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90604A -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 - Google Patents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604A
KR20050090604A KR1020040015762A KR20040015762A KR20050090604A KR 20050090604 A KR20050090604 A KR 20050090604A KR 1020040015762 A KR1020040015762 A KR 1020040015762A KR 20040015762 A KR20040015762 A KR 20040015762A KR 20050090604 A KR20050090604 A KR 20050090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ire mesh
wire
mesh
r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식중
Original Assignee
최식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식중 filed Critical 최식중
Priority to KR1020040015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0604A/ko
Publication of KR20050090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60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3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stone, concrete or similar ston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4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밀착되는 망사형의 철망과; 상기 철망에 복수개로 배열 안착되며 각기 그 외면에 외향으로 개방된 연결홈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호안블럭과; 일단이 상기 연결홈에 연결구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철망에 고정되어 상기 호안블럭을 고정하게 되는 연결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A CONNECTING STRUCTURE OF BLOCK FOR INCLINATION FACE}
본 발명은 하천이나 도로의 법면 등에 설치되어 이들의 유실을 방지하게 되는 호안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된 호안블럭이 유실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호안블럭들 사이 사이를 통해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그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도로 또는 도로의 법면 등지에는 장마철 등의 우기시 토사가 쉽게 유실되어지게 되며 이러한 유실지에는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블럭 등을 설치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블럭 등으로 포장하게 되면 포장후 초목 등이 성장할 수 없게 되어 그 공간만큼 자연녹지가 줄어들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포장부 배면의 지반 침하 현상 또는 토사의 변질로 생태계가 파괴되는 등의 문제점과 아울러 이에따른 보수 공사시 이들을 전부 드러내는 대규모의 공사를 요구하게 된다.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경사지를 콘크리트로 포장하지 않고 호안블럭들을 이용해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또한 호안블럭들 사이 사이를 통해 초목 등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 한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식재호안블록 및 그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0-0270156호)이 제시된 바 있다.
이는, 콘크리트 블록(1)들이 지지간(2)을 통해 공간틈새(3)를 갖도록 사각형상의 단위부재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 단위부재들의 외측 단에 행거형의 고정부(4)를 결합시켜 이 고정부(4)를 통해 또 다른 단위부재들과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단위부재는, 제조시 지지간을 형틀에 설치한 상태에서 거푸집 방식을 통해 소정의 상하 공간틈새가 복수개 형성되도록 콘크리트 블록들을 지지간과 함께 일체형으로 성형하면 되는 것이며, 설치시에는 이들 단위부재를 배열시킨 다음 단위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된 고정부를 다른 연결구를 통해 연결하여 지면에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식재호안블록은 그 제조시 다수개의 콘크리트 블록들을 지지간을 통해 규격 즉, 좌우폭이 1m 길이를 하나의 단위부재로 구성하고 또 이들 단위부재들을 별도의 연결구를 통해 연결 조립하게 되는 것으로 그 제조가 어렵고 공간틈새가 적으며 무게 또한 무거워 운반 및 설치시 중장비가 동원되어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힘든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망사형의 철망과 연결 와이어를 통해 호안블럭이 토사의 유실이 우려되는 부분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들 사이를 통해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호안블럭들을 통해 다양한 문양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밀착되어 복수개의 앵커핀을 통해 면밀착 결합되는 망사형의 철망과; 상기 철망에 복수개로 배열 안착되며 각기 그 외면에 외향으로 개방된 연결홈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호안블럭과; 일단이 상기 연결홈에 연결구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철망에 고정되어 상기 호안블럭을 고정하게 되는 연결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지면에 밀착되어 복수개의 앵커핀을 통해 면밀착 결합되는 망사형의 철망과; 상기 철망에 복수개로 배열 안착되며 각기 그 외면에 외향으로 개방된 연통홀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호안블럭과; 상기 철망과 상기 철망위에 배열되는 호안블럭들의 연통홀을 연속 반복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철망에 상기 호안블럭을 고정하게 되는 연결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호안블럭은, 중실형 콘크리트부재로 그 상면에 호형의 융기부를 형성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의 도시에 의하여, 본 발명은 수평 또는 경사지의 지면에 밀착 고정되는 망사형의 철망(100)과, 상기 철망(100)에 복수개로 배열 안착되며 각기 그 외면에 외향으로 개방된 연결홈(210)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호안블럭(200)과, 일단이 상기 연결홈(210)에 연결구(220)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철망(100)에 고정되어 상기 호안블럭(200)을 각기 고정하게 되는 연결 와이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철망(100)은, 공지의 구조로 철사들의 위사와 경사 방향의 교차 조립에 의해 그 표면에 복수개의 사각형상 홀(110)이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철망(100)은 유실지의 표면에 복수개의 앵커핀(400)을 통해 면밀착 고정된다.
