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52788B1 - 편광판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광판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788B1
KR102452788B1 KR1020200137603A KR20200137603A KR102452788B1 KR 102452788 B1 KR102452788 B1 KR 102452788B1 KR 1020200137603 A KR1020200137603 A KR 1020200137603A KR 20200137603 A KR20200137603 A KR 20200137603A KR 102452788 B1 KR102452788 B1 KR 102452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film
separate
liquid crystal
separate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2267A (ko
Inventor
김도현
전성욱
이대희
박승규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210052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7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07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 B32B37/00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to avoid air incl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32B2037/268Releas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44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2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continuous webs only
    • B32B37/203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 B32B37/206Laminating a continuous layer between two continuous plastic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 적층체는, 편광판; 상기 편광판의 어느 일면에 구비된 제1 점착제층 및 제1 세퍼레이트 필름; 및 상기 편광판의 다른 일면에 구비된 제2 점착제층 및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의 총두께는 75㎛ 초과 150㎛ 이하이다.

Description

편광판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POLARIZING PLATE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출원은 2019년 10월 31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9-0137106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편광판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휴대전화나 휴대용 소형 전자 기기부터, 개인용 컴퓨터나 텔레비전 등의 대형 전자 기기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용도는 점점 확대되고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 중 하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용도가 확대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놓여지는 장소와 그 위치가 다양해지고 있으나, 평판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의 정면이 아닌 다른 방향에서 보는 경우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경우, 디스플레이의 위치와 운전자의 시선이 평행하지 않으므로, 운전자의 시야에서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야각을 향상 및 명암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0985호
본 출원은 편광판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편광판;
상기 편광판의 어느 일면에 구비된 제1 점착제층 및 제1 세퍼레이트 필름; 및
상기 편광판의 다른 일면에 구비된 제2 점착제층 및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의 총두께는 75㎛ 초과 150㎛ 이하인 것인 편광판 적층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의 다른 실시상태는,
편광판의 어느 일면에 제1 점착제층을 도포하고, 다른 일면에 제2 점착제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점착제층 상에 제1 세퍼레이트 필름을 적층시키고, 상기 제2 점착제층 상에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을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의 총두께는 75㎛ 초과 150㎛ 이하인 것인 편광판 적층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 적층체는, 총두께가 75㎛ 초과 150㎛ 이하인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을 포함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과 편광판의 부착공정시 편광판의 처짐 현상 등과 같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과 편광판의 부착공정시 이들의 접합면에 기포가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 적층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광학 필름과 편광판을 부착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종래의 편광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공정은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과 편광판을 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과 편광판을 부착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부착공정을 위해 작동하는 롤(roll)과 편광판이 놓여 있는 테이블 간의 사이에서 편광판 처짐 현상 등과 같은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과 편광판을 부착하는 공정에서 그 접합면에 지속적으로 기포가 차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지속적인 불량이 발생하여 양산 진행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과 편광판을 부착하는 공정에서, 편광판 처짐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기포발생을 억제하고자 하였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 적층체는, 편광판; 상기 편광판의 어느 일면에 구비된 제1 점착제층 및 제1 세퍼레이트 필름; 및 상기 편광판의 다른 일면에 구비된 제2 점착제층 및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의 총두께는 75㎛ 초과 150㎛ 이하이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편광판의 어느 일면에 제1 점착제층을 도포하고, 다른 일면에 제2 점착제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점착제층 상에 제1 세퍼레이트 필름을 적층시키고, 상기 제2 점착제층 상에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을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의 총두께는 75㎛ 초과 150㎛ 이하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퍼레이트 필름 및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은 편광판을 액정 패널이나 다른 광학 부재에 접합시킬 때까지 그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임시로 부착되는 필름이다.
