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60624B1 -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 Google Patents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624B1
KR100360624B1 KR1019990035770A KR19990035770A KR100360624B1 KR 100360624 B1 KR100360624 B1 KR 100360624B1 KR 1019990035770 A KR1019990035770 A KR 1019990035770A KR 19990035770 A KR19990035770 A KR 19990035770A KR 100360624 B1 KR100360624 B1 KR 100360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laid
pattern
drying
in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6284A (ko
Inventor
오세양
Original Assignee
한국민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0888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6062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민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민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5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624B1/ko
Publication of KR20000036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284A/ko
Priority to DE10041566A priority patent/DE10041566B4/de
Priority to US09/648,674 priority patent/US6379607B1/en
Priority to FR0010940A priority patent/FR2797870B1/fr
Priority to GB0021095A priority patent/GB2353500B/en
Priority to IT2000RM000465A priority patent/IT1317899B1/it
Priority to CN00126302A priority patent/CN1108935C/zh
Priority to JP2000257098A priority patent/JP2001097762A/ja
Publication of KR100360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9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re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made from two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1Applying decorations on shaped articles, e.g. by pa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6Inlaying with ornamental structures, e.g. niello work, tarsia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8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sto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46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bearing graphical in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9Coating or impregnation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으로, 상감기법과 도자기 제조방법을 통해 평면 형태의 도자기 즉, 건축마감재로서의 판상의 도자기를 제조하여 석재나 타일 등의 건축마감재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마감재용 도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원료를 일정 비율로 배합하는 공정; 배합된 원료에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공정; 반죽물의 기포를 없애는 토련공정; 토련공정 후 반죽물로 판상의 기물을 성형하는 공정; 성형된 기물의 일면에 일정의 문양을 음각한 후 이색성의 상감재를 채우는 상감처리 공정; 상감처리된 기물을 건조시키는 공정; 건조된 기물의 상감면을 연마하여 상감문양을 표출시키는 공정; 상감문양이 표출된 기물을 800 ∼ 900℃의 온도로 소정시간 1차 소성하여 초벌판을 제조하는 공정; 1차 소성된 초벌판의 상감문양이 표출된 일면에 일정 비율로 혼합 제조된 유약을 시유하여 건조하는 공정; 및 유약이 시유된 초벌판을 1250 ∼ 1350℃의 온도로 소정시간 2차 소성하여 도판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자재로서의 건축마감용 도판을 상감기법과 분청사기 제조방법으로 제조함으로써 우리 나라의 독창적인 문화상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값비싼 외산 대리석이나 질낮은 타일을 대체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Description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MAKING METHOD OF CERAMIC PLATE FOR BUILDING MATERIALS AND THAT ARTICLES}