상기 앵커핀(400)은, 상단에 상기 철망(100)의 라인 또는 교차부분에 걸림될 수 있도록 절곡된 고정부(410)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410)의 때려박음을 통해 유실지에 철망(100)이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호안블럭(200)은, 거푸집을 통해 형성되는 중실형의 콘크리트부재로 다양한 형상을 가지며 제조된다. 그리고 그 외측에는 둘레를 따라 외향으로 개방된 소정깊이의 연결홈(210)이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연결 와이어(300)는, 공지와 같이 철사들이 꼬여셔 이루어진 와이어이며, 그 일단이 공지의 연결구(220)를 통해 상기 호안블럭(200)의 연결홈(210)에 끼워져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호안블럭(200)은, 자연석이 적용되어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도 무방하지만, 양산이 가능한 동일 형상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할 것이며, 또한 그 상면에는 호형의 융기부를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구(220)는, 공지의 기술요소로서 상기 연결 와이어(300)의 단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호안블럭(200)의 연결홈(210)에 끼움되어 상기 연결 와이어(300)가 호안블럭(200)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은, 제조시에는 호안블럭(200)과 소정면적의 철망(100) 및 연결 와이어(300)가 각기 별도로 제조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고, 설치 작업시에는 먼저 소정면적을 갖는 철망(100)을 유실지의 표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되 이들이 서로 U 볼트 등으로 연결되도록 한 후, 상기 철망(100)이 지면에 안정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앵커핀(400)을 통해 밀착 결합시킨다. 그런다음 상기 철망(100)의 표면에 상기 호안블럭(200)들을 작업조건 및 환경조건에 따라 배열시키고 연속해서 연결 와이어(300)의 일단을 상기 호안블럭(200)의 연결홈(210)과 연결구(220)를 통해 끼움 고정시키되 그 타단을 상기 철망(100)에 연결시키면 상기 호안블럭(200)들이 유실지의 표면에 안정되게 배열 고정되게 된다. 이후, 상기 호안블럭(2000과 호안블럭(200)의 틈새에 흙을 채움시키면 작업이 완료되고, 초목 등은 상기 철망(100)의 틈새와 호안블럭(200)과 호안블럭(2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성장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럭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호안블럭(200)에 형성된 연결홈이, 상기 연결 와이어(300)가 통과되어 그 양단이 각기 철망(100)에 고정 및 또 다른 호안블럭(200)을 연속해서 반복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연통홀(260)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는, 설치작업시 유실지 부분에 철망(100)을 설치한 다음 호안블럭(200)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킨 후 상기 연통홀(260)에 연결 와이어(300)가 통과되도록 한 다음 그 양단을 상기 철망(100)에 고정시키면 되고, 또한 상기 연결 와이어(300)의 일단을 먼저 철망(10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연결 와이어(300)의 타단이 배열된 상기 호안블럭(200)의 연통홀(260)을 통과한 다음 연속해서 철망(100)을 통과하고 다시 배열된 다른 호안블럭(200)의 연통홀(260)을 연속 반복적으로 통과하면서 고정되도록 하면 그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은, 지면에 망사형의 철망을 설치하고 이 철망위에 호안블럭을 배열시킨 다음 이들을 연결 와이어로 연결 고정시키도록 하므로써 호안블럭이 토사의 유실이 우려되는 부분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이들 호안블럭들 사이 사이를 통해 식물이 성장할 수 있음은 물론 호안블럭들의 다양한 배열을 통해 다양한 문양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말해, 별도로 제작된 철망과 호안블럭 및 연결 와이어로만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그 단가가 비교적 적게 소요되는 효과가 있고, 둘째로 호안블럭을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어 이를 통해 다양한 문양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셋째로 호안블럭의 연결시 유속을 고려하여 십자형태 또는 일자형태로 대응하여 배열시킬 수 있고, 넷째로 호안블럭에 연결홀만을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또는 자연석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섯째로 호안블럭 설치 구간에 따른 유속 및 예산을 고려하여 단위면적당 설치되는 호안블럭의 갯수를 조정할 수 있고, 여섯째로 호안블럭이 설치되지 않은 부분은 토양이 직접 대기와 접하고 식물이 식재되어 경관이 좋은 친환경적인 호안으로 하천 환경 복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호안블럭의 조립 구조를 보인 요부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철망
200: 호안블럭 210: 연결홈
260: 연통홀
300: 연결 와이어
400: 앵커핀

Claims (3)

  1. 지면에 밀착되어 복수개의 앵커핀을 통해 면밀착 결합되는 망사형의 철망과;
    상기 철망에 복수개로 배열 안착되며 각기 그 외면에 외향으로 개방된 연결홈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호안블럭과;
