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57660A - 광배향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배향막과 이배향막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 Google Patents

광배향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배향막과 이배향막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660A
KR19980057660A KR1019960076959A KR19960076959A KR19980057660A KR 19980057660 A KR19980057660 A KR 19980057660A KR 1019960076959 A KR1019960076959 A KR 1019960076959A KR 19960076959 A KR19960076959 A KR 19960076959A KR 19980057660 A KR19980057660 A KR 19980057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ituent
group
alkyl
ring
cycloalk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한성
채병훈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1019960076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7660A/ko
Priority to MXPA/A/1997/010340A priority patent/MXPA97010340A/xx
Priority to JP36061397A priority patent/JPH10251513A/ja
Priority to US08/998,841 priority patent/US5976640A/en
Priority to CN97129732A priority patent/CN1211606A/zh
Publication of KR19980057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66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G02F1/133723Polyimide, polyamide-i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1Of polyim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쇄에 신나메이트기를 갖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배향성 조성물을 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광배향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됨으로써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배향막 및 이를 구비하고 있는 액정표시소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광배향성 조성물과 배향막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향막의 배향처리 과정에서는 종래 러빙방법에서 야기되는 러빙흠집, 정전기 및 먼지 발생 등의 문제점들이 개선되므로 종래보다 우수한 성능을 갖는 액정표시소자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광배향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되는 배향막과 이 배향막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본 발명은 광배향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되는 배향막과 이 배향막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기로는 측쇄에 신나메이트기가 도입된 폴리이미드를 함유하는 광배향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광배향의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킨 배향막 및 이 배향막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 하 한 쌍의 투명기판 (2) 및 (2')의 상부에는 투명전극 (3) 및 (3')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3) 및 (3') 상부에는 절연층 (4) 및 (4')과 액정의 배향을 위한 배향막 (5) 및 (5')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향막 (5)와 (5')사이에는 스페이서 (6)가 셀갭을 일정두께로 유지하고 있으며, 이 셀갭에 액정 조성물이 주입되어 액정층 (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 (2) 및 (2')의 외측면에는 입사광 및 투사광의 편광을 위한 편광판 (1) 및 (1')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액정 분자의 배열 특성에 따라 광투과성, 응답속도, 시야각, 콘트라스트 등과 같은 표시소자로서의 성능이 결정된다. 따라서 액정 분자의 배향을 균일하게 제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액정의 균일한 배향상태는 단순히 액정을 상, 하 기판사이에 개재시키는 것만으로는 얻기 힘들기 때문에 도 1의 나타난 액정표시소자의 구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투명전극층 (2) 및 (2') 상부에 배향막 (5) 및 (5')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배향막으로는 기판상에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등과 같은 유기 고분자 물질로 된 박막을 형성하고 경화한 후, 특수 형태의 천으로 러빙하여 액정 분자의 배향방향을 제어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된 배향막이 주로 이용되었다. 그런데 상기 방법에 따르면, 실시하기가 용이하고 공정이 단순하며 한 번에 넓은 면적의 액정을 배향처리할 수 있지만, 러빙시 사용된 특수 형태의 천으로부터 미세입자 또는 섬유소가 이탈되어 배향막을 오염시킬 수 있고, 배향막 재료에 따라 배향이 잘 안되는 경우도 있으며, 러빙시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하여 박막 트랜지스터 등이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먼지나 정전기가 발생되지 않고 공정이 깨끗한 광배향기술이 개발되었다. 이 방법은 비파괴적인 배향방법으로서 편광된 빛이 광배향성 배향막에 조사되면 비등방성 광중합이 일어나 액정 분자가 균일하게 배향된다.
