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66887Y1 - 법면블럭 조립체 - Google Patents

법면블럭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887Y1
KR200366887Y1 KR20-2004-0012336U KR20040012336U KR200366887Y1 KR 200366887 Y1 KR200366887 Y1 KR 200366887Y1 KR 20040012336 U KR20040012336 U KR 20040012336U KR 200366887 Y1 KR200366887 Y1 KR 2003668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block
block
hole
inclined surfa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열
Original Assignee
김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열 filed Critical 김병열
Priority to KR20-2004-0012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8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8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8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법면으로부터 토사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법면블럭 조립체에 대해 개시한다. 이는 법면블럭(10)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관통공(15)이 형성되고, 각 관통공(15)에 결합되어서 경사지면에 매설되는 지주(30)를 구비한다. 법면블럭(10)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시키거나 합성수지재로 성형시킬 수 있으며, 지주(30)는 목재 또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또한, 각 관통공(15)에는 결합되는 지주(30)를 안내하는 중공의 부쉬(20)가 결합되어 있다. 부쉬(20)는 관통공(15)을 통하여 지주(30)를 경사지면에 매설시킬 때에 법면블럭(10)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또한, 법면블럭(10)의 양단부에 인접하는 다른 법면블럭과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턱(11)(1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조립체는 법면블럭에 관통공을 형성하여서 지주들의 일부분이 경사지면에 매설되게 함으로써 법면블럭을 경사지면에 안정되게 고정시키고, 이에 따라서 토사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한다. 또한, 법면블럭의 관통공에 부쉬를 결합시킴으로써 지주들의 매설작업시 관통공 주변의 법면블럭을 보호하여 법면블럭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시킨다.

Description

법면블럭 조립체{incline plane block assembler}
본 고안은 경사진 지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법면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법면으로부터 토사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법면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주택, 공장 등 토지를 개발하는 경우 산지나 경사지에 절개 법면이 발생되며, 이같은 절개지에는 그 법면의 절토 또는 암반층을 흙으로 덮어 객토한 후 식생 녹화하는 방법으로 절개 법면을 보호한다.
통상적으로는 절개면의 흙이 아래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멘트나 합성수지로 성형된 조립블럭(법면블럭)을 격자형으로 조립한 후 그 사이에 흙을 채워 넣은 다음 그 위에 다시 잔디를 옮겨 심거나 파종하는 방법으로 법면을 보호하거나, 절토 또는 암반위에 절토 또는 암반 전체가 덮힐 수 있도록 철망을 펼쳐 놓고 그 위에 접착제가 혼합된 식생용 토양을 객토한 후 다시 스프레이식으로 잔디 씨앗을 파종하는 방법으로 법면을 보호한다.
이러한 격자형의 법면블럭을 사용한 법면 보호방법은, 식물의 생육이나 사방효과에 좋은 결과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이는 비교적 낮은 절개지에 한하여만 사용이 가능할 뿐 산악지형의 도로건설시 생기는 높고 넓은 절토 또는 암반 절개법면에는 적절히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통상의 법면블럭은 운반 및 시공상 얇은 두께로 성형되므로, 법면에 설치시 법면에 매설되는 두께가 얇아 호우 등 악천우시에 토사와 함께 유실되는 위험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급경사와 같은 악조건의 법면에도 안정적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토사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법면블럭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법면블럭의 설치시 법면블럭의 손상을 방지하고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법면블럭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 법면블럭 조립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 법면블럭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법면블럭 조립체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법면블럭 11,12...걸어맞춤턱
20...부쉬 30...지주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토사의 유실이 방지되도록 경사지면에 설치되는 법면블럭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법면블럭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각 관통공에 결합되어서 상기 경사지면에 매설되는 지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 조립체는 상기 각 관통공에 상기 결합되는 지주를 안내하는 중공의 부쉬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법면블럭의 양단부에는 인접하는 다른 법면블럭과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턱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관통공 및 부쉬는 다각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쉬는 상호 밀접되어 마련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조립체는 법면블럭에 일정간격으로 경사지면에 매설되는 지주들이 결합됨으로써 토사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법면블럭 조립체는 경사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서 토사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본 고안 실시예의 법면블럭 조립체를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육면체 형상의 법면블럭(10)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관통공(15)이 형성되고, 각 관통공(15)에 결합되어서 경사지면에 매설되는 지주(30)를 구비한다.
상기 법면블럭(10)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시키거나 합성수지재로 성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지주(30)는 목재 또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관통공(15)에는 상기 결합되는 지주(30)를 안내하는 중공의 부쉬(2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부쉬(20)는 관통공(15)을 통하여 지주(30)를 경사지면에 매설시킬 때에 법면블럭(10)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상기 법면블럭(10)의 양단부에 인접하는 다른 법면블럭과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턱(11)(1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법면블럭(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면에 배치될 때 인접하는 법면블럭(10)의 양단부들이 걸어맞춤턱(11)(12)에 걸어맞춤되어 설치됨으로써, 인접된 법면블럭(10)간 설치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본 고안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관통공(101) 및 부쉬(110)가 다각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쉬(110)들이 상호 밀접되어서 토사의 유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 법면블럭 조립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면(200)에 격자상으로 상호 조립되어 설치되는 바, 각 법면블럭(10)의 양단부는 인접하는 법면블럭의 양단부와 걸어맞춤턱(11)(12)들이 상호 걸어맞춤됨으로써 조립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쉬(20)에 지주(30)들을 결합하여 경사지면(200)에 매설시킨다. 이에 따라서 법면블럭(10)들은 경사지면에 지주(30)들에 의해서 악조건하에서도 안정하게 고정되게 된다. 즉, 산악지형의 도로건설시 생기는 높고 넓은 절토 또는 암반 절개법면에도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상의 지주(120)들이 상호 지그재그로 밀접하여 매설되는 경우 경사지면의 토사유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법면블럭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법면블럭에 관통공을 형성하여서 지주들의 일부분이 경사지면에 매설되게 함으로써 법면블럭을 경사지면에 안정되게 고정시키고, 이에 따라서 토사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한다.
둘째, 법면블럭의 관통공에 부쉬를 결합시킴으로써 지주들의 매설작업시 관통공 주변의 법면블럭을 보호하여 법면블럭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시킨다.
셋째, 법면블럭의 양단부에 인접하는 법면블럭간의 상호 걸어맞춤이 가능하도록 걸어맞춤턱이 형성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4)

