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86249B1 - 리튬이온 2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튬이온 2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249B1
KR100286249B1 KR1019970065161A KR19970065161A KR100286249B1 KR 100286249 B1 KR100286249 B1 KR 100286249B1 KR 1019970065161 A KR1019970065161 A KR 1019970065161A KR 19970065161 A KR19970065161 A KR 19970065161A KR 100286249 B1 KR100286249 B1 KR 100286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positive electrode
material layer
separator
nega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674A (ko
Inventor
야스히로 요시다
히사시 시오타
시게루 아이하라
코오지 하마노
쇼 시라가
미치오 무라이
다카유키 이누즈카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19980063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24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7Ionic conducti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01M50/46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with adhesive layers between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8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solid electrolyte
    • H01M6/181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solid electrolyte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0Printed batteries, e.g. thin film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5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coating or impregn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견고한 외장관을 사용하지 않고 전극간의 전기적접속이 유지되고, 고에너지 밀도화, 박형화가 가능한 충방전특성이 우수한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얻는다.
정극활물질층(7)을 정극집전체(6)에 접합해서 되는 정극(3)과, 부극활물질층(9)을 부극집전체(10)에 접합해서 되는 부극(5)과, 양전극간에 배치되는 리튬이온을 함유하는 전해액을 함침하는 세퍼레이터(4)와, 접착성수지층(11)을 구비하고 정극활물질층(7) 및 부극활물질층(9)과 세퍼레이터(4)를 다공성의 접합성수지층(11)으로 접합함으로써 밀착시키는 동시에, 접착성수지층(11)에 형성된 정극활물질층(7) 및 부극활물질층(9)과 세퍼레이터(4)를 연통하는 관통공(12)에 전해액을 보존시킨다.

Description

리튬이온 2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견고한 외장관을 사용하지 않고 전극간의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며, 고에너지 밀도화, 박형화가 가능한 충방전특성이 우수한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얻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해액을 유지하는 세퍼레이터를 끼고 정극 및 부극이 대향해서는 리튬이온 2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정극 및 부극(전극)과 세퍼레이터의 전기적 접속을 개량한 박형등의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전지구조 및 이 구조를 형성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 경량화로의 요망은 대단히 크고, 그 실현을 위해서는 전지의 성능향상이 불가결한 것이다. 이 때문에 근년 이 전지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전지의 개발, 개량이 진행되고 있다. 전지에 기대를 걸고 있는 특성의 향상에는, 고전압화, 고에너지밀도화, 내고부하화, 임의형상화, 안전성의 확보등이었다. 그중에서도 리튬이온전지는, 현존하는 전지중에서 가장 고전압 고에너지밀도, 내고부하가 실현되는 2차 전지이고, 현재도 그 개량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리튬이온 2차 전지는 그 주요한 구성요소로서 정극, 부극 및 양전극간에 끼워진 이온전도층을 갖는다. 현재 실용화되고 있는 리튬이온 2차 전지에서는, 정극에는 리튬코발트 복합산화물등의 활물질 분말을 전자전도체 분말과 바인더수지로 혼합해서 알루미늄 집전체에 도포해서 판상으로 한 것, 부극에는 탄소계의 활물질분말을 바인더수지와 혼합해서 동집전체에 도포해서 판상으로 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또 이온전도층에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플로피렌등의 다공질 필름을 리튬이온을 포함하는 비수계의 용매로 충만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7은 일본국 특개평 8-83608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원통형 리튬이온 2차 전지의 구조를 표시하는 단면모식도이다. 도 7에서, 1은 부극단자를 겸한 스테인레스제의 외장관, 2는 이 외장관(1)내에 수납된 전극체이고, 전극체(2)는 정극(3), 세퍼레이터(4) 및 부극(5)을 스파이럴 상으로 감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전극체에서는, 정극(3) 세퍼레이터(4) 및 부극(5)의 전기적접속을 유지하기 위해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전극면에 부여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전극체(2)를 견고한 금속관에 넣으므로써, 모든 면내의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 도 각형전지에서는 단책상의 전극체를 겹쳐서 각형의 금속관에 넣는 등의 방법에 의해, 외부로부터 힘을 가해서 누르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시판의 리튬이온 2차 전지에서는 정극과 부극을 밀착시키는 방법으로서 금속으로된 견고한 외장관을 사용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외장관이 없으면 전극간이 박리되고 전극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이온전도층(세퍼레이터)을 통해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지며, 전지특성이 열화해 버린다. 한편 이 외장관의 전지전체가 차지하는 중량 및 체적이 크므로, 전지자신의 에너지 밀도를 저하시킬뿐아니라 외장관 자신이 강직하기 때문에 전지형상이 한정되어버리고, 임의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러 배경하에서, 경량화나 박형화를 목표로, 외장관이 필요없는 리튬이온 2차 전지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외장관이 필요없는 전지의 개발포인트는 정극 및 부극과 이들사이에 끼워지는 이온전도층(세퍼레이터)의 전지적인 접속을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는 일 없이 어떻게 유지하는가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외력이 필요하지 않은 접합수단의 하나로서, 수지등을 사용해서 전극과 세퍼레이터를 밀착시는 방법이 제창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5-159802호 공보에는 이온전도성의 고체 전해질층과 정극 및 부극을 열가소성수지결착제를 사용해서 가열에 의해 일체화하는 제조방법이 표시되고 있다. 이 경우는 전극과 전해질층을 일체화함으로써 전극간을 밀착시키고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지 않아도 전극간이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어 전지로서 동작한다.