상기 광배향성 배향막 재료로는 폴리비닐 신나메이트(polyvinyl cinnamate: 이하 PVCN)과 폴리비닐 메톡시신나메이트(polyvinyl methoxycinnamate: 이하 PVMC) 등이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고분자 화합물은 광에 의한 배향성능은 뛰어나지만 배향의 열적 안정성이 저하되고 프레틸트각이 거의 0도 가까이로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배향막의 얄적 안정성은 고분자의 열적 안정성에 의존하는데, PVCN나 PVCM은 유리전이온도가 100℃ 미만으로 비교적 낮은 편이라서 배향후 열적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배향의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광배향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광배향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배향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세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배향막을 구비하고 있는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소자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편광판 2,2'...기판
3,3'...전극4,4'...절연층
5,5'...배향막6...스페이서
7...액정층
본 발명의 첫번째 과제는 측쇄에 신나메이트기를 갖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배향성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이미드는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식중, R1은 C3∼C10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사이클로알킬, C3∼C10의 사이클로알케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를 갖는 사이클로알케닐 및 구조식 A-Y-B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식중,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비치환된 방향족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방향족환(여기에서 방향족환은 탄소수 6의 모노사이클릭한, 탄소수 10의 바이사이클릭환 또는 탄소수 14의 트리사이클릭환임), Y는 -O-, 카르보닐(C=O) 또는 -C(R4)(R5)-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수소, C1∼C10의 알킬 및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C1∼C10의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R2는 비치환된 방향족,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방향족환(여기에서 방향족 환은 탄소수 6의 모노사이클릭환, 탄소수 10의 바이사이클릭환이거나 또는 탄소수 14의 트리사이클릭환임), C3∼C10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C3∼C10의 사이클로알킬, C3∼C10의 사이클로알케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C3∼C10의 사이클로알케닐 및 구조식 A-Y-B의 화합물(여기에서, A, B 및 Y는 상술한 바와 같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1은 -OCO- 및 -COOC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는 수소, 할라이드, C1∼C10의 알킬,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C1∼C10의 알킬, C1∼C10의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여기에서, 치환기(G)는 C1∼C30의 알킬, 방향족, 아미노, 치환된 아미노, 할라이드(halide), 하이드록시(OH), 니트로기(NO2), 시아노(CN), 티오시아노(SCN), 티올(SH), 카르복실(COO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두번째 과제는 측쇄에 신나메이트기를 갖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세번째 과제는 측쇄에 신나메이트기를 갖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하고 있는 배향막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이미드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103내지 2×10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배향성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만든 배향막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측쇄에 신나메이트기가 도입된 가용성 폴리이미드를 합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산무수물 (1), 디아민 화합물 (2) 및 용매를 혼합하고, 0°내지 상온에서 24시간동안 반응시켜 폴리아믹산 (3)를 합성한다. 이어서 상기 폴리아믹산 (3)을 이미드화하여 가용성 폴리이미드 (4)를 합성한다.
상기식중, R1과 R2는 상술한 바와 같고, R'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폴리이미드 (4)에 신나모일 유도체 화합물 (5)와 염기를 반응시켜 원하는 생성물을 얻는다.
상기식중, R1, R2, R3및 X1은 상술한 바와 같고, X는 염소(Cl), 브롬(Br), 요오드(I) 및 하이드록시(O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방법에 따라 합성된 폴리이미드를 적절한 용매와 혼합하여 광배향성 조성물을 만든다. 이 때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기로는 N-메틸피롤리돈(NMP),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및 부틸셀로솔브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을 유리기판 2장에 각각 코팅한 다음, 용매를 건조하여 배향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선편광(파장: 300 내지 400nm)을 조사하여 광반응을 실시한 다음,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일정갭이 유지된 상태에서 2장의 기판을 접합하여 공셀을 완성한다. 그 후, 상기 공셀에 액정을 주입함으로써 액정표시소자를 완성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반드시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 디프탈산 무수물 (4,4'-(hexafluoroisopropylidene)diphthalic anhydride (6) 2.22g(0.005mol)과 디아민 화합물 (7) 1.83g (0.005mol) 및 NMP 20g와 혼합하여 0∼25℃에서 24시간동안 반응시켜 폴리아믹산 (8)을 합성하였다.
