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62589A -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2589A
KR20120062589A KR1020110011137A KR20110011137A KR20120062589A KR 20120062589 A KR20120062589 A KR 20120062589A KR 1020110011137 A KR1020110011137 A KR 1020110011137A KR 20110011137 A KR20110011137 A KR 20110011137A KR 20120062589 A KR20120062589 A KR 20120062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utput
image signal
video signal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성
장주용
민종술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1847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EP2649804B1/en
Priority to CN201180058706.8A priority patent/CN103250420B/zh
Priority to MX2013006412A priority patent/MX2013006412A/es
Priority to JP2013541918A priority patent/JP5977754B2/ja
Priority to BR112013013849-1A priority patent/BR112013013849B1/pt
Priority to PCT/KR2011/008493 priority patent/WO2012077912A1/en
Priority to US13/312,149 priority patent/US8913106B2/en
Publication of KR20120062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58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78Metadata, e.g. dispar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7Calibr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16Rotation, translation, sc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7Aspects relating to detection of stereoscopic image format, e.g. for adaptation to the display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3D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3D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송신 기기 정보 및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3D 영상 신호의 변이(disparity)를 비선형적으로 변환하여,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와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깊이 정보를 가지는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변환부 및 출력 3D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3D 영상 신호를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3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3D 영상 신호를 적절하게 변환하여 출력 가능한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보다 현실감 있는 시청을 위하여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개발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극장에서 주로 시청하던 3D 영상 신호를 가정에서도 TV와 같은 일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TV가 아닌 휴대폰이나 PDA, 노트북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3D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해상도 및 사이즈의 3D 영상 신호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폰과 같은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청하던 3D 영상 신호를 TV와 같은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청하고 싶어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 기기 간 3D 컨텐츠, 즉, 3D 영상 신호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마련할 수 있다.
하지만, 3D 영상 신호를 송신하는 기기와 수신하는 기기의 특성이 서로 다르다면, 정상적인 3D 영상 신호 시청이 어려울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작은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청하던 3D 영상 신호를 TV와 같은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그 디스플레이 크기에 따라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영상 크기 변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데, 이 경우, 원본의 입체감이 왜곡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크기만을 고려하여 3D 영상 신호의 변위를 조정하면, 과도한 크기의 깊이를 가지게 되어 사용자가 시청 시에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에 맞게 3D 영상 신호를 적절하게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3D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송신 기기 정보 및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3D 영상 신호의 변이(disparity)를 비선형적으로 변환하여,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와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깊이 정보를 가지는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변환부 및 출력 3D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3D 영상 신호로부터 상기 송신 기기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신 기기 정보는,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부가 정보가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송신 기기 정보는,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 제조 번호, 제품 명, 해상도, 디스플레이 사이즈, 시청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송신 기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및 기기 별로 매칭되는 해상도, 디스플레이 사이즈, 시청 거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수신 기기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수신 기기 정보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송신 기기 정보에 매칭되는 해상도, 디스플레이 사이즈 및 시청 거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3D 영상 신호의 변이(disparity)를 비선형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변환부는,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가 상기 가이드라인을 이탈하면, 상기 가이드라인에 따라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입체감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는,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변환부는,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송신 기기 정보가 미확인되면, 상기 가이드라인에 따라 상기 3D 영상 신호의 입체감을 조정하여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환부는,
Figure pat00001
와 같은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변이를 연산하고,
Figure pat00002
