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24504B1 - 사면토사보호 기초지반조성 블록 공법 - Google Patents

사면토사보호 기초지반조성 블록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504B1
KR100224504B1 KR1019970000154A KR19970000154A KR100224504B1 KR 100224504 B1 KR100224504 B1 KR 100224504B1 KR 1019970000154 A KR1019970000154 A KR 1019970000154A KR 19970000154 A KR19970000154 A KR 19970000154A KR 100224504 B1 KR100224504 B1 KR 100224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protection block
block
vegetation
prot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268A (ko
Inventor
민윤기
Original Assignee
민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윤기 filed Critical 민윤기
Priority to KR1019970000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504B1/ko
Publication of KR19980065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50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9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1PP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절개된 경사면의 환경보호 및 미관보호를 위해 잔디를 식생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연결플레이트로 복수개의 토사보호블록을 조립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연결플레이트를 암반층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토사보호블록의 가장자리에 식생토보다 무거운 재질로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토사보호블록에 식생토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토사보호블록에 잔디보호블록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사면토사보호 기초지반조성 블록 공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사면토사보호 기초지반조성 블록 공법
본 발명은 절개지면에 수목이나 식물 또는 잔디가 식생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식생층을 형성하기 위한 기초지반 조성공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훼손된 자연환경으로서 노출된 절, 성토부에 별도의 식생층을 형성하여 부식이나 풍화작용을 억제하고, 식물이 자라서 비탈면 붕괴나 낙석 또는 토사유실을 막아주고 과다한 수분증발을 억제하며,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식생층을 형성하기 위한 기초지반 조성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외적으로는 기초지반 조성 표면부분에 외상을 입지 않도록 하고, 사면의 표면안정이나 식생층 보호를 위하여 잔디보호규문틀(블록)을 조립 설치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공사에서는 토목공사나 조경공사에서 절개지부의 원지반상에 별도의 식생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혼합된 토사를 고압으로 뿜어 붙여 식생층을 형성하고 토사의 유실이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재의 블록이나 콘크리트 블록을 조립하여 사면의 집중하중을 방지하고 있으며, 때로는 낙석을 방지하기 위해서 합성수지망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사면에 잔디를 입히기 위해서 토사를 정리하여 다져 놓은 후 마대 혹은 비닐을 표면에 덮어 비나 바람에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종래에는 주로 내부에 잔디 식생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구조물의 호안블록을 설치하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의 합성수지 토사보호블록을 설치하여 내부에 흙을 채우고 잔디를 적당히 배분하고 표면의 녹화와 토사유실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공법은 표면의 수분이 잘 증발되어 잔디이식 피해가 심하고, 토사유실(쇠골현상)이 심하여 미관상 보기 싫으며, 폭우나 우수에 의한 피해의 정도가 심하였다. 그리고 시공상의 하자 등으로 인하여 미관이나 경관에 좋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암반층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생층을 형성하여 식물의 뿌리가 원지반에 활착할때까지 사면 식생층을 보호하는 기능과 사면보호블록은 블록 내의 식생층을 보호하고, 플라스틱으로 토사보호 블록을 조립하는 공법 즉 암반층 식생층 기초지반 조성공법이 제시되었으나, 무게가 가벼워 사면의 토사를 보호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암반층 비탈면에 식생층을 형성하고 표면을 평탄하게 정리하여 식생층 붕괴나 유실이 없도록 견고히 하고, 식물의 뿌리가 잘 활착하여 사면을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하는 공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법에 사용되는 블록들과 연결플레이트가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토사보호블록 2 : 잔디보호블록
8 : 연결플레이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개된 암반층에 토사보호블록을 비탈면 경사에 맞도록 조립고정하는 기초지반 조성단계와, 상기 조립고정된 토사보호블록 내에 식생토를 충진하고 블록이 움직이지 않도록 다지는 식생토 충진단계와, 상기 토사블록내의 사각둘레 고정홀에 잔디보호블록 고정홀과 맞추어 조립하여 고정시키고, 잔디보호블록 가운데 고정홀부분에 지면(토사)이 밀착 고정되도록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생층 기초지반 조성공법을 제공한다.
