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396A - 입체영상용 셔터 안경,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입체영상용 셔터 안경,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54396A KR20110054396A KR1020090111018A KR20090111018A KR20110054396A KR 20110054396 A KR20110054396 A KR 20110054396A KR 1020090111018 A KR1020090111018 A KR 1020090111018A KR 20090111018 A KR20090111018 A KR 20090111018A KR 20110054396 A KR20110054396 A KR 201100543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rror
- shutter
- eye shutter
- left eye
- right ey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영상용 셔터 안경,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용 셔터 안경은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와; 상기 좌안 셔터와 상기 우안 셔터의 정상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좌안 셔터와 상기 우안 셔터의 정상 개폐에 오류가 존재하면 상기 오류를 알리기 위한 오류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오류를 쉽게 알려줄 수 있는 셔터 안경,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입체영상, 셔터 안경
Description
본 발명은 입체영상용 셔터 안경,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발전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지털/아날로그에 상관없이 다양한 형태의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최근에는 사용자들은 3차원 영상신호인 입체영상을 사용 접근성이 용이한 모니터 또는 텔레비전 등을 통하여 볼 수 있다. 입체영상신호는 2차원 영상신호와 상이하게 사용자의 우안 및 좌안에 따라 컨텐츠가 분리되는 것이 필요하며, 분리된 이미지를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각각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사용자가 우안 및 좌안으로 각각 분리된 영상을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경험하기 위하여 셔터안경을 온/오프하면서 좌우 화면이 교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셔터 글라스 방식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오류를 쉽게 알려줄 수 있는 셔터 안경,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가 진단을 할 수 있는 셔터 안경,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발생한 오류를 표시할 수 있는 셔터 안경,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용 셔터 안경은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와; 상기 좌안 셔터와 상기 우안 셔터의 정상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좌안 셔터와 상기 우안 셔터의 정상 개폐에 오류가 존재하면 상기 오류를 알리기 위한 오류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좌안 셔터 및 상기 우안 셔터를 개폐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기신호의 세기가 소정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오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좌안 셔터 및 상기 우안 셔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 레벨이 소정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오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좌안 셔터 및 상기 우안 셔터를 구동하는 셔터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 구동부에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오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상기 오류를 알리는 오류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류신호를 상기 오류알림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오류알림부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도 있고, 액정표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오류 검출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오류 검출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좌안 셔터와 상기 우안 셔터의 정상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오류알림부를 인에이블 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류가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오류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IR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오류 검출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오류 검출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좌안 셔터와 상기 우안 셔터의 정상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오류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시스템은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에 동기하여 개폐되는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를 갖는 셔터 안경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 안경은, 상기 좌안 셔터와 상기 우안 셔터의 정상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좌안 셔터와 상기 우안 셔터의 정상 개폐에 오류가 존재하면 상기 오류를 알리기 위한 오류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를 갖는 셔터 안경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좌안 셔터와 상기 우안 셔터의 정상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상기 좌안 셔터와 상기 우안 셔터의 정상 개폐에 오류가 존재하면 상기 오류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오류를 쉽게 알려줄 수 있는 셔터 안경,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가 진단을 할 수 있는 셔터 안경,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방법으로 발생한 오류를 표시할 수 있는 셔터 안경,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시스템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시스템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셔터 안 경(20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으로 구성된3차원 입체 영상을 표시하고, 셔터 안경(200)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동기하여 개폐되는 좌안 셔터와 우안 셔터를 포함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프레임 별로 분리하여 표시하고, 사용자는 좌안 셔터와 우안 셔터의 개폐를 통하여 분리된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시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셔터 안경(200)으로 동기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송신부(1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소스로부터 3차원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는 텔레비전, 모니터, 휴대용 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소스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미도시),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처리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된 모든 기술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패널 또는 유기물로 구성된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패널들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송신부(120)는 셔터 안경(200)의 좌안 셔터와 우안 셔터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영상에 동기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셔터 안경(200)으로 송신한다. 동기신호는 한 쌍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마다, 즉 두 프레임마다 송신될 수도 있고, 하나의 프레임 마다 송신될 수도 있다. 동기신호는 외부의 다른 신호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신호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신호송신부(120)는 셔터 안경(200)의 신호수신부(210)와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 및 RF 통신 중 어느 하나로 통신할 수 있다.
