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57971B1 -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과,화상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과,화상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971B1
KR101057971B1 KR1020057019379A KR20057019379A KR101057971B1 KR 101057971 B1 KR101057971 B1 KR 101057971B1 KR 1020057019379 A KR1020057019379 A KR 1020057019379A KR 20057019379 A KR20057019379 A KR 20057019379A KR 101057971 B1 KR101057971 B1 KR 101057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eoscopic
image
display
vision
vision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3957A (ko
Inventor
세이지 사토
히데히코 세키자와
토시오 노무라
마사히로 시오이
고로 하마기시
켄 마시타니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23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97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시키고 싶은 표시장치의 지정을 부속 정보(상정 표시 정보)로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 화상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상정 표시 정보는,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시키고 싶다고 하는 표시장치의 표시장치의 종류, 표시 사이즈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입체 시청 화상으로 합성해서 표시시키고 싶은 표시장치의 종류 또는 표시 치수 등을 지정하고, 입체화상을 표시할 때, 표시장치의 종류 또는 표시 치수에 따라 입체화상을 확대 또는 축소함으로써 적정한 입체 시청 화상을 얻을 수 있다.
Figure R1020057019379
입체 시청 화상, 상정 표시 정보, 시점 화상, 입체강도, 표시 사이즈

Description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과, 화상 표시 방법{3-DIMENSIONAL VIEW IMAGE PROCESSING DEVICE, 3-DIMENSIONAL VIEW IMAGE PROVIDING METHOD, AND IMAGE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입체 시청용의 입체 시청 화상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 화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좌우의 눈의 시차를 이용한 2장의 정지화상 등을 촬영하고, 그것들을 좌우 각각의 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표시함으로써, 입체적인 화상이 얻어지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의 존재가 알려져 있다.
좌측 눈으로부터의 시점에 의한 좌측 시점 화상(L 화상)과, 우측 눈으로부터의 시점에 의한 우측 시점 화상(R 화상)으로부터 합성된 입체화상(입체 시청 화상)이,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에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으로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그러나, 1 또는 2 이상의 복수의 시점화상으로부터 입체 시청 화상으로 합성해서 표시시키고 싶은 표시장치의 종류 또는 표시 치수 등을 지정하는 것을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할 때, 표시장치의 종류 또는 표시 치수에 따라, 입체 시청 화상이 확대 또는 축소함으로써, 각 시점 화상의 상호의 시차가 확대 또는 축소하여, 적정한 입체 시청 화상을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시키고 싶은 표시장치의 지정을 부속 정보로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하고 개량된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 화상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의 관점에 의하면, 적어도 서로 시차를 가지는 복수의 시점 화상을 합성해서 입체 시청 화상을 생성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는, 입체 시청 화상으로 합성해서 표시시키고 싶은 상정된 표시장치에 관한 상정 표시 정보와 함께 시점이 다른 복수의 시점 화상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에 의해, 서로 시차를 가지고, 시점이 다른 복수의 시점 화상은, 입체 시청 화상을 합성해서 표시시키고 싶다고 상정하는 상정 표시장치에 관한 상정 표시 정보와 함께 관리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시키고 싶다고 상정되는 표시장치의 선택이 효율화된다.
상정 표시 정보는, 상정 표시장치의 종류 및/또는 표시 치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정 표시장치의 분류를 상세화할 수 있다.
더구나 상정 표시 정보에는, 상정 표시장치의 종류 및/또는 표시 치수에 관한 정보와, 입체 시청 화상을 상정된대로의 표시 사이즈로 표시시키기 위한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정 표시장치를 지정한 후에, 해당 상정 표시장치에 표시시키고 싶은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를 지정할 수 있다.
혹은, 상정 표시 정보에는, 입체 시청 화상을 상정된대로의 표시 사이즈로 표시시키기 위한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해당 상정 표시장치가 포함시키고 싶은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를 지정할 수 있다.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는, 적어도 상정 표시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정 표시 정보를 따라, 입체 시청 화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정 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또, 상정 표시장치가 아니고, 표시장치이어도 좋다.
상정 표시 정보는,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이도록 구성해도 좋다.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를 변경할 때에, 표시 사이즈의 변경에 대해서 알리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될 때, 적어도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 및/또는 상정 표시 정보에 근거하여, 경고 화면의 표시를 할 것인가 아닌가가 판단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실제로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가 상정된대로의 상정 표시장치가 아닐 경우, 디스플레이에 경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된 표시 시간에 근거하여, 경고 화면을 표시할 것인가 아닌가가 판단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된 경과 시간이 소정시간에 이른다고 경고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의 시청에 의한 눈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고, 또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처리 부하 또는 표시 전력 부하의 경감을 꾀할 수 있다.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누적되는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입체강도의 누적치에 근거하여, 경고 화면의 표시를 할 것인가 아닌가가 판단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눈의 피로를 야기하는 시점에서, 정확하게 경고할 수 있다.
상정 표시 정보에 포함되는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에 근거하여, 경고 화면의 표시를 할 것인가 아닌가가 판단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정 이외의 상태에서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하는 오표시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입체강도가 강한 입체 시청 화상이 잘못해서 표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의 확대 및/또는 축소에 의해, 경고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표시장치의 표시 치수의 제약에 의해, 입체 시청 화상의 시차가 변동하여, 입체강도가 변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 또는 주의할 수 있다.
혹은, 상정 표시 정보에 포함되는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와,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의 확대 및/또는 축소에 의해, 경고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정 표시 사이즈가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입체 시청 화상의 시차가 변동하여, 입체강도가 변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 또는 주의할 수 있다.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가 축소될 경우, 경고 화면은, 충고 화면이도록 구성해도 좋고, 또 경고 화면은, 입체 시청 화상의 강도를 강하게 하는 것을 경고하는 화면이도록 구성해도 좋다.
경고 화면은, 입체 시청 화상의 입체강도 및/또는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시간에 근거하여, 표시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단이 되도록 구성해도 좋고, 경고 화면은, 입체강도의 누적치에 근거하여, 표시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단이 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은, 서로 시차를 가지는 우측 시점 화상과 좌측 시점 화상으로부터 합성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우측 시점 화상과 좌측 시점 화상과는 1개의 결합 화상으로서 관리되고, 상정 표시 정보는, 결합 화상의 태그 정보로서 관리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우측 시점 화상과 좌측 시점 화상과 상정 표시 정보를 일체화해서 결합 화상으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상정 표시 정보는, 상정 표시장치의 종류 및/또는 표시 치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상정 표시 정보에는, 입체 시청 화상을 상정된대로의 표시 사이즈로 표시시키기 위한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상정 표시 정보에는, 입체 시청 화상을 상정된대로의 표시 사이즈로 표시시키기 위한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는, 적어도 상기 상정 표시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정 표시 정보는,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이도록 구성해도 좋고,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를 변경할 때에, 표시 사이즈의 변경에 대해서 알리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될 때, 적어도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 및/또는 상정 표시 정보에 근거하여, 경고 화면의 표시를 할 것인가 아닌가가 판단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된 표시 시간에 근거하여, 경고 화면의 표시를 할 것인가 아닌가가 판단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되는 표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누적되는 상기 이 입체 시청 화상의 입체강도의 누적치에 근거하여, 경고 화면의 표시를 할 것인가 아닌가가 판단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정 표시 정보에 포함되는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에 근거하여, 경고 화면의 표시를 할 것인가 아닌가가 판단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의 확대 및/또는 축소에 의해, 경고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해도 좋고,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의 확대 및/또는 축소에 의해, 경고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경고 화면은, 입체 시청 화상의 입체강도 및/또는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시간에 근거하여, 표시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단이 되도록 구성해도 좋고, 경고 화면은, 입체강도의 누적에 근거하여, 표시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단이 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서로 시차를 가지는 복수의 시점 화상의 합성에 의해, 생성되는 입체 시청 화상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은, 시점이 다른 복수의 시점 화상의 데이터와 함께 관리되고,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시키고 싶은 상정 표시장치에 관한 부속 정보를, 상기 시점 화상의 데이터와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시차를 가지고, 시점이 다른 복수의 시점 화상에 부속되는 부속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표시장치가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하는데에 적당한 시점 화상을 효율적으로 제공 또는 검색 등을 할 수 있다.
부속 정보는, 상정 표시 정보이도록 구성해도 좋고, 상기 상정 표시 정보는, 상정 표시장치의 종류 및/또는 표시 치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더구나 상정 표시 정보에는, 상정 표시장치의 종류 및/또는 표시 치수에 관한 정보와, 입체 시청 화상을 상정된대로의 표시 사이즈로 표시시키기 위한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혹은, 상정 표시 정보에는, 입체 시청 화상을 상정된대로의 표시 사이즈로 표시시키기 위한 상정 표시 사이즈가 포함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는, 적어도 상정 표시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정 표시 정보는,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이도록 구성해도 좋고,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은, 서로 시차를 가지는 우측 시점 화상과 좌측 시점 화상으로부터 합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우측 시점 화상과 좌측 시점 화상은 1개의 결합 화상으로서 관리되고, 상정 표시 정보는, 결합 화상의 태그 정보로서 관리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서로 시차를 가지는 우측 시점 화상과 좌측 시점 화상을 합성해서 입체 시청 화상을 생성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가 제공되고, 우측 시점 화상 및 좌측 시점 화상은, 개별적으로, 입체 시청 화상을 합성해서 표시시키고 싶은 상정 표시장치에 관한 상정 표시 정보와 함께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에 의해, 우측 시점 화상 및 좌측 시점 화상은, 입체 시청 화상을 합성해서 표시시키고 싶다고 상정하는 상정 표시장치에 관한 상정 표시 정보와 함께 관리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입체 시청 화상을 합성해서 표시시키고 싶은 표시장치의 효율적인 선택을 꾀할 수 있다.
우측 시점 화상과 좌측 시점 화상은 1개의 결합 화상으로서 관리되고, 상정 표시 정보는, 결합 화상의 태그 정보로서 관리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우측 시점 화상과 좌측 시점 화상과 상정 표시 정보를 일체화해서 결합 화상으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정 표시 정보는, 상정 표시장치의 종류 및 표시 치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적어도 서로 시차를 가지는 복수의 시점 화상을 합성해서 입체 시청 화상으로 합성해서 표시하는 화상 표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화상 표시 방법은, 2 이상의 디스플레이 사이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표시 사이즈의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를 변경할 때에, 표시 사이즈의 변경에 대해서 알리도록 구성해도 좋고,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의 확대 및/또는 축소에 의해, 경고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1은, 본 실시예에 관한 광학 어댑터를 장착한 촬상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은, 도1의 광학 어댑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3은, 본 실시예에 관한 광학 어댑터를 장착한 촬상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시차화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4는, 본 실시예에 관한 프로젝터에 의한 입체 시청 화상 표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5은, 본 실시예에 관한 컴퓨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 다.
도6은, 본 실시예에 관한 L 화상과 R 화상을 합성해서 입체 시청 화상을 생성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7은, 본 실시예에 관한 입체 시청 화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8은, 본 실시예에 관한 입체 시청 화상을 입체적으로 시인하는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는,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0은, 본 실시예에 관한 입체 시청 화상 파일의 데이터 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1a는, 본 실시예에 관한 결합 화상 데이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1b는, 본 실시예에 관한 결합 화상 데이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2은,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제어 정보에 관한 태그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3은,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제어 정보에 관한 태그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고나한 "Assumed Display"의 태그의 필드에 설정되는 값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5은, 본 실시예에 관한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한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처리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6a는, 본 실시예에 관한 표시 화면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6b은, 본 실시예에 관한 표시 화면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7은, 본 실시예에 관한 경고 화면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8은, 본 실시예에 관한 입체 시청 화상의 누적 입체강도의 변화의 개략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9는, 본 실시예에 관한 경고 레벨에 의한 경고 화면표시 처리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20은, 본 실시예에 관한 경고 레벨에 의해 표시되는 입체 시청 화상과 경고 화면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1은, 본 실시예에 관한 경고 레벨에 의해 표시되는 입체 시청 화상과 경고 화면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2a는, 본 실시예에 관한 경고 레벨에 의해 표시되는 입체 시청 화상의 화면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2b은, 본 실시예에 관한 경고 레벨에 의해 표시되는 경고 화면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인간 등의 좌우의 눈이 각각 취득하는 망막 상의 공간적 어긋남(양안 시차)을 이용하여, 2차원의 화상을 입체적으로 시인시키는 방법(이하, 입체 시청의 방법)이 다수 존재한다. 입체 시청의 방법으로서는, 특수한 안경을 이용하는 아나그리프 방식, 칼라 아나그리프 방식, 편광 필터 방식, 시분할 입체 텔레비젼 방식 등과, 특수한 안경을 이용하지 않는 렌티큘러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한 다양한 입체 시청의 방법을 실현하려면, 좌안용의 좌측 시점 화상(L 화상)과, 우안용의 우측 시점 화상(R 화상)을 취득할 필요가 있다. L 화상과 R 화상을 취득하려면, 동일한 피사체를, 카메라의 위치를 사람의 양안의 간격만큼 이동해서 2회 촬영하는 방법이 가장 용이하다.
