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5450B1 -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 - Google Patents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5450B1
KR102755450B1 KR1020240064514A KR20240064514A KR102755450B1 KR 102755450 B1 KR102755450 B1 KR 102755450B1 KR 1020240064514 A KR1020240064514 A KR 1020240064514A KR 20240064514 A KR20240064514 A KR 20240064514A KR 102755450 B1 KR102755450 B1 KR 102755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panels
wall panel
edge
c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64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영환
최용기
Original Assignee
에스에스씨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스씨산업(주) filed Critical 에스에스씨산업(주)
Priority to KR1020240064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5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5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54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5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ontained within a flexible envelo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옹벽 패널과 결합되어 비탈면의 전방 영역에 세워지는 복수의 옹벽 패널; 및 상기 전방 영역의 지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최하단 옹벽 패널의 하부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상부면에 상기 최하단 옹벽 패널이 결합되며, 측부면에 다른 지지 구조물이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Horizontal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ted vegetated cut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옹벽 패널이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를 통해 다른 옹벽 패널과 결합된 상태로 비탈면의 전방 영역에 세워지고, 복수의 옹벽 패널의 모서리에 형성된 체결홈 간에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복수의 옹벽 패널 간을 체결시키며, 수직 보강 파일에 의해 고정된 지지 구조물이 세워진 복수의 옹벽 패널을 하부에서 지지함으로써, 비탈면 전방 영역에 견고한 벽을 건설할 수 있는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관한 것이다.
옹벽이란, 배면의 토압에 저항하여 배면의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벽체 구조물을 말한다. 옹벽은 일반적으로 그 구조 및 형태에 따라 크게 중력식 옹벽, 반중력식 옹벽, 역T형 옹벽, L형 옹벽, 부벽식 옹벽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외에 특수한 형식으로 보강토 옹벽, 패널식 옹벽 등이 알려져 있다.
보강토 옹벽은 보강재를 흙 속에 포설하거나 삽입하여 지반을 보강하여 흙과 보강재의 상호작용을 유발하여 절토 또는 성토 사면 토체 전체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안정성을 높이는 옹벽이다.
패널식 옹벽은, 절토부 내부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네일, 어스 앵커 등의 앵커체로 보강하고 각 앵커체에서 연장되는 패널 연결재에 옹벽 패널을 결합하면서 다수의 옹벽 패널을 상하좌우로 설치하여 전면벽체를 형성한 후, 전면벽체와 절토부 사이에 뒤채움재를 채우고 패널 연결재를 긴장시켜 뒤채움재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수평토압에 저항하도록 하는 옹벽이다.
이러한, 패널식 옹벽이 수평토압에 저항할 수 있는 구조 뿐만 아니라 수직압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62197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옹벽 패널이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를 통해 다른 옹벽 패널과 결합된 상태로 비탈면의 전방 영역에 세워지고, 복수의 옹벽 패널의 모서리에 형성된 체결홈 간에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복수의 옹벽 패널 간을 체결시키며, 수직 보강 파일에 의해 고정된 지지 구조물을 통해 세워진 복수의 옹벽 패널을 하부에서 지지함으로써, 복수의 옹벽 패널 하부에서의 지지력 및 파괴활동면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켜 비탈면 전방 영역에 견고한 벽을 건설할 수 있는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웃한 두 옹벽 패널 사이에 형성된 식생낭 수용홀에 식물이 식재된 식생낭이 삽입되어 설치됨으로써, 식물 생장이 어려운 절토부옹벽의 전면을 녹화시켜, 절토부옹벽의 미관을 개선시키고 주변 지역과 최대한 유사하게 자연친화적인 환경으로 복원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옹벽 패널과 결합되어 비탈면의 전방 영역에 세워지는 복수의 옹벽 패널; 및 상기 전방 영역의 지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최하단 옹벽 패널의 하부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상부면에 상기 최하단 옹벽 패널이 결합되며, 측부면에 다른 지지 구조물이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일단이 상기 복수의 지지 구조물이 위치한 지면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의 지지 구조물 각각에 관통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 구조물 각각과 결합되는 복수의 수직 보강 파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구조물은 상기 수직 보강 파일이 삽입되도록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된 수직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 구조물은 상기 최하단 옹벽 패널의 하부 테두리에 형성된 하부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부면에 함입된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두 측부 테두리 중에서 제1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의 제2 측부 테두리에 형성된 측부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제1 측부 테두리에 함입된 측부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두 측부 테두리 중에서 제2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의 제1 측부 테두리에 형성된 측부 결합홈에 삽입되는 측부 결합돌기가 제2 측부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상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의 하부 테두리에 형성된 하부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부면에 함입된 상부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하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상부 결합홈 또는 하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 구조물의 상부면에 형성된 지지홈에 삽입되는 하부 결합돌기가 하부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상부 테두리와 접하는 상부 모서리에 함입된 상부 체결홈이 형성되고,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하부 