셔터 안경(200)은 신호수신부(210), 셔터 구동부(220), 좌안 셔터/우안 셔터(230), 배터리부(240), 오류알림부(25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신호수신부(2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셔터 구동부(220)로 출력한다.
셔터 구동부(220)는 입력되는 동기신호를 자동 이득 제어(Auto Gain Control)하여, 좌안 셔터/우안 셔터(230)를 구동한다. 셔터 구동부(220)는 동기신호를 분주하거나, 분주된 동기신호를 지연시키거나 위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좌안 셔터/우안 셔터(230)는 액정 셔터 안경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셔터 구동부(220)의 구동에 따라 개폐된다.
배터리부(240)는 좌안 셔터/우안 셔터(230) 및 셔터 구동부(220) 등과 같은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부(240)의 전원 레벨이 소정 임계값 미만이면 좌안 셔터/우안 셔터(230)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못할 수 있다. 배터리부(240)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오류알림부(250)는 셔터 안경(200)에 발생한 오류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오류알림부(250)는 오류를 시각적으로 알리기 위한 표시부로 구현될 수도 있고, 비프 음과 같은 경고음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류알림부(250)는 발생한 오류의 종류 및 오류 정도에 따라 표시상태를 변경하거나 출력음을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오류알림부(250)는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제어부(260)는 좌안 셔터/우안 셔터(230)의 정상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좌안 셔터/우안 셔터(230)의 정상 개폐에 오류가 존재하면 오류를 알리기 위한 오류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오류신호는 오류알림부(250)로 출력되고, 사용자는 오류알림부(250)를 통하여 셔터 안경(200)에 문제가 발생한 것을 인지하게 된다.
제어부(2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동기신호의 세기가 소정 기준값 미만이면 동기신호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오류신호를 생성한다. 수신된 동기신호의 세기가 작아지면 AGC을 통한 게인값이 증가한다. 제어부(260)는 게인값이 소정 값 이상이 되면 동기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미만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배터리부(240)의 전원 레벨이 소정 임계값 미만이거나 셔터 구동부(220)에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60)는 좌안 셔터/우안 셔터(230) 자체의 오류로 인하여 정상적인 개폐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오류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안경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류알림부(250)는 상이한 색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2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다이오드(251)는 좌안 셔터 또는 우 안 셔터의 안경 테두리 또는 안경 다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251)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빛을 출사하며, 빛의 색상을 통하여 오류의 종류 및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동기신호에 오류가 존재하면 적색 발광다이오드가 발광되고, 배터리부(240)의 전원 레벨이 임계값 미만이면 녹색 발광다이오드가 발광되고, 셔터 구동부(220)에 문제가 발생하면 청색 발광다이오드가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251)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점멸 주파수 등을 통하여 오류의 정도를 표시할 수도 있고, 출사되는 빛의 세기를 조절하여 오류 정도를 다르게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부(240)의 전원 레벨이 낮아짐에 따라 발광다이오드(251)의 점멸 회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고, 동기신호의 세기가 약할수록 발광되는 빛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는 발광되는 빛의 색이나 점멸 정도, 세기를 통하여 셔터 안경(200)에 어떠한 오류가 발생했으며, 오류의 심각성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 안경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안경(200)은 오류를 알리기 위한 액정표시부(252)를 포함한다. 액정표시부(252)에는 오류 종류를 나타내는 간단한 이미지, 즉 이모티콘이 표시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부(240)의 전원 레벨 또는 동기신호의 세기를 막대 이미지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오류알림부가 액정표시부(252)로 구현될 경우, 사용자는 보다 직관적으로 셔터 안경(200)의 오류를 파악할 수 있다. 액정표시부(252)는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이며, 셔터 안경(200)은 PDP, OLED와 같은 다른 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 안경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셔터 안경(200)은 오류 검출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70)를 더 포함한다.
셔터 안경(200)은 휴대용이고, 배터리부(240)의 충전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감소는 셔터 안경(200)의 이용에 중요한 이슈가 될 수 있다. 오류를 알리기 위한 오류알림부(251, 252)를 포함하는 셔터 안경(200)의 경우, 제어부(260)는 항상 또는 주기적으로 오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오류 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오류 신호를 오류알림부(251, 252)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오류를 알림으로써 셔터 안경(200)의 사용 활용도를 증가시키고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점에서 오류알림부(251, 252)를 포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이는 소비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70)를 통하여 오류 검출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좌안 셔터/우안 셔터(230)의 정상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오류알림부(251, 252)를 인에이블 시킨다. 사용자는 셔터 안경(200)을 사용하다가 좌안 셔터/우안 셔터(230)의 개폐에 이상을 느끼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270)를 선택하여 오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70)는 셔터 안경(200)의 외부에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버튼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70)가 터치 패드로 구현될 경우, 액정표시부(252)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오류알림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 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오류알림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부(260)는 항상 또는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70)로부터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좌안 셔터/우안 셔터(230)의 정상 개폐 여부를 판단한다(S10).