와 같은 수학식에 상기 연산된 출력 3D 영상 신호의 변이를 적용하여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 D2를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b는 기 설정된 사용자의 양안 간격, a는 상기 3D 영상 신호 및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 간의 기 설정된 비례 상수, f1은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까지의 기 설정된 제1 시청거리, f2는 상기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까지의 기 설정된 제2 시청거리, T1은 상기 3D 영상 신호의 변이, T2는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변이가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변환부는,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와 같은 수학식을 이용하여 연산된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 D2를 기록해둔 룩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깊이 정보 D2를 독출하여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도, 상기 수학식에서 b는 기 설정된 사용자의 양안 간격, a는 상기 3D 영상 신호 및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 간의 기 설정된 비례 상수, f1은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까지의 기 설정된 제1 시청거리, f2는 상기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까지의 기 설정된 제2 시청거리, T1은 상기 3D 영상 신호의 변이, T2는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변이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디스플레이 방법은,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3D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송신 기기 정보 및 상기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 신호의 변이(disparity)를 비선형적으로 변환하여, 상기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와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깊이 정보를 가지는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방법은, 상기 3D 영상 신호로부터 상기 송신 기기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송신 기기 정보는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부가 정보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송신 기기 정보는,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 제조 번호, 제품 명, 해상도, 디스플레이 사이즈, 시청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은, 상기 송신 기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기기 별로 매칭되는 해상도, 디스플레이 사이즈 및 시청 거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수신 기기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로부터 상기 수신 기기 정보 및 상기 입력된 송신 기기 정보에 매칭되는 해상도, 디스플레이 사이즈 및 시청 거리에 대한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독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 신호의 변이(disparity)를 비선형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는, 본 방법은,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가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을 이탈하면, 상기 가이드라인에 따라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입체감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방법은,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송신 기기 정보가 미확인되면,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상기 3D 영상 신호의 입체감을 조정하여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생성 단계는,
Figure pat00005
와 같은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변이를 연산하고,
Figure pat00006
와 같은 수학식에 상기 연산된 출력 3D 영상 신호의 변이를 적용하여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 D2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에서 b는 기 설정된 사용자의 양안 간격, a는 상기 3D 영상 신호 및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 간의 기 설정된 비례 상수, f1은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까지의 기 설정된 제1 시청거리, f2는 상기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까지의 기 설정된 제2 시청거리, T1은 상기 3D 영상 신호의 변이, T2는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변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생성 단계는,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와 같은 수학식을 이용하여 연산된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 D2를 기록해둔 룩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깊이 정보 D2를 독출하여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학식에서 b는 기 설정된 사용자의 양안 간격, a는 상기 3D 영상 신호 및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 간의 기 설정된 비례 상수, f1은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까지의 기 설정된 제1 시청거리, f2는 상기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까지의 기 설정된 제2 시청거리, T1은 상기 3D 영상 신호의 변이, T2는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변이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기 특성에 맞게 3D 영상 신호를 적절히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3D 영상 신호를 최적의 환경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들 간의 3D 영상 신호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 및 도 4는 거리 및 변이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깊이 정보를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들 간의 3D 영상 신호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3D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3D 영상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1 3D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명하고, 3D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3D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명한다. 또한, 상술한 3D 영상 신호는 스테레오 영상이 될 수 있다. 스테레오 영상이란 하나의 피사체를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두 개의 영상, 즉,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포함한다.
도 1에서 제1 3D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휴대폰으로 도시되고, 제2 3D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서로 반대인 경우도 가능하며, 제1 및 제2 3D 디스플레이 장치(10, 100)는 각각 TV나 휴대폰 이외에 노트북 PC, 전자 액자, 전자 책, PDA, 전자 수첩,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1 3D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출력하고 있거나, 저장되어 있는 3D 영상 신호를 제2 3D 디스플레이 장치(10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USB 케이블과 같은 유선 인터페이스나, 각종 무선 인터페이스 규격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3D 디스플레이 장치(10, 100)를 서로 연결한 후, 제1 3D 디스플레이 장치(10)나 제2 3D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정보 전송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3D 영상 신호를 공유할 수 있다.
제1 3D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제공되는 3D 영상 신호는, 제1 3D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기기 특성에 맞게 생성된 신호이다. 제1 3D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해상도, 디스플레이까지의 거리인 시청 거리 등의 기기 특성과, 제2 3D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기 특성이 서로 다르다면, 제2 3D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3D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제공되는 3D 영상 신호를 자신의 기기 특성에 맞게 변환하여 출력하여야 한다.
