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18571B1 - 위상차판, 및 신규 폴리머, 및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위상차판, 및 신규 폴리머, 및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571B1
KR100818571B1 KR1020067024111A KR20067024111A KR100818571B1 KR 100818571 B1 KR100818571 B1 KR 100818571B1 KR 1020067024111 A KR1020067024111 A KR 1020067024111A KR 20067024111 A KR20067024111 A KR 20067024111A KR 100818571 B1 KR100818571 B1 KR 100818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olymer
general formula
phase difference
ch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4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2242A (ko
Inventor
유타카 오모리
미치에 사카모토
슈우사쿠 나카노
다카히사 고니시
세이지 우메모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2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57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 C08F216/38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by an acetal or ketal radic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48Isomerisation; Cyc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 C08F21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by an alcohol radical
    • C08F216/04Acyclic compounds
    • C08F216/06Polyvinyl alcohol ; Vinyl alcoho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위상차판은,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사슬상 폴리머를 배향시킨 단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폴리머가 반복 단위로서 하기 일반식 (Ⅴ) 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50
일반식 (Ⅴ) 중, R3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4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콕실기,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티오알콕실기, 할로겐, 니트로기, 아미노기, 수산기 또는 티올기를 나타낸다 (단, R4 및 R8 은 동시에 수소원자는 아니다). R5,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상기 위상차판은, 비교적 박층으로 할 수 있고, 가시광 영역 대략 전체의 파장 λ 의 광선에 대해서, 위상차가 대략 λ/2 또는 대략 λ/4 의 파장 분산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복굴절성, 사슬상 폴리머

Description

위상차판, 및 신규 폴리머, 및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RETARDATION FILM, NOVEL POLYMER,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위상차판, 및 신규 폴리머, 그리고 이 위상차판을 이용한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상차판은, 직선 편광, 원편광, 타원 편광 등의 편광을 얻기 위해 이용되는 광학 부재(部材)이다. 위상차판으로서는, 그 위상차가 파장 λ 의 1/4 에 상당하는 λ/4 판과, 위상차가 파장 λ 의 1/2 에 상당하는 λ/2 판이 알려져 있다. λ/4 판은, 직선 편광을 원편광으로 변환하는 광학적 기능을 갖는 것이고, λ/2 판은, 직선 편광의 편광 진동면을 90도 변환하는 광학적 기능을 갖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들 위상차판은, 특정 파장의 광에 대해서 λ/4 판이나 λ/2 판으로서 기능하지만, 상이한 파장의 광에 대해서는 λ/4 판이나 λ/2 판으로서 기능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파장 550㎚ 의 광에 대해서 λ/4 판으로서 기능하도록 설계된 위상차판은, 파장 450㎚ 나 650㎚ 의 광에 대해서는 λ/4 판으로서 기능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위상차판은, 그 위상차가 파장에 의존하고 있는 파장 분산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폴리머 필름에 있어서의 파장 분산은, 단파장측일수록 크고, 장파장측일수록 작은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파장 분산성을 나타내는 위상차판에, 가시광 영역의 광선이 혼재하고 있는 합성파인 백색광이 입사한 경우, 파장 분산성에 기인하여, 각 파장에서의 편광의 형태가 크게 다르게 편광 상태의 분포가 생긴다. 그 결과, 입사한 백색광이 유색광으로 변환된다는 큰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39518호에는, 파장 분산치α (α=Δn(45O㎚)/Δn(65O㎚)) 의 상이한 2 종류 이상의 복굴절 매체를 각 지상축이 직교한 상태에서 적층하고, 파장 분산치 α 가 1 보다 작은 위상차판이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위상차판에 의하면, 가시광역의 모든 파장에 있어서의 광학적 위상차가 광선 파장에 의하지 않고 일정해져, 백색광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갖는다고 서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위상차판은, 2 종 이상의 복굴절 매체를 적층한 적층체로 이루어지므로, 적층 접착 공정이 필요하다. 또한, 적층체를 제조할 때, 접착제의 선정이나 2 종 이상의 재료의 선정 등을 실시해야 한다. 또한,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위상차판은, 비교적 두께가 두꺼워, 보다 박형화가 요망되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용도로서는 적당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비교적 박층으로 할 수 있고, 파장 400∼700㎚ 의 가시광 영역 대략 전체의 파장 λ 의 광선에 대해서, 위상차가 예를 들면 대략 λ/2 또는 대략 λ/4 의 파장 분산성을 나타내는 위상차판, 및 이 위상차판의 재료로서 바람직한 신규 폴리머, 및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상기 과제 하, 여러 가지의 재료에 대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주쇄에 특정한 측쇄가 도입된 사슬상 폴리머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사슬상 폴리머를 배향시킨 단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이 폴리머가 측쇄 (a) 로서 하기 일반식 (Ⅰ) 로 표시되는 기를 갖고, 적어도 파장 450∼650㎚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가 단파장측일수록 작고, 또한 장파장측일수록 큰 위상차판 (1) 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01
(일반식 (Ⅰ) 중, 2 개의 산소 원자는, 주쇄를 구성하는 원자에 각각 결합한다. R1,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8 의 알킬기, 또는 방향족기를 나타낸다. 단, R1 및 R2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방향족기이며, R1 또는/및 R2 의 방향족기는, 그 평면 구조가 상기 2 개의 산소 원자를 연결한 가상선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위상차판은, 단층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것에 비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위상차판은, 400∼700㎚ 의 가시광 영역의 대략 모든 파장 λ 의 광에 대해서, 위상차가 예를 들면 대략 λ/2 또는 대략 λ/4 가 되어, 각 파장에서의 편광의 형태가 대략 동일해진다. 따라서, 이 위상차판에 백색광이 입사했을 때, 이것이 유색 편광으로 변환되지 않고, 무색 편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사슬상 폴리머를 배향시킨 단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폴리머가 측쇄 (a) 로서 하기 일반식 (Ⅱ) 또는 일반식 (Ⅲ) 로 표시되는 기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을 갖고, 적어도 파장 450∼650㎚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가 단파장측일수록 작고, 또한 장파장측일수록 큰 위상차판 (2) 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02
(일반식 (Ⅱ) 중, 2 개의 산소 원자는, 주쇄를 구성하는 원자에 각각 결합한다. R3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4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콕실기,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티오알콕실기, 할로겐, 니트로기, 아미노기, 수산기 또는 티올기를 나타낸다 (단, R4 및 R8 은 동시에 수소 원자는 아니다). R5,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03
(일반식 (Ⅲ) 중, 2 개의 산소 원자는, 주쇄를 구성하는 원자에 각각 결합한다. R3 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A 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안트라닐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페난트레닐기를 나타낸다. 나프틸기, 안트라닐기, 또는 페난트레닐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 중 1 이상의 탄소 원자는 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폴리머가, 주쇄의 구성 원자에 측쇄 (a) 가 결합한 구조를 하나의 구성 단위로 하고, 이 구성 단위가 서로 이웃하여 배열된 부분을 갖는 상기 (1) 또는 (2) 의 위상차판 (3) 을 제공한다.
삭제
또한, 측쇄 (a) 가 측쇄 전량의 1∼50몰% 함유되어 있는 상기 (1)∼(3) 의 위상차판 (4) 를 제공한다.
또한, 폴리머가, 측쇄 (a) 이외에, 측쇄 (b) 로서 수산기를 갖는 상기 (1)∼(4) 의 위상차판 (5) 를 제공한다.
