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2390B1 - 유도가열용 복합재료 - Google Patents

유도가열용 복합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390B1
KR900002390B1 KR1019860008531A KR860008531A KR900002390B1 KR 900002390 B1 KR900002390 B1 KR 900002390B1 KR 1019860008531 A KR1019860008531 A KR 1019860008531A KR 860008531 A KR860008531 A KR 860008531A KR 900002390 B1 KR900002390 B1 KR 900002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ches
thickness
magnetic
stain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639A (ko
Inventor
러셀 헌터 제임스
Original Assignee
이엠에이 코포레이션
머레이에이 루프트 글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엠에이 코포레이션, 머레이에이 루프트 글래스 filed Critical 이엠에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70004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36Al-base component
    • Y10T428/1275Next to 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57F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51Fe-base component
    • Y10T428/12958Next to Fe-base component
    • Y10T428/12965Both containing 0.01-1.7% carbon [i.e., st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도가열용 복합재료
제 1 도 및 2 도는 본 발명의 재료를 유도가열한 후의 가열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유도가열용 복합재료에 관한 것이다.
오랫동안 조리작업에 사용하기 위한 유용하고 만족스러운 유도 가열시스템을 개발하려고 노력하였다. 음식등을 조리하기 위하여 유도가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오랫동안 인정되었지만, 최근까지 조리 목적을 위하여는 매우 드물게 유도 가열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이 이유는 복잡하여 아마도 이전에 유도 조리용으로 필요했던 무거운 조리 도구에 관련된 소비자의 저항감과 어느 정도 관계가 있다.
조리도구는 경량이고, 기계적으로 튼튼하며, 내부식성이고 닦기 쉬우며 또한 신속하고 균일하게 가열되고, 내마모성이며 외관이 미려하고 경제적이어야 한다. 이러한 요건을 이루기 위하여, 알루미늄과 스테인레스 스티일이 자주 사용되었지만 이는 모두 특정 장점과 단점을 갖는다.
상술한 문제외에 유도 가열 성능을 고려할 때, 문제는 더욱 복잡해진다. 유도가열이 일어나기 위하여, 조리도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기성이어야 한다. 따라서, 알루미늄과 비-자기성 스테인레스 스타일은 유도조리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 주철은 유도가열 조리 도구용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내부식성이 없고 불균일하게 가열되며 또한 무겁다.
적층 조리도구를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졌다. 예를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 3,966,426호에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비교적 두꺼운 자기층, 고열 전도물질층 및 저자기층을 갖는 다층조리도구가 기재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3,650,710호에서는 스테인레스 스티일, 알루미늄 및 인광물질-니켈층의 구조를 사용하여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하였다.
최초로, 본 발명은 유도 가열시키는 데에 적합한 조리도구용 재료를 제조함에 있어서 내재된 모든 문제를 해결해 준다. 특히, 본 발명의 재료는 내부식성이 우수하고 경량이다.
본 발명은 a) 두께가 약 0.005인치 이하인 자기 페라이트(ferrite)스테인레스 스티일 층, 및 b) 이 자기층의 각 측면에 있는 두께가 약 0.005인치 이하인 비-자기오스테나이트(austenite)스테인레스 스티일 층으로 이루어지는, 유도가열에 적합한 복합재료로 이루어진다.
자기층은 두께가 약 0.0045 내지 0.005인치인 T-409 스테인레스 스티일이 바람직하며, 반면에 비자기층은 각각 두께가 약 0.004 내지 0.005 인치인 T-304 스테인레스 스티일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유도 가열용 복합재료는 a) 두면을 가지고 자기 유도 코일에 아주 근접하게 위치하며 두께가 0.005 인치 이하인 비-자기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스티일 제 1 층, b) 상기 유도 코일에서 가장먼 제 1 층의 면에 결합되고 두께가 0.005인치 이하인 자기 페라이트 스테인레스 스티일 제 2 층, c) 제 2층에 결합되고 두께가 0.005 인치 이하인 비-자기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스티일 제 3 층, d) 제 3 층에 결합되고 두께가 0.200인치 이하인 알루미늄 제 4 층 및 e) 제 4 층에 결합된 비-자기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스티일 제 5 층으로 이루어진다.
