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591B1 - 강화 옹벽을 위한 친환경 옹벽프레임과 이를 위한 식생형 옹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강화 옹벽을 위한 친환경 옹벽프레임과 이를 위한 식생형 옹벽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8591B1 KR101508591B1 KR20130007131A KR20130007131A KR101508591B1 KR 101508591 B1 KR101508591 B1 KR 101508591B1 KR 20130007131 A KR20130007131 A KR 20130007131A KR 20130007131 A KR20130007131 A KR 20130007131A KR 101508591 B1 KR101508591 B1 KR 1015085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connecting rod
- seat
- reinforcing
- wall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71 so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으로 건설된 다층의 옹벽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의 일부분에 대한 조립 공정을 순차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에 덮개를 부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의 다른 부분에 대한 조립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에 제1실시 예에 따른 보강체의 보강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에 제2실시 예에 따른 보강체의 보강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보강체와 제1면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에 제3실시 예에 따른 보강체의 보강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에 제4실시 예에 따른 보강체의 보강 모습을 순차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프레임의 제1실시 예에 앵커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30; 보강토 40; 식생토 100; 옹벽프레임
110; 제1면체 111, 111'; 안착대 111a; 인입부
111b; 걸림부 112; 제1연결봉 113; 제2연결봉
120; 제2면체 121; 입설대 121a; 인입부
121b; 걸림부 122; 제1연결봉 123; 제2연결봉
130; 지지체 131, 131'; 결속홈 140; 덮개
141; 걸름망 142; 부직포 143; 고정부재
150, 150', 150"; 보강체
151; 천공 152; 고정봉 153; 링커
154; 횡축대 155; 종축대 156; 커버
160; 앵커
Claims (9)
-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안착대와, 이웃하는 상기 안착대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봉을 구비한 제1면체; 상기 안착대의 일단에 입설 고정되는 입설대와, 이웃하는 상기 입설대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봉을 구비한 제2면체; 상기 제2면체를 덮는 통기 및 통수성 재질의 덮개; 입설된 상기 제2면체의 자세가 유지되도록 양단이 상기 제1면체와 제2면체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체; 및 상기 제1면체로부터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제1면체에 고정되어서 지반을 보강하는 보강체;를 포함하는 옹벽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는, 제1,2편을 양측벽으로 하는 'U' 단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2면체를 향해 개구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타단에서 꺾이게 절개된 걸림부와, 상기 인입부와 걸림부 사이에 돌출된 돌출부로 구성되어서, 상기 안착대의 제1,2편에 각각 형성되는 제1끼움홈을 구비하며; 상기 입설대와 연결되는 단부에는 개구하게 절개 형성된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입설대는, 제1,2편을 양측벽으로 하는 'U' 단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면체를 향해 개구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타단에서 꺾이게 절개된 걸림부로 구성되어서, 상기 입설대의 제1,2편에 각각 형성되는 제2끼움홈을 구비하며; 상기 안착대와 연결되는 단부에는 개구하게 절개 형성된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봉은, 단부가 상기 제1,2끼움홈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장되어서, 상기 제1,2끼움홈 및 삽입홈에 각각 삽입돼 조립되며;
상기 지지체는, 양단부에 상기 연결봉을 하방으로 덮도록 절개된 결속홈이 각각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프레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걸름망 및 부직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프레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의 말단에는 상기 보강체와의 결속을 위한 연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프레임.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는 강성그리드 또는 연성그리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프레임.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체는
상기 안착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해 연결되는 횡축대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횡축대를 연결해서 격자를 이루도록 하는 종축대로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프레임. - 기초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기초층 상에 안착되는 격자형상의 제1면체와, 상기 제1면체에 입설 고정되는 격자형상의 제2면체와, 입설된 상기 제2면체의 자세가 유지되도록 양단이 상기 제1면체와 제2면체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체와, 상기 제2면체를 덮는 통기 및 통수성 재질의 덮개를 포함하는 옹벽프레임을 설치하는 제2단계; 및 지반을 보강하도록 보강체를 상기 제1면체로부터 연장되는 형태로 고정해서 안착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식생형 옹벽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면체는 안착대와 연결봉이 격자형상으로 조립돼 이루어지고, 상기 제2면체는 입설대와 연결봉이 격자형상으로 조립돼 이루어지며;
상기 안착대는, 제1,2편을 양측벽으로 하는 'U' 단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2면체를 향해 개구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타단에서 꺾이게 절개된 걸림부와, 상기 인입부와 걸림부 사이에 돌출된 돌출부로 구성되어서, 상기 안착대의 제1,2편에 각각 형성되는 제1끼움홈을 구비하며; 상기 입설대와 연결되는 단부에는 개구하게 절개 형성된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입설대는, 제1,2편을 양측벽으로 하는 'U' 단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면체를 향해 개구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타단에서 꺾이게 절개된 걸림부로 구성되어서, 상기 입설대의 제1,2편에 각각 형성되는 제2끼움홈을 구비하며; 상기 안착대와 연결되는 단부에는 개구하게 절개 형성된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봉은, 단부가 상기 제1,2끼움홈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확장되어서, 상기 제1,2끼움홈 및 삽입홈에 각각 삽입돼 조립되며;
