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837B1 - 옹벽구조물 - Google Patents
옹벽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4837B1 KR102334837B1 KR1020190101568A KR20190101568A KR102334837B1 KR 102334837 B1 KR102334837 B1 KR 102334837B1 KR 1020190101568 A KR1020190101568 A KR 1020190101568A KR 20190101568 A KR20190101568 A KR 20190101568A KR 102334837 B1 KR102334837 B1 KR 1023348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ilding unit
- retaining wall
- net
- support rod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통해 축조유닛과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라 상하방향의 축조유닛과 지오그리드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지오그리드를 매설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5)
- 옹벽의 전방을 형성하는 복수의 축조유닛들과, 상기 축조유닛의 후방에 매설되는 지오그리드를 포함하는 옹벽구조물로서,
제 1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축조유닛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축조유닛과 제 2 축조유닛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 수단과,
상기 고정 수단에 일부가 삽입 또는 고정되면서, 상기 옹벽의 후방에 매설되는 네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제 1 축조유닛과 제 2 축조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바디와, 상기 지지 바디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지지 로드와, 상기 지지 바디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지지 로드와, 상기 상부 지지 로드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축조유닛의 하면을 뚫고 삽입되는 상부 고정부와, 상기 하부 지지 로드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축조유닛의 상면을 뚫고 삽입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고정부는 상기 제 1 축조유닛을 뚫고 내부로 삽입된 후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측 단부에서 상기 지지 바디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형상인 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고정부는 상기 제 2 축조유닛을 뚫고 내부로 삽입된 후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하측 단부에서 상기 지지바디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형상인 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축조유닛은 장변과 단변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네트 부재의 폭은 상기 제 2 축조유닛의 장변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네트 부재는 상기 제 2 축조유닛의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축조유닛들의 상부에는 배치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 부재들은 상기 옹벽구조물에서 복수개가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고,
상기 네트 부재의 전후방 길이 보다 짧은 전후방 길이를 갖으면서, 상기 축조유닛들 중 상기 네트 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축조유닛 상에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일부가 삽입 또는 고정되는 서브 보강 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제 2 축조유닛 상에 일부가 배치되는 전후방 네트 부재와, 상기 전후방 네트 부재와 일부가 겹치도록 상기 옹벽의 후방에 배치되는 좌우측 네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 옹벽의 전방을 형성하는 복수의 축조유닛들과, 상기 축조유닛의 후방에 매설되는 지오그리드를 포함하는 옹벽구조물로서,
제 1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축조유닛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축조유닛과 제 2 축조유닛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 수단과,
상기 고정 수단에 일부가 삽입 또는 고정되면서, 상기 옹벽의 후방에 매설되는 네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제 1 축조유닛 내부로 삽입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 고정부와, 상기 제 2 축조유닛 내부로 삽입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고정부와, 상기 상부 고정부에 연결된 상부 지지 로드와, 상기 하부 고정부에 연결된 하부 지지 로드와, 상기 상부 지지 로드 또는 하부 지지 로드로부터 연장 형성되면서 소정 각도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속 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축조유닛은 장변과 단변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네트 부재의 폭은 상기 제 2 축조유닛의 장변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네트 부재는 상기 제 2 축조유닛의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축조유닛들의 상부에는 배치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 부재들은 상기 옹벽구조물에서 복수개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고,
상기 네트 부재의 전후방 길이 보다 짧은 전후방 길이를 갖으면서, 상기 축조유닛들 중 상기 네트 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축조유닛 상에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일부가 삽입 또는 고정되는 서브 보강 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제 2 축조유닛 상에 일부가 배치되는 전후방 네트 부재와, 상기 전후방 네트 부재와 일부가 겹치도록 상기 옹벽의 후방에 배치되는 좌우측 네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1568A KR102334837B1 (ko) | 2019-08-20 | 2019-08-20 | 옹벽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1568A KR102334837B1 (ko) | 2019-08-20 | 2019-08-20 | 옹벽구조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2295A KR20210022295A (ko) | 2021-03-03 |
KR102334837B1 true KR102334837B1 (ko) | 2021-12-03 |
Family
ID=7515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1568A Active KR102334837B1 (ko) | 2019-08-20 | 2019-08-20 | 옹벽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4837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7796B1 (ko) * | 2000-11-02 | 2005-06-29 | 김학준 | 바형 그리드 및 그를 이용한 블럭옹벽의 보강구조 |
KR200407940Y1 (ko) * | 2005-11-04 | 2006-02-07 | 김윤희 |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47946B2 (ja) * | 1993-10-21 | 1996-10-30 | 強化土エンジニヤリング株式会社 | 補強土構造 |
KR100752781B1 (ko) * | 2005-09-30 | 2007-08-29 | 신승종 | 지지결합부재와,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축조방법 |
-
2019
- 2019-08-20 KR KR1020190101568A patent/KR10233483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7796B1 (ko) * | 2000-11-02 | 2005-06-29 | 김학준 | 바형 그리드 및 그를 이용한 블럭옹벽의 보강구조 |
KR200407940Y1 (ko) * | 2005-11-04 | 2006-02-07 | 김윤희 | 녹화용 식생옹벽 구조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2295A (ko) | 2021-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1258B1 (ko) | 옹벽 시공을 위한 옹벽블록과 이 옹벽블록과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 방법 | |
KR101162547B1 (ko) |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 |
KR200185875Y1 (ko) |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 |
KR101071572B1 (ko) | 철망을 이용한 녹화 보강토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CN201891130U (zh) | 预制块柔性挡土墙结构 | |
KR102334837B1 (ko) | 옹벽구조물 | |
KR100889257B1 (ko) | 옹벽 전면의 녹화를 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 |
CN110965577B (zh) | 链锁式生态砌块挡墙的施工方法 | |
KR20160006570A (ko) | 토압 저항력과 구조 일체화가 개선된 옹벽 시공용 친환경 개비블럭 | |
KR101963362B1 (ko) |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2194293B1 (ko) | 옹벽구조물 | |
KR101235826B1 (ko) | 보강토 옹벽블록 시공방법 | |
KR101276567B1 (ko) | 사면보강용 식생옹벽 | |
CN106592626B (zh) | 一种用于超高填方的挡土墙结构的施工方法 | |
KR101019802B1 (ko) | 보강매트를 갖는 메쉬패널 조립형 옹벽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 |
KR20090073330A (ko) | 조경 옹벽구조물 | |
CN213173779U (zh) | 一种路堑边坡的防护结构 | |
KR102484636B1 (ko) | 옹벽구조 | |
JP2750363B2 (ja) | 急勾配盛土 | |
JPH0369721A (ja) | 急勾配盛士 | |
KR100885909B1 (ko) | 토목 섬유망을 이용한 자립식 가시설 옹벽 및 이 시공 방법 | |
KR100794669B1 (ko) | 보강토 옹벽용 철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 |
KR100430245B1 (ko) | 사면 녹화 보강토 공법 | |
KR102490879B1 (ko) | H파일 억지말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시공방법 | |
KR101386620B1 (ko) | “l“자형 프레임을 이용한 조립식 식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1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2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AMND | Amendment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1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10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7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2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