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23257B1 - 법면보호블록 - Google Patents

법면보호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257B1
KR100423257B1 KR10-2001-0070175A KR20010070175A KR100423257B1 KR 100423257 B1 KR100423257 B1 KR 100423257B1 KR 20010070175 A KR20010070175 A KR 20010070175A KR 100423257 B1 KR100423257 B1 KR 100423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vegetation
outer frame
frame
fi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9207A (ko
Inventor
윤성호
Original Assignee
윤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호 filed Critical 윤성호
Priority to KR10-2001-0070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257B1/ko
Publication of KR20030039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25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1Ground anchors driven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연약한 법면상에 설치되는 법면보호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곽프레임과 커버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법면보호구조물을 배수로를 구비하는 블록간의 조립식 결합에 의하여 형성시키고, 상기 프레임을 이루는 각 블록의 사이에는 식생시트를 구비하는 식생블록을 조립식으로 고정시키므로서, 우수한 보호기능을 가지는 법면구조물을 빠르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우천시 발생하는 토사유실을 최소화하여 법면의 표면붕괴를 사전에 차단하며, 초본식물의 식생토 취부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취부된 식생토가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하여 법면의 조기녹화를 이루어 낼 수 있도록 한 법면보호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은,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연약한 법면(1)상에 설치되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법면(1)의 녹화를 가능하게 한 것에 있어서,상기 법면(1)의 가장자리측에는 모서리블록(21)과, 상기 모서리블록(21)의 일측에 끼움 고정되는 이음블록(22)과, 상기 모서리블록(21)과 이음블록(22)의 타측에 끼움 고정되는 테두리블록(23)(24)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형태의 외곽프레임(20)이 앵커볼트(11)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는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32)을 격자형태로 끼움 고정시킨 커버프레임(30)이 체결볼트(12)와 앵커볼트(11)에 의하여 외곽프레임(20)의 내측면과 법면(1)상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각블록(21~24)(31~32)의 사이에는 테두리부(40b)의 내측에 식생시트(40a)가 일체로 형성된 식생블록(40)이 끼움결합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법면보호블록{A slope cover block}
본 발명은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연약한 법면상에 설치되는 법면보호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곽프레임과 커버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법면보호구조물을 배수로를 구비하는 블록간의 조립식 결합에 의하여 형성시키고, 상기 프레임을 이루는 각 블록의 사이에는 식생시트를 구비하는 식생블록을 조립식으로 고정시키므로서, 우수한 보호기능을 가지는 법면구조물을 빠르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우천시 발생하는 토사유실을 최소화하여 법면의 표면붕괴를 사전에 차단하며, 초본식물의 식생토 취부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취부된 식생토가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하여 법면의 조기녹화를 이루어 낼 수 있도록 한 법면보호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우나 홍수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산비탈이나 언덕의 경사면이 일부 훼손된 경우에는 훼손된 경사면을 일정량만큼 깍아내고 그 부분에 토사를 메워서 새로운 법면(경사면)을 조성하게 되고,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에 도로나 철도 등을 새로이 개설할 경우에는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을 일정량만큼 깍아내어 개설면을 평지화시킨 다음 나머지 부분을 새로운 법면으로 조성하게 되며, 하천의 범람방지와 수자원의 이용을 위하여 하천이나 호수의 부근에 조성된 둑이나 제방 또한 토사의 성토로 인한 법면이 조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토사를 깍아내거나 메워서 새로운 지형으로 조성한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연약한 법면을 나대지로 방치할 경우에는, 폭우나 홍수등과 같은 여러 가지 자연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법면의 토사가 쉽게 유실되므로서 번번히 법면의 복구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나대지 상태의 법면 표면이 붕괴되어 인명과 재산피해를 유발시킬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법면상에 별도의 보호구조물을 설치한 다음 법면을 녹화시키므로서 법면의 표면붕괴를 사전에 차단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법면보호공법으로는 토사가 성토된 법면상에 격자 형태로 연결되는 콘크리트 블록을 보호구조물로서 설치하고, 이와 같이 설치된 각 콘크리트 블록의 내부에 잔디와 같은 초본식물을 심어 생육시키므로서 법면을 녹화시키도록 한 콘크리트 격자공법과, 법면상에 녹화시트와 같은 부직포를 덮어서 설치한 다음, 이와 같이 설치된 부직포의 상면에 그물 형태의 네트(Net)를 깔아서 법면을 일차적으로 보호시키고, 상기 네트의 상면에 잔디육성묘판을 앵커나 못으로 고정시키므로서 묘판에서 생육되는 