3D 영상 신호에서 변이(disparity)와 실제 거리(distance)와의 상관 관계는 비선형 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영상 보간 기법을 이용하여 변이를 선형적으로 변환하면, 그에 따른 입체감은 비선형적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영상 보간 기법으로 변이를 선형적으로 변환한 출력 3D 영상 신호를 제2 3D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하면, 원본 입체감이 왜곡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3D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변이와 거리 사이의 관계 함수를 이용하여 원본 입체감이 유지될 수 있도록 3D 영상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3D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D 영상 신호를 송신한 제1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송신 기기 정보와, 3D 영상 신호를 수신한 제2 3D 디스플레이 장치 자신의 수신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3D 영상 신호의 변이(disparity)를 비선형적으로 변환한다. 이 경우, 변이와 거리는 비선형적인 관계를 가지므로,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 자체는 선형적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제2 3D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와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깊이 정보를 가지는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수신된 3D 영상 신호에 대한 처리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수신 측 장치인 제2 3D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반드시 3D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만 3D 영상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유형의 기기나 저장 매체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 상이한 기기 정보에 맞게 변환된 3D 영상 신호를 제공받는 경우에도, 제2 3D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변이를 비선형적으로 변환하여, 자신의 기기 정보에 맞게 깊이 정보가 선형적으로 비례 조정된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3D 영상 신호의 생성 기준이 된 3D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로부터 3D 영상 신호가 전송되거나, 이러한 3D 영상 신호가 다른 저장 매체나 다른 소스를 통해 전달된 경우에도, 그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과, 이를 출력할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 차이를 고려하여, 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D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신호 공유 상황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에 따르면, 송신 측 3D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기기 정보가 수신 측 3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용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서의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수신측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도 2에 따르면,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부(110), 변환부(120),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3D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 이 경우, 수신부(110)는 상술한 설명처럼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3D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그 밖에, 저장 매체나 방송국, 웹 서버 등과 같은 각종 외부 장치로부터 3D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되는 3D 영상 신호는 특정의 기기 정보에 맞게 생성된 깊이 맵(depth map)을 가지게 된다. 깊이 맵이란 깊이의 변화 상태를 하나의 영상으로 구성한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깊이란 피사체와 카메라 간의 거리, 피사체와 피사체의 영상이 맺히는 기록매체 (예를 들어, 필름)간의 거리 등과 같이 입체감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즉,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서로 대응되는 포인트 간의 거리 차가 크면 그만큼 더 입체감이 증대함을 알 수 있다. 깊이 맵이란, 이러한 깊이의 변화 상태를 하나의 영상으로 구성한 것으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에서 서로 매칭되는 포인트 간의 거리의 크기에 따라 상이해지는 그레이 레벨로 표현될 수 있다.
변환부(120)는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송신 기기 정보 및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3D 영상 신호의 변이(disparity)를 비선형적으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변환부(120)는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와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깊이 정보를 가지는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3D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면, 변환부(120)는 그 3D 영상 신호를 이용 가능한 장치의 기기 정보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변환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변환부(120)에서 변환된 출력 3D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각각 기 설정된 횟수만큼 교번적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새로운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특성에 맞게 변환되면서, 원본 입체감을 최대한 유지하는 상태인 3D 영상 신호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거리 및 변이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30)의 디스플레이 화면(131)으로부터 시청 거리(f)만큼 떨어진 사용자는 양안(21, 22)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131)을 시청한다. 이 경우, 양안(21, 22) 사이의 거리, 즉, 양안 간격은 사람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으나, 평균적인 사용자의 양안 간격에 대한 측정 결과를 토대로 특정 값(b)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131)으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 즉, 시청 거리(f)는 해당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나, 디스플레이 사이즈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가령, 휴대폰과 같은 소형의 휴대 기기인 경우에는, 시청 거리는 대략 20cm 내지 40cm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 TV와 같이 상대적으로 대형인 기기인 경우에는, 시청 거리는 대략 2 미터 내지 3미터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양안(21, 22)이 디스플레이 화면(131) 상에서 바라보는 포인트 간의 거리, 즉, 물리적 변이는 아래 수식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9
도 3과 같이 시청 거리, 양안 거리, 거리(Distance) 및 변이(Disparity)가 정해진 경우, 변이와 거리 사이의 관계는 다음 수식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10
도 4는 수학식 2를 표현한 그래프이다.