종래의 리튬이온 2차 전지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전극과 세퍼레이터간의 밀착성, 전극간의 전기적 접속을 확보하기 위해 견고한 외장관을 사용한 것으로는 발전부이외인 외장관이 전지전체에 점하는 체적이나 중량의 비율이 커져, 에너지 밀도가 높은 전지를 제작하는데는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전극과 이온전도체를 접착성 수지를 통해서 밀착시키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으나, 예를 들어 고체전해질과 전극을 단순히 접착성 수지를 통해서 밀착시키는 경우, 접착성 수지층의 저항이 크기 때문에 전지셀 내부의 이온전도저항이 증대하고, 전지특성이 저하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일본국 특개평 5-159802호 공보의 예에서는 전극과 고체전해질이 결착제로 접합되어 있으나, 전극과 전해질의 계면이 결착제로 덮어지므로, 예를 들어 액체전해질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이온전도성의 점에서 불리하다. 예를 들어 이온전도성을 갖는 결착제를 사용하여도, 액체전해질과 동등이상의 이온전도성을 갖는 재료는 일반적으로 발견되지 않고, 액체전해질을 사용한 전지와 같은 정도의 전지성능을 얻는 것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등이 세퍼레이터와 전극의 바람직한 접착방법에 관해 예의 검토한 결과 된 것으로, 견고한 외장관을 사용하지 않아도, 전극간의 이온전도 저항을 증대시키지 않고, 전극과 세퍼레이터간을 밀착시킬수가 있으며 고에너지밀도화, 박형화가 가능하고,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충방전특성이 우수한 리튬이온 2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전지구조, 전극적층체를 표시하는 단면모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바코드법에 의한 접착성수지용액도부방법을 표시하는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스프레이건에 의한 접착성수지용액도부방법을 표시하는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침지법에 의한 접착성수지용액도부방법을 표시하는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리튬이온 2차 전지를 표시하는 단면모식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접착성수지층의 형성시에서의 접착성수지용액중의 접착성수지의 량과 내부저항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특성도.
제7도는 종래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한 예를 표시하는 단면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정극 4 : 세퍼레이터
5 : 부극 6 : 정극집전체
7 : 정극활물질층(正極活物質層) 9 : 부극활물질층(負極活物質層)
10 : 부극집전체 11 : 접착성수지층
12 : 관통공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1 구성은, 정극활물질층을 정극집전체에 접합해서되는 정극, 부극활물질층을 부극집전체에 접합해서되는 부극, 상기 정극과 부극간에 배치되고 리튬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액을 유지하는 세퍼레이터, 상기 정극활물질층 및 상기 부극활물질층과 상기 세퍼레이터를 접합하는 동시에, 상기 전해액을 유지하고 상기 정극과 세퍼레이터와 부극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다공성의 접착성수지층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조방법은, 정극집전체에 정극활물질층을 형성해서 정극을 준비하는 공정과, 부극집전체에 부극활물질층을 형성해서 부극을 준비하는 공정과 불소계수지 또는 불소계수지를 주성분으로 해서 포함하는 혼합물을 N-메칠피로리돈에 분산시켜 접착성수지용액을 조정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성수지용액을, 상기 정극활물질층 및 이에 대항하는 세퍼레이터의 표면의 적어도 한쪽 및 상기 부극활물질층 및 이에 대항하는 세퍼레이터 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정극활물질층 및 부극활물질층을 상기 세퍼레이터의 양면에 붙이는 공정과, 상기 접착성 수지용액으로부터 상기 N-메칠피로리돈을 증발시켜, 다공성의 접착성수지층을 형성하고 상기 정극활물질층 및 상기 부극활물질층과 상기 세퍼레이터를 접합하며, 전극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전극 적층체에 리튬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액을 공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 1의 양태는, 정극활물질을 정극집전체에 접합해서 되는 정극과, 부극활물질층을 부극에 접합해서되는 부극과, 상기 정극과 부극간에 배치되고, 리튬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액을 유지하는 세퍼레이터와, 상기 정극활물질층 및 상기 부극활물질층과 상기 세퍼레이터를 접합하는 동시에, 상기 전해액을 유지하고, 상기 정극과 세퍼레이터와 부극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다공성의 접착성수지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튬 2차 전지의 제 2의 양태는, 제 1의 양태에서 다공성의 접착성수지층의 개구율은 세퍼레이터의 개구율과 동등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 3의 양태는, 제 1의 양태에서 다공성의 접착성수지층은 개구율 3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 4의 양태는, 제 1의 양태에서, 전해액을 유지하는 접착성수지층의 이온전도저항율이 상기 전해액을 유지하는 세퍼레이터의 이온전도저항율과 동등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 5의 양태는, 제 1의 양태에서 정극활물질과 세퍼레이터의 접합강도가 상기 정극활물질층과 정극집전체의 접합강도와 동등이상이고 또 부극활물질층과 상기 세퍼레이터의 접합강도가 상기 부극활물질층과 부극집전체의 접합강도와 동등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 6의 양태는, 제 1의 양태에서, 접착성수지층은 불소계수지 또는 불소계형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물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 7의 양태는, 제 6의 양태에서, 불소계수지는 폴리불화 비닐리덴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조방법의 제 8의 양태는 정극집전체에 정극활물질층을 형성하고 정극을 준비하는 공정과, 부극집전체에 부극활물질층을 형성하고 부극을 준비하는 공정과 불소계수지 또는 불소계수지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N-메칠피로리돈에 분산시키며 접착성수지용액을 조정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성수지용액을 상기 정극활물질층 및 이에 대향하는 세퍼레이터의 표면의 적어도 한쪽 및 상기 부극활물질층 및 이에 대향하는 세퍼레이터의 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정극활물질층 및 부극활물질층을 상기 세퍼레이터의 양면에 붙이는 공정과, 상기 접착성수지용액으로부터 상기 N-메칠피로리돈을 증발시켜 다공성의 접착성수지층을 형성하고 상기 정극활물질층 및 상기 부극활물질층과 상기 세퍼레이터를 접합하고 전극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전극적층체에 리튬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액을 공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조방법의 제 8의 양태는, 제 7의 양태에서, 상기 접착성수지용액은, 불소계수지 또는 불소계수지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3∼10중량% 함유하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조방법의 제 9의 양태는, 제8의 양태에서 상기 증발공정은, 가열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조방법의 제 10의 양태는, 제 7의 양태에서, 상기 도포공정은, 바코드를 사용해서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조방법의 제 11의 양태는, 제 7의 양태에서 상기 도포공정은 스프레이건을 사용한 분무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조방법의 제 13의 양태는, 제 7의 양태에서 상기 도포공정은 세퍼레이터를 접착성수지의 유화용액에 침지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전지구조, 즉 전극적층체의 구조를 표시하는 단면모식도로, 3은 정극활물질층(7)을 정극집전체(6)에 접합해서되는 정극, 5는 부극활물질층(9)을 부극집전체(10)에 접합해서되는 부극, 4는 정극(3)과 부극(5)간에 배치되고, 리튬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액을 유지하는 세퍼레이터, 11은 정극활물질층(7) 및 부극활물질층(9)과 세퍼레이터(4)를 접합하는 다공성의 접착성수지층으로 정극활물질층(7) 및 부극활물질층(9)과 세퍼레이터(4)를 연통하는 관통공(12)을 다수 갖고 있으며, 이 관통공에 전해액이 유지된다. 전극층(즉 활물질층(7), (9))과 전해질층으로 되는 세퍼레이터(4) 상호를 다공성의 접착성수지층(11)에 의해 접합하고 있으므로, 전극과 세퍼레이터간의 밀착강도를 확보하고, 종래의 전지에서는 곤란했던 전극과 세퍼레이터간의 박리억제가 가능해진다. 또 내부 즉 접착성수지층(11)에 형성된 전극과 세퍼레이터와의 계면까지 연통하는 관통공(12)에 전해액이 유지됨으로써, 전극-전해질계면의 양호한 이온전도성을 확보할 수 있어 전극간의 이온전도저항의 저감을 동시에 도모할 수가 있다.
