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43205B1 -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삼극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삼극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205B1
KR100343205B1 KR1020000022164A KR20000022164A KR100343205B1 KR 100343205 B1 KR100343205 B1 KR 100343205B1 KR 1020000022164 A KR1020000022164 A KR 1020000022164A KR 20000022164 A KR20000022164 A KR 20000022164A KR 100343205 B1 KR100343205 B1 KR 100343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carbon nanotubes
gates
anodes
str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7787A (ko
Inventor
최원봉
윤민재
진용완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20000022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205B1/ko
Priority to GB0106005A priority patent/GB2361805B/en
Priority to CNB011112506A priority patent/CN1185675C/zh
Priority to US09/837,225 priority patent/US6642639B2/en
Priority to JP2001124604A priority patent/JP2001357773A/ja
Publication of KR20010097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205B1/ko
Priority to US10/658,526 priority patent/US6976897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02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cold cathodes
    • H01J9/025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cold cathodes of field emission cath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05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carbon not covered by groups C01B32/15, C01B32/20, C01B32/25, C01B3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00Details of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or of ion trap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3/02Electron guns
    • H01J3/021Electron guns using a field emission, photo emission, or secondary emission electron source
    • H01J3/022Electron guns using a field emission, photo emission, or secondary emission electron source with microengineered cathode, e.g. Spindt-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1/00Electrodes common to discharge tubes
    • H01J2201/30Cold cathodes
    • H01J2201/304Field emission cathodes
    • H01J2201/30446Field emission cathodes characterised by the emitter material
    • H01J2201/30453Carbon types
    • H01J2201/30469Carbon nanotubes (C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90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 Y10S977/93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for electronic or optoelectronic application
    • Y10S977/952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ld Cathode And The Manufacture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마이크로팁 대신에 전자 방출원으로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삼극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작 방법(Field emission array using carbon nanotub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을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은, 배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음극들과 카본나노튜브들을 포함하는 배면 기판 구조체를 형성하고, 전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양극들 및 형광체들을 순차로 형성하고, 부도체 판에 홀들을 형성하고 이 홀들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스트라이프 상의 게이트들을 형성하여 이 게이트들이 형성된 부도체판과 배면 기판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스페이서로서 지지하는 전면기판 구조체를 형성한 다음, 카본나노튜브들이 홀들 내에 들어가 게이트들과 카본나노튜브들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배면기판 구조체 및 전면 기판 구조체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삼극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작 방법{Field emission array using carbon nanotub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존의 마이크로팁 대신에 전자 방출원으로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삼극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작 방법(Field emission array using carbon nanotub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금속 마이크로팁 대신에 일함수가 작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카본 나노 튜브를 전자 방출원으로 채용한 전계 전계 방출 