본 발명은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외벽을 마감하는 대리석이나 타일을 대체할 수 있는 상감기법과 도자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일정규격의 판상으로 제조된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공룡이라 불리는 거대도시는 1930년대 미국 뉴욕으로 상징되는 하늘을 찌를 듯한 건물들의 등장과 함께 이루어졌다. 이러한 건물들은 주위환경과의 조화 및 인간적인 공간 등과 같은 문화의 장으로서 그 기능과 역할을 하지 못했기 때문에 '비인간적인 환경'이라든가 '절망의 바벨탑'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에 대한 반동으로 90년대 들어 인간다운 공간과 환경에 친근한 건물을 위한 건축디자인이 적극 시도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제안은 수만명의 인구가 정원과 예술작품이 있는 공간을 통해 공동체를 실감하며 같은 빌딩에 드나드는 사람들끼리 정서적 공감대를 갖자는 것이다.
따라서, 주택을 포함한 건축물은 주거 및 사무공간으로서의 기능에 더하여 문화공간으로서의 개념이 가미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건축물에예술성을 부여하고, 또한 주위환경과의 조화를 통해 인간적인 공간을 제공하는 새로운 개념의 건축문화를 탄생시키게 되었다. 이와 같은 노력에 의해 건축문화는장족의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건축마감재용 내·외장재 산업 또한 건축문화의 발전에 발맞추어 발전하게 되었다.
전술한 건축마감재는 내장재, 외장재 및 바닥재로 대별할 수 있는데, 건축마감재로써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목재, 석재(대리석), 금속재 및 타일을 들 수 있다. 특히, 석재와 타일은 건축물 내·외장의 가장 보편화된 건축마감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석재의 경우 화려한 질감, 자연에 가까운 색감을 지닌 아름다움과 실용성, 표면내구성, 평활성 등과 같은 특징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기는 하나, 이러한 석재는 몇가지 색감에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공간의 연출을 제공하지 못하며, 석재 일색의 건축물이라는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게 사실이다. 또한, 석재는 대부분이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현실로 원자재의 수급에 대한 고비용의 문제가 있다.
한편, 공업적으로 생산된 타일의 경우는 다양한 무늬를 통해 내부 인테리어의 개성화, 장식화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뛰어난 평활성, 경량성 및 다량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경제적인 가격이라는 특징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기는 하나, 그 재질의 특성 및 제조방법상의 문제로 인하여 다른 건축마감재에 비해 취약하기 때문에 다른 건축마감재에 비해 파손의 우려가 많다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축마감재로서의 석재와 타일은 차가움, 획일적인 느낌으로 인하여 자연스러우면서도 예술적 가치를 느낄 수 있는 제품이라고는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상감기법과 도자기 제조방법을 통해 평면 형태의 도자기 즉, 건축마감재로서의 판상의 도자기를 제조하여 석재나 타일 등의 건축마감재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마감재로서의 도자기를 제조하여 전통스러운 멋과 아름다움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부가가치의 건축마감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판상의 기물을 고화도 소성할 경우 소성과정에서 변형(갈라짐 또는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원료의 배합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판상으로 성형된 기물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기물의 변형(갈라짐이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기물의 건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축마감재용 도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SiO267.87±1%, Al2O317.63±1%, CaO 3.7±1%, K2O 8.07±1%, Na2O 1.61±1%, Fe2O31.12±1%의 성분비로 원료를 일정 비율로 배합하는 공정; 배합된 원료에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공정; 반죽물의 기포를 없애는 토련공정; 토련공정 후 반죽물로 판상의 기물을 성형하는 공정; 성형된 기물의 일면에 일정의 문양을 음각한 후 이색성의 상감재를 채우는 상감처리 공정; 상감처리된 기물을 150 ∼ 200℃의 온도에서 소정시간 압축·건조시키는 공정; 압축·건조된 기물의 상감면을 연마하여 상감문양을 표출시키는 공정; 상감문양이 표출된 기물을 800 ∼ 900℃의 온도로 소정시간 1차 소성하여 초벌판을 제조하는 공정; 1차 소성된 초벌판의 상감문양이 표출된 일면에 일정 비율로 혼합 제조된 유약을 시유하여 건조하는 공정; 및 유약이 시유된 초벌판을 1250 ∼ 1350℃의 온도로 소정시간 2차 소성하여 도판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 고화도 소성시 1차 소성된 초벌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원료의 배합방법은 원료를 배합하는 공정, 배합된 원료에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공정, 반죽물의 기포를 없애는 토련공정, 토련공정 후 반죽물로 판상의 기물을 성형하는 공정, 성형된 기물의 일면에 일정의 문양을 음각한 후 이색성의 상감재를 채우는 상감처리 공정, 상감처리된 기물을 건조시키는 공정, 건조된 기물의 상감면을 연마하여 상감문양을 표출시키는 공정, 상감문양이 표출된 기물을 800 ∼ 900℃의 온도로 소정시간 1차 