상기 지지체는, 양단부에 상기 연결봉을 하방으로 덮도록 절개된 결속홈이 각각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옹벽 시공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후, 상기 제1면체가 노출되도록 상기 옹벽프레임의 후방에 보강토를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옹벽프레임과 보강토 사이에 식생토를 타설하고 다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옹벽 시공방법. - 삭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의 말단에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보강체의 선단을 따라 고정봉을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봉을 상기 연결홈에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옹벽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07131A KR101508591B1 (ko) | 2013-01-22 | 2013-01-22 | 강화 옹벽을 위한 친환경 옹벽프레임과 이를 위한 식생형 옹벽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07131A KR101508591B1 (ko) | 2013-01-22 | 2013-01-22 | 강화 옹벽을 위한 친환경 옹벽프레임과 이를 위한 식생형 옹벽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4376A KR20140094376A (ko) | 2014-07-30 |
KR101508591B1 true KR101508591B1 (ko) | 2015-04-14 |
Family
ID=5174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07131A Active KR101508591B1 (ko) | 2013-01-22 | 2013-01-22 | 강화 옹벽을 위한 친환경 옹벽프레임과 이를 위한 식생형 옹벽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859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840816B2 (en) | 2022-04-29 | 2023-12-12 | Propex Operating Company, Llc | Brace assembly for a geosynthetic wrapped system used to construct stabilized earth walls and slopes |
CN116180528B (zh) * | 2023-04-10 | 2025-04-22 |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 一种轻质泡沫土路基挡土结构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8951Y1 (ko) | 2001-10-09 | 2001-12-29 | 윤성호 | 절토지역 사면보강구조 |
KR100414779B1 (ko) * | 2001-09-27 | 2004-01-16 | 윤성호 | 절토지역 사면보강구조 |
KR20100027693A (ko) * | 2008-09-03 | 2010-03-11 | 시우건설(주) |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 |
KR101071572B1 (ko) * | 2011-07-18 | 2011-10-10 | (주)신승이앤씨 | 철망을 이용한 녹화 보강토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2013
- 2013-01-22 KR KR20130007131A patent/KR10150859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4779B1 (ko) * | 2001-09-27 | 2004-01-16 | 윤성호 | 절토지역 사면보강구조 |
KR200258951Y1 (ko) | 2001-10-09 | 2001-12-29 | 윤성호 | 절토지역 사면보강구조 |
KR20100027693A (ko) * | 2008-09-03 | 2010-03-11 | 시우건설(주) | 경사면 보강구조물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방법 |
KR101071572B1 (ko) * | 2011-07-18 | 2011-10-10 | (주)신승이앤씨 | 철망을 이용한 녹화 보강토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4376A (ko) | 2014-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1258B1 (ko) | 옹벽 시공을 위한 옹벽블록과 이 옹벽블록과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 방법 | |
KR100813236B1 (ko) |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 |
KR101873313B1 (ko) | 기능별 전용 연결구를 이용하여 시공성과 시공 안정성을 증대한 조립식 지오셀 및 이의 시공 공법 | |
JP6581414B2 (ja) | 法面補強構造及び法面補強工法 | |
KR100753958B1 (ko) | 토사마대와 연결재를 이용한 그린월 구조 | |
KR101508591B1 (ko) | 강화 옹벽을 위한 친환경 옹벽프레임과 이를 위한 식생형 옹벽 시공방법 | |
KR101005351B1 (ko) |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31123B1 (ko) |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생태블록 시공방법 및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 | |
KR101385172B1 (ko) | 식재수단이 형성된 옹벽구조물 | |
KR101508592B1 (ko) | 급수환경이 개선된 친환경 옹벽프레임과 식생 옹벽 시공방법 | |
KR101250304B1 (ko) |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 | |
KR20180101986A (ko) |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
KR100995097B1 (ko) | 옹벽 블록 시공방법 | |
KR200307195Y1 (ko) |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 | |
KR100999185B1 (ko) | 성벽 이미지 연출이 가능한 축조블록과 축조구조 | |
KR101508590B1 (ko) | 친환경 옹벽 축조를 위한 옹벽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식생옹벽 시공방법 | |
KR101434594B1 (ko) | 보강용 옹벽프레임과 옹벽 시공방법 | |
JP4455966B2 (ja) | 補強土壁構築具 | |
KR101012653B1 (ko) |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JP4364063B2 (ja) | 土留用バッグ及び擁壁の構築方法 | |
JP2006002435A (ja) | 法面補強工法 | |
KR101782408B1 (ko) |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
KR102537825B1 (ko) | 흙과 재이용 플라스틱을 이용한 식생 및 인조잔디 개비온 옹벽구조물 및 이를 위한 드레인보드패널 | |
KR20060075707A (ko) | 앵커식 개비온을 이용한 식생 매트의 설치 구조와 이를이용한 사면 안정화 공법 | |
KR100794669B1 (ko) | 보강토 옹벽용 철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503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4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