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636B1 - 옹벽구조 - Google Patents
옹벽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4636B1 KR102484636B1 KR1020210119461A KR20210119461A KR102484636B1 KR 102484636 B1 KR102484636 B1 KR 102484636B1 KR 1020210119461 A KR1020210119461 A KR 1020210119461A KR 20210119461 A KR20210119461 A KR 20210119461A KR 102484636 B1 KR102484636 B1 KR 1024846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geocell
- wall structure
- soil
- pill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7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6 geo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35 Galvanized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7 galvanized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3—Slurry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위 셀이 결합하여 구성된 지오셀을 상하로 적층하여 구성되며, 상층 지오셀의 일부 단위 셀과 하층 지오셀의 일부 단위 셀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기둥 요소를 이용하여 횡방향의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함으로써, 옹벽의 안정성과 견고함을 향상시킨 옹벽구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의 평면 방향 모식도 및 사시도 방향 모식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의 평면 방향 모식도 및 사시도 방향 모식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의 평면 방향 모식도, 사시도 방향 모식도 및 측면 방향 모식도,
도 4d 및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의 사시도 방향 모식도 및 측면 방향 모식도,
도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형상 저항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
도 4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그리드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의 평면 방향 모식도 및 측면 방향 모식도,
도 5c 및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형상 저항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방향 모식도 및 단면 방향 모식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의 평면 방향 모식도, 측면 방향 모식도 및 사시도 방향 모식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의 평면 방향 모식도 및 사시도 방향 모식도,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의 사시도 방향 모식도,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의 사시도 방향 모식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의 평면 방향 모식도 및 사시도 방향 모식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의 평면 방향 모식도 및 사시도 방향 모식도,
도 9c 및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의 평면 방향 모식도, 측면 방향 모식도 및 사시도 방향 모식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의 평면 방향 모식도 및 측면 방향 모식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의 평면 방향 모식도 및 측면 방향 모식도,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의 측면 방향 모식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요소의 평면 방향 모식도, 측면 방향 모식도 및 결합 상태의 측면 방향 모식도,
도 14a, 도 14b, 도 14c 및 도 1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의 평면 방향 모식도, 평면 방향 모식도, 측면 방향 모식도 및 기둥 요소의 결합 상태 모식도,
도 15a, 도 15b 및 도 1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의 평면 방향 모식도, 측면 방향 모식도 및 사시도 방향 모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요소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4: 기둥 요소
4a: 채움재
4a': 채움재(콘크리트, 시멘트 그라우팅 또는 소일 시멘트)
채움재
4s,4ps: 기둥 요소의 절개된 측면부
4u: 단위 기둥 요소
4u-1: 돌출부
4u-2: 요홈부
10: 지오셀
10': 상층 지오셀
10'': 하층 지오셀
12: 단위 셀
20: 블록 형상 저항체
30: 띠형 보강재
30a: 벤딩부
30b: 펼침부
40: 고정용 봉재
42: 커플러
50: 보강 철근
60: 횡방향 철근
70: 드레인보드 또는 다발관
102: 토목 경사면
104: 구멍
106: 그라우팅
120: 지지 플레이트
130: 지오그리드
150: 지지봉
160: 보조 횡방향 철근
230: 철근그리드
250: 보조 보강 철근
330: 후방용 철근
350: 강제 파일
430: 강판보강재
S,S': 토사
ST: 토사 적층체
Claims (38)
- 복수의 단위 셀이 결합하여 구성된 지오셀을 토목 경사면의 전방 측에 경사도를 갖도록 상하로 적층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오셀 내부에 토사 및 골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채워 설치한 지오셀 옹벽체; 및