또한, 폴리머가, 측쇄 (a) 및 (b) 이외에, 측쇄 (c) 로서 하기 일반식 (Ⅳ) 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상기 (5) 의 위상차판 (6) 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04
(일반식 (Ⅳ) 중, R9 는, 수소 원자, 또는 직쇄상, 분지상 또는 고리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이 알킬기의 탄소 원자는 인접하지 않는 산소 원자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측쇄 (a) 가 측쇄 전량의 1∼50몰%, 측쇄 (b) 가 동일 5∼95몰%, 측쇄(c) 가 동일 1∼90몰% 함유되어 있는 상기 (6) 의 위상차판 (7) 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사슬상 폴리머를 배향시킨 단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폴리머가 반복 단위 (A) 로서 하기 일반식 (Ⅴ) 또는 일반식 (Ⅵ) 로 표시되는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고, 적어도 파장 450∼650㎚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가 단파장측일수록 작고, 또한 장파장측일수록 큰 위상차판 (8) 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05
(일반식 (Ⅴ) 중, R3 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4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콕실기,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티오알콕실기, 할로겐, 니트로기, 아미노기, 수산기 또는 티올기를 나타낸다 (단, R4 및 R8 은 동시에 수소 원자는 아니다). R5, R6 및 R7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06
(일반식 (Ⅵ) 중, R3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A 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안트라닐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페난트레닐기를 나타낸다. 나프틸기, 안트라닐기, 또는 페난트레닐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 중 1 이상의 탄소 원자는 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폴리머에 있어서의 반복 단위 (A) 가, 폴리비닐알코올의 수산기를, 방향족 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진 것인 상기 (8) 의 위상차판 (9) 를 제공한다.
또한, 폴리머가, 반복 단위 (A) 이외에, 하기 일반식 (Ⅶ)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B) 를 갖는 상기 (8) 또는 (9) 의 위상차판 (10) 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07
(반복 단위 (A) 및 (B) 의 배열은 블록형, 랜덤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폴리머가, 반복 단위 (A) 및 (B) 이외에, 하기 일반식 (Ⅷ)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C) 를 갖는 상기 (10) 의 위상차판 (11) 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08
(일반식 (Ⅷ) 중, R9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12 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고리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알킬기의 탄소 원자는 인접하지 않는 산소 원자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반복 단위 (A)∼(C) 의 배열은, 블록형, 랜덤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사슬상 폴리머를 배향시킨 단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폴리머가, 하기 일반식 (Ⅸ) 의 구조를 갖고, 적어도 파장 450∼650㎚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가 단파장측일수록 작고, 또한 장파장측일수록 큰 위상차판 (12) 를 제공한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09
(일반식 (Ⅸ) 중, l 은 5∼30몰%, m 은 20∼80몰%, n 은 1∼70몰% 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사슬상 폴리머를 배향시킨 단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폴리머가, 하기 일반식 (Ⅹ) 의 구조를 갖고, 적어도 파장 450∼650㎚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가 단파장측일수록 작고, 또한 장파장측일수록 큰 위상차판 (13) 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10
(일반식 (Ⅹ) 중, l 은 5∼30몰%, m 은 20∼80몰%, n 은 1∼70몰% 를 나타낸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XⅡ) 로 표시되는 폴리머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Figure 112006084189437-pct00016
(일반식 (XⅡ) 중, l 은 5∼30몰%, m 은 20∼60몰%, n 은 20∼60몰%, o 는 1∼55몰% 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13) 의 위상차판을 적층한 광학 필름 (14) 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13) 의 위상차판, 또는 상기 (14) 의 광학 필름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도 1 은 편광 IR 측정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자들은, -OCO- 에 방향족기가 도입된 측쇄 (a) 를 갖는 사슬상 폴리 머를 배향시킨 단층 필름이, 적어도 파장 450∼650㎚ 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가 단파장측일수록 작아짐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 필름의 성질을 오로지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은, 두께가 얇고, 또한 파장 400∼700㎚ 의 가시광 영역 대략 전체에서 소정의 위상차를 나타내는 위상차판, 및 이러한 위상차판을 형성하기에 바람직한 신규 폴리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가 단파장측일수록 작아지는 본 발명의 위상차판의 성질을 「역파장 분산 특성」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사슬상 폴리머를 배향시킨 단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판이고, 이 폴리머가 측쇄 (a) 로서 하기 일반식 (Ⅰ) 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것이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17
(일반식 (Ⅰ) 중, 2 개의 산소 원자는, 주쇄를 구성하는 원자에 각각 결합한다. R1,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8 의 알킬기, 또는 방향족기를 나타낸다. 단, R1 및 R2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방향족기이고, R1 또는/및 R2 의 방향족기는, 그 평면 구조가 상기 2 개의 산소 원자를 연결한 가상선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사슬상 폴리머는, 주쇄가 직쇄상의 폴리머이며, 일부에 짧은 분지쇄를 갖고 있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사슬상 폴리머의 배향은, 일반적으로, 필름의 연신에 의해 초래된다. 따라서, 폴리머의 배향 방향은, 1 축 연신인 경우에는 그 연신 방향과 동등하다고 할 수 있고, 2 축 연신인 경우에는 주된 연신 방향과 동등한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측쇄 (a) 에 있어서, 2 개의 산소 원자가 주쇄를 구성하는 원자에 각각 결합한다는 것은, 각 산소 원자가, 주쇄를 구성하는 원자로서 각각 동일하지 않은 주쇄 구성 원자에 결합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방향족기란, 평면 고리상으로 이어진 π 전자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기를 말하고, 벤젠고리 또는 벤젠고리가 2 이상 축합한 화합물, 또는 탄소 원자 이외의 원자를 포함하는 헤테로 방향족 화합물이 포함된다. 방향족기의 평면 구조가 2 개의 산소 원자를 연결한 가상선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하고 있다는 것은, 2 개의 산소 원자를 연결하는 선을 가상했을 경우, 그 가상선에 평행한 선이 방향족기의 평면 구조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방향족기가 배치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산소 원자를 연결한 가상선 자체가 방향족기의 평면 구조와 교차하고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상기 폴리머를 배향시켰을 때, 2 개의 산소 원자가 주쇄의 배향 방향을 따라 늘어선다. 그리고, 이 폴리머는, 이 2 개의 산소 원자의 가상선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측쇄 (a) 의 방향족기가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이 방향족기의 평면 구조가 주쇄의 배향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게 된다 (단, 측쇄 (a) 의 방향족기의 평면 구조가 주쇄의 배향 방향에 대해서 엄밀하게 90도로 배치하고 있는 것이 아니고, 실제상, 75∼105도 정도가 되어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 한 배치의 측쇄 (a) 의 존재에 의해, 본 발명의 위상차판은, 통상의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위상차판과는 반대의 파장 분산성, 즉 면내 위상차가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단파장측일수록 작고, 장파장일수록 큰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상기 일반식 (Ⅰ) 의 R1, R2 의 탄소수 1∼8 의 알킬기의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n-헥실기, 2-에틸헥실기 등이 예시된다.
