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13608B1 -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포함하여 제조되는 리튬이온 2차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포함하여 제조되는 리튬이온 2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608B1
KR100413608B1 KR10-2001-0063761A KR20010063761A KR100413608B1 KR 100413608 B1 KR100413608 B1 KR 100413608B1 KR 20010063761 A KR20010063761 A KR 20010063761A KR 100413608 B1 KR100413608 B1 KR 100413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secondary
separator
lithium ion
anode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2770A (ko
Inventor
노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랜드
Priority to KR10-2001-006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3608B1/ko
Publication of KR20020072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770A/ko
Priority to PCT/KR2002/001803 priority patent/WO2003034517A1/en
Priority to US10/255,574 priority patent/US2003007299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60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9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separator between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4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products, e.g.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활물질인 분말상의 리튬전이금속 화합물, 집전체와 활물질간에 전자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탄소분말과 이러한 분말들을 호일형태의 전류집전체에 결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수지로 구성되는 양극, 전극활물질인 분말상의 탄소, 흑연 또는 전이금속 산화물과 이러한 분말들을 호일 형태의 전류집전체에 결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수지로 구성되는 음극, 양극과 음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며 이온의 통로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는 다공성 필름 수지 형태의 격리막, 리튬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상기 전지의 내용물을 보호하며 외부와 밀봉하는 역할의 외장재로 구성된 리튬이온 2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격리막이 그 표면에 난연제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2차 전지는 종래의 전지에 비해 전지의 안전성이 개선되고, 충방전 특성 및 수명 특성과 같은 전지의 성능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리튬이온 2차 전지 {Separator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리튬이온 2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열성이 약한 폴리에틸렌 격리막 표면에 난연제를 포함하는 도포액이 도포된 리튬이온 2차전지용 격리막,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격리막을 포함하여 전지 사용시 안전성이 개선되고 충방전 특성 및 수명 특성과 같은 전지 특성이 우수한 리튬이온 2차 전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충전과 방전을 거듭하며 사용하는 2차 전지는 정보통신을 위한 휴대용 전자기기나 전기자전거, 전기자동차 등의 전원으로 필수적이다. 특히 이들의 제품성능이 핵심부품인 전지에 의해 좌우되므로 고성능 전지에 대한 요구는 대단히 크다. 전지에 요구되는 특성은 충방전 특성, 수명, 고율 특성과 고온에서의 안정성 등 여러 가지 측면이 있다. 리튬이온 2차 전지는 높은 전압과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어 가장 주목받고 있는 전지이며 전해질에 따라서 액체를 쓰는 액체형 전지, 액체와 폴리머를 혼용해서 쓰는 젤형 폴리머 전지와 순수하게 고분자만을 사용하는 고체형 폴리머 전지로 구분하기도 한다.
리튬 2차 전지는 양극, 음극, 전해질, 격리막(separator), 외장재 등으로 주로 구성된다. 양극은 전류집전체에 양극 활물질, 도전제와 바인더(binder) 등의 혼합물이 결착되어 구성된다. 양극 활물질로는 LiCoO2, LiMn2O4, LiNiO2, LiMnO2등의 리튬 전이금속 화합물이 주로 사용된다. 이들 물질들은 결정구조 내로 리튬이온이삽입/탈리(intercalation/deintercalation)가 되면서 진행되는 전기화학적 반응 전위가 높다. 음극 활물질은 리튬금속, 탄소 또는 흑연 등이 주로 사용되며 양극 활물질과는 반대로 전기화학적 반응 전위가 낮다. 전해질은 주로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메틸에틸 카보네이트 등의 극성 유기용매에 LiCF3SO3, Li(CF3SO2)2,LiPF6, LiBF4, LiClO4,LiN(SO2C2F5)2등의 리튬이온을 포함하는 염을 용해시켜 사용한다. 양극과 음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며 이온의 통로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는 격리막은 다공성 폴리에틸렌 등 폴리올레틴계 폴리머를 주로 사용한다. 전지의 내용물을 보호하며 전지외부로 전기적 통로를 제공하는 외장재로는 금속캔 또는 알루미늄과 몇 겹의 폴리머층으로 구성된 포장재를 주로 사용한다.