상층 지오셀의 일부 단위 셀과 하층 지오셀의 일부 단위 셀을 관통하여 상기 지오셀 옹벽체와 동일한 경사도를 갖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된 하나 이상의 기둥 요소;를 포함하며,
각각의 층을 구성하는 상기 지오셀은 각각 수평 방향으로 펼친 상태에서 적층되고, 각각의 층을 구성하는 상기 지오셀을 상하로 적층하여 구성된 상기 지오셀 옹벽체가 경사도를 갖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지오셀 층에 있어서 가장 전면부에 위치하는 단위 셀들은 내부에 토사 및 골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매립된 상태로 상부면이 계단형으로 노출 상태를 이루며,
하나의 기둥 요소는 상층 지오셀의 미리 설정된 단위 셀 위치와 하층 지오셀의 미리 설정된 단위 셀 위치를 상하 관통하여 상기 지오셀 옹벽체의 상하 높이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요소는 채움재로 내부 공간의 채움이 이뤄지는 관형(管形)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는 토사 및 골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는 콘크리트, 시멘트 그라우팅 및 소일 시멘트(soil cement)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요소의 내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삽입 배치된 보강 철근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는 유공관(有孔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요소는 상기 지오셀 옹벽체 후면에 위치한 토사에 일부가 매립되어 토압과 마찰력을 받는 토목용 보강재로부터 후방을 향한 인장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용 보강재는 띠형 보강재이며,
상기 띠형 보강재가 상기 기둥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기둥 요소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요소는 2 이상이 횡방향을 따라 간격을 갖고 설치되고,
상기 토목용 보강재는 띠형 보강재이며,
상기 2 이상의 기둥 요소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횡방향 철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띠형 보강재가 감싸는 형태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용 보강재는 격자 형상의 네트 형태로 구성된 지오그리드이며,
상기 지오그리드가 상기 기둥 요소의 상하 분리된 부분을 통과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요소는, 내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보강 철근이 삽입 배치되고 채움재로 내부 공간의 채움이 이뤄진 관형(管形) 부재이며,
상기 보강 철근이 상기 지오그리드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격자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요소는, 골재를 포함하는 채움재로 내부 공간의 채움이 이뤄진 관형(管形) 부재이며,
상기 채움재를 통해 상기 지오그리드와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채움재를 구성하는 골재가 상기 지오그리드를 구성하는 격자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0항에 있어서,
내부에 토사 채움이 이뤄진 지오셀의 단위 셀 상부에 블록 형상 저항체가 적치되고,
상기 지오그리드는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지오셀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블록 형상 저항체의 전방측, 상부측 및 후방측을 감싸는 형태로 굴곡 변형되어 상기 블록 형상 저항체를 커버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0항에 있어서,
토목 경사면에 천공(穿孔)된 구멍에 그라우팅으로 고정되며 상기 구멍 외부로 일단부가 노출된 2 이상의 고정용 봉재가 설치되며,
상기 지오그리드는 서로 다른 상하 위치에 설치된 상측 지오그리드의 펼침부의 후단부와 하측 지오그리드의 펼침부의 후단부가 연결부를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된 형태를 이루고,
상기 연결부의 전방측을 가로 질러 설치된 지지봉의 일단부가 하나의 고정용 봉재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봉의 타단부가 또다른 하나의 고정용 봉재에 결합되어, 상기 상측 지오그리드의 펼침부와 하측 지오그리드의 펼침부가 상기 지지봉을 개재하여 상기 고정용 봉재로부터 인장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용 보강재는 격자 형상으로 철근이 배치되어 결합된 철근그리드이며,
횡방향을 따라 간격을 갖고 설치된 2 이상의 기둥 요소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횡방향 철근에 상기 철근그리드의 전단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요소는 채움재로 내부 공간의 채움이 가능한 관형(管形) 부재이며,
토목 경사면에 천공(穿孔)된 구멍에 그라우팅으로 고정되며 상기 구멍 외부로 일단부가 노출된 고정용 봉재가 설치되며,
상기 기둥 요소를 관통하여 삽입된 상기 고정용 봉재의 일단부가 기둥 요소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 플레이트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봉재는 2 이상의 봉재 요소가 커플러를 통해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요소는, 상기 지오셀 옹벽체 후면에 위치한 토사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둥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기둥 요소에 결합되는 후방용 철근에 의해 후방을 향한 인장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용 철근의 후단부에 지지 플레이트가 체결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지오셀 옹벽체 후면에 위치한 토사에 매립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8항에 있어서,