잔디에 의하여 법면을 녹화시키도록 한 잔디묘판공법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법면보호공법 중에서 전자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격자공법은, 콘크리트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면서 법면상에 콘크리트 블록을 격자 형태로 타설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격자 형태로 타설된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되어 굳어지기까지 빗물에 의한 표면유실, 하중이나 충격에 의한 콘크리트의 오손 및 파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매우 엄격하게 보호,관리하여야 하므로서, 콘크리트 블록의 설치 및 유지관리에 매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법면상에 직접 타설하지 않고, "K-블록"이라 불리우는 격자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여 이를 법면상에 설치하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 또한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블록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운반시 물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 설치시에도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가 동원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법면을 따라 설치된 콘크리트 블록의 무게에 의하여 법면 하단부에 설치된 하나의 콘크리트 블록이 무너져 내리게 되면, 그 주변의 다른 콘크리트 블록까지 같이 무너져 내리게 되므로서 시공성과 안전성의 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시공 후에는 법면의 녹화를 위하여 콘크리트 블록의 사이에 잔디를 식재시켜야 하는 데, 이와 같이 식재되는 잔디는 재배지에서 인력에 의한 떼뜨기 작업을 하여 현장까지 운반시킨 다음 법면상에 일일이 인력으로 도포시켜야 하므로서, 잔디의 재배와 운반에 소요되는 비용 및 잔디의 떼뜨기와식재에 소요되는 인건비에 의하여 법면의 녹화에 매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우천시 콘크리트 블록을 따라 흐르는 빗물에 의하여 잔디를 지지하여야 할 토사가 매우 쉽게 유실되므로서 수시로 이에 대한 하자보수작업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법면의 안정된 녹화가 상당한 기간동안 지연되고, 법면의 외부로 노출되는 콘크리트 블록에 의하여 자연의 전체적인 경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법면보강공법 중에서 후자에 해당하는 잔디묘판공법은, 잔디묘판 자체가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잔디묘판을 법면상에 고정하는 작업을 거의 인력에 의존하여야 하므로서, 법면보호체인 부직포와 네트의 설치비용과 함께 법면의 녹화에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잔디묘판의 케이스는 얇은 플라스틱 재질로 되는 데 반하여, 잔디묘판의 내부에는 약 5cm 두께의 토사와 2cm 두께의 식생토 및 잔디가 저장되어 그 무게가 매우 무겁기 때문에, 잔디묘판의 안전한 운반과 취급이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법면의 하단부측에 고정되는 잔디묘판이 그 상부의 잔디묘판 무게에 의하여 쉽게 찌그러지는 것과 같이, 소요비용의 관점에서 그 시공성이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적용되는 예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은 외곽프레임과 커버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법면보호구조물을 배수로를 구비하는 블록간의 조립식 결합에 의하여 형성시키고, 상기 프레임을 이루는 각 블록의 사이에는 식생시트를 구비하는 식생블록을 조립식으로 고정시키므로서, 우수한 보호기능을 가지는 법면구조물을 빠르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우천시 발생하는 토사유실을 최소화하여 법면의 표면붕괴를 사전에 차단하며, 초본식물의 식생토 취부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취부된 식생토가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하여 법면의 조기녹화를 이루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연약한 법면상에 설치되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법면의 녹화를 가능하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법면의 가장자리측에는 모서리블록과, 상기 모서리블록의 일측에 끼움 고정되는 이음블록과, 상기 모서리블록과 이음블록의 타측에 끼움 고정되는 테두리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형태의 외곽프레임이 앵커볼트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부에는 십자형블록과 일자형블록을 격자형태로 끼움 고정시킨 커버프레임이 체결볼트와 앵커볼트에 의하여 외곽프레임의 내측면과 법면상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과 커버프레임을 이루는 각 블록의 사이에는 테두리부의 내측에 식생시트가 일체로 형성된 식생블록이 끼움결합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곽프레임의 각 블록은 배수로를 이루는 몸체의 양측에 끼움홈과 끼움단부가 각각 단지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전,후방측에는 식생블록의 고정을 위한 끼움부와 커버프레임의 고정을 위한 절개부 및 받침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프레임의 각 블록은 배수로를 이루는 몸체의 단부(斷部)에 연결홈과 연결단부가 각각 단지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식생블록의 고정을 위한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식생블록의 식생시트 상면에는 십자형의 보강살이 테두리부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외곽프레임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커버프레임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커버프레임에 사용되는 일자형 블록의 사시도.
도 6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외곽프레임과 커버프레임의 연결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평면도.