  1. 토사의 유실이 방지되도록 경사지면에 설치되는 법면블럭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법면블럭(10)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관통공(15)이 형성되며, 각 관통공(15)에 결합되어서 상기 경사지면에 매설되는 지주(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블럭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관통공(15)에 상기 결합되는 지주(30)를 안내하는 중공의 부쉬(2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블럭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법면블럭(10)의 양단부에 인접하는 다른 법면블럭과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턱(11)(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블럭 조립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및 부쉬는 다각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쉬는 상호 밀접되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블럭 조립체.
KR20-2004-0012336U 2004-05-03 2004-05-03 법면블럭 조립체 KR2003668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336U KR200366887Y1 (ko) 2004-05-03 2004-05-03 법면블럭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336U KR200366887Y1 (ko) 2004-05-03 2004-05-03 법면블럭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887Y1 true KR200366887Y1 (ko) 2004-11-09

Family

ID=4935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336U KR200366887Y1 (ko) 2004-05-03 2004-05-03 법면블럭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8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474B1 (ko) 2007-05-21 2007-07-30 (주)한터인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기초공사용 흙막이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474B1 (ko) 2007-05-21 2007-07-30 (주)한터인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기초공사용 흙막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236B1 (ko)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KR100627575B1 (ko) 도로용 화단 구조
KR200366887Y1 (ko) 법면블럭 조립체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100443037B1 (ko) 법면보호블록
KR20090047094A (ko) 암사면에 대한 녹화시공방법
KR100329202B1 (ko) 경사면의 식생층 조성공법 및 조성블럭
KR100807771B1 (ko) 잔디블럭 구조물
KR100224504B1 (ko) 사면토사보호 기초지반조성 블록 공법
KR102323550B1 (ko) 물 공급기능을 갖는 수목보호 조립체
KR101489443B1 (ko) 수직형 산벽 시공방법
KR200311986Y1 (ko) 식재가능한 조립식 격자블럭
KR200263943Y1 (ko) 법면보호블록
KR200459245Y1 (ko) 가로수보호판
KR100423257B1 (ko) 법면보호블록
KR200175370Y1 (ko) 잔디 블록
KR200240487Y1 (ko) 식생블럭
KR20040061220A (ko) 급경사 암비탈면의 생태사다리 녹화구조
KR20050090604A (ko)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
KR0131235B1 (ko) 폐 타이어를 이용한 법면 녹화공법
KR101843058B1 (ko) 사면 보호용 친환경 자연석블록 시공구조 및 그 자연석블록 연결방법
KR0128392Y1 (ko)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
KR200304722Y1 (ko) 도로의 친환경 가로수 보호블록
KR200287899Y1 (ko) 도로 비탈면 슬라이딩 방지용 십자용 조경블록 설치구조
KR200240486Y1 (ko) 식생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50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0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5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1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1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09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