또한 1회의 촬영에서 L 화상과 R 화상을 취득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도1 및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미러 등으로 구성되는 광학 어댑터(105)을, 촬상장치(100)의 렌즈(103)의 외측에 장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 상기 촬상장치(100)는, 예를 들면 디지털카메라 등이 예시된다.
다음에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시점 화상으로부터 합성되는 입체화 상(입체 시청 화상, 3D 화상)을 합성하여, 표시시키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편광 필터 방식이 있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광 필터 방식은, R 화상을 투영하기 위한 우안용 프로젝터(141)과, L 화상을 투영하기 위한 좌안용 프로젝터(142)과, L 화상 및 R 화상의 빛을 반사하는 스크린(143)과, 편광 안경(144)으로 구성된다 .또, 3D(three-Dimensional: 3차원) 화상은, 입체적으로 시인가능한 입체 시청 화상이다.
우안용 프로젝터(141)는, 수직방향으로 편광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좌안용 프로젝터(142)는, 수평방향으로 편광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우안용 프로젝터(141)로부터 출력되는 R 화상의 빛은, 도4에 나타내는 수평방향의 화살표의 빛이 출력된다. 좌안용 프로젝터(142)로부터 출력되는 L 화상의 빛은, 도4에 나타내는 수직방향의 화살표의 빛이 출력된다.
다음에 스크린(143) 위에서는 수직방향의 직선편광에 의해 투영된 L 화상과, 수평방향의 직선편광에 의해 투영된 R 화상이 중첩됨으로써 입체 시청 화상이 생성된다.
그리고, 좌측에 수평방향의 직선 편광 필터, 우측에 수직방향의 직선편광 필터가 배치된 편광 안경(144)을 사용함으로써, 스크린(143)에 의해 반사된 상기 입체 시청 화상 중, 우안용 프로젝터(141)로부터 투영된 R 화상은, 우측의 직선편광 필터밖에 통과되지 않고, 좌안용 프로젝터(142)로부터 출력된 L 화상은, 좌측의 직선편광 필터밖에 통과되지 않는다.
따라서, 편광 안경(144)으로부터 상기 스크린(143) 상의 입체 시청 화상을 보면, 예를 들면 건조물 등이 튀어 나와서 보이는 등, 화상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도4에 나타내는 스크린(143)에 입체 시청 화상을 생성하는 경우의 이외에, 예를 들면 PC(Personal Computer: PC) 컴퓨터 장치에 의해 입체 시청 화상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컴퓨터 장치에 의해 입체 시청 화상이 생성될 경우를, 도5∼도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도2에 나타내는 미러 121 및 미러 122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좌시점과 우시점에서 서로 시차를 가지는 시차화상이 생성된다. 상기 시차화상은,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L 화상과 R 화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도5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관한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에 적용되는 컴퓨터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5은, 본 실시예에 관한 컴퓨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컴퓨터 장치(150)는, 적어도 중앙연산 처리부(CPU), 기억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이며, 일반적으로는 컴퓨터 장치이지만, 휴대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형 퍼스널컴퓨터, 또는 데스크탑형 퍼스널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도 포함된다.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컴퓨터 장치(150)에는, 입체 시청 화상을 생성하는 컴퓨터장치(150)과, 표시된 입체 시청 화상을 볼 때에 사용자가 사용하는 편 광 안경(171)과,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하는 입체 시청 표시부(140)과, 상기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표시면 외측에 배치하는 라인 편광판(172)이 더 구비된다.
편광 안경(171)은, 컴퓨터 장치(150)에 장착된 지지봉(170)에 의해, 컴퓨터 장치(150)의 키보드 부근의 상방 공간에 위치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생성된 L 화상 및 R 화상은,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음 식 (1)을 따라, L 화상과 R 화상과가 합성되어,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입체 시청 화상이 생성된다. 즉 우측 시점 화상과 좌측 시점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시차화상으로부터 입체 시청 화상이 생성된다. 또, 짝수 라인, 홀수 라인은, 컴퓨터 장치(150)에 갖추어지는 입체 시청 표시부(140) 등에 구성되는 수평 방향의 열이다.
예를 들면 표시부가 UXGA(Ultra eXtended Graphics Array)인 경우, 수평 방향의 라인 중, 최상단을 0번 라인으로 하면, 0번 라인은, 짝수 라인이며, 다음에 1번 라인은, 홀수 라인이며, …, 이후 최하단 라인(1599번 라인)까지 계속된다.
짝수 라인
1×(L 화상의 화소)+0×(R 화상의 화소)=(입체 시청 화상의 화소)
홀수 라인
0×(L 화상의 화소)+1×(R 화상의 화소)=(입체 시청 화상의 화소) …식(1)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0번 라인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수평 방향의 1라인마다 L 화상, R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L 화상 및 R 화상이 1라인마다 교대로 합성된 입체 시청 화상이 생성된다. 생성된 입체 시청 화상은,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에 갖추어지는 입체 시청 표시부(140) 등에 표시된다.
도8에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된 입체 시청 화상을, 편광 안경(171)을 거쳐서 보게 된다. 또,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는, 미리 라인 편광판(17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라인 편광판(172)은, 수평 방향의 라인을 복수 가지고 있다. 라인 편광판(172)의 복수 라인 중, 최상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짝수 라인에는, 수직방향의 편광판을 구비하고, 홀수 라인에게는, 수평방향의 편광판을 구비한다.
또한, 편광 안경(171)개의 우측에는, 수평방향의 편광 필터를 구비하고, 좌측에는, 수직방향의 편광 필터를 구비한다. 따라서, 라인 편광판(172)을 통과한 L 화상의 빛 또는 R 화상의 빛 중, 편광 안경(171)의 좌측은, 짝수 라인으로부터 이루어지는 L 화상의 빛만이 통과하고, 우측은, 홀수 라인으로부터 이루어지는 R 화상의 빛만이 통과한다. 즉, 사용자는, 입체 시청 화상을 입체적으로 시인할 수 있다.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여기에서, 도9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관한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9은, 본 실시예에 관한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도9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 관한 입체 시청 표시부(140)은,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면 표시장치 또는 상정 표시장치 등에 해당한다.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입체적으로 시인하는 것이 가능한 입체 시청 화상을 생성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는, 촬영부(101)과, 화상 인코드부(132)과, 화상 제어정보 생성부(133)과, 데이터 다중화부(134)과, 기록 매체(135)과, 데이터 분리부(36)과, 화상 디코드부(137)과, 화상 분리부(138)과, 화상 변환부(139)과, 입체 시청 표시부(14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촬영부(101)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영소자(CCD) 130-1 및 촬영소자 130-2과, 합성부(131)로 구성된다. 또, 촬영소자 130-1과 촬영소자 130-2를, 일체화하여, 1개의 촬영소자(130)로 구성하는 것도 실시가능하다. 상기한 경우, 광학 어댑터(105)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가능해 진다.
촬영소자 130-1에 의해 촬상된 좌측 눈으로부터의 시점의 화상(L 화상 또는 좌측 시점 화상)과, 촬영소자 130-2에 의해 촬상된 우측 눈으로부터의 시점의 화상(R 화상 또는 우측 시점 화상)이, 합성부(131)에 전송된다. 또, 도9에 나타내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는, 2시점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시점의 경우이어도 실시가능하다.
합성부(131)은, 전송된 각 시점 화상(L 화상, R 화상)으로부터, 시차화상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각 시점 화상이 인접하도록 합성된다. 또, 도9에 나타내는 시차화상은, L 화상과 R 화상이 좌우로 인접되어 있지만, 이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시차화상은, 화상 인코드부(132)에 의해 인코드된다. 상기 인코드는, 예를 들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형식 등이 예시된다.
화상 제어정보 생성부(133)은, 상기 시차화상으로부터 입체 시청 화상으로 변환 등을 하기 위한 태그 정보(이하, 화상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화상 제어 정보는, 촬영부(101)의 촬상시의 노출, 일시, 플래시의 유무 등의 촬영정보, 또는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적당한 입체 시청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시차화상에 있어서의 시점 화상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각 등이 예시된다.
데이터 다중화부(134)는, 화상 인코드부(132)로부터 전송되는 시차화상과, 화상 제어정보 생성부(133)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제어 정보를 다중화한다. 다중화된 시차화상 및 화상 제어 정보는, 기록 매체(135)에 기록된다.
기록 매체(135)은, 데이터를 기억가능한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HDD장치(하드디스크 드라이브), CD-RW(Rewritable), DVD-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또는 메모리 스틱(등록상표) 등이 예시된다.
데이터 분리부(136)은, 기록 매체(135)에 기록된 시차화상 및 화상 제어 정보를 각각 취득한다. 데이터 분리부(136)는, 취득한 시차화상을 화상 디코드부(137)에 전송하고, 화상 제어 정보를 화상 분리부(138)에 전송한다. 또, 시차화상 데이터 및 화상 제어 정보는, 기록 매체(135)의 소정의 장소(폴더 등)에 기록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분리부(136)는, 기록 매체(135)로부터 시차화상 및 화상 제어 정보를 취득할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 지 않고, 네트워크를 거쳐서 취득하는 경우이어도 실시가능하다.
화상 디코드부(137)는, 미리 인코드된 시차화상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화상 분리부(138)에 전송한다.
화상 분리부(138)은, 데이터 분리부(136)로부터 전송된 화상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화상 제어 정보에 지정된 시차화상을 취득하고, 각 시점의 화상(L 화상, R 화상)으로 분리한다.
화상 변환부(139)은, 화상 분리부(138)로부터 전송된 L 화상, R 화상을 중첩함으로써, 입체 시청 화상으로 변환한다.
입체 시청 표시부(140)는, 화상 변환부(139)에 의해 변환된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한다. 입체 시청 표시부(140)은, 나중에 설명하는 컴퓨터 장치에 갖춰지는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 또는 투영해서 스크린에 표시하는 프로젝터 장치 등이 예시된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입체 시청 표시부(140)는,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할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D인 정지화상, 동화상 등의 표시, 그위에 음성의 출력 등을 하는 경우이어도 실시가능하다.
(촬상장치(100))
도1에 나타내는 촬상장치(100)은, 도9에 나타내는 촬영부(101), 화상 인코드부(132), 화상 제어정보 생성부(133), 또는 데이터 다중화부(134)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컴퓨터 장치(150))
도5에 나타내는 컴퓨터 장치(150)은, 도9에 나타내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에 구성되는 데이터 분리부(136), 화상 디코드부(137), 화상 분리부(138), 화상 변환부(139), 및 입체 시청 표시부(140)을 구비한다. 또, 컴퓨터 장치(150)은, 화상 인코드부(132), 화상 제어정보 생성부(133), 데이터 다중화부(134), 기록 매체(135)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어도 좋다.
컴퓨터 장치(150)은, 도1에 나타내는 광학 어댑터(105)가 장착된 촬상장치(100)에 의해 촬영된 시차화상 데이터를 받아들인다. 또는, 컴퓨터 장치(150)는, 광학 어댑터(105)가 장착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촬영된 화상 데이터 등을 입력한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촬상장치(100)은,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이 예시된다.
또한, 컴퓨터 장치(150)는, 받아들인 시차화상 데이터 또는 연속적으로 촬영된 2장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입체 시청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입체 시청 화상 데이터는, 입체 시청 화상으로서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된다.
또, 촬상장치(100)로부터 컴퓨터 장치(150)에 받아들인 시차화상 등의 화상 데이터에는, 화상 제어정보 생성부(133)에 의해 생성된 화상 제어 정보가 부여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받아들인 화상 데이터에 화상 제어 정보가 부여되지 않고 있을 경우 등에서도, 컴퓨터 장치(150)에 갖추어지는 화상 제어정보 생성부(133)에 의해, 화상 제어 정보가 부여되거나, 또는 편집 등 되어도 좋다.