테두리와 접하는 하부 모서리에 함입된 하부 체결홈이 형성되고,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제1 측부 테두리와 접하는 제1 측부 모서리에 함입된 제1 측부 체결홈이 형성되고,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제2 측부 테두리와 접하는 제2 측부 모서리에 함입된 제2 측부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제1 옹벽 패널의 상부 체결홈과 제2 옹벽 패널의 하부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옹벽 패널과 상기 제2 옹벽 패널을 체결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제1 옹벽 패널의 제1 측부 체결홈과 제3 옹벽 패널의 제2 측부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옹벽 패널과 상기 제3 옹벽 패널을 체결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제1 옹벽 패널의 제2 측부 체결홈과 제4 옹벽 패널의 제1 측부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옹벽 패널과 상기 제4 옹벽 패널을 체결시키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일단이 상기 비탈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이 복수의 옹벽 패널의 내측에 관통되어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각각과 결합되는 복수의 수평 보강 파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상기 수평 보강 파일이 삽입되도록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수평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내측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옹벽 패널의 상부면으로부터 지지되고, 일단 외에 중단이 절개면과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사이에 채워지는 뒤채움재의 상부면으로부터 지지되며, 타단이 절개면의 상부면으로부터 지지되는 배수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옹벽 패널이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를 통해 다른 옹벽 패널과 결합된 상태로 비탈면의 전방 영역에 세워지고, 복수의 옹벽 패널의 모서리에 형성된 체결홈 간에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복수의 옹벽 패널 간을 체결시키며, 수직 보강 파일에 의해 고정된 지지 구조물을 통해 세워진 복수의 옹벽 패널을 하부에서 지지함으로써, 복수의 옹벽 패널 하부에서의 지지력 및 파괴활동면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켜 비탈면 전방 영역에 견고한 벽을 건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웃한 두 옹벽 패널 사이에 형성된 식생낭 수용홀에 식물이 식재된 식생낭이 삽입되어 설치됨으로써, 식물 생장이 어려운 절토부옹벽의 전면을 녹화시켜, 절토부옹벽의 미관을 개선시키고 주변 지역과 최대한 유사하게 자연친화적인 환경으로 복원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이 설치된 일 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상부 테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하부 테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제1 측부 테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제2 측부 테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의 복수의 옹벽 패널이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의 복수의 옹벽 패널이 결합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지지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지지 구조물의 상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이 설치된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설치된 식생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식생낭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배수로가 설치된 제1 예 내지 제3 예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작동,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주문자 기기와 제2 주문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주문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 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이 설치된 일 예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복수의 옹벽 패널(110),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 복수의 수직 보강 파일(130) 및 복수의 체결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의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상호 결합된 상태로 비탈면의 전방 영역에 기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테두리에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테두리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은 비탈면의 전방 영역의 지면에 위치하고, 상호 결합된 상태로 기립된 복수의 옹벽 패널(110)을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은 상부면에 홈이 형성되어 옹벽 패널(1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복수의 수직 보강 파일(130)은 일부가 비탈명의 전방 영역의 지면 내측으로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가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에 삽입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대한 수직 보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에는 수직 보강 파일(130)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에 형성된 홀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복수의 체결 부재(140)는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후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복수의 옹벽 패널(110) 간을 체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후면의 모서리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후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홈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의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상부 테두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하부 테두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제1 측부 테두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옹벽 패널의 제2 측부 테두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의 복수의 옹벽 패널이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의 복수의 옹벽 패널이 결합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옹벽 패널(110)과 결합되어 비탈면의 전방 영역에 세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두 