액체를 전해질로 쓰는 리튬이온 2차 전지는 과충전이나 기타 부주의한 사용으로 인해 화재나 폭발의 위험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안전성의 문제와 더욱 얇고 자유로운 형태의 전지를 제조하기 위해 폴리머를 전해질로 사용하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의 개발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고분자 물질들의 메트릭스 내에 액체 전해질을 함침시킨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액체 전해질의 누액 위험이 적고 금속캔 대신 알루미늄박과 폴리머층들로 구성된 포장재를 사용할 수 있어 얇으면서도 형태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미국특허 제 5,658,685호 제 5,639,573호, 제 5,460,904호, 제 5,837,015호,제6,124,061호 등에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의 구성물 또는 제조방법 등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부주의한 사용자에 의한 전지의 발화 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고 또한 제조공정이 용이하지 않아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인화성이 높은 폴리에틸렌 격리막 표면에 난연제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함으로써 안전성이 개선되고 충방전 특성 및 수명특성이 우수한 전지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난연제를 포함하는 도포액으로 도포된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격리막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리튬이온 2차 전지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전극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집전체 부위가 돌출된 형태로 일정한 크기로 전극이 전달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양극과 음극들이 격리막 상에 일정한 순서로 배열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와 같이 배열 구조를 연속적으로 권취하여 구성된 적층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충방전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리튬이온 2차 전지의 방전 용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수명 곡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개선된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다공성 필름 상에 난연제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난연제로는 인계 화합물, 할로겐계 화합물, 금속 수산화물, 안티몬계 화합물, 몰리브덴계 화합물, 아연 보레이트 화합물 등이 있다. 인계 화합물로는 트리에틸렌 포스페이트, 디메틸 메틸 포스포네이트, 디페닐 크레실 포스페이트, 트리스-β-클로로-에틸 포스페이트, 디에틸-N,N-비스-(2-히드록시에틸)-아미노메틸 포스포네이트, 디부틸 디히드록시에틸 디포스페이트 등이 바람직하고, 할로겐계 화합물로는 염소화 파라핀, 폴리브로모 디페닐 옥사이드, 폴리브로모 디페닐, 디브로모 네오펜틸 글리콜, 테트라브로모 프탈산 무수물, 4,4'-이소프로필리덴 비스(2,6-디브로모페놀) 등이 바람직하고, 금속 수산화물로는 수산화 알루미늄(Al(OH)3), 수산화 마그네슘(Mg(OH)2) 등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난연제를 격리막에 코팅함으로써 전지의 이상 발생시에 연소를 억제하거나 완화하는 효과를 거둘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난연제를 포함하는 도포액은 난연제 외에 접착성 수지 및 용매를 더 포함하는데, 접착성 수지는 상기 난연제를 격리막에 고정시키고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들 접착성 수지는 전지의 다른 구성물과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전지의 충방전 영역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한 물질이면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수지 중에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폴리우레탄, 폴리메타메틸 아크릴레이트, 폴리시아노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아크릴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헥사플로필렌 플루오라이드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 수지가 사용 가능하다. 또한 사용가능한 용매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톤, 메틸에틸 케톤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은 상기 선택된 접착성 수지와 난연제를 용매 100중량부 기준으로 각각 0.5∼10 : 2∼20으로 용매 내에서 용해, 혼합한 후 격리막에 두께 1∼20㎛로 도포하여 제조된다. 이때, 접착성 수지가 0.5 미만일 때는 난연제의 고정이 용이하지 못하고, 10을 초과할 때는 전해질의 이온 이동이 용이하지 못하다. 또한 난연제의 함량이 2 미만일 때는 본래의 목적인 내열성을 증가시키지 못하고, 20을 초과할 때는 전해질의 이온 이동을 방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격리막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리튬이온 2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난연제를 포함하는 도포액이 도포된 격리막과 양극 및 음극이 적층되어 구성된 전극 적층체에 전해질, 외장재를 구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양극 및 음극을 기존에 널리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한다. 