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94293B1 - 옹벽구조물 - Google Patents

옹벽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293B1
KR102194293B1 KR1020180070193A KR20180070193A KR102194293B1 KR 102194293 B1 KR102194293 B1 KR 102194293B1 KR 1020180070193 A KR1020180070193 A KR 1020180070193A KR 20180070193 A KR20180070193 A KR 20180070193A KR 102194293 B1 KR102194293 B1 KR 102194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coupling
horizontal
building unit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2927A (ko
Inventor
김헌수
Original Assignee
김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수 filed Critical 김헌수
Priority to KR1020180070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293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2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옹벽구조물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한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을 포함하는 수평측 축조유닛; 상기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의 상부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수직측 축조유닛;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의 일면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 내로 삽입 및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수평측 축조유닛들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수평측 축조유닛과 상기 수직측 축조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상기 결합부재에 삽입 또는 결합되도록 구성된 결합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옹벽구조물{Breast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옹벽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내부에 흙, 모래와 모종이 삽입된 복수의 축조유닛을 연결하여 맞물린 옹벽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도로 변이나 혹은 산 기슭 등과 같이 토양의 압력에 의해 토양이 무너지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는 지역에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여 그 견고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현재 옹벽의 설치 방식과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가장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시공 지점 상에 강철망을 설치한 후, 다시 혼합된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이를 고형화시키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그 시공 규모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시공의 난이도 역시 높고, 또한 혼합된 콘크리트가 고형화되는 시간이 비교적 길기 때문에 시공 기한이 길어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외에도 콘크리트로 제작된 옹벽구조는 토양을 덮는데 제한을 받으며, 바람이나 물의 침습으로 인해 유실되기가 싶고, 또한 환경녹화의 효율성 역시 매우 낮으며, 더 나아가 토양을 제대로 보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기존의 옹벽구조가 지닌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재는 부대자루를 쌓아 올려 옹벽을 완성하는 방법이 자주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의 경우, 상기 부대자루에 모래/흙 등을 채워 넣은 후, 이것을 세로 혹은 가로로 서로 연결하여 쌓아 올려 옹벽을 완성하는 구조이며, 이때 서로 인접한 부대자루 사이에 연결고정부품을 설치하여, 부대자루가 서로 미끄러지지 않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연결고정부품을 이용해 서로 인접한 부대자루를 연결 고정시켜 완성한 옹벽구조가 거센 비바람을 견딜 만큼의 강도를 갖추지 못하고, 황사 현상과 같은 사풍(모래 바람) 등과 같은 열악한 환경 하에서는 벽체가 쉽게 훼손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특허문헌 1) CN2006200547368 Z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흙이나 모래가 채워진 복수의 축조 구조의 강도가 향상된 옹벽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흙이나 모래가 채워진 토낭을 이용하여 옹벽구조물을 축조할 때에, 토낭들 사이의 결합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토낭들의 구조물을 제 1 옹벽으로 하고, 토낭 뒤의 쇄석층 또는 현장토 등의 보강토를 제 2 옹벽이라 할 경우에 제 1 옹벽과 제 2 옹벽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는 스트립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옹벽구조물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한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을 포함하는 수평측 축조유닛; 상기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의 상부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수직측 축조유닛;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의 일면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 내로 삽입 및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수평측 축조유닛들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수평측 축조유닛과 상기 수직측 축조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상기 결합부재에 삽입 또는 결합되도록 구성된 결합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옹벽구조물은 복수의 축조유닛들로 이루어진 제 1 옹벽과, 상기 제 1 옹벽 후방에 배치되어 쇄석층 또는 현장토를 포함하는 제 2 옹벽으로 이루어진 옹벽 구조물로서, 상기 제 1 옹벽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의 상부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수직측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의 일면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제 1 옹벽의 전방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 내로 삽입 및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옹벽은 자갈을 포함하는 쇄석층과, 상기 쇄석층 상측에 축조되는 현장토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축조유닛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에 연결 또는 결합되고, 상기 제 2 옹벽의 현장토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스트레이트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옹벽구조물은 복수의 축조유닛들로 이루어진 제 1 옹벽과, 상기 제 1 옹벽 후방에 배치되어 쇄석층 또는 현장토를 포함하는 제 2 옹벽으로 이루어진 옹벽 구조물로서,
상기 제 1 옹벽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의 상부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수직측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의 일면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제 1 옹벽의 전방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 내로 삽입 및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옹벽은 자갈을 포함하는 쇄석층과, 상기 쇄석층 상측에 축조되는 현장토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축조유닛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제 1 옹벽과 제 2 옹벽의 외주면따라 상기 제 1 옹벽 및 제 2 옹벽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올어라운드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축조유닛을 고정하는 결합부재가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한 축조유닛을 동시에 결속할 수 있게 되어 옹벽의 면을 이루는 견고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축조유닛 사이에 위치한 결합안내부재와 축조유닛을 결속하는 결합부재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결합부재를 고정력을 향상시켜 옹벽을 이루는 축조유닛의 견고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올어라운드 스트립과 스트레이트 스트립이 결합부재를 통하여 토낭들과 현장토 사이의 연결/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체적인 옹벽의 강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물이다.