제 4 층은 각 측면이 거의 순수한 알루미늄으로 피복된 알루미늄 합금 코어로 이루어지는 3중-플라이(ply)알루미늄 층(이의 두께는 약 0.020 내지 0.200 인치이다)이 바람직하며, 반면에 제 1층 및 제 3층은 각각 두께가 약 0.010내지 0.015 인치인 T-304 스테인레스 스티일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층은 두께가 약 0.0045 내지 0.005 인치인 T-409 스테인레스 스티일이 바람직하며 반면에 제 5 층은 두께가 약 0.010 내지 0.015 인치인 T-304 스테인레스 스티일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합금은 알루미늄 3003 또는 3004 중에서 선택되고 거의 순수한 알루미늄은 순도가 99.0 내지 99.75%인 재료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마지막 부분은 전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 조리도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유도 조리도구 재료의 제조는 2단계로 수행한다. 첫째, 페라이트 스테인레스 스티일 층을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스티일의 두층 사이에 샌드위치화 시키고, 모든면은 층을 팩(pack)형태로 조립하기전에 세척한다. 때때로, 팩이 형성됨에 따라 페라이트 스트일의 각 측면에 니켈층을 삽입하여 결합을 쉽게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어서, 층을 바람직하게는 서브 아크(sub arc)용점에 의해 팩으로 조립한다. 이어서, 팩을 진공에 적용시키고 가열한 수 코일로 열간 압연시킨다. 코일의 모서리를 다듬과 어니일하고 세척한 후 냉간압연하여 두께를 더 감소시킨다. 어니일링, 세척 및 냉간압연을 여러번 되풀이하여 원하는 두께로 감소시킬수 있다. 일반적으로, 두께는 약 0.0135 내지 0.015 인치가 바람직하다. 세 개의 층은 모두 두께가 0.005 인치 이하이다. 자기층의 두께는 특히 중요하며 약 0.0045 내지 0.005 인치이다. 이러한 특정 두께의 자기재료는 최소 중량으로 최대 동력을 제공한다. 이 재료는 일반적인 공정으로 유도-가열 조리 도구를 제조하는데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재료는 형판(blank)으로 절단하고 주형으로 압축시킨 후 원하는 형태로 연신시킨다.
필요시, 전술한 재료를 다른층에 결합시켜 유도가열 조리도구 제조용의 7층 재료를 만든다. 이 경우, 재료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더 소멸되기 때문에 두께가 충분히 감소되지 않을 것이다. 두께는 0.0165 인치 이하가 적절하다. 전술한 재료를 양쪽면이 거의 순수한 알루미늄으로 둘러싸인 알루미늄 합금 코어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3중-플라이 재료의 층과 접촉시킨다. 이러한 알루미늄 3중 플라이는 시판되거나 가정에서 조립할 수 있다. 알루미늄 합금은 바람직하게는, 합금 3003 또는 3004이고 순수한 알루미늄은 99.0 내지 99.75% 순도이다. 사용되는 알루미늄 3중-플라이의 두께는 약 0.020 내지 0.200 인치이다. 두께가 약 0.010 내지 0.017 인치인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스티일 마지막 층을 알루미늄 3중-플라이에 놓고 전 조립품을 용광로에 통과시킨 후 핀치밀(pinch mill)에 통과시켜 두께를 약간 감소시킨 후 더욱 격렬히 핀치시켜 두께를 더욱 감소시킨다. 이어서, 결합된 재료를 어니일시켜 결합강도를 증가시킨다. 이 재료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스티일 층만이 유도코일과 페라이트 스티일층 사이에 있도록 조립된다는 것은 본 분야의 전문가에서 명백하다. 알루미늄층은 코일로부터 떨어져 페라이트 층의 측면에 있으며 오스테나이트 스티일 최종층은 팬의 상부 또는 내부를 형성하며 조리되는 음식과 접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재료는 모든 형태의 유도 가열 조리도구를 제조하는데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이 재료를 형판으로 절단하고, 주형으로 압축한 후 조리도구 산업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프라이팬, 포트등의 형상으로 연신시킨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총 두께가 2 인치인 409형 페라이트 스테인레스 스티일을 양면에 세척하고, 세척된 2인치 두께의 304형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스티일의 두층사이에 놓는다. 이어서, 이 조립물을 팩으로 서브아크 용접하고 팩을 진공에 가하여 공기를 제거하고 밀봉시킨다. 이어서 팩을 가열하고 두께 약 0.140 인치의 코일로 열간압연시킨다. 코일의 모서리를 다듬고, 어니일하여 세척한 후 두께 약 0.070 인치로 냉간 압연시킨다. 다시, 재료를 세척하고 어니일한후 0.035 인치의 두께로 재압연시킨다. 최종적으로 어니일링 및 세척한 후, 마지막으로 재료를 냉간압연하여 0.015 인치의 두께로 만든다.