(입체 시청 화상용 파일)
다음에 도10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관한 입체 시청 화상용 파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0은, 본 실시예에 관한 입체 시청 화상용 파일의 데이터 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입체 시청 화상용 파일은, 예를 들면 파일 이름이 “파일1.jpg" 등, 확장자가 "jpg"의 JPEG 형식의 압축 데이터 파일이다. 또한 입체 시청 화상용 파일은, 예를 들면 상기 설명의 우측 시점 화상과 좌측 시점 화상으로 이루어진 시차화상 데이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입체 시청 화상용 파일은, DCF(Design rule for Camera File system) 규격에 준거해서 기록되고, 이것에 어플리케이션·마커 세그먼트(APP1)를 삽입한다.
APP1은, 입체 시청 화상용 파일의 시작을 나타내는 SOI(Start Of Image) 마커의 직후에 배치된다.
또한, APP1의 직후에는, 결합 화상 데이터가 배치되고, 최후에 입체 시청 화상용 파일의 종료를 나타내는 EOI(End Of Image)가 배치된다. 또, 결합 화상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상기 APP1의 영역에는,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의 식별 정보, 및 부속 정보 본체(Tiff header, IFD0, IFD1)으로 구성된다.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APP1의 크기는, JPEG의 규격에 의해 64k바이트를 초월해서는 안된다.
부속 정보는, File Header(Tiff header)을 포함하는 Tiff의 구조를 취하고, 최대 2개의 IFD(IFD0(0th IFD), IFD1(1st IFD))를 기록할 수 있다. 또, IFD는, “Image File Directory"의 생략이다.
IFD0는, 압축되어 있는 화상(주화상) 또는 입체 시청 화상(3D 화상) 등에 관한 부속 정보를 기록한다.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IFD0영역에는, Exif IFD의 포인터가 들어가는 Exif 포인터부와, GPS IFD의 포인터가 들어가는 GPS 포인터부와, 3D IFD의 포인터가 들어가는 3D 포인터부가 배치된다.
또한, IFDO 영역에는, 각 포인터부의 뒤에, Exif IFD와, Exif IFD Value와, GPS IFD와, GPS IFD Value와, 3D IFD와, 3D IFD Value가 배치된다.
Exif IFD 및 Exif IFD Value에는, 화상 데이터의 특성, 구조, 사용자 정보, 촬영 조건, 날짜, 혹은 시간 등에 관련되는 태그 또는 태그치가 기록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 코멘트를 위한 태그 “user comment" 태그나, 노출 시간을 나타내기 위한 태그 “Exposure Time”, 플래시의 유무를 나타내기 위한 태그“Flash" 태그 등이 예시된다.
GPS IFD 및 GPS IFD Value에는, GPS(Globa1 Positioning System)에 관한 태그 또는 태그치가 기록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면 위도를 나타내는 태그 "GPS Latitude" 고도를 나타내는 태그 "GPS altitude” 등이 예시된다.
상기 3D IFD 및 3D IFD Value에, 3D 화상인 입체 시청 화상으로 변환하기 위한 처리 등을 제어하는 화상 제어 정보에 관한 태그 또는 태그치(Value)가 기록된다. 또, 화상 제어 정보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한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입체 시청 화상용 파일의 데이터 구조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데이터 구조일 경우이어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입체 시청 화상용 파일의 데이터 구조가 JPEG 데이터로 이루어진 경우, 각 JPEG 데이터에는, JPEG 헤더와 압축 화상 데이터와 EOI(End Of Image)가 포함되는 경우이어도 좋다. 상기 JPEG 헤더에는, SOI(Start Of Image)나 색관리 정보 등의 부속 정보가 존재한다. 또한 시점 화상 데이터의 시점번호 등의 시점정보는, 예를 들면 각각의 JPEG 헤더에 존재시킬 수도 있다. 시점이 다른 복수의 시점 화상은, 파일 헤더와 그것에 이어지는 복수의 JPEG 데이터와 그 전체의 끝을 나타내는 파일 엔드 정보로 할 수 있다. 전체에 대한 헤더를 존재시키지 않을 경우(결합 화상의 경우)에는, 시점정보가, JPEG 헤더 내(어플리케이션 마커/IFD)에 격납된다.
(화상정보)
본 실시예에 관한 입체 시청 화상용 파일에는, 촬영 또는 기록 등에 의하여 생성되는 주화상이 되는 시점 화상 데이터와, 화상 제어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또, 시점 화상 데이터, 화상 제어 정보에 대해서는, DCF 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화상 포맷)
다음에 도11a 및 도11b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관한 결합 화상 데이터 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1a 및 도11b은, 본 실시예에 관한 결합 화상 데이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1a 및 도1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결합 화상 데이터는, 좌안용의 시점 화상(L 화상), 우안용의 시점 화상(R 화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시차화상의 일례이다. 또, L 화상 및 R 화상은, 각 시점에 있어서 촬상된 시점 화상이다. 정지화상인 상기 시점 화상으로부터 3D의 입체 시청 화상으로 합성된다.
상기 결합 화상 데이터는, 1개의 화상에, L 화상 데이터 및 R 화상 데이터가 일체가 되도록 구성되는 화상 데이터이다. 따라서, 결합 화상에 있어서의 L 화상 및 R 화상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11a에 나타내는 결합 화상(350)은, 수평방향, 좌우로 L 화상과 R 화상이 양쪽 옆에 나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11b에 나타내는 결합 화상(350)은, 수직방향, 상하에 L 화상과 R 화상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결합 화상은, 2시점일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시점으로부터 촬영한 화상을 한 장의 결합 화상으로 결합해서 기록할 경우이어도 실시가능하다.
(화상 제어 정보)
본 실시예에 관한 입체 시청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태그 정보로서의 화상 제어 정보를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메모리, CD-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 관한 화 상 제어 정보에 관한 태그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2,및 도13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관한 3D 화상 제어 정보에 관한 태그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2, 도13은,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제어 정보에 관한 태그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 도12, 도13에 나타내는 「필수/옵션」란의 기호는, ◎:필수, △:옵션(생략 가능)을 보이고 있다.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제어 정보는, 태그 정보이며, 우선 "3D Picture Management tag"로부터 시작된다. "3D Picture Management Tag"는, 4바이트로 이루어진 태그이며, 3D 화상 데이터를 기록/재생측 모두에 필수적인 태그이다. 또, 재생은, 결합 화상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3D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하는 것이다.
다음에 "3D Picture Management Size”은, 4바이트로 이루어지고, 기록/재생측 모두 필수적인 태그이다.
3D Picture Management Version"은, 4바이트로부터 이루어지고, 기록/재생측 모두 필수적인 태그이다.
"Picture Structure"은, 1바이트로 이루어지고, 기록/재생측 모두 필수적인 태그이다.
"picture Specific Data"는, 3D 화상 데이터 중 시차화상 고유의 데이터에 관한 태그의 모임이며, 적어도 1 이상의 태그에 대해서는, 기록/재생 모두 필수적이다.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Picture Structure"에 관한 태그인 “ Assumed Display"은, 4바이트의 태그이며, 기록측은 필수이고, 재생측은 옵션의 태그이다. 또 "Assumed Display"은, 3D 화상(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가능한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적정한 사이즈의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태그이다. 따라서 "Assumed Display”의 태그의 필드에는,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종류와 크기가 설정된다.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크기는, 본 실시예에서는 인치(inch)에 의해 나타내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
또한 절단영역 또는 유효영역을 지정하는 것 이외에, 시점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할 때에, 상정하는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종류와, 디스플레이의 크기(사이즈) 등을, 상기 설명의 "Assumed Display"의 태그에서 설정할 수 있다.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할 때에, 예를 들면 1인치 정도의 사이즈의 작은 휴대 단말용의 시차화상으로부터 변환된 입체 시청 화상을, 50인치 등 사이즈가 큰 TV (텔레비젼) 등에서, 도트 대응 표시하지 않고, 갑자기 확대해서 표시하면,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맞추어, 시차도 확대되어, 입체감이 매우 강한 입체 화상을 사용자는 시청하기 때문에, 눈이 피로하다. 또한, 확대한 시차가, 인간의 좌우의 눈의 폭(눈간 거리)인 "65mm"을 넘어버리면, 무한히 먼 쪽에 있어서의 입체 시청 화상이 파탄해버려, 입체적으로 시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가 설정되는 "Assumed Display"의 태그의 필드 에,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시키고 싶다고 하는 표시장치(상정 표시장치)에 관한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를 설정한다. 또, 도트 대응 표시는, 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도트(화소)를, 표시 화상의 복수의 도트(화소)와1대1에 대응시켜서 표시하는 것이다. 기 도트 대응(해당) 표시와 같은 표시 개념으로서, 그 외에도 100% 표시, 화소 대응 표시 등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는, 예를 들면 상정 표시 정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가 설정되면,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화면 위에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할 때, 각 시점 화상과 함께, 각 시점 화상에 부속되는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가 체크된다. 즉 입체 시청 표시부(140)은, 이제부터 표시하려고 하는 입체 시청 화상의 상정 표시 사이즈와, 실제의 입체표시부(140)에 표시되는 표시 사이즈에 근거하여,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해도 좋은지 표시의 가부를 체크한다.
또, 상기 상정 표시 사이즈는, 입체 시청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때, 상정된대로의 크기로 표시되도록 미리 입체 시청 화상의 크기를 지정하기 위한 표시 사이즈이다. 또, 상정 표시 사이즈로는, 인치 등의 단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정 표시 사이즈는, 상기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에 설정된다.
또한 각 시점 화상 데이터의 헤더에는, 시점 화상의 세로(수직방향)과 가로(수평방향)의 화소수(픽셀수)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입체 시청 화상의 세로×가로의 화소수는, 상기 시점 화상 데이터의 헤더에 근거하여, 구해진다.
또한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각 시점 화상의 헤더부에 포함되는 시점표시 사이즈 정보에 근거하여, 구해지는 경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사이즈 정보로는, 입체 시청 화상의 세로(수직방향)과 가로(수평방향)의 화소수(픽셀수), 1인치당의 화소수(픽셀/인치)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 표시 사이즈는, 실제로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입체 시청 화상의 크기이다.
입체 시청 화상 또는 상정 표시장치에 관한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가 설정됨으로써 입체 시청 화상이 상정 이외의 상태에서,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되어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상기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는, 입체 시청 화상 또는 상정 표시장치에 관한 정보이면,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로는,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시키고 싶다고 상정하는 표시장치(상정 표시장치)의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종류(상정 디스플레이 종류 정보) 또는 표시 치수(상정 디스플레이 사이즈 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기 상정 디스플레이 사이즈 정보 혹은 상정 디스플레이 종류 정보 중 적어도 한쪽에 값이 설정된다.
또한,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에는, 상정되는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를 나타내는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가 포함된다. 또, 상기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에 근거하여,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할 때에,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가 제어된다.
예를 들면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해상도가 같아서, 입체 시청 표시부 (140)의 사이즈가 1인치와, 2인치의, 2개의 디스플레이인 경우, 1인치의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입체 시청 화상의 크기를 상정 표시 사이즈라고 하면, 2인치의 디스플레이에도 상기 상정 표시 사이즈의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되도록 표시 사이즈를 제어한다. 또, 통상적으로는, 1인치의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입체 시청 화상은 2인치의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서는, 4배의 크기로 표시되어버린다.
"Assumed Display"의 태그의 필드는, 4바이트로 이루어진다.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Assumed Display"의 필드에는,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가 격납된다. 상기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는, 상정 표시장치로서 6종류의 입체 시청 표시부(140)로부터 선택된다. 또,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새롭게 상정 표시장치로서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종류를 추가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필드 중, 최하위 자리수의 1바이트째에는, 상정 표시장치의 종류(상정 디스플레이 종류 정보)을 나타내는 값이 설정된다. 따라서,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정 디스플레이 종류 정보에는 "0"∼"5"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다. 이때, "5"의 "HMD"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생략이다. "0" 의 "휴대 단말"은, 휴대전화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상정 디스플레이 종류 정보에는 "0"∼"5"의 수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문자, 기호 등의 경우 등이어도 좋다. 상기 상정 디스플레이 종류 정보에, 상정 표시장치의 종류를 나타내는 값이 설정되어도,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시키고 싶은 상정 표시장치의 종류가 정해진다.