상기 제1 세퍼레이트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75㎛일 수 있다.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은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의 총두께는 75㎛ 초과 150㎛ 이하일 수 있고, 80㎛ 내지 150㎛일 수 있으며, 90㎛ 내지 140㎛일 수 있다.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의 총두께가 75㎛ 이하인 경우에는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과 편광판의 부착공정시 편광판의 처짐 현상 등과 같은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1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의 박리공정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의 총두께가 75㎛ 초과 150㎛ 이하인 경우에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과 편광판의 부착공정시 편광판의 처짐 현상 등과 같은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은 단층 구조 또는 2층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이 2층 구조인 경우에, 상기 편광판에 직접 접하는 제2 세퍼레이트 필름(A)은 표면에 점착특성이 없는 세퍼레이트 필름을 적용할 수 있고, 상기 편광판에 직접 접하지 않는 제2 세퍼레이트 필름(B)은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A)과 부착되는 면에 점착특성을 갖는 세퍼레이트 필름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세퍼레이트 필름 및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은 각각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과 제1 세퍼레이트 필름 사이에는 제1 점착제층이 구비되고, 상기 편광판과 제2 세퍼레이트 필름 사이에는 제2 점착제층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세퍼레이트 필름은 편광판의 어느 일면에 도포된 제1 점착제층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은 편광판의 다른 일면에 도포된 제2 점착제층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점착제층 및 제2 점착제층은 범용되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메타)아크릴계, 고무계, 우레탄계, 에스테르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에테르계 등과 같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적합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또는 열경화형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제층 및 제2 점착제층이 도포된 편광판에 제1 세퍼레이트 필름 및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을 적층시키는 단계는 롤투롤(roll to roll)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에 제1 세퍼레이트 필름 및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을 부착하는 공정은, 각각 롤에 말려진 해당 제품들을 준비한 후 라미네이션 롤을 이용한 합지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 적층체를 하기 도 1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도 1은 편광판(10)의 어느 일면에 구비된 제1 점착제층(20) 및 제1 세퍼레이트 필름(30)을 포함하고, 편광판(10)의 다른 일면에 구비된 제2 점착제층(40) 및 제2 세퍼레이트 필름(50)을 포함하는 편광판 적층체를 나타낸 도이다. 이 때, 제2 세퍼레이트 필름(50)의 총두께는 75㎛ 초과 150㎛ 이하이다. 또한, 하기 도 2는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50)이 2층 구조인 편광판 적층체를 나타낸 도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이 구비되는 영역은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이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 적층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편광판 적층체의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을 제거하고, 상기 편광판 적층체의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이 제거된 면에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을 부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편광판 구조를 하기 도 4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하기 도 4와 같이, 종래의 편광판은 편광판(10), 상기 편광판(10)의 일면에 구비된 보호필름(60) 및 상기 편광판(10)의 다른 일면에 구비된 세퍼레이트 필름(70)을 포함한다. 종래의 편광판의 보호필름(60)의 두께는 약 50㎛ 내지 60㎛ 이고, 상기 보호필름(60)은 편광판의 컬(curl)을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 적층체는,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과 편광판의 부착공정시 이들의 접합면에 기포가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접합면의 반대측에 구비된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의 두께를 75㎛ 초과 150㎛ 이하로 조절한 것으로서, 종래의 편광판과 그 구조 및 목적이 서로 상이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 적층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세퍼레이트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의 일면에 상기 편광판 적층체의 제1 세퍼레이트 필름이 제거된 면이 접합하도록, 상기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과 편광판을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안티글레어(antiglare) 필름, 하드코팅(hard coating) 필름, 반사방지 필름 및 AGLR(Anti-Glare & Low-Reflection) 필름 등을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광학 필름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 적층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과 편광판을 부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액정 패널, 광학 필름 등이 1종 이상 추가로 부착될 수 있고,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액정 패널, 광학 필름 등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과 편광판의 부착공정시 편광판의 처짐에 따른 스트레스(stress)가 발생하게 되고, 석션(suction) 제거에 따른 필름 벤딩(bending) 부분이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에 부착됨으로써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총두께가 75㎛ 초과 150㎛이하인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적층체를 이용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과 편광판의 부착공정시 편광판의 처짐 현상 등과 같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 보호필름은 트리아세테이트셀룰로오스 필름(TAC), 시클로올레핀폴리머(COP), 아크릴계 필름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편광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편광자, 예를 들면,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PVA)로 