소자들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제안된 3극 구조의 전계 방출 소자들은 그 제작 공정 특히 박막 공정에 있어서 어려움이 많았으며, 소자를 패키징하여 동작시 outgassing 이 발생하는 등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게이트 전극들이 형성된 부도체 기판을 전면 기판과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카본나노튜브들이 어레이 형태로 증착된 음극들이 형성된 배면 기판을 상기 전면 기판 구조와 별도로제작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박막 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동작시 아웃 개싱이 발생하지 않는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의 개략적 구조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4에서 부도체 판에 게이트 전극들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며,
도 8은 실제로 제작된 제1실시예의 전계 방출 어레이에서 인가된 게이트 전압 변화에 따른 휘도를 측정한 그래프를 나타내며,
도 9는 이 때 발광하는 전계 방출 어레이를 찍은 사진이며,
그리고 도 10은 게이트를 경사 증착한 제3실시예의 전계 방출 소자에서 인가된 게이트 전압 변화에 따라 흐르는 애노드 전류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배면 기판 11. 음극
11'. 카본나노튜브 20. 전면 기판
21. 양극 22. 형광체
23. 부도체판 24. 게이트
25. 스페이서 100. 배면 기판 구조체
200. 전면 기판 구조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는, 배면 기판; 상기 배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음극들; 및 상기 음극들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착된 카본나노튜브들;을 포함한 배면 기판 구조체; 및 전면 기판; 상기 전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양극들; 및 상기 양극들 상에 도포된 형광체들; 상기 양극들에 대응하는 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홀들이 형성된 부도체판; 상기 부도체판 상에 상기 홀들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도록 상기 양극들과 교차하는 방향의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게이트들; 및 상기 게이트들이 형성된 부도체판과 상기 배면 기판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 전면기판 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카본나노튜브들은 상기 홀들 내로 들어가 상기 게이트들과 상기 카본나노튜브들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상기 배면기판 구조체 및 상기 전면 기판 구조체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는, 배면 기판; 상기 배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음극들; 및 상기 음극들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착된 카본나노튜브들;을 포함한 배면 기판 구조체; 및 전면 기판; 상기 전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양극들; 및 상기 양극들 상에 도포된 형광체들; 상기 양극들에 대응하는 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홀들이 형성된 부도체판들; 상기 카본나노튜브들과 원하는 만큼의 짧은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부도체판들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홀들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도록 상기 양극들과 교차하는 방향의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게이트들; 및 상기 게이트들이 형성된 부도체판들과 상기 배면 기판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 전면기판 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카본나노튜브들은 상기 홀들 내로 들어가 상기 게이트들과 상기 카본나노튜브들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상기 배면기판 구조체 및 전면 기판 구조체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는, 배면 기판; 상기 배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음극들; 및 상기 음극들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착된 카본나노튜브들;을 포함한 배면 기판 구조체; 및 전면 기판; 상기 전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양극들; 및 상기 양극들 상에 도포된 형광체들; 상기 양극들에 대응하는 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홀들이 형성된 부도체판; 상기 홀들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부도체판 상면 및 상기 홀들의 측면 상부에 증착되고 패터닝되어 상기 양극들과 교차하는 방향의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게이트들; 및 상기 게이트들이 형성된 부도체판과 상기 배면 기판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 전면기판 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카본나노튜브들은 상기 홀들 내로 들어가 상기 게이트들과 상기 카본나노튜브들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상기 배면기판 구조체 및 상기 전면 기판 구조체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작 방법은, 배면 기판; 상기 배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음극들; 및 상기 음극들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착된 카본나노튜브들;을 포함하는 배면 기판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전면 기판; 상기 전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양극들; 및 상기 양극들 상에 도포된 형광체들; 상기 양극들에 대응하는 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홀들이 형성된 부도체판; 상기 홀들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부도체판 상면에 상기 양극들과 