도 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식생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법면 2 : 초본식물 10 : 법면보호블록
11 : 앵커볼트 12 : 체결볼트 20 : 외곽프레임
21 : 모서리블록 22 : 이음블록 23 : A형 테두리블록
24 : B형 테두리블록 30 : 커버프레임 31 : 십자형블록
32 : 일자형블록 40 : 식생블록 40a : 식생시트
40b : 테두리부 41 : 보강살 41a : 앵커공
210, 220, 230, 240 : 몸체 211, 231 : 끼움홈
221, 241 : 끼움단부 212, 222, 232, 242 : 끼움부
213, 233, 243 : 절개부 214, 224, 234, 244 : 받침부
310, 320 : 몸체 311 : 연결홈 312, 321 : 연결단부
313 : 연장부 314, 322 : 끼움부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외곽프레임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커버프레임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커버프레임에 사용되는 일자형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6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외곽프레임과 커버프레임의 연결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평면도이며, 도 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의 식생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법면(1) 가장자리측에서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1)에 고정 설치되는 사각형태의 외곽프레임(20)과, 상기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서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1)상에 고정 설치되는 격자형태의 커버프레임(30)과,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서 각 프레임(20)(30)의 사이에 삽입되는 식생블록(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외곽프레임(20)은 몸체를 관통하는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1)에 고정되는 4개의 모서리블록(21)과, 상기 모서리블록(21)의 일측에서 모서리블록(21)에 끼움 결합되고 몸체를 관통하는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1)에 고정되는 이음블록(22)과, 상기 모서리블록(21)과 이음블록(22)의 타측에 끼움 결합되고 몸체를 관통하는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1)에 고정되는 테두리블록(23)(24)에 의하여 사각형태의 구도로 형성되며, 상기한 각 블록(21~24)의 양측단이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인접한 다른 블록(21~24)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서 하나의 일체화 된 프레임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커버프레임(30)은 몸체를 관통하는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1)에 고정되는 다수 개의 십자형블록(31)과, 상기 십자형블록(31)의 머리부에서 십자형블록(31)에 끼움 결합되는 일자형블록(32)에 의하여 상기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서 법면(1)을 덮게 되는 격자 형태의 구도로 형성되며, 상기한 각 블록(31)(32)의 연결부가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인접한 다른 블록(31)(32)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서 하나의 일체화 된 프레임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곽프레임(20)의 내측면과 맞닿게 되는 커버프레임(30)의 각 블록(31)(32)은 그 일측단이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외곽프레임(20)측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서,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 또한 하나의 일체화 된 프레임을 이루게 되며,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각 또는 삼각형태의 공간에는 식생시트(40a)를 구비하는 식생블록(40)이 상기한 각 블록(21~24)(31~32)의 내측면 사이에 끼움 결합되므로서 본 발명에의한 법면보호블록(10)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 및 식생블록(40)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에서 상기 외곽프레임(20)을 구성하는 각 블록(21~24)에 대한 세부적인 구조를 도 3의 분해사시도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의 외곽프레임(20)을 구성하는 모서리블록(21)은 도 3의 중앙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ㄷ"형상으로 절곡되어 배수로를 이루는 플라스틱 재질의 몸체(210)를 가지며, 상기의 몸체(210)가 모서리 형상에 맞도록 "ㄴ"형태로 절곡되어 그 절곡부에 상기 커버프레임(30)의 각 블록(31)(32) 일측단이 지지되는 절개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210)의 내측면에는 앵커볼트(11)가 관통되는 앵커공(215)이 형성되고, 몸체(210)의 양측에는 끼움홈(211)이 몸체(210)의 내측으로 단지게 형성되어 그 중앙부에 체결볼트(12)의 체결공(21a)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210)의 전방 상측에는 식생블록(40)의 끼움결합을 위한 한 쌍의 끼움부(212)가 돌출 형성되고, 몸체(210)의 후방측에는 모서리블록(21)을 법면(1)상에 지지시키기 위한 받침부(214)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214)에는 커버프레임(30)의 각 블록(31)(32) 일측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공(21b)이 절개부(213)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모서리블록(21)은 도 1상에서 외곽프레임(20)의 좌측하단 모서리 부분과 우측상단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모서리블록(21)과 좌,우로 대칭되는 또 다른 하나의 모서리블록(21)이 도 1상에서 외곽프레임(20)의 좌측상단 모서리 부분과 우측하단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한 모서리블록(21)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모서리블록(21)과 좌,우의 위치가 바뀌는 것을 제외하고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므로 이를 별도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외곽프레임(20)을 구성하는 이음블록(22)은 도 3의 상단좌측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ㄷ"형상으로 절곡되어 배수로를 이루는 플라스틱 재질의 몸체(220)를 가지며, 상기 몸체(220)의 내측면 중앙부에는 앵커볼트(11)가 관통되는 도시되지 않은 앵커공이 형성되고, 몸체(220)의 상하측에는 끼움단부(221)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중앙부에 체결볼트(12)의 체결공(22a)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220)의 전방 일측에는 식생블록(40)의 끼움결합을 위한 한 쌍의 끼움부(222)가 돌출 형성되고, 몸체(220)의 후방측에는 이음블록(22)을 법면(1)상에 지지시키기 위한 받침부(2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이음블록(22)은 모서리블록(21)의 단부(短部: 짧은 부분)측에 형성된 끼움홈(211)에 끼움 결합되어 모서리블록(21)의 타측 장변부와 동일한 길이를 이루게 하므로서, 사각형태로 되는 외곽프레임(20)의 가로변과 세로변에 걸쳐 테두리블록(23)(24)을 규칙적인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하고, 이로 인하여 모서리블록(21)과 테두리블록(23)(24)에 의한 커버프레임(30)의 규칙적인 격자배열을 가능하게 하는 간격조절구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곽프레임(20)의 짧은 변을 이루는 세로변상에서 모서리블록(21)의 단부측에 끼움 결합되어 모서리블록(21)과 테두리블록(23)을 서로 연결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외곽프레임(20)을 구성하는 테두리블록(23)(24)은 도 3의 상단우측과 하단부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ㄷ"형상으로 절곡되어 배수로를 이루는 플라스틱 재질의 몸체(230) 양단에 끼움홈(231)이 내측으로 단지게 형성된 테두리블록(23, 이하, "A형 테두리블록"이라 한다)과, 상기 몸체(240)의 양단에 끼움단부(241)가 외측으로 단지게 연장 형성된 테두리블록(24, 이하, "B형 테두리블록"이라 한다)의 2가지 종류로 나뉘어지며, 각각의 끼움홈(231)과 끼움단부(241)에는 체결볼트(12)의 체결공(23a)(24a)이 형성된다.