도 3은 도 2의 수평측 축조유닛 상에 제 1 실시예의 결합안내부재가 안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옹벽에 결합부재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결합안내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결합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변형예의 결합안내부재가 설치된 옹벽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물이다.
도 10은 도 9의 수평측 축조유닛에 제 2 실시예의 결합안내부재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옹벽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스트레이트 스트립을 결합할 수 있는 연결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라 축조유닛인 토낭과 현장토를 연결하는 스트레이트 스트립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트레이트 스트립을 구성시키는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와 스트레이트 스트립 사이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는 본 실시예에 따라 올어라운드 스트립을 결합할 수 있는 연결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라 축조유닛인 토낭과 현장토 등의 외곽을 둘러싸는 스트레이트 스트립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올어라운드 스트립을 결합부재 통과하여 연결되는 다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올어라운드 스트립을 제 1 옹벽의 전방에서 결합 또는 연결되는 구성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물이고, 도 2는 도 1의 국부를 확대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수평측 축조유닛 상에 제 1 실시예의 결합안내부재가 안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옹벽에 결합부재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도 1의 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물은 복수의 수평측 축조유닛(11), 복수의 수직측 축조유닛(11c), 결합부재(20) 및 결합안내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측 축조유닛(11)은 지면(12) 상에 쌓여진 다수의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이고, 수직측 축조유닛(11c)은 수평측 축조유닛(11) 상에 쌓여진 다수의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이다. 이러한 축조유닛(11)은 내구성이 있는 지오텍스타일(geotextile) 재료와, 물이 축조유닛(11)을 통과하여 흘러 들어올 수 있고, 씨가 발아할 수 있는 재질의 직물로 만들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축조유닛은 흙이나 모래가 채워진 토낭으로 이해하여도 좋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한 쌍의 수평측 축조유닛(11)과 상기 한 쌍의 수평측 축조유닛(11) 상에 위치한 수직측 축조유닛(11c)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부재(20)는 상기 한 쌍의 수평측 축조유닛(11)은 서로 인접한 제 1 수평측 축조유닛(11a)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b) 및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 상에 배치된 수직측 축조유닛(11c)의 각 일 면에 끼움되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과 수직측 축조유닛(11c)을 동시에 결속한다.