교차하는 방향의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게이트들; 및 상기 게이트들이 형성된 부도체판과 상기 배면 기판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전면기판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카본나노튜브들이 상기 홀들 내에 들어가 상기 게이트들과 카본나노튜브들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상기 배면기판 구조체 및 전면 기판 구조체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면 기판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면 기판 상에 금속을 도포하고 패터닝하여 스트라이프 상의 양극들을 형성하는 서브 단계; 상기 양극들 위에 형광체를 도포하는 서브단계; 상기 부도체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의 게이트들을 형성하는 서브 단계; 및 상기 게이트들이 형성된 부도체판을 상기 양극 및 형광체가 형성된 전면 기판에 스페이서로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도체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의 게이트들을 형성하는 서브 단계는, 상기 부도체 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홀들을 형성하는서브 단계; 및 상기 홀들이 형성된 부도체판 상에 금속을 증착한 다음 패터닝하여 상기 홀들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도록 스트라이프 상으로 게이트를 형성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도체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의 게이트들을 형성하는 서브 단계는, 상기 하부 부도체 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홀들을 형성하는 서브 단계; 상기 홀들이 형성된 부도체판 상에 금속을 증착한 다음 패터닝하여 상기 홀들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도록 스트라이프 상으로 게이트를 형성하는 서브 단계; 및 상기 게이트 개구부에 대응하는 홀들을 갖도록 상기 게이트를 덮는 상부 부도체판을 형성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하거나, 혹은 상기 부도체 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홀들을 형성하는 서브 단계; 및 스핀트법으로 상기 홀들이 형성된 부도체판의 상면과 상기 홀들의 상부 측면에 금속을 증착한 다음 패터닝하여 상기 홀들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스트라이프 상의 게이트를 형성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작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각 실시예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는, 배면 기판(10) 상에 스트라이프 상의 음극(11)들이 형성되고 이 음극(11)들 상에 카본나노튜브(11')들이 증착된 배면 기판 구조체(100) 및 전면 기판(20) 상에 스트라이프 상의 양극(21)들 및형광체(22)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이들에 스트라이프 상의 게이트(24)들이 형성된 부도체판(23)이 스페이서(25)에 의해 지지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 전면기판 구조체(200)을 결합한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부도체판(23) 상에 스트라이프상의 게이트(24)들이 형성된 제1실시예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에서 보다 얇은 부도체판(23) 상에 스트라이프상의 게이트(24)들이 형성된 다음 그 위에 다시 부도체판(23')이 형성된 제2실시예이며, 도 3은 제1실시예와 같은 부도체판(23)에 스트라이프상의 게이트(24)들이 형성된 것으로 제1실시예와 유사하나 부도체판(23)의 상부측면에도 게이트(24a)들이 형성된 제3실시예이다.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는 부도체판(23)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카본나노튜브(11')와 게이트(24) 간의 간격을 더욱 좁힐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여기서, 카본나노튜브(11')는 일함수가 낮고, 내구성이 크며, 열적 안정성이 높아 전자 방출원으로서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한다. 또한, 게이트(24)들은 감광성 글래스, 세라믹 기판 등으로 형성된 부도체 기판(23) 위에 금속을 도포하여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배면 기판 구조체(100)와 전면 기판 구조체(200)를 결합할 때, 카본나노튜브(11')와 게이트(24) 간의 간격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삼극관 구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카본나노튜브(11')와 게이트(24) 간에 별도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게이트 분리형으로 박막 공정 단순화 및 박막 공정 중 열처리에 의한 카본나노튜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전자 방출 어레이의 제작 방법은,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기판 구조체(100)와 전면 기판 구조체(200)를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먼저, 배면 기판 구조체(100)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배면 기판(10) 상에 박막 공정으로 금속을 도포하고 패터닝하여 스트라이프 상의 음극(11)들을 형성한 다음, 이 음극(11)들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카본나노튜브(11')를 도포한다.
다음에, 전면 기판 구조체(200)를 형성한다. 전면 기판 구조체(200)는 전면 기판(20) 상에 금속을 도포하고 패터닝하여 스트라이프 상의 양극(21)들을 형성하고, 이 양극(24)들 위에 형광체(22)를 도포한 구조에, 게이트(24)들이 형성된 부도체판(23)을 스페이서(25)로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부도체판(23)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홀(23')들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프 상의 게이트(24)들을 형성한다. 이 게이트(24)들은 부도체판(24) 상에 금속을 증착한 다음 패터닝하여 형성하며, 이 때 부도체판(24)의 홀(24a)들에 대응하는 개구부(24')를 갖도록 한다.