도 4에 따르면, 변이와 거리 사이의 관계는 비선형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변이가 커짐에 따라 객체까지의 거리, 즉, 깊이 감은 비선형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변환부(120)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입력되는 3D 영상 신호의 변이(disparity)를 비선형적으로 변환함으로써,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자체는 입력 3D 영상 신호에 비해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깊이를 가지도록 한다.
일 예를 들면, 변환부(120)는 먼저 다음 수식을 이용하여 출력 3D 영상 신호의 변이를 연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11
여기서, b는 기 설정된 사용자의 양안 간격, a는 3D 영상 신호 및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 간의 기 설정된 비례 상수, f1은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까지의 기 설정된 제1 시청거리, f2는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까지의 기 설정된 제2 시청거리, T1은 3D 영상 신호의 변이, T2는 출력 3D 영상 신호의 변이를 나타낸다.
변환부(120)는 연산된 출력 3D 영상 신호의 변이를 다음 수식에 적용하여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12
D2란 수신 측 3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하는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를 의미한다.
송신 측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신호의 깊이인 D1과 비교하면, D2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Figure pat00013
상술한 바와 같이 a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간의 비례 상수이다. 사용자 등은 a를 임의의 값으로 설정하여 입체감을 자신이 원하는 수준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또는, a는 기 설정된 디폴트 값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가령, a는 수신 측의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최적화된 특정 값 또는, 송신 및 수신 측 기기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관계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특정 값 등을 정리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정해질 수도 있다.
한편, 변환부(120)는, 송신 기기 정보나, 입력되는 3D 영상 신호와 관련된 정보 등이 확인될 수 없는 경우에는, 입력되는 3D 영상 신호의 변이를 선형적으로 비례 조정하여,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변환부(120)는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에 대한 정보를 참고하여 재조정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가이드라인에 맞게 입체감을 조정하여, 가이드라인 내에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입체감 조정은 변이 또는 깊이 정보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라인이란 3D 디스플레이 시청 시에 느껴지는 눈의 피로감을 줄이기 위하여 정해놓은 것으로, 객체 간의 최대 변이 또는 최대 깊이 등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가이드라인은 안전 가이드라인, 안전 범위, 허용 범위 등과 같은 다양한 이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변환부(120)는 상술한 수학식들을 이용하여 깊이가 조정된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한 이후에도, 그 깊이 정보나 변이 또는 그들에 의해 정해지는 입체감이 가이드라인을 이탈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가이드라인에 따라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 또는 변이를 조정하여 입체감을 자동 변환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변환부(120)가 변이나 깊이 정보들을 직접 연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매 변환시마다 이러한 정보들을 직접 연산할 필요는 없으며, 상술한 여러 수학식들을 이용하여 미리 연산해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송신 기기 정보 및 수신 기기 정보들을 다양하게 조합시켜 그 때의 변이나 깊이 정보들을 룩업 테이블로 정리해둘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변환부(120)는 입력되는 송신 기기 정보에 대응되는 변이나 깊이 정보를 룩업 테이블로부터 독출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의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부(110), 변환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저장부(140), 입력부(15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나 기타 외부 장치로부터 3D 영상 신호를 수신하며, 변환부(120)는 수신된 3D 영상 신호의 변이를 비선형적으로 변환하여, 선형적으로 변환된 깊이 정보를 가지는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생성된 출력 3D 영상 신호에 따라 3D 영상을 출력한다.