판단 결과, 좌안 셔터/우안 셔터(230)의 정상 개폐에 오류가 존재하면(S20), 제어부(260)는 오류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오류알림부(250)로 출력함으로써 오류를 사용자에게 알린다(S30). 오류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는 오류의 종류 및 오류의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오류의 표시상태를 변경시키거나 출력음의 출력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1)는 디스플레이부(110)와 신호송신부(120)에 추가적으로 오류신호 수신부(130)와 UI 생성부(140)를 더 포함한다.
셔터 안경(201)의 제어부(260)는 생성된 오류 신호를 오류알림부(250)에 출력할 수도 있지만, 이를 디스플레이장치(101)로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260)는 오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IR 송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RF 통신,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zigbee)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101)와의 다양한 통신방법에 대응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셔터 안경(201)은 오류알림부(25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오류신호 수신부(130)는 수신된 오류 신호를 UI 생성부(140)에 출력한다. UI 생성부(140)는 오류알림부의 한 종류로서, 수신된 오류신호에 기초하여 GUI를 생성 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GUI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GUI(Ⅰ)에는 동기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화살표 형상(A)과 배터리부(240)의 전원 레벨을 나타내는 레벨바(B)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260)가 오류 신호를 출력하면, UI 생성부(140)는 이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GUI(Ⅰ)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한다. GUI(Ⅰ)는 오류의 종류 및 정도와 함께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문제 해결 아이콘(미도시)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신호의 세기가 약해서 좌안 셔터/우안 셔터(230)가 정상적으로 구동하지 못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1)의 신호송신부(120)를 리셋하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시스템은 오류 검출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장치(101) 또는 셔터 안경(201)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장치(101)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장치에 기능키 또는 핫키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어부(2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오류 검출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좌안 셔터/우안 셔터(230) 의 정상 개폐 여부를 판단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시스템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안경이고,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 안경이고,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터 안경이고,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오류알림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8은 도 7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GUI를 표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1 : 디스플레이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신호송신부 130 : 오류신호 수신부
140 : UI 생성부 200, 201 : 셔터 안경
210 : 신소수신부 220 : 셔터 구동부
230 : 좌안셔터/우안셔터 240 : 배터리부
250 : 오류알림부 260 : 제어부
270 :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21)
- 입체영상용 셔터 안경에 있어서,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와;상기 좌안 셔터와 상기 우안 셔터의 정상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좌안 셔터와 상기 우안 셔터의 정상 개폐에 오류가 존재하면 상기 오류를 알리기 위한 오류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안경.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좌안 셔터 및 상기 우안 셔터를 개폐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기신호의 세기가 소정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오류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좌안 셔터 및 상기 우안 셔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 레벨이 소정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오류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좌안 셔터 및 상기 우안 셔터를 구동하는 셔터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 구동부에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오류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사용자에게 상기 오류를 알리는 오류알림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류신호를 상기 오류알림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오류알림부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오류알림부는 액정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 제5항에 있어서,오류 검출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오류 검출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좌안 셔터와 상기 우안 셔터의 정상 개폐 여부 를 판단하고, 상기 오류알림부를 인에이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류가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오류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IR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 제9항에 있어서,오류 검출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오류 검출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좌안 셔터와 상기 우안 셔터의 정상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오류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있어서,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에 동기하여 개폐되는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를 갖는 셔터 안경을 포함하고,상기 셔터 안경은,상기 좌안 셔터와 상기 우안 셔터의 정상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좌안 셔터와 상기 우안 셔터의 정상 개폐에 오류가 존재하면 상기 오류를 알리기 위한 오류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셔터 안경은 상기 좌안 셔터 및 상기 우안 셔터를 개폐하기 위한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기신호의 세기가 소정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오류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셔터 안경은 상기 좌안 셔터 및 상기 우안 셔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 레벨이 소정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오류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셔터 안경은 상기 좌안 셔터 및 상기 우안 셔터를 구동하는 셔터 구동 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 구동부에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오류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셔터 안경은 사용자에게 상기 오류를 알리는 오류알림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류신호를 상기 오류알림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류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하고,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상기 오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상기 수신된 오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오류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오류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오류알림부는 상기 오류신호에 기초하여 GUI를 생성하는 UI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디스플레이시스템.