소성하여 초벌판을 제조하는 공정, 1차 소성된 초벌판의 상감문양이 표출된 일면에 일정 비율로 혼합 제조된 유약을 시유하여 건조하는 공정 및 유약이 시유된 초벌판을 1250 ∼ 1350℃의 온도로 소정시간 2차 소성하여 도판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료는 SiO267.87±1%, Al2O317.63±1%, CaO 3.7±1%, K2O 8.07±1%, Na2O 1.61±1%, Fe2O31.12±1%의 성분비로 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기물의 건조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기물의 건조방법은 SiO267.87±1%, Al2O317.63±1%, CaO 3.7±1%, K2O 8.07±1%, Na2O 1.61±1%, Fe2O31.12±1%의 성분비로 원료를 배합하는 공정, 배합된 원료에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공정, 반죽물의 기포를 없애는 토련공정, 토련공정 후 반죽물로 판상의 기물을 성형하는 공정, 성형된 기물의 일면에 일정의 문양을 음각한 후 이색성의 상감재를 채우는 상감처리 공정, 상감처리된 기물을 건조시키는 공정, 건조된 기물의 상감면을 연마하여 상감문양을 표출시키는 공정, 상감문양이 표출된 기물을 800 ∼ 900℃의 온도로 소정시간 1차 소성하여 초벌판을 제조하는 공정, 1차 소성된 초벌판의 상감문양이 표출된 일면에 일정 비율로 혼합 제조된 유약을 시유하여 건조하는 공정 및 유약이 시유된 초벌판을 1250 ∼ 1350℃의 온도로 소정시간 2차 소성하여 도판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감처리된 기물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건조판과 건조판 사이에 다층으로 적층되어 150 ∼ 200℃의 온도에서 15시간 이상 압축·건조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마감재용 도판은 SiO267.87±1%, Al2O317.63±1%, CaO 3.7±1%, K2O 8.07±1%, Na2O 1.61±1%, Fe2O31.12±1%의 성분비로 원료를 일정 비율로 배합·반죽하여 판상의 기물을 성형한 상태에서 기물의 일면에 일정의 문양을 음각한 후 이색성의 상감재를 채워 접합시킨 다음 상감재가 접합된 기물을 150 ∼ 200℃의 온도에서 소정시간 압축·건조시킨 후 연마하여 상감문양이 표출되도록 하고, 상감문양이 표출된 기물을 800 ∼ 900℃의 온도로 1차 소성하여 초벌판을 제조한 후 일정 비율로 혼합·제조된 유약을 1차 소성한 초벌판의 상감문양이 표출된 일면에 시유하여 건조시키며, 유약이 일면에 시유된 도판을 1250 ∼ 1350℃의 온도로 2차 소성하여 제조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마감재용 도판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건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기물 200. 건조판
210. 통공
본 발명은 우리의 건축문화가 대리석이나 질낮은 타일 일색의 건축마감재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는데서 출발한 것으로, 우리의 전통문화인 상감기법과 분청사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도자기를 판상으로 제조하여 건축마감재용으로 적용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도판(陶板)은 우리 나라의 전통문화인 상감청자와 분청사기에서 느낄 수 있는 전통의 기법을 적용하여 그 멋과 예술적 가치를 갖춘 제품으로, 건축물의 내·외벽 및 바닥에 마감재로 사용함으로써 도자기에서 느낄 수 있는 전통의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을 것임을 확신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에 따른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마감재용 도판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건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마감재용 도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원료의 배합공정(S10), 배합된 원료를 반죽하는 공정(S20), 반죽물의 기포를 없애는 토련공정(S30), 판상의 기물(100)을 성형하는 공정(S40), 성형된 기물(100)의 일면에 일정의 문양을 음각한 후 이색성의 상감재를 채우는 상감처리 공정(S50), 상감처리된 기물(100)을 건조시키는 공정(S60), 건조된 기물(100)의 상감면을 연마하여 상감문양을 표출시키는 공정(S70), 상감문양이 표출된 기물(100)을 800 ∼ 900℃의 온도로 소정시간 1차 소성하여 초벌판을 제조하는 공정(S80), 1차 소성된 초벌판의 상감문양이 표출된 일면에 일정 비율로 혼합 제조된 유약을 시유하여 건조하는 공정(S90) 및 유약이 시유된 초벌판을 1250 ∼ 1350℃의 온도로 소정시간 2차 소성하여 도판을 제조하는 공정(S100)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건축마감재용 도판을 제조하게 되면 기물(100)의 건조시나 1차 소성된 초벌판을 고화도로 2차 소성할 경우 변형이 없는 도판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마감재용 도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료의 배합공정은 여러 성분을 흙을 일정 비율로 배합하는 공정으로, 이 원료의 배합공정에 따른 원료의 배합비에 의해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2차 소성시 고화도에 의해 초벌판이 변형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원료는 SiO267.87%, Al2O317.63%, CaO 3.7%, K2O 8.07%, Na2O 1.6%, Fe2O31.12%의 비율로 배합된다.(S10)
배합된 원료를 반죽하는 공정은 종래에서도 행한 바와 같이 일정 비율로 배합된 원료에 물을 일정량 부어 미립자상의 원료를 반죽 상태로 만드는 공정이다.(S20)