상기 일반식 (Ⅰ) 로 표시되는 측쇄 (a) 중, R1 또는 R2 중 어느 일방만이 방향족기인 측쇄 (a) 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 (Ⅱ) 또는 일반식 (Ⅲ) 의 것이 예시된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18
(일반식 (Ⅱ) 중, 2 개의 산소 원자는, 주쇄를 구성하는 원자에 각각 결합한다. R3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4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콕실기,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티오알콕실기, 할로겐, 니트로기, 아미노기, 수산기 또는 티올기를 나타낸다 (단, R4 및 R8 은 동시에 수소 원자는 아니다). R5,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 로,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19
(일반식 (Ⅲ) 중, 2 개의 산소 원자는, 주쇄를 구성하는 원자에 각각 결합한다. R3 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A 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안트라닐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페난트레닐기를 나타낸다. 나프틸기, 안트라닐기, 또는 페난트레닐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 중 1 이상의 탄소 원자는 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일반식 (Ⅱ) 로 표시되는 구조의 측쇄 (a) 는, 벤젠고리의 오르토 위치 R4, R8 이 동시에 수소원자가 아니며, 어느 일방이 알킬기 등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르토 위치에 치환기가 도입되어 있음으로써, 이 치환기와 산소 원자 사이의 입체 장애가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이 치환기는 2 개의 산소 원자 사이에 배좌한다. 따라서, 일반식 (Ⅱ) 로 나타내는 측쇄 (a) 는, 그 벤젠고리의 평면 구조가 2 개의 산소 원자를 연결하는 가상선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일반식 (Ⅲ) 으로 표시되는 측쇄 (a) 는, 2 이상의 벤젠고리가 축합한 형태의 방향족기를 갖는다. 이러한 축합형의 방향족기는, -0CO- 에 결합한 벤젠고리에 축합형으로 존재하는 벤젠고리에 의해, 입체적으로 부피가 커져, 이 축합 형의 방향족기와 산소 원자 사이의 입체 장애가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이 방향족기의 평면 구조가, 2 개의 산소 원자를 연결하는 가상선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상기 일반식 (Ⅱ) 의 R3 의 탄소수 1∼8 의 알킬기의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n-헥실기, 2-에틸헥실기 등이 예시된다. 또한, 동일 R4 및 R8 의 탄소수 1∼4 의 알킬기의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를 들 수 있고, 탄소수 1∼4 의 알콕실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 이소부톡시기 등이 예시된다. 또한, 동일 R5, R6 및 R7 의 치환기로서는, 하기 일반식 (Ⅲ) 의 A 의 치환기로서 예시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 (Ⅱ) 로 표시되는 측쇄 (a) 중, 산소 원자와의 입체 장애에 의해 방향족기의 평면 구조가 대략 직교 방향에 배치하기 쉬워지는 점에서, 일반식 (Ⅱ) 의 R3 이, (입체적으로 작은)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방향족기의 평면 구조가 대략 직교 방향에 배치하기 쉬워지는 점에서, 일반식 (Ⅱ) 의 R3 이 수소 원자이고, R4 및 R8 이 모두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알콕실기, 티오알콕실기, 할로겐, 니트로기, 아미노기, 수산기, 또는 티올기인 것 (R4 및 R8 이 모두 수소 원자가 아닌 것) 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식 (Ⅱ) 의 R3 이 수소 원자이고, R4 및 R8 이 모두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알콕실기, 또는 할로겐인 측쇄 (a) 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유에 더하여, 아세탈 구조의 도입의 용이성이나 아세탈 구조의 안정성이란 점에서, 일반식 (Ⅱ) 로 표시되는 R3, R5 및 R7 의 각각이 수소원자이고, R4, R6 및 R8 의 각각이 메틸기인 측쇄 (a)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반식 (Ⅲ) 에 있어서, 나프틸기, 안트라닐기, 또는 페난트레닐기가 치환기를 갖는 경우, 그 치환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탄소수 1∼8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또는 알콕실기, 탄소수 3∼6 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시클로알콕실기,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할로겐, 니트로기, 티올기, 알데히드기, 시아노기, 술폰산기 등이 예시된다. 이들은 1 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동종 또는 이종의 치환기의 2 개 이상으로 치환되어도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일반식 (Ⅲ) 으로 표시되는 측쇄 (a) 중, 산소 원자와의 입체 장애에 의해 벤젠고리의 평면 구조가 대략 직교 방향에 배치하기 쉬워지는 점에서, 일반식 (Ⅲ) 으로 나타내는 A 가,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9-안트라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는 것은, 비치환 또는 치환기를 갖는다는 의미이다.
다음으로, 상기 일반식 (Ⅰ) 로 표시되는 측쇄 (a) 중, R1 및 R2 모두가 방향족기인 측쇄 (a) 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의 것이 예시된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20
(식 (XⅢ) 중, R10∼R19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단, R10 및 R14 는 동시에 수소 원자가 아니다. R15 및 R19 는 동시에 수소 원자가 아니다). 또한, 2 개의 벤젠고리는, 단결합으로 부분적으로 결합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일반식 (XⅢ) 로 표시되는 것에 포함되는 구체예로서는, 식 (XⅣ) 로 표시되는 구조의 것이 예시된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21
본 발명의 폴리머에는, 상기 예시한 측쇄 (a) 중 적어도 어느 1 종의 것이 주쇄에 결합하고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일반식 (Ⅱ) 로 나타내는 기 및 일반식 (Ⅲ) 으로 나타내는 기의 쌍방이 각각 주쇄에 도입되어 있어도 된다.
측쇄 (a) 의 주쇄에 대한 도입량은, 위상차판이 확실히 역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점에서, 측쇄 전량의 1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5몰% 이상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 도입량은, 양의 복굴절 이방성을 갖는 위상차판으로서 이용한다는 점에서, 측쇄 전량의 50몰% 이하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30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위상차판으로서 이용되는 사슬상 폴리머는, 측쇄 (a) 를 갖는 것인데, 또한 측쇄 (a) 이외의 측쇄가 도입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 측쇄 (a) 이외의 측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산기, 아미노기, 티올기, 알콕실기, 할로겐, 시아노기, 니트로기, 에스테르기, 케톤기, 알데히드기, 아미드기, 우레탄기, 우레아기, 카보네이트기, 하기 일반식 (Ⅳ) 로 표시되는 기 등이 예시된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22
(일반식 (Ⅳ) 중, R9 는, 수소 원자, 또는 직쇄상, 분지상 또는 고리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알킬기의 탄소 원자는 인접하지 않는 산소 원자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본 발명의 위상차판으로서 이용되는 사슬상 폴리머는, 역파장 분산 특성이 향상되고, 및 제막(製膜)시에 있어서의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양호해지는 점에서, 측쇄 (a) 이외의 측쇄 (b) 로서 수산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 폴리머는, 투명성이 향상되는 점, 및 유리 전이 온도를 낮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측쇄 (a) 이외의 측쇄 (c) 로서, 상기 일반식 (Ⅳ) 로 나타내는 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일반식 (Ⅳ) 로 표시되는 기 중에서도, R9 가 수소원자, 또한 탄소수 1∼12 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고리상의 알킬기 (알킬기의 탄소 원자는 인접하지 않는 산소 원자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것이 측쇄 (c) 로서 도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하기 식 (XV) 에 나타내는 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23
측쇄 (b) 및/또는 측쇄 (c) 의 주쇄에 대한 도입량은, 목적으로 하는 위상차판의 특성을 감안하여, 측쇄 (a) 의 잔량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정하면 된다. 단, 더욱 바람직한 역파장 분산 특성을 얻는 것, 용해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수산기인 측쇄 (b) 는, 측쇄 전량에 대해서 5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20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측쇄 (b) 의 상한은, 측쇄 (a) 나 측쇄 (c) 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되고, 95몰% 이하, 나아가 80몰% 이하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측쇄 (c) 의 도입량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투명성의 향상 등의 실효를 도모하기 위해, 측쇄 (c) 는, 측쇄 전량에 대해서 1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5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측쇄 (c) 의 상한은, 90몰% 이하, 나아가 50몰% 이하 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위상차판에 이용되는 사슬상 폴리머는, 상기와 같은 측쇄 (a) 및 필요에 따라서 그 이외의 측쇄 (b) 및/또는 측쇄 (c) 를 갖는 것이다. 이 폴리 머의 주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각종 주쇄 구조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주쇄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주쇄 구성 원자가 반복 단위로서 결합한 장쇄상의 부분을 말하며, 분지쇄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주쇄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XⅥ)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머 등이 예시된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24
(일반식 (XⅥ) 중, E1 및 E2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NH-, -O-, -O-CO-, -O-CO-O-, -CO-NH-, -O-CO-NH-, -NH-CO-NH-, -CH=CH-, -C≡C-, -CH=N-, -N=N- 를 나타낸다. G 는, 탄소수 1∼12 의 알킬렌기, -Si-, -C6H4-, -C5H3N-, -C6H10-, -C10H6-, -C5H9N-, -C4H3N-, -C4H2O-, -C4H2S-,
Figure 112006084189437-pct00025
를 나타낸다).