즉,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 상에 수직측 축조유닛(11c)이 배치되면, 결합부재(20)는 결합부재(20)의 일 면에 형성된 결합 돌출부(24)가 옹벽의 면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과 수직측 축조유닛(11c)의 각 일 면을 관통하여 옹벽의 면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때, 결합부재(20)와 축조유닛(11)들 사이의 결합 고정력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과 수직측 축조유닛(11c)의 사이에 결합안내부재(30)가 배치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이 지면(12) 상에 배치되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 상에 결합안내부재(30)가 안착된다. 이후,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과 결합안내부재(30) 상에 수직측 축조유닛(11c)이 위치한다. 이때, 결합안내부재(30)의 일 단은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과 수직측 축조유닛(11c)의 전면에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데, 결합안내부재(30) 일부가 상기 결합부재(20)를 통과 또는 삽입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안내부재(30)가 축조유닛(11)들 사이에 배치되면 결합부재(20)의 결합홀(22)을 통해 결합안내부재(30)의 일 단을 관통시킨다. 이때, 결합안내부재(30)과 결합부재(20)는 억지 끼움되어 별도의 고정 부재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20)가 축조유닛(11)들의 일 면과 접할 때까지 결합부재(20)를 축조유닛(11)들을 향해 밀어낸다. 이와 같이 결합부재(20)를 축조유닛(11)들의 일 면을 향해 밀어내면 결합부재(20)의 결합돌기(32)가 각 축조유닛(11)들의 일 면을 관통하고, 각 축조유닛(11)들의 일 면을 관통한 결합돌기(32)는 축조유닛(11) 내부의 흙이나 모래와 결속되며 지면(12)에 축조된 축조유닛(11)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른 결합부재(20)를 살펴보면, 결합부재(20)는 바디(26), 결합홀(22), 결합 돌출부(24)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26)는 결합부재(20)가 옹벽 면에 설치될 때,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과 수직측 축조유닛(11c)의 일 면과 면접하는 구성이다.
상기 결합홀(22)은 바디(26)에 형성되고, 전술한 결합안내부재(30)의 일 단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때, 결합안내부재(30)가 결합홀(22)에 억지 끼움되게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결합홀(22)은 결합안내부재(30)의 단면의 너비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되고, 결합안내부재(30)의 단면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 돌출부(24)는 바디(26)를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과 수직측 축조유닛(11c)의 일 면과 접하면 축조유닛(11)들 일 면을 관통하여 축조유닛(11) 내부로 삽입되는 구성이다. 상기 축조유닛(11)는 직물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 돌출부(24)는 축조유닛(11)을 표면을 관통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보다 쉽게 축조유닛(11) 표면을 관통하도록 축조유닛(11) 표면을 향하는 단부가 첨단(尖端)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결합 돌출부(24)의 형상, 길이 등을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재(20)의 결합홀(22)에 끼움, 장착되는 결합안내부재(30)는 복수의 결합돌기(32)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돌기(32)는 결합안내부재(30)의 외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재(20)가 끼움될 때, 결합홀(22)의 내면과 접하여 결합부재(20)와 결합안내부재(30) 사이의 결속력을 증가시키게 한다.
이때, 결합돌기(32)는 결합안내부재(30)의 단부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안내부재(30)는 결합안내부재(30)의 일 단이 축조유닛(11)들의 일 면과 멀어지게 배치되고, 결합부재(20)의 결합홀(22)에 끼움되며 결합부재(20)와 결속되는 구조이므로 결합부재(20)와의 결속 향상을 위해서 결합돌기(32)는 결합안내부재(30)의 일 단 중심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결합돌기(32)는 결합안내부재(30)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안내부재(30)를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 상에 위치할 때, 방향에 관계없이 안착시켜도 결합부재(20)를 결합안내부재(30)와 결속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옹벽구조물의 결합안내부재(30)는 원형의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부재(20)의 결합홀(22)은 결합안내부재(30)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의 홀로 형성된 예를 들지만 다르게는 결합안내부재(30)가 삼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홀(22)이 삼각홀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성의 옹벽구조물에 의해 축조유닛을 고정하는 결합부재가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한 축조유닛을 동시에 결속할 수 있게 되어 옹벽의 면을 이루는 견고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축조유닛 사이에 위치한 결합안내부재와 축조유닛을 결속하는 결합부재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결합부재를 