상기한 A,B형 테두리블록(23)(24)은 몸체(230)(240)의 양단에 끼움홈(231)과 끼움단부(241)가 형성된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몸체(230)(240)의 내측에 형성된 앵커공(235)(245)과, 몸체(230)(240)의 전방 상측에 돌출 형성된 식생블록(40)의 끼움부(232)(242)와, 상기 끼움부(232)(242)의 중앙에 형성되어 커버프레임(30)의 각 블록(31)(32) 일측단이 지지되는 절개부(233)(243)와, 몸체(230)(240)의 후방측에 형성되어 각 테두리블록(23)(24)을 법면(1)상에 지지시키기 위한 받침부(234)(244)로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구조는 동일하며, 상기의 받침부(234)(244)에는 커버프레임(30)의 각 블록(31)(32)을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체결공(23b)(24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테두리블록(23)(24)은 외곽프레임(20)의 가로변과 세로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커버프레임(30)의 규칙적인 격자배열을 위하여 각 절개부(233)(243)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도록 몸체(230)(240)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도 1상에서는 A형 테두리블록(23) 1개를 세로변에, A형 테두리블록(23) 1개와 B형 테두리블록(24) 2개를 가로변에 적용시켰으나, 법면(1)의 폭과 높이에 따라 테두리블록(23)(24)의 적절한 종류와 개수를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몸체의 일측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몸체의 타측에 끼움단부가 형성된 다른 종류의 테두리블록을 제작하여 현장여건에 맞도록 적용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에서 상기의 커버프레임(30)을 구성하는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32)에 대한 세부적인 구조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의 커버프레임(30)을 구성하는 십자형블록(31)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ㄷ"형상으로 절곡되어 배수로를 이루는 플라스틱 재질의 몸체(310)가 십(十)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앵커볼트(11)가 관통되는 도시되지 않은 앵커공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310)의 머리부에는 3방향으로 연장된 각 단부(短部)의 내측으로 연결홈(311)이 단지게 형성되고, 상기 각 연결홈(311)에는 체결볼트(12)의 체결공(3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310)의 하측으로는 연장부(313)가 연장 형성되어 그 하단부에 연결단부(312)가 단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단부(312)의 중앙에는 체결볼트(12)가 관통되는 도시되지 않은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310)와 연장부(313)의 전방 외측면에는 식생블록(40)의 끼움결합을 위한 한 쌍의 끼움부(31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프레임(30)을 구성하는 일자형블록(32)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ㄷ"형상으로 절곡되어 배수로를 이루는 플라스틱 재질의 몸체(320) 양단에 연결단부(321)가 단지게 연장되어 그 중앙부에 체결볼트(12)의 체결공(32a)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320)의 전방 양측에는 식생블록(40)의 끼움결합을 위한 한 쌍의 끼움부(3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십자형블록(31)은 커버프레임(30)의 기초가 되는 구성요소로서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의 일자형블록(32)은 십자형블록(31)의 머리부에 끼움 결합되어 각 십자형블록(31)을 연결시키면서 커버프레임(30)의 규칙적인 격자배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일방향 대각선은 십자형블록(31)의 연장부(313)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대각선과 직교하는 다른 방향의 대각선은 십자형블록(31)의 머리부에 끼워지는 일자형블록(32)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한, 도 6의 (가) 및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프레임(30)이 외곽프레임(20)의 내측면에 맞닿는 부분은,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32)의 일측단에 형성된 각 연결단부(312)(321)가 모서리블록(21)과 테두리블록(23)(24)에 형성된 각 절개부(213)(233)(243) 및 받침부(214)(234)(244)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분으로서, 각 연결단부(312)(321)와 받침부(214)(234)(244)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볼트(11)와 너트(12a)를 체결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므로서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이 하나의 일체화 된 프레임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서 각 블록(21~24)(31~32)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식생블록(40)은 도 7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망형태로 형성되는 식생시트(40a)와, 상기 식생시트(40a)의 외주연에서 식생시트(40a)와 일체로 형성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테두리부(40b)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두리부(40b)의 두께에 의하여 그 내부에 식생토의 취부공간을 확보하게 되므로서 일정량의 식생토를 식생시트(40a)의 상면에 취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식생블록(4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버프레임(30)에 의하여 형성된 격자형 공간에 끼움 결합되는 사각형태의 식생블록(40)과, 커버프레임(30)과 외곽프레임(2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끼움 결합되는 삼각형태의 식생블록(40)으로 나뉘어지며, 상기의 테두리부(40b)가 각 블록(21~24)(31~32)에 형성된 끼움부(212)(222)(232)(242)(314)(322)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므로서 상기의 식생시트(40a)가 커버프레임(30)과 함께 법면(1)의 전체면을 덮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식생시트(40a)는 