이들 주쇄 중에서도, 측쇄 (a) 및 필요에 따라 측쇄 (b), (c) 를 도입하기 쉬운 점, 안정적인 점에서, 일반식 (XⅥ) 중의 E1 및 E2 가 모두 단결합인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식 (XⅥ) 중의 G 가 적어도 알킬렌인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이 알킬렌을 주쇄에 갖는 폴리머에 상기 측쇄 (a) 가 결합한 것 중, 바람직한 폴리머는, 반복 단위 (A) 로서 하기 일반식 (Ⅴ) 또는 일반식 (Ⅵ) 로 표시되는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고 있는 것이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26
(일반식 (Ⅴ) 중, R3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4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콕실기,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티오알콕실기, 할로겐, 니트로기, 아미노기, 수산기 또는 티올기를 나타낸다 (단, R4 및 R8 은 동시에 수소원자는 아니다). R5, R6 및 R7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27
(일반식 (Ⅵ) 중, R3 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A 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안트라닐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페난트레닐기를 나타낸다. 나프틸기, 안 트라닐기, 또는 페난트레닐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 중 1 이상의 탄소 원자는 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일반식 (Ⅴ) 의 반복 단위 (A) 를 갖는 폴리머는, 2 개의 산소 원자가, 결합하는 주쇄의 구성 원자 (탄소 원자) 의 배향 방향을 따라 늘어선다. 또한, 벤젠고리의 오르토 위치 R4 또는/및 R8 의 치환기와 산소 원자 사이의 입체 장애가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오르토 위치의 치환기는, 2 개의 산소 원자의 사이에 배좌한다. 그 결과, 벤젠고리의 평면 구조가 2 개의 산소 원자를 연결하는 가상선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일반식 (Ⅵ) 의 반복 단위 (A) 를 갖는 폴리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축합형 방향고리의 평면 구조가, 2 개의 산소 원자를 연결하는 가상선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상기 일반식 (Ⅴ) 및 (Ⅵ) 은, 상기 일반식 (Ⅱ) 및 (Ⅲ) 으로 표시되는 측쇄를 갖는 반복 단위이다. 따라서, 일반식 (Ⅴ) 및 (Ⅵ) 의 R3∼R8 및 A 의 바람직한 선택예나 치환기의 구체예는, 상기 일반식 (Ⅱ) 및 (Ⅲ) 과 동일하고, 예를 들면, 상기 일반식 (Ⅴ) 중, R3 이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식 (Ⅴ) 의 R4 및 R8 이 모두 (수소 원자가 아니라) 상기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식 (Ⅴ) 의 R4 및 R8 의 어느 것도 수소원자가 아닌 것 은, 청구항 15 에 기재된 일반식 (Ⅴ')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이다. 이 R4 및 R8 은,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또는 염소원자 등의 할로겐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식 (Ⅴ) 의 R3, R5 및 R7 의 각각이 수소 원자이고, R4 및 R8 의 각각이 메틸기인 반복 단위 (A) 를 갖는 폴리머이다 (또한, R6 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상차판으로서 이용한 경우에 역파장 분산 특성을 더욱 양호하게 나타내고, 제막시에 있어서의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양호해지는 점에서, 상기 반복 단위 (A) 이외에, 반복 단위 (B) 로서 하기 일반식 (Ⅶ) 을 갖는 폴리머도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28
또한, 투명성이 향상되는 점, 및 낮은 유리 전이 온도가 되는 점에서, 반복 단위 (A) 및 (B) 이외에, 하기 일반식 (Ⅷ)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 (C) 를 갖는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29
(일반식 (Ⅷ) 중, R9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12 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고리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알킬기의 탄소 원자는 인접하지 않는 산소 원자 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반복 단위 (A) 및 (B) 또는 반복 단위 (A)∼(C) 의 배열은, 블록형, 랜덤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 상기 폴리머는, 반복 단위 (A) 및 필요에 따라서 반복 단위 (B), (C) 이외에, 다른 구조의 반복 단위를 갖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위상차판으로서 이용되는 사슬상 폴리머는, 주쇄에 상기 측쇄 (a) 가 결합하고 있고, 필요에 따라서 측쇄 (b) 나 측쇄 (c) 를 갖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또한, 동일 폴리머는, 반복 단위 (A) 를 갖고, 필요에 따라서 반복 단위 (B) 나 반복 단위 (C) 를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위상차판에 이용되는 사슬상 폴리머는, 상기 중에서 선택되는 여러 가지의 태양의 것이 포함되지만, 그 중 가장 바람직한 것은, 하기 일반식 (Ⅸ), 하기 일반식 (Ⅹ), 하기 일반식 (XI) 또는 하기 일반식 (X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갖는 것이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30
(일반식 (Ⅸ) 중, l 은 5∼30몰%, m 은 20∼80몰%, n 은 1∼70몰% 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31
(일반식 (Ⅹ) 중, l 은 5∼30몰%, m 은 20∼80몰%, n 은 1∼70몰% 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32
(일반식 (XI) 중, l 은 5∼30몰%, m 은 20∼80몰%, n 은 1∼70몰% 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84189437-pct00033
(일반식 (XⅡ) 중, l 은 5∼30몰%, m 은 20∼60몰%, n 은 20∼60몰%, o 는 1∼55몰% 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위상차판은, 단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의 적층 위상차판에 비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상차판은, 400∼700㎚ 의 가시광 영역의 대략 모든 파장 λ 의 광에 대해서, 면내 위상 차가 대략 λ/2 또는 λ/4 로서 사용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위상차판은, 각 파장에서의 편광의 형태가 대략 동일하게 되고, 예를 들면 백색광이 입사했을 때에 유색 편광으로 변환되지 않고, 무색 편광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위상차판은, 투명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위상차판에 이용되는 폴리머는, 제막시에 있어서의 용해성이 양호하고, 유리 전이 온도도 바람직한 범위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상차판은, 내열성도 높고, Z 연신도 가능해진다는 여러 가지의 효과를 갖는다.
다음으로, 상기 사슬상 폴리머의 제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위상차판에 이용되는 폴리머의 제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제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여러 가지의 제법 중에서도, 상기 측쇄 (a) 가 주쇄에 도입된 폴리머를 비교적 간단하고 쉽게 얻을 수 있는 점에서, 주쇄에 수산기를 갖는 원료 폴리머에, 특정한 방향족 알데히드 또는 방향족 케톤을 반응시켜 폴리머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측쇄 (a) 를 안정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것, 파장 분산성이 비교적 작은 폴리머인 것, 범용적인 것 등의 점에서, 폴리머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폴리머는, 원료 폴리머로서 폴리비닐알코올을 이용하여, 폴리비닐알코올의 수산기에 특정한 방향족 알데히드 또는 방향족 케톤을 반응시켜 아세탈화 (RCH(OR)(OR) 구조의 도입) 또는 케탈화 (RRC(OR)(OR) 구조의 도입) 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에 특정한 방향족 알데히드를 반응시키면 측쇄에 아세 탈 구조가 도입되므로, 상기 일반식 (Ⅴ) 및 (Ⅵ) 의 R3 이 수소 원자인 폴리머가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방향족 케톤을 반응시키면 측쇄에 케탈 구조가 도입되므로, 상기 일반식 (Ⅴ) 및 (Ⅵ) 의 R3 이 알킬기인 폴리머가 얻어진다.
예를 들면, 일반식 (Ⅴ)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 (A) 를 갖는 폴리머를 얻는 경우에는, 폴리비닐알코올에, 산성 조건 하에서, 오르토 위치의 적어도 일방에 치환기를 갖는 벤즈알데히드 또는 동일 아세토페논 등을 반응시키면 된다. 이 오르토 위치의 일방에 적어도 치환기를 갖는 벤즈알데히드 또는 동일 아세토페논의 구체예로서는, 2,4,6-트리메틸벤즈알데히드(메시트알데히드), 2,4,6-트리에틸벤즈알데히드, 2,6-디메틸벤즈알데히드, 2-메틸벤즈알데히드, 2-메틸아세토페논, 2,4-디메틸아세토페논 등이 예시된다.
또한, 일반식 (Ⅵ)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 (A) 를 갖는 폴리머를 얻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폴리비닐알코올에 축합형 방향족 알데히드 또는 축합형 방향족 케톤을 반응시키면 된다. 이 축합형 방향족 알데히드 또는 케톤의 구체예로서는, 치환기를 갖는 1-나프토알데히드, 치환기를 갖는 2-나프토알데히드, 9-안트라알데히드, 치환기를 갖는 9-안트라알데히드, 아세토나프톤 등이 예시된다.