전극내부의 활물질중에서 일어나는 이온의 출입량 및 대향하는 전극으로의 이온의 이동속도 및 이동량을 종래의 광체를 갖는 리튬이온전지정도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외력을 가하지 않아도 전극간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견고한 외장관이 필요치 않게되고, 전지의 경량화, 박형화가 가능해지며,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동시에, 전해액을 사용한 전지와 같은 정도의 우수한 충방전특성, 전지성능이 얻어진다.
또, 전해액을 유지하는 접착성수지층(11)의 이온전도저항율을 전해액에 보존하는 세퍼레이터(4)의 이온전도저항율과 동등이하로 함으로써, 이 접착성수지층(11)에 의해 충방전특성을 열화시키는 일이 없다. 전지로서의 충방전특성을 종래 전지레벨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접착성수지층(11)의 이온전도저항율은, 주로 그 공공율(空孔率),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공공율은 예를 들면 접착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접착성수지용액중의 N-메칠피로리돈에 대한 접착성수지의 량에 의해 조정가능하다.
또 정극활물질층과 세퍼레이터의 접합강도를 상기 정극활물질층과 정극집전체와의 접합강도와 동등이상으로 하고, 또 부극활물질층과 상기 세퍼레이터와의 접합강도를 상기 부극활물질층과 부극집전체와의 접합강도와 동등이상의 즉 접착강도가 전극내부에서의 활물질층과 집전체를 접착해서 일체화하고 있는 강도에 비해 동등이상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전지형성후에 박리시험을 한 바, 전극과 세퍼레이터간의 접착강도가 충분히 큰 경우에는, 전극과 세퍼레이터간의 박리보다도 전극의 파괴(활물질층과 집전체의 박리)쪽이 우선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접합강도는 예를 들면 접착성수지층의 두께, 접착성수지의 선택에 의해 조정될수 있다.
접착성수지층(11), 활물질층과 세퍼레이터의 접착에 사용되는 접착성수지로는 전해액에는 용해되지 않고 전지내부에서 전기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며, 다공질막으로 되는 것, 불소계수지 또는 불소계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물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불화비닐리덴, 4-불화에칠렌등의 불소분자를 분자구조내에 갖는 중합체, 또는 폴리메타크릴산메칠, 폴리스틸렌, 폴리에칠렌 폴리프로필렌등과의 혼합물등이 사용가능하다. 특히 불소계수지의 폴리불화비닐리덴이 적당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리튬이온 2차 전지는 세퍼레이터(4)의 양면에 불소계수지 또는 불소계수지를 주성분으로하여 함유하는 혼합물을 N-메칠피로리딘에 분산시켜 조제한 접착성수지용액을 부착시켜, 정극활물질층(7) 및 부극활물질층(9)을 맞붙인 후, N-메칠피로리덴을 증발시켜서 정극활물질층(7) 및 부극활물질층(9)과 세퍼레이터(4)를 접합하는 다공성의 접착성수지층(11)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 제공되는 활물질로서는 정극에서는 예를 들면, 리튬과 코발드, 니켈, 또는 망강등의 천이금속과의 복합산화물, 칼코겐화합물, 또는 이들의 복합화물이나 각종 첨가원소를 갖는 것이 사용되고, 부극에서는 이흑연환탄소, 난흑연화탄소, 폴리아센, 폴리아세칠렌등의 탄소계화합물, 피렌, 페리렌등의 아센구조를 포함하는 방향족 탄화수소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나, 전기동작의 주체가 되는 리튬이온을 흡장, 방출할수 있는 물질이면 사용가능하다. 또 이들의 활물질은 입자상의 것이 사용되고, 입자직경으로는 0.3∼20㎛의 것이 사용가능하며, 특히 바람직하기는 0.3∼5㎛의 것이다.
또, 활물질을 전극판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로서는 전해액에 용해하지 않고 전극적층체 내부에서 전기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면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불화비닐리텐, 불화에칠렌, 아크리로니트릴, 에칠렌옥시드등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에칠렌프로필렌디아민고무등이 사용가능하다.
또, 집전체는 전지내에서 안정된 금속이면 사용가능하나, 정극에서는 알루미늄, 부극에서는 동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집전체의 형상으로는 박(箔)상, 망상, 엑스벤드메탈등이 사용가능하나, 망상이나 엑스벤드메탈등의 공극면적이 큰 것이 접착후의 전해액 보존을 쉽게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집전체와 전극의 접착에 사용되는 접착성수지는, 전극과 세퍼레이터의 접착에 사용되는 접착성수지와 같이 전해액에는 용해하지 않고, 전지내부에서 전기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며, 다공질막으로 되는 것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불화비닐텐, 4불화에칠렌등의 불소분자를 분자구조내에 갖는 중합체 또는 폴리메타크릴산메칠,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등과의 혼합물등이 사용가능하다.
또, 세퍼레이터는 전자절연성의 다공질막, 망, 부직포등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이면 어떤것이라도 사용가능하다. 재질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폴리에틸폴리프로피렌이 접착성 및 안전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이온전도체로 사용하는 전해액에 공급하는 용제, 전해질염으로는 종래의 전지에 사용되고 있는 비수계의 용제 및 리튬을 함유하는 전해질염이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디에칠에텔, 디메틸에텔등의 에텔계용제, 탄산프로필렌, 탄산에칠렌, 탄산디에칠탄신의 메칠등의 에스텔께용제의 단독액 및 상술한 동일용제끼리 또는 이종용제로되는 2종의 혼합액이 사용가능하다. 또 전해액에 공급하는 전재질염은, LiPF6, LiAsF6, LiclO4, LiCF3SO3, LiC(DR3SO2)3, LiN(C2F5SO2)3등이 사용가능하다.