이 방법은 제1실시예를 제작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며, 여기서 배면 기판 구조체(100)와 전면 기판 구조체(200)의 제작 순서는 어느 쪽을 먼저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제2실시예를 제작하는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를 제작하는 방법에서 부도체판(23)의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이 다를 뿐이다. 즉, 제1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도체판 보다 얇은 부도체판(23) 상에 스트라이프 상의 게이트(24)를 형성하고 그 위에 재차 부도체판(23')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제3실시예를 제작하는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를 제작하는 방법에서 부도체판(23)에 형성되는 게이트(24)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이 다를 뿐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들이 형성된 부도체판(23)(제1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부도체판(23)) 상에 스트라이프 상의 게이트(24)를 형성함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핀트법으로 게이트용 금속을 증착함으로써 홀(23')들의 상부 측면에도 게이트용 금속이 증착되도록 한 다음 스트라이프 상으로 패터닝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24a)를 갖는 게이트(24)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러한 게이트의 측면부(24a)는 게이트와 카본나노튜브 간의 간격을 줄여준다.
도 8은 실제로 제작된 제1실시예의 전계 방출 어레이에서 인가된 게이트 전압 변화에 따른 휘도를 측정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애노드 전압 및 게이트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휘도가 점차로 증가하게 되며, 최고 2000cd/m2(게이트 200V - 애노드 900V)의 밝기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도 9는 이 때 발광하는 전계 방출 어레이를 찍은 사진이다.
그리고 도 10은 게이트를 경사 증착한 제3실시예의 전계 방출 소자에서 인가된 게이트 전압 변화에 따라 흐르는 애노드 전류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애노드 전류가 증가하며, 게이트 전압 50V~200V 범위 내에서 애노드 전류가 조절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은, 배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음극들과 카본나노튜브들을 포함하는 배면 기판 구조체를 형성하고, 전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양극들 및 형광체들을 순차로 형성하고, 부도체 판에 홀들을 형성하고 이 홀들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스트라이프 상의 게이트들을 형성하여 이 게이트들이 형성된 부도체판과 배면 기판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스페이서로서 지지하는 전면기판 구조체를 형성한 다음, 카본나노튜브들이 홀들 내에 들어가 게이트들과 카본나노튜브들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배면기판 구조체 및 전면 기판 구조체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카본나노튜브를 도포하는 박막 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어레이 동작시 아웃 개싱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배면 기판; 상기 배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음극들; 및 상기 음극들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착된 카본나노튜브들;을 포함한 배면 기판 구조체; 및
    전면 기판; 상기 전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양극들; 및 상기 양극들 상에 도포된 형광체들; 상기 양극들에 대응하는 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홀들이 형성된 부도체판; 상기 부도체판 상에 상기 홀들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도록 상기 양극들과 교차하는 방향의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게이트들; 및 상기 게이트들이 형성된 부도체판과 상기 배면 기판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 전면기판 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카본나노튜브들은 상기 홀들 내로 들어가 상기 게이트들과 상기 카본나노튜브들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상기 배면기판 구조체 및 상기 전면 기판 구조체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2. 배면 기판; 상기 배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음극들; 및 상기 음극들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착된 카본나노튜브들;을 포함한 배면 기판 구조체; 및