저장부(140)에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라인에 대한 정보, 기기 별로 매칭되는 해상도, 디스플레이 사이즈, 시청 거리에 대한 정보 및 수신 기기 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실시 예에 따라 이들 정보 전부를 저장할 수도 있고, 일부 정보들만을 저장할 수도 있다. 가령, 가이드라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로만 구현될 수 있고, 해상도나, 디스플레이 사이즈, 시청거리 등과 같은 특성 정보, 수신 기기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들 모두를 저장하는 저장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하나의 메모리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RAM, ROM, HDD,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개수의 메모리가 마련될 수도 있다.
입력부(150)는 각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50)는 3D 디스플레이 장치(100) 자체에 마련된 키 패드나, 터치 스크린, 3D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되는 키보드나 마우스 및 각종 입력 수단, 별도로 마련된 리모콘 또는 그 리모콘 신호 수신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50)를 통해 송신 기기나 3D 영상 신호의 생성 기준이 된 기기, 신호 특성 정보 등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변환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기기 정보 및 수신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송신 기기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송신 기기 정보는 3D 영상 신호 자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3D 영상 신호가 패킷 형태로 전송된다면, 패킷 헤더나 페이로드의 전부 또는 일부와 같이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송신 기기 정보가 포함되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송신 기기 정보의 기록 위치, 포맷, 사이즈 등은 송신측 및 수신측 3D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 정해진 규약에 따를 수 있다. 이러한 규약은 표준화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변환부(120)는 표준화된 규약이 있으면, 그 규약에 따라서 송신 기기 정보를 3D 영상 신호로부터 검출하여 활용할 수 있다. 수신 기기 정보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송신 기기 정보는 3D 영상 신호와는 별도로 부가 정보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3D 영상 신호를 전송한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가 3D 영상 신호와 별개로 송신 기기 정보를 전송하여 줄 수도 있고, 제3의 장치인 또 다른 외부 기기가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송신 기기 정보를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변환부(120)는 이와 같이 다양한 소스를 통해 송신 기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송신 기기 정보는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 제조 번호, 제품 명, 해상도, 디스플레이 사이즈, 시청 거리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여기서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나, 제조 번호, 제품 명 등과 같은 식별 정보만이 전송되도록 정해진 경우라면, 변환부(120)는 전송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특성 정보, 즉, 해상도, 디스플레이 사이즈, 시청 거리 등을 저장부(140)로부터 독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송신 기기 정보를 입력부(150)를 통해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송신 기기의 종류나, 제조 번호, 제품 명 등과 같은 식별 정보를 입력부(150)를 통해 직접 입력하면, 변환부(120)는 그에 대응되는 해상도, 디스플레이 사이즈 및 시청 거리에 대한 정보와, 해당 3D 디스플레이 장치(100) 자체의 수신 기기 정보를 저장부(140)로부터 독출하여, 3D 영상 신호의 변이(disparity)를 비선형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제1 3D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서로 연결하면, 화면상에 송신측 기기에 대한 정보인 송신 기기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UI 창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UI 창을 통해서 송신 기기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다른 입력 수단 등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송신 기기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소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변환부(120)는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한 이후에 그 깊이 정보가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을 이탈할 정도로 큰 입체감을 가진다면,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변이나 깊이 정보를 조정하여 입체감을 자동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변환부(120)는 송신 기기 정보의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술한 수학식들을 이용한 출력 3D 영상 신호 생성이 어려우므로, 장치(100) 자신의 수신 기기 정보만을 이용하여 변이나 깊이를 조정하여 가이드라인 범위 내에서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시청 피로도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가이드라인에 맞게 입체감을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와 같이 작은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화면(11)을 통해 시청하던 3D 영상 신호를 상술한 방식으로 출력 3D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도 6의 b와 같이 큰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화면(131)을 시청하게 된 경우, 변환된 출력 3D 영상 신호의 변이는 T2와 같이 가이드라인을 이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입체감이 과도하여 눈의 피로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라인의 범위 이내인 T2' 와 같이 변이를 조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변이 조정은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선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변이 조정에 의해 결과적으로 입체감이 조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따르면, 3D 영상 신호가 수신되면(S710), 송신 기기 정보나 수신 기기 정보와 같은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3D 영상 신호의 변이를 비선형적으로 변환하여,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S720). 생성된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는 수신된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와 선형적인 비례 관계를 가지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수학식 3 내지 5 등과 같은 방식으로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된 출력 3D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S73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따르면, 3D 영상 신호가 수신되면(S810), 그 3D 영상 신호의 생성 기준이 된 기기의 정보인 송신 기기 정보와, 수신 기기 정보 등을 확인한다(S820).