상기 각 단계에서 블록을 고정하는 방법은 앙카나 못 등을 사용하고 식생토를 충진하는 단계에서는 블록의 상단까지 충진하는 것이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쳐 조성한 기초지반 조성공법은 시공 이 극히 간편할 뿐만 아니라, 표면토사 집중하중을 여러군데로 분산시키며 비탈면 토사 붕괴나, 토사유실을 방지하고 비탈면 표면에서 아래로 향한 집단하중운동을 외적구조물인 잔디보호블록과 내적구조물인 토사보호블록으로 전달하여 정지시키고, 비탈면 토사 연약지반이나 절개면 암반층 낙석방지 또는 식생토 기초지반층을 보호 조성하고 표면에 잔디보호블록으로 조립시공한다면 잔디의 뗏장기근이나 잔디의 뿌리가 빨리 비탈면 원지반에 활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법에 사용되는 블록들과 연결플레이트가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로서, 본 공법에는 사면 토사블록(1)과 잔디보호블록(2)과 상기 사면 토사보호블록(1)을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8)로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 블록(1), (2) 및 연결플레이트(8)는 기본적으로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계통의 플라스틱으로 만든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공법은 기본적으로 토사보호블록(1)위에 잔디보호블록(2)이 겹쳐져 고정되는 구조를 이룬다.
그런데 사면 토사블록(1)의 사이즈가 경사면의 면적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복수개의 사면 토사보호블록(1)을 채택하여야 하고, 이때 상기 사면 토사블록(1)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플레이트(8)가 토사보호블록(1)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형상으로 여러 가지를 설계할 수 있고 연결플레이트가 여러개의 블록을 연결할 수도 있으나, 가장 효과적으로는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블록을 연결하는 것이 기하학적으로 타당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플레이트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4각형을 이루는 배열로 4개의 연결봉(18)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연결플레이트(8)의 가운데는 연결플레이트(8)를 암반층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28)이 형성되어 고정용 앙카(38) 또는 못으로 연결플레이트(8)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연결플레이트(8)에 의해 연결되는 토사보호블록(1)은 사각형으로 각 모서리에는 상기 연결플레이트(8)의 연결봉(18)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연결봉(18)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홀(1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의 가장자리에는 일정폭을 가진 망(21)이 형성되어 있고 가운데에는 잔디보호블록(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플레이트(31)가 측벽으로부터 연장된 부재(41)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망(21)은 혼합토 및 무게 나가는 콘크리트 또는 가공된 석재로서 토사보호블록(1)에 무게를 실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으로 망(21)을 대신하여 판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암반층과의 결합정도를 고려할 경우 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31)는 앙카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플라스틱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목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진 연결플레이트(8)와 토사보호블록(1)의 결합체를 고정 못이나 고정앙카(38)로 암반층에 고정한 후, 혼합토 또는 무게나가는 콘크리트 또는 가공된 석재를 상기 토사보호블록(1)의 망(21)에 충진하고, 여타부분 즉 토사보호블록(1)의 가운데 부분은 식생토로서 상단까지 충진한다.
이때 절개된 경사면이 고르지 못하므로서 식생토를 충진할 때 복수개의 토사보호블록의 상단이 전반적으로 평탄하게 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토사보호블록(1)의 각 고정홀(11)에 연필이나 볼펜같은 형상의 핀(41)을 꽂고 이 핀(41)은 상기 토사보호블록(1)의 고정홀(11)에 모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고정홀(11)의 바깥쪽으로 일부가 남아 있게 된다.
한편, 잔디보호블록(2)은 잔디를 위한 망(12)과 가운데 잔디보호블록 앙카홀 (22)과 각 모서리에 고정홀(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홀(32)의 직경은 상기 토사보호블록(1)의 고정홀(11)과 비슷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진 잔디보호블록(2)을 식생토로 충진된 토사보호블록(1)의 상단에 올린다. 이때 토사보호블록(1)의 고정홀(11)에 삽입되어 일부가 튀어나온 핀(41)에 상기 잔디보호블록(2)의 고정홀(32)이 끼워지도록 한다. 이렇게 위치가 고정된 잔디보호블록(2)을 완전히 고정하기 위하여 앙카(42) 또는 힐티(HILTIE)등으로 앙카홀(22)에 힘있게 박아 넣는다.
이때 앙카(42)는 토사보호블록(1)의 고정플레이트(31)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잔디보호블록(2)을 토사보호블록(1)에 고정하게 된다.
제2도는 제1도의 I-I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공법에 의한 결합관계를 잘 나타내고 있다. 즉, 연결플레이트(8)는 앙카(38)로 암반층에 고정되고, 연결플레이트(8)와 토사보호블록(1)은 연결봉(18)과 고정홀(11)의 조립에 의해 고정되고, 토사보호블록(1)과 잔디보호블록(2)은 핀(41)에 의해 위치고정된 후에 앙카(42)에 의해 완전고정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생토 기초지반 조성공법은 조립이 간단하고, 또한 각 블록과 연결플레이트가 플라스틱으로 사출가공되므로 제조 또한 간단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등을 토사보호블록에 충진함으로써, 플라스틱재질로 인하여 블록들이 가벼워서 아래로 흘러내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암반층 식생토 기초지반 조성공법은 기존의 녹생토 공법이나 넷트공법 보다도 더 식생층 토사를 보호해 주는데 용이하며, 풍화작용억제 및 수분증발 억제 또는 토사유실이나 사면 붕괴 억제에 효과적인 공법이다.