또한, 상기 제법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에 반응시키는 방향족 알데히드나 방향족 케톤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의 수산기가 방향족기로 치환됨과 함께, 미치환의 수산기가 잔존하므로, 반복 단위 (A) 와 반복 단위 (B) 를 갖는 폴리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법에 있어서, 방향족 알데히드나 방향족 케톤과 함께, 탄소수 1∼12 의 포화 지방족 알데히드 (예를 들면 프로피온알데히드나 아세토알데히드 등) 이나 포름알데히드, 지환족 알데히드 등을 동시 및/또는 축차 아세탈화함으로써, 반복 단위 (A) 와 반복 단위 (C) 를 갖는 폴리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에 반응시키는 방향족 알데히드나 방향족 케톤, 및 상기 포화 지방족 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또는 지환족 알데히드 등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동일하게 미치환의 수산기가 잔존하므로, 반복 단위 (A)∼(C) 를 갖는 폴리머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지는 폴리머의 중합도는, 예를 들면 위상차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연신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필름 강도라는 점에서, 폴리머의 중합도는, 예를 들면 100∼20000 정도, 바람직하게는 500∼10000 정도의 중합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의 중합도는, 주쇄의 종류나 측쇄 (a) 등의 종류나 양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는, 주쇄의 종류, 측쇄 (a) 내지 (c) 의 종류나 양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를 들면 80∼180℃ 정도로서, 위상차판으로서 충분한 내열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머는, 예를 들면, 약 200℃ 을 초과하는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나타내는 종래의 폴리머와는 달리, 적당한 유리 전이 온도를 나타내므로, 1 축 연신 뿐만 아니라, 종래 공지의 방법에서의 Z 연신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머를 필름으로 제막하여 위상차판을 얻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필름」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시트」라 불리는 것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위상차판은, 상기 폴리머를 제막한 단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그 제막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캐스트법, 용융 압출법, 캘린더법 등에 의해 필름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다 두께 정밀도가 우수하고, 광학적으로 균질한 필름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캐스트법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스트법에서는, 통상 폴리머를 용해시키기 위해 용매가 이용된다. 이 점, 측쇄 (b) 로서 수산기를 갖는 본 발명의 폴리머는, 폴리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위상차판을 캐스트 성형할 때에 이용할 수 없었던 용제에 대해서도 양호한 용해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머의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틸술폭사이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메틸에틸케톤, 아세트산에틸, 디클로로메탄, 톨루엔 등이 예시된다. 또한, 폴리머를 용해시킬 때에는, 필요에 따라서 가온해도 된다.
얻어진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본 발명의 위상차판을 얻을 수 있다. 연신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텐터 연신법, 롤간 연신법, 롤간 압축 연신법 등의 통상의 1 축 연신법이나, 전체 텐터 방식에 의한 동시 2 축 연신 처리 방식이나, 롤·텐터법에 의한 축차 2 차 연신 처리 방식 등의 통상의 2 축 연신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머의 종류 (특성) 에 따라, 2 축 연신 중에 서도, 그 필름을 Z 연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Z 연신에 대해서도, 예를 들어 필름을 과열 연신할 때에 연신 방향 (X 축 방향) 과 직교하거나 또는 교차하는 방향 (Y 축 방향) 으로 이 필름을 수축시킴으로써 두께 방향 (Z 축 방향) 으로 연신 응력을 발생시키는 방법 등의 통상의 Z 연신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필름 중에는, 그 연신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예를 들면 디메틸프탈레이트, 디에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등의 프탈산에스테르, 트리메틸인산에스테르, 트리에틸인산에스테르, 트리페닐인산에스테르 등의 인산에스테르, 디에틸아디페이트, 디부틸푸말레이트 등의 지방산 등의 가소제를 1 종 이상 첨가해도 된다. 이 가소제의 첨가량은, 연신성의 향상 효과 및 얻어지는 위상차판의 파장 분산성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면,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서 1∼20 중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소제 외에도,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와 같은 첨가제를, 각각의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첨가해도 된다.
필름을 연신할 때의 온도나 배율 등의 연신 조건은, 폴리머를 구성하는 주쇄의 종류 및 측쇄 (a) 및 필요에 따라서 도입되어 있는 측쇄 (b) 및 (c) 의 종류나 양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적절하게 설정되는 것이지만, 예를 들면 연신 온도가 50∼200℃ 정도, 연신 배율이 1.1∼4.0 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얻어지는 본 발명의 위상차판은 투명성이 우수하고, JIS K 7105 에 준거한 측정에서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88∼93% 정도, 헤이즈가 0.1∼3% 정도이다. 또한, 그 두께는, 통상 20∼200㎛ 정도, 나아가서는 40∼100㎛ 정도로 충분히 작은 것이다.
본 발명의 위상차판은, 측쇄 (a) 를 갖는 사슬상 폴리머의 단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역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위상차판은, 가시광 영역 전체의 대략 모든 파장 λ 의 광에 대해서, 그 자신 1 매로 위상차가 예를 들면 대략 λ/2 또는 대략 λ/4 의 파장 분산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무색 편광으로의 변환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위상차판은, 역파장 분산 특성을 갖지만, 후술하는 조건으로 측정했을 경우, 본 발명의 위상차판의 파장 분산은, 고분자 재료를 구성하는 주쇄의 종류 및 측쇄 (a) 및 필요에 따라서 도입되어 있는 측쇄 (b) 의 종류나 양에 따라 달라지나, 대체로, Re(450)/Re(550)≤0.97, Re(650)/Re(550)≥1.01 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여기서, Re(450), Re(550) 및 Re(650) 는, 각각 파장 450㎚, 550㎚ 및 650㎚ 에서 측정한 면내 위상차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상차판이, 예를 들면 1 축 연신법으로 얻어진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굴절률은, 식: nx>ny=nz 로 표시되는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단, nx 는 연신 방향 (X 축 방향 (면내 굴절률이 최대의 방향)) 의 굴절률을, ny 는 연신 방향과 직교 방향 (Y 축 방향) 의 굴절률을, nz 는 두께 방향 (Z 축 방향) 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한편, 2 축 연신법 중에서도 상기 Z 연신법으로 본 발명의 위상차판이 얻어지는 경우에는, 이들 굴절률은, 식: nx>nz>ny 로 표시되는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그런데, 시각 특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로서 식: Nz=(nx-nz)/(nx-ny) 로 표시되는 Nz 값이 자주 이용된다. 이 Nz 값이 0.5 이면, 지상축 방향 (X 축 방향) 으로 위상차판을 경사시킨 경우에도, 경사 핵에 대한 위상차는 변화하지 않는다. 즉 위상차의 시각 의존증이 없어지는 것이 밝혀져 있다. 따라서, 시각 특성의 향상 효과를 고려하면, 특히 삼차원 굴절률의 제어에 유의하여 연신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상차판에, 어느 파장의 광이 입사했을 때, 그 이상광(異常光)에 대한 굴절률 (이하, 「ne」라고 함) 과 상광에 대한 굴절률 (이하, 「no」라고 함) 의 굴절률차: ne-no (이하, Δn 이라고 함) 는, 550㎚ 의 파장에서 0.005 이하이다. 