이루어진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편광자는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입사되는 빛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을 추출할 수 있는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은 요오드를 흡수한 PVA(poly vinyl alcohol)를 강한 장력으로 연신하여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PVA 필름을 수용액에 담가 팽윤(swelling)시키는 팽윤하는 단계, 상기 팽윤된 PVA 필름에 편광성을 부여하는 이색성 물질로 염색하는 단계, 상기 염색된 PVA 필름을 연신(stretch)하여 상기 이색성 염료 물질을 연신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시키는 연신 단계, 및 상기 연신 단계를 거친 PVA 필름의 색을 보정하는 보색 단계를 거쳐 편광자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의 편광판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출원의 다른 실시상태는, 상기 편광판 적층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 적층체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시야측에 구비되는 제1 편광판; 상기 액정 패널의 시야측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제2 편광판; 및 상기 제2 편광판의 액정 패널과 대면되는 면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편광판 또는 제2 편광판이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 적층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 패널은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 적층체가 아닌 별도의 편광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추가로 포함되는 편광판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편광판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시야측"이라는 용어는 편광판이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시청자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 반대로, "시야측의 반대측"은 편광판이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시청자의 반대쪽, 즉 백라이트 유닛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차량용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상태를 예시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 실시상태들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편광판(LG화학, 고내구 편광판)의 양면에 점착제(LG화학, 고내구 점착제)를 도포한 후, 롤투롤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편광판의 일면에는 제1 세퍼레이트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을 적층하고, 다른 일면에는 제2 세퍼레이트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을 적층하였다. 또한, 상기 제1 세퍼레이트 필름은 미쯔비시 사 제품의 두께가 38㎛인 단층 필름을 이용하였고,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은 LG화학 사 제품의 두께가 93㎛인 단층 필름을 이용하였다.
상기 편광판의 제1 세퍼레이트 필름을 제거한 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샤인테크)의 일면에 상기 편광판의 제1 세퍼레이트 필름이 제거된 면이 접합하도록,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필름과 편광판을 합지하였다(태창 사의 합지설비 이용). 상기 합지공정시 합지속도는 400 mm/min으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으로서 두께가 38㎛인 단층 필름(미쯔비시)와 두께가 93㎛인 단층 필름(LG화학)을 적층하여, 총두께가 131㎛인 2층의 필름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으로서 두께가 50㎛인 단층 필름(미쯔비시)와 두께가 93㎛인 단층 필름(LG화학)을 적층하여, 총두께가 143㎛인 2층의 필름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으로서 두께가 38㎛인 단층 필름(미쯔비시)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으로서 두께가 50㎛인 단층 필름(미쯔비시)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으로서 두께가 75㎛인 단층 필름(도레이)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으로서 두께가 75㎛인 단층 필름(도레이)과 두께가 93㎛인 단층 필름(LG화학)을 적층하여 총 두께가 168㎛인 2층의 필름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편광판과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간의 합지공정 이후에, 상기 편광판과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간의 접합면의 불량발생 유무를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광학 필름과 편광판을 부착한 결과를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의 평가결과는 상기 편광판과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간의 접합면을 외관으로 확인하였을 때, 기포 등의 불량발생 유무로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112020112177320-pat00001
하기 도 3의 결과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라 광학 필름과 편광판을 부착한 경우에는 광학 필름과 편광판의 접합면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비교예 1에 따라 광학 필름과 편광판을 부착한 경우에는 광학 필름과 편광판의 부착공정시 편광판의 처짐 현상이 발생하여, 광학 필름과 편광판의 접합면에 기포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 적층체는, 총두께가 75㎛ 초과 150㎛ 이하인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을 포함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과 편광판의 부착공정시 편광판의 처짐 현상 등과 같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과 편광판의 부착공정시 이들의 접합면에 기포가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10: 편광판
20: 제1 점착제층
30: 제1 세퍼레이트 필름
40: 제2 점착제층
50: 제2 세퍼레이트 필름
60: 보호필름
70: 세퍼레이트 필름

Claims (13)

  1. 편광판;
    상기 편광판의 어느 일면에 구비된 제1 점착제층 및 제1 세퍼레이트 필름; 및
    상기 편광판의 다른 일면에 구비된 제2 점착제층 및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세퍼레이트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75㎛ 이며,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은 2층 구조이고,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의 총두께는 75㎛ 초과 150㎛ 이하인 것인 편광판 적층체.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퍼레이트 필름 및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은 각각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적층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이 구비되는 영역은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이 위치하는 영역인 것인 편광판 적층체.