이에 따라, 송신 기기 정보가 확인되면, 그 확인된 송신 기기 정보에 매칭되는 특성 정보를 독출하고(S840), 독출된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3D 영상 신호의 변이를 비선형적으로 변환하여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S850).
한편, 송신 기기 정보가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송신 기기 정보를 입력하면, 그 입력된 송신 기기 정보에 대응되는 특성 정보를 독출하여(S840), 그에 따라 3D 영상 신호의 변이를 비선형적으로 변환하여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S850).
그리고 나서, 출력 3D 영상 신호의 입체감이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 이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860). 확인 결과,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 이내라면 그 상태대로 출력 3D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S880).
반면, 가이드라인을 이탈한다면, 가이드라인에 따라 입체감을 조정한다(S870). 그리고 나서, 조정된 입체감을 가지는 출력 3D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S880).
한편, 송신 기기 정보의 확인이 불가능하고 입력도 되지 않은 경우라면, 가이드라인에 따라 입체감을 조정한 후, 그 상태로 출력한다(S880).
이상과 같은 3D 디스플레이 방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그 밖에 다른 구성을 가지는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도 2 내지 도 6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송신 기기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받고, 그 정보를 이용하여 원본 입체감을 최대한 그대로 유지하면서 눈의 피로감도 제거 또는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3D 디스플레이 장치들 사이에서 3D 영상 신호를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과 같은 3D 디스플레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술한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기록 매체가 연결되거나 탑재된다면, 상술한 3D 디스플레이 방법이 지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수신부 120 : 변환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저장부
150 : 입력부

Claims (18)

  1.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3D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송신 기기 정보 및 상기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 신호의 변이(disparity)를 비선형적으로 변환하여, 상기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와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깊이 정보를 가지는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변환부; 및,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3D 영상 신호로부터 상기 송신 기기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기기 정보는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부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기기 정보는,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 제조 번호, 제품 명, 해상도, 디스플레이 사이즈, 시청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기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및,
    기기 별로 매칭되는 해상도, 디스플레이 사이즈, 시청 거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수신 기기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환부는,
    상기 수신 기기 정보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송신 기기 정보에 매칭되는 해상도, 디스플레이 사이즈 및 시청 거리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3D 영상 신호의 변이(disparity)를 비선형적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환부는,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가 상기 가이드라인을 이탈하면, 상기 가이드라인에 따라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입체감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환부는,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송신 기기 정보가 미확인되면, 상기 가이드라인에 따라 상기 3D 영상 신호의 입체감을 조정하여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Figure pat00014

    와 같은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변이를 연산하고,
    Figure pat00015

    와 같은 수학식에 상기 연산된 출력 3D 영상 신호의 변이를 적용하여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 D2를 연산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b는 기 설정된 사용자의 양안 간격, a는 상기 3D 영상 신호 및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 간의 기 설정된 비례 상수, f1은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까지의 기 설정된 제1 시청거리, f2는 상기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까지의 기 설정된 제2 시청거리, T1은 상기 3D 영상 신호의 변이, T2는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변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와 같은 수학식을 이용하여 연산된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 D2를 기록해둔 룩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깊이 정보 D2를 독출하여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b는 기 설정된 사용자의 양안 간격, a는 상기 3D 영상 신호 및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 간의 기 설정된 비례 상수, f1은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까지의 기 설정된 제1 시청거리, f2는 상기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까지의 기 설정된 제2 시청거리, T1은 상기 3D 영상 신호의 변이, T2는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변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장치.
