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9245Y1 - 가로수보호판 - Google Patents

가로수보호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245Y1
KR200459245Y1 KR2020060028433U KR20060028433U KR200459245Y1 KR 200459245 Y1 KR200459245 Y1 KR 200459245Y1 KR 2020060028433 U KR2020060028433 U KR 2020060028433U KR 20060028433 U KR20060028433 U KR 20060028433U KR 200459245 Y1 KR200459245 Y1 KR 2004592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hape
protective plate
roadside
protection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754U (ko
Inventor
안승균
Original Assignee
최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신현 filed Critical 최신현
Priority to KR2020060028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245Y1/ko
Publication of KR200800007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7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2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24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30Ground coverings
    • A01G13/31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20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 A01G13/27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protecting specific parts of plants, e.g. roots, trunks or fru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로수보호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받침틀을 요하지 않고 받침대에 얹도록 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소재의 가로수보호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가로수보호판에 의하면, 현장 시공여건에 맞추어 쉽게 제작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하며 특별한 받침틀을 요하지 않으므로 보도블록과 병행하여 작업이 가능하고 색상의 다양화를 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가로수보호판{AN APPARATUS FOR PROTECTING PLANT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가로수보호판의 설치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1에 도시된 가로수보호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2에 도시된 가로수보호판의 단위체인 보호판 덮개와 받침대를 분리시킨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보호판덮개를 구성하는 보호판부재 및 받침대를 결합하여 가로수보호판을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가로수보호판 100: 보호판덮개
110:보호판부재 111: 삽입홈
112:돌출부 113: 통수구멍
114;요홈
200:받침대 210: 내측받침대
220:외측받침대
본 고안은 가로수보호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받침틀을 요하지 않고 받침대에 얹도록 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소재의 가로수보호판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는 일측 또는 양측에 경계석이 설치되며, 상기 경계석의 내측으로 형성된 보도에는 보도블록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도에는 일정거리마다 가로수가 식재되는데, 이와 같이 가로수는 아스팔트로 포장된 도로변에 심어져서 도로변의 경치를 아름답게 하고 도로를 오가는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상쾌감을 준다. 또한, 아스팔트나 시멘트 등으로 포장된 광장에 심어져서 도시의 풍광을 미려하게하고 도시민에게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준다.
이 때 식목된 가로수는 지면에 접하는 가로수 줄기 주변은 나지(裸地)의 상태로 외부에 노출시킴으로써, 가로수 뿌리쪽으로 공기나 빗물이 스며들게하여 가로수의 생육을 돕게 되는데, 그 하단의 둘레부분에 설치되는 가로수 보호판에 의해 노출된 나지의 손상을 방지하고 가로수의 뿌리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가로수 보호판은, 나무를 심은 직후에 뿌리가 채 내리기 전 가로수를 보호하며, 가로수 주변과 지면과의 높이 차를 제거하고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며 외관상 미려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인 가로수보호판의 구조를 살펴보면, 주물이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이렇게 제조된 가로수보호판은 시멘트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걸림턱이 있는 받침틀 위에 안착을 시키도록 되어있다. 이때 2-3 조각으로 구성이 된 가루수보호판의 연결은 스테인레스 밴드로 체결을 하거나 나사못으로 고정을 하는데, 가로수 보호판의 모서리가 주물제품인 경우, 날카롭기 때문에 한쪽에 하중이 가해지면 체결밴드가 쉽게 절단이 된다. 또한 나사못으로 고정을 하였을 경우에도 한쪽편에 하중이 가해지면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걸림턱은 바깥쪽에 있기 때문에 안쪽에 하중이 가해지면 견디지를 못하고 파손이 되며, 파손이 되면 불법으로 수거를 하기 때문에 망실이 되고 없다.