법면(1)의 주성분이 거친 입자의 토사로 될 경우에는 철망재질의 식생시트(40a)를 사용하고, 부드러운 입자의 토사로 될 경우에는 천 재질의 망사 표면에 부직포가 얇게 부착된 식생시트(40a)를 사용하며, 사각형태로 되는 식생블록(40)에 망사 재질의 식생시트(40a)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 7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식생시트(40a)의 보강을 위한 십자형의 보강살(41)을 식생시트(40a)의 상면에서 테두리부(40b)와 일체로 형성시키고, 상기 보강살(41)의 몸체 중앙부에는 앵커볼트(11)에 의하여 식생블록(40)을 법면(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앵커공(41a)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의 설치 및 작용관계를 도 1을 중심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각 블록(21~24)(31~32)의 조합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법면(1)의 폭과 높이, 그리고 현장여건에 따라 블록(21~24)(31~32)간의 조합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법면보호블록(10)을 설치할 법면(1)의 폭과 높이를 계산하여 법면보호블록(10)에 사용될 각 블록(21~24)(31~32)의 종류와 개수를 결정하므로서 법면보호블록(10)의 설치를 위한 설계를 완료한 다음, 이와 같이 설계된 법면보호블록(10)의 폭과 높이에 맞추어 법면(1)상에 사각형태의 기초터를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의 기초터는 외곽프레임(20)을 구성하는 각 블록(21~24)의 전체적인 두께에 해당하는 깊이만큼 인력에 의한 터파기 작업을 통하여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기초터의 각 모서리 부분에 모서리블록(21)을 설치한 다음, 외곽프레임(20)의 좌,우측 세로변에 해당하는 기초터에는 모서리블록(21)의 단부(短部)측에 형성된 끼움홈(211)에 이음블록(22)의 일측 끼움단부(221)를 끼움 결합시키고, 각각의 끼움홈(211)과 끼움단부(221)를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고정시킨 후, 이와 같이 고정된 이음블록(22)의 사이에 A형 테두리블록(23)을 삽입시켜 A형 테두리블록(23)의 양측 끼움홈(231)을 각 이음블록(22)의 타측 끼움단부(221)에 끼움 결합시키고, 각각의 끼움홈(231)과 끼움단부(221)를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고정시키게 되면, 외곽프레임(20)의 양측 세로변의 조립이 완료되며, 이와 같이 조립된 각 블록(21~23)을 앵커볼트(11)를 사용하여 법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외곽프레임(20)의 상,하측 가로변에 해당하는 기초터에는 모서리블록(21)의 장변부측에 형성된 끼움홈(211)에 B형 테두리블록(24)의 일측 끼움단부(241)를 끼움 결합시키고, 각각의 끼움홈(211)과 끼움단부(241)를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고정시킨 후, 이와 같이 고정된 B형 테두리블록(24)의 사이에 A형 테두리블록(23)을 삽입시켜 A형 테두리블록(23)의 양측 끼움홈(231)을 B형 테두리블록(24)의 타측 끼움단부(241)에 끼움 결합시키고, 각각의 끼움홈(231)과 끼움단부(241)를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고정시키게 되면, 외곽프레임(20)의 상,하측 가로변의 조립이 완료되며, 이와 같이 조립된 각 블록(23)(24)을 앵커볼트(11)를 사용하여 법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곽프레임(20)을 기초터의 가장자리 부분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한 후에는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을 설치하게 되는 데, 상기한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의 설치는 외곽프레임(20)의 내부 하측으로부터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32) 및 식생블록(40)을 외곽프레임(20)의 내부 상측으로 짜맞추어가는 식으로 설치하게 되며, 이와 같은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의 설치과정에서 상기의 기초터파기 작업를 통하여 얻은 토사를 잘 간추려 식생시트(40a)의 하측면 높이까지 토사를 뒷채움시키면서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을 설치하게 된다.
먼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곽프레임(20)의 하측 가로변상에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32) 및 식생블록(40)을 삼각형태로 짜맞추어 법면(1)의 제 1커버층를 형성시키는 것은, 외곽프레임(20)의 좌측하단 모서리에 위치하는 모서리블록(21)의 절개부(213)에 일자형블록(32)의 일측 연결단부(321)를 45°각도로 삽입시켜, 상기 모서리블록(21)의 받침부(214)와 일자형블록(32)의 연결단부(321)에 형성된 각 체결공(21b)(32a)을 체결볼트(12)와 너트(12a)를 사용하여 연결 고정시키고, 이와 같이 고정된 일자형블록(32)의 하측 끼움부(322)와, 모서리블록(21) 및 B형 테두리블록(24)의 상측 끼움부(212)(242) 사이에 삼각형태의 식생블록(40)을 끼움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자형블록(32)의 상측 연결단부(321)와 B형 테두리블록(24)의 절개부(243) 좌측에 십자형블록(31)의 연결홈(311)과 연결단부(312)를 각각 삽입시킴과 동시에 십자형블록(31)의 하측 끼움부(314)에 상기 식생블록(40)을 끼움 결합시킨 상태에서, 일자형블록(32)의 연결단부(321)와 십자형블록(31)의 연결홈(311) 및 B형 테두리블록(24)의 받침부(243)와 십자형블록(31)의 연결단부(312)를 각각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연결 고정시키게 되면, 외곽프레임(20)의 좌측 하단부에 법면(1)을 덮는 삼각형태의 커버부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조립방법으로 외곽프레임(20)의 하측 가로변을 구성하는 모서리블록(21)과 A,B형 테두리블록(23)(24)을 따라 삼각형태의 커버부를 순차적으로 조립 설치한 다음, 각 커버부의 십자형블록(31)을 앵커볼트(11)를 사용하여 법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므로서, 외곽프레임(20)의 내부 하측에 삼각 형태로 연이어지는 제 1커버층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곽프레임(20)의 내부 하측에 삼각 형태로 연이어지는 제 1커버층을 형성시킨 다음에는, 상기 제 1커버층의 상부에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32) 및 식생블록(40)을 삼각 또는 사각형태로 짜맞추어 법면(1)의 제 2커버층을 형성시키게 되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커버층에서 삼각형태로 짜맞추어지는 부분은 외곽프레임(20)의 양측 세로변에 해당되고, 사각형태로 짜맞추어지는 부분은 외곽프레임(20)의 중앙부분에 해당된다.