측부 테두리 중에서 제1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110)의 제2 측부 테두리에 형성된 측부 결합돌기(112)가 삽입되도록 제1 측부 테두리에 함입된 측부 결합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두 측부 테두리 중에서 제2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110)의 제1 측부 테두리에 형성된 측부 결합홈(111)에 삽입되는 측부 결합돌기(112)가 제2 측부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측부 결합홈(111)에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측부 결합돌기(112)가 삽입되어 두 옹벽 패널(110)이 좌우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상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110)의 하부 테두리에 형성된 하부 결합돌기(114)가 삽입되도록 상부면에 함입된 상부 결합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하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110)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상부 결합홈(113) 또는 하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지지 구조물(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지지홈(121)에 삽입되는 하부 결합돌기(114)가 하부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상부 결합홈(113)에 또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하부 결합돌기(114)가 삽입되어 두 옹벽 패널(110)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옹벽 패널(110)이 큰 벽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결합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결합 해제되는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호 결합된 복수의 옹벽 패널(110)이 결합 해제되지 않도록 복수의 옹벽 패널(110)을 체결시키는 구조 및 구성이 요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상부 테두리와 접하는 상부 모서리에 함입된 상부 체결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하부 테두리와 접하는 하부 모서리에 함입된 하부 체결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제1 측부 테두리와 접하는 제1 측부 모서리에 함입된 제1 측부 체결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제2 측부 테두리와 접하는 제2 측부 모서리에 함입된 제2 측부 체결홈(1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상부 체결홈(115)은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하부 체결홈(116)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하부 체결홈(116)은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허부에 위치하는 또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상부 체결홈(115)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1 측부 체결홈(117)은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1 측부에 위치하는 또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2 측부 체결홈(118)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2 측부 체결홈(118)은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2 측부에 위치하는 또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1 측부 체결홈(117)과 연통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체결부재는 서로 연통된 상부 체결홈(115)과 하부 체결홈(116)에 삽입되어 두 옹벽 패널(110)을 체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체결부재는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상부 체결홈(115)과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하부 체결홈(116)에 삽입되어 두 옹벽 패널(110)을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체결부재는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하부 체결홈(116)과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허부에 위치하는 또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상부 체결홈(115)에 삽입되어 두 옹벽 패널(110)을 체결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체결부재는 서로 연통된 제1 측부 체결홈(117)과 제2 측부 체결홈(118)에 삽입되어 두 옹벽 패널(110)을 체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체결부재는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1 측부 체결홈(117)과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1 측부에 위치하는 또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2 측부 체결홈(118)에 삽입되어 두 옹벽 패널(110)을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체결부재는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2 측부 체결홈(118)과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2 측부에 위치하는 또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제1 측부 체결홈(117)에 삽입되어 두 옹벽 패널(110)을 체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체결부재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 앵커일 수 있으며, 볼트와 너트를 통해 두 옹벽 패널(110)을 체결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둑판 형상으로 동일한 수직 선상과 동일한 수평 선상에 배치되도록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열 간의 옹벽 패널(110)이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전면에는 장식 패널이 부착될 수 있다. 장식 패널은 토사 형상, 식물 형상의 무늬가 형성된 패널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수평 보강 파일(150)이 삽입되도록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수평 결합홀(1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 결합홀(119)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복수의 옹벽 패널(110)과 비탈면 사이의 후방 영역에는 지지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토압에 대해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옹벽 패널(110)이 상술된 결합홈, 결합돌기, 체결홈 등을 통해 상호 결합되어 체결된 상태가 되면, 어느 두 옹벽 패널(110) 사이에 전면부터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식생낭 수용홀(16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옹벽 패널(1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테두리 중 일부와 어느 하나의 옹벽 패널(110)과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110)의 