그러나,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사슬상 폴리머에 액정성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막한 필름을 위상차판으로서 이용한 경우에는, 통상 액정성 화합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자신의 Δn 이 비교적 높은 점에서, 이 위상차판의 Δn 을 O.O1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상차판의 Δn 이 높아지면, 소망하는 위상차를 발현시키기 위한 막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종래의 위상차판에서는 지극히 어려웠던, 1OO㎛ 이하의 막두께에서 가시광 영역 전체의 대략 모든 파장의 광에 대해서 λ/2 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위상차판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액정성 화합물로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이 없고, 예를 들면 아조메틴류, 아족시류, 시아노비페닐류, 시아노페닐에스테르류, 벤조산에스테르류,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페닐에스테르류, 시아노페닐시클로헥산류, 시아노 치환 페닐피리미딘류, 알콕시 치환 페닐피리미딘류, 페닐디옥산류, 톨란류, 알케닐시클로헥실벤조니트릴류 등의 액정 저분자 화합물, 이 액정 저분자화합물의 분자 말단에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에폭시기, 비닐옥시기, 프로파르길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의 중합성기를 갖는 액정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얻어지는 위상차판의 Δn 이 소망하는 값이 되도록, 또한 이용하는 폴리머의 종류에 따라, 1 종 이상을 적절하게 선택하면 사용하면 된다. 액정성 화합물의 양은, 이것을 이용하는 것에 의한 Δn 향상 효과가 충분히 발현되도록, 상기 사슬상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중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상차가 장파장측일수록 커지는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액정성 화합물의 양은, 상기 사슬상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서 2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위상차판은, 다른 광학 재료 등과 적층함으로써, 광학 필름의 태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판에 본 발명의 위상차판을 적층함으로써, 타원 편광판이나 원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위상차가 λ/4 로 조정된 본 발명의 위상차판과, 위상차가 λ/2 로 조정된 본 발명의 위상차판을, 편광판에 적층하여 광학 필름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위상차판은, 편광판의 편광자에 직접 적층시켜도 되고, 보호 필름을 개재하여 적층시켜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상차판에는, 액정 셀 등의 다른 부재와 접착시키기 위한 점착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점착층이 표면에 노출되는 경우, 점착층을 이형지로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편광판/본 발명의 위상차판/밴드 패스 필터의 순서로 적층한 광학 필름이나, 또한 표면에 보호 필름을 첨부한 광학 필름 등, 본 발명의 위상차판은, 기능이 상이한 광학 재료와 적층시킴으로써, 각종 광학 필름의 태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상차판 또는 이 위상차판이 적층된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 등의 구성 부품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광학 필름 등을 액정 셀의 편측 또는 양측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투과형이나 반사형, 또는 투과·반사 양용(兩用)형 등의 종래에 준한 적절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하는 액정 셀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박막 트랜지스터형으로 대표되는 단순 매트릭스 구동형의 것 등의 적절한 타입의 액정 셀을 이용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액정 셀의 양측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 광학 필름은 동일한 것이어도 되고,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시에는, 예를 들면 프리즘 어레이 시트나 렌즈 어레이 시트, 확산판이나 백 라이트 등의 적절한 부품을 적절한 위치에 1 층 또는 2 층 이상 배치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위상차판을 이하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특성의 측정 조건은, 각각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조성비의 측정)
측정 대상인 폴리머를 200㎎ 취하여, THF 10㎖ 중, 질소 하, 실온에서, 이미다졸 0.93g, t-부틸디메틸클로로실란 1.37g 을 첨가하고, 실온 하에서 12 시간 교반한다. 반응 종료 후, 메탄올에 3 회 재침전을 실시하여 정제한다. 얻어 진 폴리머 1H-NMR 로 측정하였다 (CDC13 용매).
제조예 1 및 2 에서 얻어진 폴리머의 측정에서는, 0ppm 부근, 0.8ppm, 6.8ppm 의 피크에 의해 조성비를 구하였다.
제조예 3 에서 얻어진 폴리머의 측정에서는, 0ppm 부근, 3.3-5.4ppm, 6.8ppm 의 피크에 의해 조성비를 구하였다.
제조예 4 에서 얻어진 폴리머의 측정에서는, 0ppm 부근, 3.5-5.0ppm, 6.8ppm 의 피크에 의해 조성비를 구하였다.
(유리 전이 온도의 측정)
시차 주사 열량계 (세이코 DSC6200) 를 이용하여 질소 가스를 80㎖/분 플로우시키면서, 실온으로부터 10℃/분으로 온도 상승시켜 2 회 측정하고, 2 회째의 데이터를 채용하였다. 각 회의 측정에는 분말 샘플 3㎎ 을 이용하였다. 열량계는 표준 물질 (인듐과 주석) 을 이용하여 온도 교정을 실시하였다.
(위상차 변화율)
필름 샘플을 80℃ 로 설정된 건조기에 투입하여, 10 시간 후에 있어서의 위상차를 측정하였다. 시험 전에 측정해 둔 위상차와, 80℃ 10 시간 처리 후의 위상차로부터, 위상차의 변화율을 구하였다.
(면내 위상차의 측정)
왕자 계측 기기(주) 제조, 「KOBRA21-AD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두께의 측정)
마이크로미터 (MITUTOYO 제조)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흡수율의 측정)
JIS K 7209 「플라스틱의 흡수율 및 비등 흡수율 시험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샘플은 50㎜×50㎜ 이고, 두께가 40∼100㎛ 로 행하였다.
(편광 IR 의 측정)
FT/IR-230 (일본 분광 제조) 에 IR 편광자로서 PL-82 를 갖추고, 실온에서 측정하였다.
제조예 1
105℃ 에서 2 시간 건조시킨 중합도 1800 의 PVA (닛폰 합성 화학, NH-18) 5.0g 을 DMSO 95㎖ 에 용해하였다. 여기에 메시트알데히드 3.78g, 프로피온알데히드 1.81g 및 p-톨루엔술폰산·1수화물 1.77g 을 첨가하고, 40℃ 에서 4 시간 교반하였다. 탄산수소나트륨 2.35g 을 용해시킨 물/메탄올=2/1 용액에 재침전을 실시하였다. 여과하여 얻어진 폴리머를 THF 에 용해하고, 디에틸에테르에 재침전하였다. 여과하여 건조시킨 후, 백색 폴리머가 7.89g 얻어졌다. 얻어진 폴리머를 상기 측정 조건 하에서 측정한 결과, 비닐메시탈, 비닐프로피오날, 비닐알코올의 각 부위의 비는 22:46:32 이고, 식 (Ⅸ) 으로 나타내는 구조의 신규 폴리머가 얻어졌다. 또한, 이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는 102℃ 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폴리머를 DMF 에 용해하고,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제막하였다. 건조시켜 얻어진 필름을, 연신기를 이용하여 110℃ 에서 1.8 배 연신을 실시하여, 막두께 85㎛ 의 1 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연신 필름의 위상차는, Re(450)=116.4㎚, Re(550)=138.1㎚, Re(650)=147.6㎚ 로 역파장 분산이 되어 있었다. 또한, 내열성을 시험한 결과, 위상차 변화율은 1% 이하였다. 또한, 얻어진 필름의 흡수율은 5% 였다.
제조예 2
메시트알데히드를 2.10g, 프로피온알데히드를 2.47g 이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정제 후, 6.48g 의 백색 폴리머가 얻어졌다. 이 폴리머의 비닐메시탈, 비닐프로피오날, 비닐 알코올의 각 부위의 비는 18:52:30 이었다. 이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는 97℃ 였다.
실시예 2
제조예 2 에서 얻어진 폴리머를 DMF 에 용해하고,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제막하였다. 건조시켜 얻어진 필름을, 연신기를 이용하여 110℃ 에서 2 배 연신을 실시하여, 막두께 78㎛ 의 1 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연신 필름의 위상차는, Re(450)=263.9㎚, Re(550)=276.8㎚, Re(650)=280.6㎚ 로 역파장 분산이 되어 있었다. 또한, 내열성을 시험한 결과, 위상차 변화율은 1% 이하였다. 또한, 얻어진 필름의 흡수율은 5% 였다.
또한, 얻어진 연신 필름의 편광 IR 측정을 행하였다. 편광의 진동 방향과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와, 방향족의 C=C 신축 진동에 대응하는 1465cm- 1 의 흡수 피크 강도와의 관계를 플롯한 결과를 도 1 에 나타낸다. 진상축과 편광이 이루 는 각도가 0˚, 180˚ 일 때에 흡수가 크고, 90˚, 270˚ 일 때에 작은 점에서, 방향고리가 주쇄를 포함한 평면에 대하여 직교로 배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조예 3
메시트알데히드를 3.03g, 프로피온알데히드 대신에 1,1-디에톡시에탄을 4.30g 이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행하였다. 정제 후 7.24g 의 백색 폴리머가 얻어졌다. 이 폴리머의 비닐메시탈, 비닐아세탈, 비닐알코올의 각 부위의 비는 18:47:35 이고, 식 (Ⅹ) 로 나타내는 구조의 신규 폴리머가 얻어졌다. 이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는 120℃ 였다.