또, 접착성수지를 도포하는 수단으로는 바코더를 사용하는 방법, 스프레이건을 사용하는 방법, 침지법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바코더를 사용방법은 도 2의 설명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하는 세퍼레이터재(13)에 접착성수지를 선상으로 적하한 후, 적하수지를 바코더(15)로 압연함으로써, 접착성수지를 세퍼레이터재의 편면 전면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다시 다른쪽을 도포한 후에 세퍼레이터재를 180°비틀어 미도포면에도 같은 방법으로 접착성수지를 도포하는 것이다. 이로써, 세퍼레이터에 접착성수지를 단시간에 대량으로 균일하게 도착할 수가 있다. 또 14는 접착성수직 적하구, 16은 지지롤, 17은 세퍼레이터롤이다.
스프레이건을 사용하는 방법은 도 3이 설명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성수지용액 또는 액상의 접착성수지를 스프레이건(18)에 충진한 후, 세퍼레이터재(13)에 접착성지용액 또는 액상의 접착성수지를 분무함으로써 세퍼레이터재(13)상에 접착성수지를 부착시키는 것이다. 이 스프레이건(18)을 적어도 한 대이상 세퍼레이터재(13)의 양면에 배치하고, 세퍼레이터재(13)를 이동시키면서 접착성수지용액을 연속적으로 분무함으로써 세퍼레이터 양면에 연속적으로 접착성수지를 도포할 수가 있다. 바코더법과 같이 세퍼레이터에 접착성수지를 단시간에 대량으로 도착할 수가 있다.
또, 침지법은 세퍼레이터를 접착성수지의 유화용액에 침지시킨후에 끌어올림으로써 접착성수지를 세퍼레이터 양면에 도포하는 도포방법이다. 즉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재(13) 전체를 접착성수지의 유화용액(이하, 유액상접착성수지로 기술한다)(21)에 침지시킨후, 잉여액제거롤(24)로 끼워잡아서 여분의 유액상 접착성수지(21)에 제거하면서 잡아올림으로써, 세퍼레이터 전면에 접착성수지를 도포하는 것이다. 22는 지지롤이다. 침지법을 사용함으로써 도포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단시간에 대량의 접착성수지를 도포할 수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표시하고 본 발명을 설명하나, 물론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우선, 정극의 제작에 대해 설명한다.
LiCoO2를 87중량부, 흑면분을 8중량부, 폴리불화비닐리텐을 5중량부를 N-메칠피로리돈에 분산시킴으로써, 조정한 적극활물질 페이스트를, 닥터브레이드법으로 두께 300㎛로 도포해서 활물질박막을 형성하였다. 그 상부에 정극집전체가 되는 두께 30㎛의 알루미늄망을 올려놓고, 또 그 상부에 다시 닥터브레이드법으로 두께 300㎛로 조정한 정극활물질 페이스트를 도포하였다. 이것을 60℃의 건조기중에 60분간 방치해서 반건조상태로 하였다. 이 제작된 적층체를 롤의 극간을 550㎛로 조정한 회전롤을 사용해 가볍게 압연해서 적층체를 밀착시켜서 정극을 제작하였다.
이 정극을 전해액에 침직시킨후 정극활물질등과 정극집전체와의 박리강도를 측정한바, 20∼25gf/㎝의 값을 표시하였다.
다음 부극의 제작에 대해 설명한다.
메소페이즈마이크로 비즈카본(상품명: 오사카가스제)를 95중량부, 폴리불화비닐리텐을 5중량부를 N-메칠피로리돈(NMP과 약기한다)에 분산해서 제작한 부극활물질페이스트를 닥터블레이드법으로 두께 300㎛로 도포해서 활물질 박막을 형성하였다. 그 상부에 부극집전체가 되는 두께 20㎛의 동망을 올려 놓고, 또 그 상부에 다시 닥터브레이드법으로 두께 300㎛로 조정한 부극활 물질페이스트를 도포하였다. 이들 60℃의 건조기중에 60분간 방지해서 반건조상태로 하였다. 이 제작한 적층체를 톨의 극간을 550㎛로 조정한 회전롤을 사용해 가볍게 압연해서 적층체를 밀착시켜서 부극을 제작하였다. 이 부극을 전해액에 침지시킨 후에 부극활물질층부와 부극집전체의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던바, 10∼15gf/㎝의 값을 나타났다.
전극적층체의 제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폴리불화비닐리덴을 5중량부, N-메칠피로리돈(이하 NMP라고 약기한다)을 95중량부의 조성비율로 혼합하고, 균일용액이 되도록 충분히 교반하고 점성이 있는 접착성수지용액을 제작하였다. 계속해 세퍼레이터로서 사용하는 세퍼레이터재의 다공성의 폴리프로필렌시트(헥스트제 상품명 셀가드 #2400)의 양면에 상기와 같이 조제한 접착성수지용액을 도포하였다.
접착성수지의 도포는 도 2에 표시한 바코터법으로 시행하였다.
롤 상으로 묶여진 세퍼레이터재(13), 폭 12㎝, 두께 25㎛의 다공성의 폴리프로피런시트(헥스트제 셀가드 #2400)을 인출하고, 그 편면에 세퍼레이터재 인출방향고 직교방향의 선상에 접착성수지용액을 적하하였다. 세퍼레이터재(13)의 이동과 동시에 직경 0.5㎜의 필라멘트를 직경 1㎝의 관에 세밀하게 감은 바코터(15)를 회전시킴으로써, 이선상에 적하한 접착성수지용액을 세퍼레이터재(14) 전면에 균일하게 도포할 수가 있었다. 또 접착성수지의 도포량은 접착성 수지용액의 적하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다. 그 후 접착성수지용액이 건조되기전에 정극 및 부극을 세퍼레이터를 끼고 대향하도록 각각 밀착시켜 서로붙여서, 붙여진 전극적층체를 60℃의 온풍건조기에 2시간 넣고 NMP를 증발시킴으로써 전극적층체를 제작하였다. NMP가 접착성수지로부터 증발함으로써 정극, 부극과 세퍼레이터를 연통하는 관통공을 갖는 다공성의 접착성 수지층이 된다.