토목 경사면에 천공(穿孔)된 구멍에 그라우팅으로 고정되며 상기 구멍 외부로 일단부가 노출된 고정용 봉재가 설치되며,
상기 후방용 철근의 후단부가 커플러를 통해 상기 고정용 봉재에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요소는,
채움재로 내부 공간의 채움이 가능한 관형(管形) 부재이고, 상기 기둥 요소의 내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삽입 배치된 보강 철근을 구비하며,
상기 지오셀 옹벽체 후면에 위치한 토사 측으로 후단부가 연장되며 상기 기둥 요소를 관통하여 상기 기둥 요소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보강 철근에 전단부가 결합되는 밴드 형태의 강판보강재에 의해 후방을 향한 인장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요소는 2 이상이 횡방향을 따라 간격을 갖고 설치되고,
상기 2 이상의 기둥 요소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횡방향 철근이 설치되며,
상기 지오셀 옹벽체 후면에 위치한 토사 측으로 후단부가 연장되는 밴드 형태의 강판보강재의 전단부에 상기 횡방향 철근이 결합되어, 상기 강판보강재에 의해 후방을 향한 인장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셀 옹벽체는, 토사 적층체의 일측의 토목 경사면의 전방에 위치한 제1 지오셀 옹벽체와 토사 적층체의 타측의 토목 경사면의 전방에 위치한 제2 지오셀 옹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 요소는, 상기 제1 지오셀 옹벽체의 상층 지오셀의 일부 단위 셀과 하층 지오셀의 일부 단위 셀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 기둥 요소와 상기 제2 지오셀 옹벽체의 상층 지오셀의 일부 단위 셀과 하층 지오셀의 일부 단위 셀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2 기둥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둥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1 기둥 요소에 결합한 띠형 보강재가 상기 토사 적층체를 통과하여 상기 제2 기둥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2 기둥 요소에 결합하여, 상기 제1 기둥 요소 및 상기 제2 기둥 요소가 상기 토사 적층체를 향한 인장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요소는 2 이상이 횡방향을 따라 간격을 갖고 설치되고,
상기 2 이상의 기둥 요소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횡방향 철근이 설치되며,
상기 횡방향 철근과 또다른 각도의 횡방향으로 배치된 보조 횡방향 철근이 상기 횡방향 철근에 결합되고,
상기 횡방향 철근 및 보조 횡방향 철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토목 경사면에 천공(穿孔)된 구멍에 그라우팅으로 고정되며 상기 구멍 외부로 일단부가 노출된 고정용 봉재에 결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철근 및 보조 횡방향 철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되는 위치에 있는 단위 셀의 내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삽입 배치된 보조 보강 철근을 구비하며,
상기 보조 보강 철근은 상기 횡방향 철근 및 보조 횡방향 철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상기 보조 보강 철근이 상하 방향을 따라 삽입 배치된 단위 셀의 내부에 콘크리트, 시멘트 그라우팅 및 소일 시멘트(soil cement)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채움재로 내부 공간의 채움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셀 옹벽체는, 서로 다른 높이로 적층된 2 이상의 단위 지오셀 옹벽체가 연접하여 이뤄진 중력식 옹벽체이며,
상기 기둥 요소는 각각의 단위 지오셀 옹벽체별로 별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요소는 2 이상의 단위 기둥 요소가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단위 기둥 요소는 미리 설정된 높이로 제작되며 일측 단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요소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삽입 배치된 보강 철근이 구비되며,
상기 기둥 요소의 하부에는 하부 지반에 천공 삽입된 강제 파일 또는 강관이 구비되며,
상기 보강 철근이 상기 강제 파일 또는 강관에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요소는 2 이상이 횡방향을 따라 간격을 갖고 설치되고,
상기 2 이상의 기둥 요소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횡방향 철근이 설치되며,
하부 지반에 천공 삽입된 강제 파일 또는 강관이 구비되고,
상기 횡방향 철근이 상기 강제 파일 또는 강관에 관통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요소는 2 이상이 횡방향을 따라 간격을 갖고 설치되며,
상기 기둥 요소의 내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삽입 배치된 보강 철근이 구비되고,
하부 지반에 천공 삽입되며 상기 기둥 요소의 내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삽입 배치된 강제 파일이 구비되며,
상기 2 이상의 기둥 요소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횡방향 철근이 상기 보강 철근 및 강제 파일 중의 적어도 하나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요소는 관형(管形) 부재로서 골재로 내부 공간의 채움이 이뤄지며,
상기 기둥 요소의 절개된 측면부를 통해 삽입 설치된 드레인보드 또는 다발관이 상층 지오셀의 일부 단위 셀과 하층 지오셀의 일부 단위 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둥 요소의 내부에 저장된 수분이 상기 드레인보드 또는 다발관을 통해 지오셀 옹벽체에 공급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요소는,