즉, 양극은 활물질인 리튬전이금속 화합물 분말, 집전체와 활물질간에 전자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탄소분말, 활물질과 탄소분말을 결착시키고 집전체에 부착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수지 및 기타 목적의 첨가제를 용액상에서 균일하게 혼합한 후에 전류 집전체인 알루미늄 금속박의 양면에 균일하게 도포, 건조 및 압착되어 있는 형태로 제조한다. 음극은 흑연 등 분말상의 활물질과 활물질을 결착시키고 집전체에 부착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수지 및 기타 목적의 첨가제를 용액상에서 균일하게 혼합한 후에 전류집전체인 구리 금속박의 양면에 균일하게도포, 건조 및 압착되어 있는 형태로 제조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과 음극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도 2와 같이 양극과 음극을 상기 제조된 본 발명의 격리막의 한면에 일정한 순서 즉, 음극/양극/음극/음극/양극/양극/ ‥‥ /음극/음극/양극/양극/음극 또는 음극/음극/양극/양극/ ‥‥ /음극/음극/양극/양극/음극의 순서로 일정한 간격을 연속적으로 배열한다. 이어서, 도 3과 같이 상기 배열 구조를 연속적으로 권취하여 격리막을 사이에 두고 음극과 양극이 대면할 수 있는 구조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적층체를 제조한다. 각각 한쪽으로 돌출된 양극과 음극의 단자들은 각각 알루미늄과 니켈 리드선을 추가하고 초음파로 융착하여 병렬로 연결한다. 일반적으로 전지에 사용되는 외장재를 성형하여 홈을 만들어 상기 적층체를 넣고 전해질을 함침시킨 후 외장재의 3면을 진공 상태에서 열융착하여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2차 전지에 사용될 수 있는 전해질은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비닐리덴 카보네이트, γ-부티로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용액에, LiCF3SO3, Li(CF3SO2)2,LiPF6, LiBF4, LiClO4,LiN(SO2C2F5)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리튬염을 용해시켜 사용된다.
또한 외장재로는 철 또는 알루미늄 금속으로 이루어진 캔 형태 또는 알루미늄박과 폴리머층들로 구성된 외장재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격리막의 제조
디메틸카보네이트, 평균분자량이 1,000,000인 폴리메타메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틸 메틸 포스페이트를 각각 중량비로 100:5:5의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다공성 폴리에틸렌막(엔텍사 제 Tecklon, 두께: 25㎛)의 한 면에 액체 정량 토출장치를 이용하여 두께 5㎛로 연속적으로 도포하여 본 발명의 격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전지의 제조(1)
먼저, 양극 및 음극을 기존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즉, 양극은 분말상태의 활물질로 LiCoO2100g, 도전제로 카본 블랙 5g, 바인더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5g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용매로서 N-메틸피롤리돈(NMP) 100ml를 첨가하여 반죽상태로 제조한 후, 집전체인 두께 15㎛의 알루미늄 호일 양면에 균일하게 통상적인 방법으로 도포, 건조, 압착공정을 거쳐 150㎛의 양극을 제조하였다. 음극은 분말상태의 흑연 100g과 바인더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10g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용매로서 N-메틸피롤리돈(NMP) 100ml를 첨가하여반죽상태로 제조한 후 집전체인 두께 10㎛의 구리 호일 양면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균일하게 도포, 건조, 압착 공정을 거쳐 150㎛의 음극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양극과 음극을 도 1과 같이 전극이 도포되지 않은 집전체 부위가 돌출된 형태로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도 2의 첫 번째 배열구조로 배열하였다. 이어서 연속적으로 권취하여 양극과 음극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격리막을 사이에 두고 연속적으로 대면하는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돌출된 양극과 음극의 단자들은 각각 알루미늄과 니켈 리드선을 추가하여 초음파로 융착하여 병렬로 연결하였다. 일반적으로 전지에 사용되는 외장재를 성형하여 홈을 만들어 상기 적층체를 넣고, LiPF6이 1.2몰 농도이고 용매가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디메틸 카보네이트 부피비로 2:1인 전해액 3ml를 첨가한 후, 외장재의 3면은 진공 상태에서 열융착하여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전지의 제조(2)
상기 실시예 1에서 난연제를 디메틸 메틸 포스포네이트 대신에, 디페닐 크레실 포스페이트를 사용하고, 접착성 수지를 폴리메타메틸 아크릴레이트 대신에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구성 요소와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전지의 제조(3)
상기 실시예 1에서 접착제 수지를 폴리메타메틸 아크릴레이트 대신에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구성 요소와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종래의 전지 제조
난연제가 도포되지 않은 다공성 폴리에틸렌막(셀가르드 엘엘씨 제 Celgard, 두께: 25㎛)을 격리막으로 사용하고, 연속적인 적층 구조가 아닌 기존에 알려진 대로 양극/격리막/음극이 나선형으로 권취된 형태로 제작하고, 나머지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전지의 충방전 특성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전지를 대상으로 전지평가용 충방전기를 이용하여 0.2CmA율로 충방전 전압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에 의한 본 발명의 전지 충전 및 방전 전압 특성이 종래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 의한 전지가 안정한 계면이 형성되어 내부저항이 작아진 결과이다.