-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를 갖는 셔터 안경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좌안 셔터와 상기 우안 셔터의 정상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판단 결과, 상기 좌안 셔터와 상기 우안 셔터의 정상 개폐에 오류가 존재하면 상기 오류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디스플레이시스템은 상기 오류를 표시하기 위한 오류표시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오류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는 상기 오류의 종류 및 상기 오류의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오류표시부의 표시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오류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는 상기 오류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GUI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1018A KR20110054396A (ko) | 2009-11-17 | 2009-11-17 | 입체영상용 셔터 안경,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US12/905,396 US20110115890A1 (en) | 2009-11-17 | 2010-10-15 | Shutter glasses for stereoscopy, image display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EP10188737A EP2325686A1 (en) | 2009-11-17 | 2010-10-25 | Shutter glasses for stereoscopy, image display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1018A KR20110054396A (ko) | 2009-11-17 | 2009-11-17 | 입체영상용 셔터 안경,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4396A true KR20110054396A (ko) | 2011-05-25 |
Family
ID=4346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1018A Withdrawn KR20110054396A (ko) | 2009-11-17 | 2009-11-17 | 입체영상용 셔터 안경,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115890A1 (ko) |
EP (1) | EP2325686A1 (ko) |
KR (1) | KR2011005439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54973A1 (ko) * | 2011-10-14 | 2013-04-18 |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 Lcd 렌즈를 이용한 입체영상용 안경의 동작상태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WO2013054971A1 (ko) * | 2011-10-13 | 2013-04-18 | 주식회사 정진 | 액티브형 입체안경의 외란신호 간섭 개선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717528A1 (en) * | 2009-10-20 | 2011-04-20 | Xpand, Inc. | Normalization of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3d glasses |
IL209259A0 (en) * | 2009-11-16 | 2011-04-28 | Xpand Inc | Dlp link system with multiple projectors and integrated server |
JP2011215227A (ja) * | 2010-03-31 | 2011-10-27 | Sony Corp |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提示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
US9049426B2 (en) | 2010-07-07 | 2015-06-02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three dimensional media content |
US9232274B2 (en) * | 2010-07-20 | 2016-01-05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Apparatus for adapting a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to a requesting device |
US9584798B2 (en) | 2010-12-09 | 2017-02-28 |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3D video content |
JPWO2012124343A1 (ja) * | 2011-03-17 | 2014-07-17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眼鏡装置、表示装置、眼鏡装置及び表示装置を備える映像システム並びに映像システムの制御方法 |
KR20120108639A (ko) * | 2011-03-25 | 2012-10-0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셔터 안경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시스템 |
KR20130008746A (ko) * | 2011-07-13 | 2013-01-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3d 영상변환장치, 그 구현방법 및 그 저장매체 |
US9185398B2 (en) * | 2011-09-22 | 2015-11-10 |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content |
EP2587818B1 (en) * | 2011-10-27 | 2016-08-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ulti-view device of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
JP6047893B2 (ja) * | 2012-03-09 | 2016-12-21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立体画像用メガネ、立体画像鑑賞方法及びプログラム |
KR20130139543A (ko) * | 2012-06-13 | 2013-12-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뷰 디바이스,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 |
US9591295B2 (en) * | 2013-09-24 | 2017-03-07 | Amazon Technologies, Inc. | Approaches for simulating three-dimensional views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21989A (en) * | 1990-06-11 | 1998-10-13 | Vrex, Inc. | Stereoscopic 3-D viewing system and glasses having electrooptical shutters controlled by control signals produced using horizontal pulse detection within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pulse period of computer generated video signals |