반죽물의 기포를 없애는 토련공정은 반죽물에 형성된 기포를 없애는 공정으로, 반죽물에 형성된 기포는 소정시간 동안 계속하여 반죽하는 과정을 통해 제거된다.(S30) 이처럼 토련공정을 통해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면이 균일한 도판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즉, 기포가 없기 때문에 소성시 팽창하지 않게 되어 균일한 면의 도판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판상의 기물(100)을 성형하는 공정은 반죽물을 일정규격의 판형태의 기물(100)로 성형하는 공정으로, 이러한 공정에 의해 성형되는 판상의 기물(100)은 일정 규격으로 제작된 틀에 의해 압축·성형된다.(S40) 한편, 판상으로 성형되는 기물(100)은 소요되는 규격에 맞게 제작된 틀에 형성되기 때문에 그 규격은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상감처리 하는 공정은 성형된 기물(100)의 일면에 일정의 문양을 음각한 후 이색성의 상감재를 채워 접합시키는 공정으로, 이 공정에서 음각면에 채워지는 이색성의 상감재는 기물(100)의 일면을 완전히 덮을 만큼 충분히 도포된다. 이때, 성형된 기물(100)의 일면에 음각한 후 이색성의 상감재를 채우는 작업은 건조되지 않은 상태의 기물(100)에 하게 된다.(S50) 이와 같이 기물(100)의 일면에 음각 후 상감재를 채워 접합시키는 공정이 상감처리 공정이다.
기물(100)의 건조공정은 상감재를 일면에 채워 접합시킨 기물(100)의 변형을 방지하는 상태에서 건조하기 위한 공정으로, 이 건조공정에서 기물(100)은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은 건조판(200)과 건조판(200) 사이에 배열되어 150 ∼ 200℃의 고온에서 압축·건조된다.(S60) 이러한 건조공정에 의해 건조되는 기물(100)은 건조판(200)에 의해 변형이 방지되면서 건조된다.
상감문양을 표출시키는 공정은 상감처리한 후 건조시킨 기물(100)의 상감면을 연마하여 상감문양이 표출되도록 하기 위한 공정으로, 이 공정에서는 기물(100)의 일면을 균일하게 연마함으로써 상감면에 채워진 상감문양만이 남게 된다.(S70) 이때, 연마재로는 사포나 수세미 등을 이용한다.
1차 소성하여 초벌판을 제조하는 공정에서는 상감문양이 표출된 기물(100)을 800 ∼ 900℃의 온도로 소정시간 동안 1차 소성하여 초벌판을 제조하게 된다.(S80) 이러한 1차 소성에 의해 기물(100)은 일정 강도를 갖는 초벌판으로 제조된다. 즉, 저화도의 초벌구이를 통해 일정 강도를 갖는 초벌판으로 제조되는 것이다.
초벌판에 유약을 시유하여 건조시키는 공정은 일정 비율로 혼합 제조된 유약을 초벌판의 상감면에 시유하여 건조하는 공정으로, 초벌판을 보다 고품격화 하기 위한 공정이라 할 수 있다.(S90) 이 공정상에서 시유되는 유약은 초벌판의 상감문양이 표출된 일면에만 시유된다.
2차 소성하여 도판을 제조하는 공정은 유약이 시유된 초벌판을 1250 ∼ 1350℃의 온도로 소정시간 2차 소성하여 도판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2차 소성 공정을 통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건축마감재용 도판이 제조된다.(S100)
이상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도판을 제조하게 되면 도자기에서 느낄 수 있는 자연스러운 멋과 아름다움이 내재된 문화성이 강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어 건축물의 내외장을 한층 더 예술적으로 승화시킬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건축마감재용 도판을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마감재용 도판은 상감기법과 도자기 제조방법이 적용된 것으로, 일정규격의 판상으로 성형된 기물(100)에 상감처리를 한 후 초벌과 재벌을 통해 제조된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여러 종류의 원료(흙)를 일정 비율로 배합한 후 일정량의 물을 부어 혼합 반죽한다. 이때, 원료의 배합비율은 SiO267.87%, Al2O317.63%, CaO 3.7%, K2O 8.07%, Na2O 1.61%, Fe2O31.12%의 비율로 배합된다.
반죽물은 소정시간 동안 계속 반죽을 통하여 반죽물에 형성된 기포를 없애는 토련작업을 한다. 이와 같은 토련작업은 반죽물에 기포가 형성되어 있게 되면 소성시 팽창하게 되어 면이 고른 도판을 제조할 수 없기 때문이다.
토련작업을 통해 반죽물에 형성되어 있는 기포를 완전히 제거한 후 반죽물로 판상의 기물(100)을 성형한다. 이때, 판상의 기물(100)은 소요되는 규격으로 다양하게 성형될 수 있다.
일정규격으로 성형된 판상의 기물(100) 일면에 음각용 칼을 이용하여 일정문양을 음각한 후 음각면에 이색성의 상감재를 채워 접합시킨 다음 상감재가 채워진 기물(100)을 건조시킨다. 이때, 음각용 칼을 이용하여 일정문양을 음각하는 대신 일정문양이 양각된 도장을 판상의 기물(100) 일면에 인화한 후 도장의 양각면에 의해 형성된 요(凹)홈면에 이색성의 상감재를 채워 접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바로 상감처리 과정이다.
상감처리한 기물(100)을 건조시킬 때는 상하, 좌우 및 전후의 육면 방향으로 관통하여 다수의 통공(210)이 형성된 건조판(200)과 건조판(200) 사이에 상감처리된 기물(100)을 적층하여 150 ∼ 200℃의 온도에서 15시간 이상 압축·건조시킨다. 이때, 상감처리된 기물(100)은 다층으로 적층된 기물(100)의 하중 및 건조판(200)의 하중에 의해 압축되어진다. 건조판(200)의 재질로는 목재나 P.V.C를 사용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상감처리된 기물(100)을 건조하게 되면 원활한 수분의 배출과 공기의 흡입 및 건조판(200)에 의한 형의 유지를 통해 건조되는 기물(100)의 변형(갈라짐이나 뒤틀림)이 방지된다.