    전면 기판; 상기 전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양극들; 및 상기 양극들 상에 도포된 형광체들; 상기 양극들에 대응하는 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홀들이 형성된 부도체판들; 상기 카본나노튜브들과 원하는 만큼의 짧은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부도체판들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홀들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도록 상기 양극들과 교차하는 방향의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게이트들; 및 상기 게이트들이 형성된 부도체판들과 상기 배면 기판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 전면기판 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카본나노튜브들은 상기 홀들 내로 들어가 상기 게이트들과 상기 카본나노튜브들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상기 배면기판 구조체 및 상기 전면 기판 구조체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3. 배면 기판; 상기 배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음극들; 및 상기 음극들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착된 카본나노튜브들;을 포함한 배면 기판 구조체; 및
    전면 기판; 상기 전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양극들; 및 상기 양극들 상에 도포된 형광체들; 상기 양극들에 대응하는 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홀들이 형성된 부도체판; 상기 홀들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부도체판 상면 및 상기 홀들의 측면 상부에 증착되고 패터닝되어 상기 양극들과 교차하는 방향의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게이트들; 및 상기 게이트들이 형성된 부도체판과 상기 배면 기판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 전면기판 구조체;를 구비하며,
    상기 카본나노튜브들은 상기 홀들 내로 들어가 상기 게이트들과 상기 카본나노튜브들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상기 배면기판 구조체 및 상기 전면 기판 구조체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4. 배면 기판; 상기 배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음극들; 및 상기 음극들 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착된 카본나노튜브들;을 포함하는 배면 기판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전면 기판; 상기 전면 기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양극들; 및 상기 양극들 상에 도포된 형광체들; 상기 양극들에 대응하는 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홀들이 형성된 부도체판; 상기 홀들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부도체판 상면에 상기 양극들과 교차하는 방향의 스트라이프 상으로 형성된 게이트들; 및 상기게이트들이 형성된 부도체판과 상기 배면 기판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전면기판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카본나노튜브들이 상기 홀들 내에 들어가 상기 게이트들과 카본나노튜브들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상기 배면기판 구조체 및 전면 기판 구조체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기판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배면 기판 상에 박막 공정으로 금속을 도포하고 패터닝하여 스트라이프 상의 음극들을 형성하는 서브 단계; 및
    상기 음극들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카본나노튜브를 도포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작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기판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면 기판 상에 금속을 도포하고 패터닝하여 스트라이프 상의 양극들을 형성하는 서브 단계;
    상기 양극들 위에 형광체를 도포하는 서브단계;
    상기 부도체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의 게이트들을 형성하는 서브 단계; 및
    상기 게이트들이 형성된 부도체판을 상기 양극 및 형광체가 형성된 전면 기판에 스페이서로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도체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의 게이트들을 형성하는 서브 단계는,
    상기 부도체 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홀들을 형성하는 서브 단계; 및
    상기 홀들이 형성된 부도체판 상에 금속을 증착한 다음 패터닝하여 상기 홀들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도록 스트라이프 상으로 게이트를 형성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작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도체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의 게이트들을 형성하는 서브 단계는,
    상기 하부 부도체 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홀들을 형성하는 서브 단계;
    상기 홀들이 형성된 부도체판 상에 금속을 증착한 다음 패터닝하여 상기 홀들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도록 스트라이프 상으로 게이트를 형성하는 서브 단계;및
    상기 게이트 개구부에 대응하는 홀들을 갖도록 상기 게이트를 덮는 상부 부도체판을 형성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작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도체판 상에 스트라이프 상의 게이트들을 형성하는 서브 단계는,
    상기 부도체 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홀들을 형성하는 서브 단계; 및
    스핀트법으로 상기 홀들이 형성된 부도체판의 상면과 상기 홀들의 상부 측면에 금속을 증착한 다음 패터닝하여 상기 홀들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갖는 스트라이프 상의 게이트를 형성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의 제작 방법.