  10.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3D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송신 기기 정보 및 상기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신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 신호의 변이(disparity)를 비선형적으로 변환하여, 상기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와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깊이 정보를 가지는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 신호로부터 상기 송신 기기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기기 정보는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부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기기 정보는,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 제조 번호, 제품 명, 해상도, 디스플레이 사이즈, 시청 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기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기기 별로 매칭되는 해상도, 디스플레이 사이즈 및 시청 거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수신 기기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로부터 상기 수신 기기 정보 및 상기 입력된 송신 기기 정보에 매칭되는 해상도, 디스플레이 사이즈 및 시청 거리에 대한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독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3D 영상 신호의 변이(disparity)를 비선형적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가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을 이탈하면, 상기 가이드라인에 따라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입체감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송신 기기 정보가 미확인되면, 기 설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상기 3D 영상 신호의 입체감을 조정하여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Figure pat00018

    와 같은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변이를 연산하고,
    Figure pat00019

    와 같은 수학식에 상기 연산된 출력 3D 영상 신호의 변이를 적용하여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 D2를 연산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b는 기 설정된 사용자의 양안 간격, a는 상기 3D 영상 신호 및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 간의 기 설정된 비례 상수, f1은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까지의 기 설정된 제1 시청거리, f2는 상기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까지의 기 설정된 제2 시청거리, T1은 상기 3D 영상 신호의 변이, T2는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변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와 같은 수학식을 이용하여 연산된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 D2를 기록해둔 룩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깊이 정보 D2를 독출하여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수학식에서 b는 기 설정된 사용자의 양안 간격, a는 상기 3D 영상 신호 및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깊이 정보 간의 기 설정된 비례 상수, f1은 상기 타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까지의 기 설정된 제1 시청거리, f2는 상기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까지의 기 설정된 제2 시청거리, T1은 상기 3D 영상 신호의 변이, T2는 상기 출력 3D 영상 신호의 변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10011137A 2010-12-06 2011-02-08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Ceased KR20120062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847128.3A EP2649804B1 (en) 2010-12-06 2011-11-09 Three-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and 3d display method thereof
CN201180058706.8A CN103250420B (zh) 2010-12-06 2011-11-09 三维显示装置及其三维显示方法
MX2013006412A MX2013006412A (es) 2010-12-06 2011-11-09 Aparato de presentacion visual tridimensional y metodo de presentacion visual en 3d del mismo.
JP2013541918A JP5977754B2 (ja) 2010-12-06 2011-11-09 3d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方法
BR112013013849-1A BR112013013849B1 (pt) 2010-12-06 2011-11-09 Aparelho de visualização tridimensional (3d), e método de visualização tridimensional (3d) de um aparelho de visualização 3d
PCT/KR2011/008493 WO2012077912A1 (en) 2010-12-06 2011-11-09 Three-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and 3d display method thereof
US13/312,149 US8913106B2 (en) 2010-12-06 2011-12-06 3D display apparatus and 3D display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2005710P 2010-12-06 2010-12-06
US61/420,057 2010-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589A true KR20120062589A (ko) 2012-06-14

Family

ID=4668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137A Ceased KR20120062589A (ko) 2010-12-06 2011-02-08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13106B2 (ko)
EP (1) EP2649804B1 (ko)
JP (1) JP5977754B2 (ko)
KR (1) KR20120062589A (ko)
CN (1) CN103250420B (ko)
BR (1) BR112013013849B1 (ko)
MX (1) MX2013006412A (ko)
WO (1) WO20120779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6687A (ko) * 2012-09-18 2014-03-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레오 영상의 위치보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9549B (zh) * 2011-01-25 2016-03-09 富士胶片株式会社 立体视频处理器、立体成像装置和立体视频处理方法