시험예 2: 전지의 수명특성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전지를 1CmA율로 연속적으로 충전과 방전을 거듭하여 수명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40 싸이클 이상이 진행되어도 방전 용량이 95 %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평탄한 기울기를 가짐으로써 수명특성이 매우 우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종래의 전지는 용량이 7%정도 감소하였고 용량이 계속해서 감소하는 추세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격리막 표면에 난연제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함으로써 제조되는 본 발명의 리튬이온 2차전지는 전지의 안전성이 개선되고, 종래의 전지에 비해 충방전 특성 및 수명 특성과 같은 전지의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격리막 상에 음극과 양극을 일정하게 배열 후 권취하는 형태이므로 기존의 방법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이 높고, 두께가 얇고 형태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Claims (12)

  1. 양극, 음극, 양극과 음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며 이온의 통로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는 격리막, 리튬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전지의 내용물을 보호하며 외부와 밀봉하는 역할의 외장재로 구성된 리튬이온 2차 전지에 사용되는 격리막에 있어서, 상기 격리막이 난연제 및 이를 고정하는 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다공성 필름 상에 도포하여 상기 다공성 필름 상에 난연제 도포층이 형성된 구조를 갖고, 상기 도포층의 두께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단일 또는 복합층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가 인계 화합물, 할로겐계 화합물, 금속 수산화물, 안티몬계 화합물, 몰리브덴계 화합물 및 아연 보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 화합물이 트리에틸렌 포스페이트, 디메틸 메틸 포스포네이트, 디페닐 크레실 포스페이트, 트리스-β-클로로-에틸 포스페이트, 디에틸-N,N-비스-(2-히드록시에틸)-아미노메틸 포스포네이트 또는 디부틸 디히드록시에틸 디포스페이트이고, 상기 할로겐계 화합물이 염소화 파라핀, 폴리브로모 디페닐 옥사이드, 폴리브로모 디페닐, 디브로모 네오펜틸 글리콜, 테트라브로모 프탈산 무수물 또는 4,4'-이소프로필리덴 비스(2,6-디브로모 페놀)이고, 금속 수산화물이수산화 알루미늄(Al(OH)3) 또는 수산화 마그네슘(Mg(OH)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액이 난연제와 접착성 수지외에 이온 전도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폴리우레탄, 폴리메타메틸 아크릴레이트, 폴리시아노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아크릴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헥사플로필렌 플루오라이드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액의 제조에 사용되는 용매가 디메틸 카보네이트,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톤 또는 메틸에틸 케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
  8. 삭제
  9.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다공성 필름 상에 용매 100 중량부 기준으로 난연제와 접착성 수지를 각각 0.5∼10 : 2∼20의 중량비로 두께 1∼20㎛로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항에 따른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의 제조방법.