다음에 2바이트째부터 4바이트째는,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디스플레이의 사이즈(상정 디스플레이 사이즈 정보)를 나타내는 값이 설정된다. 단위는 인치이다. 또, 상기 상정 표시장치의 종류는,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정 디스플레이 사이즈 정보에 설정된 값에 근거하여도, 정할 수 있다.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2바이트째부터 4바이트째에 설정되는 디스플레이의 사이즈의 범위가 1인치∼4인치인 경우, 1바이트째에는 "0”(휴대 단말)이 한결같이 정해진다. 이때, 사이즈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16진 표시로 “0XFFFFFF" 등의 값이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제어 정보에는, 입체 시청 화상의 입체강도를 나타내는 태그(입체강도 태그)가 더 포함된다. 또, 입체강도는, 입체 시청 화상 표시의 입체감의 강도를 나타내고, 입체강도의 레벨치가 클수록 입체감이 강한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입체강도의 레벨치는, 예를 들면 입체 시청 화상이 가지는 시차량 등에 근거하여, 0∼3의 범위로 나타내고, 레벨치가 0인 경우, 입체감이 가장 약하다. 또한 레벨치가 3인 경우, 입체감이 가장 강하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입체강도의 레벨치는 0에서 3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레벨치는, 어떠한 범위의 경우에도 실시가능하다.
상기 입체강도 태그에는, 입체강도의 레벨치가 누적됨으로써 구해지는 누적 입체강도의 임계값을 나타내는 누적 입체강도 임계값이 설정된다. 누적 입체강도 임계값에는, 입체 시청 화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눈에 이 이상 부담을 끼칠 수 없 는 누적치가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제어 정보에는, 입체 시청 화상의 입체강도의 경고 레벨을 나타내는 태그(경고 레벨 태그)가 더 포함된다. 또, 경고 레벨은, 입체강도의 레벨치에 따라 정해진다.
상기 경고 레벨의 레벨치는, 0∼2의 범위에서 나타내고, 레벨치가 0인 경우, 경고의 엄함의 정도가 가장 낮은 경고를 나타낸다. 레벨치가 2일 경우, 엄함의 정도가 가장 높은 경고를 나타낸다.
또, 상기 경고 레벨의 레벨치는, 입체강도의 레벨치에 따라 정해지며, 예를 들면 입체강도의 레벨치가 "0" 또는 “1"인 경우, 경고 레벨의 레벨치는 "0"이며, 입체강도의 레벨치가 “2"인 경우, 경고 레벨의 레벨치는 "1"이며, 또한 입체강도의 레벨치가 "3”인 경우, 경고 레벨의 레벨치는“2" 등이 되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도15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관한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한 입체 시청 화상 표시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5은, 본 실시예에 관한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한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처리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촬상장치(100)에 의해 피사체가 촬상되면, 촬영부(101)의 합성부(131)는, 촬상소자(130)로부터 전송되는 시점 화상 데이터(L 화상 데이터, R 화상 데이터)를 결합하여, 결합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1701).
또한, 촬상장치(100)는, 상기 시점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시에, 해당 시점 화상 데이터에 부속하는 정보로서 화상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또, 상기 결합 화상 데이터와 화상 제어 정보는, 입체 시청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1조의 데이터다.
다음에 결합 화상 데이터 및 화상 제어 정보는, 데이터 다중화부(134)에 의해 다중화되어, 기록 매체(135)에 기록된다(S1702). 또, 결합 화상 데이터 및 화상 제어 정보는, 동일 폴더 내에 기록되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 화상 데이터와 화상 제어 정보가 개별적인 폴더 내에 기록되는 경우이어도 좋다. 또, 상기 기록 매체(135)는, 촬상장치(100)에 갖춰지는 경우에도 좋고, 컴퓨터 장치(150)에 갖춰지는 경우이어도 좋다.
기록 매체(135)에 결합 화상 데이터와 화상 제어 정보가 기록됨으로써(S1702), 촬상장치(100) 및 컴퓨터 장치(150)를 포함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는, 상기 결합 화상 데이터와 부속하는 화상 제어 정보를 관리 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결합 화상 데이터와 부속하는 화상 제어 정보에 근거하여, 합성되는 입체 시청 화상을 볼 수 있다.
컴퓨터 장치(150)는, 기록 매체(135)로부터, 지정된 결합 화상 데이터 및 화상 제어 정보를 판독하면, 데이터 분리부(136)는, 결합 화상 데이터와, 화상 제어 정보로 분리하고, 화상 디코드부(137) 및 화상 분리부(138)에 각각 전송한다.
디코드된 결합 화상 데이터와, 화상 제어 정보가, 화상 분리부(138)에 전송되고, 화상 변환부(139)에 의해 입체 시청 화상 데이터로 변환되면, 도16a에 나타 나 있는 바와 같이 컴퓨터 장치(150)의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입체 시청 화상(332)과 함께 표시 화면(330)이 표시된다. 또, 표시 화면(330)은, 도16b의 표시 화면(333)과 비교하면 작은 사이즈이며, 예를 들면 휴대 단말 등의 컴퓨터 장치(150)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화면이다.
도16a 및 도16b에 표시하는 상정 표시 사이즈를 설정하기 위한 「사이즈」 버튼이 마우스 등에 의해 눌러지면,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화면(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이 표시된다. 또, 필요에 따라, 표시 화면(330)의 메인 에리어(331)에 표시되는 입체 시청 화상(332)이, 상정 표시 사이즈에 적당하도록, 절단 등의 편집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상기 설정 화면으로부터 상정 표시 사이즈를 설정하는 처리 이외에, 예를 들면 촬상장치(100)의 수단에 근거해 설정하는 경우나, 미리 상정 표시 사이즈가 한결같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또는 대응점 매칭에 의해 설정될 경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설정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촬상장치(100)의 수단에 근거해 상정 표시 사이즈를 설정할 경우, 우선, 촬상장치(100)에 있어서의 무한히 먼 곳에서의 시차량(x)을 구한다. 무한히 먼 곳에서의 시차량 (X)은, 이하의 식(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해진다.
시차량(x)=수평 화소수(h)×폭주각(i)/화각(w) …식(2)
상기 폭주각은, 예를 들면 초점과 2대의 촬상장치(100)를 연결했을 때에 생기는 각도이다. 촬상장치(100)가 서로 평행하고 있을 때는 폭주각이 0도가 되고, 깊이의 시차량은 0이 된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촬상장치(100)의 무한히 먼 곳의 시차량(x)은, 2대의 촬상장치의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4장 미러식 어댑터의 어댑터를 장착한 1대의 촬상장치의 경우 등이어도 좋다.
구해진 시차량(x)은, 눈간 거리인 65mm을 넘고 있는지 아닌가 확인되어, 65mm을 넘고 있을 경우, 65mm을 넘지 않도록 시차량이 조정되고, 조정후의 시차량에 근거하여, 상정 표시 사이즈가 설정된다.
다음에 미리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가 정해지고, 상기 표시 사이즈 에 근거하여 촬상장치(100)가 설계되어 있을 경우, 상정 표시 사이즈는, 한결같이 정해진다. 따라서, 상정 표시 사이즈를 사용자측에서 설정하는 처리는 불필요가 된다.
또한, 각 시점 화상에 포함되는 대응점을 매칭함으로써 상정 표시 사이즈가 설정될 경우, 우선 상정 표시 사이즈를 설정하기 위해서 대상의 시점 화상을 선택하고, 상기 각 시점 화상에 포함되는 대응점을 추출한다. 상기 대응점의 추출은, 사용자가 추출하거나, 또는 자동적으로 장치가 추출하는 것의 어느쪽의 경우이어도 좋다. 또, 추출되는 대응점은, 예를 들면 각 시점 화상에서 3개소씩 등이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대응점은, 동일 피사체로서 각 시점 화상에서 대응이 일치하는 점이다. 예를 들면, 2시점의 경우, 동일 피사체로서 좌측 시점 화상과 우측 시점 화상의 대응이 일치하는 점이다. 또, 보통, 대응점은, 거의 각 시점 화상 내의 모든 점에 대하여 존재하지만, 모든 시점 화상 위에 반드시 대응점이 존재한다고는 할 수 없 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대응점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할 경우가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대응점은, 시점 화상 내의 어떤 영역에 존재하는 대응점의 집합체를 나타내도 좋다. 상기 대응점의 집합이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 형상 등은, 각 시점 화상에 촬영된 피사체를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하면,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크기, 형상 등의 영역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복수의 시점 화상에 동일 피사체의 컵이 촬영되고 있을 경우, 대응점을 컵의 개구부의 테두리(또는 테두리의 임의의 점)에 대하여 생각하면, 1개의 시점 화상에 촬영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의 화상 내에 존재하는 대응점이 차지하는 영역과, 다른 시점 화상에 촬영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의 화상 내에 존재하는 대응점이 차지하는 영역은, 크기, 형상 등이 거의 같은 정도로 일치한다.
또, 대응점을 추출하는 때는, 각 시점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상승시키거나, 또는 각 시점 화상을 2값화함으로써 적당한 대응점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 화상의 2값화는, 예를 들면 시점 화상의 각 화소의 휘도(밝기)에 대하여 1 또는 2 이상의 임계값을 만들고, 임계값 이하이면 “0"(흑), 임계값보다 크면 "1"(백) 등으로 하는 것이다.
대응점이 추출되면, 시점 화상마다 해당하는 대응점끼리를 연결하여, 대응점간의 거리를 구한다. 또한 구해진 대응점 간의 거리 각각의 차분을 취하는 것으로 시차량이 구해진다. 예를 들면 2시점의 경우, 좌측 시점 화상과 우측 시점 화상에 3개소씩 대응점이 추출되고, 좌측 시점 화상과 우측 시점 화상에서 해당하는 대응점끼리가 연결되어, 3개의 대응점간의 거리 (a, b, c)가 구해진다. 다음에 구해진 3개의 대응점간의 거리에 근거하여, 서로 차분 (a-b, a-c, b-c)의 절대치를 취함으로써 각각의 시차량이 구해진다. 또, 대응점의 추출은, 시점 화상 중 깊이가 있는 먼 쪽의 주변부에 대해서 행해지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구해진 시차량 중에서, 최대의 시차량을 선택하고, 해당 최대 시차량이 눈간 거리의 65mm을 넘고 있을 것인가 아닌가가 확인된다. 최대 시차량이 65mm을 넘지 않고 있을 경우, 상기 최대 시차량에 근거하여, 상정 표시 사이즈가 자동적으로 구해진다. 또한 최대 시차량이 65mm을 넘었을 경우, 최대 시차량이 65mm보다도 작아지도록 각 시점 화상의 표시 사이즈를 조정하고, 조정후의 최대 시차량에 근거하여, 상정 표시 사이즈가 구해진다.
여기에서, 상기 설정 화면에, 디스플레이의 종류 및 사이즈, 또한 표시시키고 싶은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를 나타내는 상정 표시 사이즈가 설정되면, 화상 분리부(138)은, 결합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 제어 정보의 "Assumed Display"의 필드에, 디스플레이의 종류와, 디스플레이의 사이즈와, 상정 표시 사이즈로 되는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를 설정한다(S1703). 상기 디스플레이의 종류는, 예를 들면 도14에 나타내는 "0"(휴대 단말)이며, 사이즈는 "1인치”등이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의 설정은, 상기 설명한 대로, 설정 화면을 거치는 경우 이외에, 예를 들면 촬상장치의 사양의 경우, 한결같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 대응점 매칭의 경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나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 등이 설정되면(S1703), 상기 결합 화상 데이터와 화상 제어 정보를, 다른 컴 퓨터 장치(150), 휴대 단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휴대전화(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등에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한다(S1704). 상기 송신 처리(S1704)에 의해, 다른 컴퓨터 장치 등에 대하여, 상정된대로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또는 상정된대로의 사이즈에서,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결합 화상 데이터와 화상 제어 정보는, 네트워크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CD-ROM 등의 기록 매체를 거쳐서, 결합 화상 데이터와 화상 제어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에도 좋다.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가 설정된 화상 제어 정보와, 결합 화상 데이터는, 기록 매체(135)에 기록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PC) 등, 다른 컴퓨터 장치(150)가, 상기 화상 제어 정보 및 결합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컴퓨터 장치(150)는, 기록 매체(135)에 기록된 결합 화상 데이터 및 화상 제어 정보를 판독하면, 결합 화상 데이터에 구성하는 각 시점 화상으로부터 입체 시청 화상을 합성하고,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하기 전에, 화상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를 체크한다(S1705).