이어서, 이 재료를 원형 형판으로 절단하고, 프라이팬 주형으로 압축한 후 유도가열용 프라이팬과 같은 최종 형상으로 연신시킨다.
[실시예 2]
두께가 0.0165 인치인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재료를 거의 순수한 알루미늄 층으로 둘러싸인 알루미늄 합금 코어를 갖는, 두께가 0.069 및 0.095 인치인 시판 알루미늄 3중 플라이재료의 층과 접촉시킨다. 두께가 약 0.017 인치인 304형 스테인레스 스티일층을 알루미늄 3중 플라이 층상에 놓고 전 조립품을 약 650 내지 700°F로 가열한다. 재료를 핀치 밀 사이에 통과시켜 1 내지 3% 감소시킨 후 다시 핀치 밀 사이에 통과시켜 다시 10 내지 20% 감소시켜 최종 두께를 각각 0.090 및 0.110 인치로 만든다. 이어서, 결합된 재료를 650 내지 700°F에서 어니일하여 결합이 일어나게 한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 따라서 제조한 7 플라이 재료를 원형형판으로 절단하고 프라이팬 주형으로 압축시킨다. 409형 스테인레스 스티일이 304형 스테인레스 스티일 1층만에 의하여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측면을 하부에 위치시켜 프라이팬의 바닥부를 형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어서, 주형된 형상을 프라이팬으로 연신시키고 이를 유도 코일상에서 가열한다. 하기표는 본 발명의 한가지 재료 및 자기 또는 동력층으로서 탄소강층을 갖는 한가지 대조재료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001
표에 기재된 7 플라이팬을 유도 가열하여 관찰된 가열 성질을 제 1 도 및 제 2 도에 나타낸다.

Claims (12)

  1. 두께가 약 0.005 인치 이하인 자기 페라이트 스테인레스 스티일층, 및 이 자기층의 각 측면에 있는, 두께가 약 0.005인치 이하인 비-자기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스티일 층으로 이루어지는, 유도가열용으로 적합한 복합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자기층이 두께가 약 0.0045 내지 0.005인치인 T-409 스테인레스 스티일인 재료.
  3. 제 1 항에 있어서, 비-자기층이 각각 두께가 약 0.004 내지 0.005 인치인 T-304 스테인레스 스티일인 재료.
  4. 두면을 가지고 자기 유도코일에 아주 근접하게 위치하며 두께가 0.005 인치 이하인 비-자기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스티일 제 1 층 상기 유도 코일에서 가장 먼 제 1층의 면에 결합되고 두께가 0.005인치 이하인 자기 페라이트 스테인레스 스티일 제 2층 : 제 2층에 결합되고 두께가 0.005인치 이하인 비-자기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스티일 제 3 층, 제 3 층에 결합되고 두께가 0.200인치 이하인 알루미늄 제 4 층; 및 제 4 층에 결합된 비-자기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스티일 제 5 층으로 이루어지는 유도 가열용으로 적합한 복합재료.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4 층이 각면이 거의 순수한 알루미늄으로 피복된 알루미늄 합금 코어로 이루어지는 3중-플라이 알루미늄층(이는 두께가 약 0.020 내지 0.200인치이다)인 재료.