그 후, 상기 폴리아믹산 (8)을 아제오트로프(azeotrope)방법을 사용하여 탈수화시켜 폴리이미드 (9)를 합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9) 3.43g(0.00443mol)을 신나모일 클로라이드 (10) 1.62g(0.00975 mol) 및 THF 30g과 혼합하고, 여기에 피리딘 0.77g(0.00975mol)을 부가한 다음, 60℃에서 120분동안 반응시켜 측쇄에 신나메이트기가 도입된 폴리이미드 (11)를 합성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폴리이미드 0.2g를 NMP 10g에 용해시킨 다음, 이 조성물을 유리기판 2장에 각각 스핀코팅하였다. 이어서 약 100℃에서 1시간동안 건조시켜서 배향막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나서, 광강도가 약 10mw/㎠인 고압수은램프를 이용하여 선편광(파장: 약 313nm)을 조사하여 광반응을 약 5분동안 실시하였다.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배향막이 형성된 유리기판 2장의 간격을 일정두께로 유지하면서 상기 두 유리기판을 접합하여 공셀을 제조하였다. 이 공셀에 액정을 주입하여 액정표시소자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2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따른 폴리이미드에 N,N'-디사이클로헥실이미드(DCC)를 촉매로 사용하여 도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비교예
폴리비닐신나메이트(알드리치사) 0.2g를 NMP 10g에 용해시킨 다음, 이 조성물을 유리기판 2장에 각각 스핀코팅하였다. 이어서 약 100℃에서 1시간동안 건조시켜서 배향막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나서, 광강도가 약 10mw/㎠인 고압수은램프를 이용하여 선편광(파장: 약 313nm)을 조사하여 광반응을 약 5분동안 실시하였다.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배향막이 형성된 유리기판 2장의 간격을 일정두께로 유지하면서 상기 두 유리기판을 접합하여 공셀을 제조하였다. 이 공셀에 액정을 주입하여 액정표시소자를 완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액정표시소자에 대해 배향막의 배향도와 열적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여기에서 배향도는 편광필름을 통하여 관찰하였으며, 열적 안정성은 약 200℃까지 온도를 상승시키고 소정시간동안 방치시킨 후 실온으로 낮춘 다음 다시 편광필름을 통하여 배향막의 변성정도를 관찰하는 식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는 배향성이 우수하고 상기온도를 200℃까지 증가시킨 경우에도 그 배향상태가 거의 변화되지 않는 것으로 볼 때 열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는 열적안정성뿐만 아니라 프리틸트각이 개선되어 약 10°였다.
반면, 비교예의 경우에는 배향성은 우수하지만 열적 안정성이 저하되어 약 80℃부터 배향막의 배향상태가 변성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광배향성 조성물과 배향막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향막의 배향처리 과정에서는 종래 러빙방법에서 야기되는 러빙흠집, 정전기 및 먼지 발생 등의 문제점들이 개선되므로 종래보다 우수한 성능을 갖는 액정표시소자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2)

  1. 측쇄에 신나메이트기를 갖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배향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배향성 조성물.
    [화학식 1]
    상기식중, R1은 C3∼C10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사이클로알킬, C3∼C10의 사이클로알케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를 갖는 사이클로알케닐 및 구조식 A-Y-B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식중,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비치환된 방향족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방향족환(여기에서 방향족환은 탄소수 6의 모노사이클릭한, 탄소수 10의 바이사이클릭환 또는 탄소수 14의 트리사이클릭환임),
    Y는 -O-, 카르보닐(C=O) 또는 -C(R4)(R5)-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수소, C1∼C10의 알킬 및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C1∼C10의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R2는 비치환된 방향족,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방향족환(여기에서 방향족 환은 탄소수 6의 모노사이클릭환, 탄소수 10의 바이사이클릭환이거나 또는 탄소수 14의 트리사이클릭환임), C3∼C10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C3∼C10의 사이클로알킬, C3∼C10의 사이클로알케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C3∼C10의 사이클로알케닐 및 구조식 A-Y-B의 화합물(여기에서, A, B 및 Y는 상술한 바와 같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1은 -OCO- 및 -COOC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는 수소, 할라이드, C1∼C10의 알킬,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C1∼C10의 알킬, C1∼C10의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여기에서, 치환기(G)는 C1∼C30의 알킬, 방향족, 아미노, 치환된 아미노, 할라이드(halide), 하이드록시(OH), 니트로기(NO2), 시아노(CN), 티오시아노(SCN), 티올(SH), 카르복실(COO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3. 제2항에 있어서,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배향성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103내지 2×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배향성 조성물.