  10. 전극활물질인 분말상의 리튬전이금속 화합물, 집전체와 활물질간에 전자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탄소분말과 이러한 분말들을 호일형태의 전류집전체에 결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수지로 구성되는 양극,
    전극활물질인 분말상의 탄소, 흑연 또는 전이금속 산화물과 이러한 분말들을 호일 형태의 전류집전체에 결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수지로 구성되는 음극,
    양극과 음극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며 이온의 통로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는 다공성 필름 수지 형태의 격리막,
    리튬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상기 전지의 내용물을 보호하며 외부와 밀봉하는 역할의 외장재로 구성된 리튬이온 2차 전지에 있어서,
    격리막의 한면에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형태의 음극과 양극을 음극/양극/음극/음극/양극/양극/ ‥‥ /음극/음극/양극/양극/음극 또는 음극/음극/양극/양극/ ‥‥ /음극/음극/양극/양극/음극의 순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열하고, 연속적으로 권취하여 격리막을 사이에 두고 음극과 양극이 대면할 수 있는 구조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적층체로 전지의 내부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막이 그 표면에 난연제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제조되는 제 1항에 따른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
  12. 제 10항에 있어서, 리튬이온 2차 전지가 액체형 전지, 젤형 폴리머 전지 또는 고체형 폴리머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2차 전지.
KR10-2001-0063761A 2001-10-16 2001-10-16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포함하여 제조되는 리튬이온 2차 전지 Expired - Fee Related KR100413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761A KR100413608B1 (ko) 2001-10-16 2001-10-16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포함하여 제조되는 리튬이온 2차 전지
PCT/KR2002/001803 WO2003034517A1 (en) 2001-10-16 2002-09-25 A separator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US10/255,574 US20030072996A1 (en) 2001-10-16 2002-09-27 Separation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761A KR100413608B1 (ko) 2001-10-16 2001-10-16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포함하여 제조되는 리튬이온 2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770A KR20020072770A (ko) 2002-09-18
KR100413608B1 true KR100413608B1 (ko) 2004-01-03

Family

ID=19715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761A Expired - Fee Related KR100413608B1 (ko) 2001-10-16 2001-10-16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포함하여 제조되는 리튬이온 2차 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30072996A1 (ko)
KR (1) KR100413608B1 (ko)
WO (1) WO20030345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490B1 (ko) 2006-02-06 2007-12-13 한국과학기술원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7412A1 (en) * 2001-12-21 2003-08-21 Takitaro Yamaguchi Electrolyte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KR100459871B1 (ko) * 2002-05-23 2004-12-03 주식회사 에너랜드 전지 또는 콘덴서용 비수전해질의 조성물
JP2004087238A (ja) * 2002-08-26 2004-03-18 Nissan Motor Co Ltd 積層型電池
WO2004097971A1 (en) * 2003-04-25 2004-11-11 Enerland Co. Ltd. Stacked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its fabrication
KR100576573B1 (ko) * 2005-02-05 2006-05-04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난연 폴리에틸렌 미다공막
JP2006260945A (ja) * 2005-03-17 2006-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液一次電池
KR100894410B1 (ko) * 2005-05-27 2009-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종 전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는 중첩식 리튬 이차전지
TWI346406B (en) * 2006-02-16 2011-08-01 Lg Chemical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enhanced heat-resistance
WO2007129839A1 (en) * 2006-05-04 2007-11-15 Lg Chem,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859996B1 (ko) * 2006-05-15 2008-09-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중 권취형 전극조립체
KR100907623B1 (ko) 2006-05-15 2009-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적층 구조의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KR100995074B1 (ko) * 2007-12-11 2010-1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비수계 리튬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비수계 리튬 이차전지
WO2010101180A1 (ja) * 2009-03-03 2010-09-10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非水電解液電池
JP5623199B2 (ja) * 2010-09-06 2014-11-12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非水電解液電池
JP5740118B2 (ja) * 2010-09-06 2015-06-24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非水電解液電池
JP2013054967A (ja) * 2011-09-05 2013-03-21 Ntt Facilities Inc 非水電解液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電解液電池
US20150180039A1 (en) * 2012-07-26 2015-06-25 Lifesize Ab Sustainable Current Collectors for Lithium Batteries
KR101939881B1 (ko) * 2016-08-16 2019-01-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분말을 이용한 박막 전극용 슬러리,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박막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519742B (zh) * 2016-11-01 2018-11-16 旭成(福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阻燃陶瓷改性浆料及涂覆该浆料的锂离子电池隔膜