  6. 편광판의 어느 일면에 제1 점착제층을 도포하고, 다른 일면에 제2 점착제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점착제층 상에 제1 세퍼레이트 필름을 적층시키고, 상기 제2 점착제층 상에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을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퍼레이트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75㎛ 이며,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은 2층 구조이고,
    상기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의 총두께는 75㎛ 초과 150㎛ 이하인 것인 편광판 적층체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퍼레이트 필름 및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은 각각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적층체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퍼레이트 필름 및 제2 세퍼레이트 필름을 적층시키는 단계는, 롤투롤(roll to roll) 공정으로 수행되는 것인 편광판 적층체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퍼레이트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의 일면에 상기 편광판 적층체의 제1 세퍼레이트 필름이 제거된 면이 접합하도록, 상기 액정 패널 또는 광학 필름과 편광판을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적층체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안티글레어(antiglare) 필름, 하드코팅(hard coating) 필름, 반사방지 필름 및 AGLR(Anti-Glare & Low-Reflection) 필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적층체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인 것인 편광판 적층체의 제조방법.
KR1020200137603A 2019-10-31 2020-10-22 편광판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2452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37106 2019-10-31
KR1020190137106 2019-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267A KR20210052267A (ko) 2021-05-10
KR102452788B1 true KR102452788B1 (ko) 2022-10-11

Family

ID=7571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603A Active KR102452788B1 (ko) 2019-10-31 2020-10-22 편광판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2204198B2 (ko)
EP (1) EP4052898A4 (ko)
JP (1) JP2022532722A (ko)
KR (1) KR102452788B1 (ko)
CN (1) CN113853538A (ko)
TW (1) TWI792083B (ko)
WO (1) WO20210859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6280B (zh) * 2018-12-06 2022-06-03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屏幕拼接结构及其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4284A (ja) 1996-08-08 1998-02-17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ガラス補強用フイルム
JP2001108826A (ja) 1999-10-04 2001-04-20 Sekisui Chem Co Ltd 偏光子保護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と偏光板
JP3713183B2 (ja) * 2000-04-26 2005-11-0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偏光板付剥離シート、その製造方法、偏光板の剥離方法及びその剥離装置
TWI245147B (en) 2000-06-19 2005-12-11 Nitto Denko Corp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JP2005283846A (ja) 2004-03-29 2005-10-13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030134B2 (ja) 2005-08-18 2012-09-19 株式会社リコー 偏光変換素子、偏光変換光学系および画像投影装置
JP4861944B2 (ja) 2007-09-21 2012-01-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補償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補償フィルム、偏光板、液晶表示装置
JP4603572B2 (ja) * 2007-11-14 2010-12-2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用接着剤、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90101763A (ko) 2008-03-24 2009-09-2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제어 초박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210985B1 (ko) 2008-12-26 2012-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모아레가 개선된 렌티큘러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4428470B1 (ja) * 2009-06-08 2010-03-10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偏光板及び偏光板形成用接着剤組成物
KR20110002676A (ko) 2009-07-02 2011-01-1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일체형 고휘도 편광시트, 그를 적용한 액정디스플레이 패널후면용 편광필름 및 그를 구비한 액정디스플레이
KR101442667B1 (ko) 2011-02-10 2014-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JP2013008019A (ja) 2011-05-26 2013-01-10 Nitto Denko Corp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411020B1 (ko) 2011-12-29 2014-06-24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용 점착제,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5909454B2 (ja) 2012-03-30 2016-04-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275945B2 (ja) * 2012-12-10 2018-02-07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4122984A (ja) * 2012-12-20 2014-07-03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