먼저, 외곽프레임(20)의 좌측 세로변에서 삼각형태로 짜맞추어지는 제 2커버층 부분은, 상기 제 1커버층의 일자형블록(32)과 외곽프레임(20)의 이음블록(22) 및 A형 테두리블록(23)의 각 끼움부(222)(232)(322) 사이에 삼각형태의 식생블록(40)을 끼움결합시킨 다음, 상기 A형 테두리블록(23)에 형성된 절개부(233) 하측과, 제 1커버층의 십자형블록(31) 머리부에 형성된 연결홈(311)의 사이에 일자형블록(32)의 양측 연결단부(321)를 삽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일자형블록(32)의 하측 끼움부(322)에 식생블록(40)을 끼움 결합시키고, 일자형블록(32)의 각 연결단부(321)와 십자형블록(31)의 연결홈(311) 및 A형 테두리블록(23)의 받침부(234)를 체결볼트(12)와 너트(12a)를 사용하여 연결 고정시키므로서 삼각형태의 커버부를 형성하게 되며, 외곽프레임(20)의 우측 세로변에서 삼각형태로 짜맞추어지는 제 2커버층 부분은 삼각형태의 식생블록(40)이 십자형블록(31)에 형성된 끼움부(314)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조립방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삼각형태의 커버부 사이에서 사각형태로 짜맞추어지는제 2커버층 부분은, 상기 제 1커버층을 이루는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32)의 상측 끼움부(314)(322) 사이에 사각형태의 식생블록(40)을 각각 끼움 결합시킨 다음, 제 1커버층의 십자형블록(31) 머리부에 일자형블록(32)의 일측 연결단부(321)와 십자형블록(31)의 연결단부(312)를 교대로 끼움 결합시키고, 이와 같이 끼움 결합되는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32)의 하측 끼움부(314)(322)에 상기의 식생블록(40)이 끼움 결합되도록 하면,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32) 및 식생블록(40)에 의하여 사각형태의 커버부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32) 및 식생블록(40)을 사각형태로 짜맞추게 되면, 상기 식생블록(40)의 상단 모서리부에서 일자형블록(32)의 상측 연결단부(321)와 십자형블록(31)의 머리부가 90°의 각도로 교차됨과 동시에 일자형블록(32)의 연결단부(321)가 십자형블록(31)의 머리부에 형성된 연결홈(311)에 끼움 결합되며, 이와 같이 연결되는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32)의 각 연결부를 체결볼트(12)와 너트(12a)를 사용하여 고정시킨 다음, 상기 커버부의 십자형블록(31)을 앵커볼트(11)를 사용하여 법면(1)상에 고정시키므로서 제 1커버층의 상부에 삼각형태와 사각형태로 연이어지는 제 2커버층를 형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 2커버층의 상부에는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32) 및 식생블록(40)이 사각형태로 짜맞추어진 제 3커버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 3커버층의 상부에는 제 2커버층과 동일한 형태로 짜맞추어진 제 4커버층을 형성시키며, 상기 제 4커버층의 상부와 외곽프레임(20)의 가로변 사이에는 상기 제 1커버층과 동일한 형태로 짜맞추어진 제 5커버층을 형성시키므로서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의 설치가 완료되며, 제 3 내지 제 5커버층의 조립방법은 상기에서 설명되어진 제 1, 제 2커버층의 세부적인 조립방법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되어진 방법으로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을 설치하는 것은 철망재질의 식생시트(40a)를 구비하는 식생블록(40)을 사용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철망재질의 식생시트(40a) 대신에 망사재질의 식생시트(40a)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테두리부(40b)의 내측에 형성된 보강살(41)의 중앙부에 앵커볼트(11)를 관통시키므로서 식생블록(40)을 법면상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부가적으로 수행되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은 모서리블록(21)과 이음블록(22) 및 A,B형 테두리블록(23)(24)간의 조립식 결합에 의하여 외곽프레임(20)을 형성시키고, 상기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는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32)의 조립식 결합에 의하여 커버프레임(30)을 형성시키며, 각 프레임(20)(30)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는 식생시트(40a)를 구비하는 식생블록(40)을 조립식 결합에 의하여 형성시키므로서, 커버프레임(30)과 식생시트(40a)에 의하여 우수한 법면보호기능을 가지는 구조물을 매우 빠르고 손쉽게 법면(1)상에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상기한 각각의 블록(21~24)(31~32)(40)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그 무게가 매우 가볍기 때문에 각 블록(21~24)(31~32)(40)의 운반과 취급이 용이하고, 법면보호블록의 설치시에도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가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테두리형태의 외곽프레임(20)을 앵커볼트(11)에 의하여 법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놓은 상태에서, 그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을 토사의 뒷채움과 함께 순차적으로 조립해 나가며, 이 과정에서 커버프레임(30)의 십자형블록(31)에 앵커볼트(11)를 관통시켜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 또한 법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법면보호블록(10)의 시공과정에서 각 블록(21~24)(31~32)(40)이 토사와 함께 흘러내리는 것과 같은 시공상의 문제점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시공된 법면보호블록(10)이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토사와 함께 무너져 내리는 것과 같은 안전상의 문제점 또한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10)을 법면(1)상에 견고하게 설치한 후에는, 잔디와 같은 초본식물(2)의 씨앗을 함유하는 식생토를 식생블록(40)의 식생시트(40a) 상면에 취부시키게 되는 데, 이와 같은 식생토의 취부작업을 기계에 의한 살포작업을 통하여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부된 식생토가 철망이나 망사재질의 식생시트(40a)에 의하여 그 표면에서 일정한 부착력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식생시트(40a)의 외주연에 형성된 테두리부(40b)에 의하여 식생블록(40)의 내부에서 안전하게 지지된다.