  6.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층 및 제 3 층이 각각 두께 약 0.004 내지 0.005 인치의 T-304 스테인레스 스티일인재료.
  7. 제 4 항에 있어서, 제 2 층이 두께 약 0.0045 내지 0.0005 인치의 T-409 스테인레스 스티일인 재료.
  8. 제 4 항에 있어서, 제 5 층이 두께 약 0.010 내지 0.015 인치의 T-304 스테인레스 스티일인 재료.
  9. 제 5 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합금이 알루미늄 3003 또는 3004인 재료.
  10. 제 5 항에 있어서, 거의 순수한 알루미늄이 99.0 내지 99.75% 순도인 재료.
  11. 제 1항의 복합재료로 생성된, 유도가열로 사용하기 적합한 조리도구.
  12. 제 4항의 복합재료로 생성된, 유도가열로 사용하기 적합한 조리도구.
KR1019860008531A 1985-10-11 1986-10-11 유도가열용 복합재료 KR900002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6,423 1985-10-11
US786423 1985-10-11
US06/786,423 US4705727A (en) 1985-10-11 1985-10-11 Composite material for induction hea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639A KR870004639A (ko) 1987-05-11
KR900002390B1 true KR900002390B1 (ko) 1990-04-13

Family

ID=25138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531A KR900002390B1 (ko) 1985-10-11 1986-10-11 유도가열용 복합재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05727A (ko)
EP (1) EP0228774A1 (ko)
JP (1) JP2542371B2 (ko)
KR (1) KR900002390B1 (ko)
BR (1) BR86049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8894A5 (de) * 1987-03-30 1989-02-15 Berndorf Luzern Ag Vorrichtung zum kuehlen, aufbewahren und wiedererwaermen von kompletten mahlzeiten.
DE3817657A1 (de) * 1988-05-25 1989-12-07 Vdm Nickel Tech Schichtverbundwerkstoff zur herstellung von muenzen
US5227597A (en) * 1990-02-16 1993-07-13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Rapid heating, uniform, highly efficient griddle
DE59407882D1 (de) * 1994-03-18 1999-04-08 Clad Lizenz Ag Mehrschichtiger, kaltverformbarer und tiefziehfähiger Verbundkörper aus Metall
DE4412944A1 (de) * 1994-04-15 1995-10-19 Vesta Ag & Co Ohg Topfförmiges Gar- und/oder Kochgerät
JPH09157886A (ja) * 1995-12-12 1997-06-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磁誘導加熱用合金メッキ膜、電磁誘導加熱用合金メッキ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磁誘導加熱用調理器
DE19942234C1 (de) * 1999-09-03 2001-03-01 Krupp Vd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hrphasen-Verbundwerkstoffen sowie Verwendung des Verbundwerkstoffes
IT1319079B1 (it) 2000-11-02 2003-09-23 Inoxia S R L Recipiente di cottura di acciaio inossidabile con fondo capsularecomposto riscaldabile per induzione magnetica
CN1242715C (zh) * 2001-11-30 2006-02-22 安费合金公司 包括侧壁和多层材料所制底部的烹调容器和多层材料物品
FR2833019B1 (fr) * 2001-11-30 2004-09-10 Imphy Ugine Precision Alliage ferromagnetique pour la cuisson par induction
US20040229079A1 (en) * 2002-06-28 2004-11-18 Groll William A. Composite cookware having decorative outer surface and improved induction heating characteristics
DE102010009136B4 (de) * 2010-02-23 2014-03-20 KSF Grillgeräte GmbH Vorrichtung zum Erwärmen von Flüssigkeiten
CN106963234A (zh) * 2017-06-03 2017-07-21 广东健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铝钛复合电饭煲内胆及其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07562C (de) * 1939-09-10 1941-06-28 Hermann Schneider Mehrschichtiger Metallspiege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2764805A (en) * 1952-02-13 1956-10-02 United States Steel Corp Duplex metal article
US2967134A (en) * 1954-06-15 1961-01-03 Legion Utensils Co Inc Process of producing cooking utensils
GB1157711A (en) * 1966-10-24 1969-07-09 Electricity Counci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Cooking apparatus and Utensils for use therewith
DE1948150A1 (de) * 1968-09-25 1970-04-02 Traitements Electrolytiques Et Anordnung aus Metallschicht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3966426A (en) * 1972-03-24 1976-06-29 White-Westinghouse Corporation Cooking vessel for use with induction heating cooking unit