계속해서 이 전극 적층체 탄산에칠렌과 탄산디에칠을 용매로하고 LiPF6를 용질로 하는 전해액을 주입하였다. 이 단계에서 정극활물질과 세퍼레이터, 부극활물질층과 세퍼레이터의 박리강도를 측정한 바, 그 강도는 각각 25∼30gf/㎝, 15∼20gf/㎝였다. 이 전해액주입후의 전극적층체를 알루미라미네이트필름으로 싸고, 열융착해서 함구처리를 함으로써 리튬이온전지가 완성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리튬이온 2차 전지를 표시하는 단면모식도이다. 26은 외장의 알루미라미네이트팩, 8은 외장알루미라미네이트팩에 봉입된 적극적층체이다, 전극적층체(8)는 정극(3) 세퍼레이터(4) 부극(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착성수지층(11)은 정극(3)과 세퍼레이터(4) 사이 및 부극(5)과 세퍼레이터(4) 사이에 있고, 정극(3) 및 부극(5)과 세퍼레이터(4)를 긴밀하게 접합하고 있다.
접착성수지층(11)내부의 관통공(12) 및 전극활물질층중의 공공 및 세퍼레이터증의 공공에는 전해액이 보존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이 리튬이온 2차 전지에서는 접착성수지층(11)에 의해 정극(3)과 세퍼레이터(4) 및 부극(5)와 세퍼레이터(4)가 밀착되는 동시에 접착성수지층(11)에는 전극(3), (5)와 세퍼레이터(4)간을 연통하는 관통공(12)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12)에 전해액이 보존됨으로서 양호한 이온전도성이 확보되므로, 외부로부터의 가입을 필요로 하지 않는, 즉 견고한 외장관을 필요로하지 않는 박형, 경량이고, 충방전특성이 우수한 전지를 얻을수가 있었다.
도 6의 특성도는, 접착성수지용액에서의 NMP중의 접착성수지(폴리불화비닐리덴) 5중량부, 7중량부, 10중량부로 변경하고 접착성수지층을 형성했을때의 전지의 내부저항을 표시한 것이다. 5중량부와 7중량부사이이세 저항이 급격히 증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접착성수지층(11)의 두께는 접착성수지용액증의 접착성수지의 량에 비례해 있으므로, 전해액의 보존율이나, 접착성 수지층(11)중의 전해액의 분포상태가 이 영역에서 급격히 변호하기 때문에 저항이 급상승되었다고 생각된다.
또 5중량부에서의 저항치는 접착성수지층(11)을 설치하지 않고 전극(3), (5)과 세퍼레이터(4)간에 충분한 면압을 걸어서 측정한 저항치와 거의 같었다.
접착성수지층으로서는, 이온전도율 및 접합강도의 관점에서 N-메칠피로리덴중에 3-10 중량부의 불소계수지 또는 주성분으로서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4∼6 중량부의 불소계수지 또는 주성분으로서의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하도록 한다. 또 이 접착성수지층의 막두께는 0.5미크론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용질로서, 폴리불화비닐리덴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고 다른 수지를 사용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수가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표시한 접착성수지층(11)의 제작에서, 폴리불화비닐리덴 대신에 하기 기재의 화합물을 동일조성 비율로 N-메칠피로리돈과 혼합함으로써, 점성이 있는 접착성수지용액을 제작하였다.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칠렌
불화비닐리덴과 아크리로니트릴의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리덴과 폴리아크리로니트릴의 혼합물
폴리불화비닐리덴과 폴리에칠렌옥시드의 혼합물
폴리불화비닐리덴과 폴리에칠렌텔레프터레이트 혼합물
폴리불화비닐리덴과 폴리메타아크릴산메칠의 혼합물
폴리불화비닐리덴과 폴리스틸렌의 혼합물
폴리불화비닐리덴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
폴리불화비닐리덴과 폴리에칠렌의 혼합물
이들 접착성수지용액을 사용해,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전극적층체(8)를 제작하였다. 이 적층체(8)에서 정극활물질층과 세퍼레이터, 부극활물질층과 세퍼레이터의 박리강도를 측정한 바, 그 강도는 각각 25∼70gf/㎝, 15∼70gf/㎝의 범위에 수렴되었다. 또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전해액을 유지하고, 알루미라미네이트필름으로 팩해서 입구봉함처리함으로써,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제작하였다. 상시 실시예 1과 같이 박형, 경량이고 충방전특성이 우수한 전지가 얻어졌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바코더법에 의해 접착성 수지용액을 도포하는 경우에 대해 표시하였으나, 스프레미건에 의해 접착성 수지용액을 도포하도록 해도 된다.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롤상으로 묶여진 세퍼레이터재, 폭 12㎝, 두께 25㎛의 다공성의 폴리프로필렌시트(훽스트제 셀가드 #2400)를 인출해서, 접착성수지용액을 충전한 스프레이건을 사용해서 접착성 수지용액을 세퍼레이터에 분무하였다.
분무에 의해 세퍼레이터재의 양면에 균일하게 접착성 수지용액을 도포할 수가 있었다.
또 접착성 수지용액의 도포량은 분무량을 변경시킴으로써 조절이 가능하였다.
또, 침지법에 의해 접착성 수지용액을 부착하도록 해도 된다.
롤상태로 묶여진 세퍼레이터재, 폭 12㎝ 두께 25㎛의 다공성의 폴리프로필렌시트(훽스트제 셀가 #2400)를 인출한후 상기 실시예 1,2에서 표시한 접착성수지용액과 헥산을 중량비 1:1로 혼합한 용액중에 침지시켰다.