더욱이 우천시 토사의 유실, 건조시는 토사의 비산이 매우 심각하며, 흡수율이 저조하고 하수구 막힘 등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관리가 소홀한 곳은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 해충이 서식하여 도시의 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시공작업이 복잡하고, 시공 후에 보도블록과의 높낮이도 고르지 못하여 보행자와 어린이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로수 보호판 상의 공간부가 크게 형성될 경우, 보행자의 발이 빠지거나 걸리게 되어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으며, 가로수 성장에 필수적인 수분이 지면으로 증발하게 되어 가로수 성장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된 새로운 구조의 가로수보호대에 대한 당업계의 요구가 다수 존재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로수보호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시 특별한 받침틀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단지 받침대에 얹도록 되어 있어 현장 여건에 맞추어 쉽게 제작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 니라 보도블록과 병행하여 작업이 가능한 구조의 가로수보호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로수 주변에 설치되어 잡초의 번식을 막아주고,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며, 쓰레기의 유입을 막아주어 가로수를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는 구조의 가로수보호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를 소재로 하여 색상의 다양화도 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가로수보호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가로수 주위의 노출된 지면상에 설치되어 가로수를 보호해 주는 가로수보호판에 있어서, 서로 조립될 수 있는 삽입홈 및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광하협의 다수개의 통수구멍을 구비한 다수개의 보호판 부재가 조립되어 중심부에 식목 공간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보호판 덮개; 및 상기 보호판 덮개의 식목공간부를 이루는 내측단부 및 상기 보호판 덮개의 외측 단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보호판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가로수보호판은 상기 식목공간부를 이루는 보호판 덮개의 내측단부 하부에는 보호판 덮개의 내측단부의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을 이루는 받침대가 설치되고, 상기 보호판 덮개의 외측단부 하부에는 상기 보호판 덮개의 외측 단부 형상과 일치하는 받침대가 설치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가로수보호판에서 상기 내측받침대는 보호판 덮개의 내측단부의 형상과 각각 1/2씩 일치하는 형상을 이루는 2개의 받침대가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 고, 상기 외측받침대는 상기 보호판 덮개의 형상이 다각형인 경우는 하나의 모서리에 대해 일자형 받침대가 설치되고, 원형인 경우는 곡선형의 받침대가 3개 이상 상기 보호판 덮개의 외측 단부 형상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가로수보호판에서 상기 보호판 덮개가 보호판 부재 4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보호판 덮개의 외측단부의 형상이 4각형을 이루고, 외측받침대는 일자형의 4개로 받침대로 구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가로수보호판에서 상기 보호판 부재는 콘크리트소재로서 철망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가로수보호판에서 상기 보호판 덮개의 하부에는 상기 받침대가 설치되는 부분에 받침대의 상부가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가로수보호판에서 상기 보호판 덮개의 상부는 인접하는 보도블록의 상부표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보도블록이 설치되는 상기 지면과 동일평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지면보다 더 깊게 매설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가로수보호판의 설치 사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에 도시된 가로수보호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2에 도시된 가로수보호판의 단위체인 보호판 덮개와 받침대를 분리시킨 상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보호판덮개를 구성하는 보호판부재 및 받침대를 결합하여 가로수보호판을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보호판(1)이 보도블록이 설치되지 않는 가로수 주위의 노출된 지면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보도블록과 동일평면상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즉 가로수보호판(1)의 하부와 보도블록의 하부가 동일 평면의 지면에 있고, 가로수보호판(1)의 상부와 보도블록의 상부표면이 일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가로수보호판(1)을 지지하는 받침대(200)를 보도블록의 설치되는 지면보다 더 깊게 배치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보호판(1)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판 덮개(100) 및 다수의 받침대(20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보호판덮개(100)는 다수개의 보호판 부재(110)가 조립되어 중심부에 식목 공간부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여기서 다수개의 보호판 부재(110)는 각각 서로 조립될 수 있는 삽입홈(111) 및 돌출부(112)가 형성되고 상광하협의 다수개의 통수구멍(113)을 구비한다.
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보호판 부재(110)는 다른 보호판부재(110)와 인접하는 두개의 단부를 갖는데, 일측 단부에는 삽입홈(111)이 그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되고 돌출부(112)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깊이만큼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돌출부(112)가 그 상면이 보호판부재(110)의 상부표면과 동일한 평면을 갖고 상기 삽입홈(111)에 수용될 수 있는 두께를 갖도록 보호판부재(110)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삽입홈(111) 및 돌출부(112)의 형상은 서로 맞춤되기만 하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반원형이다. 또한 보호판부재(110)에는 가로수에 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광하협 즉 깔대기 형상을 가진 통수구멍(113)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보호판부재(110)는 그 소재에 제한이 없으나, 콘크리트를 소재로 하면 현장 여건에 맞추어 필요한 형태 및 소요개수대로 제작하여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원하는대로 색상을 부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므로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판부재(110)의 강도를 더 강화시키기 위해 철망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삽입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보호판 덮개(100)를 구성하는 보호판부재(110)의 하부중 받침대(200)와 맞닿는 부분은 받침대(200)의 상부가 삽입되는 요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홈(114)은 보호판 덮개(100)와 받침대(200)의 결합을 보다 단단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상태를 고려하면 보호판부재(110)의 내, 외측단부에 그 윤곽을 따라 외측면과 전, 후면 및 하면이 없는 긴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호판부재(110)에 형성된 요홈(114) 상부면이 받침대(200) 상부에 얹혀지는 형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받침대(200)는 보호판 덮개(100)의 식목공간부를 이루는 내측단부 및 보호판 덮개(100)의 외측 단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내측받침대(210)와 외측받침대(220)로 구성된다. 