채움재로 내부 공간의 채움이 가능한 관형(管形) 부재이고, 상기 기둥 요소의 내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삽입 배치된 보강 철근을 구비하며,
상기 지오셀 옹벽체 후면에 위치한 토사 측으로 후단부가 연장되며 상기 기둥 요소를 관통하여 상기 기둥 요소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보강 철근에 결합되는 토목보강재에 의해 후방을 향한 인장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요소는 2 이상이 횡방향을 따라 간격을 갖고 설치되고,
상기 2 이상의 기둥 요소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횡방향 철근이 설치되며,
상기 지오셀 옹벽체 후면에 위치한 토사 측으로 후단부가 연장되는 토목보강재에 상기 횡방향 철근이 결합되어, 상기 토목보강재에 의해 후방을 향한 인장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토목 경사면에 천공(穿孔)된 구멍에 그라우팅으로 고정되며 상기 구멍 외부로 일단부가 노출된 고정용 봉재가 설치되며,
상기 기둥 요소는 상기 고정용 봉재에 기초하여 후방을 향한 인장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요소는 2 이상이 횡방향을 따라 간격을 갖고 설치되고,
토목 경사면에 천공(穿孔)된 구멍에 그라우팅으로 고정되며 상기 구멍 외부로 일단부가 노출된 고정용 봉재가 설치되며,
상기 2 이상의 기둥 요소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횡방향 철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고정용 봉재에 기초하여 후방을 향한 인장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셀 옹벽체 후면에 위치한 토사에 일부가 매립되고 토사의 토압과 마찰력에 기초하여 후방을 향한 인장력을 제공받는 토목용 보강재가 설치되며,
상기 토목용 보강재의 전방 측 일부가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지오셀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용 보강재는 띠형 보강재이며,
내부에 토사 채움이 이뤄진 지오셀의 단위 셀 상부에 블록 형상 저항체가 적치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가 상기 블록 형상 저항체의 전방측 및 좌우측을 감싸는 상태를 이루는 벤딩부와 상기 토목 경사면 측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펼쳐진 상태를 이루는 펼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벤딩부가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지오셀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용 보강재는 격자 형상의 네트 형태로 구성된 지오그리드이며,
내부에 토사 채움이 이뤄진 지오셀의 단위 셀 상부에 블록 형상 저항체가 적치되고,
상기 지오그리드는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지오셀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블록 형상 저항체의 전방측, 상부측 및 후방측을 감싸는 형태로 굴곡 변형되어 상기 블록 형상 저항체를 커버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9461A KR102484636B1 (ko) | 2021-09-08 | 2021-09-08 | 옹벽구조 |
PCT/KR2022/013495 WO2023038449A1 (ko) | 2021-09-08 | 2022-09-07 | 옹벽구조 |
KR1020220190646A KR20230037004A (ko) | 2021-09-08 | 2022-12-30 | 옹벽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9461A KR102484636B1 (ko) | 2021-09-08 | 2021-09-08 | 옹벽구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90646A Division KR20230037004A (ko) | 2021-09-08 | 2022-12-30 | 옹벽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84636B1 true KR102484636B1 (ko) | 2023-01-03 |
Family
ID=849245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9461A Active KR102484636B1 (ko) | 2021-09-08 | 2021-09-08 | 옹벽구조 |
KR1020220190646A Pending KR20230037004A (ko) | 2021-09-08 | 2022-12-30 | 옹벽구조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90646A Pending KR20230037004A (ko) | 2021-09-08 | 2022-12-30 | 옹벽구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2) | KR102484636B1 (ko) |
WO (1) | WO2023038449A1 (ko)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42117A (ja) * | 1987-11-26 | 1989-06-05 | Penta Ocean Constr Co Ltd | 軽量盛土工法 |
JPH032417A (ja) * | 1989-05-31 | 1991-01-08 | Kyokado Eng Co Ltd | 補強土擁壁工法 |
KR200219072Y1 (ko) * | 2000-10-16 | 2001-04-02 | 한기만 | 폐타이어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사면안정구조 |
JP2001311168A (ja) * | 2000-04-26 | 2001-11-09 | Modern Material:Kk | 土留擁壁 |
KR100662011B1 (ko) * | 2005-09-02 | 2006-12-28 | (주)현이앤씨 | 보강스트립을 이용한 하천 호안보호공의 시공방법 |
JP2008138446A (ja) * | 2006-12-01 | 2008-06-19 | Tokyo Printing Ink Mfg Co Ltd | 擁壁の構築方法 |
KR100998502B1 (ko) * | 2010-06-11 | 2010-12-07 | (주)대우건설 | 전단키와 강관을 구비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 |
