2023-04-11 2024-10-21 대상 주식회사 알데히드 탈수소효소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KR102684451B1 (ko) 2023-04-11 2024-07-15 대상 주식회사 Pts 수송체 서브유닛 eiic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KR20240151932A (ko) 2023-04-11 2024-10-21 대상 주식회사 피루베이트 탈수소효소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KR20240151935A (ko) 2023-04-11 2024-10-21 대상 주식회사 Fe-S 클러스터 조립 단백질 SufB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KR20240151934A (ko) 2023-04-11 2024-10-21 대상 주식회사 Fe-S 클러스터 조립 단백질 SufD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KR20240151930A (ko) 2023-04-11 2024-10-21 대상 주식회사 (p)ppGpp 합성효소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KR20240151936A (ko) 2023-04-11 2024-10-21 대상 주식회사 Fe-S 클러스터 조립 단백질 SufC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KR20240151931A (ko) 2023-04-11 2024-10-21 대상 주식회사 인산기전이효소 신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5’-이노신산 생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415861T3 (pl) 2018-07-31
US8993272B2 (en) 2015-03-31
JP2012522503A (ja) 2012-09-27
EP2415861A2 (en) 2012-02-08
DK2415861T3 (en) 2018-01-22
US20120021466A1 (en) 2012-01-26
WO2010114245A2 (ko) 2010-10-07
EP2415861A4 (en) 2012-09-12
RU2482178C1 (ru) 2013-05-20
BRPI1014056B1 (pt) 2020-04-07
MX2011010250A (es) 2011-11-29
BRPI1014056A2 (pt) 2017-05-30
ES2657837T3 (es) 2018-03-07
CN102549144A (zh) 2012-07-04
WO2010114245A3 (ko) 2011-06-23
EP3219789A1 (en) 2017-09-20
KR20100109732A (ko) 2010-10-11
CN102549144B (zh) 2014-06-18
EP2415861B1 (en)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027B1 (ko) 5&#39;-이노신산 생산성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핵산의 생산방법
US8058036B2 (en) Microorganism of Corynebacterium genus having enhanced L-lysine productivity and a method of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US8048650B2 (en) Microorganism of Corynebacterium genus having enhanced L-lysine productivity and a method of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AU2018353929A1 (en) Microorganism of genus Corynebacterium producing L-arginine and method for producing L-arginine using the same
KR20110105662A (ko) 5&#39;-크산틸산 및 5&#39;-구아닐산 생산능이 향상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5&#39;-크산틸산 또는 5&#39;-구아닐산의 생산방법
KR100954052B1 (ko) Abc-트랜스포터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불활성화된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5&#39;-이노신산의제조방법
KR100957690B1 (ko) 5&#39;-크산틸산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및 이를 이용한 5&#39;-크산틸산의 생산 방법
KR100857379B1 (ko) 포스포라이보실 아미노이미다졸 카복실라아제가 과발현된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5&#39;-이노신산의 생산 방법
KR101056872B1 (ko) 핵산계 물질의 생산성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한 핵산계 물질의 생산 방법
EP2233563B1 (en) Microorganism of the genus corynebacterium having the ability to produce inosine, and an inosine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785248B1 (ko) purC 유전자가 과발현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5&#39;-이노신산의 생산방법
KR101049023B1 (ko) 5&#39;-이노신산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암모니아게네스 및 그를 이용한 5&#39;-이노신산의 생산방법
KR100576341B1 (ko) 5&#39;-뉴클레오티다제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불활성화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5&#39;-이노신산의 제조방법
KR100964078B1 (ko) 5&#39;-이노신산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암모니아게네스 및 그를 이용한 5&#39;-이노신산 생산 방법
KR100937326B1 (ko) 옥시도리덕테이즈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불활성화된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5&#39;-이노신산의제조방법
KR100694427B1 (ko)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5&#39;-이노신산의제조 방법
KR100547586B1 (ko) ushA 유전자가 불활성화된 재조합 에스케리키아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5&#39;-구아닐산 합성효소를 배지 중에 축적시키는 방법
KR20100038639A (ko) 변형된 purC 유전자를 가진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이노신의 생산방법
KR20100088906A (ko) 향상된 이노신 생산성을 갖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이노신의 생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730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011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120329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830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103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0622

Appeal identifier: 2012101003842

Request date: 20120424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4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83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1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206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525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120622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424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830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1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