KR1020000022164A 2000-04-26 2000-04-26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삼극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작방법 KR100343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164A KR100343205B1 (ko) 2000-04-26 2000-04-26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삼극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작방법
GB0106005A GB2361805B (en) 2000-04-26 2001-03-12 Field emission array with carbon nanotub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field emission array
CNB011112506A CN1185675C (zh) 2000-04-26 2001-03-12 具有碳纳米管的场致发射阵列和制造场致发射阵列的方法
US09/837,225 US6642639B2 (en) 2000-04-26 2001-04-19 Field emission array with carbon nanotubes
JP2001124604A JP2001357773A (ja) 2000-04-26 2001-04-23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利用した電界放出ア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US10/658,526 US6976897B2 (en) 2000-04-26 2003-09-10 Field emission array with carbon nanotub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field emission ar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164A KR100343205B1 (ko) 2000-04-26 2000-04-26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삼극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787A KR20010097787A (ko) 2001-11-08
KR100343205B1 true KR100343205B1 (ko) 2002-07-10

Family

ID=19667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164A KR100343205B1 (ko) 2000-04-26 2000-04-26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삼극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642639B2 (ko)
JP (1) JP2001357773A (ko)
KR (1) KR100343205B1 (ko)
CN (1) CN1185675C (ko)
GB (1) GB23618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205B1 (ko) * 2000-04-26 2002-07-10 김순택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삼극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작방법
JP2002063864A (ja) * 2000-08-21 2002-02-28 Ise Electronics Corp 蛍光表示管
JP4830217B2 (ja) * 2001-06-18 2011-12-07 日本電気株式会社 電界放出型冷陰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706402B2 (en) 2001-07-25 2004-03-16 Nantero, Inc. Nanotube films and articles
US7259410B2 (en) * 2001-07-25 2007-08-21 Nantero, Inc. Devices having horizontally-disposed nanofabric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6919592B2 (en) * 2001-07-25 2005-07-19 Nantero, Inc. Electromechanical memory array using nanotube ribbon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574130B2 (en) 2001-07-25 2003-06-03 Nantero, Inc. Hybrid circuit having nanotube electromechanical memory
US6924538B2 (en) * 2001-07-25 2005-08-02 Nantero, Inc. Devices having vertically-disposed nanofabric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AU2002366912A1 (en) * 2001-12-21 2003-07-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acuum electronic device
US7335395B2 (en) 2002-04-23 2008-02-26 Nantero, Inc. Methods of using pre-formed nanotubes to make carbon nanotube films, layers, fabrics, ribbons, elements and articles
JP3954002B2 (ja) 2002-12-24 2007-08-08 韓國電子通信研究院 電界放出ディスプレイ
US7015496B2 (en) * 2002-12-27 2006-03-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Field emission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0463094C (zh) * 2003-03-26 2009-02-18 清华大学 一种场发射显示器的制作方法
CN100419943C (zh) * 2003-04-03 2008-09-17 清华大学 一种场发射显示装置
US7201627B2 (en) * 2003-07-31 2007-04-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ultrafine carbon fiber and field emission element
KR100523840B1 (ko) 2003-08-27 2005-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계 방출 소자
US7239076B2 (en) * 2003-09-25 2007-07-03 General Electric Company Self-aligned gated rod field emiss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of fabrication
US7573200B2 (en) * 2003-11-10 2009-08-11 Panasonic Corporation Plasma display panel
KR20050049842A (ko) * 2003-11-24 2005-05-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방출 표시장치
KR20050087106A (ko) * 2004-02-24 2005-08-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sd 에미터, 이를 채용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 및전계방출형 백라이트 소자
ATE360882T1 (de) * 2004-02-26 2007-05-15 Samsung Sdi Co Ltd Elektronenemissionsvorrichtung
US7220159B2 (en) * 2004-09-03 2007-05-22 Teco Nanotech Co., Ltd. Method and structure of converging electron-emission source of field-emission display