고정력을 향상시켜 옹벽을 이루는 축조유닛의 견고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도 1의 결합안내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결합안내부재(30)는 제 1 수평측 축조유닛(11a)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b) 사이에 개재되되,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의 전, 후 방향(도 2의 방향축 참고)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결합안내부재(30)에 의하여, 결합부재(20)가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과 수직측 축조유닛(11)의 전면 방향 및 후면 방향 모두에서 모두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7은 도 1의 결합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변형예의 결합안내부재가 설치된 옹벽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결합부재(20)는 바디(26) 내면은 바디(26) 외면과 바디(26) 내부 중심을 연결하는 복수의 내벽(25)으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이때, 내벽(25)과 인접한 서로 다른 내벽 사이는 홀(28)로 형성되어 변형된 결합부재(20)가 축조유닛(11)들의 일 면에 설치되면 축조유닛(11)들 내부에 발아 가능한 씨가 상기 홀(28)을 관통하여 옹벽 외면으로 식물의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물이고, 도 10은 도 9의 수평측 축조유닛에 제 2 실시예의 결합안내부재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9 및 도 10의 설명에 앞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도면 부호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도면 부호가 동일한 경우 동일 구성이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물의 결합안내부재(30A)는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이 마주하는 측면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결합안내부재(30A)는 제 1 수평측 축조유닛(11a)의 일 측면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b)의 일 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사각 형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결합안내부재(30A)의 일 단은 전술한 옹벽구조물의 제 1 실시예의 바(bar) 형상의 결합안내부재(30A)와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의 일 면에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결합안내부재(30A)가 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결합부재(20)의 결합홀(22A)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안내부재(30A)의 표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32)가 형성되어 결합부재(20)의 결합 시, 두 부재의 결합 고정력이 향상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결합안내부재(30A)는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의 전, 후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예를 들지만 앞서 설명된 제 1 실시예의 결합안내부재(30)과 같이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의 전, 후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11a, 11b)과 수직측 축조유닛(11c)의 전면 및 후면 모두에서 결합안내부재(30A)가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옹벽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물은 토낭들로 이루어진 축조유닛들과, 그 축조유닛들 후방에 배치되는 현장토 사이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는 구조물이다.
즉, 옹벽구조물로서 부하를 견뎌내기 위하여 토낭 등의 축조유닛끼리의 결합에 더하여, 축조유닛 후방에 축조되는 현장토 등의 구조물과도 그 결합을 더욱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토낭인 축조유닛들로 구성된 옹벽을 제 1 옹벽(A)이라고 하고, 현장에서 시공되는 쇄석층이나 현장토를 쌓아올리는 옹벽을 제 2 옹벽(B)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옹벽 구조물의 경우, 토낭들 사이를 델타모양 결합(즉, 제 1층의 축조유닛들과, 그 위 제 2 층의 축조유닛 사이에 연결부재에 의하여 삼각형상의 델타 모양으로 결합이 이루어짐)시키기 위하여 연결부재를 이용해서 제 2 옹벽의 쇄석층 또는 현장토와 결합할 수 있다.
상세히,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옹벽구조물은 흙자루 또는 모래자루로 이루어진 축조유닛들이 복수개 쌓여서 만들어진 제 1 옹벽(A)과, 상기 제 1 옹벽(A)의 후방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토층을 포함하는 제 2 옹벽(B)을 포함한다.
제 2 옹벽(B)의 경우, 토낭 등의 축조유닛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할 때 경사면을 깎아 현장토나 석쇄들을 쌓아 올린 것에 해당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제 2 옹벽(B)을 토낭 등의 축조유닛과 긴밀히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제 2 옹벽(B)은 축조하고자 하는 옹벽구조물의 지형에 따라 다양하게 축조될 수 있겠지만, 배수를 위하여 최하층은 자갈 등의 석쇄층(101)으로 구성되고, 상기 석쇄층(101)의 상부에는 석쇄층(101) 내부로 이물질 등의 배수를 방해하는 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부직포 배수층(100)이 구성된다.