소정시간 동안 압축 건조하여 완전히 건조시킨 기물(100)의 상감면을 연마를 통해 상감문양이 표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감면의 문양을 표출되도록 하기 위한 연마재로는 우리의 주위에 흔히 있는 사포나 수세미 등을 사용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된 연마기를 통해 연마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 후 가마에 위치시킨 기물(100)을 800 ∼ 900℃의 온도로 소정시간 가열을 통해 1차 소성하여 초벌판을 제조한다. 이때, 상감처리한 후 건조하여 상감문양을 표출시킨 기물(100)의 1차 소성시 소성시간은 7∼9시간 동안 소성하는 것이 양호하다
1차 소성된 초벌판의 상감처리된 일면에 일정 비율로 혼합 제조된 유약을 시유하여 건조시킨다. 이때, 상감처리된 일면에만 유약을 시유하는 이유는 전후 양면에 유약을 시유하여 도판을 제조하게 되면 건축물의 내·외벽 및 바닥 등에 시공할시 용이하게 부착되지 않기 때문이다.
1차 소성된 초벌판에 유약을 시유하여 건조시킨 다음 유약이 시유된 초벌판을 1250 ∼ 1350℃의 온도로 소정시간 2차 소성하여 본 발명에서 제조하고자 하는 도판을 제조한다. 초벌판의 2차 소성시 소성시간은 10∼13시간 동안 소성하는 것이 양호하다.
한편, 전술한 2차 소성시 초벌판이 변형되지 않는 이유는 원료의 배합공정에서 원료를 SiO267.87%, Al2O317.63%, CaO 3.7%, K2O 8.07%, Na2O 1.61%, Fe2O31.12%의 비율로 배합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도판은 건축물 내·외벽의 벽체장식용, 건축물의 바닥재용 및 건축물의 인테리어용으로써 석재나 타일을 대체할 수 있으며, 시공방법은 석재나 타일의 시공방법과 같다.
전술한 내용을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판은 원료를 일정 비율로 배합·반죽하여 판상의 기물(100)을 성형한 상태에서 기물(100)의 일면에 일정의 문양을 음각한 후 이색성의 상감재를 채워 접합시킨 다음 상감재가 채워진 기물(100)을 150 ∼ 200℃의 온도에서 15시간 이상 압축·건조시킨 후 연마를 통해 상감면의 문양이 표출되도록 하고, 상감문양이 표출된 기물(100)을 800 ∼ 900℃의 온도로 7 ∼ 9시간 정도 1차 소성하여 초벌판을 제조한 후 일정 비율로 혼합·제조된 유약을 1차 소성한 초벌판의 상감문양이 표출된 일면에 시유하여 건조시키며, 유약이 일면에 시유된 도판을 1250 ∼ 1350℃의 온도로 10 ∼ 13시간 동안 2차 소성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 고화도 소성시 1차 소성된 초벌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원료의 배합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건축마감재용 도판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에서, 원료를 SiO267.87±1%, Al2O317.63±1%, CaO 3.7±1%, K2O 8.07±1%, Na2O 1.61±1%, Fe2O31.12±1%의 비율로 배합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 기물(100)의 건조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기물(100)의 건조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건축마감재용 도판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에서, 상감재가 채워진 기물(100)을 다수의 통공(210)이 형성된 건조판(200)과 건조판(200) 사이에 적층하여 150 ∼ 200℃의 온도에서 15시간 이상 압축·건조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조된 건축마감재용 도판은 세계에서 가장 자랑할 만한 상감기법과 분청사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우리의 전통공예문화로서 건축물의 실내를 한차원 더 격조높게 하여 주위환경과의 조화 및 인간적인 공간 등과 같은 문화의 장으로써의 건축문화를 선도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자재로서의 건축마감용 도판을 상감기법과 분청사기 제조방법으로 제조함으로써 우리 나라의 독창적인 문화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에서와 같은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건축마감재용 도판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본 발명에서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건축마감재용 도판을 건축물에 시공함으로써 값비싼 외산 대리석이나 질낮은 타일을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외산 대리석을 이용하여 시공하는데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통문화를 기초로한 도자기의 상감기법을 건축자재에 적용함으로써 도자기에서 느낄 수 있는 아름다움을 그대로 건축물에 부여하여 한차원 높은 건축문화를 이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정정)SiO267.87±1%, Al2O317.63±1%, CaO 3.7±1%, K2O 8.07±1%, Na2O 1.61±1%, Fe2O31.12±1%의 성분비로 원료를 배합하는 공정;
    상기 배합된 원료에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공정;
    상기 반죽물의 기포를 없애는 토련공정;
    상기 토련공정 후 반죽물로 판상의 기물을 성형하는 공정;
    상기 성형된 기물의 일면에 일정의 문양을 음각한 후 이색성의 상감재를 채우는 상감처리 공정;
    상기 상감처리된 기물을 150 ∼ 200℃의 온도 조건하에서 소정시간 압축·건조시키는 공정;
    상기 압축·건조된 기물의 상감면을 연마하여 상감문양을 표출시키는 공정;
    상기 상감문양이 표출된 기물을 800 ∼ 900℃의 온도로 소정시간 1차 소성하여 초벌판을 제조하는 공정;
    상기 1차 소성된 초벌판의 상감문양이 표출된 일면에 일정 비율로 혼합 제조된 유약을 시유하여 건조하는 공정; 및