상기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의 체크(S1705)는, 입체 시청 화상을 적절하게 표시가능한, 상정된대로의 입체 시청 표시부(140)인가 아닌가가 확인된다. 예를 들면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에 포함되는 상정 디스플레이 사이즈 정보 또는 상정 디스플레이 종류정보 중 적어도 한쪽과,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디스플레이 사이즈(표시 사이즈)를 비교하여, 상정 표시장치인지 아닌가가 판단된다. 상정된 입체 시청 표시부(140)이면, 시차화상으로부터 입체 시청 화상으로 합성되어,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된다(S1706).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의 체크(S1705)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입체 시청 표시부(140)와 입체 시청 화상의 양쪽의 화소수에 근거하여,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의 타당성을 체크하는 경우에도 실시가능하다.
상기 화소수에 근거한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의 체크는, 우선 컴퓨터 장치(150)는,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수평 화소수(픽셀)와 디스플레이 사이즈(인치)로부터, 식(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1인치당의 수평 화소수를 구한다. 또, 수평 화소수 이외에, 수직 화소수, 또는 1 표시화면의 전체 화소수 등의 경우이어도 좋다.
수평 화소수(h)×확대 축소 배율(x)/디스플레이 사이즈(m) …식(3)
다음에 컴퓨터 장치(150)는, 입체 시청 화상의 수평 화소수와,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에 설정된 상정 표시 사이즈로부터, 식(4)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입체 시청 화상의 1인치당의 수평 화소수를 구한다. 또, 상기 상정 표시 사이즈가 설정되지 않고 있을 경우,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할 수 없는 취지의 경고 표시 등이 행해진다. 또한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경우와 같이 수직 화소수, 또는 표시 화면 전체의 화소수 등의 경우이어도 좋다.
수평 화소수(h)×확대축소 배율(x)/상정 표시 사이즈(s) …식(4)
입체 시청 표시부(140) 및 입체 시청 화상의 1인치당의 수평 화소수가, 각각 구해지면, 쌍방을 비교함으로써 해당 입체 시청 화상을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예를 들면,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수평 화소수가 1024(픽셀),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15인치, 또한 입체 시청 화상의 수평 화소수가 160(픽셀), 상정 표시 사이즈가 2인치의 경우, 확대/축소 표시를 하지 않는 도트 대응 표시(x=1)에서는,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1인치당의 수평 화소수는, 상기 식 (3)으로부터 68(픽셀)이 된다.
다음에 입체 시청 화상의 1인치당의 수평 화소수는, 식(4)로부터 80(픽셀)이 된다. 상기 입체 시청 표시부(140)측의 68(픽셀)과 입체 시청 화상측의 80(픽셀)이 비교되어, 거의 등배이기 때문에,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가능하다고 판단된다(S1705).
여기에서, 가령 입체 시청 화상이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표시 사이즈에 비해 크다는 등의 이유로, 도트 대응 표시가 아니고,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입체 시청 화상을 확대/축소 표시가 필요할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수평 화소수가 1024(픽셀),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15인치, 또한 입체 시청 화상의 수평 화소수가 160(픽셀), 상정 표시 사이즈가 2인치의 경우, 확대/축소 표시가 3배(x=3)에서는,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1인치당의 수평 화소수는, 식(3)으로부터 68(픽셀)로, 입체 시청 화상의 1인치당의 수평 화소수는, 240(픽셀)이 된다.
상기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1인치당의 수평 화소수(68픽셀)과, 입체 시청 화상의 1인치당의 수평 화소수(240)의 비교의 결과, 도트 대응 표시에 의한 표시에서는, 대폭 화상이 확대하는 동시에, 시차도 확대되어, 입체 시청 화상으로서 파탄하는 눈간 거리(65mm)를 넘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경고 화면이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된다.
경고 화면은, 나중에 후술하지만,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입체적으로 보는 것이 곤란한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되는 취지의 메시지가 표시되고, 그래도 해당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할 것인가 아닌가를 「Yes」 버튼 또는 「No」 버튼 등을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결정된다.
또, 비교의 결과, 예를 들면 입체 시청 화상의 1인치당의 화소수가,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1인치당의 화소수의 "2”∼"3"배 정도의 범위 내인 경우,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가능하다고 판단되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적당한 범위 내가 설정될 경우이어도 실시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수평 화소수가 1024(픽셀),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15인치, 또한 입체 시청 화상의 수평 화소수가 1280(픽셀), 상정 표시 사이즈가 100인치의 경우, 도트 대응 표시(x=1)에서는,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1인치당의 수평 화소수는, 상기 식 (3)으로부터 68(픽셀)이 된다.
다음에 입체 시청 화상의 1인치당의 수평 화소수는, 상기 식 (4)로부터 약 13(픽셀)이 된다. 상기 입체 시청 표시부(140)측의 68(픽셀)과 입체 시청 화상측의 13(픽셀)이 비교되어, 도트 대응 표시에서는,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가 지나치게 작기 때문에, 시차도 작아, 입체 시청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이 곤란하 다고 판단된다(S1705). 또한 입체 시청 화상으로서 입체감이 있는 표시가 곤란한 취지의 경고 화면이 표시된다.
경고 화면은, 후술하지만,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해도, 시차가 거의 없기 때문에 입체감이 있는 화상은 표시되지 않는다는 취지의 메시지가 표시되고, 그래도 해당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할 것인가 아닌가를 「Yes」 버튼 또는 「No」 버튼 등을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결정된다.
또, 비교의 결과, 입체 시청 화상의 1인치당의 화소수가,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1인치당의 화소수의 예를 들면 1/3∼1/2배 정도의 범위 내의 경우,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가능하다고 판단되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한 범위 내를 설정하는 경우이어도 실시가능하다.
상기 예에서는,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15인치이며, 상정 표시 사이즈가 100인치이기 때문에, 이대로는 상기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는 상정된대로의 표시 사이즈의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불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표시되는 경고 화면에서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하는 「Yes」 버튼이 선택된 경우 등, 상기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15인치에서, 입체 시청 화상을, 가장 적당한 표시가 되도록,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된다.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수평 화소수가 1024(픽셀),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15인치, 또한 입체 시청 화상의 수평 화소수가 1280(픽셀), 상정 표시 사이즈가 100인치의 경우,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1인치당의 수평 화소수는, 식 (3)으로부 터 68(픽셀)이다.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1인치당의 수평 화소수가 68(픽셀)이기 때문에, 확대/축소 표시가 5배(x=5)라고 하면,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1인치당의 수평 화소수는, 65(픽셀)이 되어, 거의 같아진다.
상기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1인치당의 수평 화소수(68픽셀)과, 입체 시청 화상의 1인치당의 수평 화소수(65픽셀)의 비교의 결과, 입체 시청 화상의 1인치당의 수평 화소수가, 도트 대응 표시에 의한 때보다도 값이 증가하여, 거의 마찬가지라고 판단되고, 입체적으로 표시하는데도 적당한 시차를 갖는다고 판단된다(S1705).
따라서, 적당한 표시 사이즈로 조정된 입체 시청 화상을,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시차가 작은 입체 시청 화상을 확대 표시할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곤란한 입체 시청 화상을, 그대로 도트 대응 표시할 경우 등이어도 좋다.
다음에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의 확인 처리(S1705)후, 입체 시청 화상을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한다(S1706).
여기에서, 입체 시청 화상을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하는 표시 처리 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4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의 종류가 "0"(휴대 단말)∼“4"(프로젝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의 사이즈를 2인치에서 20인치로 확대할 경우 등, 디스플레이의 사이즈가 작은 것으로부 터, 큰 것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경우, 디스플레이의 사이즈에 유래하지 않고, 상정 표시 사이즈에 설정된 표시 사이즈의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된다.
상기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 제어 정보와 결합 화상 데이터가,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 등, 디스플레이의 사이즈(20인치 등)기 큰 컴퓨터 장치(150)에 의해, 판독된 경우, 도16b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333)이 표시된다.
도16b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333)에는 입체 시청 화상(335)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입체 시청 화상(335)은, 도16a에 나타내는 입체 시청 화상(332)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표시된다.
상기 입체 시청 화상(335)이 표시 화면(333)의 디스플레이의 사이즈에 맞춰서 확대해서 표시되지 않는 것은, 화상 제어 정보에 설정된 디스플레이의 사이즈와 비교하여, 표시 화면(333)쪽이 크기 때문에, 상기 설명대로, 화상 변환부(139) 등에 의해, 화소수와 상정 표시 사이즈에 근거하여, 도트 대응 표시, 또는 사이즈를 작게 하여 입체 시청 화상(335)으로 변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차가 눈간 거리인 65밀리미터를 넘지 않고, 미리 시차가 작은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시킴으로써 눈에 부담을 끼치지 않도록 한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입체 시청 화상(335)은 입체 시청 화상(332)과 거의 동일한 경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입체 시청 화상(332)보다도 다소 큰 사이즈로 표시될 경우이어도 실시가능하다.
또한 도16b에 나타내는 입체 시청 화상(335)을 확대 표시할 경우, 「확대」버튼이, 마우스 등에 의해 눌러진다. 마우스등에 의해 「확대」버튼이, 눌러지 면, 표시 화면(333)은,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경고 화면(310)으로 전환되어, 경고 메시지가 표시된다.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경고 화면(310)에는 "입체 시청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등의 경고 메시지가 표시된다. 「예」 버튼이 눌러지면, 확대된 입체 시청 화상(335)이 표시 화면(333)에 표시된다. 「아니요」 버튼이 눌러지면, 확대 처리되지 않고, 아래의 표시 화면(333)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경고 화면(310)이 표시되는 것은, 입체 시청 화상의 확대에 의해 시차가 커지기 때문에, 입체적으로 시인하는 것이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시차의 확대에 의해 눈의 피로가 촉진하기 때문이다.
또, 도16b에 나타내는 메인 에리어(334)의 영역 가득히 입체 시청 화상(335)이 표시되고, 도16a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330)의 메인 에리어(331)에, 상기 영역 가득히 입체 시청 화상(335)을 표시할 경우, 상기 설명과는 반대로, 도16a에 나타내는 메인 에리어(331)에 입체 시청 화상(335) 전체가 모이도록, 「축소」 버튼 등의 가압에 의해 축소되어, 입체 시청 화상(335)이 표시 화면(330)에 표시된다. 또, 「축소」 버튼의 가압에 의해, 시차가 작기 때문에 입체감의 없는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된다는 취지의 경고 화면이 표시되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 관한 「확대」 버튼 또는 「축소」 버튼의 가압에 의해, 입체 시청 화상(335)의 표시 사이즈가 변동하지만, 표시 사이즈가 변동할 때마다, 변동후의 입체 시청 화상(335)의 시차로부터 입체강도를 구하고, 화상 제어 정보의 태그에 포함되는 입체강도 태그 등의 값을 갱신해도 좋다. 예를 들면 오리지널의 입체 시청 화상(335)의 입체강도가 “1”인 경우, 입체 시청 화상(335)의 확대 표시 때에는 "2"로서 취급한다.
또한 「확대」 버튼 또는 「축소」 버튼의 버튼이 눌러질 때마다, 화상 제어 정보의 태그에 포함되는 입체강도 태그 등의 값을 갱신해도 좋다. 예를 들면 「확대」 버튼이 눌러지면, 입체강도 태그의 값에 "1"을 가산하고, 「축소」버튼이 눌러지면, 입체강도 태그의 값으로부터 "1" 감산하는 등의 경우이어도 좋다.
다음에 도18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관한 입체 시청 화상의 연속 표시 제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8은, 본 실시예에 관한 입체 시청 화상의 누적 입체강도의 변화의 개략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누적 입체강도의 그래프는, 세로축이 누적 입체강도이고, 가로축이 시간(t)으로 이루어진 그래프이다. 상기 누적 입체강도의 그래프로부터, 입체 시청 화상을 연속 표시함으로써, 누적되는 입체강도의 변화의 모양을 알 수 있다.
또, 누적 입체강도의 임계값은, 도18에 나타내는 누적 입체강도 임계값 L이다. 누적 입체강도가 상기 누적 입체강도 임계값 L을 넘는 것이, 3D(3차원)의 입체 시청 화상으로부터 2D(2차원)의 화상으로 전환하는 1가지 목표가 된다.
