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04940B1 -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940B1
KR102104940B1 KR1020130054038A KR20130054038A KR102104940B1 KR 102104940 B1 KR102104940 B1 KR 102104940B1 KR 1020130054038 A KR1020130054038 A KR 1020130054038A KR 20130054038 A KR20130054038 A KR 20130054038A KR 102104940 B1 KR102104940 B1 KR 102104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floor
slab
pip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4193A (ko
Inventor
최해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to KR1020130054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940B1/ko
Publication of KR20140134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0Connecting baths or bidets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연한이 오래된 공동주택의 리모델링시 층하배관(천장배관)으로 시공되어 있는 욕실을 층상배관으로 시공하기 위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세대에 구비된 욕실의 슬라브를 제거하고, 내력벽의 설계위치에 브라켓을 시공한 후, 상기 브라켓에 안치 고정되며 위생도기들이 설치되는 욕실과 입상관을 설치하기 위한 PD(Pipe Duct)실을 PC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그 PC상부에 배관을 구성한 욕실 바닥을 시공한 후, 마감공사와 내벽 및 천장공사를 실시함으로써 시공되는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Execution Method Bathroom Above Floor Pipe of Remodel a House}
본 발명은 사용연한이 오래된 공동주택의 리모델링시 층하배관(천장배관)으로 시공되어 있는 욕실을 층상배관으로 시공하기 위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세대에 구비된 욕실의 슬라브를 제거하고, 내력벽의 설계위치에 브라켓을 시공한 후, 상기 브라켓에 안치 고정되며 위생도기들이 설치되는 욕실과 입상관을 설치하기 위한 PD(Pipe Duct)실을 PC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그 PC상부에 배관을 구성한 욕실 바닥을 시공한 후, 마감공사와 내벽 및 천장공사를 실시함으로써 시공되는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리모델링이 필요한 거의 모든 공동주택의 욕실은 소음과 누수에 취약한 층하배관(천장배관) 방식이 적용되어 있다.
상기 층하배관(천장배관)방식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1)에 바닥 배수를 위한 FD(11)와, 세면기 배수를 위한 세면기 슬리브(12), 욕조 배수를 위한 욕조 슬리브(13) 및 좌변기의 오수 배출을 위한 좌변기 슬리브(14)를 매설하고, 각각의 배관(15)을 매설된 슬리브에 연결한 후, 하층 천장을 통해 PD(Pipe Duct)에 시공되는 입상관(16)에 연결하였다.
상기와 같은 층하배관 방식은 슬라브에 욕조, 세면기, 바닥 그리고 좌변기 배수를 위한 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아래층 욕실 천장에 하수관 및 오수관이 배관되어 있고, 얇은 천장 마감재로 마감이 되어 있기 때문에 상층에서 발생한 배수 소음 및 생활소음이 그대로 아래층 천장으로 전달되어 아래층에 피해를 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윗층 욕실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 아래층에 누수된 하수가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아래층 화장실이 오염되거나 악취가 발생하여 층간 분쟁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층상배관 시스템이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층상배관 시스템이란, 욕실 바닥의 슬라브(1)에 배관을 위한 구멍을 뚫지 않고 슬라브(1) 위에 방수를 실시한 후 오수관(21)과 하수관(22)을 배관하고, 그 배관을 경량 기포콘크리트(2)로 덮은 후 마감 공사를 실시하는 공법이다.
