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0486Y1 - 식생블럭 - Google Patents

식생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486Y1
KR200240486Y1 KR2020010012776U KR20010012776U KR200240486Y1 KR 200240486 Y1 KR200240486 Y1 KR 200240486Y1 KR 2020010012776 U KR2020010012776 U KR 2020010012776U KR 20010012776 U KR20010012776 U KR 20010012776U KR 200240486 Y1 KR200240486 Y1 KR 200240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vegetation
block body
center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7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식
Original Assignee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27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4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48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생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경사면에 사용하는 블럭이 지표면을 차단하고 식생이 불가능하며, 부분이탈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예시도 2 와 같이 블럭몸체(1)의 좌우 양측 중앙에 측면결합홈(2)을 형성하여 인접한 블럭몸체(1)의 측면결합부돌기(3)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하 양측 중앙에는 관통공(4)을 형성하며, 중앙에는 식생공(5)을 천공하고 블럭몸체(1)를 상협하광형으로 하여 인접한 블럭몸체(1)간에 여유공간(6)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생블럭{Block for plants}
본 고안은 이탈방지를 위한 연결 및 식생 가능한 식생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호안공사, 사면 보호공사, 산지 복구공사 등에 시공함으로써 흘러내림이 방지되고 시공이 간편하며 식재 가능하여 자연 환경에 부합되는 식생 블럭에 관한것이다.
종래의 콘크리트 블럭에 있어서는 사면보호공사의 예를 들면, 블럭 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부분 훼손이 심하고 측면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굴국지형에서의 공사가 곤란하며, 지표면이 차단되어 식물이 자랄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빗물의 침투를 막아서 하천 범람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하천변에 있어서는 천변식생 기반을 잃게 되어 천변 식생이 제거됨에 따라 식물종 자체의 감소는 물론 연쇄적으로 어류, 조류, 수서 곤충류 등의 서식 기반을 손상시키게 되며, 콘크리트 호안 블럭은 하천수 또는 빗물이 토양층에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여 자연 하천의 천변 식생을 건생화시키고, 또한 천변식생이 제공하는 그늘이 사라져서 수온의 변화를 가져오고 수중 저서생물, 어류의 서식처 및 산란처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천변 식생지 주변에서 먹이를 취하고 식생 덤불에서 은신하는 조류의 서식기반까지 손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호안공사 사면보호공사, 산지복구공사 등에 사용시 각 블럭들이 상하좌우로 연결되어 부분적인 이탈이 방지되고, 상협하광형으로서 굴곡지면에서의 공사가 용이하며 관통공 및 식생공에는 공기와 물의 유통 및 일반 토양과 같이 식생 가능하고 자연환경에 부합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블럭을 제공함에 있는 것으로서 다시 말하면, 기존의 재료와 동일한 강도 및 내구성을 발휘하고 지구 환경과 생태계와의 조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블럭 몸체의 좌우 양측 중앙에 측면결합홈을 형성하고, 상하 양측 중앙에는 관통공을 이루는 요홈을 형성하며, 중앙에는 식생공을 천공하여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하고, 전체적인 외측면을 중심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협하광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 블럭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다른 식생 블럭이 서로 결합되도록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 블럭을 경사지에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럭 몸체, 2 - 측면결합홈,
3 - 측면결합부돌기, 4 - 관통공,
5 - 식생공, 6 - 여유공간,
7 - 식물, 8 - 보강콘크리트,
9 - 경사면.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블럭몸체(1)의 좌우 양측 중앙에 측면결합홈(2)을 형성하여 인접한 블럭몸체(1)의 측면결합부돌기(3)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하 양측 중앙에는 관통공(4)을 형성하며, 중앙에는 식생공(5)을 천공하고 블럭몸체(1)의 상부를 상협하광형으로 하여 인접한 블럭몸체(1)간에 여유공간(6)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미 설명부호 7은 식생공(5)에 식재한 식물,8은 블럭몸체(1)를 지지하는 보강콘크리트, 9는 경사면이다.
본 고안은 예시도 1 과 같은 블럭몸체(1)를 경사면(9)에 상·하·좌·우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예시도 2 와 같이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하게되면, 각각의 블럭몸체(1)들이 요철형태로 결합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예시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블럭 몸체(1)들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시켜 경사면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측면결합홈(2)내에는 인접한 블럭몸체(1)의 측면결합부돌기(3)가 꼭 맞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평면상의 상하좌우 방향으로는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블럭몸체(1)의 중앙에 천공된 식생공(5)은 식물(7)을 식재할 수 있는 상하관통된 공간으로서 식물(7)이 자라면서 경사면(9)에 뿌리를 내리게 되면, 식물자체가 경사면을 자연 환경 상태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경사면(9)에 블럭몸체(1)를 고정시키는 역할도 하게 되어 블럭몸체(1)의 자중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블럭몸체(1)의 상측은 외면을 중앙쪽으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하여 인접한 블럭몸체 (1)간에 여유공간(6)을 형성시킨 것은 작업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지면 또는 경사면이 굴곡 상태일 때에도 적절히 대응시켜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블럭몸체(1)의 좌우 양측에 측면결합홈(2)을 형성하여 인접한 블럭몸체(1)의 측면결합부돌기(3)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하부에는 관통공(4)을 형성함으로써 경사면(9)에 설치시에 부분적으로 블럭이 이탈됨을 방지하고, 식생공(5) 및 블럭몸체(1)간에 형성되는 공간에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블럭몸체(1)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블럭몸체(1)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관통공(4)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나 물이 경사면(9)에 공급되므로 우천시에도 하천의 범람을 막고 자연상태에 가장 근접한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협하광형태로 하여 여유공간 (6)이 생기기 때문에 작업이 편리하고 굴곡면에 시공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블럭몸체(1)의 좌우 양측 중앙에 측면결합홈(2)을 형성하여 인접한 블럭몸체 (1)의 측면결합부돌기(3)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하 양측 중앙에는 관통공(4)을 형성하며, 중앙에는 식생공(5)을 천공하고 블럭몸체(1)를 상협하광형으로 하여 인접한 블럭몸체(1)간에 여유공간(6)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럭.
KR2020010012776U 2001-05-03 2001-05-03 식생블럭 Expired - Fee Related KR2002404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776U KR200240486Y1 (ko) 2001-05-03 2001-05-03 식생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776U KR200240486Y1 (ko) 2001-05-03 2001-05-03 식생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486Y1 true KR200240486Y1 (ko) 2001-10-12