Claims (3)

  1. 하나의 연결플레이트로 복수개의 토사보호블록을 조립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연결플레이트를 암반층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토사보호블록의 가장자리에 식생토보다 무거운 재질로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토사보호블록에 식생토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토사보호블록에 잔디보호블록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사면토사보호 기초지반조성 블록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보호블록과 잔디보호블록과 연결플레이트는 플라스틱 재질인 사면토사보호 기초지반조성 블록 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토보다 무거운 재질은 석재인 사면 토사보호 기초지반 조성 블록 공법.
KR1019970000154A 1997-01-07 1997-01-07 사면토사보호 기초지반조성 블록 공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24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154A KR100224504B1 (ko) 1997-01-07 1997-01-07 사면토사보호 기초지반조성 블록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154A KR100224504B1 (ko) 1997-01-07 1997-01-07 사면토사보호 기초지반조성 블록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268A KR19980065268A (ko) 1998-10-15
KR100224504B1 true KR100224504B1 (ko) 1999-10-15

Family

ID=1949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154A Expired - Fee Related KR100224504B1 (ko) 1997-01-07 1997-01-07 사면토사보호 기초지반조성 블록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5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7249A (zh) * 2011-05-27 2012-11-28 魏建 导流式防沙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882B1 (ko) * 1999-06-17 2002-03-02 홍인건설(주) 식생이 가능한 조경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KR20020065684A (ko) * 2001-02-07 2002-08-14 신천희 친환경적 식생블럭
KR100423257B1 (ko) * 2001-11-12 2004-03-24 윤성호 법면보호블록
KR100433496B1 (ko) * 2001-11-30 2004-06-07 윤성호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100671796B1 (ko) * 2006-03-01 2007-01-19 이예순 식생블럭 조립체
KR100748936B1 (ko) * 2006-09-02 2007-08-13 (주)자연과학 식생블럭 조립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7249A (zh) * 2011-05-27 2012-11-28 魏建 导流式防沙网
CN102797249B (zh) * 2011-05-27 2014-09-03 魏建 导流式防沙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268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248B1 (ko) 사면보호용 스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224504B1 (ko) 사면토사보호 기초지반조성 블록 공법
CN211228360U (zh) 一种水土保持用生态护坡
KR100935176B1 (ko) 도로사면 보호용 친환경 식생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99037B1 (ko) 블록 조립체
JPH1132568A (ja) 乾燥地・沙漠地における緑化方法
KR100329202B1 (ko) 경사면의 식생층 조성공법 및 조성블럭
KR200175370Y1 (ko) 잔디 블록
KR20070033302A (ko) 식생형 호안구조
KR100592402B1 (ko) 녹화공법 및 그 구조
KR100466007B1 (ko) 녹화토를 이용한 돌망태
JP2756095B2 (ja) 植物成長抑制マットと該マットを利用する緑化工法
KR100671902B1 (ko)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JP3053981B2 (ja) 植生基盤造成工法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101104956B1 (ko) 식생블록
CN220571091U (zh) 一种用于隧道口坡体绿化结构
CN111719569A (zh) 一种生态边坡防护结构及方法
KR100547476B1 (ko) 인장재와 뿌리식물에 의한 성토사면에서의 식생지반보강공법
KR0128392Y1 (ko) 속성녹화 잔디 보호 블록
CN213062053U (zh) 一种提高边坡植物稳固性的种植装置
KR100965294B1 (ko) 비탈면 보호용 역삼각 원주목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341390Y1 (ko) 녹화구조
KR100892080B1 (ko) 식생 가능한 사면 보호공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구조물 및 시공 방법
JPS6282122A (ja) 硬岩法面における緑化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1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7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