실시예 3
제조예 3 에서 얻어진 폴리머를 DMF 에 용해하고,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제막하였다. 건조시켜 얻어진 필름을, 연신기를 이용하여 155℃ 에서 2 배 연신을 실시하여, 막두께 110㎛ 의 1 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연신 필름의 위상차는, Re(450)=246.7㎚, Re(550)=274.1㎚, Re(650)=283.7㎚ 로 역파장 분산이 되어 있었다. 또한, 내열성을 시험한 결과, 위상차 변화율은 1% 이하였다. 또한, 얻어진 필름의 흡수율은 8% 였다.
제조예 4
제조예 1 과 동일한 PVA 8.8g 을 DMSO 500㎖ 에 용해하였다. 여기에 메시트알데히드를 3.0g, 시클로헥산카르복시알데히드를 9.0g 및 p-톨루엔술폰산·1수화물을 3.1g 첨가하여 40℃ 에서 4 시간 교반하였다. 1N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물에 재침전을 실시하였다. 여과하여 얻어 진 폴리머를 DMF 에 용해하고, 디에틸에테르에 재침전하였다. 여과하여 건조시킨 후, 백색 폴리머가 얻어졌다. 1H-NMR 에 의해 메시트알데히드, 시클로헥산카르복시알데히드가 아세탈의 형태로 PVA 에 도입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얻어진 폴리머를 상기 측정 조건 하에서 측정한 결과, 비닐메시탈, 비닐시클로헥산카르복살, 비닐알코올의 각 부위의 비는 10:39:51 이며, 식 (XI) 로 나타내는 구조의 신규 폴리머가 얻어졌다. 이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는 107℃ 였다.
실시예 4
제조예 4 에서 얻어진 폴리머를 DMF 에 용해하고,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제막하였다. 건조시켜 얻어진 필름을, 연신기를 이용하여 150℃ 에서 1.5 배 연신을 실시하여, 1 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연신 필름의 위상차를 측정한 결과, Re(450)/Re(550)=0.934, Re(650)/Re(550)=1.032 로 역파장 분산이 되어 있었다.
비교예 1
제조예 1 에 있어서 메시트알데히드 대신에 벤즈알데히드 2.71g 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반응을 실시하였다. 정제 후, 6.02g 의 백색 폴리머가 얻어졌다. 얻어진 폴리머를,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제막, 연신하고, 그 파장 분산 특성을 조사한 결과, Re(450)=140.5㎚, Re(550)=140.1㎚, Re(650)=139.5㎚ 이며, Re(450)/Re(550)=1.003, Re(650)/Re(550)=0.996 으로 역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Claims (25)

  1.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사슬상 폴리머를 배향시킨 단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머가 측쇄 (a) 로서 하기 일반식 (Ⅰ) 로 표시되는 기를 갖고, 적어도 파장 450∼650㎚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가 단파장측일수록 작고, 또한 장파장측일수록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
    Figure 112007084678802-pct00034
    (일반식 (Ⅰ) 중, 2 개의 산소 원자는, 주쇄를 구성하는 원자에 각각 결합한다. R1,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8 의 알킬기, 또는 방향족기를 나타낸다. 단, R1 및 R2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방향족기이며, R1, R2, 또는 R1 및 R2 의 방향족기는, 그 평면 구조가 상기 2 개의 산소 원자를 연결한 가상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하고 있다).
  2.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사슬상 폴리머를 배향시킨 단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머가 측쇄 (a) 로서 하기 일반식 (Ⅱ) 또는 일반식 (Ⅲ) 로 표시되는 기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을 갖고, 적어도 파장 450∼650㎚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가 단파장측일수록 작고, 또한 장파장측일수록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
    Figure 112006084366872-pct00035
    (일반식 (Ⅱ) 중, 2 개의 산소 원자는, 주쇄를 구성하는 원자에 각각 결합한다. R3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4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콕실기,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티오알콕실기, 할로겐, 니트로기, 아미노기, 수산기 또는 티올기를 나타낸다 (단, R4 및 R8 은 동시에 수소 원자는 아니다). R5,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84366872-pct00036
    (일반식 (Ⅲ) 중, 2 개의 산소 원자는, 주쇄를 구성하는 원자에 각각 결합한다. R3 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A 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안트라닐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페난트레닐기를 나타낸다. 나프틸기, 안트라닐기, 또는 페난트레닐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 중 1 이상의 탄소 원자는 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가 주쇄의 구성 원자에 상기 측쇄 (a) 가 결합한 구조를 하나의 구성 단위로 하고, 이 구성 단위가 이웃하여 배열된 부분을 갖는 위상차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쇄 (a) 가 측쇄 전량의 1∼50몰% 함유되어 있는 위상차판.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폴리머가 측쇄 (a) 이외에, 측쇄 (b) 로서 수산기를 갖는 위상차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폴리머가 측쇄 (a) 및 (b) 이외에, 측쇄 (c) 로서 하기 일반식 (Ⅳ) 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위상차판.
    Figure 112006084366872-pct00037
    (일반식 (Ⅳ) 중, R9 는, 수소 원자, 또는 직쇄상, 분지상 또는 고리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알킬기의 탄소 원자는 인접하지 않는 산소 원자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쇄 (a) 가 측쇄 전량의 1∼50몰%, 상기 측쇄 (b) 가 동일 5∼95몰%, 상기 측쇄 (c) 가 동일 1∼90몰% 함유되어 있는 위상차판.
  8.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사슬상 폴리머를 배향시킨 단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머가 반복 단위 (A) 로서 하기 일반식 (Ⅴ) 또는 일반식 (Ⅵ) 로 표시되는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고, 적어도 파장 450∼650㎚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가 단파장측일수록 작고, 또한 장파장측일수록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
    Figure 112007052911986-pct00038
    (일반식 (Ⅴ) 중, R3 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4 및 R8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콕실기, 탄소수 1∼4 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티오알콕실기, 할로겐, 니트로기, 아미노기, 수산기 또는 티올기를 나타낸다 (단, R4 및 R8 은 동시에 수소 원자는 아니다). R5, R6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52911986-pct00039
    (일반식 (Ⅵ) 중, R3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A 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나프틸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안트라닐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페난트레닐기를 나타낸다. 나프틸기, 안트라닐기, 또는 페난트레닐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 중 1 이상의 탄소 원자는 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에 있어서의 반복 단위 (A) 가 폴리비닐알코올의 수산기를 방향족 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진 것인 위상차판.
  10. 제 8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폴리머가 상기 반복 단위 (A) 이외에, 하기 일반식 (Ⅶ)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B) 를 갖는 위상차판.
    Figure 112006084366872-pct00040
    (반복 단위 (A) 및 (B) 의 배열은 블록형, 랜덤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폴리머가 상기 반복 단위 (A) 및 (B) 이외에, 하기 일반식 (Ⅷ)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C) 를 갖는 위상차판.
    Figure 112006084366872-pct00041
    (일반식 (Ⅷ) 중, R9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12 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고리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알킬기의 탄소 원자는 인접하지 않는 산소 원자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반복 단위 (A)∼(C) 의 배열은, 블록형, 랜덤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12.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사슬상 폴리머를 배향시킨 단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머가 하기 일반식 (Ⅸ) 의 구조를 갖고, 적어도 파장 450∼650㎚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가 단파장측일수록 작고, 또한 장파장측일수록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
    Figure 112006084366872-pct00042
    (일반식 (Ⅸ) 중, l 은 5∼30몰%, m 은 20∼80몰%, n 은 1∼70몰% 를 나타낸다).