    상기 유약이 시유된 초벌판을 1250 ∼ 1350℃의 온도로 소정시간 2차 소성하여 도판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2. (삭제)
  3. 원료를 배합하는 공정, 상기 배합된 원료에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공정, 상기 반죽물의 기포를 없애는 토련공정, 상기 토련공정 후 반죽물로 판상의 기물을 성형하는 공정, 상기 성형된 기물의 일면에 일정의 문양을 음각한 후 이색성의 상감재를 채우는 상감처리 공정, 상기 상감처리된 기물을 건조시키는 공정, 상기 건조된 기물의 상감면을 연마하여 상감문양을 표출시키는 공정, 상기 상감문양이 표출된 기물을 800 ∼ 900℃의 온도로 소정시간 1차 소성하여 초벌판을 제조하는 공정, 상기 1차 소성된 초벌판의 상감문양이 표출된 일면에 일정 비율로 혼합 제조된 유약을 시유하여 건조하는 공정 및 상기 유약이 시유된 초벌판을 1250 ∼ 1350℃의 온도로 소정시간 2차 소성하여 도판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료는 SiO267.87±1%, Al2O317.63±1%, CaO 3.7±1%, K2O 8.07±1%, Na2O 1.61±1%, Fe2O31.12±1%의 성분비로 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배합방법.
  4. (정정)SiO267.87±1%, Al2O317.63±1%, CaO 3.7±1%, K2O 8.07±1%, Na2O 1.61±1%, Fe2O31.12±1%의 성분비로 원료를 배합하는 공정, 상기 배합된 원료에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공정, 상기 반죽물의 기포를 없애는 토련공정, 상기 토련공정 후 반죽물로 판상의 기물을 성형하는 공정, 상기 성형된 기물의 일면에 일정의 문양을 음각한 후 이색성의 상감재를 채우는 상감처리 공정, 상기 상감처리된 기물을 건조시키는 공정, 상기 건조된 기물의 상감면을 연마하여 상감문양을 표출시키는 공정, 상기 상감문양이 표출된 기물을 800 ∼ 900℃의 온도로 소정시간 1차 소성하여 초벌판을 제조하는 공정, 상기 1차 소성된 초벌판의 상감문양이 표출된 일면에 일정 비율로 혼합 제조된 유약을 시유하여 건조하는 공정 및 상기 유약이 시유된 초벌판을 1250 ∼ 1350℃의 온도로 소정시간 2차 소성하여 도판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감처리된 기물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건조판과 건조판 사이에 다층으로 적층하여 150 ∼ 200℃의 온도에서 15시간 이상 압축·건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물의 건조방법.
  5. (정정)SiO267.87±1%, Al2O317.63±1%, CaO 3.7±1%, K2O 8.07±1%, Na2O 1.61±1%, Fe2O31.12±1%의 성분비로 원료를 배합·반죽하여 판상의 기물을 성형한 상태에서 상기 기물의 일면에 일정의 문양을 음각한 후 이색성의 상감재를 채워 접합시킨 다음 상기 상감재가 접합된 기물을 150 ∼ 200℃의 온도에서 소정시간 압축·건조시킨 후 연마하여 상감문양이 표출되도록 하고, 상기 상감문양이 표출된 기물을 800 ∼ 900℃의 온도로 1차 소성하여 초벌판을 제조한 후 일정 비율로 혼합·제조된 유약을 상기 1차 소성한 초벌판의 상감문양이 표출된 일면에 시유하여 건조시키며, 상기 유약이 일면에 시유된 도판을 1250 ∼ 1350℃의 온도로 2차 소성하여 제조된 건축마감재용 도판.
KR1019990035770A 1999-08-27 1999-08-27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0360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770A KR100360624B1 (ko) 1999-08-27 1999-08-27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DE10041566A DE10041566B4 (de) 1999-08-27 2000-08-24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keramischen Tafeln zum Abdecken von Konstruktionsmaterialien
IT2000RM000465A IT1317899B1 (it) 1999-08-27 2000-08-25 Metodo per fabbricazione di piani ceramici da utilizzare comemateriale da costruzione di finitura e prodotti ricavati mediante
FR0010940A FR2797870B1 (fr) 1999-08-27 2000-08-25 Procede de fabrication de panneaux ceramiques destines a etre utilises comme materiaux de construction de finition et produits obtenus par ce procede
US09/648,674 US6379607B1 (en) 1999-08-27 2000-08-25 Method for manufacturing ceramic boards for use as finishing construction materials and products produced by the method
GB0021095A GB2353500B (en) 1999-08-27 2000-08-25 Method for manufacturing ceramic tiles for use as construction finishing mat erials and products produced by the method
CN00126302A CN1108935C (zh) 1999-08-27 2000-08-28 用于制造用作终饰建筑材料的陶瓷板的方法
JP2000257098A JP2001097762A (ja) 1999-08-27 2000-08-28 建築仕上げ材用陶板および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770A KR100360624B1 (ko) 1999-08-27 1999-08-27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284A KR20000036284A (ko) 2000-07-05
KR100360624B1 true KR100360624B1 (ko) 2002-11-18