특히, 상기 부직포 배수층(100)은 제 2 옹벽으로 스며드는 물이 옹벽의 측방향으로 배수되는 것을 돕는다. 제 1 옹벽의 전면을 전방, 제 1 옹벽의 후방에 제 2 옹벽이 위치한다고 할 때에, 부직포 배수층(100)에 의하여 제 2 옹벽으로 스며든 물은 전방과 후방이 아닌 측방향으로 배수된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 배수층(100)은 제 2 옹벽을 구성하는 보강토(쇄석층, 현장토 등)를 축조할 때에 견고한 다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쇄석층 위에 현장토를 축조할 때에, 쇄석층 위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배수층을 배치시키고, 그 위에 현장토를 쌓아올리게 되면, 쇄석층 보다 부피가 작은 현장토가 쇄석층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부직포 배수층이 막아주기 때문이다.
상기 부직포 배수층(100)은 배면수압의 증가를 억제하고, 기존의 옹벽구조물에서 사용하는 지오그리드를 대신할 수 있으며, 배수성 역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직포 배수층(100) 상에 다져지는 현장토(102)는 현장 상황에 따라 몇차례 다짐을 반복하면서 현장토를 쌓아갈 수 있으며, 제 1 옹벽(A)의 축조유닛들과 제 2 옹벽(B)의 결합이 긴밀하도록 하는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에 의하여 현장토(102)가 둘러쌓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옹벽(B)에는 상기 올어라운드 스트립(200)과 함께 현장토 또는 석쇄층 등의 제 2 옹벽을 구성하는 재료와 축조유닛을 결합시키는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이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올어라운드 스트립(200)과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에 대해서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실시예의 부직포 배수층(100)은 올어라운트 스트립(200)과 스트레이트 스트립(300) 위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현장토의 축조시 현장토 다짐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배수에도 용이해진다.
상기 제 2 옹벽(B)과 제 1 옹벽(A)을 상호 결합시키는 올어라운드 스트립(200)과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스트레이트 스트립을 결합할 수 있는 연결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라 축조유닛인 토낭과 현장토를 연결하는 스트레이트 스트립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은 결합부재(20)를 통하여 제 1 옹벽의 토낭과, 제 2 옹벽의 현장토 등을 결합한다. 상기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현장에서 축조유닛과, 현장토를 쌓아올리면서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을 연결부재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의 결합부재(20)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26)와, 상기 바디(26)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축조유닛인 토낭을 뚫어서 그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 돌출부(24)와, 상기 바디(26)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립 체결홀(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20)에는 앞서 설명한 결합안내부재(20)가 통과할 수 있는 결합홀(22)이 더 형성된다.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은 시공 현장에서 상기 결합부재(20)를 제 1 층의 축조유닛과, 제 2 층의 축조유닛의 전면에 결합/삽입시키는 때에 상기 스트립 체결홀(40)로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을 통과시킨다.
상기 스트립 체결홀(40)을 통과시킨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의 양단은 별도의 체결부재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에 의해 현장토 일부가 감싸지도록 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결합부재(20)를 통하여 상하층의 축조유닛들이 상호 결합되고,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에 의하여 현장토과 축조유닛 사이의 결합/밀집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서, 옹벽구조물의 전문을 구성하는 토낭의 축조유닛들이 그들 사이의 결합 뿐만 아니라, 현장토 내지는 석쇄층 등의 후면의 구조물과도 연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등침하의 경우 뿐만 아니라 전방으로의 붕괴력이 발생하더라도 견고한 옹벽구조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존의 지오그리드를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할 필요가 없으며, 부직포 배수층에 의하여 옹벽(제 2 옹벽)의 견고한 축조 및 원활한 배수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하나의 결합부재(20)에 하나의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이 상호 연결되어, 제 1 옹벽과 제 2 옹벽 사이의 긴밀한 밀집력이 달성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옹벽의 토낭에 장착된 결합부재들 중 선택적으로 일부의 결합부재에만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이 결합될 수 있다. 옹벽구조물이 축조되는 지반의 상태, 제 2 옹벽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모든 결합부재가 아닌 일부 결합부재들에만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이 연결/결합될 수 있다.