이 용액은 유액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잉여액제거롤로 세퍼레이터재를 끼워서 여분의 액을 제거한후에 공기를 세차게 불어서 헥산만을 증발시키면, 세퍼레이터양면에 균일하게 접착성 수지층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 1의 구성에서는 정극활물질층을 정극집전체에 접합해서 되는 정극, 부극활물질층을 부극집전체에 접합해서 되는 부극, 상기 정극과 부극간에 배치되고, 리튬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액을 유지하는 세퍼레이터, 상기 정극활물질층 및 상기 부극활물질층과 상기 세퍼레이터를 접합하는 동시에 상기 전해액을 보존시켜서 상기 정극과 세퍼레이터와 부극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다공성의 접착성수지층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접착성 수지층에 의해 전극과 세퍼레이터간을 밀착시킬수가 있고, 또 전극과 세퍼레이터간을 연통하는 접착성수지층의 관통공에 액체전해액이 보존됨으로써, 전극-전해질계면에 양호한 이온전도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고에너지밀도화, 박형화가 가능하고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충방전특성이 우수한 리튬이온 2차 전지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 2의 구성에서는, 제 1의 구성에서 전해액을 보존하는 접착성 수지층의 이온전도저항율을 상기 전해액에 유지하는 세퍼레이터의 이온전도저항율과 동등이하로 하였으므로, 충방전특성을 열화시키는 일없이, 우수한 충전특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3의 구성에서는, 제 1 또는 제 2의 구성에서, 정극활물질층과 세퍼레이터와의 접합강도를 상기 정극활물질층과 정극집전체와의 접합강도와 동등이상으로 하고, 또 부극활물질층과 상기 세퍼레이터와의 접합강도를 상기 부극활물질층과 부극집전체와의 접합강도와 동등이상으로 하였으므로, 전극과 세퍼레이터간의 박리보다도 전극의 파괴쪽이 우선적으로 일어난다.
접착성 수지층에 의해 전극과 세퍼레이터를 충분히 견고하게 밀착시킬수가 있다.
전극간의 전기적접속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 4의 구성에서는, 제 1내지 제 3의 구성의 어느하나에서 접착성 수지층으로서 불소계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우수한 특성의 리튬이온 2차 전지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 5의 구성에서는, 제 4의 구성에서 불소계수지로서 폴리불화비닐리덴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특성을 갖는 리튬이온 2차 전지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조방법에서는, 정극활물질층을 정극집전체에 접합해서 되는 정극과, 부극활물질층을 부극집전체에 접합해서 되는 부극사이에 배치되는 세퍼레이터의 양면에, 불소계 수지 또는 불소계수지를 주성분으로해서 포함하는 혼합물을 N-메칠피로리돈에 분산시켜 조제한 접착성 수지용액을 부착시키고 상기 정극활물질층 및 부극활물질층을 서로 붙인후, 상기 N-메칠피로리돈을 증발시켜, 상기 정극활물질층 및 상기 부극활물질층과 상기 세퍼레이터를 접합하는 다공성의 접착성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고에너지 밀도화, 박형화가 가능하고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충방전특성이 우수한 리튬이온 2차 전지가 간단하고, 작업성 좋게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정극집전체와 상기 정극집전체상에 형성된 정극활물질층을 가지는 정극과, 부극집전체와 상기 부극집전체상에 형성된 부극활물질층을 가지는 부극과 상기 정극과 부극사이에 배치되고 리튬이온 함유전해액을 유지하는 세퍼레이터와 관통공을 갖는 다공질의 2개의 접착성수지층으로 구성된 리튬이온 2차 전지에 있어서 각 수지층은 상기 정극활물질층과 상기 부극활물질층을 각각 세퍼레이터에 접합하는 동시에 상기 정극과 세퍼레이터와 부극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기 전해액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
  2. 정극집전체에 정극활물질층을 형성해서 정극을 준비하는 공정과, 부극집전체에 부극활물질층을 형성해서 부극을 준비하는 공정과, 불소계수지 또는 불소계수지를 주성분으로 해서 포함하는 혼합물을 N-메칠피로리돈에 분산시켜 접착성수지용액을 조정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성수지용액을, 상기 정극활물질층 및 이에 대향하는 세퍼레이터의 표면의 적어도 한쪽 및 상기 부극활물질층 및 이에 대향하는 세퍼레이터의 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정극활물질층 및 부극활물질층을 상기 세퍼레이터의 양면에 맞붙이는 공정과, 상기 접착성수지용액으로부터 상기 N-메칠피로리돈을 증발시켜 다공성의 접착성수지층을 형성하고, 상기 정극활물질층 및 상기 부극활물질층과 상기 세퍼레이터를 접합하고, 전극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전극적층체에 리튬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액을 공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1019970065161A 1996-12-04 1997-12-02 리튬이온 2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86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403296A JP3225864B2 (ja) 1996-12-04 1996-12-04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96-324032 1996-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674A KR19980063674A (ko) 1998-10-07
KR100286249B1 true KR100286249B1 (ko) 2001-04-16

Family

ID=18161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161A Expired - Fee Related KR100286249B1 (ko) 1996-12-04 1997-12-02 리튬이온 2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6124061A (ko)
EP (1) EP0848445B1 (ko)
JP (1) JP3225864B2 (ko)
KR (1) KR100286249B1 (ko)
DE (1) DE6972038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1882A (en) 1996-05-06 1998-12-22 Micron Technology, Inc. ZPROM manufacture and design and methods for forming thin structures using spacers as an etching mask
JP3225864B2 (ja) 1996-12-04 2001-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3997573B2 (ja) 1997-01-28 2007-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284131A (ja) 1997-02-04 1998-10-23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302843A (ja) 1997-02-28 1998-11-13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池用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電池とその製造法
CN1127773C (zh) * 1997-11-19 2003-11-12 三菱电机株式会社 用于电池的粘接剂和采用该粘接剂的电池
DE69738113T2 (de) * 1997-11-19 2008-05-29 Mitsubishi Denki K.K. Lithium-ion-sekundärbatterie und deren herstellung
KR100397043B1 (ko) * 1997-11-19 2003-09-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리튬이온 2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US6472105B2 (en) 1997-11-19 2002-10-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Bonding agent for cells and cell using the same
US6692543B1 (en) 1997-12-18 2004-02-1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 for manufacturing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6235066B1 (en) * 1997-12-22 2001-05-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anufacture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EP0967678A4 (en) * 1997-12-22 2005-01-19 Mitsubishi Electric Corp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ITS MANUFACTURE
JP3811353B2 (ja) 1997-12-25 2006-08-16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DE69841381D1 (de) * 1998-01-19 2010-01-28 Mitsubishi Electric Corp Sekundärbatterie ausgestaltet mit klebharzschichten
US6811928B2 (en) * 1998-01-22 2004-11-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Battery with adhesion resin layer including filler
US6352797B1 (en) * 1998-03-17 2002-03-0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Lithium ion battery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JP3428452B2 (ja) * 1998-08-27 2003-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渦巻状電極体を備えた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3980505B2 (ja) * 1998-08-31 2007-09-26 株式会社東芝 薄型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6465125B1 (en) * 1998-09-17 2002-10-15 Kabushiki Kaisha Toshib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TW431004B (en) 1998-10-29 2001-04-21 Toshiba Corp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4193248B2 (ja) * 1998-11-10 2008-12-10 ソニー株式会社 ゲル状電解質電池
US6485862B1 (en) 1998-12-28 2002-11-2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Thin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0354948B1 (ko) 1999-03-30 2002-10-1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이차전지