테두리 중 일부가 상호 접하지 않고 이격되도록 테두리 일부가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은 식생낭 수용홀(160)에 의해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식생낭 수용홀(160)에는 후술되는 식생낭(170)이 삽입되어 수용되어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후면에 식생낭(170)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식생낭(170)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지지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포함된 지지 구조물의 상부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더 참조하면,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은 비탈면의 전방 영역의 지면에 위치하고, 복수의 옹벽 패널(110)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최하단 옹벽 패널(110)의 하부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상부면에 최하단 옹벽 패널(110)이 결합되며, 측부면에 다른 지지 구조물(120)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은 최하단 옹벽 패널(110)의 하부 테두리에 형성된 하부 결합돌기(114)가 삽입되도록 상부면에 함입된 지지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은 수직 보강 파일(130)이 삽입되도록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된 수직 결합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수직 보강 파일(130)은 일단이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이 위치한 지면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이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 각각에 관통되어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 각각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은 지면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지면에 타설되어 굳혀진 지지 콘크리트 상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이 설치된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복수의 옹벽 패널(110), 복수의 지지 구조물(120), 복수의 수직 보강 파일(130) 및 복수의 체결 부재(140) 외에 복수의 수평 보강 파일(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평 보강 파일(150)은 복수의 옹벽 패널(110) 각각에 삽입되어 수평 토압에 옹벽이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수평 보강 파일(150)은 일단이 비탈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이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내측에 관통되어 복수의 옹벽 패널(110) 각각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옹벽 패널(110)은 수평 보강 파일(150)이 삽입되도록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수평 결합홀(1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수직 보강 파일(130)에 의한 수직 보강 뿐만 아니라 수평 보강 파일(150)에 의한 수평 보강을 통해 비탈면의 토압으로부터 더욱 강하게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수평 보강 파일(150)은 철근, 강봉,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강연선 및 강관 중 하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설치된 식생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식생낭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는 복수의 식생낭(170)이 설치될 수 있다.이러한, 복수의 식생낭(170)은 내측에 식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이웃하는 옹벽 패널(110)의 사이에 형성된 식생낭 수용홀(160)에 삽입된 후 걸려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식생낭(170)은 다양한 형상과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식생낭(170)은 단면이 원인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황마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생낭(170)의 내측 수용 공간에는 식물과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토양이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식생낭(170)의 옹벽 패널(110)의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식생낭 수용홀(160)에 삽입되어 식생낭 수용홀(160) 내측에 수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생낭(170)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식물이 생장하여 자라나면 수용 공간 외측 및 식생낭 수용홀(160)을 통과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의 전면을 향해 뻗어 나갈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웃한 두 옹벽 패널 사이에 형성된 식생낭 수용홀에 식물이 식재된 식생낭이 삽입되어 설치됨으로써, 식물 생장이 어려운 절토부옹벽의 전면을 녹화시켜, 절토부옹벽의 미관을 개선시키고 주변 지역과 최대한 유사하게 자연친화적인 환경으로 복원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배수로가 설치된 제1 예 내지 제3 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복수의 옹벽 패널(110)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옹벽 패널(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배수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로(180)는 내측에 물에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일단이 복수의 옹벽 패널(110)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옹벽 패널(110)의 상부로부터 지지되고, 일단 외에 중단이 절개면과 복수의 옹벽 패널(110) 사이에 채워지는 뒤채움재의 상부로부터 지지되며, 타단이 절개면의 상부로부터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뒤채움재는 뒤채움용 토사, 뒤채움용 자갈, 뒤채움용 콘크리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고,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로(180)는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상부를 시작으로 뒤채움재의 상부 및 절개면의 상부를 덮는 바닥면과 바닥면의 모서리로부터 바닥면과 수직하게 세워지는 측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배수로(180)는 바닥면과 측벽에 의해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로(180)는 뒤채움재로 유입되는 지표수 및 유입수가 미배출시 흙의 전단강도 저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붕괴 및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로(180)는 각각의 절토부옹벽 상단에 설치되어 깎기비탈면 또는 굴착지반이 침식되거나 활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산마루측구와 다른 배수로 연결하여 절토부옹벽 측면으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절개면과 