CN1770352A (zh) * 2004-11-05 2006-05-10 清华大学 场发射装置及具有该装置的场发射显示器
US7939218B2 (en) * 2004-12-09 2011-05-10 Nanosys, Inc. Nanowire structures comprising carbon
US8278011B2 (en) 2004-12-09 2012-10-02 Nanosys, Inc. Nanostructured catalyst supports
US7842432B2 (en) * 2004-12-09 2010-11-30 Nanosys, Inc. Nanowire structures comprising carbon
CA2588548A1 (en) * 2004-12-09 2006-06-15 Nanosys, Inc. Nanowire-based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for fuel cells
CN1652283B (zh) * 2005-01-01 2011-01-12 中国海洋大学 一种场发射电子源器件及其制备方法
US7701128B2 (en) * 2005-02-04 2010-04-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lanar light unit using field emitter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7644548B2 (en) * 2005-03-22 2010-01-12 Nova Chemicals Inc. Lightweight concrete compositions
TWI271865B (en) * 2005-04-06 2007-01-21 Au Optronics Corp Thin film transistor
US7799196B2 (en) * 2005-09-01 2010-09-2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orting and/or depositing nanotubes
AU2006318658B2 (en) 2005-11-21 2011-07-28 Nanosys, Inc. Nanowire structures comprising carbon
KR100784997B1 (ko) * 2006-01-14 2007-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소자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전자 방출소자, 이를 적용한 백라이트 장치 및 전자 방출디스플레이 장치
CN101093771A (zh) * 2006-06-23 2007-12-26 清华大学 碳纳米管场发射体及其制造方法
CN101097823B (zh) * 2006-06-30 2011-01-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微型场发射电子器件
JP2010515217A (ja) * 2006-12-29 2010-05-06 セレックス システミ インテグラティ エッセ. ピ. ア. 高周波、冷陰極、三極管タイプ、フィールドエミッタ真空管チュー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635239B (zh) * 2008-07-25 2011-03-30 清华大学 场发射阴极装置及场发射显示器
HUE059099T2 (hu) 2009-05-19 2022-10-28 Oned Mat Inc Nanoszerkezetû anyagok akkumulátoros alkalmazásokhoz
JP5434432B2 (ja) * 2009-09-25 2014-03-05 凸版印刷株式会社 ナノ炭素材料複合基板および電子放出素子
CN103854935B (zh) * 2012-12-06 2016-09-07 清华大学 场发射阴极装置及场发射器件
EP2854204B1 (en) 2013-09-30 2017-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e, carbon composite including the composite, electrode, lithium battery, electroluminescent device, biosensor, semiconductor device, and thermo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composite and/or the carbon composite
JP7133914B2 (ja) 2016-09-19 2022-09-09 三星電子株式会社 多孔性シリコン複合体クラスタ、それを利用した炭素複合体、並びにそれを含んだ、電極、リチウム電池、電界放出素子、バイオセンサ、半導体素子及び熱電素子
EP3324419B1 (en) 2016-11-18 2020-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ous silicon composite cluster structur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arbon composite using the same, and electrode, lithium battery, and device each including the same
EP3509136A1 (en) 2018-01-03 2019-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licon composite cluster and carbon composite thereof, and electrode, lithium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each including the same
CN110085856B (zh) 2018-01-26 2024-08-06 三星电子株式会社 含硅结构体、其制备方法、使用其的碳复合物及各自包括其的电极、锂电池和设备
KR102701081B1 (ko) 2018-10-25 2024-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공성 실리콘 함유 복합체, 이를 이용한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및 전자소자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39365B1 (en) * 1990-07-18 1997-04-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ructures and processes for fabricating field emission cathodes
JP3054205B2 (ja) * 1991-02-20 2000-06-19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放出素子集積基板
US5763997A (en) * 1992-03-16 1998-06-09 Si Diamond Technology, Inc.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R2724041B1 (fr) * 1994-08-24 1997-04-11 Pixel Int Sa Ecran plat de visualisation a haute tension inter-electrodes
US5872422A (en) * 1995-12-20 1999-02-16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Carbon fiber-based field emission devices
GB9603197D0 (en) * 1996-02-15 1996-04-17 Gen Electric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KR100365444B1 (ko) * 1996-09-18 2004-01-2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진공마이크로장치와이를이용한화상표시장치
JP3421549B2 (ja) * 1996-09-18 2003-06-30 株式会社東芝 真空マイクロ装置
US6091190A (en) * 1997-07-28 2000-07-18 Motorola, Inc. Field emission device
EP1361592B1 (en) * 1997-09-30 2006-05-24 Noritake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n-emitting source