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결합부재들 모두에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이 연결/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와 스트레이트 스트립 사이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의 경우와 같이, 실시예의 결합부재(20)는 도 12의 경우와 달리 스트레이트 체결홀이 결합부재에 형성되지 않고, 결합부재에 결합안내부재가 끼워지도록 하는 결합홀(22) 내에 걸림 바(5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2 옹벽의 보강토(현장토 등) 내에 위치하게 되는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은 상기 걸림 바(50)에 연결됨으로써, 스트레이트 스트립(300)과 결합부재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반면, 도 12의 스트립 체결홀(40)이나 도 16의 걸림 바(50)와 같은 별도의 구성이 결합부재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스트레이트 스트립(30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안내부재 등 별도의 부재와 결합하도록 하기 위한 결합홀(22)이 형성된 결합부재의 경우, 그 바디의 일부분(26a)에 스트레이트 스트립(300)이 통과하여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결합부재 바디의 일부분을 경유하도록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라 올어라운드 스트립을 결합할 수 있는 연결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라 축조유닛인 토낭과 현장토 등의 외곽을 둘러싸는 스트레이트 스트립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은 결합부재(20)를 통하여 제 1 옹벽의 토낭과, 제 2 옹벽의 현장토 등을 결합하며, 특히,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은 복수개의 결합부재(20)를 경유하여, 제 1 옹벽과 제 2 옹벽의 전체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됨으로써, 제 1 옹벽과 제 2 옹벽의 전체 결합을 유도한다.
상기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현장에서 축조유닛과, 현장토를 쌓아올리면서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을 여러 개의 연결부재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의 결합부재(20)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26)와, 상기 바디(26)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축조유닛인 토낭을 뚫어서 그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 돌출부(24)와, 상기 바디(26)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이 통과할 수 있는 스트립 통과부(60)가 형성된다.
상기 스트립 통과부(60)는 상기 결합부재(20) 바디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트립 통과부(60)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홀을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이 통과하게 된다. 각각의 결합부재(20)에 형성된 스트립 통과부(60)를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이 경유함으로써, 복수의 결합부재(20)들이 상기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으로 결속되고, 상기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은 제 1 옹벽인 축조유닛 후방의 제 2 옹벽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스트레이트 스트립(300)과는 다른 구조로 제 1 옹벽과 제 2 옹벽을 결속하게 되는데, 옹벽구조물 전체 둘레를 따라 결속되기 때문에, 견고한 옹벽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해진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올어라운드 스트립을 결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도 17의 경우와 같이, 결합부재 바디(26)에 홀(22)이 형성되고, 올어라운드 스트립이나 스트레이트 스트립이 결합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제 1 옹벽과 제 2 옹벽 전체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을 결합부재(20)의 전면에서 홀(22)을 통과하여 후면으로 지나가도록 배치하면,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이 달성하고자 하는 제 1 옹벽과 제 2 옹벽의 결합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은 반드시 동일한 수평면 높이에 배치된 결합부재들을 통과하거나 결합부재에 결합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높이의 결합부재들을 경유하도록 올어라운드 스트립(200)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설명과 도면에서는 사각 형상의 연결부재 바디(26)와, 결합홀(22)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바디와 홀의 형상은 삼각, 원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복수의 축조유닛들로 이루어진 제 1 옹벽과, 상기 제 1 옹벽 후방에 배치되어 쇄석층 또는 현장토를 포함하는 제 2 옹벽으로 이루어진 옹벽 구조물로서,
    상기 제 1 옹벽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의 상부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수직측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의 일면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제 1 옹벽의 전방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 내로 삽입 및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옹벽은 자갈을 포함하는 쇄석층과, 상기 쇄석층 상측에 축조되는 현장토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축조유닛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 돌출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상기 수직측 축조유닛의 전면에서 결합 및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재에 연결 또는 결합되고, 상기 제 2 옹벽의 현장토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스트레이트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바디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립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레이트 스트립은 상기 스트립 체결홀을 통과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 2 옹벽의 쇄석층 상부에는 부직포 배수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7. 삭제