US5764280A (en) * | 1997-03-20 | 1998-06-09 | Silicon Light Machines Inc. | Display system including an image generator and movable scanner for same |
CN1075920C (zh) * | 1997-07-30 | 2001-12-05 | 艾派克科技股份有限公司 | 无线式液晶快门立体显像装置 |
US6188442B1 (en) * | 1997-08-01 | 2001-02-1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ultiviewer display system for television monitors |
US6445363B1 (en) * | 1999-02-12 | 2002-09-03 | Canon Kabushiki Kaisha |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
JP2002077182A (ja) * | 2000-08-29 | 2002-03-15 | Sony Corp | ネットワークエラー表示装置およびエラー検出表示方法 |
WO2004030376A1 (ja) * | 2002-09-27 | 2004-04-08 | Sharp Kabushiki Kaisha | 立体画像表示装置、立体画像記録装置および立体画像記録方法 |
US7760898B2 (en) * | 2003-10-09 | 2010-07-20 | Ip Venture, Inc. | Eyeglasses with hearing enhanced and other audio signal-generating capabilities |
JP4490074B2 (ja) * | 2003-04-17 | 2010-06-23 | ソニー株式会社 | 立体視画像処理装置、立体視画像表示装置、立体視画像提供方法、および立体視画像処理システム |
US8237780B2 (en) * | 2007-10-29 | 2012-08-07 | The Boeing Company | Method and apparatus for 3D viewing |
US8934000B2 (en) * | 2008-01-29 | 2015-01-13 | Eastman Kodak Company | Switchable 2-D/3-D display system |
KR101446559B1 (ko) * | 2008-03-24 | 2014-10-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3차원 영상 시청을 위한 신호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영상시청장치 |
CA2684513A1 (en) * | 2008-11-17 | 2010-05-17 | X6D Limited | Improved performance 3d glasses |
US8386415B2 (en) * | 2008-12-01 | 2013-02-26 | At&T Mobility Ii Llc | Portable wireless enabled digital media frame |
US20110025821A1 (en) * | 2009-07-30 | 2011-02-03 | Dell Products L.P. | Multicast stereoscopic video synchronization |
US8988495B2 (en) * | 2009-11-03 | 2015-03-24 | Lg Eletronics Inc. | Image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system |
-
2009
- 2009-11-17 KR KR1020090111018A patent/KR20110054396A/ko not_active Withdrawn
-
2010
- 2010-10-15 US US12/905,396 patent/US2011011589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10-25 EP EP10188737A patent/EP2325686A1/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54971A1 (ko) * | 2011-10-13 | 2013-04-18 | 주식회사 정진 | 액티브형 입체안경의 외란신호 간섭 개선방법 |
WO2013054973A1 (ko) * | 2011-10-14 | 2013-04-18 |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 Lcd 렌즈를 이용한 입체영상용 안경의 동작상태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10115890A1 (en) | 2011-05-19 |
EP2325686A1 (en) | 2011-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54396A (ko) | 입체영상용 셔터 안경,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US8836759B2 (en) | Display apparatus, 3D glass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764733B1 (ko) | 3d 안경 및 이의 전원 및 페어링 제어 방법 | |
WO2011122290A1 (ja) |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 プログラム | |
RU2013140462A (ru) | Система отображ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ретрансляции | |
US7836709B2 (en) | Refrigerator, monitoring system having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30051153A (ko)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JP6571767B2 (ja) | 映像表示装置および制御方法 | |
EP2362663B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 |
KR20120039197A (ko) | 리모트 컨트롤러, 디스플레이장치, 3d 안경 및 이들의 제어방법 | |
US20120169778A1 (en) | 3d glasses with adjusting device for allowing user to adjust degrees of crosstalk and brightness and related 3d display system thereof | |
US20150077530A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120147159A1 (en) | Three-Dimensional Video System, Shutter Glasses and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 |
JP2011151457A (ja) | 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 |
KR101212085B1 (ko) | 디스플레이장치, 3d 안경 및 그들의 제어방법 | |
US20120188227A1 (en) | Method for pairing shutter glasses and display apparatus | |
KR20110011348A (ko) | 전자기기, 원격제어장치 및 오류검출방법 | |
KR101235824B1 (ko) | 아이알 프로토콜 분석 기능을 구비하는 액정 셔터 안경 | |
JP2012141531A (ja) |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動作確認装置 | |
KR100995504B1 (ko) | 입체 영상용 안경 | |
KR100995505B1 (ko) | 입체 영상용 안경 | |
KR20120073457A (ko) | 액정 셔터 안경 | |
KR20080048807A (ko)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130013333A (ko) | 다중 화면 시청용 액정 셔터 안경 | |
KR20060121056A (ko) | 전자제품용 리모컨의 에러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