상기 층상배관 시스템은 직경 100mm인 오수관(21)을 슬라브 위에 설치하기 때문에 배관후 타설되는 경량 기포콘크리트(2)의 높이를 150mm이상으로 하여 오수관이 완전히 묻히면서도 하수의 흐름을 위한 구배 높이를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국내 욕실과 같이 물을 많이 사용하는 문화에서는 욕실에 슬리퍼를 신고 출입을 하게되므로 욕실바닥으로부터 문턱의 높이가 60mm를 확보하여야만 하였다. 따라서, 층상배관의 시공을 위해서는 반드시 욕실 전체나 배관이 설치되는 부분만을 거실이나 방의 슬라브 높이보다 낮게 시공하는 다운 슬라브 공법을 적용하여야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다운 슬라브 공법은 신규아파트의 시공에는 적용 가능하나 이미 시공된 아파트의 경우 거실이나 방과 같은 높이로 슬라브가 시공되어 있어 층상배관을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주거중인 공동주택이나 리모델링하는 공동주택에는 생활에 기본적인 요건을 충족하면 층상배관 시스템을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모델링하고자 하는 욕실의 슬라브를 전체적으로 제거하고, 제거된 욕실에 PC로 제작한 층상배관이 설치된 욕실 슬라브 PC를 설치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리모델링 욕실에도 층상이중배관을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층상배관이 설치된 욕실 슬라브 PC를 이미 욕실의 기존 슬라브가 제거된 공간에 설치하기 위하여 욕실의 벽면에 브라켓을 설치하여 층상배관이 설치된 욕실 슬라브 PC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모델링 시공하는 공동주택의 욕실의 내장재 및 조적을 제거하는 제1단계와; 상기 내장재와 조적이 제거된 욕실의 바닥 슬라브를 제거하여 욕실 바닥이 천공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상기 바닥이 천공된 욕실의 아래층 상단부의 적어도 3곳 이상의 옹벽에 브라켓들을 설치하는 제3단계와; 상기 브라켓이 설치된 욕실 상부로부터 이미 제작된 층상배관이 설치된 욕실 슬라브 PC를 설치하는 제4단계와; 상기 설치된 욕실 슬라브 PC의 테두리에 옹벽과의 연결제와 방수제를 시공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델링하는 공동주택의 욕실 바닥 전체를 제거하여 천공한 후, 브라켓에 의해 층상배관이 설치된 욕실 슬라브 PC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층상배관 시스템을 갖는 욕실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모든 리모델링 공동주택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리모델링 공동주택에 적용함으로써 기존 층하배관 시스템에서 발생하던 소음, 누수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쾌적한 욕실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층하배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2는 종래의 층상배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슬라브가 제거된 욕실의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슬라브가 제거된 욕실에 브라켓을 설치한 것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층상배관이 설치된 욕실 슬라브 PC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층상배관이 설치된 욕실 슬라브 PC를 도4의 브라켓에 설치한 것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층상배관 시스템을 욕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의 슬라브 전체 또는 배관이 지나가는 부분을 거실이나 방 보다 낮게 시공하는 다운 슬라브 공법을 적용하여 시공한다.
상기 다운 슬라브 공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신규 시공중에 공동주택의 경우 설계된 것에 따라 가능하지만, 리모델링의 경우에는 기본 골조 변경가능한 내부 구조 또는 내장재 만을 바꾸는 시공만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욕실에 층상배관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욕실의 슬라브를 제거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리모델링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을 위해서는 제1단계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의 내장재와 조적 및 입상관 등을 제거하고, 기존 욕실(30)을 차지하는 바닥, 또는 배관이 지나갈 부분의 슬라브를 완전히 제거하여 하층과 천공되도록 한다.
다음에, 제2단계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브가 제거된 욕실의 옹벽(3)에 브라켓(4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브라켓(40)에 의해 고정설치된 층상 배관이 설치된 욕실 슬라브 PC를 사전에 제작하게 되며, 브라켓(40)의 높이는 추후 설치될 욕실 문턱 상단으로부터 60mm 하부로 이격되고, 이격된 높이로부터 층상배관이 설치된 욕실 슬라브 PC의 전체 높이만큼(60mm+층상배관이 설치된 욕실 슬라브 PC 높이; A) 방 또는 거실 슬라브 높이 상단으로부터 깊게 설치한다. 이때, 슬라브의 처짐 등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옹벽에 정확하게 매설하여야만 한다.
다음에, 제3단계로, 상기 브라켓(40)이 설치된 욕실(30)공간 상부로부터 크레인 등의 기계를 이용하여 이미 제작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층상배관이 설치된 욕실 슬라브 PC(50)를 운반하여 브라켓(40) 상부에 안치시킨다.
다음에, 제4단계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40)에 안치된 층상배관이 설치된 욕실 슬라브 PC(50)와 옹벽(3) 또는 기존 슬라브 또는 옹벽들의 이음부에 이음제 및 방수제(60)를 주입하여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층상배관 바닥이 시공된 욕실 바닥에 위생도기들을 설치하고, 벽면과 천장의 마감공사를 실시함으로써 리모델링 층상배관 욕실을 시공하게 된다.