JPH11185671A (ja) * 1997-12-24 1999-07-09 Matsushita Electron Corp 画像表示装置
JP3049019B2 (ja) * 1998-09-11 2000-06-05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皮膜を形成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皮膜を形成された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
US6250984B1 (en) * 1999-01-25 2001-06-26 Agere Systems Guardian Corp. Article comprising enhanced nanotube emitter structure and process for fabricating article
JP2000306492A (ja) * 1999-04-21 2000-11-02 Hitachi Powdered Metals Co Ltd 電界放出型カソード、電子放出装置、および電子放出装置の製造方法
KR20000074609A (ko) * 1999-05-24 2000-12-15 김순택 카본 나노 튜브를 이용한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EP1073090A3 (en) * 1999-07-27 2003-04-16 Iljin Nanotech Co., Ltd.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using carbon nanotub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430857B (en) * 1999-08-10 2001-04-21 Delta Optoelectronics Inc Luminescent device
US6448709B1 (en) * 1999-09-15 2002-09-1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ield emission display panel having diod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US6333598B1 (en) * 2000-01-07 2001-12-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Low gate current field emitter cell and array with vertical thin-film-edge emitter
US6307327B1 (en) * 2000-01-26 2001-10-23 Motorola, Inc. Method for controlling spacer visibility
KR100316780B1 (ko) * 2000-02-15 2001-12-12 김순택 격벽 리브를 이용한 3극관 탄소나노튜브 전계 방출 소자및 그 제작 방법
GB0006762D0 (en) * 2000-03-22 2000-05-10 Smiths Industries Plc Displays
KR100343205B1 (ko) * 2000-04-26 2002-07-10 김순택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삼극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작방법
TW511108B (en) * 2001-08-13 2002-11-21 Delta Optoelectronics Inc Carbon nanotube field emission display technology
US6733355B2 (en) * 2001-10-25 2004-05-11 Samsung Sdi Co., Ltd. Manufacturing method for triode field emission display
AU2003304297A1 (en) * 2002-08-23 2005-01-21 Sungho Jin Article comprising gated field emission structures with centralized nanowir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809465B2 (en) * 2002-08-23 2004-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rticle comprising MEMS-based two-dimensional e-beam sourc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357773A (ja) 2001-12-26
US20040045817A1 (en) 2004-03-11
CN1185675C (zh) 2005-01-19
CN1320943A (zh) 2001-11-07
US6976897B2 (en) 2005-12-20
KR20010097787A (ko) 2001-11-08
GB0106005D0 (en) 2001-05-02
GB2361805B (en) 2004-09-29
US20020011769A1 (en) 2002-01-31
US6642639B2 (en) 2003-11-04
GB2361805A (en) 200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3205B1 (ko)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삼극 전계 방출 어레이 및 그 제작방법
US7710014B2 (en) Electron emission device,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239074B2 (en) Field e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009983B1 (ko) 전자 방출 표시 소자
JP3066573B2 (ja) 電界放出型表示素子
CN1737984B (zh) 场发射装置及使用其的场发射显示器
KR960030293A (ko) 전계 방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3203554A (ja) 電子放出素子
KR101017036B1 (ko) 전자 방출 소자
KR940011723B1 (ko) Fed의 제조방법
JPH04284325A (ja) 電界放出型陰極装置
KR20070012134A (ko) 집속 전극을 갖는 전자방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421207B1 (ko) 전계전자방출소자및그제조방법
KR100724369B1 (ko) 자외선 차폐층을 구비한 전계방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1035359A (ja) 電子放出源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放出源ならびに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235303B1 (ko) MIM(Metal Insulator Metal)을 이용한 FED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H0823602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254674B1 (ko) 전계방출표시소자용 저항층
KR100296955B1 (ko) 전계방출표시소자및에미터제조방법
KR100533000B1 (ko) 탄소 나노튜브 전계방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58529B1 (ko) 전계방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00662B1 (ko) 전계 방출 소자
KR20060020021A (ko) 전자 방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43206A (ko) 표면 전도형 전계방출 소자
KR20050052557A (ko) 탄소 나노튜브 전계방출소자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4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6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