특히, 상기한 커버프레임(30)과 식생시트(40a)에 의하여 법면(1)의 표면이 완전히 덮혀져 있는 상태에서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각 블록(21~24)(31~32)이 법면보호블록(10) 전체에 걸쳐 배수로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우천시나 폭우시에도 빗물의 흐름이 상기한 배수로측으로 유도되어 법면(1)의표면으로부터 토사가 거의 유실되지 않게 되고, 상기의 식생토 또한 배수로에 의하여 식생블록(40)의 내부에서 더욱 안전하게 지지되며, 이로 인하여 식생토에 함유된 초본식물(2)의 씨앗이 매우 빠른 시간내에 자연 발아되어 법면(1)의 조기녹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발아된 초본식물(2)의 뿌리가 철망이나 망사재질로 되는 식생시트(40a)와 서로 얽히면서 식생시트(40a)의 표면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발아된 초본식물(2)이 식생블록(40)의 내부에서 이탈없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성장하는 초본식물(2)에 의하여 법면보호블록(10)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20)(30)이 완전히 가려지게 되므로서, 자연의 아름다운 경관과 전체적으로 조화를 잘 이루면서도 각종 동식물의 서식이 가능한 자연친화적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법면보호블록은, 외곽프레임과 커버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법면보호용 구조물을 배수로를 구비하는 블록간의 조립식 결합에 의하여 형성시키고, 상기 프레임을 이루는 각 블록의 사이에는 식생시트를 구비하는 식생블록을 조립식으로 고정시키므로서, 커버프레임과 식생시트에 의하여 우수한 법면보호기능을 가지는 구조물을 매우 빠르고 손쉽게 법면상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의 블록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블록의 운반과 취급이 용이하고, 법면보호블록의 설치시에도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외곽프레임을 앵커볼트에 의하여 법면상에 견고하게 고정시켜놓은 다음, 그 내부에서 커버프레임과 식생블록을 조립식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법면보호블록의 시공과정에서 각 블록이 토사와 함께 흘러내리는 것과 같은 시공상의 문제점과, 시공된 법면보호블록이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토사와 함께 무너져 내리는 것과 같은 안전상의 문제점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식생토의 취부작업을 기계에 의한 살포작업을 통하여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각 블록의 조합으로 형성된 배수로에 의하여 우천시나 폭우시에도 식생블록에 취부된 식생토와 법면의 토사 유실을 최소화시키므로서, 법면의 녹화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법면의 조기녹화를 이루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발아된 초본식물이 식생시트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초본식물의 이탈없는 성장으로 도모하므로서, 자연의 아름다운 경관과 전체적으로 조화를 잘 이루면서도 각종 동식물의 서식이 가능한 자연친화적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연약한 법면(1)상에 설치되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법면(1)의 녹화를 가능하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법면(1)의 가장자리측에는 모서리블록(21)과, 상기 모서리블록(21)의 일측에 끼움 고정되는 이음블록(22)과, 상기 모서리블록(21)과 이음블록(22)의 타측에 끼움 고정되는 테두리블록(23)(24)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형태의 외곽프레임(20)이 앵커볼트(11)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는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32)을 격자형태로 끼움 고정시킨 커버프레임(30)이 체결볼트(12)와 앵커볼트(11)에 의하여 외곽프레임(20)의 내측면과 법면(1)상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각 블록(21~24)(31~32)의 사이에는 테두리부(40b)의 내측에 식생시트(40a)가 일체로 형성된 식생블록(40)이 끼움결합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며,
    상기 외곽프레임(20)의 각 블록(21)(22)(23)(24)은 배수로를 이루는 몸체(210)(220)(230)(240)의 양측에 끼움홈(211)(231)과 끼움단부(221)(241)가 각각 단지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210)(220)(230)(240)의 전,후방측에는 식생블록(40)의 고정을 위한 끼움부(212)(222)(232)(242)와 커버프레임(30)의 고정을 위한 절개부(213)(233)(243) 및 받침부(214)(224)(234)(244)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프레임(30)의 각 블록(31)(32)은 배수로를 이루는 몸체(310)(320)의 단부(斷部)에 연결홈(311)과 연결단부(312)(321)가 각각 단지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310)(320)의 측면에는 식생블록(40)의 고정을 위한 끼움부(314)(3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보호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블록(40)의 식생시트(40a) 상면에는 십자형의 보강살(41)이 테두리부(40b)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살(41)의 중앙부에는 앵커공(4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보호블록.