도 18에 나타내는 t1은, 입체 시청 화상이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된 표시 개시 시점을 나타낸다. 즉, 사용자가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입체 시청 화상을 시청하는 시작 시점이다.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가 개시되면, 예를 들면 1초 등 마다, 소정시간마다, 화상 변환부(139) 등에 의해,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되고 있는지 아닌가의 확인이 행해지고,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입체강도의 레벨치를, 누적 입체강도에 가산한다. 또, 표시 개시 시점은, 누적 입체강도는 "0”이다.
도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t1로부터 t2까지는, 소정시간마다 상기 입체강도의 레벨치가 누적 입체강도에 가산되므로, 도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누적 입체강도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계단 모양으로 가산된다. 또, 입체강도의 레벨 치가 일정한 경우에는, 누적 입체강도에 가산되는 증분값도 일정하다.
다음에 t2의 시점에서는, 입체 시청 화상의 입체강도의 레벨치가 변동했기 때문에, 누적 입체강도에 가산되는 증분치가 증대하고 있다. 즉, 사용자는, 입체감이 한층 더 강해진 입체 시청 화상을 시청하고 있게 된다.
t2 이후는, 변동후의 입체강도의 레벨치가, 소정시간마다 누적 입체강도에 가산된다. 그리고, 상기 누적 입체강도에 가산된 누적치가 누적 입체강도 임계값 L에 도달하면(t3), 입체 시청 화상의 연속 표시 제한이 개시된다. 입체 시청 화상을 누적적으로 시청함으로써, 사용자의 눈에 부담이 걸리기 때문이다. 또, 누적 입체강도 임계값 L은, 예를 들면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종류나 표시 치수, 또는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 등에 맞추어,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연속 표시 제한이 개시되면, 입체 시청 표시부(140) 에 “이 이상, 입체 시청 화상을 시청하면 인체에 영향이 있다"는 취지의 경고 화면이 표시된다. 상기 경고 화면에는, 상기 메시지의 이외에, 2D 화상으로 전환하기 위한 「2D」 버튼이 표시된다.
상기 「2D」버튼이, 마우스 등의 입력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해, 눌러지면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입체 시청 화상이 2D 화상으로 전환된다. 또, 상기 「2D」 버튼이 눌러질 때까지는, 계속해서 소정시간마다 입체강도의 레벨치가 누적 입체강도에 가산되어, 그대로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된다.
「2D」 버튼이 눌러지면(t4) 입체 시청 화상으로부터 2D 화상으로 전환되어, 누적 입체강도의 값도 "0"으로 초기화된다. 이때, 입체 시청 표시부(140)의 표시 화면을 오프로 하고, 아무것도 표시하지 않는 상태로 했을 경우에도, 누적 입체강도는 초기화된다. 또, 상기 2D 화상은, 2차원의 화상이면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입체 시청 화상의 합성전의 각 시점 화상이나, 미리 결정된 소정의 화상 등을 예시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2D 화상을 표시하지 않고, 소정시간의 사이, 소비전력 경감에 이바지하기 위해서 표시 처리를 정지할 경우이어도 좋다.
입체 시청 화상으로부터 2D 화상으로 전환후, 2D 화상의 표시된 상태가, 예를 들면 1분만큼 등 소정시간 경과하면, 입체 표시부(140)에 "3D의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가능하다" 등의 메시지와 함께, 2D 화상으로부터 입체 시청 화상으로 전환하기 위한 「3D」 버튼이 표시된다.
상기 「3D」 버튼이 마우스 등의 입력부에 의해 눌러지면,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가 시작하고(t5), 2D 화상으로부터 입체 시청 화상으로 전환하고, 다시 입체 시청 화상이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된다. 또, t5 이후는, 다시 소정시간마다, 입체강도의 레벨치가 누적 입체강도에 가산된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누적 입체강도는, 소정시간마다 입체강도의 레벨치가 가산될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되는 사이는, 누적 입체강도는 계단 모양이 아니라 비례 직선과 같이, 항상 어떤 일정한 증분이 유지되는 경우 등이어도 좋다.
다음에 도19을 참조하면서, 경고 레벨에 의한 경고 화면 표시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9은, 본 실시예에 관한 경고 레벨에 의한 경고 화면 표시 처리의 개략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설명한 도18에 나타내는 누적 입체강도에 의해 표시되는 경고 화면과는 별도로, 경고 레벨에 의해 경고 화면이 표시될 경우가 있다. 우선, 입체 시청 화상을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할 때에, 입체강도의 레벨치에 근거하여, 경고 레벨을 확인한다(S1901).
상기 경고 레벨이 "0"일 경우(S1902), 입체적으로 표시해도 문제없다고 해서, 입체 시청 화상이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된다(S1907).
또한 상기 경고 레벨이 "0"이 아닐 경우(S1902), 다음에 경고 레벨이 "1"인지 아닌가가 확인된다.
상기 경고 레벨이 “1"인 경우(Sl903), 표시 사이즈가 축소된 입체 시청 화 상과 경고 화면이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된다(S1904).
도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는, 상정 표시 사이즈의 입체 시청 화상보다도 입체감이 약한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2001)과, 입체감이 강한 취지의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는 영역(2002)으로부터 적어도 구성된다. 또, 도20은, 본 실시예에 관한 경고 레벨에 의해 표시되는 입체 시청 화상과 경고 화면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상기 설명과 같이, 경고 레벨이 "1"인 것으로부터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야기하는 등의 이유에 의해, 영역 2001에는, 시차가 축소된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영역 2002에는, 경고 메시지와, 또한 「YES」 버튼 및 「NO」 버튼이 표시된다.
도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경고 메시지를 확인후, 상기 경고 레벨에 관계없이, 통상대로 입체 시청 화상을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할 경우, 마우스 등의 입력부에 의해, 「YES」 버튼이 눌러지면, 보통 표시라고 판단되어(S1906), 입체 시청 화상은, 그대로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된다(S1907).
또한 그것과는 반대로, 사용자는 상기 경고 메시지를 확인후, 상기 경고 레벨에 따라,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그대로의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하지 않을 경우(S1906), 해당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되지 않게 된다(S1908).
다음에 도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경고 레벨이 "1”이 아닐 경우(S1903),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가, 더 한층 축소된 입체 시청 화상과 경고 화면이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된다(S1905).
도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는, 도20에 나타내는 입체 시청 화상보다도, 더욱 시차를 축소하고, 입체감이 매우 약한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2003)과, 입체감이 매우 강한 취지의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는 영역(2004)으로 적어도 구성된다. 또, 도21은, 본 실시예에 관한 경고 레벨에 의해 표시되는 입체 시청 화상과 경고 화면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상기 설명대로, 경고 레벨이 “1”보다도 크기 때문에,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초래할 가능성이 극히 높다는 등의 이유로부터 영역 2003에는, 표시 사이즈가 매우 작아진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영역 2004에는, 경고 메시지와, 또한 「YES」 버튼과 「NO」 버튼이 표시된다.
도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경고 메시지를 확인후, 상기 경고 레벨에 관계없이, 통상대로 입체 시청 화상을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할 경우, 마우스 등의 입력부에 의해, 「YES」 버튼이 눌러지면, 보통 표시로 판단되어(S1906), 입체 시청 화상은, 그대로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된다(S1907).
또한 그것과는 반대로, 사용자는 상기 경고 메시지를 확인후,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S1906), 해당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되지 않게 된다(S1908).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입체 시청 화상은, 경고 화면의 표시후,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하지 않을 경우, 해당 입체 시청 화상의 화상 파일이 닫힐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입체 시청 화상의 시차를 적당히 축소함으로써 표시하는 등의 경우에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경고 화면은,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와 함께 1화면 내에 표시될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2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는, 상정 표시 사이즈의 입체 시청 화상만이 표시되고, 경고 화면에 대해서는, 도2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과는 별도로 표시될 경우 등이어도 좋다.
도22b에 나타내는 「YES」 버튼이 눌러짐으로써 보통 표시로 판단되고(S1906), 입체 시청 화상은, 그대로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표시된다(S1907).
또한 그것과는 반대로, 사용자는 상기 경고 메시지를 확인후, 통상대로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S1906), 해당 입체 시청 화상의 화상 파일이 표시되지 않게 된다(S1908). 또, 도22a 및 도22b은, 본 실시예에 관한 경고 레벨에 의해 표시되는 입체 시청 화상의 화면과 경고 화면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경고 레벨에 의해 표시되는 경고 화면은, 누적 입체강도에 의한 경고 화면쪽이 먼저 표시된 경우, 또는 입체 시청 화상의 확대/축소에 의한 경고 화면쪽이 먼저 표시된 경우 등, 연속해서 표시되지 않고, 예를 들면 1분간 등의 간격을 두고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경고 레벨에 의해 표시되는 경고 화면, 본 실시예에 관한 누적 입체강도에 의한 경고 화면, 또는 본 실시예에 관한 입체 시청 화상의 시차의 확대 등에 의한 경고 화면 중 표시되는 경고 화면은, 표시되는 1개의 입체 시청 화상에 대해서 1회로 제한되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경고 레벨에 의해 표시되는 경고 화면은, 경고 레벨을 체크할 때마다, 매회표시할 경우나, 1회째만 표시할 경우, 또는 경고 레벨이 "1"이나 "2”에 해당하는 입체 시청 화상이 예를 들면 20회 등 소정회수 표시되면 경고 화면이 표시되는 등의 경우에도 실시가능하다.
각 시점 화상 등의 콘텐츠에 부속되는 화상 제어 정보에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를 포함하게 함으로써, 표시시키고 싶은 입체 시청 표시부(140)를 미리 상정한 후에,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고, 또한 입체 시청 표시부(140)에서 표시하는데에 적응하는 콘텐츠를, 부속의 상정 디스플레이 정보에 근거하여, 상정 디스플레이 사이즈 정보와 상정 표시 사이즈 등과의 상관 관계를 리스트 표시 등 함으로써, 원하는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상정할 수 있다는 것은 명확하며, 그들에 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양해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2시점 화상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3 이상의 복수 시점 화상의 경우 이어도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입체 시청 화상으로 합성해서 표시시키고 싶다고 상정하는 표시장치의 종류나 표시 치수,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 등을 지정할 수 있고, 상기 지정된 정보를 부속 정보로서 시점 화상과 함께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할 때, 상정하는 표시장치와 다른 종류 또는 표시 치수인 경우, 경고하거나, 또는 입체 시청 화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각 시점 화상의 서로의 시차량이 적정한 범위에서 표현된 자연스러운 입체 시청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입체 시청용의 입체 시청 화상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 화상 표시 방법 등에 적용가능하다.

Claims (29)

  1. 적어도 서로 시차를 가지는 복수의 시점 화상을 합성해서 입체 시청 화상을 생성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점이 다른 복수의 시점 화상은, 입체 시청 화상을 합성해서 표시시키고 싶은 상정 표시장치에 관한 상정 표시 정보와 함께 관리되며,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될 때, 상기 상정 표시 정보에 근거하여 경고 화면의 표시를 할 것인가 아닌가가 판단되며,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입체강도에 근거하여 경고 화면의 표시를 할 것인가 아닌가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정 표시 정보는, 상기 상정 표시장치의 종류 및 표시 치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정 표시 정보에는,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을 상정된대로의 표시 사이즈로 표시시키기 위한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정 표시 정보에는,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을 상정된대로의 표시 사이즈로 표시시키기 위한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는, 적어도 상기 상정 표시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정 표시 정보는, 상기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를 변경할 때에, 표시 사이즈의 변경에 대해서 알리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될 때, 적어도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 및 상기 상정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경고 화면의 표시를 할 것인가 아닌가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된 표시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경고 화면을 표시할 것인가 아닌가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누적되는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입체강도의 누적치에 근거하여, 상기 경고 화면의 표시를 할 것인가 아닌가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정 표시 정보에 포함되는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경고 화 면의 표시를 할 것인가 아닌가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의 확대 및 축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경고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의 확대 및 축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경고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화면은,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입체강도 및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표시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단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화면은, 입체강도의 누적치에 근거하여, 표시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단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은, 서로 시차를 가지는 우측 시점 화상과 좌측 시점 화상으로부터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시점 화상과 좌측 시점 화상은 1개의 결합 화상으로서 관리되고, 상기 상정 표시 정보는, 상기 결합 화상의 태그 정보로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18. 서로 시차를 가지는 복수의 시점 화상의 합성에 의해, 생성되는 입체 시청 화상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입체 시청 화상 제공방법에 있어서,
    시점이 다른 상기 복수의 시점 화상의 데이터와 함께 관리되고,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을 표시시키고 싶은 상정 표시장치에 관한 부속 정보를, 상기 시점 화상의 데이터와 함께 제공하며,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될 때, 상기 부속 정보에 근거하여 경고 화면의 표시를 할 것인가 아닌가가 판단되며,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입체강도에 근거하여 경고 화면의 표시를 할 것인가 아닌가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정보는, 상정 표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상정 표시 정보는, 상기 상정 표시장치의 종류 및 표시 치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상정 표시 정보에는,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을 상정된대로의 표시 사이즈로 표시시키기 위한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상정 표시 정보에는,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을 상정된대로의 표시 사이즈로 표시시키기 위한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는, 적어도 상기 상정 표시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상정 표시 정보는, 상기 상정 표시 사이즈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
  25.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은, 서로 시차를 가지는 우측 시점 화상과 좌측 시점 화상으로부터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시점 화상과 좌측 시점 화상은 1개의 결합 화상으로서 관리되고, 상기 상정 표시 정보는, 상기 결합 화상의 태그 정보로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
  27. 적어도 서로 시차를 가지는 복수의 시점 화상을 합성해서 입체 시청 화상으로 합성해서 표시하는 화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2 이상의 디스플레이 사이에 있어서 동일한 표시 사이즈의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되며,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이 표시될 때, 표시 사이즈에 근거하여 경고 화면의 표시를 할 것인가 아닌가가 판단되며,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입체강도에 근거하여 경고 화면의 표시를 할 것인가 아닌가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를 변경할 때에, 표시 사이즈의 변경에 대해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방법.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시청 화상의 표시 사이즈의 확대 및 축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경고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방법.