    일단이 상기 연결홈에 연결구를 통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철망에 고정되어 상기 호안블럭을 고정하게 되는 연결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
  2. 지면에 밀착되어 복수개의 앵커핀을 통해 면밀착 결합되는 망사형의 철망과;
    상기 철망에 복수개로 배열 안착되며 각기 그 외면에 외향으로 개방된 연통홀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호안블럭과;
    상기 철망과 상기 철망위에 배열되는 호안블럭들의 연통홀을 연속 반복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철망에 상기 호안블럭을 고정하게 되는 연결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안블럭은, 중실형 콘크리트부재로 상면에 융기부를 형성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
KR1020040015762A 2004-03-09 2004-03-09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 Ceased KR20050090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762A KR20050090604A (ko) 2004-03-09 2004-03-09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762A KR20050090604A (ko) 2004-03-09 2004-03-09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458U Division KR200352919Y1 (ko) 2004-03-10 2004-03-10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604A true KR20050090604A (ko) 2005-09-14

Family

ID=37272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762A Ceased KR20050090604A (ko) 2004-03-09 2004-03-09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060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693B1 (ko) * 2006-01-26 2007-05-21 (주)리버앤텍 시공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축물
KR100795040B1 (ko) * 2007-11-16 2008-01-16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자연석이 설치된 락매트의 고정장치
KR100822909B1 (ko) * 2007-05-07 2008-04-16 제이비아이 주식회사 황토호안블럭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34148B1 (ko) * 2010-08-25 2011-05-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생물의 수변 이동로 확보 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693B1 (ko) * 2006-01-26 2007-05-21 (주)리버앤텍 시공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축물
KR100822909B1 (ko) * 2007-05-07 2008-04-16 제이비아이 주식회사 황토호안블럭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95040B1 (ko) * 2007-11-16 2008-01-16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자연석이 설치된 락매트의 고정장치
KR101034148B1 (ko) * 2010-08-25 2011-05-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생물의 수변 이동로 확보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6619B2 (en) Protective wall assembly
KR101055635B1 (ko) 사면보호용 비오스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81708B1 (ko) 식생용 옹벽블럭
KR100657181B1 (ko) 하천제방사면 보호를 위한 결속블록 설치구조
KR100899037B1 (ko) 블록 조립체
KR20050090604A (ko)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
KR200352919Y1 (ko) 호안블럭의 결합 구조물
KR100956411B1 (ko) 조립식 식생블럭
KR100329202B1 (ko) 경사면의 식생층 조성공법 및 조성블럭
KR200311986Y1 (ko) 식재가능한 조립식 격자블럭
KR100445216B1 (ko) 식생 호안블록
KR100461664B1 (ko) 식생 호안블록의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KR200263943Y1 (ko) 법면보호블록
KR100671791B1 (ko)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KR200287899Y1 (ko) 도로 비탈면 슬라이딩 방지용 십자용 조경블록 설치구조
KR101843058B1 (ko) 사면 보호용 친환경 자연석블록 시공구조 및 그 자연석블록 연결방법
KR100650516B1 (ko) 토사유실 방지용 호안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200327410Y1 (ko) 호안블록의 체결장치
KR20050077980A (ko) 호안블록 및 블록의 시공방법
KR200344553Y1 (ko) 호안 블록
KR200406758Y1 (ko) 변화형 친환경 블록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0366887Y1 (ko) 법면블럭 조립체
KR102299844B1 (ko) 구조적 기능을 갖는 스톤네트 생태 보
KR200352991Y1 (ko) 사면 보호용 식생 호안 블럭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9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4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