여기서, 받침대(200)는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가진 직선 또는 곡선형의 사각 바 형상으로 바람직하게는 일측면이 상협하광으로 연장되어 안정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그 소재는 제한되지 않으므로 합성수지계 재료로 기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현장에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식목공간부를 이루는 보호판 덮개(100)의 내측단부 하부에 설치되는 내측받침대(210)는 보호판 덮개(100)의 내측단부의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을 이루는 받침대이고, 보호판 덮개(100)의 외측단부 하부에 설치되는 외측받침대(220)는 보호판 덮개(100)의 외측 단부 형상과 일치하는 받침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측받침대(2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판 덮개(100)의 내측단부의 형상과 각각 1/2씩 일치하는 형상을 이루는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가진 2개의 받침대가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반원형상의 받침대 두개를 서로 맞대어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거나 지면에 일정 깊이로 묻어서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외측받침대(220)는 보호판 덮개(100)의 형상이 다각형인 경우는 하나의 모서리에 대해 일정한 두께와 높이를 가진 일자형 받침대가 각각 설치되고, 원형인 경우는 곡선형의 받침대가 3개 이상 보호판 덮개(100)의 외측 단부 형상과 일치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보호판 덮개(100)의 외측단부의 형상이 4각형을 이루는 경우, 외측받침대는 일자형의 4개로 받침대로 구성되고, 보도블록이 설치되지 않는 4각형의 공간에 보도블록에 접하게 4개의 일자형 받침대를 노출된 지면 또는 어느 정도의 깊이로 묻어서 극히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보호판덮개(100)를 구성하는 보호판부재(110) 및 받침대(200)를 결합하여 가로수보호판(1)을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일정 넓이로 가로수의 주변의 지면을 가로수보호판(1)의 크기 및 형상 등을 고려하여 노출시킨 상태로 보도블록을 설치한 후, 도시된 것은 특히 4각형상으로 지면이 노출된 상태로 보도블록이 설치되었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보도블록의 면에 4개의 일자형 외측받침대(220)를 그 측면이 접하도록 지면 또는 일정 깊이로 묻어서 설치한다. 이 때 외측받침대(220)의 양 측면이 평행을 이루도록 도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보도블록과 접하는 면과 대향하는 측면을 일정 각도로 하부로 연장시켜 그 단면이 상협하광의 구조를 갖는 형태로 함으로써 외측받침대(220)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그 후 가로수 둘레에 보호판부재(110)의 넓이를 고려하여 반원형상의 내측받침대(210) 2개를 서로 맞닿도록 하여 지면 또는 일정 깊이로 묻어서 설치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2개의 내측받침대(210)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외측받침대(220)와 내측받침대(210)는 그 높이가 동일하고, 보도블록의 높이보다는 낮다. 내측받침대(210)의 일측면 또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외측받침대(220)와 동일하게 일정각도로 하부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받침대(220)와 내측받침대(210)를 설치한 후 상기 받침대(200)위에 다수의 보호판부재(110)를 하나씩 위치시켜 보호판 덮개(100)의 상부가 인접하는 보도블록의 상부표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보호판 덮개(100)의 조립을 완성함으로써 그 설치를 완료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 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인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에 의해 실시할 경우도 모두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보호판에 의하면, 가로수 주변에 설치되어 잡초의 번식을 막아주고,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며, 쓰레기의 유입을 막아주어 가로수를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보호판에 의하면 설치시 특별한 받침틀을 필요로 하지 않고 받침대에 얹도록 되어 있어 현장 여건에 맞추어 쉽게 제작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하며 보도블록과 병행하여 작업이 가능하고 색상의 다양화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가로수 주위의 노출된 지면상에 설치되어 가로수를 보호해 주는 가로수보호판에 있어서,
    서로 조립될 수 있는 삽입홈 및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광하협의 다수개의 통수구멍을 구비한 다수개의 보호판 부재가 조립되어 중심부에 식목 공간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보호판 덮개; 및
    상기 보호판 덮개의 식목공간부를 이루는 내측단부 및 상기 보호판 덮개의 외측 단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식목공간부를 이루는 보호판 덮개의 내측단부 하부에는 보호판 덮개의 내측단부의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을 이루는 내측받침대가 설치되고, 상기 보호판 덮개의 외측단부 하부에는 상기 보호판 덮개의 외측 단부 형상과 일치하는 외측받침대가 설치되고,
    상기 내측받침대는 보호판 덮개의 내측단부의 형상과 각각 1/2씩 일치하는 형상을 이루는 2개의 받침대가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외측받침대는 상기 보호판 덮개의 형상이 다각형인 경우는 하나의 모서리에 대해 일자형 받침대가 설치되고, 원형인 경우는 곡선형의 받침대가 3개 이상 상기 보호판 덮개의 외측 단부 형상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호판 덮개가 보호판 부재 4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보호판 덮개의 외측단부의 형상이 4각형을 이루고, 외측받침대는 일자형의 4개로 받침대로 구성되고,
    상기 보호판 부재는 콘크리트소재로서 철망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보호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 덮개의 하부에는 상기 받침대가 설치되는 부분에 받침대의 상부가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보호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 덮개의 상부는 인접하는 보도블록의 상부표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보도블록이 설치되는 상기 지면과 동일평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지면보다 더 깊게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보호판.