JP3756815B2 (ja) 1999-06-22 2006-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電池
US7332218B1 (en) 1999-07-14 2008-02-19 Eic Laboratories, Inc. Electrically disbonding materials
US6376125B2 (en) 1999-07-19 2002-04-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6468693B1 (en) 1999-07-29 2002-10-22 Kabushiki Kaisha Toshib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20030170536A1 (en) * 1999-09-22 2003-09-1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Bttery with adhesion resin layer including filler
JP2001179864A (ja) * 1999-12-22 2001-07-03 Fujikura Ltd イオン伝導性シート
US6403266B1 (en) * 2000-01-18 2002-06-11 Ness Energy Co., Ltd.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employing the same
US6599333B1 (en) * 2000-01-18 2003-07-29 Nes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lithium secondary battery
US6660430B1 (en) 2000-01-24 2003-12-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ackage for nonaqueous electrolyte cell and cell comprising the same
US6432586B1 (en) 2000-04-10 2002-08-13 Celgard Inc. Separator for a high energy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KR20020000015A (ko) * 2000-06-20 2002-01-04 김순택 리튬 2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6482544B1 (en) 2000-06-30 2002-11-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Battery package
KR100890715B1 (ko) * 2000-11-01 2009-03-2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전지, 전지의 제조 방법, 용접물의 제조 방법 및 페데스탈
US6426165B1 (en) 2000-12-20 2002-07-30 Polystor Corporation Electrochemical cell separators with high crystallinity binders
WO2002099920A2 (en) * 2001-06-05 2002-12-12 Aea Technology Battery Systems Limited Electrochemical cell production
US6835214B2 (en) * 2001-06-18 2004-12-28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US20060159999A1 (en) * 2001-07-23 2006-07-20 Kejha Joseph B Method of automated prismatic electrochemical cells production and method of the cell assembly and construction
KR100413608B1 (ko) * 2001-10-16 2004-01-03 주식회사 에너랜드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포함하여 제조되는 리튬이온 2차 전지
JP2003217673A (ja) * 2002-01-23 2003-07-31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65074A (ko) * 2002-01-29 2003-08-06 주식회사 뉴턴에너지 전기화학셀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297701A (ja) * 2002-03-29 2003-10-17 Tdk Corp 電気化学デバイスおよび電気化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8175711B2 (en) 2002-04-08 2012-05-08 Ardian, Inc. Methods for treating a condition or disease associated with cardio-renal function
US7318984B2 (en) 2002-05-17 2008-01-15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composition-supporting separator for battery and electrode/separator laminate obtained by using the same
KR100573358B1 (ko) * 2002-09-17 2006-04-24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리튬이온2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한리튬이온2차전지
JP4381054B2 (ja) 2002-11-13 2009-12-09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ータのための部分架橋接着剤担持多孔質フィルムとその利用
JP4549621B2 (ja) 2002-12-02 2010-09-22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ータのための架橋性ポリマー担持多孔質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電池の製造方法
FR2852148B1 (fr) * 2003-03-07 2014-04-11 Batscap Sa Materiau pour electrode composite, procede pour sa preparation
JP4490055B2 (ja) * 2003-06-25 2010-06-23 株式会社巴川製紙所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又はポリマーリチウム電池用セパレータ
US7087343B2 (en) * 2003-07-15 2006-08-08 Celgard, Inc. High melt integrity battery separator for lithium ion batteries
US20060251965A1 (en) * 2003-07-31 2006-11-09 Mori Nagayama Secondary cell electrode and fabrication method, and secondary cell, complex cell, and vehicle
JP4055671B2 (ja) * 2003-07-31 2008-03-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JP4414165B2 (ja) * 2003-08-07 2010-02-10 株式会社巴川製紙所 電子部品用セパレータおよび電子部品
DE602005011264D1 (de) 2004-02-18 2009-01-08 Panasonic Corp Sekundärbatterie
KR100647966B1 (ko) * 2004-02-24 2006-11-23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전자부품용 세퍼레이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699215B1 (ko) * 2004-03-19 2007-03-27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전자부품용 세퍼레이터 및 그 제조 방법
JP4791087B2 (ja) 2004-09-30 2011-10-12 日東電工株式会社 反応性ポリマー担持多孔質フィルムとその製法
JP4526352B2 (ja) 2004-11-08 2010-08-18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ータのための反応性ポリマー担持多孔質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電池の製造方法
KR100659820B1 (ko) 2004-11-17 2006-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온 이차 전지
ATE490986T1 (de) 2005-01-21 2010-12-15 Nippon Soda Co Polymer, vernetztes polymer, zusammensetzung für ein feststoffpolymer-elektrolyt, feststoffpolymer-elektrolyt und klebstoffzusammensetzung
KR100646534B1 (ko) 2005-03-07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판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2007213820A (ja) * 2006-02-07 2007-08-23 Hitachi Vehicle Energy Ltd 二次電池
ATE504615T1 (de) * 2006-03-03 2011-04-15 Dsm Ip Assets Bv Haarpflegezusammensetzungen
JP5137312B2 (ja) * 2006-03-17 2013-02-06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US8135476B2 (en) * 2006-04-27 2012-03-13 Medtronic, Inc. Implantable medical electrical stimulation lead fix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695840B2 (en) 2006-12-08 2010-04-13 Eveready Battery Co., Inc.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deposited gas electrode
RU2339121C1 (ru) * 2007-04-09 2008-11-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атурн"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электродов литий-ионного аккумулятора
JP5124178B2 (ja) 2007-06-15 2013-01-23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ータのための架橋性ポリマー担持多孔質フィルムとその利用
JP2009110683A (ja) * 2007-10-26 2009-05-21 Nitto Denko Corp 電池用セパレータのための反応性ポリマー層担持多孔質フィルムとその利用
JP4872950B2 (ja) 2008-03-05 2012-02-08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5337550B2 (ja) 2008-03-31 2013-11-06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ータとこれを用いてなる電池
JP5337549B2 (ja) 2008-03-31 2013-11-06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ータとこれを用いてなる電池
JP4589419B2 (ja) * 2008-04-07 2010-1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体の製造方法
DE102008054187B4 (de) * 2008-10-20 2014-08-21 Dritte Patentportfolio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 Co.Kg Lithiumionen-Akku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ithiumionen-Akkus
JP2010108679A (ja) * 2008-10-29 2010-05-13 Panasonic Corp 非水系二次電池用電極群およびこれを用いた非水系二次電池
JP5834322B2 (ja) * 2011-07-20 2015-12-1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セパレータ、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化学素子