Family

ID=19608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770A KR100360624B1 (ko) 1999-08-27 1999-08-27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79607B1 (ko)
JP (1) JP2001097762A (ko)
KR (1) KR100360624B1 (ko)
CN (1) CN1108935C (ko)
DE (1) DE10041566B4 (ko)
FR (1) FR2797870B1 (ko)
GB (1) GB2353500B (ko)
IT (1) IT13178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646A (ko) * 2000-03-31 2001-11-01 김문환 벽면장식물 및 이의 제조방법
ES2215468B1 (es) * 2002-09-20 2005-10-01 Martin Lario Garcia Procedimiento de elaboracion y decoracion de piezas de ceramica.
ITBO20020602A1 (it) * 2002-09-24 2004-03-25 Paolo Malavasi Apparecchiatura per la realizzazione di decori artistici,
ES2251273B1 (es) * 2003-03-13 2007-07-01 S.L Ceramicas Granell Cenefa decorada con incrustaciones de vidrio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US20050221114A1 (en) * 2004-03-31 2005-10-06 Watts Richie D Method for manufacturing pottery and resulting article of manufacture
CN101088777B (zh) * 2006-06-16 2010-08-11 谢开强 一种陶瓷雕刻工艺
CN101376602B (zh) * 2008-09-23 2011-12-21 林敏� 一种在陶瓷制品表面制作一层或多层金属图案的方法
CN102717419B (zh) * 2012-06-20 2014-11-12 申帮武 绞胎瓷制作精准成型工艺
US20140179506A1 (en) * 2012-12-24 2014-06-26 King Abdul Aziz C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KACST) Self glazed ceramic/glass 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4648028B (zh) * 2013-11-19 2018-02-02 刘鹏 大理石雕件综合加工方法
CN103643771A (zh) * 2013-12-27 2014-03-19 吕国兵 一种陶瓷保温装饰板及其制作方法
CN107010996A (zh) * 2017-05-24 2017-08-04 东莞市顶爱厨卫有限公司 陶瓷板及其制造方法
CN107903023A (zh) * 2017-10-30 2018-04-13 书香门地(上海)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瓷器地板的制造方法
CN108130993B (zh) * 2017-11-23 2019-12-20 江苏仁寿致尊建材发展有限公司 一种大理石瓷砖复合板的加工工艺
CN108544646B (zh) * 2018-05-04 2024-09-17 佛山市赛普飞特科技有限公司 一种陶瓷砖平板印花机
CN113305994B (zh) * 2021-06-11 2023-05-09 泉州市德化润昇陶瓷有限公司 一种陶瓷制品表面微雕艺术图画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894Y1 (ko) * 1999-07-30 2000-02-15 김필두 분청사기표면을갖는벽돌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4907A (en) * 1941-05-31 1942-03-03 Joseph A Madala Process of making mosaic
US3627861A (en) * 1968-07-26 1971-12-14 Accentile Inc Method of forming indented decorative patterns on ceramic tile
US3651184A (en) * 1970-05-18 1972-03-21 Thiokol Chemical Corp Process for fast-fire ceramic tile using nepheline syenite and clay
JPS5281312A (en) * 1975-12-27 1977-07-07 Showa Baamikiyuraito Kk Incombustible smokeless materials and manufacture
IT1150410B (it) * 1981-05-21 1986-12-10 Giuseppe Silingardi Piastrella parzialmente decorata asmalto con decori incassati nella stessa
DE3145978A1 (de) * 1981-11-20 1983-06-01 Kock, geb.Arndt, Anita, 2211 Vaale Verfahren zum dekorieren keramischer, insbesondere aus z.b. porzellan bestehender gegenstaende
ES2006499A6 (es) * 1986-09-24 1989-05-01 Azienda Srl Metodo para la realizacion de una baldosa ceramica vitrificada o esmaltada
JPH0620734B2 (ja) * 1989-08-19 1994-03-23 株式会社イナックス 象嵌模様タイルの製造方法
JP2880208B2 (ja) * 1989-11-27 1999-04-05 株式会社ヤマウ 象嵌模様入り製品の製造方法
US5393471A (en) * 1992-02-07 1995-02-28 The Burns & Russell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a pattern in a glaze composition and preparation of a mold therefore
IT1263440B (it) * 1993-06-21 1996-08-05 Rodiero Alieri Procedimento per decorare piastrelle ceramiche e piastrelle cosi' ottenute.
IT1288465B1 (it) * 1996-10-24 1998-09-22 Marco Brighenti Procedimento per realizzare piastrelle ceramiche decorate
FR2772304A1 (fr) * 1997-12-15 1999-06-18 Stephane Galerneau Procede pour realiser une image donnant une impression de relief
EP1543929A1 (en) * 2002-07-29 2005-06-22 Eusebio Moro Franco Method and equipment for decorating ceramic pieces and product thus obtaine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894Y1 (ko) * 1999-07-30 2000-02-15 김필두 분청사기표면을갖는벽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53500A (en) 2001-02-28
DE10041566B4 (de) 2009-02-19
FR2797870A1 (fr) 2001-03-02
US6379607B1 (en) 2002-04-30
ITRM20000465A1 (it) 2002-02-25
DE10041566A1 (de) 2001-05-10