  13.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사슬상 폴리머를 배향시킨 단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머가 하기 일반식 (Ⅹ) 의 구조를 갖고, 적어도 파장 450∼650㎚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가 단파장측일수록 작고, 또한 장파장측일수록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
    Figure 112006084366872-pct00043
    (일반식 (Ⅹ) 중, l 은 5∼30몰%, m 은 20∼80몰%, n 은 1∼70몰% 를 나타낸다).
  14.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사슬상 폴리머를 배향시킨 단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머가 하기 일반식 (XⅡ) 의 구조를 갖고, 적어도 파장 450∼650㎚ 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가 단파장측일수록 작고, 또한 장파장측일수록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
    Figure 112007084678802-pct00049
    (일반식 (XⅡ) 중, l 은 5∼30몰%, m 은 20∼60몰%, n 은 20∼60몰%, o 는 1∼55몰% 를 나타낸다).
  15. 제 1 항, 제 2 항, 제 8 항, 제 12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위상차판을 적층한 광학 필름.
  16. 제 1 항, 제 2 항, 제 8 항, 제 12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위상차판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
  17. 제 15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067024111A 2004-07-29 2005-06-03 위상차판, 및 신규 폴리머, 및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18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21204 2004-07-29
JP2004221204 2004-07-29
JP2004266757A JP3802544B2 (ja) 2004-07-29 2004-09-14 位相差板、及び新規ポリマー、及び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JP-P-2004-00266757 2004-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242A KR20070052242A (ko) 2007-05-21
KR100818571B1 true KR100818571B1 (ko) 2008-04-02

Family

ID=3578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4111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8571B1 (ko) 2004-07-29 2005-06-03 위상차판, 및 신규 폴리머, 및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01165B2 (ko)
EP (1) EP1772756A4 (ko)
JP (1) JP3802544B2 (ko)
KR (1) KR100818571B1 (ko)
CN (1) CN100456059C (ko)
TW (1) TWI277785B (ko)
WO (1) WO20060112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88004B1 (en) * 2004-07-16 2013-10-23 Nitto Denko Corporation Novel modified polymer,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of said novel modified polymer
JP4433469B2 (ja) * 2004-12-14 2010-03-17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板、及び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4636600B2 (ja) * 2005-01-26 2011-02-23 日東電工株式会社 複屈折性フィルム、積層位相差板、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4618675B2 (ja) * 2005-02-08 2011-01-26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偏光素子、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07058041A1 (ja) * 2005-11-21 2007-05-24 Nitto Denko Corporation ナフチル基を有する重合体を含有する光学フィルム
KR100915280B1 (ko) * 2006-05-16 2009-09-0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WO2007138882A1 (ja) * 2006-05-29 2007-12-06 Nitto Denko Corporation 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8009389A (ja) * 2006-05-29 2008-01-17 Nitto Denko Corp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01489770A (zh) * 2006-07-18 2009-07-22 3M创新有限公司 制备光学膜的压延方法
JP5252611B2 (ja) * 2006-09-15 2013-07-31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光学積層体、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8280364A (ja) * 2007-05-08 2008-11-20 Nitto Denko Corp 変性pvaの製造方法
JP2010116528A (ja) * 2007-12-21 2010-05-27 Sumitomo Chemical Co Ltd 光学フィルム及び該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200938587A (en) * 2008-01-23 2009-09-16 Sumitomo Chemical Co Optical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197062B2 (ja) * 2008-02-20 2013-05-15 日東電工株式会社 複屈折フィルムおよび偏光素子
KR102057611B1 (ko) * 2013-05-27 2019-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역파장 분산 위상 지연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03497B1 (ko) * 2013-11-12 2020-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상 필름,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JP6877945B2 (ja) * 2015-11-30 2021-05-26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966315B2 (ja) * 2017-12-19 2021-11-17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光学補償層付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画像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0122A (ja) * 1996-11-14 1998-05-26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粘着剤組成物
WO2000003303A1 (fr) * 1998-07-10 2000-01-20 Clariant International Ltd. Composition pour film empechant la reflexion de fond et nouveau colorant polymere utilise dans celle-ci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13119A (en) * 1938-03-22 1939-10-04 Eastman Kodak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polyvinyl acetal resins
US3084989A (en) * 1959-04-08 1963-04-09 Air Reduction Process of treating polyvinyl alcohol
CA1239727A (en) * 1983-11-15 1988-07-26 Shigeru Nomura Substrate for optical recording media
JPS60255805A (ja) * 1984-05-31 1985-12-17 Sekisui Chem Co Ltd シクロヘキサンカルボアルデヒド−アセタ−ル化ポリビニルアルコ−ル
JPS6142507A (ja) * 1984-08-03 1986-03-01 Sekisui Chem Co Ltd アルキル化シクロヘキサンカルボアルデヒド−アセタ−ル化ポリビニルアルコ−ル
US4743409A (en) * 1986-05-27 1988-05-10 Sekisu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eparing a substrate for optical recording media
EP0544008B1 (en) * 1991-06-17 1996-03-27 Seiko Epson Corporation Phase difference elemental film, phase difference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same
JPH06122713A (ja) * 1992-10-12 1994-05-06 Hitachi Ltd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系樹脂及びこれを含有する感光性樹脂組成物
JPH06192326A (ja) * 1992-12-25 1994-07-12 Hitachi Ltd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系樹脂、これを含有する感光性樹脂組成物並びにその用途
US6555617B1 (en) * 1999-07-29 2003-04-29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Composition of cyclic anhydride modified polyvinyl acetal and curable resin and laminated products
JP2003313230A (ja) * 2002-04-24 2003-11-06 Mitsubishi Chemicals Corp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及びその製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0122A (ja) * 1996-11-14 1998-05-26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粘着剤組成物
WO2000003303A1 (fr) * 1998-07-10 2000-01-20 Clariant International Ltd. Composition pour film empechant la reflexion de fond et nouveau colorant polymere utilise dans celle-c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11298A1 (ja) 2006-02-02
TWI277785B (en) 2007-04-01
JP3802544B2 (ja) 2006-07-26
EP1772756A1 (en) 2007-04-11
CN1997919A (zh) 2007-07-11
US20080200621A1 (en) 2008-08-21
US7501165B2 (en) 2009-03-10
TW200608065A (en) 2006-03-01
JP2006065258A (ja) 2006-03-09
EP1772756A4 (en) 2010-09-29
KR20070052242A (ko) 2007-05-21
CN100456059C (zh) 200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571B1 (ko) 위상차판, 및 신규 폴리머, 및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장치
US11867936B2 (en) Laminate film
EP1118885B1 (en) Phase difference film, phase difference film composi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249546B1 (ko) 광학 이방성 필름, 휘도 향상 필름, 적층 광학 필름, 및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US8053040B2 (en) Liquid crystal composition, retardation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rocess for producing retardation plate
JP2006065258A5 (ko)
WO2007058041A1 (ja) ナフチル基を有する重合体を含有する光学フィルム
CN101512402A (zh) 相位差膜、光学层压体、液晶面板和液晶显示装置
JP2007161994A (ja) ナフチル基を有する重合体を含有する光学フィルム
WO2007132618A1 (ja)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EP0348964B1 (en) Polarizing film
CN109952323A (zh) 聚合性化合物、混合物、聚合性液晶组合物、高分子、光学膜、光学各向异性体、偏振片、显示装置以及防反射膜
CN100540598C (zh) 用于光学膜的树脂组合物,光学膜及其生产方法
US11892669B2 (en)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JP2007328324A (ja)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10020369A (ko) 광학 활성 단량체, 액정 중합체 및 광학 소자
JP2006267864A (ja) 広視野角補償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透過型液晶表示装置
JP2007024940A (ja) 広視野角補償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液晶表示装置
JP4636600B2 (ja) 複屈折性フィルム、積層位相差板、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4433468B2 (ja) 位相差板、及び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6089696A (ja) 複屈折性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の製法、及び、複屈折性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及び位相差板、及び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4433469B2 (ja) 位相差板、及び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4392837B2 (ja) 位相差板、及び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234781B1 (ko) 광학 이방성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 장치
WO2008111685A1 (en) Liquid crystal composition, retardation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rocess for producing retardation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7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