  5. 측쇄에 신나메이트기를 갖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화학식 1]
    상기식중, R1은 C3∼C10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사이클로알킬, C3∼C10의 사이클로알케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를 갖는 사이클로알케닐 및 구조식 A-Y-B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식중,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비치환된 방향족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방향족환(여기에서 방향족환은 탄소수 6의 모노사이클릭한, 탄소수 10의 바이사이클릭환 또는 탄소수 14의 트리사이클릭환임),
    Y는 -O-, 카르보닐(C=O) 또는 -C(R4)(R5)-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수소, C1∼C10의 알킬 및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C1∼C10의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R2는 비치환된 방향족,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방향족환(여기에서 방향족 환은 탄소수 6의 모노사이클릭환, 탄소수 10의 바이사이클릭환이거나 또는 탄소수 14의 트리사이클릭환임), C3∼C10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C3∼C10의 사이클로알킬, C3∼C10의 사이클로알케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C3∼C10의 사이클로알케닐 및 구조식 A-Y-B의 화합물(여기에서, A, B 및 Y는 상술한 바와 같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1은 -OCO- 및 -COOC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는 수소, 할라이드, C1∼C10의 알킬,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C1∼C10의 알킬, C1∼C10의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여기에서, 치환기(G)는 C1∼C30의 알킬, 방향족, 아미노, 치환된 아미노, 할라이드(halide), 하이드록시(OH), 니트로기(NO2), 시아노(CN), 티오시아노(SCN), 티올(SH), 카르복실(COO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7. 제6항에 있어서,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103내지 2×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9. 측쇄에 신나메이트기를 갖는 폴리이미드를 포함하고 있는 배향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폴리이미드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화학식 1]
    상기식중, R1은 C3∼C10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사이클로알킬, C3∼C10의 사이클로알케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를 갖는 사이클로알케닐 및 구조식 A-Y-B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식중,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비치환된 방향족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방향족환(여기에서 방향족환은 탄소수 6의 모노사이클릭한, 탄소수 10의 바이사이클릭환 또는 탄소수 14의 트리사이클릭환임),
    Y는 -O-, 카르보닐(C=O) 또는 -C(R4)(R5)-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수소, C1∼C10의 알킬 및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C1∼C10의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R2는 비치환된 방향족,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방향족환(여기에서 방향족 환은 탄소수 6의 모노사이클릭환, 탄소수 10의 바이사이클릭환이거나 또는 탄소수 14의 트리사이클릭환임), C3∼C10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C3∼C10의 사이클로알킬, C3∼C10의 사이클로알케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C3∼C10의 사이클로알케닐 및 구조식 A-Y-B의 화합물(여기에서, A, B 및 Y는 상술한 바와 같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1은 -OCO- 및 -COOC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는 수소, 할라이드, C1∼C10의 알킬,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G)를 갖는 C1∼C10의 알킬, C1∼C10의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여기에서, 치환기(G)는 C1∼C30의 알킬, 방향족, 아미노, 치환된 아미노, 할라이드(halide), 하이드록시(OH), 니트로기(NO2), 시아노(CN), 티오시아노(SCN), 티올(SH), 카르복실(COO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11. 제10항에 있어서,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103내지 2×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KR1019960076959A 1996-12-30 1996-12-30 광배향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배향막과 이배향막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KR19980057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959A KR19980057660A (ko) 1996-12-30 1996-12-30 광배향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배향막과 이배향막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MXPA/A/1997/010340A MXPA97010340A (en) 1996-12-30 1997-12-18 Optical alignment composition, alignment coat formed by using the same and lcd that has lacapa de alineac
JP36061397A JPH10251513A (ja) 1996-12-30 1997-12-26 光配向性組成物、これより形成された配向膜及びこの配向膜を具備している液晶表示素子
US08/998,841 US5976640A (en) 1996-12-30 1997-12-29 Optical alignment composition, alignment layer formed using the same and LCD having the alignment layer
CN97129732A CN1211606A (zh) 1996-12-30 1997-12-30 光取向组合物、使用该组合物形成的取向层和具有该取向层的液晶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959A KR19980057660A (ko) 1996-12-30 1996-12-30 광배향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배향막과 이배향막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660A true KR19980057660A (ko) 1998-09-25

Family

ID=19492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959A KR19980057660A (ko) 1996-12-30 1996-12-30 광배향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배향막과 이배향막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76640A (ko)
JP (1) JPH10251513A (ko)
KR (1) KR19980057660A (ko)