KR1020057019379A 2003-04-17 2004-04-16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과,화상 표시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057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13510 2003-04-17
JPJP-P-2003-00113510 2003-04-17
JP2003365331A JP4490074B2 (ja) 2003-04-17 2003-10-24 立体視画像処理装置、立体視画像表示装置、立体視画像提供方法、および立体視画像処理システム
JPJP-P-2003-00365331 2003-10-24
PCT/JP2004/005491 WO2004093469A1 (ja) 2003-04-17 2004-04-16 立体視画像処理装置、立体視画像提供方法、画像表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957A KR20060023957A (ko) 2006-03-15
KR101057971B1 true KR101057971B1 (ko) 2011-08-23

Family

ID=33302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3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057971B1 (ko) 2003-04-17 2004-04-16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과,화상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05776B2 (ko)
EP (1) EP1619903A4 (ko)
JP (1) JP4490074B2 (ko)
KR (1) KR101057971B1 (ko)
CN (1) CN1788497B (ko)
WO (1) WO20040934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275B1 (ko) 2004-08-26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신호 발생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스케일링 방법
JP4925831B2 (ja) * 2004-11-12 2012-05-09 株式会社ニコン 映像表示装置
US20080036758A1 (en) * 2006-03-31 2008-02-14 Intelisu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global or local position of a point of interest within a scene using a three-dimensional model of the scene
JP2008010043A (ja) 2006-06-27 2008-01-17 Canon Inc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JP4763571B2 (ja) * 2006-10-24 2011-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立体画像生成装置及び立体画像復号装置
JP4403173B2 (ja) 2006-12-22 2010-01-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表示用ファイルの生成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表示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4686795B2 (ja) * 2006-12-27 2011-05-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及び画像再生装置
US11228753B1 (en) 2006-12-28 2022-01-18 Robert Edwin Douglas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tereoscopic zooming on a head display unit
US11275242B1 (en) 2006-12-28 2022-03-15 Tipping Point Medical Imag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tereoscopic rotation of a volume on a head display unit
US11315307B1 (en) 2006-12-28 2022-04-26 Tipping Point Medical Imag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otating viewpoints using a head display unit
US10795457B2 (en) 2006-12-28 2020-10-06 D3D Technologies, Inc. Interactive 3D cursor
KR101313740B1 (ko) * 2007-10-08 2013-10-15 주식회사 스테레오피아 원소스 멀티유즈 스테레오 카메라 및 스테레오 영상 컨텐츠제작방법
US8390674B2 (en) 2007-10-10 2013-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atigue resulting from viewing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ata stream of low visual fatigue three-dimensional image
EP2051533B1 (en) * 2007-10-19 2014-11-12 Canon Kabushiki Kaisha 3D image rendering apparatus and method
JP4341723B2 (ja) * 2008-02-22 2009-10-0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光投影装置、照明装置
EP2292017A1 (en) * 2008-06-13 2011-03-09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marking a stereoscopic film
US20100046917A1 (en) * 2008-08-21 2010-02-25 David Naranjo 3d enabled player/recorder
JP4625515B2 (ja) * 2008-09-24 2011-02-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3次元撮影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D603445S1 (en) 2009-03-13 2009-11-03 X6D Limited 3D glasses
USD624952S1 (en) 2008-10-20 2010-10-05 X6D Ltd. 3D glasses
USRE45394E1 (en) 2008-10-20 2015-03-03 X6D Limited 3D glasses
USD666663S1 (en) 2008-10-20 2012-09-04 X6D Limited 3D glasses
US8542326B2 (en) 2008-11-17 2013-09-24 X6D Limited 3D shutter glasses for use with LCD displays
CA2684513A1 (en) * 2008-11-17 2010-05-17 X6D Limited Improved performance 3d glasses
US8335425B2 (en) * 2008-11-18 2012-12-18 Panasonic Corporation Playback apparatus, playback method, and program for performing stereoscopic playback
JP4793451B2 (ja) 2009-01-21 2011-10-12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37573B2 (ja) * 2009-02-05 2011-08-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3次元画像出力装置及び方法
US9986175B2 (en) 2009-03-02 2018-05-29 Flir Systems, Inc. Device attachment with infrared imaging sensor
US10244190B2 (en) 2009-03-02 2019-03-26 Flir Systems, Inc. Compact multi-spectrum imaging with fusion
US9948872B2 (en) 2009-03-02 2018-04-17 Flir Systems, Inc. Monitor an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ccupant safety and energy efficiency of structures
US9208542B2 (en) 2009-03-02 2015-12-08 Flir Systems, Inc. Pixel-wise noise reduction in thermal images
US10757308B2 (en) 2009-03-02 2020-08-25 Flir Systems, Inc. Techniques for device attachment with dual band imaging sensor
US9635285B2 (en) 2009-03-02 2017-04-25 Flir Systems, Inc. Infrared imaging enhancement with fusion
US9674458B2 (en) 2009-06-03 2017-06-06 Flir Systems, Inc. Smart surveillance camera systems and methods
US9843742B2 (en) 2009-03-02 2017-12-12 Flir Systems, Inc. Thermal image frame capture using de-aligned sensor array
US9517679B2 (en) 2009-03-02 2016-12-13 Fl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vehicle occupants
US9756264B2 (en) 2009-03-02 2017-09-05 Flir Systems, Inc. Anomalous pixel detection
US9998697B2 (en) 2009-03-02 2018-06-12 Fl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vehicle occupants
US9235876B2 (en) 2009-03-02 2016-01-12 Flir Systems, Inc. Row and column noise reduction in thermal images
US9451183B2 (en) 2009-03-02 2016-09-20 Flir Systems, Inc. Time spaced infrared image enhancement
US9473681B2 (en) 2011-06-10 2016-10-18 Flir Systems, Inc. Infrared camera system housing with metalized surface
USD765081S1 (en) 2012-05-25 2016-08-30 Flir Systems, Inc.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ttachment with camera
USD646451S1 (en) 2009-03-30 2011-10-04 X6D Limited Cart for 3D glasses
WO2010122775A1 (ja) * 2009-04-21 2010-10-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
JP5400467B2 (ja) * 2009-05-01 201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出力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D672804S1 (en) 2009-05-13 2012-12-18 X6D Limited 3D glasses
USD650956S1 (en) 2009-05-13 2011-12-20 X6D Limited Cart for 3D glasses
US9292909B2 (en) 2009-06-03 2016-03-22 Flir Systems, Inc. Selective image correction for infrared imaging devices
US9756262B2 (en) 2009-06-03 2017-09-05 Fl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ower systems
US9843743B2 (en) 2009-06-03 2017-12-12 Flir Systems, Inc. Infant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thermal imaging
US9716843B2 (en) 2009-06-03 2017-07-25 Flir Systems, Inc. Measurement device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and related methods
US9819880B2 (en) 2009-06-03 2017-11-14 Fl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of suppressing sky regions in images
US10091439B2 (en) 2009-06-03 2018-10-02 Flir Systems, Inc. Imager with array of multiple infrared imaging modules
KR101719980B1 (ko) * 2010-06-22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3차원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TW201119353A (en) 2009-06-24 2011-06-01 Dolby Lab Licensing Corp Perceptual depth placement for 3D objects
US8237777B2 (en) * 2009-06-25 2012-08-07 Eastman Kodak Company Stereoscopic image intensity balancing in light projector
JP5336285B2 (ja) * 2009-07-21 2013-11-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撮像装置
US9380292B2 (en) 2009-07-31 2016-06-28 3Dmedia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3D) images of a scene
US8436893B2 (en) 2009-07-31 2013-05-07 3Dmedia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selecting image capture positions to generate three-dimensional (3D) images
US8508580B2 (en) 2009-07-31 2013-08-13 3Dmedia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creating three-dimensional (3D) images of a scene
KR20110018261A (ko) * 2009-08-17 2011-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텍스트 서브타이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재생 장치
KR20110025123A (ko) 2009-09-02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영상 배속 재생 방법 및 장치
US9294751B2 (en) * 2009-09-09 2016-03-22 Mattel,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arity adjustment during stereoscopic zoom
JP5698243B2 (ja) * 2009-09-16 2015-04-0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3dスクリーン・サイズ補償
USD669522S1 (en) 2010-08-27 2012-10-23 X6D Limited 3D glasses
USD692941S1 (en) 2009-11-16 2013-11-05 X6D Limited 3D glasses
USD671590S1 (en) 2010-09-10 2012-11-27 X6D Limited 3D glasses
KR20110054396A (ko) * 2009-11-17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영상용 셔터 안경,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1114863A (ja) * 2009-11-23 2011-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3D映像の提供方法、3D映像の変換方法、GUI提供方法及びこれを適用した3Dディスプレイ装置、そして3D映像の提供システム{Methodforproviding3Dimage、methodforconverting3Dimage、GUIprovidingmethodrelatedto3Dimageand3Ddisplayapparatusandsystemforproviding3Dimage}
JP5532864B2 (ja) * 2009-11-27 2014-06-25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再生装置、立体映像記録再生方法、及び再生方法
JP5474530B2 (ja) * 2009-12-28 2014-04-16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
US8684531B2 (en) 2009-12-28 2014-04-01 Vision3D Technologies, Llc Stereoscopic display device projecting parallax image and adjusting amount of parallax
USD662965S1 (en) 2010-02-04 2012-07-03 X6D Limited 3D glasses
JP2011182075A (ja) * 2010-02-26 2011-09-15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画像処理装置
JP5488056B2 (ja) * 2010-03-03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1108277A1 (ja) * 2010-03-05 2011-09-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立体撮像装置および立体撮像方法
JP5491617B2 (ja) 2010-03-05 2014-05-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立体撮像装置、および立体撮像方法
JP5444452B2 (ja) * 2010-03-05 2014-03-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立体撮像装置および立体撮像方法
US9426441B2 (en) * 2010-03-08 2016-08-23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ethods for carrying and transmitting 3D z-norm attributes in digital TV closed captioning
KR101699740B1 (ko) * 2010-04-14 201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2d/3d 변환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와 그 동작제어방법
US9706138B2 (en) 2010-04-23 2017-07-11 Flir Systems, Inc. Hybrid infrared sensor array having heterogeneous infrared sensors
US9848134B2 (en) 2010-04-23 2017-12-19 Flir Systems, Inc. Infrared imager with integrated metal layers
US9207708B2 (en) 2010-04-23 2015-12-08 Flir Systems, Inc. Abnormal clock rate detection in imaging sensor arrays
US9918023B2 (en) 2010-04-23 2018-03-13 Flir Systems, Inc. Segmented focal plane array architecture
JP5449536B2 (ja) 2010-04-28 2014-03-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画像再生装置及び方法、立体撮像装置、立体ディスプレイ装置
JP5449537B2 (ja) * 2010-04-28 2014-03-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画像再生装置及び方法、立体撮像装置、立体ディスプレイ装置
CN102860017B (zh) * 2010-04-28 2015-06-10 富士胶片株式会社 立体摄像装置及其制造方法
JP5604173B2 (ja) * 2010-04-30 2014-10-08 三洋電機株式会社 再生装置、表示装置、記録装置及び格納媒体
CN102959973B (zh) 2010-06-25 2015-01-21 富士胶片株式会社 立体图像重放设备、立体图像重放系统以及立体图像重放方法
CN102316332B (zh) * 2010-07-09 2014-11-26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立体图像信号的处理方法