  8. 복수의 축조유닛들로 이루어진 제 1 옹벽과, 상기 제 1 옹벽 후방에 배치되어 쇄석층 또는 현장토를 포함하는 제 2 옹벽으로 이루어진 옹벽 구조물로서,
    상기 제 1 옹벽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수평측 축조유닛과 제 2 수평측 축조유닛의 상부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수직측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의 일면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제 1 옹벽의 전방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수직측 축조유닛 내로 삽입 및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옹벽은 자갈을 포함하는 쇄석층과, 상기 쇄석층 상측에 축조되는 현장토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축조유닛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 돌출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측 축조유닛과, 상기 수직측 축조유닛의 전면에서 결합 및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재를 경유하여 상기 제 1 옹벽과 제 2 옹벽의 외주면따라 상기 제 1 옹벽 및 제 2 옹벽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올어라운드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타면에는 상기 올어라운드 스트립이 통과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 돌출형성된 스트립 통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옹벽의 쇄석층 상부에는 부직포 배수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70193A 2018-06-19 2018-06-19 옹벽구조물 Active KR102194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193A KR102194293B1 (ko) 2018-06-19 2018-06-19 옹벽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193A KR102194293B1 (ko) 2018-06-19 2018-06-19 옹벽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927A KR20190142927A (ko) 2019-12-30
KR102194293B1 true KR102194293B1 (ko) 2020-12-22

Family

ID=69103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193A Active KR102194293B1 (ko) 2018-06-19 2018-06-19 옹벽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2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4002551T3 (pl) 2019-11-08 2025-03-17 Lg Energy Solution, Ltd. Szafa akumulatorowa i zawierające ją urządzenie magazynujące energię
KR102696274B1 (ko) * 2022-11-15 2024-08-19 김헌수 옹벽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8511A (ko) * 2005-11-04 2007-05-09 김윤희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KR101073972B1 (ko) * 2009-01-12 2011-10-17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식생옹벽용 표면부재, 이를 이용한 식생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40056956A (ko) * 2012-11-02 2014-05-12 안은솔 토낭체, 토낭체의 결속체 및 토낭체에 토사를 주입하기 위한 토사 제공 장치
KR20140091313A (ko) * 2013-01-11 2014-07-21 김동근 축조용 블록의 고정장치
KR20150141264A (ko) * 2014-06-09 2015-12-18 양지개발 주식회사 뒷돌 고정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170045549A (ko) * 2015-10-19 2017-04-27 장동연 흙 포대 연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927A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933B1 (ko) 식생토낭과 고정부재를 이용한 자연 친화적인 옹벽의시공방법 및 그 설치구조
KR200185875Y1 (ko)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KR102194293B1 (ko) 옹벽구조물
KR102127377B1 (ko) 보강토 옹벽의 시공 공법
CN113445539A (zh) 一种有限填土轮胎墙及其施工方法
KR100843330B1 (ko) 계단식 식생호안블록
CN114086505A (zh) 一种水利工程用河道护坡结构及铺设施工方法
JP7509999B2 (ja) 擁壁構造物
KR101065726B1 (ko) 조립식 옹벽
KR100995097B1 (ko) 옹벽 블록 시공방법
KR200402396Y1 (ko) 식재용 옹벽 블록
CN210886796U (zh) 一种软土加固路基
KR100744043B1 (ko) 수평방향으로 보강토체 자유면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식생 보강토 옹벽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시공방법
KR101024064B1 (ko) 사면절토 옹벽용 블록 시공방법
KR101012653B1 (ko)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740187B1 (ko)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84636B1 (ko) 옹벽구조
KR100995094B1 (ko) 옹벽 블록 시공방법
KR100998501B1 (ko) 붕괴방지망과 와이어를 이용하여 사면 밀착이 가능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
KR20240071200A (ko) 옹벽 구조물
KR20100059380A (ko) 돌망태 무근 콘크리트 옹벽성형공법
KR102755450B1 (ko)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
KR100950092B1 (ko)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231712B1 (ko) 목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KR200366926Y1 (ko) 옹벽축조용 조립식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1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701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002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1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8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4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12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1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8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4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