JP7129644B2 (ja) 2017-06-19 2022-09-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および乗り物
CN113690443B (zh) * 2017-12-22 2022-07-0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粘结剂,使用该粘结剂的电极极片及二次电池
KR102362894B1 (ko) * 2018-05-15 2022-02-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미세 캡슐, 이를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JP7236662B2 (ja) * 2018-07-05 2023-03-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バッテリーパック、および乗り物
CN110233224B (zh) * 2019-04-09 2020-10-30 厦门大学 一种耐热阻燃隔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804009B1 (ko) 2019-08-30 2025-05-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두께가 두꺼운 난연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KR102788555B1 (ko) 2019-10-29 2025-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기체발생제를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130844A (zh) * 2021-04-16 2021-07-16 恒大恒驰新能源汽车研究院(上海)有限公司 锂离子电池的电芯的制备方法、锂离子电池及其应用
CN114583392B (zh) * 2022-03-22 2024-09-13 广东工业大学 一种金属-有机框架材料基耐热阻燃膜的浆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682A (ko) * 1999-01-25 2000-08-16 김순택 리튬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0904A (en) * 1993-08-23 1995-10-24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Electrolyte activatable lithium-ion rechargeable battery cell
JPH0887995A (ja) * 1994-09-14 1996-04-02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有機電解液電池
JPH08111214A (ja) * 1994-10-11 1996-04-30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有機電解液電池
JP2726633B2 (ja) * 1994-12-28 1998-03-11 金井 宏彰 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アルカリ二次電池
JPH08236093A (ja) * 1995-02-27 1996-09-13 Mitsubishi Chem Corp 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ー
US5658685A (en) * 1995-08-24 1997-08-19 Motorola, Inc. Blended polymer gel electrolytes
JP3381538B2 (ja) * 1996-08-06 2003-03-04 宇部興産株式会社 積層多孔質ポリオレフィンフイルムの製法
US5681357A (en) * 1996-09-23 1997-10-28 Motorola, Inc. Gel electrolyte bonded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444356B1 (en) * 1996-11-01 2002-09-03 Jackson C. Ma Lithium battery with secondary battery separator
JP3225864B2 (ja) * 1996-12-04 2001-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3797729B2 (ja) * 1996-12-16 2006-07-19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ータ
US5837015A (en) * 1997-09-26 1998-11-17 Motorola, Inc. Method of making a multilayered gel electrolyte bonded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
US6210840B1 (en) * 1997-12-02 2001-04-03 Denso Corporation Flame-retardant electrolytic solution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same
US6432586B1 (en) * 2000-04-10 2002-08-13 Celgard Inc. Separator for a high energy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682A (ko) * 1999-01-25 2000-08-16 김순택 리튬 이차 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490B1 (ko) 2006-02-06 2007-12-13 한국과학기술원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72996A1 (en) 2003-04-17
KR20020072770A (ko) 2002-09-18
WO2003034517A1 (en) 200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3608B1 (ko)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포함하여 제조되는 리튬이온 2차 전지
KR102126371B1 (ko) 전기화학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8778539B2 (en)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US11430994B2 (en) Protective coatings for lithium metal electrodes
US9373869B2 (en) Bipolar all-solid-state battery
CN100416909C (zh) 含有至少一个采用铝或铝合金导电基板的双电极的锂电化学发电器
CA3139843A1 (en) Rechargeable battery cell
KR101154881B1 (ko) 바이폴라 셀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EP2819219B1 (en) Bipolar electrode and bipola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CN107851765A (zh) 锂离子二次电池
US20060068291A1 (en) Lithium cell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2002170567A (ja) 非水電解液電池
KR20200135060A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리튬 이차전지
KR100459871B1 (ko) 전지 또는 콘덴서용 비수전해질의 조성물
JPH11273743A (ja) 円筒型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20200028908A (ko) 전기화학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663587B1 (ko) 바이폴라 리튬 이차전지
CN117678085A (zh) 正极以及包含该正极的电池
JPH10512707A (ja) 双極リチウムイオン再充電可能電池
JPH11283612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US11973245B2 (en) Battery module
US20250239622A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289732B2 (en) Lithium electrochemical accumulator of the lithium-sulfur type comprising a specific negative-electrode material
KR200312088Y1 (ko) 리튬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49925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9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91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090918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92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