CN (1) CN121160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151B1 (ko) * 2000-01-11 2002-08-09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자외선 광 배향성 고분자, 이로부터 형성된 배향막 및 이배향막을 채용하고 있는 액정표시소자
KR20040046229A (ko) * 2002-11-26 2004-06-05 한국화학연구원 감광성 투명 폴리아믹산 유도체와 폴리이미드계 수지
KR100552990B1 (ko) * 2004-02-12 2006-02-17 한국화학연구원 전유기 박막트랜지스터 절연체용 저온경화형 감광성폴리이미드 수지
KR100750451B1 (ko) * 2002-12-09 2007-08-22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09091225A3 (en) * 2008-01-18 2009-10-29 Lg Chem, Ltd. Composition for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preparation method of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using the same, and optical film comprising the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1119B1 (ko) * 1997-04-18 2000-08-01 김순택 광배향성고분자
GB9713981D0 (en) * 1997-07-03 1997-09-10 Sharp Kk Optical device
WO1999051662A1 (fr) 1998-04-01 1999-10-14 Kaneg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Compositions de polyimides
KR100279043B1 (ko) * 1998-07-15 2001-01-15 윤종용 액정디스플레이용폴리말레이미드및폴리이미드광배향재
US6103322A (en) * 1998-12-23 2000-08-15 Elsicon Inc. Materials for inducing alignment of liquid crystals and liquid crystal optical elements
US6991834B1 (en) 1998-12-23 2006-01-31 Elsicon, Inc. Materials for inducing alignment of liquid crystals and liquid crystal optical elements
US7005165B2 (en) * 1998-12-23 2006-02-28 Elsicon, Inc. Photosensitive polyimides for optical alignment of liquid crystals
EP1016895A1 (en) * 1998-12-28 2000-07-05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JP3942063B2 (ja) * 1999-06-28 2007-07-11 株式会社カネカ 新規ポリイミド組成物およびこれに使用される新規酸二無水物
US6610462B1 (en) 1999-08-13 2003-08-26 Rolic Ag Liquid crystal alignment using photo-crosslinkable low molecular weight materials
US6194039B1 (en) * 1999-10-22 2001-02-27 Elsicon, Inc. Materials for inducing alignment in liquid crystals and liquid crystal displays
CN1152906C (zh) * 2000-01-24 2004-06-09 罗利克有限公司 带有侧链可光致交联基团的光活性聚酰亚胺、聚酰胺酸或其脂
KR20020001898A (ko) * 2000-03-29 2002-01-09 윤덕용 높은 선경사각 및 열안정성을 갖는 배향특성이 우수한액정 배향막 및 그 제조방법
JP4513191B2 (ja) * 2000-08-30 2010-07-28 チッソ株式会社 ポリアミド酸、ポリイミド、該ポリイミド膜を用いた液晶配向膜、および該配向膜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
EP1229066A1 (en) * 2001-02-05 2002-08-07 Rolic AG Photoactive polymer
JP4756296B2 (ja) * 2001-03-14 2011-08-24 Dic株式会社 マレイミド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光配向膜の製造方法
KR20050058041A (ko) * 2003-12-11 2005-06-1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컬러필터 기판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패널
KR101212135B1 (ko) * 2005-06-14 2012-1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DE602007009882D1 (de) * 2006-01-30 2010-12-02 Jsr Corp Flüssigkristallausrichtungsmittel, Ausrichtungsfolie und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KR100907818B1 (ko) * 2006-06-08 2009-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Tn-lcd 시야각 개선을 위한 일체형 o-필름, 이를포함하는 편광판 적층체 및 tn-lcd
TWI344032B (en) * 2006-09-07 2011-06-21 Taiwan Tft Lcd Ass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O2008078629A1 (ja) * 2006-12-27 2008-07-03 Sharp Kabushiki Kaisha 液晶表示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配向膜
JP2010507831A (ja) * 2007-04-23 2010-03-1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位相差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位相差フィルムを含む偏光板
EP2144951A1 (en) * 2007-05-02 2010-01-20 Rolic AG Thermally stable alignment materials
KR101082032B1 (ko) * 2008-01-18 2011-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079807B1 (ko) * 2008-08-18 2011-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노보넨계 단량체, 폴리노보넨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액정배향막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US20110164213A1 (en) * 2008-09-03 2011-07-07 Yohei Nakanishi Alignment film, alignment film materi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lignment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BRPI0921937A2 (pt) 2008-11-27 2016-01-05 Sharp Kk película de orientação, exibição de cristal líquido tendo película de orientação, e método para formar a película de orientação
KR101666622B1 (ko) * 2009-08-26 2016-10-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배향제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JP5668907B2 (ja) * 2009-12-25 2015-02-12 Jsr株式会社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および液晶表示素子
JP4944217B2 (ja) * 2010-03-09 2012-05-3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5842581B2 (ja) * 2011-12-06 2016-01-13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ジカルボン酸無水物及び製造法、液晶配向処理剤、液晶配向膜、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
JP5181066B2 (ja) * 2012-02-28 2013-04-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配向制御膜