KR101809479B1 (ko) * 2010-07-21 2017-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12029007A (ja) * 2010-07-22 2012-02-09 Toshiba Corp 映像出力装置及び映像出力方法
CN101895779B (zh) * 2010-07-23 2011-10-05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立体显示方法和系统
US8446461B2 (en) * 2010-07-23 2013-05-21 Superd Co. Ltd. Three-dimensional (3D) display method and system
JP2012044308A (ja) * 2010-08-16 2012-03-01 Sharp Corp 3d画像出力装置及び3d画像表示装置
JP2012044383A (ja) * 2010-08-18 2012-03-01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2608553A4 (en) * 2010-08-19 2014-04-16 Panasonic Corp STEREOSCOPIC IMAGE RECORDING DEVICE AND STEREOSCOPIC IMAGE RECORDING METHOD
JP2012047974A (ja) * 2010-08-26 2012-03-08 Toshiba Corp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USD664183S1 (en) 2010-08-27 2012-07-24 X6D Limited 3D glasses
AU2011296954B2 (en) * 2010-09-03 2016-02-11 Sony Corporation Encoding device and encoding method, as well as decoding device and decoding method
JP4951102B2 (ja) * 2010-09-08 2012-06-13 株式会社東芝 通知システム、シャッターメガネ、及び通知方法
JP5681588B2 (ja) * 2010-09-30 2015-03-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画像編集装置および立体画像編集方法
JP2012080309A (ja) * 2010-10-01 2012-04-19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コンテンツ受信機
JP5730524B2 (ja) * 2010-10-01 2015-06-10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WO2012061549A2 (en) 2010-11-03 2012-05-10 3Dmedia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reating three-dimensional video sequences
KR20120062589A (ko) * 2010-12-06 2012-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FR2969457A1 (fr) * 2010-12-15 2012-06-22 France Telecom Procede et dispositif d'evaluation d'une chaine de production et de visualisation d'images stereoscopiques
WO2012092246A2 (en) 2010-12-27 2012-07-05 3Dmedia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identifying a rough depth map in a scene and for determining a stereo-base distance for three-dimensional (3d) content creation
US10200671B2 (en) 2010-12-27 2019-02-05 3Dmedia Corporation Primary and auxiliary image capture devices for image processing and related methods
US8274552B2 (en) 2010-12-27 2012-09-25 3Dmedia Corporation Primary and auxiliary image capture devices for image processing and related methods
US8600151B2 (en) 2011-01-03 2013-12-03 Apple Inc. Producing stereoscopic image
JP5759728B2 (ja) * 2011-01-20 2015-08-05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329549B (zh) 2011-01-25 2016-03-09 富士胶片株式会社 立体视频处理器、立体成像装置和立体视频处理方法
JP2012160039A (ja) 2011-02-01 2012-08-23 Fujifilm Corp 画像処理装置、立体画像印刷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66996B2 (ja) * 2011-03-09 2013-12-1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WO2012127824A1 (ja) * 2011-03-18 2012-09-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眼鏡、立体視映像処理装置、システム
JP2012212990A (ja) * 2011-03-30 2012-11-01 Brother Ind Ltd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EP2506263A1 (en) * 2011-03-31 2012-10-03 Thomson Licensing Stereoscopic scene graph for defining 3D- and 2D-compatible graphical objects
US9519994B2 (en) 2011-04-15 2016-12-13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ndering 3D image independent of display size and viewing distance
JP5052683B1 (ja) * 2011-04-19 2012-10-17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映像表示方法
US20140192150A1 (en) * 2011-06-02 2014-07-10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device, control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hich records the control program
US9058653B1 (en) 2011-06-10 2015-06-16 Flir Systems, Inc. Alignment of visible light sources based on thermal images
CN103828343B (zh) 2011-06-10 2017-07-11 菲力尔系统公司 基于行的图像处理和柔性存储系统
US9143703B2 (en) 2011-06-10 2015-09-22 Flir Systems, Inc. Infrared camera calibration techniques
US10051210B2 (en) 2011-06-10 2018-08-14 Flir Systems, Inc. Infrared detector array with selectable pixel binning systems and methods
US10079982B2 (en) 2011-06-10 2018-09-18 Flir Systems, Inc. Determination of an absolute radiometric value using blocked infrared sensors
US9900526B2 (en) 2011-06-10 2018-02-20 Flir Systems, Inc. Techniques to compensate for calibration drifts in infrared imaging devices
CN103875235B (zh) 2011-06-10 2018-10-12 菲力尔系统公司 用于红外成像装置的非均匀性校正技术
US10169666B2 (en) 2011-06-10 2019-01-01 Flir Systems, Inc. Image-assisted remote control vehicle systems and methods
EP2719167B1 (en) 2011-06-10 2018-08-08 Flir Systems, Inc. Low power and small form factor infrared imaging
US9961277B2 (en) 2011-06-10 2018-05-01 Flir Systems, Inc. Infrared focal plane array heat spreaders
US9235023B2 (en) 2011-06-10 2016-01-12 Flir Systems, Inc. Variable lens sleeve spacer
US10841508B2 (en) 2011-06-10 2020-11-17 Flir Systems, Inc. Electrical cabinet infrared monitor systems and methods
US10389953B2 (en) 2011-06-10 2019-08-20 Flir Systems, Inc. Infrared imaging device having a shutter
US9509924B2 (en) 2011-06-10 2016-11-29 Flir Systems, Inc. Wearable apparatus with integrated infrared imaging module
US9706137B2 (en) 2011-06-10 2017-07-11 Flir Systems, Inc. Electrical cabinet infrared monitor
JP2013005259A (ja) * 2011-06-17 2013-01-07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818531B2 (ja) * 2011-06-22 2015-11-18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CN103428463B (zh) * 2012-05-19 2016-10-1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3d视频源存储方法和装置及3d视频播放方法和装置
JP2014003465A (ja) * 2012-06-19 2014-01-09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811884B2 (en) 2012-07-16 2017-11-07 Flir System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uppressing atmospheric turbulence in images
CN104620282B (zh) 2012-07-16 2018-01-12 菲力尔系统公司 用于抑制图像中的噪声的方法和系统
USD711959S1 (en) 2012-08-10 2014-08-26 X6D Limited Glasses for amblyopia treatment
US10996542B2 (en) 2012-12-31 2021-05-04 Flir Systems, Inc. Infrared imaging system shutter assembly with integrated thermister
US20150177608A1 (en) * 2013-02-01 2015-06-25 Jeremy Richard Nelson Auto stereoscopic projector screen
US9973692B2 (en) 2013-10-03 2018-05-15 Flir Systems, Inc. Situational awareness by compressed display of panoramic views
US11297264B2 (en) 2014-01-05 2022-04-05 Teledyne Fur, Llc Device attachment with dual band imaging sensor
US9906772B2 (en) * 2014-11-24 2018-02-27 Mediatek Inc. Method for performing multi-camera capturing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apparatus
US10057558B2 (en) * 2015-09-04 2018-08-21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eoscopic display
CN112835192B (zh) * 2021-01-18 2023-01-24 浙江未来技术研究院(嘉兴) 一种面向手术显微镜的立体图像互补增强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0675A1 (en) * 2000-09-12 2002-03-14 Tomoaki Kawai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
US20030156188A1 (en) * 2002-01-28 2003-08-21 Abrams Thomas Algie Stereoscopic video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6793B1 (en) * 1993-04-21 2002-12-17 Borland Softwar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national language support with embedded locale-specific language driver identifiers
JP3322283B2 (ja) * 1993-09-14 2002-09-0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3288195B2 (ja) 1995-03-20 2002-06-04 株式会社ダスキン 接触吸着による集塵装置
JP3653790B2 (ja) * 1995-05-23 2005-06-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立体電子ズーム装置及び立体画質制御装置
JPH0918894A (ja) * 1995-06-26 1997-01-17 Sanyo Electric Co Ltd 立体映像表示装置
JP3579162B2 (ja) * 1995-06-29 2004-10-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立体cg画像生成装置
US6005607A (en) * 1995-06-29 1999-12-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tereoscopic computer graphics image generating apparatus and stereoscopic TV apparatus
JPH09252478A (ja) * 1996-03-14 1997-09-22 Nippon Steel Corp 立体映像表示における使用時間測定装置および方法
JPH1146373A (ja) 1997-07-29 1999-02-16 Sony Corp 立体映像取り込み装置
JP4149037B2 (ja) * 1998-06-04 2008-09-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映像システム
JP2000152285A (ja) * 1998-11-12 2000-05-30 Mr System Kenkyusho:Kk 立体画像表示装置
JP3358584B2 (ja) * 1999-03-30 2002-12-24 ミノルタ株式会社 3次元情報入力カメラ
JP2001346227A (ja) 2000-06-01 2001-12-14 Minolta Co Ltd 立体画像表示装置、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立体画像表示用データファイル
JP2002189441A (ja) * 2000-10-11 2002-07-05 Olympus Optical Co Ltd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JP3520860B2 (ja) * 2001-02-09 2004-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ファイルの出力画像調整
JP4646459B2 (ja) * 2001-08-01 2011-03-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CN1407367A (zh) * 2001-08-27 2003-04-02 席光 双屏影像立体视觉方法及其装置
JP3789794B2 (ja) * 2001-09-26 2006-06-28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画像処理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2003299121A (ja) * 2002-04-05 2003-10-17 Canon Inc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0675A1 (en) * 2000-09-12 2002-03-14 Tomoaki Kawai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
US20030156188A1 (en) * 2002-01-28 2003-08-21 Abrams Thomas Algie Stereoscopic vide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8497B (zh) 2010-05-12
US7605776B2 (en) 2009-10-20
WO2004093469A1 (ja) 2004-10-28
EP1619903A4 (en) 2010-09-15
US20070257902A1 (en) 2007-11-08
EP1619903A1 (en) 2006-01-25
CN1788497A (zh) 2006-06-14
KR20060023957A (ko) 2006-03-15
JP4490074B2 (ja) 2010-06-23
JP2004334833A (ja) 200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971B1 (ko) 입체 시청 화상처리장치, 입체 시청 화상 제공 방법과,화상 표시 방법
JP4693900B2 (ja) 画像処理装置
US7889196B2 (en) 3-dimensional image creating apparatus, 3-dimensional image reproducing apparatus, 3-dimension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3-dimensional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the program
JP4879932B2 (ja) 立体画像表示方法及び立体画像伝送方法
US20080170806A1 (en) 3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3111101A (ja) 立体画像処理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20020030675A1 (en)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
EP2315452A2 (en) 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stereo images with improved parallax.
CN101584223A (zh) 图像文件处理装置、图像文件再现装置、以及图像文件加工编辑装置
KR101238555B1 (ko) 스테레오 화상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JP4529556B2 (ja) 立体視用の画像ファイルを生成する電子機器、3次元画像データを生成する電子機器、画像ファイル生成方法、3次元画像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画像ファイルのファイル構造
JP200701337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画像処理用プログラム、画像再生用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シート
JP4442190B2 (ja) 立体視画像処理装置
JP2005184377A (ja) 画像変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記録装置
JP4255753B2 (ja) 立体視画像管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525049B2 (ja) 立体視画像処理装置,および立体視画像生成方法
KR101025785B1 (ko) 3차원 실물 화상장치
JPWO2007029686A1 (ja) 立体画像記録再生システム
JP2005130312A (ja) 立体視画像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視差補正方法
JP4403378B2 (ja) 立体視画像処理装置,立体視画像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0268433A (ja) 立体視画像処理装置、及び立体視画像生成方法
JP2005128896A (ja) 立体視画像処理装置,立体視画像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871226B1 (ko) 스테레오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3090185A (ja) 画像ファイル生成装置、画像ファイル読込装置、画像ファイル生成方法、画像ファイル読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190473B2 (ja) 立体画像を構成する複数の視点画像の視点位置識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3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8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