US4004892A (en) * 1973-12-10 1976-01-25 Clad Metals Inc Cookware fabricated from composites of copper,aluminum and stainless steel
US4103076A (en) * 1973-12-10 1978-07-25 Clad Metals, Inc. Clad metal product of Cu, Al and stainless steel
US4167606A (en) * 1976-11-22 1979-09-11 Clad Metals, Inc. Multiple member clad metal products
FR2453627A1 (fr) * 1979-04-10 1980-11-07 Equipinox Equip Acier Inoxydab Ustensile de cuisine a fond composite
US4246045A (en) * 1979-04-24 1981-01-20 Clad Metals, Inc. Multiple member clad metal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S58188415A (ja) * 1982-04-27 1983-11-02 有限会社南田総業 調理容器
NO154221C (no) * 1982-10-11 1986-08-20 Ardal Og Sunndal Verk Trelags metall-laminat med bimetalleffekt og anvendelse av dette laminat i kokekar.
NO152483C (no) * 1982-12-14 1985-10-09 Ardal Og Sunndal Verk Kokekar av rustfritt staal for alle typer oppvarmingskilder
JPS603693U (ja) * 1983-06-20 1985-01-11 株式会社日本アルミ 電磁調理器用鍋
JPS6116895U (ja) * 1984-07-03 1986-01-3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磁誘導調理器用調理容器
US4646935A (en) * 1985-01-18 1987-03-03 Clad Metals, Inc. Induction cooking utens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604969A (pt) 1987-07-14
EP0228774A1 (en) 1987-07-15
KR870004639A (ko) 1987-05-11
JPS6293888A (ja) 1987-04-30
JP2542371B2 (ja) 1996-10-09
US4705727A (en) 198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390B1 (ko) 유도가열용 복합재료
US4596236A (en) Stainless steel cooking vessel suitable for all types of heat sources
JP4282162B2 (ja) 複合焼き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8133596B2 (en) Bonded metal components having uniform thermal conductivity characteristics
US4614852A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ing utensil
US20010005523A1 (en) Cooking vessel for induction heating and alloy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vessel
US20040058188A1 (en) Bonded metal components having uniform thermal conductivity characteristic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468698B2 (ja) 多層材料から作製される基部および側壁を含む調理容器、および多層材料の物品
US2057254A (en) Receptacle
JP2010229549A (ja) 電磁誘導加熱調理のための強磁性合金
EP1662950A1 (en) Bonded metal components having uniform thermal conductivity characteristic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40229079A1 (en) Composite cookware having decorative outer surface and improved induction heating characteristics
WO2007085134A1 (fr) Cuiseur ordinaire pour divers poêles a plaque composite à trois couches et procédé de fabrication associé
CN102389266A (zh) 一种铁铝复合电磁炉用锅及其制备方法
CA1125629A (en) Multiple member clad metal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11035226B (zh) 一种具有复合锅底的锅具的制备方法
CN101438932A (zh) 一种电饭煲内锅及其制造方法
KR20030090585A (ko) 인덕션 레인지 겸용 주방용기
JPH09276130A (ja) 二重金属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15030B1 (ko) 자성 철합금이 함유된 알루미늄 피복용 클래드 및 그제조방법
KR200486365Y1 (ko) 가열용 용기
JPH0338798Y2 (ko)
JPH0344440A (ja) 電磁調理容器用クラッド材
TWM274905U (en) Metal pot with magnetic conduction layer
JPH09435A (ja) 電磁誘導加熱用容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10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610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8903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0031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6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008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4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7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4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4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4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4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4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