CN103533323B (zh) * 2012-07-04 2015-10-28 广州市朗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视点立体图像序列的预览方法及系统
US9674714B2 (en) 2013-03-14 2017-06-0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rvices
WO2015096019A1 (en) 2013-12-24 2015-07-02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stereo three dimensional video processing
KR102585219B1 (ko) * 2016-11-29 2023-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속도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586379B2 (en) 2017-03-08 2020-03-10 Ebay Inc. Integration of 3D models
US11727656B2 (en) 2018-06-12 2023-08-15 Ebay Inc. Reconstruction of 3D model with immersive experience
WO2020135745A2 (zh) * 2018-12-29 2020-07-02 未来科技(襄阳)有限公司 裸眼 3d 图像的显示方法及显示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03759A3 (en) * 2002-09-17 2007-04-04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nic equipment with two and three dimensional display functions
JP3978392B2 (ja) * 2002-11-28 2007-09-19 誠次郎 富田 立体映像信号生成回路及び立体映像表示装置
CN101841728B (zh) * 2003-04-17 2012-08-08 夏普株式会社 三维图像处理装置
JP4490074B2 (ja) 2003-04-17 2010-06-23 ソニー株式会社 立体視画像処理装置、立体視画像表示装置、立体視画像提供方法、および立体視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5073049A (ja) * 2003-08-26 2005-03-17 Sharp Corp 立体映像再生装置および立体映像再生方法
KR100727940B1 (ko) * 2005-06-22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채널을 이용한 3d 입체 영상의 화질 조정 방법
JP4763571B2 (ja) 2006-10-24 2011-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立体画像生成装置及び立体画像復号装置
JP4553882B2 (ja) * 2006-10-25 2010-09-29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テレビジョン受像機,テレビジョン受像機操作システム
KR20090054835A (ko) * 2007-11-27 2009-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 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2010045584A (ja) * 2008-08-12 2010-02-25 Sony Corp 立体画像補正装置、立体画像補正方法、立体画像表示装置、立体画像再生装置、立体画像提供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988495B2 (en) * 2009-11-03 2015-03-24 Lg Ele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system
CN101895779B (zh) * 2010-07-23 2011-10-05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立体显示方法和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6687A (ko) * 2012-09-18 2014-03-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레오 영상의 위치보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39910A1 (en) 2012-06-07
BR112013013849B1 (pt) 2022-01-25
EP2649804A1 (en) 2013-10-16
CN103250420B (zh) 2017-05-31
MX2013006412A (es) 2013-07-15
US8913106B2 (en) 2014-12-16
EP2649804A4 (en) 2014-04-16
BR112013013849A2 (pt) 2020-08-11
WO2012077912A1 (en) 2012-06-14
CN103250420A (zh) 2013-08-14
JP2014505391A (ja) 2014-02-27
EP2649804B1 (en) 2019-07-10
JP5977754B2 (ja)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2589A (ko)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CN102265624B (zh) 图像处理方法及其设备
US9350971B2 (en) Three-dimensional image processor and three-dimensional image processing method
CN105828170B (zh) 图像显示装置
CN103202026B (zh) 图像转换设备及使用其的显示设备和方法
US9270934B2 (en) 3D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processing of 3D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JPWO2012035783A1 (ja) 立体映像作成装置および立体映像作成方法
KR2015011630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408719B1 (ko) 3차원 영상의 스케일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US9118903B2 (en) Device and method for 2D to 3D conversion
US8675040B2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depth perception, terminal including function for adjusting depth percep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terminal
EP2530939A2 (en) 3D-image conversion apparatus, method for adjustment depth information of the same, and storage medium thereof
CN103458179A (zh) 用于在终端中提供图像的设备和方法
US20140333724A1 (e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US892865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stored therein
US2012022403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20110090164A (ko) 영상 데이터 송신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N103581644A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及程序
TW201101839A (en) System for encoding video and method, system for decoding video and method, system for displaying video and method
KR20130010613A (ko) 2차원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10093667A (ko) 인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N118476214A (zh) 显示装置
CN117203958A (zh) 在有音频信息的三维动画虚拟环境中广播体积视频会议的系统及其操作方法
CN111918052A (zh) 竖直旋转式控制装置及平面图片转3d图像处理方法
JP201212471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2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2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2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