Family

ID=73065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776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0486Y1 (ko) 2001-05-03 2001-05-03 식생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4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391A (ko) * 2002-04-04 2003-10-10 코리콤주식회사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391A (ko) * 2002-04-04 2003-10-10 코리콤주식회사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708B1 (ko) 식생용 옹벽블럭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100618560B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친환경 하천 바닥 블록설치구조
KR200240486Y1 (ko) 식생블럭
KR100645294B1 (ko) 사면용 축조블록
KR100665965B1 (ko) 호안블록 녹화용 식생매트
KR200380759Y1 (ko) 조립식 격자블록
KR200221900Y1 (ko) 식생블럭
KR200240487Y1 (ko) 식생블럭
KR200221899Y1 (ko) 식생블럭
KR200311986Y1 (ko) 식재가능한 조립식 격자블럭
KR200232618Y1 (ko) 식생블럭
KR100506980B1 (ko) 식생호안블럭
KR20150133000A (ko) 생태 블록 구조물
KR200228607Y1 (ko) 식생블럭
KR200175370Y1 (ko) 잔디 블록
KR200272869Y1 (ko) 자연형 식생블록
KR200263943Y1 (ko) 법면보호블록
JP2826988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40061220A (ko) 급경사 암비탈면의 생태사다리 녹화구조
KR200268824Y1 (ko) 식생블록
KR200228608Y1 (ko) 자연석형 환경블럭
KR200406758Y1 (ko) 변화형 친환경 블록
KR200142764Y1 (ko) 법면보호를 위한 블록
KR100423257B1 (ko) 법면보호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50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7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5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1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0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106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