JP2001097762A (ja) 2001-04-10
ITRM20000465A0 (it) 2000-08-25
CN1286180A (zh) 2001-03-07
FR2797870B1 (fr) 2007-02-09
CN1108935C (zh) 2003-05-21
KR20000036284A (ko) 2000-07-05
IT1317899B1 (it) 2003-07-15
GB0021095D0 (en) 2000-10-11
GB2353500B (en) 200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0624B1 (ko)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N110372416B (zh) 一种多维度装饰原边木纹陶瓷砖及其制备方法
CN101054043B (zh) 一种立体瓷板画的制作工艺
CN110746203A (zh) 一种数码工艺制作模具效果纹理的陶瓷制品及其制作方法
CN103992141B (zh) 一种抛釉砖的制造方法及其产品
CN106219976A (zh) 一种综合装饰金属质陶瓷砖及其制造方法
KR101308525B1 (ko) 다양한 색상이 표출되는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도자기
CN203145400U (zh) 一种抛晶砖
CN111976359A (zh) 一种在建水紫陶器上镶嵌金银装饰的方法
CN103073274A (zh) 一种微小马赛克电镀装饰陈设艺术瓷器的制造方法
KR20020023497A (ko) 도태칠기(陶胎漆器) 기법
JP3575377B2 (ja) 陶磁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169581B2 (ja) 陶磁器の厚盛釉薬転写による厚盛加飾方法と、1000℃〜1200℃以上の温度による高温焼成による厚盛加飾用の厚盛釉薬転写紙
CN115594526B (zh) 一种具有网格状凹凸纹路效果的釉料组合及瓷砖
KR102224455B1 (ko) 도자기 조성물을 이용한 입체 도자기 그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75014B1 (ko) 트임기법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CN109397496A (zh) 一种建水紫陶多层次彩泥堆雕的方法
KR102396610B1 (ko)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
CN101412627A (zh) 一种陈设艺术瓷器的制造方法
JPH03271177A (ja) 装飾陶磁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70567A (ko) 보형성(保形性)이 구축된 다목적 도자기판의 제조방법
JPH0532470A (ja) 色彩模様を有する施釉セラミツクス製品の製造方法
KR20170101068A (ko) 다양한 패턴이 형성된 도금 도자기 제조방법
CN101177020A (zh) 抛光瓷板装饰品的制造方法
KR100466606B1 (ko) 도예미술장식품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82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0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8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002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406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101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2102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031015

Decision date: 20050325

Appeal identifier: 200310000217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1015

Effective date: 2005032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10000217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1015

Effective date: 20050325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05032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031015

Decision date: 20050325

Appeal identifier: 200310000217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200003444; INVALIDATION

PJ2001 Appeal

Patent event date: 2005032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20011S05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60210

Appeal identifier: 2005200003444

Request date: 2005043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430

Effective date: 2006021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200003444;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430

Effective date: 20060210

PJ1302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date: 20060307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050430

Decision date: 20060210

Appeal identifier: 2005200003444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PJ220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Patent event code: PJ22012S01I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date: 20060307

Request date: 20060307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 2006130000037

Decision date: 2006032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307

Effective date: 2006032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13000003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307

Effective date: 20060323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9D

Patent event date: 20060324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Final Judgment on Revocatio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060307

Decision date: 20060323

Appeal identifier: 2006130000037

EXTG Ip right invalidated
P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