JP5946257B2 (ja) * 2011-09-29 2016-07-0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ータ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電池
JP5355823B1 (ja) 2011-11-15 2013-11-27 帝人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非水系二次電池
JP5867044B2 (ja) * 2011-12-12 2016-02-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絶縁性接着層およびそれ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
KR101369326B1 (ko) * 2011-12-27 2014-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US9887406B2 (en) 2012-03-09 2018-02-06 Teijin Limited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CN104508864B (zh) 2012-07-30 2017-04-19 帝人株式会社 非水电解质电池用隔膜及非水电解质电池
JP6105226B2 (ja) * 2012-08-09 2017-03-29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14149935A (ja) * 2013-01-31 2014-08-21 Nippon Zeon Co Ltd 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及び二次電池
CN108666527B (zh) * 2013-03-12 2022-03-04 新强能电池公司 形成电极的方法
JP2014179321A (ja) 2013-03-13 2014-09-25 Samsung Sdi Co Ltd セパレータおよ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US9263762B2 (en) * 2013-11-22 2016-02-16 Lanyang Energy Technology Co., Ltd. Lithium ion batteries
KR101822593B1 (ko) * 2015-03-17 2018-01-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바인더 코팅층을 구비한 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0036184B1 (en) * 2015-12-16 2018-07-31 Roger Sims Handcuff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2007131B1 (ko) * 2016-01-22 2019-08-02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비수계 리튬 축전 소자
JP7006590B2 (ja) * 2016-05-25 2022-01-24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池用電極、該電極を備えた電池および前記電極の製造方法
CN106159169A (zh) * 2016-07-11 2016-11-23 湖南立方新能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JP7100798B2 (ja) * 2018-01-09 2022-07-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2816376B1 (ko) * 2018-08-15 2025-06-04 하이드로-퀘벡 전극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00220142A1 (en) * 2019-01-08 2020-07-09 Chongqing Jinkang New Energy Automobile Co., Ltd. Systems and Methods to Control Lithium Plating
JPWO2021131879A1 (ko) * 2019-12-27 2021-07-01
US20230369655A1 (en) * 2020-10-30 2023-11-16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2389A (en) * 1994-11-02 1996-04-30 Dasgupta; Sankar Rechargeable non-aqueous thin film lithium battery
WO1996020504A1 (fr) * 1994-12-28 1996-07-04 Saft Electrode bifonctionnelle pour generateur electrochimique ou supercondensateur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3569A (ja) * 1989-03-27 1990-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固体二次電池の製造法
US5460904A (en) * 1993-08-23 1995-10-24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Electrolyte activatable lithium-ion rechargeable battery cell
EP0651455B1 (en) * 1993-10-07 1997-07-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a separator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n organic electrolyte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separator
FR2727246A1 (fr) * 1994-11-17 1996-05-24 Sorapec Lab Accumulateur a electrodes poreuses a base d'un metal alcalin ou alcalino-terreux et comprenant un electrolyte a l'etat liquide et un electrolyte a l'etat solide
TW342537B (en) * 1995-03-03 1998-10-11 Atochem North America Elf Polymeric electrode, electrolyte, article of manufacture and composition
US5741609A (en) * 1996-07-22 1998-04-21 Motorola, Inc.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681357A (en) * 1996-09-23 1997-10-28 Motorola, Inc. Gel electrolyte bonded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225864B2 (ja) 1996-12-04 2001-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3303694B2 (ja) 1996-12-17 2002-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3225867B2 (ja) 1996-12-18 2001-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3223824B2 (ja) 1996-12-26 2001-10-29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3225871B2 (ja) * 1996-12-26 2001-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H10284131A (ja) 1997-02-04 1998-10-23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97043B1 (ko) 1997-11-19 2003-09-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리튬이온 2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DE69738113T2 (de) 1997-11-19 2008-05-29 Mitsubishi Denki K.K. Lithium-ion-sekundärbatterie und deren herstellung
WO1999031748A1 (fr) 1997-12-15 1999-06-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ccumulateur aux ions lithium
US6235066B1 (en) 1997-12-22 2001-05-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anufacture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O2000038265A1 (fr) 1998-12-22 2000-06-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olution electrolytique pour cellules et cellules fabriquees avec une telle solu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2389A (en) * 1994-11-02 1996-04-30 Dasgupta; Sankar Rechargeable non-aqueous thin film lithium battery
WO1996020504A1 (fr) * 1994-12-28 1996-07-04 Saft Electrode bifonctionnelle pour generateur electrochimique ou supercondensateur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22599B1 (en) 2001-11-27
JPH10172606A (ja) 1998-06-26
JP3225864B2 (ja) 2001-11-05
US6664007B2 (en) 2003-12-16
US20020018930A1 (en) 2002-02-14
US6124061A (en) 2000-09-26
DE69720386T2 (de) 2004-02-12
EP0848445A1 (en) 1998-06-17
KR19980063674A (ko) 1998-10-07
EP0848445B1 (en) 2003-04-02
DE69720386D1 (de) 200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6249B1 (ko) 리튬이온 2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287004B1 (ko) 리튬이온 2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397043B1 (ko) 리튬이온 2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US6225010B1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e thereof
KR100271237B1 (ko) 리튬이온 2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0378379B1 (ko)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조방법
KR19980064181A (ko) 리튬이온 2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WO1999034470A1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JP2003151638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6376125B2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214479C (zh) 锂离子二次电池和其制造方法
KR20010005879A (ko) 리튬이온 전지의 제조방법
KR100300531B1 (ko) 리튬이온 2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01996B1 (ko) 리튬이온 2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0300530B1 (ko) 리튬이온 2차전지
KR100301995B1 (ko) 리튬이온 2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