뒷채움재의 물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180)는 상술된 수용 공간의 바닥면이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180)는 타단에서 일단을 향할수록 즉, 복수의 옹벽 패널(110)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옹벽 패널(110)에 가까워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수용 공간의 바닥면이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180)의 측벽 중에서 옹벽 패널(1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 측벽은 절개면 상부에 위치되는 제2 측벽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180)는 수용 공간의 수용량을 초과하는 물이 수용되더라도 뒤치움재 및 절개면이 아닌 복수의 옹벽 패널(110)을 향해 물이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절개면과 뒤채움재로의 물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180)는 측벽 중에서 상술된 제1 측벽의 상부면에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함임 형성된 배수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수홈은 하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옹벽 패널(110)이 접하는 경계면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제1 측벽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수홈을 지나는 수직선상에는 복수의 옹벽 패널(110) 간의 경계면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180)는 수용 공간의 수용량을 초과하는 물이 수용되는 경우, 배수홈을 통해 물이 유출되고, 유출된 물은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중앙에 형성된 수평 결합홀(119)이 아닌 식생낭 수용홀(160)을 향하는 방향으로 추락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배수홈을 넘어 복수의 옹벽 패널(110)의 전면으로 유실된 물이 수평 결합홀(119)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식생낭 수용홀(160)로 식생낭(170)에 식재된 식물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패널 옹벽
120: 지지 구조물 및 기초 블록
130: 수직 보강 파일
140: 체결 부재
150: 수평 보강 파일
160: 식생낭 수용홀
170: 식생낭
180: 배수로

Claims (8)

  1.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른 옹벽 패널과 결합되어 비탈면의 전방 영역에 세워지는 복수의 옹벽 패널; 및
    상기 전방 영역의 지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최하단 옹벽 패널의 하부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상부면에 상기 최하단 옹벽 패널이 결합되며, 측부면에 다른 지지 구조물이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일단이 상기 복수의 지지 구조물이 위치한 지면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의 지지 구조물 각각에 관통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 구조물 각각과 결합되는 복수의 수직 보강 파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구조물은,
    상기 수직 보강 파일이 삽입되도록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된 수직 결합홀 및
    상기 최하단 옹벽 패널의 하부 테두리에 형성된 하부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부면에 함입된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두 측부 테두리 중에서 제1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의 제2 측부 테두리에 형성된 측부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제1 측부 테두리에 함입된 측부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두 측부 테두리 중에서 제2 측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의 제1 측부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측부 결합홈에 삽입되는 측부 결합돌기가 제2 측부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상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의 하부 테두리에 형성된 하부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부면에 함입된 상부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하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다른 옹벽 패널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상부 결합홈 또는 하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 구조물의 상부면에 형성된 지지홈에 삽입되는 하부 결합돌기가 하부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상부 테두리와 접하는 상부 모서리에 함입된 상부 체결홈이 형성되고,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하부 테두리와 접하는 하부 모서리에 함입된 하부 체결홈이 형성되고,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제1 측부 테두리와 접하는 제1 측부 모서리에 함입된 제1 측부 체결홈이 형성되고,
    후면의 모서리 중에서 제2 측부 테두리와 접하는 제2 측부 모서리에 함입된 제2 측부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제1 옹벽 패널의 상부 체결홈과 제2 옹벽 패널의 하부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옹벽 패널과 상기 제2 옹벽 패널을 체결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제1 옹벽 패널의 제1 측부 체결홈과 제3 옹벽 패널의 제2 측부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옹벽 패널과 상기 제3 옹벽 패널을 체결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제1 옹벽 패널의 제2 측부 체결홈과 제4 옹벽 패널의 제1 측부 체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옹벽 패널과 상기 제4 옹벽 패널을 체결시키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일단이 상기 비탈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의 내측에 관통되어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각각과 결합되는 복수의 수평 보강 파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상기 수평 보강 파일이 삽입되도록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수평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은,
    내측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옹벽 패널의 상부면으로부터 지지되고, 일단 외에 중단이 절개면과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 사이에 채워지는 뒤채움재의 상부면으로부터 지지되며, 타단이 절개면의 상부면으로부터 지지되는 배수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로는,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 측벽;
    상기 절개면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2 측벽; 및
    상기 절개면의 상부를 덮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로는,