KR2020060028433U 2006-10-25 2006-10-25 가로수보호판 Expired - Fee Related KR2004592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433U KR200459245Y1 (ko) 2006-10-25 2006-10-25 가로수보호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433U KR200459245Y1 (ko) 2006-10-25 2006-10-25 가로수보호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754U KR20080000754U (ko) 2008-04-30
KR200459245Y1 true KR200459245Y1 (ko) 2012-03-23

Family

ID=41323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43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9245Y1 (ko) 2006-10-25 2006-10-25 가로수보호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24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489B1 (ko) * 2012-12-24 2014-04-04 장성기 수목 보호용 관수 틀 및 이를 이용 자동급수 시스템.
KR101427336B1 (ko) * 2012-04-26 2014-08-06 한경수 우수유입장치
KR102327876B1 (ko) 2021-09-27 2021-11-17 강찬성 기능성 수목 보호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924Y1 (ko) 2000-03-24 2000-10-16 김복성 조립식 가로수 보호판
KR200199943Y1 (ko) * 2000-04-14 2000-10-16 심재만 가로수 보호대
KR200401368Y1 (ko) 2005-08-13 2005-11-15 권주홍 가로수 보호판
KR200425637Y1 (ko) * 2006-05-02 2006-09-06 김수일 가로수 보호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924Y1 (ko) 2000-03-24 2000-10-16 김복성 조립식 가로수 보호판
KR200199943Y1 (ko) * 2000-04-14 2000-10-16 심재만 가로수 보호대
KR200401368Y1 (ko) 2005-08-13 2005-11-15 권주홍 가로수 보호판
KR200425637Y1 (ko) * 2006-05-02 2006-09-06 김수일 가로수 보호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336B1 (ko) * 2012-04-26 2014-08-06 한경수 우수유입장치
KR101380489B1 (ko) * 2012-12-24 2014-04-04 장성기 수목 보호용 관수 틀 및 이를 이용 자동급수 시스템.
KR102327876B1 (ko) 2021-09-27 2021-11-17 강찬성 기능성 수목 보호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754U (ko) 200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887B1 (ko) 가로수용 급수 및 급양 장치 및 가로수 보호 조립체
KR200459245Y1 (ko) 가로수보호판
KR101636912B1 (ko) 수목 보호 블럭
KR20160100582A (ko) 매설형 조립식 가로수 보호대
KR100329202B1 (ko) 경사면의 식생층 조성공법 및 조성블럭
KR100807771B1 (ko) 잔디블럭 구조물
KR200401368Y1 (ko) 가로수 보호판
KR20070087942A (ko) 가로수 아래의 식물식재와 비산 먼지 방지 가로수 보호대
KR102323550B1 (ko) 물 공급기능을 갖는 수목보호 조립체
KR101797588B1 (ko) 수목 보호 블럭
KR102175271B1 (ko) 수목 뿌리 보호기능을 갖는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및 그 시공방법
KR200429634Y1 (ko) 미끄럼 방지구를 갖는 가로수 보호용 덮개판
KR101250001B1 (ko) 수목보호판
KR100903307B1 (ko) 가로수 보호덮개판
KR100892256B1 (ko) 가로수 조경용 블록
KR101224137B1 (ko) 잔디블럭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00113771A (ko) 조립식 잔디
KR101904378B1 (ko) 빗물침투형 연결 소켓, 및 이를 구비하는 보호판 지지틀
KR20100026070A (ko) 가로수 보호덮개
KR100332653B1 (ko) 조립식 가로수 보호판
KR101112771B1 (ko) 수목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수목 보호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266293B1 (ko) 수목보호용 블록
KR200221036Y1 (ko) 수목보호받침틀 및 투수콘크리트를 이용한 수목보호구조
KR100365449B1 (ko) 수목보호받침틀 및 투수콘크리트와 이를 이용한수목보호공법
KR20130131053A (ko) 수목 보호용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1025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5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5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12022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3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60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