KR20130003008U (ko) * | 2013-04-15 | 2013-05-22 | 정종근 | 띠형 유리섬유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 |
KR102010575B1 (ko) | 2018-10-31 | 2019-08-13 | 타스산업개발(주) | 옹벽 설치 방법 |
KR102066728B1 (ko) | 2019-05-02 | 2020-01-15 | 타스산업개발(주) | 옹벽 설치용 기구 |
KR102132732B1 (ko) | 2019-09-03 | 2020-07-10 | 타스산업개발(주) | 블록 형상 저항체 및 띠형 보강재를 이용한 옹벽 설치용 기구, 이를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1917B1 (ko) * | 2012-03-20 | 2012-11-15 | 이상헌 | 패널, 이 패널을 이용한 펜스, 이 펜스 시공방법, 이 펜스를 이용한 혼합토 성토구조물 시공방법 |
-
2021
- 2021-09-08 KR KR1020210119461A patent/KR102484636B1/ko active Active
-
2022
- 2022-09-07 WO PCT/KR2022/013495 patent/WO202303844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12-30 KR KR1020220190646A patent/KR20230037004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42117A (ja) * | 1987-11-26 | 1989-06-05 | Penta Ocean Constr Co Ltd | 軽量盛土工法 |
JPH032417A (ja) * | 1989-05-31 | 1991-01-08 | Kyokado Eng Co Ltd | 補強土擁壁工法 |
JP2001311168A (ja) * | 2000-04-26 | 2001-11-09 | Modern Material:Kk | 土留擁壁 |
KR200219072Y1 (ko) * | 2000-10-16 | 2001-04-02 | 한기만 | 폐타이어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사면안정구조 |
KR100662011B1 (ko) * | 2005-09-02 | 2006-12-28 | (주)현이앤씨 | 보강스트립을 이용한 하천 호안보호공의 시공방법 |
JP2008138446A (ja) * | 2006-12-01 | 2008-06-19 | Tokyo Printing Ink Mfg Co Ltd | 擁壁の構築方法 |
KR100998502B1 (ko) * | 2010-06-11 | 2010-12-07 | (주)대우건설 | 전단키와 강관을 구비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 |
KR20130003008U (ko) * | 2013-04-15 | 2013-05-22 | 정종근 | 띠형 유리섬유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 |
KR102010575B1 (ko) | 2018-10-31 | 2019-08-13 | 타스산업개발(주) | 옹벽 설치 방법 |
KR102066728B1 (ko) | 2019-05-02 | 2020-01-15 | 타스산업개발(주) | 옹벽 설치용 기구 |
KR102132732B1 (ko) | 2019-09-03 | 2020-07-10 | 타스산업개발(주) | 블록 형상 저항체 및 띠형 보강재를 이용한 옹벽 설치용 기구, 이를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7004A (ko) | 2023-03-15 |
WO2023038449A1 (ko) | 2023-03-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975237C (en) | A retaining wall method of precast block to prevent landslide | |
KR200185875Y1 (ko) |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 |
CN102966119A (zh) | 土工格栅加筋墙体及其施工方法 | |
KR20090093556A (ko) | 벽체를 이루는 패널과 강성 벽체구조 및 이를 이용한보강토 옹벽 | |
KR101077949B1 (ko) |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 방법 | |
JP2007530833A (ja) | 補強土擁壁システム及び構築方法 | |
KR102395328B1 (ko) | 패널을 이용한 성토부 옹벽 구조 및 성토부 옹벽 시공방법 | |
KR101633853B1 (ko) | 토압 저항력과 구조 일체화가 개선된 옹벽 시공용 친환경 개비블럭 | |
KR100660379B1 (ko) |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 |
KR100889257B1 (ko) | 옹벽 전면의 녹화를 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 |
KR102484636B1 (ko) | 옹벽구조 | |
KR102194293B1 (ko) | 옹벽구조물 | |
CN213173779U (zh) | 一种路堑边坡的防护结构 | |
JP2003003474A (ja) | 補強土構造物および補強土ブロック | |
CN212452702U (zh) | 一种可拼装的三维网状加筋带柔性支挡结构 | |
KR101508591B1 (ko) | 강화 옹벽을 위한 친환경 옹벽프레임과 이를 위한 식생형 옹벽 시공방법 | |
KR101012653B1 (ko) |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0725274B1 (ko) | 사면보강용 격자구조틀 | |
JP3665896B2 (ja) | 補強盛土堤体とその施工方法 | |
JP7109840B1 (ja) | 盛土補強壁及び盛土補強壁の構築方法 | |
KR102334837B1 (ko) | 옹벽구조물 | |
JP3643114B2 (ja) | 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擁壁及び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擁壁の構築方法 | |
KR102755450B1 (ko) |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 | |
JPH0757954B2 (ja) | 定着部一体型ジオテキスタイ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急勾配盛土 | |
KR100641265B1 (ko) | 조립식 목재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9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