JP2014126598A (ja) 2012-12-25 2014-07-07 Sumitomo Chemical Co Ltd 防眩フィルムおよび防眩性偏光板
KR20150050063A (ko) 2013-10-31 2015-05-08 제일모직주식회사 반사 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628457B (zh) * 2014-04-17 2018-07-01 日商大日本印刷股份有限公司 防眩膜、偏光板、液晶面板以及影像顯示裝置
KR101882560B1 (ko) 2014-08-01 2018-07-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광학부재 및 점착시트
KR102257917B1 (ko) 2014-09-09 2021-05-2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액정 패널의 제조 방법
JP6580315B2 (ja) * 2014-10-15 2019-09-25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ならびに両面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のカール抑制方法
JP2016118771A (ja) 2014-12-18 2016-06-30 住友化学株式会社 プロテクトフィルム付偏光板及びそれを含む積層体
CN105717569A (zh) * 2014-12-18 2016-06-29 住友化学株式会社 带有保护膜的偏振板及包含它的层叠体
JP6258911B2 (ja) * 2014-12-22 2018-01-10 住友化学株式会社 プロテクトフィルム付偏光板及びそれを含む積層体
CN105717572B (zh) * 2014-12-22 2020-05-12 住友化学株式会社 带有保护膜的偏振板及包含它的层叠体
JP6782071B2 (ja) 2015-01-20 2020-11-11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5807356B (zh) * 2015-01-20 2020-10-02 日东电工株式会社 两面带有粘合剂层的偏振薄膜、其制造方法及图像显示装置
JP6095711B2 (ja) 2015-02-19 2017-03-15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532767B2 (ja) 2015-06-16 2019-06-19 住友化学株式会社 貼合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525401B1 (ko) 2015-06-30 2023-04-24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CN108139527A (zh) 2015-10-02 2018-06-08 住友化学株式会社 带防护膜的偏振板、液晶面板及防护膜的制造方法
JP2017111361A (ja) 2015-12-18 2017-06-22 住友化学株式会社 片面保護偏光板の製造方法
KR101886576B1 (ko) * 2016-07-20 2018-08-0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세퍼레이터 필름 적층 점착제층을 지닌 광학 필름
JP2018022135A (ja) 2016-07-20 2018-02-08 住友化学株式会社 セパレータフィルム積層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CN110546177A (zh) 2017-04-28 2019-12-06 日本化药株式会社 顺丁烯二酰亚胺树脂组成物、预浸体及其硬化物
KR102244789B1 (ko) 2017-12-15 2021-04-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32722A (ja) 2022-07-19
TWI792083B (zh) 2023-02-11
WO2021085933A1 (ko) 2021-05-06
CN113853538A (zh) 2021-12-28
TW202134700A (zh) 2021-09-16
US12204198B2 (en) 2025-01-21
EP4052898A1 (en) 2022-09-07
KR20210052267A (ko) 2021-05-10
US20220229330A1 (en) 2022-07-21
EP4052898A4 (en) 202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2815B (zh) 偏光板之套組及前面板一體型液晶顯示板
JP4804589B1 (ja) 偏光膜、偏光膜を含む光学フィルム積層体、及び、偏光膜を含む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に用いるための延伸積層体、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膜を有する有機el表示装置
CN105637393B (zh) 偏光板组及前板一体型液晶显示面板
CN104081232B (zh) 偏振性层叠膜的制造方法及偏振板的制造方法
JP6154099B2 (ja)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CN103718073B (zh) 光学层压体、光学层压体套件和使用所述光学层压体或所述光学层压体套件的液晶面板
CN111316145B (zh) 圆偏振板及显示装置
JP6926199B2 (ja) 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該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090084709A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CN108885298A (zh) 光学薄膜、剥离方法以及光学显示面板的制造方法
CN106054437B (zh) 带粘合剂层的偏振膜组、液晶面板及液晶显示装置
TWI666474B (zh) 附保護膜之光學膜的製造方法
KR102452788B1 (ko) 편광판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5129882A (ja) 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7850724A (zh) 偏振板、图像显示装置及偏振板的制造方法
JP2014132313A (ja)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積層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2652276B (zh) 表面保护面板及液晶图像显示装置
JP2012048181A (ja) 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7693324B2 (ja) 粘着剤層付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20220123122A (ko) 점착제층을 구비한 광학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그리고, 이들의 제조 방법
JP5550869B2 (ja) 液晶表示装置
JP2010049063A (ja) 偏光板
JP7309843B2 (ja) 光学フィルム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部材シートの製造方法
JP7203486B2 (ja) 光学フィルム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部材シートの製造方法
JP2025100475A (ja) 光学積層体およびこれを含むサンルー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5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11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5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08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5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1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0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