또한, 기 제작되는 층상배관이 설치된 욕실 슬라브 PC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되는 욕실 슬라브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바닥 PC(51)를 제작하고, 제작된 바닥 PC(51) 상부에 오수관과 하수관 및 배수트랩 등 배관을 실시한 후, 경량기포 콘크리트(2)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타일을 부착함으로써 층상배관이 설치된 욕실 슬라브 PC를 제작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리모델링하고자 하는 공동주택에 층상배관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 슬라브 2: 경량 기포콘크리트 3 : 옹벽
11 : FD 12 : 세면기 슬리브 13 : 욕조 슬리브
14 : 좌변기 슬리브 15 : 배관 16: 입상관
21 : 오수관 22 : 하수관 30 : 천공된 욕실
31: 거실 40 : 브라켓 51 : 바닥 PC
50 : 층상배관이 설치된 PC 60: 이음재

Claims (1)

  1. 리모델링 시공하는 공동주택의 욕실의 내장재 및 조적을 제거하는 제1단계와;
    상기 내장재와 조적이 제거된 욕실의 바닥 슬라브를 제거하여 욕실 바닥이 천공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상기 바닥이 천공된 욕실의 아래층 상단부의 적어도 3곳 이상의 옹벽에 브라켓들을 설치하는 제3단계와;
    상기 브라켓이 설치된 욕실 상부로부터 이미 제작된 층상배관이 설치된 욕실 슬라브 PC를 상기 브라켓 상부에 안치시켜 설치하는 제4단계와;
    상기 설치된 욕실 슬라브 PC의 테두리에 연결제와 방수제를 시공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단계 이전에,
    제거되는 욕실 슬라브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바닥 PC를 제작하고, 상기 바닥 PC의 상부에 배관을 설치하고, 상기 바닥 PC의 상부에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상기 배관을 덮도록 타설하고,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 위에 타일을 부착하여 상기 욕실 슬라브 PC를 미리 제작하며,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브라켓들을 욕실 문턱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욕실 슬라브 PC를 방 또는 거실 슬라브 상단보다 깊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20130054038A 2013-05-13 2013-05-13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2104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038A KR102104940B1 (ko) 2013-05-13 2013-05-13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038A KR102104940B1 (ko) 2013-05-13 2013-05-13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193A KR20140134193A (ko) 2014-11-21
KR102104940B1 true KR102104940B1 (ko) 2020-04-27

Family

ID=52455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038A KR102104940B1 (ko) 2013-05-13 2013-05-13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9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77857B (zh) * 2016-03-03 2017-04-11 Chou Vicki Fen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of toilet piping configur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1409A (ja) 2000-03-27 2001-10-05 Nihon Meccs Co Ltd 水洗トイレ室の改修工法
KR100726111B1 (ko) * 2006-07-13 2007-06-12 삼성물산 주식회사 Pc 슬래브를 이용한 욕실바닥 제작 공법
KR101081970B1 (ko) * 2009-02-16 2011-11-09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328Y2 (ja) * 1990-01-16 1995-06-14 豊 石田 ズボン等のずれ落ち防止装着具
JPH11270165A (ja) * 1998-03-26 1999-10-05 Inax Corp トイレ改修方法
KR100981324B1 (ko) * 2007-10-22 2010-09-10 주식회사 청완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시공방법 및 그 세면욕조실
KR20090055245A (ko) * 2007-11-28 2009-06-02 삼성물산 주식회사 당해층 배관을 위한 욕실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1409A (ja) 2000-03-27 2001-10-05 Nihon Meccs Co Ltd 水洗トイレ室の改修工法
KR100726111B1 (ko) * 2006-07-13 2007-06-12 삼성물산 주식회사 Pc 슬래브를 이용한 욕실바닥 제작 공법
KR101081970B1 (ko) * 2009-02-16 2011-11-09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96317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193A (ko) 2014-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110075701A (ko) 층상 배관용 조립식 세면욕실
KR101564993B1 (ko)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KR101081970B1 (ko)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716876B1 (ko) 조립식 욕실 바닥판
KR101150282B1 (ko) 층상 배수 시스템
KR101219145B1 (ko)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KR100967788B1 (ko)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KR100913781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102104940B1 (ko)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13556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080017112A (ko) 방수 저소음 형 화장실 통합 독립 스리브 부착 통합트랩(에어 덕트, 벽식 양변기 고정대 부착형 ) (kkttss)
KR101313848B1 (ko) 평슬라브 층상 배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슬리브
KR101393529B1 (ko)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
KR101290817B1 (ko)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KR101229734B1 (ko) 층상 배관용 배수트랩
KR101236143B1 (ko) 층상 배수장치 및 공법
KR100918851B1 (ko) 층상 배수 배관용 설치틀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KR101089087B1 (ko) 층상 배관용 방수판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JP6399277B2 (ja) 共用排水管の交換方法
KR101488639B1 (ko) 층상배관을 적용한 조립식 욕실 바닥판
KR101677028B1 (ko) 평슬라브형 층상배관 시스템 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안치틀
KR20150127331A (ko) 리모델링용 층상배관 욕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4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5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