JP6369014B2 (ja) * 2013-02-25 2018-08-08 Jsr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用組成物、並びに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1726A (en) * 1983-07-29 1985-12-31 At&T Bell Laboratories Alignment of ferroelectric LCDs
JP2777056B2 (ja) * 1993-05-20 1998-07-16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液晶セルの配向物質
US5578697A (en) * 1994-03-29 1996-11-26 Kabushiki Kaisha Toshiba Polyimide precursor, bismaleimide-based cured resin precursor and electronic parts having insulating members made from these precursors
KR100312150B1 (ko) * 1994-05-17 2001-12-28 마쯔모또 에이찌 액정배향제및액정표시소자
JPH08170002A (ja) * 1994-10-21 1996-07-02 Hoechst Japan Ltd 液晶表示素子用配向膜材料
JP3599815B2 (ja) * 1995-03-15 2004-12-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紫外線架橋化合物、液晶表示素子用配向膜及び液晶表示素子
KR0179115B1 (ko) * 1995-11-20 1999-05-01 구자홍 액정배향용 감광성물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151B1 (ko) * 2000-01-11 2002-08-09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자외선 광 배향성 고분자, 이로부터 형성된 배향막 및 이배향막을 채용하고 있는 액정표시소자
KR20040046229A (ko) * 2002-11-26 2004-06-05 한국화학연구원 감광성 투명 폴리아믹산 유도체와 폴리이미드계 수지
KR100750451B1 (ko) * 2002-12-09 2007-08-22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52990B1 (ko) * 2004-02-12 2006-02-17 한국화학연구원 전유기 박막트랜지스터 절연체용 저온경화형 감광성폴리이미드 수지
WO2009091225A3 (en) * 2008-01-18 2009-10-29 Lg Chem, Ltd. Composition for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preparation method of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using the same, and optical film comprising the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CN101918513A (zh) * 2008-01-18 2010-12-15 Lg化学株式会社 液晶取向层组合物、使用该组合物制备液晶取向层的方法、以及包含该液晶取向层的光学膜
CN101918513B (zh) * 2008-01-18 2013-05-08 Lg化学株式会社 液晶取向层组合物、使用该组合物制备液晶取向层的方法、以及包含该液晶取向层的光学膜
US8703253B2 (en) 2008-01-18 2014-04-22 Lg Chem, Ltd. Composition for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preparation method of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using the same, and optical film comprising the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76640A (en) 1999-11-02
MX9710340A (es) 1998-08-30
JPH10251513A (ja) 1998-09-22
CN1211606A (zh) 1999-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57660A (ko) 광배향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배향막과 이배향막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CN100437301C (zh) 光取向用液晶取向剂及使用它的液晶显示元件
US6048928A (en) Optical alignment polymer and optical alignment composition having the same
JP2011501208A (ja) 液晶光配向剤、これを含む液晶光配向膜、およ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US6066696A (en) Optical alignment composition, alignment layer formed using the same and LCD having the alignment layer
TWI648579B (zh) 化合物、聚合物、液晶配向劑、液晶配向膜以及液晶顯示元件
KR19980057674A (ko)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되는 배향막과 이 배향막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US6770335B2 (en) Photoalignment material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with said materials
KR100213178B1 (ko) 광배향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배향막 및이 배향막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KR100238161B1 (ko) 광배향성 고분자, 이로부터 형성된 배향막 및 이 배향막을 구비하고 있는 액정표시소자
KR100230436B1 (ko) 광배향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배향막 및이 배향막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KR20230002334A (ko)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 소자
US6793987B2 (en) Photoalignment materials and liquid crystal display fabricated with such photoalignment materials
KR100822499B1 (ko) 신규한 폴리이미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980010518A (ko)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US6005038A (en) Optical alignment composition, alignment layer formed using the same and LCD having the alignment layer
CN106398721B (zh) 液晶取向剂、液晶取向膜、液晶元件、液晶取向膜的制造方法、聚合物以及二胺
CN1187521A (zh) 光取向组合物,用该组合物形成的取向层和具有该取向层的lcd
JP2004524393A (ja) ポリイミドlcd配向膜
US11345856B2 (en) Liquid crystal aligning agent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using same, and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using same
KR19980057659A (ko) 광배향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배향막과 이배향막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KR19980057667A (ko) 광배향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배향막 및 이를 구비하고 있는 액정표시소자
KR19980057661A (ko) 광배향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배향막과 이배향막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KR100297500B1 (ko) 폴리이미드와 폴리비닐시나메이트의 블렌드를 이용한 액정 광배향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80057665A (ko) 광배향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배향막 및 이를 구비하고 있는 액정표시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0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12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30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