KR10-2001-0070175A 2001-11-12 2001-11-12 법면보호블록 Expired - Fee Related KR100423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175A KR100423257B1 (ko) 2001-11-12 2001-11-12 법면보호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175A KR100423257B1 (ko) 2001-11-12 2001-11-12 법면보호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711U Division KR200263943Y1 (ko) 2001-11-12 2001-11-12 법면보호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207A KR20030039207A (ko) 2003-05-17
KR100423257B1 true KR100423257B1 (ko) 2004-03-24

Family

ID=2956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175A Expired - Fee Related KR100423257B1 (ko) 2001-11-12 2001-11-12 법면보호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2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037B1 (ko) * 2002-01-16 2004-08-04 윤성호 법면보호블록
CN109440789A (zh) * 2018-11-29 2019-03-08 李泽朋 高强度钢绞线螺旋网片结构的边坡治理防护装置
KR102186554B1 (ko) * 2018-12-10 2020-12-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나선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하여 식생 사면을 조성하는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058A (ko) * 1982-10-11 1984-06-11 김덕영 비탈면 보호블록의 표면수 처리공법
KR910011665A (ko) * 1989-12-06 1991-08-07 에스. 르 바게레즈 불연속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제품
KR19980065268A (ko) * 1997-01-07 1998-10-15 민윤기 사면토사보호 기초지반조성 블록 공법
KR200205811Y1 (ko) * 2000-07-21 2000-12-01 한국기술개발주식회사 절취사면의 분할 녹화 장치
KR20000074347A (ko) * 1999-05-20 2000-12-15 한남수 사면 보호용 조경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20010009377A (ko) * 1999-07-09 2001-02-05 민병창 경사면의 식생층 조성공법 및 조성블럭
KR20020039513A (ko) * 2000-11-21 2002-05-27 재 술 나 굴곡이 심한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및 그 연결구
KR20020058928A (ko) * 2000-12-30 2002-07-12 재 술 나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058A (ko) * 1982-10-11 1984-06-11 김덕영 비탈면 보호블록의 표면수 처리공법
KR910011665A (ko) * 1989-12-06 1991-08-07 에스. 르 바게레즈 불연속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제품
KR19980065268A (ko) * 1997-01-07 1998-10-15 민윤기 사면토사보호 기초지반조성 블록 공법
KR20000074347A (ko) * 1999-05-20 2000-12-15 한남수 사면 보호용 조경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20010009377A (ko) * 1999-07-09 2001-02-05 민병창 경사면의 식생층 조성공법 및 조성블럭
KR200205811Y1 (ko) * 2000-07-21 2000-12-01 한국기술개발주식회사 절취사면의 분할 녹화 장치
KR20020039513A (ko) * 2000-11-21 2002-05-27 재 술 나 굴곡이 심한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및 그 연결구
KR20020058928A (ko) * 2000-12-30 2002-07-12 재 술 나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207A (ko) 200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236B1 (ko)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KR100443037B1 (ko) 법면보호블록
KR100648884B1 (ko) 암절개지사면 토사 및 조경식재 유실방지구조
KR100899037B1 (ko) 블록 조립체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200263943Y1 (ko) 법면보호블록
KR100644413B1 (ko) 식생 녹화블록
KR20100027677A (ko) 법면보호블록
KR100423257B1 (ko) 법면보호블록
JP3547079B2 (ja) 法面の保護・緑化工法および法面保護・緑化用法枠
KR100433496B1 (ko)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100329202B1 (ko) 경사면의 식생층 조성공법 및 조성블럭
KR101578349B1 (ko)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KR200271898Y1 (ko) 법면보호블록
KR102141237B1 (ko) 조립식 식생 수로
KR200267606Y1 (ko)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20050096882A (ko) 보강토 옹벽용 친환경 식생블록
KR20150133000A (ko) 생태 블록 구조물
JP3056699B2 (ja) 覆土ブロック
KR20060075707A (ko) 앵커식 개비온을 이용한 식생 매트의 설치 구조와 이를이용한 사면 안정화 공법
JP2008237056A (ja) 緑化及び雑草抑制のための施工用パネルと、緑化及び雑草抑制のための施工方法
KR200304525Y1 (ko) 도로 비탈면의 슬라이딩 방지를 위한 밴드 접합식 조경네트론 설치구조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0163563Y1 (ko) 경사면의속성녹화용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