    상기 제1 측벽의 높이가 상기 제2 측벽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수용량을 초과하는 물이 수용될 경우, 상기 물이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을 향해 배수되고,
    상기 배수로는,
    타단에서 일단을 향할수록 최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옹벽 패널에 가까워지도록 높이가 낮아지게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면이 기울어지고,
    상기 배수로는,
    상기 제1 측벽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수홈이 함입 형성되고,
    상기 배수홈은,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이 접하는 경계면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측벽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옹벽 패널 사이에 전면부터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식생낭 수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식생낭 수용홀은,
    식물과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토양이 수용된 식생낭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상기 하부 결합돌기 및 상기 측부 결합돌기 각각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상기 상부 결합홈 및 상기 측부 결합홈 각각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옹벽 패널은,
    상기 하부 결합돌기 및 상기 측부 결합돌기 각각이 이웃하는 옹벽 패널의 상기 상부 결합홈 및 상기 측부 결합홈에 삽입되어 외력이 인가되어도 미끄러지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40064514A 2024-05-17 2024-05-17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 Active KR102755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64514A KR102755450B1 (ko) 2024-05-17 2024-05-17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64514A KR102755450B1 (ko) 2024-05-17 2024-05-17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55450B1 true KR102755450B1 (ko) 2025-01-21

Family

ID=94389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64514A Active KR102755450B1 (ko) 2024-05-17 2024-05-17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5545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166Y1 (ko) * 2005-09-07 2005-12-09 제일산업 주식회사 락스톤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측벽구조
KR101250499B1 (ko) * 2012-01-10 2013-04-08 주식회사 레스콘 식생 옹벽용 블록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50098535A (ko) * 2014-02-20 2015-08-28 윤병엽 조립식 옹벽블록과 블록조립 부속물.
KR101957263B1 (ko) * 2018-07-10 2019-03-13 곽근우 옹벽 어셈블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19480B1 (ko) * 2018-12-31 2019-09-09 주식회사 아이콘텍이앤씨 굴절 커플러를 이용한 판넬식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43724B1 (ko) * 2021-10-26 2021-12-28 주식회사 대흥이앤씨 패널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2621973B1 (ko) 2023-05-08 2024-01-09 윤강훈 옹벽 패널 연결 장치, 패널식 옹벽 및 패널식 옹벽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166Y1 (ko) * 2005-09-07 2005-12-09 제일산업 주식회사 락스톤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측벽구조
KR101250499B1 (ko) * 2012-01-10 2013-04-08 주식회사 레스콘 식생 옹벽용 블록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50098535A (ko) * 2014-02-20 2015-08-28 윤병엽 조립식 옹벽블록과 블록조립 부속물.
KR101957263B1 (ko) * 2018-07-10 2019-03-13 곽근우 옹벽 어셈블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19480B1 (ko) * 2018-12-31 2019-09-09 주식회사 아이콘텍이앤씨 굴절 커플러를 이용한 판넬식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43724B1 (ko) * 2021-10-26 2021-12-28 주식회사 대흥이앤씨 패널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2621973B1 (ko) 2023-05-08 2024-01-09 윤강훈 옹벽 패널 연결 장치, 패널식 옹벽 및 패널식 옹벽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7676B2 (ja) モジュールブロック擁壁構造及び構成要素
JP201651517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擁壁
KR101103142B1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652163B1 (ko)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JP2009097176A (ja) 盛土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077949B1 (ko)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 방법
KR101077348B1 (ko) 옹벽과 그 시공방법
KR101843023B1 (ko) 흙막이벽체파일과 건축물외부벽체 연결전단키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2395328B1 (ko) 패널을 이용한 성토부 옹벽 구조 및 성토부 옹벽 시공방법
JP6632028B2 (ja) コンクリート組立擁壁
KR102755450B1 (ko)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
KR101265079B1 (ko)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구조물
JP6860895B2 (ja)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742335B1 (ko) 절토부의 자연석을 이용한 조경물 및 그 시공방법
JP4888293B2 (ja) 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止水構造、及び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構築方法、並びに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止水工法
KR100758601B1 (ko) 보강토 옹벽 블럭
KR100794221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102116085B1 (ko)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KR20060026098A (ko) 옹벽 블럭 구조
JP5800765B2 (ja) 落石防止構造
KR101328027B1 (ko) 절토부 옹벽 및 사면보호를 위한 구조
KR101716895B1 (ko)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구조물
US20090110491A1 (en)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200448481Y1 (ko) 식재 가능한 절토사면 옹벽 구조
KR102484636B1 (ko) 옹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5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